KR20220018595A - 카트리지, 어태치먼트, 및 장착 키트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어태치먼트, 및 장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595A
KR20220018595A KR1020227000837A KR20227000837A KR20220018595A KR 20220018595 A KR20220018595 A KR 20220018595A KR 1020227000837 A KR1020227000837 A KR 1020227000837A KR 20227000837 A KR20227000837 A KR 20227000837A KR 20220018595 A KR20220018595 A KR 20220018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photosensitive drum
drive output
axial direction
driv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0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시 오자키
시게미 카모시다
이사오 코이시
유키오 쿠보
노리유키 코마츠
테츠오 우에스기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18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Axial coup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16D1/108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having retaining means rotating with the coupling and acting by interengaging parts, i.e. positive coupling
    • F16D1/112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having retaining means rotating with the coupling and acting by interengaging parts, i.e. positive coupling the interengaging parts comprising torque-transmitting surfaces, e.g. bayonet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04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to allow radial displacement, e.g. Oldham coupl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7Drive mechanisms for photosensitive medium, e.g. gea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4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associat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7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Abstract

장치 본체로부터 카트리지로의 구동 전달 방법을 발전시킨다. 카트리지는, 구동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구동 출력 부재와, 구동 출력 부재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경사지게 하도록 구성된 본체측 압압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다. 카트리지는, 감광체 드럼과, 카트리지측 압압 부재를 갖는다. 카트리지측 압압 부재는, 장치 본체측 압압 부재를 압압함으로써, 구동 출력 부재의 경사 각도를 바꾸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카트리지, 어태치먼트, 및 장착 키트
본 발명은 카트리지, 어태치먼트(attachment), 장착 키트,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것이다.
어태치먼트는, 카트리지와는 별도로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장착 가능한 것이다.
또한, 어태치먼트와 카트리지를 총칭하여 장착 키트라고 부른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란, 전자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전자사진 복사기, 전자사진 프린터(LED 프린터, 레이저 빔 프린터 등), 팩시밀리 장치 및 워드 프로세서 등이 포함된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하, 단순히 「화상 형성 장치」라고도 함)에서는, 상담지체로서의 일반적으로 드럼형으로 되는 전자사진 감광체, 즉, 감광체 드럼(전자사진 감광체 드럼)을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이어서, 대전한 감광체 드럼을 선택적으로 노광함으로써, 감광체 드럼 상에 정전 잠상(정전상)을 형성한다. 이어서, 감광체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서의 토너에 의해 토너상으로서 현상한다. 그리고, 감광체 드럼 상에 형성된 토너상을, 기록 용지, 플라스틱 시트 등의 기록재에 전사하고, 나아가 기록재 상에 전사된 토너상에 열이나 압력을 가함으로써 토너상을 기록재에 정착시킴으로써 화상 기록을 행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는, 일반적으로, 토너 보급이나 각종의 프로세스 수단의 유지보수를 필요로 한다. 이 토너 보급이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감광체 드럼, 대전 수단, 현상 수단, 클리닝 수단 등을 프레임 내에 함께 카트리지화하여,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로 한 것이 실용화되고 있다.
이 카트리지 방식에 의하면, 장치의 유지보수의 일부를, 애프터 서비스(after-sales service)를 담당하는 수리공에게 의지하지 않고, 사용자 스스로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장치의 조작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어, 사용성이 우수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 카트리지 방식은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카트리지의 일례로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란, 전자사진 감광체 드럼과, 이 전자사진 감광체 드럼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을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상술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는, 감광체 드럼의 선단에, 장치 본체로부터의 구동력을 감광체 드럼으로 전달하기 위해 커플링 부재를 설치하고 있는 구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커플링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진퇴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배치한 푸시 로드(push rod)를 조작함으로써 커플링 부재의 진퇴 이동을 일으키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커플링 부재에 고정된 인장 코드를 움직임으로써 커플링 부재의 진퇴 이동을 실현시키고 있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일본특허공개 제2016-40625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을 더욱 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에 따른 대표적인 구성은,
구동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구동 출력 부재와, 구동 출력 부재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경사지게 하도록 구성된 본체측 압압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과,
상기 장치 본체측 압압 부재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구동 출력 부재의 경사 각도를 바꾸도록 구성된, 이동 가능한 카트리지측 압압 부재를 갖는 카트리지이다.
본 출원에 따른 다른 대표적인 구성은,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전방에 배치된 감광체 드럼과,
상기 카트리지의 전방에서,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카트리지의 일방 측에 배치된 압압 부재로서, 이동 가능한 압압 부재를 가지며,
상기 압압 부재는, (a)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를 향해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동작과, (b) 제1 동작과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동작을 적어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이다.
본 출원에 따른 다른 대표적인 구성은,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전방에 배치된 감광체 드럼과,
감광체 드럼의 단부 근방에 배치된 제1 가동 부재로서,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가동 부재와,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부재와 동일한 측에 배치된 제2 가동 부재로서, (a)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를 향해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동작과, (b) 상기 제1 동작과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동작을 적어도 행하도록 구성된 제2 가동 부재를 갖는 카트리지이다.
본 출원에 따른 다른 대표적인 구성은,
구동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구동 출력 부재와,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경사지게 하도록 구성된 장치 본체측 압압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서,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해 장착 가능한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와 접속시키기 위해, 상기 장치 본체측 압압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장치 본체측 압압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구동 출력 부재의 경사 각도를 바꾸도록 구성된 접촉부를 갖는 어태치먼트이다.
본 출원에 따른 다른 대표적인 구성은,
구동력을 출력 가능하고 경동(傾動) 가능한 구동 출력 부재를 구비하는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과,
감광체 드럼의 단부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계합 부재로서, 상기 구동 출력 부재와 계합 가능한 계합 부재와,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에 있어서의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이동 가능한 위치결정 부재를 가지며,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구동 출력 부재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계합 부재가 상기 구동 출력 부재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위치결정 부재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는, (a) 상기 구동 출력 부재의 경사 각도를 바꾸고, 또한, (b)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의 장착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이다.
다른 대표적인 구성은,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전방에 배치된 감광체 드럼과,
감광체 드럼의 단부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계합 부재와,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외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계합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를 향해 상기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조작 부재와,
상기 카트리지의 전방이며,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위치결정 부재로서, 상기 카트리지의 전방을 향해 돌출하여 있고 후방을 향해 이동 가능한 위치결정 부재를 갖는 카트리지이다.
다른 대표적인 구성은,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전방에 배치된 감광체 드럼과,
감광체 드럼의 단부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계합 부재와,
상기 카트리지의 전방이며,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와 동일한 측에 배치된 위치결정 부재로서, 이동 가능한 위치결정 부재와,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외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위치결정 부재를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도록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조작 부재를 갖는 카트리지이다.
다른 대표적인 구성은,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전방에 배치된 감광체 드럼과,
감광체 드럼의 단부 근방에 배치된 제1 가동 부재로서,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가동 부재와,
카트리지의 전방에서,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부재와 동일한 측이며, 상기 감광체 드럼의 외부에 배치된 제2 가동 부재와,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외력을 받음으로써, 제2 가동 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조작 부재를 갖는 카트리지이다.
다른 대표적인 구성은,
구동력을 출력 가능하고 경동 가능한 구동 출력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서,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 가능한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내부에 있어서의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이동 가능한 위치결정 부재를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에 설치된 계합 부재가 상기 구동 출력 부재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위치결정 부재는, 그 이동에 의해, (a) 상기 구동 출력 부재의 경사 각도를 바꾸고, 또한, (b)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의 장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어태치먼트이다.
다른 대표적인 구성은,
구동력을 출력 가능하고 경동 가능한 구동 출력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과,
상기 감광체 드럼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압압 부재로서,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구동 출력 부재의 경사 각도를 바꾸도록 구성된 압압 부재와,
감광체 드럼의 단부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계합 부재로서, 상기 압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고 있는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구동 출력 부재와 계합 가능하게 되는 계합 부재를 갖는 카트리지이다.
다른 대표적인 구성은,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전방에 배치된 감광체 드럼과,
감광체 드럼의 단부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계합 부재와,
상기 카트리지의 전방이며,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와 동일한 측이며, 상기 감광체 드럼의 외부에 배치된 압압 부재로서,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압압 부재와,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외력을 받아 상기 계합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를 향해 상기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조작 부재를 갖는 카트리지이다.
다른 대표적인 구성은,
구동력을 출력 가능하고 경동 가능한 구동 출력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과,
상기 구동 출력 부재에 설치된 기어부와 맞물린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에 근접하도록 구성된 기어 부재와,
상기 기어 부재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에 가까워진 상기 구동 출력 부재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구동 출력 부재의 경사 각도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된 접촉부로서, 상기 감광체 드럼의 외부에 배치된 접촉부를 갖는 카트리지이다.
다른 대표적인 구성은,
카트리지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과,
현상 롤러와,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카트리지의 제1 측에 배치된 기어 부재와,
상기 감광체 드럼의 외부이며,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제1 측에 배치된 경사부를 가지며,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측과 반대의 측을 상기 카트리지의 제2 측이라고 부르면,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어 부재의 이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경사부보다도, 상기 제2 측에 대하여 떨어져 위치하고 있고,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으로부터 상기 경사부까지를 상기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잰 거리는,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제2 측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커지고,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기어 부재의 중심은, 상기 감광체 드럼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의 중심을 지나도록 연장하고 있는 선에 대하여, 상기 감광체 드럼의 회전 방향의 상류를 향해 60°보다 크고 120°보다 작은 범위에 위치하는 카트리지이다.
다른 대표적인 구성은,
구동력을 출력 가능한 구동 출력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서,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하기 위한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상기 구동 출력 부재에 설치된 기어부와 맞물린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에 근접시켜,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에 접속시키도록 구성된 기어 부재를 갖는 어태치먼트이다.
다른 대표적인 구성은,
카트리지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과,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카트리지의 제1 측에 배치된 기어 부재와,
상기 카트리지의 제1 측에 배치된 경사부를 가지며,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측과 반대의 측을 상기 카트리지의 제2 측이라고 부르면,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어 부재의 이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경사부보다도, 상기 카트리지의 제2 측에 대하여 멀리 위치하고 있고,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으로부터 상기 경사부까지를 상기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잰 거리는,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측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커지고,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으로부터 상기 기어 부재의 축선까지의 거리가 바뀌도록, 상기 기어 부재는 이동 가능한 카트리지이다.
다른 대표적인 구성은,
경동 가능하고 구동력을 출력 가능한 구동 출력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과,
상기 감광체 드럼의 단부 근방에 위치하고, 구동력을 상기 감광체 드럼을 향해 전달 가능하며,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커플링 부재로서, 구동 출력 부재로부터 구동력을 받을 수 있는 구동력 수용부와, (a) 상기 구동력 수용부를 모두 상기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또한 (b) 상기 구동력 수용부와 함께 회전 가능한 경사부를 갖는 커플링 부재를 가지며,
상기 경사부가 상기 구동력 수용부보다도, 감광체 드럼의 축선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고 있고,
상기 커플링 부재가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향해 이동할 때, 상기 경사부는, 상기 구동 출력 부재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구동 출력 부재와 상기 구동력 수용부가 계합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출력 부재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이다.
다른 대표적인 구성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와는 반대의 제2 단부를 갖는 감광체 드럼과,
상기 감광체 드럼의 상기 제1 단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구동력을 상기 감광체 드럼에 전달 가능하며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커플링 부재로서, 돌출한 구동력 수용부와, 상기 구동력 수용부와 함께 진퇴 가능한 경사부를 갖는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가 상기 구동력 수용부보다도, 감광체 드럼의 축선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으로부터 상기 경사부까지를 상기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잰 거리는,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드럼의 상기 제2 단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커지는 카트리지이다.
종래 구성을 발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a)는 카트리지의 단면도이고, (b)는 카트리지의 사시도이고, (c)는 커플링 부재 주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구동 전달 부재 및 이에 관련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구동 전달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구동 전달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6은 구동 전달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7에 있어서, (a)는 카트리지의 측면도이고, (b)는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구동 전달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9는 구동 전달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구동 전달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구동 전달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기어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카트리지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구동력 전달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카트리지가 부분적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감광체 드럼과 커플링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링 부재의 분해도이다.
도 18은 카트리지의 부분적인 분해도이다.
도 19는 카트리지의 설명도이다.
도 20은 구동 전달 부재(81)의 설명도이다.
도 21은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카트리지의 설명도이다.
도 23에 있어서, (a)는 카트리지의 사시도이고, (b)는 카트리지의 확대도이다.
도 24는 커플링 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25는 구동 전달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구동 전달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구동 전달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구동 전달 부재와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압압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작용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압하(押下; push-down)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어태치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3은 구동 전달 부재와 어태치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구동 전달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어태치먼트의 사시도이다.
도 36은 어태치먼트와 구동 전달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어태치먼트와 구동 전달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어태치먼트와 구동 전달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40은 드럼 구동 전달부의 단면이다.
도 41은 사이드 부재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42는 사이드 부재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43은 사이드 부재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44는 사이드 부재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45는 제2 레버 부재 주위의 사시도이다.
도 46은 제2 레버 부재 주위의 사시도이다.
도 47은 장치 본체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48은 장치 본체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49는 구동 전달 부재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50은 제2 레버 부재 주위의 사시도이다.
도 51은 장치 본체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2는 구동 전달 부재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53은 장치 본체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54는 구동 전달 부재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55는 장치 본체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56은 제2 레버 부재 주위의 사시도이다.
도 57은 장치 본체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8은 구동 전달 부재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59는 커플링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0은 레버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1은 레버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2는 레버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64는 진퇴 부재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65는 진퇴 부재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66은 진퇴 부재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67은 진퇴 부재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68은 구동 전달 부재 주변을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9는 장치 본체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70은 진퇴 부재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71은 구동 전달 부재 주변을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2는 구동 전달 부재 주변을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3은 장치 본체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74는 구동 전달 부재 주변을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5는 레버 부재의 구성을 일부 변경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6은 레버 부재의 구성을 일부 변경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7은 레버 부재의 구성을 일부 변경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8은 클리닝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9는 장치 본체 내에서의 카트리지의 자세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0은 위치결정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1은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의 장착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2는 위치결정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3은 사이드 부재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84는 구동 전달 부재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85는 구동 전달 부재와 커버 부재의 도면이다.
도 86은 카트리지의 도면이다.
도 87은 카트리지의 부분도이다.
도 88은 구동 전달 부재와 압하 부재의 도면이다.
도 89는 카트리지의 도면이다.
도 90은 카트리지의 도면이다.
도 91은 카트리지의 도면이다.
도 9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93은 진퇴 부재 및 커플링 부재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94는 진퇴 부재 및 커플링 부재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95는 진퇴 부재 및 커플링 부재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96은 진퇴 부재와 커플링 부재와 제3 레버 부재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97은 진퇴 부재와 커플링 부재와 제3 레버 부재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98은 진퇴 부재와 커플링 부재와 제3 레버 부재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99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설명도이다.
도 100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101은 진퇴 부재 및 커플링 부재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102는 진퇴 부재 및 커플링 부재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103은 진퇴 부재와 커플링 부재와 제3 레버 부재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04는 진퇴 부재와 커플링 부재와 제3 레버 부재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05는 진퇴 부재와 커플링 부재와 제3 레버 부재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06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설명도이다.
도 107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108은 진퇴 부재 및 커플링 부재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109는 진퇴 부재 및 커플링 부재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110은 진퇴 부재 및 커플링 부재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111은 진퇴 부재와 커플링 부재와 제3 레버 부재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12는 진퇴 부재와 커플링 부재와 제3 레버 부재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13은 진퇴 부재와 커플링 부재와 제3 레버 부재의 동작 설명도이다.
<실시예 1>
이하, 실시예 1을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달리 언급되지 않는 경우, 전자사진 감광체 드럼의 회전 축선 방향을 단순히 길이 방향이라고 부른다.
또한, 길이 방향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이 구동력을 받는 측을 구동측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비구동측으로 한다.
도 1 및 도 2의 (a), (b)를 사용하여 전체 구성 및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 화상 형성 장치 본체)(A)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이하, 카트리지(B)로 기재함)의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카트리지(B)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장치 본체(A)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카트리지(B)를 제외한 부분이다. 카트리지(B)는 장치 본체(A)에 대해 착탈 가능하다.
도 2의 (b)에 카트리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B)는 감광체 드럼(62)과, 감광체 드럼(6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받아, 그 구동력을 감광체 드럼(62)을 향해 전달 가능한 커플링 부재(64)를 갖는다. 감광체 드럼(62)의 회전 축선(Q2)과 평행한 축선 방향(Z)에 있어서, 커플링 부재(64)가 설치되어 있는 화살표(z1)측이, 카트리지(B)의 구동측(제1 측)(Bz1)이다. 또한, 화살표(z2)측이, 구동측(Bz1)과는 반대측인 카트리지(B)의 비구동측(제2 측)(Bz2)이다.
또한, 달리 언급되지 않는 경우, 카트리지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이 배치된 측을 카트리지의 전방으로 간주한다. 즉, 도 2의 (a)에 있어서의 좌측이 카트리지의 전방이며, 우측이 후방이다.
카트리지(B)의 구성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전체 구성>
도 1에 나타내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화상 형성 장치)는,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A)에 착탈 가능하게 한 전자사진 기술을 이용한 레이저 빔 프린터이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되었을 때, 카트리지(B)의 상담지체로서의 전자사진 감광체 드럼(62)에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 장치(3)(레이저 스캐너 유닛)가 배치된다. 또한, 카트리지(B)의 하측에 화상 형성 대상이 되는 기록 매체(이하, 시트재(PA)로 기재함)를 수납한 시트 트레이(4)가 배치되어 있다. 전자사진 감광체 드럼(62)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용으로 사용되는 감광체(전자사진 감광체)이다.
나아가, 장치 본체(A)에는, 시트재(PA)의 반송 방향(D)을 따라, 픽업 롤러(5a), 급송 롤러 쌍(5b), 반송 롤러 쌍(5c), 전사 가이드(6), 전사 롤러(7), 반송 가이드(8), 정착 장치(9), 배출 롤러 쌍(10), 배출 트레이(11) 등이 순차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정착 장치(9)는 가열 롤러(9a) 및 가압 롤러(9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화상 형성 프로세스>
다음으로, 화상 형성 프로세스의 개략을 설명한다. 프린트 스타트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사진 감광체 드럼(이하, 감광체 드럼(62), 또는 단순히 드럼(62)으로 기재함)은 화살표(R) 방향으로 소정의 주속도(peripheral speed; 프로세스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 대전 롤러(대전 부재)(66)는, 드럼(62)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드럼(62)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대전 롤러(66)는, 드럼(62)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 이동 가능한 회전체(롤러)이다. 한편, 대전 부재는 이러한 회전 가능한 접촉 롤러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코로나 대전기와 같이, 드럼(62)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고정된 대전 부재(대전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노광 장치(3)는 화상 정보에 따른 레이저광(L)을 출력한다. 그 레이저광(L)은 카트리지(B)의 클리닝 프레임(71)에 설치된 레이저 개구(71h)를 통과하여, 드럼(62)의 외주면을 주사 노광한다. 이에 의해, 드럼(62)의 외주면에는 화상 정보에 대응한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한편,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 장치로서의 현상 유닛(20)에 있어서, 토너실(29) 내의 토너(T)는, 반송 부재(교반 부재)(43)의 회전에 의해 교반, 반송되어, 토너 공급실(28)로 보내진다.
토너(T)는, 마그넷 롤러(34)(고정 자석)의 자력에 의해, 현상 롤러(32)의 표면에 담지된다. 현상 롤러(32)는, 드럼(62)에 형성된 잠상(정전 잠상)을, 현상제(토너(T))를 사용하여 현상하기 위해, 현상제를 그 표면에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롤러(32)와 드럼(62)의 사이에 미소한 간격을 둔 상태로 잠상이 현상되는 비접촉 현상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현상 롤러(32)를 드럼(62)에 접촉시킨 상태로 잠상을 현상하는 접촉 현상 방식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토너(T)는, 현상 블레이드(42)에 의해 마찰 대전되면서,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32) 둘레면(peripheral surface) 상에서의 층 두께가 규제된다.
그 토너(T)는, 정전 잠상에 따라 드럼(62)에 공급되어, 잠상을 현상한다. 이에 의해, 잠상은 토너상으로서 가시상화된다. 드럼(62)은 그 표면에 잠상이나, 토너(현상제)로 형성되는 상(토너상, 현상제상)을 담지하는 상담지체이다.
또한, 드럼(62) 및 현상 롤러(32)는, 현상제(토너)를 그 표면에 담지한 상태로 회전 가능한 회전체(회전 부재)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저광(L)의 출력 타이밍과 맞추어, 픽업 롤러(5a), 급송 롤러 쌍(5b), 반송 롤러 쌍(5c)에 의해, 장치 본체(A)의 하부에 수납된 시트재(PA)가 시트 트레이(4)로부터 보내진다. 그리고, 그 시트재(PA)가 전사 가이드(6)를 경유하여, 드럼(62)과 전사 롤러(7)의 사이의 전사 위치로 반송된다. 이 전사 위치에서, 토너상은 드럼(62)으로부터 시트재(PA)에 순차 전사되어 간다.
토너상이 전사된 시트재(PA)는, 드럼(62)으로부터 분리되어 반송 가이드(8)를 따라 정착 장치(9)에 반송된다. 그리고 시트재(PA)는, 정착 장치(9)를 구성하는 가열 롤러(9a)와 가압 롤러(9b)의 닙부를 통과한다. 이 닙부에서 가압·가열 정착 처리가 행하여져서 토너상은 시트재(PA)에 정착된다. 토너상의 정착 처리를 거친 시트재(PA)는, 배출 롤러 쌍(10)까지 반송되고, 배출 트레이(11)에 배출된다.
한편,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사 후의 드럼(62)은, 클리닝 블레이드(77)에 의해 외주면 상의 잔류 토너가 제거되어, 다시,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사용된다. 드럼(62)으로부터 제거된 토너 클리닝 유닛(60)의 폐토너실(71b)에 저장된다. 클리닝 유닛(60)은 감광체 드럼(62)을 갖는 유닛이다.
상기에서, 대전 롤러(66), 현상 롤러(32), 전사 롤러(7), 클리닝 블레이드(77)가 드럼(62)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프로세스 부재, 작용 부재)이다.
<카트리지 전체의 구성>
다음으로, 카트리지(B)의 전체 구성에 대해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의 (a)는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2의 (b)는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2의 (c)는 커플링 부재(64) 주변의 확대도이다.
카트리지(B)는, 클리닝 유닛(감광체 보유지지 유닛, 드럼 보유지지 유닛, 상담지체 보유지지 유닛, 제1 유닛)(60)과, 현상 유닛(현상제 담지체 보유지지 유닛, 제2 유닛)(20)을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란 일반적으로는, 전자사진 감광체와, 이것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의 적어도 하나를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하여,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장치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한 것이다. 프로세스 수단의 예로서는,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클리닝 수단 등이 있다.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리닝 유닛(60)은, 드럼(62)과, 대전 롤러(66)와, 클리닝 부재(77)와, 이들을 지지하는 클리닝 프레임(71)을 갖는다. 드럼(62)은, 클리닝 프레임(7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클리닝 프레임(77)은 카트리지의 프레임(케이싱)의 일부이며, 클리닝 유닛에 배치되는 각 부재를 지지함과 함께, 후술하는 폐토너실(71b)을 형성한다.
클리닝 유닛(60)에 있어서, 대전 롤러(66), 클리닝 부재(77)는, 각각 드럼(62)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배치된다. 클리닝 부재(77)는, 탄성 재료로서의 고무로 형성된 블레이드 형상의 탄성 부재인 고무 블레이드(77a)와, 고무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77b)를 갖는다. 고무 블레이드(77a)는, 드럼(62)의 회전 방향에 대해 카운터 방향으로 드럼(62)에 당접하여 있다. 즉, 고무 블레이드(77a)는, 그 선단부가 드럼(62)의 회전 방향의 상류측을 향하도록 드럼(62)에 당접하여 있다. 클리닝 부재(77)에 의해 드럼(62)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는, 클리닝 프레임(71)과 클리닝 부재(77)에 의해 형성된 폐토너실(71b)에 모아진다.
또한, 클리닝 프레임(71)으로부터 폐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쿠핑 시트(65)가, 드럼(62)에 당접하도록 클리닝 프레임(71)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대전 롤러(66)는, 클리닝 프레임(7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있어서, 대전 롤러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클리닝 유닛(6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편, 클리닝 프레임(71)의 길이 방향(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은, 드럼(62)의 회전 축선이 연장하는 방향(축선 방향)과 대략 평행하다. 이하, 달리 언급되지 않고 단순히 길이 방향 또는 단순히 축선 방향이라고 한 경우에는, 드럼(62)의 축선 방향을 의도한다. 축선 방향이란, 축선 또는 축선과 평행한 선이 연장하는 방향이다.
대전 롤러(66)는, 대전 롤러 베어링(68)이 가압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드럼(62)을 향해 가압됨으로써 드럼(62)에 압접되어 있다. 대전 롤러(66)는, 드럼(62)의 회전에 종동 회전한다.
현상 유닛(20)은, 현상 롤러(32)와, 현상 롤러(32)를 지지하는 현상 용기(23)와, 현상 블레이드(42) 등을 갖는다. 현상 롤러(32)는, 양단에 설치된 베어링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현상 용기(23)에 장착되어 있다. 현상 용기(23)나 그에 장착된 베어링 부재는, 전술한 클리닝 프레임(77)과 마찬가지로, 카트리지의 프레임(케이싱)의 일부이다. 클리닝 유닛의 프레임(클리닝 프레임(77) 등)과 현상 유닛(20)의 프레임(현상 용기(23) 등)의 일방을, 제1 프레임(제1 케이싱), 타방을 제2 프레임(제2 케이싱)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현상 롤러(32) 내에는 마그넷 롤러(34)가 설치되어 있다. 현상 유닛(20)에 있어서, 현상 롤러(32) 상의 토너층을 규제하기 위한 현상 블레이드(42)가 배치되어 있다. 현상 롤러(32)에는 간격 유지 부재(38)가 현상 롤러(32)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있고(도시하지 않음), 간격 유지 부재(38)와 드럼(62)이 당접함으로써, 현상 롤러(32)는 드럼(62)과 미소 간극을 가지고 보유지지된다. 또한, 현상 유닛(20)으로부터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취출(吹出) 방지 시트(33)가, 현상 롤러(32)에 당접하도록 바닥 부재(22)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현상 용기(23)와 바닥 부재(22)에 의해 형성된 토너실(29)에는, 반송 부재(43)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 부재(43)는, 토너실(29)에 수용된 토너를 교반함과 함께, 토너 공급실(28)로 토너를 반송한다.
<구동 전달 부재의 경사 기구>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6을 사용하여 장치 본체(A)의 구동 전달 부재(81)의 경사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 전달 부재(81)는, 구동력을 출력하는 구동 출력 부재이다. 후술하는 기구에 의해 카트리지(B)에 설치된 커플링 부재(도 7 참조)와 계합하여, 카트리지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구동 전달 부재(81)는 경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3은 구동 전달 부재(81)의 지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구동 전달 부재(81)의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개폐 도어(13)(도 1 참조)를 닫은 상태에서, 도 3의 (b)를 화살표(P1)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5의 (b)는 도 5의 (a)의 X1-X1 단면이다. 도 6의 (a)는 개폐 도어(13)를 연 상태에서, 도 3의 (b)를 화살표(P1)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6의 (b)는 도 6의 (a)의 X2-X2 단면, 도 6의 (c)는 도 6의 (a)의 X3-X3 단면이다.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81)는 슬라이딩부(81a)가, 장치 본체(A)에 설치된 지지 측판(82)의 지지 구멍(82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 측판(82)에는 돌기부(82b) 및 돌기부(82c)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전달 부재(81)의 원통부(81b)는, 원통 캠(83)을 통해 프레임(85)에 설치된 구멍부(85a)에 끼워 넣어져 있다. 원통 캠(83)은 내주면(83a)을 프레임(85)의 원환 리브(85c)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원통 캠(83)은, 도시하지 않은 기구에 의해 개폐 도어(13)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화살표(H1) 방향 및 화살표(H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프레임(85)에는 보스(boss)(85b)가 설치되어 있고, 압압 부재(84)의 구멍부(84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81)는 오른쪽 비틀림의 헬리컬 기어인 기어부(출력 기어부)(81f)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어부(81f)의 치선(齒先) 원직경 φD3, 모듈 D4, 비틀림각 D5, 치저(齒低) 원직경 φD6은
φD3=φ25.5
D4=0.7
D5=20°
φD6=φ22.35
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모듈 및 직경의 단위는 mm(밀리미터)이다(이하, 동일함). 또한, 구동 전달 부재(81)의 선단에는 원주 형상의 슬릿(circumferential slit)(81g)이 설치되어 있고, 슬릿(81g)의 외경 φD7, 내경 φD8은
φD7=φ20
φD8=φ15.8
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구동 전달 부재(81)의 선단에는 사면(81h)이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 부재(84)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보스(85b)를 중심으로 화살표(E1)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그 결과, 압압 부재(84)의 당접부(84b)는 구동 전달 부재(81)의 원통부(81b)를 압압력(F1)으로 압압한다. 여기서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81)는 슬라이딩부(81a)의 직경 φD1과 지지 측판(82)의 지지 구멍(82a)의 직경 φD2 사이의 유격(play)에 의해, 지지 구멍(82a)의 가장자리(82a1)를 지점(支點)으로 자유롭게 경사 가능하다. 동시에, 슬라이딩부(81a)의 축선(Q1) 방향에 있어서 자유롭게 진퇴 가능하다. 그 때문에, 구동 전달 부재(81)는 압압력(F1)에 의해 화살표(N1) 방향으로 경사진다.
여기서 개폐 도어(13)를 열면, 그에 연동하여 원통 캠(83)이 화살표(H1)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원통 캠(83)의 당접면(83b)이 구동 전달 부재(81)의 피당접면(81c)에 당접하여,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81)는 원통 캠(83)과 함께 화살표(H1)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구동 전달 부재(81)의 부딪침면(81d)이 지지 측판(82)의 돌기부(82b) 또는 돌기부(82c)의 적어도 일방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도 6의 (a) 및 도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81)는 화살표(N2) 방향으로 경사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81)를 경사지게 하는 이유로서, 예를 들면 이하의 것이 있다. 장치 본체(A)에 대해 카트리지(B)가 착탈 가능하다. 카트리지나 장치 본체의 구성에 따라서는, 카트리지의 착탈 시에, 구동 전달 부재(81)를 경사지게 한 쪽이, 카트리지(B)의 탈착이나 장착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즉, 구동 전달 부재(81)를 경사지게 함으로써, 카트리지(B)의 착탈 시에 카트리지(B)와 구동 전달 부재(81)의 간섭을 피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전달 부재(81)를 경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특히 카트리지(B)를 착탈하는 개폐 도어(13)의 개방 시에는, 구동 전달 부재(81)의 경사 각도가 보다 커지도록 하고 있다.
한편, 구동 전달 부재(81)를 크게 경사 가능하게 한 경우라 하더라도, 구동 전달 부재(81)와 카트리지(B)를 연결시킬 때에는, 구동 전달 부재(81)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전달 부재(81)의 경사를 작게 하는 수단에 대해서는 다음에 서술한다.
<커플링 부재 계합 기구>
다음으로, 도 2, 도 4, 도 7 내지 도 11을 사용하여, 커플링 부재(64)에 대해, 그리고, 커플링 부재(64)와 구동 전달 부재(81)가 계합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커플링 부재(64)는, 카트리지(B)의 외부(즉,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드럼(62)이나 현상 롤러(3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회전력)을 받기 위한 부재(구동 입력 부재, 입력 커플링)이다. 도 7의 (a)는 카트리지(B)의 구동측의 측면도, 도 7의 (b)는 도 7의 (a)에 있어서의 X4-X4 단면도이다. 도 8의 (a), 도 9의 (a), 도 10의 (a), 도 11의 (a)는 카트리지(B)를 삽입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8의 (b), 도 9의 (b), 도 10의 (b), 도 11의 (b)는 각각 도 8의 (a), 도 9의 (a), 도 10의 (a), 도 11의 (a)에 있어서의 X5-X5 단면도, X6-X6 단면도, X7-X7 단면도, X8-X8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81)는 대략 삼각 형상을 갖는 오목부(구동 전달부(81e))를 구비한다. 커플링 부재(64)는, 이 오목부(구동 전달부(81e))에 도 7의 (a)에 나타내는 커플링 부재(64)의 피구동 전달부(64a)가 계합함으로써 구동력을 받는다. 커플링 부재(64)는 구동 전달 부재(81)와 계합하는 계합 부재이다. 피구동 전달부(64a)는, 감광체 드럼(62)의 축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62)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커플링 부재(64)가 설치된 카트리지의 측을 구동측, 구동측의 반대를 비구동측이라고 부른다. 도 7의 (a)는 구동측의 측면도이다. 또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62)이 배치된 측을 전방이라고 부르기로 하므로, 도 7의 (a)에 있어서 우측이 전방이며, 좌측이 후방에 해당한다. 카트리지의 전방은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 후방은 장착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에 대응한다. 한편, 달리 언급되지 않는 경우, 도 7의 (a)에 있어서의 자세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상하를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 도 7의 (a)에서는, 감광체 드럼을 갖는 클리닝 유닛이, 현상 롤러를 갖는 현상 유닛 위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64)는 감광체 드럼(62)의 단부에 압입이나 클램핑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커플링 부재(64)가 회전할 때, 감광체 드럼(62)도 회전한다. 감광체 드럼(62) 및 감광체 드럼(62)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부재를 총칭하여 드럼 유닛이라고 부른다. 커플링 부재(64)는 드럼 유닛의 일부이다.
커플링 부재(64)의 슬라이딩부(64c)는, 클리닝 프레임(71)에 일체적으로 고정된 사이드 부재(76)의 베어링부(76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사이드 부재(76)는 카트리지의 구동측의 측면을 일부 형성하는 부분이며, 카트리지의 프레임(케이싱)의 일부이다.
또한, 커플링 부재(64)에는 기어부(64b)가 설치되어 있다. 현상 롤러(32)의 단부에는 현상 롤러 기어(36)가 설치되어 있고, 커플링 부재(64)의 기어부(64b)는 현상 롤러 기어(36)와 맞물려 있다. 이에 의해 커플링 부재(64)가 구동 전달 부재(81)로부터 받은 구동력(회전력)은, 감광체 드럼(62)과 현상 롤러(32)에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플링 부재(64)의 피구동 전달부(64a)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삼각형이며 볼록형인 형상(볼록부)을 채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실질적으로 삼각 형상의 단면을 구동측으로부터 비구동측에 걸쳐 감광체 드럼의 축선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비튼 형상의 것을 채용하였다. 그러나, 피구동 전달부(64a)는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구동 전달 부재(81)(도 4 참조)에 계합하여 구동력을 받을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본 실시예라면 장치 본체(A)가 갖는 구동 전달 부재(81)에는 피구동 전달부(64a)와 계합 가능한 대략 삼각 형상의 오목부(구동 전달부, 출력 커플링부)(81e)가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피구동 전달부(64a)는 이 오목부에 계합하는 볼록부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볼록 형상은 1개가 아니고 복수이어도 되고, 또한 형상은 삼각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볼록 형상은 삼각형을 비튼 형상을 하고 있었지만, 반드시 비틀져 있을 필요는 없다.
한편, 사이드 부재(76)에는, 댐퍼 기어(87)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댐퍼 기어(87)는, 예를 들면 오일 댐퍼(oil damper)를 내장한 로터리 댐퍼 등의 기구에 의해, 소정의 회전 저항을 가지고 있다. 댐퍼 기어(87)는 왼쪽 비틀림의 헬리컬 기어인 기어부(87a)를 갖는다.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어부(87a)의 치선 원과 드럼(62)의 회전 축선(Q2) 간의 거리 D9, 기어부(87a)의 치선 원직경 φD10, 모듈 D11, 비틀림각 D12, 치저 원직경 φD13, 치저 원과 드럼(62)의 회전 축선(Q2) 간의 거리 D14는
D9=11.3
φD10=φ10
D11=0.7
D12=20°
φD13=φ6.85
D14=12.875
로 설정되어 있다. 즉, 구동 전달 부재(81)의 기어부(81f)의 치선 원직경 φD3, 모듈 D4, 비틀림각 D5, 치저 원직경 φD6에 대하여(도 4, 도 11의 (a) 참조),
D6/2<D9<D3/2<D14
D4=D10=0.7
D5=D11=20°
라고 하는 관계로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댐퍼 기어(87)는, 드럼(62)의 회전 축선(Q2)에 대하여, 회전 축선(Q2)과 현상 롤러(32)의 회전 축선(Q3)을 잇는 직선(K1)에 대략 직교한 직선(K2) 상에 있다. 댐퍼 기어(87)는, 즉 현상 롤러(32)에 대해 드럼(62)의 회전 방향(R)의 상류측 90°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사이드 부재(76)에는, 사이드 부재(76)로부터 돌출하도록, 원호 형상의 경사 리브(돌출부)(86)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경사 리브(86)가 설치되어 있는 범위(S1)는, 드럼(62)의 회전 축선(Q2)에 대해, 현상 롤러(32)의 회전 축선(Q3)의 대향측±45°로 설정되어 있다. 경사 리브(86)의 내경 RD15, 외경 RD16은,
RD15=R8.1
RD16=R9.8
로 설정되어 있다. 즉, 구동 전달 부재(81)의 슬릿(81g)의 외경 φD7, 내경 φD8에 대하여(도 4, 도 11의 (a) 참조)
D8<2×D15<2×D16<D7
의 관계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의 (c), 도 7의 (b), 및 도 8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 리브(86)에는 경사면(경사부, 접촉부)(86a)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1을 사용하여, 커플링 부재(64)의 계합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개폐 도어(13)를 연 상태, 즉 도 6의 상태의 장치 본체(A)에, 카트리지(B)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도 8의 상태로부터 개폐 도어(13)를 닫았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도 9의 상태로부터 장치 본체(A)를 구동하여, 구동 전달 부재(81)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도 10의 상태로부터 구동 전달 부재(81)를 더 회전시켜, 구동 전달 부재(81)와 커플링 부재(64)가 계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1에 있어서, 설명을 위해 카트리지(B)의 부품은 커플링 부재(64), 댐퍼 기어(87), 사이드 부재(76)의 3부품만을 표시하고 있다.
개폐 도어(13)를 연 상태, 즉 도 6의 상태로부터 장치 본체(A)에 카트리지(B)를 삽입하면,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댐퍼 기어(87)가 화살표(N2) 방향으로 경사진 구동 전달 부재(81)의 기어부(81f) 근방에 배치된다. 구동 전달 부재(81)의 기어부(81f)와 댐퍼 기어(87)의 기어부(87a)는, 간극(D17)만큼 이격되어 있다. 이 때, 구동 전달 부재(81)의 구동 전달부(81e)와, 드럼(62)의 회전 축선(Q2)은 중심 어긋남량(D18)에 의해 중심이 어긋나 있다. 또한,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에 있어서 구동 전달 부재(81)의 구동 전달부(81e)와 커플링 부재(64)의 피구동 전달부(64a)는 간극(D19)만큼 이격되어 있다.
여기서 개폐 도어(13)를 닫으면, 원통 캠(83)은 도 8의 (b)에 나타내는 화살표(H2)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통 캠(83)의 당접면(83b)과 구동 전달 부재(81)의 피당접면(81c)이 이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81)는 압압 부재(84)로부터 압압력(F1)으로 압압되고 있기 때문에,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81)는 화살표(N3) 방향으로 경사진다. 그 결과, 구동 전달 부재(81)의 기어부(81f)와 댐퍼 기어(87)의 기어부(87a)가 영역(S2)에 있어서 맞물린다. 한편, 구동 전달 부재(81)의 구동 전달부(81e)는 드럼(62)의 회전 축선(Q2)에 대해 중심 어긋남량(D20)에 의해 중심이 어긋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장치 본체(A)가 구동되어, 구동 전달 부재(81)를 회전 축선(Q1)을 중심으로 화살표(G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댐퍼 기어(87)는 소정의 회전 저항을 갖는다. 그 때문에, 헬리컬 기어인 구동 전달 부재(81)의 기어부(81f)와 댐퍼 기어(87)의 기어부(87a)의 사이에는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맞물림힘(F2), 및 도 9의 (b)에 나타내는 스러스트 방향(thrust direction)의 맞물림힘(F3)이 발생한다. 그 결과, 구동 전달 부재(81)는 회전 축선(Q1)을 따라 화살표(H3)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8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면(81h)이 경사 리브(86)의 사면(86a)으로 안내되고, 그 결과, 도 10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81)는, 화살표(N4) 방향으로 중심 어긋남량(D21)이 된 상태에서 그 선단면(81k)과 커플링 부재(64)의 선단(64d)이 접촉한다. 이 때, 중심 어긋남량(D20)과 중심 어긋남량(D21)의 관계는
D20>D21
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구동 전달 부재(81)가 화살표(G1)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대략 삼각 형상인 구동 전달 부재(81)의 구동 전달부(81e)와 커플링 부재(64)의 피구동 전달부(64a)의 위상이 맞춰진다. 그리고 구동 전달 부재(81)가 화살표(H3) 방향으로 더 이동하여,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81)의 구동 전달부(81e)와 커플링 부재(64)의 피구동 전달부(64a)가 계합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댐퍼 기어(87)는 소정의 회전 저항을 갖는 독립한 기어로 하였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대전 롤러(66)나 반송 부재(43)에 연결되는 구동열의 일부이어도 된다. 그 경우, 구동열이 갖는 회전 저항을 이용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오일 댐퍼 등을 댐퍼 기어(87)에 내장시킬 필요는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댐퍼 기어(87)의 중심(회전 축선)을, 현상 롤러(32)의 중심(회전 축선)의 위치로부터 드럼(62)의 회전 방향(R)의 상류측을 향해 90° 이동시킨 위치에 배치하였지만, 엄밀하게 이 위치에 댐퍼 기어(87)를 배치시킬 필요는 없다.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N3) 방향으로 경사진 구동 전달 부재(81)의 기어부(81f)와 맞물릴 수 있는 위치에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드럼(62)을 중심으로 하여, 현상 롤러(32)보다도 드럼 회전 방향(R)의 상류측을 향해 60°∼120°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댐퍼 기어(87)는 헬리컬 기어로 하였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고, 구동 전달 부재(81)의 기어부(81f)와 맞물림만 하면 된다.
예를 들면, 도 1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치폭이 얇은 평 기어(spur gear)(230)나, 도 1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돌기가 나선 형상으로 배열된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도 12의 (a)와 같이 얇은 평 기어(230)라면, 구동 전달 부재(81)의 헬리컬 기어와 계합할 수 있다. 평 기어(230)의 폭을 1mm 이하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b)에 나타내어지는 형상의 기어(232)는, 4개의 돌기(232a)가 기어의 축선에 대해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다. 이들 4개의 돌기(232a)는, 헬리컬 기어의 이빨(232b)을 4개로 분할한 것으로 간주된다. 즉, 기어(232)는, 헬리컬 기어의 하나의 형태로 생각해도 된다. 본원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헬리컬 기어에 대해 언급할 때에는, 기어(232)와 같은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경사 리브(86)는 감광체 드럼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현상 롤러에 대향하는 장소로부터 ±45°범위인 영역(S1)에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고, 화살표(N3) 방향 및 화살표(N4) 방향으로 경사진 구동 전달 부재(81)의 사면(81h)을 안내할 수 있는 위치에만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현상 롤러의 대향측±10°의 범위나, 360°전체 둘레에 설치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상기 카트리지의 구성을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62)의 구동측의 단부(제1 단부)(62z1)의 근방에는, 커플링 부재(입력 커플링 부재, 드럼 커플링, 계합 부재, 구동 입력 부재)(64)가 설치되어 있다. 커플링 부재(64)는, 돌출한 피구동 전달부(구동 입력부, 구동력 수용부, 입력 커플링부)(64a)를 가지며, 이 피구동 전달부(64a)가 구동력 전달 부재(1)(도 11 참조)의 구동 전달부(81e)로부터 구동력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구동 전달부(64a)의 단면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삼각형이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나아가 카트리지(B)는, 기어 부재(댐퍼 기어)(87)와, 경사 리브(86)(경사부(86a))를 갖는다. 기어 부재(64)와 경사부(86a)는, 커플링 부재(64)와 마찬가지로 카트리지(B)의 구동측(Bz1)에 배치되어 있다. 즉, 커플링 부재(64), 경사부(86a), 기어 부재(64)는 사이드 부재(76)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 부재(76)는 카트리지의 프레임의 일부이며, 축선 방향(Z)에 있어서의 프레임의 일방의 측(구동측, 제1 측)을 구성하는 부재이다.
경사부(86a)의 적어도 일부는, 비구동 전달부(64a)보다도 축선 방향(Z)에 있어서 외측(화살표(z1)로 나타내어지는 측)에 위치한다(도 2의 (b), 도 11의 (b) 참조). 다른 표현을 하면, 축선 방향(Z)에 있어서, 경사부(86a)의 적어도 일부가, 피구동 전달부(64a)보다도, 카트리지(B)의 프레임의 비구동측(71z2)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한다. 또 다른 표현을 하면, 축선 방향(Z)에 있어서, 경사부(86a)의 적어도 일부가, 피구동 전달부(64a)보다도, 감광체 드럼의 비구동측의 단부(제2 단부)(62z2)로부터 멀리 위치하고 있다.
한편, 기어 부재(87)의 이빨의 적어도 일부는, 피구동 전달부(64a)보다도 축선 방향(Z)에 있어서 외측(화살표(z1)로 나타내어지는 측)에 배치하였다(도 2의 (b), 도 7의 (b) 참조). 다른 표현을 하면, 축선 방향(Z)에 있어서, 기어 부재(87)의 이빨의 적어도 일부가, 피구동 전달부(64a)보다도, 카트리지(B)의 프레임의 비구동측(제2 측)(71z2)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다. 또 다른 표현을 하면, 축선 방향(Z)에 있어서, 기어 부재(87)의 이빨의 적어도 일부가, 비구동 전달부(64a)보다도, 감광체 드럼의 비구동측의 단부(제2 단부)(62z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두었다.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62)의 축선을 따라 카트리지(B)를 보았을 때, 기어 부재(87)의 이빨은, 감광체 드럼(62)의 외주면의 근방에 배치된다. 또한, 기어 부재(87)의 중심은, 감광체 드럼(62)의 중심으로부터 현상 롤러의 중심을 향해 연장하는 선에 대해, 드럼(62)의 회전 방향(R)의 상류측을 향해 60도보다 크고 120도보다 작은 범위에 위치한다. 구동 전달 부재(81)의 출력 기어부(81f)(도 4(a) 참조)가 댐퍼 기어(기어 부재)(87)와 계합한 상태에서, 구동 전달 부재(1)가 회전하면, 기어끼리의 맞물림에 의해 생기는 힘에 의해, 구동 전달 부재(1)는 카트리지(B)에 가까워진다. 이 때, 경사 리브(경사부)(86a)는 구동 전달 부재(81)(의 사면(81h))에 접촉한다(도 10의 (b) 참조). 그 결과, 구동 전달 부재(81)의 드럼(62)에 대한 경사 각도는 작아지고, 구동 전달 부재(1)의 오목부(출력 커플링부)(81e)가, 카트리지(B)의 피구동 전달부(64a)와 계합 가능하게 된다(도 11의 (b) 참조). 이러한 구성에 의해, 경사진 구동 전달 부재(81)를 카트리지(B)에 연결시켜서, 구동 전달 부재(81)로부터 카트리지(B)에 구동력을 전달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전달 부재(81)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구동 입력 부재로서 커플링 부재(64)를 채용하였다.
그러나, 구동 전달 부재(81)와 연결하여 구동력을 받는 구동 입력 부재는, 커플링 부재(64)에 한정하지 않는다. 카트리지에 구동 전달 부재(81)의 기어부(81f)와 맞물려서 구동력을 받을 수 있는 기어 부재를, 댐퍼 기어(87)와는 별도로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롤러(32)에 접속된 현상 롤러 기어(36)는, 커플링 부재(64)를 통해 구동력을 받는 구성이었다(도 7의 (b) 참조). 그러나, 이 현상 롤러 기어(36)를 카트리지의 외부에 노출시킨 후에, 구동 전달 부재(81)의 기어부(81f)와 직접 맞물리도록 해도 된다. 즉, 구동 전달 부재(81)의 경사 각도를 경사 리브(86a)에 의해 작게 한 후, 구동 전달 부재(81)의 기어부(81f)를, 현상 롤러 기어(36)에 맞물리게 하여, 구동 전달 부재(81)와 카트리지를 구동 전달 가능하게 연결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81)의 기어부(81f)와 맞물리고, 현상 롤러(3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받을 수 있는 카트리지의 기어 부재의 예는, 도 15의 (a)에 나타내는 기어 부재(187)가 있다. 기어 부재(187)는 현상 롤러(32)에 구동 전달 가능하게 접속된 기어 부재이다. 한편, 도 15에서는, 댐퍼 기어(87)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1과 마찬가지의 위치에 댐퍼 기어(87)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구동력을 받는 구동 입력 부재가, 링 부재(64)와는 별도로 설치된 카트리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2에서 추가로 설명한다.
한편, 현상 롤러에 접속된 현상 롤러 기어(36)(187)가 구동 전달 부재(81)와 직접 맞물려서 구동력을 받을 수 있는 구성이면, 이 기어(36)(187)로부터 감광체 드럼(6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62)과 현상 롤러(32)를, 기어(39, 63)를 사용하여 접속시키고, 구동 전달 부재(81)로부터 현상 롤러(32)를 통해 감광체 드럼(62)에 구동력을 전달시키는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즉, 구동 입력 부재로서의 기어 부재(36)(187)를, 현상 롤러(32)나, 다른 기어(39, 63)를 통해 감광체 드럼(62)에 구동 전달 가능하게 접속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감광체 드럼(62)은, 커플링 부재(64)로부터 구동력을 받을 필요가 없어진다. 커플링 부재(64)를, 구동 전달 부재(81)와 계합하는 단순한 계합 부재로서, 커플링 부재(64)로부터 감광체 드럼(62)을 향해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는, 계합 부재로서의 커플링 부재(64)를 카트리지로부터 제외할 수도 있다.
단, 계합 부재로서의 커플링 부재(64)는, 구동 전달 부재(81)의 오목부(81e)와 계합함으로써 구동 전달 부재(81)를 카트리지에 대해 위치결정하고 있다. 그러한 관점에서는, 구동 전달 부재(81)와 계합하는 계합 부재를 카트리지에 남기는 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커플링 부재(64)는, 오목부(81e)와 계합 가능한 계합부(돌기)로서 피구동 전달부(64a)를 가지고 있다(도 2의 (c) 참조). 만약, 커플링 부재(64)를, 감광체 드럼(62)을 향해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단순한 계합 부재로 한다고 하면, 피구동 전달부(64a)의 형상을 바꾸면 된다. 예를 들면, 피구동 전달부(64a)의 형상을, 구동 전달 부재(81)의 오목부(81e)와 계합 가능한 원기둥 형상의 돌기로 할 수 있다. 원기둥 형상의 계합부는, 오목부(81e)와 계합하였을 때에도 구동 전달 부재(81)로부터 구동력을 받을 수 없다. 따라서, 커플링 부재(64)는, 감광체 드럼(62)을 향해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고, 단순한 계합 부재가 된다.
본 실시예의 구성을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A)는, 구동력을 출력 가능하고 경동 가능한 구동 전달 부재(구동 출력 부재)(81)를 구비한다.
한편, 카트리지는, 감광체 드럼(62)과 댐퍼 기어(기어 부재)(87)를 갖는다. 댐퍼 기어(87)는 카트리지의 구동측에 배치되어 있다. 댐퍼 기어(87)는, 구동 전달 부재(81)의 외주면에 설치된 기어부(81f)와 맞물린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구동 전달 부재를 카트리지에 근접시킨다(도 9의 (b), 도 10의 (b), 도 11의 (b) 참조). 구동 전달 부재(81)에 의해 댐퍼 기어(87)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구동 전달 부재(81)를 카트리지를 향해 끌어당기는 힘(F3)(도 9의 (b) 참조)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댐퍼 기어(87)에 의해, 카트리지에 가까워진 구동 전달 부재(81)와 접촉하기 위한 경사 리브(경사부)(86)가, 카트리지의 구동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9의 (b), 도 84 참조). 이 경사 리브(86)의 경사를 따라, 구동 전달 부재(81)는 이동하여, 구동 전달 부재(81)의 경사 각도가 변화한다. 즉, 감광체 드럼(62)에 대한 구동 전달 부재(81)의 경사 각도가 작아진다. 이에 의해, 구동 전달 부재(81)가, 카트리지에 구동 전달 가능하게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전달 부재(81)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구동 입력 부재로서 커플링 부재(64)를 갖는다(도 7의 (a) 참조).
한편,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댐퍼 기어(87)의 적어도 일부가, 경사 리브(86)보다도, 상대적으로 구동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7의 (b) 참조). 즉, 댐퍼 기어(87)의 적어도 일부가, 경사 리브(86)보다도 화살표(Z1)로 나타내어지는 측에 있다.
다른 표현을 하면,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댐퍼 기어(87)의 적어도 일부가, 경사 리브(86)보다도, 카트리지의 비구동측으로부터 멀리 위치한다.
한편,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댐퍼 기어(87)의 적어도 일부가, 커플링 부재(64)의 피구동 전달부(구동력 수용부)(64a)보다도, 상대적으로 구동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7의 (b) 참조). 다른 표현을 하면,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댐퍼 기어(87)의 적어도 일부가, 커플링 부재(64)의 피구동 전달부(구동력 수용부)(64a)보다도, 비구동측에 대하여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댐퍼 기어(87)가, 피구동 전달부(64a)보다도, 화살표(Z1)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의 축선을 따라 카트리지를 보았을 때, 댐퍼 기어(87)의 축선(중심)은, 드럼(62)의 축선(중심)을 원점으로 하여, 현상 롤러(32)의 축선(중심)보다도 드럼 회전 방향(R)의 상류측을 향해 60°∼120°의 각도의 범위 내에 배치시키고 있다. 즉, 감광체 드럼의 중심으로부터 현상 롤러의 중심을 지나는 선과, 감광체 드럼의 중심으로부터 연장하여 댐퍼 기어(87)의 중심을 지나는 선을 비교하면, 후자의 선은, 전자의 선보다도 회전 방향(R)의 상류에 위치하고, 2개의 선이 이루는 각도는 60°보다 크고, 120°보다 작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의 선을 회전 방향(R)의 상류로 90°회전하면, 후자의 선과 겹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댐퍼 기어(87)는, 헬리컬 기어인 기어부(81f)(도 4 참조)와 맞물림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댐퍼 기어(87)도 헬리컬 기어로 하였다(도 2의 (c) 참조).
구동 전달 부재(81)의 경사 각도를 바꾸기 위한 경사 리브(86)는, 그 구동측이, 그 비구동측보다도 감광체 드럼의 축선(Q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7의 (b) 참조). 즉, 감광체 드럼의 축선(Q2)으로부터 경사 리브(86)까지의 거리를 축선(Q2)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재면, 그 거리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비구동측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커진다. 도 7의 (b)에 있어서, 화살표(z1) 방향을 향함에 따라, 경사 리브(86)와 축선(Q2) 간의 거리가 길어진다.
<실시예 2>
다음으로, 실시예 2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요소 중,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부재와 대응하고 있는 것은, 실시예 1의 부재와 마찬가지의 명칭을 붙이는 것으로 하고, 실시예 1의 것과는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1에 있어서는 댐퍼 기어(87)의 위치가 드럼(62)의 회전 축선(Q2)에 대해 고정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댐퍼 기어(87)의 축선이 드럼(62)의 회전 축선(Q2)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카트리지(B)의 측면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부재(76)에는 기어 홀더(88)가 회전 축선(Q3)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기어 홀더(88)에는, 회전 축선(Q4)을 중심으로, 댐퍼 기어(87)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댐퍼 기어(87)는 소정의 회전 저항을 가지고 있다. 사이드 부재(76)에는 가압 스프링(89)이 장착되어 있고, 기어 홀더(88)를 가압력(F21)으로 가압하고 있다. 그 결과, 기어 홀더(88)는 사이드 부재(76)의 부딪침부(76b)에 부딪쳐 있다. 또한, 사이드 부재(76)에는, 드럼(62)의 회전 축선(Q2)에 대하여, 댐퍼 기어(87)의 대략 대향 위치±45°의 범위(S3)에 경사 리브(86)가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A)에 삽입하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역(S4)에서 구동 전달 부재(81)의 기어부(81f)와 댐퍼 기어(87)의 기어부(87a)가 맞물린다. 구동 전달 부재(81)는 화살표(N5) 방향으로 경사지고, 기어 홀더(88)는 기어부(81f)와 기어부(87a) 간의 당접력(F22)에 의해, 가압 스프링(89)의 가압력(F21)에 대항하여, 회전 축선(Q3) 주위의 화살표(V1) 방향으로 요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어(87)의 이동 방향은, 기어(87)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이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기어(87)는 자신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개폐 도어(13)를 닫고, 구동 전달 부재(81)를 화살표(G1) 방향으로 구동하면, 구동 전달 부재(81)의 기어부(81f)와 댐퍼 기어(87)의 기어부(87a) 간의 스러스트 방향의 맞물림힘(F23)에 의해, 구동 전달 부재(81)는 화살표 H4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동 전달 부재(81)의 사면(81h)이 경사 리브(86)의 경사면(86a)으로 안내되고, 구동 전달 부재(81)의 구동 전달부(81e)와 커플링 부재(64)의 비구동 전달부(64c)가 계합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댐퍼 기어(87)를 지지하는 기어 홀더(88)의 요동 중심(Q3)은 사이드 부재(76)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고, 드럼(62)의 회전 축선(Q2)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올덤 커플링(Oldham coupling)에 의해 현상 롤러(32)에 구동이 연결된 기어(187)이어도 된다. 본 구성이라면, 댐퍼 기어(87)는 도 15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어(187)가 회전함으로써 현상 롤러(32)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커플링 부재(64)의 기어부(64b)(도 7의 (b) 참조)를 통해 현상 롤러(32)에 구동을 전달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기어(187)로부터 받은 구동력을 감광체 드럼(62)에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어(187)로부터 감광체 드럼(6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경우에는, 커플링 부재(64)는, 구동 전달 부재(81)로부터 구동력을 받지 않아도 된다. 즉, 커플링 부재(64)를, 단순히 구동 전달 부재(81)와 계합하기만 하는 계합 부재로 하고, 이 계합 부재에 구동력 전달 기능을 갖게 하지 않아도 된다. 또는, 카트리지로부터, 커플링 부재(64)를 완전히 제거해도 된다.
커플링 부재(64) 대신에 기어(기어 부재)(187)를 사용하여 동력 전달 부재(81)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구성의 예로서, 도 22에서는, 구동열을 본 실시예와는 일부 다르게 한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2는 카트리지(B)의 비구동측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 롤러(32)의 비구동측 단부에 드럼 구동 기어(3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드럼(62)의 비구동측의 단부(62z2)에 드럼 피구동 기어(63)가 설치되어 있다.
장치 본체(A)의 구동 전달 부재(81)로부터 기어(187)를 통해 현상 롤러(32)가 회전 구동되면, 드럼 구동 기어(39)로부터 드럼 피구동 기어(63)에 구동이 전달되어, 드럼(62)이 회전 구동된다. 이 구성에서는, 커플링 부재(64)의 피구동 전달부(364a)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카트리지(B)의 구성을 간이화할 수 있다.
어쨌든,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어 부재(87, 187)는 자신의 회전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카트리지(B)의 프레임이나 감광체 드럼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구동 전달 부재(81)의 경사 각도가 바뀌어도, 기어 부재(87)(187)가 그에 추종하여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 1에 비해, 본 실시예가, 기어 부재의 배치의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기어(87)와, 도 15에 나타낸 기어(187)를, 동일한 카트리지가 가지고 있어도 된다. 즉, 구동 전달 부재(81)를 카트리지의 경사 리브(86)를 향해 근접시키기 위한 기어(87)와, 구동 전달 부재(81)로부터 현상 롤러(32) 등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받기 위한 기어(187)를 따로따로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기어(87)는 그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편, 기어(187)는 이동하는 구성이 아니어도 된다. 경사 리브(86)와 접촉하여 경사 각도를 감소시킨 구동 전달 부재(81)와 맞물림 가능한 위치에 기어(187)를 고정하면 되기 때문이다.
<실시예 3>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댐퍼 기어(87)와의 스러스트 방향의 맞물림힘에 의해 구동 전달 부재(81)를 화살표(H2) 방향(도 8 참조)으로 이동시켜, 커플링 부재(64)와 계합시키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 전달 부재(81)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커플링 부재(64)와 계합시키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요소 중,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재와 대응하고 있는 것은, 전술한 실시예의 부재와 마찬가지의 명칭을 붙이는 것으로 하고,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는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먼저, 도 16 내지 도 17을 사용하여, 구동측 플랜지 유닛(369)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구동측 플랜지 유닛(369)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구동측 플랜지 유닛(36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62)의 구동측 단부에는, 구동측 플랜지 부재(75), 커플링 부재(364), 제1 압압 부재(59)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측 플랜지 부재(75)는 압입이나 클램핑 등의 수단에 의해 드럼(6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커플링 부재(364)는, 피지지부(364b)가 구동측 플랜지 부재(75)의 커플링 지지부(75b)에 감합 지지되고, 드럼(62)의 회전 축선(Q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있다. 또한, 제1 압압 부재(59)는 구동측 플랜지 부재(75)와 커플링 부재(364)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커플링 부재(364)를 화살표(H301) 방향으로 압압력(F301)으로 압압하고 있다. 한편, 커플링 부재(364)에는 구동 전달 부재(81)의 구동 전달부(출력 커플링부)(81e)(도 4 참조)와 계합하는 피구동 전달부(입력 커플링부)(364a)가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커플링 부재(364)는, 비구동측 전달부(364a)를 둘러싸도록 원통부(364g)를 갖는다. 원통부의 선단은, 경사면(경사부)(364g1)으로 되어 있다. 경사면(364g1)은, 피구동 전달부(364a)보다도 축선(Q2)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으며,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해 열린 테이퍼 형상이다.
또한, 커플링 부재(364)에는, 피지지부(364b)로부터 움푹 패인 홈 형상의 구동 전달부 쌍(364c)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구동측 플랜지 부재(75)의 커플링 지지부(75b)에는, 구동 전달부 쌍(364c)에 침입하는 볼록 형상인 피구동 전달부 쌍(75c)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동 전달부 쌍(364c)이 피구동 전달부 쌍(75c)에 접촉함으로써, 커플링 부재(364)로부터 구동측 플랜지 부재(75)에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계속하여, 도 18을 사용하여 전술한 구동측 플랜지 유닛(369)을 포함하는 클리닝 유닛(6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유닛(60)의 구동측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부재(376)에는 커플링 부재(364)를 지지하는 원통 내주면(376a), 캠 부재(70)(후술)를 지지하는 원통 외주면(376b), 및 원통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376c)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측 플랜지 유닛(369)과 사이드 부재(376)의 사이에는, 레버 부재(조작 부재)(12), 캠 부재(70)가 설치되어 있다.
레버 부재(12)는, 일단측에 설치되는 당접부(12a), 타단측에 설치되는 피계합부(12b), 및 당접부(12a)와 피계합부(12b)를 연결하는 피슬라이드부(12c) 등으로 구성된다. 캠 부재(70)는, 원통 형상의 내주면인 피지지부(70e)를 갖는 링 형상의 부재이다. 또한, 캠 부재(70)에는, 길이 방향 내측의 내단부면(70c), 길이 방향 외측의 제1 면(70a), 제1 면(70a)과 평행하고 제1 면(70a)보다도 길이 방향 내측으로 움푹 패인 제2 면(70d), 및 제1 면(70)과 제2 면(70)을 매끄럽게 연결하는 경사면(70b)이 설치되어 있다.
레버 부재(12)는, 피슬라이드부(12c)가 클리닝 프레임(371)에 설치된 슬라이드 리브(371g)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클리닝 프레임(371)에 대하여 화살표(Y1, Y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일방의 진퇴 캠 부재(70)는, 피지지부(70e)가 사이드 부재(376)의 원통 외주부(376b)에 감합하고, 사이드 부재(376)에 대하여 회전 및 축선(Q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계속하여, 도 18 및 도 19를 사용하여, 레버 부재(12), 캠 부재(70), 커플링 부재(376)의 연관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레버 부재(12)와 커플링 부재(364)의 동작 연관의 설명도이다.
먼저, 레버 부재(12)의 일단에 설치된 피계합부(12b)가, 진퇴 캠 부재(70)의 레버 부재 계합부(70a)에 계합하고 있다. 이에 의해, 레버 부재(12)의 화살표(Y1, Y2) 방향의 이동과 캠 부재(70)의 회전이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레버 부재(12)는, 커플링 부재(364)를 축선 방향으로 진퇴 이동시키기 위해 조작되는 조작 부재이다.
사용자가 레버 부재(12)를 화살표(Y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하와 같이 된다. 레버 부재(12)의 화살표(Y1)의 이동 결과, 캠 부재(70)가 도 18의 (a)에 있어서의 반시계방향(도 18의 (b)에 있어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자, 사이드 부재(376)의 돌기부(376c)에 당접하는 캠 부재의 위치가, 제1 면(70a)으로부터 경사면(70b)을 경유하여 제2 면(70d)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캠 부재(70)는 커플링 부재(364)와 함께 제1 압압 부재(59)(도 16 참조)의 가압력을 이용하면서 화살표(Z1) 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레버 부재(12)를 화살표(Y1) 방향과 반대측의 화살표(Y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캠 부재(70)는 상기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압압 부재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커플링 부재(364)는 화살표(Z2)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커플링 부재(364)는 감광체 드럼의 외부를 향하여, 즉, 커플링 부재(364)의 선단이 감광체 드럼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캠 부재(70)를 통해, 레버 부재(12)의 화살표(Y1, Y2) 방향의 동작과 커플링 부재(364)의 화살표(Z1, Z2) 방향의 동작이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포함하는 클리닝 유닛(60)을 장치 본체(A)에 장착하고, 구동 전달 부재(81)와 커플링 부재(364)와의 구동을 연결하는 구성에 대해, 도 2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커플링 부재(364)가 구동 전달 부재(81)에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장치 본체(A)에 카트리지(B)를 장착하기 전에 레버 부재(12)를 화살표(Y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364)는, 화살표(Z2)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가 된다. 그대로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A)에 장착시키면, 도 20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364)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구동 전달 부재(81)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취한다. 또한, 이 때,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큰 기어는 화살표(N1)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 상태로부터 레버 부재(12)를 화살표(Y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18에 나타내는 화살표(Z1) 방향으로, 커플링 부재(364)가 이동한다. 그 결과, 도 20의 (c),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364)이 구동 전달 부재(81)의 사면(81h)에 가까워진다. 그 후, 커플링 부재(364)의 경사면(364)이 구동 전달 부재(81)의 사면(81h)과 접촉함으로써, 구동 전달 부재(81)의 경사 각도가 감소한다. 그리고, 도 20의 (e),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81)의 경사 각도를 감소시키면서 경사면(364g1)이 구동 전달 부재(81)의 슬릿부(81g)에 진입한다. 최종적으로는 구동 전달 부재(81)의 오목부(81e)와 피구동 전달부(364a)가 계합한다(도 20의 (e), (f) 참조).
반대로,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A)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에는, 레버 부재(12)를 화살표(Y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커플링 부재(364)가 화살표(Z2) 방향으로 이동하여 구동 전달부와의 계합이 어긋나고, 최종적으로는 도 20의 (a), (b)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A)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상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레버 부재(12)를 통해 커플링 부재(364)를 길이 방향(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장치 본체(A)의 구동 전달 부재(81)와 커플링 부재(364)의 계합을 자유롭게 연결 및 해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레버 부재(12)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레버 부재(12)가 화살표(Y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 등의 가압 부재를 설치해도 된다. 나아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A)의 개폐 도어(13)에 레버 부재(12)를 화살표(Y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부위(카트리지 압압 부재(1))를 설치해도 된다.
도 21에서는, 개폐 도어(13)에 연동하는 카트리지 압압 부재(1)가, 개폐 도어(13)의 닫음 동작에 따라 카트리지뿐만 아니라 레버 부재(12)를 모두 압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레버 부재(12)는, 카트리지의 프레임에 대하여 화살표(Y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카트리지(B)의 착탈 시에 사용자가 레버 부재(12)를 조작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사용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B)의 구성을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전달 부재(81)와 연결 가능한 커플링 부재(계합 부재, 가동 부재, 진퇴 부재)(364)가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진퇴 이동 가능하다. 즉,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364)는, 감광체 드럼(62)의 내부를 향해 퇴피한 위치와, 감광체 드럼(62)의 외부를 향해 진출한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커플링 부재(364)는, 감광체 드럼의 축선에 평행하게 직선적으로 이동하였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커플링 부재(364)의 이동 방향이 축선 방향의 성분을 가지고 있으면, 커플링 부재(364)는 축선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커플링 부재(364)와 감광체 드럼(62)은 각각 드럼 유닛의 일부이다.
커플링 부재(364)는, 피구동 전달부(입력 커플링부)(364a)로서의 돌기부 외에, 원통부(364g)를 가지며, 원통부(364g)의 선단 근방에는 경사면(경사부)(364g1)을 갖는다(도 17의 (a) 참조). 커플링 부재(364)가 진퇴 이동할 때에는, 이 경사부(364g1)는, 피구동 전달부(364a)와 함께, 축선 방향(도 17의 (a)의 화살표(z1, z2)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경사부(364g1)와 피구동 전달부(364a)는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커플링 부재(364)가 퇴피 위치로부터 진출 위치로 이동할 때, 경사부(364g1)가, 피구동 전달부(364a)와 함께 감광체 드럼의 외부를 향하여, 즉 구동 전달 부재(8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진출한다. 이 이동에 따라 경사부(364g1)는 구동 전달 부재(81)에 접촉하여, 구동 전달 부재(81)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한다(도 20의 (c), (d), (e), (f) 참조). 이 때문에, 구동 전달 부재(81)의 오목부(81e)는, 커플링 부재(364)의 피구동 전달부(364a)와 확실하게 계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전달 부재(81)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하기 위한 경사부(364g1)를, 피구동 전달부(364a)의 전체 주위를 둘러싸도록 원주 형상으로 배치하였다(도 17의 (a) 참조). 즉, 커플링 부재(364)는, 피구동 전달부(구동 입력부, 구동력 수용부)를 둘러싸는 원통부(364g)를 가지며, 이 원통부(364g)의 선단 근방에 경사부(364g1)를 갖는다. 이 때문에, 커플링 부재(364)의 위상에 관계없이, 반드시 경사부(364g1)가 구동 전달 부재(81)와 접촉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사부(364g1)가 특정 부분에만 배치되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플링 부재(364)의 정지 시에, 커플링 부재(364)가 소정의 위상이 되도록 유지된다고 하면, 구동 전달 부재(81)와 접촉할 수 있는 특정 위치에 경사부(364g1)를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경사부(364g1)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 피구동 전달부(364a)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하였다. 즉, 도 1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부(364g1)와, 피구동 전달부(364a)를, 축선(Q2)과 평행한 직선에 투영하면, 경사부(364g1)의 투영 영역(U1)과, 피구동 전달부(364a)의 투영 영역(U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친다. 다만,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경사부(364a1)를 피구동 전달부(364a)보다도 축선 방향의 외측(도 16의 (a)에 나타내는 화살표(z1) 측)에 배치해도 된다. 즉, 경사부(364g1)를, 피구동 전달부(364a)보다도, 감광체 드럼(62)의 비구동측의 단부(62z2)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시켜도 된다.
카트리지(B)는, 커플링 부재(364)를 움직이기 위한 조작 부재로서 레버 부재를 더 포함한다. 레버 부재(12)의 단부는, 카트리지의 후방을 향해 돌출하여 있다(도 21). 카트리지(B)의 후방에 있어서, 레버 부재(12)가 외력을 받음으로써, 레버 부재(12)는 카트리지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따라, 커플링 부재(364)는, 퇴피 위치로부터 진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구성을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A)는, 경동 가능하고 구동력을 출력 가능한 구동 전달 부재(구동 출력 부재)(81)를 구비한다(도 3, 도 4 참조).
한편, 카트리지는, 감광체 드럼(62)과, 커플링 부재(364)를 갖는다(도 3, 도 18 참조).
커플링 부재(364)는, 감광체 드럼의 구동측의 단부(제1 단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구동력을 상기 감광체 드럼을 향해 전달 가능하게 되도록 감광체 드럼에 접속된 구동 입력 부재이다. 또한, 커플링 부재(364)는,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부재이다(도 19 참조).
커플링 부재(364)는, 구동 전달 부재(81)의 선단에 설치된 오목부(출력 커플링부)(81e)(도 4)와 계합하여 구동력을 받기 위한 피구동 전달부(구동력 수용부, 계합부)(364e)를 갖는다(도 17의 (a)). 커플링 부재(364)는, 구동 전달 부재(81)와 계합 가능한 계합 부재이다.
피구동 전달부(364e)는, 오목부(81e)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돌기이다(도 17의 (a)). 피구동 전달부(364e)는, 커플링 부재(364)나 감광체 드럼(62)의 축선(Q2)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즉, 피구동 전달부(364e)는 축선(Q2) 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커플링 부재(364)는 경사부(364g1)를 갖는다. 경사부(364g1)는, 피구동 전달부(364e)와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한 부재이다. 즉, 커플링 부재(364)가 축선 방향(Z1, Z2)으로 이동할 때에는, 피구동 전달부(364e)와 경사부(364e)가 함께 축선 방향(Z1, Z2)으로 이동한다(도 19 참조). 마찬가지로, 커플링 부재(364)가 회전 구동할 때에는, 경사부(364g1)와 피구동 전달부(364e)는 함께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부(364g1)는 원통부(364g)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경사부(364e)가 피구동 전달부(364e)보다도, 커플링 부재(364)의 축선에 대하여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도 16, 도 17의 (a)).
커플링 부재(364)가 구동 전달 부재(81)를 향해 이동할 때, 경사부(364g1)는, 구동 전달 부재(81)와 접촉함으로써, 구동 전달 부재(81)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한다. 이에 의해 피구동 전달부(364e)가, 구동 전달 부재(81)의 오목부(81e)의 내부로 진입 가능하게 된다(도 20 참조). 즉, 카트리지의 커플링 부재(364)가 구동 전달 부재(81)에 접속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구동 전달 부재(81)의 경사 각도를 바꾸기 위해, 커플링 부재(364)의 경사부(364g)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감광체 드럼의 축선으로부터 경사부(364g)까지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거리를 재면, 그 거리는, 비구동측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커진다(길어진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부(364g1)의 좌측이, 경사부(364g1)의 우측보다도, 축선(Q2)에 대하여 멀리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도 16의 좌측은 카트리지의 구동측이며, 우측은 카트리지의 비구동측이다.
즉, 경사부(364g1)는, 감광체 드럼(62)의 비구동측의 단부(제2 단부)(62z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축선(Q2)으로부터도 멀어진다(도 16 참조).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커플링 부재(364)는, 경사부(364g1)에 의해, 구동 전달 부재(81)를 압압, 가압하여, 구동 전달 부재(81)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하는 카트리지측의 압압 부재(가압 부재)라고도 간주할 수 있다.
커플링 부재(364)는, 구동 출력 부재(81)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구동 입력 부재로서의 역할과, 구동 출력 부재(81)를 압압하는 압압 부재의 2개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커플링 부재(364)는, 반드시 2개의 역할을 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압압 부재로서의 역할만을 하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별도로, 카트리지에 구동 입력 부재를 설치하면 된다. 즉, 도 15 등을 사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출력 부재(81)의 외주면에 설치된 기어부(81f)(도 4 참조)와 맞물림 가능한 기어 부재(187)를 카트리지(B)가 가지고 있으면 된다. 이 기어 부재(187)를, 감광체 드럼(62)에 구동 전달 가능하게 접속하는 방법은, 도 22 등을 사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카트리지에 기어 부재(187)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기어 부재(187)는 그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필요는 없다. 구동 출력 부재(81)는, 경사부(364g1)와 접촉함으로써 그 경사 각도를 작게 하므로, 그 상태에 있어서의 구동 출력 부재(81)와 맞물림 가능한 위치에 기어 부재(187)를 배치하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한편, 기어 부재(187)가 받은 구동력에 의해 감광체 드럼(62)을 회전시킬 경우에는, 커플링 부재(364)의 피구동 전달부(364e)는, 구동 전달 부재(81)로부터 구동력을 받을 필요는 없다. 즉, 압압 부재로서의 커플링 부재(364)로부터, 피구동 전달부(364e)를 제외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피구동 전달부(364e)는, 구동 전달 부재(81)의 오목부(81e)(도 4 참조)와 계합함으로써, 구동 전달 부재(81)를 카트리지에 대하여 위치결정하는 계합부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다. 따라서, 압압 부재로서의 커플링 부재(364)는, 계합부로서의 피구동 전달부(364e)를 가지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피구동 전달부(364e)를, 구동 전달 부재(81)와 계합하지만 구동력을 받지 않는 단순한 계합부로 하기 위해서는, 피구동 계합부(364e)의 형상을 변경하면 된다. 예를 들면, 피구동 전달부(364e)의 형상을 원기둥 형상의 돌기로 변경하면, 피구동 전달부(364e)는, 구동 전달 부재(81)의 오목부(81e)와 계합했을 때에도 구동력을 받지 않는 단순한 계합부에 불과하다.
한편, 카트리지가, 구동 입력 부재로서, 커플링 부재(364)와 기어 부재(187)의 양쪽 모두를 가지고 있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전달 부재(구동 출력 부재)(481)를 경사지게 하고 있는 부재인 압압 부재(본체측 압압 부재, 본체측 가압 부재)(402)를 압하함으로써, 구동 전달 부재(481)와 커플링 부재(464)를 계합시키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의 (a)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23의 (b), 도 24는 도 23의 커플링 부재(464) 부근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4의 (a)는 레버 부재(412)를 화살표(Y2) 방향에 가장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4의 (b)는 이 상태로부터 레버 부재(412)를 화살표(Y1)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자세를 나타내고, 도 24의 (c)는 그로부터 레버 부재(412)를 화살표(Y1) 방향으로 부딪칠 때까지 더 이동시켰을 때의 자세를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18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의해, 레버 부재(412)와 커플링 부재(464)의 움직임은 연동하고 있다. 즉, 레버 부재(412)를 화살표(Y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커플링 부재(464)가 화살표(Z1) 방향으로 이동하고, 레버 부재(412)를 화살표(Y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커플링 부재(464)는 화살표(Z2)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커플링 부재(464)의 선단에는 모따기부(chamfered portion)(경사부)(464a)가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레버 부재(412)와 압하 부재(카트리지측 압압 부재, 카트리지측 가압 부재)(402)의 동작도 연동하고 있다. 도 2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부재(476)에는 드럼의 회전 축선(Q2)을 중심으로 한 원주 형상의 슬릿(476a)이 설치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압하 부재(402)가 슬릿(476a)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압하 부재(402)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화살표(G4)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한편, 레버 부재(412)에는 안내부(412a)가 설치되어 있으며, 압하 부재(402)의 제1 피안내부(402a)에 당접하여 있다.
여기서, 도 24의 (a)의 상태로부터 레버 부재(412)를 화살표(Y1)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압하 부재(402)는 화살표(G4)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제1 피안내부(402a)는 당접력(F41)을 받는다. 제1 피안내부(402a)는 테이퍼면이기 때문에, 당접력(F41)은 화살표(Z1) 방향의 분력(F41a)을 갖는다. 그 결과, 압하 부재(402)는 제1 피안내부(402a)가 레버 부재(412)의 안내부(412a)에 안내되어, 화살표(Z1)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도 24의 (b)의 상태에 이른다. 한편, 이 타이밍에서는 커플링 부재(464)는 도 24의 (a)의 위치로부터 움직이고 있지 않다.
나아가, 레버 부재(412)를 화살표(Y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2 피안내부(402b)는 당접력(F42)을 받는다. 제2 피안내부(402b)는 제1 피안내부(402a)와는 달리 테이퍼면이 아니기 때문에, 당접력(F42)은 화살표(Z1) 방향의 분력을 가지지 않는다. 그 결과, 레버 부재(412)의 안내부(412a)가 압하 부재(402)의 제2 피안내부(402b)를 안내하여, 압하 부재(402)는 슬릿(476a)을 따라 드럼(62)의 회전 축선(Q2)을 중심으로 화살표(C40) 방향으로 회동한다.
압하 부재(402)의 C40 방향의 이동과 동시이거나, 그 후에, 커플링 부재(464)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기구에 의해 화살표(Z1)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도 24의 (c)의 상태에 이른다. 본 실시예와 같이 커플링 부재(464)를 캠 부재(70)에 의해 안내하고(도 18 참조), 압하 부재(402)를 레버 부재(412)를 이용하여 안내함으로써, 커플링 부재(464)와 압하 부재(402)를 각각 임의의 타이밍에서 동작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전달 부재(48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85, 도 25의 (a)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장치 본체(A)의 구동 전달부의 외관을 나타낸 측면도, 도 25의 (c)는 커버 부재(401) 내부에서의 구동 전달 부재(481)의 지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전달 부재(481)는 그 일부가 커버 부재(401)로 덮여 있다. 이는, 구동 전달 부재(481)에 사용자가 터치하거나 하지 않도록 하여, 구동 전달 부재(481)를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도 2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압압 부재(484)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 스프링에 의해 회전 축선(484a)을 중심으로 화살표(E40)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그 때문에, 구동 전달 부재(481)는 압압 부재(484)에 의해 당접력(F40)으로 압압되어, 화살표(B40)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한편, 도 2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전달 부재(481)는 커버 부재(401)에 의해 주위가 덮여 있다. 커버 부재(401)는 3군데의 절결부(401a), 절결부(401b), 절결부(401c)를 갖는다. 커버 부재(401)로부터, 구동 전달 부재(481)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해서이다. 즉, 구동 전달 부재(481)에 있어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을, 커버 부재(401)로부터 노출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다음으로, 구동 전달 부재(481)와 커플링 부재(464)의 계합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는 장치 본체(A)에 카트리지(B)가 장착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간단함을 위해, 도 25의 (a) 및 도 25의 (c)는, 카트리지(B)는 압하 부재(412)만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도 25의 (b)는 압하 부재(402)와 압압 부재(484)만을 표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481)는 화살표(B40)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 선단에 설치된 오목 형상인 구동 전달부(481e)는 드럼(62)의 축선(Q2)에 대하여 중심 어긋남량(W41)만큼 중심이 어긋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폐 도어(13)에 레버 부재(412)를 압압하는 기구가 탑재되어 있다. 도 21에 있어서, 개폐 도어(13)의 압압 부재(1)에 의해 압압되고 있는 레버 부재(12)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레버 부재(412)에 상당한다. 개폐 도어(13)를 조작하여, 카트리지(B)의 레버 부재(412)를, 도 24를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화살표(Y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압하 부재(402)는 화살표(Z1)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2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하 부재(402)가 화살표(Z1) 방향으로 이동하면 선단(402c)은 압압 부재(484)의 단부(484b)에 접촉한다. 압하 부재(402)의 선단(402c)은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압압 부재(484)는 축선(484a)을 중심으로, 도 25의 (c)에 나타내는 화살표(E41)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26의 (b)의 상태에 이른다. 그 결과, 도 2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481)는 화살표(B41) 방향으로 중심 어긋남량(W42)으로 경사진 상태가 된다.
이로부터 개폐 도어(13)를 더 닫으면, 레버 부재(412)는 화살표(Y1) 방향으로 더 이동하고(도 24 참조), 압하 부재(402)는 드럼의 축선(Q2) 주위로 화살표(C40)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압압 부재(484)는 화살표(E41) 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도 27의 (b)의 상태에 이른다. 그 결과, 구동 전달 부재(481)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B42) 방향으로 중심 어긋남량(W43)으로 경사진 상태가 된다. 이 때, 동시에 커플링 부재가 Z1 방향으로 이동하여(도 24 참조), 도 2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따기부(464a)에 접촉한다. 이로부터 나아가 커플링 부재(464)가 화살표(Z1)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28의 (b)과 같이 커플링 부재(464)가 구동 전달 부재(481)의 구동 전달부(출력 커플링부, 오목부)(481e)에 끼워 넣어져, 계합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압하 부재(402)가 제1 동작으로서의 직진 운동과 제2 동작으로서의 회전 운동을 조합시킨 동작을 하였지만, 이들 운동은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에만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조합시켜도 된다. 또한, 반드시 직진 운동과 회전 운동의 양쪽 모두의 동작을 행할 필요도 없다. 압압 부재(484)를 압하할(화살표(E41) 방향으로 회전) 수 있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면,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퍼 형상(402c)을 크게 취함으로써, Z1 방향으로의 진퇴 운동만으로도 압압 부재(484)를 압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고정된 부재인 가이드 레일(403)에 대하여, 작용 부재(404)를 전진(Z41 방향으로 이동), 상승(X41 방향으로 이동), 하강(X4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작용 부재(404)의 슬릿부(404a)가 가이드 레일(403)의 레일부(403)에 안내되고 있다. 또한, 작용 부재(404)의 피안내 보스(404b)가, 슬라이드 가이드(405)의 캠 홈(405a)에 의해 안내되고 있다. 또한, 작용 부재(404)의 바닥부(404c)가, 슬라이드 가이드(405)의 윗면(405b)에 의해 안내되고 있다. 이 기구를 자유롭게 조합함으로써, 압하 부재(402)에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진, 상승, 전진, 하강과 같은 크랭크 형상의 움직임을 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선단에 테이퍼 형상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커버 부재(401)를 피하여 압압 부재(484)를 압하할 수 있다.
이하,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을 사용하여, 직진 동작만으로 압압 부재(484)를 압하할 수 있는 카트리지의 예를 나타낸다. 도 86의 (a)는 본 기구를 갖는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86의 (b)는 커플링 부재(464)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8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부재(476)에는 보유지지 구멍(476b)이 설치되어 있고, 그 안에 압하 부재(414)가 화살표(X41) 방향, 화살표(X42) 방향, 화살표(Z1) 방향, 및 화살표(Z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압하 부재(414)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화살표(Z2)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한편, 레버 부재(413)는 카트리지(B)에 화살표(Y1) 방향 및 화살표(Y2)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레버 부재(413)에는, 압하 부재(414)를 화살표(Z1) 방향 및 화살표(Z2)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캠인 가이드 리브(413a), 화살표(X41) 방향 및 화살표(X42)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캠인 가이드 슬릿(413b)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87 및 도 88을 사용하여 압하 부재(414)가 동작하여, 압압 부재(484)를 압하하는 모습에 대해 설명한다. 도 87의 (a) 내지 도 87의 (e)는, 레버 부재(413)를 화살표(Y1) 방향으로 서서히 슬라이드시켜 갔을 때의 압하 부재(414)의 움직임을 시계열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88의 (a) 내지 도 88의 (e)는, 도 87의 (a) 내지 도 87의 (e)에 각각 대응한 단면도이다. 도 87의 (a) 및 도 88의 (a)의 상태로부터 레버 부재(413)를 화살표(Y1)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압하 부재(414)는 가이드 리브(413a)에 안내되어 화살표(Z1) 방향으로 이동하고, 커버 부재(401)의 아래를 빠져나간다. 그리고, 도 87의 (b) 및 도 88의 (b)의 상태에 이른다. 이로부터 나아가 레버 부재(413)를 화살표(Y1)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압하 부재(414)는 가이드 슬릿(413b)에 안내되어 화살표(X41)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87의 (c) 및 도 88의 (c)의 상태에 이른다. 레버 부재(413)를 화살표(Y1) 방향으로 더 슬라이드시키면, 압하 부재(414)는 가이드 리브(413a)에 안내되어 화살표(Z1) 방향으로 이동하여 압압 부재(484)의 위에 올라타고, 도 87의 (d) 및 도 88의 (d)의 상태에 이른다. 레버 부재(413)를 화살표(Y1) 방향으로 더 슬라이드시키면, 압하 부재(414)는 가이드 슬릿(413b)에 안내되어 화살표(X42) 방향으로 이동하고, 압압 부재(484)를 압하하여 도 87의 (e) 및 도 88의 (e)의 상태에 이른다.
마지막으로, 본 실시예를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는, 구동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구동 전달 부재(구동 출력 부재)(481)와, 구동 전달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구동 전달 부재를 경사지게 하는 압압 부재(가압 부재, 본체측 압압 부재)(484)를 구비한다(도 25의 (a)).
카트리지(B)는, 감광체 드럼(62)과, 장치 본체측 압압 부재를 압압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측 압압 부재인 압하 부재(가압 부재)(402)를 갖는다(도 2의 (a), 도 23 참조). 감광체 드럼(62)은 카트리지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고, 그 일부가 노출된다. 카트리지(B)의 전방이란, 도 2의 (a)에 있어서 좌측이며, 도 23의 (a)에 있어서는 도면의 우측이다.
압하 부재(402)는, 감광체 드럼(62)과 함께 카트리지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도 23의 (a) 참조). 또한, 감광체 드럼(62)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구동측에 배치되어 있다. 카트리지의 구동측이란, 도 23에 있어서 화살표(Z1)로 나타내어지는 측으로서, 카트리지에 커플링 부재(464)가 배치되어 있는 측이다. 즉, 커플링 부재(464)와 압하 부재(402)는, 동일한 측에 배치되어 있다.
카트리지측의 압하 부재(402)는, 장치 본체측 압압 부재(484)를 압압, 가압함으로써, 구동 전달 부재의 경사 각도를 바꾸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27의 (a), 도 28의 (b) 참조).
즉, 압하 부재(402)가 장치 본체측의 압압 부재(484)에 작용했을 때에는, 감광체 드럼(62)에 대한 구동 전달 부재(481)의 경사 각도가 작아진다(도 28의 (b) 참조).
경사 각도가 작아짐으로써, 구동 전달 부재(481)는 카트리지에 연결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체 드럼의 단부 근방에 커플링 부재(계합 부재)(464)가 배치되어 있다(도 23 참조). 이 커플링 부재(464)가 구동 전달 부재(481)를 향해 카트리지의 축선 방향으로 진출함으로써, 구동 전달 부재의 선단에 설치된 오목부(출력 커플링부)(481e)에 계합, 연결된다(도 28의 (b) 참조). 이에 의해 구동 전달 부재와 카트리지는 구동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커플링 부재(464)는 감광체 드럼의 내부를 향해 퇴피하고 있는 퇴피 위치(도 28의 (a))로부터, 감광체 드럼의 외부를 향해 진출한 진출 위치(도 28의 (b))로 축선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커플링 부재(464)는 반드시 감광체 드럼의 축선에 평행하게 이동할 필요는 없고, 직선적으로 이동할 필요도 없다. 커플링 부재(464)의 이동 방향으로 축선 방향의 성분이 있으면, 구동 전달 부재(481)와 계합할 수 있다.
한편, 구동 전달 부재(481)와 카트리지(60)를 구동 전달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수단은, 진퇴 이동 가능한 커플링 부재(464)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커플링 부재(464) 대신에,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롤러에 기어 부재(187)를 접속시키고, 이 기어 부재(187)가, 압하 부재(402)에 의해 경사 각도를 작게 한 구동 전달 부재(481)에 접속하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즉, 카트리지에, 구동 전달 부재(481)의 외주부에 설치된 기어부와 맞물리는 기어 부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도, 구동 전달 부재와 카트리지(B)는 구동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감광체 드럼(62)에는, 이 기어 부재(187)가 받은 구동력을, 카트리지 내부에 설치된 다른 기어(39, 63)(도 22 참조)를 통해 전달하면 된다. 이 경우에는, 카트리지의 기어 부재가 구동 입력 부재가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기어 부재(187)(도 15)는, 그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필요는 없다. 경사 각도가 작게 된 구동 전달 부재(481)와 맞물림 가능한 위치에 기어 부재(187)를 배치하면 되기 때문이다.
카트리지가 구동 입력 부재로서 기어 부재를 가지고 있으면, 커플링 부재(464)는, 구동 전달 부재로부터 구동력을 받지 않아도 된다. 커플링 부재(464)를, 구동 전달 부재(481)와 계합하기만 하는 단순한 계합 부재로 하여, 이 계합 부재가 감광체 드럼(62)에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도록 하면 된다. 또는, 커플링 부재(464)를 카트리지로부터 제거해도 된다. 다만, 감광체 드럼(62)의 단부 근방에 구동 전달 부재(481)와 계합할 수 있는 계합 부재가 있었던 쪽이, 계합 부재에 의해 구동 전달 부재의 위치결정을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기어 부재와 커플링 부재의 2개의 구동 입력 부재를 카트리지가 가지고 있어도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레버 부재(조작 부재)(412)(도 23의 (a))가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외력을 받음으로써, 압하 부재(402)가 작동하는 구성이었다. 즉, 레버 부재(412)는, 카트리지의 후방(도 23의 좌측)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프레임(케이싱)으로부터 돌출하여 있다. 그 때문에, 레버 부재(412)는, 도 21에 도시된 레버 부재(12)와 마찬가지로, 장치 본체의 도어(13)에 설치된 압압 부재(1)와 접촉하여 외력을 받을 수 있다. 이 외력에 의해, 레버 부재(412)의 단부는 카트리지의 전방을 향해 이동한다. 이 레버 부재(412)의 이동에 따라, 압하 부재(402)가 작동한다.
나아가, 레버 부재(조작 부재)(412)는, 압하 부재(412)를 작동시킬 뿐만 아니라, 커플링 부재(464)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 부재이다.
레버 부재(412)는, 압하 부재(402)를 커플링 부재(464)보다 먼저 동작을 개시시키도록 구성시켰다. 압하 부재(402)에 의해 구동 전달 부재(481)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한 후에, 이 구동 전달 부재(481)에 커플링 부재(464)를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레버 부재(412)에 의해, 압하 부재(402)와 커플링 부재(464)의 2개를 작동시켰지만, 압하 부재(412)와 커플링 부재(464)에 대하여 각각 레버 부재(조작 부재)를 준비해도 된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실시예(도 63 참조)에서는, 2개의 조작 부재(레버 부재)(905, 812)를 갖는 카트리지의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조작 부재를 배치시킬 수 있다.
압하 부재(402)는, 장치 본체의 압압 부재를 압압할 수 있도록, 이하의 동작을 포함하는 복수의 동작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하 부재(402)는, 감광체 드럼(62)의 축선 방향(Z1)(도 25의 (a) 참조)으로 이동하여 압압 부재에 가까워지는 제1 동작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반드시 압하 부재는 축선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할 필요가 없고, 직선적으로 이동할 필요도 없다. 제1 동작에서 압하 부재(402)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축선 방향의 성분이 있으면 된다.
이 제1 동작 이후에, 압하 부재(402)는, 제1 동작의 방향(Z1)(도 25의 (a))과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동작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6의 (b)에서는, 압하 부재가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C40 방향으로 이동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복수의 동작을 조합함으로써, 압하 부재(402)는, 장치 본체측의 압압 부재(484)를 적절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행하기 쉬워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나타낸 압하 부재(402)나, 레버 부재(412) 등을 카트리지로부터 분리시켜, 카트리지와는 별도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 가능한 어태치먼트로 해도 된다. 이러한 어태치먼트의 예는, 이하의 실시예 5에 있어서 설명한다.
<실시예 5>
다음으로, 장치 본체(A)에 탈착 가능한 어태치먼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4와 같이 압압 부재(484)를 압하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어태치먼트란, 카트리지(B)와는 별도로 장착 가능한 유닛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어태치먼트는, 장치 본체(A)에 설치된 구동 전달 부재에 작용하기 위한 부재이며, 사용자에 의해 장치 본체(A)에 장착되는 것이다.
도 3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어태치먼트 부재(502)의 사시도이다. 어태치먼트 부재(502)는 압하면(押下面)(502a)을 가지고 있고, 또한 댐퍼 기어(587)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편, 실시예 1과 같이 댐퍼 기어(587)는 소정의 회전 저항을 가지고 있다.
도 89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카트리지(B)의 사시도이다. 커버 부재(576)의 커플링 부재(464) 근방에는, 돌출부(504)가 설치되어 있다.
도 33은 장치 본체(A)의 개폐 도어(13)를 열고, 커버 부재(401)의 절결부(401a)에 어태치먼트 부재(502)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4에 있어서의 도 27의 (b)와 마찬가지로, 어태치먼트 부재(502)의 압하면(502a)이 압압 부재(484)를 압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개폐 도어(13)가 열려 있기 때문에, 실시예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압압 부재(484)의 자세에 관계없이 구동 전달 부재(481)는 화살표(B40)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장치 본체(A)에 카트리지(B)를 삽입하고, 개폐 도어(13)를 닫으면,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481)의 경사가 해제되고, 기어부(481f)가 댐퍼 기어(587)의 기어부(587a)와 맞물린다. 또한, 카트리지(B)에 설치된 돌출부(504)는, 커버 부재(401)의 절결부(401c)의 내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구동이 걸리고, 구동 전달 부재(481)가 화살표(R) 방향으로 회전하면, 기어부끼리의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맞물림힘(F50)에 의해, 구동 전달 부재(481)는 돌출부(504)에 접촉하여, 드럼의 회전 축선(Q2)과 대략 동축의 자세가 된다. 즉, 돌출부(504)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경사 리브(86)(도 84 참조)와 마찬가지로, 구동 전달 부재(481)와 접촉했을 때, 구동 전달 부재(481)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하도록 경사져 있는 경사부(접촉부)이다.
구동 전달 부재(481)의 경사 각도가 작아짐과 동시에,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어끼리의 맞물림 스러스트력(도 9에 있어서의 F3)에 의해, 구동 전달 부재가 길이 방향, 즉, 도 34에 있어서의 지면 전방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구동 전달 부재(481)의 구동 전달부(481e)와 커플링 부재(464)가 계합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전달 부재(481)를 드럼의 축선(Q2)과 대략 동축으로 하기 위해 커버 부재(401)의 절결부(401c)에 돌출부(경사부)(504)를 배치하였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실시예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464)의 선단에 모따기부(464a)(도 28의 (a))를 설치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 전달 부재(481)를 커플링 부재(464)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끌어당기기 위해 댐퍼 기어(587)는 어태치먼트 부재(502)에 설치하였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실시예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B)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커버 부재(401)의 절결부(401a)가 아니라, 절결부(401c)의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카트리지(B)에 댐퍼 기어(587)를 설치해도 되고, 어태치먼트 부재(502)와는 다른 새로운 어태치먼트에 댐퍼 기어(587)를 갖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댐퍼 기어(587)를 카트리지(B)에 설치하는 경우, 반드시 구동 전달 부재(481)를 커플링 부재(464)에 계합시키지 않더라도 된다. 댐퍼 기어(587)가 받는 구동력을 그대로 이용하여 카트리지(B)를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댐퍼 기어를 설치하지 않고,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카트리지에 레버 부재(412)를 설치하여 커플링 부재(464)를 진퇴시켜도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어태치먼트의 압하면(502a)은, 실시예 4의 카트리지가 갖는 압압 부재(402)(도 23, 24 참조)에 상당하는 부분이다. 압하면(502a)은, 압압 부재(484)에 접촉하여 압압 부재(484)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접촉부이다. 압하면(502a)이 압압 부재(484)를 구동 전달 부재(481)로부터 멀어지게 하도록 이동시켜 그 위치에 고정한다. 이에 의해, 구동 전달 부재(481)가 압압 부재(484)로부터 압압되지 않게 되거나, 압압되는 힘이 감소하므로, 구동 전달 부재(481)의 경사 각도가 작아진다. 그 결과, 구동 전달 부재(481)는 카트리지에 구동 전달 가능하게 연결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하면(502a)은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부동의 부분이었지만, 압압 부재(484)와 접촉하여 압압 부재(484)를 이동시킬 수 있다고 하면, 압하면(502a)을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압하면(502a)을, 실시예 4의 압하 부재(402)와 같이 장치 본체(A)의 도어(13)의 개폐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압하면(502a)을 실시예 4의 압하 부재(402)와 같이 변경하여, 실시예 4에서 설명한 레버 부재(412)나 슬릿(476a)도 어태치먼트에 설치하면 된다. 즉, 실시예 4에서 설명한 사이드 부재(476)(도 23의 (b))와 이것에 지지되는 각 부재를, 카트리지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분리하여, 어태치먼트로 하면 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어태치먼트를 사용하여 구동 전달 부재의 경사를 변경하는 이유로서, 예를 들면 이하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의 구성에 따라서는, 카트리지를 착탈시킬 때 구동 전달 부재를 경사지게 했던 쪽이, 카트리지의 착탈이 원활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는, 구동 전달 부재를 의도적으로 경사지게 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의 장착에 따라, 구동 전달 부재의 경사를 작게 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장치 본체에 대해 상이한 구성의 카트리지를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한 경우에는, 카트리지의 종류에 따라서는 그 착탈 시에 있어서 구동 전달 부재를 경사지게 할 필요가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구동 전달 부재의 경사를 특별히 필요로 하지 않는 카트리지만이 사용되는 경우 등에는, 구동 전달 부재의 경사를 없애거나, 또는 경사 각도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본 실시예와 같은 어태치먼트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함으로써, 구동 전달 부재의 경사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어태치먼트를 장치 본체에 장착한 후에, 카트리지를 장치 본체에 장착하면 된다.
어태치먼트는, 장치 본체(A)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시, 구동 전달 부재의 경사가 필요한 상황이 되었을 때, 사용자가 어태치먼트를 탈착하면, 원래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를 경사지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2에 나타내는 어태치먼트와, 도 89에 나타내는 카트리지는,함께 장치 본체에 장착 가능한 장착 유닛이다. 어태치먼트와 카트리지를 총칭하여, 장착 키트(장착 유닛 키트)라고 부르기로 한다. 장착 키트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 가능한 복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키트이다.
<실시예 6>
다음으로, 장치 본체(A)에 탈착 가능한 어태치먼트를 사용하여 커플링을 계합하는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 5에서는, 구동 전달 부재를 압압하는 본체측의 압압 부재에 작용하는 어태치먼트를 소개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전달 부재에 직접 작용하는 어태치먼트를 소개한다.
도 3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어태치먼트 부재(602)의 사시도이다. 도 3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 부재(602)에는 축선(602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가동 암(movable arm)(603)이 설치되어 있고, 그 선단에는 댐퍼 기어(687)가 장착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댐퍼 기어(687)는 소정의 회전 저항을 가지고 있다. 축선(602a)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인 가압 스프링(604)이 장착되어 있고, 가동 암(603)이 화살표(A60)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도 3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암(603)은 어태치먼트 부재(602)의 부딪침부(602b)에 부딪침으로써 자세가 결정되어 있다. 도 3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암(603)은 선단에 설치된 댐퍼 기어(687)와 함께, 가압 스프링(604)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화살표(A61)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즉, 댐퍼 기어(687)는,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가동부 암(606)에 지지되어 있고, 댐퍼 기어(687)의 축선 위치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90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카트리지(B)의 사시도이다. 커버 부재(676)의 커플링 부재(464) 근방에는, 돌출부(605)가 설치되어 있다.
도 36은 개폐 도어(13)를 열고, 어태치먼트 부재(602)를 장치 본체(A)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 도어(13)를 열고 있는 상태에서는 구동 전달 부재(481)는 화살표(B40)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 때문에, 어태치먼트 부재(602)를 장착하면, 댐퍼 기어(687)가 구동 전달 부재(481)의 기어부(481f)와 당접하고, 어태치먼트 부재(602)의 가동 암(603)은 화살표(A61)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가 된다. 한편, 구동 전달 부재(481)는 가압 스프링(604)의 가압력에 의해, 댐퍼 기어(687)로부터 당접력(F60)을 받는다. 이 당접력(F60)이 압압 부재(484)에 의해 구동 전달 부재가 받는 당접력(F61)보다 충분히 크게 되도록, 가압 스프링(604)을 선정하고 있다.
여기서, 장치 본체(A)에 카트리지(B)를 삽입하고, 개폐 도어(13)를 닫는다. 도 36에 있어서 구동 전달 부재(481)가 댐퍼 기어(687)로부터 받는 당접력(F60)은, 압압 부재(484)로부터 받는 당접력(F61)보다 크기 때문에,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암(603)은 부딪침부(602b)에 부딪칠 때까지 화살표(A60)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결과, 구동 전달 부재(481)의 경사가 해제된다. 즉, 댐퍼 기어(687)가, 구동 전달 부재(481)를 압압, 가압함으로써, 구동 전달 부재(481)의 경사 각도가 작게 바뀐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댐퍼 기어(687)는, 구동 전달 부재(481)에 힘을 가함으로써 구동 전달 부재(481)의 경사 각도를 바꾸는 압압 부재(가압 부재)이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댐퍼 기어(687)는, 카트리지 장착 시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감광체 드럼에 대한 구동 전달 부재(481)의 경사 각도가 작게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카트리지(B)에 설치된 돌출부(경사부)(605)는, 커버 부재(401)의 절결부(401a)의 내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구동이 걸리고, 구동 전달 부재(481)가 화살표(R) 방향으로 회전하면, 기어부끼리의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맞물림힘(F62)에 의해, 구동 전달 부재(481)는 돌출부(605)에 접촉하여, 드럼의 회전 축선(Q2)과 대략 동축의 자세가 된다. 동시에,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어끼리의 맞물림 스러스트력(도 9에 있어서의 F3)에 의해, 구동 전달 부재가 길이 방향, 즉 도 37에 있어서의 지면 전방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구동 전달 부재(481)의 구동 전달부(481e)와 커플링 부재(464)가 계합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구동 전달 부재(481)를 드럼의 축선(Q2)과 대략 동축으로 하기 위해 커버 부재(401)의 절결부(401a)에 돌출부(605)를 배치하였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실시예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464)의 선단에 모따기부(464a)(도 28의 (a))를 설치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 전달 부재(481)를 커플링 부재(464)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끌어당기기 위해 댐퍼 기어(687)를 어태치먼트 부재(602)에 설치하였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암(606)의 작용부(606a)를 직접 구동 전달 부재(481)에 당접시켜도 된다. 이 경우에는, 가동 암(606)이, 구동 전달 부재(481)를 압압하는 압압 부재가 된다.
이에 의해,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댐퍼 기어(687)를 다른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나, 커플링 부재(464)를 진퇴시키는 것으로도 구동 전달 부재(481)와 커플링 부재(464)를 계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1에 나타내는 카트리지(B)는, 커플링 부재(464) 근방에 댐퍼 기어(687) 및 돌출부(경사부)(605)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댐퍼 기어(687)와 돌출부(505)는,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A)에 장착했을 때,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34에 나타낸 댐퍼 기어(587), 돌출부(504)와 각각 동일한 배치가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도 34 참조), 맞물림힘(F50)에 의해 구동 전달 부재(481)는 돌출부(605)에 접촉하여, 드럼의 회전 축선(Q2)과 대략 동축의 자세가 된다.
동시에,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어끼리의 맞물림 스러스트력(도 9에 있어서의 F3)에 의해, 구동 전달 부재가 길이 방향, 즉 도 34에 있어서의 지면 전방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구동 전달 부재(481)와 커플링 부재(464)를 계합할 수 있다. 한편, 도 38에서는 가동 암(606)의 작용부(606a)를 구동 전달 부재(481)의 기어부(481f)에 당접시켰지만, 원통부(481g)에 당접시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자가 미리 장치 본체(A)에 어태치먼트 부재를 장착한 후에, 장치 본체(A)에 카트리지(B)를 장착시킨다. 이에 의해, 어태치먼트가, 구동 전달 부재와 카트리지의 접속을 어시스트할 수 있다.
즉, 어태치먼트에 의해, 구동 전달 부재(481)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거나, 또는, 어태치먼트에 의해, 구동 전달 부재(481)를 카트리지를 향해 근접시키거나 한다. 이에 의해, 구동 전달 부재(481)를, 카트리지에 설치된 커플링 부재나 기어 부재에 접속시켜, 구동 전달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를 카트리지에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을, 카트리지가 아니라 어태치먼트에 갖게 할 수도 있다.
<실시예 7>
제7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요소 중,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재와 대응하고 있는 것은, 전술한 실시예의 부재와 마찬가지의 명칭을 붙이는 것으로 하고,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는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39는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리닝 유닛(60)의 구동측에는, 사이드 부재(801)가 설치되어 있고, 사이드 부재(801)에는, 구동측 제1 위치결정 돌기(801a)와 구동측 제2 위치결정 돌기(801b)가 구비되어 있다. 나아가, 조작 부재로서의 레버 부재(812)가 구비되어 있다. 드럼(62)의 단부에는, 진퇴 부재(가동 부재)로서의 커플링 부재(864)가 구비되어 있고, 커플링 부재(864)의 단부에는, 장치 본체(A)의 구동 전달 부재(81)의 오목부에 진입하여 구동을 받는 돌기(피구동 전달부(864a))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비구동측에는, 가동 부재로서의 제2 레버 부재(825)가 설치되어 있다.
도 40은 드럼(62)의 구동 전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단부에, 구동측 플랜지 부재(75), 커플링 부재(864), 제1 압압 부재(59)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커플링 부재(864)는 도면 중 화살표(H80) 방향으로 압압된 상태에서, 도면 중 화살표(H80)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16, 도 17도 참조).
도 41 내지 도 43에서 커플링 부재(864)의 진퇴 구성을 설명한다. 도 41 내지 도 43은 사이드 부재(801)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는 설명을 위해, 일부 부품을 생략하고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부재(801)의 레일부(801k)에 레버 부재(조작 부재)(812)가 조립되어 있다. 제1 가압 부재(820)의 코일부(820c)가 사이드 부재(801)의 고정 돌기(801c)에 삽입되고, 그 제1 가압 단부(820a)가 레버 부재(812)의 피가압 돌기(812b)에 당접하여 있다. 제1 가압 부재(820)의 제2 가압 단부(820b)는 사이드 부재(801)의 벽면(801m)에 당접하여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사이드 부재(801)는 도 43에 나타내는 도면 중 화살표(H81)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화살표(H81)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캠 부재(70)는 그 내주면(70k)이 사이드 부재(801)의 원통 외주면(801d)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캠 부재(70)의 레버 부재 계합부(70a)는 레버 부재(812)의 계합 구멍(812c)과 사이드 부재(801)의 가이드 구멍(801f)에 계합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캠 부재(70)는, 레버 부재(812)의 이동에 맞추어, 원통 외주면(801d)에 대해 회전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커플링 부재(864)의 슬라이딩 원통부(864b)는, 사이드 부재(801)의 슬라이딩부(801g)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캠 부재(70)의 동작에 대해, 도 43과 도 4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사이드 부재(801)에는 돌기부(801e)가 설치되어 있다(도 41 참조). 또한, 캠 부재(70)에는, 길이 방향 외측의 제1 면(70e)(3군데), 제1 면(70e)과 평행하며 제1 면(70e)보다도 길이 방향 내측으로 움푹 패인 제2 면(70d)(3군데), 및 제1 면(70e)과 제2 면(70d)을 매끄럽게 연결하는 경사면(70b)(3군데)이 설치되어 있다(도 42 참조).
도 43은 레버 부재(812)에 외부로부터의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자연 상태(자유 상태)의 모습이다. 레버 부재(812)는 제1 가압 부재(820)의 힘에 의해 도면 중 화살표(H81) 방향으로 치우쳐져 있다. 이 때, 캠 부재(70)는 도면에 나타내는 위상에 있다. 커플링 부재(864)는 도면 중 화살표(H87)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도 40 참조), 캠 부재(70)의 제1 면(70e)은 화살표(H87) 방향으로 가압력을 받으면서, 사이드 부재(801)의 돌기부(801e)에 당접하고 있다.
도 44는 레버 부재(812)가 눌린 후의 모습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812)의 당접부(812a)(도 43 참조)에 도면 중 화살표(H82)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레버 부재(812)는 도면 중 화살표(H8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동작에 맞추어, 캠 부재(70)는 회전 이동하여 위상이 바뀌고, 제2 면(70d)이 사이드 부재(801)의 돌기부(801e)에 당접한다. 그 때문에, 캠 부재(70)는 자연 상태(도 43의 상태)에 대하여, 도면 중 화살표(H83)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커플링 부재(864)는 구동측(도면 중 화살표(H83) 방향)으로 돌출한다.
레버 부재(812)에 작용하는 외력이 없어지면, 레버 부재(812)는 제1 가압 부재(820)의 가압력에 의해, 도 43의 도면 중 화살표(H81)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자연 상태로 되돌아가서, 커플링 부재(864)는 비구동측으로 이동한다.
도 45, 도 46에서, 제2 레버 부재(825) 주위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5, 도 46은 제2 레버 부재(825) 주위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는 설명을 위해 일부 부품을 생략하고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레버 부재(825)에는, 당접부(825a), 계지부(825b), 돌기부(825c)가 설치되어 있다. 드럼(6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제1 프레임으로서의 클리닝 프레임(830)에는, 프레임 돌기부(830c), 계지면(830d), 레버 개구(830e)가 설치되어 있다.
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레버 부재(825)는 클리닝 프레임(830)의 레버 개구(830e)로부터, 도면 중 화살표(H84)의 방향으로 장착된다. 장착 후에는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레버 부재(825)의 계지부(825b)가 클리닝 프레임(830)의 계지면(830d)에 당접하여, 제2 레버 부재(825)의 빠짐방지가 된다. 제2 레버 부재(825)의 돌기부(825c)와, 클리닝 프레임(830)의 프레임 돌기부(830c)에는, 제2 압압 부재(831)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레버 부재(825)는, 도 45의 도면 중 화살표(H88)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화살표(H88)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47 내지 도 58에서, 장치 본체(A)에 카트리지(B)를 장착하는 모습을 설명한다. 도 47 내지 도 58은 장치 본체(A)와 카트리지(B)의 장착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는 설명을 위해, 일부 부품을 생략하고 있다.
도 47, 도 48에서 장치 본체(A)에의 카트리지(B) 장착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7, 도 48은 장치 본체(A)의 개폐 도어(13)를 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A)의 구동측에는 구동측 측판(850)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측 측판(850)에는, 구동측 제1 가이드부(850a), 구동측 제2 가이드부(850b)가, 구동측 제1 가이드부(850a)의 종단부에는 구동측 제1 위치결정부(850c), 구동측 제2 가이드부(850b)의 종단부에는 구동측 제2 위치결정부(850d)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카트리지(B)의 비구동측에는, 비구동측 제1 위치결정 돌기(830a), 비구동측 제2 위치결정 돌기(830b)가 설치되어 있다.
도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A)의 비구동측에는 비구동측 측판(851)이 설치되어 있다. 비구동측 측판(851)에는, 비구동측 제1 가이드부(851a), 비구동측 제2 가이드부(851b)가 설치되어 있다. 비구동측 제1 가이드부(851a)의 종단부에는 비구동측 제1 위치결정부(851c), 비구동측 제2 가이드부(851b)의 종단부에는 비구동측 제2 위치결정부(851d)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카트리지(B)의 구동측에는, 구동측 제1 위치결정 돌기(801a), 구동측 제2 위치결정 돌기(801b)가 설치되어 있다.
장치 본체(A)에의 카트리지(B) 장착은, 카트리지(B)의 구동측 제1 위치결정 돌기(801a)와, 구동측 제2 위치결정 돌기(801b)를 각각, 장치 본체(A)의 구동측 제1 가이드부(850a)와, 구동측 제2 가이드부(850b)를 따르게 하도록 장착한다. 마찬가지로, 카트리지(B)의 비구동측 제1 위치결정 돌기(830a)와, 비구동측 제2 위치결정 돌기(830b)를 각각, 장치 본체(A)의 비구동측 제1 가이드부(851a), 비구동측 제2 가이드부(851b)를 따르게 하도록 장착한다.
화상 형성을 위한 위치에 장착되었을 때(도 57 참조)에는, 카트리지(B)의 구동측 제1 위치결정 돌기(801a)와, 구동측 제2 위치결정 돌기(801b)가 각각, 장치 본체(A)의 구동측 제1 위치결정부(850c)와, 구동측 제2 위치결정부(850d)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카트리지(B)의 비구동측 제1 위치결정 돌기(830a)와, 비구동측 제2 위치결정 돌기(830b)가 각각 장치 본체(A)의 비구동측 제1 위치결정부(851c)와, 비구동측 제2 위치결정부(851d)에 위치한다.
도 49는 카트리지(B)를 장착한, 장치 본체(A)의 구동 전달 부재(81) 주위의 모습이다. 카트리지(B)의 피위치결정 당접부(801h)가, 구동측 측판(850)의 위치결정 당접부(850e)에 당접하고, 장치 본체(A)와 카트리지(B)의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
도 50은 카트리지(B)를 장착한, 장치 본체(A)의 비구동측의 모습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B)의 제2 레버 부재(825)의 당접부(825a)가 비구동측 측판(851)의 피당접부(851e)에 당접하여 있다. 이 때문에, 카트리지(B)의 비구동측 제1 위치결정 돌기(830a)와, 비구동측 제2 위치결정 돌기(830b)는, 각각 장치 본체(A)의 비구동측 제1 위치결정부(851c)와, 비구동측 제2 위치결정부(851d)까지 장착되어 있지 않다.
이 모습을 장치 본체(A)의 상방으로부터 본 모습을 도 51에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B)의 구동측은 장치 본체(A)의 안쪽에 거의 도달하여 있다. 한편, 비구동측은 장치 본체(A)의 안쪽에 도달하여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카트리지(B)의 드럼(62)의 회전 축선이,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화상 형성을 위한 장착 위치(도 57 참조)에 장착되어 있는 드럼(62)의 회전 축선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이 때의, 구동 전달 부재(81) 주위의 모습을 도 52에 나타낸다. 도면 중 파선(L80)은,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화상 형성을 위한 위치(도 57 참조)에 장착되어 있을 때의, 드럼(62)의 회전 축선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81)는 경사져 있기 때문에, 도면 중 파선(L80)에 대하여 Θ81° 기울어 있고, 그 선단면(81k)(도 4도 참조)은 도면 중 화살표(H89) 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한편, 카트리지(B)는 도면 중 파선(L80)에 대하여 Θ82° 기울어 있고, 그 커플링 부재(864)의 피구동 전달부 선단면(864c)도 도면 중 화살표(H89) 방향으로 어긋나 있다(도 39 참조).
이 상태에서, 장치 본체(A)의 개폐 도어(13)를 닫은 모습을 도 53에 나타낸다. 개폐 도어(13)를 도면 중 화살표(H86) 방향으로 닫으면, 개폐 도어에 설치된 구동측의 카트리지 압압 부재(1)가 레버 부재(812)의 당접부(812a)에 당접한다. 개폐 도어(13)를 더 닫으면, 구동측의 카트리지 압압 부재(1)는, 레버 부재(812)를 압입해 간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B)의 커플링 부재(864)가 구동측으로 튀어나온다.
도 54는 커플링 부재(864)가 구동측으로 튀어나온 모습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81)의 선단면(81k)과, 커플링 부재(864)의 피구동 전달부 선단면(864c)이 함께, 도면 중 화살표(H89) 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그 때문에, 커플링 부재(864)의 피구동 전달부(864a)와 구동 전달 부재(81)의 구동 전달부(81e)(도 4도 참조)의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L80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이 적어진다. 이 때문에, 튀어나온 피구동 전달부 선단면(864c)은, 구동 전달부(81e)에 진입한다.
이 상태에서, 개폐 도어(13)를 더 닫은 모습을 도 55, 도 56에서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의 카트리지 압압 부재(1)는 레버 부재(812)를 완전히 누르고 있다. 한편, 비구동측의 카트리지 압압 부재(1)는 클리닝 부재(830)의 압압부(830d)를 압압하기 시작한다. 개폐 도어(13)를 더 닫으면, 구동측의 카트리지 압압 부재(1)에 의해, 카트리지(B)의 비구동측이 압압된다. 이 때의 장치 본체(A)와 카트리지(B)의 비구동측의 모습을 도 56에 나타낸다. 카트리지(B)가 압압되면, 비구동측 측판(851)의 피당접부(851e)에 당접하여 있는 제2 레버 부재(825)에 압압력이 작용하여, 제2 압압 부재(831)(도 45 참조)가 수축하여, 제2 레버 부재(825)는 클리닝 프레임(830) 내에 침입한다. 이 때문에, 카트리지(B)의 비구동측은 장치 본체(A)에 장착되어 간다.
개폐 도어(13)를 완전히 닫으면, 카트리지(B)의 비구동측 제1 위치결정 돌기(830a)와, 비구동측 제2 위치결정 돌기(830b)가 각각 장치 본체(A)의 비구동측 제1 위치결정부(851c)와, 비구동측 제2 위치결정부(851d)에 위치한다.
한편, 카트리지(B)의 구동측 단부는, 도 55의 상태로부터 개폐 도어(13)를 더 닫아 가는 과정에서, 카트리지(B)의 비구동측의 동작의 영향을 받아, 도 54에 나타낸, 도면 중 화살표(H90) 방향으로 경사져 간다. 이 때, 튀어나온 피구동 전달부 선단면(864c)이, 구동 전달부(81e)에 침입한 상태이기 때문에, 구동 전달 부재(81)도 구동 전달부 선단면(864c)과 함께 도면 중 화살표(H90) 방향으로 경사져 간다.
이와 같이 하여, 개폐 도어(13)가 완전히 닫히면, 카트리지(B)는 장치 본체(A)에 대하여 화상 형성을 위한 위치에 위치결정된다(도 57 참조). 이 상태에서 장치 본체(A)의 구동 전달 부재(81)가 회전 구동되면, 구동 전달 부재(81)의 구동 전달부(81e)와, 커플링 부재(864)의 피구동 전달부(864a)가 계합하여 카트리지(B)에 구동이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치 본체(A)의 카트리지 압압 부재(1)는, 개폐 도어(13)를 닫았을 때, 장치 본체(A)의 압압 스프링(19)의 압압력을 받아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A)에 대하여 압압하는 구성이지만, 반드시 이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구동 전달부(81e)와 피구동 전달부(864a)가 전술한, 비틀어진 요철 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면, 구동 전달부(81e)와 피구동 전달부(864a)가 서로 끌어들이기 때문에, 안정된 구동 전달을 실현할 수 있다.
장치 본체(A)로부터 카트리지(B)를 꺼낼 때에는 전술한 동작이 반대로 된다. 개폐 도어(13)를 열면, 카트리지(B)의 비구동측이 제2 레버 부재(825)의 작용에 의해, 화상 형성 위치로부터 어긋나서, 도 54의 상태가 된다. 개폐 도어(13)를 더 열면, 레버 부재(812)가 되돌아오고, 커플링 부재(864)가 카트리지(B) 측으로 끌어들여진다(도 52의 상태). 개폐 도어(13)를 완전히 연 후, 카트리지(B)를 꺼낸다.
도 5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864)의 피구동 전달부(864a) 선단부에, 피구동 전달부(864a)보다 외형이 작은 가이드 돌기(864d)를 설치하면, 커플링 부재(864)가 튀어나왔을 때, 구동 전달 부재(81)의 구동 전달부(81e)에 침입하기 쉬워진다. 나아가, 가이드 돌기(864d) 선단에 경사부(864e)를 설치하면, 침입하기 더 쉬워진다.
도 60 내지 도 62에서 레버 부재의 구성을 일부 변경한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부재(801)에 제3 레버 부재(813), 제4 레버 부재(814)가 도면 중 화살표(H82)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3 레버 부재(813), 제4 레버 부재(814)는, 제1 레버 부재(812)(도 41 참조)를 2개로 분할시킨 구성에 상당한다.
제1 가압 부재(820)의 제1 가압 단부(820a)는, 제4 레버 부재(814)의 피가압 돌기(814b)에 당접하여 있다. 제3 레버 부재(813)와 제4 레버 부재(814)의 사이에는, 제2 가압 부재(815)가 설치되어 있고, 그 양단은 각각, 제3 레버 부재(813)의 수압부(pressure receiving portion)(813a)와, 제4 레버 부재(814)의 수압부(814a)에 당접하여 있다. 도 60은 제3 레버 부재(813)에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자연 상태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 장치 본체(A)의 개폐 도어(13)가 닫히면, 전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압압 부재(1)에 의해 제3 레버 부재(813)가 압입된다.
제3 레버 부재(813)가 도면 중 화살표(H82) 방향으로 압입되면, 제2 가압 부재(815)는 압축되면서, 제4 레버 부재(814)가 H82 방향으로 압입된다. 도 61은 제4 레버 부재(814)가 끝까지 압입되어, 캠 부재(70)가 완전히 회전한 상태이다.
이 상태로부터 개폐 도어(13)를 더 닫으면, 제3 레버 부재(813)가 압입된 양만큼 제2 가압 부재(탄성 부재, 스프링)(815)가 압축되기 때문에, 개폐 도어(13)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 구성을 취함으로써, 제3 레버 부재(813)의 위치나, 장치 본체(A)의 카트리지 압압 부재(1)의 위치의 설계 자유도가 오른다. 즉, 탄성 부재인 제2 가압 부재(815)가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제3 레버 부재(813)와 장치 본체(A)의 배치 관계나 치수가 바뀌었다고 하더라도, 그 변경을, 제2 가압 부재(815)의 변형에 의해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커플링 부재(계합 부재)(864)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레버 부재(813))과 커플링 부재(864)의 사이에 탄성 부재(제2 가압 부재(815))를 배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조작 부재와, 조작 부재에 의해 조작되는 대상의 사이에, 탄성 부재를 배치하는 구성은, 전술 및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채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에 있어서, 복수의 레버 부재(812, 825, 813, 314)를, 각각 제1, 제2, 제3, 제4 레버 부재라고 칭하였다. 이와 같이, 복수의 레버 부재를 구별하여 칭하는 경우, 편의상, 순서 부동으로 제1, 제2, 제3, 제4 레버 부재 등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다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진퇴 이동 가능한 커플링 부재(864)가 장치 본체(A)의 구동 전달 부재(81)에 계합함으로써, 카트리지(B)가 구동력을 받을 수 있는 구성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81)는 기어부(출력 기어부)(81f)(도 4 참조)를 갖는다. 그 때문에, 이 기어부(81f)와 계합하여 구동력을 받을 수 있는 기어 부재를 카트리지(B)가 가지고 있으면, 카트리지(B)는, 구동 전달 부재(81)의 외주부에 설치된 기어부(81f)로부터 구동력을 받을 수도 있다. 카트리지(B)가 갖는 기어의 예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5에 나타내는 기어(187)가 있다. 예를 들면, 기어(187)를 구동 전달 가능하게 현상 롤러(32)에 접속시킨다. 그리고 나서,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 롤러(32)와 감광체 드럼(62)을 기어열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 가능하게 접속시키면, 기어부(81f)로부터 입력된 구동력에 의해, 현상 롤러(32)와 감광체 드럼(62)의 양쪽 모두를 구동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커플링 부재(864)는, 구동 전달 부재(81)와 계합함으로써, (1) 구동 전달 부재(81)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하는 역할과, (2) 구동 전달 부재(81)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역할의, 2개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자와 후자의 역할을 반드시 하나의 부재에 의해 달성하지 않아도 된다. 커플링 부재(864)를 단순한 진퇴 부재나 단순한 계합 부재로서, 구동 전달 부재(81)와 계합하지만 구동 전달 부재(81)로부터 구동 전달을 받지 않는 구성으로 바꾸어도 된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장치 본체(A)는, 구동력을 출력 가능하고 경동 가능한 구동 전달 부재(구동 출력 부재)(81)를 구비한다.
카트리지는, 감광체 드럼(62)이나, 커플링 부재(계합 부재)(864), 제2 레버 부재(825)를 갖는다.
제2 레버 부재(825)는 카트리지의 프레임(케이싱)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 부재이며, 장치 본체(A)와 접촉함으로써, 장치 본체(A)의 내부에 있어서의 카트리지(B)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부재로서 작용한다. 제2 레버 부재(825)는, 카트리지(B)의 전방이며 카트리지(B)의 비구동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레버(825)는 카트리지의 전방을 향해 돌출하여 있고 카트리지의 후방을 향해 퇴피하도록 이동이 가능하다. 제2 레버 부재는, 돌출 위치(도 39 참조)를 향해 탄성 부재(스프링)인 제2 압압 부재(831)(도 45)에 의해 가압되고 있다.
도 51에서는, 제2 레버 부재(825)는,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A)에 대해 경사지게 한 상태로, 카트리지의 위치를 결정한다. 한편, 도 57에서는, 제2 레버 부재(825)는 카트리지의 후방으로 퇴피함으로써 카트리지(B)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한 상태로, 카트리지의 위치를 결정한다.
도 51과 도 57에 있어서의 각각의 카트리지(B)의 위치의 일방을 제1 카트리지 위치, 타방을 제2 카트리지 위치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마찬가지로, 도 51과 도 57에 있어서의 각각의 제2 레버 부재의 위치의 일방을, 제1 위치결정 부재 위치, 타방을 제2 위치결정 부재 위치 등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도 57에 나타내는 카트리지의 위치는, 화상 형성을 위한 정규 장착 위치이다. 도 51은 장착 위치에 대하여 카트리지(B)가 경사진 위치이다. 즉, 제2 레버 부재(825)의 이동에 따라 카트리지(B)는 장치 본체(A)에 대한 경사 각도를 변화시킨다.
커플링 부재(864)는 구동 전달 부재(81)와 계합하는 계합 부재이다. 커플링 부재(864)는 감광체 드럼의 단부 근방에 배치된 가동 부재이며, 감광체 드럼(62)과 함께 드럼 유닛을 구성한다.
도 51에 나타내는 자세를 카트리지(B)가 취한 상태에서, 커플링 부재(864)가 구동 전달 부재(81)를 향해 축선 방향으로 진출함으로써, 커플링 부재(864)는 구동 전달 부재(81)와 접촉한다(도 54 참조). 이 상태에서, 제2 레버 부재(825)가 카트리지의 후방으로 퇴피하면, 카트리지(B)가 도 57에 나타내어지는 장착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구동 전달 부재(81)는, 커플링 부재(864)에 의해 그 경사 각도를 바꾸도록 움직여진다(도 58 참조).
그 결과, 구동 전달 부재(81) 및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을 위한 정규 자세, 위치에 이르고, 양자는 구동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레버 부재(825)는, 카트리지의 전방이며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의 하류를 향해 돌출하여 있다(도 39 참조). 또한, 제2 레버 부재(825)는, 장치 본체(A)와 접촉함으로써, 카트리지의 후방이며 장착 방향의 상류로 퇴피 이동할 수 있다(도 57 참조).
또한, 카트리지(B)는, 커플링(864)을 진퇴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 부재로서 제1 레버 부재(812)를 갖는다. 제1 레버 부재(812)는 상술한 다른 실시예의 조작 부재와 마찬가지로, 그 일부가 카트리지의 후방에서 돌출하여 있다(도 39 참조). 그 때문에, 장치 본체의 도어(13)(도 21 참조)가 닫혔을 때, 도어(13)로부터 외력을 받아, 커플링 부재(864)를 진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1에 있어서 도시된 레버 부재(21)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 레버 부재(812)에 상당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레버 부재(825)는, 커플링 부재(864)가 배치된 구동측과는 반대의 비구동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카트리지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움직일 수 있는 위치결정 부재를, 구동측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예는 실시예 9에서 후술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장치 본체의 내부에서 카트리지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이동 가능한 위치결정 부재(제2 레버 부재(825))를, 카트리지에 설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위치결정 부재(제2 레버 부재(825))를 카트리지로부터 분리하여, 어태치먼트로 하고 카트리지와는 별도로 장치 본체(A)에 장착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카트리지(B)는, 장치 본체(A)에 장착된 어태치먼트의 위치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다. 또한, 어태치먼트에 위치결정 부재가 이동함으로써, 장치 본체(A)의 내부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위치가 바뀌는 것이다.
<실시예 8>
제8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요소 중,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요소와 대응하고 있는 것은, 전술한 실시예의 부재와 마찬가지의 명칭을 붙이는 것으로 하고,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는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63은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사시도이다. 클리닝 유닛(60)의 구동측에는, 사이드 부재(901)가 설치되어 있고, 사이드 부재(901)에는, 구동측 제1 위치결정 돌기(901a)와 구동측 제2 위치결정 돌기(901b)가 구비되어 있다. 나아가, 레버 부재(812), 제3 레버 부재(905), 진퇴 부재(920)가 구비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제3 레버 부재(905)는 진퇴 부재(920)를 동작시키기 위해 조작되는 조작 부재이다.
드럼(62)의 단부에는 커플링 부재(864)가 구비되어 있고, 커플링 부재(864)의 단부에는, 장치 본체(A)의 구동 전달 부재(81)로부터 구동을 받는 피구동 전달부(864a)가 구비되어 있다. 레버 부재(812)와 커플링 부재(864)에 따른 구성은, 실시예 7과 동일하다.
도 64, 도 65에서, 진퇴 부재(920) 주변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64, 도 65는 진퇴 부재(920)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는 설명을 위해, 일부 부품을 생략하고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부재(901)의 제1 슬라이드부(901f)에 캠 부재(915)의 슬라이딩부(915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사이드 부재(901)의 제2 슬라이드부(901c)에 제3 레버 부재(905)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제3 레버 부재(905)의 계합 돌기(905c)는 캠 부재(915)의 계합 구멍(915d)에 계합하고 있다.
진퇴 부재(920)가 사이드 부재(901)의 도 64에 있어서의 좌측으로부터 사이드 부재(901)의 제3 슬라이드부(901d)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나아가, 캠 핀(921)이 사이드 부재(901)의 관통 구멍(901h)을 통해, 진퇴 부재(920)의 고정 구멍(920a)에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캠 핀(921)의 후단은 캠 부재(915)의 캠 홈(915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침입하고 있다(도 66 참조).
제3 가압 부재(906)가, 사이드 부재(901)의 가압 부재 설치부(901e)에 설치되어 있고, 그 양단이, 각각 사이드 부재(901)의 당접벽(901g)과, 제3 레버 부재(905)의 가압벽(905b)에 당접하여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해 제3 레버 부재(905)는 도 65의 도면 중 화살표(H92)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화살표(H92)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들 구성에 의해 제3 레버 부재(905)의 화살표(H92) 방향과, 그 반대 방향의 이동에 맞추어, 캠 부재(915)는 도 65의 도면 중 화살표(H91)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66, 도 67에서, 진퇴 부재(920)와 제3 레버 부재(905)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6, 도 67은 진퇴 부재(920)와 제3 레버 부재(905)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는 설명을 위해, 일부 부품을 생략하고 있다.
도 66은 제3 레버 부재(905)에 외부로부터의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자연 상태(자유 상태)의 모습이다. 제3 레버 부재(905)는 제3 가압 부재(906)의 힘에 의해 도면 중 화살표(H92) 방향으로 치우쳐져 있다. 이 때, 캠 부재(915)와 진퇴 부재(920)는 도면에 나타내는 위상에 있고, 진퇴 부재(920)는 퇴피 위치에 있다.
도 67은 제3 레버 부재(905)가 눌린 후의 모습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레버 부재(905)의 당접부(905a)에 도면 중 화살표(H93)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제3 레버 부재(905)는 도면 중 화살표(H93)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동작에 맞추어, 캠 부재(915)는 도면 중 화살표(H94)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진퇴 부재(920)는, 캠 핀(921)을 통해 캠 부재(915)와 계합하고 있지만, 도 64, 도 6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65의 도면 중 화살표(H91)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도 6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부재(915)가 도면 중 화살표(H94) 방향으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캠 핀(921)이 캠 홈(915b) 내를 슬라이드하고, 진퇴 부재(920)는 도면 중 화살표(H95)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진출 위치로 이동한다.
도 68은 장치 본체(A)의 개폐 도어(13)를 열고,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을 위한 위치에 장착한 모습이다. 도면 중 L91은, 화상 형성을 위한 위치에 있는 카트리지(B)의 드럼(62)의 회전 축선 방향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A)의 구동 전달 부재(81)는 L9에 대하여 Θ91°경사져 있다.
이 상태에서, 장치 본체(A)의 개폐 도어(13)를 닫은 모습을 도 69에 나타낸다. 개폐 도어(13)를 도면 중 화살표(H96) 방향으로 닫으면, 개폐 도어(13)에 설치된 카트리지 압압부(13a)가 제3 레버 부재(905)의 당접부(905a)에 당접한다. 개폐 도어(13)를 더 닫으면, 카트리지 압압부(13a)가 제3 레버 부재(905)를 압입해 간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B)의 진퇴 부재(920)가 진출 위치로 이동하여 구동측으로 튀어나온다(도 70 참조).
도 71은 커플링 부재(864)가 구동측으로 이동해 오는 모습을 나타낸다. 개폐 도어(13)를 닫음에 따라 제3 레버 부재(905)가 눌리고,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퇴 부재(920)가 도면 중 화살표(H97) 방향으로 이동해 온다. 이 때, 진퇴 부재(920)의 경사부(920b)가 장치 본체(A)의 구동 전달 부재(81)에 당접한다. 진퇴 부재(920)가 더 이동하면, 경사부(920b)가 구동 전달 부재(81)를 압압하고, 구동 전달 부재(81)는 도면 중 화살표(H98) 방향으로 경사 이동하여, Θ91이 감소된다. 그리고, 도 7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81)의 회전 축선은 L91과 동축에 가까워진다.
개폐 도어(13)를 더 닫은 모습을 도 73에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레버 부재(905)가 눌려서, 구동 전달 부재(81)가 회전 축선(L91)과 동축에 가까워지는 타이밍에서, 개폐 도어(13)에 설치된 카트리지 압압 부재(1)가 레버 부재(812)를 압압하기 시작한다. 레버 부재(812)가 압입되면, 실시예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B)의 커플링 부재(864)가 구동측으로 튀어나온다.
개폐 도어(13)가 완전히 닫힌 상태의, 구동 전달 부재(81) 주변의 모습을 도 74에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91과 거의 동축이 된 구동 전달 부재(81)를 향해 커플링 부재(864)의 피구동 전달부(864a)가 튀어나와서 그 피구동 전달부 선단면(864c)(도 40)이 구동 전달부(81e)(도 4 참조)에 침입한다. 또는, 피구동 전달부 선단면(864c)이 선단면(81k)(도 4 참조)에 당접한다.
피구동 전달부 선단면(864c)이 구동 전달부(81e)에 침입한 상태에서 장치 본체(A)의 구동 전달 부재(81)가 회전 구동되면, 구동 전달 부재(81)의 구동 전달부(81e)와, 커플링 부재(864)의 피구동 전달부(864a)가 계합하여 카트리지(B)에 구동이 전달된다.
먼저, 피구동 전달부 선단면(864c)이 선단면(81k)에 당접한 상태에서 장치 본체(A)의 구동 전달 부재(81)가 회전 구동된다. 구동 전달 부재(81)의 구동 전달부(81e)와, 커플링 부재(864)의 피구동 전달부(864a)의 계합 위상이 맞춰졌을 때 피구동 전달부 선단면(864c)이 구동 전달부(81e)에 침입한다. 구동 전달 부재(81)가 더 회전 구동되면, 구동 전달부(81e)와, 피구동 전달부(864a)가 계합하여 카트리지(B)에 구동이 전달된다.
이 때, 구동 전달부(81a)와 피구동 전달부(864a)가 전술한, 비틀어진 요철 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면, 구동 전달부(81a)와 피구동 전달부(864a)가 서로 끌어들이기 때문에, 안정된 구동 전달을 실현할 수 있다.
장치 본체(A)로부터 카트리지(B)를 꺼낼 때에는 전술한 동작이 반대로 된다. 개폐 도어(13)를 열면, 레버 부재(812)가 되돌아오고, 커플링 부재(864)가 카트리지(B) 측으로 끌어들여진다(도 72의 상태). 개폐 도어(13)를 더 열면, 제3 레버 부재(905)가 되돌아오고, 진퇴 부재(920)가 카트리지(B) 측으로 끌어들여져 퇴피 위치에 위치한다(도 68의 상태). 개폐 도어(13)를 완전히 연 후, 카트리지(B)를 꺼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치 본체(A)의 카트리지 압압 부재(1)는, 개폐 도어(13)를 닫았을 때, 장치 본체(A)의 압압 스프링(19)의 압압력을 받아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A)에 대해 압압하는 구성이지만, 반드시 이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75 내지 도 77에서는, 제3 레버 부재(905)의 구성을 일부 변경한 변형예를 설명한다. 이 변형예는, 전술한 원통 캠(83)(도 5의 (b), 도 6의 (b) 참조)의 도 5의 (b)에 나타내는 화살표(H2) 방향으로의 이동이, 장치 본체(A)의 개폐 도어(13)가 완전히 닫히기 직전에 행해지는 구성인 경우에 유효하다.
도 7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부재(901)에 제4 레버 부재(907), 제5 레버 부재(908)가 도면 중 화살표(H93)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4 레버 부재(907), 제5 레버 부재(908)는, 제3 레버 부재(905)를 2개로 분리한 구성에 상당한다.
제4 레버 부재(907)와 제5 레버 부재(908)의 사이에는, 제4 가압 부재(909)가 설치되어 있고, 그 양단은 각각, 제4 레버 부재(907)의 수압부(907a)와, 제5 레버 부재(908)의 수압부(908a)에 당접하여 있다. 도 75는 제4 레버 부재(907)에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자연 상태이다. 제3 가압 부재(906)는 제5 레버 부재(908)의 가압벽(908b)에 당접하여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장치 본체(A)의 개폐 도어(13)가 닫히면, 전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압압 부재(1)에 의해 제4 레버 부재(907)가 압입된다.
제4 레버 부재(907)가 도면 중 화살표(H93) 방향으로 압입되면, 제4 가압 부재(909)는 압축되면서, 제5 레버 부재(908)를 H93 방향으로 압입한다.
도 76은 제5 레버 부재(908)가 압입되는 과정에서, 진퇴 부재(920)가 구동측으로 이동하고, 장치 본체(A)의 구동 전달 부재(81)에 당접한 상태이다(도 71의 상태). 원통 캠(83)은 아직, 도 5의 (b)에 나타내는 화살표(H2)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지 않아, 구동 전달 부재(81)는 경사 운동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진퇴 부재(920)는 도 71의 상태보다도 구동측으로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제5 레버 부재(908)도 이동할 수 없다.
이 상태로부터 개폐 도어(13)를 더 닫으면, 제4 레버 부재(907)가 압입된 양만큼 제4 가압 부재(909)가 압축된다(도 77 참조). 이 때문에 개폐 도어(13)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다.
개폐 도어(13)를 완전히 닫으면, 원통 캠(83)이 도 5의 (b)에 나타내는 화살표(H2) 방향으로 이동하여, 구동 전달 부재(81)는 경사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압축되어 있던 제4 가압 부재(909)의 압압력에 의해 캠 부재(915)가 회동하여, 진퇴 부재(920)가 구동측으로 이동한다. 구동 전달 부재(81)는 진퇴 부재(920)에 의해 경사져서, 구동 전달 부재(81)의 회전 축선은 L91과 동축에 가까워진다(도 72의 상태).
커플링 부재(864)의 진퇴에 대해 설명한다. 원통 캠(83)이, 도 5의 (b)에 나타내는 화살표(H2)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동안에는, 캠 부재(70)가 도 44의 위상이 되어도, 커플링 부재(864)의 피구동 전달부 선단면(864c)이, 경사진 구동 전달 부재(81)의 선단면(81k)에 당접한다. 그 때문에, 커플링 부재(864)는 튀어나오지 않는다.
개폐 도어(13)를 완전히 닫으면, 전술한 진퇴 부재(920)의 작용에 의해, 구동 전달 부재(81)의 회전 축선은 L91과 동축에 가까워진다. 이 때, 압축되어 있던 제1 가압 부재(59)(도 40 참조)의 압압력에 의해 커플링 부재(864)의 피구동 전달부 선단면(864c)이 구동 전달부(81e)에 침입한다. 또는, 피구동 전달부 선단면(864c)이 선단면(81k)에 당접한다.
장치 본체(A)의 구동 전달 부재(81)가 회전 구동되었을 때의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레버 부재(레버 부재(812), 제3 레버 부재(905))로 2개의 캠 부재(캠 부재(70), 캠 부재(915))를 구동하는 구성을 설명하였다. 2개의 레버 부재와 2개의 캠 부재를 총칭하여 조작 기구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2개의 캠은 각각 커플링 부재(364)와 진퇴 부재(920)에 작용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었으므로, 각 레버 부재가 조작됨으로써, 조작 기구는 커플링 부재(864)와 진퇴 부재(920)의 각각을, 적당한 별개의 타이밍에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조작 기구가 반드시 2개의 레버와 2개의 캠 부재를 갖는다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조작 기구가 1개의 레버로 2개의 캠 부재를 구동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1개의 레버의 동작에 의해, 2개의 캠이 각각 적당한 타이밍에서 동작하도록, 1개의 레버와 2개의 캠을 적당히 접속시키면 된다. 또는, 조작 기구가, 커플링 부재와 진퇴 부재의 양쪽 모두에 작용하는 1개의 캠 부재와, 이 1개의 캠 부재에 작용하는 1개의 레버를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캠 부재의 동작 시에, 커플링 부재와 진퇴 부재가 각각 적당한 타이밍에서 연동하도록 캠 부재를 구성시키면 된다. 어쨌든 조작 기구가 커플링 부재(864)와, 진퇴 부재(920)를 각각 적당한 타이밍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된다. 이러한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 대해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장치 본체(A)는 구동 전달 부재(구동 출력 부재)(81)를 갖는다. 한편, 카트리지(B)는, 커플링 부재(계합 부재)(864)와 진퇴 부재(920)를 갖는다.
진퇴 부재(920) 및 커플링 부재(864)는 모두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부재이다. 커플링 부재(864)는, 감광체 드럼(62)의 단부에 설치되고, 감광체 드럼(62)과 함께 드럼 유닛을 구성한다. 반면, 진퇴 부재(920)는, 카트리지의 프레임(케이싱)인 사이드 부재(901)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64 참조). 진퇴 부재(920)는, 감광체 드럼(62)의 외부(드럼 유닛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가동 부재이다.
진퇴 부재(920)와 커플링 부재(864)는 모두, 카트리지의 전방이며 카트리지의 구동측에 배치되어 있다.
진퇴 부재(920)는, 구동 전달 부재(81)를 향해 이동하고, 구동 전달 부재(81)에 접촉함으로써 구동 전달 부재(81)의 경사 각도를 바꾸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진퇴 부재(920)는, 구동 전달 부재(81)를, 그 경사 각도가 작아지도록 압압하는 압압 부재이다(도 71, 도 72 참조). 경사 각도를 작게 한 구동 전달 부재(81)를 향하여, 커플링 부재(864)가 계합함으로써 양자는 계합 가능하게 된다(도 74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진퇴 부재(920)는, 감광체 드럼의 축선에 평행하게, 직선적으로 이동하지만 이동 방향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퇴 부재(920)의 이동 방향으로 축선 방향의 성분을 가지고 있으면, 진퇴 부재(920)는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진퇴 부재(920)가 회전 운동을 수반하여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 변형예를, 실시예 8-4를 사용하여 후술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력을 받는 구동력 수용 부재(구동 입력 부재)로서 커플링 부재(864)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경사 각도를 작게 한 구동 전달 부재(81)에 맞물림 가능한 기어 부재를 카트리지가 가지고 있어도 된다는 것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즉, 구동 입력 부재는 커플링에 한정되지 않고 기어이어도 된다. 도 15의 (a)의 기어 부재(187)와 같이, 카트리지에 노출된 기어 부재(187)를 설치하고, 이것을 구동 전달 부재(81)의 외주면에 설치된 기어부와 맞물리게 하면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는, 커플링 부재(864)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 부재로서 레버 부재(812)를 가지며, 진퇴 부재(9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 부재로서, 레버 부재(905)를 가지고 있었다. 이들 조작 부재의 일방을 제1 조작 부재, 타방을 제2 조작 부재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어느 조작 부재도,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외력을 받음으로써 카트리지의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말하면, 이들 조작 부재는, 장치 본체(A)의 도어(13)가 닫힐 때 장치 본체로부터 힘을 받아 이동함으로써, 커플링 부재(864)나 진퇴 부재(920)를 작동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를 카트리지로부터 분리하여, 실시예 5나 실시예 6과 같은 어태치먼트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퇴 부재(920), 이것을 조작하기 위한 레버 부재(905)나 캠 부재(915), 및, 이들 부재(920, 905, 915)를 지지하는 사이드 부재(901) 등을 카트리지로부터 분리시켜, 카트리지와는 별도로 장치 본체(A)에 장착 가능한 어태치먼트로 해도 된다.
어태치먼트의 진퇴 부재(920)에 의해 경사 각도를 작게 한 구동 전달 부재에, 카트리지의 커플링 부재나 기어 부재가 접속하여, 구동 전달이 행해지도록 하면 된다.
<실시예 8-2>
본 실시예 8-2에서는, 1개의 레버(조작 부재)의 작용에 의해, 진퇴 부재(920)와, 커플링 부재(864)가 진퇴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요소 중,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요소와 대응하고 있는 것은, 전술한 실시예의 부재와 마찬가지의 명칭을 붙이는 것으로 하고,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는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92는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사시도이다.
드럼(62)의 단부에는 커플링 부재(864)가 구비되어 있고, 커플링 부재(864)의 단부에는, 장치 본체(A)의 구동 전달 부재(81)로부터 구동을 받는 피구동 전달부(864a)가 구비되어 있다.
클리닝 유닛(60)의 구동측에는, 사이드 부재(901)가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부재(901)에는 제3 레버 부재(905)와 진퇴 부재(920)가 구비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제3 레버 부재(905)는 진퇴 부재(920)와 커플링 부재(864)를 동작시키기 위해 조작되는 조작 부재이다.
도 93, 도 94, 도 95에서, 진퇴 부재(920) 및 커플링 부재(864) 주변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93, 도 94, 도 95는 진퇴 부재(920)와 커플링 부재(864)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는 설명을 위해, 일부 부품을 생략하고 있다.
도 93, 도 9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부재(70)의 외주부에는 계합 돌기(70m)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캠 부재(915)에는, 캠 홈(915b)과 제2 캠 홈(915c)과 계합 구멍(915e)이 설치되어 있다. 캠 부재(70)의 계합 돌기(70m)가 캠 부재(915)의 계합 구멍(915e)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다(도 95도 참조). 그 밖의 부재의 조립은, 실시예 8, 실시예 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들 구성에 의해 제3 레버 부재(905)는 도 95의 도면 중 화살표(H92)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화살표(H92)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들 구성에 의해 제3 레버 부재(905)의 화살표(H92) 방향과, 그 반대 방향의 이동에 맞추어, 캠 부재(915)는 도 95의 도면 중 화살표(H91)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캠 부재(70)는, 계합 돌기(70m)와 계합 구멍(915e)의 계합에 의해, 캠 부재(915)의 회전에 맞추어, 도 95의 도면 중 화살표(H91)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96 내지 도 98에서 진퇴 부재(920)와 커플링 부재(864)와 제3 레버 부재(905)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96 내지 도 98은 진퇴 부재(920)와 커플링 부재(864)와 제3 레버 부재(905)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는 설명을 위해, 일부 부품을 생략하고 있다.
도 96의 (a), (b)는 제3 레버 부재(905)에 외부로부터의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자연 상태(자유 상태)의 모습이다. 제3 레버 부재(905)는 제3 가압 부재(906)의 힘에 의해 도면 중 화살표(H92) 방향으로 치우쳐져 있다. 이 때, 캠 부재(915)와 진퇴 부재(920)는 도면에 나타내는 퇴피 위치에 있다. 또한, 9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864)는, 캠 부재(70)의 제1 면(70e)이 사이드 부재(901)의 돌기부(901k)에 당접하여 있기 때문에 비구동측으로 이동하고 있다(도 43도 참조).
도 97의 (a), (b)는 제3 레버 부재(905)가 눌려졌을 때의 모습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레버 부재(905)의 당접부(905a)에 도면 중 화살표(H93)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제3 레버 부재(905)는 도면 중 화살표(H93)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동작에 맞추어, 캠 부재(915)는 도면 중 화살표(H94)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진퇴 부재(920)는, 캠 핀(921)을 통해 캠 부재(915)의 캠 홈(915b)에 계합하고 있다. 캠 부재(915)가 도면 중 화살표(H94) 방향으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캠 홈(915b) 내를 캠 핀(921)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진퇴 부재(920)는 도면 중 화살표(H95)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캠 홈(915b) 내를 캠 핀(921)이 완전히 슬라이드하면, 진퇴 부재(920)는 진출 위치로 이동한다(도 98의 (a)의 위치).
이 때의 커플링 부재(864)의 모습을 설명한다. 캠 부재(70)의 계합 돌기(70m)와 캠 부재(915)의 계합 구멍(915e)이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캠 부재(915)가 회전 이동함에 따라, 캠 부재(70)도 도면 중 화살표(H94)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이 때, 도 9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부재(70)의 제1 면(70e)은 사이드 부재(901)의 돌기부(901k)에 계속해서 당접하여 있기 때문에, 비구동측으로 이동한 상태인 채로 있다.
나아가, 제3 레버 부재(905)가 압입되었을 때의 모습을 도 98의 (a), (b)에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레버 부재(905)를 더 압입하면, 캠 부재(915)는 도 98의 (a)의 도면 중 화살표(H94) 방향으로 더 회전 이동한다. 이 때, 캠 핀(921)은 캠 부재(915)의 제2 캠 홈(915c) 내를 슬라이드 이동한다. 도 9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캠 홈(915c)은, 도면 중 화살표(H95) 방향으로 기울어 있지 않기 때문에, 캠 부재(915)가 회전 이동해도, 진퇴 부재(920)는 진출 위치로 이동한 채로 된다.
이 때의 커플링 부재(864)의 모습을 설명한다. 캠 부재(915)가 더 회전 이동함에 따라, 캠 부재(70)도 도면 중 화살표(H94) 방향으로 더 회전 이동한다. 이 때, 도 9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부재(70)의, 사이드 부재(901)의 돌기부(901k)에 당접하는 면이, 제1 면(70e)으로부터 경사면(70b)을 경유하여 제2 면(70d)으로 변화한다. 이 과정에서, 커플링 부재(864)는, 비구동측으로 이동한 상태로부터, 구동측으로 돌출한 상태가 된다(도 44도 참조).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레버 부재(905)가 압입되어 가면, 먼저, 진퇴 부재(920)가 진출 위치로 이동하고, 그 후 커플링 부재(864)가 구동측으로 돌출하여 온다.
도 99는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에 장착한 모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에 장착하고, 개폐 도어(13)를 닫으면, 개폐 도어(13)에 설치된 카트리지 압압부(13a)가 제3 레버 부재(905)의 당접부(905a)에 당접한다. 개폐 도어(13)를 더 닫으면, 카트리지 압압부(13a)가 제3 레버 부재(905)를 압입해 간다.
그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진퇴 부재(920)가 진출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실시예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81)의 회전 축선과 드럼(62)의 회전 축선이 동축에 가까워진다(도 71, 도 72 참조).
개폐 도어(13)를 더 닫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864)가 구동측으로 돌출한다. 이 때, 실시예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도 74 참조), 구동 전달 부재(81)를 향해 커플링 부재(864)의 피구동 전달부(864a)가 튀어나와서 그 피구동 전달부 선단면(864c)(도 40)이 구동 전달부(81e)(도 4 참조)에 침입한다. 또는, 피구동 전달부 선단면(864c)이 선단면(81k)(도 4 참조)에 당접한다.
개폐 도어(13)를 닫은 후, 장치 본체(A)의 구동 전달 부재(81)가 회전 구동되었을 때의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 부재인 제3 레버 부재(905)가 외력을 받았을 때, 먼저 진퇴 부재(920)가 이동한 후, 커플링 부재(864)가 이동하기 시작하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 8-3>
본 실시예 8-3에서는, 1개의 레버의 작용에 의해, 진퇴 부재(920)와, 커플링 부재(864)가 진퇴하는 다른 구성을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요소 중,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요소와 대응하고 있는 것은, 전술한 실시예의 부재와 마찬가지의 명칭을 붙이는 것으로 하고,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는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00은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사시도이다.
드럼(62)의 단부에는 커플링 부재(864)가 구비되어 있고, 커플링 부재(864)의 단부에는, 장치 본체(A)의 구동 전달 부재(81)로부터 구동을 받는 피구동 전달부(864a)로서의 돌기가 구비되어 있다.
클리닝 유닛(60)의 구동측에는, 사이드 부재(901)가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부재(901)에는 제3 레버 부재(905)와 진퇴 부재(920)가 구비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제3 레버 부재(905)는 진퇴 부재(920)와 커플링 부재(864)를 동작시키기 위해 조작되는 조작 부재이다.
도 101, 도 102에서 진퇴 부재(920) 및 커플링 부재(864) 주변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01, 도 102는 진퇴 부재(920)와 커플링 부재(864)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는 설명을 위해, 일부 부품을 생략하고 있다.
도 10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812)가 사이드 부재(901)의 슬릿부(901m)를 통해 조립되어 있다. 또한, 제1 가압 부재(820)의 코일부(820c)가 사이드 부재(901)의 고정 돌기(901n)에 삽입되고, 그 제1 가압 단부(820a)가 레버 부재(812)의 피가압 돌기(812b)에 당접하여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레버 부재(812)는, 도면 중 화살표(H100)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도면 중 화살표(H100)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캠 부재(70)의 레버 부재 계합부(70a)는 레버 부재(812)의 계합 구멍(812c)에 계합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캠 부재(70)는, 레버 부재(812)의 도면 중 화살표(H100) 방향으로의 이동에 맞추어, 회전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B)에서는 실시예 8-2에서 설명한 카트리지에 대하여 레버 부재(812)를 추가하고 있다. 제3 레버 부재(905)는, 이 레버 부재(812)를 통해 커플링 부재를 조작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 8과는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레버 부재(812)는 카트리지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지 않고, 장치 본체(A)로부터 직접 외력을 받지 않는다. 카트리지의 내부에서, 제3 레버 부재(905)로부터 힘을 받는 구성이다.
레버 부재(812)나 캠 부재(70)를 조립한 후, 도 10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레버 부재(905), 캠 홈(915b)과 제2 캠 홈(915c)을 구비하는 캠 부재(915) 등이 조립되어 있다. 그 구성은 실시예 8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도 10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3 레버 부재(905)에는, 레버 당접부(905d)가 설치되어 있다.
도 103 내지 도 105에서 진퇴 부재(920)와 커플링 부재(864)와 제3 레버 부재(905)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3 내지 도 105는 진퇴 부재(920)와 커플링 부재(864)와 제3 레버 부재(905)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는 설명을 위해, 일부 부품을 생략하고 있다.
도 103의 (a), (b)는 제3 레버 부재(905)에 외부로부터의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자연 상태(자유 상태)의 모습이다. 제3 레버 부재(905)는 제3 가압 부재(906)의 힘에 의해 도면 중 화살표(H92) 방향으로 치우쳐져 있다. 이 때, 캠 부재(915)와 진퇴 부재(920)는 퇴피 위치에 있다. 또한, 도 10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812)는 제1 가압 부재(820)로부터의 힘에 의해 도면 중 화살표(H101) 방향으로 치우쳐져 있다. 이 때, 커플링 부재(864)는, 캠 부재(70)의 제1 면(70e)이 사이드 부재(901)의 돌기부(901k)에 당접하여 있기 때문에 비구동측으로 이동하고 있다(도 43도 참조).
도 104의 (a), (b)는, 제3 레버 부재(905)가 눌려졌을 때의 모습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레버 부재(905)의 당접부(905a)에 도면 중 화살표(H93)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제3 레버 부재(905)는 도면 중 화살표(H93)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동작에 맞추어, 캠 부재(915)는 도면 중 화살표(H94)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진퇴 부재(920)는, 캠 핀(921)과 캠 홈(915b)의 계합에 의해, 도 104의 (a)의 도면 중 화살표(H95)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캠 홈(915b) 내를 캠 핀(921)이 완전히 슬라이드하면, 진퇴 부재(920)는 진출 위치로 이동한다(도 97의 (a) 참조).
한편, 제3 레버 부재(905)의 이동 도중에, 제3 레버 부재(905)의 레버 당접부(905d)가 레버 부재(812)의 피가압 돌기(812b)에 당접한다. 이 당접에 의해, 레버 부재(812)는 도 104의 (a), (b)의 도면 중 화살표(H10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동작에 맞추어, 캠 부재(70)는 도 104의 (b)의 도면 중 화살표(H103)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도 10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부재(70)의 제1 면(70e)과 사이드 부재(901)의 돌기부(901k)가 당접하여 있기 때문에, 커플링 부재(864)는 여전히 비구동측으로 이동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04의 (a), (b)의 상태에서는, 진퇴 부재(920)가 진출 위치에, 커플링 부재(864)는 비구동측으로 이동하고 있다.
나아가, 제3 레버 부재(905)가 압입되었을 때의 모습을 도 105의 (a), (b)에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레버 부재(905)를 더 압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캠 핀(921)은 캠 부재(915)의 제2 캠 홈(915c) 내를 슬라이드 이동하기 때문에, 진퇴 부재(920)는 진출 위치로 이동한 채로 된다(도 98의 (a) 참조).
이 때의 커플링 부재(864)의 모습을 설명한다. 제3 레버 부재(905)가 더 압입됨에 따라, 레버 부재(812)는 나아가 도면 중 화살표(H10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동작에 맞추어, 캠 부재(70)도 도 105의 (b)의 도면 중 화살표(H103)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이 때, 도 10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부재(70)의, 사이드 부재(901)의 돌기부(901k)와 당접하는 면이, 제1 면(70e)으로부터 경사면(70b)을 경유하여 제2 면(70d)으로 변화한다. 이 과정에서, 커플링 부재(864)는, 비구동측으로 이동한 상태로부터, 구동측으로 돌출한 상태가 된다. (도 44도 참조)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레버 부재(905)가 압입되어 가면, 먼저, 진퇴 부재(920)가 진출 위치로 이동하고, 그 후 커플링 부재(864)가 구동측으로 돌출해 온다.
도 106은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에 장착한 모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에 장착하고, 개폐 도어(13)를 닫으면, 개폐 도어(13)에 설치된 카트리지 압압부(13a)가 제3 레버 부재(905)의 당접부(905a)에 당접한다. 개폐 도어(13)를 더 닫으면, 카트리지 압압부(13a)가 제3 레버 부재(905)를 압입해 간다.
그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진퇴 부재(920)가 진출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실시예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81)의 회전 축선과 드럼(62)의 회전 축선이 동축에 가까워진다(도 71, 도 72 참조).
개폐 도어(13)를 더 닫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864)가 구동측으로 돌출한다. 이 때, 실시예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도 74 참조), 구동 전달 부재(81)를 향해 커플링 부재(864)의 피구동 전달부(864a)가 튀어나와 그 피구동 전달부 선단면(864c)(도 40)이 구동 전달부(81e)(도 4 참조)에 침입한다. 또는, 피구동 전달부 선단면(864c)이 선단면(81k)(도 4 참조)에 당접한다.
개폐 도어(13)를 닫은 후, 장치 본체(A)의 구동 전달 부재(81)가 회전 구동되었을 때의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다.
<실시예 8-4>
실시예 8-4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8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다른 실시형태(변형예)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요소 중,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요소와 대응하고 있는 것은, 전술한 실시예의 부재와 마찬가지의 명칭을 붙이는 것으로 하고,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는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07은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사시도이다. 클리닝 유닛(60)의 구동측에는, 사이드 부재(901)가 설치되어 있고, 사이드 부재(901)에는, 구동측 제1 위치결정 돌기(901a)와 구동측 제2 위치결정 돌기(901b)가 구비되어 있다. 나아가, 레버 부재(812), 제3 레버 부재(905), 회전 부재(930)가 구비되어 있다.
도 108, 도 109, 도 110의 (a), (b)에서, 회전 부재(930) 주변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08, 도 109는 회전 부재(930) 주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0의 (a), (b)는 회전 부재(930)와 제3 레버 부재(905)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는 설명을 위해, 일부 부품을 생략하고 있다.
도 109, 도 10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부재(930)에는, 지지 구멍(930a), 캠 핀(930b), 당접부(930c)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부재(901)의 회동축(901r)에, 회전 부재(930)의 지지 구멍(930a)이 슬라이딩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회전 부재(930)가 장착된 후, 빠짐방지 부재(931)가 접착 등의 방법에 의해 회전축(901r) 선단에 고정되고, 회전 부재(930)가 회동축(901r)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110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레버 부재(905)의 단부에는 캠 홈(905e)이 설치되어 있다. 이 캠 홈(905e)에 회전 부재(930)의 캠 핀(930b)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되어 있다.
또한, 제3 가압 부재(906)가, 사이드 부재(901)의 가압 부재 설치부(901e)에 설치되어 있고, 그 양단이, 각각 사이드 부재(901)의 당접벽(901g)과, 제3 레버 부재(905)의 가압벽(905b)에 당접하여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해 제3 레버 부재(905)는 도 110의 (a)의 도면 중 화살표(H92)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화살표(H92)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10의 (a), (b) 내지 도 112(a), (b)에서, 회전 부재(930)와 제3 레버 부재(905)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0 내지 도 112는 회전 부재(930)와 제3 레버 부재(905)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는 설명을 위해, 일부 부품을 생략하고 있다.
도 110의 (a), (b)는 제3 레버 부재(905)에 외부로부터의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자연 상태(자유 상태)의 모습이다. 제3 레버 부재(905)는 제3 가압 부재(906)의 힘에 의해 도면 중 화살표(H92) 방향으로 치우쳐져 있다. 이 때, 회전 부재(930)는 도면에 나타내는 퇴피 위치에 있다.
도 111의 (a), (b)는, 제3 레버 부재(905)가 눌리기 시작했을 때의 모습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레버 부재(905)의 당접부(905a)에 도면 중 화살표(H93)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제3 레버 부재(905)는 도면 중 화살표(H93) 방향으로 이동한다.
회전 부재(930)는, 캠 핀(930b)이 제3 레버 부재(905)의 캠 홈(905e)과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제3 레버 부재(905)가 도면 중 화살표(H93)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캠 핀(930b)은 캠 홈(905e)으로부터 도면 중 화살표(H105)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이 힘에 의해 회전 부재(930)는 도면 중 화살표(H104) 방향으로 회동한다.
도 112의 (a), (b)는, 제3 레버 부재(905)가 더 눌린 후의 모습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레버 부재(905)가 도면 중 화살표(H93) 방향으로 이동하고, 회전 부재(930)는 더 회동한다.
도 113의 (a), (b)에서 회전 부재(930)의, 장치 본체(A)의 구동 전달 부재(81)에 대한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3의 (a), (b)는 회전 부재(930)와 구동 전달 부재(81)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는 설명을 위해, 일부 부품을 생략하고 있다. 도 113의 (a)의 구동 전달 부재(81)는, 도 68에서 설명한, 장치 본체(A)의 개폐 도어(13)를 열고,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을 위한 위치에 장착한 상태이다. 도 113의 (a)의 도면 중 L91은, 화상 형성을 위한 위치에 있는 카트리지(B)의 드럼(62)(도시하지 않음)의 회전 축선 방향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A)의 구동 전달 부재(81)는 L91에 대하여 Θ91°경사져 있다.
이 상태에서, 장치 본체(A)의 개폐 도어(13)를 닫으면(도 69 참조), 개폐 도어(13)에 설치된 카트리지 압압부(13a)가 제3 레버 부재(905)의 당접부(905a)를 압입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B)의 회전 부재(930)가 회동한다.
도 113의 (a)는, 개폐 도어(13)를 닫는 과정에서, 도면 중 화살표(H107) 방향으로 회동하여 온 회전 부재(930)의 경사면(930d)이 구동 전달 부재(81)에 당접한 상태이다. 나아가, 회전 부재(930)가 도면 중 화살표(H107) 방향으로 회동하면 회전 부재(930)의 당접면(930e)이 구동 전달 부재(81)를 압압하여, 구동 전달 부재(81)를 도면 중 화살표(H106) 방향으로 경사 이동시킨다(도 113의 (b)의 상태). 이와 같이 하여 Θ91이 감소되고, 도 11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81)의 회전 축선은, 카트리지(B)의 드럼(62)(도시하지 않음)의 회전 축선 방향(L91)과 동축에 가까워진다.
개폐 도어(13)를 더 닫는 과정에서 카트리지(B)의 커플링 부재(864)가 구동측으로 튀어나오는 동작이나, 개폐 도어(13)를 닫은 후의 장치 본체(A)의 구동 전달 부재(81)와, 커플링 부재(864)의 계합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회전 부재(930)는, 실시예 8에 있어서의 진퇴 부재(920)(도 70 참조)에 대응하고 있다. 실시예 8에 있어서의 진퇴 부재(920)는, 직선적으로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압압 부재이다. 반면, 회전 부재(930)는, 회전을 수반하여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압압 부재이다.
즉, 레버 부재(905)가 외력을 받음에 따라, 회전 부재(930)의 선단(당접부(930c))은, 축선 방향에 있어서 카트리지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즉, 회전 부재(930)의 당접부(930c)는, 구동 전달 부재(81)에 가까이 가는 방향, 즉 도 113에 있어서의 우측으로 이동한다.
<실시예 9>
전술한 실시예 3에 있어서, 커플링 부재(364)가 레버 부재(12)에 의해 감광체 드럼(62)의 축선 방향으로 진퇴 이동시키는 구성을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3을 더욱 발전시킨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부재와 동등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붙이는 것으로 하고,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는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구동 전달 부재(81)가 경사지는 방향(N1)과 대략 동일한 방향에 대해,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A)에 장착 시에 있어서, 화상 형성 시점으로부터 안쪽까지 장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것에 의해, 실시예 3에 비해, 커플링 부재(1064)의 진퇴량을 저감할 수 있다.
도 7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유닛(1060) 구동측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B)의 화상 형성 시점에서의 장치 본체(A)에서의 자세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결정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8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B)의 장치 본체(A)에의 장착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83은 카트리지(B)의 사시도이다.
도 7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B)는, 장치 본체(A)에 장착 완료 시점에서, 사이드 부재(1076)에 설치된, 카트리지 위치결정 부재(이후, 위치결정 부재)(1091, 1092)가, 장치 본체(A)에 설치된 본체측 위치결정부(1080a, 1080b)에 당접한다. 이에 의해, 위치결정 부재(1091, 1092)는, 구동 전달 부재(81)에 감광체 드럼(62)이 근접한 상태에서 카트리지(B)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감광체 드럼(62)은, 전사 롤러(7)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클리닝 프레임(1071) 및 현상 장치 유닛(1020)으로 덮이지 않고 노출되는 노출부를 갖는다. 본체측 위치결정부(1080a, 1080b)는, 감광체 드럼(62)의 노출부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다.
도 78을 사용하여, 카트리지(B)에 사용하는 클리닝 유닛(106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78의 (a), (b)는 커플링 부재(1064)의 진퇴 기구도 포함하는 클리닝 유닛(106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8의 (c)는, 사이드 부재(1076)의 위치결정 부재(1091, 1092), 위치결정 레버(1093)의 구성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도 78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부재(1076)는 원통 내주면(1076a), 원통 외주면(1076b), 돌기부(1076c) 등을 갖는다. 원통 내주면(1076a)은 커플링 부재(1064)를 지지한다. 원통 외주면(1076b)은 캠 부재(1070)를 지지한다. 돌기부(1076c)는 원통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또한, 구동측 플랜지 유닛(1069)과 사이드 부재(1076)의 사이에는, 레버 부재(조작 부재)(1012), 캠 부재(107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레버 부재(1012)는, 레버 부재(1012)를 Y2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1012d)을 갖는다. 이에 의해, 레버 부재(1012)의 당접부(1012a)가 장치 본체(A)의 개폐 도어(1013)(도시하지 않음)에 당접할 때까지, 커플링 부재(1064)를 퇴피 위치에 보유지지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개폐 도어(1013)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커플링 부재(1064)를 감광체 드럼(62)의 축선 방향으로 진퇴시킬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부재(1076)는, 도 78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결정 부재(1091, 1092), 위치결정 부재 레버(이하, 레버 부재)(1093), 및 레버 부재(1093)를 억제하는 억제 부재(1076d)를 갖는다. 위치결정 부재(1091)는, 본체측 위치결정 부재(1080a)와 당접하는 작용부(1091a), 작용부(1091a)가 회동하는 회동 중심(1091b), 레버 부재(1093)와 접속됨으로써 회동 각도를 제어하는 연결 보스(1091c)를 갖는다. 위치결정 부재(1092)도 마찬가지로, 작용부(1092a), 회동 중심(1091b), 연결 보스(1092c)를 갖는다. 연결 보스(1091c, 1092c)는, 회동 중심(1091b, 1092b)보다 작용부(1091a, 1092a)에 가까운 측에 배치된다.
레버 부재(1093)는, 개폐 도어(1013)가 눌리는 압압부(1093a)와, 연결 보스(1091c, 1092c)를 조립하는 연결 구멍(1093b, 1093e), 압압부(1093a)와 연결 구멍(1093b, 1093e)을 연결하는 연결부(1093c)를 갖는다. 또한, 압압부(1093a)를 감광체 드럼(6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1093d)을 갖는다.
도 8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구멍(1093b, 1093e)은, 작용부(1091a, 1092a)가 제1 위치(제1 위치결정 부재 위치)와 제2 위치(제2 위치결정 부재 위치)를 이동하기 위해, 연결 보스(1091c, 1092c)의 이동 궤적에 대응한 구멍 형상을 갖는다. 또한, 레버 부재(1093)는 개폐 도어(1013)에 압압되는 압압부(1093a)를 가지며, 레버 부재(1093)는 화살표(Y101) 방향으로 이동한다. 개폐 도어(1013)의 압압에 의해 개방되면, 가압 수단(1093d)의 가압력에 의해 화살표(Y10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구성에 의해, 개폐 도어(1013)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Y101, Y102의 이동 동작에 의해, 작용부(1091a)가 R101, R102의 회동 동작을, 작용부(1092a)가 R103, R104의 회동 동작을 행한다. 이에 의해 위치결정 부재(1091, 1092)는 제1 위치(제1 위치결정 부재 위치)와 제2 위치(제2 위치결정 부재 위치)를 이동 가능하게 된다.
위치결정 부재(1091, 1092)의 각각의 제2 위치에 대한 제1 위치의 이동 각도는 동일할 필요는 없다. 제2 위치에 대하여, 제1 위치가, 구동 전달 부재(81)가 경사지는 방향(N1)으로 카트리지(B)가 장착 가능하게 되도록, 각 위치결정 부재(1091, 1092)의 회동량을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B)의 장치 본체(A)에의 장착 동작)
도 81을 사용하여, 카트리지(B)의 장치 본체(A)에의 장착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B)는 감광체 드럼(62)의 비구동측의 위치결정부(1094)가 장치 본체측 위치결정부(1080c)에 당접할 때까지 장치 본체(A)에 감광체 드럼(62)의 축선과 대략 수직 방향으로 삽입된다. 이 삽입 동작은 사용자가 행한다. 이 때, 구동 전달 부재(81)는 화상 형성 위치에 대하여, N2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이 때 위치결정 부재(1091, 1092)는 제1 위치(제1 위치결정 부재 위치)에 있다. 위치결정 부재(1091, 1092)가 제1 위치에 있기 때문에, 화상 형성 위치에 있어서, 본체측 위치결정부(1080a, 1080b)와 위치결정 부재(1091, 1092)의 사이에는 클리어런스가 있다.
다음으로, 도 8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결정 부재(1091, 1092)가 제1 위치(제1 위치결정 부재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본체측 위치결정 부재(1080a, 1080b)와 당접할 때까지 장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위치결정 부재(1091, 1092)의 회동량은, 구동 전달 부재(81)가 경사지는 방향(N1)으로 카트리지(B)가 장착 가능하게 되도록 규정하였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카트리지(B)의 구동측은 장치 본체(A)에서의 화상 형성 위치로부터 N1측까지 장착된다. 이 때, 감광체 드럼(62)은 전사 롤러(7)에 화상 형성 시점으로부터 침입하게 되지만, 전사 롤러(7)은 충분히 탄성을 가지므로 문제없이 장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카트리지(B)는, 장치 본체(A)에 대하여 본래의 장착 위치보다도 장착 방향의 하류측으로 더 진입한 위치(제1 카트리지 위치)에 있다.
그 후 개폐 도어(1012)의 닫음 동작에 연동하여, 원통 캠(83)(도 5에 도시함)이 이동하고, 구동 전달 부재(81)는 N1 방향으로 경사 방향이 변화한다.
개폐 도어(1012)가 더 닫히면, 도 8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A)의 개폐 도어(1013)의 닫음 동작에 연동하여, 레버 부재(1012)의 당접부(1012a)가 개폐 도어(1013)와 당접하고, 커플링(1064)은 감광체 드럼(62)의 축선의 외측(Z1측)으로 돌출한다. 이 때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커플링 부재(1064)의 경사면(1064g1)이 구동 전달 부재(81)의 슬릿부(81g)에 진입한다. 커플링 부재(1064)와 구동 전달 부재(81)가 접촉하며 계합한 상태가 된다.
개폐 도어(1013)가 더 닫히면, 레버 부재(1093)가 눌리는 압압부(1013a)가 개폐 도어(1013)에 눌리고, 레버 부재와 연동하여 위치결정 부재(1091, 1092)는 제2 위치(제2 위치결정 부재)로 회동한다. 이 회동 동작에 의해, 도 81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B)는 장치 본체(A) 내에서의 본래의 장착 위치(화상 형성 위치, 제2 카트리지 위치)로 이동한다. 이 카트리지(B)의 이동 시에, 커플링 부재(1064)가 구동 전달 부재(81)와 접촉, 계합하고 있으므로, 구동 전달 부재(81)는, 카트리지(B)의 이동에 맞추어 그 경사 각도를 작게 한다. 그 결과, 구동 전달 부재(81)의 축선과, 감광체 드럼(62)의 축선은 대략 동일하게 되고, 구동 전달 부재(81)는 카트리지(B)에 구동 전달 가능하게 접속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변형예)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결정 부재(1091, 1092)는 회동함으로써, 제1 위치, 제2 위치를 취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8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1093)의 동작에 의해 제1 위치, 제2 위치를 취하는 위치결정 부재(1091, 1092)를 직선운동시키는 직선운동 캠을 사용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레버 부재(1012)와 레버 부재(1093)를 다른 부재로 하였다. 그러나, 도 81의 (a)∼(d)에 나타내는 동작을, 커플링 부재(1064)와 위치결정 부재(1091, 1092)가 할 수 있다고 하면, 이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 부재는 1개여도 된다.
예를 들면, 레버 부재(1012)와 레버 부재(1093)를 카트리지의 내부에서 연결시켜서, 일방의 동작에 타방이 연동하면 된다. 일방의 레버 부재가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외력을 받음으로써, 타방의 레버 부재도 움직일 수 있다. 그리하면,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조작되는 조작 부재를 1개로 통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예에 대해서는, 실시예 8-3에 있어서의 레버 부재(812)와 레버 부재(905)를 사용하여 전술하였다(도 103 등 참조).
본 실시예의 구성을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장치 본체(A)는, 구동력을 출력 가능하고 경동 가능한 구동 전달 부재(구동 출력 부재)(81)를 구비한다. 또한, 카트리지(B)는, 감광체 드럼(62)과, 커플링 부재(1064)와, 위치결정 부재(1091, 1092) 등을 갖는다.
커플링 부재(1064)는, 구동 전달 부재(81)와 계합하기 위한 계합 부재로서, 감광체 드럼(62)의 단부 근방에 배치된 가동 부재이다. 커플링 부재(1064)는,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위치결정 부재(1091, 1092)는, 장치 본체(A)의 내부에 있어서의 카트리지(B)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가동 부재이다. 전술한 커플링 부재(1064)가 감광체 드럼에 장착되어 있는 것에 반해, 위치결정 부재(1091, 1092)는 감광체 드럼의 외부(드럼 유닛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위치결정 부재(1091, 1092)는, 카트리지의 전방이며 구동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79에 있어서의 우측이 카트리지의 전방에 상당하고, 지면 전방측이 구동측에 상당한다. 즉, 위치결정 부재(1091, 1092)와, 커플링 부재(1064)는,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동일한 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의 구동측에만 위치결정 부재를 배치하였지만, 비구동측에도 위치결정 부재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구동측의 위치결정 부재의 예로서는 실시예 7에서 설명한 레버 부재(825)(도 50 참조)가 있다.
감광체 드럼의 축선을 따라 보았을 때, 위치결정 부재(1091, 1092)는, 감광체 드럼의 노출부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는, 2개의 위치결정 부재(1091, 1092)를 가지고 있고, 이들의 일방을 제1 위치결정 부재, 타방의 위치결정 부재를 제2 위치결정 부재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위치결정 부재의 양쪽 모두가 가동이지만, 한쪽만을 가동으로 할 수도 있다. 위치결정 부재(1091, 1092)는, 감광체 드럼의 축선에 대하여 거리를 바꾸도록 이동 가능하다(도 80 참조).
도 80에 있어서, 점선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은, 위치결정 부재(1091, 1092)가, 감광체 드럼의 축선에 가까워지고 제1 위치결정 부재 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실선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은, 위치결정 부재(1091, 1092)가, 감광체 드럼의 축선으로부터 멀어진 제2 위치결정 부재 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제1 위치결정 부재 위치(도 80의 점선)는,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에 장착하기 전의 위치이며, 다른 표현을 하면 카트리지(B)에 외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위치결정 부재(1091, 1092)의 위치이다. 제2 위치결정 부재 위치(도 80의 실선)는,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위치결정 부재의 위치이며, 카트리지(B)에 장치 본체(A)로부터 외력이 가해진 상태에 있어서의 위치결정 부재의 위치이다.
2개의 위치결정 부재(1091, 1092)가 제2 위치결정 부재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서로의 선단에 설치된 작용부 사이의 거리가 커진다. 즉, 위치결정 부재(1091, 1092) 사이의 최장 거리(최대 거리)가 커진다.
위치결정 부재(1091, 1092)는 이동함으로써, 장치 본체(A)에 대한 카트리지(B)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도 8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위치결정 부재(1091, 1092)가 제1 위치결정 부재 위치(도 79)에 있을 때, 카트리지(B)는, 도 81의 (b)에 나타내는 제1 카트리지 위치에 있다. 위치결정 부재(1091, 1092)가 제2 위치결정 부재 위치(도 82)로 이동하면, 카트리지(B)는, 도 81의 (d)에 나타내는 제2 카트리지 위치로 이동한다. 이는, 화상 형성을 행하기 위한 카트리지의 정규 장착 위치이다.
제1 카트리지 위치(도 81의 (b))로부터, 제2 카트리지 위치(도 81의 (d))를 향해, 카트리지(B)의 구동측은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의 상류로 이동한다. 여기서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이란,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A)에 삽입하는 방향이다. 도 81에 있어서는, 카트리지(B)는, 장치 본체(A)에 대해 위로 이동하여 삽입된다. 즉, 삽입 방향의 상류란 도 81에 있어서 아래를 의미한다.
도 81의 (b)로부터 도 81의 (d)로의 변화의 과정에서, 카트리지의 좌측(즉, 구동측)이나 커플링 부재(1064)가, 장치 본체(A)의 내부에서 하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결정 부재(1091, 1092)가 이동함으로써, 장치 본체(A)에 대한 카트리지(B)의 경사 각도가 바뀌고 있다. 즉, 카트리지(B)가 제1 카트리지 위치(도 81의 (b))에 있을 때, 제2 카트리지 위치(도 81의 (d))에 있을 때에 비하여 경사져 있다.
카트리지(B)의 장착 과정은 이하와 같다.
도 81의 (b)에 나타내는 위치(제1 카트리지 위치)에 카트리지(B)가 있는 상태에서, 커플링 부재(1064)가 구동 전달 부재(81)를 향해 축선 방향으로 진출함으로써, 커플링 부재(1064)는 구동 전달 부재(81)와 접촉한다(도 81의 (d) 참조). 이 상태에서, 위치결정 부재(1091, 1092)가 감광체 드럼의 축선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즉, 위치결정 부재(1091, 1092)는, 카트리지(B)의 삽입 방향의 하류이며 카트리지의 전방에 향해 이동한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의 내부에서 도 81의 (d)에 나타내어지는 위치(장착 위치, 제2 카트리지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카트리지(B)의 이동에 따라, 구동 전달 부재(81)는, 커플링 부재(1064)에 의해 그 경사 각도를 바꾸게 된다.
그 결과, 구동 전달 부재(81) 및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을 위한 정규 자세, 위치에 이르고, 양자는 구동 전달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카트리지(B)의 장착 과정은, 전술한 실시예 7에 있어서의 카트리지(B)의 장착 과정(도 51, 도 57 참조)과 유사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7과 달리, 카트리지(B)는, 위치결정 부재(1091, 1092)를 작동시키기 위해 조작되는 조작 부재로서, 레버 부재(1093)를 갖는다. 레버 부재(1093)는,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 부재(레버 부재)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즉, 레버 부재(1093)도 도어(13)(도 21 참조)의 닫음 동작에 따라, 장치 본체(A)로부터 외력을 받는다. 레버 부재(1093)는 외력을 받으면, 카트리지의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위치결정 부재(1091, 1092)를 작동시킨다. 즉, 레버 부재(1093)는, 위치결정 부재(1091, 1092)를 감광체 드럼의 축선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도록 카트리지의 전방을 향해 움직이고, 제2 위치결정 부재 위치로 이동시킨다(도 80의 실선을 참조).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전달 부재(81)와 계합하여, 구동 전달 부재(81)의 경사 각도를 바꾸기 위한 계합 부재로서, 커플링 부재(1064)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계합 부재가 반드시, 감광체 드럼(62)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커플링 부재일 필요는 없다. 계합 부재가 감광체 드럼(62)에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면, 카트리지(B)에, 별도로, 구동 전달 부재(81)의 기어부와 맞물려서 구동력을 받을 수 있는 기어 부재를 설치하면 된다. 도 15의 (a)에 나타내는 기어 부재(187)를 참조.
<전체 실시예의 총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에 있어서는, 구동 전달 부재(81)를 카트리지와 계합시켜 구동 전달시키기 위해 각각 다양한 구성을 채용하였다. 즉, 각 실시예에서 나타낸 카트리지 또는 어태치먼트는 각각, 구동 전달 부재(81)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구동 전달 부재에, 카트리지 또는 어태치먼트의 경사부를 접촉시킴으로써, 구동 전달 부재의 경사를 작게 하는 구성을 설명하였다. 또한 다른 수단으로서, 구동 전달 부재를 카트리지 또는 어태치먼트에 설치된 압압 부재에 의해 압압하는 구성을 설명하였다. 또한 다른 수단으로서, 구동 전달 부재를 경사지게 하는 장치 본체측의 압압 부재를, 압압하는 카트리지측 또는 어태치먼트측의 압압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였다.
또한, 각 실시예의 카트리지 또는 어태치먼트는, 각각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구동 전달 부재(81)와 카트리지의 거리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나 어태치먼트에 설치한 기어 부재에 의해, 구동 전달 부재(81)를 카트리지에 끌어당기는 구성을 설명하였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카트리지에 설치된 커플링 부재를 구동 전달 부재를 향해 진출시키는 구성도 설명하였다.
카트리지 또는 어태치먼트는, 각 실시예에서 소개한 이들 구성을 다른 조합에서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카트리지(B)는, 구동 전달 부재에 설치된 기어부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구성, 또는 구동 전달 부재에 설치된 커플링부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구성, 또는 구동 전달 부재에 설치된 기어부와 커플링부의 양쪽 모두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구성 중 어느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카트리지에 설치되어 있던 구성의 일부를 어태치먼트에 설치해도 되고, 또는 어태치먼트에 설치되어 있던 구성의 일부를 카트리지에 설치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등의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및 그러한 어태치먼트 및 장착 키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공개하기 위해 이하의 청구항을 첨부한다.
본원은, 2019년 6월 12일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특원2019-109672 및 2019년 9월 30일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특원2019-180284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그 기재 내용의 모두를 여기에 원용한다.

Claims (70)

  1. 구동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구동 출력 부재와, 구동 출력 부재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경사지게 하도록 구성된 본체측 압압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과,
    상기 장치 본체측 압압 부재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구동 출력 부재의 경사 각도를 바꾸도록 구성된, 이동 가능한 카트리지측 압압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외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카트리지측 압압 부재에 상기 카트리지측 압압 부재를 압압시키도록 구성된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드럼의 단부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계합 부재로서, 상기 구동 출력 부재와 계합 가능한 계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측 압압 부재가 상기 본체측 압압 부재를 압압하고 있을 때,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구동 출력 부재와 계합 가능한, 카트리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감광체 드럼에 구동력을 전달 가능하게 구성된 커플링 부재인, 카트리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부재는, (a)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를 향해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동작과, (b) 제1 동작과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동작을 적어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구동 출력 부재와 맞물림 가능한 기어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7.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전방에 배치된 감광체 드럼과,
    상기 카트리지의 전방에서,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카트리지의 일방 측에 배치된 압압 부재로서, 이동 가능한 압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압 부재는, (a)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를 향해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동작과, (b) 제1 동작과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동작을 적어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외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압압 부재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조작 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트리지.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의 단부 근방에 배치된 계합 부재로서,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계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압 부재와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동일한 측에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외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계합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를 향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조작 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트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외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압압 부재에 상기 제1 동작과 상기 제2 동작을 행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제1 조작 부재이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외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압압 부재에 제1 동작과 상기 제2 동작을 행하게 하게 구성된 제2 조작 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트리지.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감광체 드럼에 구동력을 전달 가능한 커플링 부재인, 카트리지.
  14.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에 노출되고, 또한, 상기 감광체 드럼을 향해 구동력을 전달 가능한 기어 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트리지.
  15.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전방에 배치된 감광체 드럼과,
    감광체 드럼의 단부 근방에 배치된 제1 가동 부재로서,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가동 부재와,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부재와 동일한 측에 배치된 제2 가동 부재로서, (a)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를 향해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동작과, (b) 상기 제1 동작과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동작을 적어도 행하도록 구성된 제2 가동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16. 구동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구동 출력 부재와,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경사지게 하도록 구성된 장치 본체측 압압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서,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해 장착 가능한 어태치먼트(attachment)에 있어서,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와 접속시키기 위해, 상기 장치 본체측 압압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장치 본체측 압압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구동 출력 부재의 경사 각도를 바꾸도록 구성된 접촉부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17.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사용되는 장착 키트로서,
    감광체 드럼과 구동 입력 부재를 구비하는 카트리지와,
    제16항에 기재된 어태치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입력 부재는, 상기 어태치먼트에 의해 경사 각도가 바뀌어진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상기 구동 출력 부재와 접속 가능한, 장착 키트.
  18. 구동력을 출력 가능하고 경동(傾動) 가능한 구동 출력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과,
    감광체 드럼의 단부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계합 부재로서, 상기 구동 출력 부재와 계합 가능한 계합 부재와,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에 있어서의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이동 가능한 위치결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구동 출력 부재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계합 부재가 상기 구동 출력 부재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위치결정 부재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는, (a) 상기 구동 출력 부재의 경사 각도를 바꾸고, 또한, (b)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의 장착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감광체 드럼을 향해 구동력을 전달 가능한 커플링 부재인, 카트리지.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외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계합 부재를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부재는, 이동함으로써,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경사 각도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결정 부재는, 이동함으로써, 상기 계합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의 상류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장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23.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전방에 배치된 감광체 드럼과,
    감광체 드럼의 단부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계합 부재와,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외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계합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를 향해 상기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조작 부재와,
    상기 카트리지의 전방이며,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위치결정 부재로서, 상기 카트리지의 전방을 향해 돌출하여 있고 후방을 향해 이동 가능한 위치결정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감광체 드럼을 향해 구동력을 전달 가능한 커플링 부재인, 카트리지.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에 노출되고, 또한, 상기 감광체 드럼을 향해 구동력을 전달 가능한 기어 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트리지.
  26.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전방에 배치된 감광체 드럼과,
    감광체 드럼의 단부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계합 부재와,
    상기 카트리지의 전방이며,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와 동일한 측에 배치된 위치결정 부재로서, 이동 가능한 위치결정 부재와,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외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위치결정 부재를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도록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부재는,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외력을 받음으로써,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부재는, 제1 위치결정 부재와 제2 위치결정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 위치결정 부재 및 제2 위치결정 부재는, 상기 조작 부재가 외력을 받음으로써 서로간의 최대 거리가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29.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외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계합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를 향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30.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제1 조작 부재이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외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계합 부재를 상기 감광체 드럼의 외부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조작 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트리지.
  31. 제26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감광체 드럼을 향해 구동력을 전달 가능한 커플링 부재인, 카트리지.
  32. 제26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에 노출되고, 또한, 상기 감광체 드럼을 향해 구동력을 전달 가능한 기어 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트리지.
  33.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전방에 배치된 감광체 드럼과,
    감광체 드럼의 단부 근방에 배치된 제1 가동 부재로서,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가동 부재와,
    카트리지의 전방에서,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부재와 동일한 측이며, 상기 감광체 드럼의 외부에 배치된 제2 가동 부재와,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외력을 받음으로써, 제2 가동 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34. 구동력을 출력 가능하고 경동 가능한 구동 출력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서,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 가능한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내부에 있어서의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이동 가능한 위치결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에 설치된 계합 부재가 상기 구동 출력 부재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위치결정 부재는, 그 이동에 의해, (a) 상기 구동 출력 부재의 경사 각도를 바꾸고, 또한, (b)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의 장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어태치먼트.
  35.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사용되는 장착 키트에 있어서,
    카트리지로서, (i) 감광체 드럼과, (ii) 상기 감광체 드럼의 단부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계합 부재로서, 상기 구동 출력 부재와 계합 가능한 계합 부재를 구비하는 카트리지와,
    제34항에 기재된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장착 키트.
  36. 구동력을 출력 가능하고 경동 가능한 구동 출력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과,
    상기 감광체 드럼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압압 부재로서,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구동 출력 부재의 경사 각도를 바꾸도록 구성된 압압 부재와,
    감광체 드럼의 단부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계합 부재로서, 상기 압압 부재에 의해 압압되고 있는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구동 출력 부재와 계합 가능하게 되는 계합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외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압압 부재에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압압시키도록 구성된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외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계합 부재를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외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압압 부재에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압압시키도록 구성된 제1 조작 부재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외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계합 부재를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40.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감광체 드럼을 향해 구동력을 전달 가능한 커플링 부재인, 카트리지.
  41.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전방에 배치된 감광체 드럼과,
    감광체 드럼의 단부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계합 부재와,
    상기 카트리지의 전방이며,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와 동일한 측이며, 상기 감광체 드럼의 외부에 배치된 압압 부재로서,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압압 부재와,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외력을 받아 상기 계합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를 향해 상기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외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압압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를 향해 상기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제1 조작 부재이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외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압압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를 향해 상기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44. 구동력을 출력 가능하고 경동 가능한 구동 출력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서,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하기 위한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압압하도록 구성된 이동 가능한 압압 부재로서, 상기 구동 출력 부재가 상기 카트리지에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출력 부재의 경사 각도를 바꾸도록 구성된 압압 부재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부재는 기어 부재를 가지며,
    상기 기어 부재는, 상기 구동 출력 부재에 설치된 기어부와 맞물린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어태치먼트.
  46.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사용되는 장착 키트로서,
    감광체 드럼과 구동 입력 부재를 구비하는 카트리지와,
    제44항 또는 제45항에 기재된 어태치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입력 부재는, 상기 어태치먼트에 의해 경사 각도가 바뀌어진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구동 출력 부재와 접속하여 구동력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착 키트.
  47. 구동력을 출력 가능하고 경동 가능한 구동 출력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과,
    상기 구동 출력 부재에 설치된 기어부와 맞물린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에 근접시키도록 구성된 기어 부재와,
    상기 기어 부재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에 가까워진 상기 구동 출력 부재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구동 출력 부재의 경사 각도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된 접촉부로서, 상기 감광체 드럼의 외부에 배치된 접촉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부재는 헬리컬 기어인, 카트리지.
  49. 제47항 또는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으로부터 상기 기어 부재의 축선까지의 거리가 바뀌도록, 상기 기어 부재는 이동 가능한, 카트리지.
  50. 제47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드럼의 단부 근방에 배치된, 상기 감광체 드럼에 구동 전달 가능한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51. 제47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어 부재와 상기 접촉부가 배치된 제1 측과, 상기 제1 측과는 반대의 제2 측을 가지며,
    상기 접촉부는 경사부이며,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으로부터 상기 경사부까지를 상기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잰 거리는,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제2 측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길어지는, 카트리지.
  52. 카트리지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과,
    현상 롤러와,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카트리지의 제1 측에 배치된 기어 부재와,
    상기 감광체 드럼의 외부이며,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제1 측에 배치된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측과 반대의 측을 상기 카트리지의 제2 측이라고 부르면,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어 부재의 이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경사부보다도, 상기 제2 측에 대하여 떨어져 위치하고 있고,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으로부터 상기 경사부까지를 상기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잰 거리는,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제2 측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커지고,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기어 부재의 중심은, 상기 감광체 드럼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의 중심을 지나도록 연장하고 있는 선에 대하여, 상기 감광체 드럼의 회전 방향의 상류를 향해 60°보다 크고 120°보다 작은 범위에 위치하는, 카트리지.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부재는 헬리컬 기어인, 카트리지.
  54. 제52항 또는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부재는, 상기 감광체 드럼에 구동 전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카트리지.
  55. 제52항 또는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드럼의 단부 근방에 배치된, 상기 감광체 드럼에 구동 전달 가능한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56. 구동력을 출력 가능한 구동 출력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서,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하기 위한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상기 구동 출력 부재에 설치된 기어부와 맞물린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에 근접시켜,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에 접속시키도록 구성된 기어 부재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57.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사용되는 장착 키트로서,
    감광체 드럼과 구동 입력 부재를 구비하는 카트리지와,
    제56항에 기재된 어태치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입력 부재는, 상기 어태치먼트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에 가까워진 상기 구동 출력 부재와 접속하여 구동력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착 키트.
  58. 카트리지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과,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카트리지의 제1 측에 배치된 기어 부재와,
    상기 카트리지의 제1 측에 배치된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측과 반대의 측을 상기 카트리지의 제2 측이라고 부르면,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어 부재의 이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경사부보다도, 상기 카트리지의 제2 측에 대하여 멀리 위치하고 있고,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으로부터 상기 경사부까지를 상기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잰 거리는,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측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커지고,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으로부터 상기 기어 부재의 축선까지의 거리가 바뀌도록, 상기 기어 부재는 이동 가능한, 카트리지.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부재는 헬리컬 기어인, 카트리지.
  60. 제58항 또는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부재는, 상기 감광체 드럼에 구동 전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61. 제58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드럼의 단부 근방에 배치된, 상기 감광체 드럼에 구동 전달 가능한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62. 경동 가능하고 구동력을 출력 가능한 구동 출력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과,
    상기 감광체 드럼의 단부 근방에 위치하고, 구동력을 상기 감광체 드럼을 향해 전달 가능하며,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커플링 부재로서, 구동 출력 부재로부터 구동력을 받을 수 있는 구동력 수용부와, (a) 상기 구동력 수용부와 함께 상기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또한 (b) 상기 구동력 수용부와 함께 회전 가능한 경사부를 갖는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가 상기 구동력 수용부보다도, 감광체 드럼의 축선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고 있고,
    상기 커플링 부재가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향해 이동할 때, 상기 경사부는, 상기 구동 출력 부재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구동 출력 부재와 상기 구동력 수용부가 계합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출력 부재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구동력 수용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원통부를 가지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원통부의 선단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64.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플링 부재는 미리 정해진 위상에서 유지되는, 카트리지.
  65. 제62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외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커플링 부재를 상기 구동 출력 부재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66.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와는 반대의 제2 단부를 갖는 감광체 드럼과,
    상기 감광체 드럼의 상기 제1 단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구동력을 상기 감광체 드럼에 전달 가능하고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커플링 부재로서, 돌출한 구동력 수용부와, 상기 구동력 수용부와 함께 진퇴 가능한 경사부를 갖는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가 상기 구동력 수용부보다도, 감광체 드럼의 축선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으로부터 상기 경사부까지를 상기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잰 거리는,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드럼의 상기 제2 단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커지는, 카트리지.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구동력 수용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원통부를 가지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원통부의 선단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68.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플링 부재는 미리 정해진 위상에서 유지되는, 카트리지.
  69. 제66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력 수용부보다도 상기 감광체 드럼의 상기 제2 단부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고 있는, 카트리지.
  70. 제66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외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커플링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를 향해 상기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KR1020227000837A 2019-06-12 2020-06-09 카트리지, 어태치먼트, 및 장착 키트 KR202200185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09672 2019-06-12
JP2019109672 2019-06-12
JPJP-P-2019-180284 2019-09-30
JP2019180284 2019-09-30
PCT/JP2020/023320 WO2020251053A1 (ja) 2019-06-12 2020-06-09 カートリッジ、アタッチメント、及び装着キ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595A true KR20220018595A (ko) 2022-02-15

Family

ID=73781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0837A KR20220018595A (ko) 2019-06-12 2020-06-09 카트리지, 어태치먼트, 및 장착 키트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11829096B2 (ko)
EP (1) EP3985274A4 (ko)
KR (1) KR20220018595A (ko)
CN (1) CN113939664A (ko)
AU (2) AU2020294030A1 (ko)
BR (1) BR112021023671A2 (ko)
CA (1) CA3141699A1 (ko)
CL (1) CL2021003302A1 (ko)
CO (1) CO2021017382A2 (ko)
MA (1) MA56211A (ko)
MX (1) MX2021015277A (ko)
TW (2) TW202403477A (ko)
WO (1) WO20202510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33304A4 (en) 2019-09-17 2023-09-13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APPARATUS AND IMAGE PRODUCING APPARATUS
JP7418109B2 (ja) 2019-09-30 2024-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16339094A (zh) 2020-12-07 2023-06-27 佳能株式会社 调色剂容器和图像形成系统
JP2022138657A (ja) * 2021-03-10 2022-09-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9990B2 (ja) 2001-10-10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970161B2 (ja) 2002-11-08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548564B2 (ja) 2002-11-08 2004-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ローラー組立方法
JP4401713B2 (ja) 2003-08-29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85062B2 (ja) 2004-03-30 2007-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30615B2 (ja) 2004-03-30 2011-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
JP4101248B2 (ja) 2004-04-16 2008-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4110128B2 (ja) 2004-04-26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軸受部材
US7158749B2 (en) 2004-04-26 2007-01-02 Canon Kabushiki Kaisha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cleaning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840232B2 (ja) 2004-05-06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185927B2 (ja) 2004-09-29 2008-11-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206596A (ja) * 2006-02-06 2007-08-16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280772B2 (ja) 2006-12-28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856192B2 (en) 2006-12-28 2010-12-2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5094186B2 (ja) 2007-04-10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094189B2 (ja) 2007-04-13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793371B2 (ja) * 2007-10-31 2011-10-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27584B2 (ja) * 2008-06-20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506236B2 (ja) 2009-04-30 2014-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286175B2 (ja) * 2009-06-30 2013-09-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
TWI442195B (zh) 2009-12-16 2014-06-21 Canon Kk 製程卡匣、感光滾筒單元、顯像單元及電子照片畫像形成裝置
JP5041014B2 (ja) * 2010-01-28 2012-10-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駆動力伝達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488958B2 (en) * 2010-01-28 2016-11-08 Zhuhai Seine Technology Co., Ltd. Process cartridge having a driving force receiver
EP3176649B1 (en) 2010-01-28 2021-03-31 Ninestar Corporation Cartridge
JP2011186447A (ja) 2010-02-15 2011-09-22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611102B2 (ja) 2010-04-30 2014-10-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ドラム取り付け方法
JP5106656B2 (ja) 2010-06-22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132736B2 (ja) 2010-08-30 2013-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接点部材、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2088687A (ja) 2010-09-24 2012-05-10 Canon Inc 感光体ドラ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N103688224B (zh) 2011-07-14 2017-10-31 佳能株式会社 显影剂容纳单元、处理盒和电子照相成像设备
JP5420025B2 (ja) 2011-07-14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TWI640849B (zh) * 2011-12-06 2018-11-11 日商佳能股份有限公司 旋轉力傳達單元
JP2013122537A (ja) * 2011-12-12 2013-06-2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駆動伝達装置
KR101919185B1 (ko) 2012-06-08 2018-11-1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포장 부재 및 포장 부재에 포장된 카트리지
JP6112783B2 (ja) 2012-06-08 2017-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梱包体
JP6053404B2 (ja) 2012-06-15 2016-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108728B2 (ja) 2012-08-31 2017-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梱包材及びカートリッジ
JP6202911B2 (ja) 2012-09-07 2017-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116162B2 (ja) 2012-09-10 2017-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066841B2 (ja) 2012-09-10 2017-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056045A (ja) 2012-09-11 2014-03-27 Canon Inc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120730B2 (ja) 2012-09-13 2017-04-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EP2738619B1 (en) * 2012-11-29 2021-04-21 Canon Kabushiki Kaisha Belt transpor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184311B2 (ja) * 2012-12-14 2017-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12971B2 (ja) 2013-01-11 2017-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282149B2 (ja) 2013-06-05 2018-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及び現像装置並びに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100110B2 (ja) 2013-07-03 2017-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装置本体、及びカートリッジ装着システム
JP6415198B2 (ja) 2013-09-12 2018-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274892B2 (ja) 2014-02-04 2018-0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器、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381222B2 (ja) 2014-02-18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544982B2 (ja) 2014-05-29 2019-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73065B2 (ja) 2014-05-29 2018-08-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73078B2 (ja) 2014-06-13 2018-08-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329517B2 (en) * 2014-09-30 2016-05-03 Clover Technologies Group, Llc Drive receiving member for an imaging cartridge
EP3936944B1 (en) 2014-11-28 2024-05-15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member constitut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671997B2 (ja) 2015-02-05 2020-03-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感光体ユニット、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A3028566C (en) 2015-02-27 2023-01-03 Canon Kabushiki Kaisha Drum unit, cartridge and coupling member
PL3264196T3 (pl) 2015-02-27 2021-05-04 Canon Kabushiki Kaisha Kartrydż
WO2017057781A1 (ja) 2015-09-30 2017-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2411982B1 (ko) * 2016-06-14 2022-06-2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2205704B1 (ko) 2016-08-26 2021-01-2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드럼 유닛,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커플링 부재
CA3034218A1 (en) 2016-08-26 2018-03-01 Canon Kabushiki Kaisha Drum unit,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JP6855284B2 (ja) 2017-03-03 2021-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200357A (ja) * 2017-05-26 2018-12-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CN116719217A (zh) 2017-06-30 2023-09-08 珠海纳思达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处理盒的动力接收单元、旋转部件和处理盒
JP2019020542A (ja) * 2017-07-14 2019-02-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N116184786A (zh) 2017-12-13 2023-05-30 佳能株式会社 盒与图像形成装置
JP7058992B2 (ja) * 2017-12-13 2022-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7060951B2 (ja) 2017-12-18 2022-04-27 株式会社オービック リベート管理装置、リベート管理方法、および、リベート管理プログラム
JP7146410B2 (ja) 2018-02-21 2022-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18116305A (ja) * 2018-03-30 2018-07-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9180284A (ja) 2018-04-06 2019-10-24 株式会社食工房のだ屋 浸出飲料、ティーバッグ及び浸出飲料用素材
JP7366599B2 (ja) 2018-06-25 2023-10-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7262983B2 (ja) 2018-11-30 2023-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3674814A3 (en) 2018-12-28 2020-10-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pparatus body thereof
JP7218178B2 (ja) 2018-12-28 2023-02-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7187305B2 (ja) 2018-12-28 202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US10969730B2 (en) 2019-02-25 2021-04-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unit
JP7305417B2 (ja) 2019-04-25 202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403477A (zh) 2024-01-16
CA3141699A1 (en) 2020-12-17
AU2024200755A1 (en) 2024-02-22
CO2021017382A2 (es) 2022-01-17
JP2021056492A (ja) 2021-04-08
AU2020294030A1 (en) 2021-12-02
BR112021023671A2 (pt) 2022-01-04
MX2021015277A (es) 2022-01-18
CL2021003302A1 (es) 2022-09-09
US20220075312A1 (en) 2022-03-10
WO2020251053A1 (ja) 2020-12-17
EP3985274A4 (en) 2023-06-28
MA56211A (fr) 2022-04-20
EP3985274A1 (en) 2022-04-20
US20240012357A1 (en) 2024-01-11
CN113939664A (zh) 2022-01-14
US11829096B2 (en) 2023-11-28
TWI799716B (zh) 2023-04-21
TW202105091A (zh) 202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18595A (ko) 카트리지, 어태치먼트, 및 장착 키트
RU2690046C1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картридж и электрофотограф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DE112009005570B3 (de) Kartusche und elektrofotografische Bilderzeugungsvorrichtung mit dieser Kartusche
JP6516815B2 (ja) 回転力伝達ユニット
KR102402358B1 (ko)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461609B1 (ko) 카트리지,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부재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533446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JP520823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3969804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WO2018037573A1 (ja) ドラムユニット、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ップリング部材
JP2010197893A (ja)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8233868A (ja) 回転力伝達部品
JP2019105750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2015158692A (ja)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7483518B2 (ja) カートリッジ、アタッチメント、及び装着キット
JP583814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処理装置
JP3768998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8120076A (ja) 画像形成装置
JP4208932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91917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3134291A (ja) 現像剤収容器
WO2014141446A1 (ja) 現像カートリッジ
JP202105649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