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115A -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115A
KR20210076115A KR1020217014953A KR20217014953A KR20210076115A KR 20210076115 A KR20210076115 A KR 20210076115A KR 1020217014953 A KR1020217014953 A KR 1020217014953A KR 20217014953 A KR20217014953 A KR 20217014953A KR 20210076115 A KR20210076115 A KR 20210076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ground connection
coaxial connector
conducto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4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9024B1 (ko
Inventor
아오이 타나카
카츠미 코니시
다이스케 오카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329000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1007611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10076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중심 도체(42) 및 외부 도체(41)를 갖는 동축 케이블(40)이 접속되는 제 1 커넥터(10)와, 그라운드 접속부(57)를 갖는 회로 기판(50)에 실장되는 제 2 커넥터 (20)를 구비하는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 제 1 커넥터는 제 1 외부 단자 (16)를 갖고, 제 2 커넥터는 제 2 외부 단자(26)를 갖고, 제 1 외부 단자는 외부 도체 클램프부(16c)와, 제 1 외부 접촉부(16b)와, 외부 도체 클램프부와 제 1 외부 접촉부 사이에 위치해서 중심 도체의 선단부(42a)를 둘러싸는 선단 위요부(16m)를 구비하고, 선단 위요부와, 제 2 외부 단자 또는 그라운드 접속부 사이에는, 쇼트컷 접속로(16s, 60, 70)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본 발명은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동축 커넥터는 절연체와 중앙 단자와 하우징을 갖고, 하우징이 원통 형상의 본체부와, 플레이트부와, 플레이트부의 단부에 배치되어서 동축 케이블을 클램프하는 케이블 클램프부를 갖는 것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1의 동축 커넥터에서는, 본체부와 케이블 클램프부 사이에 사이드암을 형성해서, 절연체가 사이드암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그리고, 사이드암의 전면측에 원호면을 형성하고, 원호면이 본체부의 외단부에 접촉하는 것을 개시한다.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 2010/0041270호 명세서(US2010/0041270 A1)
특허문헌 1의 동축 커넥터(제 1 커넥터)에서는, 하우징을 구성하는 본체부와 사이드암 사이에서의 접촉, 즉 동축 커넥터의 하우징 내에서의 접촉을 개시하는 것 뿐이며, 상대방 커넥터(제 2 커넥터)의 하우징과의 관계를 조금도 개시하는 것이 아니다.
그런데, 동축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불필요한 전위차가 발생함으로써 노이즈가 방사 전파하기 쉬워져, 고주파 대역에 있어서의 안정된 신호 전송이 방해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고주파 대역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는,
중심 도체 및 외부 도체를 갖는 동축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 1 커넥터와, 그라운드 접속부를 갖는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는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제 1 외부 단자를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외부 단자에 접속되는 제 2 외부 단자를 갖고,
상기 제 1 외부 단자는, 상기 외부 도체를 클램프하는 외부 도체 클램프부와, 상기 제 2 외부 단자에 접속되는 제 1 외부 접촉부와, 상기 외부 도체 클램프부와 상기 제 1 외부 접촉부 사이에 위치해서 상기 중심 도체의 선단부를 둘러싸는 선단 위요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외부 단자는, 상기 제 1 외부 접촉부에 접속되는 제 2 외부 접촉부와, 상기 회로 기판의 그라운드 접속부에 실장되는 제 2 외부 실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 위요부와, 상기 제 2 외부 단자 또는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 사이에는 쇼트컷 접속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는,
중심 도체 및 외부 도체를 갖는 동축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 1 커넥터와, 그라운드 접속부를 갖는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는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제 1 외부 단자를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외부 단자에 접속되는 제 2 외부 단자를 갖고,
상기 제 1 외부 단자는, 상기 외부 도체를 클램프하는 외부 도체 클램프부와, 상기 제 2 외부 단자에 접속되는 제 1 외부 접촉부와, 상기 외부 도체 클램프부와 상기 제 1 외부 접촉부 사이에 위치해서 상기 중심 도체의 선단부를 둘러싸는 선단 위요부와, 상기 제 1 외부 접촉부와 상기 선단 위요부를 접속하는 외부 도체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외부 단자는, 상기 제 1 외부 접촉부에 접속되는 제 2 외부 접촉부와, 상기 회로 기판의 그라운드 접속부에 실장되는 제 2 외부 실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도체 접속부를 개재하지 않고, 상기 선단 위요부와, 상기 제 2 외부 단자 또는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를 접속하는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외부 도체 접속부보다 상기 회로 기판의 가까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의하면, 쇼트컷 접속로에 의해, 제 1 외부 단자의 선단 위요부와, 제 2 외부 단자 또는 회로 기판의 그라운드 접속부가 짧은 거리로 연결되므로, 고주파 대역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접속부에 의해, 제 1 외부 단자의 선단 위요부와, 제 2 외부 단자 또는 회로 기판의 그라운드 접속부가 짧은 거리로 연결되므로, 고주파 대역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동축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동축 케이블 부착 제 1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동축 케이블 부착 제 1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동축 케이블 부착 제 1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동축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제 2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제 2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동축 케이블 부착 제 1 커넥터에 제 2 커넥터를 감합시킨 커넥터 감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커넥터 감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VIII-VIII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개재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개재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개재 부재를 개재 배치함과 아울러 제 2 커넥터를 회로 기판에 실장 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개재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개재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케이블 부착 제 1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브리지 접속부를 배치함과 아울러 제 2 커넥터를 회로 기판에 실장 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실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실드 부재를 배치함과 아울러 제 2 커넥터를 회로 기판에 실장한,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XX-XX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케이블 부착 제 1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상,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쇼트컷 접속로란, 제 1 외부 단자(16)의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단자(26)(제 2 외부 접촉부(26b), 제 2 외부 실장부(26a)를 포함한다.), 또는, 회로 기판(50)의 그라운드 접속부(57) 사이를, 스프링성이나 접촉 구조를 고려한 후에, 가능한 한 짧은 거리에서, 즉 지름길로 접속하는 경로를 의미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접속부란, 외부 도체 접속부(16a)보다 회로 기판(50)의 가까이에 위치해서, 바꿔 말하면, 외부 도체 접속부(16a)의 반대측 (즉, 회로 기판(50)에 가까운 측)에 위치해서, 외부 도체 접속부(16a)를 개재하지 않고,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단자(26) 또는 그라운드 접속부(57)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별도의 부재를 의미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위요」란, 접촉 상태에서 또는 비접촉 상태에서, 어떤 것이 다른 것의 주위를 둘러싸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동축 커넥터 세트〕
도 6은 동축 케이블(40) 부착 제 1 커넥터(10)에 제 2 커넥터(20)를 감합시킨 커넥터 감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커넥터 감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VIII-VIII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에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 커넥터 세트(30)는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를 구비한다. 동축 커넥터 세트(30)는, 제 1 커넥터(10)를 상대방의 제 2 커넥터(20)에 대하여 삽발(揷拔) 방향(Z축 방향)으로 삽발 가능하게 감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커넥터(10)가 동축 케이블(40)에 접속되는 것에 대해서, 제 2 커넥터(20)는 회로 기판(50)에 실장된다. 도 7 및 도 8의 동축 커넥터 세트(30)는, 회로 기판(50)에 실장된 제 2 커넥터(20)에 대하여 제 1 커넥터(10)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제 1 커넥터(10)를 제 2 커넥터(20)를 향해서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20)가 서로 감합한 커넥터 감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커넥터〕
도 1은, 도 6에서 도 8에 나타낸 동축 커넥터 세트(30)를 구성하는, 동축 케이블(40) 부착 제 1 커넥터(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동축 케이블(40) 부착 제 1 커넥터(10)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동축 케이블(40) 부착 제 1 커넥터(10)의 측면도이다.
도 1에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10)는, 제 1 절연 부재(부싱)(12)와, 제 1 내부 단자(센터 소켓)(14)와, 제 1 외부 단자(하우징)(16)를 갖는 L형 동축 커넥터이다. 제 1 커넥터(10)는, 전기적 접속에 따른 구성 요소에 대해서,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동축 케이블(40)의 축방향에 대하여 대략 대칭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내부 단자(14)는 동축 케이블(40)의 중심 도체(42)에 접속되는 단자이다. 제 1 내부 단자(14)는 제 1 절연 부재(12)에 의해 제 1 외부 단자(16)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제 1 내부 단자(14)는 도전성을 갖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내부 단자(14)는, 예를 들면, 동합금 소재와 같은 1매의 금속판으로 제작되어서, 그 표면에 니켈 및 금의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제 1 내부 단자(14)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 1 절연 부재(12)와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절연 부재(12)와 제 1 내부 단자(14) 사이의 위치 결정을 정확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정밀도는 요구되지만, 상기 일체화의 형태는, 제 1 절연 부재(12)에 제 1 내부 단자(14)를 끼워 넣음으로써 형성해도 좋다.
제 1 내부 단자(14)는 제 1 내부 접촉부(14a)와 중심 도체 접속부(14b)를 구비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내부 단자(14)는 단면에서 보아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제 1 내부 접촉부(14a)는, 동축 케이블(40)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즉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내부 접촉부(14a)는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잘려진 대략 원통 형상을 하고 있다.
제 1 내부 접촉부(14a)는, 제 2 커넥터(20)의 제 2 내부 단자(24)의 제 2 내부 접촉부(24a)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 1 내부 접촉부(14a)는 내주부에 접촉면을 갖는 암형(소켓형)으로 해서 구성된다.
중심 도체 접속부(14b)는, 동축 케이블(40)의 축방향으로, 즉 삽발 방향과 직교하는 횡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중심 도체 접속부(14b)는, 제 1 내부 접촉부(14a)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의 단자 부분이다. 중심 도체 접속부(14b)는, 동축 케이블(40)의 중심 도체(42)의 선단부(42a)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중심 도체 접속부(14b)의 동축 케이블(40)측의 단부와 중심 도체(42)의 선단부(42a)가, 납땜에 의해 고정되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중심 도체 접속부(14b)의 동축 케이블(40)측의 단부에, 두 갈래로 분기된 두 갈래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두 갈래부가 중심 도체 접속부(14b)를 사이에 둠으로써 접속이 더욱 강화된다.
제 1 외부 단자(16)는 동축 케이블(40)의 외부 도체(41)에 접속되는 단자이다. 제 1 외부 단자(16)는 도전성을 갖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외부 단자(16)는, 예를 들면, 동합금 소재와 같은 1매의 금속판으로 제작되어서, 그 표면에 니켈 및 금의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제 1 외부 단자(16)는, 외부 도체 접속부(16a)와, 제 1 외부 접촉부(16b)와, 외부 도체 클램프부(16c)와, 빠짐 방지부(16e)와, 선단 위요부(16m)와, 케이블 클램프부(16n)를 구비한다.
외부 도체 접속부(16a)는 제 1 외부 접촉부(16b)로부터 횡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을 하고 있다. 외부 도체 접속부(16a)는, 제 1 절연 부재(12) 및 동축 케이블(40)을 따르도록 위치해서, 제 1 절연 부재(12) 및 동축 케이블(40)을 유지한다.
제 1 외부 접촉부(16b)는 원통 형상을 하고 있고, 제 2 커넥터(20)의 제 2 외부 단자(26)에 감합한다. 제 1 외부 접촉부(16b)는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제 1 외부 접촉부(16b)는 동축 케이블(40)의 측에 개구부를 갖는다. 제 1 절연 부재(12)의 내부 유지부(12a)가, 제 1 외부 접촉부(16b)의 개구부를 통해서, 제 1 외부 접촉부(16b) 내에 삽입되어서 장착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에 의해 복수의 스프링 조각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단자보다, 제 1 외부 접촉부(16b)의 변형이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안정된 감합이 얻어진다. 제 1 외부 접촉부(16b)의 내측에는 제 1 내부 단자(14)의 제 1 내부 접촉부(14a)가 위치한다. 이 때, 제 1 외부 접촉부(16b)는,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제 1 내부 접촉부(14a)와 동축이 되도록 위치 결정된다.
제 1 외부 접촉부(16b)는, 둘레 방향 중 동축 케이블(40)의 측이 원호 형상으로 잘려진 절개부를 갖는 대략 원통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절개부를 통해서, 제 1 절연 부재(12)의 중심 도체 유지부(12b)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외부 도체 클램프부(16c)는 외부 도체 접속부(16a)로부터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외부 도체 클램프부(16c)는 폭방향(Y축 방향)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판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외부 도체 클램프부(16c)는 가상 중심선을 향해서 절곡되어 고정함으로써, 동축 케이블(40)의 외부 도체(41)와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외부 단자(16)와 외부 도체(41)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동축 케이블(40)이 제 1 외부 단자(16)에 클램프(유지·고정)된다.
빠짐 방지부(16e)는, 제 1 외부 접촉부(16b)로부터 동축 케이블(40)의 측으로 연장되는 측방 연장부에 설치되어 있다. 빠짐 방지부(16e)는 측방 연장부로부터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빠짐 방지부(16e)는 폭방향(Y축 방향)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판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빠짐 방지부(16e)를 가상 중심선을 향해 절곡되어 고정함으로써, 빠짐 방지부(16e)의 선단부가 중심 도체 유지부(12b)의 빠짐 방지 오목부(12e)와 맞물린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빠짐 방지부(16e)에 의해, 제 1 절연 부재(12)의 중심 도체 유지부(12b)가,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되고, 제 1 절연 부재(12)가 제 1 외부 단자(16)에 유지·고정된다.
케이블 클램프부(16n)는, 외부 도체 클램프부(16c)보다 제 1 외부 접촉부(16b)의 반대측에 위치해서, 외부 도체 접속부(16a)로부터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케이블 클램프부(16n)는, 폭방향(Y축 방향)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판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케이블 클램프부(16n)는 가상 중심선을 향해 절곡되어 고정함으로써 동축 케이블(40)의 외피(43)와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동축 케이블(40)이 제 1 외부 단자(16)에 클램프(유지·고정)된다.
선단 위요부(16m)는 제 1 외부 접촉부(16b)와 외부 도체 클램프부(16c) 사이에 위치해서, 외부 도체 접속부(16a)로부터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선단 위요부(16m)는 폭방향(Y축 방향)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판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선단 위요부(16m)는, 가상 중심선을 향해서 절곡함으로써, 폭방향(Y축 방향)의 단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을 형성한다. 사각 형상의 선단 위요부(16m)에 의해, 동축 케이블(40)의 중심 도체(42) 중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선단부(42a)가 위요된다.
제 1 절연 부재(12)는 제 1 내부 단자(14)와 제 1 외부 단자(16)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절연 부재(12)는 전기 절연성의 수지(예를 들면, 액정 폴리머 등)로 이루어지고, 제 1 내부 단자(14)와 제 1 외부 단자(16)를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제 1 절연 부재(12)는 내부 유지부(12a)와 중심 도체 유지부(12b)를 구비한다.
내부 유지부(12a)는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원형을 하고 있다. 내부 유지부(12a)는, 제 1 외부 접촉부(16b)의 개구부를 통해서,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 제 1 외부 접촉부(16b)의 내측에 장착 가능하게 치수 구성되어 있다. 내부 유지부(12a)에서는, 제 1 내부 단자(14)의 제 1 내부 접촉부(14a)가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 팽출되어 있다. 제 1 내부 접촉부(14a)는 내부 유지부(12a)와 동축이 되도록 내부 유지부(12a)와 일체화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 1 내부 접촉부(14a)가 내부 유지부(12a)와 일체화되고, 중심 도체 접속부(14b)의 일부가 내부 유지부(12a)와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절연 부재(12)와 제 1 내부 단자(14) 사이의 위치 결정을 정확히 행할 수 있다.
중심 도체 유지부(12b)는 내부 유지부(12a)로부터 동축 케이블(40)의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중심 도체 유지부(12b)는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직사각형을 하고 있다. 중심 도체 접속부(14b)의 잔부가, 중심 도체 유지부(12b)에 매설되어 있음과 아울러, 중심 도체 유지부(12b)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노출되어 있는 중심 도체 접속부(14b)의 단부는, 상술한 두 갈래부로서, 중심 도체(42)의 선단부(42a)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중심 도체 유지부(12b)의 폭방향(Y축 방향)의 상면부에는, 한쌍의 빠짐 방지 오목부(12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심 도체 접속부(14b)는, 동축 케이블(40)의 축방향으로, 즉 삽발 방향과 직교하는 횡방향(X축 방향)으로 평평한 면 형상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제 2 커넥터〕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10)의 상대방 커넥터로서 작용하는 제 2 커넥터(20)는, 제 2 내부 단자(센터 핀)(24)와, 제 2 외부 단자(26)와, 제 2 내부 단자(24)와 제 2 외부 단자(26)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절연 부재(수지 몰드)(22)를 구비한다.
제 2 내부 단자(24)는,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50)의 신호용 랜드부(56)에 접속되는 단자이다. 제 2 내부 단자(24)는 제 2 절연 부재(22)에 의해 제 2 외부 단자(26)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제 2 내부 단자(24)는 도전성을 갖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내부 단자(24)는, 예를 들면, 동합금 소재와 같은 1매의 금속판으로 제작되어서, 그 표면에 니켈 및 금의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제 2 내부 단자(24)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 2 절연 부재(22)와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2 절연 부재(22)와 제 2 내부 단자(24) 사이의 위치 결정을 정확히 행할 수 있다.
제 2 내부 단자(24)는 제 2 내부 접촉부(24a)와 제 2 내부 실장부(24b)를 구비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내부 단자(24)는 단면에서 보아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제 2 내부 접촉부(24a)는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내부 접촉부(24a)는 대략 원통 형상을 하고 있다. 제 2 내부 접촉부(24a)는, 제 1 커넥터(10)의 제 1 내부 단자(14)의 제 1 내부 접촉부(14a)와 접촉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제 2 내부 접촉부(24a)는, 외주부에 접촉면을 갖는 수형(핀형)으로 해서 구성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내부 실장부(24b)는, 땜납 등의 도전 부재에 의해, 회로 기판(50)의 신호용 랜드부(56)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 2 내부 접촉부(24a)를 암형으로 함과 아울러, 제 1 내부 접촉부(14a)를 수형으로 할 수도 있다.
제 2 외부 단자(26)는,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50)의 그라운드용 랜드부(57)에 접속되는 단자이다. 제 2 외부 단자(26)는 도전성을 갖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외부 단자(26)는, 예를 들면, 동합금 소재와 같은 1매의 금속판으로 제작되어서, 그 표면에 니켈 및 금의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제 2 외부 단자(26)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 2 절연 부재(22)와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구성 에 의하면, 제 2 절연 부재(22)와 제 2 외부 단자(26) 사이의 위치 결정을 정확히 행할 수 있다.
제 2 외부 단자(26)는 제 2 외부 실장부(26a)와 제 2 외부 접촉부(26b)를 구비한다.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외부 실장부(26a)는, 땜납 등의 도전 부재에 의해, 회로 기판(50)의 그라운드용 랜드부(57)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외부 접촉부(26b)는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외부 접촉부(26b)는 대략 원통 형상을 하고 있다. 제 2 외부 접촉부(26b)는 제 2 내부 접촉부(24a)와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외부 접촉부(26b)는 제 1 커넥터(10)의 제 1 외부 단자(16)의 제 1 외부 접촉부(16b)와 접촉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외부 접촉부(26b)의 외주면에는 감합 오목부(26h)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커넥터(10)를 제 2 커넥터(20)에 감합시킬 때, 제 2 외부 접촉부(26b)의 감합 오목부(26h)는, 제 1 외부 접촉부(16b)의 감합 볼록부(16h)와 감합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9에서 도 12를 참조하면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를 설명한다.
도 9는 개재 부재(60)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개재 부재(60)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개재 부재(60)를 개재 배치함과 아울러 제 2 커넥터(20)를 회로 기판(50)에 실장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재 부재(60)는, 판형상의 바디(61)와, 바디(61)의 단부로부터 역J자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의 2개의 탄성 지지부(62, 62)와, 탄성 지지부(62)의 내면에 형성되는 접촉부(65)를 구비한다. 2개의 탄성 지지부(62, 62)의 폭방향(Y축 방향)의 이간 거리는, 선단 위요부(16m)의 폭방향(Y축 방향)의 부분을 받아들임과 아울러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치수 구성되어 있다. 2개의 탄성 지지부(62, 62)에 의한 탄성 지지력은 폭방향(Y축 방향)으로 작용한다. 접촉부(65)를 구비하는 탄성 지지부(62)는, 탄성 지지 기능 및 전기적 접속 기능을 갖는다.
개재 부재(60)는 도전성 및 탄성을 갖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동합금 소재와 같은 1매의 금속판으로 제작되어 있다. 접촉부(65) 및 그 주변 부분의 표면에는, 니켈 및 금의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접촉부(65)는, 역J자 형상으로 만곡된 탄성 지지부(62)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부(65)는 곡면 형상으로 접촉하게 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재 부재(60)는, 바디(61)가 폭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에서, 땜납 등의 도전 부재에 의해, 회로 기판(50)의 그라운드용 랜드부(57)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개재 부재(60)는 회로 기판(50)의 그라운드용 랜드부(57)에 실장·고정되어 있다. 그것과 함께, 제 2 커넥터(20)의 제 2 외부 실장부(26a)는, 땜납 등의 도전 부재에 의해, 회로 기판(50)의 그라운드용 랜드부(57)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제 2 커넥터(20)는 회로 기판(50)의 그라운드용 랜드부(57)에 실장·고정되어 있다.
상기 상태에 있어서, 제 1 커넥터(10)를 제 2 커넥터(20)를 향해서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감합 동작이 행해진다. 이 때, 제 1 커넥터(10)의 제 1 외부 접촉부(16b) 및 제 2 커넥터(20)의 제 2 외부 접촉부(26b)가 맞물려서, 제 1 외부 접촉부(16b) 및 제 2 외부 접촉부(26b)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것과 함께, 제 1 커넥터(10)의 선단 위요부(16m) 및 개재 부재(60)의 2개의 탄성 지지부(62, 62)가 맞물려서, 개재 부재(60)의 2개의 접촉부(65, 65)가 선단 위요부(16m)의 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선단 위요부(16m) 및 2개의 접촉부(65, 65)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런데, 제 1 외부 접촉부(16b)와 선단 위요부(16m)를 동일 그라운드에 접속하고 있어도, 고주파 대역에서는, 제 1 외부 접촉부(16b)와 선단 위요부(16m) 사이에서는, 제 1 외부 단자(16)를 따라 우회하는 우회 접속로가 형성되게 된다. 그 때문에, 제 1 외부 단자(16)에 있어서, 제 1 외부 접촉부(16b)와 선단 위요부(16m) 사이에서 전위차가 발생함으로써, 노이즈가 방사 전파하기 쉬워져, 고주파 대역에 있어서의 안정된 신호 전송이 방해된다.
제 1 커넥터(10)의 선단 위요부(16m)와 회로 기판(50)의 그라운드용 랜드부(57) 사이에 별도의 부재로서 배치된 개재 부재(60)는, 선단 위요부(16m)와 회로 기판(50)의 그라운드용 랜드부(그라운드 접속부)(57) 사이를 잇는 쇼트컷 접속로 또는 접속부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쇼트컷 접속로 또는 접속부로서 작용하는 개재 부재(60)에 의해, 회로 기판(50)의 그라운드 접속부(57)와, 제 1 외부 단자(16)의 선단 위요부(16m)가 짧은 거리로 연결되므로, 고주파 대역(예를 들면, 메가헤르츠대나 기가헤르츠대)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이것은, 쇼트컷 접속로 또는 접속부에 의해 선단 위요부(16m)와 그라운드 접속부(57) 사이의 전위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 2 실시형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를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는, 개재 부재(60)에 있어서의 접촉부(65)의 위치가 상위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개재 부재(60)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개재 부재(60)의 평면도이다. 개재 부재(60)는 판형상의 바디(61)와, 2개의 탄성 지지부(62, 62)와, 복수의 탄성 접촉부(64)와, 복수의 접촉부(65)를 구비한다. 복수의 탄성 접촉부(64)는, 바디(61)의 일측의 복수 개소를 횡방향(X축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잘려서, 캔틸레버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탄성 바이어싱력을 갖는다. 복수의 탄성 접촉부(64)의 탄성 바이어싱력은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 작용한다. 접촉부(65)를 구비하는 탄성 접촉부(64)는 탄성적인 전기적 접속을 제공한다. 복수의 접촉부(65)는 탄성 접촉부(64)의 상면에 형성된다. 접촉부(65) 및 그 주변 부분의 표면에는 니켈 및 금의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낸 예에서는, 3개의 탄성 접촉부(64, 64, 64)와 3개의 접촉부(65, 65, 65)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65)는, 탄성 접촉부(64)에 있어서, 폭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 형상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부(65)는 선 형상의 접촉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부(65)의 접촉압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접촉부(65)를 탄성 지지부(62)에 형성했을 경우보다, 커넥터의 삽발 동작에 의한 마모에 기인한, 접촉부(65)의 전기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10)를 제 2 커넥터(20)를 향해서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 시킴으로써, 감합 동작이 행해진다. 이 때, 제 1 커넥터(10)의 제 1 외부 접촉부(16b) 및 제 2 커넥터(20)의 제 2 외부 접촉부(26b)가 맞물려서, 제 1 외부 접촉부(16b) 및 제 2 외부 접촉부(26b)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것과 함께, 제 1 커넥터(10)의 선단 위요부(16m) 및 개재 부재(60)의 2개의 탄성 지지부(62, 62)가 맞물린다. 이 때, 개재 부재(60)의 3개의 접촉부(65, 65, 65)가, 선단 위요부(16m)의 저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선단 위요부(16m) 및 3개의 접촉부(65, 65, 65) 사이에서, 안정된 전기적 접속이 얻어진다.
제 1 커넥터(10)의 선단 위요부(16m)와 회로 기판(50)의 그라운드용 랜드부(57) 사이에 별도의 부재로서 배치된 개재 부재(60)는, 선단 위요부(16m)와 회로 기판(50)의 그라운드용 랜드부(그라운드 접속부)(57) 사이를 잇는 쇼트컷 접속로 또는 접속부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쇼트컷 접속로 또는 접속부로서 작용하는 개재 부재(60)에 의해, 회로 기판(50)의 그라운드 접속부(57)와, 제 1 외부 단자(16)의 선단 위요부(16m)가 짧은 거리로 연결되므로, 고주파 대역(예를 들면, 메가헤르츠대나 기가헤르츠대)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이것은, 쇼트컷 접속로 또는 접속부에 의해 선단 위요부(16m)와 그라운드 접속부(57) 사이의 전위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 3 실시형태〕
도 15에서 도 17을 참조하면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를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는,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접촉부(26b) 또는 제 2 외부 실장부(26a) 사이를 잇는 쇼트컷 접속로로서, 브리지 접속부(16s)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5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케이블(40) 부착 제 1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브리지 접속부(16s)를 배치함과 아울러 제 2 커넥터(20)를 회로 기판(50)에 실장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15에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브리지 접속부(16s, 16s)가 선단 위요부(16m)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브리지 접속부(16s)가, 제 1 외부 접촉부(16b)의 측의 측단면으로부터, 제 2 외부 접촉부(26b)까지 횡방향(X축 방향)으로 판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브리지 접속부(16s)는 선단 위요부(16m)의 일부로서 배치되어 있다.
브리지 접속부(16s)에 접속되는 제 2 외부 단자(26)의 측의 부분은, 선단 위요부(16m)에 대면하는 위치에 있고, 회로 기판(50)의 그라운드용 랜드부(그라운드 접속부)(5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브리지 접속부(16s)에 접속되는 제 2 외부 단자(26)의 측의 부분은, 제 2 외부 접촉부(26b)에 있어서의 동축 케이블(40)의 측의 측면, 또는, 제 2 외부 실장부(26a)에 있어서의 동축 케이블(40)의 측의 상면이다.
브리지 접속부(16s)는 폭방향(Y축 방향)으로부터의 측면에서 보아 L자 형상을 하고 있다. 브리지 접속부(16s)에 있어서의 제 1 외부 접촉부(16b)의 측의 선단부는, 제 1 외부 접촉부(16b)의 측의 측면 또는 제 2 외부 실장부(26a)의 측의 하면에 있어서, 접촉부(16t)를 갖는다. 접촉부(16t) 및 그 주변 부분의 표면에는 니켈 및 금의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브리지 접속부(16s)는, 제 1 외부 접촉부(16b)의 측의 측단면에 있어서, 캔틸레버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탄성 바이어싱력을 갖는다. 브리지 접속부(16s)의 탄성 바이어싱력은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 작용한다. 접촉부(16t)를 구비하는 브리지 접속부(16s)는 탄성적인 접촉을 제공함으로써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제공한다.
제 1 커넥터(10)를 제 2 커넥터(20)를 향해서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감합 동작이 행해진다. 이 때, 제 1 커넥터(10)의 제 1 외부 접촉부(16b) 및 제 2 커넥터(20)의 제 2 외부 접촉부(26b)가 맞물려서, 제 1 외부 접촉부(16b) 및 제 2 외부 접촉부(26b)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것과 함께, 2개의 브리지 접속부(16s, 16s)의 접촉부(16t, 16t)가, 제 2 외부 접촉부(26b)에 있어서의 동축 케이블(40)의 측의 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접촉부(26b) 사이에서 안정된 전기적 접속이 얻어진다.
제 1 커넥터(10)의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커넥터(20)의 제 2 외부 접촉부(26b) 사이에 배치된 브리지 접속부(16s)는,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접촉부(26b) 사이를 잇는 쇼트컷 접속로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쇼트컷 접속로로서 작용하는 브리지 접속부(16s)에 의해, 제 2 외부 접촉부(26b)와, 제 1 외부 단자(16)의 선단 위요부(16m)가 짧은 거리로 연결되므로, 고주파 대역(예를 들면, 메가헤르츠대나 기가헤르츠대)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이것은, 쇼트컷 접속로에 의해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접촉부(26b) 사이의 전위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브리지 접속부(16s)의 형상에 의해, 삽발 방향(Z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X-Y 평면 방향) 중 어느 방향에 있어서도 제 1 커넥터(10)가 연장되도록, 제 1 커넥터(10)를 제 2 커넥터(20)에 감합시켜도, 쇼트컷 접속로의 접속성이 유지된다.
또한, 브리지 접속부(16s)에 있어서의 제 1 외부 접촉부(16b)의 측의 선단부는, 제 2 외부 실장부(26a)의 측의 하면에 있어서 접촉부(16t)를 가져서, 제 2 외부 실장부(26a)에 있어서의 동축 케이블(40)의 측의 상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실장부(26a) 사이에서, 안정된 전기적 접속이 얻어진다.
또한, 2개의 브리지 접속부(16s, 16s)가, 제 2 외부 실장부(26a)에 배치되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브리지 접속부(16s, 16s)가, 제 2 외부 실장부(26a)에 있어서의 동축 케이블(40)의 측의 상면으로부터, 선단 위요부(16m)까지 횡방향(X축 방향)으로 판형상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즉, 브리지 접속부(16s)는 제 2 외부 실장부(26a)의 일부로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접속부(16s)에 있어서의 동축 케이블(40)의 측의 선단부는 접촉부를 가져서, 선단 위요부(16m)의 상면, 하면 또는 측단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쇼트컷 접속로 또는 접속부로서 작용하는 브리지 접속부(16s)에 의해,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실장부(26a) 사이에서, 안정된 전기적 접속이 얻어진다.
또한, 2개의 브리지 접속부(16s, 16s)가, 제 2 외부 접촉부(26b)에 배치되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브리지 접속부(16s, 16s)가, 제 2 외부 접촉부(26b)에 있어서의 동축 케이블(40)의 측의 측단부로부터, 선단 위요부(16m)까지 횡방향(X축 방향)으로 판형상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즉, 브리지 접속부(16s)는 제 2 외부 접촉부(26b)의 일부로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접속부(16s)에 있어서의 동축 케이블(40)의 측의 선단부는 접촉부를 가져서, 선단 위요부(16m)의 상면, 하면 또는 측단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쇼트컷 접속로로서 작용하는 브리지 접속부(16s)에 의해, 제 1 외부 단자(16)의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커넥터(20)의 제 2 외부 접촉부(26b)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짧은 거리로 연결되므로, 고주파 대역(예를 들면, 메가헤르츠대나 기가헤르츠대)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8에서 도 20을 참조하면서,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를 설명한다.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는,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접촉부(26b) 또는 제 2 외부 실장부(26a) 사이를 잇는 쇼트컷 접속로로서, 실드 부재(7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8은 실드 부재(70)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실드 부재(70)를 배치함과 아울러 제 2 커넥터(20)를 회로 기판(50)에 실장한,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XX-XX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드 부재(70)는 바디(71)와, 실드부(72)와, 제 1 탄성 접촉부(73)와, 제 1 접촉부(74)와, 제 2 탄성 접촉부(75)와, 제 2 접촉부(76)를 갖는다. 실드 부재(70)는, 폭방향(Y축 방향)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판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실드 부재(70)는 도전성 및 탄성을 갖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동합금 소재와 같은 1매의 금속판으로 제작되어 있다. 실드 부재(70)는 가상 중심선을 향해서 절곡됨으로써 외부 도체 접속부(16a)의 상면에 맞물린다. 절곡된 실드 부재(70)는 폭방향(Y축 방향)의 단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을 형성한다. 직사각 형상의 실드 부재(70)의 상면 부분, 측면 부분 및 하면 부분은, 제 1 외부 접촉부(16b)와 선단 위요부(16m)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덮는 실드부(72)로서 작용한다. 제 1 외부 접촉부(16b)와 선단 위요부(16m)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실드부(72)로 덮음으로써, 상기 간극에 있어서의 노이즈의 출입을 저감시킬 수 있다.
실드 부재(70)의 하면 부분에는, 제 1 탄성 접촉부(73) 및 제 2 탄성 접촉부(5)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탄성 접촉부(73)는, 바디(71)에 있어서의 제 1 외부 접촉부(16b)의 측의 측단면으로부터 연장되어, J자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을 하고 있다. 제 1 탄성 접촉부(73)는, 제 1 외부 접촉부(16b)의 측의 면에 있어서, 제 1 접촉부(74)를 갖는다. 제 1 접촉부(74) 및 그 주변 부분의 표면에는 니켈 및 금의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제 1 탄성 접촉부(73)는, 제 1 외부 접촉부(16b)의 측의 측단면에 있어서, 캔틸레버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탄성 바이어싱력을 갖는다. 제 1 탄성 접촉부(73)의 탄성 바이어싱력은 횡방향(X축 방향)으로 작용한다. 제 1 접촉부(74)를 구비하는 제 1 탄성 접촉부(73)는 탄성적인 접촉에 의해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제공한다.
제 2 탄성 접촉부(75)는, 바디(71)에 있어서의 동축 케이블(40)의 측의 측단면으로부터 연장되어, S자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을 하고 있다. 제 2 탄성 접촉부(75)는, 회로 기판(50)의 측의 면에 있어서 제 2 접촉부(76)를 갖는다. 제 2 접촉부(76) 및 그 주변 부분의 표면에는 니켈 및 금의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제 2 탄성 접촉부(75)는, 동축 케이블(40)의 측의 측단면에 있어서, 캔틸레버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탄성 바이어싱력을 갖는다. 제 2 탄성 접촉부(75)의 탄성 바이어싱력은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 작용한다. 제 2 접촉부(76)를 구비하는 제 2 탄성 접촉부(75)는, 탄성적인 접촉에 의해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제공한다.
제 1 커넥터(10)를 제 2 커넥터(20)를 향해서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 시킴으로써, 감합 동작이 행해진다. 이 때, 제 1 커넥터(10)의 제 1 외부 접촉부(16b) 및 제 2 커넥터(20)의 제 2 외부 접촉부(26b)가 맞물려서, 제 1 외부 접촉부(16b) 및 제 2 외부 접촉부(26b)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것과 함께, 제 1 탄성 접촉부(73)의 제 1 접촉부(74)가, 제 2 외부 접촉부(26b)에 있어서의 동축 케이블(40)의 측의 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함과 아울러, 제 2 탄성 접촉부(75)의 제 2 접촉부(76)가, 선단 위요부(16m)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50)의 측의 대향 벽부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접촉부(26b) 사이에서, 안정된 전기적 접속이 얻어진다.
제 1 커넥터(10)의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커넥터(20)의 제 2 외부 접촉부(26b) 사이에 배치된 실드 부재(70)는,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접촉부(26b) 사이를 잇는 쇼트컷 접속로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쇼트컷 접속로로서 작용하는 실드 부재(70)에 의해, 제 1 외부 단자(16)의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커넥터(20)의 제 2 외부 접촉부(26b)가 짧은 거리로 연결되므로, 고주파 대역(예를 들면, 메가헤르츠대나 기가헤르츠대)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이것은, 쇼트컷 접속로에 의해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접촉부(26b) 사이의 전위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드 부재(70)의 제 1 탄성 접촉부(73)의 형상에 의해, 삽발 방향(Z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X-Y 평면 방향) 중 어느 방향에 있어서도 제 1 커넥터(10)가 연장되도록, 제 1 커넥터(10)를 제 2 커넥터(20)에 감합시켜도, 쇼트컷 접속로의 접속성이 유지된다.
또한, 실드 부재(70)의 제 1 탄성 접촉부(73)는, 제 2 외부 실장부(26a)의 측의 대향면에 있어서, 제 1 접촉부(74)를 가져서, 제 2 외부 실장부(26a)에 있어서의 동축 케이블(40)의 측의 상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쇼트컷 접속로로서 작용하는 실드 부재(70)에 의해, 제 1 외부 단자(16)의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커넥터(20)의 제 2 외부 실장부(26a)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짧은 거리로 연결되므로, 고주파 대역(예를 들면, 메가헤르츠대나 기가헤르츠대)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21을 참조하면서,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를 설명한다.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는,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접촉부(26b) 또는 제 2 외부 실장부(26a) 사이를 잇는 쇼트컷 접속로 또는 접속부로서, 선단 위요부(16m)와는 별도의 부재인 브리지 접속부(16s)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21은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케이블(40) 부착 제 1 커넥터(10)의 평면도이다. 제 5 실시형태는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이므로, 이하, 양자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리지 접속부(16s)가 선단 위요부(16m)와는 별체로 구성되어 있다. 브리지 접속부(16s)는 도전성을 갖는 부재이다. 브리지 접속부(16s)는, 예를 들면, 동합금 소재와 같은 1매의 금속판으로 제작되어서, 그 표면에 니켈 및 금의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브리지 접속부(16s)는 접속부로서 작용하고, 외부 도체 접속부(16a)보다 회로 기판(50)의 가까이에 위치해서, 바꿔 말하면, 외부 도체 접속부(16a)의 반대측(즉, 회로 기판(50)에 가까운 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브리지 접속부(16s)는, 외부 도체 접속부(16a)를 개재하지 않고,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단자(26) 또는 그라운드 접속부(57)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재이다.
브리지 접속부(16s)는, 제 1 외부 접촉부(16b)의 빠짐 방지부(16e)로부터, 제 2 외부 접촉부(26b)까지 횡방향(X축 방향)으로 판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브리지 접속부(16s)에 있어서의 선단 위요부(16m)의 측의 일단부는, 빠짐 방지부(16e)와 제 1 절연 부재(12)의 중심 도체 유지부(12b) 사이에 끼워져서, 빠짐 방지부(16e)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브리지 접속부(16s)가, 빠짐 방지부(16e)에 의해 고정됨과 아울러 빠짐 방지부(16e)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빠짐 방지부(16e)는 선단 위요부(16m)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선단 위요부(16m)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브리지 접속부(16s)에 있어서의 선단 위요부(16m)와 반대측(즉, 제 2 외부 단자(26)의 측)의 타단부는, 제 2 외부 접촉부(26b)의 외형을 따른 형상을 하고 있고, 접촉부(16t)로서 작용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외부 접촉부(26b)가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원형상을 가질 경우, 브리지 접속부(16s)에 있어서의 선단 위요부(16m)와 반대측의 타단부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원호 형상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브리지 접속부(16s)의 타단부가 제 2 외부 접촉부(26b)에 대하여 확실히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브리지 접속부(16s)의 접촉부(16t)는, 제 2 외부 접촉부(26b)에 있어서의 동축 케이블(40)의 측의 측면, 또는, 제 2 외부 실장부(26a)에 있어서의 동축 케이블(40)의 측의 상면에 접촉해서, 전기적 접속을 행한다.
브리지 접속부(16s)는, 선단 위요부(16m)의 측의 일단부에 있어서, 캔틸레버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탄성 바이어싱력을 갖는다. 브리지 접속부(16s)의 탄성 바이어싱력은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 작용한다. 접촉부(16t)를 구비하는 브리지 접속부(16s)는 탄성적인 접촉을 제공함으로써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제공한다. 또한, 폭방향(Y축 방향)으로부터의 측면에서 보아서, 브리지 접속부(16s)의 선단 위요부(16m)의 측에는, 단차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부(16y)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적 접촉성 및 전기적 접속성이 향상한다.
브리지 접속부(16s)는, 외부 도체 접속부(16a)를 개재하지 않고,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단자(26) 또는 그라운드 접속부(57)를 접속함과 아울러, 외부 도체 접속부(16a)보다 회로 기판(50)의 가까이에 위치한다. 제 1 커넥터(10)의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커넥터(20)의 제 2 외부 접촉부(26b) 사이에 배치됨과 아울러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된 브리지 접속부(16s)는,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접촉부(26b) 사이를 잇는 쇼트컷 접속로 또는 접속부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쇼트컷 접속로 또는 접속부로서 작용하는 브리지 접속부(16s)에 의해, 제 2 외부 접촉부(26b)와, 제 1 외부 단자(16)의 선단 위요부(16m)가 짧은 거리로 연결되므로, 고주파 대역(예를 들면, 메가헤르츠대나 기가헤르츠대)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이것은, 쇼트컷 접속로 또는 접속부에 의해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접촉부(26b) 사이의 전위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브리지 접속부(16s)는, 빠짐 방지부(16e)에 의해 고정되어서, 빠짐 방지부(16e)를 통해 선단 위요부(16m)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브리지 접속부(16s)는, 선단 위요부(16m)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브리지 접속부(16s)는, 빠짐 방지부(16e)를 통하지 않고, 선단 위요부(16m)에 의해 고정해서 선단 위요부(16m)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브리지 접속부(16s)는, 외부 도체 접속부(16a)를 통하지 않고,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단자(26) 또는 그라운드 접속부(57)를 접속하는 접속부(16s)로서 작용하고, 브리지 접속부(16s)는 외부 도체 접속부(16a)보다 회로 기판(50)의 가까이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브리지 접속부(16s)에 의해, 제 1 외부 단자(16)의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단자(26) 또는 회로 기판(50)의 그라운드 접속부(57)가 짧은 거리로 연결되므로, 고주파 대역(예를 들면, 메가헤르츠대나 기가헤르츠대)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 및 실시형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는,
중심 도체(42) 및 외부 도체(41)를 갖는 동축 케이블(40)이 접속되는 제 1 커넥터(10)와, 그라운드 접속부(57)를 갖는 회로 기판(50)에 실장되는 제 2 커넥터(20)를 구비하는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10)는 상기 외부 도체(41)에 접속되는 제 1 외부 단자(16)를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20)는 상기 제 1 외부 단자(16)에 접속되는 제 2 외부 단자(26)를 갖고,
상기 제 1 외부 단자(16)는, 상기 외부 도체(41)를 클램프하는 외부 도체 클램프부(16c)와, 상기 제 2 외부 단자(26)에 접속되는 제 1 외부 접촉부(16b)와, 상기 외부 도체 클램프부(16c)와 상기 제 1 외부 접촉부(16b) 사이에 위치해서 상기 중심 도체(42)의 선단부(42a)를 둘러싸는 선단 위요부(16m)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외부 단자(26)는, 상기 제 1 외부 접촉부(16b)에 접속되는 제 2 외부 접촉부(26b)와,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57)에 실장되는 제 2 외부 실장부(26a)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 위요부(16m)와, 상기 제 2 외부 단자(26) 또는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57) 사이에는, 쇼트컷 접속로(16s, 60, 7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쇼트컷 접속로(16s, 60, 70)에 의해, 제 1 외부 단자(16)의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단자(26) 또는 회로 기판(50)의 그라운드 접속부(57)가 짧은 거리로 연결되므로, 고주파 대역(예를 들면, 메가헤르츠대나 기가헤르츠대)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에서는,
상기 쇼트컷 접속로(16s, 70)는 상기 선단 위요부(16m)와 상기 제 2 외부 접촉부(26b)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쇼트컷 접속로(16s, 70)에 의해,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접촉부(26b)가 짧은 거리로 연결되므로, 고주파 대역(예를 들면, 메가헤르츠대나 기가헤르츠대)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에서는,
상기 쇼트컷 접속로는 상기 선단 위요부(16m)와 상기 제 2 외부 실장부(26a)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쇼트컷 접속로(16s, 70)에 의해,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실장부(26a)가 짧은 거리로 연결되므로, 고주파 대역(예를 들면, 메가헤르츠대나 기가헤르츠대)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에서는,
상기 선단 위요부(16m)와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57) 사이를 잇는 상기 쇼트컷 접속로로서, 개재 부재(6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쇼트컷 접속로로서 기능하는 개재 부재(60)에 의해, 선단 위요부(16m)와 회로 기판(50)의 그라운드 접속부(57)가 짧은 거리로 연결되므로, 고주파 대역(예를 들면, 메가헤르츠대나 기가헤르츠대)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에서는,
상기 선단 위요부(16m)와 상기 개재 부재(60) 사이는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개재 부재(60)와 선단 위요부(16m) 사이의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제공한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에서는,
상기 선단 위요부(16m)와, 상기 제 2 외부 접촉부(26b) 또는 상기 제 2 외부 실장부(26a) 사이를 잇는 상기 쇼트컷 접속로로서, 브리지 접속부(16s)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쇼트컷 접속로로서 기능하는 브리지 접속부(16s)에 의해,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접촉부(26b) 또는 제 2 외부 실장부(26a)가 짧은 거리로 연결되므로, 고주파 대역(예를 들면, 메가헤르츠대나 기가헤르츠대)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에서는,
상기 선단 위요부(16m)와 상기 브리지 접속부(16s) 사이, 또는, 상기 제 2 외부 접촉부(26b) 또는 상기 제 2 외부 실장부(26a)와 상기 브리지 접속부(16s) 사이는,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선단 위요부(16m)와 브리지 접속부(16s) 사이, 또는, 제 2 외부 접촉부(26b) 또는 제 2 외부 실장부(26a)와 브리지 접속부(16s) 사이의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제공한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에서는,
상기 선단 위요부(16m)와, 상기 제 2 외부 접촉부(26b) 또는 상기 제 2 외부 실장부(26a) 사이를 잇는 상기 쇼트컷 접속로로서, 실드 부재(7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쇼트컷 접속로로서 기능하는 실드 부재(70)에 의해,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접촉부(26b) 또는 제 2 외부 실장부(26a)가 짧은 거리로 연결되므로, 고주파 대역(예를 들면, 메가헤르츠대나 기가헤르츠대)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에서는,
상기 실드 부재(70)가, 상기 제 1 외부 접촉부(16b)와 상기 선단 위요부(16m)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덮는 실드부(72)를 갖는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외부 접촉부(16b)와 선단 위요부(16m)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실드부(72)로 덮음으로써, 노이즈의 출입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에서는,
상기 제 1 커넥터(10)가 L형 동축 커넥터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외부 단자(16)의 선단 위요부(16m)와, 회로 기판(50)의 그라운드 접속부(57)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므로, 고주파 대역(예를 들면, 메가헤르츠대나 기가헤르츠대)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는,
중심 도체(42) 및 외부 도체(41)를 갖는 동축 케이블(40)이 접속되는 제 1 커넥터(10)와, 그라운드 접속부(57)를 갖는 회로 기판(50)에 실장되는 제 2 커넥터(20)를 구비하는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10)는 상기 외부 도체(41)에 접속되는 제 1 외부 단자(16)를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20)는 상기 제 1 외부 단자(16)에 접속되는 제 2 외부 단자(26)를 갖고,
상기 제 1 외부 단자(16)는, 상기 외부 도체(41)를 클램프하는 외부 도체 클램프부(16c)와, 상기 제 2 외부 단자(26)에 접속되는 제 1 외부 접촉부(16b)와, 상기 외부 도체 클램프부(16c)와 상기 제 1 외부 접촉부(16b) 사이에 위치해서 상기 중심 도체(42)의 선단부(42a)를 둘러싸는 선단 위요부(16m)와, 상기 제 1 외부 접촉부(16b)와 상기 선단 위요부(16m)를 접속하는 외부 도체 접속부(16a)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외부 단자(26)는, 상기 제 1 외부 접촉부(16b)에 접속되는 제 2 외부 접촉부(26b)와, 상기 회로 기판(50)의 그라운드 접속부(57)에 실장되는 제 2 외부 실장부(26a)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도체 접속부(16a)를 개재하지 않고, 상기 선단 위요부(16m)와, 상기 제 2 외부 단자(26) 또는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57)를 접속하는 접속부(16s)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16s)는 상기 외부 도체 접속부(16a)보다 상기 회로 기판(50)의 가까이에 위치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접속부(16s)에 의해, 제 1 외부 단자(16)의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단자(26) 또는 회로 기판(50)의 그라운드 접속부(57)가 짧은 거리로 연결되므로, 고주파 대역(예를 들면, 메가헤르츠대나 기가헤르츠대)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에서는,
상기 접속부(16s)는 상기 선단 위요부(16m)와 상기 제 2 외부 접촉부(26b)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속부(16s)에 의해,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접촉부(26b)가 짧은 거리로 연결되므로, 고주파 대역(예를 들면, 메가헤르츠대나 기가헤르츠대)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에서는,
상기 접속부(16s)의 상기 제 2 외부 접촉부(26b)의 측의 단부는, 상기 제 2 외부 접촉부(26b)의 외형을 따른 형상을 갖는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속부(16s)의 타단부가 제 2 외부 접촉부(26b)에 대하여 확실히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에서는,
상기 제 2 외부 접촉부(26b)는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원형상을 갖고, 상기 접속부(16s)의 상기 제 2 외부 접촉부(26b)의 측의 상기 단부는, 삽발 방향(Z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원호 형상을 갖는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속부(16s)의 타단부가 제 2 외부 접촉부(26b)에 대하여 확실히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에서는,
상기 접속부(16s)의 상기 제 2 외부 접촉부(26b)의 측의 단부가 상기 제 2 외부 접촉부(26b)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접속부(16s)의 상기 선단 위요부(16m)의 측에는 절곡부(16y)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탄성적 접촉성 및 전기적 접속성이 향상한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에서는,
상기 접속부(16s)는 상기 선단 위요부(16m)와 상기 제 2 외부 실장부(26a)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속부(16s)에 의해,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실장부(26a)가 짧은 거리로 연결되므로, 고주파 대역(예를 들면, 메가헤르츠대나 기가헤르츠대)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에서는,
상기 선단 위요부(16m)와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57) 사이를 잇는 상기 접속부(16s)로서, 개재 부재(6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속부(16s)로서 기능하는 개재 부재(60)에 의해, 선단 위요부(16m)와 회로 기판(50)의 그라운드 접속부(57)가 짧은 거리로 연결되므로, 고주파 대역(예를 들면, 메가헤르츠대나 기가헤르츠대)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에서는,
상기 선단 위요부(16m)와 상기 개재 부재(60) 사이는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개재 부재(60)와 선단 위요부(16m) 사이의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제공한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에서는,
상기 선단 위요부(16m)와, 상기 제 2 외부 실장부(26a) 또는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57) 사이를 잇는 상기 접속부(16s)로서, 브리지 접속부(16s)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속부(16s)로서 기능하는 브리지 접속부(16s)에 의해,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외부 접촉부(26b) 또는 제 2 외부 실장부(26a)가 짧은 거리로 연결되므로, 고주파 대역(예를 들면, 메가헤르츠대나 기가헤르츠대)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에서는,
상기 선단 위요부(16m)와 상기 브리지 접속부(16s) 사이, 또는, 상기 제 2 외부 실장부(26a) 또는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57)와 상기 브리지 접속부(16s) 사이는,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선단 위요부(16m)와 브리지 접속부(16s) 사이, 또는, 제 2 외부 접촉부(26b) 또는 제 2 외부 실장부(26a)와 브리지 접속부(16s) 사이의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제공한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세트(30)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에서는,
상기 제 1 커넥터(10)가 L형 동축 커넥터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외부 단자(16)의 선단 위요부(16m)와, 회로 기판(50)의 그라운드 접속부(57)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므로, 고주파 대역(예를 들면, 메가헤르츠대나 기가헤르츠대)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동축 커넥터 세트(30)는,
중심 도체(42) 및 외부 도체(41)를 갖는 동축 케이블(40)이 접속되는 제 1 커넥터(10)와, 상기 제 1 커넥터(10)와 감합 가능한 제 2 커넥터(20)를 구비하는 동축 커넥터 세트(30)로서,
상기 제 1 커넥터(10)는, 상기 외부 도체(41)를 클램프하는 외부 도체 클램프부(16c)와, 제 1 외부 접촉부(16b)와, 상기 외부 도체 클램프부(16c) 및 상기 제 1 외부 접촉부(16b) 사이에 위치해서 상기 중심 도체(42)의 선단부(42a)를 둘러싸는 선단 위요부(16m)와, 상기 제 1 외부 접촉부(16b)와 상기 선단 위요부(16m) 사이를 잇는 외부 도체 접속부(16a)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20)는 제 2 외부 접촉부(26b)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커넥터(10) 및 상기 제 2 커넥터(20)의 감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접촉부(16b) 및 상기 제 2 외부 접촉부(26b)가 서로 감합하고,
상기 선단 위요부(16m)와 상기 제 2 외부 접촉부(26b) 사이를 잇는 접속부(16s)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접속부(16s)에 의해, 제 1 커넥터(10)의 선단 위요부(16m)와, 제 2 커넥터의 제 2 외부 접촉부(26b)가 짧은 거리로 연결되므로, 고주파 대역(예를 들면, 메가헤르츠대나 기가헤르츠대)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10…제 1 커넥터
12…제 1 절연 부재
12a…내부 유지부
12b…중심 도체 유지부
12e…빠짐 방지 오목부
14…제 1 내부 단자
14a…제 1 내부 접촉부
14b…중심 도체 접속부
16… 제 1 외부 단자
16a…외부 도체 접속부
16b…제 1 외부 접촉부
16c…외부 도체 클램프부
16e…빠짐 방지부
16h…감합 볼록부
16m…선단 위요부
16n…케이블 클램프부
16s…브리지 접속부(쇼트컷 접속로, 접속부)
16t…접촉부
16y…절곡부
20…제 2 커넥터
22…제 2 절연 부재
24…제 2 내부 단자
24a…제 2 내부 접촉부
24b…제 2 내부 실장부
26… 제 2 외부 단자
26a… 제 2 외부 실장부
26b… 제 2 외부 접촉부
26h…감합 오목부
30…동축 커넥터 세트
40…동축 케이블
41…외부 도체
42…중심 도체
42a…선단부
43…외피
44…유전체
50…회로 기판
51…절연층
52…그라운드층
53…표면 절연층
56…신호용 랜드부
57…그라운드용 랜드부(그라운드 접속부)
60…개재 부재(쇼트컷 접속로, 접속부)
61…바디
62…탄성 지지부
64…탄성 접촉부
65…접촉부
70…실드 부재(쇼트컷 접속로)
71…바디
72…실드부
73… 제 1 탄성 접촉부
74… 제 1 접촉부
75… 제 2 탄성 접촉부
76… 제 2 접촉부

Claims (22)

  1. 중심 도체 및 외부 도체를 갖는 동축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 1 커넥터와, 그라운드 접속부를 갖는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는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제 1 외부 단자를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외부 단자에 접속되는 제 2 외부 단자를 갖고,
    상기 제 1 외부 단자는, 상기 외부 도체를 클램프하는 외부 도체 클램프부와, 상기 제 2 외부 단자에 접속되는 제 1 외부 접촉부와, 상기 외부 도체 클램프부와 상기 제 1 외부 접촉부 사이에 위치해서 상기 중심 도체의 선단부를 둘러싸는 선단 위요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외부 단자는, 상기 제 1 외부 접촉부에 접속되는 제 2 외부 접촉부와, 상기 회로 기판의 그라운드 접속부에 실장되는 제 2 외부 실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 위요부와, 상기 제 2 외부 단자 또는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 사이에는, 쇼트컷 접속로가 형성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컷 접속로는 상기 선단 위요부와 상기 제 2 외부 접촉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컷 접속로는, 상기 선단 위요부와 상기 제 2 외부 실장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위요부와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 사이를 잇는 상기 쇼트컷 접속로로서, 개재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위요부와 상기 개재 부재 사이는,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위요부와, 상기 제 2 외부 실장부 또는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 사이를 잇는 상기 쇼트컷 접속로로서, 브리지 접속부가 배치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위요부와 상기 브리지 접속부 사이, 또는, 상기 제 2 외부 실장부 또는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와 상기 브리지 접속부 사이는,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위요부와, 상기 제 2 외부 실장부 또는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 사이를 잇는 상기 쇼트컷 접속로로서, 실드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부재가, 상기 제 1 외부 접촉부와 상기 선단 위요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덮는 실드부를 갖는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가 L형 동축 커넥터인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11. 중심 도체 및 외부 도체를 갖는 동축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 1 커넥터와, 그라운드 접속부를 갖는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는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 제 1 외부 단자를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외부 단자에 접속되는 제 2 외부 단자를 갖고,
    상기 제 1 외부 단자는, 상기 외부 도체를 클램프하는 외부 도체 클램프부와, 상기 제 2 외부 단자에 접속되는 제 1 외부 접촉부와, 상기 외부 도체 클램프부와 상기 제 1 외부 접촉부 사이에 위치해서 상기 중심 도체의 선단부를 둘러싸는 선단 위요부와, 상기 제 1 외부 접촉부와 상기 선단 위요부를 접속하는 외부 도체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외부 단자는, 상기 제 1 외부 접촉부에 접속되는 제 2 외부 접촉부와, 상기 회로 기판의 그라운드 접속부에 실장되는 제 2 외부 실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도체 접속부를 개재하지 않고, 상기 선단 위요부와, 상기 제 2 외부 단자 또는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를 접속하는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외부 도체 접속부보다 상기 회로 기판의 가까이에 위치하는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선단 위요부와 상기 제 2 외부 접촉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상기 제 2 외부 접촉부의 측의 단부는, 상기 제 2 외부 접촉부의 외형을 따른 형상을 갖는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외부 접촉부는 삽발 방향으로부터 보아 원형상을 갖고, 상기 접속부의 상기 제 2 외부 접촉부의 측의 상기 단부는, 삽발 방향으로부터 보아 원호 형상을 갖는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상기 제 2 외부 접촉부의 측의 단부가 상기 제 2 외부 접촉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접속부의 상기 선단 위요부의 측에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선단 위요부와 상기 제 2 외부 실장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17.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위요부와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 사이를 잇는 상기 접속부로서, 개재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위요부와 상기 개재 부재 사이는,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위요부와, 상기 제 2 외부 실장부 또는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 사이를 잇는 상기 접속부로서, 브리지 접속부가 배치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위요부와 상기 브리지 접속부 사이, 또는, 상기 제 2 외부 실장부 또는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와 상기 브리지 접속부 사이는,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21. 제 1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가 L형 동축 커넥터인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22. 중심 도체 및 외부 도체를 갖는 동축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1 커넥터와 감합 가능한 제 2 커넥터를 구비하는 동축 커넥터 세트로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외부 도체를 클램프하는 외부 도체 클램프부와, 제 1 외부 접촉부와, 상기 외부 도체 클램프부 및 상기 제 1 외부 접촉부 사이에 위치해서 상기 중심 도체의 선단부를 둘러싸는 선단 위요부와, 상기 제 1 외부 접촉부와 상기 선단 위요부 사이를 잇는 외부 도체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제 2 외부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및 상기 제 2 커넥터의 감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접촉부 및 상기 제 2 외부 접촉부가 서로 감합하고,
    상기 선단 위요부와 상기 제 2 외부 접촉부 사이를 잇는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세트.
KR1020217014953A 2019-05-10 2020-05-08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KR1024990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89868 2019-05-10
JPJP-P-2019-089868 2019-05-10
PCT/JP2020/018712 WO2020230733A1 (ja) 2019-05-10 2020-05-08 同軸コネクタセットにおけるグランド接続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115A true KR20210076115A (ko) 2021-06-23
KR102499024B1 KR102499024B1 (ko) 2023-02-13

Family

ID=73290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4953A KR102499024B1 (ko) 2019-05-10 2020-05-08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70188B2 (ko)
JP (2) JP6844760B1 (ko)
KR (1) KR102499024B1 (ko)
CN (1) CN215418638U (ko)
WO (1) WO20202307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63228B2 (ja) * 2019-09-09 2023-10-18 I-Pex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構造
JP7161462B2 (ja) * 2019-10-07 2022-10-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7407611B2 (ja) * 2020-02-10 2024-01-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
JP7232290B2 (ja) * 2021-07-20 2023-03-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組立体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3871U (ja) * 1993-03-31 1994-10-18 富士通電装株式会社 被覆電線の配線用端子金具
JPH0817520A (ja) * 1994-06-30 1996-01-19 Oki Electric Ind Co Ltd ケーブルの接続構造
JPH09120870A (ja) * 1995-02-15 1997-05-06 Amp Japan Ltd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43939A (ja) * 1999-07-30 2001-02-16 Hirose Electric Co Ltd L型同軸コネクタ及びそのための端子
US20100041270A1 (en) 2008-07-15 2010-02-18 Chen Ten May Coaxi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8701B2 (ja) * 2002-03-22 2007-06-2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ハウジングおよびそれを備えた同軸コネクタ
US6837743B2 (en) * 2002-04-05 2005-01-0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end connector having good insulation function
DE102006006845B3 (de) * 2006-02-15 2007-07-19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 Außenleiterhülse für einen koaxialen Steckverbinder
TWM307242U (en) * 2006-07-14 2007-03-01 Insert Entpr Co Ltd Improved structure of microwave connector for RF communication
US7540774B1 (en) * 2008-04-28 2009-06-02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axial connector
US8195466B2 (en) 2008-06-13 2012-06-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sight impaired wireless capability
US20090318021A1 (en) * 2008-06-24 2009-12-2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Ultraminiature coax connector
JP2010080262A (ja) * 2008-09-26 2010-04-08 Murata Mfg Co Ltd L型同軸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4803761B2 (ja) 2009-01-08 2011-10-26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コネクタ装置
JP4325885B1 (ja) * 2009-03-27 2009-09-02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同軸コネクタ装置
JP5080604B2 (ja) 2010-03-25 2012-11-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用回転機構部品および同軸コネクタ
WO2011121855A1 (ja) * 2010-03-30 2011-10-06 株式会社フジクラ 同軸コネクタ
JP5757153B2 (ja) * 2011-05-17 2015-07-29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JP5790245B2 (ja) * 2011-07-26 2015-10-07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型電気コネクタおよび同軸型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522410B2 (ja) * 2011-10-12 2014-06-18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CN103165995B (zh) * 2011-12-13 2015-10-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同轴连接器组合
TWI470882B (zh) 2012-07-17 2015-01-21 Murata Manufacturing Co Coaxial connector
US9793623B2 (en) * 2012-09-29 2017-10-17 Harumoto Technology (Shen Zhen) Co., Ltd.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a receptor connector
JP5943806B2 (ja) * 2012-10-17 2016-07-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JP5772900B2 (ja) * 2013-08-08 2015-09-02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5949838B2 (ja) * 2014-06-16 2016-07-13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型電気コネクタ
US9502834B2 (en) * 2015-01-28 2016-11-22 Dai-Ichi Seiko Co., Ltd. Coaxial-type electric connector
JP6427840B2 (ja) 2015-03-31 2018-11-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JP2017091970A (ja) * 2015-11-16 2017-05-2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JP6330851B2 (ja) * 2016-05-25 2018-05-30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及び電気コネクタ
JP6588403B2 (ja) * 2016-08-09 2019-10-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JP6447596B2 (ja) * 2016-09-08 2019-01-09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443637B2 (ja) * 2016-10-06 2018-12-26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同軸ケーブル接続方法
JP6443636B2 (ja) * 2016-10-06 2018-12-26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同軸ケーブル接続方法
JP6794831B2 (ja) 2016-12-29 2020-12-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
CN108365360B (zh) * 2017-01-20 2020-06-16 第一精工株式会社 电连接器、及电连接器的锁定部件
JP6583643B2 (ja) * 2017-04-27 2019-10-02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TWI680617B (zh) * 2017-05-29 2019-12-21 日商村田製作所股份有限公司 L型同軸連接器以及附有同軸電纜之l型同軸連接器
JP2019050091A (ja) 2017-09-08 2019-03-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及び同軸コネクタセット
JP6963447B2 (ja) * 2017-09-11 2021-11-10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伝送装置及び伝送方法
CN117254317A (zh) 2019-03-18 2023-12-19 爱沛股份有限公司 同轴连接器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3871U (ja) * 1993-03-31 1994-10-18 富士通電装株式会社 被覆電線の配線用端子金具
JPH0817520A (ja) * 1994-06-30 1996-01-19 Oki Electric Ind Co Ltd ケーブルの接続構造
JPH09120870A (ja) * 1995-02-15 1997-05-06 Amp Japan Ltd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43939A (ja) * 1999-07-30 2001-02-16 Hirose Electric Co Ltd L型同軸コネクタ及びそのための端子
US20100041270A1 (en) 2008-07-15 2010-02-18 Chen Ten May Coaxi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20464A1 (en) 2021-10-14
JP2021101424A (ja) 2021-07-08
JP7160122B2 (ja) 2022-10-25
KR102499024B1 (ko) 2023-02-13
JPWO2020230733A1 (ja) 2021-05-20
US11870188B2 (en) 2024-01-09
JP6844760B1 (ja) 2021-03-17
WO2020230733A1 (ja) 2020-11-19
CN215418638U (zh)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2194B2 (en) Coaxial connector plug
KR20210076115A (ko)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JP5768989B2 (ja) 同軸コネクタ装置
KR101974328B1 (ko)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동축 케이블 접속 방법
KR101802731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TW201310815A (zh) 同軸連接器裝置
US20190115692A1 (en) Connector, connector se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onnector
US9214751B2 (en) Coaxial connector plug and coaxial connector receptacle
CN103138084A (zh) 同轴连接器插头及其制造方法
KR20160117241A (ko) 동축 커넥터
JPWO2020085398A1 (ja) 同軸コネクタ装置
JP2015130266A (ja) 同軸コネクタ装置
JP2017174624A (ja) 同軸コネクタ
JP2013089342A (ja) コネクタ装置
WO2021065743A1 (ja) 同軸コネクタ
JP5754593B2 (ja) 同軸コネクタ装置
JP6814031B2 (ja) 同軸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JP7070711B2 (ja) L型同軸コネクタにおける絶縁性部材の位置決め構造
US10741983B2 (en) L-shaped coaxial connector and L-shaped coaxial connector having coaxial cable
US20230327352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set provided with the electrical connector
WO2023021981A1 (ja) 電気コネクタ
JP5182327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15219987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21044101A (ja) コネクタ装置、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構造
JP2017174625A (ja) 同軸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