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215A -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및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및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215A
KR20200122215A KR1020190153366A KR20190153366A KR20200122215A KR 20200122215 A KR20200122215 A KR 20200122215A KR 1020190153366 A KR1020190153366 A KR 1020190153366A KR 20190153366 A KR20190153366 A KR 20190153366A KR 20200122215 A KR20200122215 A KR 20200122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mounting
arm
guide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시모노
타쿠지 타츠미
카즈마 타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00122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캐스트(cast)의 비거리를 늘린다.
[해결 수단] 가이드 링(2)가 장착되는 링 장착 구멍을 가지는 환상편(10)과, 낚싯대의 외주면(外周面)에 취부(取付)되는 제1 취부편(11)과, 낚싯대의 외주면에 취부되고, 환상편(10)에 대하여, 제1 취부편(11)과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제2 취부편(12)과, 환상편(10)과 제1 취부편(11)을 연결하는 제1 지지편(16)과, 환상편(10)과 제2 취부편(12)을 연결하는 제2 지지편(13)을 구비하고, 제1 지지편(16)은, 환상편(10)의 둘레 방향으로 떨어진 2개소에 각각 접속된 한 쌍의 암편(15)을 구비하고, 암편(15)은, 제1 취부편(11) 측의 제1 단부(80)와 환상편(10) 측의 제2 단부(81)와의 사이에, 제1 단부(80)보다도 강성이 작은 저강성부(低剛性部)(90)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및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GUIDE FRAME OF 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ROD}
본 발명은, 낚싯줄을 안내하기 위한 낚싯줄 가이드에 있어서의 가이드 프레임과, 낚싯줄 가이드와,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은, 금속판을 펀칭(punching)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고, 2개의 취부(取付) 다리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가이드 링이 장착되는 환상(環狀)의 링 보지(保持)부와 일방(一方)의 취부 다리의 사이에는, 좌우 한 쌍의 지지 다리가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취부 다리는 낚싯대의 외주면(外周面)에 취부된다. 이 낚싯줄 가이드가 낚싯대에 취부되면, 2개의 취부 다리 사이에 있어서 낚싯대가 휘어지기 어려워진다. 특히, 낚싯대가 휘어지려고 하였을 때에 좌우 한 쌍의 지지 다리가 버티기 때문에, 낚싯대의 휨이 저해되기 쉽고, 비거리가 늘어나기 어렵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253778호
본 발명은, 캐스트(cast)의 비거리를 늘리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은, 낚싯대의 외주면에 취부된다. 가이드 프레임은, 가이드 링을 보지한다. 가이드 링은, 낚싯줄을 가이드한다. 가이드 프레임은, 환상편과, 제1 취부편과, 제1 지지편과, 제2 취부편과, 제2 지지편을 구비하고 있다. 환상편은, 링 장착 구멍을 가진다. 가이드 링은, 링 장착 구멍에 장착된다. 제1 취부편은, 낚싯대의 외주면에 취부된다. 제1 지지편은, 환상편과 제1 취부편을 연결한다. 제2 취부편은, 낚싯대의 외주면에 취부된다. 제2 취부편은, 환상편에 대하여, 제1 취부편과는 반대 측에 위치한다. 제2 지지편은, 환상편과 제2 취부편을 연결한다. 제1 지지편은, 한 쌍의 암(arm)편을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암편은, 환상편의 둘레 방향으로 떨어진 2개소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암편은, 제1 취부편 측의 제1 단부와 환상편 측의 제2 단부와의 사이에, 저강성부(低剛性部)를 가지고 있다. 저강성부는, 제1 단부보다도 강성이 작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암편이 저강성부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캐스트 시에 낚싯대가 휘어지려고 하였을 때에, 암편이 낚싯대의 중심선 방향으로 버티기 어려워지고, 암편이 낚싯대의 휨에 추종하기 쉽다. 한편, 암편에 있어서 제1 취부편 측의 단부인 제1 단부는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다. 그 때문에, 캐스트 시에 있어서의 암편의 좌우 방향의 흔들림이 억제된다. 덧붙여, 좌우 방향이란, 낚싯대에 낚싯줄 가이드가 취부된 상태에 있어서, 가이드 프레임 측으로부터 낚싯대를 보았을 때, 낚싯대의 중심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바람직하게는, 암편의 전체 길이 중 제1 단부 근방과 제2 단부 근방을 제외한 암편의 주요부가 저강성부이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프레임은 판금제(板金製)이고, 저강성부는, 판 두께 방향의 치수인 두께가, 암편의 제1 단부보다도 얇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프레임은 판금제이고, 저강성부는, 판 두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인 폭이, 암편의 제1 단부보다도 좁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줄 가이드는, 가이드 프레임과, 가이드 프레임의 환상편에 장착된 가이드 링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는, 상기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암편에 저강성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캐스트 시에 있어서의 암편의 버팀감이 저감되어, 암편이 낚싯대의 휨에 추종하기 쉬워지고, 비거리를 늘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줄 가이드를 제1 취부편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는 동(同) 낚싯줄 가이드를 제2 취부편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3은 동 낚싯줄 가이드를 측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 4는 동 낚싯줄 가이드의 평면도.
도 5는 동 낚싯줄 가이드의 암편을 도시하는 개략 전개도.
도 6은 (a)은 도 5의 A-A 단면도(斷面圖), (b)는 도 5의 B-B 단면도(斷面圖), (c)는 도 5의 C-C 단면도(斷面圖).
도 7은 동 낚싯줄 가이드를 가이드 링의 중심선 방향이고 제2 취부편 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8은 도 7의 D-D 단면도(斷面圖).
도 9는 동 낚싯줄 가이드가 낚싯대의 장대 본체에 취부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3에 대응한 도면.
도 10은 동 낚싯줄 가이드가 낚싯대의 장대 본체에 취부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4에 대응한 도면.
도 11은 (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줄 가이드의 암편을 도시하는 개략 전개도, (b)는 동 암편의 측면도.
도 12는 (a)는 도 11의 E-E 단면도(斷面圖), (b)는 도 11의 F-F 단면도(斷面圖), (c)는 도 11의 G-G 단면도(斷面圖).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낚싯줄 가이드에 관하여 도 1 ~ 도 10을 참작하면서 설명한다.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대의 장대 본체(3)(도 9 및 도 10 참조)의 외주면에 취부되는 가이드 프레임(1)과, 가이드 프레임(1)에 장착되고, 낚싯줄을 직접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링(2)을 구비하고 있다. 덧붙어, 도면 중, 가이드 링(2)에는, 다수의 도트(dot)를 붙여 나타내고 있다.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대의 장대 본체(3)의 외주면의 소정 위치에 접착 등에 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낚싯줄 가이드는 고정 가이드이다. 낚싯줄 가이드는, 릴이 취부 가능한 여러 가지의 낚싯대에 취부되어 사용되지만, 특히 던질 낚시용의 낚싯대(로드)나 루어(1ure) 낚시용의 낚싯대(로드)에 적합하다. 또한, 후술과 같이,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대에 취부되는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 중, 가장 장대 손잡이 쪽에 위치하는 낚싯줄 가이드, 즉, 손잡이 가이드에 적합하지만, 다른 위치에 취부되는 낚싯줄 가이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덧붙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낚싯대의 중심선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장대 초리 쪽을 전측(前側), 장대 손잡이 쪽을 후측(後側)으로 한다. 또한, 낚싯대의 경(徑)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 낚싯대의 외주면으로부터 경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을 상측으로 하고, 그것과는 반대의 방향이고 낚싯대의 외주면에 접근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한다. 또한, 전후 방향과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한다. 좌우 방향은, 낚싯대의 외주면을 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고, 낚싯대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이다. 덧붙여, 도 3 및 도 4에, 좌우 방향을 화살표 X로 나타낸다. 전후 방향을 화살표 Y1, Y2로 나타내고, 전측을 화살표 Y1로 나타내고, 후측을 화살표 Y2로 나타낸다. 상하 방향을 화살표 Z1, Z2로 나타내고, 상측을 화살표 Z1로 나타내고, 하측을 화살표 Z2로 나타낸다.
<가이드 프레임(1)>
가이드 프레임(1)은, 금속제이고, 1매의 금속판으로부터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즉, 가이드 프레임(1)은, 판금제의 일체형인 것이다. 따라서, 가이드 프레임(1)은,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프레임(1)은, 1매의 금속판을 소정 형상으로 펀칭하여, 소정 형상으로 펀칭된 평판상(平板狀)의 금속판을 절곡(折曲)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사용되는 금속판은 예를 들어 두께가 1mm 정도인 것이고, 판 두께 일정의 것이다. 재질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이나 티탄(티탄 합금)이다. 덧붙여, 가이드 프레임(1)의 각 부에 있어서, 금속판의 표면과 이면(裏面)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면을 판면이라고 칭하고, 금속판이 커트된 면인 단면(端面)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면을 판 단면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가이드 프레임(1)은, 환상편(10)과 제1 취부편(11)과 제2 취부편(12)과 제1 지지편(16)과 제2 지지편(13)을 구비하고 있다. 환상편(10)은, 링 장착 구멍(22)을 가진다. 링 장착 구멍(22)에, 가이드 링(2)이 장착된다. 제1 취부편(11)은, 장대 본체(3)의 외주면에 취부된다. 제2 취부편(12)은, 장대 본체(3)의 외주면에 취부된다. 제1 지지편(16)은, 환상편(10)과 제1 취부편(11)을 연결한다. 제2 지지편(13)은, 환상편(10)과 제2 취부편(12)을 연결한다. 제1 취부편(11)은, 환상편(10)에 대하여 전측에 위치하고, 제2 취부편(12)은, 환상편(10)에 대하여 후측에 위치한다. 혹은, 제1 취부편(11)은, 환상편(10)에 대하여 후측에 위치하고, 제2 취부편(12)은, 환상편(10)에 대하여 전측에 위치한다. 제1 취부편(11)은, 환상편(10)에 대하여, 제2 취부편(12)과는 반대 측에 위치한다. 제1 취부편(11)은, 제2 취부편(12)보다도 환상편(10)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제1 취부편(11)과 제2 취부편(12)을 연결하는 방향이 전후 방향이다. 환상편(10) 측으로부터 제1 취부편(11)과 제2 취부편(12)을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좌우 방향이다. 제1 취부편(11)과 제2 취부편(12)에 대하여 환상편(10) 측은 상측에 위치한다. 환상편(10)은, 제1 취부편(11)과 제2 취부편(12)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간하여 위치하고 있다. 환상편(10)에 대하여 제1 취부편(11)과 제2 취부편(12) 중 어느 것이 전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무방하지만, 이하, 환상편(10)에 대하여 제1 취부편(11)이 전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환상편(10)>
환상편(10)은, 가이드 링(2)을 보지하는 부분이다. 환상편(10)은, 평판상의 원형 환상이다. 환상편(10)은, 판면인 제1 면과 제2 면을 가지고 있다. 환상편(10)의 제1 면은 제1 취부편(11) 측에 위치하고, 환상편(10)의 제2 면은 제2 취부편(12) 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환상편(10)의 제1 면은 환상편(10)의 전면(20)이고, 환상편(10)의 제2 면은 환상편(10)의 후면(21)이다. 환상편(10)은, 가이드 링(2)을 보지한다. 가이드 링(2)은, 링 장착 구멍(22)에 취부되어 있다. 링 장착 구멍(22)은, 환상편(10)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링 장착 구멍(22)은, 환상편(10)을 관통하고 있다. 덧붙여, 도면 중에는, 링 장착 구멍(22)은, 환상편(10)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지만, 환상편(10)이 타원 형상이거나, 링 장착 구멍(22)이, 후술하는 관통 구멍(63)과 일체로 되거나 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링 장착 구멍(22)의 중심선 방향은, 환상편(10)에 있어서의 판 두께 방향이다. 링 장착 구멍(22)의 중심선 방향은, 가이드 링(2)의 중심선 방향이다. 환상편(10)은, 상하 방향에 대하여 전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 경사하고 있다. 링 장착 구멍(22)의 중심선 방향은 전후 방향과 평행은 아니고, 전측에 소정 각도 경도(傾倒)하고 있다. 링 장착 구멍(22)의 중심선 방향이 전후 방향과 평행인 경우를 0도로 하였을 때, 링 장착 구멍(22)의 중심선 방향의 경사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1도 이상 20도 이하이다. 링 장착 구멍(22)의 벽면은, 환상편(10)의 내연부(內緣部)이고, 판 단면이다. 링 장착 구멍(22)의 벽면은, 가이드 링(2)의 외주면을 보지하기 위한 보지면이다. 환상편(10)의 외연부(外緣部)와 내연부는 판 단면이다.
<제1 취부편(11)>
제1 취부편(11)은, 환상편(10)의 전측에 소정 거리 이간하여 위치하고 있다. 환상편(10)에 대한 제1 취부편(11)의 전후 방향의 이간 거리는, 환상편(10)에 대한 제2 취부편(12)의 전후 방향의 이간 거리보다도 크다. 제1 취부편(11)은, 환상편(10) 측으로부터 보아, 즉,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링 장착 구멍(22)의 중심선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취부편(11)은, 판상(板狀)이고, 그 판 두께 방향이 상하 방향이다. 제1 취부편(11)은, 제1 취부 상면과 제1 취부 하면을 가지고 있다. 제1 취부 상면을 이하 단지 상면(30)이라고 칭한다. 제1 취부 하면을 이하 단지 하면(31)이라고 칭한다. 제1 취부편(11)의 하면(31)은, 낚싯대의 외주면에 취부되는 취부면이다. 제1 취부편(11)의 하면(31)은, 제1 취부편(11)의 이면이다. 제1 취부편(11)의 상면(30)은, 하면(31)에 대하여 반대 측에 위치하는 면이다. 제1 취부편(11)의 상면(30)은, 제1 취부편(11)의 표면이다. 제1 취부편(11)의 상면(30)과 하면(31)은, 모두 판면이다. 제1 취부편(11)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다. 제1 취부편(11)은, 대상(帶狀)이다. 제1 취부편(11)은, 소정 폭을 가진다. 제1 취부편(11)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길고 좌우 방향으로 짧은 형상이다. 제1 취부편(11)의 폭 방향은 좌우 방향이다. 제1 취부편(11)의 전단부(前端部)(32)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전측을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만곡하고 있다. 제1 취부편(11)의 상면(30)의 전부(前部)은 전측을 향하여 서서히 하강하도록 경사하고 있다. 제1 취부편(11)의 두께는, 전부에 있어서, 서서히 전측을 향하여 얇아지고 있다. 제1 취부편(11)의 후단부(後端部)(33)는, 제1 지지편(16)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취부편(11)은, 좌우 방향을 따라 상측을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만곡하고 있다. 제1 취부편(11)의 만곡 형상은, 전후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하고 있다. 제1 취부편(11)의 만곡의 정도는, 낚싯대의 장대 본체(3)의 외주면을 따르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취부편(11)의 하면(31)은, 좌우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만곡한 오목 형상 만곡면이다. 제1 취부편(11)의 상면(30)은, 제1 취부편(11)의 하면(31)에 대응하여 만곡하고 있어, 좌우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만곡한 볼록 형상 만곡면이다.
<제2 취부편(12)>
제2 취부편(12)은, 환상편(10)의 후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취부편(12)의 전단부(42)는, 환상편(10)의 대략 직하(直下)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취부편(12)의 전단부(42)는, 환상편(10)과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취부편(12)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링 장착 구멍(22)의 중심선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취부편(11)과 제2 취부편(12)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서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취부편(12)은, 제1 취부편(11)과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제2 취부편(12)은, 판상이고, 그 판 두께 방향이 상하 방향이다. 제2 취부편(12)은, 제2 취부 상면과, 제2 취부 하면을 가지고 있다. 제2 취부 상면을 이하 단지 상면(40)이라고 칭한다. 제2 취부 하면을 이하 단지 하면(41)이라고 칭한다. 제2 취부편(12)의 하면(41)은, 낚싯대의 외주면에 취부되는 취부면이다. 제2 취부편(12)의 하면(41)은, 제2 취부편(12)의 이면이다. 제2 취부편(12)의 상면(40)은, 하면(41)에 대하여 반대 측에 위치하는 면이다. 제2 취부편(12)의 상면(40)은, 제2 취부편(12)의 표면이다. 제2 취부편(12)의 상면(40)과 하면(41)은, 모두 판면이다. 제2 취부편(12)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다. 제2 취부편(12)은, 소정 폭을 가지고, 대상이다. 제2 취부편(12)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길고 좌우 방향으로 짧은 형상이다. 제2 취부편(12)의 폭 방향은 좌우 방향이다. 덧붙여, 제2 취부편(12)의 후단부(43)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후측을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만곡하고 있다. 제2 취부편(12)의 상면(40)의 후부는, 후측을 향하여 서서히 하강하도록 경사하고 있다. 제2 취부편(12)의 두께는, 후부에 있어서, 서서히 후측을 향하여 얇아지고 있다.
제2 취부편(12)은, 제1 취부편(11)과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의 전체 길이에 결쳐, 좌우 방향을 따라 상측을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만곡하고 있다. 제2 취부편(12)의 만곡의 정도는, 제1 취부편(11)의 그것과 동일한 정도이다. 제2 취부편(12)의 하면(41)은, 좌우 방향을 따라 상측을 향하여 만곡한 오목 형상 만곡면이고, 제2 취부편(12)의 상면(40)은, 좌우 방향을 따라 상측을 향하여 만곡한 볼록 형상 만곡면이다.
<제1 지지편(16)>
제1 지지편(16)은, 환상편(10)의 좌우 양 측부와 제1 취부편(11)의 후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제1 취부편(11)은, 제1 지지편(16)의 전단부로부터 전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1 지지편(16)은, 입상편(立上片)(14)과, 좌우 한 쌍의 암편(15)을 구비하고 있다.
<입상편(14)>
입상편(14)은, 좌우 한 쌍의 측연부(51)를 가지고 있다. 입상편(14)은, 입상 하면과 입상 상면을 가지고 있다. 입상 하면을 이하 단지 하면(53)이라고 칭한다. 입상 상면을 이하 단지 상면(52)이라고 칭한다. 입상편(14)의 하면(53)은, 제1 취부편(11)의 하면(31)과 연속하고 있다. 입상편(14)의 상면(52)은, 제1 취부편(11)의 상면(30)과 연속하고 있다. 입상편(14)의 상면(52)과 하면(53)은 모두 판면이다.
입상편(14)은, 제1 취부편(11)의 후단부(33)로부터 후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좌우 한 쌍의 암편(15)은, 입상편(14)으로부터 후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입상편(14)은, 좌우 한 쌍의 암편(15)과 제1 취부편(11)을 연결하고 있다. 입상편(14)은, 제1 취부편(11)에 대하여 상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하고 있다. 즉, 입상편(14)은, 제1 취부편(11)에 대하여, 좌우 방향을 따른 절곡선으로 평면으로부터 볼 때 골 접기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덧붙여, 절곡부에 있어서의 상면의 전후 방향을 따른 곡면의 곡률 반경은 작고, 절곡부의 하면의 전후 방향을 따른 곡면의 곡률 반경은 크다. 제1 취부편(11)에 대한 입상편(14)의 경사 각도는 예를 들어 45도 이하이다. 입상편(14)의 후단부(50)는, 제1 취부편(11)의 전단부(32)와 동일한 폭이다. 입상편(14)의 좌우 양 측연부(51) 간의 치수가 폭이다. 입상편(14)의 폭은, 후측을 향하여 서서히 좁아지고 있다. 입상편(14)은, 후측을 향하여 서서히 가늘어지고 있다. 입상편(14)은, 제1 취부편(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가늘어지고 있다. 입상편(14)의 좌우 양 측연부(51)끼리의 사이의 이간 거리는, 도 4와 같이, 후측을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고 있다. 입상편(14)은, 상면(52) 측으로부터 보아 대략 사다리꼴이다.
입상편(14)은, 좌우 방향을 따라 상측을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만곡하고 있다. 입상편(14)의 상면(52)은, 좌우 방향을 따라 상측을 향하여 만곡한 볼록 형상 만곡면이다. 입상편(14)의 하면(53)은, 좌우 방향을 따라 상측을 향하여 만곡한 오목 형상 만곡면이다. 입상편(14)의 하면(53)은, 제1 취부편(11)의 하면(31)과 전후 방향으로 매끄럽게 연속하고 있다. 입상편(14)의 하면(53)과 제1 취부편(11)의 하면(31)의 경계부는, 전후 방향을 따라 하측을 향하여 만곡하고 있다. 입상편(14)의 하면(53)과 제1 취부편(11)의 하면(31)의 경계부도 좌우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만곡하고 있다. 제1 취부편(11)의 하면(31)의 좌우 방향을 따른 만곡 형상은, 입상편(14)의 하면(53)의 좌우 방향을 따른 만곡 형상과 연속하고 있다. 제1 취부편(11)의 좌우 방향을 따른 만곡 형상과, 입상편(14)의 좌우 방향을 따른 만곡 형상은, 전후 방향을 따라 매끄럽게 연속하고 있다.
<암편(15)>
한 쌍의 암편(15)은, 환상편(10)의 둘레 방향으로 떨어진 2개소와 입상편(14)의 좌우 한 쌍의 측연부(51)를 연결하고 있다. 한 쌍의 암편(15)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서로 좌우 대칭이다. 각 암편(15)의 폭은, 제1 취부편(11)의 폭보다도 좁다. 암편(15)은, 입상편(14) 측의 단부인 제1 단부와, 환상편(10) 측의 단부인 제2 단부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단부는 전단부(80)이고, 제2 단부는 후단부(81)이다. 한 쌍의 암편(15)의 전단부(80)는, 각각 입상편(14)의 좌우 양 측연부(51)에 접속되어 있다. 한 쌍의 암편(15)은, 입상편(14)의 좌우 양 측연부(51)를 절곡선으로 하여, 입상편(14)에 대하여 상측으로 즉 평면으로부터 볼 때 골 접기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도 3와 같이, 한 쌍의 암편(15)은,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후측을 향하여 서서히 경사하면서 상승하여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암편(15)은,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전후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만곡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만곡하지 않고 직선 형상이어도 무방하고, 반대로 전후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만곡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4과 같이, 한 쌍의 암편(15)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후측을 향하여 서서히 서로의 이간 거리를 넓히면서 연장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암편(15)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대략 V자 형상으로 넓어지면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암편(15)은,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좌우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만곡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만곡하지 않고 직선 형상이어도 무방하고, 반대로 좌우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만곡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한 쌍의 암편(15)의 후단부는, 각각 환상편(10)의 외연부의 좌우 양 측부에 접속되어 있다. 도면 중에서는, 암편(15)과 환상편(10)의 접속 개소는, 링 장착 구멍(22)의 좌우 방향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암편(15)은, 환상편(10)의 전체 둘레 중, 가장 좌우 방향의 치수가 큰 개소에 접속되어 있다. 덧붙여, 한 쌍의 암편(15)의 후단부는, 환상편(10)의 외연부의 이간한 2개소에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암편(15)은, 제1 암면(82) 및 제2 암면(83)과, 제1 측면(84) 및 제2 측면(85)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암면(82) 및 제2 암면(83)은, 금속판의 표리(表裏) 양면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1 암면(82) 및 제2 암면(83)은, 판면이다. 제1 측면(84) 및 제2 측면(85)은, 금속판의 단면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1 측면(84)과 제2 측면(85)은, 판 단면이다. 암편(15)에 있어서의 금속판의 판 두께 방향은, 암편(15)에 있어서의 제1 암면(82)과 제2 암면(83)의 법선 방향이다. 암편(15)의 두께는, 제1 암면(82)과 제2 암면(83)의 사이의 치수이고, 암편(15)의 폭은, 제1 측면(84)과 제2 측면(85)과의 사이의 치수이다.
암편(15)은, 입상편(14)으로부터 환상편(10)에 걸쳐, 비틀어지면서 연장되어 있다. 암편(15)의 전단부(80)에 있어서, 제1 암면(82)은 입상편(14)의 상면(52)과 연결되어 있고, 제2 암면(83)은 입상편(14)의 하면(53)과 연결되어 있다. 암편(15)의 후단부(81)에 있어서, 제1 암면(82)은 환상편(10)의 전면(20)과 연결되어 있고, 제2 암면(83)은 환상편(10)의 후면(21)과 연결되어 있다. 제1 암면(82)은, 후단부(81)에 있어서 환상편(10)의 경방향 내측을 향하고 있다. 제2 암면(83)은, 후단부(81)에 있어서 환상편(10)의 경방향 외측을 향하고 있다.
한 쌍의 암편(15)은 각각 저강성부를 가지고 있다. 저강성부는, 암편(15)의 전체 길이 중 중도부(中途部)에 위치하고 있다. 저강성부는, 암편(15)의 전단부(80)보다도 강성이 작은 부분이다. 저강성부의 강성을 암편(15)의 전단부(80)의 강성보다도 작게 하기 위한 구성은 여러 가지이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강성부는, 암편(15)의 전단부(80)보다도 폭이 좁은 폭협부(幅狹部)(90)이다. 도 5 및 도 6에 암편(15)의 폭협부(9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덧붙여, 도 5는, 암편(15)의 전체 길이를 비틀림이 없는 상태로 도시한 개략 전개도이고, 암편(15)을 제1 암면(82)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암편(15)은, 제1 폭광부(幅廣部)(91)와 폭협부(90)와 제2 폭광부(92)를 가지고 있다. 암편(15)의 전체 길이는, 제1 폭광부(91)와 폭협부(90)와 제2 폭광부(92)로 구획된다. 폭협부(90)의 폭 W2는, 제1 폭광부(91)의 폭 W1 및 제2 폭광부(92)의 폭 W3보다도 좁다. 제1 폭광부(91)는, 암편(15)의 전단부(80) 근방의 영역이다. 제2 폭광부(92)는, 암편(15)의 후단부(81) 근방의 영역이다. 폭협부(90)는, 암편(15)의 전체 길이 중 제1 폭광부(91)와 제2 폭광부(92)를 제외한 중간 영역이다. 제1 폭광부(91)와 제2 폭광부(92)와 폭협부(90)의 각각의 길이는 여러 가지이어도 무방하다. 제1 폭광부(91)의 길이와 제2 폭광부(92)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여도 무방하고 서로 달라도 무방하다. 폭협부(90)의 길이는, 제1 폭광부(91)의 길이나 제2 폭광부(92)의 길이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폭협부(90)는, 암편(15)의 전체 길이 중 반 이상의 길이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부분의 길이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폭협부(90)는, 암편(15)의 주요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폭광부(91)의 폭 W1과 제2 폭광부(92)의 폭 W3은, 서로 같아도 무방하고 달라도 무방하다. 폭협부(90)의 폭 W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폭협부(9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다. 단, 폭협부(90)의 폭 W2는, 폭협부(9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지 않아도 무방하고, 예를 들어, 암편(15)의 중앙부를 향해 서서히 폭이 좁아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덧붙여, 암편(15)의 두께 T는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다. 암편(15)은, 가이드 프레임(1)의 다른 부분과 같은 두께이다.
<제2 지지편(13)>
제2 지지편(13)은, 환상편(10)의 하부와 제2 취부편(12)의 전단부(42)를 연결하고 있다. 도면 중의 환상편(10)과 제2 지지편(13)은, 하나의 연속한 평면을 구성하고 있다. 즉, 제2 지지편(13)은, 환상편(1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지 않고, 환상편(10)과 동일면 상에 위치한다. 또한, 제2 지지편(13)은, 전후 방향을 따라 만곡하고 있지 않고, 평면상(平面狀)이다. 따라서, 환상편(10)을 구성하는 평면과, 제2 지지편(13)을 구성하는 평면은, 서로 동일하다. 제2 지지편(13)의 전면(60)은 환상편(10)의 전면(20)과 동일 평면이고, 제2 지지편(13)의 후면(61)은 환상편(10)의 후면(21)과 동일 평면이다. 제2 지지편(13)의 전면(60)과 후면(61)이 판면이다. 그리고, 제2 지지편(13)은, 제2 취부편(12)에 대하여 대략 직각 상방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2 지지편(13)은, 제2 취부편(12)에 대하여 90도의 절곡 각도로 상승되어 있어도 무방하지만, 1도 이상 20도 이하의 범위에서 전측으로 경도한 상태로 상승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제2 지지편(13)은, 환상편(10)과 동일 평면뿐만이 아니라, 만곡이나 굴곡이 될 수도 있다.
제2 지지편(13)을 링 장착 구멍(22)의 중심선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의 정면으로부터 볼 때의 형상은 여러 가지이어도 무방하지만,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지지 다리편(6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지지편(13)은, 한 개의 지지 다리편(62)만을 구비하는 한 개 다리의 구성이어도 무방하지만, 좌우 한 쌍의 지지 다리편(62)을 구비하는 2개 다리의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좌우 한 쌍의 지지 다리편(62)은, 제2 취부편(12)의 전단부(42)로부터 소정 거리 상방의 위치로부터 좌우로 분기하여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 다리편(62)끼리의 사이의 이간 거리는, 상측을 향하여 서서히 넓어져 간다. 정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한 쌍의 지지 다리편(62)은, 대략 V자 형상이다. 제2 지지편(13)의 중앙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63)은 대략 역삼각형상이다. 관통 구멍(63)은, 좌우의 지지 다리편(62)과 환상편(10)에 의하여 획성(劃成)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 다리편(62)의 상단부는, 환상편(10)의 외연부에 접속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 다리편(62)의 상단부는, 환상편(10)의 하측 반 영역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으로 이간한 2개소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지지 다리편(62)의 상단부는, 좌우 한 쌍의 암편(15)의 후단부(81)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 다리편(62)의 외측의 측연부(62a)(판 단면)는, 도 7과 같이, 정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환상편(10)의 외연부에 대한 접선 혹은 접선에 가까운 형상이다.
<가이드 링(2)>
가이드 링(2)은, 대표적으로는 원형의 환상이지만, 타원형이나 장원형 등이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링(2)은, 원형이다. 가이드 링(2)은, 링 본체부(70)와 플랜지부(71)를 가진다. 링 본체부(70)는, 통상(筒狀)이다. 링 본체부(70)는, 내주면과 외주면을 가지고 있다. 링 본체부(70)의 적어도 일부가 링 장착 구멍(22)에 삽입된다. 플랜지부(71)는, 링 본체부(70)의 외주면으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플랜지부(71)는, 환상편(10)에 접하고 있다. 플랜지부(71)는, 링 본체부(70)의 외주면의 일단부에 위치한다. 링 본체부(70)의 내주면이 가이드 링(2)의 내주면이다. 플랜지부(71)는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링(2)은 바람직하게는 접착에 의하여 가이드 프레임(1)에 취부된다.
링 본체부(70)의 외주면은 링 장착 구멍(22)의 벽면에 취부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랜지부(71)는 환상편(10)의 후측에 위치하고 있고, 링 본체부(70)는 링 장착 구멍(22)에 후측으로부터 삽입된다. 플랜지부(71)의 전면이 환상편(10)의 후면(21)에 취부되어 있다. 링 본체부(70)의 외경은 링 장착 구멍(22)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다. 플랜지부(71)의 외경은, 링 장착 구멍(22)의 직경보다도 크고, 환상편(10)의 외경(환상편(10)의 외연부의 직경)보다도 작다. 따라서, 플랜지부(71)의 외주면은, 환상편(10)의 외연부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비어져 나오지 않고 그것보다도 경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가이드 링(2)의 중심선 방향의 치수를 두께로 하면, 가이드 링(2)의 두께는, 환상편(10)의 두께, 즉, 가이드 프레임(1)을 구성하고 있는 금속판의 판 두께보다도 두껍다. 또한, 가이드 링(2)의 전면은 환상편(10)의 전면(20)보다도 전측으로 약간 돌출하고 있지만, 서로 대략 면일(面一)이어도 무방하다. 플랜지부(71)의 두께는 환상편(10)의 두께보다도 두껍다. 가이드 링(2)이 환상편(10)의 전면(20)에 대하여 전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양은, 가이드 링(2)이 환상편(10)의 후면(21)에 대하여 후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양보다도 작다.
가이드 링(2)의 내주면은, 가이드 링(2)의 중심을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만곡한 만곡면을 가지고 있다. 가이드 링(2)의 내주면은, 전단부에, 전후 방향을 따라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만곡한 제1 곡면(72)을 가지고 있다. 가이드 링(2)의 내주면은, 후단부에, 전후 방향을 따라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만곡한 제2 곡면(73)을 가지고 있다. 제2 곡면(73)의 곡률 반경은, 제1 곡면(72)의 곡률 반경보다도 크다. 이와 같이 가이드 링(2)의 내주면의 후단부에 큰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제2 곡면(73)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가이드 링(2)의 내주면은 후측을 향하여 확경(擴徑)하고 있다. 덧붙여, 가이드 링(2)이 플랜지부(71)를 가지지 않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취부 상태>
이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대의 장대 본체(3)의 외주면에 취부 고정된다. 취부 방법은, 예를 들어 감기 줄과 접착제의 도포에 의한다. 낚싯줄 가이드가 낚싯대의 장대 본체(3)에 취부된 상태에 있어서, 낚싯줄 가이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Y1, Y2는, 장대 본체(3)의 중심선 방향이 된다. 취부 상태에 있어서, 낚싯줄 가이드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X는, 낚싯줄 가이드로부터 장대 본체(3)를 보았을 때에 전후 방향 Y1, Y2와 직교하는 방향이 된다. 취부 상태에 있어서, 낚싯줄 가이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Z1, Z2는, 장대 본체(3)의 경방향이 된다. 낚싯줄 가이드에 있어서의 상측 Z1은, 장대 본체(3)의 경방향 외측이 되고, 장대 본체(3)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 된다. 낚싯줄 가이드에 있어서의 하측 Z2는, 장대 본체(3)의 경방향 내측이 되고, 장대 본체(3)의 외주면에 접근하는 방향이 된다. 낚싯줄 가이드의 전후의 방향은 임의이지만, 예를 들어, 제1 취부편(11)이 환상편(10)에 대하여 장대 초리 쪽에 위치하고, 제2 취부편(12)이 환상편(10)에 대하여 장대 손잡이 쪽에 위치한다.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바라보는 방향에서 좌측이 장대 초리 쪽이고 우측이 장대 손잡이 쪽이다. 낚싯줄 가이드의 전측 Y1이 장대 초리 쪽이 되고, 낚싯줄 가이드의 후측 Y2가 장대 손잡이 쪽이 된다. 낚싯줄 가이드가 장대 본체(3)에 취부된 상태에 있어서 가이드 링(2)은 약간 장대 초리 쪽으로 경도한 자세가 된다. 단, 가이드 링(2)의 중심선이 장대 본체(3)의 중심선과 평행이어도 무방하다.
덧붙여, 도 9 및 도 10에서는, 낚싯줄 가이드가 장대 본체(3)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는 낚싯줄 가이드는 장대 본체(3)에 대하여 상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무방하고 하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무방하고, 낚싯줄 가이드의 위치나 방향은 임의이다. 예를 들어, 스피닝 릴을 사용하는 경우, 통상, 스피닝 릴은 장대 본체(3)의 하측에 위치한다. 그 경우, 낚싯줄 가이드는 장대 본체(3)의 하측에 위치한다. 양 베어링 릴을 사용하는 경우, 통상, 양 베어링 릴은 장대 본체(3)의 상측에 위치한다. 그 경우, 낚싯줄 가이드는 장대 본체(3)의 상측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낚싯줄 가이드는, 장대 본체(3)에 대하여 릴과 같은 방향에 위치한다.
이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의 암편(15)은, 중도부에 폭협부(90)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캐스트 시에 암편(15)이 과도하게 버티지 않고, 낚싯대의 휨에 추종하기 쉽다. 그 때문에, 비거리가 늘어난다. 특히, 암편(15)에 있어서 대부분의 길이를 차지하는 주요부가 폭협부(90)가 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대의 휨에 대한 추종성에 뛰어나고 있어, 비거리를 늘릴 수 있다. 또한, 폭협부(90)에 의하여 암편(15)의 강성을 용이하게 저하시킬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하다. 한편, 암편(15)의 전단부(80) 근방에는 제1 폭광부(91)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암편(15)의 전단부(80) 근방의 강성이 확보된다. 그 때문에, 암편(15)의 좌우 방향의 흔들림이 억제된다. 암편(15)의 좌우 방향의 흔들림이 억제되는 것에 의하여, 가이드 링(2)의 전후, 좌우, 또는 비틀림 방향의 흔들림이 억제되고, 캐스트 시의 낚싯줄의 저항이 작아지고, 줄 엉킴을 저감할 수 있고, 비거리를 늘릴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한 쌍의 암편(15)끼리의 합류점에 입상편(14)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한 쌍의 암편(15)끼리의 합류점의 강성이 크고, 암편(15)의 좌우 방향의 흔들림이 억제된다. 또한, 입상편(14)이 좌우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만곡하고 있으면, 입상편(14)의 강도가 더욱 커져 바람직하다. 한편, 암편(15)의 후단부(81) 근방에는 제2 폭광부(9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암편(15)과 환상편(10)의 접속부 근방의 강성이 확보된다. 그 때문에, 가이드 링(2)의 전후, 좌우, 또는 비틀림 방향의 흔들림이 억제된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강성부로서 폭협부(90)를 설치하고 있었지만, 저강성부의 구성은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저강성부로서 박육부(薄肉部)(93)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암편(15)에 박육부(93)를 설치한 구성을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암편(15)의 전체 길이를 비틀림이 없는 상태로 도시한 개략 전개도이고, 도 11(a)는, 암편(15)을 제1 암면(82)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11(b)는, 암편(15)을 제1 측면(84)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암편(15)은, 제1 후육부(94)와 박육부(93)와 제2 후육부(95)를 가지고 있다. 암편(15)의 전체 길이는, 제1 후육부(94)와 박육부(93)와 제2 후육부(95)로 구획된다. 박육부(93)의 두께 T2는, 제1 후육부(94)의 두께 T1 및 제2 후육부(95)의 두께 T3보다도 얇다. 덧붙여, 제1 후육부(94)의 두께 T1과 제2 후육부(95)의 두께 T3은 서로 같아도 무방하고, 달라도 무방하다. 또한 제1 후육부(94)의 두께 T1이나 제2 후육부(95)의 두께 T3은, 가이드 프레임(1)의 다른 부분의 두께와 같아도 무방하고, 달라도 무방하다. 박육부(93)의 두께 T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박육부(93)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다. 단, 박육부(93)의 두께 T2는, 박육부(93)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지 않아도 무방하고, 예를 들어, 암편(15)의 중앙부를 향하여 서서히 얇아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제1 후육부(94)는, 암편(15)의 전단부(80) 근방의 영역이다. 제2 후육부(95)는, 암편(15)의 후단부(81) 근방의 영역이다. 박육부(93)는, 암편(15)의 전체 길이 중 제1 후육부(94)와 제2 후육부(95)를 제외한 중간 영역이다. 제1 후육부(94)와 제2 후육부(95)와 박육부(93)의 각각의 길이는 여러 가지이어도 무방하다. 제1 후육부(94)의 길이와 제2 후육부(95)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여도 무방하고 서로 달라도 무방하다. 박육부(93)의 길이는, 제1 후육부(94)의 길이나 제2 후육부(95)의 길이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박육부(93)는, 암편(15)의 전체 길이 중 반 이상의 길이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부분의 길이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박육부(93)는, 암편(15)의 주요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암편(15)의 폭 W는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일정하다.
이와 같이 암편(15)의 중도부에 박육부(93)를 설치하면, 캐스트 시에 암편(15)이 과도하게 버티지 않고, 낚싯대의 휨에 암편(15)이 추종하기 쉽고, 비거리가 늘어난다. 또한, 박육부(93)에 의하여 암편(15)의 강성을 용이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한편, 암편(15)의 전단부(80) 근방과 후단부(81) 근방에는 각각 제1 후육부(94)와 제2 후육부(95)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암편(15)의 전단부(80) 근방과 후단부(81) 근방의 강성이 확보된다. 그 때문에, 암편(15)의 좌우 방향의 흔들림이 억제되는 결과, 가이드 링(2)의 전후, 좌우, 또는 비틀림 방향의 흔들림이 억제되어, 줄 엉킴을 저감할 수 있고, 비거리를 늘릴 수 있다. 덧붙여, 저강성부를 폭협부(90)로 하는 것과 함께 박육부(93)로 하여도 무방하다.
1: 가이드 프레임
2: 가이드 링
3: 장대 본체
10: 환상편
11: 제1 취부편
12: 제2 취부편
13: 제2 지지편
14: 입상편
15: 암편
16: 제1 지지편
20: 환상편의 전면
21: 환상편의 후면
22: 링 장착 구멍
30: 제1 취부편의 상면
31: 제1 취부편의 하면
32: 제1 취부편의 전단부
33: 제1 취부편의 후단부
40: 제2 취부편의 상면
41: 제2 취부편의 하면
42: 제2 취부편의 전단부
43: 제2 취부편의 후단부
50: 입상편의 후단부
51: 입상편의 측연부
52: 입상편의 상면
53: 입상편의 하면
60: 제2 지지편의 전면
61: 제2 지지편의 후면
62: 지지 다리편
62a: 측연부
63: 관통 구멍
70: 링 본체부
71: 플랜지부
72: 제1 곡면
73: 제2 곡면
80: 암편의 전단부(제1 단부)
81: 암편의 후단부(제2 단부)
82: 제1 암면
83: 제2 암면
84: 제1 측면
85: 제2 측면
90: 폭협부
91: 제1 폭광부
92: 제2 폭광부
93: 박육분
94: 제1 후육부
95: 제2 후육부

Claims (6)

  1. 낚싯대의 외주면(外周面)에 취부(取付)되고, 낚싯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링을 보지(保持)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이 장착되는 링 장착 구멍을 가지는 환상편과,
    상기 낚싯대의 상기 외주면에 취부되는 제1 취부편과,
    상기 환상편과 상기 제1 취부편을 연결하는 제1 지지편과,
    상기 낚싯대의 상기 외주면에 취부되고, 상기 환상편에 대하여, 상기 제1 취부편과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제2 취부편과,
    상기 환상편과 상기 제2 취부편을 연결하는 제2 지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편은, 상기 환상편의 둘레 방향으로 떨어진 2개소에 각각 접속된 한 쌍의 암편을 구비하고,
    상기 암편은, 상기 제1 취부편 측의 제1 단부와 상기 환상편 측의 제2 단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1 단부보다도 강성의 작은 저강성부(低剛性部)를 가지고 있는,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편의 전체 길이 중 상기 제1 단부 근방과 상기 제2 단부 근방을 제외하는 상기 암편의 주요부가 상기 저강성부인,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판금제(板金製)이고, 상기 저강성부는, 판 두께 방향의 치수인 두께가, 상기 암편의 상기 제1 단부보다도 얇은,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판금제이고, 상기 저강성부는, 판 두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인 폭이, 상기 암편의 상기 제1 단부보다도 좁은,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기 환상편의 상기 링 장착 구멍에 장착된 가이드 링을 구비한 낚싯줄 가이드.
  6. 제5항에 기재된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한 낚싯대.
KR1020190153366A 2019-04-17 2019-11-26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및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 KR202001222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78765 2019-04-17
JP2019078765A JP7169932B2 (ja) 2019-04-17 2019-04-17 釣糸ガイドのガイドフレーム及び釣糸ガイド並びに釣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215A true KR20200122215A (ko) 2020-10-27

Family

ID=72913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366A KR20200122215A (ko) 2019-04-17 2019-11-26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및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69932B2 (ko)
KR (1) KR20200122215A (ko)
CN (1) CN111820197B (ko)
TW (1) TWI816016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3778A (ja) 1999-03-10 2000-09-19 Fuji Kogyo Co Ltd 釣竿用ラインガイドと釣竿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5713B2 (ko) * 1972-02-10 1975-06-06
JPS5021984Y2 (ko) * 1972-09-14 1975-07-02
JPS52127886A (en) * 1976-04-19 1977-10-26 Daimaru Kogyo Kaisha Ltd Process for fishing line guide to be fixed to fishing rods
JPS5610144Y2 (ko) * 1976-09-03 1981-03-06
JPS53127187A (en) * 1977-04-11 1978-11-07 Fuji Industries Co Ltd Elastic thread leading rings
JPS6067072U (ja) * 1983-10-12 1985-05-1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糸ガイド
JP3063963B2 (ja) 1995-08-31 2000-07-1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中通し釣竿
JPH10290650A (ja) * 1997-04-18 1998-11-04 Gamakatsu Co Ltd 糸ガイド
JP2003079283A (ja) * 2001-09-12 2003-03-18 Daiwa Seiko Inc 釣糸ガイド
JP4652136B2 (ja) 2005-06-09 2011-03-16 富士工業株式会社 ラインガイド用フレームおよび釣竿
US8813415B2 (en) * 2010-03-31 2014-08-26 Globeride, Inc. Fishing line gui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ishing line guide
JP5460544B2 (ja) * 2010-09-30 2014-04-0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ガイド及び釣竿
JP5809938B2 (ja) 2011-11-15 2015-11-1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ガイド及び、その釣糸ガイドを備える釣竿
JP2014027885A (ja) * 2012-07-31 2014-02-13 Globeride Inc 釣竿
KR101391116B1 (ko) * 2013-07-23 2014-04-30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낚싯대
KR101466539B1 (ko) * 2013-09-10 2014-11-27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한 낚싯대
JP6386710B2 (ja) * 2013-09-30 2018-09-0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ガイド
JP6527057B2 (ja) * 2015-09-02 2019-06-05 株式会社シマノ 釣糸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ガイドフレー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3778A (ja) 1999-03-10 2000-09-19 Fuji Kogyo Co Ltd 釣竿用ラインガイドと釣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38713A (zh) 2020-11-01
JP7169932B2 (ja) 2022-11-11
TWI816016B (zh) 2023-09-21
CN111820197A (zh) 2020-10-27
CN111820197B (zh) 2023-07-21
JP2020174563A (ja)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7057B2 (ja) 釣糸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ガイドフレーム
JP6553455B2 (ja) 釣糸ガイド、釣竿、及び、ガイドフレーム
CN106818662B (zh) 钓线引导件、钓竿以及锻造引导框
JP7190958B2 (ja) 釣糸ガイドのガイドフレーム及び釣糸ガイド並びに釣竿
JP2012213607A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及び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616204B2 (ja) 釣竿用導糸環
KR20200122215A (ko)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및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
JP6553456B2 (ja) 釣糸ガイド、釣竿、及び、ガイドリング
KR20200122214A (ko)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및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
JP2017029074A (ja) トップ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ガイドフレーム
JP6247587B2 (ja) 振り出し竿用の釣糸ガイド及び振り出し竿
JP2018527151A (ja) 分節可能な両刃型剃刀刃
JP6723851B2 (ja) 振出竿用のトップガイド及び振出竿並びにガイドフレーム
KR20230007932A (ko)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
JP2916429B2 (ja) 釣竿用導糸環
JP2022188473A (ja) 釣竿用ガイド
JP2009082291A (ja) 中空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945759B1 (ja) ルアー用フック及び釣り用ルアー
JPH11103728A (ja) ラインガイド
JPWO2019142622A1 (ja) 釣り糸ガイド及びこれを備える釣り竿
JP2023008795A (ja) 釣糸ガイドのガイドフレーム及び釣糸ガイド並びに釣竿
KR100902558B1 (ko) 릴 시트
KR20230146438A (ko)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
CN116806785A (zh) 钓线引导件及钓竿
JPH10313743A (ja) ラインガイ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