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539B1 -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한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한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539B1
KR101466539B1 KR1020140048211A KR20140048211A KR101466539B1 KR 101466539 B1 KR101466539 B1 KR 101466539B1 KR 1020140048211 A KR1020140048211 A KR 1020140048211A KR 20140048211 A KR20140048211 A KR 20140048211A KR 101466539 B1 KR101466539 B1 KR 101466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ishing
line
guide ring
fish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토 오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AU2014319533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14319533B2/en
Priority to JP2015536531A priority patent/JP5940738B2/ja
Priority to CN201480049371.7A priority patent/CN105517432B/zh
Priority to US14/911,177 priority patent/US9510574B2/en
Priority to PCT/JP2014/073028 priority patent/WO2015037469A1/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싯줄의 줄엉킴을 해소하고 강성이 높은 낚싯줄 가이드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는, 가이드 링의 양측으로부터 낚싯대 선단 측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측방 지지 다리와, 가이드 링의 하측으로부터 연장하는 1개의 후방 지지 다리를 구비한다. 낚싯줄 가이드를 정면에서 볼 때, 측방 지지 다리의 외측윤곽선은 그 부착 발로부터 부착 발을 지나는 수평선에 대하여 45° 이상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가이드 링의 외측윤곽선은 가이드 링의 중심보다 아래쪽으로 45°의 위치로부터 가이드 링의 외측윤곽선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중심을 가지는 곡선을 가진다. 측방 지지 다리의 상측윤곽선은 가이드 링의 중심보다 위에서 가이드 링의 외측윤곽선에 결합하고, 측방 지지 다리의 하측윤곽선은 가이드 링의 중심보다 아래에서 가이드 링의 외측윤곽선에 결합한다. 낚싯줄 가이드를 측면에서 볼 때, 가이드 링은 낚싯대 선단 측으로 경사하고, 후방 지지 다리의 후방윤곽선은 가이드 링의 후방윤곽선으로부터 낚싯대 본체에 수직으로 구부러져 있다.

Description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한 낚싯대{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ROD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낚싯대에 부착되어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장착한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낚시구의 캐스팅 시에 또는 낚시 도중에 낚싯줄을 안내하기 위해 낚싯줄 가이드가 낚싯대에 부착된다. 낚싯줄 가이드를 통과해 낚싯줄이 이동되므로, 낚싯줄이 낚싯줄 가이드에 걸리면 낚싯줄 가이드에서 낚싯줄의 엉킴이 발생하게 된다. 낚싯줄 가이드는 이러한 낚싯줄의 엉킴을 해소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중요하다.
낚싯줄의 엉킴을 유발하는 하나의 요인으로서, 근년 낚싯줄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PE라인’을 고려할 수 있다. PE라인은 초고분자량의 폴리에틸렌의 멀티필라멘트로 이루어진다. PE라인은, 나일론라인이나 프로로카본라인보다 큰 강도를 가진다. 그러나, PE라인은 모노필라멘트 라인과 달리 소위 브레이디드 라인(braided line)이므로, 팽팽함이 없고 매우 유연하다. 따라서, PE라인은 종래의 낚싯줄에 비해 줄엉킴을 발생시키기 쉽다. 또, PE라인은 신장이 적고, 장력이 걸릴 때의 충격을 흡수하기 어렵다. 충격의 흡수를 위해, PE라인보다 직경이 큰 모노필라멘트라인(리더(leader))이 PE라인의 선단에 결속부를 통해 결속된다. 리더가 PE라인보다 굵으므로, 결속부는 PE라인보다 크고 두꺼운 형상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결속부를 가진 낚싯줄은 낚시구의 캐스팅 시에 낚싯줄 가이드에 쉽게 걸려, 낚싯줄의 줄엉킴을 유발하기 쉽다.
낚싯줄의 엉킴을 유발하는 또 하나의 요인으로서, 낚싯줄 가이드 중 초크 가이드(choke guide)의 기능이 고려될 수 있다. 초크 가이드는 낚시구의 캐스팅 시에 릴로부터 나선 형상으로 방출되는 낚싯줄을 직선화시킨다. 따라서, 초크 가이드는 낚싯줄에 많은 저항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초크 가이드의 기능으로 인해, 초크 가이드에서 낚싯줄의 엉킴이 많이 발생한다.
일본 특허등록 공보 제4755670호 일본 특허공개 공보 제2000-253778호 일본 의장등록 공보 제1037054호
후지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종합 카탈로그 2006 (2006년 1월 20일 발행, 13쪽)
일본 특허등록 공보 제4755670호는, 가이드 링을 통과하기 전의 낚싯줄이 낚싯줄 가이드에 감기는 줄엉킴을 해소하도록 설계된 낚싯줄 가이드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 문헌이 개시하는 낚싯줄 가이드는 초크 가이드로서 사용되기에 만족스럽지 못하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종래의 낚싯줄 가이드를 설명한다. 낚싯줄 가이드(20)는 낚싯줄(14)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21)과 가이드 링(21)으로부터 낚싯대(10)의 릴 측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측방 지지 다리(22L, 22R)를 가진다. 측방 지지 다리(22L, 22R)가 릴을 향하고 있으므로, 릴로부터 나선 형상으로 방출된 낚싯줄(14)은 측방 지지 다리(22L, 22R)에 단속적으로 접촉하게 되어(도 1a 및 도 1c에 CP1으로 지시한 부분 참조), 낚싯줄(14)이 마모하기 쉽다. 또, 도 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낚싯줄 가이드(20)에서는 가이드 링(21)과 측방 지지 다리(22L, 22R)가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고 그 사이의 각도(α1)가 매우 작아, 그 사이에 좁은 간극(G)이 존재한다. 이러한 좁은 간극(G)에 낚싯줄(140)이 끼어들어가면 낚싯줄의 엉킴이 발생한다. PE라인(14a)과 리더(14b)를 결속하는 결속부(14c)는 풀어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속되어 있으므로, 경질화되어 있다. 따라서, 낚싯줄을 직선화하는 과정에서 낚싯줄에 큰 저항이 가해질 때, 결속부(14c)는 불규칙적으로 움직이기 쉽다. 특히, 결속부(14c)가 가이드 링(21)과 측방 지지 다리(22L, 22R) 사이의 간극(G)에 끼이면, 낚싯줄(14)의 줄엉킴을 해소하는 것은 매우 어려워진다.
낚싯줄의 줄엉킴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줄의 이동을 저지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줄의 원활한 이동을 실현하는데 불충분하다. 도 2a 내지 도 2d는 후지코교 가부시키가이샤의 카탈로그에 포함된 종래의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하며, 낚싯줄의 줄엉킴의 해제시 낚시줄의 이동이 저지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가이드 링(31)과 지지 다리(33)의 사이에는 오목부(34)가 형성되어 있어, 낚싯줄(14)이 가이드 링(31)의 하단에 걸려 가이드 링(31) 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지지 다리(32L, 32R)와 낚싯대(10) 사이의 각도(α2)가 좁아, 이들 사이에 낚싯줄(14)이 끼워져 이동이 저지된다.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면, 가이드 링(31)의 외주는 넓은 범위에 걸쳐 원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 낚시줄(14)은 가이드 링(31)의 외주를 넘어 가이드 링(31)의 상면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가이드 링(31)의 뒷면으로 들어가 가이드 링(31)에 걸리게 되어(도 2c에서 파선 참조), 낚싯줄의 이동이 저지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일본 의장등록 공보 제1037054호가 개시하는 종래의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한다. 이 문헌이 개시하는 낚싯줄 가이드 또한 초크 가이드로서 사용되기에 만족스럽지 않다. 도 3a를 참조하면, 낚싯줄 가이드(40)는 가이드 링(41)으로부터 릴 측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후방 지지 다리(43L, 43R)를 가지며, 후방 지지 다리(43L, 43R)의 사이에 간극(44)이 존재한다. 낚싯줄의 결속부(14c)가 간극(44)에 들어가면, 간극(44)으로부터 빠지기 어려워 낚싯줄의 엉킴을 유발한다.
PE라인과 리더로 이루어진 낚싯줄을 사용하는 낚시에서는, 100g 정도의 무거운 추를 100m 정도로 날리는 캐스팅, 즉 큰 부하를 걸어 낚시구를 캐스팅하는 예가 있다. 이러한 낚시의 예에서는, 나선 형상의 낚싯줄을 직선화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또한,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링을 통과한 후에도, 낚싯줄은 완전히 직선화되지 않고 낚싯줄의 궤적은 약간의 나선형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낚싯줄에 가해지는 저항을 증가시키지 않기 위해, 낚싯줄 가이드는 가이드 링의 측방에서 연장하는 지지 다리에 낚싯줄이 접촉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도 3b 및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링(41)의 측방에서 낚싯대의 선단 측으로 연장하는 측방 지지 다리(42L, 42R)가, 낚싯줄 가이드(40)를 정면에서 볼 때, 가이드 링(41)의 가장 바깥쪽에서 보이는 선보다 안쪽으로 들어가는 형상으로 가이드 링(41)으로부터 연장하면, 가이드 링(41)을 통과한 후에도 약간의 나선형을 취하게 되는 낚싯줄의 일부(예컨대, 도 3b 및 도 3c에서 리더(14b))이 지지 다리(43L, 43R)에 접촉하게 되어(도 3b 및 도 3c에 CP2로 지시한 부분 참조), 낚싯줄에 저항을 가하고, 낚시구의 비거리를 감소시킨다.
또한, 전술한 큰 부하를 걸어 낚시구를 캐스팅하는 예에 있어서, 낚싯줄을 직선화하는 초크 가이드에 가해지는 충격이 커서, 초크 가이드가 그 충격으로 인해 진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낚시의 예에서는 초크 가이드의 진동을 억제할 필요가 있으며, 초크 가이드의 휨이 적도록 초크 가이드는 높은 강성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초크 가이드는 휨 감소의 점에서 만족스럽지 못하다. 예컨대, 도 4에 도시하는 일본 특허공개 공보 제2000-253778호가 개시하는 초크 가이드에 있어서, 가이드 링(51)으로부터 연장하는 지지 다리(52L)의 길이(L)가 길기 때문에, 초크 가이드는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없고, 지지 다리(52L)의 휨에 의해 초크 가이드 전체가 진동할 수 있다. 이는 불리한 캐스팅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낚싯줄의 마모를 저감시키고, 낚싯줄에 가해지는 저항을 감소시켜 낚싯줄의 줄엉킴을 원활하게 해소하면서 큰 강성을 가지는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낚싯대에 부착되어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가이드가 제공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과, 상기 가이드 링의 직경방향에서의 양측으로부터 낚싯대의 선단 측으로 각각 연장하고, 하단에서 서로 근접하며, 상기 하단에 낚싯대 본체와의 부착을 위한 제1 부착부를 갖춘 한 쌍의 측방 지지 다리와, 상기 가이드 링의 하측으로부터 연장하고 하단에 상기 낚싯대 본체와의 부착을 위한 제2 부착부를 갖춘 1개의 후방 지지 다리를 구비한다. 상기 낚싯줄 가이드를 정면에서 볼 때, 상기 가이드 링은 외측윤곽선을 갖고, 상기 측방 지지 다리는 상기 가이드 링의 외측윤곽선과 제1 결합점에서 결합하는 외측윤곽선을 갖고, 상기 후방 지지 다리는 상기 가이드 링의 외측윤곽선과 결합하는 외측윤곽선을 갖는다. 상기 낚싯줄 가이드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가이드 링은 상기 낚싯대의 후단 측에 면하는 후방윤곽선을 갖고, 상기 측방 지지 다리는 상기 가이드 링의 외측윤곽선과 상기 제1 결합점에서 결합하는 상측윤곽선과 제2 결합점에서 결합하는 하측윤곽선을 갖고, 상기 후방 지지 다리는 상기 가이드 링의 후방윤곽선과 결합하고 상기 낚싯대 후단 측에 면하는 후방윤곽선을 갖는다. 상기 가이드 링의 후방윤곽선은 상기 제1 및 제2 부착부의 하면에 접하는 제1 수평선에 수직한 수직선에 대하여 상기 낚싯대 선단 측으로 제1 각도로 경사한다. 상기 후방 지지 다리의 후방윤곽선은 상기 수직선에 대하여 상기 제1 각도 이하의 각도로 상기 가이드 링의 후방윤곽선에 대해 경사한다. 상기 낚싯줄 가이드를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측방 지지 다리의 외측윤곽선은 상기 제1 부착부의 하면과의 경계점에서 상기 제1 수평선에 대하여 45° 이상 90° 이하의 각도로 경사한다. 상기 가이드 링을 직각방향에서 볼 때, 상기 가이드 링의 외측윤곽선은 상기 가이드 링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가이드 링의 중심에 대하여 제2 각도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양 종점을 가지는 원호와, 상기 원호의 종점과 상기 후방 지지 다리의 외측윤곽선의 사이에 직선 또는 상기 가이드 링의 외측윤곽선보다 외측에 중심을 가지는 제1 곡선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링을 직각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결합점은 상기 가이드 링의 중심보다 위쪽으로 상기 가이드 링의 중심에 대하여 제3 각도로 위치하고 상기 제2 결합점은 상기 가이드 링의 중심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 다리의 후방윤곽선은 상기 가이드 링의 후방윤곽선으로부터 상기 제1 각도 이하의 각도로 연장한다. 상기 후방 지지 다리의 후방윤곽선은 상기 제1 수평선에 수직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5° 내지 20°의 범위이고, 상기 제2 각도는 30° 내지 45°의 범위이며, 상기 제3 각도는 25° 내지 40°의 범위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방 지지 다리의 외측윤곽선은 상기 제1 부착부의 하면과의 경계점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제2 곡선과 상기 제2 곡선으로부터 상기 제1 결합점으로 연장하는 제3 곡선을 포함한다. 낚싯줄 가이드를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제2 곡선은 상기 측방 지지 다리의 외측윤곽선보다 외측에 중심을 가지고, 상기 제3 곡선은 상기 측방 지지 다리의 외측윤곽선보다 내측에 중심을 가진다. 상기 낚싯줄 가이드를 정면에서 볼 때 상기 낚싯줄 가이드는 상기 제3 곡선의 범위에 최대폭을 가진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가이드는 상기 제1 수평선과 상기 제1 수평선에 평행하고 상기 가이드 링의 중심을 지나는 제2 수평선 사이의 높이를 반분하는 제3 수평선의 위쪽에 상기 최대폭을 가지며, 상기 제2 곡선은 상기 제3 수평선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방 지지 다리의 상측윤곽선은, 상기 제1 부착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제4 곡선과, 상기 제4 곡선으로부터 상기 제1 결합점으로 연장하고 상기 측방 지지 다리의 외측윤곽선의 상기 제3 곡선의 범위에 존재하는 제5 곡선을 포함한다. 상기 낚싯줄 가이드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4 곡선은 상기 상측윤곽선보다 상기 낚싯대의 후단 측에 위치하는 중심을 가지며, 상기 제5 곡선은 상기 상측윤곽선보다 상기 낚싯대의 선단 측에 위치하는 중심을 가지며, 상기 제4 곡선과 상기 제5 곡선의 경계에서의 접선은 상기 수직선에 대하여 상기 낚싯대의 후단 측으로 제4 각도로 경사한다.
이러한 예에서, 상기 측방 지지 다리의 상측윤곽선은 상기 제4 곡선과 상기 제5 곡선의 사이에 상기 제4 각도로 경사하는 직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각도는 30° 내지 60°의 범위이다. 또, 상기 제5 곡선은 상기 제1 수평선에 평행하게 상기 최대폭을 지나는 제4 수평선의 위쪽에 위치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방 지지 다리의 외측윤곽선과 상측윤곽선은 S자형을 가진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부의 상기 낚싯대 선단 측의 끝과 상기 제2 부착부의 상기 낚싯대 후단 측의 끝 사이의 길이는, 상기 제1 수평선과 상기 가이드 링의 상단 사이의 높이보다 작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방 지지 다리는 상기 가이드 링에 인접하는 개구를 가진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부 및 상기 제2 부착부는 링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전술한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에 의하면, 가이드 링은 하측 외주에 원호 형상을 갖지 않으며, 측방 지지 다리는 낚싯줄 가이드를 정면 및 측면에서 볼 때 S자형으로 만곡되어 있고, 1개의 후방 지지 다리는 가이드 링에 대하여 낚싯대의 선단 측으로 낚싯대에 수직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러한 가이드 링, 측방 지지 다리, 후방 지지 다리로 인해,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줄의 마모를 저감시키고, 낚싯줄의 저항을 감소시켜 줄엉킴을 원활하게 해소할 수 있고, 짧은 전장을 가질 수 있다. 또, 낚싯줄 가이드를 정면에서 볼 때, 낚싯줄 가이드의 측방 지지 다리가 수평선에 대하여 45° 이상의 각도로 상방으로 연장하고, 낚싯줄 가이드를 측면에서 볼 때, 측방 지지 다리가 S자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으므로, 측방 지지 다리는 굽힘에 대해 큰 저항력을 가지며, 낚싯줄 가이드의 강성이 증대될 수 있고, 휨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낚싯줄 가이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종래의 낚싯줄 가이드에 있어서 낚싯줄이 걸리는 예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종래의 낚싯줄 가이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종래의 낚싯줄 가이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낚싯대의 일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측면도와 낚싯줄 가이드의 정면도에서 가이드 링을 직각방향에서 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낚싯줄 가이드의 정면도에서 가이드 링을 직각방향에서 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낚싯줄 가이드의 구성요소의 윤곽선을 도시한다.
도 12는 도 7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측면도와 정면도를 함께 도시한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에서 줄엉킴이 발생하는 것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에서의 줄엉킴의 해소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도 14에 도시하는 낚싯줄의 이동을 각각 도시한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에서의 줄엉킴의 해소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4에서의 낚싯줄의 이동의 다음의 이동을 도시한다.
도 17a 및 도 17b는 도 16에 도시하는 낚싯줄 이동을 도시하는 측면도 및 다이어그램이다.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에서의 줄엉킴의 해소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6에서의 낚싯줄의 이동의 다음의 이동을 도시한다.
도 19a 및 도 19b는 도 18에서의 낚싯줄의 이동을 도시한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에 있어서 낚싯줄의 결속부가 걸리지 않는 것을 예시한다.
도 21a 및 도 21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실시예와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 또는 부품을 지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전방’, ‘전’ 등의 방향지시어는 낚싯대의 선단(tip) 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 ‘후’ 등의 방향지시어는 낚시대의 후단(butt) 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상방’, ‘상측’ 등의 방향지시어는 가이드 링이 지지 다리의 부착부에 대해 위치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방’, ‘하측’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 사용된 ‘윤곽선’이라는 용어는, 낚싯줄 가이드의 정면도 또는 측면도에서 낚싯줄 가이드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최외측에서 보이는 선을 말한다. 예컨대, ‘외측윤곽선’은 낚싯줄 가이드를 정면에서 볼 때 구성요소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선을 말한다. ‘상측윤곽선’ 또는 ‘하측윤곽선’은 낚싯줄 가이드를 측면에서 볼 때 구성요소의 가장 위쪽 또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선을 말하고, ‘후방윤곽선’은 구성요소의 가장 후방에 위치하는 선을 말한다.
도 5 및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에서, 화살표(T)는 낚싯대의 선단 측을 향하는 방향을 가리키고 화살표(B)는 낚싯대의 후단 측을 향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낚싯대(100)는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하나 이상 구비한다.
낚싯대(100)는 가늘고 기다란 본체(110)를 가진다. 낚싯대(100)는 본체(110)의 후방에 릴(130)을 부착하기 위한 릴 시트(122)를 가진다. 릴(130)은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132)을 가지며, 릴(130)은 스풀(132)의 전단면이 낚싯대의 축선(AL)에 수직한 수직선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예컨대, 4° 내지 5°)로 기울어지도록 릴 시트(122)에 장착된다.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200)는 릴 시트(122)의 전방에서 본체(110)에 부착된다. 낚싯줄 가이드(200)는, 그 부착부를 낚싯대의 본체(110)에 밀착시키고, 감기실로 부착부 및 본체(110)를 조밀하게 감아 낚싯대의 본체(110)에 부착된다. 또한, 본체(110)에 감아진 감기실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코팅층(124)이 형성된다.
도 7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낚싯대(100)에 부착되는 낚싯줄 가이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200, 300, 400, 500)는 낚시구의 캐스팅 시에 릴(130)로부터 나선 형상으로 방출되는 낚싯줄을 직선화시키면서 안내하는 부품으로서, 당해 분야에 있어서 ‘쵸크 가이드(choke guide)’로서 참조될 수 있다. 초크 가이드로서의 낚시줄 가이드(200, 300, 400, 500)는 1개 또는 복수개가 낚싯대(100)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200, 300, 400, 500)는, 낚싯줄이 통과하며 실질적으로 원형을 가지는 가이드 링과, 가이드 링의 직경방향에서의 대향하는 양측으로부터 낚싯대의 선단 측으로 각각 연장하는 한 쌍의 측방 지지 다리와, 가이드 링의 하측으로부터 측방 지지 다리와 소정 간격을 두고 연장하는 1개의 후방 지지 다리를 포함한다. 측방 지지 다리와 후방 지지 다리는 그 하단에 낚싯대에의 부착을 위한 부착부를 구비한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200)를 설명한다. 낚싯줄 가이드(200)는, 낚싯줄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210)과, 가이드 링(210)의 직경방향에서의 양측으로부터 낚싯대(100)의 선단 측으로(화살표(T)로 지시된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와, 가이드 링(210)의 하측으로부터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와 이격되어 연장하는 1개의 후방 지지 다리(230)를 포함한다. 낚싯줄 가이드(200)를 구성하는 전술한 부품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링(210)은 실질적으로 원형이며, 그 안에 낚싯줄이 통과하는 원형의 개구를 구비한다. 낚시구의 캐스팅 시에, 낚싯줄은 상기 개구를 통과하면서 직선화되어, 가이드 링(210)에 의해 안내된다.
가이드 링(210)은 경질 링(212)과 경질 링(212)을 유지하는 유지 링(214)으로 이루어진다. 경질 링(212)은 실질적으로 원형이며, 그 안에 가이드 링(210)의 상기 개구를 형성한다. 경질 링(212)은 낚시구의 캐스팅 시 또는 낚시 도중 낚싯줄과 접촉한다. 경질 링(212)은 세라믹, 금속 등의 내마모성이 우수한 경질재료로 이루어진다. 유지 링(214)은 실질적으로 원형이며, 그 내주면에 경질 링(212)이 끼워져 경질 링(212)을 유지한다. 이 실시예에서의 가이드 링(210)은 낚싯줄이 통과하는 경질 링(212)과 경질 링(212)을 유지하는 유지 링(214)으로 이루어지지만, 가이드 링(210)은 원하는 강도, 경도, 내마모성 등이 충족되면 하나의 원형의 링형상의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 쌍의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는 가이드 링(210)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는 가이드 링(210)의 직경방향에서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한다. 예컨대, 낚싯줄 가이드(200)를 정면에서 볼 때(낚싯대(100)를 후단에서 축선(AL)을 따라 낚싯줄 가이드(200)를 볼 때), 측방 지지 다리(220L)는 가이드 링(210)의 좌측 가장자리(유지 링(214)의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낚싯대의 선단 측으로 연장하고, 측방 지지 다리(220R)는 가이드 링(210)의 우측 가장자리(유지 링(214)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낚싯대의 선단 측으로 연장한다.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는 소정 형상으로 만곡하면서 연장하여, 그 하단 부근에서 서로 근접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는 낚싯줄 가이드(200)를 정면에서 볼 때 예컨대 S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낚싯줄 가이드(200)를 측면에서 볼 때(낚싯대(100)를 측면에서 볼 때) 예컨대 S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즉,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는 낚싯줄 가이드(200)의 정면 및 측면에서 볼 때, 모두 S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는 그 하단에 낚싯대의 본체(110)에의 부착을 위한 제1 부착부(222)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부착부(222)는 납작하고 기다란 발의 형상을 가진다. 제1 부착부(222)는 낚싯대의 본체(11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하면(222a)을 가진다. 제1 부착부(222)의 하면(222a)은 약간의 곡률로 오목하게 또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후방 지지 다리(230)는 가이드 링(210)의 하측으로부터(유지 링(214)의 하측으로부터)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연장한다. 후방 지지 다리(230)는 낚싯줄 가이드(200)를 정면에서 볼 때 가이드 링(210)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한다. 낚싯줄 가이드(200)를 측면에서 볼 때, 후방 지지 다리(230)는 가이드 링(210)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후방 지지 다리(230)의 가이드 링(210)에 대한 경사 각도는 후방 지지 다리(230)가 낚싯대(100)의 축선(AL)에 수직으로 되는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후방 지지 다리(230)는 그 하단에 낚싯대의 본체(110)에의 부착을 위한 제2 부착부(232)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부착부(232)는 납작하고 기다란 발의 형상을 가진다. 제2 부착부(232)는 낚싯대의 본체(11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하면(232a)을 가진다. 제2 부착부(232)의 하면(232a)은 약간의 곡률로 오목하게 또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200)는 낚싯대(100)를 휘둘러 낚시구를 캐스팅할 때 낚싯줄을 직선화(이른바, 초크(choke))하며, 아울러 낚싯줄이 낚싯줄 가이드(200)에 감겨 발생할 수 있는 낚싯줄의 엉킴을 해소한다. 낚싯줄 엉킴의 해소는 낚싯줄 가이드(2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외형의 특징, 예컨대 구성요소의 윤곽선의 특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낚싯줄 가이드(200)를 구성하는 가이드 링(210),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 및 후방 지지 다리(230)의 윤곽선을 도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낚싯줄 가이드(200)를 정면에서 볼 때, 가이드 링(210)은 외측윤곽선(216)을 가지고,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는 외측윤곽선(224)을 가지고, 후방 지지 다리(230)는 외측윤곽선(234)을 가진다.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외측윤곽선(224)은 제1 부착부(222)의 하면(222a)과는 경계점(P1)에서 결합하고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과는 제1 결합점(P2)에서 결합한다. 후방 지지 다리(230)의 외측윤곽선(234)은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과 결합한다.
또한, 낚싯줄 가이드(200)를 측면에서 볼 때, 가이드 링(210)은 후방윤곽선(218)을 갖고, 후방 지지 다리(230)는 후방윤곽선(236)을 가지며,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는 상측윤곽선(226)과 하측윤곽선(228)을 가진다. 가이드 링(210)의 후방윤곽선(218)은 낚싯대의 후단 측(화살표(B)의 방향)에 면한다. 후방 지지 다리(230)의 후방윤곽선(236)은 낚싯대 후단 측(화살표(B)의 방향)에 면하고 가이드 링(210)의 후방윤곽선(218)과 결합한다.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상측윤곽선(226)은 제1 부착부(222)의 상면(222b)과 가이드 링(210) 사이에 있으며,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과 제1 결합점(P2)에서 결합한다.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하측윤곽선(228)은 제1 부착부(222)의 하면(222a)과 가이드 링(210) 사이에 있으며,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과 제2 결합점(P3)에서 결합한다.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하측윤곽선(228)은 상측윤곽선(226)과 유사하다.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에서는, 가이드 링(210)이 낚싯대(100)의 선단 측으로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낚싯줄 가이드(200)를 정면에서 볼 때(낚싯대(100)의 후단에서 축선(AL)을 따라 낚싯줄 가이드(200)를 볼 때), 가이드 링(210)은 원형이 아닌 타원형으로 보이게 된다. 낚싯줄 가이드(200)의 외형의 특징의 설명을 위해, 가이드 링(210)을 그에 수직한 방향에서 본 도면이 참조된다. 가이드 링(210)을 구성하는 유지 링(214)은 원형이며, 측면에서 볼 때 대략 평평하다. 유지 링(214)의 상면이 평평하므로, 그에 수직한 방향 또는 그에 직각인 방향(도 9에 도시하는 화살표(ND)의 방향)에서 가이드 링(210)을 보면, 가이드 링(210)은 원형으로 보이게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유지 링(214)의 상기 평평한 상면은 ‘링 평면(RP)’으로 참조된다. 또한, 가이드 링(210)을 링 평면(RP)에 직각인 방향에서 보는 것은 ‘가이드 링을 직각방향에서 볼 때’로서 참조된다. 도 9, 도 10 및 도 11c에는, 가이드 링(210)을 직각방향에서 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1b에 있어서, 가이드 링(210)의 후방윤곽선(218)은 링 평면(RP)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낚싯줄 가이드(200)의 각 구성요소의 외형의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낚싯줄 가이드(200)를 측면에서 볼 때(도 9, 도 11b 및 도 12 참조), 가이드 링(210)은 낚싯대(100)의 선단 측(화살표(T)의 방향)으로 제1 각도(θ1)로 기울어져 있다. 즉, 가이드 링(210)의 후방윤곽선(218)은 제1 수평선(HL1)에 수직한 수직선(VL)에 대하여 낚싯대(100)의 선단 측으로 제1 각도(θ1)로 기울어져 있다. 여기서, 제1 수평선(HL1)은 제1 부착부(222)의 하면(222a)과 제2 부착부(232)의 하면(232a)에 접하는 직선이며, 낚싯대의 본체(110)의 축선(AL)과 평행하다.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 링(210)이 낚싯대(100)의 선단 측으로 기울어진 제1 각도(θ1)는, 릴(130)의 스풀(132)이 낚싯대의 축선(AL)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하도록 5° 이상이다. 또한, 릴(130)로부터 방출된 나선 형상의 낚싯줄이 가이드 링(210)으로 들어갈 때, 상기 스풀(132)의 각도와 가이드 링(210)의 경사각도의 차이로 인해, 가이드 링(210)의 하측에 낚싯줄이 닿아 낚싯줄이 불규칙하게 움지이지 않도록, 제1 각도(θ1)는 20° 이하이다.
낚싯줄 가이드(200)를 정면에서 볼 때(도 9, 도 10, 도 11a 및 도 11c 참조),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즉, 유지 링(214)의 외측윤곽선)은 경질 링(212)보다 외측에 있는 유지 링(214)의 원주의 선분과 이 선분의 양단에서 변곡점(P5)을 매개로 이어지는 직선 또는 곡선을 포함한다.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을 이루는 유지 링(214)의 원주의 선분은 가이드 링(210)의 중심(C0)보다 중심(C0)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제2 각도(θ2)로 위치하는 지점에서 끝난다. 따라서,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은 소정 구간에 있어서 원호(216a)를 가진다. 원호(216a)의 중심은 가이드 링(210)의 중심(C0)으로 되며, 원호(216a)는 가이드 링(210)의 중심(C0)을 지나는 중심선(RCL)으로부터 중심(C0)보다 아래쪽으로 제2 각도(θ2)로 위치하는 두개의 종점을 가진다. 원호(216a)의 종점이 변곡점(P5)으로 된다. 즉, 가이드 링(210)을 직각방향에서 볼 때,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을 이루는 원호(216a)(유지 링(214)의 원주의 선분)는 변곡점(P5)에서 종료하며, 변곡점(P5)은 가이드 링(210)의 중심(C0)을 지나는 중심선(RCL)으로부터 제2 각도(θ2)만큼 아래쪽에 위치한다(도 10 및 도 11c참조).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각도(θ2)의 범위는 30° 내지 45°이다.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이 30° 미만의 제2 각도(θ2)에서 변곡점(P5)에 접하는 직선 또는 곡선을 가지는 경우, 가이드 링(210)에서 후방 지지 다리(230)로 천이하는 부분의 폭이 커지게 되어, 낚싯줄 가이드(200)의 중량을 증가시키고 외관을 불량하게 할 수 있다. 또, PE라인과 리더를 결속하는 결속부가 낚시구의 캐시팅 시에 불규칙하게 움직일 때, 결속부가 상기 천이하는 부분에 접촉할 수 있다.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이 45° 초과의 제2 각도(θ2)에서 변곡점(P5)에서 접하는 직선 또는 곡선을 가지는 경우, 낚시구의 캐시팅 시에 낚싯줄의 일부가 가이드 링(210)의 뒤쪽(가이드 링(210)의 낚싯대(100)의 선단을 향하는 쪽)으로 돌아들어가 가이드 링(210)에 걸릴 수 있다.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은 원호(216a)의 변곡점(P5)으로부터 후방 지지 다리(230)의 외측윤곽선(234)까지 직선 또는 제1 곡선(216b)을 가진다.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을 이루는 상기 직선은 원호(216a)의 변곡점(P5)에서의 접선을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을 이루는 제1 곡선(216b)은 원호(216a)의 변곡점(P5)에 접하는 곡선이며 외측윤곽선(216)보다 외측에 있는 중심(C1)과 곡률반경(R1)을 가진다. 즉,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은, 변곡점(P5)까지는 원호(216a)(유지 링(214)의 원주의 선분)를 포함하고, 변곡점(P5)으로부터는 상기한 직선 또는 중심(C1) 및 곡률반경(R1)의 제1 곡선(216b)으로 바뀌어서, 후방 지지 다리(230)의 외측윤곽선(234)과 결합한다.
도 10 및 도 11c에 도시하는 중심(C6)은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보다 내측에 있는 임의의 중심이고, 도 10 및 도 11c에 도시하는 중심(C1)은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을 구성하는 제1 곡선(216b)의 중심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은, 가이드 링(210)을 직각방향에서 볼 때, 가이드 링(210)의 중심(C0)에서 아래쪽으로 제2 각도(θ2)로 위치하는 변곡점(P5)으로부터는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보다 내측에 중심(C6)을 가지는 원호(CA)를 포함하지 않는다. 외측윤곽선(216)이 이러한 원호(CA)를 갖는 경우, 낚싯줄의 일부가 가이드 링(210)의 뒤쪽(가이드 링(210)의 낚싯대 선단을 향하는 측)으로 돌아들어가 가이드 링(210)에 걸릴 수 있다. 그 대신,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은 변곡점(P5)으로부터, 이에 접하는 접선의 직선이나,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보다 외측에 중심(C1)과 곡률반경(R1)을 가지는 제1 곡선(216b)을 포함한다. 따라서,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은 가이드 링(210)의 중심(C0)에서 제2 각도(θ2)(예컨대, 45°)만큼 아래쪽에 위치하는 변곡점(P5)으로부터는 낚싯줄을 가이드 링(210)에 걸리게 하는 원호(CA)를 포함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서,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은 변곡점(P5)의 다음에 상기의 직선을 소정 구간에 걸쳐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직선의 다음에 전술한 제1 곡선(216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곡선(216b)은 외측 윤곽선(216)보다 외측에 있는 중심과 곡률반경을 가지는 복수의 곡선으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는 낚싯줄 가이드(200)의 정면도 및 측면도에 있어서 S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따라서,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외측윤곽선(224)은 낚싯줄 가이드(200)를 정면에서 볼 때 S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상측윤곽선(226)은 낚싯줄 가이드(200)를 측면에서 볼 때 S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가이드 링(210)을 측면에서 볼 때,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상측윤곽선(226)과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의 제1 결합점(P2)은, 가이드 링(210)을 직각방향에서 볼 때, 가이드 링(210)의 중심(C0)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상측윤곽선(226)과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의 제1 결합점(P2)은 가이드 링(210)을 직각방향에서 볼 때 가이드 링(210)의 중심(C0)에 대하여 중심(C0)보다 제3 각도(θ3)로 위쪽에 위치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3 각도(θ3)는 25° 내지 40°의 범위이다. 제3 각도(θ3)가 25° 미만인 경우, 낚싯줄의 줄엉킴의 해소 시에, 낚싯줄의 일부(예컨대, 도 14 내지 도 19b에 도시하는 낚싯줄의 일부(140d))가 마찰 저항에 의해 가이드 링(210)에 다시 걸릴 수 있다. 또한, 낚싯줄 가이드(200)의 중량과 외관을 고려하여, 제3 각도(θ3)는 40° 이하로 될 수 있다.
가이드 링(210)을 측면에서 볼 때,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하측윤곽선(228)과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의 제2 결합점(P3)은, 가이드 링(210)을 직각방향에서 볼 때, 가이드 링(210)의 중심(C0)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제2 결합점(P3)이 가이드 링(210)의 중심(C0)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에는 낚싯줄이 가이드 링(210)을 따라 이동할 때 가이드 링(210)의 뒷면(낚싯대(100)의 선단 측에 면하는 면)에 들어가 가이드 링(210)에 걸리게 하는 원호가 큰 범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결합점(P3)이 가이드 링(210)의 중심(C0)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므로, 이러한 원호의 구역이 감소되어, 낚싯줄이 가이드 링(210)의 뒷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 낚싯줄 가이드(200)를 측면에서 볼 때(도 9 및 도 11b 참조),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상측윤곽선(226)을 구성하는 직선 또는 곡선에 있어서 낚싯대(100)의 후단 측(화살표(B)의 방향)으로 가장 기울어진 직선 또는 곡선의 접선(TL)은 낚싯대(100)의 후단 측으로 수직선(VL)에 대하여 제4 각도(θ4)로 기울고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4 각도(θ4)는 30° 내지 60°의 범위이다. 제4 각도(θ4)가 30° 미만인 경우,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를 S자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전장을 짧게 하기가 어렵고, 낚싯줄 가이드(200)의 휨을 소망의 수준으로 감소시키기 어렵다. 또, 제4 각도(θ4)가 60°를 초과하는 경우, 낚싯줄의 줄엉킴의 해소 시에, 낚싯줄의 일부(예컨대, 도 14 내지 도 19b에 도시하는 낚싯줄의 일부(140d))가 원활하게 가이드 링(210)의 정점으로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낚싯줄 가이드(200)를 정면에서 볼 때(도 8 및 도 11a 참조),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외측윤곽선(224)은 제1 부착부(222)의 하면과의 경계점(P1)과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과의 제1 결합점(P2) 사이에 존재한다. 상세하게는,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외측윤곽선(224)은, 그 하단에서 상방으로 소정 구간에 있어서, 제1 부착부(222)의 하면과의 경계점(P1)에서 경계점(P1)을 지나는 제1 수평선(HL1)에 대하여 상방으로 제5 각도(θ5)로 연장한다. 즉,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외측윤곽선(216)은 제1 부착부(222)의 하면과의 경계점(P1)에서 제1 수평선(HL1)에 대하여 제5 각도(θ5)로 경사하고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5 각도(θ5)는 45° 이상 90° 이하이다. 제5 각도(θ5)가 45° 미만인 경우,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하단과 제1 부착부(222)의 사이에 낚싯줄의 이동을 저지하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5 각도(θ5)가 45° 이상 90° 이하이므로, 낚싯줄의 일부(예컨대, 도 14 내지 도 19b에 도시하는 낚싯줄의 일부(140e))는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하단과 제1 부착부(222)의 사이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5 각도(θ5)는 45° 이상 85° 이하일 수 있다. 제5 각도(θ5)가 90°인 경우,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 사이의 간격이 지극히 좁게 되어,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는 그들 사이의 틈새부분이 부식될 수도 있다. 제5 각도(θ5)가 85° 이하인 경우,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사이에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간격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낚싯줄 가이드(200)를 정면에서 볼 때(도 8, 도 11a 및 도 11b 참조),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외측윤곽선(224)은 외측윤곽선(224)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중심(C2) 및 곡률반경(R2)을 가지는 제2 곡선(224a)과, 외측윤곽선(224)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중심(C3) 및 곡률반경(R3)을 가지는 제3 곡선(224b)을 포함한다. 즉,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외측윤곽선(224)은 제1 부착부(222)의 하면과의 경계점(P1)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구간에서는 제2 곡선(224a)으로 연장하고, 제2 곡선(224a)으로부터 변곡된 제3 곡선(224b)으로서 가이드 링(210)과의 제1 결합점(P2)까지 연장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낚싯줄 가이드(200)를 정면에서 볼 때, 낚싯줄 가이드(200)는, 가이드 링(210)의 중심(C0)을 지나고 제1 수평선(HL1)에 평행한 제2 수평선(HL2)에 최대폭(Wmax)을 갖지 않고, 제2 수평선(HL2)보다 아래쪽에 최대폭(Wmax)을 갖는다. 즉, 낚싯줄 가이드(200)를 정면 및 측면에서 볼 때, 낚싯줄 가이드(200)의 최대폭(Wmax)을 지나고 제1 수평선(HL1)에 평행한 제4 수평선(HL4)은,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외측윤곽선(224) 중 제3 곡선(224b)(외측윤곽선(224)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중심(C3)과 곡률반경(R3)을 가지는 곡선)의 범위에 위치한다. 또,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외측윤곽선(224)의 제3 곡선(224b)은 낚싯줄 가이드(200)의 최대폭(Wmax)을 지나는 제4 수평선(HL4)보다 위에서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과 제1 결합점(P2)에서 결합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외측윤곽선(224)은 제2 곡선(224a)대신 직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외측윤곽선(224)을 구성하는 직선은 제1 부착부(222)와의 경계점(P1)으로부터 제1 수평선(HL1)에 대하여 제5 각도(θ5)로 소정 구간에 걸쳐 상방으로 연장하며, 상기 직선의 종점에서 제3 곡선(224b)이 이어진다. 또한,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외측윤곽선(224)의 제3 곡선(224b)은 복수의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곡선들은 낚싯줄이 걸리는 요철이 없도록 교점에서 접하면서 연결된다.
낚싯줄 가이드(200)를 측면에서 볼 때(도 9 및 도 11b 참조),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상측윤곽선(226)은, 제1 부착부(222)의 상면(222b)으로부터 소정 구간에 있어서 제4 곡선(226a)과, 제4 곡선(226a)의 종점으로부터 소정 구간에 걸쳐 연장하는 직선(226b)과, 직선(226b)의 종점과 제1 결합점(P2) 사이에 위치하며 제4 곡선(226a)과는 반대로 만곡된 제5 곡선(226c)을 포함한다. 즉, 도 9 및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상측윤곽선(226)은, 제1 부착부(222)로부터 제4 곡선(226a)으로서 연장하고, 제4 곡선(226a)으로부터 직선(226b)으로서 연장하고, 직선(226b)으로부터 제5 곡선(226c)으로서 연장하여,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과 제1 결합점(P2)에서 결합된다.
낚싯줄 가이드(200)를 측면에서 볼 때, 제4 곡선(226a)은 상측윤곽선(226)보다 낚싯대의 후단 측에 위치하는 중심(C4) 및 곡률반경(R4)을 가지며, 제5 곡선(226c)은 상측윤곽선(226)보다 낚싯대의 선단 측에 위치하는 중심(C5) 및 곡률반경(R5)을 가진다. 또한, 제5 곡선(226c)은 측방 지지 다리의 외측윤곽선(224)의 제3 곡선(224b)의 범위에 존재한다. 즉, 낚싯줄 가이드(200)를 측면에서 볼 때,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상측윤곽선(226)은 낚싯대의 후단 측에 위치하는 중심(C4) 및 곡률반경(R4)을 가지는 제4 곡선(226a)을 포함하고, 외측윤곽선(224)의 제3 곡선(224b)의 범위에서는, 제4 곡선(226a)과는 반대로 만곡된 제5 곡선(226c)을 포함한다. 또한, 낚싯줄 가이드(200)를 측면에서 볼 때, 제5 곡선(226c)은 제1 수평선(HL1)에 평행하게 최대폭(Wmax)을 지나는 제4 수평선(HL4)의 위쪽에 위치한다. 제4 곡선(226a)과 제5 곡선(226c)의 사이에 위치하는 직선(226b)은 전술한 상측윤곽선(226)의 낚싯대의 후단 측으로 가장 기울어진 직선(TL)이며, 수직선(VL)에 대하여 제4 각도(θ4)로 낚싯대의 후단 측으로 기울어져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상측윤곽선(226)은 전술한 직선(226b)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는, 제4 곡선(226a)의 종점에 제4 곡선(226a)으로부터 변곡되는 제5 곡선(226c)이 이어지며, 제4 곡선(226a)과 제5 곡선(226c)의 경계에서의 접선은 제4 각도(θ4)로 제1 수평선(HL1)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또한,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상측윤곽선(226)을 구성하는 제4 곡선(226a)과 제5 곡선(222c)은 각각 복수의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곡선들은 낚싯줄이 걸리는 요철이 없도록 교점에서 접하면서 연결된다.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하측윤곽선(228)은 상측윤곽선(226)과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하측윤곽선(228)은 제1 부착부(222)로부터 연장하는 곡선(예컨대, 제4 곡선(226a)과 같이 낚싯대 후단 측에 위치하는 중심을 가지는 곡선)과 이 곡선으로부터 연장하는 직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는 낚싯줄 가이드(200)를 정면 및 측면에서 볼 때 S자 형상을 가진다. 상세하게는, 낚싯줄 가이드(200)를 정면에서 볼 때,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외측윤곽선(224)은 제1 부착부(222)로부터 외측을 향해 곡률반경(R2)을 가지는 제2 곡선(224a)으로서 연장하고, 제2 곡선(224a)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곡률반경(R3)을 가지는 제3 곡선(224b)으로서 연장한다. 또,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수평선(HL1)으로부터 가이드 링(210)의 중심(C0)을 지나는 제2 수평선(HL2)까지의 높이를 반분하는 제3 수평선(HL3)에서,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외측윤곽선(224)의 제2 곡선(224a)은 제3 수평선(HL3)의 아래쪽 영역(H1)에 위치하고, 낚싯줄 가이드(200)의 최대폭(Wmax)을 지나는 제4 수평선(HL4)은 제3 수평선(HL3)의 위쪽 영역(H2)에 위치한다. 즉, 낚싯줄 가이드(200)의 최대폭(Wmax)을 지나는 제4 수평선(HL4)은 제3 곡선(224b)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 또,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를 측면에서 볼 때, 상측윤곽선(226)은 제 3 곡선(224b)의 범위 내에서, 또한 최대폭(Wmax)이 위치하는 제4 수평선(HL4)보다 위에서, 제4 곡선(226a)과는 역으로 만곡되고 곡률반경(R5)을 가지는 제5 곡선(226c)으로 바뀐다.
낚싯줄 가이드(200)를 측면에서 볼 때(도 9 및 도 11b 참조), 후방 지지 다리(230)의 후방윤곽선(236)은 가이드 링(210)의 후방윤곽선(218)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즉, 후방 지지 다리(230)의 후방윤곽선(236)은 수직선(VL)에 대하여 낚싯대(100)의 선단 측으로 가이드 링(210)의 후방윤곽선(218)의 제1 각도(θ1) 이하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또한, 낚싯줄 가이드(200)를 측면에서 볼 때, 후방 지지 다리(230)의 후방윤곽선(236)은 가이드 링(210)의 후방윤곽선(218)으로부터 제1 각도(θ1) 이하의 각도로 연장한다. 가이드 링(210)의 링 평면(RP)을 기준으로 할 때, 후방 지지 다리(230)의 후방윤곽선(236)은 제1 각도(θ1) 이하의 각도로 낚싯대(100)의 선단 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또한, 낚싯줄 가이드(200)를 측면에서 볼 때, 가이드 링(210)의 후방윤곽선(218)과 후방 지지 다리(230)의 후방윤곽선(236)의 경계에는 오목한 선이 존재하지 않는다. 후방 지지 다리(230)의 후방윤곽선(218)이 가이드 링(210)에 대해 구부러진 각도는, 전술한 제1 각도(θ1)와 같을 때, 도 9, 도 11b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지지 다리(230)의 후방윤곽선(218)은 낚싯대의 본체(110)에 수직하다(제1 수평선(HL1)에 수직하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낚시구의 캐스팅 시에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200)에 낚싯줄이 엉키는 예를 도시한다. 도 13a 내지 도 13d에 있어서, 화살표(F)는 캐스팅 시 낚싯줄에 걸리는 장력을 가리킨다. 도 13b 및 도 13c에 있어서, 화살표(CW)는 캐스팅 시에 낚싯대(100)에 가해지는 횡풍을 가리킨다.
도 13a를 참조하면, 낚시구의 캐스팅 시에 낚싯줄(140)은 낚싯대(100)의 릴(130)로부터 나선 형상으로 방출된다. 나선 형상으로 방출된 낚싯줄(140)은 가이드 링(210)을 통과하면서 직선화된다. 가이드 링(210)을 통과하는 낚싯줄의 속도가 낮아지면,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링(210)을 통과하기 전의 낚싯줄의 일부(140b)가 가이드 링(210)을 통과한 낚싯줄의 일부(140a)와 낚싯줄 가이드(2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횡풍(CW)에 의해, 도 13c 및 도 1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링(210)을 통과하기 전의 낚싯줄의 일부(140b)가 가이드 링(210)을 통과한 낚싯줄 일부(140a)를 돌아 낚싯줄 가이드(200)에 감겨, 줄엉킴이 발생될 수 있다. 줄엉킴이 발생하면, 낚싯줄 가이드(200)의 가이드 링(210)의 상측에는 낚싯줄(140)이 되접어 꺽인 꺽임부(140c)가 형성된다. 낚싯줄의 일부(140d)가 후방 지지 다리(230)의 하단에 걸리게 되고, 낚싯줄의 일부(140e)가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하단에 걸리게 되며, 낚싯줄의 일부(140f)가 가이드 링(210)의 하측 외주의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도 14 내지 도 19b를 참조하여, 낚싯줄의 엉킴이 해소되는 예를 설명한다.
도 1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의 엉킴이 발생하여도, 낚싯줄(140)에는 캐스팅 시의 힘에 의한 장력(F)이 계속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장력이 작용하는 상황에서, 낚싯줄 가이드(200)의 전술한 바와 같은 외형적 특징에 의해 낚싯줄(140)의 엉킴이 해소된다.
도 14는 도 1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스팅 시에 줄엉킴이 발생한 상황에서 낚싯줄(140)이 장력(F)에 의해 이동하면서 줄엉킴으로부터 해소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4에 있어서, 화살표(LM1, LM2, LM3)는 낚싯줄(140)의 일부(140d, 140e, 140f)의 이동을 각각 가리킨다. 낚싯줄(140)은 장력(F)의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며, 꺽임부(140c)는 대체로 그 자리에 유지된다.
후방 지지 다리(230)에 걸린 낚싯줄의 일부(140d)는 화살표(LM1)의 방향으로 후방 지지 다리(230)의 후방윤곽선(236)을 따라 후방윤곽선(236)과 가이드 링(210)의 후방윤곽선(218)의 경계를 지나 가이드 링(210) 측으로 이동한다. 후방 지지 다리(230)의 후방윤곽선(236)은 낚싯대(100)에 수직하거나, 가이드 링(210)의 후방윤곽선(218)으로부터 제1 각도(θ1) 이하의 각도로 낚싯대(100)의 선단 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즉, 후방 지지 다리(230)의 후방윤곽선(236)은 낚싯대(100)의 후단 측으로 기울어져 있지 않다. 또한, 후방 지지 다리(230)의 후방윤곽선(236)과 가이드 링(210)의 후방윤곽선(218) 사이에는 낚싯줄의 일부(140d)의 이동을 저해하는 어떠한 오목부도 없다. 따라서,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의 일부(140d)는 캐스팅 시의 장력(F)에 의해 가이드 링(210) 측으로 이동된다.
또, 낚싯줄의 일부(140d)의 상방 이동에 따라,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하단에 걸린 낚싯줄의 일부(140e)가 화살표(LM2)의 방향으로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다.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외측윤곽선(224)은 제1 부착부(222)와의 경계점(P1)에서 제5 각도(θ5)(예컨대, 45°)로 상방으로 향한다. 따라서,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하단에는 낚싯줄의 이동을 저해하는 오목부가 없다. 즉,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의 일부(140e)는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하단에 걸리지 않으며,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외측윤곽선 중 제2 곡선(224a)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다.
또, 낚싯줄의 일부(140d)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 링(210)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낚싯줄의 일부(140f)가 가이드 링(210)의 하측 외주를 넘어 화살표(LM3)의 방향으로 상방으로 이동한다.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은 변곡점(P5)으로부터 외측윤곽선(216)의 내측에 위치하는 중심(C6)을 가지는 원호(CA)를 갖지 않는다.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은 변곡점(P5)으로부터 변곡점(P5)에 접하는 직선 또는 외측윤곽선(216)의 외측에 위치하는 중심(C1)을 가지는 제1 곡선(216b)을 갖는다. 따라서, 도 15c 및 도 1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의 일부(140f)는 가이드 링(210)의 하측의 외주에 걸림이 없이 상방으로 이동된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하는 낚싯줄의 이동 다음의 낚싯줄의 이동을 예시한다. 캐스팅 시의 장력(F)이 작용하므로, 가이드 링(210) 측으로 이동한 낚싯줄의 일부(140d)와 가이드 링(210)의 하측 외주를 넘은 낚싯줄의 일부(140f)는 가이드 링(210)의 후방윤곽선(218)을 따라 화살표(LM4)의 방향으로 상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외측윤곽선(224)을 따라 이동한 낚싯줄의 일부(140e)는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상측윤곽선(224)을 따라 화살표(LM5)의 방향으로 상방으로 이동한다. 즉, 도 1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링(210)이 낚싯대의 선단 측으로 제1 각도(θ1)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낚싯줄의 일부(140d, 140f)는 가이드 링(210)의 기울어진 제1 각도(θ1)에 맞추어서 가이드 링(210)의 후방윤곽선(218)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다. 제1 각도(θ1)가 5° 내지 20°의 범위이므로, 낚싯줄의 일부(140d, 140f)는 원활하게 상방으로 이동한다. 가이드 링(210)의 제1 각도(θ1)와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제4 각도(θ4)로 인해, 낚싯줄 가이드(200)를 측면에서 볼 때, 낚싯줄의 일부(140d, 140f)의 화살표(LM4) 방향으로의 이동과 낚싯줄의 일부(140e)의 화살표(LM5)의 이동은 삼각형(T)의 빗변을 따르게 된다(도 17b 참조). 화살표(LM5)의 이동과 관련하여, 꺾임부(140C)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낚싯줄에 장력(F)이 작용하면, 낚싯줄의 일부(140d, 140e)는 삼각형(T)을 감는 형태로 되며,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에서의 제4 각도(θ4)가 30° 내지 60°의 범위이므로, 낚싯줄의 일부(140d, 140e)는 원활하게 삼각형(T)의 정점을 향한다. 꺾임부(140c)로 낚싯줄의 일부(140d, 140e)가 접근함에 따라 꺾임부(140c)에서의 장력(F)은 약해질 수 있지만, 낚싯줄 가이드(200)를 측면에서 볼 때 이루어지는 삼각형(T)의 형상으로 인해, 낚싯줄의 일부(140d, 140e, 140f)는 삼각형(T)의 정점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이 이동된 다음의 낚싯줄의 이동을 예시한다. 도 18,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면, 꺾임부(140c)의 이동 없이 낚싯줄(140)의 엉킴은 해소된다. 즉, 낚싯줄의 일부(140d)가 가이드 링(210)의 상단 정점을 넘어가면 낚싯줄의 엉킴이 해소된다.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과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상측윤곽선(226)(예컨대, 제4 곡선(226a) 및 직선(226b))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는 낚싯줄의 일부(140d)가 낚싯줄 가이드(200)의 최대폭(Wmax)을 넘으면,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외측윤곽선(224)의 제3 곡선(224b)과 상측윤곽선(226)의 제5 곡선(226c)을 따라 낚싯줄의 일부(140d)는 상방으로 이동된다.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상측윤곽선(224)과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의 제1 결합점(P2)이 가이드 링(210)의 중심(C0)보다 위쪽으로 제3 각도(θ3)로 위치하므로, 낚싯줄의 일부(140d)는 외측윤곽선(224)의 제3 곡선(224b)을 지나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의 원호(216a)를 따라 꺾임부(140c) 측으로 이동되어 줄엉킴이 해소된다.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상측윤곽선(226)과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216) 사이의 제1 결합점(P2)이 가이드 링(210)의 중심(C0)에 대하여 제3 각도(θ3)(예컨대, 25°) 이상의 각도로 위쪽에 위치하므로, 낚싯줄의 일부(140d)는 마찰저항에 의해 가이드 링(210)에 다시 걸리지 않는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200)에 낚싯줄의 결속부가 끼워지지 않는 예를 도시한다.
낚싯줄(140)은 PE라인(141)과, 리더(142)와, 이들을 결속하는 결속부(143)를 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후방 지지 다리(230)의 후방윤곽선(236)은 가이드 링(210)의 링 평면(RP)에 대해 낚싯대(100)의 선단 측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그 기울어진 각도는 낚싯대(100)에 수직하는 각도까지 이다. 즉, 후방 지지 다리(230)의 후방윤곽선(230)은 가이드 링(210)의 링 평면(RP)의 연장선에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낚시구의 캐스팅 시에 리더(142), 결속부(143) 등은 후방 지지 다리(230)와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낚싯줄 가이드(200)는 1개의 후방 지지 다리(230)를 구비한다. 따라서, 낚시구의 캐스팅 시에 결속부(143)가 불규칙적으로 움직인다고 하여도, 리더(142), 결속부(143) 등의 후방 지지 다리(230)와의 접촉은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아울러, 낚싯줄 가이드(200)는 후방 지지 다리(230)와 가이드 링(210) 사이에 결속부(143)가 끼워질 수 있는 좁은 간극을 갖지 않는다. 또한,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외측윤곽선(224)은, 중심(C3)과 곡률반경(R3)을 가지는 제3 곡선(224b)이 최대폭(Wmax)의 위쪽에서 가이드 링(210)과 제1 결합점(P2)에 결합되므로, 가이드 링(210)을 통과한 후의 리더(142) 및 결속부(143)등이, 완전히 직선화되지 못하고 약간의 나선형을 가지게 되어도,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와의 접촉은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도 11a 및 도 12를 다시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200)가 가지는 휨을 감소시키는 특징에 관해 설명한다.
리더(142)를 사용하는 낚시의 예에서는, 낚싯줄 가이드에 가해지는 충격이 크다. 따라서, 충격에 의한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낚싯줄 가이드의 휨을 감소시키는 것이 요구되며, 낚싯줄 가이드의 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낚싯줄 가이드의 전장을 짧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200)에 있어서,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상측윤곽선(226)은, 그 하측에 낚싯대 후단 측에 위치하는 중심(C4) 및 곡률반경(R4)을 갖는 제4 곡선(226a)과, 그 상측에 낚싯대 선단 측에 위치하는 중심(C5) 및 곡률반경(R5)을 갖는 제5 곡선(226c)을 가진다. 즉,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상측윤곽선(226)은 중심(C4)을 가지는 제4 곡선(226a)으로부터 이와 역방향으로 만곡하고 중심(C5)을 가지는 제5 곡선(226c)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측윤곽선(226)이 S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낚싯줄 가이드(200)는, 줄엉킴의 해소와,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더욱 짧은 전장(OL)을 가질 수 있다. 도 15b 및 도 17a에서 예시하는 줄엉킴 해소를 위한 낚싯줄의 이동에 있어서,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하단에 낚싯줄의 이동을 저지하는 오목부가 없기 때문에, 낚싯줄의 일부(140e)는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외측윤곽선 중 제2 곡선(224a)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하부는 제4 각도(θ4)와 같은 경사로 수직선(VL)에 대하여 기울어질 필요는 없으며,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하부를 제4 곡선(226a)의 곡률반경(R4) 정도로 만곡시킴으로써, 낚싯줄 가이드(200)의 전장(OL)을 짧게 할 수 있다。 도 18, 도 19a 및 도 19b에서 예시하는 줄엉킴의 해소를 위한 낚싯줄의 이동에 있어서, 낚싯줄의 일부(140d)가 낚싯줄 가이드(200)의 최대폭(Wmax)을 넘으면, 낚싯줄 가이드(200)의 폭이 감소하므로, 낚싯줄의 일부(140d)는 가이드 링(210)의 외주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낚싯줄의 일부(140d)가 낚싯줄 가이드(200)의 최대폭(Wmax)을 넘어서 이동할 때,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경사는 크게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상측윤곽선(226)의 상측에 위치하는, 낚싯대 선단 측에 위치하는 중심(C5)을 가지는 제5 곡선(226c)은 그 하측의 제4 곡선(226a)과 역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으므로, 낚싯줄 가이드(200)의 전장(OL)을 짧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200)는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강도와 줄엉킴의 해소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제1 및 제2 부착부(222, 232)의 하면에 접하는 제1 수평선(HL1)과 가이드 링(210)의 중심(C0)을 지나는 제2 수평선(HL2)까지의 높이를 반분한 제3 수평선(HL3)에 있어서, 낚싯줄 가이드(200)의 최대폭(Wmax)은 수평선(HL3)의 상측 영역(H2)에 위치하고, 상측윤곽선(226)의 제5 곡선(226c)의 적어도 일부가 상측 영역(H2)에 위치한다.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상측윤곽선(226)을 구성하는 제4 곡선(226a)과 제5 곡선(226c)은, 2개 이상의 곡선 또는 선분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낚싯줄 가이드(200)를 정면에서 볼 때,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외측윤곽선(224)은 제1 부착부(222)로부터 제1 부착부(222)의 하면에 접하는 제1 수평선(HL1)에 대하여 45° 이상의 각도(제5 각도(θ5))로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200)는 종래기술의 낚싯줄 가이드에 비해 큰 각도로 제1 부착부(222)로 연장하는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를 가진다. 이와 같이,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가 큰 각도로 제1 부착부(222)로 연장하므로,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는 큰 휨각도를 가지게 되며, 따라서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에 가공 경화를 주게되어, 낚싯줄 가이드(200)는 더욱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굽힘에 대한 저항이 커서, 낚싯줄 가이드(200)의 휨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1a 및 도 21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한다.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300)는 전술한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200)에 비해, 전장(OL)보다 큰 전고(OH)를 가진다. 상기 전장(OL)은 후방 지지 다리(330)의 제2 부착부(332)의 낚싯대 후단 측의 끝과 측방 지지 다리(320L)의 제1 부착부(322)의 낚싯대 선단 측의 끝 사이의 길이로 정의된다. 상기 전고(OH)는 제1 및 제2 부착부(322, 332)의 하면에 접하는 제1 수평선(HL1)과 가이드 링(210)의 상단 사이의 높이로 정의된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한다. 도 22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400)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200)에 비해, 측방 지지 다리(420L)의 상측윤곽선과 가이드 링(210)의 외측윤곽선의 제1 결합점(P2)이 보다 위쪽에 위치하여, 더욱 원활한 줄엉킴의 해소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측방 지지 다리(420L)의 폭은 전술한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200)에 비해 더욱 넓다. 또한, 측방 지지 다리(420L)는 가이드 링(210)에 인접한 개구(429)를 가져, 폭이 넓은 측방 지지 다리를 가지면서 경량인 낚싯줄 가이드(400)를 실현한다.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한다. 도 23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500)에서는, 측방 지지 다리(220L, 220R)의 제1 부착부(522)와 후방 지지 다리(230)의 제2 부착부(532)가 링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낚싯줄 가이드(500)는 진출식(振出式) 낚싯대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낚싯대
110: 낚싯대 본체
130: 릴
140: 낚싯줄
200, 300, 400, 500: 낚싯줄 가이드
210: 가이드 링
216: 가이드 링의 외측윤곽선
218: 가이드 링의 후방윤곽선
220L, 220R: 측방 지지 다리
222: 제1 부착부
224: 측방 지지 다리의 외측윤곽선
226: 측방 지지 다리의 상측윤곽선
228: 측방 지지 다리의 하측윤곽선
230: 후방 지지 다리
232: 제2 부착부
234: 후방 지지 다리의 외측윤곽선
236: 후방 지지 다리의 후방윤곽선

Claims (17)

  1.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과,
    상기 가이드 링의 직경방향에서의 양측으로부터 낚싯대의 선단 측으로 각각 연장하고, 하단에서 서로 근접하며, 상기 하단에 낚싯대 본체와의 부착을 위한 제1 부착부를 갖춘 한 쌍의 측방 지지 다리와,
    상기 가이드 링의 하측으로부터 연장하고 하단에 상기 낚싯대 본체와의 부착을 위한 제2 부착부를 갖춘 1개의 후방 지지 다리를 구비하는 낚싯줄 가이드이며,
    상기 낚싯줄 가이드를 정면에서 볼 때, 상기 가이드 링은 외측윤곽선을 갖고, 상기 측방 지지 다리는 상기 가이드 링의 외측윤곽선과 제1 결합점에서 결합하는 외측윤곽선을 갖고, 상기 후방 지지 다리는 상기 가이드 링의 외측윤곽선과 결합하는 외측윤곽선을 갖고,
    상기 낚싯줄 가이드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가이드 링은 낚싯대의 후단 측에 면하는 후방윤곽선을 갖고, 상기 측방 지지 다리는 상기 가이드 링의 외측윤곽선과 상기 제1 결합점에서 결합하는 상측윤곽선과 제2 결합점에서 결합하는 하측윤곽선을 갖고, 상기 후방 지지 다리는 상기 가이드 링의 후방윤곽선과 결합하고 상기 낚싯대 후단 측에 면하는 후방윤곽선을 갖고,
    상기 가이드 링의 후방윤곽선은 상기 제1 및 제2 부착부의 하면에 접하는 제1 수평선에 수직한 수직선에 대하여 상기 낚싯대 선단 측으로 제1 각도로 경사하고,
    상기 후방 지지 다리의 후방윤곽선은 상기 수직선에 대하여 상기 제1 각도 이하의 각도로 상기 가이드 링의 후방윤곽선에 대해 경사하고,
    상기 낚싯줄 가이드를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측방 지지 다리의 외측윤곽선은 상기 제1 부착부의 하면과의 경계점에서 상기 제1 수평선에 대하여 45° 이상 90° 이하의 각도로 경사하고 있고,
    상기 가이드 링을 직각방향에서 볼 때, 상기 가이드 링의 외측윤곽선은 상기 가이드 링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가이드 링의 중심에 대하여 제2 각도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양 종점을 가지는 원호와, 상기 원호의 종점과 상기 후방 지지 다리의 외측윤곽선의 사이에 직선 또는 상기 가이드 링의 외측윤곽선보다 외측에 중심을 가지는 제1 곡선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링을 직각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결합점은 상기 가이드 링의 중심보다 위쪽으로 상기 가이드 링의 중심에 대하여 제3 각도로 위치하고 상기 제2 결합점은 상기 가이드 링의 중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낚싯줄 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5° 내지 20°의 범위인 낚싯줄 가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 다리의 후방윤곽선은 상기 가이드 링의 후방윤곽선으로부터 상기 제1 각도 이하의 각도로 연장하는
    낚싯줄 가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 다리의 후방윤곽선은 상기 제1 수평선에 수직한 낚싯줄 가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각도는 30° 내지 45°인 낚싯줄 가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각도는 25° 내지 40°인 낚싯줄 가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지지 다리의 외측윤곽선은 상기 제1 부착부의 하면과의 경계점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제2 곡선과 상기 제2 곡선으로부터 상기 제1 결합점으로 연장하는 제3 곡선을 포함하고,
    상기 낚싯줄 가이드를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제2 곡선은 상기 측방 지지 다리의 외측윤곽선보다 외측에 중심을 가지고, 상기 제3 곡선은 상기 측방 지지 다리의 외측윤곽선보다 내측에 중심을 가지고,
    상기 낚싯줄 가이드는 상기 낚싯줄 가이드를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제3 곡선의 범위에 최대폭을 가지는
    낚싯줄 가이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가이드는 상기 제1 수평선과 상기 제1 수평선에 평행하고 상기 가이드 링의 중심을 지나는 제2 수평선 사이의 높이를 반분하는 제3 수평선의 위쪽에 상기 최대폭을 갖고,
    상기 제2 곡선은 상기 제3 수평선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낚싯줄 가이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지지 다리의 상측윤곽선은 상기 제1 부착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제4 곡선과, 상기 제4 곡선으로부터 상기 제1 결합점으로 연장하고 상기 측방 지지 다리의 외측윤곽선의 상기 제3 곡선의 범위에 존재하는 제5 곡선을 포함하고,
    상기 낚싯줄 가이드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4 곡선은 상기 상측윤곽선보다 상기 낚싯대의 후단 측에 위치하는 중심을 가지고 상기 제5 곡선은 상기 상측윤곽선보다 상기 낚싯대의 선단 측에 위치하는 중심을 가지며, 상기 제4 곡선과 상기 제5 곡선의 경계에서의 접선은 상기 수직선에 대하여 상기 낚싯대의 후단 측으로 제4 각도로 기울어진
    낚싯줄 가이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지지 다리의 상측윤곽선은 상기 제4 곡선과 상기 제5 곡선의 사이에 상기 제4 각도로 경사하는 직선을 더 포함하는
    낚싯줄 가이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각도는 30° 내지 60°의 범위인 낚싯줄 가이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선에 평행하게 상기 최대폭을 지나는 제4 수평선의 위쪽에 상기 제5 곡선이 위치하는
    낚싯줄 가이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지지 다리의 외측윤곽선과 상측윤곽선은 S자형을 가지는 낚싯줄 가이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부의 상기 낚싯대 선단 측의 끝과 상기 제2 부착부의 상기 낚싯대 후단 측의 끝 사이의 길이는, 상기 제1 수평선과 상기 가이드 링의 상단 사이의 높이보다 작은
    낚싯줄 가이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지지 다리는 상기 가이드 링에 인접하는 개구를 가지는 낚싯줄 가이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부 및 상기 제2 부착부는 링형상을 가지는 낚싯줄 가이드.
  17. 적어도 하나의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KR1020140048211A 2013-09-10 2014-04-22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한 낚싯대 KR101466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4319533A AU2014319533B2 (en) 2013-09-10 2014-09-02 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rod provided with same
JP2015536531A JP5940738B2 (ja) 2013-09-10 2014-09-02 釣り糸ガイド及びこれを備えた釣竿
CN201480049371.7A CN105517432B (zh) 2013-09-10 2014-09-02 钓线引导件和包括它的钓竿
US14/911,177 US9510574B2 (en) 2013-09-10 2014-09-02 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rod including same
PCT/JP2014/073028 WO2015037469A1 (ja) 2013-09-10 2014-09-02 釣り糸ガイド及びこれを備えた釣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608 2013-09-10
KR20130108608 2013-09-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539B1 true KR101466539B1 (ko) 2014-11-27

Family

ID=52292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211A KR101466539B1 (ko) 2013-09-10 2014-04-22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한 낚싯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10574B2 (ko)
JP (1) JP5940738B2 (ko)
KR (1) KR101466539B1 (ko)
CN (1) CN105517432B (ko)
AU (1) AU2014319533B2 (ko)
WO (1) WO201503746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158B1 (ko) * 2016-04-01 2017-01-13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및 낚싯줄 가이드용 블랭크
CN112004412A (zh) * 2018-01-17 2020-11-27 富士工业株式会社 钓鱼线引导器和配备钓鱼线引导器的钓鱼竿
US11653639B2 (en) 2018-09-05 2023-05-23 Fuji Kogyo Co., Ltd. Fishing line guide, fishing rod including fishing line guide, and blank for fishing line gui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47079A (ja) * 2013-08-30 2015-03-1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ガイド、及び釣竿
KR101466539B1 (ko) 2013-09-10 2014-11-27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한 낚싯대
US11647740B2 (en) * 2017-02-27 2023-05-16 Kyocera Corporation Fishing line guide member and fishing rod provided with same
US20190343103A1 (en) * 2018-05-14 2019-11-14 Il Han Kim Guide for fishing rod and fishing rod having guide
JP7169932B2 (ja) * 2019-04-17 2022-11-11 株式会社シマノ 釣糸ガイドのガイドフレーム及び釣糸ガイド並びに釣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5628A (ja) * 1998-02-18 1999-08-24 Fuji Kogyo Kk 魚釣用ラインガイド
KR200282046Y1 (ko) * 2002-04-02 2002-07-19 신우상사주식회사 릴 낚싯대용 낚싯줄 가이드
US20050172535A1 (en) * 2004-02-06 2005-08-11 Tsung-Seng Lee Line guide for fishing rods
JP2013158309A (ja) * 2012-02-06 2013-08-19 Globeride Inc 釣糸ガイド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2751A (en) * 1955-02-04 1959-02-10 Burleigh M Mayfield Line guide for fishing rods
US3063186A (en) * 1960-11-21 1962-11-13 Iv William Ward Fishing rod line guide attachment
US3690027A (en) * 1970-12-10 1972-09-12 Ryuichi Ohmura Integral guide device for fishing lines
US3760524A (en) * 1972-03-07 1973-09-25 Columbia Prod Co Fishing line guide fastening and method of securing a fishing line guide
US4011680A (en) * 1975-10-31 1977-03-15 Allan Tackle Manufacturing Co., Inc. Line guide for a fishing rod
JPS5618284Y2 (ko) * 1977-07-07 1981-04-28
US4141132A (en) * 1977-11-02 1979-02-27 Fuji Kogyo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line guide ring for fishing rods
JPH057074A (ja) 1991-06-28 1993-01-14 Nec Corp はんだ供給方法
JP3063963B2 (ja) 1995-08-31 2000-07-1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中通し釣竿
JP3072313B2 (ja) 1996-06-20 2000-07-31 富士工業株式会社 導糸環用フレーム
JP3138215B2 (ja) 1996-07-19 2001-02-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路基板用基材とプリプレグ及び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回路基板
JPH10313743A (ja) 1997-05-16 1998-12-02 Shimano Inc ラインガイド
JPH11103728A (ja) * 1997-09-30 1999-04-20 Shimano Inc ラインガイド
JP2000253778A (ja) 1999-03-10 2000-09-19 Fuji Kogyo Co Ltd 釣竿用ラインガイドと釣竿
JP2004024080A (ja) 2002-06-24 2004-01-29 Daiwa Seiko Inc 釣糸ガイドおよび釣竿
JP2004089055A (ja) 2002-08-30 2004-03-25 Daiwa Seiko Inc 釣糸ガイドおよび釣竿
JP4652136B2 (ja) * 2005-06-09 2011-03-16 富士工業株式会社 ラインガイド用フレームおよび釣竿
JP4693751B2 (ja) * 2006-11-22 2011-06-01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糸ガイド
KR100952432B1 (ko) * 2007-12-29 2010-04-14 기간산업 주식회사 낚시대용 낚시줄 안내구 및 그 제조방법
JP4755670B2 (ja) 2008-05-19 2011-08-24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糸ガイドおよび釣竿
JP5431283B2 (ja) 2010-09-28 2014-03-0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ガイド
KR101466539B1 (ko) 2013-09-10 2014-11-27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한 낚싯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5628A (ja) * 1998-02-18 1999-08-24 Fuji Kogyo Kk 魚釣用ラインガイド
KR200282046Y1 (ko) * 2002-04-02 2002-07-19 신우상사주식회사 릴 낚싯대용 낚싯줄 가이드
US20050172535A1 (en) * 2004-02-06 2005-08-11 Tsung-Seng Lee Line guide for fishing rods
JP2013158309A (ja) * 2012-02-06 2013-08-19 Globeride Inc 釣糸ガイド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158B1 (ko) * 2016-04-01 2017-01-13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및 낚싯줄 가이드용 블랭크
CN112004412A (zh) * 2018-01-17 2020-11-27 富士工业株式会社 钓鱼线引导器和配备钓鱼线引导器的钓鱼竿
US11653639B2 (en) 2018-09-05 2023-05-23 Fuji Kogyo Co., Ltd. Fishing line guide, fishing rod including fishing line guide, and blank for fishing line gu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83506A1 (en) 2016-06-30
CN105517432A (zh) 2016-04-20
WO2015037469A1 (ja) 2015-03-19
AU2014319533A1 (en) 2016-02-18
US9510574B2 (en) 2016-12-06
AU2014319533B2 (en) 2016-08-18
JP5940738B2 (ja) 2016-06-29
JPWO2015037469A1 (ja) 2017-03-02
CN105517432B (zh) 2017-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539B1 (ko)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한 낚싯대
TWI399170B (zh) 釣線引導器
JP6364554B2 (ja) 釣り糸ガイド、釣り糸ガイドを備える釣り竿及び釣り糸ガイド用ブランク
JP2008125463A (ja) 釣糸ガイド
US20060283073A1 (en) Frame for lineguide and fish pole
JP4423101B2 (ja) 線条体の固定板、ワイヤーハーネス保護用プロテクタ及び固定用クリップ
JP6805029B2 (ja) 釣竿及び釣竿の穂先竿体
JP6408809B2 (ja) 釣糸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ガイドリング
JP6267248B2 (ja) 釣糸ガイド
CN112004412B (zh) 钓鱼线引导器和配备钓鱼线引导器的钓鱼竿
JP2011143791A (ja) クローラ用の芯金及びゴムクローラ
JP2011092074A (ja) 釣糸ガイド
JP2013158309A (ja) 釣糸ガイド
JP7448374B2 (ja) 固定補助具及び釣竿
JP2003079283A (ja) 釣糸ガイド
JP5478351B2 (ja) 釣り糸ガイド
JPH10136844A (ja) 釣竿用導糸環
AU2013203023B2 (en) Fishing line guide
JP6255177B2 (ja) 鼻環
JP2003079281A (ja) 外側釣糸ガイドを有する釣竿
JP2003079282A (ja) 外側釣糸ガイドを有する釣竿
KR19980041921A (ko) 낚싯대용 도사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