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214A -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및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및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214A
KR20200122214A KR1020190153365A KR20190153365A KR20200122214A KR 20200122214 A KR20200122214 A KR 20200122214A KR 1020190153365 A KR1020190153365 A KR 1020190153365A KR 20190153365 A KR20190153365 A KR 20190153365A KR 20200122214 A KR20200122214 A KR 20200122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mounting
guide
annular
mount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시모노
카즈마 타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00122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2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캐스트의 비거리를 늘린다.
[해결 수단] 가이드 링(2)이 장착되는 링 장착 구멍을 가지는 환상편(10)과, 낚싯대의 외주면(外周面)에 취부(取付)되는 제1 취부편(11)과, 낚싯대의 외주면에 취부되고, 환상편(10)에 대하여, 제1 취부편(11)과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제2 취부편(12)과, 환상편(10)과 제1 취부편(11)을 연결하는 제1 지지편(16)과, 환상편(10)과 제2 취부편(12)을 연결하는 제2 지지편(13)을 구비하고, 제1 지지편(16)은, 제1 취부편(11)의 환상편(10) 측의 단부로부터 환상편(10)을 향하여 경사하여 연장되는 입상편(立上片)(14)과, 입상편(14)과 환상편(10)의 둘레 방향으로 떨어진 2개소에 각각 접속된 한 쌍의 암(arm)편(15)을 구비하고, 한 쌍의 암편(15)은, 환상편(10) 측으로부터 보아, 입상편(14)에 대하여 골 접기 형상으로 절곡(折曲)되어 있다.

Description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및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GUIDE FRAME OF 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ROD}
본 발명은, 낚싯줄을 안내하기 위한 낚싯줄 가이드에 있어서의 가이드 프레임과, 낚싯줄 가이드와,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은, 금속판을 펀칭(punching)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고, 2개의 취부(取付) 다리를 가지고 있다. 2개의 취부 다리는 낚싯대의 외주면(外周面)에 취부된다. 2개의 취부 다리를 가지는 낚싯줄 가이드가 낚싯대에 취부되면, 2개의 취부 다리 사이에 있어서 낚싯대가 휘어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가이드 링이 장착되는 환상(環狀)의 링 보지(保持)부와 일방(一方)의 취부 다리의 사이에 좌우 한 쌍의 지지 다리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프레임에 있어서는, 한 쌍의 지지 다리가 일방의 취부 다리의 단부로부터 링 보지부를 향하여 완만하게 연장되어 있고, 한 쌍의 지지 다리가 길고, 취부 다리 사이의 거리가 길다. 그 때문에, 낚싯대가 휘어지기 어려워지는 구간이 길어지고, 비거리가 늘어나기 어렵다. 한편, 취부 다리의 단부에 있어서 한 쌍의 지지 다리를 급격하게 굴곡시키는 것에 의하여, 한 쌍의 지지 다리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렇지만, 취부 다리의 단부에 있어서 한 쌍의 지지 다리를 급격하게 굴곡시키면, 취부 다리의 단부와 한 쌍의 지지 다리와의 사이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의 강도가 부족하기 쉽고, 한 쌍의 지지 다리가 좌우, 전후로, 또한, 비틀림 방향으로 흔들리기 쉬워진다. 한 쌍의 지지 다리가 흔들리기 쉬워지면, 캐스트(cast) 시에 가이드 프레임의 링 보지부와 가이드 링이 좌우로 진동하기 쉬워지고, 줄 엉킴의 원인이 될 수도 있을 뿐만이 아니라, 비거리가 늘어나기 어려워진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253778호
본 발명은, 캐스트의 비거리를 늘리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은, 낚싯대에 취부된다. 가이드 프레임은, 가이드 링을 보지한다. 가이드 링은, 낚싯줄을 가이드한다. 가이드 프레임은, 환상편과 제1 취부편과 제1 지지편을 구비하고 있다. 환상편은, 링 장착 구멍을 가진다. 가이드 링은, 링 장착 구멍에 장착된다. 제1 취부편은, 낚싯대의 외주면에 취부된다. 제1 지지편은, 환상편과 제1 취부편을 연결한다. 제1 지지편은, 입상편(立上片)과, 한 쌍의 암(arm)편으로 이루어진다. 입상편은, 제1 취부편에 대하여 경사하고 있다. 입상편은, 제1 취부편과 접한다. 한 쌍의 암편은, 입상편과, 환상편의 둘레 방향으로 떨어진 2개소,에 각각 접속된다. 한 쌍의 암편은, 입상편에 대하여 경사하고 있다. 한 쌍의 암편은, 입상편과 각각 접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캐스트 시에 한 쌍의 암편 및 환상편이 낚싯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흔들리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캐스트 시의 비거리를 늘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입상편은, 제1 취부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가늘어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취부편은, 낚싯대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만곡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입상편은, 제1 취부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제1 취부편과 매끄럽게 연속하여 만곡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은, 낚싯대의 외주면에 취부된다. 가이드 프레임은, 가이드 링을 보지한다. 가이드 링은, 낚싯줄을 가이드 한다. 가이드 프레임은, 판금제(板金製)이다. 가이드 프레임은, 환상편과, 제1 취부편과, 제1 지지편과, 제2 취부편과, 제2 지지편을 구비하고 있다. 환상편은, 링 장착 구멍을 가진다. 가이드 링은, 링 장착 구멍에 장착된다. 제1 취부편은, 낚싯대의 외주면에 취부된다. 제1 지지편은, 환상편과 제1 취부편을 연결한다. 제2 취부편은, 낚싯대의 외주면에 취부된다. 제2 취부편은, 환상편에 대하여, 제1 취부편과는 반대 측에 위치한다. 제2 지지편은, 환상편과 제2 취부편을 연결한다. 제1 취부편은, 제1 취부 하면(下面)과 제1 취부 상면(上面)을 가지고 있다. 제1 취부 하면은, 낚싯대의 외주면에 취부된다. 제1 취부 상면은, 제1 취부 하면과는 반대 측에 위치한다. 제1 지지편은, 입상편과 한 쌍의 암편을 가지고 있다. 입상편은, 한 쌍의 측연부(側緣部)를 가지고 있다. 입상편은, 제1 취부편에 대하여 제1 취부 상면 측을 향하여 경사하고 있다. 입상편은, 제1 취부편으로부터 제2 취부편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암편은, 입상편의 한 쌍의 측연부와, 환상편의 둘레 방향으로 떨어진 2개소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입상편은, 입상 하면과 입상 상면을 가지고 있다. 입상 하면은, 제1 취부편의 제1 취부 하면과 연속한다. 입상 상면은, 제1 취부편의 제1 취부 상면과 연속한다. 한 쌍의 암편은, 입상편에 대하여, 입상 상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골 접기 형상으로 절곡(折曲)되어 있다. 입상 상면으로부터 볼 때는, 입상편을 입상 상면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뷰(view)이다. 입상 상면으로부터 볼 때를 이하 단지 평면으로부터 볼 때라고 칭한다. 제1 취부편은, 제1 취부 상면 측으로 불룩해지도록 만곡하고 있다. 제1 취부편의 만곡의 방향은, 제1 취부 상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전후 방향은, 제1 취부편과 제2 취부편을 연결하는 방향이다. 제1 취부 상면으로부터 볼 때는, 제1 취부편을 제1 취부 상면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뷰이다. 제1 취부 상면으로부터 볼 때를 이하 단지 평면으로부터 볼 때라고 칭한다. 입상편은, 입상 상면 측으로 불룩해지도록 만곡하고 있다. 입상편의 만곡의 방향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제1 취부편의 만곡 형상과 입상편의 만곡 형상은, 전후 방향을 따라 매끄럽게 연속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캐스트 시에 한 쌍의 암편 및 환상편이 낚싯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흔들리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캐스트시의 비거리를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줄 가이드는, 가이드 프레임과 가이드 링을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링은, 가이드 프레임의 환상편의 링 장착 구멍에 장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링은, 링 본체부와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다. 링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는, 링 장착 구멍에 삽입된다. 플랜지부는, 링 본체부로부터 경(徑)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플랜지부는, 환상편에 접한다. 링 본체부의 내주면은, 가이드 링의 중심을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만곡면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만곡면은, 제1 곡면과 제2 곡면을 가지고 있다. 제1 곡면은, 링 장착 구멍에 삽입되는 측의 단부에 위치한다. 제2 곡면은, 플랜지가 설치된 측의 단부에 위치한다. 제2 곡면의 곡률 반경은, 제1 곡면의 곡률 반경보다도 크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는, 상기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낚싯대는,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고 있다. 손잡이 가이드는,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 중 가장 장대 손잡이 쪽에 위치한다. 손잡이 가이드가 상기 낚싯줄 가이드이다. 손잡이 가이드의 제1 취부편은 제2 취부편에 대하여 장대 초리 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낚싯줄 가이드에 비하여 캐스트 시의 비거리를 늘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줄 가이드를 제1 취부편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要部) 확대 사시도.
도 3은 동(同) 낚싯줄 가이드를 제2 취부편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동 낚싯줄 가이드를 측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 6은 동 낚싯줄 가이드의 평면도.
도 7은 동 낚싯줄 가이드를 가이드 링의 중심선 방향이고 제2 취부편으로부터 본 도면.
도 8은 (a)는 도 5의 A-A 단면도(端面圖), (b)는 도 5의 B-B 단면도(端面圖), (c)는 도 5의 C-C 단면도(端面圖).
도 9 도 6의 D-D 단면도(端面圖).
도 10은 도 6의 E-E 단면도(斷面圖).
도 11은 도 7의 F-F 단면도(斷面圖).
도 12는 동 낚싯줄 가이드가 낚싯대의 장대 본체에 취부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5에 대응한 도면.
도 13은 동 낚싯줄 가이드가 낚싯대의 장대 본체에 취부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6에 대응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낚싯줄 가이드에 관하여 도 1 ~ 도 13을 참작하면서 설명한다.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대의 장대 본체(3)(도 12 및 도 13 참조)의 외주면에 취부되는 가이드 프레임(1)과, 가이드 프레임(1)에 장착되고, 낚싯줄을 직접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링(2)을 구비하고 있다. 덧붙어, 도면 중, 가이드 링(2)에는, 다수의 도트(dot)를 붙여 나타내고 있다.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대의 장대 본체(3)의 외주면의 소정 위치에 접착 등에 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낚싯줄 가이드는 고정 가이드이다. 낚싯줄 가이드는, 릴이 취부 가능한 여러 가지의 낚싯대에 취부되어 사용되지만, 특히 던질 낚시용의 낚싯대(로드)나 루어(1ure) 낚시용의 낚싯대(로드)에 적합하다. 또한, 후술과 같이,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대에 취부되는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 중, 가장 장대 손잡이 쪽에 위치하는 낚싯줄 가이드, 즉, 손잡이 가이드에 적합하지만, 다른 위치에 취부되는 낚싯줄 가이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덧붙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낚싯대의 중심선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장대 초리 쪽을 전측(前側), 장대 손잡이 쪽을 후측(後側)으로 한다. 또한, 낚싯대의 경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 낚싯대의 외주면으로부터 경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을 상측으로 하고, 그것과는 반대의 방향이고 낚싯대의 외주면에 접근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한다. 또한, 전후 방향과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한다. 좌우 방향은, 낚싯대의 외주면을 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고, 낚싯대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이다. 덧붙여, 도 5 및 도 6에, 좌우 방향을 화살표 X로 나타낸다. 전후 방향을 화살표 Y1, Y2로 나타내고, 전측을 화살표 Y1로 나타내고, 후측을 화살표 Y2로 나타낸다. 상하 방향을 화살표 Z1, Z2로 나타내고, 상측을 화살표 Z1로 나타내고, 하측을 화살표 Z2로 나타낸다.
<가이드 프레임(1)>
가이드 프레임(1)은, 금속제이고, 1매의 금속판으로부터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즉, 가이드 프레임(1)은, 판금제의 일체형인 것이다. 따라서, 가이드 프레임(1)은,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프레임(1)은, 1매의 금속판을 소정 형상으로 펀칭하여, 소정 형상으로 펀칭된 평판상(平板狀)의 금속판을 절곡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사용되는 금속판은 예를 들어 두께가 1mm 정도인 것이고, 판 두께 일정의 것이다. 재질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이나 티탄(티탄 합금)이다. 덧붙여, 가이드 프레임(1)의 각 부에 있어서, 금속판의 표면과 이면(裏面)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면을 판면이라고 칭하고, 금속판이 커트된 면인 단면(端面)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면을 판 단면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가이드 프레임(1)은, 환상편(10)과 제1 취부편(11)과 제2 취부편(12)과 제1 지지편(16)과 제2 지지편(13)을 구비하고 있다. 환상편(10)은, 링 장착 구멍(22)을 가진다. 링 장착 구멍(22)에, 가이드 링(2)이 장착된다. 제1 취부편(11)은, 장대 본체(3)의 외주면에 취부된다. 제2 취부편(12)은, 장대 본체(3)의 외주면에 취부된다. 제1 지지편(16)은, 환상편(10)과 제1 취부편(11)을 연결한다. 제2 지지편(13)은, 환상편(10)과 제2 취부편(12)을 연결한다. 제1 취부편(11)은, 환상편(10)에 대하여 전측에 위치하고, 제2 취부편(12)은, 환상편(10)에 대하여 후측에 위치한다. 혹은, 제1 취부편(11)은, 환상편(10)에 대하여 후측에 위치하고, 제2 취부편(12)은, 환상편(10)에 대하여 전측에 위치한다. 제1 취부편(11)은, 환상편(10)에 대하여, 제2 취부편(12)과는 반대 측에 위치한다. 제1 취부편(11)은, 제2 취부편(12)보다도 환상편(10)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제1 취부편(11)과 제2 취부편(12)을 연결하는 방향이 전후 방향이다. 환상편(10) 측으로부터 제1 취부편(11)과 제2 취부편(12)을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좌우 방향이다. 제1 취부편(11)과 제2 취부편(12)에 대하여 환상편(10) 측은 상측에 위치한다. 환상편(10)은, 제1 취부편(11)과 제2 취부편(12)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간하여 위치하고 있다. 환상편(10)에 대하여 제1 취부편(11)과 제2 취부편(12) 중 어느 것이 전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무방하지만, 이하, 환상편(10)에 대하여 제1 취부편(11)이 전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환상편(10)>
환상편(10)은, 가이드 링(2)을 보지하는 부분이다. 환상편(10)은, 평판상의 원형 환상이다. 환상편(10)은, 판면인 제1 면과 제2 면을 가지고 있다. 환상편(10)의 제1 면은 제1 취부편(11) 측에 위치하고, 환상편(10)의 제2 면은 제2 취부편(12) 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환상편(10)의 제1 면은 환상편(10)의 전면(20)이고, 환상편(10)의 제2 면은 환상편(10)의 후면(21)이다. 환상편(10)은, 가이드 링(2)을 보지한다. 가이드 링(2)은, 링 장착 구멍(22)에 취부되어 있다. 링 장착 구멍(22)은, 환상편(10)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링 장착 구멍(22)은, 환상편(10)을 관통하고 있다. 덧붙여, 도면 중에는, 링 장착 구멍(22)은, 환상편(10)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지만, 환상편(10)이 타원 형상이거나, 링 장착 구멍(22)이, 후술하는 관통 구멍(63)과 일체로 되거나 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링 장착 구멍(22)의 중심선 방향은, 환상편(10)에 있어서의 판 두께 방향이다. 링 장착 구멍(22)의 중심선 방향은, 가이드 링(2)의 중심선 방향이다. 환상편(10)은, 상하 방향에 대하여 전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 경사하고 있다. 링 장착 구멍(22)의 중심선 방향은 전후 방향과 평행이 아니고, 전측에 소정 각도 경도(傾倒)하고 있다. 링 장착 구멍(22)의 중심선 방향이 전후 방향과 평행인 경우를 0도로 하였을 때, 링 장착 구멍(22)의 중심선 방향의 경사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1도 이상 20도 이하이다. 링 장착 구멍(22)의 벽면은, 환상편(10)의 내연부(內緣部)이고, 판 단면이다. 링 장착 구멍(22)의 벽면은, 가이드 링(2)의 외주면을 보지하기 위한 보지면이다. 환상편(10)의 외연부(外緣部)와 내연부는 판 단면이다.
<제1 취부편(11)>
제1 취부편(11)은, 환상편(10)의 전측에 소정 거리 이간하여 위치하고 있다. 환상편(10)에 대한 제1 취부편(11)의 전후 방향의 이간 거리는, 환상편(10)에 대한 제2 취부편(12)의 전후 방향의 이간 거리보다도 크다. 제1 취부편(11)은, 환상편(10) 측으로부터 보아, 즉,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링 장착 구멍(22)의 중심선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취부편(11)은, 판상(板狀)이고, 그 판 두께 방향이 상하 방향이다. 제1 취부편(11)은, 제1 취부 상면과 제1 취부 하면을 가지고 있다. 제1 취부 상면을 이하 단지 상면(30)이라고 칭한다. 제1 취부 하면을 이하 단지 하면(31)이라고 칭한다. 제1 취부편(11)의 하면(31)은, 낚싯대의 외주면에 취부되는 취부면이다. 제1 취부편(11)의 하면(31)은, 제1 취부편(11)의 이면이다. 제1 취부편(11)의 상면(30)은, 하면(31)에 대하여 반대 측에 위치하는 면이다. 제1 취부편(11)의 상면(30)은, 제1 취부편(11)의 표면이다. 제1 취부편(11)의 상면(30)과 하면(31)은, 모두 판면이다. 제1 취부편(11)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다. 제1 취부편(11)은, 대상(帶狀)이다. 제1 취부편(11)은, 소정 폭을 가진다. 제1 취부편(11)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길고 좌우 방향으로 짧은 형상이다. 제1 취부편(11)의 폭 방향은 좌우 방향이다. 제1 취부편(11)의 전단부(前端部)(32)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전측을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만곡하고 있다. 제1 취부편(11)의 상면(30)의 전부(前部)은 전측을 향하여 서서히 하강하도록 경사하고 있다. 제1 취부편(11)의 두께는, 전부에 있어서, 서서히 전측을 향하여 얇아지고 있다. 제1 취부편(11)의 후단부(後端部)(33)는, 제1 지지편(16)에 접속되어 있다.
도 8(a)과 같이, 제1 취부편(11)은, 좌우 방향을 따라 상측을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만곡하고 있다. 제1 취부편(11)의 만곡 형상은, 전후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하고 있다. 제1 취부편(11)의 만곡의 정도는, 낚싯대의 장대 본체(3)의 외주면을 따르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취부편(11)의 하면(31)은, 좌우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만곡한 오목 형상 만곡면이다. 제1 취부편(11)의 상면(30)은, 제1 취부편(11)의 하면(31)에 대응하여 만곡하고 있어, 좌우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만곡한 볼록 형상 만곡면이다.
<제2 취부편(12)>
제2 취부편(12)은, 환상편(10)의 후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취부편(12)의 전단부(42)는, 환상편(10)의 대략 직하(直下)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취부편(12)의 전단부(42)는, 환상편(10)과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취부편(12)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링 장착 구멍(22)의 중심선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취부편(11)과 제2 취부편(12)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서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취부편(12)은, 제1 취부편(11)과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제2 취부편(12)은, 판상이고, 그 판 두께 방향이 상하 방향이다. 제2 취부편(12)은, 제2 취부 상면과, 제2 취부 하면을 가지고 있다. 제2 취부 상면을 이하 단지 상면(40)이라고 칭한다. 제2 취부 하면을 이하 단지 하면(41)이라고 칭한다. 제2 취부편(12)의 하면(41)은, 낚싯대의 외주면에 취부되는 취부면이다. 제2 취부편(12)의 하면(41)은, 제2 취부편(12)의 이면이다. 제2 취부편(12)의 상면(40)은, 하면(41)에 대하여 반대 측에 위치하는 면이다. 제2 취부편(12)의 상면(40)은, 제2 취부편(12)의 표면이다. 제2 취부편(12)의 상면(40)과 하면(41)은, 모두 판면이다. 제2 취부편(12)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다. 제2 취부편(12)은, 소정 폭을 가지고, 대상이다. 제2 취부편(12)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길고 좌우 방향으로 짧은 형상이다. 제2 취부편(12)의 폭 방향은 좌우 방향이다. 덧붙여, 제2 취부편(12)의 후단부(43)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후측을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만곡하고 있다. 제2 취부편(12)의 상면(40)의 후부는, 후측을 향하여 서서히 하강하도록 경사하고 있다. 제2 취부편(12)의 두께는, 후부에 있어서, 서서히 후측을 향하여 얇아지고 있다.
도 8(b)과 같이, 제2 취부편(12)은, 제1 취부편(11)과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의 전체 길이에 결쳐, 좌우 방향을 따라 상측을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만곡하고 있다. 제2 취부편(12)의 만곡의 정도는, 제1 취부편(11)의 그것과 동일한 정도이다. 제2 취부편(12)의 하면(41)은, 좌우 방향을 따라 상측을 향하여 만곡한 오목 형상 만곡면이고, 제2 취부편(12)의 상면(40)은, 좌우 방향을 따라 상측을 향하여 만곡한 볼록 형상 만곡면이다.
<제1 지지편(16)>
제1 지지편(16)은, 환상편(10)의 좌우 양 측부와 제1 취부편(11)의 후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제1 취부편(11)은, 제1 지지편(16)의 전단부로부터 전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1 지지편(16)은, 입상편(14)과, 좌우 한 쌍의 암편(15)을 구비하고 있다.
<입상편(14)>
입상편(14)은, 좌우 한 쌍의 측연부(51)를 가지고 있다. 입상편(14)은, 입상 하면과 입상 상면을 가지고 있다. 입상 하면을 이하 단지 하면(53)이라고 칭한다. 입상 상면을 이하 단지 상면(52)이라고 칭한다. 입상편(14)의 하면(53)은, 제1 취부편(11)의 하면(31)과 연속하고 있다. 입상편(14)의 상면(52)은, 제1 취부편(11)의 상면(30)과 연속하고 있다. 입상편(14)의 상면(52)과 하면(53)은 모두 판면이다.
입상편(14)은, 제1 취부편(11)의 후단부(33)로부터 후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좌우 한 쌍의 암편(15)은, 입상편(14)으로부터 후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입상편(14)은, 좌우 한 쌍의 암편(15)과 제1 취부편(11)을 연결하고 있다. 입상편(14)은, 제1 취부편(11)에 대하여 상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하고 있다. 즉, 입상편(14)은, 제1 취부편(11)에 대하여, 좌우 방향을 따른 절곡선으로 평면으로부터 볼 때 골 접기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덧붙여, 절곡부에 있어서의 상면의 전후 방향을 따른 곡면의 곡률 반경은 작고, 절곡부의 하면의 전후 방향을 따른 곡면의 곡률 반경은 크다. 제1 취부편(11)에 대한 입상편(14)의 경사 각도는 예를 들어 45도 이하이다. 입상편(14)의 후단부(50)는, 제1 취부편(11)의 전단부(32)와 동일한 폭이다. 입상편(14)의 좌우 양 측연부(51) 간의 치수가 폭이다. 입상편(14)의 폭은, 후측을 향하여 서서히 좁아지고 있다. 입상편(14)은, 후측을 향하여 서서히 가늘어지고 있다. 입상편(14)은, 제1 취부편(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가늘어지고 있다. 입상편(14)의 좌우 양 측연부(51)끼리의 사이의 이간 거리는, 도 6과 같이, 후측을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고 있다. 입상편(14)은, 상면(52) 측으로부터 보아 대략 사다리꼴이다.
입상편(14)은, 좌우 방향을 따라 상측을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만곡하고 있다. 도 9와 같이 입상편(14)의 상면(52)은, 좌우 방향을 따라 상측을 향하여 만곡한 볼록 형상 만곡면이다. 입상편(14)의 하면(53)은, 좌우 방향을 따라 상측을 향하여 만곡한 오목 형상 만곡면이다. 입상편(14)의 하면(53)은, 제1 취부편(11)의 하면(31)과 전후 방향으로 매끄럽게 연속하고 있다. 입상편(14)의 하면(53)과 제1 취부편(11)의 하면(31)의 경계부는, 전후 방향을 따라 하측을 향하여 만곡하고 있다. 입상편(14)의 하면(53)과 제1 취부편(11)의 하면(31)의 경계부도 좌우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만곡하고 있다. 제1 취부편(11)의 하면(31)의 좌우 방향을 따른 만곡 형상은, 입상편(14)의 하면(53)의 좌우 방향을 따른 만곡 형상과 연속하고 있다. 제1 취부편(11)의 좌우 방향을 따른 만곡 형상과, 입상편(14)의 좌우 방향을 따른 만곡 형상은, 전후 방향을 따라 매끄럽게 연속하고 있다.
<암편(15)>
한 쌍의 암편(15)은, 환상편(10)의 둘레 방향으로 떨어진 2개소와 입상편(14)의 좌우 한 쌍의 측연부(51)를 연결하고 있다. 한 쌍의 암편(15)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서로 좌우 대칭이다. 각 암편(15)의 폭은, 제1 취부편(11)의 폭보다도 좁다. 한 쌍의 암편(15)의 전단부는, 각각 입상편(14)의 좌우 양 측연부(51)에 접속되어 있다. 한 쌍의 암편(15)은, 입상편(14)의 좌우 양 측연부(51)를 절곡선으로 하여, 입상편(14)에 대하여 상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암편(15)은, 입상편(14)에 대하여 평면으로부터 볼 때 골 접기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도 5와 같이, 한 쌍의 암편(15)은,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후측을 향하여 서서히 경사하면서 상승하여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암편(15)은,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전후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만곡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만곡하지 않고 직선 형상이어도 무방하고, 반대로 전후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만곡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6과 같이, 한 쌍의 암편(15)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후측을 향하여 서서히 서로의 이간 거리를 넓히면서 연장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암편(15)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대략 V자 형상으로 넓어지면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암편(15)은,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좌우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만곡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만곡하지 않고 직선 형상이어도 무방하고, 반대로 좌우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만곡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한 쌍의 암편(15)의 후단부는, 각각 환상편(10)의 외연부의 좌우 양 측부에 접속되어 있다. 도면 중에서는, 암편(15)과 환상편(10)의 접속 개소는, 링 장착 구멍(22)의 좌우 방향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암편(15)은, 환상편(10)의 전체 둘레 중, 가장 좌우 방향의 치수가 큰 개소에 접속되어 있다. 덧붙여, 한 쌍의 암편(15)의 후단부는, 환상편(10)의 외연부의 이간한 2개소에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도 8(c)에도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암편(15)은, 입상편(14)으로부터 환상편(10)에 걸쳐, 비틀어지면서 연장되어 있다. 암편(15)은, 전단부에 있어서의 상면이 후단부에 있어서 환상편(10)의 경방향 내측을 향하고, 전단부에 있어서의 하면이 후단부에 있어서 환상편(10)의 경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비틀어져 있다. 암편(15)에 있어서의 판면은, 전단부에 있어서는 대략 상하 방향을 향하고, 후단부에 있어서는 대략 좌우 방향을 향하고 있다. 암편(15)에 있어서의 판 단면은, 전단부에 있어서는 대략 좌우 방향을 향하고, 후단부에 있어서는 대략 상하 방향을 향하고 있다.
<제2 지지편(13)>
제2 지지편(13)은, 환상편(10)의 하부와 제2 취부편(12)의 전단부(42)를 연결하고 있다. 도면 중의 환상편(10)과 제2 지지편(13)은, 하나의 연속한 평면을 구성하고 있다. 즉, 제2 지지편(13)은, 환상편(1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지 않고, 환상편(10)과 동일면 상에 위치한다. 또한, 제2 지지편(13)은, 전후 방향을 따라 만곡하고 있지 않고, 평면상(平面狀)이다. 따라서, 환상편(10)을 구성하는 평면과, 제2 지지편(13)을 구성하는 평면은, 서로 동일하다. 제2 지지편(13)의 전면(60)은 환상편(10)의 전면(20)과 동일 평면이고, 제2 지지편(13)의 후면(61)은 환상편(10)의 후면(21)과 동일 평면이다. 제2 지지편(13)의 전면(60)과 후면(61)이 판면이다. 그리고, 제2 지지편(13)은, 제2 취부편(12)에 대하여 대략 직각 상방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2 지지편(13)은, 제2 취부편(12)에 대하여 90도의 절곡 각도로 상승되어 있어도 무방하지만, 1도 이상 20도 이하의 범위에서 전측으로 경도한 상태로 상승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제2 지지편(13)은, 환상편(10)과 동일 평면뿐만은 아니라, 만곡이나 굴곡이 될 수도 있다.
제2 지지편(13)을 링 장착 구멍(22)의 중심선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의 정면으로부터 볼 때의 형상은 여러 가지이어도 무방하지만,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지지 다리편(6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지지편(13)은, 한 개의 지지 다리편(62)만을 구비하는 한 개 다리의 구성이어도 무방하지만, 도 7과 같이 좌우 한 쌍의 지지 다리편(62)을 구비하는 2개 다리의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좌우 한 쌍의 지지 다리편(62)은, 제2 취부편(12)의 전단부(42)로부터 소정 거리 상방의 위치로부터 좌우로 분기하여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 다리편(62)끼리의 사이의 이간 거리는, 상측을 향하여 서서히 넓어져 간다. 정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한 쌍의 지지 다리편(62)은, 대략 V자 형상이다. 제2 지지편(13)의 중앙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63)은 대략 역삼각형상이다. 관통 구멍(63)은, 좌우의 지지 다리편(62)과 환상편(10)에 의하여 획성(劃成)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 다리편(62)의 상단부는, 환상편(10)의 외연부에 접속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 다리편(62)의 상단부는, 환상편(10)의 하측 반 영역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으로 이간한 2개소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지지 다리편(62)의 상단부는, 좌우 한 쌍의 암편(15)의 후단부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 다리편(62)의 외측의 측연부(62a)(판 단면)는, 정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환상편(10)의 외연부에 대한 접선 혹은 접선에 가까운 형상이다.
<가이드 링(2)>
가이드 링(2)은, 대표적으로는 원형의 환상이지만, 타원형이나 장원형 등이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링(2)은, 원형이다. 도 11과 같이, 가이드 링(2)은, 링 본체부(70)와 플랜지부(71)를 가진다. 링 본체부(70)는, 통상(筒狀)이다. 링 본체부(70)는, 내주면과 외주면을 가지고 있다. 링 본체부(70)의 적어도 일부가 링 장착 구멍(22)에 삽입된다. 플랜지부(71)는, 링 본체부(70)의 외주면으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플랜지부(71)는, 환상편(10)에 접하고 있다. 플랜지부(71)는, 링 본체부(70)의 외주면의 일단부에 위치한다. 링 본체부(70)의 내주면이 가이드 링(2)의 내주면이다. 플랜지부(71)는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링(2)은 바람직하게는 접착에 의하여 가이드 프레임(1)에 취부된다.
링 본체부(70)의 외주면은 링 장착 구멍(22)의 벽면에 취부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랜지부(71)는 환상편(10)의 후측에 위치하고 있고, 링 본체부(70)는 링 장착 구멍(22)에 후측으로부터 삽입된다. 플랜지부(71)의 전면이 환상편(10)의 후면(21)에 취부되어 있다. 링 본체부(70)의 외경은 링 장착 구멍(22)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다. 플랜지부(71)의 외경은, 링 장착 구멍(22)의 직경보다도 크고, 환상편(10)의 외경(환상편(10)의 외연부의 직경)보다도 작다. 따라서, 플랜지부(71)의 외주면은, 환상편(10)의 외연부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비어져 나오지 않고 그것보다도 경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가이드 링(2)의 중심선 방향의 치수를 두께로 하면, 가이드 링(2)의 두께는, 환상편(10)의 두께, 즉, 가이드 프레임(1)을 구성하고 있는 금속판의 판 두께보다도 두껍다. 또한, 가이드 링(2)의 전면은 환상편(10)의 전면(20)보다도 전측으로 약간 돌출하고 있지만, 서로 대략 면일(面一)이어도 무방하다. 플랜지부(71)의 두께는 환상편(10)의 두께보다도 두껍다. 가이드 링(2)이 환상편(10)의 전면(20)에 대하여 전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양은, 가이드 링(2)이 환상편(10)의 후면(21)에 대하여 후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양보다도 작다.
가이드 링(2)의 내주면은, 가이드 링(2)의 중심을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만곡한 만곡면을 가지고 있다. 가이드 링(2)의 내주면은, 전단부에, 전후 방향을 따라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만곡한 제1 곡면(72)을 가지고 있다. 가이드 링(2)의 내주면은, 후단부에, 전후 방향을 따라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만곡한 제2 곡면(73)을 가지고 있다. 제2 곡면(73)의 곡률 반경은, 제1 곡면(72)의 곡률 반경보다도 크다. 이와 같이 가이드 링(2)의 내주면의 후단부에 큰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제2 곡면(73)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가이드 링(2)의 내주면은 후측을 향하여 확경(擴徑)하고 있다.
<취부 상태>
이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대의 장대 본체(3)의 외주면에 취부 고정된다. 취부 방법은, 예를 들어 감기 줄과 접착제의 도포에 의한다. 낚싯줄 가이드가 낚싯대의 장대 본체(3)에 취부된 상태에 있어서, 낚싯줄 가이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Y1, Y2는, 장대 본체(3)의 중심선 방향이 된다. 취부 상태에 있어서, 낚싯줄 가이드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X는, 낚싯줄 가이드로부터 장대 본체(3)를 보았을 때에 전후 방향 Y1, Y2와 직교하는 방향이 된다. 취부 상태에 있어서, 낚싯줄 가이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Z1, Z2는, 장대 본체(3)의 경방향이 된다. 낚싯줄 가이드에 있어서의 상측 Z1은, 장대 본체(3)의 경방향 외측이 되고, 장대 본체(3)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 된다. 낚싯줄 가이드에 있어서의 하측 Z2는, 장대 본체(3)의 경방향 내측이 되고, 장대 본체(3)의 외주면에 접근하는 방향이 된다. 낚싯줄 가이드의 전후의 방향은 임의이지만, 예를 들어, 제1 취부편(11)이 환상편(10)에 대하여 장대 초리 쪽에 위치하고, 제2 취부편(12)이 환상편(10)에 대하여 장대 손잡이 쪽에 위치한다. 도 12 및 도 13에 있어서, 바라보는 방향에서 좌측이 장대 초리 쪽이고 우측이 장대 손잡이 쪽이다. 낚싯줄 가이드의 전측 Y1이 장대 초리 쪽이 되고, 낚싯줄 가이드의 후측 Y2가 장대 손잡이 쪽이 된다. 낚싯줄 가이드가 장대 본체(3)에 취부된 상태에 있어서 가이드 링(2)은 약간 장대 초리 쪽으로 경도한 자세가 된다.
덧붙여, 도 12 및 도 13에서는, 낚싯줄 가이드가 장대 본체(3)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는 낚싯줄 가이드는 장대 본체(3)에 대하여 상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무방하고 하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무방하고, 낚싯줄 가이드의 위치나 방향은 임의이다. 예를 들어, 스피닝 릴을 사용하는 경우, 통상, 스피닝 릴은 장대 본체(3)의 하측에 위치한다. 그 경우, 낚싯줄 가이드는 장대 본체(3)의 하측에 위치한다. 양 베어링 릴을 사용하는 경우, 통상, 양 베어링 릴은 장대 본체(3)의 상측에 위치한다. 그 경우, 낚싯줄 가이드는 장대 본체(3)의 상측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낚싯줄 가이드는, 장대 본체(3)에 대하여 릴과 같은 방향에 위치한다.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1)은, 제1 취부편(11)으로부터 입상편(14)이 장대 본체(3)의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경사하면서 상승하고 있어, 이 입상편(14)에 대하여 한 쌍의 암편(15)이 환상편(10) 측(장대 본체(3)의 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보아 골 접기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한 쌍의 암편(15)의 전후 방향의 길이(장대 본체(3)의 중심선 방향의 길이)가 과도하게 길어지는 일이 없다. 게다가, 제1 취부편(11)에 대한 입상편(14)의 휨 방향과, 입상편(14)에 대한 한 쌍의 암편(15)의 휨 방향이, 모두 환상편(10) 측으로부터 보아 골 접기 방향이기 때문에, 한 쌍의 암편(15)의 절곡 각도가 과도하게 커지지 않는다. 따라서, 한 쌍의 암편(15)은, 입상편(14)으로부터 환상편(10) 측을 향하여 순조롭게 연장되어 가게 된다. 그 때문에, 한 쌍의 암편(15)과 입상편(14)의 사이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캐스트 시에 있어서의 암편(15)의 좌우 방향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암편(15)의 좌우 방향의 흔들림이 억제되는 것에 의하여, 환상편(10)과 가이드 링(2)의 전후, 좌우, 또는, 비틀림 방향의 흔들림이 억제되고, 가이드 링(2)이 안정된다. 그 결과, 종래의 낚싯줄 가이드에 비하여, 줄 엉킴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캐스트 시의 비거리를 늘릴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암편(15)이 환상편(10)의 좌우 양 단부에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가이드 링(2)의 좌우 방향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입상편(14)의 좌우 양 측연부(51) 사이의 폭이 환상편(10) 측을 향하여 서서히 좁아지고 있어, 그 입상편(14)의 좌우 양 측연부(51)에 있어서 한 쌍의 암편(15)이 골 접기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한 쌍의 암편(15)이 입상편(14)으로부터 환상편(10)을 향하여 보다 한층 순조롭게 연장되게 된다. 또한, 암편(15)이 비틀림 양도 적어도 된다.
또한, 입상편(14)이 좌우 방향을 따라 상측을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만곡하고 있으면, 한 쌍의 암편(15)끼리의 합류 지점인 입상편(14)의 강도가 증가한다. 그 때문에, 한 쌍의 암편(15)을 보다 한층 안정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1 취부편(11)이 좌우 방향을 따라 상면(30) 측으로 만곡하고 있어, 입상편(14)의 하면(53)의 만곡 형상과 제1 취부편(11)의 하면(31)의 만곡 형상이 전후 방향을 따라 매끄럽게 연속하고 있으면, 입상편(14)의 강도가 보다 한층 증가하고, 제1 지지편(16)과 제1 취부편(11)의 연결 강도도 보다 한층 향상한다.
또한, 환상편(10)과 제2 지지편(13)은, 하나의 연속한 평면을 구성하고 있어, 제2 지지편(13)이 제2 취부편(12)에 대하여 상측으로 절곡하고 있으면, 제2 취부편(12)이 환상편(10)으로부터 후측으로 크게 이간하지 않고, 낚싯대의 휨을 저해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캐스트 시에 낚싯대가 휘어질 때에, 환상편(10) 및 제2 지지편(13)이 전후 방향으로 과도하게 버티지 않고, 제2 취부편(12)와의 사이의 경계부인 절곡부를 지점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回動)하여 낚싯대의 휨에 추종한다. 한편, 제2 지지편(13)이 좌우 한 쌍의 지지 다리편(62)을 가지는 2개 다리의 구성이기 때문에, 한 개 다리의 구성에 비하여 좌우 방향의 강도가 크다. 그 때문에, 환상편(10) 및 가이드 링(2)의 전후, 좌우, 또는, 비틀림 방향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가이드 링(2)이 플랜지부(71)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환상편(10)에 가이드 링(2)을 강고하게 취부할 수 있다. 특히, 플랜지부(71)가 장대 손잡이 쪽에 위치하고 있으면, 캐스트 시에 릴로부터 방출된 낚싯줄이 가이드 링(2)에 충돌하여도, 가이드 링(2)의 취부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가이드 링(2)의 내주면의 제2 곡면(73)의 곡률 반경이 제1 곡면(72)의 그것보다도 크면, 릴로부터 방출된 낚싯줄이 가이드 링(2)의 내주면에 충돌할 때의 저항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스피닝 릴의 경우, 낚싯줄은 스피닝 릴로부터 루프(loop)상(狀)으로 방출되지만, 그 루프상의 낚싯줄이 가이드 링(2)의 내주면에 충돌할 때의 저항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특히 스피닝 릴을 사용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또한, 가이드 링(2)이 플랜지부(71)를 가지고 있으면, 플랜지부(71)의 외경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제2 곡면(73)의 곡률 반경을 용이하게 크게 할 수 있다.
1: 가이드 프레임
2: 가이드 링
3: 장대 본체
10: 환상편
11: 제1 취부편
12: 제2 취부편
13: 제2 지지편
14: 입상편
15: 암편
16: 제1 지지편
20: 환상편의 전면
21: 환상편의 후면
22: 링 장착 구멍
30: 제1 취부편의 상면(제1 취부 상면)
31: 제1 취부편의 하면(제1 취부 하면)
32: 제1 취부편의 전단부
33: 제1 취부편의 후단부
40: 제2 취부편의 상면(제2 취부 상면)
41: 제2 취부편의 하면(제2 취부 하면)
42: 제2 취부편의 전단부
43: 제2 취부편의 후단부
50: 입상편의 후단부
51: 입상편의 측연부
52: 입상편의 상면(입상 상면)
53: 입상편의 하면(입상 하면)
60: 제2 지지편의 전면
61: 제2 지지편의 후면
62: 지지 다리편
62a: 측연부
63: 관통 구멍
70: 링 본체부
71: 플랜지부
72: 제1 곡면
73: 제2 곡면

Claims (11)

  1. 낚싯대에 취부(取付)되고, 낚싯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링을 보지(保持)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이 장착되는 링 장착 구멍을 가지는 환상편과,
    상기 낚싯대의 외주면(外周面)에 취부되는 제1 취부편과,
    상기 환상편과 상기 제1 취부편을 연결하는 제1 지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편은,
    상기 제1 취부편에 대하여 경사하여, 상기 제1 취부편과 접하는 입상편(立上片)과,
    상기 입상편과 상기 환상편의 둘레 방향으로 떨어진 2개소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입상편에 대하여 경사하여, 상기 입상편과 각각 접하고 있는 한 쌍의 암(arm)편
    으로 이루어지는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편은, 상기 제1 취부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가늘어지고 있는,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취부편은, 상기 낚싯대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만곡하고 있는,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편은, 상기 제1 취부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상기 제1 취부편과 매끄럽게 연속하여 만곡하고 있는,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대의 외주면에 취부되는 제2 취부편과,
    상기 환상편과 상기 제2 취부편을 연결하는 제2 지지편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환상편과 상기 제2 지지편은, 하나의 연속한 평면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2 지지편은, 상기 제2 취부편에 대하여 절곡(折曲)되어 있는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6. 낚싯대의 외주면에 취부되고, 낚싯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링을 보지하기 위한 판금제(板金製)의 가이드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이 장착되는 링 장착 구멍을 가지는 환상편과,
    상기 낚싯대의 상기 외주면에 취부되는 제1 취부편과,
    상기 환상편과 상기 제1 취부편을 연결하는 제1 지지편과,
    상기 낚싯대의 상기 외주면에 취부되고, 상기 환상편에 대하여, 상기 제1 취부편과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제2 취부편과,
    상기 환상편과 상기 제2 취부편을 연결하는 제2 지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취부편은, 상기 낚싯대의 상기 외주면에 취부되는 제1 취부 하면과, 상기 제1 취부 하면과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제1 취부 상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지지편은, 한 쌍의 측연부(側緣部)를 가지고, 상기 제1 취부편에 대하여 상기 제1 취부 상면 측을 향하여 경사하고 있어, 상기 제1 취부편으로부터 상기 제2 취부편 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입상편과, 상기 입상편의 상기 한 쌍의 측연부와 상기 환상편의 둘레 방향으로 떨어진 2개소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한 쌍의 암편을 가지고,
    상기 입상편은, 상기 제1 취부편의 상기 제1 취부 하면과 연속하는 입상 하면과, 상기 제1 취부편의 상기 제1 취부 상면과 연속하는 입상 상면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암편은, 상기 입상편에 대하여, 상기 입상 상면 측으로부터 본 입상 상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골 접기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제1 취부편은, 상기 제1 취부 상면 측으로부터 본 제1 취부 상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제1 취부편과 상기 제2 취부편을 연결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취부 상면 측으로 불룩해지도록 만곡하고 있고,
    상기 입상편은, 상기 입상 상면 측으로부터 본 입상 상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제1 취부편과 상기 제2 취부편을 연결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입상 상면 측으로 불룩해지도록 만곡하고 있고,
    상기 제1 취부편의 만곡 형상과 상기 입상편의 만곡 형상은, 상기 제1 취부편과 상기 제2 취부편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매끄럽게 연속하고 있는,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기 환상편의 상기 링 장착 구멍에 장착된 가이드 링을 구비한 낚싯줄 가이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은,
    상기 링 장착 구멍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링 본체부와,
    상기 링 본체부로부터 경(徑)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환상편에 접하는 플랜지부를 가지고,
    상기 링 본체부의 내주면은, 상기 가이드 링의 중심을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만곡면을 가지고 있는,
    낚싯줄 가이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면은, 상기 링 장착 구멍에 삽입되는 측의 단부의 제1 곡면과, 상기 플랜지가 설치된 측의 단부의 제2 곡면을 가지고,
    상기 제2 곡면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1 곡면의 곡률 반경보다도 큰,
    낚싯줄 가이드.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한 낚싯대.
  11.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고,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 중 가장 장대 손잡이 쪽에 위치하는 손잡이 가이드가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낚싯줄 가이드이고, 손잡이 가이드의 제1 취부편은 제2 취부편에 대하여 장대 초리 쪽에 위치하고 있는, 낚싯대.
KR1020190153365A 2019-04-17 2019-11-26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및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 KR202001222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78706A JP7175233B2 (ja) 2019-04-17 2019-04-17 釣糸ガイドのガイドフレーム及び釣糸ガイド並びに釣竿
JPJP-P-2019-078706 2019-04-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214A true KR20200122214A (ko) 2020-10-27

Family

ID=72913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365A KR20200122214A (ko) 2019-04-17 2019-11-26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및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75233B2 (ko)
KR (1) KR20200122214A (ko)
CN (1) CN111820199B (ko)
TW (1) TWI816015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3778A (ja) 1999-03-10 2000-09-19 Fuji Kogyo Co Ltd 釣竿用ラインガイドと釣竿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30286B (ko) * 1968-04-09 1970-11-09 Abu Ab
JPS4835118Y1 (ko) * 1969-05-23 1973-10-23
JPS53145992U (ko) * 1977-04-21 1978-11-17
JPS5558039A (en) * 1978-10-26 1980-04-30 Fuji Industries Co Ltd Attaching leg of fishing line ring
JPS63137630A (ja) * 1986-12-01 1988-06-09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ガイド
JP3063963B2 (ja) * 1995-08-31 2000-07-1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中通し釣竿
JP2916429B2 (ja) * 1996-11-12 1999-07-05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導糸環
JPH11103723A (ja) * 1997-10-07 1999-04-20 Shimano Inc 中通し竿
JP2004024079A (ja) * 2002-06-24 2004-01-29 Daiwa Seiko Inc 釣糸ガイド及び釣竿
JP2004024080A (ja) * 2002-06-24 2004-01-29 Daiwa Seiko Inc 釣糸ガイドおよび釣竿
CN2666160Y (zh) * 2003-11-12 2004-12-29 李宗升 一种钓竿导环固定支架
JP2006174773A (ja) * 2004-12-22 2006-07-06 Daiwa Seiko Inc 釣竿
JP2006204142A (ja) * 2005-01-26 2006-08-10 Shimano Inc 中通し竿用トップガイド及び中通し竿
JP4652136B2 (ja) * 2005-06-09 2011-03-16 富士工業株式会社 ラインガイド用フレームおよび釣竿
JP2007330118A (ja) * 2006-06-13 2007-12-27 Shimano Inc 釣り竿用竿体
WO2011102398A1 (ja) * 2010-02-18 2011-08-25 Tokuda Isamu 釣り竿用ラインガイド(トップラインガイドを含む)及び釣り竿
JP5555756B2 (ja) * 2012-11-21 2014-07-2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り糸ガイド及び釣り竿
JP5680810B2 (ja) * 2013-01-31 2015-03-04 京セラ株式会社 釣り糸用ガイド部材およびこれを備える釣り糸用ガイドならびに釣り竿
KR101391116B1 (ko) * 2013-07-23 2014-04-30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낚싯대
JP5839064B2 (ja) * 2014-03-17 2016-01-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JP6527057B2 (ja) * 2015-09-02 2019-06-05 株式会社シマノ 釣糸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ガイドフレーム
JP6672912B2 (ja) * 2016-03-14 2020-03-25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3778A (ja) 1999-03-10 2000-09-19 Fuji Kogyo Co Ltd 釣竿用ラインガイドと釣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20199A (zh) 2020-10-27
TWI816015B (zh) 2023-09-21
TW202038712A (zh) 2020-11-01
JP7175233B2 (ja) 2022-11-18
JP2020174561A (ja) 2020-10-29
CN111820199B (zh) 202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7057B2 (ja) 釣糸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ガイドフレーム
JP6619991B2 (ja) 釣糸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鍛造ガイドフレーム
JP6553455B2 (ja) 釣糸ガイド、釣竿、及び、ガイドフレーム
KR20060128689A (ko) 라인 가이드용 프레임 및 낚싯대
JP2012213607A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及び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7190958B2 (ja) 釣糸ガイドのガイドフレーム及び釣糸ガイド並びに釣竿
KR20200122214A (ko)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및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
JP2004024079A (ja) 釣糸ガイド及び釣竿
JP2916431B2 (ja) 釣竿用導糸環
JP6553456B2 (ja) 釣糸ガイド、釣竿、及び、ガイドリング
KR20200122215A (ko)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및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
JP2019084325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4024080A (ja) 釣糸ガイドおよび釣竿
JPH10136839A (ja) 釣竿用導糸環
US4199891A (en) Stabilized trolling planer
US20020092225A1 (en) Fly rod with different flexural rigidity
KR20230007932A (ko)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
JP2006094965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200366928Y1 (ko) 낚시대용 가이드
CN112806334A (zh) 钓竿
JP6945759B1 (ja) ルアー用フック及び釣り用ルアー
JP3101828U (ja) ルアー
TWI850439B (zh) 釣竿
JP2023156221A (ja) 釣糸ガイドのガイドフレーム及び釣糸ガイド並びに釣竿
CN118235747A (zh) 钓线导引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