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932A -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932A
KR20230007932A KR1020220061690A KR20220061690A KR20230007932A KR 20230007932 A KR20230007932 A KR 20230007932A KR 1020220061690 A KR1020220061690 A KR 1020220061690A KR 20220061690 A KR20220061690 A KR 20220061690A KR 20230007932 A KR20230007932 A KR 20230007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guide
fishing line
rod
atta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타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203710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3008795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30007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의 비틀림 강도를 향상시킨다.
<해결 수단> 장대의 외주면(外周面)에 취부(取付)되고,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을 보지(保持)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2)이고, 가이드 링을 보지하기 위한 환상편(環狀片)(10)과, 장대의 외주면에 취부되는 제1 취부편(14)과, 제1 취부편(14)과 장대의 축 방향으로 이간(離間)하여, 장대의 외주면에 취부되는 제2 취부편(15)과, 환상편(10)과 제1 취부편(14)을 연결하는 제1 지지편(11)과, 환상편(10)과 제2 취부편(15)을 연결하는 제2 지지편(12)을 구비하고, 제1 지지편(11)은, 제1 취부편(14)과 접속하는 제1 접속부(30)에, 장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확장된 제1 확장부(32)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GUIDE FRAME OF FISHING LINE GUIDE, 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ROD}
본 발명은, 낚싯줄을 안내하기 위한 낚싯줄 가이드에 있어서의 가이드 프레임과, 낚싯줄 가이드와,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낚싯줄 가이드는, 도 13과 같이, 가이드 링(100)과 가이드 프레임(101)을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프레임(101)은, 가이드 링(100)을 보지(保持)하는 환상편(環狀片)(102)과, 환상편(102)으로부터 장대 초리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측(側) 지지 다리(103)와, 환상편(102)으로부터 장대 손잡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개의 후(後) 지지 다리(104)를 가지고 있다. 측 지지 다리(103)는, 장대에 취부(取付)되는 제1 취부부(105)를 가지고, 후 지지 다리(104)는, 장대에 취부되는 제2 취부부(106)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특허 문헌 1에 있어서는, 한 쌍의 측 지지 다리(103)가, 측면으로부터 보아, S자 형상으로 만곡(彎曲)하고 있기 때문에, 측 지지 다리(103)가 구부림에 대하여 큰 저항력을 가지고, 낚싯줄 가이드의 강성이 증대하여 휨이 감소한다고 설명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 낚싯줄 가이드에 있어서의 후 지지 다리(104)의 폭은 가늘고, 특히, 제2 취부부(106)와 대략 같은 폭이거나, 혹은, 제2 취부부(106)를 향하여 서서히 폭이 좁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낚싯줄 가이드가 장대에 취부되었을 때에, 후 지지 다리(104)의 강도 부족이 문제가 되기 쉽고, 후 지지 다리(104)가 장대의 둘레 방향으로 비틀리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후 지지 다리(104)가 길어지면, 비틀리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한층 더 현저하게 된다.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5940738호
본 발명은,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의 비틀림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은, 장대의 외주면(外周面)에 취부되고,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을 보지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에 있어서, 가이드 링을 보지하기 위한 환상편과, 장대의 외주면에 취부되는 제1 취부편과, 제1 취부편과 장대의 축 방향으로 이간(離間)하여, 장대의 외주면에 취부되는 제2 취부편과, 환상편과 제1 취부편을 연결하는 제1 지지편과, 환상편과 제2 취부편을 연결하는 제2 지지편을 구비하고, 제1 지지편은, 제1 취부편과 접속하는 제1 접속부에, 장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확장된 제1 확장부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취부편의 제1 접속부에 제1 확장부가 설치되어 있다. 장대에 낚싯줄 가이드가 취부되었을 때에, 장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취부편이 비틀리려고 하는 것에 대하여, 제1 확장부가 보강이 된다. 그 때문에, 제1 취부편의 비틀림이 억제된다. 제1 확장부에 의하여 제1 취부편이 보강되는 것에 의하여, 낚싯줄 가이드의 예를 들어 환상편에 장대의 둘레 방향을 따른 큰 외력이 가하여져도, 제1 취부편이 장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성 변형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캐스트(cast) 시에 있어서, 제1 취부편이 장대의 둘레 방향으로 흔들리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낚싯줄과 낚싯줄 가이드가 접촉하기 어려워지고, 그 때문에, 그 접촉에 의한 저항이 작아지고, 결과적으로 비거리가 향상된다. 나아가, 낚싯줄과 낚싯줄 가이드와의 사이의 저항이 작아져, 낚싯줄의 대미지가 경감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지지편은, 제2 지지편보다도 짧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지지편보다도 짧은 제1 지지편에 제1 확장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지지편의 비틀림 강도를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지지편은, 환상편에 있어서의 장대의 외주면과 가장 가까운 제1 지지부와, 제1 취부편을 연결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장대의 외주면과 가장 가까운 제1 지지부를, 제1 확장부를 가지는 제1 지지편으로 지지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지지편의 비틀림 강도를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편이 길어졌다고 하여도, 비틀림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지지편은, 환상편과 접속하는 제2 접속부와,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와의 사이에 설치된 중간부를 가지고, 제1 확장부는, 중간부에 있어서의 장대의 둘레 방향의 폭보다도 확장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지지편의 중량 증가를 억제하면서 제1 확장부에 의하여 제1 지지편을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확장부에 있어서의 장대의 둘레 방향의 폭은, 제1 취부편을 향하여 서서히 넓어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지지편의 중량 증가를 억제하면서 제1 지지편을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취부편은, 제1 지지편과 접속하는 제1 취부 단부(端部)에, 장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확장된 제2 확장부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취부편의 제1 취부 단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것과 함께, 제1 확장부로부터 제2 확장부에 걸친 일체감이 향상된다. 그 때문에, 제1 취부편의 비틀림에 대한 강도를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확장부는, 제1 확장부와 연속하고, 장대의 둘레 방향의 폭이 같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확장부로부터 제2 확장부에 걸친 일체감이 향상되고, 제1 취부편의 비틀림에 대한 강도를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확장부는, 장대의 둘레 방향으로 만곡한 만곡편을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낚싯줄 가이드를 장대의 외주면에 취부하였을 때에, 만곡편에 의하여 제1 확장부가 장대의 외주면을 따르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낚싯줄 가이드를 안정되게 장대의 외주면에 취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확장부는, 장대의 축 방향을 향하여 굴곡한 굴곡편을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낚싯줄 가이드를 장대의 외주면에 취부하였을 때에, 굴곡편이 제1 지지편의 비틀림 강도를 보강한다. 또한, 제1 지지편에 장대의 축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굴곡편이 제1 지지편의 장대의 축 방향으로의 휨을 억제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지지편은, 환상편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으로 이간한 한 쌍의 제2 지지부와, 제2 취부편을 연결하는, 한 쌍의 암(arm)편을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암편에 의하여 환상편이 안정되게 지지되는 것과 함께, 낚싯줄이 낚싯줄 가이드에 감겨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줄 가이드는, 상술의 가이드 프레임과 환상편에 장착된 가이드 링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는,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가 장대의 외주면에 장착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가이드가,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 중 가장 장대 손잡이 방향에 위치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위치에, 제1 취부편을 장대 손잡이 방향을 향하게 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은, 장대의 외주면에 취부되고,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을 보지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에 있어서, 가이드 링을 보지하기 위한 환상편과, 장대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1 접점을 가지는 제1 취부편과, 제1 취부편과 장대의 축 방향으로 떨어지고, 장대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2 접점을 가지는 제2 취부편과, 환상편과 제1 취부편을 연결하는 제1 지지편과, 환상편과 제2 취부편을 연결하고, 장대의 경(徑)방향 외측을 향하여 만곡한 제2 지지편을 구비하고,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을 지나는 가상선과, 환상편의 내주(內周) 가장자리와의 사이의 최단이 되는 제1 이간 거리는, 환상편의 내경(內徑)의 1.5배 내지 2배의 사이로 설정된다.
이 구성의 가이드 프레임의 환상편에는 가이드 링이 장착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제1 취부편을 장대 손잡이 방향을 향하게 하는 것과 함께 제2 취부편을 장대 초리 방향을 향하게 하도록 하여, 가이드 프레임이 장대의 외주면에 장착된다. 제1 접점과 제2 접점을 지나는 가상선은, 장대의 축 방향을 따른다. 그 가상선과 환상편의 내주 가장자리와의 사이의 최단 거리인 제1 이간 거리는, 환상편의 내경의 1.5배 내지 2배의 사이로 설정되어 있다. 즉, 가이드 링이 장대로부터 경방향으로 크게 떨어져 있는 한편, 가이드 링의 내경은 작다. 환언하면, 다리가 길고 또한 소경(小徑)인 낚싯줄 가이드가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캐스트 시에 릴로부터 방출되는 나선상(螺旋狀)의 낚싯줄이 장대의 외주면에 접촉하기 어려워지고, 비거리를 늘릴 수 있고, 낚싯줄 가이드에 있어서의 라인 트러블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링이 소경이기 때문에, 낚싯줄 가이드를 경량화할 수 있다.
한편, 제2 지지편은, 장대의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만곡하고 있다. 그 때문에, 릴로부터 방출된 나선상의 낚싯줄이 가이드 링에 충돌하였을 때에, 낚싯줄 가이드가 장대 초리 측으로 크게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편이 장대의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만곡하고 있으면, 릴로부터 방출된 나선상의 낚싯줄이 가이드 링에 충돌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줄 가이드가 장대 초리 측으로 크게 휘기 쉽다. 그 휨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가이드 프레임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하는 등, 가이드 프레임의 강도를 올릴 필요가 생긴다. 그렇지만, 가이드 프레임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낚싯줄 가이드가 무거워지고, 낚싯대가 무거워진다. 이것에 대하여, 제2 지지편이 장대의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만곡하고 있으면, 낚싯줄 가이드의 중량 증가를 억제하면서 낚싯줄 가이드의 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낚싯줄 가이드의 강도와 경량화를 용이하게 양립시킬 수 있다. 이 가이드 프레임은, 특히 PE 라인을 사용한 낚시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과, 장대의 외주면에 취부되고, 가이드 링을 보지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한 낚싯줄 가이드에 있어서, 가이드 프레임은, 가이드 링을 보지하기 위한 환상편과, 장대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1 접점을 가지는 제1 취부편과, 제1 취부편과 장대의 축 방향으로 떨어지고, 장대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2 접점을 가지는 제2 취부편과, 환상편과 제1 취부편을 연결하는 제1 지지편과, 환상편과 제2 취부편을 연결하고, 장대의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만곡한 제2 지지편을 구비하고,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을 지나는 가상선과, 가이드 링의 내주 가장자리와의 사이의 최단이 되는 제2 이간 거리는, 가이드 링의 내경의 2배 내지 3배의 사이로 설정된다.
이 구성의 낚싯줄 가이드는, 예를 들어 제1 취부편을 장대 손잡이 방향을 향하게 하는 것과 함께 제2 취부편을 장대 초리 방향을 향하게 하도록 하여, 장대의 외주면에 장착된다. 제1 접점과 제2 접점을 지나는 가상선은, 장대의 축 방향을 따른다. 그 가상선과 가이드 링의 내주 가장자리와의 사이의 최단 거리인 제2 이간 거리는, 가이드 링의 내경의 2배 내지 3배의 사이로 설정되어 있다. 즉, 가이드 링이 장대로부터 경방향으로 크게 떨어져 있는 한편, 가이드 링의 내경은 작다. 환언하면, 다리가 길고 또한 소경인 낚싯줄 가이드가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캐스트 시에 릴로부터 방출되는 나선상의 낚싯줄이 장대의 외주면에 접촉하기 어려워지고, 비거리를 늘릴 수 있고, 낚싯줄 가이드에 있어서의 라인 트러블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링이 소경이기 때문에, 낚싯줄 가이드를 경량화할 수 있다.
한편, 제2 지지편은, 장대의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만곡하고 있다. 그 때문에, 릴로부터 방출된 나선상의 낚싯줄이 가이드 링에 충돌하였을 때에, 낚싯줄 가이드가 장대 초리 측으로 크게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편이 장대의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만곡하고 있으면, 릴로부터 방출된 나선상의 낚싯줄이 가이드 링에 충돌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줄 가이드가 장대 초리 측으로 크게 휘기 쉽다. 그 휨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가이드 프레임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하는 등, 가이드 프레임의 강도를 올릴 필요가 생긴다. 그렇지만, 가이드 프레임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낚싯줄 가이드가 무거워지고, 낚싯대가 무거워진다. 이것에 대하여, 제2 지지편이 장대의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만곡하고 있으면, 낚싯줄 가이드의 중량 증가를 억제하면서 낚싯줄 가이드의 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낚싯줄 가이드의 강도와 경량화를 용이하게 양립시킬 수 있다. 이 낚싯줄 가이드는, 특히 PE 라인을 사용한 낚시에 적합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의 낚싯줄 가이드에 비하여, 가이드 프레임의 비틀림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동(同) 가이드 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동 가이드 프레임의 정면도.
도 4는 동 가이드 프레임을 장대의 축 방향으로 본 도면.
도 5는 동 가이드 프레임의 평면도.
도 6은 동 가이드 프레임의 요부(要部) 전개도.
도 7은 동 낚싯줄 가이드를 장대의 외주면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사시도.
도 8은 동 낚싯줄 가이드가 장착된 낚싯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9는 동 낚싯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정면도.
도 10(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의 요부 사시도.
도 11(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의 요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줄 가이드의 사시도.
도 13은 종래의 낚싯줄 가이드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과, 그 가이드 프레임을 이용한 낚싯줄 가이드와, 그 낚싯줄 가이드가 장착된 낚싯대에 관하여, 도 1 ~ 도 9를 참작하면서 설명한다. 도 7과 같이, 낚싯줄 가이드(1)는, 낚싯대의 장대(4)의 외주면에 취부되는 가이드 프레임(2)과, 가이드 프레임(2)에 장착되고, 낚싯줄(5)을 직접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링(3)을 구비하고 있다. 낚싯줄 가이드(1)는, 장대(4)의 외주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낚싯줄 가이드(1)는, 릴이 취부 가능한 여러 가지의 낚싯대에 취부되어 사용되지만, 특히는 던질 낚시용의 낚싯대나 루어(1ure) 낚시용의 낚싯대에 적합하다. 또한, 후술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줄 가이드(1)는, 낚싯대에 취부되는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1) 중, 가장 장대 손잡이 방향에 위치하는 낚싯줄 가이드(1), 즉, 손잡이 가이드(1a)(버트 가이드(butt guide))에 적합하지만, 다른 위치에 취부되는 낚싯줄 가이드(1)에도 적용 가능하다.
덧붙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장대(4)의 축 방향(중심선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장대 초리 방향을 전(前)방향으로 하여 도면 중에 화살표 X2로 나타내고, 장대 손잡이 방향을 후(後)방향으로 하여 도면 중에 화살표 X1로 나타낸다. 또한, 장대(4)의 경방향 중, 장대(4)의 외주면으로부터 릴의 취부 방향을 향하여 경방향으로멀어지는 방향을 제1 경방향으로 하여 도면 중에 화살표 Z1로 나타내고, 그것과는 반대의 방향이고 장대(4)의 외주면에 접근하는 방향을 제2 경방향으로 하여 도면 중에 화살표 Z2로 나타낸다. 또한, 장대(4)의 둘레 방향이고, 제1 경방향 Z1 및 제2 경방향 Z2와 직교(교차)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여, 도면 중에 화살표 Y로 나타낸다.
<가이드 프레임(2)>
도 1 ~ 도 5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이드 프레임(2)을 도시하고 있다. 가이드 프레임(2)은, 금속제이고, 1매(枚)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즉, 가이드 프레임(2)은, 판금제의 일체형의 것이다. 따라서, 가이드 프레임(2)은,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프레임(2)은, 1매의 금속판을 소정 형상으로 펀칭(punching)하여, 소정 형상으로 펀칭된 평판상(平板狀)의 금속판을 절곡(折曲)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사용되는 금속판은 예를 들어 두께가 1mm 정도의 것이고, 판 두께 일정의 것이다. 재질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이나 티탄(티탄 합금)이다.
가이드 프레임(2)은, 환상편(10)과, 제1 지지편(11)과, 좌우 한 쌍의 암편(13)을 가지는 제2 지지편(12)과, 제1 취부편(14)과, 제2 취부편(15)을 구비하고 있다. 환상편(10)은, 가이드 링(3)을 보지한다. 제1 지지편(11)은, 환상편(10)과 제1 취부편(14)을 연결한다. 제2 지지편(12)은, 환상편(10)과 제2 취부편(15)을 연결한다. 제1 취부편(14)과 제2 취부편(15)은, 모두 장대(4)의 외주면에 취부된다.
<환상편(10)>
환상편(10)은, 링 장착 구멍(20)을 가진다. 링 장착 구멍(20)에, 가이드 링(3)이 장착된다. 링 장착 구멍(20)의 구멍 중심선(20a)은 가이드 링(3)의 중심선과 일치한다. 링 장착 구멍(20)의 구멍 중심선(20a)은 전후 방향을 따르고 있어도 무방하지만, 도 3과 같이, 전후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도 3에 있어서, 가상 중심선(20b)은, 링 장착 구멍(20)의 중심을 지나는 전후 방향의 직선이다. 전후 방향에 대한 링 장착 구멍(20)의 구멍 중심선(20a)의 제1 경사 각도 α1은, 링 장착 구멍(20)의 구멍 중심선(20a)이 전후 방향을 따르고 있는 경우를 0도로 하였을 때, 바람직하게는 0도를 넘고 20도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도를 넘고 5도 이하이고,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도 이상 5도 이하이다. 제1 경사 각도 α1은, 가상 중심선(20b)에 대한 링 장착 구멍(20)의 구멍 중심선(20a)의 각도이다. 덧붙여, 환상편(10)은, 평판상이어도 무방하지만, 링 장착 구멍(20)의 구멍 중심선(20a)의 방향을 따라 통상(筒狀)으로 드로잉(drawing) 가공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환상편(10)의 내주 가장자리(10a)는, 링 장착 구멍(20)의 벽면이다. 환상편(10)에 의하여 정의되는 제1 평면(10c)은, 장대(4)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2 평면(10d)에 대하여 전방향 X2를 향하여 소정 각도 경사하고 있다. 제2 평면(10d)에 대한 제1 평면(10c)의 제2 경사 각도 α2는, 제1 경사 각도 α1과 동일하다. 제1 경사 각도 α1 및 제2 경사 각도 α2는, 후술의 절곡 각도 θ와 관계하고 있다.
환상편(10)은, 제1 지지편(11)에 지지되는 제1 지지부(21)와, 좌우 한 쌍의 암편(13)에 각각 지지되는 좌우 한 쌍의 제2 지지부(22)를 가지고 있다. 제1 지지부(21)는, 환상편(10)의 전체 둘레 중, 가장 제2 경방향 Z2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즉, 제1 지지부(21)는, 환상편(10)의 전체 둘레 중, 가장 장대(4)의 외주면에 가까운 부분이다. 한 쌍의 제2 지지부(22)는, 서로 환상편(10)의 둘레 방향으로 이간하고 있다. 한 쌍의 제2 지지부(22)는 서로 좌우 대칭이다. 한 쌍의 제2 지지부(22)의 사이에, 제1 지지부(21)가 위치하고 있다. 한 쌍의 제2 지지부(22)는, 제1 지지부(21)보다도, 제1 경방향 Z1에 위치하고 있다. 즉, 한 쌍의 제2 지지부(22)는, 제1 지지부(21)보다도, 장대(4)의 외주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한 쌍의 제2 지지부(22)는, 환상편(10)의 중심(링 장착 구멍(20)의 중심)보다도, 제1 경방향 Z1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장대(4)의 외주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지지편(11)>
제1 지지편(11)은, 환상편(10)의 제1 지지부(21)로부터 제1 취부편(14)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1 지지편(11)은, 환상편(10)의 제1 지지부(21)로부터 제2 경방향 Z2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2 경방향 Z2 또한 후방향 X1로 경사하면서 연장되어 있다. 제1 지지편(11)은, 환상편(10)의 제1 지지부(21)와 제1 취부편(14)을 연결하고 있다. 제1 지지편(11)은, 만곡하고 있지 않는 평면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이드 링(3)과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지지편(11)에 있어서의 판 두께 방향은, 링 장착 구멍(20)의 구멍 중심선(20a)의 방향이다. 제1 지지편(11)은, 장대(4)의 외주면의 경방향을 따르고 있어도 무방하지만,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장대(4)의 경방향에 대하여 전방향 X2를 향하여 경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과 같이, 제1 지지편(11)은, 환상편(10)과 동일 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지지편(11)은, 제1 평면(10c)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지지편(11)은, 제2 평면(10d)에 대하여, 전방향 X2로 제2 경사 각도 α2로 경사하고 있다.
제1 지지편(11)을 링 장착 구멍(20)의 구멍 중심선(20a)의 방향(제1 지지편(11)의 판 두께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의 정면으로부터 볼 때의 형상은 여러 가지여도 무방하다. 제1 지지편(11)은, 제1 취부편(14)과 접속하는 제1 접속부(30)와, 환상편(10)과 접속하는 제2 접속부(31)를 가지고 있다.
제1 지지편(11)은, 제1 접속부(30)에 제1 확장부(32)를 가지고, 제2 접속부(31)에 제3 확장부(33)를 가지고, 제1 접속부(30)와 제2 접속부(31)와의 사이에 중간부(34)를 가지고 있다. 제1 확장부(32)는, 좌우 방향의 폭이 국소적으로 확장된 부분이다. 도 6에, 절곡되기 전의 평탄한 상태의 가이드 프레임(2)의 요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제1 지지편(11)과 제1 취부편(14)과의 사이의 절곡선(35)를 파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1 확장부(32)의 좌우 방향의 폭 W1은, 제1 취부편(14)을 향하여 서서히 넓어져 있다. 제1 확장부(32)의 좌우 방향의 폭 W1은, 제1 취부편(14)을 향하여, 직선상(直線狀)으로 넓어져 있어도 무방하고, 만곡하면서 넓어져 있어도 무방하다. 제1 확장부(32)는, 좌우 대칭 형상이다.
제1 확장부(32)의 좌우 방향의 폭 W1은, 중간부(34)의 좌우 방향의 폭 W2보다도 넓다. 중간부(34)는, 제1 지지편(11)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폭이 가장 좁은 부분이다. 중간부(34)는, 환상편(10)의 제1 지지부(21)와 제1 취부편(14)을 잇는 방향을 따라 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좌우 방향의 폭이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지지편(11)은, 제2 접속부(31)에, 제3 확장부(33)를 가지고 있다. 제3 확장부(33)는, 좌우 방향의 폭이 국소적으로 확장된 부분이다. 제3 확장부(33)의 좌우 방향의 폭은, 중간부(34)의 좌우 방향의 폭 W2보다도 넓다. 제3 확장부(33)의 좌우 방향의 폭은, 환상편(10)을 향하여 서서히 넓어져 있다. 제3 확장부(33)의 좌우 방향의 폭은, 환상편(10)을 향하여, 직선상으로 넓어져도 무방하고, 만곡하면서 넓어져 있어도 무방하다. 덧붙여, 제3 확장부(33)에,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도시하지 않는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도 무방하고, 제3 확장부(33)는, 환상편(10)을 향하여 V자 형상으로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제1 취부편(14)>
제1 취부편(14)은, 제1 지지편(11)의 제1 접속부(30)로부터 후방향 X1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1 취부편(14)은, 제1 지지편(11)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다. 제1 취부편(14)은, 제1 지지편(11)에 대하여 90도의 절곡 각도 θ로 절곡되어 있어도 무방하지만, 90도 미만의 절곡 각도 θ로 절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지지편(11)은, 제2 지지편(12) 및 제2 취부편(15)을 향하여 경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곡 각도 θ는, 바람직하게는 85도 이상 90도 미만이다. 덧붙여, 절곡 각도 θ가 예를 들어 85도인 경우, 제1 경사 각도 α1과 제2 경사 각도 α2는, 모두 5도가 된다.
제1 취부편(14)은, 전후 방향을 따라 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1 취부편(14)은, 제1 지지편(11)과 접속하는 제1 취부 단부(40)와, 제1 취부 단부(40)와 전후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취부 단부(41)를 가진다. 제1 취부 단부(40)는, 제1 취부편(14)에 있어서의 전방향 X2의 단부이고, 제2 취부 단부(41)는, 제1 취부편(14)에 있어서의 후방향 X1의 단부이다. 제2 취부 단부(41)는, 자유단(自由端)이다. 제1 취부편(14)은, 베이스부(43)와 제1 취부 단부(40)에 설치되고, 베이스부(43)보다도 좌우 방향의 폭이 넓은 제2 확장부(42)를 가지고 있다.
제2 확장부(42)는, 좌우 방향의 폭이 국소적으로 확장된 부분이다. 제2 확장부(42)의 좌우 방향의 폭 W3은, 제1 지지편(11)을 향하여 서서히 넓어져 있다. 제2 확장부(42)의 좌우 방향의 폭 W3은, 제1 취부편(14)을 향하여, 직선상으로 넓어져 있어도 무방하고, 만곡하면서 넓어져 있어도 무방하다. 제2 확장부(42)는, 좌우 대칭 형상이다.
제2 확장부(42)의 좌우 방향의 폭 W3은, 제1 확장부(32)의 좌우 방향의 폭 W1과 연속하고 있다. 제2 확장부(42)의 좌우 방향의 폭 W3(최대 폭)은, 제1 확장부(32)의 좌우 방향의 폭 W1(최대 폭)과 같다. 제2 확장부(42)의 좌우 방향의 폭 W3은, 베이스부(43)의 좌우 방향의 폭 W4보다도 넓다.
덧붙여, 제1 취부편(14)의 장대(4)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제1 대향면(14a)은, 장대(4)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좌우 방향을 따라 제1 경방향 Z1을 향하여 만곡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확장부(32)로부터 제2 확장부(42)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만곡하면서 연속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제1 대향면(14a)은, 장대(4)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1 접점(14b)을 가진다. 제1 접점(14b)은, 제1 대향면(14a)의 전후 방향을 따른 제1 중심선(14c) 상에 위치한다. 제1 중심선(14c)은, 제1 대향면(14a)의 폭을 이등분하는 직선이다.
<제2 지지편(12), 암편(13)>
암편(13)은, 환상편(10)의 제2 지지부(22)로부터 제2 취부편(15)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암편(13)은, 환상편(10)의 제2 지지부(22)와 제2 취부편(15)을 연결하고 있다. 암편(13)은, 제2 취부편(15)의 제3 취부 단부(60)와 접속하는 제3 접속부(50)와, 환상편(10)의 제2 지지부(22)와 접속하는 제4 접속부(51)를 가지고 있다. 좌우 한 쌍의 암편(13)은, 서로 좌우 방향으로 대칭 형상이다. 암편(13)은, 전체적으로, 환상편(10)의 제2 지지부(22)로부터 제2 경방향 Z2 또한 전방향 X2로 경사하면서 연장되어 있다. 암편(13)은, 환상편(10)의 제2 지지부(22)와 제2 취부편(15)의 제3 취부 단부(60)를 잇는 직선(52)에 대하여, 제1 경방향 Z1로 만곡하고 있다. 암편(13)은, 환상편(10)의 제2 지지부(22)로부터 전방향 X2를 향한 후, 제2 경방향 Z2를 향한다. 한 쌍의 암편(13)은, 제2 취부편(15)을 향하여, 서로 서서히 접근하여 간다. 암편(13)은, 제1 지지편(11)보다도 길다. 암편(13)은, 제1 지지편(11)보다도 가늘다.
<제2 취부편(15)>
제2 취부편(15)은, 제1 취부편(14)에 대하여 전방향 X2로 이간하고 있다. 제1 취부편(14)과 제2 취부편(15)을 잇는 방향이 전후 방향이다. 제1 취부편(14)은, 환상편(10)에 대하여 후방향 X1에 위치하고, 제2 취부편(15)은, 환상편(10)에 대하여 전방향 X2에 위치한다.
제2 취부편(15)은, 암편(13)의 제3 접속부(50)로부터 전방향 X2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2 취부편(15)은, 암편(13)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다. 제2 취부편(15)은, 전후 방향을 따라 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2 취부편(15)은, 한 쌍의 암편(13)과 접속하는 제3 취부 단부(60)와, 제3 취부 단부(60)와 전후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제4 취부 단부(61)를 가진다. 제3 취부 단부(60)는, 제1 취부편(14)에 있어서의 후방향 X1의 단부이고, 제4 취부 단부(61)는, 제1 취부편(14)에 있어서의 전방향 X2의 단부이다. 제4 취부 단부(61)는, 자유단이다. 제2 취부편(15)의 좌우 방향의 폭은 대략 일정한다. 덧붙여, 제2 취부편(15)의 장대(4)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제2 대향면(15a)은, 장대(4)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좌우 방향을 따라 제1 경방향 Z1을 향하여 만곡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대향면(15a)은, 장대(4)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2 접점(15b)을 가진다. 제2 접점(15b)은, 제2 대향면(15a)의 전후 방향을 따른 제2 중심선(15c) 상에 위치한다. 제2 중심선(15c)은, 제2 대향면(15a)의 폭을 이등분하는 직선이다.
<가이드 링(3)>
가이드 링(3)은, 대표적으로는 원형의 환상(環狀)이지만, 타원형이나 장원형 등이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링(3)은, 원형이다. 가이드 링(3)은 바람직하게는 접착에 의하여 환상편(10)에 취부된다. 가이드 링(3)은, 링 장착 구멍(20)에 전방향 X2를 향하여 삽입된다.
도 1 ~ 도 3, 도 5, 및 도 7에, 제1 접점(14b)과 제2 접점(15b)을 지나는 가상선(16)을 도시하고 있다. 가상선(16)은, 장대(4)의 축 방향을 따르고 있어, 장대(4)의 외주면에 위치한다. 가상선(16)과 환상편(10)의 내주 가장자리(10a)와의 사이의 최단 거리인 제1 이간 거리 L1은, 환상편(10)의 내경(10b)의 1.5배 내지 2배의 사이로 설정되어 있다. 제1 이간 거리 L1은, 바람직하게는, 환상편(10)의 내경(10b)의 1.7배이다. 제1 이간 거리 L1은, 환상편(10)의 내주 가장자리(10a) 중, 장대(4)에 가장 가까운, 즉, 제1 대향면(14a)에 가장 가까운 부분과, 제1 대향면(14a)과의 사이의 장대(4)의 경방향의 이간 거리이다. 또한, 가상선(16)과 가이드 링(3)의 내주 가장자리(3a)와의 사이의 최단 거리인 제2 이간 거리 L2는, 가이드 링(3)의 내경(3b)의 2배 내지 3배의 사이로 설정되어 있다. 제2 이간 거리 L2는,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링(3)의 내경(3b)의 2.4배이다. 제2 이간 거리 L2는, 가이드 링(3)의 내주 가장자리(3a) 중 장대(4)에 가장 가까운 부분과, 제1 대향면(14a)과의 사이의 장대(4)의 경방향의 이간 거리이다.
<취부 상태>
도 7과 같이, 낚싯줄 가이드(1)는, 장대(4)의 외주면에 취부 고정된다. 취부 방법은, 예를 들어 감기 줄과 접착제의 도포에 의한다. 낚싯줄 가이드(1)는, 제2 취부편(15)이 전방향 X2를 향하여, 제1 취부편(14)이 후방향 X1을 향하도록 하여, 장대(4)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낚싯줄 가이드(1)는, 전후 역방향으로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낚싯줄 가이드(1)가 장대(4)에 취부된 상태에 있어서, 가이드 링(3)은 전방향 X2로 제2 경사 각도 α2로 경사한 자세가 된다.
스피닝 릴(6)을 사용하는 경우, 통상(通常), 스피닝 릴(6)은 장대(4)에 대하여 하방향(下方向)에 위치하고, 낚싯줄 가이드(1)는 장대(4)의 하방향에 위치한다. 도시하지 않는 양 베어링 릴을 사용하는 경우, 통상, 양 베어링 릴은 장대(4)의 상방향(上方向)에 위치하고, 낚싯줄 가이드(1)는 장대(4)의 상방향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낚싯줄 가이드(1)는, 장대(4)에 대하여 릴과 같은 방향에 위치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줄 가이드(1)는, 스피닝 릴(6)을 사용하는 낚싯대에 적합하다.
도 8에 스피닝 릴(6)을 사용하는데 적합한 낚싯대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9에는, 도 8의 낚싯대에 스피닝 릴(6)을 취부한 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낚싯대는, 장대(4)와, 장대(4)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장착된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1)와, 스피닝 릴(6)을 장착하기 위한 릴 시트(7)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1)는, 가장 전방향 X2에 위치하는 톱 가이드(1b)와, 가장 후방향 X1에 위치하는 손잡이 가이드(1a)와, 톱 가이드(1b)와 손잡이 가이드(1a)의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중간 가이드(1c)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낚싯줄 가이드(1)는, 손잡이 가이드(1a)(버트 가이드)에 매우 호적(好適)하게 사용된다. 손잡이 가이드(1a)는,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1) 중 가장 후방향 X1에 위치하는 낚싯줄 가이드(1)이다.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1) 중, 적어도 손잡이 가이드(1a)에, 상술한 낚싯줄 가이드(1)가 사용된다. 상술한 낚싯줄 가이드(1)는, 톱 가이드(1b) 이외의 낚싯줄 가이드(1)에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취부편(14)의 제1 접속부(30)에 제1 확장부(32)가 국소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취부편(14)이 좌우 방향으로 비틀리기 어려워진다. 예를 들어, 낚싯줄 가이드(1)의 환상편(10)에 좌우 방향을 따라 큰 외력이 작용하여도, 제1 취부편(14)이 좌우 방향으로 변형하기 어렵다. 캐스트 시에는, 제1 취부편(14)이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낚싯줄(5)과 낚싯줄 가이드(1)와의 사이의 저항이 작아져 비거리가 향상된다. 나아가, 낚싯줄(5)의 대미지도 경감된다.
특히, 제2 지지편(12)보다도 짧은 제1 지지편(11)에 제1 확장부(3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줄 가이드(1)의 비틀림을 효율 좋게 방지할 수 있다. 제1 지지편(11)은, 환상편(10)의 제1 지지부(21)와 제1 취부편(14)을 연결하기 때문에, 제1 지지편(11)의 비틀림 강도를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고, 제1 지지편(11)이 길어졌다고 하여도, 낚싯줄 가이드(1)의 비틀림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제2 지지편(12)이 좌우 한 쌍의 암편(13)을 가지고 있으면, 환상편(10)을 한 쌍의 암편(13)에 의하여 안정되어 지지할 수 있고, 환상편(10)의 전후 방향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도 3과 같이, 암편(13)이 제1 경방향 Z1로 만곡하고 있으면, 환상편(10)의 후방향 X1로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암편(13)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2 지지부(22)가 링 장착 구멍(20)의 중심보다도 제1 경방향 Z1에 위치하고 있으면, 암편(13)에 의하여 환상편(10)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환상편(10)의 전후 방향의 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1 확장부(32)의 좌우 방향의 폭 W1이 중간부(34)의 좌우 방향의 폭 W2보다도 확장되어 있으면, 제1 지지편(11)의 중량 증가를 억제하면서 제1 확장부(32)에 의하여 제1 지지편(11)의 제1 접속부(30) 근방을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특히, 제1 확장부(32)의 좌우 방향의 둘레 방향의 폭 W1이 제1 취부편(14)을 향하여 서서히 넓어져 있으면, 제1 지지편(11)의 중량 증가를 억제하면서 제1 지지편(11)의 접속부 근방을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제1 취부편(14)의 제1 취부 단부(40)에 제2 확장부(42)가 설치되어 있으면, 제1 취부편(14)의 제1 취부 단부(4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확장부(32)로부터 제2 확장부(42)에 걸친 일체감이 향상된다. 그 때문에, 제1 취부편(14)이 보다 한층 비틀리기 어려워진다. 특히, 제2 확장부(42)가 제1 확장부(32)와 연속하고 있어, 제2 확장부(42)의 좌우 방향의 폭 W3이, 제1 확장부(32)의 좌우 방향의 폭 W1과 같으면, 제1 확장부(32)로부터 제2 확장부(42)에 걸친 일체감이 향상되고, 제1 취부편(14)이 보다 한층 비틀리기 어려워진다. 제2 확장부(42)의 좌우 방향의 폭 W3이 베이스부(43)의 좌우 방향의 폭 W4보다도 넓으면, 제2 확장부(42)를 통하여 제1 확장부(32)의 비틀림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제1 취부편(14)의 중량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제1 지지편(11)이 만곡하지 않는 평면이면, 제1 확장부(32)에 있어서의 줄 엉킴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편(11)은, 제1 취부편(14)에 대하여 굴곡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이간 거리 L1이 환상편(10)의 내경(10b)의 1.5배 내지 2배의 사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이간 거리 L2는, 가이드 링(3)의 내경(3b)의 2배 내지 3배의 사이로 설정되어 있다. 즉, 가이드 링(3)이 장대(4)로부터 제1 경방향 Z1로 크게 떨어져 있는 한편으로, 가이드 링(3)의 내경(3b)은 작다. 손잡이 가이드(1a)는, 다리가 길고 또한 소경이다. 캐스트 시에 릴(6)로부터 방출되는 낚싯줄(5)은, 나선상을 그리며 손잡이 가이드(1a)에 가까워진다. 제1 이간 거리 L1이 환상편(10)의 내경(10b)의 1.5배 내지 2배의 사이로 설정되고, 또한, 제2 이간 거리 L2가 가이드 링(3)의 내경(3b)의 2배 내지 3배의 사이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릴(6)로부터 방출된 나선상의 낚싯줄(5)이 장대(4)의 외주면에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비거리를 늘릴 수 있고, 손잡이 가이드(1a)에 있어서의 라인 트러블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가이드(1a)의 가이드 링(3)이 소경이기 때문에, 손잡이 가이드(1a)를 경량화할 수 있고, 낚싯대를 경량화할 수 있다.
한편, 제2 지지편(12)은, 장대(4)의 제1 경방향 Z1을 향하여 만곡하고 있다. 그 때문에, 릴(6)로부터 방출된 나선상의 낚싯줄(5)이 손잡이 가이드(1a)의 가이드 링(3)에 충돌하였을 때에, 손잡이 가이드(1a)가 전방향 X2로 크게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편(12)이 만일 장대(4)의 제2 경방향 Z2를 향하여 만곡하고 있으면, 릴(6)로부터 방출된 나선상의 낚싯줄(5)이 손잡이 가이드(1a)의 가이드 링(3)에 충돌하는 것에 의하여, 손잡이 가이드(1a)가 전방향 X2로 크게 휘기 쉽다. 그 휨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가이드 프레임(2)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하는 등, 가이드 프레임(2)의 강도를 올릴 필요가 생긴다. 그렇지만, 가이드 프레임(2)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손잡이 가이드(1a)가 무거워지고, 낚싯대가 무거워진다. 이것에 대하여, 제2 지지편(12)이 장대(4)의 제1 경방향 Z1을 향하여 만곡하고 있으면, 손잡이 가이드(1a)의 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손잡이 가이드(1a)의 중량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손잡이 가이드(1a)의 강도와 경량화를 용이하게 양립시킬 수 있다. 특히, PE 라인을 사용한 낚시에 적합하다.
덧붙여, 도 10(a)와 같이, 제1 취부편(14)에 제2 확장부(42)가 설치되지 않고, 제1 취부편(14)의 전체 길이에 걸쳐 폭이 일정한 베이스부(43)이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베이스부(43)의 좌우 방향의 폭 W4가 제1 취부편(14)의 좌우 방향의 폭 W5가 되고, 제1 취부편(14)의 좌우 방향의 폭 W5는, 제1 확장부(32)의 좌우 방향의 폭 W1보다도 좁아진다.
또한, 도 10(b)와 같이, 제1 확장부(32)가, 장대(4)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만곡한 만곡편(70)을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만곡편(70)의 장대(4)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제3 대향면(70a)(장대(4)의 외주면을 향하는 단면)을, 장대(4)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경방향 Z1을 향하여 만곡하고 있다. 그 때문에, 장대(4)의 외주면에 낚싯줄 가이드(1)를 취부하였을 때에, 만곡편(70)의 제3 대향면(70a)이 장대(4)의 외주면을 따르기 쉽고, 낚싯줄 가이드(1)를 안정되게 장대(4)의 외주면에 취부할 수 있다.
또한, 도 11(a)와 같이, 제1 취부편(14)의 좌우 방향의 폭 W5가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제1 확장부(32)의 좌우 방향의 폭 W1과 같아도 무방하다. 또한, 도 11(b)와 같이, 제1 확장부(32)가 전방향 X2를 향하여 굴곡한 굴곡편(80)을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굴곡편(80)은, 좌우 한 쌍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우 한 쌍의 굴곡편(80)은 서로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편(80)은, 제1 지지편(11)에 대하여, 전방향 X2를 향하여 90도 미만의 굴곡 각도로 굴곡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굴곡 각도는 45도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굴곡편(80)이 제1 지지편(11)에 대하여 전방향 X2에 경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굴곡편(80)에 의하여 제1 지지편(11)의 비틀림이 억제되는 것과 함께, 굴곡편(80)이 버팀목으로서 기능하여 제1 지지편(11)의 전방향 X2로의 휨을 억제한다.
덧붙여, 도 12와 같이, 제2 취부편(15)은, 한 쌍의 암편(13)이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암 연장부(90)를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좌우 한 쌍의 암 연장부(90)끼리가 좌우 방향으로 접합 일체화되는 것에 의하여, 제2 취부편(15)이 형성된다. 덧붙여, 한 쌍의 암 연장부(90)는, 제4 취부 단부(61)에 있어서 서로 연속하고 있고 또한 되접어 꺾여 있다.
1: 낚싯줄 가이드
1a: 손잡이 가이드
1b: 톱 가이드
1c: 중간 가이드
2: 가이드 프레임
3: 가이드 링
3a: 내주 가장자리
3b: 내경
4: 장대
5: 낚싯줄
6: 스피닝 릴
7: 릴 시트
10: 환상편
10a: 내주 가장자리
10b: 내경
11: 제1 지지편
12: 제2 지지편
13: 암편
14: 제1 취부편
14a: 제1 대향면
14b: 제1 접점
14c: 제1 중심선
15: 제2 취부편
15a: 제2 대향면
15b: 제2 접점
15c: 제2 중심선
16: 가상선
20: 링 장착 구멍
20a: 구멍 중심선
21: 제1 지지부
22: 제2 지지부
30: 제1 접속부
31: 제2 접속부
32: 제1 확장부
33: 제3 확장부
34: 중간부
35: 절곡선
40: 제1 취부 단부
41: 제2 취부 단부
42: 제2 확장부
43: 베이스부
50: 제3 접속부
51: 제4 접속부
52: 직선
60: 제3 취부 단부
61: 제4 취부 단부
70: 만곡편
70a: 제3 대향면
80: 굴곡편
90: 암 연장부
X1: 후방향(축 방향)
X2: 전방향(축 방향)
Y: 좌우 방향(장대의 둘레 방향)
Z1: 제1 경방향
Z2: 제2 경방향
α1: 제1 경사 각도
α2: 제2 경사 각도
θ: 절곡 각도
W1: 제1 확장부의 좌우 방향의 폭
W2: 중간부의 좌우 방향의 폭
W3: 제2 확장부의 좌우 방향의 폭
W4: 베이스부의 좌우 방향의 폭
W5: 제1 취부편의 좌우 방향의 폭
L1: 제1 이간 거리
L2: 제2 이간 거리

Claims (14)

  1. 장대의 외주면(外周面)에 취부(取付)되고,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을 보지(保持)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을 보지하기 위한 환상편(環狀片)과,
    상기 장대의 외주면에 취부되는 제1 취부편과,
    상기 제1 취부편과 상기 장대의 축 방향으로 이간(離間)하여, 상기 장대의 외주면에 취부되는 제2 취부편과,
    상기 환상편과 상기 제1 취부편을 연결하는 제1 지지편과,
    상기 환상편과 상기 제2 취부편을 연결하는 제2 지지편
    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편은, 상기 제1 취부편과 접속하는 제1 접속부에, 상기 장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확장된 제1 확장부를 가지고 있는,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편은, 상기 제2 지지편보다도 짧은,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편은, 상기 환상편에 있어서의 장대의 외주면과 가장 가까운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취부편을 연결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편은,
    상기 환상편과 접속하는 제2 접속부와,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와의 사이에 설치된 중간부
    를 가지고,
    상기 제1 확장부는, 상기 중간부에 있어서의 상기 장대의 둘레 방향의 폭보다도 확장되어 있는,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장부에 있어서의 상기 장대의 둘레 방향의 폭은, 상기 제1 취부편을 향하여 서서히 넓어지는,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취부편은, 상기 제1 지지편과 접속하는 제1 취부 단부(端部)에, 상기 장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확장된 제2 확장부를 가지고 있는,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장부는, 상기 제1 확장부와 연속하고, 상기 장대의 둘레 방향의 폭이 같은,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장부는, 상기 장대의 둘레 방향으로 만곡(彎曲)한 만곡편을 가지고 있는,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장부는, 상기 장대의 축 방향을 향하여 굴곡한 굴곡편을 가지고 있는,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편은, 상기 환상편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으로 이간한 한 쌍의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취부편을 연결하는, 한 쌍의 암(arm)편을 가지고 있는,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환상편에 장착된 가이드 링을 구비한, 낚싯줄 가이드.
  12.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가 장대의 외주면에 장착된 낚싯대에 있어서,
    제11항에 기재된 낚싯줄 가이드가, 상기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 중 가장 장대 손잡이 방향에 위치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위치에, 상기 제1 취부편을 장대 손잡이 방향을 향하게 하여 장착된, 낚싯대.
  13. 장대의 외주면에 취부되고,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을 보지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을 보지하기 위한 환상편과,
    상기 장대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1 접점을 가지는 제1 취부편과,
    상기 제1 취부편과 상기 장대의 축 방향으로 떨어지고, 상기 장대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2 접점을 가지는 제2 취부편과,
    상기 환상편과 상기 제1 취부편을 연결하는 제1 지지편과,
    상기 환상편과 상기 제2 취부편을 연결하고, 상기 장대의 경(徑)방향 외측을 향하여 만곡한 제2 지지편
    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점 및 상기 제2 접점을 지나는 가상선과, 상기 환상편의 내주 가장자리와의 사이의 최단이 되는 제1 이간 거리는, 상기 환상편의 내경(內徑)의 1.5배 내지 2배의 사이로 설정되는,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14.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과, 장대의 외주면에 취부되고, 상기 가이드 링을 보지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한 낚싯줄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링을 보지하기 위한 환상편과,
    상기 장대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1 접점을 가지는 제1 취부편과,
    상기 제1 취부편과 상기 장대의 축 방향으로 떨어지고, 상기 장대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2 접점을 가지는 제2 취부편과,
    상기 환상편과 상기 제1 취부편을 연결하는 제1 지지편과,
    상기 환상편과 상기 제2 취부편을 연결하고, 상기 장대의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만곡한 제2 지지편
    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점 및 상기 제2 접점을 지나는 가상선과, 상기 가이드 링의 내주 가장자리와의 사이의 최단이 되는 제2 이간 거리는, 상기 가이드 링의 내경의 2배 내지 3배의 사이로 설정되는, 낚싯줄 가이드.
KR1020220061690A 2021-07-06 2022-05-19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 KR202300079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12123 2021-07-06
JPJP-P-2021-112123 2021-07-06
JPJP-P-2022-037101 2022-03-10
JP2022037101A JP2023008795A (ja) 2021-07-06 2022-03-10 釣糸ガイドのガイドフレーム及び釣糸ガイド並びに釣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932A true KR20230007932A (ko) 2023-01-13

Family

ID=8477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690A KR20230007932A (ko) 2021-07-06 2022-05-19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007932A (ko)
CN (1) CN115581222A (ko)
TW (1) TW20230429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0738B2 (ja) 1980-12-23 1984-10-02 東京化工機株式会社 コンベ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0738B2 (ja) 1980-12-23 1984-10-02 東京化工機株式会社 コンベ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04299A (zh) 2023-02-01
CN115581222A (zh)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3455B2 (ja) 釣糸ガイド、釣竿、及び、ガイドフレーム
JP6527057B2 (ja) 釣糸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ガイドフレーム
JP6619991B2 (ja) 釣糸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鍛造ガイドフレーム
JP7190958B2 (ja) 釣糸ガイドのガイドフレーム及び釣糸ガイド並びに釣竿
JP6389281B2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KR20230007932A (ko)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
JP6553456B2 (ja) 釣糸ガイド、釣竿、及び、ガイドリング
JP5982258B2 (ja) 釣竿
JP2023008795A (ja) 釣糸ガイドのガイドフレーム及び釣糸ガイド並びに釣竿
JP7169932B2 (ja) 釣糸ガイドのガイドフレーム及び釣糸ガイド並びに釣竿
JP2017029074A (ja) トップ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ガイドフレーム
CN116806785A (zh) 钓线引导件及钓竿
CN111820199B (zh) 钓线导向装置的导向框、钓线导向装置及钓竿
JP2023156221A (ja) 釣糸ガイドのガイドフレーム及び釣糸ガイド並びに釣竿
JPH10136839A (ja) 釣竿用導糸環
JP6408809B2 (ja) 釣糸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ガイドリング
CN116897899A (zh) 钓线引导件的引导件框及钓线引导件以及钓竿
JP6131314B2 (ja) 釣竿
KR20240036444A (ko)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
JP7119156B1 (ja) 釣り竿
JPH10136842A (ja) 釣竿用導糸環
KR100257726B1 (ko) 낚싯대용 도사환
JP2021050761A (ja) サスペンションブッシ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