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7911A - 반도체 소자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7911A
KR20200087911A KR1020190003845A KR20190003845A KR20200087911A KR 20200087911 A KR20200087911 A KR 20200087911A KR 1020190003845 A KR1020190003845 A KR 1020190003845A KR 20190003845 A KR20190003845 A KR 20190003845A KR 20200087911 A KR20200087911 A KR 20200087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line
semiconductor pattern
conductive lines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4712B1 (ko
Inventor
김희중
조민희
김준수
안태현
우동수
황유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3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712B1/ko
Priority to CN201911035132.7A priority patent/CN111435660B/zh
Priority to US16/732,925 priority patent/US11195836B2/en
Publication of KR20200087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37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the capacitor being at least partially in a trench in the substrate
    • H10B12/373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the capacitor being at least partially in a trench in the substrate the capacitor extending under or around the transistor
    • H01L27/10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87Structure
    • H01L21/0259Microstructure
    • H01L21/02603Nano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742Thin film unipolar transis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 H10B12/038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the capacitor being in a trench in the substrate
    • H10B12/0385Making a connection between the transistor and the capacitor, e.g. buried strap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5Making the transis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31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having a storage electrode stacked over the transis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5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 H01L29/0665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the shape of the body defining a nanostructure
    • H01L29/0669Nanowires or nanotubes
    • H01L29/0673Nanowires or nanotubes oriented parallel to a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84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for thin film field effect transistors, e.g. characterised by the thickness or the shape of the insulator or the dimensions, the shape or the lay-out of the conductor
    • H01L29/4239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for thin film field effect transistors, e.g. characterised by the thickness or the shape of the insulator or the dimensions, the shape or the lay-out of the conductor fully surrounding the channel, e.g. gate-all-arou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5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one 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quantum wire 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9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channel, e.g. multichannel, transverse or longitudinal shape, length or width, doping structure, or the overlap or alignment between the channel and the gate, the source or the drain, or the contacting structure of the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수직하게 적층된 복수개의 층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 상기 제1 반도체 패턴의 일 측에 인접하고, 상기 적층 구조체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1 워드 라인; 상기 제2 반도체 패턴의 제1 단에 연결되고, 상기 적층 구조체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2 비트 라인; 및 상기 제2 반도체 패턴의 상기 제1 단의 반대편의 제2 단에 연결되고, 상기 적층 구조체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2 워드 라인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집적도가 향상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가 요구하는 우수한 성능 및 저렴한 가격을 충족시키기 위해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반도체 소자의 경우, 그 집적도는 제품의 가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특히 증가된 집적도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2차원 또는 평면적 반도체 소자의 경우, 그 집적도는 단위 메모리 셀이 점유하는 면적에 의해 주로 결정되기 때문에, 미세 패턴 형성 기술의 수준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패턴의 미세화를 위해서는 초고가의 장비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2차원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는 증가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제한적이다. 이에 따라, 3차원적으로 배열되는 메모리 셀들을 구비하는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집적도가 향상된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수직하게 적층된 복수개의 층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 상기 복수개의 층들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비트 라인 및 게이트 라인, 상기 제1 비트 라인 및 상기 게이트 라인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반도체 패턴, 및 제1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게이트 라인과 인접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반도체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반도체 패턴의 일 측에 인접하고, 상기 적층 구조체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1 워드 라인; 상기 제2 반도체 패턴의 제1 단에 연결되고, 상기 적층 구조체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2 비트 라인; 및 상기 제2 반도체 패턴의 상기 제1 단의 반대편의 제2 단에 연결되고, 상기 적층 구조체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2 워드 라인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수직하게 적층된 복수개의 층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 상기 복수개의 층들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비트 라인 및 게이트 라인, 상기 제1 비트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반도체 패턴, 및 상기 게이트 라인과 제1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제2 반도체 패턴을 포함하고; 제2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반도체 패턴의 일 측에 인접하고, 상기 적층 구조체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1 워드 라인; 상기 적층 구조체를 수직하게 관통하며, 상기 제1 반도체 패턴과 유전막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캐패시터 전극; 상기 제2 반도체 패턴의 제1 단에 연결되고, 상기 적층 구조체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2 비트 라인; 및 상기 제2 반도체 패턴의 제1 단의 반대편의 제2 단에 연결되고, 상기 적층 구조체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2 워드 라인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수직하게 적층된 복수개의 층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 상기 복수개의 층들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도전 라인 및 제2 도전 라인, 상기 제1 및 제2 도전 라인들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반도체 패턴, 및 상기 제2 도전 라인과 제1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제2 반도체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도전 라인들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적층 구조체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3 도전 라인; 및 상기 제2 및 제3 도전 라인들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적층 구조체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캐패시터 전극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이 3차원적으로 기판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이로써, 메모리 소자의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100K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극저온 컴퓨팅(Cryogenic Computing)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3b, 3c, 3d, 3e, 3f 및 3g는 도 3a의 A-A'선, B-B'선, C-C'선, D-D'선, E-E'선 및 F-F'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4a, 5a, 6a, 7a, 8a, 9a, 10a 및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4b, 5b, 6b, 7b, 8b, 9b, 10b 및 11b는 각각 도 4a, 5a, 6a, 7a, 8a, 9a, 10a 및 11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5c, 6c, 7c, 8c, 9c, 10c 및 11c는 각각 도 5a, 6a, 7a, 8a, 9a, 10a 및 11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7d, 8d, 9d, 10d 및 11d는 각각 도 7a, 8a, 9a, 10a 및 11a의 C-C'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8e, 9e, 10e 및 11e는 각각 도 7a, 8a, 9a, 10a 및 11a의 D-D'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8f, 9f, 10f 및 11f는 각각 도 7a, 8a, 9a, 10a 및 11a의 E-E'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0g 및 11g는 각각 도 10a 및 11a의 F-F'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12b, 12c, 12d 및 12e는 도 12a의 A-A'선, B-B'선, C-C'선 및 D-D'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2개의 트랜지스터들 및 하나의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2T1C DRAM (2transistor 1 capacitor DRAM)일 수 있다. 2개의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들에서, 제1 트랜지스터는 쓰기 트랜지스터일 수 있고, 제2 트랜지스터는 읽기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드레인)는 제1 비트 라인과 연결될 수 있고, 제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제1 워드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의 소스(또는 드레인)는 제2 비트 라인과 연결될 수 있고,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소스)는 제2 워드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또는 소스)는 스토리지 노드를 통하여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연결될 수 있다. 캐패시터는 스토리지 노드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셀 어레이는 적층 구조체(SS)를 포함할 수 있다. 적층 구조체(SS)는 기판(10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기판(100)은 단결정 실리콘 기판, 단결정 게르마늄 기판, 또는 단결정 실리콘-게르마늄 기판일 수 있다.
적층 구조체(SS)는 복수개의 제1 도전 라인들(CL1), 복수개의 제2 도전 라인들(CL2), 복수개의 제1 반도체 패턴들(SP1), 복수개의 제3 도전 라인들(CL3), 복수개의 제4 도전 라인들(CL4), 복수개의 제2 반도체 패턴들(SP2) 및 복수개의 제5 도전 라인들(CL5)을 포함할 수 있다.
적층 구조체(SS)는 제1 내지 제5 층들(L1, L2, L3, L4, L5)을 포함할 수 있다. 적층 구조체(SS)의 제1 내지 제5 층들(L1, L2, L3, L4, L5)은 수직한 방향(즉, 제3 방향(D3))으로 서로 이격되어 적층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층들(L1, L2, L3, L4, L5) 각각은 복수개의 제1 반도체 패턴들(SP1), 복수개의 제2 반도체 패턴들(SP2), 하나의 제1 도전 라인(CL1) 및 하나의 제4 도전 라인(CL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층들(L1, L2, L3, L4, L5) 중 대표적으로 제1 층(L1)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면, 제1 층(L1)의 제1 반도체 패턴들(SP1)은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제1 층(L1)의 제1 반도체 패턴들(SP1)은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층(L1)의 제1 반도체 패턴들(SP1)은 서로 동일한 제1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층(L1)의 제1 반도체 패턴들(SP1)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반도체 물질은 실리콘, 게르마늄, 실리콘-게르마늄 또는 IGZO(Indium Gallium Zinc Oxide)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1 층(L1)의 제1 반도체 패턴들(SP1) 각각은 불순물 영역들 및 상기 불순물 영역들 사이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L1)의 제1 반도체 패턴들(SP1)은 2T1C DRAM의 제1 트랜지스터의 반도체 패턴들일 수 있다.
제1 층(L1)의 제1 도전 라인(CL1)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층(L1)의 제1 도전 라인(CL1)은 제1 층(L1)의 비트 컨택들(BC)을 통해 제1 층(L1)의 제1 반도체 패턴들(SP1)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층(L1)의 제1 도전 라인(CL1)은 상기 제1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층(L1)의 제1 도전 라인(CL1)은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전 물질은 도핑된 반도체 물질(도핑된 실리콘, 도핑된 게르마늄 등), 도전성 금속질화물(질화티타늄, 질화탄탈륨 등), 금속(텅스텐, 티타늄, 탄탈륨 등), 및 금속-반도체 화합물(텅스텐 실리사이드, 코발트 실리사이드, 티타늄 실리사이드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 층(L1)의 제1 도전 라인(CL1)은 2T1C DRAM의 제1 비트 라인일 수 있다.
제1 층(L1)의 제2 반도체 패턴들(SP2)은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제1 층(L1)의 제2 반도체 패턴들(SP2)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층(L1)의 제2 반도체 패턴들(SP2)은 상기 제1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층(L1)의 제2 반도체 패턴들(SP2)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L1)의 제2 반도체 패턴들(SP2) 각각은 불순물 영역들 및 상기 불순물 영역들 사이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L1)의 제2 반도체 패턴들(SP2)은 2T1C DRAM의 제2 트랜지스터의 반도체 패턴들일 수 있다.
제1 층(L1)의 제4 도전 라인(CL4)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층(L1)의 제4 도전 라인(CL4)은 제1 층(L1)의 드레인 컨택들(DC)을 통해 제1 층(L1)의 제1 반도체 패턴들(SP1)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층(L1)의 제4 상기 제1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층(L1)의 제4 도전 라인(CL4)은 제1 층(L1)의 제1 및 제2 반도체 패턴들(SP1, SP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층(L1)의 제4 도전 라인(CL4)은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L1)의 제4 도전 라인(CL4)은 2T1C DRAM의 게이트 라인일 수 있다.
다시 적층 구조체(SS)를 전체적으로 설명하면, 하나의 적층 구조체(SS) 내의 제1 반도체 패턴들(SP1)은 수직한 방향(즉, 제3 방향(D3))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하나의 적층 구조체(SS) 내의 제2 반도체 패턴들(SP2)은 수직한 방향(즉, 제3 방향(D3))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하나의 적층 구조체(SS) 내의 제1 도전 라인들(CL1)은 수직한 방향(즉, 제3 방향(D3))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하나의 적층 구조체(SS) 내의 제4 도전 라인들(CL4) 수직한 방향(즉, 제3 방향(D3))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도전 라인들(CL2)은 수직한 방향(즉, 제3 방향(D3))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도전 라인들(CL2)은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도전 라인들(CL2)이 제1 반도체 패턴들(SP1)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제1 방향(D1)으로 이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2 도전 라인들(CL2)은 제1 반도체 패턴들(SP1)의 워드 라인들일 수 있다. 제2 도전 라인들(CL2)은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전 라인들(CL2)은 2T1C DRAM의 제1 워드 라인일 수 있다.
제3 도전 라인들(CL3)은 수직한 방향(즉, 제3 방향(D3))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3 도전 라인들(CL3)은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 도전 라인들(CL3)이 드레인 컨택들(DC)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제1 방향(D1)으로 이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3 도전 라인들(CL3)은 금속 물질, 금속 질화막 및 금속 실리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도전 라인들(CL3)은 코발트, 티타늄, 니켈, 텅스텐 및 몰리브덴과 같은 고융점 금속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도전 라인들(CL3)은 티타늄 질화막, 티타늄 실리콘 질화막, 티타늄 알루미늄 질화막, 탄탈륨 질화막, 탄탈륨 실리콘 질화막, 탄탈륨 알루미늄 질화막 및 텅스텐 질화막과 같은 금속 질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도전 라인들(CL3)은 백금(Pt), 루테늄(Ru) 및 이리듐(Ir)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귀금속(Noble Metal)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도전 라인들(CL3)은 PtO, RuO2, 및 IrO2 와 같은 귀금속 전도성 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도전 라인들(CL3)은 SRO(SrRuO3), BSRO((Ba,Sr)RuO3), CRO(CaRuO3), LSCo와 같은 전도성 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도전 라인들(CL3)은 2T1C DRAM의 캐패시터 전극일 수 있다. 제3 도전 라인(CL3)과 드레인 컨택(DC) 사이에 유전막(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
제5 도전 라인들(CL5)은 수직한 방향(즉, 제3 방향(D3))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5 도전 라인들(CL5)은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5 도전 라인들(CL5)이 제2 반도체 패턴들(SP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제1 방향(D1)으로 이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5 도전 라인들(CL5)은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5 도전 라인들(CL5) 중 하나는 2T1C DRAM의 제2 비트 라인일 수 있다. 한 쌍의 제5 도전 라인들(CL5) 중 다른 하나는 2T1C DRAM의 제2 워드 라인일 수 있다. 상기 제2 비트 라인은 제2 반도체 패턴(SP2)의 제1 단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워드 라인은 제2 반도체 패턴(SP2)의 제1 단의 반대편의 제2 단에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제1 도전 라인(CL1)과 2개의 제2 도전 라인들(CL2) 사이에 하나의 제1 반도체 패턴(SP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반도체 패턴(SP1)과 제2 도전 라인(CL2) 사이에 제1 게이트 절연막(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 하나의 제4 도전 라인(CL4)과 2개의 제5 도전 라인(CL5) 사이에 하나의 제2 반도체 패턴(SP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턴(SP2)과 제4 도전 라인(CL4) 사이에 제2 게이트 절연막(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
기판(100) 상에, 적층 구조체(SS)의 일 측면을 따라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공통 소스 라인(CSL)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반도체 패턴들(SP1)의 일 단들은 비트 컨택들(BC) 및 제1 도전 라인들(CL1)을 통해 공통 소스 라인(CSL)에 접속될 수 있다. 공통 소스 라인(CSL)은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적층 구조체(SS)의 내의 빈 공간들은 절연 물질로 채워져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 물질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및 실리콘 산화질화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복수개의 적층 구조체들(SS)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적층 구조체들(SS)은 제2 방향(D2)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 쌍의 적층 구조체들(SS)은 공통 소스 라인(CSL)을 사이에 두고 서로 거울 대칭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셀 어레이는 적층 구조체(SS)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체(SS)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체(SS)에서 제3 도전 라인들(CL3)이 생략된 것일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3b, 3c, 3d, 3e, 3f 및 3g는 도 3a의 A-A'선, B-B'선, C-C'선, D-D'선, E-E'선 및 F-F'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3b, 3c, 3d, 3e, 3f 및 3g를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복수개의 적층 구조체들(SS1, SS2)이 제공될 수 있다. 적층 구조체들(SS1, SS2)은 제1 적층 구조체(SS1) 및 제2 적층 구조체(SS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적층 구조체들(SS1, SS2)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적층 구조체들(SS1, SS2)은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적층 구조체들(SS1, SS2) 각각의 양 측에 공통 소스 라인들(CSL)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적층 구조체들(SS1, SS2) 사이에 하나의 공통 소스 라인(CSL)이 개재될 수 있다. 공통 소스 라인들(CSL)은 제1 및 제2 적층 구조체들(SS1, SS2)을 따라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적층 구조체들(SS1, SS2) 각각은, 기판(10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내지 제4 층들(L1, L2, L3, L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층들(L1, L2, L3, L4) 각각은 제1 절연막(ILD1), 반도체막(SL) 및 제2 절연막(ILD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막(ILD1), 반도체막(SL) 및 제2 절연막(ILD2)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제1 절연막(ILD1) 및 제2 절연막(ILD2)은, 이들 사이의 반도체막(SL)을 다른 반도체막(SL)과 수직적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층들(L1, L2, L3, L4) 각각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제1 도전 라인(CL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층들(L1, L2, L3, L4) 각각은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제1 도전 라인들(CL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 라인(CL1)은 반도체막(SL)과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도전 라인(CL1)은 제1 및 제2 절연막들(ILD1, ILD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도전 라인(CL1)은 공통 소스 라인(CSL)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층들(L1, L2, L3, L4) 각각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제4 도전 라인(CL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층들(L1, L2, L3, L4) 각각은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제4 도전 라인들(CL4)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도전 라인(CL4)은 반도체막(SL)과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도전 라인(CL4)은 제1 및 제2 절연막들(ILD1, ILD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적층 구조체(SS1)의 제1 층(L1)의 2개의 제4 도전 라인들(CL4)은 제1 적층 구조체(SS1)의 제1 층(L1)의 2개의 제1 도전 라인들(CL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막(SL)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막(ILD1) 및 제2 절연막(ILD2)은 서로 다른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막(ILD1) 및 제2 절연막(ILD2)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질화막, 탄소 함유 실리콘 산화막, 탄소 함유 실리콘 질화막 및 탄소 함유 실리콘 산화질화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각각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절연막(ILD1)은 탄소 함유 실리콘 산화막(SiOC)일 수 있고, 제2 절연막(ILD2)은 실리콘 질화막(SiN)일 수 있다.
각각의 제1 및 제2 적층 구조체들(SS1, SS2)에 있어서, 제2 층(L2) 및 제3 층(L3) 각각의 일 단은 제4 층(L4)의 일 단에 비해 제1 방향(D1)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제2 층(L2)의 일 단과 제3 층(L3)의 일 단은 서로 수직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제1 층(L1)의 일 단은 제2 층(L2) 및 제3 층(L3) 각각의 일 단에 비해 제1 방향(D1)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제1 층(L1) 및 제2 층(L2) 각각의 타 단은 제3 층(L3) 및 제4 층(L4) 각각의 타 단에 비해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제1 층(L1)의 타 단과 제2 층(L2)의 타 단은 서로 수직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제3 층(L3)의 타 단과 제4 층(L4)의 타 단은 서로 수직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적층 구조체들(SS1, SS2) 각각을 관통하는 제1 홀(HO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반도체막들(SL)은 제1 홀(HO1)에 의해 정의된 제1 반도체 패턴들(SP1)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반도체 패턴들(SP1)은 제1 채널(CH1), 제1 불순물 영역(SD1) 및 제2 불순물 영역(SD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채널(CH1)은 제1 및 제2 불순물 영역들(SD1, SD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1 반도체 패턴들(SP1)은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반도체 패턴들(SP1)은 비트 컨택(BC)을 통해 제1 도전 라인(CL1)과 연결될 수 있다. 비트 컨택(BC)은 제1 홀들(HO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비트 컨택(BC)은 제1 및 제2 절연막들(ILD1, ILD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반도체 패턴들(SP1)은 드레인 컨택(DC)을 통해 제4 도전 라인(CL4)과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컨택(DC)은 제1 홀들(HO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 컨택(DC)은 제1 및 제2 절연막들(ILD1, ILD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적층 구조체(SS1, SS2)를 관통하는 제1 홀(HO1) 내에 수직하게(즉, 제3 방향(D3)) 연장되는 제2 도전 라인들(CL2)이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도전 라인들(CL2)이 각각의 제1 및 제2 적층 구조체들(SS1, SS2)을 관통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반도체 패턴들(SP) 양 측에 한 쌍의 제2 도전 라인들(CL2)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한 쌍의 제2 도전 라인들(CL2)은 하나의 워드 라인을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한 쌍의 제2 도전 라인들(CL2) 중 하나는 워드 라인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백 게이트일 수 있다.
적층 구조체(SS1, SS2)를 관통하는 제1 홀(HO1) 내에 수직하게(즉, 제3 방향(D3)) 연장되는 제3 도전 라인들(CL3)이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3 도전 라인들(CL3)이 각각의 제1 및 제2 적층 구조체들(SS1, SS2)을 관통할 수 있다. 각각의 드레인 컨택(DC) 양 측에 한 쌍의 제3 도전 라인들(CL3)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한 쌍의 제3 도전 라인들(CL3)은 캐패시터 전극들일 수 있다.
각각의 제1 홀들(HO1)에 의해 노출되는 적층 구조체(SS1, SS2)의 내측벽 상에 게이트 절연막(GI)이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반도체 패턴들(SP1)과 각각의 제2 도전 라인들(CL2) 사이에 게이트 절연막(GI)이 개재될 수 있다. 제1 반도체 패턴(SP1)과 제2 도전 라인(CL2) 사이의 게이트 절연막(GI)이 제1 게이트 절연막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드레인 컨택들(DC)과 각각의 제3 도전 라인들(CL3) 사이에 게이트 절연막(GI)이 개재될 수 있다. 드레인 컨택(DC)과 제3 도전 라인(CL3) 사이의 게이트 절연막(GI)이 유전막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홀들(HO1) 내에 제2 및 제3 도전 라인들(CL2, CL3)을 덮는 수직 절연 패턴들(VIP)이 제공될 수 있다. 수직 절연 패턴(VIP)은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제2 도전 라인들(CL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수직 절연 패턴(VIP)은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제3 도전 라인들(CL3)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수직 절연 패턴(VIP)은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제1 반도체 패턴들(SP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수직 절연 패턴(VIP)은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비트 컨택들(BC)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수직 절연 패턴(VIP)은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드레인 컨택들(DC)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수직 절연 패턴(VIP)은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절연 패턴들(VIP)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및 실리콘 산화질화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적층 구조체들(SS1, SS2) 각각을 관통하는 제2 홀(HO2) 및 제3 홀(HO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평면적 관점에서, 제3 홀(HO3)은 인접하는 제2 홀들(HO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반도체막들(SL)은 제2 홀(HO2) 및 제3 홀(HO3)에 의해 정의된 제2 반도체 패턴들(SP2)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2 반도체 패턴들(SP2)은 제2 채널(CH2), 제3 불순물 영역(SD3) 및 제4 불순물 영역(SD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채널(CH2)은 제3 및 제4 불순물 영역들(SD3, SD4)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턴들(SP2)은 게이트 절연막(GI)을 사이에 두고 제4 도전 라인(CL4)과 제2 방향(D2)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턴(SP2)과 제4 도전 라인(CL4) 사이의 게이트 절연막(GI)이 제2 게이트 절연막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턴들(SP2)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적층 구조체(SS1, SS2)를 관통하는 제2 홀(HO2) 내에 수직하게(즉, 제3 방향(D3)) 연장되는 제5 도전 라인들(CL5)이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5 도전 라인들(CL5)이 각각의 제1 및 제2 적층 구조체들(SS1, SS2)을 관통할 수 있다. 각각의 제2 반도체 패턴들(SP2) 양 측에 한 쌍의 제5 도전 라인들(CL5)이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제2 홀들(HO2)에 의해 노출되는 적층 구조체(SS1, SS2)의 내측벽의 일 부분 상에 게이트 절연막(GI)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홀들(HO2)에 의해 노출되는 제2 반도체 패턴들(SP2)의 측면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GI)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반도체 패턴들(SP2) 각각의 제3 및 제4 불순물 영역들(SD3, SD4)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GI)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홀들(HO2)에 의해 노출되는 제4 도전 라인들(CL4)의 측면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GI)이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제2 홀들(HO2) 내에 제5 도전 라인들(CL5)을 덮는 수직 절연 패턴들(VIP)이 제공될 수 있다. 수직 절연 패턴(VIP)은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제5 도전 라인들(CL5)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수직 절연 패턴(VIP)은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제2 반도체 패턴들(SP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각각의 제3 홀들(HO3) 내에 수직 절연 패턴들(VIP)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적층 구조체들(SS1, SS2)을 덮는 층간 절연막(110)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간 절연막(110)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및 실리콘 산화질화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및 제2 적층 구조체들(SS1, SS2) 상에 제3 절연막(ILD3) 및 제4 절연막(ILD4)이 제공될 수 있다. 제3 절연막(ILD3) 상에 제4 절연막(ILD)이 제공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10)의 상면, 제4 절연막들(ILD4)의 상면들, 제2 도전 라인들(CL2)의 상면들, 제3 도전 라인들(CL3)의 상면들, 제5 도전 라인들(CL5)의 상면들 및 공통 소스 라인들(CSL)의 상면들은 서로 공면을 이룰 수 있다.
도 4a, 5a, 6a, 7a, 8a, 9a, 10a 및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4b, 5b, 6b, 7b, 8b, 9b, 10b 및 11b는 각각 도 4a, 5a, 6a, 7a, 8a, 9a, 10a 및 11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5c, 6c, 7c, 8c, 9c, 10c 및 11c는 각각 도 5a, 6a, 7a, 8a, 9a, 10a 및 11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7d, 8d, 9d, 10d 및 11d는 각각 도 7a, 8a, 9a, 10a 및 11a의 C-C'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8e, 9e, 10e 및 11e는 각각 도 7a, 8a, 9a, 10a 및 11a의 D-D'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8f, 9f, 10f 및 11f는 각각 도 7a, 8a, 9a, 10a 및 11a의 E-E'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0g 및 11g는 각각 도 10a 및 11a의 F-F'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몰드 구조체(MS)가 형성될 수 있다. 몰드 구조체(MS)를 형성하는 것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내지 제4 층들(L1, L2, L3, L4)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몰드 구조체(MS)의 양 단은 계단식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0)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00)은 실리콘, 게르마늄 또는 실리콘-게르마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층들(L1, L2, L3, L4) 각각은, 제1 절연막(ILD1), 반도체막(SL) 및 제2 절연막(ILD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막(ILD1), 반도체막(SL) 및 제2 절연막(ILD2)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막(SL)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막(ILD1) 및 제2 절연막(ILD2)은 서로 다른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막(ILD1) 및 제2 절연막(ILD2)은 서로 식각 선택성이 있을 수 있다. 제1 절연막(ILD1) 및 제2 절연막(ILD2)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질화막, 탄소 함유 실리콘 산화막, 탄소 함유 실리콘 질화막 및 탄소 함유 실리콘 산화질화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각각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절연막(ILD1)은 탄소 함유 실리콘 산화막(SiOC)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절연막(ILD2)은 실리콘 질화막(SiN)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몰드 구조체(MS) 상에 제3 절연막(ILD3) 및 제4 절연막(ILD4)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절연막(ILD3) 및 제4 절연막(ILD4)은 서로 식각 선택성을 가질 수 있다. 몰드 구조체(MS)를 덮는 층간 절연막(110)이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10)의 상면은 제4 절연막(ILD4)의 상면과 공면을 이룰 수 있다. 층간 절연막(110)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및 실리콘 산화질화막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5a, 5b 및 5c를 참조하면, 몰드 구조체(MS)를 패터닝하여, 제1 내지 제4 층들(L1, L2, L3, L4)을 관통하는 제1 홀들(HO) 및 제2 홀들(HO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홀들(HO1, HO2)에 의해 기판(100)의 상면이 노출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및 제2 홀들(HO1, HO2)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태 또는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홀들(HO1)은 제1 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제2 홀들(HO2)은 제1 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적층 구조체(SS1)에서, 제1 방향(D1)을 따라 배열된 제1 홀들(HO1)로 구성된 제1 열, 제1 방향(D1)을 따라 배열된 제1 홀들(HO1)로 구성된 제2 열, 제1 방향(D1)을 따라 배열된 제2 홀들(HO2)로 구성된 제3 열이 정의될 수 있다. 제3 열은 제1 및 제2 열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홀들(HO1, HO2)은 제3 방향(D3)을 따라 제1 내지 제4 층들(L1, L2, L3, L4)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홀들(HO1)에 의해, 각각의 반도체막들(SL)에 제1 반도체 패턴들(SP1)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반도체 패턴(SP1)을 사이에 두고, 제1 홀들(HO1)이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홀들(HO2)에 의해, 각각의 반도체막들(SL)에 제3 반도체 패턴들(SP3)이 정의될 수 있다. 제3 반도체 패턴(SP3)을 사이에 두고, 제2 홀들(HO2)이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하는 제1 및 제3 반도체 패턴들(SP1, SP3) 사이에 제4 반도체 패턴(SP4, 도 8e 참조)이 정의될 수 있다. 제4 반도체 패턴(SP4)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4 반도체 패턴(SP4)은 후술하는 제4 도전 라인(CL4)이 형성될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제4 반도체 패턴(SP4)에 복수개의 제1 반도체 패턴들(SP1) 및 복수개의 제3 반도체 패턴들(SP3)이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3 반도체 패턴들(SP3)이 2개의 평행하는 제4 반도체 패턴들(SP4)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도 6a, 6b 및 6c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홀들(HO1, HO2)에 의해 노출되는 몰드 구조체(MS)의 측벽들 상에 게이트 절연막(GI)이 콘포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절연막(GI)은 고유전 물질을 이용하여 콘포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및 제2 홀들(HO1, HO2)을 부분적으로 채우는 예비 도전 라인들(PCL)이 형성될 수 있다. 예비 도전 라인들(PCL)은 제1 및 제2 홀들(HO1, HO2)에 의해 노출되는 몰드 구조체(MS)의 측벽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비 도전 라인들(PCL)을 형성하는 것은,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도전막을 콘포멀하게 형성하는 것, 및 상기 도전막 상에 이방성 식각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막은 금속(텅스텐, 티타늄, 탄탈륨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비 도전 라인들(PCL)을 형성한 후, 절연 물질(IM)이 증착될 수 있다. 절연 물질은 제1 및 제2 홀들(HO1, HO2)을 완전히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절연 물질(IM)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및 실리콘 산화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7b, 7c 및 7d를 참조하면, 층간 절연막(110)의 상면 및 제4 절연막(ILD4)의 상면이 노출될 때까지 절연 물질(IM) 및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평탄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10) 및 제4 절연막(ILD4) 상에 제1 개구부들(OP1)을 포함하는 제1 마스크 패턴(MA1)이 형성될 수 있다. 평면적 관점에서, 제1 개구부들(OP1)은 제1 및 제2 홀들(HO1, HO2)과 중첩될 수 있다.
제1 마스크 패턴(MA1)은 제1 닫힘 영역들(CR1) 및 제2 닫힘 영역들(C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닫힘 영역들(CR1, CR2)은 서로 인접하는 제1 개구부들(OP1) 사이의 영역들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닫힘 영역들(CR1, CR2)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닫힘 영역들(CR1)은 후술할 제2 도전 라인들(CL2)이 형성될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제2 닫힘 영역들(CR2)은 후술할 제3 도전 라인들(CL3)이 형성될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제1 개구부들(OP1)에 의해 노출되는 절연 물질(IM)이 제거될 수 있다. 절연 물질(IM)은 이방성 식각 공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마스크 패턴(MA1)의 제1 및 제2 닫힘 영역들(CR1, CR2) 아래에 존재하는 절연 물질(IM)은 제거되지 않고 잔류할 수 있다.
제1 개구부들(OP1)에 의해 노출되는 예비 도전 라인들(PCL)이 제거되어, 제2 및 제3 도전 라인들(CL2, CL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비 도전 라인들(PCL)은 이방성 식각 공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마스크 패턴(MA1)의 제1 및 제2 닫힘 영역들(CR1, CR2) 아래에 존재하는 예비 도전 라인들(PCL)은 제거되지 않고 잔류할 수 있다. 잔류하는 예비 도전 라인들(PCL)은 제2 및 제3 도전 라인들(CL2, CL3)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방성 식각 공정에 의해, 제2 도전 라인들(CL2)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3 도전 라인들(CL3)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및 제3 도전 라인들(CL2, CL3)은 수직하게(즉, 제3 방향(D3)) 연장되는 라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제2 도전 라인들(CL2) 사이에는 잔류하는 절연 물질(IM)이 개재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제3 도전 라인들(CL3) 사이에는 잔류하는 절연 물질(IM)이 개재될 수 있다.
도 8a, 8b, 8c, 8d, 8e 및 8f를 참조하면, 제1 마스크 패턴(MA1)이 제거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및 제2 홀들(HO1, HO2) 내의 빈 영역에 절연 물질을 추가로 증착하여, 각각의 제1 및 제2 홀들(HO1, HO2)을 채우는 수직 절연 패턴(VIP)이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 공정을 수행하여, 층간 절연막(110) 및 제4 절연막(ILD4) 상에 증착된 절연 물질은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로 증착되는 절연 물질은 잔류하는 절연 물질(IM)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추가로 증착되는 절연 물질은, 잔류하는 절연 물질(IM)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제1 반도체 패턴들(SP1) 사이에 수직 절연 패턴(VIP)이 개재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제2 도전 라인들(CL2) 사이에 수직 절연 패턴(VIP)이 개재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제3 도전 라인들(CL3) 사이에 수직 절연 패턴(VIP)이 개재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제3 반도체 패턴들(SP3) 사이에 수직 절연 패턴(VIP)이 개재될 수 있다.
몰드 구조체(MS) 상에 제2 마스크 패턴(MA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마스크 패턴(MA2)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태의 제2 개구부들(O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마스크 패턴(MA2)을 식각 마스크로 몰드 구조체(MS)를 패터닝하여, 복수개의 적층 구조체들(SS1, SS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몰드 구조체(MS)가 패터닝되어 제1 적층 구조체(SS1) 및 제2 적층 구조체(SS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터닝 공정으로 인해, 적층 구조체들(SS1, SS2) 사이에 트렌치들(TR)이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트렌치들(TR)은 기판(100)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평면적 관점에서, 트렌치들(TR)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트렌치들(TR)을 통해 제1 및 제2 적층 구조체들(SS1, SS2)의 측벽들이 노출될 수 있다. 트렌치들(TR)을 통해 노출된 반도체막(SL)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제1 리세스들(RS1) 및 제2 리세스들(RS2)이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막(SL)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것은, 반도체막(SL)을 선택적으로 식각할 수 있는 식각액을 이용한 등방성 식각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등방성 식각 공정은, 트렌치들(TR)을 통해 노출된 반도체막(SL)을 식각하여 제1 리세스들(RS1)을 형성하는 것, 상기 제1 리세스들(RS1)을 통해 노출된 제1 반도체 패턴들(SP1)을 식각하여 제2 리세스들(RS2)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세스들(RS1)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세스(RS1)는 후술하는 제1 도전 라인(CL1)이 형성될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제1 리세스(RS1)에 의해 복수개의 제1 반도체 패턴들(SP1)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세스들(RS2)은 수직 절연 패턴(VIP)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제1 방향(D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세스(RS2)는 후술하는 비트 컨택(BC)이 형성될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리세스들(RS2)이 하나의 제1 리세스(RS1)와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제2 리세스(RS2)에 의해 하나의 제1 반도체 패턴(SP1)이 노출될 수 있다. 제2 리세스(RS2)에 의해 제1 반도체 패턴(SP1)의 제2 방향(D2)으로의 폭이 줄어들 수 있다.
도 9a, 9b, 9c, 9d, 9e 및 9f를 참조하면, 트렌치들(TR), 제1 리세스들(RS1) 및 제2 리세스들(RS2)을 통해 노출된 제1 반도체 패턴들(SP1)의 측벽들에 불순물을 도핑하여, 제1 불순물 영역들(SD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리세스들(RS2) 내에 비트 컨택들(BC)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비트 컨택들(BC)은 각각의 제2 리세스들(RS2)을 채우면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세스들(RS1) 내에 제1 도전 라인들(CL1)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도전 라인들(CL1)은 각각의 제1 리세스들(RS1)을 채우면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제1 도전 라인(CL1)에 복수개의 비트 컨택들(BC)이 연결될 수 있다.
비트 컨택들(BC)과 제1 도전 라인들(CL1)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트 컨택들(BC)과 제1 도전 라인들(CL1)을 형성하는 것은, 제1 및 제2 리세스들(RS1, RS2)을 채우는 도전막을 형성하는 것, 및 등방성 식각 공정을 통해 상기 도전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렌치들(TR)을 채우는 공통 소스 라인들(CSL)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적층 구조체들(SS1, SS2) 사이에 공통 소스 라인(CSL)이 개재될 수 있다. 공통 소스 라인들(CSL)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공통 소스 라인(CSL)에 복수개의 제1 도전 라인들(CL1)이 연결될 수 있다.
도 10a, 10b, 10c, 10d, 10e, 10f 및 10g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적층 구조체들(SS1, SS2) 상에 제3 개구부들(OP3)을 갖는 제3 마스크 패턴(MA3)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개구부들(OP3)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태 또는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평면적 관점에서, 제3 개구부들(OP3)은 적층 구조체들(SS1, SS2)의 제3 반도체 패턴들(SP3)을 가로지를 수 있다.
제3 마스크 패턴(MA3)을 식각 마스크로 제1 및 제2 적층 구조체들(SS1, SS2)을 식각할 수 있다. 상기 식각 공정을 통해, 제4 절연막(ILD4), 제3 절연막(ILD3), 제2 절연막들(ILD2), 제1 절연막들(ILD1) 및 제3 반도체 패턴들(SP3)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제3 마스크 패턴(MA3)에 의한 식각 공정에 의해, 제3 홀들(HO3)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홀들(HO3)에 의해 기판(100)의 상면이 노출될 수 있다. 제3 홀들(HO3)은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인접하는 수직 절연 패턴들(VIP)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홀(HO3)에 의해 하나의 제3 반도체 패턴(SP3)이 2개의 제5 반도체 패턴들로 분리될 수 있다. 서로 분리되어 제2 방향(D2)으로 이격된 2개의 제5 반도체 패턴들 사이에 제3 홀(HO3)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홀들(HO3)에 의해 제5 반도체 패턴들의 측벽이 노출될 수 있다.
제3 홀들(HO3)을 통해 노출된 반도체막(SL)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제3 리세스들(RS3), 제4 리세스들(RS4) 및 제5 리세스들(RS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내지 제5 리세스들(RS3, RS4, RS5)을 형성하는 것은, 제3 홀들(HO3)을 통해 노출된 제5 반도체 패턴들을 식각하여 제3 리세스들(RS3)을 형성하는 것, 상기 제3 리세스들(RS3)을 통해 노출된 제4 반도체 패턴들(SP4)을 식각하여 제4 리세스들(RS4)을 형성하는 것, 상기 제4 리세스들(RS4)을 통해 노출된 제1 반도체 패턴들(SP1)을 식각하여 제5 리세스들(RS5)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3 리세스들(RS3)은 하나의 제4 리세스(RS4)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5 리세스들(RS5)은 하나의 제4 리세스(RS4)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리세스들(RS3)은 수직 절연 패턴(VIP)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제1 방향(D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3 리세스(RS3)는 후술하는 제2 반도체 패턴(SP2)이 형성될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4 리세스들(RS4)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4 리세스(RS4)는 후술하는 제4 도전 라인(CL4)이 형성될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5 리세스들(RS5)은 수직 절연 패턴(VIP)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제1 방향(D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5 리세스(RS5)는 후술하는 드레인 컨택(DC)이 형성될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제5 리세스(RS5)에 의해 제1 반도체 패턴(SP1)의 제2 방향(D2)으로의 폭이 줄어들 수 있다.
도 11a, 11b, 11c, 11d, 11e, 11f 및 11g를 참조하면, 제3 홀들(HO3), 제3 내지 제5 리세스들(RS3, RS4, RS5)을 통해 노출된 제1 반도체 패턴들(SP1)의 측벽들에 불순물을 도핑하여, 제2 불순물 영역들(SD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불순물 영역들(SD2) 사이에 제1 채널(CH1)이 정의될 수 있다.
제5 리세스들(RS5) 내에 드레인 컨택들(DC)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드레인 컨택들(DC)은 각각의 제5 리세스들(RS5)을 채우면서 형성될 수 있다.
제4 리세스들(RS4) 내에 제4 도전 라인들(CL4)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4 도전 라인들(CL4)은 각각의 제4 리세스들(RS4)을 채우면서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컨택들(DC)과 제4 도전 라인들(CL4)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레인 컨택들(DC)과 제4 도전 라인들(CL4)을 형성하는 것은, 제4 및 제5 리세스들(RS4, RS5)을 채우는 도전막을 형성하는 것, 및 등방성 식각 공정을 통해 상기 도전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리세스들(RS3)에 의해 노출된 제4 도전 라인들(CL4)의 측벽들 상에 게이트 절연막(GI)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리세스들(RS3) 내에 제2 반도체 패턴들(SP2)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2 반도체 패턴들(SP2)은 각각의 제3 리세스들(RS3)을 채우면서 형성될 수 있다.
제3 홀들(HO3) 내의 빈 영역에 절연 물질을 증착하여, 각각의 제3 홀들(HO3)을 채우는 수직 절연 패턴(VIP)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적층 구조체들(SS1, SS2) 상에 제4 개구부들(OP4)을 갖는 제4 마스크 패턴(MA4)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개구부들(OP4)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태 또는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평면적 관점에서, 제4 개구부들(OP4)은 적층 구조체들(SS1, SS2)의 제2 반도체 패턴들(SP2)을 가로지를 수 있다.
제4 마스크 패턴(MA4)을 식각 마스크로 제1 및 제2 적층 구조체들(SS1, SS2)을 식각할 수 있다. 상기 식각 공정을 통해, 수직 절연 패턴들(VIP) 및 게이트 절연막(GI)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제4 마스크 패턴(MA4)에 의한 식각 공정에 의해, 제4 홀들(HO4)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홀들(HO4)에 의해 기판(100)의 상면이 노출될 수 있다. 제2 방향(D2)으로 인접하는 2개의 제4 홀들(HO4)이 수직 절연 패턴(VIP)을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제1 방향(D1)으로 인접하는 2개의 제4 홀들(HO4)이 제2 반도체 패턴(SP2)을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제4 홀들(HO4)에 의해 제2 반도체 패턴들(SP2)의 측벽들이 노출될 수 있다.
다시 도 3a, 3b, 3c, 3d, 3e, 3f 및 3g를 참조하면, 제4 홀들(HO4)을 통해 노출된 제2 반도체 패턴들(SP2)의 측벽들에 불순물을 도핑하여, 제3 불순물 영역들(SD3) 및 제4 불순물 영역들(SD4)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및 제4 불순물 영역들(SD3, SD4) 사이에 제2 채널(CH2)이 정의될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턴들(SP2)의 양 측벽들 상에 제5 도전 라인들(CL5)이 형성될 수 있다. 제5 도전 라인들(CL5)을 형성하는 것은, 제4 홀(HO4) 내에 예비 도전 라인들을 형성하는 것, 및 제5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제5 도전 라인들(CL5)을 제외한 예비 도전 라인들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도전 라인들(CL5)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5 도전 라인들(CL5)은 수직하게(즉, 제3 방향(D3)) 연장되는 라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4 홀(HO4)을 완전히 채우는 수직 절연 패턴(VIP)을 형성할 수 있다. 수직 절연 패턴(VIP)은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제5 도전 라인들(CL5)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12b, 12c, 12d 및 12e는 도 12a의 A-A'선, B-B'선, C-C'선 및 D-D'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2a, 12b, 12c, 12d 및 12e를 참조하면, 도 9a, 9b, 9c, 9d, 9e 및 9f에 따라 형성된 제1 및 제2 적층 구조체들(SS1, SS2) 상에 제5 개구부들(OP5)을 갖는 제5 마스크 패턴(MA5)이 형성될 수 있다. 제5 개구부들(OP5)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태 또는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평면적 관점에서, 제5 개구부들(OP5)은 적층 구조체들(SS1, SS2)의 제1 반도체 패턴들(SP1)을 가로지를 수 있다.
제5 마스크 패턴(MA5)을 식각 마스크로 제1 및 제2 적층 구조체들(SS1, SS2)을 식각할 수 있다. 상기 식각 공정을 통해, 수직 절연 패턴(VIP) 및 게이트 절연막(GI)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제5 마스크 패턴(MA5)에 의한 식각 공정에 의해, 제5 홀들(HO5)이 형성될 수 있다. 제5 홀들(HO5)에 의해 기판(100)의 상면이 노출될 수 있다. 제5 홀(HO5)은 제1 홀(HO1)의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5 홀(HO5)의 형성에 의해, 제1 홀(HO1) 내의 수직 절연 패턴(VIP) 및 게이트 절연막(GI)이 제거되어, 제1 홀(HO)의 일부가 다시 개방될 수 있다.
제5 홀들(HO5)은 제4 반도체 패턴들(SP4)의 측벽들 및 제1 반도체 패턴들(SP1)의 측벽들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제5 홀들(HO5)을 통해 노출된 반도체막(SL)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제4 리세스들(RS4) 및 제5 리세스들(RS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및 제5 리세스들(RS4, RS5)을 형성하는 것은, 제5 홀들(HO5)을 통해 노출된 제4 반도체 패턴들(SP4)을 식각하여 제4 리세스들(RS4)을 형성하는 것, 제5 홀들(HO5)을 통해 노출된 제1 반도체 패턴들(SP1)을 식각하여 제5 리세스들(RS5)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리세스들(RS4)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4 리세스(RS4)는 후술하는 제4 도전 라인(CL4)이 형성될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제4 리세스(RS4)가 복수개의 제5 홀들(HO5)과 연결될 수 있다. 제4 리세스들(RS4)에 의해 제3 반도체 패턴들(SP3)의 측벽들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5 리세스들(RS5)은 수직 절연 패턴(VIP)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제1 방향(D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5 리세스들(RS5)은 제5 홀(HO5)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제1 방향(D1)으로 이격될 수 있다(도 12e 참조). 상기 제5 리세스(RS5)는 후술하는 드레인 컨택(DC)이 형성될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5 리세스들(RS5)은 하나의 제4 리세스(RS4)와 연결될 수 있다. 제5 리세스(RS5)에 의해 제1 반도체 패턴(SP1)의 제2 방향(D2)으로의 폭이 줄어들 수 있다.
다시 도 3b, 3c, 3d, 3e, 3f 및 3g를 참조하면, 제1 반도체 패턴들(SP1)의 측벽들에 불순물을 도핑하여, 제2 불순물 영역들(SD2)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반도체 패턴들(SP3)의 측벽들에 게이트 절연막(GI)을 형성할 수 있다. 제5 리세스(RS5)를 채우는 드레인 컨택(DC)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리세스(RS4)를 채우는 제4 도전 라인(CL4)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반도체 패턴(SP3)을 패터닝하여, 2개의 제2 반도체 패턴들(SP2)로 분리시킬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턴들(SP2)의 측벽들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턴들(SP2)의 측벽들에 불순물을 도핑하여, 제3 및 제4 불순물 영역들(SD3, SD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턴들(SP2)의 측벽들 상에 제5 도전 라인들(CL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10)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수직하게 적층된 복수개의 층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 상기 복수개의 층들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비트 라인 및 게이트 라인,
    상기 제1 비트 라인 및 상기 게이트 라인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반도체 패턴, 및
    제1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게이트 라인과 인접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반도체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반도체 패턴의 일 측에 인접하고, 상기 적층 구조체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1 워드 라인;
    상기 제2 반도체 패턴의 제1 단에 연결되고, 상기 적층 구조체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2 비트 라인; 및
    상기 제2 반도체 패턴의 상기 제1 단의 반대편의 제2 단에 연결되고, 상기 적층 구조체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2 워드 라인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 라인은 상기 제1 반도체 패턴과 비트 컨택을 통해 연결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라인은 상기 제1 반도체 패턴과 드레인 컨택을 통해 연결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워드 라인은 제2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반도체 패턴과 서로 이격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트 라인은 상기 제2 반도체 패턴과 접촉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워드 라인은 상기 제2 반도체 패턴과 접촉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워드 라인 및 상기 게이트 라인 사이에서, 상기 적층 구조체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캐패시터 전극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8.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수직하게 적층된 복수개의 층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 상기 복수개의 층들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비트 라인 및 게이트 라인,
    상기 제1 비트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반도체 패턴, 및
    상기 게이트 라인과 제1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제2 반도체 패턴을 포함하고;
    제2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반도체 패턴의 일 측에 인접하고, 상기 적층 구조체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1 워드 라인;
    상기 적층 구조체를 수직하게 관통하며, 상기 제1 반도체 패턴과 유전막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캐패시터 전극;
    상기 제2 반도체 패턴의 제1 단에 연결되고, 상기 적층 구조체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2 비트 라인; 및
    상기 제2 반도체 패턴의 제1 단의 반대편의 제2 단에 연결되고, 상기 적층 구조체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2 워드 라인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워드 라인은 복수개로 제공되고,
    한 쌍의 상기 제1 워드 라인들이 상기 제1 반도체 패턴의 양측에 제공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체는 복수개로 제공되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적층 구조체들 사이에 개재되는 공통 소스 라인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1020190003845A 2019-01-11 2019-01-11 반도체 소자 KR102554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845A KR102554712B1 (ko) 2019-01-11 2019-01-11 반도체 소자
CN201911035132.7A CN111435660B (zh) 2019-01-11 2019-10-29 半导体存储器装置
US16/732,925 US11195836B2 (en) 2019-01-11 2020-01-02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845A KR102554712B1 (ko) 2019-01-11 2019-01-11 반도체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911A true KR20200087911A (ko) 2020-07-22
KR102554712B1 KR102554712B1 (ko) 2023-07-14

Family

ID=71516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845A KR102554712B1 (ko) 2019-01-11 2019-01-11 반도체 소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95836B2 (ko)
KR (1) KR102554712B1 (ko)
CN (1) CN1114356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9572B2 (en) * 2019-01-14 2023-12-19 Intel Corporation 3D 1T1C stacked DRAM structure and method to fabricate
CN112018042B (zh) * 2019-05-30 2023-10-24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半导体器件及其形成方法
KR20210132809A (ko) * 2020-04-28 2021-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476251B2 (en) * 2020-08-06 2022-10-18 Micron Technology, Inc. Channel integration in a three-node access device for vertical three dimensional (3D) memory
US11239117B1 (en) * 2020-08-27 2022-02-01 Micron Technology, Inc. Replacement gate dielectric in three-node access device formation for vertical three dimensional (3D) memory
US11903183B2 (en) * 2020-10-01 2024-02-13 Micron Technology, Inc. Conductive line contact regions having multiple multi-direction conductive lines and staircase conductive line contact structures for semiconductor devices
KR20220050615A (ko) * 2020-10-16 2022-04-2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1950403B2 (en) * 2020-10-23 2024-04-02 Micron Technology, Inc. Widened conductive line structures and staircase structures for semiconductor devices
US11367726B2 (en) 2020-10-26 2022-06-21 Micron Technology, Inc. Vertical digit lines for semiconductor devices
US11818877B2 (en) 2020-11-02 2023-11-14 Applied Materials, Inc. Three-dimensional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KR20220090208A (ko) * 2020-12-22 2022-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소자
US11380387B1 (en) * 2021-03-23 2022-07-05 Micron Technology, Inc. Multiplexor for a semiconductor device
JP2023001826A (ja) 2021-06-21 2023-01-06 キオクシア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US11800698B2 (en) * 2021-08-17 2023-10-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miconductor structure with embedded capacitor
US11764058B2 (en) * 2021-09-28 2023-09-19 Applied Materials, Inc. Three-color 3D DRAM stack and methods of mak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29340A1 (en) * 2012-07-24 2014-01-30 Lee Wang Structures and operational methods of non-volatile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s
US20160351572A1 (en) * 2015-05-26 2016-12-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Semiconductor Device
US20180350823A1 (en) * 2015-10-24 2018-12-06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393B1 (ko) 1998-09-03 2006-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층의 절연막을 동시에 식각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제조방법
KR100324025B1 (ko) 1998-12-28 2002-05-13 박종섭 반도체소자의제조방법
US6982897B2 (en) * 2003-10-07 2006-0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ondestructive read, two-switch, single-charge-storage device RAM devices
KR20090079694A (ko) * 2008-01-18 2009-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7961498B2 (en) * 2008-09-23 2011-06-14 Intel Corporation Leakage compensation circuit for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cells
TWI433302B (zh) * 2009-03-03 2014-04-01 Macronix Int Co Ltd 積體電路自對準三度空間記憶陣列及其製作方法
US7983065B2 (en) * 2009-04-08 2011-07-19 Sandisk 3D Llc Three-dimensional array of re-programmable non-volatile memory elements having vertical bit lines
US9711407B2 (en) * 2009-04-14 2017-07-18 Monolithic 3D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three dimensional integrated circuit by transfer of a mono-crystalline layer
SG10201700467UA (en) * 2010-02-07 2017-02-27 Zeno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electrically floating body transistor, and having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functionality and method
WO2012002186A1 (en) 2010-07-02 2012-01-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US8890233B2 (en) * 2010-07-06 2014-11-18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3D memory array with improved SSL and BL contact layout
US8659944B2 (en) * 2010-09-01 2014-02-25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emory architecture of 3D array with diode in memory string
JP5651415B2 (ja) * 2010-09-21 2015-01-14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I574259B (zh) 2010-09-29 2017-03-1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半導體記憶體裝置和其驅動方法
JP6030298B2 (ja) 2010-12-28 2016-11-2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緩衝記憶装置及び信号処理回路
US20120181580A1 (en) * 2011-01-18 2012-07-19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20130003434A1 (en) * 2011-01-18 2013-01-03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ethod for operating a semiconductor structure
US8630114B2 (en) * 2011-01-19 2014-01-14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emory architecture of 3D NOR array
US8503213B2 (en) * 2011-01-19 2013-08-06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emory architecture of 3D array with alternating memory string orientation and string select structures
US8811077B2 (en) * 2011-01-19 2014-08-19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emory architecture of 3D array with improved uniformity of bit line capacitances
US8486791B2 (en) * 2011-01-19 2013-07-16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ufti-layer single crystal 3D stackable memory
US9001590B2 (en) * 2011-05-02 2015-04-07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ethod for operating a semiconductor structure
US20120327714A1 (en) * 2011-06-23 2012-12-27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emory Architecture of 3D Array With Diode in Memory String
US8587998B2 (en) * 2012-01-06 2013-11-19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3D memory array with read bit line shielding
US8951862B2 (en) * 2012-01-10 2015-02-10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Damascene word line
US8501609B2 (en) * 2012-02-02 2013-08-06 Tower Semiconductor Ltd. Method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NAND memory with mono-crystalline channels using sacrificial material
US20140048867A1 (en) * 2012-08-20 2014-02-20 Globalfoundries Singapore Pte. Ltd. Multi-time programmable memory
KR20140026894A (ko) * 2012-08-23 2014-03-0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3차원 적층형 메모리 장치
US9136277B2 (en) * 2012-10-16 2015-09-15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Three dimensional stacked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25111B1 (ko) * 2013-01-11 2019-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류 경로 선택 구조를 포함하는 3차원 반도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8987914B2 (en) * 2013-02-07 2015-03-24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Conductor structure and method
US8902663B1 (en) * 2013-03-11 2014-12-02 Monolithic 3D Inc. Method of maintaining a memory state
US8993429B2 (en) * 2013-03-12 2015-03-31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Interlayer conductor structure and method
US8928149B2 (en) * 2013-03-12 2015-01-06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Interlayer conductor and method for forming
US9117526B2 (en) * 2013-07-08 2015-08-25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Substrate connection of three dimensional NAND for improving erase performance
US9041077B2 (en) * 2013-09-03 2015-05-26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8970040B1 (en) * 2013-09-26 2015-03-03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Contact structure and forming method
US9202750B2 (en) * 2013-10-31 2015-12-01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Stacked 3D memory with isolation layer between memory blocks and access conductors coupled to decoding elements in memory blocks
US9455265B2 (en) * 2013-11-27 2016-09-27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Semiconductor 3D stacked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9368507B2 (en) * 2013-11-29 2016-06-14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Semiconductor structure
US9343322B2 (en) * 2014-01-17 2016-05-17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Three dimensional stacking memory film structure
US10074576B2 (en) 2014-02-28 2018-09-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9331204B2 (en) * 2014-03-13 2016-05-03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High voltage field effect transistors and circuits utilizing the same
US9490249B2 (en) * 2014-04-30 2016-11-08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Antenna effect discharge circuit and manufacturing method
US9721964B2 (en) * 2014-06-05 2017-08-01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Low dielectric constant insulating material in 3D memory
US9330764B2 (en) * 2014-06-16 2016-05-03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Array fanout pass transistor structure
US9324728B2 (en) * 2014-07-07 2016-04-26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Three-dimensional vertical gate NAND flash memory including dual-polarity source pads
US9356037B2 (en) * 2014-07-07 2016-05-31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emory architecture of 3D array with interleaved control structures
US9640270B2 (en) * 2014-08-12 2017-05-02 Sandisk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of using multiple read operations
US9620217B2 (en) * 2014-08-12 2017-04-11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Sub-block erase
US9349745B2 (en) * 2014-08-25 2016-05-24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3D NAND nonvolatile memory with staggered vertical gates
US9589979B2 (en) * 2014-11-19 2017-03-07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Vertical and 3D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741569B2 (en) * 2014-12-16 2017-08-22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Forming memory using doped oxide
US9490017B2 (en) * 2015-03-10 2016-11-08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Forced-bias method in sub-block erase
US9607702B2 (en) * 2015-03-25 2017-03-28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Sub-block page erase in 3D p-channel flash memory
US9379129B1 (en) * 2015-04-13 2016-06-28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Assist gate structures for three-dimensional (3D) vertical gate array memory structure
US9478259B1 (en) * 2015-05-05 2016-10-25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3D voltage switching transistors for 3D vertical gate memory array
US9508446B1 (en) * 2015-06-24 2016-11-29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Temperature compensated reverse current for memory
US11956952B2 (en) * 2015-08-23 2024-04-09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0121553B2 (en) * 2015-09-30 2018-11-06 Sunrise Memory Corporation Capacitive-coupled non-volatile thin-film transistor NOR strings in three-dimensional arrays
US10847540B2 (en) * 2015-10-24 2020-11-24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0014318B2 (en) * 2015-10-24 2018-07-03 Monocithic 3D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tructure and methods
US9859338B2 (en) * 2016-03-21 2018-01-02 Winbond Electronics Corp. Three-dimensional resistive memory
US9595530B1 (en) * 2016-07-07 2017-03-14 Sandisk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vertical bit line structures in three-dimensional nonvolatile memory
US9660107B1 (en) 2016-08-31 2017-05-2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3D cross-bar nonvolatile memory
EP3507830A4 (en) * 2016-08-31 2020-04-01 Micron Technology, Inc. STORAGE CELLS AND STORAGE ARRAYS
KR102421299B1 (ko) * 2016-09-12 2022-07-1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기억 장치, 이의 구동 방법, 반도체 장치, 전자 부품, 및 전자 기기
WO2018140102A1 (en) 2017-01-30 2018-08-02 Micron Technology, Inc. Integrated memory assemblies comprising multiple memory array decks
US10431596B2 (en) * 2017-08-28 2019-10-01 Sunrise Memory Corporation Staggered word line architecture for reduced disturb in 3-dimensional NOR memory arrays
US10535659B2 (en) * 2017-09-29 2020-0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US10777566B2 (en) * 2017-11-10 2020-09-15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3D array arranged for memory and in-memory sum-of-products operations
KR102524614B1 (ko) * 2017-11-24 2023-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소자
US10468414B2 (en) * 2017-12-28 2019-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KR102650525B1 (ko) * 2018-08-03 2024-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102630024B1 (ko) * 2018-10-04 2024-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소자
TWI737114B (zh) * 2019-02-27 2021-08-21 王振志 電晶體、包含該電晶體之三維記憶體元件及製造該記憶體元件之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29340A1 (en) * 2012-07-24 2014-01-30 Lee Wang Structures and operational methods of non-volatile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s
US20160351572A1 (en) * 2015-05-26 2016-12-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Semiconductor Device
US20180350823A1 (en) * 2015-10-24 2018-12-06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712B1 (ko) 2023-07-14
US11195836B2 (en) 2021-12-07
US20200227418A1 (en) 2020-07-16
CN111435660B (zh) 2024-05-28
CN111435660A (zh) 202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4712B1 (ko) 반도체 소자
KR102524614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US6603161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ferroelectric capaci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101283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190083164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118350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002775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102504258B1 (ko)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US7022531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DE102020126631B4 (de) Speicheranordnungen enthaltend Dummy-Bereich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CN113488483B (zh) 三维存储器器件及其制造方法
CN112768451A (zh)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KR20220038218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4051467A (zh) 具有增强的接触区的三维集成电路装置
JP4034492B2 (ja) 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KR20210018578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100439038B1 (ko) 스터드형태의 캡핑층을 구비한 반도체 장치의 비트라인 및그의 형성방법
KR20240052535A (ko) 집적회로 소자
JP2023164303A (ja) 半導体メモリ装置
KR20230022326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20230159337A (ko)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40053273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2005051271A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