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011A -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방법 및 기억 매체에 저장된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방법 및 기억 매체에 저장된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011A
KR20200008011A KR1020207000003A KR20207000003A KR20200008011A KR 20200008011 A KR20200008011 A KR 20200008011A KR 1020207000003 A KR1020207000003 A KR 1020207000003A KR 20207000003 A KR20207000003 A KR 20207000003A KR 20200008011 A KR20200008011 A KR 20200008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operation management
machine learning
algorithm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7107B1 (ko
Inventor
다카시 사카쿠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8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66For elevator systems with multiple shafts and multiple cars 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91For elevator systems with lateral transfers of cars or cabins between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07Setting or modification of parameters of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paternoster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3Destination call input before entering the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1Waiting time, i.e. response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02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by historical, statistical or predicted traffic data, e.g. by lea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15Wherein the destination is registered before boa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8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53Call registering systems 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using portabl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03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for lateral transfer of car or frame, e.g. between vertical hoistways or to/from a parking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600)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를 행한다. 기계 학습부(601)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상황이 나타나는 운행 데이터를 이용한 기계 학습을 행해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에 이용되는 알고리즘인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생성한다. 제어부(602)는, 기계 학습부(601)에 의해 생성된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실행해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를 행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방법 및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프로그램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운행 관리에 관한 것이다.
고층 빌딩 등의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car)가 설치되어 있는 빌딩에서는, 호출에 대한 대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를 효율적으로 운행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의 운행 관리에 관한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4에 개시된 기술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6-19939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1-22604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07-309541호 공보 일본 특허공고 소59-012594호 공보
일반적으로, 빌딩의 신축 시와 같은, 빌딩에 엘리베이터가 신규로 설치될 때에, 엘리베이터 설치 업자는,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를 위한 알고리즘을 생성하고, 생성한 알고리즘을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에 실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설치 업자는, 실제로 엘리베이터가 운행했을 때의 운행 상황을 예측하고, 그 시점에서 효율적이라고 생각되는 운행이 가능해지는 알고리즘을 생성하고, 생성한 알고리즘을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에 실장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법에서는, 알고리즘의 생성 시에 예측한 운행 상황과 실제의 운행 상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실태에 맞지 않은 알고리즘이 실행되게 된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에는, 효율적인 엘리베이터의 운행 관리가 행해지지 않는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사후적인 이유에 의해, 알고리즘의 생성 시에 예측한 운행 상황과 실제의 운행 상황이 일치하지 않게 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빌딩의 테넌트(tenant)가 변경된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사람의 흐름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실태에 맞지 않은 알고리즘이 실행되게 되어, 효율적인 엘리베이터의 운행 관리가 행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제의 운행 상황에 적합한 운행 관리 알고리즘에 의해, 적절히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를 행할 수 있는 구성을 실현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상황이 나타나는 운행 데이터를 이용한 기계 학습을 행해서,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에 이용되는 알고리즘인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기계 학습부와,
상기 기계 학습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실행해서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를 행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상황이 나타나는 운행 데이터를 이용한 기계 학습에 의해, 운행 관리 알고리즘이 생성된다. 그리고, 생성된 운행 관리 알고리즘이 실행되어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가 행해진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실제의 운행 상황에 적합한 운행 관리 알고리즘에 의해, 적절히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따른 기계 학습부의 동작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의 동작의 개요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운행 관리 알고리즘의 생성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8은, 실시형태 1에 따른 기계 학습부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9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데이터 세트 조정부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안내 엘리베이터 카의 선택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안내 엘리베이터 카의 선택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카운트다운 형식의 대기 시간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모래시계 형식의 대기 시간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승강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형태 2에 따른 통상 승강 레인에 있는 엘리베이터 카와 회송 승강 레인에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형태 2에 따른 통상 승강 레인에 있는 엘리베이터 카와 회송 승강 레인에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형태 2에 따른 힌지(hinge) 기구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형태 2에 따른 걸쇠(latch)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가 접혀질 때의 중간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21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22는, 실시형태 3에 따른 제어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형태 3에 따른 제어반의 조작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실시형태 4에 따른 스마트폰의 조작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실시형태 4에 따른 스마트폰의 조작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를 붙인 것은, 동일한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형태 1.
***구성의 설명***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이하, 간단히 「카」라고도 함)가 운행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가 운행된다.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된다. 도 2는, 각 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상방에서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12대의 엘리베이터 카(1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100)에 승강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승강장에 상당한다. 즉, 도 2의 예에서는, 12개의 승강장이 존재한다.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600)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를 행한다.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600)는, 컴퓨터이다.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600)에 의해 행해지는 동작은,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방법에 상당한다.
한편,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600)의 상세는 후술한다.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600)는, 각 층에 배치된 네트워크 스위치(51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네트워크 스위치(511)는 종속 접속(cascade-connected)되어 있다.
각 층에는, 1개의 승강장당, 표시판(506), 목적지 버튼(507)이 네트워크 스위치(511)에 접속되어 있다. 목적지 버튼(507)은, 위 방향의 버튼 및 아래 방향의 버튼이어도 되고, 모든 층을 망라하는 복수의 버튼이어도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의 제어반(508)도 전부 네트워크 스위치(511)에 접속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600)와 통신하는 통신기(509) 및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액세스 포인트(510)도 네트워크 스위치(511)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상위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nternet Protocol)가 사용된다.
도 3은,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600)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4는,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600)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낸다.
우선, 도 3을 참조해서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600)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600)는, 하드웨어로서,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보조 기억 장치(903) 및 통신 인터페이스(904)를 구비한다.
보조 기억 장치(903)에는, 도 4에 나타내는 기계 학습부(601), 제어부(602), 데이터 세트 조정부(603), 커맨드 송신부(604), 커맨드 수신부(605), 운행 데이터 수신부(606), 오퍼레이팅 시스템(607), 네트워크 드라이버(608) 및 스토리지 드라이버(609)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프로그램이 보조 기억 장치(903)로부터 메모리(903)에 로드된다. 다음으로, 프로세서(901)가 이들 프로그램을 메모리(902)로부터 읽어내고, 이들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 결과, 프로세서(901)는, 기계 학습부(601), 제어부(602), 데이터 세트 조정부(603), 커맨드 송신부(604), 커맨드 수신부(605), 운행 데이터 수신부(606), 오퍼레이팅 시스템(607), 네트워크 드라이버(608) 및 스토리지 드라이버(609)의 동작을 행한다.
도 3에서는, 프로세서(901)가 기계 학습부(601), 제어부(602), 데이터 세트 조정부(603), 커맨드 송신부(604), 커맨드 수신부(605), 운행 데이터 수신부(606), 오퍼레이팅 시스템(607), 네트워크 드라이버(608) 및 스토리지 드라이버(609)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한편, 적어도 기계 학습부(601) 및 제어부(602)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은,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프로그램에 상당한다.
통신 인터페이스(904)는, 네트워크 스위치(511)를 통해서, 표시판(506), 목적지 버튼(507), 제어반(508), 통신기(509) 및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510)와 통신을 행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해서,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600)의 기능 구성을 설명한다.
기계 학습부(601)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상황이 나타나는 운행 데이터를 이용한 기계 학습을 행해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에 이용되는 알고리즘인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생성한다.
기계 학습부(60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귀형 기계 학습을 행해서, 호출이 행해졌을 때의 대기 시간이 가장 짧은 엘리베이터 카를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 중에서 선택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운행 관리 알고리즘으로서 생성한다.
도 5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운행 데이터에는, 호출 시각, 호출층, 목적지층, 정지층, 정지 시간, 승객수, 호출 대기 시간, 엘리베이터 운행일이 평일인지 휴일인지의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기계 학습부(601)는, 운행 관리 알고리즘의 갱신 타이밍에 있어서, 갱신 타이밍까지 축적된 운행 데이터를 이용한 기계 학습을 행해서,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갱신한다.
한편, 기계 학습부(601)로 행해지는 동작은, 기계 학습 처리에 상당한다.
제어부(602)는, 기계 학습부(601)에 의해 생성된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실행해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602)는, 호출이 행해졌을 때에,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실행하고, 대기 시간이 가장 짧은 엘리베이터 카를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 중에서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부(602)는, 선택한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이 행해진 호출층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어부(602)는, 기계 학습부(601)에 의해 운행 관리 알고리즘이 갱신된 후에는, 갱신 후의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실행해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를 행한다.
한편, 제어부(602)에 의해 행해지는 동작은, 제어 처리에 상당한다.
데이터 세트 조정부(603)는, 기계 학습부(601)에, 기계 학습에 이용되는 학습 데이터 세트를 부여한다. 학습 데이터 세트에는, 제어반(508)으로부터의 운행 데이터와 각종 커맨드가 포함된다.
커맨드 송신부(604)는, 제어부(602)로부터의 커맨드를 제어반(508)에 송신한다.
커맨드 수신부(605)는, 엘리베이터 이용자로부터의 호출을 수신한다.
또한, 커맨드 수신부(605)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이상이 발생했을 때 또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어느 요소가 고장났을 때에, 제어반(508)으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한다.
운행 데이터 수신부(606)는, 전술한 운행 데이터를 제어반(508)으로부터 수신한다.
운행 데이터 수신부(606)는, 수신한 운행 데이터를, 스토리지 드라이버(609)를 이용해서 보조 기억 장치(903)에 저장한다.
오퍼레이팅 시스템(607)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 기계 학습부(601), 제어부(602), 데이터 세트 조정부(603), 커맨드 송신부(604), 커맨드 수신부(605) 및 운행 데이터 수신부(606)를 관리한다.
또한, 오퍼레이팅 시스템(607)은, 태스크 관리, 메모리 관리, 파일 관리, 통신 제어를 행한다.
네트워크 드라이버(608)는, 통신 인터페이스(904)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이다.
스토리지 드라이버(609)는, 보조 기억 장치(903)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이다.
***동작의 설명***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600)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600)의 동작의 개요를 나타낸다.
도 6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이 있으면(스텝 S101에서 YES), 제어부(602)가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층으로 이동시킨다(스텝 S102). 즉, 제어부(602)는, 호출층에 가장 짧은 대기 시간으로 도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를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부(602)는, 선택한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층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운행 데이터 수신부(606)가, 스텝 S102의 운행 상황을 나타내는 운행 데이터를 제어반(508)으로부터 수신한다(스텝 S103).
운행 데이터 수신부(606)는, 수신한 운행 데이터를 보조 기억 장치(902)에 저장한다(스텝 S104).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600)에서는, 엘리베이터 이용자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이 있을 때마다, 이상의 도 5의 순서가 행해지고, 보조 기억 장치(902)에 운행 데이터가 축적된다.
그리고, 운용 관리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타이밍이 도래했을 때(스텝 S105에서 YES)에, 기계 학습부(601)가 기계 학습에 의해 운용 관리 알고리즘을 생성한다(스텝 S106).
이와 같이, 기계 학습부(601)에 의해 운행 관리 알고리즘이 생성되기까지는, 호출이 있을 때마다, 운행 데이터가 보조 기억 장치(902)에 추가되어 간다. 이 때문에, 보조 기억 장치(902)에서 유지되는 운행 데이터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증가해 간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해서, 기계 학습에 의한 운행 관리 알고리즘의 생성 순서를 설명한다. 도 7은, 운행 관리 알고리즘의 생성 순서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스텝 S105 및 스텝 S105의 상세를 나타낸다.
우선, 제어부(602)가, 운용 관리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타이밍이 도래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01).
기계 학습을 행하는 타이밍은, 정기적인 타이밍이어도 되고, 이벤트가 발생한 타이밍이어도 된다.
정기적인 타이밍으로서, 예를 들면, 1개월마다 기계 학습을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1개월 이외의 주기(예를 들면, 1주간)로 기계 학습을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벤트가 발생한 타이밍으로서, 예를 들면, 빌딩 내의 테넌트가 변경되었을 때에 기계 학습을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첫 회의 기계 학습에서는,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600)의 관리자가 제어부(602)에 기계 학습의 실시를 지시해도 된다.
다음으로, 데이터 세트 조정부(603)가, 기계 학습부(601)에 학습 데이터 세트를 부여한다(스텝 S202).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세트 조정부(603)는, 보조 기억 장치(902)로부터 운행 데이터를 읽어낸다(스텝 S401). 또한, 데이터 세트 조정부(603)는, 기계 학습에 필요한 커맨드를 운행 데이터에 추가해서 학습 데이터 세트를 생성한다(스텝 S402). 그리고, 데이터 세트 조정부(603)는, 생성한 학습 데이터 세트를 기계 학습부(601)에 입력한다(스텝 S403).
다음으로, 기계 학습부(601)가, 학습 데이터 세트를 이용해서 기계 학습을 행하고,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생성한다(스텝 S203).
기계 학습의 상세는 후술한다.
마지막으로, 기계 학습부(601)는 생성한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보조 기억 장치(903)에 저장한다(스텝 S204).
이상으로부터, 기계 학습부(601)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상황이 나타나는 운행 데이터를 이용한 기계 학습에 의해, 실태에 입각한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의 스텝 S203의 상세를 설명한다.
기계 학습부(601)는, 학습 데이터 세트(이하, 학습 데이터 세트 θ라고 함)를 취득하면, 이하와 같이 기계 학습을 행해서, 최적인 엘리베이터 제어 논리인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학습 데이터 세트 θ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류를 n으로 한다. 또한, n은 x(i)의 벡터이다. 또한, i는 n 내의 순번을 나타낸다. 따라서, 라벨, 즉 평가식을 hθ로 하면, hθ(x)는, 이하와 같이 표시된다.
hθ(x)=θ0x01x1+…θnxn
여기에서, θ0x0은 확률 연산의 편의상, 1로 한다.
x와 θ를 이하와 같이 가정한다.
[수학식 1]
Figure pct00001
x와 θ를 상기와 같이 가정하면, hθ(x)는, 이하와 같이 나타난다.
Figure pct00002
엘리베이터 카가 호출할 때마다, J(θ)를 비용 함수로 하고, y(i)를 단축 가능한 도착 시간으로 할 때, J(θ)는, 이하에서 표시된다.
[수학식 2]
Figure pct00003
위 식을, 아고리즘으로 표현하면, 이하가 얻어진다.
[수학식 3]
Figure pct00004
한편, 위 식에서는 「: =」는 대입을 의미한다. 또한, α는 단조 감소하는 계수이다.
단, 변수의 가중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 기계 학습부(601)는, 모든 변수가 -1≤x≤1이 되도록 모든 변수를 조정한다.
한편, J(θ)를 데이터 세트마다 플롯했을 때에, J가 클수록 J(θ)가 단조 감소하는 경우는, 비용 함수 J(θ)는 올바르게 기능하고 있다고 생각해도 된다.
이와 같이, 기계 학습부(601)에 학습 데이터 세트를 계속 부여하는 것에 의해, 기계 학습부(601)는,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부터 도착까지의 시간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생성할 수 있다.
기계 학습부(601)는, 비용 함수 J(θ)가 목표값에 도달한 단계 등에서,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보조 기억 장치(902)에 저장한다. 이미 보조 기억 장치(902)에 운행 관리 알고리즘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는, 기계 학습부(601)는, 비용 함수 J(θ)가 목표값에 도달한 단계 등에서, 이미 보조 기억 장치(902)에 저장되어 있는 갱신 전의 운행 관리 알고리즘 대신에 갱신 후의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저장한다.
기계 학습에서는, 최종적으로 보다 좋은 알고리즘을 얻기 위해서는, 모든 학습 데이터(운행 데이터)에 적합한 알고리즘을 과도하게 추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 때문에, 비용 함수라고 불리는 지표를 이용해서 알고리즘을 얻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에 있어서도, 비용 함수 J(θ)가 목표값에 도달한 단계 등에서,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보조 기억 장치(902)에 저장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기계 학습부(601)는,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동작 순서로 동작한다.
구체적으로는, 기계 학습부(601)는, 학습 데이터 세트 차원에 있어서 파라미터 이산도(離散度)로 이루어지는 비용 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 세트의 평가를 반복하고, 그 비용 함수가 단조 감소하는지 여부를 검증한다(스텝 S301).
비용 함수가 단조 감소하지 않는 경우(스텝 S301에서 NO)는, 기계 학습부(601)는, 데이터 세트 조정부(603)에 학습 데이터 세트의 순서를 변경하도록 지시하고, 데이터 세트 조정부(603)가 학습 데이터 세트를 기계 학습부(601)에 입력하는 순서를 변경한다(스텝 S302).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학습 데이터 세트의 차원은 8((1) 호출 시각, (2) 호출층, (3) 목적지층, (4) 정지층, (5) 정지 시간, (6) 승객수, (7) 호출 대기 시간, (8) 평일/휴일)이다. 이 경우는, 비용 함수는 반드시 단조 감소한다. 그러나, 비용 함수가 단조 감소하는 경우이더라도, 기계 학습부(601)는, 비용 함수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서, 학습 데이터 세트의 순서를 변경해도 된다.
수속 구배(convergence gradient)가 학습 데이터 세트 전체의 수에 대해서, 완만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계 학습부(601)는, 학습 데이터 세트의 수와 그 이산도로부터, 수속 구배가 타당한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03). 그리고, 수속 구배가 타당하지 않은 경우(스텝 S303에서 NO)는, 기계 학습부(601)는, 새로운 학습 데이터 세트에 대한 연산 가중 계수를 시정한다(스텝 S304).
기계 학습부(601)는, 상기의 조정을 행하면서, 기계 학습을 행해서 운용 관리 알고리즘을 생성한다(스텝 S305).
한편, 기계 학습부(601)는, 제어부(602)에 운용 관리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타이밍에 한하지 않고, 상기의 조정을 적절히 행해도 된다.
도 10은, 제어부(602)의 전체적인 동작 순서를 나타낸다.
제어부(602)는, 커맨드 수신부(605)를 통해서, 엘리베이터 이용자로부터의 호출을 수신한다(스텝 S501).
다음으로, 제어부(602)는, 예를 들면, NTP(Network Time Protocol)를 이용해서, 호출 시각의 타임 스탬프를 취득한다(스텝 S502).
다음으로, 제어부(602)는, 기계 학습부(601)가 기계 학습을 행해서 생성한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실행하고, 엘리베이터 이용자에게 안내하는 안내 엘리베이터 카를 선택한다(스텝 S503).
다음으로, 제어부(602)는, 안내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 요구를 커맨드 송신부(604)에 출력한다(스텝 S504). 커맨드 송신부(604)는, 호출 요구를 안내 엘리베이터 카의 제어반(508)에 송신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602)는, 스텝 S502에서 취득한 타임 스탬프를 데이터 세트 조정부(603)에 출력한다(스텝 S505). 데이터 세트 조정부(603)는, 당해 타임 스탬프를 호출 시각으로서 운행 데이터에 포함시킨다.
다음으로, 스텝 S503의 상세를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어부(602)는, 모든 엘리베이터 카에, 스텝 S602 이후의 처리를 실시 완료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601).
스텝 S602 이후의 처리를 미실시한 엘리베이터 카가 존재하면(스텝 S601에서 NO), 제어부(602)는 스텝 S602의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602)는, 기계 학습부(601)에 의해 생성된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실행하고, 운행 데이터로부터, 당해 엘리베이터 카가, 호출이 행해진 호출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도착 시간을 예측한다(스텝 S602).
다음으로, 제어부(602)는, 스텝 S602에서 예측한 도착 시간이, 예측이 완료된 도착 시간 중에서 최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603).
스텝 S602에서 예측한 도착 시간이 최단의 시간이면(스텝 S603에서 YES), 제어부(602)는, 당해 엘리베이터 카를 안내 엘리베이터 카로서 선택한다. 이미 안내 엘리베이터 카로서 선택되어 있던 엘리베이터 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어부(602)는, 기존의 안내 엘리베이터 카를 무효로 하고, 새롭게 선택한 안내 엘리베이터 카만을 유효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602)는, 모든 엘리베이터 카에 대해서 스텝 S602 이후의 처리를 실시했을 때에(스텝 S601에서 YES) 선택되어 있는 안내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을 행한다(스텝 S605).
또한, 제어부(602)는, 스텝 S602에서 예측한 도착 시간을 이용해서, 호출층에 설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에 대기 시간을 표시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이용자는, 대기 시간을 신속하게 또한 동적으로 알 수 있으므로, 편리성의 향상을 실감할 수 있다.
제어부(602)는,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운트다운 형식으로 대기 시간을 표시 장치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602)는,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래시계 형식으로 대기 시간을 표시 장치에 표시해도 된다.
***실시형태의 효과의 설명***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상황이 나타나는 운행 데이터를 이용한 기계 학습에 의해, 운행 관리 알고리즘이 생성된다. 그리고, 생성된 운행 관리 알고리즘이 실행되어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가 행해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실제의 운행 상황에 적합한 운행 관리 알고리즘에 의해 적절히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를 행할 수 있다.
특히, 빌딩의 테넌트가 변경되어서 사람의 흐름에 변화가 생긴 경우에도,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새로운 사람의 흐름에 적합한 적절한 운행 관리를 행할 수 있다.
한편, 기계 학습부(601)가 출력하는 운행 관리 알고리즘은 복잡하면서 규모가 크다. 1개의 학습 데이터 세트에 있어서의 차원 수가 커지면 사람이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또한, 고장이나 메인터넌스로 엘리베이터 카가 운행을 정지하는 경우, 또는, 엘리베이터 카가,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하는 회송 승강 레인으로 이동할 때에 엘리베이터 카에 사람 및 화물이 남아 있어서 이동할 수 없는 경우에도, 결코 자의적으로 운행 데이터를 변경해서는 안 된다.
또,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페일세이프(fail-safe)가 확보되는 기구는, 종래와 같이 제어반 이하로 닫혀서 담보하지 않으면 안 된다.
한편, 사람 및 화물의 유무의 확인 등은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상 인식 등으로 담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600)가, 통상 승강 레인과 회송 승강 레인이 마련되어 있는 건물에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를 행하는 예를 설명한다.
통상 승강 레인은, 승강로 내에서, 사람 및 화물의 승강을 위해서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하는 통로이다. 회송 승강 레인은, 회송 운행을 위해서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하는 통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로 실시형태 1과의 차이를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고 있지 않는 사항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승강로의 예를 나타낸다.
도 14에서는, 기계실이 있는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하는 승강로의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승강로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에도 적용 가능하다
한편, 실제의 승강로의 설계에 필요해지는 기구는 종래와 같으므로, 이들 기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속기(調速機), 제어 케이블, 보상 체인(compensation chain), 승강장 문턱(landing sill), 토 가드(toe guard), 리미트 스위치,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 인장 풀리(straining pulley),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 세이프티 슈(safety shoe), 카 문턱(car sill), 도어 제어 장치, 비상 정지, 가이드 슈(guide shoe) 등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의 (a)는, 승강로의 측면을 나타낸다. 도 14의 (b)는, 승강로의 전(前)면을 나타낸다.
승강로(101)에는, 통상 승강 레인(1011)과 회송 승강 레인(1012)이 마련되어 있다.
통상 승강 레인(1011)에서는, 엘리베이터 카(105)는 통상 상태로 승강한다. 즉, 통상 상태의 엘리베이터 카(105)는 사람 및 화물을 탑재하는 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회송 승강 레인(1012)에서는, 엘리베이터 카(106) 및 엘리베이터 카(107)는 접혀진 상태로 승강한다. 즉, 접혀진 상태의 엘리베이터 카(106) 및 엘리베이터 카(107)는 사람 및 화물을 탑재하는 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지 않다.
한편, 도 14(b)에 권상기(hoisting machine)(102)와 풀리(103)의 세트가 4세트 있으므로, 승강로(101)에는, 4대의 엘리베이터 카가 존재하고 있다. 도 14(a)에서는, 작도(作圖)상의 편의에 의해, 회송 승강 레인(1012)에는 엘리베이터 카(106) 및 엘리베이터 카(107)의 2대의 엘리베이터 카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회송 승강 레인(1012)에는, 3대의 엘리베이터 카가 존재하고 있다.
통상 승강 레인(1011)에 있는 엘리베이터 카(105)는, 임의의 위치(층상)에서 후퇴해서 회송 승강 레인(1012)에 들어가고, 접혀져서, 엘리베이터 카(106) 또는 엘리베이터 카(107)가 된다. 한편, 회송 승강 레인(1012)에 있는 엘리베이터 카(106) 또는 엘리베이터 카(107)는, 임의의 위치(층상(階床))에서 전진해서 통상 승강 레인(1011)에 들어가고, 전개되어서, 엘리베이터 카(105)가 된다. 즉, 엘리베이터 카(105)와 엘리베이터 카(106) 및 엘리베이터 카(107)는, 임의의 위치(층상)에서 레인을 교체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105), 엘리베이터 카(106) 및 엘리베이터 카(107)는, 각각, 풀리(103)를 개재해서 권상기(102)에 접속된다. 풀리(103)는, 엘리베이터 카가 통상 승강 레인(1011)에 배치되어 있을 때와 엘리베이터 카가 회송 승강 레인(1012)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 위치를 바꾼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105), 엘리베이터 카(106) 및 엘리베이터 카(107)에는, 추(104)가 마련되어 있다.
통상 승강 레인과 회송 승강 레인에는, 각각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어 있다. 접혀져서 회송 승강 레인으로 이동한 엘리베이터 카는 회송 승강 레인의 상방에 다른 엘리베이터 카가 없는 한, 최상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접혀져서 회송 승강 레인으로 이동한 엘리베이터 카는 회송 승강 레인의 하방에 다른 엘리베이터 카가 없는 한, 최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회송 승강 레인에서는, 속도의 제한이 없으므로, 접혀진 엘리베이터 카를 극히 고속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카의 통상 승강 레인과 회송 승강 레인 사이의 이동 방법을 설명한다.
도 15는, 정면에서 본 통상 승강 레인에 있는 엘리베이터 카(201F)와, 정면에서 본 회송 승강 레인에 있는 엘리베이터 카(202F_F)를 나타낸다.
도 16은, 측면에서 본 통상 승강 레인에 있는 엘리베이터 카(201F)와, 측면에서 본 회송 승강 레인에 있는 엘리베이터 카(202F_F)를 나타낸다.
엘리베이터 카의 접기는 힌지 기구(20H)로 실현된다. 또한, 통상 승강 레인과 회송 승강 레인 사이의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은 걸쇠(20K)로 실현된다.
도 17은, 힌지 기구(20H)의 상세를 나타낸다. 도 18은, 걸쇠(20K)의 상세를 나타낸다.
힌지 기구(20H)는 엘리베이터 카의 전면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힌지 기구(20H)는, 힌지(301)와 스텝 모터(302)에 의해 구성된다. 힌지(301)는 스텝 모터(302)에 의해, 통상 승강 레인에서는 90도로, 회송 승강 레인에서는 원리적으로는 180도가 되도록 제어된다. 한편, 엘리베이터 카의 전면 하부, 배면 상부, 배면 하부에도 힌지(301)가 장착된다. 스텝 모터(302)의 능력에 의해 다른 힌지(301)에도 스텝 모터(302)를 배치해도 된다.
도 19는, 엘리베이터 카가 접혀질 때의 중간 과정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호(203F) 및 부호(204S)는 엘리베이터 카가 접기선 2040에서 접혀지는 중간 과정을 나타낸다.
도 18의 걸쇠(20K)에는, 양단에 가이드 레일 유도단(induction end)(303), 가이드 레일에 접촉해서 회전하는 휠(304), 스텝 모터(305)가 배치된다. 상태(306)는, 걸쇠(20K)가 회송 승강 레인의 가이드 레일을 타고 있는 상태이다. 걸쇠(20K)의 다른 쪽도 동일하게 회송 승강 레인의 가이드 레일을 타고 있다. 스텝 모터(305)를 90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걸쇠(20K)는 통상 승강 레인의 가이드 레일을 탄다(상태(307) 또는 상태(308)). 또한, 상태(307)와 같이 걸쇠(20K)가 통상 승강 레인의 가이드 레일을 타고 있는 상태로, 스텝 모터(305)가 90도 회전하면, 걸쇠(20K)는 회송 승강 레인의 가이드 레일을 탄다(상태(306)). 한편, 걸쇠(20H)의 이동에 수반하여 풀리(103)도 통상 승강 레인과 회송 승강 레인 사이를 이동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는, 카가 자주(自走)하는 형식의 엘리베이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60의 기능 구성예 및 하드웨어 구성예는, 실시형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기계 학습부(601)는 실시형태 1에서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기계 학습을 행하고,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생성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어부(602)는 실시형태 1에서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실행하고, 도 14∼도 19를 참조해서 설명한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관리한다.
도 20 및 도 2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부(602)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다.
도 20은, 제어부(602)가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 레인으로부터 회송 승강 레인으로 이동시킬 때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다.
도 21은, 제어부(602)가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 레인으로부터 회송 승강 레인으로 이동시킬 때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다.
도 20에 있어서, 통상 승강 레인에 있는 엘리베이터 카가 지정된 마지막 목적지층에 도달하면(스텝 S901), 제어부(602)는, 당해 엘리베이터 카를 회송 승강 레인으로 이동시킨다(스텝 S902). 어느 엘리베이터 카가 목적지층에 도달했을 때에 당해 층에서 이미 회송 승강 레인에 다른 엘리베이터 카가 있는 경우는, 회송 승강 레인에 있는 엘리베이터 카는 통상 승강 레인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는 층으로 이동하고, 당해 층에서 통상 승강 레인으로 수평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목적지층에 도달한 엘리베이터 카는 회송 승강 레인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호출을 행한 경우에, 이미 호출층을 향하는 엘리베이터 카가 있으면(스텝 S1001에서 YES), 제어부(602)는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호출층을 향하는 엘리베이터 카가 없는 경우(스텝 S1001에서 NO)는, 제어부(602)는, 호출층에 가장 가까운 회송 승강 레인에 있는 엘리베이터 카를 안내 엘리베이터 카로 지정하고, 지정한 안내 엘리베이터 카로 하여금 호출층을 향하게 한다(스텝 S1002).
통상 승강 레인에 존재하는 다른 엘리베이터 카에 의해 안내 엘리베이터 카가 호출층에 도달할 수 없는 경우(스텝 S1003에서 YES)는, 제어부(602)는, 목적지층으로의 통상 승강 레인이 빌 때까지 안내 엘리베이터 카를 대기시킨다(스텝 S1004). 목적지층으로의 통상 승강 레인이 비면, 제어부(602)는, 안내 엘리베이터 카를, 회송 승강 레인으로부터 통상 승강 레인으로 이동시킨다(스텝 S1005).
스텝 S1003에서 YES가 되는 경우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경우가 생각된다.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10층에서 위 방향을 향하는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한 경우에, 제어부(602)가 7층의 회송 승강 레인에 있는 엘리베이터 카를 안내 엘리베이터 카로 해서 호출층인 10층을 향하게 한다. 그러나, 9층의 통상 승강 레인에는 아래 방향을 향하는 엘리베이터 카가 존재한다. 이 경우는, 안내 엘리베이터 카는, 통상 승강로에 있는 아래 방향을 향하는 다른 엘리베이터 카에 의해 10층을 향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제어부(602)는, 다른 엘리베이터 카가 7층을 지나칠 때까지, 안내 엘리베이터 카를 대기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승강로에 통상 승강 레인과 회송 승강 레인이 존재하는 건물에 있어서도, 실제의 운행 상황에 적합한 운행 관리 알고리즘에 의해 적절히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를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편리성을 더 향상시키는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이용자는, 통상, 승강장의 벽면에 설치되는 호출 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도 22에 나타내는 복도(hallway)에 설치되는 제어반(1401)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을 할 수 있다.
제어반(1401)은, 도 1에 나타내는 통신기(509)와 특정 소(小)전력 무선으로 접속되지만, 기능은 종래의 호출 버튼과 동일하다.
도 23은, 제어반(1401)의 조작 화면(1402)을 나타낸다.
도 23의 예에서는, 목적지층이 텐 키(ten-key)로 입력되지만, 상하 버튼으로 목적지층이 입력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목적지층 버튼으로 목적지층이 입력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초고층 빌딩에서는 목적지층 버튼을 스와이프 동작으로 스크롤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실시형태 4.
일본에서의 스마트폰의 보급률은 50%를 초과했다. 스마트폰은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뿐만 아니라, 무선 LAN에 의한 통신과 블루투스(등록상표)에 의한 통신도 가능하다. 그 무선 LAN를 사용한 엘리베이터 호출을 가능하게 하면, 그 엘리베이터 이용자 개인에게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다.
도 24는,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목적지층의 입력 화면(1501)의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25는,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대기 시간의 통지 화면(1502)의 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600)의 제어부(602)는,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휴대 단말 장치인 스마트폰으로부터 목적지층의 등록을 접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600)의 제어부(602)는, 예상되는 대기 시간을, 호출을 행한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스마트폰에 표시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5의 예에서는, 카운트다운 형식으로 대기 시간이 표시되어 있지만, 도 13에 나타내는 모래시계 형식으로 대기 시간이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600)와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스마트폰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지지만, 미지의 엘리베이터 이용자에게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600)로의 액세스를 자유롭게 허가하면 시큐리티상 문제가 있다. 그래서,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스마트폰의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를 RADIUS(Remote Authentication Dial-in User Service) 서버(IEEE 802.1x)에 미리 등록해 둔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스마트폰이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600)에 액세스할 때는, RADIUS 서버로 당해 스마트폰을 인증할 수 있었던 경우에 제어부(602)가 스마트폰에 고정적으로 IP 어드레스를 부여한다. 이후에는, 제어부(602)가 스마트폰에 부여한 IP 어드레스가 이용되어서 제어부(602)와 스마트폰 사이에서 목적지층의 등록 및 대기 시간의 통지가 행해진다. RADIUS 서버는 공지 기술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통상, 근무로 직장에 가는 경우 등은 목적지층은 동일하므로,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스마트폰이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권에 들어가면 자동적으로 엘리베이터 호출을 행한다고 하는 운용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 중, 2개 이상을 조합해서 실시해도 상관없다.
또는, 이들 실시형태 중, 1개를 부분적으로 실시해도 상관없다.
또는, 이들 실시형태 중, 2개 이상을 부분적으로 조합해서 실시해도 상관없다.
한편,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하드웨어 구성의 설명***
마지막으로,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600)의 하드웨어 구성의 보충 설명을 행한다.
도 3에 나타내는 프로세서(901)는, 프로세싱을 행하는 IC(Integrated Circuit)이다.
프로세서(90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메모리(902)는, RAM(Random Access Memory)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보조 기억 장치(903)는,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이다.
도 3에 나타내는 통신 장치(904)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리시버 및 데이터를 송신하는 트랜스미터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904)는, 예를 들면, 통신 칩 또는 NIC(Network Interface Card)이다.
또한, 기계 학습부(601), 제어부(602), 데이터 세트 조정부(603), 커맨드 송신부(604), 커맨드 수신부(605), 운행 데이터 수신부(606), 오퍼레이팅 시스템(607), 네트워크 드라이버(608) 및 스토리지 드라이버(609)의 처리의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나 데이터나 신호값이나 변수값이, 메모리(902), 보조 기억 장치(903), 프로세서(901) 내의 레지스터 및 캐시 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억된다.
또한, 기계 학습부(601), 제어부(602), 데이터 세트 조정부(603), 커맨드 송신부(604), 커맨드 수신부(605), 운행 데이터 수신부(606), 오퍼레이팅 시스템(607), 네트워크 드라이버(608) 및 스토리지 드라이버(609)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은, 자기 디스크, 플렉시블 디스크, 광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블루레이(등록상표) 디스크, DVD 등의 휴대용 기억 매체에 기억되어도 된다.
또한, 기계 학습부(601), 제어부(602), 데이터 세트 조정부(603), 커맨드 송신부(604), 커맨드 수신부(605) 및 운행 데이터 수신부(606)의 「부」를, 「회로」 또는 「공정」 또는 「순서」 또는 「처리」로 바꿔 읽어도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600)는, 로직 IC(Integrated Circuit), GA(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와 같은 처리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프로세서와 메모리의 조합과, 처리 회로의 상위 개념을, 「프로세싱 회로(processing circuitry)」라고 한다.
즉,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프로세서와 메모리의 조합과, 처리 회로는, 각각 「프로세싱 회로」의 구체예이다.
100: 엘리베이터 카, 101: 승강로, 102: 권상기, 103: 풀리, 104: 추, 105: 엘리베이터 카, 106: 엘리베이터 카, 107: 엘리베이터 카, 1011: 통상 승강 레인, 1012: 회송 승강 레인, 506: 표시판, 507: 목적지 버튼, 508: 제어반, 509: 통신기, 510: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 511: 네트워크 스위치, 600: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 601: 기계 학습부, 602: 제어부, 603: 데이터 세트 조정부, 604: 커맨드 송신부, 605: 커맨드 수신부, 606: 운행 데이터 수신부, 607: 오퍼레이팅 시스템, 608: 네트워크 드라이버, 609: 스토리지 드라이버.

Claims (13)

  1.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car)의 운행 관리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상황이 나타나는 운행 데이터를 이용한 기계 학습을 행해서,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에 이용되는 알고리즘인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기계 학습부와,
    상기 기계 학습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실행해서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를 행하는 제어부를 갖는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학습부는,
    상기 운행 관리 알고리즘의 갱신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 갱신 타이밍까지 축적된 운행 데이터를 이용한 기계 학습을 행해서, 상기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갱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계 학습부에 의해 상기 운행 관리 알고리즘이 갱신된 후에는, 갱신 후의 상기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실행해서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학습부는,
    적어도, 호출 시각, 호출층, 목적지층, 정지층, 정지 시간, 승객수, 호출 대기 시간, 엘리베이터 운행일이 평일인지 휴일인지의 정보가 포함되는 운행 데이터를 이용한 기계 학습을 행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학습부는,
    기계 학습을 행해서, 호출이 행해졌을 때의 대기 시간이 가장 짧은 엘리베이터 카를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 중에서 선택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상기 운행 관리 알고리즘으로서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호출이 행해졌을 때에, 상기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실행하고, 대기 시간이 가장 짧은 엘리베이터 카를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 중에서 선택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한 엘리베이터 카가 호출이 행해진 호출층에 도착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상기 호출층에 설치된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한 엘리베이터 카가 호출이 행해진 호출층에 도착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호출을 행한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휴대 단말 장치에 표시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 시간을 카운트다운 형식 및 모래시계 형식 중 적어도 어느 것에 의해 표시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목적지층의 등록을 접수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람 및 화물의 승강을 위해서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하는 통상 승강 레인과, 회송 운행을 위해서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하는 회송 승강 레인이 마련되어 있는 건물에서의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를, 상기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실행해서 행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카가 접혀진 상태로 상기 회송 승강 레인을 승강하는 건물에서의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를, 상기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실행해서 행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도(hallway)에 설치되는 제어반에 의한 호출에 대해서,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
  12.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가,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상황이 나타나는 운행 데이터를 이용한 기계 학습을 행해서,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에 이용되는 알고리즘인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실행해서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방법.
  13.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에,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상황이 나타나는 운행 데이터를 이용한 기계 학습을 행해서,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에 이용되는 알고리즘인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기계 학습 처리와,
    상기 기계 학습 처리에 의해 생성된 상기 운행 관리 알고리즘을 실행해서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관리를 행하는 제어 처리를 실행하게 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프로그램.
KR1020207000003A 2017-07-12 2017-07-12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방법 및 기억 매체에 저장된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프로그램 KR1021271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25412 WO2019012624A1 (ja) 2017-07-12 2017-07-12 エレベータ運行管理装置、エレベータ運行管理方法及びエレベータ運行管理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011A true KR20200008011A (ko) 2020-01-22
KR102127107B1 KR102127107B1 (ko) 2020-06-26

Family

ID=65001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003A KR102127107B1 (ko) 2017-07-12 2017-07-12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방법 및 기억 매체에 저장된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122959A1 (ko)
JP (1) JP6628943B2 (ko)
KR (1) KR102127107B1 (ko)
CN (1) CN110831877B (ko)
DE (1) DE112017007632B4 (ko)
WO (1) WO20190126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5742B2 (en) * 2017-11-09 2020-12-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ervice request using user device with filtered destination floor selection
CN111492371B (zh) * 2017-12-14 2023-05-26 三菱电机株式会社 检索系统和监视系统
CN110182655B (zh) * 2019-06-06 2021-10-08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用于单梯的预测乘客乘梯需求的电梯控制方法
CN111891882B (zh) * 2020-09-09 2023-09-08 金胜昔 一种连续升降机构、连续升降机构的提升方法及竖井
JP2022066665A (ja) * 2020-10-19 2022-05-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パケット難読化装置、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通信パケット難読化方法
CN113247723A (zh) * 2021-06-04 2021-08-13 蒂升电梯(中国)有限公司成都分公司 一种电梯模块控制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594A (ja) 1982-07-09 1984-01-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周波加熱装置
JPH07309541A (ja) 1993-07-27 1995-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交通手段制御装置
JP2001226048A (ja) 2000-02-15 2001-08-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4250123A (ja) * 2003-02-18 2004-09-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待ち時間表示システム
JP2005255289A (ja) * 2004-03-09 2005-09-22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その群管理制御装置
JP2006199394A (ja) 2005-01-18 2006-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2015168520A (ja) * 2014-03-07 2015-09-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呼び登録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6554A (en) * 1976-03-05 1977-09-07 Hitachi Ltd Elevator waiting time indicating system
US5644110A (en) * 1994-12-16 1997-07-0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ervice for dual lobby during up-peak
JPH109541A (ja) 1996-06-24 1998-01-16 Kurimoto Ltd 廃棄物の焼却炉と焼却方法
JP2001247272A (ja) * 2000-03-06 2001-09-1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保守運転装置
KR100567365B1 (ko) * 2002-03-07 2006-04-0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
EP1367018B1 (de) 2002-05-27 2010-10-06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mehreren selbstfahrenden Kabinen und mindestens drei nebeneinander angeordneten Aufzugsschächten
JP2004002020A (ja) * 2002-05-27 2004-01-08 Inventio Ag 数台の自走式かごと少なくとも3つの隣接配置されたエレベータ昇降路とを備えたエレベータ設備
CN1612837A (zh) * 2002-12-24 2005-05-04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4575030B2 (ja) * 2004-05-27 2010-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交通需要予測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エレベータ制御装置
WO2006011876A1 (en) * 2004-06-29 2006-02-02 Otis Elevator Company Programmable adaptable touch screen elevator call devices
JP4570482B2 (ja) * 2005-03-02 2010-10-27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車用エレベーター装置
US8162108B2 (en) * 2006-06-30 2012-04-2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having a limit switch for controlling power to the drive system as an elevator car approaches a shallow pit or a low overhead
KR101115482B1 (ko) * 2006-12-22 2012-03-05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단일 승강로 내에 다수의 차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US8151943B2 (en) * 2007-08-21 2012-04-10 De Groot Pieter J Method of controlling intelligent destination elevators with selected operation modes
CN101774502A (zh) * 2009-01-08 2010-07-14 蒂森克虏伯家用电梯(上海)有限公司 一种可节省空间的家用电梯
JP6210921B2 (ja) * 2014-04-04 2017-10-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予測配車制御方法
CN108483148B (zh) * 2016-08-23 2020-08-21 湖州巨拓电梯配件有限公司 一种连续升降式循环电梯的第二轿厢转运模块
CN206218988U (zh) * 2016-11-30 2017-06-06 日立电梯(成都)有限公司 一种用于电梯救援的逃生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594A (ja) 1982-07-09 1984-01-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周波加熱装置
JPH07309541A (ja) 1993-07-27 1995-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交通手段制御装置
JP2001226048A (ja) 2000-02-15 2001-08-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4250123A (ja) * 2003-02-18 2004-09-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待ち時間表示システム
JP2005255289A (ja) * 2004-03-09 2005-09-22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その群管理制御装置
JP2006199394A (ja) 2005-01-18 2006-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2015168520A (ja) * 2014-03-07 2015-09-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呼び登録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31877B (zh) 2021-12-21
WO2019012624A1 (ja) 2019-01-17
DE112017007632T5 (de) 2020-05-14
CN110831877A (zh) 2020-02-21
US20200122959A1 (en) 2020-04-23
JP6628943B2 (ja) 2020-01-15
DE112017007632B4 (de) 2021-09-02
JPWO2019012624A1 (ja) 2019-12-26
KR102127107B1 (ko)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107B1 (ko)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장치,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방법 및 기억 매체에 저장된 엘리베이터 운행 관리 프로그램
JP5839916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5482797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
US9663324B2 (en) Elevator system with an elevator group-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cars
CN107298351A (zh) 用于控制电梯系统的方法、程序和移动设备
JP6202213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CN112141831B (zh) 电梯的群管理系统
JP6638424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群管理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並びに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
JP5735384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CN105253726B (zh) 电梯群管理系统和电梯控制系统
JP6356297B1 (ja) 群管理制御システム及び群管理制御装置
JP2017222470A (ja) 群管理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6683181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5743627B2 (ja)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システム
CN108689286B (zh) 电梯系统
JP2012188179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5738634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2107318B1 (ko) 엘리베이터용 호출 입력 장치
JP2022072612A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及び乗り場混雑回避制御方法。
JP6194070B1 (ja) エレベータ制御方法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4710229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その群管理制御装置
JP6987932B1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7156473B1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6773608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3091629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