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7365B1 -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7365B1
KR100567365B1 KR1020047001706A KR20047001706A KR100567365B1 KR 100567365 B1 KR100567365 B1 KR 100567365B1 KR 1020047001706 A KR1020047001706 A KR 1020047001706A KR 20047001706 A KR20047001706 A KR 20047001706A KR 100567365 B1 KR100567365 B1 KR 100567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extended
car
elevator
redu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7847A (ko
Inventor
사지키나오히코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7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81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falling by means of safety fences or handrails, being operable or not, mounted on top of the elevator car

Landscapes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에서는 축소위치와 확장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가능한 연장난간이 난간장치 본체에 접속되어 있다. 연장난간을 축소위치로부터 확장위치로 변위시킴으로서, 난간장치 본체 및 연장난간에 의해 둘러싸인 포위범위가 확장된다.
엘리베이터, 카, 연장난간, 승강로, 스페이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HANDRAIL ABOVE CAGE OF ELEVATOR}
본 발명은 카 상부에 설치되고, 카 상부에서의 보수점검작업을 위한 작업영역을 둘러싼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3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카의 한 예를 표시하는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카틀(1)은 한 쌍의 세로틀(2), 세로틀(2)의 하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아래틀 (3) 및 세로틀(2)의 상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위틀(4)을 가지고 있다. 아래틀 (3)상에는 카실(5)이 지지되어 있다. 카실(5)의 전면에는 카출입구(도시않음)를 개폐하는 카의 도어(6)가 배치된다. 카의 도어(6)를 구동하는 도어머신(7)은 카의 도어(6)의 상방에서 위틀(4)에 지지되어 있다. 카본체(8)는 카틀(1), 카실(5), 카의 도어(6) 및 도어머신(7)을 가지고 있다.
또, 위틀(4)에는 접속부재(도시않음)를 통해서 난간장치(9)가 고정되어 있다. 난간장치(9)는 다수의 고정난간(10)을 가지고 있다. 난간장치(9)는 카 상부에서의 보수점검작업을 위한 작업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도어머신(7)을 설치할 때의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해 도어머신 (7)의 상방의 공간은 난간장치(9)에 의해 둘러쌀 수가 없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보다 넓은 작업영역을 둘러쌀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는 카 상부에 설치되고, 카 상부에서의 보수점검작업을 위한 작업영역을 둘러싸는 것으로, 난간장치 본체 및 난간장치 본체에 접속되고, 축소위치와 확장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가능한 연장난간을 구비하고, 연장난간을 축소위치로부터 확장위치로 변위시킴으로서, 난간장치 본체 및 연장난간에 의해 둘러싸인 포위범위가 확장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카 상부 난간장치의 포위범위를 넓힌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카 상부 난간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카 상부 난간장치의 포위범위를 넓힌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 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도 6의 카 상부 난간장치의 포위범위를 넓힌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9는 도 8의 카 상부 난간장치의 포위범위를 넓힌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카 상부 난간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카 상부 난간장치의 포위범위를 넓힌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13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카의 한 예를 표시하는 측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카 상부 난간장치의 포위범위를 넓힌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카 상부 난간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카틀(1)은 한 쌍의 세로틀(2), 세로틀(2)의 하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아래틀(3)(도 13 참조) 및 세로틀(2)의 상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위틀(4)을 가지고 있다. 아래틀(3)상에는 카실(5)이 지지되어 있다. 카실(5)의 전면에는 카출입구(도시않음)를 개폐하는 카의 도어(6)가 배치된다. 카의 도어(6)를 구동하는 도어머신(7)은 카의 도어(6)의 상방에서 위틀(4)에 지지되어 있다. 카본체(8)는 카틀(1), 카실(5), 카의 도어(6) 및 도어머신(7)을 가지고 있다.
위틀(4)에는 난간장치 본체(11)가 세워설치되어 있다. 난간장치 본체(11)는 제1 내지 제3의 고정난간(12 ~ 14)을 가지고 있다. 난간장치 본체(11)의 전단부에는 도 1에 표시하는 축소위치와 도 2에 표시하는 확장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가능한 연장난간(15)이 접속되어 있다. 도 3에서는 확장위치가 실선으로 표시되고, 축소위치가 2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연장난간(15)을 축소위치로부터 확장위치로 변위시킴으로서, 난간장치 본체 (11) 및 연장난간(15)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포위범위가 확장된다. 구체적으로는 연장난간(15)이 축소위치에 있을 때, 도어머신(7)의 상방에 위치하는 도어머신 설치공간(16)은 포위범위의 외측에 위치한다. 또, 연장난간(15)을 축소위치로부터 확장위치로 변위시킴으로서, 도어머신 설치공간(16)이 포위범위에 포함된다.
난간장치 본체(11)에는 연장난간(15)을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본체 부착공 (11a)이 설치되어 있다. 또, 연장난간(15)에는 축소위치에 있을 때에 본체측 부착 공(11a)과 조합되는 다수의 제1의 부착공(15a)과, 확장위치에 있을 때에 본체측 부착공(11a)과 조합되는 다수의 제2의 부착공(15b)이 설치되어 있다. 연장난간(15)은 본체 부착공(11a)과 제1 또는 제2의 부착공(15a),(15b)에 체결구(도시않음)를 통과시킴으로서, 난간장치 본체(11)에 접속되어 있다.
카 상부 난간장치는 난간장치 본체(11)와 연장난간(15)을 갖고, 카본체(8)상에서의 보수점검작업을 위한 작업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에 의하면, 연장난간(15)을 축소위치에 위치시킴으로서, 도어머신(7)의 설치작업을 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다. 또, 도어머신(7)의 설치 후에는 연장난간(15)을 확장위치에 위치시킴으로서, 보다 넓은 작업영역을 둘러쌀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2.
다음,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카 상부 난간장치의 포위범위를 넓힌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난간장치 본체(11)의 전단부에는 도 4에 표시하는 축소위치와 도 5에 표시하는 확장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가능한 연장난간(21)이 접속되어 있다. 연장난간(21)은 확장위치와 축소위치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된다. 고정난간(12),(13)은 연장난간(21)의 슬라이드의 가이드를 겸하고 있다. 또, 난간장치 본체(11)에는 연장난간(21)을 확장위치 및 축소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22)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에 의하면, 연장난간(21)을 축소위치에 위치시킴으로서, 도어머신(7)의 설치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다. 또, 도어머신(7)의 설치 후에는 연장난간(21)을 확장위치에 위치시킴으로서, 보다 넓은 작업영역을 둘러쌀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3.
다음,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도 6의 카 상부 난간장치의 포위범위를 넓힌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난간장치 본체(11)의 전단부에는 도 6에 표시하는 축소위치와 도 7에 표시하는 확장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가능한 연장난간(23)이 접속되어 있다. 연장난간(23)은 평행링크기구를 가지고 있고, 확장위치에서 접혀져서 축소위치로 변위된다.
또, 연장난간(23)에는 요동이 자재로운 암(24)이 설치되어 있다. 또, 난간장치 본체(11)에는 암(24)이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부(25)가 설치되어 있다. 암(24)을 걸어맞춤부(25)에 걸어맞춤시킴으로서, 연장난간(23)은 확장위치에 보존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에 의하면, 연장난간(23)을 축소위치에 위치시킴으로서, 도어머신(7)의 설치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다. 또, 도어머신(7)의 설치 후에는 연장난간(23)을 확장위치에 위치시킴으로서, 보다 넓은 작업영역을 둘러쌀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4.
다음,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9는 도 8의 카 상부 난간장치의 포위범위를 넓힌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카 상부 난간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난간장치 본체(11)의 전단부에는 도 8에 표시하는 축소위치와 도 9에 표시하는 확장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가능한 연장난간(26)이 접속되어 있다. 도 10에서는 확장위치가 실선으로 표시되고, 축소위치가 2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연장난간(26)은 제1의 측부 난간(27), 제2의 측부 난간(28), 제1의 전부(前部) 난간(29) 및 제2의 전부 난간(30)을 가지고 있다. 제1의 측부 난간(27)은 수직인 축(27a)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가능하게 제1의 고정난간(12)에 접속되어 있다. 제2의 측부 난간(28)은 수직인 축(28a)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가능하게 제2의 고정난간(13)에 접속되어 있다.
제1의 전부 난간(29)은 수직인 축(29a)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가능하게 제1의 측부 난간(27)에 접속되어 있다. 제2의 전부 난간(30)은 수직인 축(30a)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가능하게 제2의 측부 난간(28)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및 제2의 전부 난간(29),(30)은 수직인 굴곡축(31)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가능하게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제1 및 제2의 측부 난간(27),(28)에는 다수의 걸어맞춤부(3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의 고정난간(12),(13)에는 걸어맞춤부(32)에 걸어맞춤하는 다수의 훅(33)이 설치되어 있다.
연장난간(26)은 제1 및 제2의 측부 난간(27),(28)을 요동시킴으로서, 확장위치와 축소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된다. 또, 변위의 도중에서는 제1 및 제2의 전부 난간(29),(30)이 굴곡축(31)에서 굴곡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에 의하면, 연장난간(26)을 축소위치에 위치시킴으로서, 도어머신(7)의 설치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다. 또, 도어머신(7)의 설치 후에는 연장난간(26)을 확장위치에 위치시킴으로서, 보다 넓은 작업영역을 둘러쌀 수가 있다.
또, 전부 난간을 생략하고, 측부 난간만을 갖는 연장난간을 사용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체인 등의 가요성을 갖는 부재에 의해 전부 난간을 구성해도 된다.
실시의 형태 5.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카 상부 난간장치의 포위범위를 넓힌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제1 내지 제3의 고정난간(12 ~ 14)이 각각 수평인 축(34)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로써, 제1 내지 제3의 고정난간(12 ~ 14)은 카본체(8)상에 눕히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연장난간(26)의 전부 난간(도시않음)으로는 체인 등의 가요성을 갖는 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또, 전부 난간은 생략해도 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4와 같다.
이와 같은 카 상부 난간장치에서는 보수점검시 이외는 난간장치 본체(11)를 접어서 카본체(8)상에 눕힐 수가 있으므로 통상 운전시에는 카 상부 난간장치를 포함하는 카 전체의 높이를 낮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승강로내의 정상부 극간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또, 연장난간(26)을 수축위치로 난간장치 본체(11)를 눕힘으로서, 눕힌 상태의 카 상부 난간장치가 점유하는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가 있다.

Claims (3)

  1. 카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카 상부에서의 보수점검작업을 위한 작업영역을 둘러싼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로서,
    난간장치 본체, 및
    상기 난간장치 본체에 접속되고, 축소위치와 확장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한 연장난간
    을 구비하고,
    상기 연장난간을 상기 축소위치로부터 상기 확장위치로 변위시킴으로서, 상기 난간장치 본체 및 상기 연장난간에 의해 둘러싸인 포위범위가 확장되고,
    상기 연장난간이 상기 축소위치에 있을 때, 카의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머신의 상방에 위치하는 도어머신 설치공간은, 상기 포위범위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연장난간을 상기 축소위치로부터 상기 확장위치로 변위시킴으로서, 상기 도어머신 설치공간이 상기 포위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난간은 상기 축소위치와 상기 확장위치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
KR1020047001706A 2002-03-07 2002-03-07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 KR1005673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2140 WO2003074410A1 (fr) 2002-03-07 2002-03-07 Main courante placee au-dessus de la cage d'un ascen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847A KR20040017847A (ko) 2004-02-27
KR100567365B1 true KR100567365B1 (ko) 2006-04-03

Family

ID=27773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706A KR100567365B1 (ko) 2002-03-07 2002-03-07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481936B1 (ko)
JP (1) JP4161072B2 (ko)
KR (1) KR100567365B1 (ko)
CN (1) CN1283543C (ko)
WO (1) WO20030744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9016B2 (ja) * 2004-03-01 2011-01-2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展望エレベータの作業台装置
KR100608308B1 (ko) * 2004-11-11 2006-08-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랫폼 핸드레일의 자동화 장치
KR100866193B1 (ko) * 2007-02-06 2008-10-3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칸 상의 핸드레일 장치
JP2008285266A (ja) * 2007-05-16 2008-11-2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かご上作業用安全装置
JP5033496B2 (ja) * 2007-06-13 2012-09-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り装置
CN101948067A (zh) * 2010-08-25 2011-01-19 康力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轿顶护栏
WO2016135922A1 (ja) * 2015-02-26 2016-09-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KR20180002510A (ko) * 2016-06-29 2018-01-08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를 위한 조절가능한 핸드레일 시스템 및 조절 방법
JP6628943B2 (ja) * 2017-07-12 2020-01-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運行管理装置、エレベータ運行管理方法及びエレベータ運行管理プログラム
JP6673609B2 (ja) * 2018-01-10 2020-03-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かご上手摺
CN111362085B (zh) 2018-12-26 2022-12-20 奥的斯电梯公司 栏杆组件、轿厢和电梯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8760U (ja) * 1982-03-15 1983-09-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据付け用作業床装置
JPH0242704Y2 (ko) * 1986-04-30 1990-11-14
JPH0649577Y2 (ja) * 1987-11-27 1994-12-1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エレベータの保守運転装置
JPH01281281A (ja) * 1988-05-06 1989-11-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かご上安全さく
JPH04292386A (ja) * 1991-03-20 1992-10-16 Toshiba Corp 油圧エレベータかごの安全柵
JP2888394B2 (ja) * 1992-07-14 1999-05-10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の作業床
JPH08198549A (ja) 1995-01-23 1996-08-06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のかご上足場装置
US5683074A (en) * 1995-04-14 1997-11-04 Purvis; Harrison G. Temporary guardrail system
JP4245209B2 (ja) * 1998-09-03 2009-03-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べー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81936A4 (en) 2010-03-24
JPWO2003074410A1 (ja) 2005-06-23
KR20040017847A (ko) 2004-02-27
EP1481936B1 (en) 2012-02-01
JP4161072B2 (ja) 2008-10-08
CN1533357A (zh) 2004-09-29
WO2003074410A1 (fr) 2003-09-12
EP1481936A1 (en) 2004-12-01
CN1283543C (zh) 200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7365B1 (ko)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 난간장치
JP4849712B2 (ja) エレベータ
JP4261368B2 (ja) エレベータ主索伸び補償装置
CN110709344B (zh) 电梯
JP2017066809A (ja) 車両飛び込み防止装置とその運転方法
JP2001302138A (ja) エレベーターの主索装置
KR20030020969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2567005B1 (ko) 개선된 엘리베이터용 에이프런 장치
JP409132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481947B1 (ko) 상부 승강장에 바닥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기계실 노출식 경사형 엘리베이터
JP430383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9194048A (ja) ホームドア
JP2008162769A (ja) エレベータの乗客救出装置
JP2005008335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505628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タ
EP1329411A1 (en) Elevator device
JPH0769559A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1226056A (ja) エレベータ装置
JP6300715B2 (ja) エレベータ用足場装置
RU226885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полнения работ в шахте лифта
JP2004142853A (ja) エレベータ装置
JP4058915B2 (ja) エレベータ機器の吊り上げ装置
JPH07267551A (ja) ダムウェータ
JP644086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456203B2 (ja) 折畳式ハッチ及び昇降式手摺を備えた可動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