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947B1 - 상부 승강장에 바닥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기계실 노출식 경사형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상부 승강장에 바닥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기계실 노출식 경사형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947B1
KR102481947B1 KR1020210007039A KR20210007039A KR102481947B1 KR 102481947 B1 KR102481947 B1 KR 102481947B1 KR 1020210007039 A KR1020210007039 A KR 1020210007039A KR 20210007039 A KR20210007039 A KR 20210007039A KR 102481947 B1 KR102481947 B1 KR 102481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room
upper platform
traction
traction rop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4566A (ko
Inventor
이재복
Original Assignee
(주)금호엘리베이터
이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호엘리베이터, 이재복 filed Critical (주)금호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210007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947B1/ko
Publication of KR20220104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75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positively attached to a winding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6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 B66B9/08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associated with stairways, e.g. for transporting disabled persons
    • B66B9/0807Driving mechanisms
    • B66B9/083Pull cable, pull ch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승강장에 매설형 기계실을 설치하지 못하는 여건 시 기계실을 상부 승강장의 바닥면에 노출 시킴과 동시에 그 노출된 기계실과 탑승 카와 연결되는 견인 로프를 상부 승강장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바닥 가이드 모듈에 의해 견인에 따른 상하좌우로의 유동성을 방지하면서 간편하게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탑승 카가 도착하는 위치의 상부 승강장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마련되는 노출 기계실 부스; 및 상기 상부 승강장 바닥면에 형성되는 설치로, 상기 설치로의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유동방지 가이드 롤러가 구비되는 바닥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상부 승강장에 바닥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기계실 노출식 경사형 엘리베이터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경사형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현장 조건에 따라 매설형 또는 노출식 기계실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편리한 효과를 가짐과 아울러 탑승 카의 견인 또한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Description

상부 승강장에 바닥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기계실 노출식 경사형 엘리베이터{Machine room exposed inclined elevator including a floor guide module in the upper platform}
본 발명은 기계실 노출식 경사형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상부 승강장에 매설형 기계실을 설치하지 못하는 여건 시 기계실을 상부 승강장의 바닥면에 노출 시킴과 동시에 그 노출된 기계실과 탑승 카와 연결되는 견인 로프를 상부 승강장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바닥 가이드 모듈에 의해 견인에 따른 상하좌우로의 유동성을 방지하면서 간편하게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상부 승강장에 바닥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기계실 노출식 경사형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사형 엘리베이터는 하천의 경사로나 산간지역, 특히 지하철 등의 경사갱도에 승강로를 마련하고 그 경사진 승강로에 탑승 카를 사행으로 승강하도록 하면서 사람 또는 물건 등을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특히, 경사형 엘리베이터는 비교적 단거리 운반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설치되는 위치적인 특성상 대부분이 하부 구동방식이 적용된다. 즉, 승강로 상에 마련되는 상 가이드레일 상에서 탑승 카의 하부에 구비되는 카 롤러가, 상기 상 가이드레일의 하부에 균형추 대차가 롤러에 의해 승강되는 하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는 레일 구조체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탑승 카의 승강을 위해 탑승 카와 균형추 대차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견인 로프가 연결되는 기계실은 상부 승강장의 바닥면에는 권상기 등을 포함하는 매설형 기계실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매설형 기계실을 구비하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와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390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567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60374호 등에 게시된 바 있다(이하 '선행기술문헌들'이라고 한다).
이러한 선행기술문헌들과 같이 경사형 엘리베이터는 탑승 카의 승강을 위해 마련되는 기계실이 상부 승강장의 바닥면에 매설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하천의 경사로나 산간지역, 특히 지하철 등의 경사갱도에 상부 승강장의 위치에 암반 등이 위치하였을 경우, 승강로 전체를 다시 다른 위치로 설계해야 함은 물론 그로 인한 부수적인 작업 또한 수반(隨伴)됨으로 인한 상당히 비경제적인 공사를 반복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390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567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60374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상부 승강장에 매설형 기계실을 설치하지 못하는 여건 시 기계실을 상부 승강장의 바닥면에 노출 시킴과 동시에 그 노출된 기계실과 탑승 카와 연결되는 견인 로프를 상부 승강장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바닥 가이드 모듈에 의해 견인에 따른 상하좌우로의 유동성을 방지하면서 간편하게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상부 승강장 바닥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기계실 노출식 경사형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견인 로프의 견인이 더욱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유지관리의 편리성은 물론 부품 교체 또한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은 승강로 상에서 기계실 내의 권상기에 감싸진 견인 로프에 의해 견인되면서 승강되는 탑승 카를 포함하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탑승 카가 도착하는 위치의 상부 승강장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마련되는 노출 기계실 부스; 및 상기 상부 승강장의 바닥면에 상부 측의 승강로 끝단과 노출 기계실 부스 사이에 개폐 덮개를 포함하여 상기 노출 기계실 부스 내의 권상기에 감싸지는 견인 로프가 수용되는 설치로, 상기 설치로의 내부에 탑승 카 견인에 따른 그 설치로 상에 수용되어 견인되는 견인 로프의 유동성을 방지하고자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복수 개의 유동방지 가이드 롤러가 구비되는 바닥 가이드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설치로는 상부 승강장의 바닥면에 상면이 개방된 홈 형태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 금속이나 합성수지에 의해 제작되어 상부 승강장 바닥면에 매설되며, 상기 개폐 덮개는 설치로의 양 측면 상단에 구비되는 받침구에 올려져 개폐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 가이드 모듈은 설치로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소정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장착 브래킷, 상기 장착 브래킷 사이에 견인 로프를 사이가 두고 상하로 한 쌍의 가이드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는 축 형태로 견인 로프가 맞닿는 각각의 가이드 홈이 마련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 중 권상기를 거쳐 탑승 카의 프레임에 연결되는 견인 로프를 견인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는 장착 브래킷의 상부에 위치하며, 권상기를 거쳐 균형추 대차와 연결되는 견인 로프를 견인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는 장착 브래킷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탑승 카의 프레임과 연결되는 견인 로프를 견인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와 균형추 대차와 연결되는 견인 로프를 견인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는 하나 건너 하나씩 교호(交互)로 배치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부 승강장에 매설형 기계실을 설치하지 못하는 여건 시 기계실을 상부 승강장의 바닥면에 노출 시킴과 동시에 그 노출된 기계실과 탑승 카와 연결되는 견인 로프를 상부 승강장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바닥 가이드 모듈에 의해 견인에 따른 상하좌우로의 유동성을 방지하면서 간편하게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사형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현장 조건에 따라 매설형 또는 노출식 기계실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편리한 효과를 가짐과 아울러 탑승 카의 견인 또한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한, 견인 로프의 견인이 더욱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 카의 승강이 더욱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유지관리의 편리성은 물론 부품 교체 또한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상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이 경사형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일부 측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다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닥 가이드 모듈 중 탑승 카와 연결되는 견인 로프에 적용되는 가이드 롤러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닥 가이드 모듈 중 균형추 대차와 연결되는 견인 로프에 적용되는 가이드 롤러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경사형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일부 측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다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닥 가이드 모듈 중 탑승 카와 연결되는 견인 로프에 적용되는 가이드 롤러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닥 가이드 모듈 중 균형추 대차와 연결되는 견인 로프에 적용되는 가이드 롤러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형 엘리베이터(100)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하천의 경사로나 산간지역, 특히 지하철 등의 경사갱도에 승강로를 마련하고 그 경사진 승강로에 탑승 카를 사행으로 승강하도록 하면서 사람 또는 물건 등을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특히, 경사형 엘리베이터(100)는 비교적 단거리 운반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설치되는 위치적인 특성상 대부분이 하부 구동방식이 적용된다. 즉, 승강로(110) 상에 마련되는 상 가이드레일 상에서 탑승 카의 하부에 구비되는 카 롤러가, 상기 상 가이드레일의 하부에 균형추 대차(도시하지 않음)가 롤러에 의해 승강되는 하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는 레일 구조체(112)를 포함한다.
더욱이, 경사형 엘리베이터(100)는 하부 구동방식이 적용됨으로 인해 탑승 카(120)의 승강을 위해 마련되는 기계실이 상부 승강장의 바닥면에 매설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기계실에는 권상기를 포함함과 아울러 권상기에 감싸진 견인 로프의 일단은 탑승 카의 프레임에 연결되며, 타단은 균형추 대차와 연결되어 견인에 되면서 탑승 카를 승강시킨다.
그러나 하천의 경사로나 산간지역, 특히 지하철 등의 경사갱도에 상부 승강장의 위치에 암반 등이 위치하였을 경우, 승강로 전체를 다시 다른 위치로 설계해야 함은 물론 그로 인한 부수적인 작업 또한 수반(隨伴)됨으로 인한 상당히 비경제적인 공사를 반복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부 승강장에 매설형 기계실을 설치하지 못하는 여건 시 기계실을 상부 승강장의 바닥면에 노출 시킴과 동시에 그 노출된 기계실과 탑승 카와 연결되는 견인 로프를 상부 승강장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바닥 가이드 모듈에 의해 견인에 따른 상하좌우로의 유동성을 방지하면서 간편하게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상부 승강장 바닥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기계실 노출식 경사형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실 노출식 경사형 엘리베이터(100)는 노출 기계실 부스(10) 및 바닥 가이드 모듈(20)을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노출 기계실 부스(10)는 승강로(110)의 탑승 카(120)가 도착하는 위치의 상부 승강장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마련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에서, 노출 기계실 부스(10)의 내부에는 권상기는 물론 필요로 하는 여러 기기 등이 마련되는 것으로, 일측에 출입 도어(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며, 패널 조립체에 의해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노출 기계실 부스(10)는 탑승 카(120)가 도착하는 상부 승강장으로부터 탑승자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의 대략 2~3m 정도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탑승 카가 도착하는 위치와 너무 가깝게 할 경우, 탑승자에게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너무 멀리할 경우, 견인에 따른 큰 부하 발생은 물론 설치 비용 또한 추가로 인해 2~3m 이내가 적정하다.
바닥 가이드 모듈(20)은 상기 상부 승강장의 바닥면에 상부 측의 승강로(110) 끝단과 노출 기계실 부스(10) 사이에 개폐 덮개(22A)를 포함하여 상기 노출 기계실 부스(10) 내의 권상기에 감싸지는 견인 로프(R)가 수용되는 설치로(22)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로는 견인 로프가 수용되는 깊이를 가진다. 상기 개폐 덮개는 설치로에 설치되는 후술하는 가이드 롤러 등의 이상 시 신속하게 개방시켜 교체나 수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부 승강장 바닥면에 구비되는 설치로(22)는 상부 승강장의 바닥면에 상면이 개방된 홈 형태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 금속이나 합성수지에 의해 제작되어 상부 승강장 바닥면에 매설되며, 상기 개폐 덮개(22A)는 설치로(22)의 양 측면 상단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앵커 볼트나 브래킷, 받침 블록이나 받침 프레임 등과 같은 받침구에 올려져 개폐되는 것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설치로는 경사형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작업 조건에 따라 상부 승강장 바닥면에 홈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홈에 별도로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금속 또는 합성수지에 의해 제작된 것을 매입하여도 무방하다.
아울러, 상기 설치로(22)의 내부에 탑승 카(120) 견인에 따른 그 설치로(22) 상에 수용되어 견인되는 견인 로프(R)의 유동성을 방지하고자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복수 개의 유동방지 가이드 롤러(24)가 구비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다시 말해서, 상기 설치로 상의 견인 로프가 상하좌우로 유동시 탑승 카의 견인에 따른 승강시 안정적으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없는 관계로, 설치로 내의 견인 로프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닥 가이드 모듈(20)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은 설치로(22)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소정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장착 브래킷(23)과, 상기 장착 브래킷(23) 사이에 견인 로프(R)를 사이가 두고 상하로 한 쌍의 가이드 롤러(24)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24)는 축 형태로 견인 로프(R)가 맞닿는 각각의 가이드 홈(24A)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하에 위치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는 견인 로프를 상부와 하부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견인 로프가 견인되는 과정에서 상하는 물론 좌우로의 유동성을 가이드 홈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안정적인 견인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는 결국 탑승 카의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적 구성에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24) 중 권상기를 거쳐 탑승 카(120)의 프레임에 연결되는 견인 로프(R)를 견인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24)는 장착 브래킷(23)의 상부에 위치하며, 권상기를 거쳐 균형추 대차와 연결되는 견인 로프(R)를 견인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24)는 장착 브래킷(23)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견인 로프는 권상기를 기준하여 감싸진 상태에서 일단은 탑승 카의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은 균형추 대차에 연결됨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다.
그에 따라 탑승 카의 프레임에 연결되는 견인 로프는 상부 측에, 균형추 대차에 연결되는 견인 로프는 하부 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장착 브래킷의 높이 또한 각각의 가이드 롤러가 설치되는 위치의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탑승 카(120)의 프레임과 연결되는 견인 로프(R)를 견인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24)와 균형추 대차와 연결되는 견인 로프(R)를 견인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R)는 하나 건너 하나씩 교호(交互)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각각의 가이드 롤러를 하나 건너 하나씩 교호로 배치함에 따라 견인되는 견인 로프가 최소한의 간격으로 배치됨은 물론 유동성을 최소화하면서 더욱더 안정적으로 견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상부 승강장에 매설형 기계실을 설치하지 못하는 여건 시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기계실을 노출시켜 마련하고 기계실에 연결되는 견인 로프 또한 바닥 가이드 모듈에 의해 유동성 없이 안정적으로 견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 카의 승강 또한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그에 따라 현장 조건에 따라 본 발명의 노출된 기계실을 적용할 수 있어, 현실적으로 활용성이 높은 조건 또한 가진다.
10 : 노출 기계실 부스 20 : 바닥 가이드 모듈
22 : 설치로 22A : 개폐 덮개
23 : 장착 브래킷 24 : 가이드 롤러
24A : 가이드 홈
100 : 경사형 엘리베이터
110 : 승강로 112 : 레일 구조체
120 : 탑승 카

Claims (5)

  1. 승강로 상에서 기계실 내의 권상기에 감싸진 견인 로프에 의해 견인되면서 승강되는 탑승 카를 포함하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탑승 카가 도착하는 위치의 상부 승강장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마련되는 노출 기계실 부스; 및
    상기 상부 승강장의 바닥면에 상부 측의 승강로 끝단과 노출 기계실 부스 사이에 개폐 덮개를 포함하여 상기 노출 기계실 부스 내의 권상기에 감싸지는 견인 로프가 수용되는 설치로, 상기 설치로의 내부에 탑승 카 견인에 따른 그 설치로 상에 수용되어 견인되는 견인 로프의 유동성을 방지하고자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복수 개의 유동방지 가이드 롤러가 구비되는 바닥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상부 승강장에 바닥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기계실 노출식 경사형 엘리베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로는 상부 승강장의 바닥면에 상면이 개방된 홈 형태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 금속이나 합성수지에 의해 제작되어 상부 승강장 바닥면에 매설되며, 상기 개폐 덮개는 설치로의 양 측면 상단에 구비되는 받침구에 올려져 개폐되는 것을 포함하는 상부 승강장에 바닥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기계실 노출식 경사형 엘리베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가이드 모듈은 설치로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소정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장착 브래킷, 상기 장착 브래킷 사이에 견인 로프를 사이가 두고 상하로 한 쌍의 가이드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는 축 형태로 견인 로프가 맞닿는 각각의 가이드 홈이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는 상부 승강장에 바닥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기계실 노출식 경사형 엘리베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 중 권상기를 거쳐 탑승 카의 프레임에 연결되는 견인 로프를 견인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는 장착 브래킷의 상부에 위치하며, 권상기를 거쳐 균형추 대차와 연결되는 견인 로프를 견인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는 장착 브래킷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부 승강장에 바닥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기계실 노출식 경사형 엘리베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카의 프레임과 연결되는 견인 로프를 견인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와 균형추 대차와 연결되는 견인 로프를 견인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는 하나 건너 하나씩 교호(交互)로 배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상부 승강장에 바닥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기계실 노출식 경사형 엘리베이터.
KR1020210007039A 2021-01-18 2021-01-18 상부 승강장에 바닥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기계실 노출식 경사형 엘리베이터 KR102481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039A KR102481947B1 (ko) 2021-01-18 2021-01-18 상부 승강장에 바닥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기계실 노출식 경사형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039A KR102481947B1 (ko) 2021-01-18 2021-01-18 상부 승강장에 바닥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기계실 노출식 경사형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566A KR20220104566A (ko) 2022-07-26
KR102481947B1 true KR102481947B1 (ko) 2022-12-29

Family

ID=82609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039A KR102481947B1 (ko) 2021-01-18 2021-01-18 상부 승강장에 바닥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기계실 노출식 경사형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9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387B1 (ko) * 2023-11-08 2024-01-25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탑승카 출입문 방향과 기계실의 위치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는 경사형 엘리베이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2109A (ja) 2003-03-27 2004-10-21 Toshiba Elevator Co Ltd 斜行エレベー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9289A (ja) * 1990-11-21 1992-07-07 Hitachi Ltd 斜行エレベータのロープガイド装置
KR100539086B1 (ko) 2004-03-11 2005-12-27 주식회사 금호엘리베이터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침수방지 방법 및 장치
KR101235674B1 (ko) 2012-06-15 2013-02-26 서울메트로 경사형 엘리베이터
KR102160374B1 (ko) 2020-03-11 2020-09-25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탑승카 기울어짐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자동 틸팅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2109A (ja) 2003-03-27 2004-10-21 Toshiba Elevator Co Ltd 斜行エレベ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566A (ko)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4988B1 (ko) 로프 리스 엘리베이터
WO2014136171A1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KR102308534B1 (ko)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
JP2017512151A (ja) 電車プラットホーム安全装置
KR102481947B1 (ko) 상부 승강장에 바닥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기계실 노출식 경사형 엘리베이터
US11845638B2 (en)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system
JP2004504239A (ja) 最小のビル空間を使用するエレベータ装置
CN107555289B (zh) 无机房电梯的改装方法及无机房电梯
KR100930021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장치
KR101923925B1 (ko) 크레인 장착형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
JP2006347727A (ja) エレベータ装置の改修方法
JP2505628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タ
JP5748538B2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及びエレベータ
JP4195063B2 (ja) エレベーター
RU39587U1 (ru) Подъемник грузовой
JP2875603B2 (ja) 工事用昇降装置
KR102443566B1 (ko) 수직개폐형 도어패널의 추락을 방지하고 도어 개폐시간을 단축시킨 대형 및 초대형 엘리베이터
KR101325534B1 (ko) 화물용 호이스트를 구비하는 건설용 엘리베이터
CN219823327U (zh) 一种曳引下置式施工升降机的沉重梁
KR102629387B1 (ko) 탑승카 출입문 방향과 기계실의 위치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는 경사형 엘리베이터
JP6440862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1936408B (zh) 电梯曳引机用机座固定装置
WO2022230140A1 (ja) エレベーターおよび昇降行程延伸方法
JP4072342B2 (ja) 並設エレベーター装置
JP4914030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