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686A - 용기 및 용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용기 및 용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686A
KR20190134686A KR1020197031735A KR20197031735A KR20190134686A KR 20190134686 A KR20190134686 A KR 20190134686A KR 1020197031735 A KR1020197031735 A KR 1020197031735A KR 20197031735 A KR20197031735 A KR 20197031735A KR 20190134686 A KR20190134686 A KR 20190134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container
cover
edg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키코 다카하시
가오루 와타나베
히로시 이시카와
사토시 다키모토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06575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816785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06585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816785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8712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9059522A/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4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6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3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by means of an element bursting upon a predetermined pressure in the container being excee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65D77/2044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 B65D77/204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whereby part of the container or cover has been weakened, e.g. perforated or precut
    • B65D77/205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whereby part of the container or cover has been weakened, e.g. perforated or precut the container being weake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65D77/2044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 B65D77/204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whereby part of the container or cover has been weakened, e.g. perforated or precut
    • B65D77/2056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whereby part of the container or cover has been weakened, e.g. perforated or precut the cover being weake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25Pressure relief-valves incorporated in a container wall, e.g. valves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ic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65D77/38Weakened closure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53Rigid containers, e.g. trays, bottles, boxes,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98/00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B32B2398/20Thermo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합장부의 선단부로부터 용기의 내부에 잡균 등이 혼입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한다. 용기는, 수용부를 규정하는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를 갖는 본체부와, 수용부를 덮도록 본체부의 플랜지부에 외연 시일부를 통해 접합된 덮개부로서, 일부분이 서로 겹치도록 폴딩부에서 되접어 꺾인 덮개재에 의해서 구성된 덮개부를 구비한다. 덮개부는, 덮개재의 일부분이 서로 겹침과 더불어 덮개부의 일측의 가장자리부에서부터 타측의 가장자리부까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합장부와, 합장부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며, 덮개재에 의해서 구성된 제1 덮개부 및 제2 덮개부를 갖는다. 합장부는, 덮개부의 일측의 가장자리부에서부터 타측의 가장자리부까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덮개재의 일부분의 내면끼리 접합된 합장 시일부와, 합장 시일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 또는 절결을 포함하는 증기 통과부를 포함한다. 합장 시일부의 시일 강도는 외연 시일부의 시일 강도보다도 낮다.

Description

용기 및 용기의 제조 방법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몸통부 및 플랜지부를 갖는 본체부와, 플랜지부에 접합된 덮개부를 구비하는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리 완료된 식품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수용부를 규정하는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를 갖는 본체부와, 플랜지부에 접합된 덮개부를 구비하는 용기가 알려져 있다. 용기에는, 전자레인지 등에 의해서 내용물이 가열될 때에 발생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증기 빼기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용기에 있어서, 증기 빼기 기구는, 덮개부의 맞댐부(합장부)의 증기 빼기 시일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4911030호 공보
상술한 특허문헌 1에서는, 2장의 다층 필름의 일부분의 내면끼리를 서로 겹침으로써 합장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합장부의 선단부에 있어서 다층 필름의 단부가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합장부의 선단부에서 용기의 내부로 잡균 등이 혼입되어 버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이러한 과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용기는,
상기 수용부를 규정하는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수용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기 플랜지부에 외연 시일부를 통해 접합된 덮개부로서, 일부분이 서로 겹치도록 폴딩부에서 되접어 꺾여진 덮개재에 의해 구성된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재의 상기 일부분이 서로 겹침과 더불어 상기 덮개부의 일측의 가장자리부에서부터 타측의 가장자리부까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합장부와, 상기 합장부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며 상기 덮개재에 의해서 구성된 제1 덮개부 및 제2 덮개부를 가지고,
상기 합장부는, 상기 덮개부의 일측의 가장자리부에서부터 타측의 가장자리부까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덮개재의 상기 일부분의 내면끼리 접합된 합장 시일부와, 상기 합장 시일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 또는 절결을 포함하는 증기 통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합장 시일부의 시일 강도는 상기 외연 시일부의 시일 강도보다도 낮다.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D1)에 있어서 대향하는 상기 외연 시일부의 내연 사이의 최대 거리는,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상기 외연 시일부의 내연 사이의 최대 거리보다도 작게 되어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는 제1 가장자리부 및 제2 가장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합장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수용부의 중심점보다도 상기 제1 가장자리부 측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기 수용부의 중심점과 상기 제1 가장자리부를 따르는 상기 외연 시일부의 내연 사이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거리를 L1로 나타내고, 상기 합장부의 기초부와 상기 제1 가장자리부를 따르는 상기 외연 시일부의 내연 사이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거리를 L2로 나타내는 경우, L2/L1이 0.3 이상 또한 0.6 이하라도 좋다.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용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25℃일 때의 15 mm 폭에 있어서의 상기 합장 시일부의 시일 강도가 12 N 이하이다.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증기 통과부는, 상기 합장부의 상기 폴딩부에 도달하지 않게 상기 합장 시일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갖고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증기 통과부는, 상기 합장부의 상기 폴딩부에 있어서 상기 합장 시일부에 형성된 상기 절결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중심점을 지나 외연 시일부의 외연의 2점을 연결했을 때에 최소 거리가 되는 축을 A축으로 하고, 수용부의 중심점을 지나 A축과 직교하도록 외연 시일부의 외연의 2점을 연결한 축을 B축으로 했을 때에, A축의 길이가 B축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합장부는, 상기 수용부를 가로지름과 더불어 B축을 따르도록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용기에 있어서, A축의 길이에 대한 B축의 길이의 비는 1.2 이상 3.0 이하라도 좋다.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는 바닥재는, 상기 수용부 측에 위치하는 내면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층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에 적층된 기초재를 적어도 가지고,
상기 바닥재의 상기 기초재가 연신 필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가 인쇄층을 추가로 갖고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인장 강도가 40 MPa 이상이라도 좋다.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용기는, 상기 덮개부 및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된 개봉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덮개부의 인열 강도가 15 N 이하라도 좋다.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가장자리부 및 제2 가장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봉 수단은, 상기 제1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상기 외연 시일부보다도 내측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상기 플랜지부를 인열하기 쉽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개봉 수단은, 적어도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된 노치 또는 상흔군(傷痕群)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며, 또한 수용부의 압력이 증가했을 때에 상기 수용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구성된 증기 통과부를 구비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수용부를 규정하는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갖는 본체부를 준비하는 본체부 준비 공정과,
상기 본체부의 상기 몸통부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공정과, 상기 수용부를 덮기 위한 덮개부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덮개부를 상기 본체부의 플랜지부에 접합하여 외연 시일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를 준비하는 공정은, 덮개부를 구성하기 위한 덮개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덮개재의 일부분이 서로 겹치도록 상기 덮개재를 폴딩부에서 되접어 꺾어 합장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합장부에 있어서 상기 덮개재의 상기 일부분의 내면끼리를 접합하여 합장 시일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합장 시일부에 상기 증기 통과부를 구성하는 관통 구멍 또는 절결을 형성하는 공정을 가지고,
상기 합장 시일부의 시일 강도는 상기 외연 시일부의 시일 강도보다도 낮다.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준비 공정은,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기 위한 바닥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바닥재에 드로잉 성형을 실시하여 상기 몸통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기 위한 바닥재는, 상기 수용부 측에 위치하는 내면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층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에 적층된 기초재를 적어도 가지고,
상기 바닥재의 상기 기초재가 연신 필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는, 수용부를 규정하는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상부에 빙둘러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용기 본체)와, 본체부의 수용부를 덮도록 플랜지부에 접합된 덮개재를 구비하고,
플랜지부와 덮개부 사이에는 빙둘러 외연 시일부가 형성되어 있고,
덮개부는 내면끼리 대향하는 합장부를 갖고 있고,
합장부는, 플랜지부에서 합장부의 선단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2개의 제1 합장 시일부와, 2개의 제1 합장 시일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합장 시일부를 갖고 있고,
수용부의 중심을 지나 외연 시일부의 외연의 2점을 연결했을 때에 최소 거리가 되는 축을 A축으로 하고, 수용부의 중심을 지나 A축과 직교하도록 외연 시일부의 외연의 2점을 연결한 축을 B축으로 했을 때에, A축의 길이가 B축의 길이보다 짧고,
합장부는 수용부를 가로지름과 더불어 B축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2 합장 시일부에 증기 통과부가 마련되어 있다.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합장부는 1장의 기초재를 되접어 꺾음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증기 통과부는 절입, 절결 또는 구멍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연 시일부는 3 mm 이상 7 mm 이하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의 용기에 있어서, A축의 길이에 대한 B축의 길이의 비는 1.2 이상 3.0 이하라도 좋다.
본 개시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용기는,
상기 수용부를 규정하는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를 갖는 본체부로서, 바닥재(제1 적층체)에 의해서 구성된 본체부와,
상기 수용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기 플랜지부에 외연 시일부를 통해 접합된 덮개부로서, 덮개재(제2 적층체)에 의해서 구성된 덮개부와,
상기 수용부의 압력이 증가했을 때에 상기 수용부를 상기 용기의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구성된 증기 통과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재는, 상기 수용부 측에 위치하는 내면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층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에 적층된 기초재를 적어도 가지고,
상기 바닥재의 상기 기초재가 연신 필름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제3 실시형태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가, 상기 바닥재의 외면 측에서 상기 본체부를 본 경우에 표시부가 시인(視認)되도록 상기 기초재에 마련된 인쇄층을 또한 갖고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3 실시형태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인장 강도가 40 MPa 이상이라도 좋다.
본 개시의 제3 실시형태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의 접합 강도가 23 N 이상이라도 좋다.
본 개시의 제3 실시형태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깊이가 5 mm 이상 또한 20 mm 이하라도 좋다.
본 개시의 제3 실시형태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두께가 150 ㎛ 이하라도 좋다.
본 개시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며, 또한 수용부의 압력이 증가했을 때에 상기 수용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구성된 증기 통과부를 구비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수용부를 규정하는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갖는 본체부를 구성하기 위한 바닥재(제1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바닥재에 드로잉 성형을 실시하여 상기 몸통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몸통부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공정과,
상기 수용부를 덮는 덮개부를 구성하기 위한 덮개재(제2 적층체)를 상기 바닥재에 겹치는 공정과,
상기 덮개재를, 상기 바닥재의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에 접합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재는, 상기 수용부 측에 위치하는 내면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층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에 적층된 기초재를 적어도 가지고,
상기 바닥재의 상기 기초재가 연신 필름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제3 실시형태의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상기 바닥재의 외면 측에서 상기 본체부를 본 경우에 표시부가 시인되도록 상기 기초재에 마련된 인쇄층을 또한 갖고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3 실시형태의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인장 강도가 40 MPa 이상이라도 좋다.
본 개시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용기는,
상기 수용부를 규정하는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를 갖는 본체부로서, 바닥재(제1 적층체)에 의해서 구성된 본체부와,
상기 수용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기 플랜지부에 외연 시일부를 통해 접합된 덮개부로서, 덮개재(제2 적층체)에 의해서 구성된 덮개부와,
상기 수용부의 압력이 증가했을 때에 상기 수용부를 상기 용기의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구성된 증기 통과부와,
상기 덮개부 및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된 개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덮개부의 인열 강도가 15 N 이하이다.
본 개시의 제4 실시형태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호 평행하게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장자리부 및 제2 가장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봉 수단은,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덮개부를 인열하기 쉽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4 실시형태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개봉 수단은, 상기 제1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상기 외연 시일부보다도 내측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상기 플랜지부를 인열하기 쉽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4 실시형태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상기 수용부 측에 위치하는 내면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층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신된 연신 필름을 포함하는 제1 기초재를 적어도 갖고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4 실시형태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개봉 수단은, 적어도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된 노치 또는 상흔군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4 실시형태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의 접합 강도가 23 N 이상이라도 좋다.
본 개시의 제4 실시형태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깊이가 5 mm 이상 또한 20 mm 이하라도 좋다.
본 개시의 제4 실시형태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두께가 150 ㎛ 이하라도 좋다.
본 개시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며, 또한 수용부의 압력이 증가했을 때에 상기 수용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구성된 증기 통과부를 구비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수용부를 규정하는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갖는 본체부를 구성하기 위한 바닥재(제1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바닥재에 드로잉 성형을 실시하여 상기 몸통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몸통부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공정과,
상기 수용부를 덮는 덮개부를 구성하기 위한 덮개재(제2 적층체)를 상기 바닥재에 겹치는 공정과,
상기 덮개재를, 상기 바닥재의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에 접합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에는 개봉 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드로잉 성형은, 상기 바닥재의 온도가 상기 바닥재의 열가소성 수지층의 융점보다도 낮은 온도에서 실시된다.
본 개시의 제4 실시형태의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덮개부의 인열 강도가 15 N 이하라도 좋다.
본 개시의 제4 실시형태의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호 평행하게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장자리부 및 제2 가장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봉 수단은,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덮개부를 인열하기 쉽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에 의하면, 합장부의 선단부에서 용기의 내부로 잡균 등이 혼입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용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하는 용기를 II-II선을 따라 본 경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용기의 증기 통과부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체부를 구성하는 바닥재의 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체부를 구성하는 바닥재의 층 구성의 그 밖의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체부를 구성하는 바닥재의 층 구성의 그 밖의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체부를 구성하는 바닥재의 층 구성의 그 밖의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덮개부를 구성하는 덮개재의 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덮개부를 구성하는 덮개재의 층 구성의 그 밖의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덮개부를 구성하는 덮개재의 층 구성의 그 밖의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덮개부의 합장부의 합장 시일부의 시일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시험편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덮개부와 플랜지부 사이의 외연 시일부의 시일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시험편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시일 강도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시일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시험편을 인장하는 한 쌍의 파지구 사이의 간격에 대한 인장 응력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a)는 덮개부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b)는 덮개부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c)는 덮개부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d)는 덮개부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용기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용기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용기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용기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용기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증기 통과부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증기 통과부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증기 통과부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증기 통과부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증기 통과부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제1 실시형태의 실시예 A1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제1 실시형태의 실시예 A2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제1 실시형태의 실시예 A3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제1 실시형태의 실시예 A4에 있어서의 25℃에서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제1 실시형태의 실시예 A4에 있어서의 100℃에서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레인지용 용기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31(a)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레인지용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1(b)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레인지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1(c)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레인지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2(a)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레인지용 용기를 구성하는 본체부의 평면도이다.
도 32(b)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레인지용 용기를 구성하는 본체부의 단면도이다.
도 33은 비교형태의 전자레인지용 용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4는 변형예에 있어서의 덮개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5(a)는 본체부의 평면 형상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5(b)는 본체부의 평면 형상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5(c)는 본체부의 평면 형상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5(d)는 본체부의 평면 형상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6은 외연 시일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7은 합장부의 위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8(a)은 합장 시일부의 시일 형태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8(b)은 합장 시일부의 시일 형태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9(a)는 증기 통과부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9(b)는 증기 통과부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9(c)는 증기 통과부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9(d)는 증기 통과부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0은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용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1은 도 40에 도시하는 용기를 XXXXI-XXXXI선을 따라 본 경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2는 본체부 및 덮개부를 구성하는 적층체의 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3은 본체부 및 덮개부를 구성하는 적층체의 층 구성의 그 밖의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4는 본체부 및 덮개부를 구성하는 적층체의 층 구성의 그 밖의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5는 인장 강도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6은 인장 강도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7은 인열 강도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8은 인열 강도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9는 접합 강도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0은 접합 강도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1은 용기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2는 용기의 수용부가 외부에 연통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3은 용기를 인열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4는 용기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5는 용기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6은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용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7은 도 56에 도시하는 용기를 XXXXXVII-XXXXXVII선을 따라 본 경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건 명세서에 첨부하는 도면에서는, 도시와 이해의 용이성의 편의상, 축척 및 종횡의 치수 비율 등을, 실물의 그것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과장해 놓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용하는, 형상이나 기하학적 조건 및 이들의 정도를 특정하는, 예컨대 「평행」, 「직교」, 「동일」 등의 용어나, 길이나 각도의 값 등에 관해서는, 엄밀한 의미에 얽매이지 않고, 같은 기능을 기대할 수 있을 정도의 범위를 포함하여 해석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용기(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2(a)는 도 1에 도시하는 용기(1)를 II-II선을 따라 본 경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용기(1)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01)가 형성된 본체부(10)와, 수용부(101)를 덮도록 본체부(10)에 접합된 덮개부(20)를 구비한다. 덮개부(20)의 일부에는, 내용물이 가열됨에 따라 수용부(101)에서 발생한 증기를 수용부(10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증기 통과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접합」이란, 용착 및 접착 양쪽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용착」이란, 본체부(10) 또는 덮개부(20)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시킴으로써 덮개부(20)를 본체부(10)에 부착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접착」이란, 접착제 등의, 본체부(10) 및 덮개부(20)와는 별개의 구성 요소를 이용하여, 덮개부(20)를 본체부(10)에 부착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본체부(10)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적어도 물을 포함한다. 내용물로서는 예컨대 레토르트 푸드, 냉동식품이나 냉장식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은 생선 토막이나 포 등, 비교적 적은 수분을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하, 본체부(10) 및 덮개부(20)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체부〕
도 1 및 도 2(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본체부(10)는, 수용부(101)를 규정하는 몸통부(11)와, 몸통부(11)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12)를 포함한다. 몸통부(11)는, 예컨대 바닥부(11a)와, 바닥부(11a)의 외연을 따라 빙둘러 넓어지도록 바닥부(11a)에서 세워 마련된 측부(11b)를 포함한다. 또한, 플랜지부(12)는 몸통부(11)의 상부에 빙둘러 연접되어 있다. 덮개부(20)는 플랜지부(12)의 상면에 배치된다. 도시하지는 않지만, 본체부(10)의 강성이 낮은 경우, 몸통부(11)나 플랜지부(12)가 부분적으로 만곡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바닥면」, 「측면」, 「상부」 등의 용어는, 본체부(10)의 수용부(101)가 위쪽으로 개구되도록 용기(1)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용기(1), 본체부(10), 덮개부(20)나 이들의 구성 요소의 위치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외측」이란, 평면에서 봤을 때의 본체부(10)의 수용부(101)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쪽이다. 또한 「내측」이란, 본체부(10)의 수용부(101)의 중심에 가까워지는 쪽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닥부(11a) 및 플랜지부(12)는 대략 직사각형의 윤곽을 갖는다. 예컨대 플랜지부(12)는, 상호 대향하는 제1 가장자리부(13) 및 제2 가장자리부(14)와, 제1 가장자리부(13)와 제2 가장자리부(14) 사이에 있어서 연장되는 제3 가장자리부(15) 및 제4 가장자리부(16)를 포함한다. 제1 가장자리부(13) 및 제2 가장자리부(14)는, 상호 평행하게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제1 방향(D1)에 교차하는 제2 방향(D2)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고 있다. 또한, 제3 가장자리부(15) 및 제4 가장자리부(16)는, 상호 평행하게 제1 방향(D1)에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제1 방향(D1)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제2 방향(D2)은 제1 방향(D1)에 직교하고 있다. 또한 「평행」이란, 한쪽의 가장자리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다른 쪽의 가장자리부가 연장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20° 이하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교차」란, 한쪽의 가장자리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다른 쪽의 가장자리부가 연장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20°보다도 큰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플랜지부의 코너부는 모따기되어 외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원호형의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도시하지는 않지만, 플랜지부의 코너부는 모따기되어 있지 않은 모난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바닥부(11a)의 윤곽과 플랜지부(12)의 윤곽은, 서로 닮은 형상이라도 좋고, 서로 닮지 않아도 좋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플랜지부(12)의 상면에는, 본체부(10)의 수용부(101)를 덮기 위한 덮개부(20)가 외연 시일부(18)를 통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외연 시일부(18)가 플랜지부(12)의 둘레에 빙둘러 연속되어 있는 한, 플랜지부(12)가 전역에 걸쳐 덮개부(20)에 접합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플랜지부(12)가 덮개부(20)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시일부가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S1은, 제1 방향(D1)에 있어서 대향하는 외연 시일부(18)의 내연 사이의 최대 거리, 즉, 제3 가장자리부(15)를 따르는 외연 시일부(18)의 내연에서부터 제4 가장자리부(16)를 따르는 외연 시일부(18)의 내연까지의, 제1 방향(D1)에 있어서의 최대 거리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최대 거리(S1)는, 플랜지부(12)의 제3 가장자리부(15)의 내연과 제4 가장자리부(16)의 내연 사이의, 제1 방향(D1)에 있어서의 최대 거리와 같다. 또한 부호 S2는, 제2 방향(D2)에 있어서 대향하는 외연 시일부(18)의 내연 사이의 최대 거리, 즉, 제1 가장자리부(13)를 따르는 외연 시일부(18)의 내연에서부터 제2 가장자리부(14)를 따르는 외연 시일부(18)의 내연까지의, 제2 방향(D2)에 있어서의 최대 거리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최대 거리(S2)는, 플랜지부(12)의 제1 가장자리부(13)의 내연과 제2 가장자리부(14)의 내연 사이의, 제2 방향(D2)에 있어서의 최대 거리와 같다.
도 1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최대 거리(S1)는 최대 거리(S2)보다도 작다. 최대 거리(S1)에 대한 최대 거리(S2)의 비(=S2/S1)는, 예컨대 1.0 이상 또한 1.8 이하이고, 1.3 이상 또한 1.6 이하라도 좋다.
〔덮개부〕
도 1 및 도 2(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덮개부(20)는, 덮개부(20)를 제작하기 위한 시트재(이하, 덮개재라고도 부름)의 일부분이 서로 겹치도록 폴딩부(25)에서 되접어 꺾임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폴딩부(25)에서 되접어 꺾인 덮개재(50)의 일부분이 서로 겹쳐 있는 부분을, 합장부(23)라고 부른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합장부(23)는, 덮개부(20)의 일측의 가장자리부[플랜지부(12)의 제3 가장자리부(15) 측의 가장자리부]에서부터 타측의 가장자리부[플랜지부(12)의 제4 가장자리부(16) 측의 가장자리부]까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합장부(23)가 연장되는 제1 방향(D1)은, 용기(1)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본체부(10) 및 덮개부(20)를 구성하기 위한 바닥재 및 덮개재가 반송되는 반송 방향(T)에 평행한 방향이다.
덮개부(20)는, 상술한 합장부(23)와, 합장부(23)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며, 덮개재(50)에 의해서 구성된 제1 덮개부(21) 및 제2 덮개부(22)를 갖고 있다. 제1 덮개부(21)는, 제2 방향(D2)에 있어서 합장부(23)보다도 제1 가장자리부(13) 측에 위치하고 있고, 제2 덮개부(22)는, 제2 방향(D2)에 있어서 합장부(23)보다도 제2 가장자리부(14) 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합장부(23)를 구성하는 덮개재(50) 중 폴딩부(25)보다도 제1 덮개부(21) 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1 부분(27)이라고 부르고, 폴딩부(25)보다도 제2 덮개부(22) 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2 부분(28)이라고도 부른다. 도 2(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부분(27)과 제2 부분(28)은 폴딩부(25)를 통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합장부(23)의 제1 부분(27)과 제1 덮개부(21)도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합장부(23)의 제2 부분(28)과 제2 덮개부(22)도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합장부(23)는 합장 시일부(24)와 합장 시일부(24)에 형성된 증기 통과부(30)를 포함한다. 합장 시일부(24)는, 덮개부(20)의 일측의 가장자리부[플랜지부(12)의 제3 가장자리부(15) 측의 가장자리부]에서부터 타측의 가장자리부[플랜지부(12)의 제4 가장자리부(16) 측의 가장자리부]까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도록 덮개재(50)의 일부분의 내면끼리 접합된 시일부이다. 증기 통과부(30)는, 예컨대 합장부(23)를 관통하도록 합장 시일부(24)에 형성된 관통 구멍(31)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관통 구멍(31)은 제1 방향(D1)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관통 구멍(31)이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제1 방향(D1)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31)의 치수를 줄일 수 있다. 이 때문에, 관통 구멍(31)을 형성하기 위해서 필요하게 되는 합장 시일부(24)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a)에서는, 관통 구멍(31)이 합장부(23)의 제1 부분(27) 및 제2 부분(28) 양쪽을 관통하고 있는 예를 도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관통 구멍(31)은, 합장부(23)의 제1 부분(27) 및 제2 부분(28) 중 적어도 한쪽을 관통하고 있으면 된다. 예컨대 도 2(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관통 구멍(31)은, 제2 부분(28)은 관통하지만 제1 부분(27)은 관통하지 않아도 좋다. 혹은 도시하지는 않지만, 관통 구멍(31)은, 제1 부분(27)은 관통하지만 제2 부분(28)은 관통하지 않아도 좋다. 관통 구멍(31)이 합장부(23)의 제1 부분(27) 및 제2 부분(28) 중 적어도 한쪽만을 관통하는 경우는, 제1 부분(27) 및 제2 부분(28) 양쪽을 관통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용기(1)를 곤포하거나 단쌓기하거나 할 때에 하나의 용기(1)의 관통 구멍(31)이 다른 용기(1)의 관통 구멍(31)에 걸려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31)으로부터 용기(1)의 내부에 잡균 등이 혼입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합장부(23)는, 본체부(10)의 수용부(101)의 중심점(101C)보다도 제1 가장자리부(13) 측에 있어서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바꿔 말하면, 합장부(23)는 평면에서 봤을 때 본체부(10)의 수용부(101)의 중심점(101C)과 겹쳐 있지 않아도 좋다. 도시하지는 않지만, 합장부(23)는 평면에서 봤을 때 본체부(10)의 수용부(101)의 중심점(101C)과 겹치도록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L1은, 본체부(10)의 수용부(101)의 중심점(101C)과 제1 가장자리부(13)를 따르는 외연 시일부(18)의 내연 사이의, 제2 방향(D2)에 있어서의 최대 거리를 나타낸다. 또한 부호 L2는, 합장부(23)의 기초부(26)와 제1 가장자리부(13)를 따르는 외연 시일부(18)의 내연 사이의, 제2 방향(D2)에 있어서의 최대 거리를 나타낸다. 합장부(23)가 본체부(10)의 수용부(101)의 중심점(101C)보다도 제1 가장자리부(13) 측에 위치하는 경우, 최대 거리(L2)는 최대 거리(L1)보다도 작다. 한편, 합장부(23)가 본체부(10)의 수용부(101)의 중심점(101C)과 겹치는 경우, 최대 거리(L2)는 최대 거리(L1)와 같게 된다.
본원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한 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합장부(23)가 본체부(10)의 수용부(101)의 중심점(101C)에 겹치거나 근접해 있는 경우, 수용부(101)의 내압이 높아졌을 때에, 제3 가장자리부(15) 또는 제4 가장자리부(16) 상에 있어서 합장 시일부(24) 또는 외연 시일부(18)의 박리가 생기기 쉽다는 것을 알아냈다. 제3 가장자리부(15) 또는 제4 가장자리부(16) 상의 합장 시일부(24) 또는 외연 시일부(18)가 증기 통과부(30) 주위의 합장 시일부(24)보다도 먼저 박리되면, 수용부(101)의 증기는 증기 통과부(30)가 아니라 제3 가장자리부(15) 또는 제4 가장자리부(16)로부터 외부로 빠져 나가 버린다. 따라서, 제3 가장자리부(15) 또는 제4 가장자리부(16)로부터 증기가 빠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합장부(23)가 본체부(10)의 수용부(101)의 중심점(101C)에서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합장부(23)가 본체부(10)의 수용부(101)의 중심점(101C)에서 지나치게 떨어지면, 증기 통과부(30) 주위의 합장 시일부(24)에 압력이 가해지기 어렵게 되어 버린다. 이들 점을 고려하여, 합장부(23)를 소정의 범위 내에서 중심점(101C)에서 떨어진 위치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L2/L1이 0.3 이상 또한 0.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이상 또한 0.6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닥재)
이어서, 본체부(10)를 구성하기 위한 시트재(이하, 바닥재라고도 부름)의 층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바닥재(40)는 적어도 제1 기초재(41)를 포함한다.
시트 성형법에 의해서 본체부(10)를 제작하는 경우, 제1 기초재(41)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미연신 폴리프로필렌, 미연신 나일론 등의 미연신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기초재(41)는,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단일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복수의 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예컨대 제1 기초재(41)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1 층(41a), EVOH 또는 나일론을 포함하는 제2 층(41b)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3 층(41c)을 포함하는 공압출 시트이다. EVOH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이다.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바닥재(40)는, 제1 기초재(41)보다도 내면(40x) 측에 위치하는 열가소성 수지층(42)을 또한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층(42)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컨대 미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틸렌 및 이들을 블렌드(blend)한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바닥재(40)를 구성하는 시트재가, 미연신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제1 기초재(41)를 구비하는 경우, 시트재의 두께는 예컨대 150 ㎛ 이상 또한 800 ㎛ 이하이다.
또한, 바닥재(40)는 적어도 일축 연신된, 바람직하게는 이축 연신된 연신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제1 기초재(41)와, 열가소성 수지층(42)을 구비하는 시트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바닥재(40)는, 제1 기초재(41)와 열가소성 수지층(42)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기초재(43)를 또한 갖고 있어도 좋다. 도 6에 도시하는 바닥재(40)의 층 구성으로서는, 후술하는 덮개재(50)의 층 구성과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바닥재(40)를 구성하는 시트재가, 연신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제1 기초재(41)와 열가소성 수지층(42)을 구비하는 경우, 시트재의 두께는 예컨대 60 ㎛ 이상 또한 200 ㎛ 이하이다.
또한 시트 성형법이란, 시트재를 가열하여 연화시킨 후, 형(型)을 대고 눌러 시트에 원하는 형상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진공 성형, 압공 성형, 진공압공 성형, 프레스 성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법 등의 그 밖의 방법으로 본체부(10)를 제작하여도 좋다.
(덮개재)
이어서, 덮개부(20)를 구성하는 덮개재(50)의 층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덮개재(50)는 적어도 제1 기초재(51) 및 열가소성 수지층(53)을 구비한다. 도 7에는, 덮개재(50)가 제1 기초재(51), 인쇄층(52) 및 열가소성 수지층(53)을 갖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 기초재(51)는 덮개재(50)의 외면(50y)을 구성하고 있다. 열가소성 수지층(53)은 덮개재(50)의 내면(50x)을 구성하고 있다. 인쇄층(52)은, 제1 기초재(51)와 열가소성 수지층(53) 사이에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기초재(51)의 내면(50x) 측의 면에 형성할 수 있다. 내면(50x)은 덮개부(20) 중 수용부(101) 측에 위치하는 면이고, 외면(50y)은 내면(50x)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면이다.
제1 기초재(51)는, 용기(1)를 개봉할 때에 덮개부(20)가 신장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하도록 일정한 강성을 갖는다. 예컨대 제1 기초재(51)는, 적어도 일축 연신된, 바람직하게는 이축 연신된 연신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한다. 연신 플라스틱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컨대 나일론(ONy) 등의 폴리아미드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의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연신 플라스틱 필름은, 투명 증착층이 실시된 가스 배리어 필름으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1 기초재(51)에 포함되는 연신 플라스틱 필름은 제1 방향(D1)을 따라 연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 기초재(51)에 포함되는 연신 플라스틱 필름의 연신 방향과 제1 방향(D1)이 이루는 각도가 45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도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기초재(51)의 연신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는 이용되는 재료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된다. 예컨대 제1 기초재(51)의 연신 플라스틱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나일론이 이용되는 경우, 제1 기초재(51)의 연신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는, 9 ㎛ 이상 또한 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2 ㎛ 이상 또한 25 ㎛ 이하이다. 연신 플라스틱 필름이란, JIS K 7127에 준거하여 측정했을 때의 인장 신도가 30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인 필름을 가리킨다.
덮개재(50)의 인쇄층(52)은, 용기(1)에 제품 정보를 나타내거나 미감을 부여하거나 하기 위해서 제1 기초재(51)에 인쇄된 층이다. 인쇄층(52)은 문자, 숫자, 기호, 도형, 그림 등을 표현한다. 인쇄층(52)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나 플렉소 인쇄용 잉크를 이용할 수 있다.
인쇄층(52)을 구성하는 잉크는 바인더 및 안료를 포함한다. 바인더는 예컨대 폴리우레탄 등을 포함한다. 폴리우레탄은, 주제로서의 폴리올과, 경화제로서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반응함으로써 생성되는 경화물이다.
열가소성 수지층(53)은, 용융되어 외연 시일부(18)나 합장 시일부(24) 등의 시일부를 구성하는 층이다. 열가소성 수지층(53)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층(53)은 미연신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미연신 필름이란, JIS K 7127에 준거하여 측정했을 때의 인장 신도가 30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0% 이상인 필름을 가리킨다. 열가소성 수지층(53)은 단층이라도 좋고 다층이라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층(53)의 두께는 예컨대 30 ㎛ 이상 또한 100 ㎛ 이하이다.
인쇄층(52)이 형성된 제1 기초재(51)와 열가소성 수지층(53) 사이에는, 접착 수지층이나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층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접착 수지층으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한 에틸렌-α 올레핀과의 공중합체 등의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에틸렌-말레산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수지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는, 주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과, 경화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작한 접착제 조성물로 생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접착제는, 접착제 조성물 중의 주제와 용제가 반응하여 생성된 경화물을 포함한다. 주제의 예 로서 폴리올, 경화제의 예로서로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접착제의 예로서는 에테르계의 2액 반응형 접착제 또는 에스테르계의 2액 반응형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에테르계의 2액 반응형 접착제로서는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은, 주제로서의 폴리에테르폴리올과 경화제로서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반응함으로써 생성되는 경화물이다. 에스테르계의 2액 반응형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은, 주제로서의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경화제로서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반응함으로써 생성되는 경화물이다. 또한, 주제로서 아크릴폴리올을 이용하여도 좋다.
(덮개재의 제1 변형예)
도 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덮개재(50)는, 제1 기초재(51)와 열가소성 수지층(53)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기초재(54)를 또한 갖고 있어도 좋다. 도 8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제2 기초재(54)는, 제1 기초재(51)에 형성된 인쇄층(52)과 열가소성 수지층(53) 사이에 위치한다.
제2 기초재(54)는, 제1 기초재(51)와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일축 연신된, 바람직하게는 이축 연신된 연신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한다. 연신 플라스틱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제1 기초재(51)와 같은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기초재(54)에 포함되는 연신 플라스틱 필름도, 제1 기초재(51)의 연신 플라스틱 필름과 마찬가지로, 제1 방향(D1)을 따라 연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2 기초재(54)에 포함되는 연신 플라스틱 필름의 연신 방향과 제1 방향(D1)이 이루는 각도가 45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도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1 기초재(51)의 연신 플라스틱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이용할 수 있고, 제2 기초재(54)의 연신 플라스틱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나일론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초재(51)의 연신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9 ㎛ 이상 또한 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2 ㎛ 이상 또한 25 ㎛ 이하이며, 제2 기초재(54)의 연신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9 ㎛ 이상 또한 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또한 25 ㎛ 이하이다.
인쇄층(52)이 형성된 제1 기초재(51)와 제2 기초재(54) 사이 그리고 제2 기초재(54)와 열가소성 수지층(53) 사이에는, 상술한 접착 수지층이나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층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덮개재의 제2 변형예)
도 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덮개재(50)는, 제1 기초재(51)와 열가소성 수지층(53)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55)을 또한 갖고 있어도 좋다. 도 9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중간층(55)은, 제1 기초재(51)에 형성된 인쇄층(52)과 열가소성 수지층(53) 사이에 위치한다.
중간층(55)은 예컨대 가스 배리어층을 포함한다. 가스 배리어층으로서는, 예컨대 산화알루미늄 등의 금속 산화물 또는 산화규소 등의 무기 산화물의 증착층 등이 형성될 수 있다. 그 밖에도, 가스 배리어층으로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PVDC)나, 나일론 MXD6 등의 지방족 폴리아미드 등의, 높은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수지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산소나 수증기가 용기(1)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중간층(55)의 두께는 예컨대 12 ㎛ 이상 또한 25 ㎛ 이하이다.
(시일 강도)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1)에 있어서는, 외연 시일부(18)보다도 먼저 증기 통과부(30) 주위의 합장 시일부(24)가 박리되어, 증기 통과부(30)로부터 증기가 외부로 빠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을 고려하여, 합장 시일부(24)가 이지-필 특성(easy peel property)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합장 시일부(24)의 시일 강도는 외연 시일부(18)의 시일 강도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이하, 합장 시일부(24)의 시일 강도 및 외연 시일부(18)의 시일 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측정기로서는, 오리엔테크사 제조의 항온조가 달린 인장 시험기 RTC-1310A를 이용할 수 있다.
우선, 용기(1)의 일부를 잘라내어 시험편을 제작한다. 도 10은 합장 시일부(24)의 시일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시험편(61)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시험편(61)은, 도 1에 있어서 부호 X가 부여된 1점쇄선의 프레임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덮개부(20) 중 제1 덮개부(21), 제2 덮개부(22) 및 합장부(23)를 포함하는 부분을 잘라냄으로써 얻어진다. 도 11은 외연 시일부(18)의 시일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시험편(62)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2 시험편(62)은, 도 1에 있어서 부호 XI가 부여된 1점쇄선의 프레임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용기(1) 중 몸통부(11) 및 플랜지부(12), 그리고 플랜지부(12)에 접합된 덮개부(20)를 포함하는 부분을 잘라냄으로써 얻어진다. 제1 시험편(61) 및 제2 시험편(62)에 있어서의 시일부의 폭(W)(도 1 참조)은 15 mm이다.
도 12는 제1 시험편(61)을 이용하여 합장 시일부(24)의 시일 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제1 시험편(61) 중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여기서는 제1 덮개부(21) 및 제2 덮개부(22)]을 각각 측정기의 제1 파지구(71) 및 제2 파지구(72)로 파지한다. 또한, 파지구(71, 72)를 각각 상호 역방향으로 300 mm/분의 속도로 인장하여, 인장 응력의 최대치(도 13 참조)를 측정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파지구(71, 72)를 인장하는 방향은, 제1 시험편(61) 중 합장 시일부(24)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는 부분의 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도 13은 간격(S)에 대한 인장 응력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3개의 제1 시험편(61)에 관해서 인장 응력의 최대치를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합장 시일부(24)의 시일 강도로 한다. 인장을 시작할 때의, 파지구(71, 72) 사이의 간격(S)은 20 mm이며, 인장을 종료할 때의, 파지구(71, 72) 사이의 간격(S)은 40 mm이다.
도시하지는 않지만, 제2 시험편(62)을 이용하여 외연 시일부(18)의 시일 강도를 측정하는 방법도 합장 시일부(24)의 시일 강도를 측정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파지구(71, 72)의 한쪽에서 제2 시험편(62)의 덮개부(20)를 파지하고, 파지구(71, 72)의 다른 쪽에서 제2 시험편(62)의 몸통부(11)를 파지한다. 이어서, 파지구(71, 72)를 각각 상호 역방향으로 300 mm/분의 속도로 인장하여, 인장 응력의 최대치를 측정한다. 3개의 제2 시험편(62)에 관해서 인장 응력의 최대치를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외연 시일부(18)의 시일 강도로 한다.
온도 25℃, 상대습도 50%의 환경 하에 있어서의 외연 시일부(18)의 시일 강도는 예컨대 10 N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N 이상이다. 또한, 온도 25℃, 상대습도 50%의 환경 하에 있어서의 합장 시일부(24)의 시일 강도는 외연 시일부(18)의 시일 강도보다도 낮으며, 예컨대 12 N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N 이하이다.
100℃에 있어서의 외연 시일부(18)의 시일 강도는 예컨대 3.0 N 이상이다. 또한, 100℃에 있어서의 합장 시일부(24)의 시일 강도는, 외연 시일부(18)의 시일 강도보다도 낮으며, 예컨대 8.0 N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N 이하이다.
용기의 제조 방법
이어서, 상술한 바닥재(40) 및 덮개재(50)를 이용하여 용기(1)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해서 도 14(a)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도 14(a)∼도 14(d)를 참조하여, 덮개재(50)를 이용하여 덮개부(20)를 제조하는 공정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4(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덮개재(50)를 준비한다. 이어서, 도 14(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덮개재(50)의 일부분이 서로 겹치도록 덮개재(50)를 폴딩부(25)에서 되접어 꺾어 합장부(23)를 형성한다. 덮개재(50)를 되접어 꺾는 공정은, 덮개재(50)를 반송 방향(T)으로 반송하면서 실시한다.
이어서, 도 14(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합장부(23)에 있어서 덮개재(50)의 일부분의 내면끼리를 접합하여 합장 시일부(24)를 형성한다. 예컨대, 반송 방향(T)으로 반송되고 있는 덮개재(50)의 합장부(23)를 한 쌍의 시일 롤러로 가열하면서 협압(挾壓)함으로써, 반송 방향(T)을 따라 연장되는 합장 시일부(24)를 형성한다.
이어서, 도 14(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합장 시일부(24)에, 합장부(23) 및 합장 시일부(24)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31)을, 반송 방향(T)을 따라, 상술한 제1 방향(D1)에 있어서의 덮개부(20)의 치수에 대응하는 주기로 형성한다. 예컨대, 관통 구멍(3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절삭날을 합장부(23)에 꿰찌른다. 이와 같이 하여, 합장부(23)의 합장 시일부(24)에 형성된 관통 구멍(31)을 포함하는 증기 통과부(30)를 갖춘 덮개부(20)를 제작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5를 참조하여, 바닥재(40)를 이용하여 본체부(10)를 제조하는 공정에 관해서 설명한다. 진공 성형, 압공 성형, 진공압공 성형 등의 시트 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바닥재(40)를 성형함으로써 본체부(10)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는, 플러그 어시스트(plug assist) 성형법에 의해 본체부(10)를 제조하는 공정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바닥재(40)의 내면(40x) 측에 웅형(雄型)(81)을 배치하고, 외면(40y) 측에 자형(雌型)(82)을 배치한다. 그리고, 웅형(81)을 자형(82)으로 향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바닥재(40)를 자형(82)의 오목부에 밀어 넣는다. 이에 따라, 도 1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바닥재(40)에 몸통부(1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몸통부(11) 이외의 부분에서 바닥재(40)가 신장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누름판(83)을 이용하여 바닥재(40)를 고정하여도 좋다.
바닥재(40)에 시트 성형을 실시하는 공정에서는, 자형(82)이 위치하는 쪽의 공간, 즉 바닥재(40)의 외면(40y) 측의 공간을, 대기압보다도 낮은 압력을 갖는 진공 상태로 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바닥재(40)의 외면(40y)을 자형(82)에 밀착시켜, 바닥재(40)를 정밀도 좋게 성형할 수 있다. 진공 상태는, 압력이 0.05 atm(0.05×105 Pa) 이상 또한 0.3 atm(0.3×105 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웅형(81)이 위치하는 쪽의 공간, 즉 바닥재(40)의 내면(40x) 측의 공간을, 대기압보다도 높은 압력을 갖는 압공 상태로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서도, 바닥재(40)의 외면(40y)을 자형(82)에 밀착시켜, 바닥재(40)를 정밀도 좋게 성형할 수 있다. 압공 상태는, 압력이 1.5 atm(1.5×105 Pa) 이상 또한 5 atm(5.0×105 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용기(1)를 제작하는 공정에 관해서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몸통부(11)에 내용물(5)을 충전한다. 이 경우, 몸통부(11)가 전역에 걸쳐 개방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내용물(5)을 용이하게 몸통부(11)에 충전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내용물(5)이 충전된 몸통부(11)를 덮개부(20)로 덮는다. 이어서, 접합 장치(85)를 이용하여, 덮개부(20)를, 몸통부(11)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12)에 접합하여, 외연 시일부(18)를 형성한다.
이어서, 도 1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외연 시일부(18)에 있어서 덮개부(20) 및 플랜지부(12)를 절단한다. 이와 같이 하여, 몸통부(11) 및 플랜지부(12)를 갖는 본체부(10)와, 플랜지부(12)에 접합된 덮개부(20)를 구비하고, 내용물(5)이 수용된 용기(1)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덮개부(20)의 합장부(23)가, 덮개부(20)를 구성하기 위한 덮개재(50)의 일부분을 폴딩부(25)에서 되접어 꺾음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2장의 덮개재를 서로 겹쳐 합장부(23)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합장부(23)를 형성하는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합장부(23)로부터 용기(1)의 내부에 잡균 등이 혼입되는 것을 폴딩부(25)에 의해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1)의 내부에 잡균 등이 혼입되는 것을 폴딩부(25)에 의해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합장부(23)에 있어서 덮개재(50)의 단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용기(1) 내부의 위생성을 유지하면서, 합장부(23)에 형성되는 합장 시일부(24)의 시일 강도를 낮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외연 시일부(18)와 비교하여 합장 시일부(24)를 보다 박리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물(5)을 가열할 때에 플랜지부(12) 상의 외연 시일부(18)의 박리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플랜지부(12)로부터 증기가 빠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합장부(23)가 본체부(10)의 수용부(101)의 중심점(101C)에서 떨어지도록 합장부(23)를 구성함으로써, 플랜지부(12)의 제3 가장자리부(15) 또는 제4 가장자리부(16) 상의 합장 시일부(24) 또는 외연 시일부(18)가 증기 통과부(30) 주위의 합장 시일부(24)보다도 먼저 박리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도 내용물(5)을 가열할 때에 플랜지부(12)로부터 증기가 빠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합장부(23)가 본체부(10)의 수용부(101)의 중심점(101C)에서 떨어지도록 합장부(23)를 구성함으로써, 본체부(10)의 수용부(101)의 중심점(101C)에 겹치는 광역의 인쇄 표시를 인쇄층(52)에 의해서 덮개부(20)에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부(20)의 인쇄 표시의 시인성이나 디자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이하, 필요에 따라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변형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및 이하의 설명에서 이용하는 도면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은 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 부분에 관해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부분에 대하여 이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얻어지는 작용 효과가 변형예에 있어서도 얻어지는 것이 분명한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용기의 제1 변형예)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10)의 바닥부(11a) 및 플랜지부(12)가 대략 직사각형의 윤곽을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1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바닥부(11a) 및 플랜지부(12)는 타원형 등의 원 형상의 윤곽을 갖고 있어도 좋다. 도 18에 도시하는 예에서도, 덮개부(20)의 합장부(23)는, 덮개부(20)의 일측 가장자리부[플랜지부(12)의 제3 가장자리부(15) 측의 가장자리부]에서부터 타측 가장자리부[플랜지부(12)의 제4 가장자리부(16) 측의 가장자리부]까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하는 예에서도, 상술한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 방향(D2)에 있어서의 최대 거리(S2)가 제1 방향(D1)에 있어서의 최대 거리(S1)보다도 크게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합장부(23)가 본체부(10)의 수용부(101)의 중심점(101C)보다도 제1 가장자리부(13) 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용기의 제2 변형예)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제2 방향(D2)에 있어서의 수용부(101)의 최대 거리(S2)가 제1 방향(D1)에 있어서의 수용부(101)의 최대 거리(S1)보다도 큰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방향(D2)에 있어서의 수용부(101)의 최대 거리(S2)가 제1 방향(D1)에 있어서의 수용부(101)의 최대 거리(S1)와 같더라도 좋다. 예컨대 도 1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본체부(10)의 바닥부(11a) 및 플랜지부(12)가 대략 정방형의 윤곽을 갖고 있어도 좋다.
도 19에 도시하는 예에서도, 합장부(23)가 본체부(10)의 수용부(101)의 중심점(101C)보다도 제1 가장자리부(13) 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증기 통과부의 제1 변형예)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증기 통과부(30)의 관통 구멍(31)이, 제1 방향(D1)을 따른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2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증기 통과부(30)의 관통 구멍(31)은, 제1 방향(D1)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기복이 있는 파상(波狀)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관통 구멍(3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절삭날을 합장부(23)에 꿰찌르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증기 통과부의 제2 변형예)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증기 통과부(30)의 관통 구멍(31)이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2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관통 구멍(31)은 기초부(26)로 향하여 돌출된 V자 등의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증기 통과부의 제3 변형예)
상술한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서는, 증기 통과부(30)의 관통 구멍(31)이 합장부(23)의 폴딩부(25)에 도달하지 않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2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관통 구멍(31)은 합장부(23)의 폴딩부(25)에 도달하도록 합장 시일부(24)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증기 통과부의 제4 변형예)
상술한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서는, 증기 통과부(30)가 관통 구멍(31)을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수용부(101)의 증기를 합장 시일부(24)의 박리 부위를 통해 외부로 빼낼 수 있는 한, 증기 통과부(30)의 구성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증기 통과부(30)는, 합장부(23)의 폴딩부(25)에 있어서 합장 시일부(24)에 형성된 절결(32)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절결(32)은, 도 2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삼각형의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고, 도 2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반원의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절결(32)은 폴딩부(25) 측에서 기초부(26) 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몇 개의 변형예를 설명해 왔지만, 당연히 복수의 변형예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이어서, 제1 실시형태를,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제1 실시형태는 그 요지를 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A1)
본체부(10)를 구성하는 바닥재(40)로서, 상술한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단일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초재(41)를 포함하는 것을 준비했다. 제1 기초재(41)로서는 두께 300 ㎛의 미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했다. 이어서, 플랜지부(12)의 내연에 이를 때까지 외연 시일부(18)를 형성한 경우에 제1 방향(D1)에 있어서의 최대 거리(S1)에 대한 제2 방향(D2)에 있어서의 최대 거리(S2)의 비(=S2/S1)가 1.3, 1.4, 1.5 또는 1.6이 되는 4 종류의 대략 직사각형의 본체부(10)를, 시트 성형법을 이용하여 각각 5개씩 제작했다. 4 종류의 본체부(10)의 어느 것에서나 최대 거리(S1)는 200 mm로 하고, 본체부(10)의 깊이(H)는 20 mm로 했다.
또한, 덮개부(20)를 구성하는 덮개재(50)로서, 인쇄층(52)을 갖지 않는 점 이외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덮개재(50)와 같은 층 구성의 적층체를 준비했다. 제1 기초재(51)로서는, 투명 증착층이 형성된 두께 12 ㎛의 이축 연신된 PET 필름을 이용했다. 제2 기초재(54)로서는 두께 15 ㎛의 연신 나일론 필름을 이용했다. 열가소성 수지층(53)으로서는 이지-필 특성을 갖는 실란트 필름을 이용했다. 이어서, 덮개재(50)의 일부분을 되접어 꺾고, 되접어 꺾인 부분을 가열함으로써, 8 mm의 폭을 갖는 합장부(23) 및 합장 시일부(24)를 형성했다. 이어서, 합장부(23)의 기초부(26)로부터 4 mm 떨어진 위치에, 합장부(23)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길이 10 mm의 관통 구멍(31)을 형성했다.
이어서, 본체부(10)의 수용부(101)에 100 g의 물을 충전한 후, 본체부(10)의 플랜지부(12)에 덮개부(20)를 접합하는 외연 시일부(18)를 형성하여, 물이 수용된 용기(1)를 제작했다. 외연 시일부(18)는 플랜지부(12)의 내연에 접해 있고, 외연 시일부(18)의 폭은 7 mm였다. 또한, 덮개부(20)의 합장부(23)가 연장되는 방향이, 본체부(10)의 최대 거리(S1)의 방향인 제1 방향(D1)에 평행하게 되도록 본체부(10)와 덮개부(20)를 조합했다. 또한, 본체부(10)의 수용부(101)의 중심점(101C)과 제1 가장자리부(13)를 따르는 외연 시일부(18)의 내연 사이의 최대 거리(L1)에 대한, 합장부(23)의 기초부(26)와 제1 가장자리부(13)를 따르는 외연 시일부(18)의 내연 사이의 최대 거리(L2)의 비가 0.3이 되도록 본체부(10)에 대한 덮개부(20)의 위치를 조정했다.
이어서, 용기(1)에 수용된 물 100 g을, 700 W 출력의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1분15초 동안 가열했다. 모든 용기(1)에 있어서, 관통 구멍(31) 주위의 합장 시일부(24)가 박리되었음을 확인했다. 또한, 플랜지부(12)와 덮개부(20) 사이의 외연 시일부(18)에 박리가 생겼는지는 여부를 확인했다. 결과를 도 25에 도시한다. 도 25에 있어서, 「우수(優)」는 외연 시일부(18)에 박리가 생기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양호(良)」는 외연 시일부(18)에 박리가 생겼지만 박리가 외연 시일부(18)의 외연까지는 도달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불량(不良)」은 외연 시일부(18)에, 외연 시일부(18)의 외연까지 도달하는 박리가 생겼음을 의미한다.
도 2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4 종류의 용기(1) 어디에서나, 5개 중 4개 이상의 샘플에 있어서, 외연 시일부(18)에 박리가 생기지 않았다. 특히 S2/S1이 1.3, 1.4 및 1.5인 경우에는, 5개 중 5개의 샘플에 있어서, 외연 시일부(18)에 박리가 생기지 않았다.
(실시예 A2)
최대 거리(L1)에 대한 최대 거리(L2)의 비가 1.0이 되도록 덮개부(20)를 구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A1의 경우와 같은 식으로 하여, 4 종류의 대략 직사각형 용기(1)를 각각 5개씩 제작했다. 또한, 실시예 A1의 경우와 같은 식으로 하여, 플랜지부(12)와 덮개부(20) 사이의 외연 시일부(18)에 박리가 생겼는지 여부를 확인했다. 결과를 도 26에 도시한다.
도 2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S2/S1이 1.3, 1.4 또는 1.5인 경우에는, L2/L1이 1.0인 경우라도, 외연 시일부(18)의 외연에까지 도달하는 박리는 생기지 않았다. 특히 S2/S1이 1.3인 경우에는, 5개 중 4개의 샘플에 있어서, 외연 시일부(18)에 박리가 생기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S2/S1이 1.6인 경우에는, 5개 중 3개의 샘플에 있어서, 외연 시일부(18)의 외연에까지 도달하는 박리가 생겼다.
(실시예 A3)
바닥재(40)로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1 층(41a), EVOH을 포함하는 제2 층(41b)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3 층(41c)을 포함하는 두께 400 ㎛의 공압출 시트로 이루어지는 제1 기초재(41)를 이용하여, 실시예 A1의 경우와 같은 식으로 본체부(10)를 제작했다. S2/S1은 1.3으로 했다. 본체부(10)의 깊이(H)는 30 mm로 했다.
이어서, 실시예 A1의 경우와 동일한 덮개부(20)를 제작했다. 이어서, 본체부(10)의 수용부(101)에 100 g의 물을 충전한 후, 본체부(10)의 플랜지부(12)에 덮개부(20)를 접합하는 외연 시일부(18)를 형성하여, 물이 수용된 용기(1)를 제작했다. 이때, L2/L1이 0.2, 0.4, 0.6, 0.8 또는 1.0이 되는 5 종류의 용기(1)를 각각 5개씩 제작했다. 이어서, 실시예 A1의 경우와 같은 식으로 하여, 플랜지부(12)와 덮개부(20) 사이의 외연 시일부(18)에 박리가 생겼는지 여부를 확인했다. 결과를 도 27에 도시한다.
도 2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5 종류의 용기(1)의 어디에서나, 외연 시일부(18)의 외연에까지 도달하는 박리는 생기지 않았다. 특히 L2/L1이 0.4, 0.6 또는 0.8인 경우에는, 5개 중 5개의 샘플에 있어서, 외연 시일부(18)에 박리가 생기지 않았다.
상술한 실시예 A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S2/S1이 1.3이고 L2/L1이 0.3인 경우에도, 5개 중 5개의 샘플에 있어서, 외연 시일부(18)에 박리가 생기지 않았다. 따라서, L2/L1이 0.3 이상 또한 0.8 이하이면, 관통 구멍(31)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증기를 외부로 빼낼 수 있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A4)
실시예 A3에 나타내는 용기(1)로부터 제1 시험편(61) 및 제2 시험편(62)을 각각 잘라냈다. 이어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상술한 측정 방법에 의해, 제1 시험편(61)을 이용하여 합장 시일부(24)의 시일 강도를 측정하고, 제2 시험편(62)을 이용하여 외연 시일부(18)의 시일 강도를 측정했다. 측정은 25℃ 및 100℃의 환경 하에서 각각 실시했다. 100℃의 환경 하에서의 측정 시에는, 오리엔테크사 제조의 항온조가 달린 인장 시험기 RTC-1310A의 항온조의 온도가 100℃에 도달하고 나서 2분 후에 측정을 시작했다. 25℃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를 도 28에 도시하고, 100℃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를 도 29에 도시한다.
도 2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25℃에 있어서의 외연 시일부(18)의 시일 강도는 15 N 이상이고, 25℃에 있어서의 합장 시일부(24)의 시일 강도는 10 N 이하였다. 또한, 100℃에 있어서의 외연 시일부(18)의 시일 강도는 3.0 N 이상이고, 100℃에 있어서의 합장 시일부(24)의 시일 강도는 2.5 N 이하였다. 이와 같이, 합장 시일부(24)의 시일 강도는 외연 시일부(18)의 시일 강도보다도 낮게 되어 있고, 이 때문에, 외연 시일부(18)와 비교하여 합장 시일부(24)에 있어서 박리가 진행되기 쉽다는 것이 기대된다.
제2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2 실시형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관해서 설명한다.
종래, 식품을 용기에 수용한 채로 전자레인지에 의해 가열 조리할 수 있으며 또한 내부의 증기 압력에 의해 시일부를 일부 박리시켜 증기를 밀어낼 수 있는 용기(포장체)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4-117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4-268948호 공보, WO2007/020854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4-117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4-268948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증기를 밀어내기 위한 개구가 본체부의 플랜지부와 덮개부의 사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그로부터 증기와 함께 내용물도 새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WO2007/020854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통상의 덮개부에추가로 하부 부재를 두지 않으면 안 되어,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는,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가열 조리하는 용기이며, 사용성이 우수한 전자레인지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용기는, 수용부를 규정하는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상부에 빙둘러 마련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수용부를 덮도록 플랜지부에 접합된 덮개부를 포함한다. 플랜지부와 덮개부 사이에는 빙둘러 외연 시일부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부는 내면끼리 대향하는 합장부를 갖고 있다. 합장부는, 플랜지부에서 합장부의 선단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2개의 제1 합장 시일부와, 2개의 제1 합장 시일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합장 시일부를 갖고 있다. 수용부의 중심을 지나 외연 시일부의 외연의 2점을 연결했을 때에 최소 거리가 되는 축을 A축으로 하고, 수용부의 중심을 지나 A축과 직교하도록 외연 시일부의 외연의 2점을 연결한 축을 B축으로 했을 때에, A축의 길이가 B축의 길이보다 짧고, 합장부는 수용부를 가로지름과 더불어 B축을 따르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2 합장 시일부에 증기 통과부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합장부가 B축을 따라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가열 조리했을 때에, 합장부에 형성된 제2 합장 시일부의 증기 통과부로부터 안정적으로 증기를 빼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합장 시일부 또는 외연 시일부를 통해 증기가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내용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용기)
이하, 본 실시형태의 용기(1)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레인지용 용기(1)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31(a)∼도 31(c)은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레인지용의 용기(1)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1(a)은 평면도, 도 31(b)은 도 31(a)에 있어서의 XXXIB-XXXIB선 단면도, 도 31(c)은 도 31(a)에 있어서의 XXXIC-XXXIC선 단면도이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작용 효과가 제2 실시형태에서도 얻어지는 것이 분명한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덮개부(20)는 합장부(23)와 합장 시일부(24)를 갖고 있다. 본체부(10)의 플랜지부(12)와 덮개부(20) 사이에는 빙둘러 외연 시일부(18)가 형성된다. 도 30, 도 31(a)∼도 31(c)에서는, 외연 시일부(18)가 되는 영역, 합장 시일부(24)가 되는 영역을 음영을 주어 도시하고 있다.
(외연 시일부)
도 31(b), 도 31(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덮개부(20)와 플랜지부(12) 사이에 외연 시일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외연 시일부(18)는, 덮개부(20)의 실란트층과 플랜지부(12)가 히트 시일됨으로써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1(a)에 음영을 주어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플랜지부(12)의 전역에 걸쳐 외연 시일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외연 시일부(18)의 폭(18W)은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3 mm 이상 7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연 시일부(18)의 폭(W)이 3 mm 미만이면, 수용부(101)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 박리되어 내용물이 샐 우려가 높아진다. 또한, 외연 시일부(18)의 폭(W)이 7 mm를 넘으면, 이용자가 개봉하려고 했을 때에, 용이하게 박리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합장부 및 합장 시일부)
합장부(23)는 덮개부(20)의 내면끼리 대향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덮개부(20)는 1장의 필름으로 구성되며, 도 31(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합장부(23)의 선단(23a)에 있어서, 필름이 되접어 꺾여 있고, 필름이 연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합장 시일부(24)는 덮개재(50)의 열가소성 수지층(53)끼리 시일된 것이다. 도 31(b), 도 31(c)에 도시하는 부호 23L이 부여된 치수선은, 합장부(23)의 선단(23a)에서부터 합장부(23)의 기초부(26)까지의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도 31(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합장 시일부(24)는, 본체부(10)의 플랜지부(12) 상에 위치하는 제1 합장 시일부(24a, 24b)와, 2개의 제1 합장 시일부(24a, 24b)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합장 시일부(24c)로 구분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합장 시일부(24c)는, 한쪽의 제1 합장 시일부(24a)와 다른 쪽의 제1 합장 시일부(24b)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즉, 합장부(23)에 미(未)시일부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도 30, 도 31(c)에서는, 제1 합장 시일부(24a)와 제2 합장 시일부(24c)의 경계, 제1 합장 시일부(24b)와 제2 합장 시일부(24c)의 경계를 1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1(b), 도 31(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합장 시일부(24a, 24b), 제2 합장 시일부(24c)는 합장부(23)의 기초부(26)에서부터 선단(23a)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A축과 B축의 설명)
합장부의 방향을 특정하기 위한 A축과 B축을 정의한다. 도 31(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부호 A로 나타내는 A축은, 수용부(101)의 중심을 지나, 외연 시일부(18)의 외연의 2점을 연결했을 때에 최소 거리가 되는 축이다. 부호 B로 나타내는 B축은, 수용부(101)의 중심을 지나, A축과 직교하도록 외연 시일부(18)의 외연의 2점을 연결한 축이다. A축은 B축보다도 짧다. A축의 길이에 대한 B축의 길이의 비는 1.2∼3.0이 바람직하고, 1.4∼2.0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1(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합장부(23)는 수용부(101)의 중심을 지남과 더불어 B축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합장부(23)가 B축과 평행하다. 그러나, 합장부(23)는 반드시 B축 상 또는 B축과 평행할 필요는 없으며, B축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B축을 따라 형성」이란, B축과 이루는 각도가 0° 이상 45° 미만인 것을 의미한다. 합장부(23)는, B축과 이루는 각도가 10° 이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31(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합장부(23)는, 플랜지부(12)의 한쪽의 짧은 변 부분(122)에서부터 대향하는 다른 쪽의 짧은 변 부분(122)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1(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짧은 변 부분(122)이 연장되는 방향과 합장부(23)가 연장되는 방향은 직교하고 있다.
(증기 통과부)
도 30 및 도 31(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합장 시일부(24c)에 증기 통과부(30)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증기 통과부(30)는 V자형의 관통 구멍(31)을 포함한다. 도 31(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V자형의 관통 구멍(31)은 정점이 본체부(10) 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수직 방향에 있어서, 관통 구멍(31)은, 합장부의 기초부(26)에서 위쪽으로 2 mm∼5 mm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평 방향에 있어서, 관통 구멍(31)은, 안정적으로 관통 구멍(31)으로부터 증기가 빠지게 한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수용부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티밍(steaming) 효과를 높인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수용부의 중심에서 먼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부)
도 31(a)∼도 31(c)에 도시한 덮개부(20)를 구성하는 덮개재(50)의 재질에 관해서 설명한다. 덮개재(50)는 적어도 제1 기초재(51)와 열가소성 수지층(53)을 포함한다. 제1 기초재(51)의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나일론(Ny)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나, 폴리프로필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기초재(51)는 이축 연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층(53)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하나의 수지, 그리고 하나의 수지와 비상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혼합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 수지나, 폴리에틸렌과 폴리부텐의 혼합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층(53)은 덮개재(50)의 최내층으로 되는 층이다. 또한, 제1 기초재(51) 및 열가소성 수지층(53)이 모두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경우, 제1 기초재(51)에 있어서는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이 이용되고, 열가소성 수지층(53)에 있어서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이 이용된다. 덮개재(50)에 있어서는, 제1 기초재(51)는 복수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덮개재(50)는, 제1 기초재(51), 열가소성 수지층(53) 이외의 다른 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다른 층은, 제1 기초재(51)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제1 기초재(51)와 열가소성 수지층(53)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다른 층으로서는 배리어층 등을 들 수 있다. 배리어층으로서는, 산화알루미늄 등의 금속 산화물이나 산화규소 등의 무기 산화물의 증착층,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PVDC)나, 나일론 MXD6 등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수지층 등을 형성할 수 있다. 각 층은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이나 용융 압출법 등을 이용하여 적층할 수 있다.
(본체부)
도 32(a), 도 32(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레인지용 용기(1)를 구성하는 본체부(1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a)가 평면도, 도 32(b)가 도 32(a)의 XXXIIB-XXXIIB선 단면도이다. 도 32(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본체부(10)의 플랜지부(12)는, 대향하는 2개의 긴 변 부분(121)과 대향하는 2개의 짧은 변 부분(122)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12) 외연의 윤곽이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12) 내연의 윤곽이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도 32(a)를 이용하여, 부호 C로 나타내는 C축과, 부호 D로 나타내는 D축에 관해서 설명한다. C축은, 수용부(101)의 중심을 지나, 플랜지부(12)의 내연의 2점을 연결했을 때에 최소 거리가 되는 축이다. 또한 D축은, 수용부(101)의 중심을 지나, C축과 직교하도록 플랜지부(12)의 내연의 2점을 연결한 축이다. D축은 C축보다도 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C축은 도 31(a)에 도시한 A축과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D축은 B축과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부호 E로 나타내는 E축은, 수용부(101)의 중심을 지나, 플랜지부(12)의 외연의 2점을 연결했을 때에 최소 거리가 되는 축이다. 부호 F로 나타내는 F축은, 수용부(101)의 중심을 지나, E축과 직교하도록 플랜지부(12)의 내연의 2점을 연결한 축이다. F축은 E축보다도 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E축은 C축 및 A축과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F축은 D축 및 B축과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C축과 E축이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고, D축과 F축이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 32(a)에서는, 축 양끝의 화살표 형상의 차이에 의해, C축과 E축, D축과 F축의 길이의 차이를 파악하기 쉽게 도시하고 있다. 또한, C축 및 D축은 실선으로 나타내고, E축 및 F축은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C축의 길이에 대한 D축의 길이는, C축의 길이가 D축보다 짧은 한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1.2∼3.0이 바람직하고, 1.4∼2.0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32(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몸통부(11)는 측부(11b)와 바닥부(11a)를 포함하고 있다. 평면에서 봤을 때, 바닥부(11a)는 장방형이다. 바닥부(11a)의 주연부로부터 측부(11b)가 세워 형성되어 있다. 도 32(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플랜지부(12)는, 측부(11b)의 윗가장자리에 연속 형성되고, 외측으로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32(b)에 있어서, G는 본체부(10)의 깊이, 즉 수용부(101)의 깊이이며, 플랜지부의 윗가장자리에서부터 바닥부(11a)의 윗가장자리까지의 수직 방향을 따른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본체부(10)는, 폴리프로필렌(PP)이나 폴리에틸렌(PE), 폴리스티렌(PS) 등의 폴리올레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본체부(10)는 예컨대 사출 성형법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본체부(10)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2.0 mm의 범위 내에 있다.
(내용물)
내용물은 수분을 포함한다. 내용물로서는 예컨대 레토르트 푸드, 냉동식품이나 냉장식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식품으로서는 카레, 죽, 야끼소바, 반찬, 생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내용물에 있어서는, 가열함에 따라 수분 증발이 일어나 용기의 수용부(101)의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수용부(101) 내의 증기를 외부로 밀어내는 증기 빼기 기능이 요구된다.
(증기 빼기의 원리)
내용물이 충전된 실시형태의 전자레인지 용기를 전자레인지로 가열 조리하면 수분이 증발하여 수증기가 발생한다. 발생한 수증기에 의해서 덮개부가 들려 올라가도록 힘이 걸린다. 힘은 수용부(101)의 중심에 가까울수록 크다.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10)의 B축, 즉 본체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합장부(23)를 두고 있기 때문에, 제1 합장 시일부(24a, 24b)에 힘이 걸리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제2 합장 시일부(24c)에 형성한 증기 통과부(30)로부터 증기를 빼낼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합장 시일부(24a, 24b)나 외연 시일부(18)를 통해 증기가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내용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비교형태)
도 33은 비교형태의 전자레인지용 용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비교형태는, 합장부(23)를 A축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한 것 이외에는 본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비교형태에서는, 합장부(23)는, 수용부(101)의 중심을 지남과 더불어 A축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2 합장 시일부(24c)에 증기 통과부(30)가 마련되어 있다. 비교형태에서도, 제2 합장 시일부(24c)는 한쪽의 제1 합장 시일부(24a)와 다른 쪽의 제1 합장 시일부(24b)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합장 시일부(24a, 24b)와 제2 합장 시일부(24c)는 합장부(23)의 기초부에서부터 선단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비교형태에서도, 증기 통과부(30)는 제2 합장 시일부(24c)에 형성되며, V자형의 절입을 포함한다.
내용물이 충전된 비교형태의 전자레인지 용기를 전자레인지로 가열 조리하면, 상술한 것과 같이 발생한 수증기에 의해서 덮개부(20)가 들려 올라가도록 힘이 걸린다. 힘은 수용부(101)의 중심에 가까울수록 크다. 비교형태에서는 합장부(23)를 A축을 따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수용부(101)의 중심에서부터 제1 합장 시일부(24a, 24b)의 외연까지의 거리가 짧다. 이 때문에, 제2 합장 시일부(24c)에 형성한 증기 통과부로부터 증기가 빠질 때까지 사이에 제1 합장 시일부(24a, 24b)를 통해 증기가 빠져 버리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제1 합장 시일부(24a, 24b)는, 덮개부(20)의 합장부(23)와 덮개부(20) 중 플랜지부(12)에 밀봉되는 부분이 겹쳐진 상태로 형성된다. 즉, 4장의 필름이 겹쳐진 상태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외연 시일부(18) 중, 제1 합장 시일부(24a, 24b)와 겹쳐 시일된 부분은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시일 강도가 작아진다. 그 때문에, 외연 시일부(18) 중, 제1 합장 시일부(24a, 24b)와 겹쳐 밀봉된 부분에 있어서, 덮개부(20)와 플랜지부(12) 사이에서 증기가 빠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합장부의 변형예)
도 34는 변형예에 있어서의 덮개부(2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31(a)의 XXXIB-XXXIB선 단면도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 30∼도 31(c)에 도시한 예에서는 1장의 필름을 이용하여 합장부(23)를 구성했지만, 도 34에 도시하는 변형예에서는 2장의 필름을 이용하여 합장부(23)를 형성하고 있다. 도 34에서는, 증기 통과부(30)는 관통 구멍(31)을 포함한다. 2장의 필름을 이용하여 합장부(23)를 구성한 경우, 합장부(23)의 선단(23a)에 있어서, 필름이 연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2 합장 시일부(24c)는, 한쪽의 제1 합장 시일부(24a)에서 다른 쪽의 제1 합장 시일부(24b)에 걸쳐 형성하는 것이 필수 요건이 된다. 또한, 도 34에 도시하는 변형예에서는 증기 통과부(30)가 관통 구멍(31)을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합장부(23)가 2장의 필름으로 구성되는 경우, 증기 통과부(30)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제2 합장 시일부(24c)의 일부에 수직 방향의 시일 폭이 좁은 부분을 형성해 놓음으로써, 증기 통과부(30)로서 작용하게 할 수 있다.
(본체부의 변형예)
도 35(a)∼도 35(d)는 본체부(1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5(a)∼도 35(d)에서는, 대표적인 변형예로서 도 35(a)∼도 35(d)에 4개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a)와 비교하면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도 35(a)의 변형예에서는, 플랜지부(12) 내연의 4개의 코너부가 전부 모따기되어, 외측으로 볼록한 원호형으로 되어 있다. 도 35(b)의 변형예에서는, 플랜지부(12) 내연의 하나의 코너부가 모따기되어, 외측으로 볼록한 원호형으로 되어 있다. 도 35(b)에서는, 도면 우측 위의 코너부가 모따기되어 있지만, 다른 어느 한 코너부가 모따기되어 있어도 좋고, 임의의 2개 또는 3개의 코너부가 모따기되어 있어도 좋다. 도 35(c)의 변형예에서는, 플랜지부(12) 내연의 4개의 코너부, 외연의 4개의 코너부가 전부 모따기되어, 외측으로 볼록한 원호형으로 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12)의 내연의 윤곽 및 외연의 윤곽이 장방형인 예를 나타냈지만, 도 35(a)∼도 35(c)와 같이 장방형에 있어서 코너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모따기되어 밖으로 볼록한 원호형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35(a)∼도 35(c)의 내연의 윤곽 및 외연의 윤곽도 장방형의 개념에 포함하는 것이다. 도 35(d)의 변형예에서는, 플랜지부(12)의 내연 및 외연이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외연 시일부의 변형예)
도 36은 외연 시일부(18)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용기(1)의 평면도이다. 도 36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합장부(23)를 생략하고 있다. 도 3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외연 시일부(18)는 플랜지부(12)의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도, 바람직하게는 외연 시일부(18)의 폭(18W)은 3 mm 이상 7 mm 이하이다. 도 36의 변형예에서는, 외연 시일부(18)의 일부(도면 왼쪽 상측)가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된 돌출 시일부(18a)를 구비하고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돌출 시일부(18a)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출 시일부(18a)를 구비함으로써, 박리 시작의 박리 강도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개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합장부의 위치의 변형예)
도 37은 합장부(23)의 위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7의 변형예에서는, 합장부(23)는, 수용부(101)를 가로지름과 더불어 B축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한쪽의 긴 변 부분(121) 측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도 37에서는, 도면 상측의 긴 변 부분(121) 측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즉, 용기의 중심을 지나지 않게 합장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도 38(a), 도 38(b)은 합장 시일부의 시일 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8(a), 도 38(b)은 실시형태의 도 31(c)에 상당하는 도면인데, 합장부(23) 부분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38(a), 도 38(b)에서는, 시일된 부위를 음영을 주어 나타내고 있다. 도 38(a), 도 38(b)에 걸친 좌우 2 라인씩의 파선은 대응하는 플랜지부(12)의 폭을 나타내고 있다. 도 38(a)의 변형예에서는, 제2 합장 시일부(24c) 하측의 좌우에 사다리꼴로 비(非)시일부(38)가 존재한다. 비시일부(38)는 합장부(23)의 기초부(26)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합장 시일부(24c)가 하측으로 볼록한 부분을 포함하고, V자형의 절결(관통 구멍)이 제2 합장 시일부(24c)의 볼록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제2 합장 시일부(24c)의 볼록한 부분이 삼각형상인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8(a)의 변형예는, 2개의 제1 합장 시일부(24a, 24b) 사이에 걸쳐 제2 합장 시일부(24c)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34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필름 2장에 의해 합장부(23)가 구성된 경우라도 적용 가능하다.
도 38(b)의 변형예에서는, 중앙 상측으로부터 반원형인 부분과, 반원형인 부분과 이격되게 형성되며 제1 합장 시일부(24a, 24b)에 인접하는 좌우의 장방형 부분에 의해 제2 합장 시일부(24c)가 구성된다. 도 38(b)에 있어서 음영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부위는 비시일부(38)로 되어 있다. 비시일부(38)는 합장부(23)의 선단(23a) 및 기초부(26)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8(b)의 변형예에서는, 제2 합장 시일부(24c)의 반원형 부분에 맞춰, 증기 통과부(30)인 관통 구멍(절입)(31)도 아래로 볼록한 반원호형으로 되어 있다. 증기 통과부(30)인 반원호형의 관통 구멍(절입)(31)이 전부 제2 합장 시일부(24c)에 수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8(b)의 변형예는, 제1 합장 시일부(24a, 24b)와 제2 합장 시일부(24c) 사이에 비시일부(38)가 존재하기 때문에, 도 34에 도시한 것과 같은, 필름 2장에 의해 합장부(23)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다.
(시일부의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1)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외연 시일부(18)보다도 먼저 증기 통과부(30) 주위의 합장 시일부(24)가 박리되어, 증기 통과부(30)로부터 증기가 외부로 빠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을 고려하여,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합장 시일부(24)가 이지-필 특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예컨대 합장 시일부(24)의 제2 합장 시일부(24c)의 시일 강도는, 외연 시일부(18)의 시일 강도보다도 낮게 되어 있어도 좋다.
온도 25℃, 상대습도 50%의 환경 하에 있어서의 외연 시일부(18)의 시일 강도는 예컨대 10 N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N 이상이다. 또한, 온도 25℃, 상대습도 50%의 환경 하에 있어서의 제2 합장 시일부(24c)의 시일 강도는, 외연 시일부(18)의 시일 강도보다도 낮으며, 예컨대 12 N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N 이하이다.
100℃에 있어서의 외연 시일부(18)의 시일 강도는 예컨대 3.0 N 이상이다. 또한, 100℃에 있어서의 제2 합장 시일부(24c)의 시일 강도는, 외연 시일부(18)의 시일 강도보다도 낮으며, 예컨대 8.0 N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N 이하이다.
(증기 통과부의 변형예)
도 39(a)∼도 39(d)는 증기 통과부(3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9(a)∼도 39(d)는 실시형태의 도 31(c)에 상당하는 도면이지만, 설명의 편의상 증기 통과부(30) 부근만을 빼내어 도시하고 있다. 도 39(a)∼도 39(d)에서는 시일된 부위를 음영을 주어 나타내고 있다. 도 39(a)의 변형예에서는, 증기 통과부(30)는 비시일부(31a)와 관통 구멍(31)을 포함하며, 비시일부(31a) 내에 관통 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도 39(a)의 변형예에서는, 비시일부(31a)는 장방형이지만, 장방형 이외의 형상이라도 좋다. 도 39(b)의 변형예에서는, 증기 통과부(3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I자형의 관통 구멍(절입)(31)을 포함한다. 도 39(b)의 예에서는, 관통 구멍(31)의 상단은 합장부(23)의 선단(23a)까지 도달하고 있다. 도 39(c)의 변형예에서는, 증기 통과부(30)로서, 관통 구멍(절입)이 아니라 절결(32)이 형성되어 있다. 도 39(c)의 변형예에서는, 절결(32)의 형상은 아래로 볼록한 반원형으로 되어 있다. 도 39(d)의 변형예에서도, 증기 통과부(30)로서 절결(32)이 형성되어 있다. 도 39(d)의 예에서는, 절결(32)의 형상은 삼각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절입 대신에 구멍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체부의 변형예)
진공 성형법이나 압공 성형법 등의 시트 성형법을 이용하여 본체부(10)를 형성하여도 좋다. 예컨대 플라스틱제 시트를, 시트 성형법의 일종인 디프드로잉 성형법으로 가공함으로써 본체부(10)를 제작하는 경우, 예컨대 PP, Ny, PP가 순차 적층된 시트나 LLDPE, Ny, LLDPE가 순차 적층된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드프드로잉 성형법을 이용하여 본체부를 형성하는 경우, 본체부의 두께는 100∼500 ㎛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이어서, 제2 실시형태를,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제2 실시형태는 그 요지를 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B1)
300 ㎛ 두께의 공압출 시트(PP/EVOH(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PP)를 이용하여, 시트 성형법에 의해 도 32(a), 도 32(b)의 본체부(10)를 성형했다. 플랜지부(12)의 바깥치수(E축×F축)가 110 mm×150 mm, 안치수(C축×D축)가 90 mm×130 mm, 깊이(G)가 30 mm인 성형 트레이를 본체부(10)로서 제작했다. 이어서, 두께 12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두께 15 ㎛의 이축 연신 폴리아미드 필름, 두께 50 ㎛의 이지-필 필름을 순차 적층한 적층 필름을 준비했다. 그리고, 위에서 제작한 적층 필름을 이용하여, 합장부(23) 및 합장 시일부 및 증기 통과부(30)인 V자형 관통 구멍(31)을 형성하여, 덮개부(20)를 제작했다. 위에서 제작한 성형 트레이[본체부(10)]에 물을 100 g 충전한 후, 덮개부(20)를 본체부(10)에 접합시킴으로써 도 30에 도시하는 용기를 형성했다. 이때, 합장부(23)의 선단(23a)에서부터 합장부(23)의 기초부(26)까지의 길이(L)를 10 mm로 했다. 합장부(23)는 B축 상에 위치하고 있다. 증기 통과부(30)인 관통 구멍(31)은 수용부(101)의 중심 상에 위치하고 있다. 외연 시일부(18)의 폭은 7 mm로 했다. 또한, 합장부(23)의 기초부(26)에서부터 관통 구멍(31)의 하단까지의 거리는 3 mm로 했다.
(실시예 B2)
증기 통과부(30)로서 V자형의 관통 구멍(31)을 수평 방향으로 30 mm 변위시킨 위치에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B1과 같은 식으로 용기를 제작했다.
(실시예 B3)
증기 통과부(30)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I자형의 관통 구멍(31)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B1과 같은 식으로 용기를 제작했다. 또한, I자형의 절입은 합장부(23)의 선단(23a)에 달하도록 형성했다.
(비교예 B1)
합장부(23)를 A축 상에 위치시키도록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B1과 같은 식으로 용기를 제작했다. 즉, 비교예 B1의 용기는 도 33에 도시하는 용기에 상당하는 것이다.
(비교예 B2)
증기 통과부(30)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I자형의 절입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B1과 같은 식으로 용기를 제작했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평가 결과)
평가 샘플은, 600 W의 전자레인지(샤프(주) 제조)의 중앙부에 정치하여, 증기가 통과할 때까지 가열을 행하고, 시각 점검으로 확인하여 평가했다.
평가 결과는 이하의 〔표 1〕과 같이 되었다.
Figure pct00001
평가 결과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실시예 B1∼실시예 B3과 같이, 합장부를 B축을 따라(긴 변 부분에 평행하게) 형성한 경우에는, 합장부(23)의 제2 합장 시일부(24c)에 마련된 증기 통과부(30)로부터 증기가 빠져(증기 통과),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한편, 비교예 B1 ,비교예 B2와 같이, 합장부를 A축을 따라(짧은 변 부분에 평행) 형성한 경우에는, 합장부(23)의 제2 합장 시일부(24c)에 마련된 증기 통과부(30)뿐만 아니라, 덮개부와 플랜지부 사이로부터도 증기가 빠져 버려, 일부의 물이 밖으로 새어나오는 결과가 되었다.
제3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3 실시형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관해서 설명한다.
조리 완료된 식품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06-23228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적층체에 디프드로잉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얻어지는 디프드로잉 용기가 알려져 있다. 디프드로잉 용기는, 디프드로잉 성형에 의해서 형성되는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를 갖는 본체부와, 플랜지부에 접합된 덮개부를 구비한다. 또한 용기에는, 전자레인지 등에 의해서 내용물이 가열될 때에 발생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증기 통과부가 마련되어 있다.
전자레인지 등에 의해서 내용물이 가열되는 타입의 용기에는, 상품을 나타내는 화상이나 문자,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화상이나 문자 등, 다양한 정보가 인쇄에 의해서 표시된다. 이하, 용기 중 화상이나 문자 등의 다양한 정보가 인쇄되어 있는 부분을, 표시부라고도 부른다.
그런데, 디프드로잉 성형에 있어서는, 본체부를 구성하기 위한 적층체가 크게 늘어나게 된다. 이 때문에, 적층체에 미리 표시부를 형성하면, 디프드로잉 성형에 의해서 표시부가 크게 왜곡되어 버린다. 따라서, 디프드로잉 용기에 있어서는, 용기 측에 표시부를 두는 것은 곤란하여, 덮개부에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덮개부만으로는 표시부의 면적 제약이 크기 때문에, 본체부도 표시부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실시형태는, 이들 과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용기는, 수용부를 규정하는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를 갖는 본체부로서, 바닥재(제1 적층체)에 의해서 구성된 본체부와, 수용부를 덮도록 본체부의 플랜지부에 외연 시일부를 통해 접합된 덮개부로서, 덮개재(제2 적층체)에 의해서 구성된 덮개부와, 수용부의 압력이 증가했을 때에 수용부를 용기의 외부와 연통시키 도록 구성된 증기 통과부를 구비한다. 바닥재는, 상기 수용부 측에 위치하는 내면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층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에 적층된 기초재를 적어도 갖는다. 바닥재의 기초재는 연신 필름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며, 또한 수용부의 압력이 증가했을 때에 수용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구성된 증기 통과부를 구비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은, 수용부를 규정하는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갖는 본체부를 구성하기 위한 바닥재(제1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바닥재에 드로잉 성형을 실시하여 몸통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몸통부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공정과, 수용부를 덮는 덮개부를 구성하기 위한 덮개재(제2 적층체)를 바닥재에 겹치는 공정과, 덮개재를, 바닥재의 몸통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에 접합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바닥재는, 수용부 측에 위치하는 내면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층에 적층된 기초재를 적어도 갖는다. 바닥재의 상기 기초재는 연신 필름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표시부의 인쇄 적합성이 우수한 표시부가 마련된 본체부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용기(1)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0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용기(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41은 도 40에 도시하는 용기(1)를 XXXXI-XXXXI선을 따라 본 경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용기(1)는,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체부(10), 덮개부(20), 증기 통과부(30)를 구비한다. 또한 용기(1)는, 인열에 의해서 용기(1)를 개봉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개봉 수단(17)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작용 효과가 제3 실시형태에서도 얻어지는 것이 분명한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이하, 본체부(10), 덮개부(20), 증기 통과부(30) 및 개봉 수단(17)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체부〕
도 4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본체부(10)에는, 본체부(10)를 구성하는 바닥재(제1 적층체)의 외면 측에서 본체부(10)를 본 경우에 시인되는 표시부(10s)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10s)는, 본체부(10) 중 화상, 도형, 그림, 문자, 숫자, 기호 등의 다양한 정보가 인쇄되어 있는 부분이다. 정보로서는, 예컨대 상품명, 상품의 원재료명, 내용량, 유통 기한, 보존 방법, 제조자, 판매자, 영양 성분 표시, 사용 방법, 취급상의 주의점 등을 들 수 있다. 표시부(10s)를 구성하는 층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바닥재 자체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덮개부(20)에도 표시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도 40에 있어서, 부호 S31은 제1 방향(D1)에 있어서의 용기(1)의 치수를 나타내고, 부호 S32는 제2 방향(D2)에 있어서의 용기(1)의 치수를 나타낸다. 또한 도 41에 있어서, 부호 H는 본체부(10)의 몸통부(11)의 깊이를 나타낸다. 깊이(H)는 예컨대 5 mm 이상 또한 20 mm 이하이다. 또한, H/S31 및 H/S32는 모두 0.2 이하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층체를 성형하여 몸통부(11)를 형성할 때의 성형 정도가 비교적 작다. 이 때문에, 적층체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표시부(10s)가 성형에 의해서 왜곡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를 구성하는 적층체로서, 비교적 높은 인장 강도를 가지고, 신장하기 어려운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후술하는 것과 같이, 본체부(10)를 구성하는 바닥재(제1 적층체)로서, 연신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이용할 수 있다.
〔덮개부〕
덮개부(20)는, 본체부(10)의 수용부(101)를 덮도록 플랜지부(12)에 배치되며, 외연 시일부(18)를 통해 플랜지부(12)의 상면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12)가 전역에 걸쳐 덮개부(20)에 접합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플랜지부(12)가 덮개부(20)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시일부(19)가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도 4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1 가장자리부(13)를 따라 연장되는 플랜지부(12) 중, 제1 가장자리부(13)를 따라 연장되는 외연 시일부(18)보다도 내측의 부분에, 제3 가장자리부(15) 측의 외연 시일부(18)에서부터 제4 가장자리부(16) 측의 외연 시일부(18)에 이르도록 제1 방향(D1)을 따라 넓어지는 비시일부(19)가 존재하고 있다. 개봉 수단(17)은, 이 비시일부(19)를 따라 용기(1)를 개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0 및 도 4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덮개부(20)는, 제1 가장자리부(13) 측에 위치하는 제1 덮개부(21)와, 제2 가장자리부(14) 측에 위치하는 제2 덮개부(22)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제1 덮개부(21)의 끝 부분과 제2 덮개부(22)의 끝 부분은 상호 겹쳐 있고, 또한 합장 시일부(24)에 의해서 상호 접합되어 있다.
〔증기 통과부〕
도 4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증기 통과부(30)는 합장 시일부(24)에 형성된 관통 구멍(31)을 포함한다. 관통 구멍(31)은, 제1 덮개부(21) 또는 제2 덮개부(22)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관통하고 있다. 도 4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관통 구멍(31)이 제2 덮개부(22)를 관통하고 있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수용부(101)의 압력이 증가하여 합장 시일부(24)의 박리가 진행되어, 박리가 관통 구멍(31)에 도달하면, 수용부(101)의 증기가 관통 구멍(31)을 지나 외부로 빠질 수 있다. 도 41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관통 구멍(31)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합장 시일부(24)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관통 구멍(31)은 합장 시일부(24)의 중앙부에서 틀어진 장소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도 4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관통 구멍(31)은, 수용부(101)로 향하여 볼록하게 되는 형상을, 예컨대 V자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개봉 수단〕
개봉 수단(17)은, 제1 가장자리부(13)가 연장되는 제1 방향(D1)에 있어서 본체부(10) 및 덮개부(20)를 인열하기 쉽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개봉 수단(17)은, 제3 가장자리부(15) 중 제1 가장자리부(13)에 근접하는 위치에 있어서 본체부(10) 및 덮개부(20)에 형성된 노치(17a)를 포함한다. 노치(17a)는 절결이라도 좋고, 절입이라도 좋다. 사용자는, 노치(17a)를 기점으로 하여 본체부(10) 및 덮개부(20)를 제1 방향(D1)으로 인열할 수 있다.
도 4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개봉 수단(17)은, 제1 가장자리부(13)를 따라 연장되는 외연 시일부(18)보다도 내측의 위치에 있어서, 제1 가장자리부(13)를 따라 연장되는 플랜지부(12)를 인열하기 쉽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개봉 수단(17)의 노치(17a)는, 제1 방향(D1)을 따라 노치(17a)를 본 경우에, 제1 가장자리부(13)를 따라 연장되는 플랜지부(12)의 비시일부(19)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노치(17a)를 기점으로 하여 사용자가 본체부(10) 및 덮개부(20)를 제1 방향(D1)으로 인열하면, 인열선이 플랜지부(12)의 비시일부(19)를 지나게 된다. 플랜지부(12)의 비시일부(19)에 있어서, 플랜지부(12)와 덮개부(20)는, 접합되어 있지 않지만 근접해 있다. 이 때문에, 몸통부(11)의 위치에 있어서 본체부(10) 및 덮개부(20)를 인열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인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개봉 수단(17)은 몸통부(11)의 위치에 있어서 본체부(10) 및 덮개부(20)를 인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라도,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본체부(10)를 구성하는 바닥재(40)가 인열성을 갖기 때문에, 인열에 의해서 용기(1)를 개봉할 수 있다.
(바닥재)
이어서, 도 42를 참조하여, 본체부(10)를 구성하는 바닥재(제1 적층체)(40)의 층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바닥재(40)는 적어도 제1 기초재(41) 및 열가소성 수지층(42)을 구비한다. 도 42에는, 바닥재(40)가 제1 기초재(41), 인쇄층(44) 및 열가소성 수지층(42)을 갖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 기초재(41)는 바닥재(40)의 외면(40y)을 구성하고 있다. 열가소성 수지층(42)은 바닥재(40)의 내면(40x)을 구성하고 있다. 인쇄층(44)은, 제1 기초재(41)와 열가소성 수지층(42) 사이에 형성할 수 있고, 제1 기초재(41)의 내면(40x) 측의 면에 형성할 수 있다. 내면(40x)은 본체부(10)에 있어서 수용부(101) 측에 위치하는 면이고, 외면(40y)은 내면(40x)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기초재(41)는, 용기(1)를 개봉할 때에 본체부(10)가 신장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하도록 일정한 강성을 갖는다. 예컨대 제1 기초재(41)는, 적어도 일축 연신된, 바람직하게는 이축 연신된 연신 필름을 포함한다. 연신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컨대 나일론(ONy) 등의 폴리아미드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기초재(41)에 포함되는 연신 필름은 제1 방향(D1)을 따라 연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 기초재(41)에 포함되는 연신 필름의 연신 방향과 제1 방향(D1)이 이루는 각도가 45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도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기초재(41)의 연신 필름의 두께는 이용되는 재료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된다. 예컨대 제1 기초재(41)의 연신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나일론이 이용되는 경우, 제1 기초재(41)의 연신 필름의 두께는 9 ㎛ 이상 또한 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2 ㎛ 이상 또한 25 ㎛ 이하이다. 연신 필름이란, JIS K 7127에 준거하여 측정했을 때의 인장 신도가 30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인 필름을 가리킨다. 제1 기초재(41)를 구성하는 나일론 필름의 구체예를, 각 필름의 두께 및 특성과 함께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제1 기초재(41)를 구성하는 PET 필름의 예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바닥재(40)의 인쇄층(44)은, 본체부(10)에 제품 정보를 나타내거나 미감을 부여하거나 하기 위해서 제1 기초재(41)에 인쇄된 층이다. 인쇄층(44)은 문자, 숫자, 기호, 도형, 그림 등을 표현한다. 인쇄층(44)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그라비아 인쇄용의 잉크나 플렉소 인쇄용의 잉크를 이용할 수 있다.
인쇄층(44)을 구성하는 잉크는 바인더 및 안료를 포함한다. 바인더는 예컨대 폴리우레탄 등을 포함한다. 폴리우레탄은, 주제로서의 폴리올과 경화제로서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반응함으로써 생성되는 경화물이다.
열가소성 수지층(42)은 용융함으로써 외연 시일부(18) 등의 시일부를 구성하는 층이다. 열가소성 수지층(42)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층(42)은 미연신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미연신 필름이란, JIS K 7127에 준거하여 측정했을 때의 인장 신도가 30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0% 이상인 필름을 가리킨다. 열가소성 수지층(42)은 단층이라도 좋고, 다층이라도 좋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층(42)은 바람직하게는 무연신의 필름을 포함한다. 열가소성 수지층(42)의 두께는 예컨대 30 ㎛ 이상 또한 100 ㎛ 이하이다.
인쇄층(44)이 형성된 제1 기초재(41)와 열가소성 수지층(42) 사이에는, 접착 수지층이나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접착 수지층으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한 에틸렌-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등의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에틸렌-말레산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수지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는, 주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과, 경화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작한 접착제 조성물로 생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접착제는, 접착제 조성물 중의 주제와 용제가 반응하여 생성된 경화물을 포함한다. 주제의 예로서 폴리올, 경화제의 예로서로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접착제의 예로서는, 에테르계의 2액 반응형 접착제 또는 에스테르계의 2액 반응형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에테르계의 2액 반응형 접착제로서는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은, 주제로서의 폴리에테르폴리올과 경화제로서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반응함으로써 생성되는 경화물이다. 에스테르계의 2액 반응형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은, 주제로서의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경화제로서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반응함으로써 생성되는 경화물이다. 또한, 주제로서 아크릴폴리올을 이용하여도 좋다.
(바닥재의 제1 변형예)
도 4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바닥재(40)는, 제1 기초재(41)와 열가소성 수지층(42)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기초재(43)를 추가로 갖고 있어도 좋다. 도 43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제2 기초재(43)는, 제1 기초재(41)에 형성된 인쇄층(44)과 열가소성 수지층(42) 사이에 위치한다.
제2 기초재(43)는, 제1 기초재(41)와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일축 연신된, 바람직하게는 이축 연신된 연신 필름을 포함한다. 연신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제1 기초재(41)와 같은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기초재(43)에 포함되는 연신 필름도, 제1 기초재(41)의 연신 필름과 마찬가지로, 제1 방향(D1)을 따라 연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2 기초재(43)에 포함되는 연신 필름의 연신 방향과 제1 방향(D1)이 이루는 각도가 45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도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4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1 기초재(41)의 연신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초재(41)의 연신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9 ㎛ 이상 또한 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2 ㎛ 이상 또한 25 ㎛ 이하이다. 제1 기초재(41)를 구성하는 PET 필름의 구체예는, 도 42 및 표 3에 나타내는 상술한 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다.
인쇄층(44)이 형성된 제1 기초재(41)와 제2 기초재(43) 사이 그리고 제2 기초재(43)와 열가소성 수지층(42) 사이에는, 상술한 접착 수지층이나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바닥재의 제2 변형예)
도 4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바닥재(40)는, 제1 기초재(41)와 열가소성 수지층(42)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45)을 추가로 갖고 있어도 좋다. 도 44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중간층(45)은, 제1 기초재(41)에 형성된 인쇄층(44)과 열가소성 수지층(42) 사이에 위치한다.
중간층(45)은 예컨대 가스 배리어층을 포함한다. 가스 배리어층으로서는, 예컨대 산화알루미늄 등의 금속 산화물 또는 산화규소 등의 무기 산화물의 증착층 등이 형성될 수 있다. 그 밖에도 가스 배리어층으로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PVDC)나, 나일론 MXD6 등의 지방족 폴리아미드 등의, 높은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수지층을 마련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산소나 수증기가 용기(1)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중간층(45)의 두께는 예컨대 12 ㎛ 이상 또한 25 ㎛ 이하이다.
(덮개재)
덮개재(제2 적층체)(50)는 바닥재(40)와 같은 층 구성을 갖는다. 덮개재(50)는 적어도 제1 기초재 및 열가소성 수지층을 구비한다. 덮개재(50)는, 도 42에 도시하는 바닥재(4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외면을 구성하는 제1 기초재와, 내면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층과, 제1 기초재에 형성된 인쇄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도 43에 도시하는 바닥재(4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덮개재(50)는, 제1 기초재와 열가소성 수지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기초재를 추가로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도 44에 도시하는 바닥재(4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덮개재(50)는, 제1 기초재와 열가소성 수지층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추가로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바닥재(40)의 층 구성과 덮개재(50)의 층 구성은 동일하더라도 좋고, 다르더라도 좋다.
덮개재(50)의 제1 기초재, 인쇄층, 열가소성 수지층 및 제2 기초재의 구성은, 바닥재(40)의 제1 기초재(41), 인쇄층(44), 열가소성 수지층(42) 및 제2 기초재(43)의 구성과 마찬가지다. 예컨대 덮개재(50)의 제1 기초재도, 바닥재의 제1 기초재(41)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일축 연신된 연신 필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용기(1)를 개봉할 때에 덮개부(20)가 신장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인장 강도)
상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재(40)를 성형하여 몸통부(11)를 형성할 때의 드로잉 성형의 정도가 비교적 작다. 이 때문에, 바닥재(40)로서, 비교적 높은 인장 강도를 가지고, 신장되기 어려운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바닥재(40)의 인장 강도는 40 MPa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0 MPa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MPa 이상이다.
이하, 바닥재(40)의 인장 강도의 측정 방법에 관해서 도 45 및 도 4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측정기로서는, 예컨대 A&D 제조의 텐실론 만능 재료 시험기 RTC-1310을 이용할 수 있다.
우선, 도 4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바닥재(40)를 포함하는 시험편(90)을 준비한다. 시험편(90)은, 예컨대 바닥재(40)에 의해서 구성되는 본체부(10)의 일부를 잘라냄으로써 얻어진다. 도 40에 있어서 부호 XXXXV가 부여된 1점쇄선의 프레임은, 시험편(90)을 작성하기 위해서 잘라내어지는 본체부(10)의 몸통부(11)의 바닥부(11a)의 일부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시험편(90)은, 길이(M1)의 긴 변과, 길이(M2)의 짧은 변을 포함하는 직사각형이다. 도 4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시험편(90)은, 시험편(90)의 긴 변의 방향이 제1 방향(D1)에 일치하도록 본체부(10)로부터 잘라내어진다.
시험편(90)을 준비한 후, 도 4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시험편(90)의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양끝을 각각 제1 파지구(91) 및 제2 파지구(92)로 파지한다. 제1 파지구(91)와 제2 파지구(92) 사이의 거리(M3)는 50 mm이다. 또한, 시험편(90)의 짧은 변의 길이(M2)는 10 mm이다. 긴 변의 길이(M1)는 소정의 거리(M3)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정해진다. 예컨대 긴 변의 길이(M1)는 100 mm 이상이다.
이어서, 거리(M3)가 점차로 커지도록, 제1 파지구(91)에 대하여 제2 파지구(92)를 상대적으로 시험편(90)의 긴 변의 방향을 따라 변위시킨다. 제2 파지구(92)를 제1 파지구(9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는 속도는 200 mm/분이다. 그 후, 거리(M3)가 90 mm가 되었을 때에 제2 파지구(92)에 작용하고 있는 하중을 측정한다. 또한, 측정된 하중을, 제1 파지구(91) 및 제2 파지구(92)에 의해서 인장되기 전의 시험편(90)의 단면적으로 나눠, 산출된 값을 시험편(90)의 인장 강도[MPa]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재(40)에 실시되는 드로잉 성형의 정도가 작기 때문에, 높은 인장 강도를 갖는 바닥재(40)를 이용하여 본체부(10)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인쇄층(44)에 의해서 바닥재(40)에 미리 형성된 표시부(10s)가 왜곡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인열성)
이어서, 상술한 바닥재(40) 및 덮개재(50)의 인열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인열성의 지표로서 인열 강도를 이용한다. 인열 강도의 측정 방법에 관해서 도 47 및 도 4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측정기로서는, 예컨대 A&D 제조의 텐실론 만능 재료 시험기 RTC-1310을 이용할 수 있다.
우선, 도 4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상호 겹쳐진 바닥재(40) 및 덮개재(50)를 포함하는 시험편(95)을 준비한다. 시험편(95)은, 예컨대 바닥재(40)에 의해서 구성되는 본체부(10)의 일부와, 덮개재(50)에 의해서 구성되는 덮개부(20)의 일부를 잘라냄으로써 얻어진다. 도 40에 있어서 부호 XXXXVII가 부여된 1점쇄선의 프레임은, 시험편(95)을 작성하기 위해서 잘라내어지는 본체부(10)의 일부 및 덮개부(20)의 일부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0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시험편(95)은, 외연 시일부(18) 등의 시일부에 의해서 바닥재(40)와 덮개재(50)가 접합된 부분을 포함한다. 용기(1) 상태에 있어서의 외연 시일부(18) 등의 시일부가, 도 47에 도시하는, 시험편(95)에 있어서의 시일부(96)가 된다. 또한 도 40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시험편(95)은, 바닥재(40) 중 본체부(10)의 몸통부(11)를 구성하는 부분 및 플랜지부(12)를 구성하는 부분 양쪽을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지만, 시험편(95)은, 바닥재(40) 중 본체부(10)의 플랜지부(12)를 구성하는 부분을 주로 포함하고, 본체부(10)의 몸통부(11)를 구성하는 부분을 전혀 또는 거의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도 4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시험편(95)은, 길이(L31)의 긴 변과 길이(L32)의 짧은 변을 포함하는 직사각형이다. 도 47에 있어서, 부호 95a 및 95b는,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이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라고도 부른다)를 나타낸다. 시일부(96)는 제1 단부(95a)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부호 95c 및 95d는, 짧은 변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이하, 제3 단부 및 제4 단부라고도 부른다)를 나타낸다. 도 4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시험편(95)은, 시험편(95)의 긴 변의 방향이 제1 방향(D1)에 일치하도록 용기(1)로부터 잘라내어진다.
시험편(60)을 준비한 후, 도 4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단부(95a)의, 짧은 변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점에, 긴 변 방향에 있어서 거리(L33)에 걸쳐 연장되는 절입(97)을 형성한다. 절입(97)은, 그 종점이, 바닥재(40)와 덮개재(50)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도달하도록 형성된다.
이어서, 도 4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단부(95a) 중 절입(97)보다도 제3 단부(95c) 측의 부분을, 제1 파지구(99a)로 파지한다. 또한, 제1 단부(95a) 중 제4 단부(95d) 측의 부분을, 제2 파지구(99b)로 파지한다. 그 후, 제2 파지구(99b)를 시험편(95)의 긴 변 방향에 있어서 제2 단부(95b) 측으로 변위시킨다. 이에 따라, 시험편(95)은, 절입(97)의 종점(98)을 기점으로 하여 긴 변 방향에 있어서 인열된다. 제2 파지구(99b)를 제1 파지구(99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는 속도는 200 mm/분이다. 이때, 제2 파지구(99b)를 변위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N]을 측정한다.
제2 파지구(99b)의 변위를, 긴 변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L34)에 걸쳐 계속한다. 거리(L34)에 걸쳐 제2 파지구(99b)를 변위시키는 동안의, 제2 파지구(99b)를 변위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N]의 최대치를, 시험편(95)의 인열 강도[N]로 한다. 시험편(95)의 인열 강도에는, 본체부(10)를 구성하는 바닥재(40)의 인열성 및 덮개부(20)를 구성하는 덮개재(50)의 인열성이 각각 반영된다.
절입(97)의 거리(L33)는 예컨대 30 mm이다. 또한, 짧은 변의 길이(L2)는 25 mm이다. 측정에 있어서 시험편(95)이 인열되는 거리(L34)는 50 mm이다. 긴 변의 길이(L31)는 소정의 거리(L33) 및 거리(L34)를 확보할 수 있게 정해진다. 예컨대 긴 변의 길이(L31)는 100 mm 이상이다.
또한, 시험편(95)의 긴 변의 길이(L31)를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 절입(97)의 거리(L33)를 30 mm보다도 작게 하여도 좋다. 또한, 제1 단부(95a)에, 제1 파지구(99a) 및 제2 파지구(99b)에 의해서 제1 단부(95a)가 파지되기 쉽게 하기 위한, 테이프 등의 부재를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제1 단부(95a)에 시일부(96)가 존재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본체부(10)의 일부 및 덮개부(20)의 일부를 포함하는 시험편(95)의 인열 강도[N]는, 적어도 15 N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N 이하이다. 이에 따라, 바닥재(40)에 의해서 구성되는 본체부(10) 및 덮개재(50)에 의해서 구성되는 덮개부(20)를 인열에 의해서 파단시키기 쉽게 된다. 이에 따라, 용기(1)를 인열함으로써 용기(1)를 개봉할 수 있게 된다.
(접합 강도)
상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1)는, 개봉 수단(17)을 이용하여 본체부(10) 및 덮개부(20)를 인열함으로써 용기(1)를 개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바닥재(40) 및 덮개재(50)에는 이지-필 특성은 요구되지 않는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의 측정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측정기로서는, 오리엔테크사 제조의 항온조가 달린 인장 시험기 RTC-1310A를 이용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바닥재(40) 및 덮개재(50)를 상호 접합시켜, 직사각형의 시험편(63)을 제작했다. 시험편(63)은 15 mm의 폭(짧은 변)을 갖는다. 또한, 시험편(63)에 있어서는, 도 4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그 긴 변 방향의 한쪽의 선단으로부터 15 mm에 걸쳐, 바닥재(40)와 덮개재(50)가 박리되어 있다. 그 후, 도 5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바닥재(40) 및 덮개재(50) 중 이미 박리되어 있는 부분을 각각 측정기의 제1 파지구(71) 및 제2 파지구(72)로 파지한다. 또한, 파지구(71, 72)를 각각 바닥재(40) 및 덮개재(50)가 아직 접합되어 있는 부분의 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호 역방향으로 300 mm/분의 속도로 인장한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의 도 1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인장 응력의 최대치를 측정한다.
5개의 시험편(63)에 관해서 인장 응력의 최대치를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바닥재(40)와 덮개재(50)의 접합 강도로 한다. 인장을 시작할 때의, 파지구(71, 72) 사이의 간격(K)은 20 mm이고, 인장을 종료할 때의, 파지구(71, 72) 사이의 간격(K)은 40 mm이다. 측정 시의 환경은 온도 25℃, 상대습도 50%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바닥재(40) 및 덮개재(50)가 접합된 시험편(63)의, 15 mm 폭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는, 예컨대 23 N 이상이라도 좋고, 40 N 이상이라도 좋다. 이에 따라, 이지-필 특성을 갖도록 바닥재(40) 및 덮개재(50)의 열가소성 수지층(42)을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자레인지 가열 조리로 내압이 높아졌을 때에 플랜지부(12)의 외연 시일부(18)의 박리[플랜지부(12)의 외연 측으로의 시일 후퇴]가 생기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관통 구멍(31) 등의 소정의 증기 통과구로부터 확실하게 증기를 빼낼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층(42)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접합 강도는 23 N 미만이라도 좋다.
용기의 제조 방법
이어서, 상술한 바닥재(40) 및 덮개재(50)를 이용하여 용기(1)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바닥재(40)를 준비하여, 반송 방향(T)에 있어서 반송한다. 도 5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바닥재(40)에는, 상술한 인쇄층(44)에 의해, 외면(40y)에서 바닥재(40)를 본 경우에 시인되는 표시부(10s)가 미리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도 5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바닥재(40)에 드로잉 성형을 실시한다. 예컨대 내면(40x) 측에 웅형(81)을 배치하고, 외면(40y) 측에 자형(82)을 배치한다. 그리고, 웅형(81)을 자형(82)으로 향해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바닥재(40)를 자형(82)의 오목부에 밀어 넣는다. 이에 따라, 도 5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바닥재(40)에 몸통부(1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몸통부(11) 이외의 부분에서 바닥재(40)가 신장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누름판(83)을 이용하여 바닥재(40)를 고정하여도 좋다. 바닥재(40)에 드로잉 성형을 실시하는 공정에서는, 도 15에 도시하는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자형(82)이 위치하는 쪽의 공간, 즉 바닥재(40)의 외면(40y) 측의 공간을, 대기압보다도 낮은 압력을 갖는 진공상태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드로잉 성형을, 바닥재(40)의 온도가 바닥재(40)의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층(42)의 융점보다도 낮은 온도나 제1 기초재(41)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낮은 온도인 120℃ 미만,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또한 100℃ 이하, 또는 상온에서 실시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것과 같이 몸통부(11)의 깊이는 비교적 작으며, 이 때문에 드로잉 성형 시의 바닥재(40)의 신장 정도도 작다. 따라서, 열가소성 수지층(42)의 융점보다도 낮은 온도나 제1 기초재(41)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낮은 온도라도, 원하는 드로잉 성형을 바닥재(40)에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바닥재(40)의 신장 정도가 작기 때문에, 바닥재(40)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부(10s)가 왜곡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압력의 조정 및 바닥재(40)의 온도 조정 양자 모두를 실시하여도 좋다. 예컨대 바닥재(40)를 가열하여 60℃ 이상 또한 100℃ 이하, 예컨대 80℃ 정도로 한 상태에서, 자형(82) 측의 공간의 분위기 또는 웅형(81) 측의 공간의 분위기를 진공상태로 하여, 바닥재(40)를 자형(82) 또는 웅형(81)에 밀착시키더라도 좋다. 이 경우, 자형(82) 또는 웅형(81)만으로 바닥재(40)를 성형할 수 있다. 혹은 바닥재(40) 중 자형(82)과는 반대쪽 공간의 분위기를 압공 상태로 하고, 바닥재(40)를 자형(82)에 밀착시키더라도 좋다. 이 경우도 자형(82)만으로 바닥재(40)를 성형할 수 있다.
바닥재(40)의 드로잉 성형을 실시할 때에 이용하는 형, 온도 및 압력의 조합의 구체예를 이하에 기재한다.
[예 1]
·형: 웅형(81) 및 자형(82)
·바닥재(40)의 온도: 20℃ 이상 또한 100℃ 이하
·웅형(81) 측의 공간의 압력: 대기압 이상 또한 5 atm 이하
·자형(82) 측의 공간의 압력: 0.05 atm 이상 또한 0.3 atm 이하
[예 2]
·형: 자형(82)
·바닥재(40)의 온도: 60℃ 이상 또한 100℃ 이하
·자형(82) 측의 공간의 압력: 0.05 atm 이상 또한 0.3 atm 이하
·바닥재(40)를 사이에 두고서 자형(82)과는 반대쪽 공간의 압력: 대기압 이상 또한 5 atm 이하
[예 3]
·형: 자형(82)
·바닥재(40)의 온도: 60℃ 이상 또한 100℃ 이하
·자형(82) 측의 공간의 압력: 대기압
·바닥재(40)를 사이에 두고서 자형(82)과는 반대쪽의 압력: 1.5 atm 이상 또한 5 atm 이하
[예 4]
·형: 웅형(81)
·바닥재(40)의 온도: 60℃ 이상 또한 100℃ 이하
·웅형(81) 측의 공간의 압력: 0.05 atm 이상 또한 0.3 atm 이하
·바닥재(40)를 사이에 두고서 웅형(81)과는 반대쪽의 압력: 대기압 이상 또한 5 atm 이하
이어서, 도 16에 도시하는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몸통부(11)에 내용물(5)을 충전한다. 이 경우, 몸통부(11)가 전역에 걸쳐 개방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내용물(5)을 용이하게 몸통부(11)에 충전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6에 도시하는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덮개재(50)를 바닥재(40)에 겹쳐, 내용물(5)이 충전된 몸통부(11)를 덮개재(50)로 덮는다. 이어서, 접합 장치(85)를 이용하여, 덮개재(50)를, 바닥재(40)의 몸통부(11)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12)에 접합하여, 외연 시일부(18)를 형성한다.
이어서, 도 17에 도시하는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외연 시일부(18)에 있어서 바닥재(40) 및 덮개재(50)를 절단한다. 이와 같이 하여, 몸통부(11) 및 플랜지부(12)를 갖는 본체부(10)와, 플랜지부(12)에 접합된 덮개부(20)를 구비하여, 내용물(5)이 수용된 용기(1)를 얻을 수 있다.
용기의 사용 방법
이어서, 용기(1)의 사용 방법에 관해서 도 52 및 도 5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자레인지 등을 이용하여 용기(1)를 가열한다. 이에 따라, 내용물(5)이나 수용부(101)에 존재하는 물이 증발하여, 수용부(101)의 압력이 증가한다. 이 결과, 도 5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합장 시일부(24) 중 수용부(101)의 중심에 근접하는 부분이 박리되어, 관통 구멍(31) 근방에 박리 부분(34)이 형성된다. 합장 시일부(24)의 박리가 진행되어 박리 부분(34)이 관통 구멍(31)에까지 도달하면, 수용부(101)의 증기가 관통 구멍(31)을 지나 외부로 빠지게 된다.
용기(1)를 가열한 후, 사용자는 개봉 수단(17)을 이용하여 용기(1)를 인열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우선 좌우의 손으로 노치(17a)의 좌우의 본체부(10) 및 덮개부(20)를 각각 파지한다. 이어서, 노치(17a) 우측의 본체부(10) 및 덮개부(20)를 오른손으로 앞쪽으로 인장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10) 및 덮개부(20)의 인열 강도가 15 N 이하가 되도록 바닥재(40) 및 덮개재(50)가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5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노치(17a)를 기점으로 하여 본체부(10) 및 덮개부(20)의 인열을, 제1 가장자리부(13)를 따라 제1 방향(D1)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효과)
상술한 것과 같이, 용기(1)의 제조 공정에서는, 몸통부(11)가 형성된 바닥재(40)에 내용물(5)을 충전하고, 그 후, 몸통부(11)를 덮개재(50)로 덮는다. 이 때문에, 파우치 타입의 용기와 비교하여, 내용물(5)을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1)는 충전 적합성을 구비한다.
또한 상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1)의 본체부(10)를 구성하는 바닥재(40)의 기초재는 연신 필름을 포함한다. 그리고, 장척형의 연신 필름을 반송하면서 연신 필름에 인쇄층(44)을 형성하는 경우, 연신 필름은 미연신 필름에 비해서 반송 시에 신축하기 어렵기 때문에, 위치 정밀도 좋게 인쇄층(44)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표시부의 인쇄 적합성이 우수한 본체부를 갖춘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1)의 본체부(10)에 있어서의 드로잉 성형의 정도는 비교적 작다. 이 때문에, 본체부(10)를 구성하는 바닥재(40)로서, 연신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등, 인열성을 갖춘 적층체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1)에 인열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바닥재(40)에 미리 형성된 표시부(10s)가 왜곡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3 실시형태에 대하여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이하, 필요에 따라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변형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및 이하의 설명에서 이용하는 도면에서는, 상술한 제3 실시형태와 같은 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 부분에 관해서, 상술한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부분에 대하여 이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얻어지는 작용 효과가 변형예에 있어서도 얻어지는 것이 분명한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용기의 제1 변형예)
상술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증기 통과부(30)가 합장 시일부(24)에 형성된 관통 구멍(31)을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수용부(101)의 압력이 증가했을 때에 수용부(101)를 용기(1)의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는 한, 증기 통과부(30)의 구성은 임의적이다. 예컨대 도 5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증기 통과부(30)는, 외연 시일부(18)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 시일부(35)와, 돌출 시일부(35)에 인접하는 비시일부(37)와, 비시일부(37)에 있어서 덮개부(20)에 형성된 관통 구멍(36)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관통 구멍(36) 대신에 절입을 형성하여도 좋다.
(용기의 제2 변형예)
또한 상술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개봉 수단(17)이, 플랜지부(12)의 제3 가장자리부(15) 등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노치(17a)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본체부(10) 및 덮개부(20)의 인열성을 높일 수 있는 한, 개봉 수단(17)의 구성은 임의적이다. 예컨대 도 5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개봉 수단(17)은, 제3 가장자리부(15) 측에서 제4 가장자리부(16) 측으로 제1 방향(D1)을 따라 넓어지도록 형성된 상흔군(17b)을 포함하는 영역이라도 좋다. 상흔군은, 예컨대 본체부(10)의 플랜지부(12)를 구성하는 바닥재(40)의 제1 기초재(41)를 관통하지만 열가소성 수지층(42)은 관통하지 않게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을 포함한다. 또한 상흔군은, 예컨대 덮개부(20)를 구성하는 덮개재(50)의 제1 기초재(41)를 관통하지만 열가소성 수지층(42)은 관통하지 않게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개봉 수단(17)은, 제3 가장자리부(15) 측에서 제4 가장자리부(16) 측으로 제1 방향(D1)을 따라 넓어지도록 형성된 하프컷트선을 포함하는 영역이라도 좋다. 또한 상흔군은, 바닥재(40)나 덮개재(50)의 외면에서부터 내면에 걸쳐 관통하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실시예]
이어서, 제3 실시형태를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제3 실시형태는 그 요지를 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C1)
본체부(10)를 구성하는 바닥재(40)로서, 인쇄층(44)을 갖지 않는 점 이외에는 도 43에 도시하는 바닥재(40)와 동일한 적층체를 준비했다. 제1 기초재(41)로서는, 두께 12 ㎛의 이축 연신된 PET를 이용했다. 제2 기초재(43)로서는 두께 15 ㎛의 연신 나일론(ONY)을 이용했다. 열가소성 수지층(42)으로서는 두께 70 ㎛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을 이용했다. 제1 기초재(41)와 제2 기초재(43) 사이 그리고 제2 기초재(43)와 열가소성 수지층(42) 사이의 접착제층으로서는, 폴리에테르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의 경화물을 이용했다. 또한, 덮개부(20)를 구성하는 덮개재(50)로서, 바닥재(40)와 동일한 층 구성을 갖는 적층체를 준비했다. 바닥재(40) 및 덮개재(50)의 두께는 101 ㎛였다.
바닥재(40) 및 덮개재(50)를 이용하여, 도 40에 도시하는 용기(1)를 제작했다. 또한, 용기(1)의 본체부(10)의 몸통부(11)의 바닥부(11a)로부터, 도 45에 도시하는 시험편(90)을 잘라냈다. 이어서, 도 45 및 도 46에 도시하는 방법에 기초하여, 3개의 시험편(90)의 인장 강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인장 강도는 40 MPa 이상 또한 72 MPa 이하의 범위 내였다.
또한, 용기(1)로부터 도 47에 도시하는 시험편(95)을 잘라냈다. 이어서, 도 47 및 도 48에 도시하는 방법에 기초하여, 3개의 시험편(95)의 인열 강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인열 강도는 3 N 이상 또한 15 N 이하의 범위 내였다.
(비교예 C1)
본체부(10)를 구성하는 바닥재(40)로서, 인쇄층(44)을 갖지 않는 점 이외에는 도 44에 도시하는 바닥재(40)와 동일한 적층체를 준비했다. 제1 기초재(41)로서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을 이용했다. 중간층(45)으로서는 EVOH를 이용했다. 열가소성 수지층(42)으로서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을 이용했다. 바닥재(40)의 두께는 150 ㎛였다. 또한 덮개재(50)로서, 실시예 1의 덮개재(50)와 동일한 층 구성을 갖는 적층체를 준비했다.
바닥재(40) 및 덮개재(50)를 이용하여, 도 40에 도시하는 용기(1)를 제작했다. 또한, 실시예 C1의 경우와 같은 식으로 하여, 용기(1) 본체부의 몸통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시험편을 잘라내어, 시험편의 인장 강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인장 강도는 10 MPa 이상 또한 20 MPa 이하의 범위 내였다. 또한, 실시예 C1의 경우와 같은 식으로 하여, 용기(1)로부터 본체부의 일부 및 덮개부의 일부가 서로 겹쳐진 시험편을 잘라내어, 시험편의 인열 강도 측정을 실시했다. 그 결과, 본체부를 구성하는 바닥재(40)가 신장되어 버려, 시험편을 인열할 수 없어, 인열 강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
제4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4 실시형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관해서 설명한다.
일본 특허공개 2006-23228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디프드로잉 용기에 있어서는, 큰 깊이를 갖는 몸통부를 제작할 때의 성형성의 관점에서, 적층체가 신장되기 쉽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적층체의 신장 용이성과 적층체의 인열 용이성은 트레이드오프의 관계에 있다. 왜냐하면, 신장되기 쉬운 적층체를 인열하고자 하는 경우, 적층체에 가하는 힘이, 적층체를 늘리는 힘으로서 주로 작용하여, 적층체를 파단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디프드로잉 용기에 있어서는, 용기의 개봉 방법으로서, 용기를 인열한다고 하는 방법을 채용하기 어려우며, 따라서 종래에는, 용기의 개봉 방법으로서, 덮개부를 플랜지부로부터 박리시킨다고 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이 경우, 덮개부를 플랜지부에 접합하기위한 층,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층에는, 힘을 가함으로써 용이하게 박리하는 특성, 소위 이지-필 특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지-필 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층은 고가이므로, 용기의 제조 비용이 올라가 버린다.
한편, 일본 특허공개 2013-15131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파우치 타입의 용기에 있어서, 내용물은, 2장의 적층체 중 윗가장자리 이외의 외연을 접합하여 파우치를 제작한 후, 파우치의 윗가장자리의 개구부로부터 충전된다. 이 때문에, 파우치 타입의 용기에서는, 디프드로잉 용기와 같이, 내용물이 충전된 몸통부를 덮개부로 밀봉하는 타입의 용기와 비교하여, 충전되는 내용물이 지나는 개구부의 치수가 좁아, 내용물의 충전 적합성이 낮다.
본 실시형태는, 이들 과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용기는, 수용부를 규정하는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를 갖는 본체부로서, 바닥재(제1 적층체)에 의해서 구성된 본체부와, 수용부를 덮도록 본체부의 플랜지부에 외연 시일부를 통해 접합된 덮개부로서, 덮개재(제2 적층체)에 의해서 구성된 덮개부와, 수용부의 압력이 증가했을 때에 수용부를 용기의 외부와 연통시키 도록 구성된 증기 통과부와, 덮개부 및 플랜지부에 형성된 개봉 수단을 구비한다. 본체부 및 덮개부의 인열 강도는 15 N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며, 또한 수용부의 압력이 증가했을 때에 수용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구성된 증기 통과부를 구비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은, 수용부를 규정하는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갖는 본체부를 구성하기 위한 바닥재(제1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바닥재에 드로잉 성형을 실시하여 몸통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몸통부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공정과, 수용부를 덮는 덮개부를 구성하기 위한 덮개재(제2 적층체)를 바닥재에 겹치는 공정과, 덮개재를 바닥재의 몸통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에 접합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플랜지부에는 개봉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드로잉 성형은, 바닥재의 온도가 바닥재의 열가소성 수지층의 융점보다도 낮은 온도에서 실시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인열성 및 충전 적합성을 갖춘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용기(1)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6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용기(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용기(1)는, 제3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체부(10), 덮개부(20), 증기 통과부(30)를 구비한다. 또한 용기(1)는, 인열에 의해서 용기(1)를 개봉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개봉 수단(17)을 추가로 구비한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제3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작용 효과가 제4 실시형태에서도 얻어지는 것이 분명한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개봉 수단(17)은, 제3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가장자리부(13)가 연장되는 제1 방향(D1)에 있어서 본체부(10) 및 덮개부(20)를 인열하기 쉽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개봉 수단(17)은, 제3 가장자리부(15) 중 제1 가장자리부(13)에 근접하는 위치에 있어서 본체부(10) 및 덮개부(20)에 형성된 노치(17a)를 포함한다. 노치(17a)는 절결이라도 좋고, 절입이라도 좋다. 사용자는, 노치(17a)를 기점으로 하여 본체부(10) 및 덮개부(20)를 제1 방향(D1)으로 인열할 수 있다.
도 57은 도 56에 도시하는 용기(1)를 XXXXXVII-XXXXXVII선을 따라 본 경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용기(1)의 본체부(10)에는, 제3 실시형태와는 달리, 본체부(10)에는, 본체부(10)를 구성하는 바닥재(제1 적층체)의 외면 측에서 본체부(10)를 본 경우에 시인되는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체부(10)의 일부 및 덮개부(20)의 일부를 포함하는 시험편(95)의 인열 강도[N]가 적어도 15 N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N 이하이다. 이에 따라, 바닥재(40)에 의해서 구성되는 본체부(10) 및 덮개재(50)에 의해서 구성되는 덮개부(20)를 인열에 의해서 파단시키기 쉽게 된다. 이로써, 용기(1)를 인열함으로써 용기(1)를 개봉할 수 있게 된다.
(각 실시형태의 조합의 예)
상술한 제1∼제4 실시형태의 특징은 적절하게 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A축보다도 긴 B축을 따르도록 합장부(23)를 마련한다고 하는 특징을, 제1, 제3, 제4 실시형태에 적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A축의 길이에 대한 B축의 길이의 비는 예컨대 1.2 이상 3.0 이하이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본체부(10)를 구성하는 바닥재(40)가, 수용부(101) 측에 위치하는 내면(40x)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층(42)과, 열가소성 수지층(42)에 적층된 기초재를 적어도 가지고, 바닥재(40)의 기초재가 연신 필름을 포함한다고 하는 특징을, 제1, 제2 실시형태에 적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바닥재가 인쇄층을 추가로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바닥재의 인장 강도가 예컨대 40 MPa 이상이라도 좋다.
또한, 제3, 제4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덮개부(20) 및 플랜지부(12)에 개봉 수단(17)을 형성하고, 본체부(10) 및 덮개부(20)의 인열 강도가 15 N 이하라고 하는 특징을, 제1, 제2 실시형태에 적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플랜지부(12)는,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가장자리부(13) 및 제2 가장자리부(14)를 포함하고, 개봉 수단(17)은, 제1 가장자리부(13)를 따라 연장되는 외연 시일부(18)보다도 내측 위치에 있어서, 제1 가장자리부(13)를 따라 연장되는 플랜지부(12)를 인열하기 쉽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개봉 수단(17)은 적어도 플랜지부(12)에 형성된 노치 또는 상흔군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1: 용기, 5: 내용물, 10: 본체부, 101: 수용부, 10s: 표시부, 11: 몸통부, 11a: 바닥부, 11b: 측부, 12: 플랜지부, 121: 긴 변 부분, 122: 짧은 변 부분, 13: 제1 가장자리부, 14: 제2 가장자리부, 15: 제3 가장자리부, 16: 제4 가장자리부, 17: 개봉 수단, 17a: 노치, 17b: 상흔군, 18: 외연 시일부, 19: 비시일부, 20: 덮개부, 21: 제1 덮개부, 22: 제2 덮개부, 23: 합장부, 23a: 선단, 24: 합장 시일부, 24a, 24b: 제1 합장 시일부, 24c: 제2 합장 시일부, 25: 폴딩부, 26: 기초부, 27: 제1 부분, 28: 제2 부분, 30: 증기 통과부, 31: 관통 구멍, 31a: 비시일부, 32: 절결, 34: 박리 부분, 35: 돌출 시일부, 36: 관통 구멍, 37: 비시일부, 38: 비시일부, 40: 바닥재(제1 적층체), 41: 제1 기초재, 42: 열가소성 수지층, 43: 제2 기초재, 44: 인쇄층, 45: 중간층, 50: 덮개재(제2 적층체), 51: 제1 기초재, 52: 인쇄층, 53: 열가소성 수지층, 54: 제2 기초재, 55: 중간층, 61: 제1 시험편, 62: 제2 시험편, 63: 시험편, 71: 제1 파지구, 72: 제2 파지구, 81: 웅형, 82: 자형, 83: 누름판, 85: 접합 장치, 90: 시험편, 91: 제1 파지구, 92: 제2 파지구, 95: 시험편, 96: 시일부, 97: 절입, 98: 종점, 99a: 제1 파지구, 99b: 제2 파지구

Claims (16)

  1.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용기로서,
    상기 수용부를 규정하는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수용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기 플랜지부에 외연 시일부를 통해 접합된 덮개부로서, 일부분이 서로 겹치도록 폴딩부에서 되접어 꺾인 덮개재에 의해서 구성된 덮개부
    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재의 상기 일부분이 서로 겹침과 더불어 상기 덮개부의 일측의 가장자리부에서부터 타측의 가장자리부까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합장부와, 상기 합장부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며 상기 덮개재에 의해서 구성된 제1 덮개부 및 제2 덮개부를 가지고,
    상기 합장부는, 상기 덮개부의 일측의 가장자리부에서부터 타측의 가장자리부까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덮개재의 상기 일부분의 내면끼리 접합된 합장 시일부와, 상기 합장 시일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 또는 절결을 포함하는 증기 통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합장 시일부의 시일 강도는 상기 외연 시일부의 시일 강도보다도 낮은 것인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D1)에 있어서 대향하는 상기 외연 시일부의 내연들 사이의 최대 거리는,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상기 외연 시일부의 내연들 사이의 최대 거리보다도 작은 것인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는 제1 가장자리부 및 제2 가장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합장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수용부의 중심점보다도 상기 제1 가장자리부 측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인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기 수용부의 중심점과 상기 제1 가장자리부를 따르는 상기 외연 시일부의 내연 사이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거리를 L1로 나타내고, 상기 합장부의 기초부와 상기 제1 가장자리부를 따르는 상기 외연 시일부의 내연 사이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거리를 L2로 나타내는 경우, L2/L1이 0.3 이상 또한 0.6 이하인 것인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5℃일 때의 15 mm 폭에 있어서의 상기 합장 시일부의 시일 강도가 12 N 이하인 것인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중심점을 지나 외연 시일부의 외연의 2점을 연결했을 때에 최소 거리가 되는 축을 A축으로 하고, 수용부의 중심점을 지나 A축과 직교하도록 외연 시일부의 외연의 2점을 연결한 축을 B축으로 했을 때에, A축의 길이가 B축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합장부는, 상기 수용부를 가로지름과 더불어 B축을 따르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인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축의 길이에 대한 상기 B축의 길이의 비는 1.2 이상 3.0 이하인 것인 용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는 바닥재는, 상기 수용부 측에 위치하는 내면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층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에 적층된 기초재를 적어도 가지고,
    상기 바닥재의 상기 기초재가 연신 필름을 포함하는 것인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인쇄층을 또한 갖는 것인 용기.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인장 강도가 40 MPa 이상인 것인 용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 및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된 개봉 수단
    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덮개부의 인열 강도가 15 N 이하인 것인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가장자리부 및 제2 가장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봉 수단은, 상기 제1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상기 외연 시일부보다도 내측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상기 플랜지부를 인열하기 쉽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용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수단은 적어도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된 노치 또는 상흔군을 포함하는 것인 용기.
  14.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며, 또한 수용부의 압력이 증가했을 때에 상기 수용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구성된 증기 통과부를 구비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수용부를 규정하는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갖는 본체부를 준비하는 본체부 준비 공정과,
    상기 본체부의 상기 몸통부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공정과,
    상기 수용부를 덮기 위한 덮개부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덮개부를 상기 본체부의 플랜지부에 접합하여 외연 시일부를 형성하는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를 준비하는 공정은,
    덮개부를 구성하기 위한 덮개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덮개재의 일부분이 서로 겹치도록 상기 덮개재를 폴딩부에서 되접어 꺾어 합장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합장부에 있어서 상기 덮개재의 상기 일부분의 내면끼리를 접합하여 합장 시일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합장 시일부에, 상기 증기 통과부를 구성하는 관통 구멍 또는 절결을 형성하는 공정
    을 가지고,
    상기 합장 시일부의 시일 강도는 상기 외연 시일부의 시일 강도보다도 낮은 것인 용기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준비 공정은,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기 위한 바닥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바닥재에 드로잉 성형을 실시하여 상기 몸통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인 용기의 제조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기 위한 바닥재는, 상기 수용부 측에 위치하는 내면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층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에 적층된 기초재를 적어도 가지고,
    상기 바닥재의 상기 기초재가 연신 필름을 포함하는 것인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197031735A 2017-03-29 2018-03-28 용기 및 용기의 제조 방법 KR201901346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65754A JP2018167857A (ja) 2017-03-29 2017-03-29 容器及び容器の製造方法
JP2017065855A JP2018167859A (ja) 2017-03-29 2017-03-29 容器及び容器の製造方法
JPJP-P-2017-065855 2017-03-29
JPJP-P-2017-065754 2017-03-29
JPJP-P-2017-187125 2017-09-27
JP2017187125A JP2019059522A (ja) 2017-09-27 2017-09-27 容器及び容器の製造方法
PCT/JP2018/013043 WO2018181616A1 (ja) 2017-03-29 2018-03-28 容器及び容器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686A true KR20190134686A (ko) 2019-12-04

Family

ID=63677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735A KR20190134686A (ko) 2017-03-29 2018-03-28 용기 및 용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79399B2 (ko)
EP (1) EP3604165B1 (ko)
KR (1) KR20190134686A (ko)
CN (1) CN110475729B (ko)
WO (1) WO20181816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76511B (zh) * 2021-05-17 2022-09-01 南部化成股份有限公司 微波用洩壓容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1030A (ko) 1972-05-25 1974-01-31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1030B1 (ko) 1968-10-17 1974-03-14
US3997677A (en) * 1972-05-09 1976-12-14 Standard Packaging Corporation High temperature resistant hermetically sealed plastic tray packages
US3865302A (en) * 1972-11-10 1975-02-11 Du Pont Container for cooking food therein
US3893566A (en) * 1973-10-17 1975-07-08 Scott Paper Co Packaging system including removable moisture-impervious sealing sheet
SE423080B (sv) * 1978-03-14 1982-04-13 Salve Sa Aterforslutbar forpackning for en stapel av vatdukar eller annat fuktigt material
US4387551A (en) * 1979-09-21 1983-06-14 Maryland Cup Corporation Heat-sealable, ovenable container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480015A (en) 1982-08-18 1984-10-30 Inland Steel Company Brazing method and alloy for bismuth steel
FR2536723A1 (fr) * 1982-11-25 1984-06-01 Sauterot Drac Barquette pour le conditionnement de plats cuisines
JPH0825583B2 (ja) * 1986-03-27 1996-03-13 ハウス食品株式会社 加熱調理用密封容器
JPS6344477A (ja) * 1986-07-31 1988-02-25 サンエ−化学工業株式会社 充填豆腐用容器
US4963045A (en) * 1987-05-15 1990-10-16 The Willcox Family Trust Dispenser-applicator for spreading substances
GB8713772D0 (en) * 1987-06-12 1987-07-15 Keyes Fibre Co Ltd Packaging
US5167974A (en) * 1987-11-30 1992-12-01 Oscar Mayer Foods Corporation Vacuum packaging with hermetic reclosure
US4890439A (en) * 1988-11-09 1990-01-02 James River Corporation Flexible disposable material for forming a food container for microwave cooking
US5171950A (en) * 1989-09-11 1992-12-15 General Mills, Inc. Flexible pouch and paper bag combination for use in the microwave popping of popcorn
JPH041179A (ja) 1990-04-17 1992-01-06 Banyu Pharmaceut Co Ltd 抗腫瘍性物質be―14106
US5039001A (en) * 1990-06-18 1991-08-13 Kraft General Foods, Inc. Microwavable package and process
US5376424A (en) * 1991-10-02 1994-12-27 Fujimori Kogyo Co., Ltd. Vacuum thermal insulating panel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FR2698082B1 (fr) * 1992-11-13 1994-12-23 Mat Metallique Elec Const Récipient étanche au gaz.
US5919547A (en) * 1995-06-06 1999-07-06 Cryovac, Inc. Laminate having a coextruded, multilayer film which delaminates and package made therefrom
JPH0995365A (ja) 1995-09-27 1997-04-08 Sanai:Kk 密閉包装袋及び密閉包装容器
US5916615A (en) * 1997-06-18 1999-06-29 W. R. Grace & Co.-Conn. Case-ready packages having smooth, gas-permeable substrates on the bottoms thereof to reduce or prevent discoloration when placed in a stack
JPH11310278A (ja) * 1998-04-30 1999-11-09 Meiwa Packs:Kk 完全密封性および自動調圧機能を備えた包装体
US6032800A (en) * 1998-05-14 2000-03-07 Cryovac, Inc. Laminate and package made therefrom
EP0967160B1 (de) * 1998-06-24 2003-04-23 Alcan Technology & Management AG Verschlussmembrane mit Überdruckventil
BRPI9914469B8 (pt) * 1998-09-30 2016-06-28 Nissin Foods Holdings Co Ltd elemento de tampa para um recipiente de alimentos.
JP4562880B2 (ja) 2000-08-10 2010-10-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2284251A (ja) 2001-03-22 2002-10-03 Toyo Seikan Kaisha Ltd バーストを防止した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体
US7063228B2 (en) * 2001-11-16 2006-06-20 Dai Nippon Printing Co., Ltd. Packaging bag
JP2004268948A (ja) 2003-03-06 2004-09-30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加熱用容器
JP2005035568A (ja) 2003-07-16 2005-02-10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対応包装容器
KR101191808B1 (ko) * 2003-07-24 2012-10-16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증기배기 기능을 갖는 포장 봉투와 그것을 사용한 포장체
JP4265348B2 (ja) 2003-09-02 2009-05-20 東洋製罐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4569249B2 (ja) * 2003-11-28 2010-10-27 東洋製罐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包装容器
JP2006232280A (ja) 2005-02-22 2006-09-07 Toppan Printing Co Ltd 蒸気抜き機能を有する電子レンジ用包装容器
WO2007018300A1 (ja) * 2005-08-09 2007-02-15 Fujimura Kogyo Co., Ltd. 開封容易な密封容器
EP1923326A1 (en) 2005-08-16 2008-05-21 Toyo Seikan Kaisya, Ltd. Packaging container for cooking by electronic oven
US8245869B2 (en) * 2006-04-04 2012-08-21 Toyo Seikan Kaisha, Ltd. Packaging container for microwave oven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888644B2 (ja) * 2006-05-19 2012-02-29 東洋製罐株式会社 電子レンジ調理用包装体
JP2008018946A (ja) 2006-07-10 2008-01-31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深絞り包装体
DE102006041921A1 (de) * 2006-09-07 2008-03-27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Verpackung für wirkstoffhaltige Filme und Verfahren für deren Herstellung
JP5262134B2 (ja) 2008-01-25 2013-08-14 凸版印刷株式会社 直線カット性を有するバリア性包装材料及び包装袋
US9975290B2 (en) * 2008-03-06 2018-05-22 Sonoco Development, Inc. Flexible packaging structure with built-in tamper-evidence featur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090289032A1 (en) * 2008-05-23 2009-11-26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kit for surface preparation
JP5215791B2 (ja) 2008-09-18 2013-06-19 三菱樹脂株式会社 易開封性深絞り包装体
JP5193105B2 (ja) 2009-03-26 2013-05-08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ポリスチレン系樹脂積層発泡シート及び成形体
JP5400646B2 (ja) 2010-02-04 2014-01-29 グンゼ株式会社 二軸延伸多層フィルムを用いた食品用容器
JP5527891B2 (ja) * 2010-07-27 2014-06-25 福岡丸本株式会社 包装袋
JP6026747B2 (ja) 2011-12-28 2016-11-16 キョーラク株式会社 包装袋
JP5416799B2 (ja) * 2012-03-30 2014-02-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包装体、および包装体パッケージ
US20170021999A1 (en) * 2013-03-15 2017-01-26 William Pawluk Inter-modal shipping mini-containers and method of using same
WO2015072176A1 (ja) * 2013-11-13 2015-05-21 東洋スチレン株式会社 ゴム変性スチレン系樹脂およびこれを使用してなるシート、食品容器、食品容器蓋材
JP6344477B2 (ja) 2014-09-17 2018-06-20 富士電機株式会社 半導体モジュール
CN108367854B (zh) * 2015-12-21 2020-04-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带盖容器和该带盖容器所使用的容器
CN106628608A (zh) * 2016-12-28 2017-05-10 广州卓迅包装机械有限公司 覆膜食品易撕罐
EP3713847B1 (en) * 2017-11-21 2022-02-09 Smilesys S.p.A. Closure member for a food container
NL2022734B1 (en) * 2018-07-19 2020-01-29 Huhtamaki Molded Fiber Tech Bv Biodegradable and compostable food packaging unit from a moulded or fluff pulp material with a laminated multi-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food packaging un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1030A (ko) 1972-05-25 1974-01-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39715A1 (en) 2020-02-06
US11479399B2 (en) 2022-10-25
EP3604165A1 (en) 2020-02-05
CN110475729B (zh) 2022-08-23
CN110475729A (zh) 2019-11-19
EP3604165A4 (en) 2020-12-02
WO2018181616A1 (ja) 2018-10-04
EP3604165B1 (en)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6198B1 (en) Packaging bag made of resin
JP2024028437A (ja) 包装材料及び包装材料を備える包装製品
JP4953655B2 (ja) 包装体
KR20190134686A (ko) 용기 및 용기의 제조 방법
JP2018167857A (ja) 容器及び容器の製造方法
JP5348286B2 (ja) 易開封性ブリスター容器
JP4489515B2 (ja) ミシン目
JP2015013653A (ja) 袋体および包装体
JP3211177U (ja) 包装袋
JP5970792B2 (ja) 紙容器
JP7153219B2 (ja)
JP2019059522A (ja) 容器及び容器の製造方法
JP2021028235A (ja) パウチ
JP2019099232A (ja) 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507646B2 (ja) ブリスター包装体
JP6357867B2 (ja) 包装体
JP7008269B2 (ja) 袋体及び包装体
JP7068641B2 (ja) 積層体およびそれを備える包装袋
JP2017061325A (ja) 易開封性深絞り包装体
JP5344221B2 (ja)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袋
JP6802988B2 (ja) ブリスター包装体
JP7176251B2 (ja) パウチ
JP2001240148A (ja) 蒸気抜孔付包装袋
JP2018167859A (ja) 容器及び容器の製造方法
JP2020063061A (ja) 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