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183A - 쇼벨 - Google Patents

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183A
KR20190120183A KR1020197022431A KR20197022431A KR20190120183A KR 20190120183 A KR20190120183 A KR 20190120183A KR 1020197022431 A KR1020197022431 A KR 1020197022431A KR 20197022431 A KR20197022431 A KR 20197022431A KR 20190120183 A KR20190120183 A KR 20190120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over
shovel
upper swing
engine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6636B1 (ko
Inventor
타쿠마 세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0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E02F9/121Turntables, i.e. structure rotatable about 36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1Surveying the work-site to be tre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쇼벨은, 하부주행체(1)와, 하부주행체(1)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선회체(3)와, 상부선회체(3)에 장착되는 덮개의 일례인 엔진후드(50)와, 상부선회체(3)에 배치되는 주변감시용 카메라(S1)를 갖는다. 엔진후드(50)에는 절결부(50CR)가 형성되어 있으며, 카메라(S1)의 일례인 우측카메라(S1R)는, 적어도 일부가 절결부(50CR)를 통하여 엔진후드(50) 내에 들어가도록 상부선회체(3)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쇼벨
본 발명은, 주변감시용 카메라를 구비한 쇼벨에 관한 것이다.
주변감시용의 복수대의 카메라를 구비한 쇼벨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09741호
이들 카메라는, 엔진후드의 외측으로 상부선회체의 상면의 차폭방향의 양단에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배기가스처리장치의 탑재 등에 의하여 엔진후드의 사이즈가 차폭방향 외측으로 확대되면, 상부선회체의 상면부분 중, 엔진후드의 차폭방향 외측에 있는 부분이 좁아진다. 그 때문에, 카메라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상술에 감안하여, 카메라를 배치하기에 충분한 스페이스를 상부선회체가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여도 카메라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쇼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쇼벨은,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장착되는 덮개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배치되는 주변감시용 카메라를 갖고, 상기 덮개에는 절결부(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절결부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덮개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상부선회체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의 수단에 의하여, 카메라를 배치하기에 충분한 스페이스를 상부선회체가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여도 카메라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쇼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쇼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쇼벨의 상면도이다.
도 3a는 상부선회체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3b는 상부선회체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4는 우측카메라의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우측카메라의 배면도이다.
도 6은 좌측카메라의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우측카메라의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우측카메라의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쇼벨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우측카메라의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우측카메라의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12a는 상부선회체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12b는 상부선회체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13은 상부선회체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14는 쇼벨의 전방사시도이다.
도 15는 쇼벨의 상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쇼벨(굴삭기)의 측면도이다. 쇼벨의 하부주행체(1)에는 선회기구(2)를 통하여 상부선회체(3)가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다. 상부선회체(3)에는 붐(4)이 장착된다. 붐(4)의 선단에는 암(5)이 장착되고, 암(5)의 선단에는 엔드어태치먼트로서의 버킷(6)이 장착된다. 붐(4), 암(5), 및 버킷(6)은, 어태치먼트의 일례로서 굴삭어태치먼트를 구성하며,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및 버킷실린더(9)에 의하여 각각 유압구동된다. 상부선회체(3)에는 캐빈(10)이 마련되고 또한 엔진 등의 동력원이 탑재된다.
상부선회체(3)의 상면에는 덮개로서의 엔진후드(50)가 장착되고, 또한 주변감시용 카메라(S1)가 배치되어 있다. 카메라(S1)는, 쇼벨의 주변을 촬상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S1)는, 좌측카메라(S1L), 우측카메라(S1R), 및 백카메라(S1B)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카메라(S1)의 배치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쇼벨의 상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상부선회체(3)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3a는, 우측카메라(S1R)가 상부선회체(3)의 상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b는, 우측카메라(S1R)와 우측면도어(51R)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우측면도어(51R)는, 개폐 가능하고 또한 시정(施錠) 가능한 도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우측면도어(51R)는, 힌지식 도어이다. 슬라이드식 도어여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빈(10) 내에는, 운전석(10S), 조작레버(26), 컨트롤러(30), 표시장치(40) 등이 배치되어 있다.
조작레버(26)는, 조작자가 쇼벨의 조작을 위하여 이용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레버(26)는, 상부선회체(3)의 선회, 붐(4)의 상하이동, 암(5)의 개폐, 및 버킷(6)의 개폐를 위하여 이용된다.
컨트롤러(30)는, 쇼벨의 구동제어를 행하는 주제어부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30)는, CPU, RAM, ROM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화상처리기능 등, 컨트롤러(30)의 각종 기능은, 예를 들면 ROM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CPU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컨트롤러(30)는, 예를 들면 화상처리장치로서 기능한다. 이 경우, 컨트롤러(30)는, 좌측카메라(S1L), 우측카메라(S1R) 및 백카메라(S1B)의 각각이 촬상한 화상에 근거하여, 바로 위의 가상시점으로부터 쇼벨을 보았을 때의 가상시점화상인 부감화상 등의 합성화상을 생성한다.
표시장치(40)는,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장치(40)는, 예를 들면 컨트롤러(30)가 생성한 합성화상을 전환 가능하게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좌측카메라(S1L)가 촬상한 화상, 우측카메라(S1R)가 촬상한 화상, 백카메라(S1B)가 촬상한 화상, 및 부감화상을 전환 가능하게 표시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카메라(S1L)는 상부선회체(3)의 상면의 좌단부(-X측단부)에 배치되고, 우측카메라(S1R)는 상부선회체(3)의 상면의 우단부(+X측단부)에 배치되며, 백카메라(S1B)는 상부선회체(3)(카운터웨이트)의 상면의 후단부(-Y측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카메라(S1L), 우측카메라(S1R), 백카메라(S1B)는 모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케이블을 통하여 컨트롤러(30)에 접속되어 있다.
도 2의 파선은, 숨은 선이며, 좌측카메라(S1L) 및 우측카메라(S1R)의 각각의 일부가 엔진후드(50)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좌측카메라(S1L) 및 우측카메라(S1R)의 각각은, 전체 또는 대략 전체가 엔진후드(50)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측카메라(S1R)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후드(50)의 측면에 형성된 우측절결부(50CR)를 통하여 그 일부가 엔진후드(50) 내에 들어가도록 상부선회체(3)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측카메라(S1R)는, 우측면도어(51R)를 개방함으로써 노출되는 우측하우스프레임(52R)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카메라(S1L)는, 도 3a 및 도 3b에서는 불가시(不可視)이지만, 엔진후드(50)의 측면에 형성된 좌측절결부(50CL)(불가시)를 통하여 그 일부가 엔진후드(50) 내에 들어가도록 상부선회체(3)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측카메라(S1L)는, 좌측면도어(51L)(불가시)를 개방함으로써 노출되는 좌측하우스프레임(52L)(불가시)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엔진후드(50)는, 화살표(AR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50a)를 회전축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엔진후드(50)를 개방하면, 우측하우스프레임(52R)측에 남아 있는(장착되어 있는) 우측카메라(S1R)의 전체가 노출된다. 좌측카메라(S1L)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단, 엔진후드(50)는, 분리 가능하고 또한 개폐 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우측카메라(S1R)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 및 도 5의 각각에 나타나 있는 IV-IV선으로 나타난 가상연직평면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화살표(V)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본 우측카메라(S1R)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우측카메라(S1R)는, 주로 촬상부(S10R), 베이스부(S11R), 커버(S12R), 마운트부(S13R), 브래킷부(S14R), 체결부재(S15R), 및 하니스(S16R)를 포함한다.
촬상부(S10R)는, CCD, CMOS 등의 촬상소자, 렌즈 등의 광학계, 프린트기판 등을 포함하는 부분이다.
베이스부(S11R)는, 우측카메라(S1R)의 케이스의 하부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부(S11R)는, 고강성을 얻기 위하여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수지 등의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커버(S12R)는, 우측카메라(S1R)의 케이스의 상부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우측카메라(S1R)의 케이스는, 주로 베이스부(S11R)와 커버(S12R)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촬상부(S10R), 마운트부(S13R), 및 하니스(S16R)의 일부는, 커버(S12R)로 덮여 있다. 커버(S12R)는, 빗물 등이 케이스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커버(S12R)는, 엔진후드(50) 내의 발열체가 발하는 열이 복사 및 대류에 의하여 촬상부(S10R)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다. 예를 들면, 열풍이 촬상부(S10R)에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한다. 그 때문에, 엔진후드(50) 내의 발열체가 발하는 열로부터 촬상부(S10R)를 보호할 수 있어, 그 열에 의한 촬상부(S10R)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S12R)는, 고온이 되는 엔진후드(50)와는 접촉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엔진후드(50)가 발하는 열이 열전도에 의하여 촬상부(S10R)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커버(S12R)는, 내열성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엔진후드(50) 내에 수용되어 있는 발열체가 발하는 열이 촬상부(S10R)에 전달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이것은, 수지의 열전도율이 금속의 열전도율보다 낮은 것, 즉, 수지 자체가 고온이 되기 어려운 것에 의한다. 단, 커버(S12R)는, 세라믹스, 금속 등의 수지 이외의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 4의 예에서는, 발열체는 배기가스처리장치(60)를 포함한다. 커버(S12R)는, 예를 들면 베이스부(S11R)에 나사고정되어 있다. 단, 스냅피트에 의한 접합, 접착제에 의한 접합 등의 다른 방법으로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발열체로서의 배기가스처리장치(60)는, 예를 들면 선택촉매환원(Selective Catalytic Reduction(SCR))시스템, 디젤미립자포집필터(Diesel Particulate Filter(DPF)) 등이다. 단, 배기가스처리장치(60)는 생략되어도 된다. 이 경우, 발열체는, 예를 들면 정화기능을 갖지 않고 소음기능만을 구비한 소음장치(머플러)여도 된다.
마운트부(S13R)는, 촬상부(S10R)를 원하는 자세로 베이스부(S11R)에 장착하기 위한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운트부(S13R)는, Z축방향으로 뻗는 브래킷(S13Ra)과 촬상부(S10R)를 양측에서 끼우는 홀더(S13Rb)를 포함하고, 촬상부(S10R)가 베이스부(S11R)로부터 부상한 상태(베이스부(S11R)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촬상부(S10R)를 유지한다. 홀더(S13Rb)는, 브래킷(S13Ra)의 상단(+Z측단) 부근에 장착되어 있다. 케이스 내에 침입한 빗물 등의 액체와 촬상부(S10R)가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 마운트부(S13R)는, 촬상부(S10R)의 광축이 경사하방을 향하도록 촬상부(S10R)를 유지한다. 촬상부(S10R)가 쇼벨의 우측의 바로 가까이의 지면을 촬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브래킷부(S14R)는, 베이스부(S11R)를 우측하우스프레임(52R)에 장착하기 위한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브래킷부(S14R)는 고강성을 얻기 위하여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수지 등의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브래킷부(S14R)는, 베이스부(S11R)와는 다른 부재로서 형성되고, 용접에 의하여 베이스부(S11R)에 접합되어 있다. 단, 브래킷부(S14R)는, 브레이징(납땜), 접착제 등의 다른 방법으로 접합되어도 된다. 또, 브래킷부(S14R)는 베이스부(S11R)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브래킷부(S14R)는 생략되어도 된다. 이 경우, 베이스부(S11R)는, 예를 들면 우측하우스프레임(52R)에 직접적으로 장착된다.
브래킷부(S14R)는, 우측카메라(S1R)의 케이스가 엔진후드(50)의 우측절결부(50CR)로부터 외측(+X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우측단면(예를 들면, 우측면도어(51R)의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을 넘어 외측(+X측)으로 돌출되도록 그 케이스를 위치시킨다. 촬상부(S10R)가 쇼벨의 우측의 바로 가까이의 지면을 촬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 브래킷부(S14R)는, 적합하게는, 커버(S12R)의 외측(+X측)의 단부가 쇼벨의 최대수송폭을 넘지 않도록 그 케이스를 위치시킨다. 우측카메라(S1R)를 장착한 상태에서 쇼벨을 수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브래킷부(S14R)의 높이는, 예를 들면 좌측카메라(S1L), 우측카메라(S1R), 및 백카메라(S1B)의 각각의 높이가 정렬되도록 결정된다. 그 때문에, 좌측카메라(S1L), 우측카메라(S1R), 및 백카메라(S1B)의 각각에 관한 브래킷부의 높이는 서로 다른 것이어도 된다.
체결부재(S15R)는, 고정부의 일례이며, 우측카메라(S1R)를 우측하우스프레임(52R)에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상, 우측카메라(S1R)는, 촬상부(S10R), 베이스부(S11R), 커버(S12R), 마운트부(S13R), 브래킷부(S14R), 및 하니스(S16R)가 조립된 일식(一式)으로서 공급되고 또한 우측하우스프레임(52R)에 체결하여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재(S15R)는, 수나사볼트이며, 브래킷부(S14R)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아래로부터 삽입된다. 브래킷부(S14R)가 생략된 경우에는, 체결부재(S15R)는, 베이스부(S11R)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아래로부터 삽입된다. 구체적으로는, 체결부재(S15R)는, -X방향으로 개구하는 U자 단면을 갖는 우측하우스프레임(52R)의 상판부재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브래킷부(S14R)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아래로부터 삽입된다. 도면 중의 파선화살표는, 체결부재(S15R)로의 액세스경로를 나타낸다. 즉, 체결부재(S15R)는, 우측하우스프레임(52R)의 하방으로부터 액세스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우측하우스프레임(52R)의 하방의 공간은, 시정(施錠) 가능한 우측면도어(51R)에 의하여 폐쇄된다. 그 때문에, 이 체결방법은, 도난방지의 효과를 나타낸다. 체결부재(S15R)를 느슨하게 하고자 하는 사람이 체결부재(S15R)에 액세스하려면 우측면도어(51R)를 개방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하니스(S16R)는, 우측카메라(S1R)와 외부장치를 접속하는 전선다발이다. 외부장치는, 예를 들면 우측카메라(S1R)가 촬상한 화상을 처리하는 처리장치, 우측카메라(S1R)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장치 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니스(S16R)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S12R)의 내부에서 커넥터(S16Ra)를 이용하여 연장되고, 또한 잠금쇠(S16Rb)를 이용하여 베이스부(S11R)에 고정되어 있다. 또, 커버(S12R)의 후단(-X측의 단부)에 형성된 구멍(S12HR)을 통과하여 커버(S12R)의 외측으로 뻗어 있다. 하니스(S16R)는, 커버(S12R)의 외부에서, 1 또는 복수의 커넥터를 통하여 외부장치에 접속되어도 된다. 구멍(S12HR)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엔진후드(50) 내에 위치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빗방울, 분진 등의 커버(S12R) 내로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고, 빗방울, 분진 등에 의한 촬상부(S10R)로의 악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장치(40)에 표시되는 화상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좌측카메라(S1L)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2의 VI-VI선으로 나타난 가상연직평면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6의 예에서는, 좌측카메라(S1L)는, 우측카메라(S1R)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6의 예에서는, 커버(S12L)는, 우측카메라(S1R)의 커버(S12R)와 마찬가지로, 내열성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엔진후드(50) 내에 수용되어 있는 발열체가 발하는 열이 촬상부(S10L)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엔진후드(50) 내의 발열체가 발하는 열로부터 촬상부(S10L)를 보호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는, 발열체는, 오일쿨러(61) 및 라디에이터(62)를 포함한다.
또, 체결부재(S15L)는, 우측카메라(S1R)의 체결부재(S15R)와 마찬가지로, 수나사볼트이며, 브래킷부(S14L)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아래로부터 삽입된다. 구체적으로는, 체결부재(S15L)는, +X방향으로 개구하는 U자 단면을 갖는 좌측하우스프레임(52L)의 상판부재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브래킷부(S14L)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아래로부터 삽입된다. 도면 중의 파선화살표는, 체결부재(S15L)로의 액세스경로를 나타낸다. 즉, 체결부재(S15L)는, 좌측하우스프레임(52L)의 하방으로부터 액세스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측하우스프레임(52L)의 하방의 공간은, 시정 가능한 좌측면도어(51L)에 의하여 폐쇄된다. 그 때문에, 이 체결방법은, 도난방지의 효과를 나타낸다. 체결부재(S15L)를 느슨하게 하고자 하는 사람이 체결부재(S15L)에 액세스하려면 좌측면도어(51L)를 개방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 도 6의 예에서는, 좌측하우스프레임(52L)의 하판부재에는, 체결부재(S15L)로의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구멍(52HL)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구멍(52HL)에 공구를 삽입하여 체결부재(S15L)를 체결 혹은 느슨하게 할 수 있다. 우측하우스프레임(52R)의 하판부재에 동일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구멍(52HL)은 생략되어도 된다.
상술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쇼벨에서는, 우측카메라(S1R)는, 우측절결부(50CR)를 통하여 적어도 그 일부가 엔진후드(50) 내에 들어가도록 상부선회체(3)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엔진후드(50)의 외측에 우측카메라(S1R)를 배치하기에 충분한 스페이스를 상부선회체(3)가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여도, 우측카메라(S1R)는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원하는 위치"는, 쇼벨의 우측에 있어서의 원하는 공간영역을 나타내는 화상을 우측카메라(S1R)가 촬상할 수 있는 위치이다. 좌측카메라(S1L)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 우측카메라(S1R)는 엔진후드(50)를 폐쇄한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작업자는, 우측카메라(S1R)를 교환할 때에, 엔진후드(50)를 개방할 필요가 없다. 좌측카메라(S1L)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 엔진후드(50)는, 우측카메라(S1R)를 배치하기 위한 비교적 작은 우측절결부(50CR)를 구비하기만 해도 되고, 우측카메라(S1R)의 착탈작업 등을 위한 비교적 큰 개구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좌측카메라(S1L)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그 때문에, 엔진후드(50)의 외관이 손상되는 일도 없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카메라(S1)의 다른 장착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우측카메라(S1R)의 단면도이며, 도 4에 대응한다. 도 7의 장착구조는, 체결부재(S15R)가 측방(+X측)으로부터 액세스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우측하우스프레임(52R)의 하방으로부터 액세스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도 4의 장착구조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도 7의 우측카메라(S1R)의 베이스부(S11R)는, 하방(-Z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S11PR)를 갖고, 우측하우스프레임(52R)은, 상방(+Z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52PR)를 갖는다. 체결부재(S15R)로서의 수나사볼트는, 돌기부(S11PR)에 형성된 구멍에 우측(+X측)으로부터 삽입되고, 또한 돌기부(52PR)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우측(+X측)으로부터 삽입된다. 돌기부(S11PR)와 돌기부(52PR)의 배치는 좌우가 반대여도 된다. 이 경우, 체결부재(S15R)로서의 수나사볼트는, 돌기부(52PR)에 형성된 구멍에 우측(+X측)으로부터 삽입되고, 또한 돌기부(S11PR)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우측(+X측)으로부터 삽입된다. 돌기부(S11PR)는, 베이스부(S11R)와는 다른 부재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돌기부(S11PR)는, 용접에 의한 접합, 접착제에 의한 접합 등, 임의의 방법으로 베이스부(S11R)에 접합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카메라(S1R)가 장착된 쇼벨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카메라(S1R)가 장착된 쇼벨과 동일한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도 7의 구성에서는, 우측카메라(S1R)는, 우측면도어(51R)의 개폐와는 관계없이 착탈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카메라(S1)의 또 다른 장착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우측카메라(S1R)의 단면도이며, 도 4 및 도 7에 대응한다. 도 8의 장착구조는, 체결부재(S15R)가 측방(+X측)으로부터 액세스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우측하우스프레임(52R)의 하방으로부터 액세스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도 4의 장착구조와 다르다. 또, 도 8의 장착구조는, 베이스부(S11R)가 브래킷부(S14R)를 통하여 엔진후드(50)에 장착되는 점에서, 베이스부(S11R)가 브래킷부(S14R)를 통하여 우측하우스프레임(52R)에 장착되어 있는 도 4 및 도 7의 장착구조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도 8의 우측카메라(S1R)의 브래킷부(S14R)는, 세라믹스, 고무 등으로 형성된 단열재(53)를 통하여 엔진후드(50)에 장착된다. 고온의 엔진후드(50)로부터의 열전도에 의하여 브래킷부(S14R) 및 베이스부(S11R), 나아가서는 촬상부(S10R)가 과열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단열재(53)는, 쿠션성(완충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부선회체(3)의 진동 등이 우측카메라(S1R)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단열재(53)는, 도 4,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채용되어도 된다.
체결부재(S15R)로서의 수나사볼트는, 엔진후드(50) 및 단열재(53)의 각각에 형성된 구멍에 우측(+X측)으로부터 삽입되고, 또한 브래킷부(S14R)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우측(+X측)으로부터 삽입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카메라(S1R)가 장착된 쇼벨은, 도 4 및 도 7의 각각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카메라(S1R)가 장착된 쇼벨과 동일한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도 8의 구성에서는, 도 7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우측카메라(S1R)는, 우측면도어(51R)의 개폐와는 관계없이 착탈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카메라(S1)의 다른 배치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쇼벨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쇼벨에 장착되어 있는 우측카메라(S1R)의 주변의 단면도이며, 도 4에 대응한다. 도 9에 나타내는 좌측카메라(S1L) 및 우측카메라(S1R)는, 상부선회체(3)의 최돌출부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도 1에 나타내는 구성과 다르지만, 그 외의 점에서 공통된다. 그 때문에, 공통부분의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부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의 예에서는, 좌측면도어(51L) 및 우측면도어(51R)는 모두 외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되어 있다. 그 때문에, 좌측면도어(51L)의 최돌출부(P1L)는, 상부선회체(3)의 상면의 좌단(P2L)보다 좌측(-X측)에 위치하여, 상부선회체(3)의 좌측(-X측)의 최돌출부(P1L)가 된다. 또, 우측면도어(51R)의 최돌출부(P1R)는, 상부선회체(3)의 상면의 우단(P2R)보다 우측(+X측)에 위치하여, 상부선회체(3)의 우측(+X측)의 최돌출부(P1R)가 된다.
우측카메라(S1R)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선회체(3)의 우측(+X측)의 최돌출부(P1R)보다 우측(+X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또한 상부선회체(3)의 상면의 우단(P2R)보다 우측(+X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측카메라(S1R)의 우단(+X측단)은, 우측의 최돌출부(P1R)를 통과하는 선분(L1)을 포함하는 YZ평면과, 상부선회체(3)의 상면의 우단(P2R)을 통과하는 선분(L2)을 포함하는 YZ평면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좌측카메라(S1L)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선회체(3)의 좌측(-X측)의 최돌출부(P1L)보다 좌측(-X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또한 상부선회체(3)의 상면의 좌단(P2L)보다 좌측(-X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측카메라(S1L)의 좌단(-X측단)은, 좌측의 최돌출부(P1L)를 통과하는 선분(L3)을 포함하는 YZ평면과, 상부선회체(3)의 상면의 좌단(P2L)을 통과하는 선분(L4)을 포함하는 YZ평면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쇼벨은, 좌측카메라(S1L) 및 우측카메라(S1R)를 상부선회체(3)에 장착한 상태에서 수송될 수 있다. 좌측카메라(S1L) 및 우측카메라(S1R)를 포함시킨 쇼벨의 폭이 확실히 최대수송폭보다 작게 억제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쇼벨에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S1)의 다른 장착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우측카메라(S1R)의 단면도이며, 도 10에 대응한다. 도 11의 장착구조는, 우측카메라(S1R)가 보다 높은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점에서, 도 10의 장착구조와 다르지만, 그 외의 점에서 공통된다. 그 때문에, 공통부분의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부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의 예에서는, 엔진후드(50)의 우측절결부(50CR)는, 도 10의 경우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11의 브래킷부(S14R)는, 도 10의 브래킷부(S14R)보다 Z축방향으로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도 11의 예에서는, 우측절결부(50CR)는, 엔진후드(50)의 하단부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있는 독립적인 직사각형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지만, 도 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엔진후드(50)의 하단부로부터 뻗는 노치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우측카메라(S1R)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엔진후드(50)의 개폐 또는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 구성에 의하여, 쇼벨은, 우측카메라(S1R)에 의하여 우측면도어(51R)의 일부가 촬상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촬상부(S10Ra)는, 도 10에 있어서의 우측카메라(S1R)의 촬상부(S10R)의 높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 촬상부(S10Ra)로부터 뻗는 일점쇄선은, 촬상부(S10Ra)의 촬상범위(VAa)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범위(VAa)에는 우측면도어(51R)의 일부가 포함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1에 있어서의 우측카메라(S1R)의 촬상부(S10R)는,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촬상범위(VA)를 갖는다. 그리고, 촬상범위(VA)에는 우측면도어(51R)의 일부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즉, 우측카메라(S1R)는, 우측면도어(51R)를 촬상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도 11에 있어서의 우측카메라(S1R)는, 쇼벨의 근방의 공간에서, 도 10의 경우보다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카메라(S1)의 또 다른 배치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상부선회체(3)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12a는, 우측카메라(S1R)가 분리된 상태이고 또한 우측면도어(51R)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b는, 우측카메라(S1R)가 장착된 상태이고 또한 우측면도어(51R)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a 및 도 12b의 예에서는, 우측카메라(S1R)는, 우측카메라(S1R)에 관한 덮개로서 기능하는 우측면도어(51R)에 형성된 우측절결부(51CR)를 통하여 그 일부가 우측면도어(51R) 내에 들어가도록 상부선회체(3)의 우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측카메라(S1R)는, 우측면도어(51R)를 개방함으로써 노출되는 우측하우스프레임(52R)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카메라(S1L)는, 도 12a 및 도 12b에서는 불가시이지만, 좌측카메라(S1L)에 관한 덮개로서 기능하는 좌측면도어(51L)의 좌측절결부를 통하여 그 일부가 좌측면도어(51L) 내에 들어가도록 상부선회체(3)의 좌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측카메라(S1L)는, 좌측면도어(51L)를 개방함으로써 노출되는 좌측하우스프레임(52L)(도 6 참조)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우측면도어(51R)는, 도 12a의 화살표(AR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51aR)를 회전축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우측면도어(51R)를 개방하면,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하우스프레임(52R)에 장착되어 있는 우측카메라(S1R)의 전체가 노출된다. 또, 우측면도어(51R)는, 시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좌측카메라(S1L)에 관한 덮개로서 기능하는 좌측면도어(51L)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쇼벨은, 좌측카메라(S1L) 및 우측카메라(S1R)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카메라(S1)의 또 다른 배치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상부선회체(3)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13은, 우측카메라(S1R)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의 예에서는, 엔진후드(50) 대신에, 엔진후드(501), 에어필터커버(502) 및 펌프커버(503)의 조합이 상부선회체(3)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후드(501)는, 엔진후드(50)와 마찬가지로, 엔진이 설치된 공간의 상부를 덮는 덮개이다. 에어필터커버(502)는, 에어필터가 설치된 공간의 상부를 덮는 덮개이다. 펌프커버(503)는, 유압펌프가 설치된 공간의 상부를 덮는 덮개이다. 엔진후드(501)는, 엔진후드(50)와 마찬가지로, 화살표(AR3)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501a)를 회전축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에어필터커버(502) 및 펌프커버(503)는, 분리 가능하고 또한 개폐 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볼트로 상부선회체(3)에 체결되어 있다.
우측카메라(S1R)는, 우측카메라(S1R)에 관한 덮개로서 기능하는 펌프커버(503)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우측절결부(503CR)를 통하여 그 일부가 펌프커버(503) 내에 들어가도록 상부선회체(3)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펌프커버(503)가 분리되면, 우측하우스프레임(52R)에 장착되어 있는 우측카메라(S1R)의 전체가 노출된다.
마찬가지로, 좌측카메라(S1L)는, 좌측카메라(S1L)에 관한 덮개로서 기능하는 에어필터커버(502)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좌측절결부(도 13에서는 불가시)를 통하여 그 일부가 에어필터커버(502) 내에 들어가도록 상부선회체(3)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에어필터커버(502)가 분리되면, 좌측하우스프레임(52L)에 장착되어 있는 좌측카메라(S1L)의 전체가 노출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S1)는, 엔진후드(50)와 같이 상부선회체(3)의 전체폭에 걸친 덮개뿐만 아니라, 에어필터커버(502) 또는 펌프커버(503)와 같은 비교적 작은 덮개의 내측에 그 일부가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카메라(S1)의 또 다른 배치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쇼벨의 전방사시도이다.
도 14의 예에서는, 카메라(S1)는, 전측카메라(S1F)를 포함한다. 전측카메라(S1F)는, 전측카메라(S1F)에 관한 덮개로서 기능하는 요소수탱크커버(504)의 전측면(+Y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절결부(504C)를 통하여 그 일부가 요소수탱크커버(504)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요소수탱크커버(504)는, 요소수탱크를 덮는 커버이며, 상부선회체(3)의 외벽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요소수탱크커버(504)의 상면은, 도 14의 화살표(AR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504a)를 회전축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요소수탱크커버(504)의 상면이 개방되면 전측카메라(S1F)의 전체가 노출된다.
전측카메라(S1F)는, 그 일부가 공구상자커버(505)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공구상자커버(505)는, 공구를 수납하는 스페이스를 덮는 커버이며, 상부선회체(3)의 외벽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4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가상적인 전측카메라(S1Fa)는, 전측카메라(S1F)의 일부가 공구상자커버(505)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또, 도 14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가상적인 절결부(505C)는, 전측카메라(S1Fa)를 수용하도록 공구상자커버(505)의 전측면(+Y측면)에 절결부가 형성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전측카메라(S1Fa)는, 절결부(505C)를 통하여 그 일부가 공구상자커버(505)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된다. 다만, 공구상자커버(505)의 상면은, 도 14의 화살표(AR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505a)를 회전축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공구상자커버(505)의 상면이 개방되면 전측카메라(S1Fa)의 전체가 노출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S1)는, 엔진후드(50)와 같이 상부선회체(3)의 후부(後部)에 설치되는 덮개뿐만 아니라, 요소수탱크커버(504) 또는 공구상자커버(505)와 같은 상부선회체(3)의 전부(前部)에 설치되는 덮개의 내측에 그 일부가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카메라(S1)의 또 다른 배치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쇼벨의 상면도이다.
도 15의 예에서는, 우측카메라(S1R)는, 우측카메라(S1R)에 관한 덮개로서 기능하는 요소수탱크커버(504)의 우측면(+X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절결부를 통하여 그 일부가 요소수탱크커버(504)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요소수탱크커버(504)의 상면은, 도 14의 화살표(AR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504a)를 회전축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요소수탱크커버(504)의 상면이 개방되면 우측카메라(S1R)의 전체가 노출된다.
우측카메라(S1R)는, 그 일부가 공구상자커버(505)의 우측면을 통하여 공구상자커버(505)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5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가상적인 우측카메라(S1Ra)는, 우측카메라(S1R)의 일부가 공구상자커버(505)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우측카메라(S1Ra)는, 공구상자커버(505)의 우측면에 형성된 절결부를 통하여 그 일부가 공구상자커버(505)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된다. 다만, 공구상자커버(505)의 상면은, 도 14의 화살표(AR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505a)를 회전축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공구상자커버(505)의 상면이 개방되면 우측카메라(S1Ra)의 전체가 노출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S1)는, 요소수탱크커버(504) 또는 공구상자커버(505)와 같은 상부선회체(3)의 전부에 설치되는 덮개의 전측면(+Y측면)뿐만 아니라, 그들 덮개의 측면에 형성된 절결부를 통하여 그들 덮개의 내측에 카메라(S1)의 일부가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술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쇼벨은, 하부주행체(1)와, 하부주행체(1)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선회체(3)와, 상부선회체(3)에 장착되는 덮개와, 상부선회체(3)에 배치되는 주변감시용 카메라(S1)를 갖는다. 덮개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S1)는, 절결부를 통하여 카메라(S1)의 적어도 일부가 덮개 내에 들어가도록 상부선회체(3)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쇼벨은, 카메라(S1)를 배치하기에 충분한 스페이스를 상부선회체(3)가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여도 카메라(S1)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S1)는, 수지로 이루어진 커버로 덮여 있어도 된다. 그리고, 커버는, 절결부를 통하여 덮개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카메라(S1)는, 덮개 내에 수용되어 있는 발열체가 발하는 열이 커버 내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쇼벨의 덮개는, 예를 들면 상부선회체(3)에 관하여 착탈 가능 혹은 개폐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덮개는, 엔진후드(50), 엔진후드(501), 에어필터커버(502), 펌프커버(503), 요소수탱크커버(504), 공구상자커버(505), 좌측면도어(51L), 또는 우측면도어(51R)이다. 그리고, 그 덮개는, 상부선회체(3)의 외벽의 일부를 구성하며, 분리되거나 혹은 개방되었을 때에 상부선회체(3)의 내부가 시인 가능해지고, 장착되거나 혹은 폐쇄되었을 때에 상부선회체(3)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쇼벨은, 저비용으로 카메라(S1)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카메라(S1)의 도난방지기능과는 다른 본래의 기능을 갖는 덮개를 이용하여 카메라(S1)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즉, 카메라(S1)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전용커버 등을 이용하지 않고 카메라(S1)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덮개의 일례인 엔진후드(50)의 본래의 기능은, 예를 들면 엔진이 설치되는 공간을 외부의 공간으로부터 차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카메라(S1)는, 예를 들면 백카메라(S1B), 좌측카메라(S1L) 및 우측카메라(S1R)를 포함한다. 우측카메라(S1R)는, 예를 들면 브래킷부(S14R)를 통하여 상부선회체(3)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또, 우측카메라(S1R)는, 엔진후드(50)가 폐쇄된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상부선회체(3)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작업자는, 엔진후드(50)를 개방하지 않고, 우측카메라(S1R)를 상부선회체(3)에 장착하거나, 혹은 우측카메라(S1R)를 상부선회체(3)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카메라(S1)는, 예를 들면 고정부에 의하여 하우스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고정부는, 하우스프레임의 하방 또는 측방으로부터 액세스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하우스프레임은, 상부선회체(3)의 골격구조의 일부이며, 종재(縱材)여도 되고, 횡재(橫材)여도 된다. 고정부는, 볼트, 너트, 나사 등의 체결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스냅피트구조 등의 다른 이미 알려진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측카메라(S1R)는, 체결부재(S15R)에 의하여 우측하우스프레임(52R)에 체결되어 있어도 된다. 체결부재(S15R)는, 우측하우스프레임(52R)의 하방 또는 측방으로부터 액세스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카메라(S1)는, 예를 들면 단열재(53)를 통하여 엔진후드(50), 엔진후드(501), 에어필터커버(502), 펌프커버(503) 등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쇼벨의 덮개는, 상면과 측면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카메라(S1)는, 덮개의 측면을 통하여 덮개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다만, 덮개의 상면은, 덮개의 상벽, 천판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덮개의 측면은, 덮개의 측벽, 측판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카메라(S1)는, 상부선회체(3)의 측방 최돌출부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선회체(3)의 좌측(-X측)의 최돌출부(P1L) 및 우측(+X측)의 최돌출부(P1R) 중 어느 쪽에서도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쇼벨은, 카메라(S1)를 상부선회체(3)에 장착한 상태에서 수송될 수 있다. 카메라(S1)를 포함시킨 쇼벨의 폭이 확실히 최대수송폭보다 작게 억제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쇼벨의 덮개는, 예를 들면 엔진후드(50)이다. 이 경우, 절결부는, 엔진후드(50)의 측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카메라(S1R)를 위한 우측절결부(50CR)는, 엔진후드(50)의 우측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쇼벨의 덮개는, 요소수탱크커버(504)여도 된다. 이 경우, 절결부는, 도 14 또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탱크커버(504)의 전측면 또는 우측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쇼벨의 덮개는, 공구상자커버(505)여도 된다. 이 경우, 절결부는, 도 14 또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구상자커버(505)의 전측면 또는 우측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카메라(S1)는, 상부선회체(3)의 일부를 촬상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좌측카메라(S1L)는, 좌측면도어(51L)의 일부를 촬상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우측카메라(S1R)는, 우측면도어(51R)의 일부를 촬상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백카메라(S1B)는, 상부선회체(3)(카운터웨이트)의 상면의 일부를 촬상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카메라(S1)가 촬상하는 화상을 보는 조작자가, 쇼벨과 쇼벨의 주위의 물체와의 거리를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쇼벨의 덮개는, 상부선회체(3)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덮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좌측면도어(51L), 우측면도어(51R) 등이어도 된다.
카메라(S1)는, 카메라(S1)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와는 다른 덮개를 분리한 상태 혹은 개방한 상태에서 착탈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측카메라(S1R)는, 우측카메라(S1R)의 일부를 덮는 엔진후드(50)와는 다른 덮개인 우측면도어(51R)를 개방한 상태에서 착탈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쇼벨은, 우측카메라(S1R)의 도난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우측카메라(S1R)를 상부선회체(3)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우측면도어(51R)가 해정(解錠)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카메라(S1)는, 카메라(S1)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를 장착한 상태 또는 폐쇄한 상태에서 착탈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측카메라(S1R)는, 우측카메라(S1R)의 일부를 덮는 엔진후드(50)를 폐쇄한 상태에서 착탈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작업자는, 카메라(S1)의 착탈을 용이하고 또한 신속히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개량이 더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엔진후드(50)의 우측절결부(50CR)에 1대의 우측카메라(S1R)가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우측절결부(50CR)에 2대의 카메라가 배치되어도 된다. 혹은, 엔진후드(50)의 우측(+X측)의 측면에 2개의 우측절결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우측절결부에 1 또는 복수대의 카메라가 배치되어도 된다. 엔진후드(50) 이외의 다른 덮개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백카메라(S1B)는, 엔진후드(50)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백카메라(S1B)는, 좌측카메라(S1L) 및 우측카메라(S1R)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그 일부가 엔진후드(50)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원은, 2017년 2월 21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 2017-030426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일본 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원에 참조에 의하여 원용한다.
1…하부주행체
2…선회기구
3…상부선회체
4…붐
5…암
6…버킷
7…붐실린더
8…암실린더
9…버킷실린더
10…캐빈
10S…운전석
26…조작레버
30…컨트롤러
40…표시장치
50…엔진후드
50a…힌지
50CL…좌측절결부
51aR…힌지
50CR…우측절결부
51CR…우측절결부
51L…좌측면도어
51R…우측면도어
52HL…구멍
52L…좌측하우스프레임
52PR…돌기부
52R…우측하우스프레임
53…단열재
60…배기가스처리장치
61…오일쿨러
62…라디에이터
501…엔진후드
501a…힌지
502…에어필터커버
503…펌프커버
503CR…우측절결부
504…요소수탱크커버
504a…힌지
504C…절결부
505…공구상자커버
505a…힌지
505C…절결부
S1…카메라
S1B…백카메라
S1F…전측카메라
S1L…좌측카메라
S1R…우측카메라
S10L, S10R…촬상부
S11L, S11R…베이스부
S11PR…돌기부
S12HR…구멍
S12L, S12R…커버
S13L, S13R…마운트부
S14L, S14R…브래킷부
S15L, S15R…체결부재
S16L, S16R…하니스

Claims (15)

  1.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장착되는 덮개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배치되는 주변감시용 카메라를 갖고,
    상기 덮개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절결부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덮개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상부선회체에 배치되어 있는, 쇼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수지로 이루어진 커버로 덮이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절결부를 통하여 상기 덮개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는, 쇼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브래킷부를 통하여 상기 상부선회체에 장착되어 있는, 쇼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덮개가 폐쇄된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상기 상부선회체에 배치되어 있는, 쇼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고정부에 의하여 하우스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스프레임의 하방 또는 측방으로부터 액세스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쇼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단열재를 통하여 상기 덮개에 장착되어 있는, 쇼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상부선회체에 관하여 착탈 가능한 혹은 개폐 가능한 엔진후드, 커버, 또는 도어이고, 상기 상부선회체의 외벽의 일부를 구성하며, 분리되거나 혹은 개방되었을 때에 상기 상부선회체의 내부가 시인 가능해지고, 장착되거나 혹은 폐쇄되었을 때에 상기 상부선회체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쇼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면과 측면을 갖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덮개의 측면을 통하여 상기 덮개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는, 쇼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상부선회체의 측방 최돌출부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쇼벨.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엔진후드이고,
    상기 절결부는, 상기 엔진후드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쇼벨.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공구상자 또는 요소수탱크의 커버이고,
    상기 절결부는, 상기 커버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쇼벨.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상부선회체의 일부를 촬상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쇼벨.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상부선회체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덮개를 포함하는, 쇼벨.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상기 덮개와는 다른 덮개를 분리한 상태 혹은 개방한 상태에서 착탈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쇼벨.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상기 덮개를 장착한 상태 또는 폐쇄한 상태에서 착탈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쇼벨.
KR1020197022431A 2017-02-21 2018-02-15 쇼벨 KR1025066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30426 2017-02-21
JPJP-P-2017-030426 2017-02-21
PCT/JP2018/005269 WO2018155302A1 (ja) 2017-02-21 2018-02-15 ショベ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183A true KR20190120183A (ko) 2019-10-23
KR102506636B1 KR102506636B1 (ko) 2023-03-03

Family

ID=63252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431A KR102506636B1 (ko) 2017-02-21 2018-02-15 쇼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23584B2 (ko)
EP (1) EP3587676A4 (ko)
JP (1) JP7029436B2 (ko)
KR (1) KR102506636B1 (ko)
CN (1) CN110291255B (ko)
WO (1) WO20181553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04565A (ja) * 2018-12-26 2020-07-0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車載機器
CN110381236A (zh) * 2019-06-28 2019-10-25 三一重机有限公司 摄像头及挖掘机
US20230116011A1 (en) * 2021-10-12 2023-04-13 Caterpillar Inc. Secondar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with service orientation
JP2024030032A (ja) * 2022-08-23 2024-03-0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0619A (ja) * 1996-11-14 1998-05-26 Yutani Heavy Ind Ltd 油圧ショベルの後方監視装置
JP2002371595A (ja) * 2001-06-15 2002-12-26 Komatsu Ltd 建設機械
KR20060063666A (ko) * 2004-12-03 2006-06-12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기계의 케이블 배선 구조체
JP2009167747A (ja) * 2008-01-18 2009-07-30 Komatsu Ltd 監視カメラ装置
JP2012109741A (ja) 2010-11-16 2012-06-07 Sumitomo Heavy Ind Ltd 画像生成装置及び操作支援システム
JP2013204288A (ja) * 2012-03-28 2013-10-0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14047463A (ja) * 2012-08-29 2014-03-17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電装品取付構造
CN104846865A (zh) * 2015-03-27 2015-08-19 柳州柳工挖掘机有限公司 带监控装置的挖掘机
JP2016217232A (ja) * 2015-05-19 2016-12-2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1676A (ja) * 2000-10-24 2002-07-19 Komatsu Ltd 作業車両の警報装置
KR100892269B1 (ko) * 2001-06-15 2009-04-09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건설기계
JP4135099B2 (ja) * 2004-03-15 2008-08-20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エンジン排気装置
JP4670488B2 (ja) * 2005-06-03 2011-04-1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後方監視装置
JP2008184789A (ja) * 2007-01-30 2008-08-14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車の後方監視カメラ装置
JP2011241643A (ja) * 2010-05-20 2011-12-01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のカメラ取付け装置
JP5600050B2 (ja) * 2010-11-29 2014-10-0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サイドカメラ取付構造
DE102011000684A1 (de) * 2011-02-11 2012-08-16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stellmodul
JP5870779B2 (ja) * 2012-03-13 2016-03-0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ェイト装置
JP6482750B2 (ja) * 2013-03-19 2019-03-1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ショベル
JP6505356B2 (ja) * 2013-07-17 2019-04-24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JP2015175227A (ja) * 2014-03-18 2015-10-05 日立建機株式会社 サイド監視カメラの取付け構造
WO2015056814A1 (ja) * 2014-10-24 2015-04-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JP2017030426A (ja) 2015-07-30 2017-02-09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遮蔽カバー
JP6802008B2 (ja) * 2016-08-25 2020-12-16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0619A (ja) * 1996-11-14 1998-05-26 Yutani Heavy Ind Ltd 油圧ショベルの後方監視装置
JP2002371595A (ja) * 2001-06-15 2002-12-26 Komatsu Ltd 建設機械
KR20060063666A (ko) * 2004-12-03 2006-06-12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기계의 케이블 배선 구조체
JP2009167747A (ja) * 2008-01-18 2009-07-30 Komatsu Ltd 監視カメラ装置
JP2012109741A (ja) 2010-11-16 2012-06-07 Sumitomo Heavy Ind Ltd 画像生成装置及び操作支援システム
JP2013204288A (ja) * 2012-03-28 2013-10-0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14047463A (ja) * 2012-08-29 2014-03-17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電装品取付構造
CN104846865A (zh) * 2015-03-27 2015-08-19 柳州柳工挖掘机有限公司 带监控装置的挖掘机
JP2016217232A (ja) * 2015-05-19 2016-12-2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87676A1 (en) 2020-01-01
KR102506636B1 (ko) 2023-03-03
US11623584B2 (en) 2023-04-11
EP3587676A4 (en) 2020-07-01
JP7029436B2 (ja) 2022-03-03
CN110291255B (zh) 2022-03-29
JPWO2018155302A1 (ja) 2019-12-12
CN110291255A (zh) 2019-09-27
WO2018155302A1 (ja) 2018-08-30
US20190352882A1 (en)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0183A (ko) 쇼벨
KR101739308B1 (ko) 유압 셔블
US8448738B2 (en) Electrical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of motorcycle
WO2012029687A1 (ja) 鞍乗り型車両
JP2020033002A (ja) 自律的な後方視野センサの取付部
US10415211B2 (en) Hydraulic excavator having handrail and camera
US20140175834A1 (en) Wiper device, open/close guard with wiper device, and cab for construction machine
JP5697812B1 (ja) 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JP2010189869A (ja) カウンタウエイトおよび作業機械
JPH10140619A (ja) 油圧ショベルの後方監視装置
EP2180333A1 (en) Motorcycle
EP1462578A2 (en) Working machine
JP6336616B2 (ja) スクーター用のリザーブタンク取り付け構造
JP2000104280A (ja) 建設機械
JP2008231726A (ja) 建設機械の監視カメラ盗難防止構造
JP2006121937A (ja) キャビン付き収穫機の原動部構造
JP2003200862A (ja) 建設機械
US9051709B1 (en) Work vehicle
JP7322517B2 (ja) 作業車両
JP7427469B2 (ja) 作業機械
JP2000204595A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点検用ステップ装置
JP2006016914A (ja) 後方監視カメラ装置
CN111918544B (zh) 联合收割机
TW201821320A (zh) 跨坐型車輛及將追蹤裝置安裝至跨坐型車輛之安裝方法
WO2024043094A1 (ja) 作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