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493A - 양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493A
KR20190093493A KR1020180134368A KR20180134368A KR20190093493A KR 20190093493 A KR20190093493 A KR 20190093493A KR 1020180134368 A KR1020180134368 A KR 1020180134368A KR 20180134368 A KR20180134368 A KR 20180134368A KR 20190093493 A KR20190093493 A KR 20190093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rotation
state
handle
s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토시 하라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90093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4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7Axially engaged
    • A01K89/058Coaxial with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5Ratchet-type dri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 A01K89/01901Reengageable responsive to drive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Abstract

[과제] 클러치 조작 부재를 조작할 때마다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클러치 캠의 회전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의 전달 상태 및 차단 상태가 번갈아 전환되는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클러치 조작 부재를 조작하여 클러치 기구를 전달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전환하였을 때에, 클러치 되돌림 기구가 의도하지 않고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있다.
[해결 수단] 클러치 조작 부재(17)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클러치 제어 기구(20)는,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마다 클러치 기구(16)를 전달 상태 및 차단 상태로 번갈아 전환한다. 클러치 되돌림 기구(22)는, 클러치 기구(16)가 차단 상태에 있을 때, 핸들(4)의 회전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16)를 전달 상태로 되돌린다. 규제 부재(24)는,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이동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16)를 전달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전환하였을 때에 클러치 되돌림 기구(22)의 작동을 규제한다.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양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양 베어링 릴에는, 핸들의 회전을 스풀에 전달 및 차단하는 클러치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의 양 베어링 릴에서는, 클러치 조작 부재를 조작할 때마다, 클러치 캠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여, 클러치 기구의 전달 상태 및 차단 상태가 번갈아 전환된다. 클러치 조작 부재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제1 위치를 향하여 압박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양 베어링 릴에는, 차단 상태에 있는 클러치 기구를 핸들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전달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되돌림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핸들은, 원웨이 클러치에 의하여 줄 감기 방향과 역방향의 회전이 금지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6-220570호
여기서, 예를 들어, 클러치 기구가 전달 상태에 있을 때에 있어서, 낚싯줄이 끌어 당겨져 강한 장력이 낚싯줄에 작용하고 있을 때는, 줄 감기 방향과 역방향의 힘이 핸들에 작용하고 있다. 이 상태일 때에,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클러치 조작 부재를 조작하여, 클러치 기구를 전달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전환하면, 핸들이 줄 감기 방향으로 급회전하여 의도하지 않고 클러치 되돌림 기구가 작동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클러치 기구의 전달 상태 및 차단 상태가 클러치 캠의 반전에 의하여 전환되는 구성의 경우, 클러치 조작 부재를 눌러 내리고 있는 힘에 의하여 클러치 캠의 반전, 즉 핸들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이 억제되어, 클러치 되돌림 기구의 작동이 억제된다. 한편, 특허 문헌 1의 양 베어링 릴과 같이, 클러치 캠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여 클러치 기구의 전달 상태 및 차단 상태가 전환되는 구성의 경우, 핸들의 급회전을 하지 못하게 하는 힘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클러치 되돌림 기구가 작동하여 버려, 차단 상태로 전환한 클러치 기구가 의도하지 않고 전달 상태로 되돌아와 버린다.
본 발명의 과제는, 클러치 조작 부재를 조작할 때마다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클러치 캠의 회전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의 전달 상태 및 차단 상태가 번갈아 전환되는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클러치 조작 부재를 조작하여 클러치 기구를 전달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전환하였을 때에, 클러치 되돌림 기구가 의도하지 않고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릴 본체와 스풀과 핸들과 클러치 기구와 클러치 조작 부재와 클러치 제어 기구와 클러치 되돌림 기구와 규제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은,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스풀은,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클러치 기구는, 핸들의 회전력을 스풀에 전달 및 차단한다. 클러치 조작 부재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릴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 위치 측을 향하여 압박되어 있다. 클러치 제어 기구는, 클러치 조작 부재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마다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클러치 캠을 가지고, 상기 클러치 캠의 회전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를 전달 상태 및 차단 상태로 번갈아 전환한다. 클러치 되돌림 기구는, 클러치 기구가 차단 상태에 있을 때, 핸들의 회전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를 전달 상태로 되돌린다. 규제 부재는, 클러치 조작 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를 전달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전환하였을 때에 클러치 되돌림 기구의 작동을 규제한다.
이 양 베어링 릴에서는, 예를 들어, 클러치 기구가 전달 상태, 또한 낚싯줄에 강한 장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클러치 조작 부재를 조작하여 클러치 기구를 전달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전환하였을 때에, 클러치 되돌림 기구의 작동을 규제 부재에 의하여 규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핸들이 급회전하여 클러치 되돌림 기구가 의도하지 않고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양 베어링 릴은, 스풀을 지지하는 스풀축을 더 구비하고, 클러치 조작 부재는, 스풀축의 축 둘레로 회동(回動) 가능한 회동부를 가지고, 규제 부재는, 클러치 조작 부재의 회동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는, 클러치 기구를 전달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전환하였을 경우에 있어서, 간단한 구성으로 클러치 되돌림 기구의 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규제 부재는, 회동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는,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규제 부재는, 회동부로부터 스풀축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러치 제어 기구의 상기 클러치 캠은, 클러치 조작 부재의 이동에 따라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외주면(外周面)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톱니부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되돌림 기구는, 핸들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클러치 기구가 차단 상태에 있을 때 핸들의 회전에 의하여 클러치 캠의 톱니부를 압압(押壓)하여 클러치 캠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돌기부를 가지는 회전 부재를 가지고 있다. 규제 부재는, 클러치 조작 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를 전달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전환하였을 때에, 클러치 캠의 톱니부와 회전 부재의 돌기부와의 간섭을 규제한다.
바람직하게는, 양 베어링 릴은, 핸들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 부재를 지지하는 구동축과, 구동축과 회전 부재와의 사이에서 전달되는 토크를 제한하는 토크 제한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는, 규제 부재가 클러치 되돌림 기구의 작동을 규제하고 있을 때에 규제 부재에 큰 부하가 걸리면, 회전 부재에 대하여 핸들이 상대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규제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러치 조작 부재를 조작할 때마다 클러치 기구의 전달 상태 및 차단 상태가 번갈아 전환되는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클러치 조작 부재를 조작하여 클러치 기구를 전달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전환하였을 때에, 클러치 되돌림 기구가 의도하지 않고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가 채용된 양 베어링 릴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절단면 II-II에 의하여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제1 측 커버 및 기구 장착판을 떼어낸 상태의 전동 릴의 우측면도.
도 4는 양 베어링 릴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클러치 되돌림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클러치 되돌림 기구의 측면도.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도 6에 상당하는 도면.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가 채용된 양 베어링 릴(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와 스풀(3)과 핸들(4)과 스풀 구동 기구(13)(도 3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양 베어링 릴(100)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모터(12)를 구동하여 스풀(3)이 회전하는 전동 릴이다.
릴 본체(2)는, 프레임(7)과 제1 측 커버(8a)와 제2 측 커버(8b)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7)은, 제1 측판(7a)과 제2 측판(7b)과 복수의 연결부(7c)와 기구 장착판(9)을 가지고 있다.
제1 측판(7a)은, 프레임(7)의 전방(前方)(낚싯줄이 방출되는 방향)을 향하여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측판(7b)은, 제1 측판(7a)과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프레임(7)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연결부(7c)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측판(7a)과 제2 측판(7b)을 연결하고 있다. 기구 장착판(9)은, 제1 측판(7a)과 제1 측 커버(8a)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기구 장착판(9)은, 제1 측판(7a)과 제1 측 커버(8a)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기구 장착판(9)에는 각종의 기구가 장착되어 있다.
제1 측 커버(8a)는, 프레임(7)의 제1 측판(7a)의 우측방(右側方)을 덮는다. 제2 측 커버(8b)는, 프레임(7)의 제2 측판(7b)의 좌측방(左側方)을 덮는다.
스풀(3)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고,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3)은, 릴 본체(2)의 내부를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풀축(10)에 지지되어 있다. 스풀(3)은, 스풀축(10)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축(10)은, 릴 본체(2)에 배치된 한 쌍의 베어링(11a, 11b)에 의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핸들(4)은, 릴 본체(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핸들(4)은, 릴 본체(2)의 제1 측 커버(8a) 측에 설치되어 있다.
스풀 구동 기구(13)는, 핸들(4) 및 모터(12)의 회전을 스풀(3)에 전달한다. 스풀 구동 기구(1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회전 전달 기구(14)와 제2 회전 전달 기구(15)를 가지고 있다.
제1 회전 전달 기구(14)는, 모터(12)의 회전을 감속하여 스풀(3)에 전달한다. 상세하게는, 제1 회전 전달 기구(14)는, 모터(12)의 출력축에 연결된 도시하지 않는 유성 톱니바퀴 기구와, 제1 기어 부재(60)와, 제2 기어 부재(61)와, 피니언 기어(32)를 가지고 있다.
제1 기어 부재(60)에는, 유성 톱니바퀴 기구를 통하여 모터(12)의 회전이 전달된다. 제2 기어 부재(61)는, 제1 기어 부재(60)에 맞물린다. 제2 기어 부재(61)는, 제1 기어 부재(60)의 회전을 피니언 기어(32)에 전달하기 위한 중간 기어이며, 피니언 기어(32)에 맞물린다.
피니언 기어(32)는, 스풀축(10)의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고, 스풀축(10)이 내주부(內周部)를 관통하고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32)는, 스풀축(10)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위치와, 스풀축(10)과의 연결이 해제되는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릴 본체(2)에 설치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후술하는 클러치 요크(41)에 계합(係合)하고, 클러치 요크(41)와 함께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피니언 기어(32)는, 클러치 요크(41)가 계합하는 환상(環狀) 오목부(32a)(도 2 및 도 4 참조)를 가지고 있다.
제2 회전 전달 기구(15)는, 핸들(4)의 회전을, 제1 회전 전달 기구(14)를 통하여 스풀(3)에 전달한다. 제2 회전 전달 기구(15)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축(30)과 구동 기어(31)와 제3 기어 부재(62)를 가지고 있다.
구동축(30)에는, 핸들(4)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동축(30)은, 제1 측 커버(8a)에 장착된 롤러 클러치(37)에 의하여 줄 감기 방향으로만 회전이 허용되고 있다. 즉, 구동축(30)은, 줄 감기 방향과 역방향의 회전이 금지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3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멈춤쇠식의 원웨이 클러치(38)에 의하여, 줄 감기 방향과 역방향의 회전이 금지되어 있다. 원웨이 클러치(38)는, 회전 부재(52)와 멈춤쇠 부재(54)를 가지고 있다. 회전 부재(52)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는 클러치 되돌림 기구(22)에 있어서 설명한다.
멈춤쇠 부재(54)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구 장착판(9)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멈춤쇠 부재(54)는, 회전 부재(52)의 돌기부(52a)(도 4 참조)에 계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멈춤쇠 부재(54)가 회전 부재(52)의 돌기부(52a)에 계합한 상태에서는, 회전 부재(52)의 줄 감기 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되고, 회전 부재(52)의 줄 감기 방향과 역방향의 회전은 규제된다.
구동 기어(31)는, 구동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동 기어(31)에는, 드래그 기구(23)(도 4 참조)를 통하여 구동축(30)의 회전이 전달된다.
제3 기어 부재(62)는, 구동 기어(31)에 맞물리는 것과 함께, 유성 톱니바퀴 기구의 캐리어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3 기어 부재(62)의 회전이 캐리어, 제1 기어 부재(60), 및 제2 기어 부재(61)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32)에 전달된다.
양 베어링 릴(100)은, 클러치 기구(16)(도 2 참조)와 클러치 조작 부재(17)(도 3 참조)를 더 구비하고 있다. 또한, 양 베어링 릴(10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제어 기구(20)와 클러치 되돌림 기구(22)와 규제 부재(24)를 더 구비하고 있다.
<클러치 기구(16)>
클러치 기구(16)는, 핸들(4)의 회전력을 스풀(3)에 전달 및 차단하기 위한 기구이다. 클러치 기구(16)는, 종래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스풀축(10)과 피니언 기어(32)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16)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 핀(16a)과 계합 오목부(16b)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기구(16)가 전달 상태에 있을 때, 즉, 피니언 기어(32)가 연결 위치에 있을 때, 계합 핀(16a)이 계합 오목부(16b)에 계합하여, 피니언 기어(32)의 회전이 스풀축(10)에 전달된다. 한편, 클러치 기구(16)가 차단 상태에 있을 때, 즉, 피니언 기어(32)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계합 핀(16a)이 계합 오목부(16b)로부터 이탈하여, 피니언 기어(32)의 회전은 스풀축(10)에 전달되지 않는다.
<클러치 조작 부재(17)>
클러치 조작 부재(17)는, 릴 본체(2)의 후부(後部)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릴 본체(2)에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부재(17)는, 도 3에 있어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제1 위치와, 파선으로 도시하는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제1 위치 측을 향하여 압박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부재(17)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부(18)와 조작부(19)를 가지고 있다. 회동부(18)는, 스풀축(10)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릴 본체(2)에 지지되어 있다. 회동부(18)는, 링부(18a)와 삽입부(18b)와 제1 용수철 걸이부(18c)와 연결부(18d)를 가지고 있다. 링부(18a)는, 기구 장착판(9)에 설치된 제1 지지부(9a)의 외주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삽입부(18b)는, 조작부(19)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조작부(19)에 일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용수철 걸이부(18c)는, 링부(18a)의 외주부로부터 경(徑)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 용수철 걸이부(18c)에는, 클러치 조작 부재(17)를 제1 위치를 향하게 하여 압박하는 제1 용수철 부재(51)의 일단(一端)이 걸린다. 제1 용수철 부재(51)는, 예를 들어 코일 용수철이다. 제1 용수철 부재(51)의 타단(他端)은, 기구 장착판(9)의 제1 측 커버(8a) 측의 외측면에 걸린다.
연결부(18d)는, 링부(18a)와 삽입부(18b)를 연결한다. 연결부(18d)에는, 클러치 제어 기구(20)의 후술하는 클러치 멈춤쇠(44)를 지지하는 지지축(18e)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19)는, 클러치 조작 부재(17)를 손으로 압압 조작하는 부분이다. 조작부(19)는, 스풀축(10)과 실질적으로 평행으로 배치된다. 조작부(19)는, 제1 접촉 부재(43a) 및 제2 접촉 부재(43b)를 통하여,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다.
<클러치 제어 기구(20)>
클러치 제어 기구(20)는,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마다 클러치 기구(16)를 전달 상태 및 차단 상태로 번갈아 전환한다. 클러치 제어 기구(20)의 구성은 종래와 마찬가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간결하게 설명한다.
클러치 제어 기구(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캠(40)과 클러치 요크(41)와 클러치 멈춤쇠(44)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캠(40)은,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마다, 일 방향으로만 회전한다. 상세하게는, 클러치 캠(40)은,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마다, 제1 방향(R1)(도 6 참조)으로 소정의 회전 위상 RP만큼 회전한다. 클러치 캠(40)은, 기구 장착판(9)의 제1 지지부(9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클러치 캠(4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래칫 톱니(40a)와 복수의 캠부(40b)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래칫 톱니(40a)는, 톱니부의 일례이다. 복수의 래칫 톱니(40a)는, 클러치 캠(40)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소정의 회전 위상 RP는 래칫 톱니(40a)의 수에 의하여 정하여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래칫 톱니(40a)가 12개이며, 소정의 회전 위상 RP는 30도이다.
래칫 톱니(40a)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래칫 톱니(40c)와 제2 래칫 톱니(40d)를 가지고 있다. 제1 래칫 톱니(40c) 및 제2 래칫 톱니(40d)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번갈아 설치되어 있다.
캠부(40b)는, 소정의 회전 위상 RP에 관련한 위상 PS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캠부(40b)는,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마다 클러치 요크(41)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클러치 요크(41)는, 피니언 기어(32)를, 연결 위치와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요크(41)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구 장착판(9)의 제1 지지부(9a)에 고정되는 가이드 부재(49)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 요크(41)는, 가이드 부재(49)에 장착된 2개의 제2 용수철 부재(42)에 의하여, 축 방향에 있어서 클러치 캠(40)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하여 압박되어 있다. 클러치 요크(41)는, 피니언 기어(32)의 환상 오목부(32a)에 계합하는 계합부(41a)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멈춤쇠(44)는, 회동부(18)의 지지축(18e)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 멈춤쇠(44)는,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클러치 캠(40)을 제1 방향(R1)으로 소정의 회전 위상 RP만큼 회전시킨다. 상세하게는, 클러치 멈춤쇠(44)는, 래칫 톱니(40a)의 제1 래칫 톱니(40c) 및 제2 래칫 톱니(40d)의 어느 하나에 계합하여 클러치 캠(40)을 제1 방향(R1)으로 압압한다. 클러치 멈춤쇠(44)는, 회동부(18)의 지지축(18e)에 지지된 제3 용수철 부재(48)에 의하여, 래칫 톱니(40a)를 향하여 압박되어 있다.
<클러치 되돌림 기구(22)>
클러치 되돌림 기구(22)는, 클러치 기구(16)가 차단 상태에 있을 때, 핸들(4)의 회전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16)를 전달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기구이다. 클러치 되돌림 기구(2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부재(52)를 가지고 있다. 회전 부재(52)는, 구동축(30)에 지지되어 있고, 핸들(4)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회전 부재(52)는, 복수의 돌기부(52a)와 연결 구멍(52b)을 가지고 있다.
돌기부(52a)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52a)는, 클러치 기구(16)가 차단 상태에 있을 때, 핸들(4)의 회전에 의하여 클러치 캠(40)의 제1 래칫 톱니(40c)에 계합하여, 클러치 캠(40)을 제1 방향(R1)으로 회전시킨다.
돌기부(52a)는, 클러치 캠(40)의 제2 래칫 톱니(40d)에 계합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2 래칫 톱니(40d)는, 제1 래칫 톱니(40c)보다도 경방향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기구(16)가 전달 상태에 있을 때, 돌기부(52a)는, 제2 래칫 톱니(40d)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핸들(4)이 회전하여도, 돌기부(52a)에 의하여 클러치 캠(40)이 제1 방향(R1)으로 회전하는 일이 없다.
연결 구멍(52b)은, 구동축(30)이 축 방향으로 관통한다. 연결 구멍(52b)은, 비원형이며, 회전 부재(52)가 구동축(3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 A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클러치 캠(40)이 제1 방향(R1)으로 회전할 때, 돌기부(52a)가 래칫 톱니(40a)로부터 이반하도록 이동한다.
<규제 부재(24)>
규제 부재(24)는,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이동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16)를 전달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전환하였을 때에 클러치 되돌림 기구(22)의 작동을 규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 부재(24)는,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제2 위치로 이동하고 나서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제1 위치로 되돌아올 때까지의 사이의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 있어서, 클러치 되돌림 기구(22)의 작동을 규제한다.
구체적으로는, 클러치 기구(16)가 전달 상태에 있을 때, 클러치 조작 부재(17)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면, 클러치 캠(40)의 회전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16)가 전달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전환된다. 규제 부재(24)는, 이 클러치 기구(16)가 전달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로부터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제2 위치로 되돌아올 때까지의 사이의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 있어서, 클러치 되돌림 기구(22)의 작동을 규제한다. 덧붙여, 적어도 일부의 기간이란,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제2 위치에 있을 때를 포함한다.
규제 부재(24)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회동부(18)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규제 부재(24)는, 회동부(18)의 링부(18a)로부터 축 방향으로 판상(板狀)으로 연장되어 있다. 규제 부재(24)는, 회동부(18)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규제 부재(24)는, 예를 들어, 회동부(18)의 일부를 휨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규제 부재(24)는,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이동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16)를 전달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전환하였을 때에, 클러치 캠(40)의 제1 래칫 톱니(40c)와 회전 부재(52)의 돌기부(52a)와의 간섭을 규제한다. 상세하게는, 규제 부재(24)는,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회동부(18)가 회동하는 것으로, 도 6의 실선으로 도시하는 대기 위치로부터 파선으로 도시하는 규제 위치로 회동한다. 덧붙여, 도 6에서는, 도면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회동부(18)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규제 부재(24)는,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회전 부재(52)의 돌기부(52a)의 회전 방향의 진로에 침입하여, 회전 부재(52)의 줄 감기 방향(WD)으로의 회전을 규제한다. 이것에 의하여,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이동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16)를 전달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전환하였을 때에, 핸들(4)의 회전에 의한 클러치 되돌림 기구(22)의 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낚싯줄에 강한 장력이 작용하고 있을 때에, 클러치 조작 부재(17)를 조작하여 클러치 기구(16)를 전달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전환하였을 경우에서도, 규제 부재(24)에 의하여 클러치 되돌림 기구(22)가 의도하지 않고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회전 부재(52)가 구동축(3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 A로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규제 부재(24)의 규제 위치로의 이동이 회전 부재(52)의 돌기부(52a)에 방해받는 일이 없다.
덧붙여, 클러치 기구(16)가 차단 상태에 있을 때에 있어서,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이동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16)를 차단 상태로부터 전달 상태로 전환하였을 때는, 이미 클러치 기구(16)가 전달 상태에 있기 때문에, 클러치 되돌림 기구(22)가 작동하는 일은 없다. 단,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규제 부재(24)가 규제 위치에 있을 때는, 클러치 기구(16)의 상태에 관계없이 규제 부재(24)에 의하여 회전 부재(52)의 줄 감기 방향(WD)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양 베어링 릴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크 제한 기구(26)를 더 구비하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와 대체로 마찬가지이다.
토크 제한 기구(26)는, 구동축(130)과 회전 부재(152)와의 사이에서 전달되는 토크를 제한한다. 토크 제한 기구(26)는, 규제 부재(24)에 큰 부하가 걸렸을 경우에, 규제 부재(24) 및 돌기부(152a)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규제 부재(24)가 회전 부재(152)의 줄 감기 방향(WD)으로의 회전을 규제하고 있을 때에, 예를 들어 핸들(4)이 조작되어 규제 부재(24)에 큰 부하가 걸리면, 구동축(130)이 회전 부재(152)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토크 제한 기구(26)는, 한 쌍의 핀 부재(71)와 압박 부재(72)와 적어도 1개의 계지(係止) 오목부(73)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핀 부재(71)는, 구동축(130)을 경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 구멍(130a)에 진퇴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핀 부재(71)는, 선단(先端)이 구면상(球面狀)의 머리부(71a)와, 머리부(71a)보다도 소경(小徑)의 축부(71b)를 가지고 있다.
압박 부재(72)는, 예를 들어 코일 용수철이며, 한 쌍의 핀 부재(71)를 회전 부재(152)를 향하게 하여 압박한다. 압박 부재(72)는, 한 쌍의 핀 부재(71)의 축부(71b)의 외주(外周) 측에 배치되어 있다.
계지 오목부(73)는, 회전 부재(152)의 연결 구멍(152b)에 형성되어 있다. 연결 구멍(152b)은, 계지 오목부(73)를 제외하고,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계지 오목부(73)는, 연결 구멍(152b)의 내주면(內周面)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 설치되어 있다. 계지 오목부(73)는, 계지면(73a)과 사면(斜面)(73b)을 가지고 있다.
계지면(73a)은, 한 쌍의 핀 부재(71)의 머리부(71a)의 선단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머리부(71a)가 계지면(73a)을 압압하여, 구동축(130)의 회전과 함께 회전 부재(152)가 회전한다. 구동축(130)과 회전 부재(152)와의 사이에 허용 이상의 토크가 작용하면, 머리부(71a)가 관통 구멍(130a)의 내부로 후퇴하여, 구동축(130)이 회전 부재(152)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즉, 구동축(130)과 회전 부재(152)와의 사이에 허용 이상의 토크가 작용하면, 구동축(130)만이 회전한다.
사면(73b)은, 회전 부재(152)를 줄 감기 방향(WD)으로 압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사면(73b)은, 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직선상(直線狀)으로 경사하는 것과 함께, 줄 감기 방향(WD)으로 나아가는 것에 따라 내경(內徑)이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사면(73b)을 설치하는 것으로,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조작에 의하여 클러치 캠(40)이 제1 방향(R1)으로 회전할 때, 돌기부(152a)가 래칫 톱니(40a)로부터 이반(離反)하도록 이동한다. 또한, 사면(73b)을 설치하는 것으로, 규제 부재(24)의 규제 위치로의 이동이 회전 부재(152)의 돌기부(152a)에 방해받는 일이 없다.
<다른 실시 형태>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여진 복수의 실시 형태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서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양 베어링 릴(100)로서 모터(12)로 스풀(3)을 구동하는 전동 릴을 개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수동의 양 베어링 릴에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 부재(24)를 회동부(18)에 일체로 설치하고 있었지만, 반드시 회동부(18)에 일체로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한, 규제 부재(24)를 반드시 회동부(18)에 설치할 필요는 없다. 규제 부재(24)는,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에 규제 위치에 배치 가능한 구성이면 된다.
(c)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부재(52)가 원웨이 클러치(38) 및 클러치 되돌림 기구(22)의 구성을 겸하고 있었지만, 반드시 회전 부재(52)가 원웨이 클러치(38) 및 클러치 되돌림 기구(22)의 구성을 겸할 필요는 없다. 멈춤쇠 부재(54)에 계합 가능한 또한 구동축(30)에 일체 회전 가능한 래칫 부재를, 회전 부재(52)와는 별도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2: 릴 본체
3: 스풀
4: 핸들
10: 스풀축
16: 클러치 기구
17: 클러치 조작 부재
18: 회동부
20: 클러치 제어 기구
22: 클러치 되돌림 기구
24: 규제 부재
26: 토크 제한 기구
30, 130: 구동축
40: 클러치 캠
40a: 래칫 톱니(톱니부의 일례)
52, 152: 회전 부재
52a, 152a: 돌기부
100: 양 베어링 릴

Claims (6)

  1.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스풀과,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핸들과,
    상기 핸들의 회전력을 상기 스풀에 전달 및 차단하는 클러치 기구와,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릴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 위치 측을 향하여 압박된 클러치 조작 부재와,
    상기 클러치 조작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마다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클러치 캠을 가지고, 상기 클러치 캠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클러치 기구를 상기 전달 상태 및 상기 차단 상태로 번갈아 전환하는 클러치 제어 기구와,
    상기 클러치 기구가 상기 차단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핸들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클러치 기구를 상기 전달 상태로 되돌리는 클러치 되돌림 기구와,
    상기 클러치 조작 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클러치 기구를 상기 전달 상태로부터 상기 차단 상태로 전환하였을 때에 상기 클러치 되돌림 기구의 작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
    를 구비한, 양 베어링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을 지지하는 스풀축을 더 구비하고,
    상기 클러치 조작 부재는, 상기 스풀축의 축 둘레로 회동(回動) 가능한 회동부를 가지고,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클러치 조작 부재의 상기 회동부에 설치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회동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회동부로부터 상기 스풀축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제어 기구의 상기 클러치 캠은, 상기 클러치 조작 부재의 이동에 따라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외주면(外周面)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톱니부를 가지고,
    상기 클러치 되돌림 기구는,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상기 클러치 기구가 상기 차단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핸들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클러치 캠의 상기 톱니부를 압압(押壓)하여 상기 클러치 캠을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돌기부를 가지는 회전 부재를 가지고,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클러치 조작 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클러치 기구를 상기 전달 상태로부터 상기 차단 상태로 전환하였을 때에, 상기 클러치 캠의 상기 톱니부와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돌기부와의 간섭을 규제하는,
    양 베어링 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회전 부재를 지지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상기 회전 부재와의 사이에서 전달되는 토크를 제한하는 토크 제한 기구
    를 더 구비한, 양 베어링 릴.

KR1020180134368A 2018-02-01 2018-11-05 양 베어링 릴 KR201900934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16180A JP7084736B2 (ja) 2018-02-01 2018-02-01 両軸受リール
JPJP-P-2018-016180 2018-0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493A true KR20190093493A (ko) 2019-08-09

Family

ID=67391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368A KR20190093493A (ko) 2018-02-01 2018-11-05 양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01917B2 (ko)
JP (1) JP7084736B2 (ko)
KR (1) KR20190093493A (ko)
CN (1) CN110100802B (ko)
TW (1) TWI7693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4451B (zh) * 2019-11-28 2021-12-21 鹤山市仲德精密制造科技有限公司 齿形离合结构渔轮
JP2022068656A (ja) * 2020-10-22 2022-05-10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トルク制限装置及び釣り用リール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0570A (ja) 2015-05-28 2016-12-2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3812A (en) * 1991-06-07 1994-08-02 Shimano Inc. Clutch structure for a fishing reel
JP2552465Y2 (ja) * 1991-10-18 1997-10-29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のクラッチ操作構造
JPH119157A (ja) * 1997-06-24 1999-01-19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JP2001095442A (ja) 1999-09-29 2001-04-10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4194600A (ja) 2002-12-20 2004-07-15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5013022A (ja) * 2003-06-24 2005-01-20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
JP4610253B2 (ja) * 2004-07-23 2011-01-12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クラッチ復帰装置
JP2006262727A (ja) * 2005-03-22 2006-10-05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4963279B2 (ja) * 2007-08-06 2012-06-2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操作部材
JP5746841B2 (ja) * 2010-09-22 2015-07-0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制御装置
JP5912371B2 (ja) 2011-09-27 2016-04-2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トルク制限装置
JP2014042479A (ja) * 2012-08-27 2014-03-13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JP6376848B2 (ja) * 2014-06-03 2018-08-2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復帰機構
JP6407578B2 (ja) * 2014-06-19 2018-10-1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機構
JP6726522B2 (ja) * 2016-05-10 2020-07-22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制御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0570A (ja) 2015-05-28 2016-12-2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34003A (zh) 2019-09-01
US10701917B2 (en) 2020-07-07
TWI769353B (zh) 2022-07-01
JP2019129781A (ja) 2019-08-08
JP7084736B2 (ja) 2022-06-15
CN110100802A (zh) 2019-08-09
US20190230909A1 (en) 2019-08-01
CN110100802B (zh) 2022-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5088B2 (en) Fishing reel
KR20190093493A (ko) 양 베어링 릴
KR20120140196A (ko)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TW201927142A (zh) 雙軸承捲線器
JP2019129781A5 (ko)
JP4816474B2 (ja) クラッチ装置
US5139214A (en) Anti-reverse mechanism for use in fishing reel
CN110506716B (zh) 钓鱼用绕线轮的手柄返回位置调整机构
KR20220053463A (ko) 낚시용 릴의 토크 제한 장치 및 낚시용 릴
CN113767884A (zh) 纺车式渔线轮
KR20200005424A (ko) 스피닝 릴
KR20220005387A (ko) 낚시용 릴의 토크 제한 장치 및 낚시용 릴
JP2008008450A (ja) 駆動力伝達制御装置
JP4887336B2 (ja) 魚釣用リール
JP4876061B2 (ja) 魚釣用リール
JP7257488B2 (ja) 両軸受リール
JP7296690B1 (ja) 回転機構
JP4605714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6246721A (ja) 魚釣用リール
JPH0568454A (ja) 両軸受リール
JPS641094B2 (ko)
JP2007303672A (ja) 駆動力伝達制御装置
JP2018194107A (ja) クラッチ機構、及び該機構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1045930A (ja) 両軸受けリール
JP2000157119A (ja) 両軸受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