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622A - 에스터화 반응에서의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스터 조성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에스터화 반응에서의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스터 조성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622A
KR20190027622A KR1020170114623A KR20170114623A KR20190027622A KR 20190027622 A KR20190027622 A KR 20190027622A KR 1020170114623 A KR1020170114623 A KR 1020170114623A KR 20170114623 A KR20170114623 A KR 20170114623A KR 20190027622 A KR20190027622 A KR 20190027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gas
liquid separation
monohydric alcohol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6544B1 (ko
Inventor
이하나
이성규
신준호
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14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544B1/ko
Priority to PCT/KR2018/010381 priority patent/WO2019050280A1/ko
Priority to CN201880042389.2A priority patent/CN110799481B/zh
Priority to US16/628,239 priority patent/US11091422B2/en
Priority to EP18854724.4A priority patent/EP3680228B1/en
Priority to JP2019571319A priority patent/JP6852924B2/ja
Priority to TW107131338A priority patent/TWI749257B/zh
Publication of KR20190027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4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67/5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in the physical state, e.g. crystallisation
    • C07C67/54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in the physical state, e.g. crystallisation by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08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reacting carboxylic acids or symmetrical anhydrides with the hydroxy or O-metal group of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76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69/80Phthalic acid esters
    • C07C69/82Terephthal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에 비하여 반응기 내 액상 구획과 연결된 액상 출구 라인을 포함하는 에스터화 반응기에서, 카복실기, 에스터기 및 산무수물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카보닐계 화합물과 1가 알코올이 반응하는 단계 및 기액 분리 컬럼에서 기액 분리되어 상기 1가 알코올이 제거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액 분리 컬럼으로의 액상 스트림의 유입은 상기 기액 분리에 소요되는 총 소요시간의 10% 내지 70%의 시점부터 시작되는 것인 에스터화 반응에서의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으로서, 상기 기액 분리에 있어서 액상 출구 라인으로 액상 스트림을 유출시키는 시점을 제어함으로써, 단 시간 내에 원하는 수준까지 반응기 내의 미반응 알코올을 함유하는 저비점 혼합물의 함량을 저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직접 에스터화 반응과 트랜스 에스터화 반응을 하나의 공정으로 통합할 수 있는 효과도 볼 수 있다.

Description

에스터화 반응에서의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스터 조성물의 제조 방법 {METHOD OF REMOVING MONOHYDRIC ALCOHOL IN ESTERIFICATION REACTION AND METHOD OF PREPARING ESTER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액 분리 시스템을 이용한 에스터화 반응에서의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에스터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세계 가소제 시장의 92%를 차지하고 있으며(Mustafizur Rahman and Christopher S.Brazel "The plasticizer market: an assessment of traditional plasticizers and research trends to meet new challenges" Progress in Polymer Science 2004, 29, 1223-1248 참고), 주로 폴리염화비닐(이하, PVC라 함)에 유연성, 내구성, 내한성 등을 부여하고 용융 시 점도를 낮추어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첨가물로서, PVC에 다양한 함량으로 투입되어 단단한 파이프와 같은 경질 제품에서부터 부드러우면서도 잘 늘어나 식품 포장재 및 혈액백, 바닥재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연질 제품에 이르기까지 그 어떤 재료보다도 실생활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으며 인체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불가피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의 PVC와 상용성 및 뛰어난 연질 부여성에도 불구하고, 최근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함유된 PVC 제품의 실생활 사용 시 제품 외부로 조금씩 유출되어 내분비계 장애(환경호르몬) 추정 물질 및 중금속 수준의 발암 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는 유해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N. R. Janjua et al. "Systemic Uptake of Diethyl Phthalate, Dibutyl Phthalate, and Butyl Paraben Following Whole-body Topical Application and Reproductive and Thyroid Hormone Levels in Humans"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2008, 42, 7522-7527 참조). 특히, 1960년대 미국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중 그 사용량이 가장 많은 디에틸헥실 프탈레이트(di-(2-ethylhexyl) phthalate, DEHP)가 PVC 제품외부로 유출된다는 보고가 발표된 이후로 1990년대에 들어 환경호르몬에 대한 관심이 더해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의 인체 유해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비롯하여 범 세계적인 환경규제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이에 많은 연구진들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유출로 인한 환경호르몬 문제 및 환경규제에 대응하고자,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제조시 사용되는 무수프탈산이 배제된 새로운 비프탈레이트계 대체 가소제를 개발하거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의 유출을 억제하여 인체 위해성을 현저히 줄임은 물론 환경기준에도 부합할 수 있는 유출억제 기술을 개발하고자 연구를 진행해 나가고 있다.
한편,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로서, 테레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와 물성적인 측면에서 동등 수준일 뿐만 아니라, 환경적 문제에서 자유로운 물질로 각광 받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테레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며, 물성이 우수한 테레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개발하는 연구는 물론 이러한 테레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에 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공정 설계의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며 간소한 공정의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4141호
본 발명은 반응기 내 미반응 알코올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제거 방법으로서, 단 시간 내에 높은 효율로 에스터화 반응기 내의 미반응 알코올을 제거할 수 있는 에스터화 공정에 있어서의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액상 구획과 기상 구획을 갖는 반응 공간, 상기 반응 공간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반응기 내의 기상 구획과 연결된 기상 출구 라인 및 상기 반응 공간의 측면부에 위치되어 반응기 내 액상 구획과 연결된 액상 출구 라인을 포함하는 에스터화 반응기에서, 카복실기, 에스터기 및 산무수물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카보닐계 화합물과 1가 알코올이 반응하는 단계; 및 상기 기상 출구 라인으로부터 상기 1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기상 스트림과, 상기 액상 출구 라인으로부터 상기 1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액상 스트림이 기액 분리 컬럼에서 기액 분리되어 상기 1가 알코올이 제거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액 분리 컬럼으로의 액상 스트림의 유입은 상기 기액 분리에 소요되는 총 소요시간의 10% 내지 70%의 시점부터 시작되는 것인 에스터화 반응에서의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에스터화 반응에서의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에스터화 반응은 직접 에스터화 반응이며, 상기 1가 알코올이 제거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에스터화 반응기에 트랜스 반응용 알코올을 추가 투입하여 트랜스 에스터화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보닐계 화합물은 카복실기, 에스터기 또는 산무수물기가 2 이상 결합된 것인 에스터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 시간 내에 원하는 수준까지 에스터화 반응기에서 미반응 알코올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제거 방법을 직접 에스터화 반응에 적용하는 경우, 직접 에스터화 반응 이후 동일 반응기에서 트랜스 에스터화 반응을 수행하더라도 우수한 전환율을 확보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직접 에스터화 반응 공정 및 트랜스 에스터화 반응 공정을 통합할 수 있게 되어, 공정 설비 감축 등으로 인해 경제성까지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스터화 반응에 있어서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에 따라 1가 알코올을 제거하는 공정의 일 예를 도시한 공정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상 구획과 기상 구획을 갖는 반응 공간, 상기 반응 공간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반응기 내의 기상 구획과 연결된 기상 출구 라인 및 상기 반응 공간의 측면부에 위치되어 반응기 내 액상 구획과 연결된 액상 출구 라인을 포함하는 에스터화 반응기에서, 카복실기, 에스터기 및 산무수물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카보닐계 화합물과 1가 알코올이 반응하는 단계; 및 상기 기상 출구 라인으로부터 상기 1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기상 스트림과, 상기 액상 출구 라인으로부터 상기 1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액상 스트림이 기액 분리 컬럼에서 기액 분리되어 상기 1가 알코올이 제거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액 분리 컬럼으로의 액상 스트림의 유입은 상기 기액 분리에 소요되는 총 소요시간의 10% 내지 70%의 시점부터 시작되는 것인 에스터화 반응에서의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에 이용되는 기액 분리 시스템은, 반응이 수행되는 내부 반응 공간, 기상 출구 라인 및 생성물 라인을 포함하는 에스터화 반응기; 및 기액 분리 공간, 하부 회수 라인 및 상부 유출 라인이 구비된 기액 분리 컬럼;을 포함하며, 상기 에스터화 반응기의 액상 구획으로부터 상기 기액 분리 컬럼의 측면부까지 연결된 액상 출구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스터화 반응기는 에스터 반응이 수행되며 액상 구획과 기상 구획을 갖는 반응 공간과, 상기 반응 공간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반응기 내의 기상 구획과 연결된 기상 출구 라인과, 상기 반응 공간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반응기 내 액상 구획과 연결된 생성물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액 분리 컬럼은 에스터화 반응기로부터 기화된 반응 생성물 및 기상의 저비점 혼합물을 함유하는 기상 스트림이 반응기의 기상 출구 라인을 통해 유입되어 기액 분리가 수행되는 기액 분리 공간, 액화된 반응 생성물이 에스터화 반응기로 회수되는 하부 회수 라인 및 기상의 저비점 혼합물이 제거되어 유출되는 상부 유출 라인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상 출구 라인은 에스터화 반응기의 측면부에 위치되어 반응기 내의 액상 스트림이 유출될 수 있도록 액상 구획에 연결되며 상기 기액 분리 컬럼에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컬럼 높이 방향의 1/2 지점 이상의 측면부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에스터화 공정의 경우, 특히, 에스터 화합물의 트랜스 에스터화 반응을 통한 에스터화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는 직접 에스터화 반응 공정과 트랜스 에스터화 반응 공정이 분리되어 수행된다. 직접 에스터화 반응 공정과 트랜스 에스터화 반응 공정이 하나의 공정으로 통합되기 위해서는 반응기의 통합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직접 에스터화 반응과 트랜스 에스터화 반응이 하나의 반응기에서 수행되는 경우, 직접 에스터화 반응이 수행된 이후에 이 반응의 생성물인 에스터 화합물을 이용하여 트랜스 에스터화 반응이 진행되는데, 직접 에스터화 반응에서 미반응된 알코올을 함유하는 저비점 혼합물이 일정량 이상 남아 있게 되면, 트랜스 에스터화 반응의 정반응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그에 따라 트랜스 에스터화 반응의 전환율이 상당히 열악해 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반응 통합을 위해서는 직접 에스터화 반응 후 미반응의 1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저비점 혼합물을 일정량 이하로 제거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할 것이다.
이 점에서, 기존의 에스터화 공정에서는 에스터화 반응기 내에서 미반응의 1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저비점 혼합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감압을 통하여 기액 분리 컬럼으로 기상의 물질을 보내어 기액 분리를 수행함으로써 미반응 1가 알코올 등의 저비점 혼합물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감압을 통한 기액 분리는 물질 전달 면적의 협소함으로 인해 효율이 좋지 못하여 원하는 수준까지 반응기 내의 미반응 알코올 농도를 저감하지 못할 수 있고, 저감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 속도가 너무 느려 전체 공정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에스터화 반응기에 액상 출구 라인이 구비됨으로써, 감압을 통해 기상 스트림으로 기액 분리 컬럼으로 유입되는 스트림 외에 반응기 내 액상 자체를 기액 분리 컬럼으로 유입시키는 액상 출구 라인으로 액상 스트림이 함께 유입되기 때문에, 기액 분리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미반응 1가 알코올이 제거되는 속도를 크게 단축할 수 있으며 반응기 내 잔존 미반응 1가 알코올의 함량을 극미량까지 저감할 수 있고, 이와 같은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이 직접 에스터화 반응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랜스 에스터화 반응과의 공정 통합이 가능해질 수 있고 트랜스 에스터화 반응의 생성물을 고수율로 얻을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에스터화 반응에 있어서의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은 크게 에스터화 반응 단계와 1가 알코올의 제거 단계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에스터화 반응 단계는 전술한 에스터화 반응기에서 카복실기, 에스터기 및 산무수물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카보닐계 화합물과 1가 알코올이 반응하는 것이며, 상기 1가 알코올의 제거 단계는 전술한 기액 분리 컬럼으로 에스터화 반응기로부터 기상 스트림 및 액상 스트림이 유입되어 기액 분리가 수행되면서 1가 알코올이 제거되는 것이다.
상기 에스터화 반응이 수행되는 단계에서는 일반적인 에스터화 반응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에스터화 반응의 조건은 공지된 반응 조건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1가 알코올이 제거되는 단계는 상기 에스터화 반응기의 기상 출구 라인을 통해 기상 스트림이, 그리고 에스터화 반응기의 액상 출구 라인을 통해 액상 스트림이 기액 분리 컬럼으로 유입되어 기액 분리 컬럼에서 1가 알코올이 제거되는 것일 수 있는데, 상기 1가 알코올은 반응 중 기화되어 기상 스트림에도 포함될 수 있고, 그대로 액체 상태인 것으로서 액상 스트림에도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액상 스트림과 기상 스트림에 모두 1가 알코올이 포함되어 기액 분리 컬럼으로 유입되는 것일 수 있으며, 기액 분리에 적용되는 조건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건들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에 있어서, 전체 분리 공정에서 액상 스트림을 기액 분리 컬럼으로 보내는 시점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즉, 기액 분리 공정에 소요되는 총 시간의 약 1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35% 내지 65%, 더 바람직하게 40% 내지 60%, 최적으로는 45% 내지 58%의 시간이 경과된 이후부터 액상 출구 라인을 통해 기액 분리 컬럼으로 액상 스트림을 유입시키는 제어가 필요할 수 있다. 만일 기액 분리가 시작되는 시점부터 혹은 총 소요 시간의 10%가 채 되기 이전의 시점부터 액상 스트림을 기액 분리 컬럼으로 보내게 되면 일정 함량까지 1가 알코올이 제거될 수 있으나, 제거되는 속도의 개선이 없고 액상 출구 라인을 도입하지 않는 것과 크게 차이가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반응기에서 기액 분리 컬럼으로 액상 스트림을 흘리는 시점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기액 분리 효율이 극대화 될 수 있고, 그 시점은 전체 분리 공정의 소요 시간 대비 약 10 내지 70%가 경과한 시점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기액 분리 공정, 즉 1가 알코올의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은 일반적으로 약 80분 내지 140분일 수 있으나, 상기 소요시간은 반응기의 용적이나 기액 분리 컬럼의 분리 용량 등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분리 공정이 존재 등으로 인하여 전체 분리 공정의 소요 시간은 감소할 수 있으므로, 분리 공정에 소요되는 전체 시간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액상 출구 라인으로 보내는 액상 스트림의 유량은 많을수록 분리 효율이 증가될 수 있고, 최소한 반응기 내 액상의 반응 생성물의 총량 대비 약 25% 이상인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단, 액상 스트림의 유량이 증가할수록 기액 분리의 효율 증가는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유량 증가분에 비하여 증가폭이 현저하게 클 수 있다.
상기 미반응 알코올과 함께 저비점 혼합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수분이 더 있을 수 있고, 수분의 제거 역시 에스터화 반응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으나, 수분의 제거는 에스터화 반응 중간에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반응 완료 후 1가 알코올의 제거 단계에서는 1가 알코올이 제거되는 경우 함께 제거되는 것이 일반적일 수 있다.
상기 기액 분리 컬럼의 기액 분리 공간은 트레이형(tray type), 충진형(packed type) 또는 이 둘의 혼합형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트레이 컬럼, 충진 컬럼 또는 트레이/충진 혼합형 컬럼으로 불리울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기액 분리 시스템 내 기액 분리 컬럼은 제거하고자 하는 저비점 혼합물에 함유된 성분과 그 함량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에스터화 반응에 있어서 원료인 1가 알코올은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20일 수 있다. 또한, 카보닐계 화합물은 작용기로써 에스터기, 카복실기 또는 산무수물기를 1개 이상 갖는 화합물이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아세트산과 이의 에스터 또는 산무수물, 프탈산과 이의 에스터 또는 산무수물, 이소프탈산과 이의 에스터 또는 산무수물, 테레프탈산과 이의 에스터 또는 산무수물, 시트르산과 이의 에스터 또는 산무수물, 숙신산과 이의 에스터 또는 산무수물, 트리멜리트산과 이의 에스터 또는 산무수물, 벤조산과 이의 에스터 또는 산무수물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아세트산 외에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또는 펜탄온산 등이 적용될 수 있고, 천연 오일 또는 이의 에폭시화 오일로부터 유도된 에스터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즉 에스터화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화합물들 사이의 반응이 수행되는 공정에는 본 발명에 따른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을 포함하는 에스터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에스터화 반응기에서, 카복실기, 에스터기 및 산무수물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카보닐계 화합물과 1가 알코올이 반응하는 단계; 상기 1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기상 스트림 및 액상 스트림이 상기 에스터화 반응기로부터 기액 분리 컬럼으로 유입되어 1가 알코올이 제거되는 단계; 및 상기 에스터화 반응기에 상기 1가 알코올과 탄소수가 상이한 알코올을 투입하여 트랜스 에스터화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이 직접 에스터화 반응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반응기에서 트랜스 에스터화 반응까지도 진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반응 설비의 통합을 이룰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경제성, 공정성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에 적용되는 기액 분리 시스템의 일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기액 분리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직접 에스터화 반응이 수행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며 액상 구획과 기상 구획을 갖는 에스터화 반응기(11)는 반응 공간의 상단부에 위치되며 기상 구획과 연결되어 기상 스트림이 유출되는 기상 출구 라인(111)과 반응 공간의 하단부에 위치되며 액상 구획과 연결되어 생성물이 유출되는 생성물 라인(112)을 구비한다.
상기 기상 출구 라인(111)을 통해 유출되는 기상 스트림은 기액 분리 컬럼(12)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기액 분리 컬럼(12)은 유입된 기상 스트림의 기액 분리가 수행되는 기액 분리 공간을 가지고, 상부로는 미반응 알코올을 포함하는 저비점 화합물이 제거되는 상부 유출 라인(122)이, 하부로는 기액 분리를 통해 다시 액화된 반응 생성물이 회수되는 하부 회수 라인(12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스터화 반응기(11)의 액상 구획과 연결되어 액상 스트림이 유출될 수 있고 유출된 액상 스트림이 기액 분리 컬럼(1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에스터화 반응기(11)의 액상 구획으로부터 기액 분리 컬럼(12)의 측면부까지 연결되는 액상 출구 라인(1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액상 출구 라인(113)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에스터화 반응기(11)의 측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생성물 라인(112)과 함께 에스터화 반응기(11)의 하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액상 출구 라인(113)의 위치는 반응기(11) 내 액상 구획과 연결되기만 하면 되고 그 위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액 분리 컬럼(12)으로 유입되는 부분 역시 기액 분리 컬럼(12)의 측면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측면부 중에서도 컬럼의 높이 방향의 1/2 지점 이상으로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기액 분리 컬럼(12)의 상단부로 유입되도록 액상 출구 라인(113)을 설계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기상 출구 라인(111)을 통해 흐르는 기상 스트림의 경우에는 에스터화 반응기(11)의 감압을 통해 흐르게 될 수 있지만, 액상 스트림의 경우에는 기액 분리 컬럼(12)의 일정 높이 이상으로 액상 스트림을 보내기 위하여 액상 출구 라인(113)상에 펌프(미도시)와 같은 동력원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에서는 상용 공정모사 프로그램 ASPEN PLUS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에스터화 반응에서의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을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기액 분리의 조건은 120분 동안 상압에서부터 80 torr까지 감압하면서 진행하였다.
실시예 1
반응 원료로써, 테레프탈산 5.5T/hr, 2-에틸헥산올 13.5T/hr을 에스터화 반응기(11)에 도입하여 직접 에스터 반응을 진행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에, 총 분리 공정 소요 시간 중 약 45%가 경과된 시점인 분리 시작 후 54분이 경과된 시점에서 액상 출구 라인을 통해서 액상 스트림을 기액 분리 컬럼으로 유입시키고, 액상 출구 라인을 통한 액상 스트림의 총 유입량은 반응기 내 액상의 반응 생성물 총량의 100%로 조절하여 총 120분 동안 기액 분리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2
총 분리 공정 소요 시간 중 약 58%가 경과된 시점인 분리 시작 후 70분 후부터 액상 출구 라인을 통해서 액상 스트림을 기액 분리 컬럼으로 유입시킨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모두 동일하게 기액 분리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3
총 분리 공정 소요 시간 중 약 12.5%가 경과된 시점인 분리 시작 후 15분 후부터 액상 출구 라인을 통해서 액상 스트림을 기액 분리 컬럼으로 유입시킨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모두 동일하게 기액 분리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4
액상 스트림의 총 유입량을 반응기 내 액상의 반응 생성물 총량의 25 중량%로 조절하여 총 120분 동안 기액 분리를 수행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모두 동일하게 기액 분리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5
총 분리 공정 소요 시간 중 약 45%가 경과된 시점인 분리 시작 후 54분 후부터 액상 출구 라인을 통해서 액상 스트림을 기액 분리 컬럼으로 유입시킨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4와 모두 동일하게 기액 분리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6
총 분리 공정 소요 시간 중 약 12.5%가 경과된 시점인 분리 시작 후 15분 후부터 액상 출구 라인을 통해서 액상 스트림을 기액 분리 컬럼으로 유입시킨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4와 모두 동일하게 기액 분리를 수행하였다.
비교예 1
액상 출구 라인을 적용하지 않고 기액 분리를 수행하였으며, 에스터화 반응과 기액 분리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비교예 2
분리 시작 시점부터 액상 출구 라인을 통해서 액상 스트림을 기액 분리 컬럼으로 유입시킨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모두 동일하게 기액 분리를 수행하였다.
비교예 3
분리 시작 시점부터 액상 출구 라인을 통해서 액상 스트림을 기액 분리 컬럼으로 유입시킨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2와 모두 동일하게 기액 분리를 수행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의 기액 분리에 있어서, 에스터화 반응기 내의 2-에틸헥산올의 함량이 2 중량% 이하가 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과 소요시간 단축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액상 스트림의 비율1 ) 분리 시작 시점 소요시간 소요시간 단축율
(중량%) (분) (%)
실시예 1 100 54분, 45% 90.0 25.0
실시예 2 100 70분, 58% 99.6 17.0
실시예 3 100 15분, 12.5% 105.6 12.0
비교예 1 0 - 120.0 0.0
비교예 2 100 즉시 112.8 6.0
  액상 스트림의 비율1 ) 분리 시작 시점 소요시간 소요시간 단축율
(중량%) (분) (%)
실시예 4 25 54분, 45% 105.0 12.5
실시예 5 25 70분, 58% 110.4 8.0
실시예 6 25 15분, 12.5% 112.8 6.0
비교예 1 0 - 120.0 0.0
비교예 3 25 즉시 115.2 4.0
1) 반응기 내 액상의 반응 생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한 상대량
상기 표 1 및 2를 참조하면, 액상 출구 라인을 통한 액상 스트림을 기액 분리에 활용한 실시예 1 내지 6에 비하여 활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2-에틸헥산올의 목표 함량에 도달하기 위한 시간이 상당히 많이 소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분리 시점을 조절하지 않고 기액 분리 시작 시점부터 액상 스트림을 기액 분리 컬럼으로 흘려 보낸 비교예 2 및 3의 경우, 액상 스트림에 의한 기액 분리 효율 증대의 효과를 거의 보지 못했다고 할 정도로 분리 시간 단축이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액상 스트림을 통한 분리 공정의 효율 증대는 액상 스트림을 기액 분리 컬럼으로 흐르게 하는 시점의 조절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 4 내지 6의 경우 액상 출구 라인을 통한 액상 스트림의 활용을 비교예 2에 비하여 1/4 밖에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2-에틸헥산올의 목표 함량에 도달되는 시간이 더 단축되었고, 단 시간 내에도 2-에틸헥산올을 저함량으로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1: 에스터화 반응기 12: 기액 분리 컬럼
111: 기상 출구 라인 112: 생성물 라인
113: 액상 출구 라인
121: 하부 회수 라인 122: 상부 유출 라인

Claims (7)

  1. 액상 구획과 기상 구획을 갖는 반응 공간, 상기 반응 공간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반응기 내의 기상 구획과 연결된 기상 출구 라인 및 상기 반응 공간의 측면부에 위치되어 반응기 내 액상 구획과 연결된 액상 출구 라인을 포함하는 에스터화 반응기에서, 카복실기, 에스터기 및 산무수물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카보닐계 화합물과 1가 알코올이 반응하는 단계; 및
    상기 기상 출구 라인으로부터 상기 1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기상 스트림과, 상기 액상 출구 라인으로부터 상기 1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액상 스트림이 기액 분리 컬럼에서 기액 분리되어 상기 1가 알코올이 제거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액 분리 컬럼으로의 액상 스트림의 유입은 상기 기액 분리에 소요되는 총 소요시간의 10% 내지 70%의 시점부터 시작되는 것인 에스터화 반응에서의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분리 컬럼으로의 액상 스트림의 유입은 상기 기액 분리에 소요되는 총 소요시간의 35% 내지 65%의 시점부터 시작되는 것인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분리 컬럼으로의 액상 스트림의 유입은 상기 기액 분리에 소요되는 총 소요시간의 45% 내지 58%의 시점부터 시작되는 것인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스트림은 에스터화 반응기의 감압에 의하여 기상 출구 라인으로 유출되는 것인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분리 컬럼은 트레이형(tray type), 충진형(packed type) 또는 이들의 혼합형인 것인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
  6. 제1항의 에스터화 반응에서의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에스터화 반응은 직접 에스터화 반응이며,
    상기 1가 알코올이 제거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에스터화 반응기에 트랜스 반응용 알코올을 추가 투입하여 트랜스 에스터화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보닐계 화합물은 카복실기, 에스터기 또는 산무수물기가 2 이상 결합된 것인 에스터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 반응용 알코올은 상기 직접 에스터화 반응에 적용된 1가 알코올의 알킬기와 상이한 알킬기를 갖는 것인 에스터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70114623A 2017-09-07 2017-09-07 에스터화 반응에서의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스터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306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623A KR102306544B1 (ko) 2017-09-07 2017-09-07 에스터화 반응에서의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스터 조성물의 제조 방법
PCT/KR2018/010381 WO2019050280A1 (ko) 2017-09-07 2018-09-05 에스터화 반응에서의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스터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201880042389.2A CN110799481B (zh) 2017-09-07 2018-09-05 从酯化中除去一元醇的方法和包括该方法的酯组合物的制备方法
US16/628,239 US11091422B2 (en) 2017-09-07 2018-09-05 Method for removing monohydric alcohol from esterifica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ester composition comprising same
EP18854724.4A EP3680228B1 (en) 2017-09-07 2018-09-05 Method for removing primary alcohol in esterific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ester composition, including same
JP2019571319A JP6852924B2 (ja) 2017-09-07 2018-09-05 エステル化反応での1価アルコールの除去方法、及びこれを含むエステル組成物の製造方法
TW107131338A TWI749257B (zh) 2017-09-07 2018-09-06 酯化反應中之單元醇的移除方法及含該單元醇的酯組成物之製備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623A KR102306544B1 (ko) 2017-09-07 2017-09-07 에스터화 반응에서의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스터 조성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622A true KR20190027622A (ko) 2019-03-15
KR102306544B1 KR102306544B1 (ko) 2021-09-30

Family

ID=65635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623A KR102306544B1 (ko) 2017-09-07 2017-09-07 에스터화 반응에서의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스터 조성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91422B2 (ko)
EP (1) EP3680228B1 (ko)
JP (1) JP6852924B2 (ko)
KR (1) KR102306544B1 (ko)
CN (1) CN110799481B (ko)
TW (1) TWI749257B (ko)
WO (1) WO2019050280A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2705A1 (ko) 2019-07-04 2021-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에스터계 물질의 제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에스터계 물질의 제조 시스템
WO2021002700A1 (ko) 2019-07-04 2021-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에스터계 물질의 연속식 제조방법
WO2021002702A1 (ko) 2019-07-04 2021-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에스터계 물질의 제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에스터계 물질의 제조 시스템
WO2021002707A1 (ko) 2019-07-04 2021-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교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에스터계 조성물 제조 시스템
WO2021002708A1 (ko) 2019-07-04 2021-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에스터계 조성물의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4278A (ko) 2019-07-04 2021-0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에스터계 조성물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방법
WO2021060861A1 (ko) 2019-09-27 2021-04-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에스터계 물질의 제조방법
WO2021060746A1 (ko) 2019-09-25 2021-04-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에스터계 조성물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방법
WO2021060749A1 (ko) 2019-09-25 2021-04-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에스터계 조성물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방법
WO2022065851A1 (ko)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스터계 물질의 회분식 제조방법
KR20220041008A (ko)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스터계 물질의 회분식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7569A (ko) * 1996-03-06 1999-12-27 스타르크, 카르크 디히드록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잔류물의 후처리 방법
KR20050107449A (ko) * 2003-02-25 2005-11-11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알.엘 재순환 디올의 수소화 처리에 의한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20060090764A (ko) * 2005-02-10 2006-08-16 술저 켐테크 악티엔게젤샤프트 반응성 증류에 의한 카르복시산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KR20130051453A (ko) * 2010-04-19 2013-05-20 바스프 에스이 추출 증류에 의한 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정제
KR101354141B1 (ko) 2011-03-08 2014-01-27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나노브러쉬형 친환경 대체가소제 화합물 및 단일반응기 공정을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9054A (en) * 1969-01-06 1970-07-07 Colgate Palmolive Co Process for producing a particulate product
US4314947A (en) * 1978-12-21 1982-02-09 Basf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completing the esterification of carboxylic acids with alcohols
EP0342357A3 (de) * 1988-04-22 1990-03-28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Vorrichtung, Anwendung und Verfahren zum diskontinuierlichen Führen einer Gleichgewichtsreaktion
DE19604267A1 (de) * 1996-02-06 1997-08-07 Basf A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Alkylestern der (Meth)acrylsäure
JP3518254B2 (ja) * 1996-06-07 2004-04-12 宇部興産株式会社 炭酸ジアリールエステルの製造方法
DE19817113A1 (de) 1998-04-17 1999-10-21 Basf Ag Herstellung von Polytetrahydrofuran mit endständigen Hydroxylgruppen durch Wechsel von kontinuierlicher und disperser Phase
JP4519969B2 (ja) 1999-12-21 2010-08-04 ダイヤニトリックス株式会社 ジメチルアミノエチルアクリレートの製造方法
IT1318681B1 (it) 2000-08-11 2003-08-27 Enichem Spa Procedimento integrato per la preparazione di epossidi.
TW553930B (en) * 2001-08-14 2003-09-21 Chemax Internat Corp Method for recovering and producing C4-C6 dicarboxylate from alkaline waste solution generated in caprolactam preparation process
DE10155419B4 (de) 2001-11-12 2005-06-16 Inventa-Fischer Gmbh & Co. K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hochmolekularem Polyester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TWI324592B (en) 2002-11-28 2010-05-11 Sulzer Chemtech Ag A method for the esterification of a fatty acid
JP2010520944A (ja) 2007-03-13 2010-06-17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バッチエステル化
JP2009062289A (ja) * 2007-09-04 2009-03-26 Nippon Shokubai Co Ltd アクリル酸及び(メタ)アクリル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US8217191B2 (en) 2008-11-05 2012-07-10 Aiken John E Process for integrated co-production of hydrogen peroxide and epoxidized esters
JP6048810B2 (ja) 2012-11-13 2016-12-21 日油株式会社 エステルの製造方法
WO2014182083A1 (ko) 2013-05-08 2014-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스테르계 가소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에스테르계 가소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7569A (ko) * 1996-03-06 1999-12-27 스타르크, 카르크 디히드록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잔류물의 후처리 방법
KR20050107449A (ko) * 2003-02-25 2005-11-11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알.엘 재순환 디올의 수소화 처리에 의한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20060090764A (ko) * 2005-02-10 2006-08-16 술저 켐테크 악티엔게젤샤프트 반응성 증류에 의한 카르복시산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KR20130051453A (ko) * 2010-04-19 2013-05-20 바스프 에스이 추출 증류에 의한 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정제
KR101354141B1 (ko) 2011-03-08 2014-01-27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나노브러쉬형 친환경 대체가소제 화합물 및 단일반응기 공정을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ustafizur Rahman and Christopher S. Brazel "The plasticizer market: an assessment of traditional plasticizers and research trends to meet new challenges" Progress in Polymer Science 2004, 29, 1223-1248
N. R. Janjua et al. "Systemic Uptake of Diethyl Phthalate, Dibutyl Phthalate, and Butyl Paraben Following Whole-body Topical Application and Reproductive and Thyroid Hormone Levels in Humans"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2008, 42, 7522-7527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274A (ko) 2019-07-04 2021-0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에스터계 물질의 연속식 제조방법
WO2021002700A1 (ko) 2019-07-04 2021-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에스터계 물질의 연속식 제조방법
WO2021002702A1 (ko) 2019-07-04 2021-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에스터계 물질의 제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에스터계 물질의 제조 시스템
WO2021002707A1 (ko) 2019-07-04 2021-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교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에스터계 조성물 제조 시스템
WO2021002708A1 (ko) 2019-07-04 2021-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에스터계 조성물의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4278A (ko) 2019-07-04 2021-0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에스터계 조성물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방법
KR20210004275A (ko) 2019-07-04 2021-0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에스터계 물질의 제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에스터계 물질의 제조 시스템
WO2021002705A1 (ko) 2019-07-04 2021-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에스터계 물질의 제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에스터계 물질의 제조 시스템
US11794162B2 (en) 2019-07-04 2023-10-24 Lg Chem, Ltd. Heat exchange system and preparation system of diester-base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20210004276A (ko) 2019-07-04 2021-0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에스터계 물질의 제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에스터계 물질의 제조 시스템
KR20210004279A (ko) 2019-07-04 2021-0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에스터계 조성물의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4277A (ko) 2019-07-04 2021-0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교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에스터계 조성물 제조 시스템
WO2021060749A1 (ko) 2019-09-25 2021-04-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에스터계 조성물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방법
WO2021060746A1 (ko) 2019-09-25 2021-04-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에스터계 조성물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방법
KR20210036080A (ko) 2019-09-25 2021-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에스테르계 조성물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방법
KR20210036121A (ko) 2019-09-25 2021-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에스터계 조성물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방법
KR20210037568A (ko) 2019-09-27 2021-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에스터계 물질의 제조방법
WO2021060861A1 (ko) 2019-09-27 2021-04-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에스터계 물질의 제조방법
KR20220041008A (ko)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스터계 물질의 회분식 제조방법
WO2022065851A1 (ko)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스터계 물질의 회분식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52924B2 (ja) 2021-03-31
TW201920058A (zh) 2019-06-01
EP3680228A1 (en) 2020-07-15
TWI749257B (zh) 2021-12-11
US11091422B2 (en) 2021-08-17
CN110799481B (zh) 2021-12-28
KR102306544B1 (ko) 2021-09-30
WO2019050280A1 (ko) 2019-03-14
EP3680228A4 (en) 2021-01-06
US20210040026A1 (en) 2021-02-11
JP2020525450A (ja) 2020-08-27
CN110799481A (zh) 2020-02-14
EP3680228B1 (en)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7622A (ko) 에스터화 반응에서의 1가 알코올의 제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스터 조성물의 제조 방법
EP3511314B1 (en) System for producing est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ester composition, using same
EP1021500B1 (en) Method for preparation of purified glycerides, and products
MY122676A (en) A method of producing ethyl acetate and an equipment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WO2015036747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JP5272073B2 (ja) トコトリエノール組成物の製造方法
US2573900A (en) Treatment of glyceride oils
JPS63295698A (ja) α−リノレン酸の分離精製法
KR20210004279A (ko) 디에스터계 조성물의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4278A (ko) 디에스터계 조성물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방법
CN111148741B (zh) 制备环氧化脂肪酸酯混合物的方法
US11767491B2 (en) Eicosapentaenoic acid alkyl ester-contain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757372B2 (ja) トコフェロール類の分離濃縮用ビーズ及び分離濃縮方法
EP3555057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ocols and squalene
JP2007176801A (ja) トコトリエノール類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JPH04193303A (ja) アルコールの精製方法
JP6470069B2 (ja) 油脂結晶成長抑制剤、及び該剤を含有する油脂組成物
US2730484A (en) Vitamin concentration by destearinizing between successive extractions with a paracritical solvent
JPS5934191B2 (ja) 植物油脂よりトコフェロ−ル類及びトコトリエノ−ル類の濃縮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