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5011A - 기판 홀더 검사 장치, 이를 구비한 도금 장치, 및 외관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기판 홀더 검사 장치, 이를 구비한 도금 장치, 및 외관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5011A
KR20190025011A KR1020197003253A KR20197003253A KR20190025011A KR 20190025011 A KR20190025011 A KR 20190025011A KR 1020197003253 A KR1020197003253 A KR 1020197003253A KR 20197003253 A KR20197003253 A KR 20197003253A KR 20190025011 A KR20190025011 A KR 20190025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ubstrate holder
inspection apparatus
holding memb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5119B1 (ko
Inventor
요시타카 무카이야마
도시오 요코야마
구니오 오이시
마사아키 기무라
준페이 후지카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190025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0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lytic coating of wafers, e.g. semiconductors or solar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04Seal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05Contact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 H01L21/67051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using mainly spraying means, e.g. nozz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 H01L21/6705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with the semiconductor substrates being dipped in baths or vess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55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 H01L21/67207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comprising a chamber adapted to a particular process
    • H01L21/6723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comprising a chamber adapted to a particular process comprising at least one plating cha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2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a plurality of separate clamping members, e.g. clamp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3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edge profile or support profi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기판 홀더를 자동으로 검사하는 것이 가능한 검사 장치, 도금 장치, 및 외관 검사 장치가 제공된다. 기판에 접촉하여 기판으로의 전류 흐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전기 접점 및 기판의 표면을 밀봉하도록 구성된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기판을 유지하는 기판 홀더를 검사하는 검사 장치가 제공된다. 검사 장치는 기판 홀더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스토커가 설치되어 있는 스토커 설치부, 기판 홀더를 세정하도록 구성된 클리닝 디바이스, 기판 홀더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기판 부착/탈착 디바이스, 밀봉 부재와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의 외관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외관 검사 장치, 및 스토커, 클리닝 디바이스, 및 외관 검사 장치 사이에서 기판 홀더를 반송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판 홀더 검사 장치, 이를 구비한 도금 장치, 및 외관 검사 장치
본 발명은 기판 홀더 검사 장치, 이를 구비한 도금 장치, 및 외관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지의 장치에서, 기판 홀더에 의해 유지된 기판은 도금 용액을 포함하는 도금조(plating bath) 내로 수직으로 삽입되고 전해 도금이 제공된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3979847호 참조). 이러한 도금 장치에 사용된 기판 홀더는 기판의 표면을 밀봉하여 도금 용액이 그 내로 유동하지 않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기판 홀더는 내부 공간에, 전류가 기판으로 흐르게 하기 위해 기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전기 접점을 구비한다.
이러한 기판 홀더는 도금 처리에 비상하게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기판 홀더의 전기 접점이 기판의 표면에 적절하게 접촉할 때, 적절한 전류가 기판으로 흘러 기판 상에 균일하게 도금된 막을 형성한다. 기판 홀더에 의한 기판의 표면의 적절한 밀봉은 도금 용액이 내부 공간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도금 용액과 접촉할 때 전기 접점의 부식을 억제한다. 달리 말하면, 예를 들어, 전기 접점이 파손 또는 부식될 때, 전류가 기판으로 적절하게 흐를 수 없다. 게다가, 예를 들어, 기판 홀더의 밀봉 부재에 결함이 발생할 때, 도금 용액이 내부 공간에 유입한다. 따라서, 기판 홀더에 결함이 발생하는지 여부의 검사가 적절한 도금 처리의 연속을 위해 중요한 작업이다.
종래, 기판 홀더에 결함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는 확립된 정량적 방법에 의해 판정되지 않았고, 작업자에 의해 시각적으로 검사되어 왔다. 그러나, 작업자에 의한 기판 홀더의 결함의 이 시각적 검사는 몇몇 단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결함 판정의 기준은 작업자들 사이에 상이하고, 이는 잠재적으로 결함의 간과를 유도하고 폐기판(scrap substrate)을 생성한다. 더욱이, 검사는 시간을 소요하는 데, 이는 저하된 도금 생산량을 유도한다. 게다가, 기판 홀더의 구성요소(기판 가압부)는 기판 홀더의 결함을 검사하도록 제거될 필요가 있는 데, 이는 잠재적으로 구성요소의 혼란을 유발한다.
기판 홀더의 결함을 검사할 때, 작업자는 기판 홀더를 수납하는 조(bath)[스토커(stocker)]에 기판 홀더를 삽입 및 제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최근의 기판 홀더는 기판 크기의 증가와 함께 더 대형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기판 홀더는 예를 들어, 대략 8 kg의 중량이고, 따라서 작업자는 기판 홀더를 취급할 때 잠재적으로 상해를 입는다. 기판 홀더는 무겁기 때문에, 기판 홀더는 작업자가 스토커에 기판 홀더를 삽입 및 제거할 때 오취급에 기인하여 잠재적으로 스토커에 접촉한다. 기판 홀더는 전술된 바와 같이 도금 처리에 비상하게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판 홀더 상의 임의의 충격은 잠재적으로 도금 처리의 적절한 실행을 방해한다.
도금 장치의 생산성의 최근의 향상에 기인하여 증가하는 수의 기판 홀더가 도금 장치에 사용된다. 이에 따라, 상당히 많은 수의 기판 홀더에 검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판 홀더가 복수의 작업자에 의해 결함 검사를 받게 될 때, 검사시에 더 높은 확률로 오판정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된 과제를 해결하고 기판 홀더를 자동으로 검사하는 것이 가능한 검사 장치, 도금 장치, 및 외관 검사 장치를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서, 기판에 접촉하여 기판으로의 전류 흐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전기 접점 및 기판의 표면을 밀봉하도록 구성된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기판을 유지하는 기판 홀더를 검사하는 검사 장치가 제공된다. 검사 장치는 기판 홀더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스토커가 설치되어 있는 스토커 설치부, 기판 홀더를 세정(cleansing)하도록 구성된 클리닝 디바이스(cleaning device), 기판 홀더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기판 부착/탈착 디바이스, 밀봉 부재와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의 외관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외관 검사 장치, 및 스토커, 클리닝 디바이스, 및 외관 검사 장치 사이에 기판 홀더를 반송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이 양태에 따르면, 컨베이어는 스토커 설치부 내에 설치된 스토커로부터 기판 홀더를 취출하고 기판 부착/탈착 디바이스에 기판 홀더를 반송할 수 있다. 기판 부착/탈착 디바이스는 기판 홀더를 개폐할 수 있고, 외관 검사 장치는 검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클리닝 디바이스는 필요에 따라 기판 홀더를 세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 홀더의 검사 및 세정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외관 검사 장치는 밀봉 부재 또는 전기 접점의 외관을 검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관 검사 장치는 밀봉 부재와 전기 접점 중 임의의 하나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고, 따라서 취득된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무결함 밀봉 부재와 무결함 전기 접점 중 대응하는 하나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밀봉 부재와 전기 접점 중 임의의 하나의 외관에 결함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기판 홀더는 기판이 그 위에 배치되어 있는 표면을 포함하는 제1 유지 부재, 및 밀봉 부재 및 전기 접점을 포함하고 제1 유지 부재와 함께 기판을 탈착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2 유지 부재를 포함한다. 기판 부착/탈착 디바이스는 제2 유지 부재가 제1 유지 부재로부터 제거되는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외관 검사 장치는 밀봉 부재와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의 외관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측정 디바이스, 및 제1 유지 부재와 제2 유지 부재 사이의 위치로 측정 디바이스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아암 유닛을 포함한다.
이 양태에 따르면, 측정 디바이스는 제1 유지 부재와 제2 유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밀봉 부재와 전기 접점 중 임의의 하나의 외관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전기 접점 및 밀봉 부재는 기판에 접촉하기 때문에, 기판에 접촉하는 전기 접점 및 밀봉 부재의 부분들은 제1 유지 부재에 대향하는 제2 유지 부재의 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이 양태에 따르면, 기판에 접촉하는 전기 접점 및 밀봉 부재의 부분들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가 취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기판 홀더의 제2 유지 부재는 전기 접점에 접촉하여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 접점으로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중계 접점부(relay contact portion)를 포함하고, 외관 검사 장치는 중계 접점부의 외관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이 양태에 따르면, 외관 검사 장치는 중계 접점부의 외관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취득된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무결함 중계 접점부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중계 접점부의 외관에 결함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기판 홀더는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 접점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외부 접점부를 포함하고, 외관 검사 장치는 외부 접점부의 외관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이 양태에 따르면, 외관 검사 장치는 외부 접점부의 외관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취득된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무결함 외부 접점부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외부 접점부의 외관에 결함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검사 장치는 기판 부착/탈착 디바이스에 더미 기판(dummy substrate)을 반송하도록 구성된 기판 반송 디바이스, 및 기판 부착/탈착 디바이스가 더미 기판을 유지하는 기판 홀더를 받아들일 때 전기 접점과 더미 기판 사이의 도통을 확인하도록 구성된 도통 확인 디바이스를 더 포함한다.
이 양태에 따르면, 검사 장치는 전기 접점과 더미 기판 사이의 도통을 확인할 수 있다. 더미 기판은 그 표면 상에 형성된 도전막이 제품 기판의 것보다 더 정밀하게 제어된 두께를 갖는 기판이다. 달리 말하면, 더미 기판은 도전막이 원하는 두께를 갖도록 제어되는 캘리브레이션용 기판이다. 따라서, 더미 기판의 표면의 저항율이 도전막의 두께를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정밀하게 제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검사 장치는 기판 부착/탈착 디바이스에 더미 기판을 반송하도록 구성된 기판 반송 디바이스, 및 기판 부착/탈착 디바이스가 더미 기판을 유지하는 기판 홀더를 받아들일 때 밀봉 부재가 더미 기판의 표면을 적절하게 밀봉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도록 구성된 누설 체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 양태에 따르면, 검사 장치는 기판 홀더의 밀봉 부재가 더미 기판을 적절하게 밀봉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더미 기판은 그 표면 상에 형성된 막이 제품 기판의 것보다 더 정밀하게 제어된 두께를 갖는 기판이다. 달리 말하면, 더미 기판은 도전막이 원하는 두께를 갖도록 제어되는 캘리브레이션용 기판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검사 장치는 컨베이어, 기판 부착/탈착 디바이스, 외관 검사 장치, 및 클리닝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제어 디바이스는 외관 검사 장치에 의한 검사 전에 클리닝 디바이스가 기판 홀더를 세정하게 한다.
이 양태에 따르면, 검사 타겟으로서의 기판 홀더는 검사 장치가 세정된 기판 홀더를 검사하기 전에 1회 세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검사 장치는 컨베이어, 기판 부착/탈착 디바이스, 외관 검사 장치, 및 클리닝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제어 디바이스는 외관 검사 장치에 의한 검사가 기판 홀더가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정할 때 클리닝 디바이스가 기판 홀더를 세정하게 한다.
이 양태에 따르면, 검사 장치는 기판 홀더에 결함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될 때 기판 홀더를 자동으로 세정할 수 있다. 기판 홀더의 결함이 기판 홀더의 오염에 기인할 때, 기판 홀더는 세정에 의해 무결함으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외관 검사 장치에 의한 검사가 기판 홀더가 결함이 있고 클리닝 디바이스가 기판 홀더를 세정한 것으로 판정한 후에 외관 검사 장치가 기판 홀더를 재차 검사하게 한다.
이 양태에 따르면, 결함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되는 기판 홀더를 세정한 후에, 검사 장치는 외관 검사 장치에서 기판 홀더를 재차 검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 홀더가 세정에 의해 무결함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검사 장치는 기판 홀더를 사용함으로써 기판 상에 도금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도금 장치와 결합되고, 스토커는 도금 장치와 검사 장치의 스토커 설치부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이 양태에 따르면, 검사될 기판 홀더를 수납하는 스토커를 도금 장치로부터 검사 장치로 쉽게 이동하고, 검사된 기판 홀더를 수납하는 스토커를 검사 장치로부터 도금 장치로 쉽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검사될 기판 홀더를 수납하는 스토커를 검사 장치로 이동하고, 동시에 검사 장치 내에 배치되고 검사된 무결함 기판 홀더를 수납하는 스토커를 도금 장치로 이동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금 장치에 의해 사용 가능한 기판 홀더의 수는 임의의 기판 홀더가 검사 장치에 의해 검사되는 동안에 유지되어, 이에 의해 도금 장치의 생산성의 저하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기판 홀더를 사용하여 기판 상에 도금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도금 장치가 제공된다. 도금 장치는 전술된 검사 장치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서, 기판에 접촉하여 기판으로의 전류 흐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전기 접점 및 기판의 표면을 밀봉하도록 구성된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기판을 유지하는 기판 홀더의 외관을 검사하는 외관 검사 장치가 제공된다. 외관 검사 장치는 밀봉 부재와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의 외관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기판 홀더의 외관이 무결함인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양태에 따르면, 기판 홀더의 밀봉 부재 또는 전기 접점의 외관이 자동으로 검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봉 부재와 전기 접점 중 임의의 하나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가 취득될 수 있고, 따라서 취득된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예를 들어 무결함 밀봉 부재와 무결함 전기 접점 중 대응하는 하나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밀봉 부재 또는 전기 접점의 외관에 결함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검사 장치의 개략 전체 배치도이고;
도 2는 기판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외부 접점부의 확대도이고;
도 4는 기판 홀더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픽싱 유닛(fixing unit)의 개략 측면도이고;
도 6은 기판 홀더의 외관을 검사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외관 검사 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개략 측단면도이고;
도 7은 기판 홀더의 외관을 검사하도록 구성된 다른 예시적인 외관 검사 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개략 측단면도이고;
도 8은 클리닝 디바이스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9는 클리닝 디바이스 내에 포함된 기판 홀더 세정조(cleansing bath)를 도시하고 있는 개략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클리닝 디바이스 내에 포함된 기판 홀더 건조조(drying bath)를 도시하고 있는 개략 측단면도이고;
도 11a는 기판 반송 기구의 개략 측면도이고;
도 11b는 기판 반송 기구의 개략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제어 디바이스 내에 포함된 표시 유닛 상에 표시된 예시적인 메뉴 스크린을 도시하고 있고;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검사 장치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검사 방법을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이고;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검사 장치를 사용하는 다른 예시적인 검사 방법을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이고;
도 1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검사 장치의 개략 전체 배치도이다.
제1 실시예
이하에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후술되는 도면에서, 임의의 동일한 또는 대응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그 중복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검사 장치의 개략 전체 배치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검사 장치(20)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홀더(30)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스토커(22), 기판 홀더(30)를 세정하기 위한 클리닝 디바이스(50), 및 기판 홀더(30)를 개폐하고 기판 홀더(30)에 대해 기판(Wf)을 장착 및 탈착하도록 구성된 픽싱 유닛(60)(예시적인 기판 장착/탈착 디바이스에 대응함)을 포함한다. 스토커(22), 클리닝 디바이스(50), 및 픽싱 유닛(60)은 이 순서로 검사 장치(20) 내에 배치된다. 기판(Wf)은 예를 들어 검사를 위한 더미 기판일 수도 있다. 더미 기판은 그 표면 상에 형성된 도전막이 제품 기판의 것보다 더 정밀하게 제어된 두께를 갖는 기판이다. 달리 말하면, 더미 기판은 도전막이 원하는 두께를 갖도록 제어되는 캘리브레이션용 기판이다.
검사 장치(20)는 스토커(22), 클리닝 디바이스(50), 및 픽싱 유닛(60) 사이에 기판 홀더(30)를 반송하도록 구성된 운반기(transporter)(24)(예시적인 컨베이어에 대응함) 운반기(24)는 스토커(22), 클리닝 디바이스(50), 및 픽싱 유닛(60)의 측방에 위치된다.
외관 검사 장치(80) 및 기판 반송 디바이스(70)는 픽싱 유닛(60) 부근에 배치된다. 외관 검사 장치(80)는 픽싱 유닛(60) 상에 배치된 기판 홀더(30)의 외관이 무결함인지 여부를 검사하도록 구성된다. 기판 반송 디바이스(70)는 기판 홀더(30)로의 도통 확인용 기판(Wf)을 반송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픽싱 유닛(60)은 누설 체크 디바이스 및 도통 확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누설 체크 디바이스는 픽싱 유닛(60) 상에 배치된 기판 홀더(30)의 밀봉 부재(도 4 참조)가 기판의 표면을 적절하게 밀봉하는지 여부[달리 말하면, 기판 홀더(30)가, 기판을 유지하는 동안 기판 홀더(30)가 용액 내에 침지될 때 누설이 밀봉 부재를 통해 발생하지 않는 무결함 상태에 있는지 여부] 도통 확인 디바이스는 전기 접점(도 4 참조)과 기판(Wf) 사이의 도통을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누설 체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5782398호에 개시된 누설 검사 기구 또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15-63761호의 공보에 개시된 누설 검사 기구일 수도 있다. 이들 문헌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다. 도통 확인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4067275호에 개시된 도통 확인 기구일 수도 있다. 이 문헌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다.
스토커(22)는 검사 장치(20)의 내외로 이동 가능하다. 스토커(22)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5642517호에 개시된 캐스터(caster)를 구비한 왜건(wagon)일 수도 있다. 이 문헌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다. 검사 장치(20)는 스토커(22)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위치 센서(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이 구성은 검사 장치(20) 내로 반송된 스토커(22)가 정상 위치에 있는지 여부의 검출을 허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커 설치부(22a)는 스토커(22)가 검사 장치(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영역을 칭한다. 스토커 설치부(22a)는 단순히 스토커(22)의 설치를 위해 확보된 영역 또는 예를 들어, 스토커(22)를 수납하기 위한 프레임 부재에 의해 형성된 공간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커(22)는 도금 장치(도시 생략)와 검사 장치(20)의 스토커 설치부(22a) 사이에서 왕복하도록 구성된다. 도금 장치 내에 배치될 때, 스토커(22)는 도금 장치에 사용된 기판 홀더(30)를 수납한다. 기판 홀더(30)를 수납하는 스토커(22)는 검사 장치(20)에 의한 기판 홀더(30)의 상태의 검사를 위해 검사 장치(20) 내로 반송된다.
운반기(24)는 기판 홀더(30)를 파지하도록 구성된 아암 유닛(26)을 포함한다. 운반기(24)는 스토커(22)로부터 기판 홀더(30)를 취출하고, 클리닝 디바이스(50) 또는 픽싱 유닛(60)으로 기판 홀더(30)를 반송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 기판 홀더(30)는 스토커(22) 내에 수직으로 수납된다. 이 구성에 의해, 운반기(24)는 기판 홀더(30)를 파지하는 아암 유닛(26)을 대략 90°만큼 회전시켜 기판 홀더(30)를 수평으로 파지하고 기판 홀더(30)를 픽싱 유닛(60) 내에 배치한다.
검사 장치(20)는 운반기(24), 픽싱 유닛(60), 외관 검사 장치(80), 누설 체크 디바이스, 도통 확인 디바이스, 및 클리닝 디바이스(50)를 통신을 통해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디바이스(90)를 더 포함한다. 제어 디바이스(90)는 디스플레이(도시 생략)와 같은 표시 유닛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검사 장치(20)의 설정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사 장치(20)에서, 픽싱 유닛(60)은 클리닝 디바이스(50), 외관 검사 장치(80), 및 기판 반송 디바이스(70)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운반기(24)는 운반기(24)가 픽싱 유닛(60)과 스토커(22) 사이에 기판 홀더(30)를 반송할 수 있는 이러한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사 장치(20)의 유닛들은 이 방식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일련의 검사가 상당히 단시간에 기판 홀더(30) 상에서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기판 홀더(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판 홀더(30)는 예를 들어 염화비닐로 제조되고 직사각형 플레이트로 성형된 제1 유지 부재(31), 및 제1 유지 부재(31)에 탈착식으로 제공된 제2 유지 부재(32)를 포함한다. 기판(f)이 배치되어 있는 배치면(33)이 기판 홀더(30)의 제1 유지 부재(31)의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제공된다. 내향 돌출부를 각각 구비하고 역 L 형상을 갖는 복수의 클램퍼(34)가 배치면(33)의 원주를 따라 제1 유지 부재(31)의 배치면(33)의 외부에 등간격으로 제공된다.
한 쌍의 실질적으로 T형 핸드(35)가 기판 홀더(30)의 제1 유지 부재(31)의 단부에 결합된다. 각각의 핸드(35)는 기판 홀더(30)가 반송되거나 현수될 때 지지부로서 역할을 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스토커(22)에서, 핸드(35)가 스토커(22)의 주위벽의 상부면 상에 후크 결합될 때, 기판 홀더(30)는 수직으로 현수된다. 이와 같이 현수된 기판 홀더(30)의 핸드(35)는, 기판 홀더(30)가 반송될 때 운반기(24)의 아암 유닛(26)에 의해 유지된다.
외부 접점부(38)가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핸드(35) 중 하나에 제공된다. 외부 접점부(38)는 복수의 와이어를 통해 배치면(33)의 원주 상에 제공된 복수의 중계 접점부(도 4 참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외부 접점부(38)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접점부(38a)를 포함한다.
제2 유지 부재(32)는 링 밀봉 홀더(36)를 포함한다. 밀봉 홀더(36)를 가압에 의해 제1 유지 부재(31)에 고정하기 위한 가압링(37)이 제2 유지 부재(32)의 밀봉 홀더(36)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가압링(37)은 그 외주부에 복수의 외향 돌출부(37a)를 포함한다. 각각의 돌출부(37a)의 상부면 및 각각의 클램퍼(34)의 내향 돌출부의 하부면은 서로 대향하는 회전 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면(tapered surface)을 포함한다.
기판을 유지하기 위해, 먼저, 기판(Wf)은 제2 유지 부재(32)가 제1 유지 부재(31)로부터 제거되는 동안 제1 유지 부재(31)의 배치면(33) 상에 배치되고, 이어서 제2 유지 부재(32)는 제1 유지 부재(31)에 부착된다. 이어서, 가압링(37)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가압링(37)의 돌출부(37a)를 클램퍼(34)의 내향 돌출부 내로(아래로) 슬립한다. 이에 따라, 제1 유지 부재(31) 및 제2 유지 부재(32)는 가압링(37) 및 클램퍼(34)에 제공된 테이퍼면들을 통해 서로 클램핑되어 로킹되고, 따라서 기판(Wf)이 유지된다. 기판(Wf)의 유지를 해제하기 위해 제1 유지 부재(31)와 제2 유지 부재(32)가 서로 로킹되어 있는 동안 가압링(37)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가압링(37)의 돌출부(37a)는 역 L형 클램퍼(34)로부터 제거되어 기판(Wf)의 유지를 해제한다.
도 4는 기판 홀더(30)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유지 부재(32)는 기판 밀봉 부재(39)(예시적인 밀봉 부재에 대응함), 및 기판 밀봉 부재(39)를 밀봉 홀더(36)에 고정하는 제1 고정링(40a)을 포함한다. 제1 고정링(40a)은 나사와 같은 체결구(41a)를 통해 밀봉 홀더(36)에 부착된다. 제2 유지 부재(32)는 홀더 밀봉 부재(42), 및 홀더 밀봉 부재(42)를 밀봉 홀더(36)에 고정하는 제2 고정링(40b)을 포함한다. 제2 고정링(40b)은 나사와 같은 체결구(41b)를 통해 밀봉 홀더(36)에 부착된다.
밀봉 홀더(36)는 그 외주부에 단차부를 구비한다. 가압링(37)은 스페이서(43)를 통해 단차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장착된 가압링(37)은 제1 고정링(40a)의 외주부에 의해 탈출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2 유지 부재(32)가 제1 유지 부재(31)에 로킹될 때, 기판 밀봉 부재(39)는 가압에 의해 기판(Wf)의 표면의 외주부와 접촉하게 된다. 기판 밀봉 부재(39)는 기판(Wf)의 표면의 외주부와 제2 유지 부재(32)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도록 기판(Wf)에 대해 균일하게 가압된다. 유사하게, 제2 유지 부재(32)가 제1 유지 부재(31)에 로킹될 때, 홀더 밀봉 부재(42)는 가압에 의해 제1 유지 부재(31)의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홀더 밀봉 부재(42)는 제1 유지 부재(31)와 제2 유지 부재(32)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도록 제1 유지 부재(31)에 대해 균일하게 가압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유지 부재(32)는 기판(Wf)의 주연부와 접촉하여 기판(Wf)으로의 전류 흐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전기 접점(44)을 포함한다. 복수의 전기 접점(44)이 밀봉 홀더(36)의 내주부를 따라 제공된다. 제1 유지 부재(31)는, 제2 유지 부재(32)가 제1 유지 부재(31)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 전기 접점(44)에 접촉하여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 접점(44)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중계 접점부(49)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중계 접점부(49)가 배치면(33)의 원주를 따라 제공된다. 중계 접점부(49)는 외부 접점부(38)와 도통한다. 이에 따라,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류는 외부 접점부(38), 중계 접점부(49), 및 전기 접점(44)을 통해 기판(Wf)의 표면에 공급된다.
이하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픽싱 유닛(6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픽싱 유닛(60)의 개략 측면도이다. 픽싱 유닛(60)은 제1 유지 부재(31)가 배치되어 있는 기부(61), 프레임(62), 제2 유지 부재(32)를 유지하는 동안 제1 유지 부재(31)에 대해 제2 유지 부재(32)를 부착 및 탈착하도록 구성된 아암(63), 및 아암(63)을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64)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64)는 프레임(62)에 고정되고 아암(63)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아암(63)을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운반기(24)에 의해 픽싱 유닛(60)으로 반송될 때, 기판 홀더(30)는 기부(61) 상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액추에이터(64)는 아암(63)을 하강시키고, 아암(63)은 제2 유지 부재(32)를 유지한다. 액추에이터(64)는 제2 유지 부재(32)를 파지하는 아암(63)을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유지 부재(32)와 제1 유지 부재(31) 사이의 로킹을 해제한다. 그 후에,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64)는 제2 유지 부재(32)가 언로킹되고 제거되어 있는 상태로 아암(63)을 유지한다.
픽싱 유닛(6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외관 검사 장치(80)가 기판 홀더(30)의 외관을 검사할 때 제1 유지 부재(31)로부터 제2 유지 부재(32)를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픽싱 유닛(60)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유지 부재(32)의 기판 밀봉 부재(39), 홀더 밀봉 부재(42), 및 전기 접점(44)이 제1 유지 부재(31)의 중계 접점부(49)에 지향하는 동안 제2 유지 부재(32)가 제1 유지 부재(31)로부터 제거되는 이러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유지 부재(32)가 픽싱 유닛(60)에 의해 제1 유지 부재(31)로부터 제거되는 동안, 외관 검사 장치(80)는 측정 디바이스(81)를 제1 유지 부재(31)와 제2 유지 부재(32) 사이에 배치한다. 외관 검사 장치(80)는 측정 장치(81)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동 아암(8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외관 검사 장치(80)는 픽싱 유닛(60)의 측면에 제공된 개구(도시 생략)를 통해 픽싱 유닛(60) 내로 이동 아암(82)을 삽입하기 위해 픽싱 유닛(60)에 가깝게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외관 검사 장치(80)는 이동 아암(82)을 지지하는 샤프트(도시 생략), 및 샤프트를 지지하는 본체(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도 있다. 측정 디바이스(81)에 의해 측정된 신호 정보의 데이터는 측정 디바이스(81)의 통신 유닛(도시 생략)으로부터 신호 수신 유닛을 포함하는 제어 유닛(도시 생략)으로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송신된다.
도 6은 기판 홀더(30)의 외관을 검사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외관 검사 장치(80)를 도시하고 있는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7은 기판 홀더(30)의 외관을 검사하도록 구성된 다른 예시적인 외관 검사 장치(80)를 도시하고 있는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외관 검사 장치(80)는 측정 디바이스(81) 및 이동 아암(82)의 선단부 부근의 미러(83)를 포함한다. 측정 디바이스(81)는 기판 홀더(30)의 외관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카메라와 같은 화상 캡처 장치, 또는 기판 홀더(30)의 외관의 형상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형상 측정 디바이스이다. 측정 디바이스(81)가 형상 측정 디바이스일 때, 측정 디바이스(81)는 형상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해 블루 레이저와 같은 레이저로 타겟을 조사한다.
측정 디바이스(81)는 미러(83)를 통해 제2 유지 부재(32)의 기판 밀봉 부재(39), 홀더 밀봉 부재(42), 및 전기 접점(44)의 외관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동 아암(82)은 구멍(84)을 포함한다. 측정 디바이스(81)는 미러(83)를 회전시킴으로써 구멍(84)을 통해 제1 유지 부재(31)의 중계 접점부(49)(도 4 참조)의 외관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또한 취득할 수 있다. 측정 디바이스(81)는 또한 이동 아암(82)을 이동하고 미러(83)를 회전시킴으로써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제1 유지 부재(31)의 외부 접점부(38)의 외관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측정 디바이스(81) 자체가 이동 가능하거나 회전 가능할 때, 미러(83)는 제공될 필요가 없다.
외관 검사 장치(80)는 제어 유닛 및 메모리(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측정 디바이스(81)에 의해 측정된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는 제어 유닛에 송신된다. 제어 유닛은 측정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조건 설정 스크린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유닛(도시 생략), 측정 조건이 입력되는 입력 유닛(도시 생략),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기 위한 판독 유닛(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메모리는 무결함 기판 홀더(30)의 기판 밀봉 부재(39), 홀더 밀봉 부재(42), 전기 접점(44), 중계 접점부(49), 및 외부 접점부(38)의 외관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미리 저장한다. 메모리는 외관 검사 장치(80)가 일련의 외관 검사 처리를 실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또한 기록한다. 제어 유닛은 측정 디바이스(81)에 의해 측정된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메모리 내에 저장된 대응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기판 홀더(30)의 임의의 결함을 판정하기 위해 판독 유닛을 통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은, 예를 들어 전기 접점(44), 중계 접점부(49), 및 외부 접점부(38)에 굽힘, 파손, 또는 부식이 발생하였는지 여부, 기판 밀봉 부재(39) 및 홀더 밀봉 부재(42)에 임의의 흠이 발생하였는지 여부, 및 도금 용액이 기판 홀더(30)의 내부 공간에 유입하였는지(누설됨) 여부를 판정한다. 기판 홀더(30)에 대한 판정의 결과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제어 디바이스(90)에 송신된다. 메모리 내에 포함된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CD-ROM, DVD, 하드 디스크, 컴팩트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플렉시블 디스크, 또는 메모리 카드일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외관 검사 장치(80)에서, 이동 아암(82)은 XY 방향(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해, 이동 아암(82)에 부착된 측정 디바이스(81)는 제2 유지 부재(32)의 기판 밀봉 부재(39), 홀더 밀봉 부재(42), 및 전기 접점(44), 및 제1 유지 부재(31)의 중계 접점부(49)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다른 예시적인 외관 검사 장치(80)는 측정 디바이스(81)의 이동 기구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외관 검사 장치(80)와는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외관 검사 장치(80)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회전 샤프트(86)가 이동 아암(82)의 일 단부에 제공된다. 회전 샤프트(86)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회전 아암(85)을 구비한다. 측정 디바이스(81) 및 미러(83)는 회전 아암(85)의 선단부 부근에 제공된다. 회전 아암(85)은 회전 샤프트(86) 둘레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회전 아암(85)에 부착된 측정 디바이스(81)는 제2 유지 부재(32)의 기판 밀봉 부재(39), 홀더 밀봉 부재(42), 및 전기 접점(44), 및 제1 유지 부재(31)의 중계 접점부(49)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픽싱 유닛(60)은 분리를 통해 제1 유지 부재(31)에 대해 제2 유지 부재(32)를 부착/탈착함으로써 기판 홀더(30)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판 홀더(30)의 제1 유지 부재(31) 및 제2 유지 부재(32)가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될 때, 픽싱 유닛(60)은 제1 유지 부재(31)에 대한 제2 유지 부재(32)의 개방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외관 검사 장치(80)는 제1 유지 부재(31)가 픽싱 유닛(60)에 의해 개방되어 있는 동안 노출되는 기판 밀봉 부재(39), 홀더 밀봉 부재(42), 및 전기 접점(44)의 외관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이하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클리닝 디바이스(50)를 설명한다. 도 8은 클리닝 디바이스(5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리닝 디바이스(50)는 세정 챔버(151), 세정 챔버(151) 내에 배치된 기판 홀더 세정조(160), 건조 챔버(152), 및 건조 챔버(152) 내에 배치된 기판 홀더 건조조(161)를 포함한다. 클리닝 디바이스(50)는 세정 챔버(151) 및 건조 챔버(152)를 가로질러 배치된 기판 홀더 반송 유닛(153)을 더 포함한다. 기판 홀더 반송 유닛(153)은 세정 챔버(151) 내에 기판 홀더(30)를 파지하여 반송하도록 구성된 제1 핸드(153a), 및 건조 챔버(152) 내에 기판 홀더(30)를 파지하여 반송하도록 구성된 제2 핸드(153b)를 포함한다. 기판 홀더 반송 유닛(153)은 기판 홀더 세정조(160)와 기판 홀더 건조조(161) 사이에 기판 홀더(30)를 반송하도록 구성된다.
클리닝 디바이스(50)는 세정 챔버(151)를 외부로부터 구획하는(partitions) 제1 개폐 유닛(154), 세정 챔버(151)를 건조 챔버(152)로부터 구획하는 제2 개폐 유닛(155), 및 건조 챔버(152)를 외부로부터 구획하는 제3 개폐 유닛(156)을 더 포함한다. 제1 개폐 유닛(154), 제2 개폐 유닛(155), 및 제3 개폐 유닛(156)은 예를 들어, 셔터 기구를 각각 포함하고, 자유 자재로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클리닝 디바이스(50)는 세정에 사용된 세정액을, 기판 홀더 세정조(160) 및 세정 챔버(151)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배수 파이프(157)를 포함한다.
도 9는 클리닝 디바이스(50) 내에 포함된 기판 홀더 세정조(160)를 도시하고 있는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클리닝 디바이스(50) 내에 포함된 기판 홀더 건조조(161)를 도시하고 있는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판 홀더 세정조(160)는 기판 홀더(30)를 수납하는 세정조 본체(51), 순수(pure water)와 같은 세정액을 기판 홀더(30)에 공급하기 위한 세정액 공급 라인(52), 및 세정액을 기판 홀더(30) 상에 분사하기 위한 한 쌍의 노즐(54a, 54b)을 포함한다. 노즐(54a, 54b)은 기판 홀더(30)의 양면 상에 세정액을 분사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면서 세정조 본체(51)에 제공된다. 세정액 공급 라인(52)은 2개의 노즐(54a, 54b)에 세정액을 공급하도록 분기하고, 각각의 분기된 라인 상에 밸브(52a, 52b)를 포함한다.
기판 홀더(30)를 세정하기 위해, 먼저, 기판 홀더(30)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기판 홀더 반송 유닛(153)에 의해 세정조 본체(51) 내로 수납된다. 이어서, 기판 홀더(30)는 세정액 공급 라인(52), 밸브(52a, 52b), 및 노즐(54a, 54b)을 통해 기판 홀더(30) 상에 세정액을 분사함으로써 세정된다. 기판 홀더(30) 상에 분사된 세정액은 세정조 본체(51)에 제공된 배출 포트(53)를 통해 배출된다. 세정된 기판 홀더(30)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기판 홀더 건조조(161) 내에서 건조된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판 홀더 건조조(161)는 기판 홀더(30)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건조조 본체(55), 기판 홀더(30)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 공급 라인(56), 및 기판 홀더(30) 상에 열풍을 송풍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노즐(57a, 57b)을 포함한다. 건조조 본체(55)는 수납된 기판 홀더(30) 주위를 커버하는 커버(55a)를 포함한다. 이 구성은 기판 홀더(30) 상에 송풍된 열풍의 확산을 감소시켜, 이에 의해 기판 홀더(30)를 효율적으로 건조한다. 노즐(57a, 57b)은 기판 홀더(30)의 양면 상에 열풍을 송풍하도록 서로 대향하면서 건조조 본체(55)에 제공된다. 열풍 공급 라인(56)은 2개의 노즐(57a, 57b)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분기되고, 분기된 라인 상에 밸브(56a, 56b)를 포함한다. 열풍은 예를 들어, 건조된 공기일 수도 있다.
기판 홀더(30)를 건조하기 위해, 먼저, 세정된 기판 홀더(30)가 건조조 본체(55) 내로 수납된다. 이어서, 기판 홀더(30)는 열풍 공급 라인(56), 밸브(56a, 56b), 및 노즐(57a, 57b)을 통해 기판 홀더(30) 상에 열풍을 송풍함으로써 건조된다. 기판 홀더(30) 상에 낙하된 세정액은 건조조 본체(55)에 제공된 배출 포트(58)를 통해 배출된다.
클리닝 디바이스(50)는 기판을 유지하지 않는 기판 홀더(30)를 세정하고 건조한다. 이 상태에서, 간극이 제1 유지 부재(31)와 제2 유지 부재(32) 사이에 형성된다. 간극을 통해, 세정액 및 열풍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기판 홀더(30)의 기판 밀봉 부재(39), 홀더 밀봉 부재(42), 전기 접점(44), 및 중계 접점부(49)에 도달한다. 이에 따라, 이들 밀봉 부재 및 접점은 세정되고 건조된다.
이하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기판 반송 디바이스(70)를 설명한다. 도 11a는 기판 반송 디바이스(70)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1b는 기판 반송 디바이스(70)의 개략 평면도이다. 예시의 목적으로, 도 11a는 기판 홀더(3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판 반송 디바이스(70)는 기판(Wf)을 흡착하도록 구성된 흡착 유닛(73), 흡착 유닛(73)과 결합된 아암 유닛(72), 및 아암 유닛(72)을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전기 액추에이터(71)를 포함한다. 흡착 유닛(73)은 예를 들어, 진공 흡착을 통해 기판(Wf)을 유지한다.
기판 반송 디바이스(70)에 의해 기판 홀더(30)에 기판(Wf)을 이송하기 위해, 먼저, 기판 홀더(30)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픽싱 유닛(60)의 기부(61) 상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이어서, 흡착 유닛(73)은 기판 배치 테이블(74) 상에 배치되는 기판(Wf)을 유지하고, 전기 액추에이터(71)는 기판(Wf)을 유지하는 흡착 유닛(73)을 이동시킨다. 기판 반송 디바이스(70)는 기판(Wf)이 기판 홀더(30)의 제1 유지 부재(31)의 배치면(33) 상에 위치되어 있는 동안 흡착 유닛(73)에 의한 흡착을 해제함으로써 배치면(33) 상에 기판(Wf)을 배치한다. 기판(Wf)은 도통 확인 디바이스(도시 생략)에 의해 기판 홀더(30)와 기판(Wf) 사이의 도통을 확인하고 누설 체크 디바이스(도시 생략)에 의해 기판 홀더(30)로부터의 누설을 체크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기판(Wf)은 도통 확인 및 누설 체크를 위한 더미 기판일 수도 있다.
도통 확인 디바이스(도시 생략)는 픽싱 유닛(60)이 제2 유지 부재(32)를 제1 유지 부재(31)에 로킹하고 기판 홀더(30)가 기판(Wf)을 유지하는 동안 기판 홀더(30)와 기판(Wf) 사이의 도통을 확인한다. 이어서, 누설 체크 디바이스(도시 생략)는 기판(Wf)을 유지하는 기판 홀더(30)의 기판 밀봉 부재(39)와 홀더 밀봉 부재(42)를 통한 임의의 누설을 체크한다. 도통 확인 및 누설 체크 후에, 픽싱 유닛(60)은 제1 유지 부재(31)로부터 제2 유지 부재(32)를 제거하고, 기판 반송 디바이스(70)는 기판(Wf)을 흡착하고 기판(Wf)을 기판 배치 테이블(74) 상에 복귀시킨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통 확인 디바이스가 기판 홀더(30)와 기판(Wf) 사이의 도통을 확인할 때 또는 누설 체크 디바이스가 기판 홀더(30)로부터 임의의 누설을 체크할 때, 기판 반송 디바이스(70)는 기판(Wf)을 기판 홀더(30)에 반송한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제어 디바이스(90) 내에 포함된 표시 유닛 상에 표시된 예시적인 메뉴 스크린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크린은 "세정", "결함 검사", 및 "정상 검사"의 3개의 항목을 표시한다. "클리닝"은 "세정"에 대응하는 구체적 항목으로서 표시된다. 이 항목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클리닝 디바이스(50)에서의 세정 및 건조를 의미한다. "접점", "누설" 및 "밀봉"이 "결함 검사"에 대응하는 구체적 항목으로서 표시된다. "접점"은 외관 검사 장치(80)에 의한 전기 접점(44), 중계 접점부(49), 및 외부 접점부(38)의 외관 검사를 의미한다. "누설"은 도금 용액이 기판 홀더(30)의 내부 공간에 유입하였는지(누설됨) 여부에 대한 외관 검사 장치(80)에 의한 외관 검사를 의미한다. "밀봉"은 외관 검사 장치(80)에 의한 기판 밀봉 부재(39) 및 홀더 밀봉 부재(42)의 외관 검사를 의미한다. "도통 확인" 및 "누설 체크"는 "정상 검사"에 대응하는 구체적 항목으로서 표시된다. "도통 확인"은 도통 확인 디바이스에 의한 검사를 의미하고, "누설 체크"는 누설 체크 디바이스에 의한 검사를 의미한다.
"유효(Enabled)" 및 "무효(disabled)"가 각각의 검사 항목에 대해 스크린의 우측에 표시된다. 제어 디바이스(90)의 표시 유닛이 터치 패널일 때, 작업자는 표시 유닛을 터치하여 검사 항목이 "유효"인, 즉 "수행되는"지, 또는 "무효"인, 즉 "수행되지 않는지"를 선택한다. 대안적으로, 표시 유닛 이외의 조작 유닛이 작업자에 의한 "유효"와 "무효" 사이의 선택을 허용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술된 검사 장치(20)는 독립적인 장치이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검사 장치(20)는 기판 홀더(30)를 사용함으로써 기판(Wf) 상에 도금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도금 장치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도금 용액과 같은 처리 용액이 그로부터 배출되어 있는 도금 장치에 제공된 도금조와 같은 각각의 처리조가 검사 장치(20)의 스토커(22)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달리 말하면, 기판 홀더(30)를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선택적 케이스가 스토커(22)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검사 장치(20)를 사용하는 검사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검사 장치(20)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검사 방법을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이다. 먼저, 검사 장치(20)를 통해 기판 홀더(30)를 검사하기 위해, 검사될 기판 홀더(30)를 수납하는 스토커(22)가 검사 장치(20) 내로 반송된다(단계 S101). 이어서, 검사 장치(20)의 위치 센서(도시 생략)가 스토커(22)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스토커 설치부(22a)와 같은 정상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단계 S102). 스토커(22)가 정상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단계 S102에서 예),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메뉴 스크린은 제어 디바이스(90)의 표시 유닛 상에 표시된다. 작업자가 메뉴 스크린 상의 검사 항목에 대한 "유효" 또는 "무효"를 선택하고(단계 S103) 제어 디바이스(90)에 제공된 검사 시작 스위치(도시 생략)를 온으로 한다(단계 S104).
일단 검사가 시작되면, 먼저, 제어 디바이스(90)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메뉴 스크린 상의 항목 "클리닝"이 유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05). "클리닝"이 유효인 것으로 판정되면(단계 S105에서 예), 운반기(24)는 스토커(22)로부터 기판 홀더(30)를 취출하고 기판 홀더(30)를 클리닝 디바이스(50)에 반송한다. 클리닝 디바이스(50)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기판 홀더 세정조(160)에서 기판 홀더(30)를 세정하고(단계 S106),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기판 홀더 건조조(161)에서 기판 홀더(30)를 건조한다. "클리닝"이 무효인 것으로 판정되면(단계 S105에서 아니오), 단계 S106 및 S107은 스킵된다.
이어서, 제어 디바이스(90)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메뉴 스크린 상의 항목 "접점"이 유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08). "접점"이 유효인 것으로 판정되면(단계 S108에서 예), 외관 검사 장치(80)는 접점 결함 검사를 수행한다(단계 S109). 구체적으로, 먼저, 운반기(24)는 기판 홀더(30)를 픽싱 유닛(60)으로 반송한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픽싱 유닛(60)은 제1 유지 부재(31)로부터 제2 유지 부재(32)를 제거하고, 외관 검사 장치(80)는 기판 홀더(30)의 전기 접점(44), 중계 접점부(49), 및 외부 접점부(38)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취득은 전기 접점(44), 중계 접점부(49), 및 외부 접점부(38) 중 적어도 하나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 상에 수행될 수도 있다. 외관 검사 장치(80)는 취득된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메모리 내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와 비교하여 예를 들어, 전기 접점(44), 중계 접점부(49), 및 외부 접점부(38)에 굽힘, 파손, 또는 부식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의 결과는 제어 디바이스(90)에 송신된다. "접점"이 무효인 것으로 판정되면(단계 S108에서 아니오), 단계 S109는 스킵된다.
이어서, 제어 디바이스(90)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메뉴 스크린 상의 항목 "누설"이 유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10). "누설"이 유효인 것으로 판정되면(단계 S110에서 예), 외관 검사 장치(80)는 누설 결함 검사를 수행한다(단계 S111).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픽싱 유닛(60)은 제1 유지 부재(31)로부터 제2 유지 부재(32)를 제거하고, 외관 검사 장치(80)는 기판 홀더(30)의 내부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외관 검사 장치(80)는 취득된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메모리 내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와 비교하여 도금 용액이 내부 공간에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금 용액이 내부 공간에 유입되었는지 여부는 예를 들어, 취득된 화상 데이터 내의 도금 용액의 컬러에 기초하여 판정될 수 있다. 판정의 결과는 제어 디바이스(90)에 송신된다. "누설"이 무효인 것으로 판정되면(단계 S110에서 아니오), 단계 S111은 스킵된다.
이어서, 제어 디바이스(90)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메뉴 스크린 상의 항목 "밀봉"이 유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12). "밀봉"이 유효인 것으로 판정되면(단계 S112에서 예), 외관 검사 장치(80)는 밀봉 결함 검사를 수행한다(단계 S113).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픽싱 유닛(60)은 제1 유지 부재(31)로부터 제2 유지 부재(32)를 제거하고, 외관 검사 장치(80)는 기판 홀더(30)의 기판 밀봉 부재(39) 및 홀더 밀봉 부재(42)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취득은 기판 밀봉 부재(39)와 홀더 밀봉 부재(42) 중 적어도 하나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 상에 수행될 수도 있다. 외관 검사 장치(80)는 취득된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메모리 내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와 비교하여 예를 들어, 기판 밀봉 부재(39) 및 홀더 밀봉 부재(42)에 흠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의 결과는 제어 디바이스(90)에 송신된다. "밀봉"이 무효인 것으로 판정되면(단계 S112에서 아니오), 단계 S113은 스킵된다.
이어서, 제어 디바이스(90)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메뉴 스크린 상의 항목 "도통 확인"이 유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14). "도통 확인"이 유효인 것으로 판정되면(단계 S114에서 예), 픽싱 유닛(60)에 제공된 도통 확인 디바이스(도시 생략)는 도통 정상 검사를 수행한다(단계 S113). 구체적으로, 기판(Wf)은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되어 있는 기판 반송 디바이스(70)에 의해 기판 홀더(30)에 반송되고 기판 홀더(30)에 의해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도통 확인 디바이스는 전기 접점(44), 중계 접점부(49), 및 외부 접점부(38)를 통해 기판(Wf)으로의 도통을 확인한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전기 접점(44)은 기판(Wf)과 접촉하게 되어 외부 접점부(38)의 접점부(38a)(도 3 참조) 중 2개를 통한 전류 흐름을 허용하고 배선 저항을 측정한다. 측정된 배선 저항은 사전결정된 임계치와 비교된다. 측정된 배선 저항이 임계치보다 크면, 도통은 이상인 것으로 판정된다. 판정의 결과는 제어 디바이스(90)에 송신된다. "도통 확인"이 무효인 것으로 판정되면(단계 S114에서 아니오), 단계 S115는 스킵된다.
이어서, 제어 디바이스(90)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메뉴 스크린 상의 항목 "누설 체크"가 유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16). "누설 체크"가 유효인 것으로 판정되면(단계 S116에서 예), 누설 체크가 수행된다(단계 S117). 구체적으로, 기판(Wf)은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되어 있는 기판 반송 디바이스(70)에 의해 기판 홀더(30)에 반송되고 기판 홀더(30)에 의해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픽싱 유닛(60) 내에 포함된 누설 체크 디바이스(도시 생략)는, 기판 홀더(30)의 기판 밀봉 부재(39)가 제1 유지 부재(31)와 기판(Wf) 사이의 간극을 적절하게 밀봉하고 홀더 밀봉 부재(42)가 제1 유지 부재(31)와 제2 유지 부재(32) 사이를 적절하게 밀봉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의 결과는 제어 디바이스(90)에 송신된다. "누설 체크"가 무효인 것으로 판정되면(단계 S116에서 아니오), 단계 S117은 스킵된다.
전술된 검사들 후에, 운반기(24)는 기판 홀더(30)를 스토커(22) 내에 수납하고(단계 S118), 스토커(22)는 검사 장치(20)로부터 반출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검사들은 작업자에 의한 선택에 따라 검사 타겟으로서 기판 홀더(30) 상에서 실행된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검사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90)는 외관 검사 장치(80) 및 누설 체크 디바이스에 의한 검사들 전에 클리닝 디바이스(50)가 기판 홀더(30)를 세정하게 한다. 이 방식으로, 검사 타겟으로서의 기판 홀더(30)는 검사 디바이스(20)가 세정된 기판 홀더(30)를 검사하기 전에 1회 세정될 수 있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검사 장치(20)를 사용하는 다른 예시적인 검사 방법을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검사 방법은, 클리닝 디바이스(50)에 의한 기판 홀더(30)의 세정(단계 S105 내지 S107)이 외관 검사 장치(80)에 의한 검사, 도통 확인 디바이스에 의한 검사, 및 누설 체크 디바이스에 의한 검사 후에 수행되는 점에서,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검사 방법과는 상이하다.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프로세스에서, 기판 홀더(30)의 세정은 기판 홀더(30)에 결함이 발생되었을 때 수행된다.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검사 방법에서, 단계 S116에서,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메뉴 스크린 상의 항목 "누설 체크"가 무효인 것으로 판정되면(단계 S116에서 아니오) 또는 누설 체크가 단계 S117에서 수행된 후에,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메뉴 스크린 상의 항목 "클리닝"이 유효인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105). "클리닝"이 유효인 것으로 판정되면(단계 S105에서 예), 제어 디바이스(90)는 이어서, 앞서 수행된 임의의 검사가 기판 홀더(30) 상에 결함을 발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20). 기판 홀더(30)에 결함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되면(단계 S120에서 예), 클리닝 디바이스(50)는 기판 홀더(30)를 세정하고 건조한다(단계 S106 및 S107).
단계 S105에서, "클리닝"이 무효인 것으로 판정되면(단계 S105에서 아니오) 또는 앞서 수행된 임의의 검사가 기판 홀더(30) 상에 결함을 발견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단계 S120에서 아니오), 단계 S106 및 단계 S107에서의 처리는 스킵된다.
이어서, 제어 디바이스(90)는 앞서 수행된 임의의 검사를 반복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21). 임의의 검사를 반복해야 하는지 여부는 작업자에 의해 제어 디바이스(90)에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검사가 반복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되면(단계 S121에서 예), 프로세스는 단계 S108로 복귀하여 검사를 반복한다. 검사가 반복되지 않아야 하는 것으로 판정되면(단계 S121에서 아니오), 기판 홀더(30)는 스토커(22) 내로 수납되고(단계 S118) 검사 장치(20)로부터 반출된다(단계 S119).
전술된 바와 같이,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검사 방법에 따르면, 기판 홀더(30)에 결함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되면, 검사 장치(20)는 기판 홀더(30)를 자동으로 세정한다. 기판 홀더(30)의 결함이 기판 홀더(30)의 오염에 기인할 때, 기판 홀더(30)는 세정에 의해 무결함으로 될 수 있다. 검사 방법에 따르면, 결함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되는 기판 홀더(30)를 세정한 후에, 검사 장치(20)는 외관 검사 장치(80), 도통 확인 디바이스, 및 누설 체크 디바이스에서 재차 기판 홀더(30)를 검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 홀더(30)가 세정에 의해 무결함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
이하에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검사 장치(20)의 개략 전체 배치도이다.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검사 장치(20)는,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검사 장치(20)가 기판 홀더(30)를 사용함으로써 기판(Wf) 상에 도금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도금 장치(100)와 결합되어 있는 점에서 주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검사 장치(20)와는 상이하다. 도 15는 도금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검사 장치(20)는 복수의 스토커(22)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된 스토커 설치부(22a)를 포함한다. 이들 스토커(22)는 도금 장치(100)와 검사 장치(20)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검사 장치(20)와 도금 장치(100) 사이의 결합이라는 것은 스토커(22)용 검사 장치(20)의 출입구와 스토커(22)용 도금 장치(100)의 출입구 사이의 결합을 의미한다.
각각의 스토커(22)는 도금 장치(100)와 검사 장치(20) 사이에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검사 장치(20)와 도금 장치(100)는 그 저부면을 지지하면서 스토커(22)를 반송하도록 구성된 반송 롤러를 각각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스토커(22)는 자체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검사 장치(20)를 통해 도금 장치(100)에 의해 사용되는 기판 홀더(30)를 검사하기 위해, 먼저, 검사 타겟으로서 기판 홀더(30)가 도금 장치(100) 내에 배치된 스토커(22) 내로 수납된다. 스토커(22)는 이어서 검사 장치(20)로 이동되고 검사 장치(20) 내에 배치되고 무결함 기판 홀더(30)를 수납하는 스토커(22)와 상호 교환된다. 나중의 스토커(22)는 이어서 도금 장치(100)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도금 장치(100)에 의해 사용 가능한 기판 홀더(30)의 수는 임의의 기판 홀더(30)가 검사 장치(20)에 의해 검사되는 동안에 유지되어, 이에 의해 도금 장치(100)의 생산성의 저하를 방지한다.
검사 장치(20)에 의해 검사된 기판 홀더(30)를 수납하는 스토커(22)[검사된 스토커(22)라 칭함]는 검사 장치(20) 내에 보관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검사된 스토커(22)는 검사될 기판 홀더(30)를 수납하는 다른 스토커(22)가 도금 장치(100)로부터 반출될 때 도금 장치(100)로 복귀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검사된 스토커(22)는 임의의 공간이 도금 장치(100) 내에 이용 가능할 때 도금 장치(100) 내에 반송되어 보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요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을 변경하고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그 등가물을 포함한다. 청구범위 및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는 전술된 과제의 적어도 일부가 해결될 수 있거나 본 발명의 효과의 적어도 일부가 성취될 수 있는 한, 선택적으로 조합되거나 생략될 수도 있다.
20: 검사 장치 22: 스토커
22a: 스토커 설치부 24: 운반기
30: 기판 홀더 31: 제1 유지 부재
32: 제2 유지 부재 38: 외부 접점부
39: 기판 밀봉 부재 42: 홀더 밀봉 부재
44: 전기 접점 49: 중계 접점부
50: 클리닝 디바이스 60: 픽싱 유닛
70: 기판 반송 디바이스 80: 외관 검사 장치
81: 측정 디바이스 82: 이동 아암
90: 제어 디바이스 100: 도금 장치

Claims (12)

  1. 기판에 접촉하여 상기 기판으로의 전류 흐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전기 접점 및 상기 기판의 표면을 밀봉하도록 구성된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을 유지하는 기판 홀더를 검사하는 검사 장치로서,
    상기 기판 홀더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스토커가 설치되어 있는 스토커 설치부;
    상기 기판 홀더를 세정하도록 구성된 클리닝 디바이스;
    상기 기판 홀더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기판 부착/탈착 디바이스;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의 외관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외관 검사 장치; 및
    상기 스토커, 상기 클리닝 디바이스, 및 상기 외관 검사 장치 사이에서 상기 기판 홀더를 반송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를 포함하는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홀더는 상기 기판이 그 위에 배치되어 있는 표면을 포함하는 제1 유지 부재, 및 상기 밀봉 부재 및 상기 전기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지 부재와 함께 상기 기판을 탈착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2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부착/탈착 디바이스는 상기 제2 유지 부재가 상기 제1 유지 부재로부터 제거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관 검사 장치는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의 외관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측정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유지 부재와 상기 제2 유지 부재 사이의 위치로 상기 측정 디바이스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아암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검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홀더의 제2 유지 부재는 상기 전기 접점에 접촉하여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기 접점으로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중계 접점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관 검사 장치는 상기 중계 접점부의 외관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검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홀더는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기 접점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외부 접점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관 검사 장치는 상기 외부 접점부의 외관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검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부착/탈착 디바이스에 더미 기판을 반송하도록 구성된 기판 반송 디바이스; 및
    상기 기판 부착/탈착 디바이스가 상기 더미 기판을 유지하는 상기 기판 홀더를 받아들일 때 상기 전기 접점과 상기 더미 기판 사이의 도통을 확인하도록 구성된 도통 확인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검사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부착/탈착 디바이스에 더미 기판을 반송하도록 구성된 기판 반송 디바이스; 및
    상기 기판 부착/탈착 디바이스가 상기 더미 기판을 유지하는 상기 기판 홀더를 받아들일 때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더미 기판의 표면을 적절하게 밀봉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도록 구성된 누설 체크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검사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상기 기판 부착/탈착 디바이스, 상기 외관 검사 장치, 및 상기 클리닝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외관 검사 장치에 의한 검사 전에 상기 클리닝 디바이스가 상기 기판 홀더를 세정하게 하는 것인 검사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상기 기판 부착/탈착 디바이스, 상기 외관 검사 장치, 및 상기 클리닝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외관 검사 장치에 의한 검사가 상기 기판 홀더가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정할 때 상기 클리닝 디바이스가 상기 기판 홀더를 세정하게 하는 것인 검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외관 검사 장치에 의한 검사가 상기 기판 홀더가 결함이 있고 상기 클리닝 디바이스가 상기 기판 홀더를 세정한 것으로 판정한 후에 상기 외관 검사 장치가 상기 기판 홀더를 재차 검사하게 하는 것인 검사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장치는 상기 기판 홀더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기판 상에 도금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도금 장치와 결합되고,
    상기 스토커는 상기 도금 장치와 상기 검사 장치의 상기 스토커 설치부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인 검사 장치.
  11. 기판 홀더를 사용하여 기판 상에 도금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도금 장치로서, 상기 도금 장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검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도금 장치.
  12. 기판에 접촉하여 상기 기판으로의 전류 흐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전기 접점 및 상기 기판의 표면을 밀봉하도록 구성된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을 유지하는 기판 홀더의 외관을 검사하는 외관 검사 장치로서, 상기 외관 검사 장치는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의 외관의 화상 데이터 또는 형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기판 홀더의 외관이 무결함인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외관 검사 장치.
KR1020197003253A 2016-07-04 2017-06-07 기판 홀더 검사 장치, 이를 구비한 도금 장치, 및 외관 검사 장치 KR1024251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32453 2016-07-04
JP2016132453A JP6695750B2 (ja) 2016-07-04 2016-07-04 基板ホルダの検査装置、これを備えためっき装置、及び外観検査装置
PCT/JP2017/022028 WO2018008343A1 (en) 2016-07-04 2017-06-07 Substrate-holder inspection apparatus, pl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appearance inspec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011A true KR20190025011A (ko) 2019-03-08
KR102425119B1 KR102425119B1 (ko) 2022-07-26

Family

ID=60912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253A KR102425119B1 (ko) 2016-07-04 2017-06-07 기판 홀더 검사 장치, 이를 구비한 도금 장치, 및 외관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255968A1 (ko)
JP (1) JP6695750B2 (ko)
KR (1) KR102425119B1 (ko)
TW (1) TWI724187B (ko)
WO (1) WO20180083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9900B2 (ja) * 2018-02-13 2021-12-15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基板保持部材、基板処理装置、基板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6987693B2 (ja) * 2018-04-27 2022-01-05 株式会社荏原製作所 検査方法、検査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めっき装置
US11211282B2 (en) * 2018-06-15 2021-12-28 Applied Materials, Inc. Apparatus to reduce contamination in a plasma etching chamber
CN110745530A (zh) * 2018-07-24 2020-02-04 深圳市矽电半导体设备有限公司 一种物料传输自动线及其自动进出料方法
CN109273385A (zh) * 2018-09-13 2019-01-25 德淮半导体有限公司 基于机械臂的晶圆缺陷检测方法、机械臂、半导体设备
JP7034880B2 (ja) * 2018-10-05 2022-03-14 株式会社荏原製作所 洗浄装置、これを備えためっき装置、及び洗浄方法
JP7100571B2 (ja) 2018-12-13 2022-07-13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めっき可能な基板の枚数を予測する予測モデルを構築する方法、不具合を引き起こす構成部材を予想するための選択モデルを構築する方法、およびめっき可能な基板の枚数を予測する方法
US11781238B2 (en) 2019-05-20 2023-10-10 Applied Material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late-up detection
US11335588B2 (en) 2019-06-18 2022-05-17 Ebara Corporation Substrate hold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JP7455608B2 (ja) 2020-02-25 2024-03-26 株式会社荏原製作所 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CN117940616A (zh) * 2021-09-03 2024-04-26 朗姆研究公司 晶片处理工具的机器视觉检测
TWI803048B (zh) * 2021-11-11 2023-05-21 日商荏原製作所股份有限公司 鍍覆裝置及基板清洗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7274A (ja) * 2004-04-21 2005-11-04 Ebara Corp 基板処理装置
KR20080024974A (ko) * 2006-09-13 2008-03-19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기판 수납 설비, 기판 처리 설비 및 기판 수납 설비의 작동방법
KR20100053591A (ko) * 2007-07-30 2010-05-20 에이에스엠엘 네델란즈 비.브이. 리소그래피 장치 및 디바이스 제조 방법
JP2012107311A (ja) * 2010-10-21 2012-06-07 Ebara Corp めっき装置、めっき処理方法及びめっき装置用基板ホルダの姿勢変換方法
KR20130110055A (ko) * 2012-03-27 2013-10-08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도금 방법 및 도금 장치
KR20140103082A (ko) * 2013-02-15 2014-08-25 램 리써치 코포레이션 웨이퍼 홀딩 장치 상의 플레이팅 검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8857A (ja) * 1994-12-21 1996-07-12 Nikon Corp 大型基板用異物検査装置
KR100804714B1 (ko) * 2000-03-17 2008-02-18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도금장치 및 방법
US6809809B2 (en) * 2000-11-15 2004-10-26 Real Time Metrology, Inc. Optical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large area planar objects
WO2002040970A1 (en) * 2000-11-15 2002-05-23 Real Time Metrology, Inc. Optical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large area planar objects
JP4846201B2 (ja) * 2004-02-26 2011-12-28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めっき装置及びめっき方法
US20050236268A1 (en) * 2004-04-21 2005-10-27 Koji Mishim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US7659976B2 (en) * 2005-12-12 2010-02-09 Carl Zeiss Smt Ag Devices and methods for inspecting optical elements with a view to contamination
US7935231B2 (en) * 2007-10-31 2011-05-03 Novellus Systems, Inc. Rapidly cleanable electroplating cup assembly
TWI580814B (zh) * 2010-10-21 2017-05-01 荏原製作所股份有限公司 基板處理裝置,以及鍍覆裝置及鍍覆方法
US9309603B2 (en) * 2011-09-14 2016-04-12 Applied Materials, Inc Component cleaning in a metal plating apparatus
JP6328582B2 (ja) * 2014-03-31 2018-05-23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めっき装置、および基板ホルダの電気接点の電気抵抗を決定する方法
US9812344B2 (en) * 2015-02-03 2017-11-07 Applied Materials, Inc. Wafer processing system with chuck assembly maintenance module
US10174437B2 (en) * 2015-07-09 2019-01-08 Applied Materials, Inc. Wafer electroplating chuck assembly
US10687683B2 (en) * 2016-03-24 2020-06-23 Martin A. Alpert Washing or washing/sterilizing and drying or drying/sterilizing with optional independent sterilization apparatus with robotic arm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7274A (ja) * 2004-04-21 2005-11-04 Ebara Corp 基板処理装置
KR20080024974A (ko) * 2006-09-13 2008-03-19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기판 수납 설비, 기판 처리 설비 및 기판 수납 설비의 작동방법
KR20100053591A (ko) * 2007-07-30 2010-05-20 에이에스엠엘 네델란즈 비.브이. 리소그래피 장치 및 디바이스 제조 방법
JP2012107311A (ja) * 2010-10-21 2012-06-07 Ebara Corp めっき装置、めっき処理方法及びめっき装置用基板ホルダの姿勢変換方法
KR20130110055A (ko) * 2012-03-27 2013-10-08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도금 방법 및 도금 장치
KR20140103082A (ko) * 2013-02-15 2014-08-25 램 리써치 코포레이션 웨이퍼 홀딩 장치 상의 플레이팅 검출
JP2014196555A (ja) * 2013-02-15 2014-10-16 ラム リサーチ コーポレーションLam Research Corporation ウェハ保持装置上のメッキの検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24187B (zh) 2021-04-11
WO2018008343A1 (en) 2018-01-11
JP6695750B2 (ja) 2020-05-20
JP2018003102A (ja) 2018-01-11
US20200255968A1 (en) 2020-08-13
KR102425119B1 (ko) 2022-07-26
TW201802298A (zh)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5119B1 (ko) 기판 홀더 검사 장치, 이를 구비한 도금 장치, 및 외관 검사 장치
TW509988B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JP3603278B2 (ja) 蛍光x線分析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プログラム
JP6979900B2 (ja) 基板保持部材、基板処理装置、基板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US11584019B2 (en) Substrate carrier deterioration detection and repair
JP3584262B2 (ja) 蛍光x線分析用試料前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蛍光x線分析システム
TWI663684B (zh) 具有夾頭組件維護模組的晶圓處理系統
TWI597227B (zh) Electronic parts conveying apparatus, electronic parts inspection apparatus, test piece for inspection of condensation or frosting, and inspection method of condensation or frosting
KR102491862B1 (ko) 누설 검사 방법, 누설 검사 장치, 전해 도금 방법 및 전해 도금 장치
JP3679690B2 (ja) 基板処理装置
CN111005059A (zh) 清洗装置、具备该清洗装置的电镀装置以及清洗方法
TWI742229B (zh) 鍍覆裝置、鍍覆方法、基板架、電阻測定模組以及檢查基板架的方法
KR102430478B1 (ko) 웨이퍼 검사 방법
JP6254307B2 (ja) めっき装置に使用される基板ホルダの漏れ検査方法
JP2008227148A (ja) 半導体ウエハの試験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6078186B2 (ja) めっき装置
US20190219627A1 (en) Current measuring module using inspection substrate and inspection substrate
JP5319646B2 (ja) 半導体ウエハ収納容器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TWI833817B (zh) 清洗裝置、具備該清洗裝置的鍍覆裝置、及清洗方法
JP2003151878A (ja) 基板処理装置
JP2005229131A (ja) 塗布、現像装置
TWI807017B (zh) 基板固持器的檢查方法、基板固持器的檢查裝置、及具備該檢查裝置之鍍覆裝置
CN115810532A (zh) 基板处理方法及基板处理装置
JP3629535B2 (ja) 蛍光x線分析用試料前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蛍光x線分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