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500A -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500A
KR20180131500A KR1020180062783A KR20180062783A KR20180131500A KR 20180131500 A KR20180131500 A KR 20180131500A KR 1020180062783 A KR1020180062783 A KR 1020180062783A KR 20180062783 A KR20180062783 A KR 20180062783A KR 20180131500 A KR20180131500 A KR 20180131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coupling
sealing portion
develop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6224B1 (ko
Inventor
아키노부 히라야마
타카히토 우에노
토시아키 타케우치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1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4Arrangements for purging used developer from the develop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03G15/0898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during operation, e.g. se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11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blade; Details of cleaning blades, e.g. blade shape, layer for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05Arrangements for conveying toner was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4Details of parts of process cartridge, e.g. for charging, transfer, cleaning,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28Prevention of damage or soiling, e.g. mechanical abrasion
    • G03G21/1832Shielding members, shutter, e.g. light, heat shielding, prevention of toner scatte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arallel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로서, 감광체와, 상기 드럼으로부터 제거된 현상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배출로로서, 현상제 배출구 및, 토너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가동부로서, 상기 배출구를 지나는 현상제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 측으로 퇴피한 퇴피 위치와 상기 현상제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 측으로의 진출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가동부를 가지는 배출로와, 상기 배출구와는 다른 위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배출로를 봉지하는 봉지부를 가지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되는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의 분야에 있어서, 화상 형성에 관련되는 회전체로서의 감광 드럼이나 이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 등의 요소를 카트리지로서 일체화 하여,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감광 드럼이나, 대전 수단, 현상 수단, 클리닝 수단 등의 프로세스 수단을 프레임 내에 집적시켜 카트리지화한다. 그리고, 그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메인터넌스가 용이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카트리지 방식의 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 시의 클리닝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토너를, 장치 본체에 설치된 폐토너 수용부 내로 반송하는 구성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특허공개 제2014-52475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을 더욱 발전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로부터 제거된 현상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배출로로서, 현상제 배출구 및, 토너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가동부로서, 상기 배출구를 지나는 현상제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 측으로 퇴피한 퇴피 위치와 상기 현상제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 측으로의 진출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가동부를 가지는 배출로와, 상기 배출구와는 다른 위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배출로를 봉지하는 봉지부를 가지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로부터 제거된 현상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반송로로서, 중공의 내통(inner cylinder)과, 상기 내통의 외주를 둘러싸며 퇴피 위치와 진출 위치 사이에서 상기 내통을 따라 왕복 가능한 중공의 외통(outer cylinder)과, 상기 내통과 상기 외통의 사이에 형성되는 현상제의 유로를 막는 봉지부를 가지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시일의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관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의 폐토너의 흐름을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치 본체에의 설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실시예에 관한 폐토너 배출구의 셔터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의 (a), (b) 및 (c)는, 실시예에 관한 폐토너 배출부의 접속 방법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실시예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치 본체와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관한 폐토너 배출부의 구동 전달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의 (a) 및 (b)는, 실시예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반송 스크류와 커플링과의 결합 설명도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관한 폐토너 배출부의 구동 연결 구성을 설명하는 부품도이다.
도 13의 (a) 및 (b)는, 실시예에 관한 폐토너 연결 부재의 조립 설명도이다.
도 14의 (a) 및 (b)는, 실시예에 관한 폐토너 배출부의 부품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에 관한 제거 토너의 반송 경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6의 (a) 및 (b)는, 실시예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반송 스크류의 단면 위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실시예에 관한 폐토너 반송로의 간극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의 (a), (b) 및 (c)는, 실시예에 관한 시일의 장착 방법을 설명하는 부품 사시도이다.
도 19는, 실시예에 관한 시일의 외관도이다.
도 20의 (a), (b) 및 (c)는, 실시예에 관한 시일 장착 상태에서의 카트리지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21의 (a), (b) 및 (c)는, 변형예에 관한 시일 장착 상태에서의 카트리지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22의 (a), (b) 및 (c)는, 변형예에 관한 시일 장착 상태에서의 카트리지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23의 (a) 및 (b)는, 변형예에 관한 시일 장착 상태에서의 카트리지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란, 예를 들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예를 들어, LED 프린터, 레이저 빔 프린터 등), 전자 사진 팩시밀리 장치 등이 포함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란, 감광체 등을 갖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이하,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것을 가리킨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이용되는 감광 드럼과 커플링 부재 등을 일체화한 것을 드럼 유닛이라 부른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한 풀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마찬가지로,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하는 각 구성에 대해, 특히 한정적인 기재를 하지 않는 한, 재질, 배치, 치수, 그 외의 수치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히 명기하지 않는 한 상방이란 화상 형성 장치를 설치했을 때의 중력 방향 상방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설명]
이하,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에 관한 동작과 폐토너의 반송에 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관해)
먼저, 본 실시예에 관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화상 형성 장치)의 일 실시예의 전체 구성에 대해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는 복수의 화상 형성부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색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제2, 제3, 제4 화상 형성부(SY, SM, SC, SK)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부(SY, SM, SC, SK)는, 연직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부의 구성 및 동작은, 형성하는 화상의 색이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 특히 구별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는, Y, M, C, K는 생략하고, 총괄적으로 설명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는, 4개의 감광 드럼(1; 1Y, 1M, 1C, 1K)을 가진다. 감광 드럼(1)은, 도시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한다. 감광 드럼(1)의 주위에는 대전 롤러(2) 및 스캐너 유닛(노광 장치)(3)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대전 롤러(2)는, 감광 드럼(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 수단이다. 그리고, 스캐너 유닛(3)은,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를 조사하여 감광 드럼(1) 상에 정전상(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수단이다. 또한, 감광 드럼(1)의 주위에는, 현상 장치(이하, 현상 유닛)(4; 4Y, 4M, 4C, 4K) 및 클리닝 수단(클리닝 부재)으로서의 클리닝 블레이드(6; 6Y, 6M, 6C, 6K)가 배치되고 있다.
또한 4개의 감광 드럼(1)에 대향하여, 감광 드럼(1) 상의 토너상을 기록재(12)에 전사하기 위한 중간 전사체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4)은, 현상제로서 비자성 일 성분 현상제, 즉, 토너(T)를 이용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4)은,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17)를 감광 드럼(1)에 대해 접촉시켜 접촉 현상을 행하는 것이다. 감광 드럼(1)은 전자 사진 감광체(이하, 간단히 감광체라고 부른다)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리닝 유닛(13)은, 감광 드럼(1), 대전 롤러(2), 클리닝 부재로서의 클리닝 블레이드(6)를 가진다. 또한, 클리닝 유닛은 클리닝 블레이드(6)에 의해 제거된 감광체 드럼(1) 상에 잔류하고 있던 전사 잔여 토너(폐토너)를 수용하는 수납부로서의 폐토너 수용부(14a; 14aY, 14aM, 14aC, 14aK)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4) 및 클리닝 유닛(13)을,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 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형성하고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장착 가이드, 위치 결정 부재 등의 장착 수단(가이드, 가이드 기구)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색용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모두 동일 형상을 가지고 있다. 각 색용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 내에는,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색의 토너(T; TY, TM, TC, TK)가 수용되고 있다.
중간 전사 벨트(5)는, 모든 감광 드럼(1)에 접촉하고, 도시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한다. 중간 전사 벨트(5)는, 복수의 지지 부재(구동 롤러(87), 2차 전사 대향 롤러(88), 종동 롤러(89))에 둘러 감겨져 있다.
중간 전사 벨트(5)의 내주면측에는, 각 감광체 드럼(1)에 대향하도록, 1차 전사 수단으로서의, 4개의 1차 전사 롤러(8; 8Y, 8M, 8C, 8K)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5)의 외주면측에 있어서 2차 전사 대향 롤러(88)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2차 전사 수단으로서의 2차 전사 롤러(9)가 배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시에는, 먼저, 감광체 드럼(1)의 표면이 대전 롤러(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 다음에, 스캐너 유닛(3)으로부터 나온 화상 정보에 따른 레이저광에 의해, 대전된 감광체 드럼(1)의 표면이 주사 노광된다. 이에 의해, 감광체 드럼(1) 상에 화상 정보에 따른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그 다음에, 감광체 드럼(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유닛(4)에 의해 토너상으로 현상된다. 즉, 감광체 드럼(1)은, 그 표면에 토너로 형성된 상(토너상)을 담지하는 회전체(상 담지체)이다. 감광체 드럼(1) 상에 형성된 토너상은, 1차 전사 롤러(8)의 작용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5) 상으로 전사(1차 전사)된다.
예를 들어, 풀 컬러 화상의 형성 시에는, 상술한 프로세스가,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부(SY, SM, SC, SK)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행해진다. 각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토너상은, 중간 전사 벨트(5) 상에 순차적으로 겹쳐 맞추어져 1차 전사된다. 그 후, 중간 전사 벨트(5)의 이동과 동기하여 기록재(12)가 2차 전사부로 반송된다. 그리고, 기록재(12)를 통해 중간 전사 벨트(5)에 접촉하고 있는 2차 전사 롤러(9)의 작용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5) 상의 4색 토너상은, 일괄하여 기록재(12) 상에 2차 전사된다.
토너상이 전사된 기록재(12)는, 정착 수단으로서의 정착 장치(10)로 반송된다. 정착 장치(10)에 있어서 기록재(12)에 열 및 압력을 가함으로써, 기록재(12)에 토너상이 정착된다. 또한, 1차 전사 공정 후에 감광체 드럼(1) 상에 잔류한 1차 전사 잔여 토너는, 클리닝 부재로서의 클리닝 블레이드(6)에 의해 제거되어 회수된다.
제거된 잔류 토너(이하 폐토너라고 부른다)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로부터 장치 본체(100)로 전달되고, 장치 본체(100)에 설치된 폐토너 박스(86)로 반송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카트리지처럼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유닛을 제외한 부위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장치 본체)라고 불러서, 전체 화상 형성 장치와 구별하는 경우도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관해]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전체 구성에 대해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현상 유닛(4)과 클리닝 유닛(13) 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현상 장치(4), 클리닝 유닛(13)이 일체가 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 유닛(4)은, 베어링 부재(19R, 19L)에 설치된, 구멍(19Ra, 19La)을 구비한다. 또한, 클리닝 유닛(13)은, 클리닝 유닛(13)의 프레임에 설치된 구멍(13a; 13a R, 13a L; 도시하지 않음, 도 3 참조)을 구비한다. 그리고, 현상 유닛(4)과 클리닝 유닛(13)은, 각각, 구멍(19Ra, 19La)과 구멍(13aR, 13aL)에 감합하는 축(24)(24R, 24L)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현상 유닛(4)은, 가압 스프링(25)에 의해 가압되고 있다. 그 때문에, 화상 형성 시에 있어서는, 현상 유닛(4)은 축(24)을 중심으로 화살표 F 방향으로 회전하여, 감광 드럼(1)과 현상 롤러(17)가 접촉한다. 현상 롤러(17)는, 그 표면에 토너(현상제)를 담지하여 회전하는 회전체(현상제 담지체, 현상 부재)이다. 현상 롤러(17)는, 감광체 드럼(1)에 토너를 공급함으로써, 감광체 드럼(1) 상의 잠상을 현상한다.
(현상 유닛에 관해)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와 관련되는 현상 장치(4)에 대해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주 단면도이다.
현상 유닛(4)은, 현상 유닛(4) 내의 각종 요소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18)을 가진다. 현상 유닛(4)에는, 감광 드럼(1)과 접촉하여 도시 화살표 D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17)가 설치되고 있다. 현상 롤러(17)는, 그 긴 길이 방향(회전 축선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현상 베어링(19)(19R, 19L, 도 3 참조)을 거쳐, 회전 가능하게 현상 프레임(18)에 지지되고 있다. 여기서, 현상 베어링(19; 19R, 19L)(도 3 참조)은, 현상 프레임(18)의 양 측부에 각각 장착되고 있다. 현상 프레임(18), 현상 베어링(19)은 함께 카트리지(7)를 구성하는 프레임이며,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현상 유닛(4)을 형성하는 프레임이다. 이들 프레임에 의해, 현상 유닛에 설치된 현상 롤러(17) 등의 각 부재가 지지된다.
또한, 현상 유닛(4)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제 수납실(이하, 토너 수납실)(18a)과 현상 롤러(17)가 설치된 현상실(18b)을 갖는다. 토너 수용실(18a) 및 현상실(18b)은 현상 유닛(4)의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다.
현상실(18b)에는, (현상 롤러(17)에 접촉하여 화살표 E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제 공급 부재로서의) 토너 공급 롤러(20)와, (현상 롤러(17)의 토너층을 규제하기 위한 현상제 규제 부재로서의) 현상 블레이드(21)가 배치되어 있다. 토너 공급 롤러(20)는 현상 롤러(17)에 토너를 공급하는 롤러이다. 토너 공급 롤러(20)는 그 표면에 토너를 담지하여 회전하는 회전체로서, 토너 공급 부재이다. 현상 블레이드(21)는, 지지 부재(22)에 대해, 예를 들어 용접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현상 프레임(18)의 토너 수납실(18a)에는, 수용된 토너를 교반함과 함께 상기 토너 공급 롤러(20)로 토너를 반송하기 위한 교반 부재(23)가 설치되어 있다.
(클리닝 유닛에 관해)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와 관련되는 클리닝 유닛(13)에 대해 도 3,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리닝 유닛(13)은, 클리닝 유닛(13) 내의 각종 요소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의 클리닝 프레임(14)을 갖는다. 클리닝 프레임(14)에는, 베어링 부재(27)(27R 및 27L; 도 3 참조)에 의해 감광 드럼(1)이 도 4에 나타내는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있다. 클리닝 프레임(14) 및 베어링 부재(27)는 카트리지(7)의 프레임의 일부이며, 상세하게 말하면 클리닝 유닛(13)을 구성하는 프레임이다. 이들 프레임에 의해 클리닝 유닛(13)에 설치된 감광체 드럼(1) 등의 각 부재가 지지된다.
또한, 클리닝 프레임(14)에는, 대전 롤러 베어링(15)이, 대전 롤러(2)의 회전 중심과 감광 드럼(1)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선을 따라 장착되고 있다.
여기서, 대전 롤러 베어링(15)은, 도 3에 나타내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있다. 대전 롤러(2)의 회전축(2a)은, 대전 롤러 베어링(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있다. 그리고, 대전 롤러 베어링(15)은, 가압 수단으로서의 대전 롤러 가압 스프링(16)에 의해 감광 드럼(1)을 향해 가압된다.
또한, 클리닝 블레이드(6)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차 전사 후에 감광 드럼(1)의 표면에 남은 전사 잔여 토너(폐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탄성 부재(6a)와, 탄성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6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클리닝 블레이드(6)는, 감광 드럼(1)의 긴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서 클리닝 프레임(14)에 스크류 등의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클리닝 블레이드(6)에 의해 감광 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는, 클리닝 블레이드(6)와 클리닝 프레임(1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중력 방향으로 낙하하여, 폐토너 수용부(14a) 내에 일시적으로 수용된다.
폐토너 수용부(14a) 내에는, 반송 부재(카트리지측 반송 부재측)로서의 반송 스크류(26)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폐토너 수용부에 회수된 폐토너는 반송 스크류(26)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긴 길이방향 일단 측으로 반송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긴 길이방향은 감광 드럼(1)의 회전 축선 방향과 대략 평행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폐토너의 긴 길이방향으로의 반송에 대해,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폐토너 배출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반송 스크류(26)에 의해 화살표 H 방향으로 반송된 폐토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긴 길이방향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커플링(29), 제2 커플링(30), 및 연결 부재(32)를 통해, 장치 본체의 폐토너 받아들임 개구(80d)로 반송된다.
여기서, 반송 스크류(26)에 의해 화살표 H 방향으로 반송되는 토너의 경로를 제1 반송 경로(51)라고 부른다. 또한 카트리지(7)의 긴 길이방향 일단 측에 설치되어, 제1 반송로와 교차(직교)하는 토너의 경로(제1 커플링(29) 이후의 경로)를 제2 반송 경로(61)라고 부르기로 한다.
(장착 동작의 개략에 대해)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에의 장착 동작에 관해,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장치 본체(100)의 프론트 도어(91)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의 프론트 도어(91)를 열고 화살표 J 방향으로 삽입된다. 그 후, 장치 본체 안쪽의 도시하지 않는 후측판에 부딪쳐서 삽입이 완료된다. 그 후, 장치 본체(100)의 프론트 도어(91)를 닫음으로써, 연결 부재(32)가 장치 본체(100)의 폐토너 받아들임 개구(80d)(도 5 참조)와 연결되어, 장착 동작이 완료된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지만, 연결 부재(32)는, 폐토너를 배출하기 위해 카트리지(7)에 설치된 배출로(제2 반송로(61))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이다.
[카트리지와 본체의 폐토너부 연결 설명]
[셔터의 구성에 관해]
다음으로, 연결 부재(32)에 설치된 셔터(개폐 부재)(34)의 장착 시의 움직임에 대해, 도 3, 도 7의 (a) 및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의 (a) 및 (b)는, 셔터 지지 구성을 설명하는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착 방향(화살표 J 방향) 안쪽에는, 전술한 폐토너 배출구인 연결 부재(32)가 설치되어 있다. (도 3 참조)
여기서, 도 7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32)에는, 축선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 형상의 가이드부(32b, 32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셔터(34)에는, 홈부(34a, 34b)가 단면 방향 양단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단면 방향이란, 감광체 드럼(1)의 축선과 수직인 카트리지의 단면을 따른 방향이다.
셔터(34)는, 홈부(34a, 34b)를 볼록 형상의 가이드부(32b, 32c)에 가이드 된 상태로 결합하고, 장착 방향(화살표 J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폐토너 배출부(32d)를 봉지하고 있다.
또한, 셔터(34)는, 폐토너 배출부(32d)를 봉지하기 위한 탄성 시일 부재(35)를 구비한다. 셔터(34)는, 탄성 시일 부재(35)가 배출구(32d)에 의해 찌그러진 상태로 지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연결 부재(32)의 배출구(32d)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시일 부재(35)에 의해 간극 없이 막혀져, 폐토너의 봉지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셔터(34)는 클리닝 프레임(14)에 설치된 가압 부재(36)에 의해, 장착 방향 안쪽(화살표 J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셔터(34)는, 가압 부재(36)에 의해, 배출구 부딪힘부(34d)가, 폐토너 연결 부재(32)의 부딪힘부(32e)에 부딪힌다. 이렇게 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7) 상에서, 셔터(34)는, 연결 부재(32)에 의해 위치 결정 지지된다.
나아가, 클리닝 프레임(14)에는, 셔터(34)를 장착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셔터 가이드부(14a)가, 연결 부재(32)의 가이드부(32b)와 단면 방향 동일 위치에, 장착 방향(화살표 J 방향)으로 연신되어 설치되어 있다.
셔터(34)의 셔터 결합부(34a, 34b)는, 연결 부재(32)의 부딪힘부(32e)에 부딪친 상태에서, 클리닝 프레임(14)의 셔터 가이드부(14a)에 일부 결합 지지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셔터(34)는, 연결 부재(32)와 클리닝 프레임(14)의 양쪽 모두에 결합 지지되고 있다.
또한,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34)는 장치 본체(100)에의 장착 시에, 프로세스 카트리지(7) 내에서 삽입 방향과 반대측(화살표 J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셔터(34)는 폐토너를 배출하는 개구(배출구)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셔터(34)는 화살표 J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연결 부재(32)의 셔터 가이드부(32b, 32c)와의 결합이 완전하게 분리된다. 그리고, 셔터(34)는 클리닝 프레임(14)의 가이드부(14a)에만 결합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장치 본체(100)에의 장착 완료 상태에서는, 셔터(34)는 연결 부재(32)의 단면 방향(화살표 N 방향)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연결 부재(32)와 장치 본체(100)의 폐토너 받아들임 개구(80d)와의 접속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폐토너 배출로와 장치 본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의 동작에 관해)
장치 본체(100)의 프론트 도어(91)(도 6 참조)를 닫았을 때의 폐토너 연결 부재의 움직임을, 도 8의 (a), (b), (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의 (a), (b), (c)는 프론트 도어 개폐 시의 연결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착 방향 안쪽에는, 본체 프론트 도어(91)와 도시하지 않는 링크 기구에 의해 회전 이동하는 암(42)이 설치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연결 부재(32)에는, 장치 본체(100)의 암에 접촉하는 암 접촉부(32f, 32g)가 단면 방향으로 돌출하여 2곳 설치되어 있다(도 8의 (a) 참조).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100)의 후측판(98)에 부딪친 상태에서, 암(42)의 접촉부(42a, 42b)는 암 접촉부(32f, 32g)의 상방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8의 (b) 참조).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착 방향 부딪힘 시에는, 암(42)의 접촉부(42a, 42b)가, 연결 부재(32)의 암 접촉부(32f, 32g)에 장착 방향(화살표 J 방향)에서 대략 4mm 오버랩 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암(42)은 암 회전축(42c)을, 후측판(98)의 지지 구멍(98e, 98f)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장치 본체(100)의 프론트 도어 폐 동작에 수반하여, 암(42)은 도시하지 않는 링크 기구에 의해 암 회전축(42c)을 중심으로 화살표 M 방향으로 대략 42도 회전된다.
암(42)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암(42)은 연결 부재(32)의 암 접촉면(32f, 32g)에 부딪친다. 그리고, 연결 부재(32)는, 암(42)의 회전 동작에 의해,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하고, 본체 토너 받아들임 개구(80d) 측(화살표 N 방향)과 연결하는 연결 위치(제1 위치, 진출 위치)에 도달한다.
여기서, 연결 부재(32)는 본 실시예에서는, 암(42)의 회전 동작에 의해 화살표 N 방향으로 대략 7.7mm의 거리를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암(42)에 의해 눌러 내려진 연결 부재(32)는, 장치 본체(100)의 폐토너 받아들임 개구(80d)로 대략 4mm 침입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연결 부재(32)와 장치 본체(100)의 폐토너 받아들임 개구(80d)와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폐토너 배출부의 구동 연결에 관해]
(폐토너 구동 연결 구성에 관해)
다음으로 폐토너 배출부의 장치 본체(100)와의 구동 연결에 대해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의 (a) 및 (b)는, 연결 부재(32)와 본체 폐토너 받아들임 개구(80d)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9의 (b)는, 연결 부재(32)는, 장치 본체(100)의 도시하지 않는 프론트 도어의 폐 동작에 수반하여, 폐토너 받아들임 개구(80d)에 침입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0)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로부터의 배출 토너를 받아들이는 폐토너 받아들임 개구(80d)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폐토너 받아들임 개구(80d)에는, 시일 부재(47)가 설치되어 있다. 시일 부재(47)는, 예를 들어 고무 스펀지, 발포 우레탄 등의 탄성을 가지는 시일 부재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연결 부재(32)가 눌러 내려지면, 연결 부재(32)는 배출 토너 받아들임 개구(80d)에 설치된 본체 받아들임 개구 시일 부재(47)에 침입한다.
또한, 연결 부재(32)에는 테이퍼 형상(32k)이 설치되어 있어, 연결 부재(32)와, 폐토너 받아들임 개구(80d)의 축선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나아가, 연결 부재(32)에는 플랜지 형상의 리브부(32l)(도 8의 (a), (b), (c) 참조)가 설치되어 있어, 폐토너 받아들임 개구(80d)에 장착되었을 때에, 화살표 N 방향으로의 간극을 막는 뚜껑의 역할을 한다. 또한, 도 9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폐토너 반송부(80)는, 폐토너 받아들임 개구(80d)를 가지는 본체 제1 반송로(80a), 폐토너를 장치 본체(100)의 폐토너 용기(14)로 송출하기 위한 제2 반송로(80b)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 제1 반송로(80a)에는, 스프링 리테이너(43)가 받아들임 개구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본체 제1 반송로(80a) 내부의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 커플링(44)은, 스프링부(44a)에서 스프링 리테이너(43)와 부딪힘으로써 지지되고 있다. 또한, 스프링 커플링(44)은, 본체측 반송 부재로서의 반송 핀(45)과 회전 방향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반송 핀(45)은 회전축(45a)을 갖고, 회전축(45a)은 본체 반송 부재의 핀 베어링부(80e)에 끼워 넣어져,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스프링 커플링(44)은, 중심선(61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연결 부재(32)가 폐토너 받아들임 개구(80d)에 진입함으로써, 폐토너 연결 부재는, 스프링 커플링(44)의 반력에 대항하여, 스프링 커플링(44)을 아래 방향(폐토너 연결구 침입 방향)으로 누른다.
나아가, 스프링 커플링(44)은 연결 부재(32) 내의 제2 커플링 부재(30)와 가압력을 가지고 부딪친다. 부딪친 제2 커플링 부재(30)는, 감광 드럼(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부재이다.
제2 커플링 부재(30)가 축선(61a)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스프링 커플링(44)은, 제2 커플링 부재(30)와 회전 방향으로 결합하고, 반송 핀(45)과 일체로 회전한다.
제2 커플링 부재(30)는, 카트리지(7)로부터 구동력을 출력하고 스프링 커플링(44)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출력부(출력 커플링, 카트리지측 커플링)이다. 한편, 스프링 커플링(44)은, 카트리지(7)로부터 구동력이 입력되는 구동 입력부(입력 커플링,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 커플링)이다.
[카트리지 내의 구동 구성에 관해]
(폐토너 반송 스크류의 동작에 관해)
다음으로, 전술한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제2 커플링 부재(30)로의 구동 전달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폐토너 반송 스크류(26)로의 구동 전달 경로에 관해,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폐토너 제2 커플링(30)으로의 구동 연결 구성을 설명하는 부품 개략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광 드럼(1)의 일단에는, 장치 본체(100)로부터의 구동을 받는 커플링부(1c)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타단부에는, 후술하는 폐토너 반송 스크류(26)로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감광 드럼 기어(1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 베어링(27)(도 3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아이들 기어(52) 및 반송 스크류 기어(53)가 감광 드럼(1)의 축선 방향의 일단 측에 배치된다.
반송 스크류 기어(53)는 반송 스크류(26)에 구동 전달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입력부로부터 클리닝 유닛(13) 일단의 커플링부(1c)에 회전 구동력이 전달된다. 전달된 회전 구동력은, 감광 드럼 기어(1b), 아이들 기어(52), 반송 스크류 기어(53)가 순차 맞물림으로써, 감광 드럼(1)으로부터 반송 스크류(26)로 전달된다. 폐토너 수용실(14a)에 수용된 폐토너는, 반송 스크류(26)가 화살표 G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반송 스크류부(26a)에 의해 화살표 H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렇게 하여,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폐토너 스크류(26)로의 구동 전달이 이루어진다. 폐토너 스크류(26)의 회전 구동력은, 폐토너 스크류(26)의 긴 길이방향 일단에 배치된 제1 커플링 부재(29)로 전달된다.
(제1 커플링 부재의 동작에 관해)
다음으로, 전술한 폐토너 반송 스크류(26)로부터, 제1 커플링 부재(29)로의 구동 전달에 대해, 도 11의 (a) 및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프로세스 카트리지(7) 내에서의 반송 스크류(26)와 제1 커플링 부재(29)와의 결합을 중심선(61a)(도 9의 (a) 및 (b) 참조)의 상방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도 11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커플링 부재(29)에는 구동 핀(29b)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 스크류(26)에는, 구동 전달 블레이드(26g)가 설치되어 있다.
폐토너 스크류(26)가 화살표 G 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 전달 블레이드(26g)는 화살표 S 방향으로 이동한다. 화살표 S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 전달 블레이드(26g)와, 제1 커플링 부재(29) 상의 복수의 구동 핀(29b) 중 하나(29b1)가 결합하여, 화살표 S 방향으로 밀어내어진다. 이 힘에 의해 제1 커플링 부재(29)는, 중심선(61a)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T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여기서, 구동 핀(29b)은, 커플링(29)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된 원통 볼록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경 1.8mm의 구동 핀(29b)이 60도마다 합계 6개 설치되어 있다.
반송 스크류(26)의 축선에 대해, 구동 전달 블레이드(26g)와 접촉 가능한 범위에 구동 핀(29b)이 2개(29b1, 29b2) 존재하는 위상 상태로부터 설명한다((도 11의 (a)).
구동 전달 블레이드(26g)는, 구동 핀(29b)의 회전 방향 T 하류측에서 구동 핀(29b1)을 T 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킨다. 구동 핀(29b1)이, 구동 전달 블레이드(26g)의 구동 전달 범위로부터 벗어나면, 계속해서 구동 전달 핀(29b1)보다 회전 방향 상류 측에 있는 구동 전달 핀(29b2)이 구동 전달 블레이드(26g)에 접촉된다(도 11의 (a)).
구동 전달 블레이드(26g)가 화살표 S 방향으로 더욱 움직임으로써, 제1 커플링 부재(29)의 구동 전달 핀(29b2)이 화살표 S 방향으로 이동된다(도 11의 (b)).
이렇게 하여, 제1 커플링 부재(29)는 화살표 T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다시 회전 상류의 구동 핀(29b)이 구동 전달 블레이드(26g)와 결합 가능한 위치까지 이동하여 오게 된다(도 11의 (a)).
이상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제1 커플링 부재(29)는, 반송 스크류(26)의 회전에 의해 회전 이동을 계속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커플링 부재(29) 중심으로부터, 반송 스크류(26)의 축선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내린 선을 선 X라 한다. 선 X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동일 각도 Y로 구동 핀(29b)이 2개 존재할 때에, 구동 핀(29b1)과, 구동 핀(29b2)이, 반송 스크류(26)의 축선 방향으로 가장 멀어진 위치가 된다. 또한, 이 때의 구동 핀(29b1)과 구동핀(29b2)의 축방향 축간 거리를 Z라 한다(도 11의 (a) 참조).
폐토너 스크류(26)의 축선 방향에서 본 구동 핀(29b) 간 거리 Z에 대해, 구동 전달 블레이드(26g)의 스크류의 피치는 커지고 있다.
그 때문에, 구동 전달 블레이드(26g)와 구동 핀(29b)이 결합하여 구동 핀(29b)을 연속하여 계속 누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구동 핀(29b)의 반송 스크류(26) 축선 방향에서의 피치(거리 Z)와 반송 스크류(26)의 피치가 가까울수록, 제1 커플링 부재(29)는 연속적으로(스무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감광 드럼(1)의 회전 구동이, 폐토너 스크류(26)를 경유하여, 감광 드럼(1)의 축선과 직교 방향(제2 반송로(61)의 중심선(61a)) 중심의 회전으로 변환되고 제1 커플링 부재(29)로 전달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 스크류(26)는 감광 드럼(1)의 회전에 의해, 구동이 전달되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현상 롤러(17)의 회전에 연동하여 반송 스크류(26)를 구동하는 구성이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커플링 부재의 동작에 관해)
제1 커플링 부재(29)로부터, 제2 커플링 부재(30)로의 구동 전달에 대해, 도 12, 도 13의 (a) 및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폐토너 배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분해 개략도이다. 또한, 도 13의 (a) 및 (b)는 커플링 받음부(28)에의 제1 커플링 부재(29), 제2 커플링 부재(30)의 장착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커플링 부재(29), 제2 커플링 부재(30), 커플링 스프링(31), 커플링 받음부(28)와 연결 부재(32)는 중심선(61a)을 따라 대략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커플링 부재(29)와 제2 커플링 부재(30)는 커플링 스프링(31)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 부재(32)는, 커플링 받음부(28)에 대해, 제2 커플링 부재(30)와 함께, 커플링 스프링(3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도 12의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커플링 받음부(28)는, 제1 커플링 부재(29)나 제2 커플링 부재(30)를 내부에 받아들임으로써,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부이다. 또한, 연결부(32)도 커플링 받음부(28)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커플링 받음부(28)에 의해 지지된다. 그 때문에 커플링 받음부(28)는 연결 부재(32)의 지지부이기도 하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커플링 부재(29)는, 전술한 반송 스크류(26)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돌기 형상의 구동 핀(29b)을 복수 구비하는 부재이다. 또한, 제1 커플링 부재(29)는 제2 커플링 부재(30)로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2개의 돌기 형상의 구동 갈고랑이부(29c)를 구비한다.
제1 커플링 부재(29)의 구동 갈고랑이부(29c)가 커플링 받음부(28)의 원통부(28a)의 내경부에 끼워 넣어져, 제1 커플링 부재(29)는 커플링 받음부(2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서, 구동 갈고랑이부(29c)는, 원통 형상의 일부를 절결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커플링 부재(30)에는, 제1 커플링 부재(29)의 구동 갈고랑이부(29c)로부터 회전 구동을 받는 구동 갈고랑이부(30f)가 2개소 설치되어 있다. 제2 커플링 부재(30)는, 구동 갈고랑이부(30f)의 대향 방향으로 홈부(30b), 스프링 걸림 홈부(30c)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갈고랑이부(30f)도, 원통 형상의 일부를 절결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갈고랑이부(30f)의 외경 치수는 구동 갈고랑이부(29c)와 대략 동일하다. 도 13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갈고랑이부(30f)가 제1 커플링 부재(29)의 구동 갈고랑이부(29c)와 대향하도록, 제2 커플링 부재(30)는 커플링 받음부(28)의 원통부(28a)에 삽입된다.
여기서, 구동 갈고랑이부(29c, 30f)는 원통의 일부가 절결되어진 돌기 형상이라고 표현할 수 있고, 구동 전달면을 구비하는 구부러진 판 모양의 형상이라고도 표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 외형은 한 변이 경사지고, 대향하는 타변은 회전축과 평행한 사다리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형상은 서로 구동력을 전달하면서도, 위상의 어긋남에 대해 허용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되고, 본 실시예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가압 부재로서의 커플링 스프링(31)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에 절곡 형상(31a), 대향 방향에 링 형상(31b)을 가지는 토션 코일 스프링이다. 커플링 스프링(31)은 제2 커플링 부재(30)에, 화살표 I 방향으로 삽입되고, 절곡 형상(31a)이 스프링 걸림 홈(30c)에 끼워 넣어진다.
또한, 제2 커플링(30)과 결합한 상태에서, 커플링 스프링(31)의 원 형상(31b)이 제1 커플링 부재(29)의 홈부(29f)에 결합(감합)한다.
이 때, 커플링 스프링(31)은, 자유 길이에 대해 신장된 상태가 된다. 바꾸어 말하면, 커플링 스프링(31)은 줄어드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주는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제1 커플링 부재(29)와 제2 커플링 부재(30)가 서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 가압력에 의해, 제1 커플링 부재(29)의 지지부(29d)는, 커플링 받음부(28)의 지지부(28b)와 부딪친다.
또한, 제2 커플링 부재(30)는, 커플링 받음부(28)의 원통 형상(28a)의 선단부에 설치된 지지부(28c)와 구동 갈고랑이부(30f)에 설치된 돌기부(30d)가 부딪친다. 그리고, 커플링 스프링(31)의 가압력을 받은 상태에서 중심선(61a)의 회전 방향 T 방향으로 위치 결정 지지된다.
커플링 스프링(31)에 가압된 상태에서, 제1 커플링 부재(29)와 제2 커플링 부재(30)는, 커플링 받음부(28)의 원통부(28a) 내주에 의해 구동 갈고랑이부(29c, 30f)를 거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제1 커플링 부재(29), 제2 커플링 부재(30)는, 중심선(61a)의 화살표 T 방향으로, 결합부(29e), 결합부(30g)가 결합하고, 일체로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제1 커플링 부재(29)로부터, 제2 커플링 부재(30)로의 구동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2 커플링 부재(30)에 있어서, 커플링 받음부(28)의 원통부(28a)의 선단에 마련된 지지부(28c)와 구동 갈고랑이부(30f)에 설치된 돌기부(30d)는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이것은 커플링 스프링(31)으로부터의 가압력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 중심선(61a)의 회전 방향 T에서 위치 결정 및 지지된다.
커플링 스프링(31)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에 있어서, 제1 커플링 부재(29) 및 제2 커플링 부재(30)는 구동 갈고랑이부(29c, 30f)를 거쳐 커플링 받음부(28)의 원통부(28a)의 내주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커플링 부재(29) 및 제2 커플링 부재(30)는 중심선(61a)의 화살표 T 방향으로 결합부(29e) 및 결합부(30g)와 각각 결합하고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제1 커플링 부재(29)로부터 제2 커플링 부재(30)로의 구동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이상의 구성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로부터 장치 본체(100)로의 페토너 반송부의 구동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폐토너 배출부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커플링 홀더의 장착)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플링 부재(29), 제2 커플링 부재(30), 및 커플링 스프링(31)이 커플링 받음부(28)에 장착된다.
커플링 받음부(28)의 용접부(28e)는, 제1 커플링 부재(29), 제2 커플링 부재(30) 및 커플링 스프링(31)이 장착된 상태에서 베어링 부재(27R)(도 3)에 용접 또는 접착된다. 이에 의해 외부로의 폐토너의 누설이 감소된다.
연결 부재(32)는 화살표 I 방향으로 커플링 받음부(28) 내로 동축으로 끼워 맞춰진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받음부(28)는 축 회전 방향으로 연결 부재(32)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회전 멈춤 리브(28d)를 갖는다. 연결 부재(32)는 그 둘레 방향으로의 일부에 오목한 회전 위치 결정 홈(32i)을 구비한다.
연결 부재(32)가 화살표 I 방향으로 끼워 맞춰지면, 커플링 받음부(28)의 회전 멈춤 리브(28d)가 연결 부재(32)의 홈(32i)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하여, 커플링 받음부(28)와 연결 부재(32)의 위치가 축선(61a)에 관한 회전 방향으로 규제된다.
도 13의 (a) 및 (b)를 참조하여, 폐토너 연결 부재(32)를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의 (a) 및 (b)는 폐토너 배출부를 조립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2 커플링 부재(30) 상에, 두 개의 압축 갈고랑이부(30e)가 대향 방향으로 원통에 제공되어 있다.
또한, 도 1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2)는 축선 방향으로 제2 커플링 부재(30)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32a)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부재(32)가 커플링 받음부(28) 내로 끼워 맞춰지면, 지지부(32a)가 구부러져 방사(radial) 방향으로 커플링 받음부(28)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커플링 부재(30)의 압축 갈고랑이부(30e)를 압축한다.
또한, 연결 부재(32)를 누름으로써, 지지부(32a)가 제2 커플링 부재(30)의 압축 갈고랑이부(30e)를 완전히 오버라이딩한다. 커플링 부재(32)는 수직 방향으로 제2 커플링 부재(30)의 압축 갈고랑이부(30e)에 의해 지지부(32a)에 의해 지지된다(도 13의 (b)).
이 때, 압축 갈고랑이부(30e)가 화살표 I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지지부(32a)를 안정적으로 오버라이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폐토너 연결 부재(32)가 화살표 I 방향으로 커플링 받음부(28)에 장착될 때, 압축 갈고랑이부(30e)가, 폐토너 연결 부재(32)의 상면부(단부)(32p)와 커플링 받음부(28)가 서로 접촉하기 전에 지지부(32a)를 오버라이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폐토너 연결 부재(32)가 커플링 받음부(28)에 대해 간극 Q를 가지고 장착된다. 시일(501)이 간극 Q에 장착되어 폐토너의 누설을 방지한다. 이하, 시일(501)에 대해 설명한다.
[신축 기구에 관한 설명]
이하, 토너 반송로(배출로)를 신축시키는 신축 기구, 신축 동작에 대해 도 13 및 도 14의 (a) 및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4의 (a) 및 (b)는 폐토너 배출부의 부품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전술한 것처럼, 제1 커플링 부재(29), 제2 커플링 부재(30)는, 커플링 스프링(31)에 의해 화살표 I 방향으로 가압되어 연결되고 있다(도 13의 (a) 및 (b) 참조).
이 때문에, 연결 부재(32)는, 제2 커플링 부재(30)와 함께, 프로세스 카트리지(7)에 대해,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도 14의 (a), (b)).
또한, 제1 커플링 부재(29)의 구동 갈고랑이부(29c)와 제2 커플링 부재(30)의 구동 갈고랑이부(30f)는, 커플링 받음부(28)의 원통부(28)의 내경부에 있어 회전 화살표 T 방향으로 결합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커플링 부재(29)에 대해, 제2 커플링 부재(30)가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도 14(b))에서도, 결합부(29e, 30g)는 회전 화살표 T 방향으로 구동 전달 가능하다.
카트리지가 본체 내에 장착되어, 인자 동작을 실시하고 있을 때는, 연결 부재(32)는, 제1 커플링 부재(29)에 대해, 제2 커플링 부재(30)가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구동 전달 위치에 있는 상태, 도 14의 (b))가 된다.
한편, 프로세스 카트리지(7) 단체일 때(연결 부재(32)가 퇴피 위치에 있는 상태:도 14(a))에, 커플링 스프링(31)(도 13 참조)의 작용에 의해, 제1 커플링 부재(29)와 제2 커플링 부재(30)가 서로 끌어당긴다. 이에 따라 연결 부재(32)가 화살표 I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연결 부재(32)의 선단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외형(도 16의 외형선 L) 내에 들어간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폐토너 배출부의 제1 커플링 부재(29), 제2 커플링 부재(30)는 본체 접속 상태(구동 연결 위치), 본체 퇴피 상태(퇴피 위치)의 어느 상태에서도 결합하여 회전을 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단품 상태(퇴피 위치)에서도, 감광 드럼(1)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 커플링 부재(29)와 제2 커플링 부재(30)의 결합을 검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로부터 장치 본체(100)로의 폐토너의 전달의 경로에 대해 설명한다.
(인자 중의 폐토너 반송에 관해)
클리닝 블레이드(6)에 의해 상 담지체로서의 감광체(1) 상으로부터 회수된 폐토너는, 수납부로서의 폐토너 수용부(14a)에 수용된다(도 4 참조). 폐토너 수용부(14a)의 제1 반송로(51) 내에 반송 부재(카트리지측 반송 부재측)로서의 반송 스크류(26)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폐토너 수용부로 회수된 폐토너는 카트리지측 반송 부재로서의 반송 스크류(26)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긴 길이방향 일단측(화살표 H 방향)으로 반송된다(도 5 참조).
반송된 폐토너는 제2 반송로(61)를 통해서, 장치 본체의 폐토너 받아들임 개구(80d)로 반송된다. 제2 반송로(61)에는, 제1 커플링 부재(29), 커플링 스프링(31), 제2 커플링 부재(30), 연결 부재(32)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32)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 폐토너 받아들임 개구(80d)와 연결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로부터 배출된 폐토너는, 폐토너 받아들임 개구(80d)로부터 스프링 커플링(44), 본체측 반송 부재로서의 반송 핀(45)을 통과하여, 제2 반송로(80b)로 보내진다. 그 후, 제2 반송로(80b) 내에 설치된 본체 반송 스크류(85)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측) 수납부로서의 폐토너 박스(86)(도 2 참조)로 배출되어, 수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폐토너의 전달 구성의 상세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에서의 폐토너의 흐름에 관한 설명)
전술한 것처럼, 폐토너는 폐토너 스크류(26)에 의해 감광체(1)의 축선 방향 일단(도 5 화살표 H 방향)을 향하여 반송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스크류부(26e)는, 반송 스크류(26)의 제2 반송부로 간주할 수도 있다. 즉 반송 스크류(26)는, 토너를 반송하기 위한 주요부인 제1 반송부(반송 스크류부(26a))와, 그 제1 반송부와는 반대쪽을 향해 토너를 반송하는 제2 반송부(역스크류부(26e))를 가진다.
반송 스크류(26)의 반송 스크류부(26a)는, 개구부(61b)(도 11의 (b) 참조)를 향해 토너를 반송하기 위한 부분이다. 한편, 제2 반송부(역스크류(26e))는, 반송 스크류부(26a)의 토너 반송 방향에 있어서, 반송 스크류부(26a)보다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는 부분이다. 제2 반송부인 역스크류(26e)는 개구부(61b)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역스크류(26e)의 길이는, 제1 반송부에 비해 짧다.
반송된 폐토너는, 반송 스크류부(26a)와, 역스크류부(26e)의 사이에서 충돌하고, 제1 커플링 부재(29)의 구멍부(29a)로부터 개구부(61b)로 보내진다(도 11의 (a)의 화살표 U 방향).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스크류(26)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1 커플링 부재(29)는 화살표 T 방향으로 회전된다. 구멍부(29a)를 통과한 폐토너는, 제1 커플링 부재(29)에 장착된 커플링 스프링(31)의 내경으로 이동한다(도 9 참조).
또한, 도 9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토너는 제1 커플링 부재(29)와 결합하는 제2 커플링 부재(30)의 구멍부(30a)로 이동한다. 동시에, 제1 커플링 부재(29)의 회전에 수반하여, 결합부(29e)로부터 제2 커플링 부재(30)의 결합부(30g)로 구동이 전달된다. 이 때문에, 제1 커플링 부재(29), 제2 커플링 부재(30)와 커플링 스프링(31)이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커플링 스프링(31)은, 회전할 때에 폐토너를 도 9의 (a) 및 (b)의 화살표 N 방향으로 반송하는 방향으로 감겨져 있다. 이 때문에, 폐토너는, 화살표 N 방향으로, 자유 낙하함과 함께, 반송력을 갖고 화살표 N 방향으로 적극적으로 반송된다. 나아가 커플링 스프링(31)이, 화살표 T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폐토너를 느슨하게 풀어주는 효과도 발생한다. 이 때문에, 폐토너의 반송(이동)을 보다 스무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커플링 스프링(31), 제2 커플링 부재(30)의 구멍부(30a)를 통과한 폐토너는, 제2 커플링 부재(30)에 화살표 N 방향으로 지지된 연결 부재(32)의 폐토너 배출부(32d)로부터 배출된다. 이상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 내에서의 폐토너의 배출까지의 움직임이다.
(폐토너 배출부 하류측에 있어서의 폐토너의 흐름)
도 9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토너 배출부(32d)로부터 배출된 폐토너는, 폐토너 배출부(32d) 하부에 배치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가 구비하는 폐토너 받아들임 개구(80d)로부터 제1 반송로(80a)를 거쳐, 제2 반송로(80b)로 들어간다.
도 15는, 장치 본체(100) 내의 폐토너 반송 방법을 설명하는 배면부의 단면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토너 받아들임 개구(80d), 및, 제1 반송로(80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 설치되어 있고(80aY, 80aM, 80aC, 80aK), 각 색 연통한 반송로(80b)로, 폐토너를 송출하고 있다.
반송로(80b)에 들어간 폐토너는, 반송로(80b) 내의 반송 부재로서의 본체 반송 스크류(85)에 의해 폐토너 박스(86)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폐토너 반송 구성의 배치, 조립의 상세 내용을 설명한다.
(반송로의 배치와 그 단면에 관해)
폐토너 반송 구성의 배치에 대해 도 11,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6의 (a) 및 (b)는, 제2 반송로(61)의 중심선(61a)을 중심으로 한 반송 스크류(26)와 배출구(32d)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반송로(61)의 중심선(61a)은, 제1 반송 부재(26)의 축중심(26a)과, 감광 드럼(1)의 축중심(1a)의 사이를 지나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중심선(61a)에 대해서 감광체 드럼(1)의 회전 중심(1a)과, 제1 반송 부재(26)의 회전 중심은 서로 반대 측에 위치한다.
또한 중심선(61a)은, 제2 커플링 부재(30)의 회전 축선과 거의 동일한 직선이다. 즉, 감광체 드럼(1)의 회전 중심(1a)과, 폐토너 반송 스크류(26)의 회전 중심은 제2 커플링 부재(30)의 회전 축선(축선(61a))에 대해 서로 반대 측에 있다.
상기와 같은 배치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감광체 드럼(1)이나 폐토너 반송 스크류(26)나, 제2 반송로(배출로)(61)를 작은 스페이스에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클리닝 프레임(14)의 외형선 L(도 3 참조)로부터의 돌출량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그 때문에, 감광체 드럼(1)의 축선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클리닝 유닛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1(b),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선(61a)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제2 반송로(61)의 개구부(61b)는, 반송 스크류(26)의 회전 시에 역스크류부(26e)가 취할 수 있는 영역과 범위 K에 있어서 오버랩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개구부(61b)는, 제1 반송로(51)와 제2 반송로(61)가 연통하는 연통부이다.
이에 의해, 반송 스크류(26)의 반송력에 의해, 제1 반송로(51)로부터 제2 반송로(61)로 폐토너를 스무드하게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도 1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의 긴 길이방향(도면 중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1 반송로(51)와, 제2 반송로(61)가 오버랩한다. 이에 의해, 폐토너의 반송에 필요한 반송로의 직경을 확보하면서, 클리닝 유닛(13)의 긴 길이방향의 폭을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연결부의 시일 구성에 관해)
도 1은 본 실시예에 기재하는 시일의 설치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장치 본체에 접속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폐토너 반송로의 간극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 받음부(28)의 원통부(28a)에는, 폐토너 연결부(32)가 동축(61a) 상에 설치되어 있다. 폐토너 연결부(32)는 커플링 받음부(28)의 원통부(28a)에 간극을 갖고 끼워 넣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폐토너 연결부(32)는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커플링 받음부(28)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것처럼, 폐토너 연결부(32)는, 커플링 받음부(28)에 대해 간극 Q를 갖고 설치되어 있다. 간극부 Q에는, 탄성을 가지는 시일(501)이 설치되어 있다. 시일(501)은, 토너의 배출로를 시일함으로써 카트리지의 외부로 토너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하는 부재(봉지부, 봉지 부재)이다. 시일(501)의 예로서는, 발포한 폴리프로필렌이나 발포한 우레탄 폼 등이 있다.
시일(501)은 탄성을 갖고, 전술한 것처럼, 폐토너 연결부(32)를 조립할 때에, 폐토너 연결부(32)를 화살표 I 방향으로 장착하여 나감으로써, 화살표 I 방향으로 압축된다. 이때, 간극 Q에 설치된 시일(501)은, 연결 부재(32)의 상면부(32p)에 압축됨으로써, 조립성을 저해하는 일 없이, 간극 Q를 막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면부(32p)는, 배출구(32d)로부터 배출되는 토너의 이동 방향(화살표 N 방향)에 있어서 연결 부재(32)의 상류 측에 설치된 단부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토너의 이동 방향 N은, 진출 위치(연결 위치:도 16의 (b) 참조)로 이동할 때의 연결 부재(32)의 이동 방향과 실질적으로 같은 방향이다. 반대로 말하면, 토너의 이동 방향 N은, 퇴피 위치(도 16의 (a) 참조)를 향해 이동하는 연결 부재(32)의 이동 방향 I와는 실질적으로 반대의 방향이다.
다음으로 시일(501)의 설치 방법에 대해, 도 18,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8의 (a), (b), (c)는 시일(501)의 커플링 받음부(28)에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는 외관 사시도, 도 19는 시일(501)의 외관도이다.
도 18의 (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 받음부(28)에는, 면(28g)에 대해, 오목형상이 되는 시일 설치 홈(28h)가, 원통부(28a)의 외주에 배치되고 있다. 또한, 커플링 받음부(28)에는, 시일(501)을 계지하기 위한 홈부(28j), 오목 형상의 구멍부(28k)가 설치되어 있다.
도 18의 (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501)은, 커플링 받음부(28)의 원통부(28a)에 끼워 넣어지는 구멍 형상(501a)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멍 직경 상의 일부에는 커플링 받음부(28)의 볼록 형상의 회전 멈춤 리브(28d)에 끼워 넣어지는 위치에, 오목부(501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시일(501)에는 원통 형상(501a)의 회전 방향으로 커플링 받음부(28)에 대해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볼록 형상(501c)이 설치되어 있다(도 19 참조). 볼록 형상(501c)은, 세부(細部)(501d)를 근원에, 태부(太部)(501e)를 가지는 돌기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501)을 커플링 받음부(28)에 대해, 화살표 I 방향으로 장착하여 나간다. 시일(501)의 구멍 형상(501a)이, 커플링 받음부(28)의 원통부(28a)에 끼워 넣어짐과 동시에, 시일(501)의 오목부(501b)가, 회전 멈춤 리브(28d)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원통 형상에서의 회전 방향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면서, 면(28g)까지 삽입되어 간다. 시일(501)이 면(28g)까지 도달한 후(도 18(b)), 시일(501)을 더욱 압축하면, 시일 설치 홈(28h)에 원통 형상의 시일(501)이 들어간다. 이 때에, 시일(501)의 외경(501f)은 시일 설치 홈(28h)의 외주보다 조금 크게 만들어져 있어, 시일(501)의 탄성에 의해, 커플링 받음부(28)에 대해서 외경 차분의 압축에 의해 계지된다. 또한, 시일(501)의 볼록 형상의 태부(501c)를 오목 형상의 홈부(28j)에 끼워 넣음으로써, 시일의 세부(501d)가 시일 설치 홈(28j)에 압입 상태로 밀어넣어진다.
이렇게 하여, 세부(501d)가 시일 설치 홈(28j)에 압입되는 힘, 및, 시일 설치 홈(28h)에서의 시일(501)의 탄성에 의한 보유 지지력에 의해, 시일(501)은 커플링 받음부(28)에 대해 화살표 N 방향으로 빠지는 일 없이, 장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시일의 탄성을 이용하여 커플링 받음부(28)에 대한 설치를 행하는 구성을 설명하고 있다. 즉 커플링 받음부(28)에 설치된 오목부(시일 설치 홈(28h)에, 시일(501)이 압축되면서 끼워 넣어져, 이 오목부(움푹 패인 부분)에 시일 부재(501)가 고정된다. 즉 커플링 받음부(28)의 오목부(시일 설치 홈(28h)에 시일(501)이 압입되어 있다. 그러나 시일(봉지부)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시일(501)의 커플링 받음부(28)의 설치면 측에 점착제, 접착재 등을 이용하여 접착하는(붙이는)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이와 같은 접착과 압입을 동시에 행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커플링 받음부(28)에 시일(501)을 설치한 상태에서의, 장치 본체에 접속했을 때의 움직임에 관해 도 20의 (a), (b), (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0의 (a)는, 장치 본체(100)에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설치하였을 때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만의 단면도이다. 도 20의 (b)는, 장치 본체(100)와 카트리지(7)의 연결 상태 시의 단면도이다. 도 20의 (c)는, 연결 상태로부터, 다시 연결 해제하였을 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0)에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설치하면, 폐토너 연결부(32)는, 장치 본체(100)의 암(42)(도 8의 (b) 참조)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장치 본체(100)의 프론트 도어(91)(도 6 참조)를 닫음으로써, 폐토너 연결부(32)는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8의 (c), 도 20의 (b))
이 때, 시일(501)은 커플링 받음부(28)에 압입 계지된 상태로 커플링 받음부(28)에 보유 지지된다. 다시 장치 본체(100)의 프론트 도어(91)가 열리면, 폐토너 배출부(32)는 내부에 설치된 인장 스프링(31)의 가압력(인장력)에 의해 화살표 I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20의 (b) 참조)
폐토너 연결부(32)의 상면(32p)은, 인장 스프링(31)의 가압력(인장력)에 의해 시일(501)을 화살표 I 방향으로 압축한다.
이렇게 하여, 폐토너 연결부(32)는, 도 20의 (a)와 동일한 위치까지 이동하고, 장치 본체(100)와의 접속이 해제된다(도 20의 (c)).
여기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극 Q는 적어서, 만일 시일(501)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커플링 받음부(28)의 원통부(28a)에 연결 부재(32)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폐토너의 누출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예를 들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용 후의 수송 등에 의해, 카트리지(7)에 진동이나, 기울어짐이 생겼을 경우에, 폐토너 배출 경로 내의 토너 상태에 따라서는, 전술한 간극 Q로부터, 화살표 R의 경로에서 토너가 누출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에도, 시일(501)을 설치함으로써, 진동이나, 기울어짐이 생겼을 경우에도, 폐토너 배출 경로 내의 토너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20에 나타내는 움직임 중에서, 폐토너 반송로 내(제2 반송로(61))에 토너가 개재한 경우, 폐토너 연결부(32)의 위치가, 도 20의 (b)로부터 도 20의 (c)의 상태로 변화할 때에, 간극 Q로부터 폐토너가 조금 분출할 우려가 있다. 이 때에도, 시일(501)을 설치함으로써, 토너의 유출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의 구성을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로(제2 반송로(61))가 가동부(연결 부재(32))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가동부의 주위에는 공간(간극 Q)이 생기므로, 이 공간이 배출로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경로를 배출구(32d) 이외에도 형성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경로(공간)로부터 토너가 유출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봉지부(시일(501))를 가동부(연결 부재(32))에 접촉시킴으로써, 배출로를 보다 확실히 봉지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카트리지(7)는,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제거된 토너를 반송하기 위한 배출로로서 제2 반송로(61)(도 5 참조)를 갖는다. 커플링 받음부(28)나 커플링(29)이나 연결부(32)의 내부에는 공간이 있어서(도 12, 도 9의 (a), 도 9의 (b) 참조), 이 공간이 제2 반송로(61)(도 5 참조)이다.
즉 커플링 받음부(28)나 커플링(29), 연결 부재(32)의 내부 공간을 토너가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제2 반송로(61)의 단부에 설치된 배출구(32d)로부터 카트리지의 외부로 배출된다(도 5, 도 9의 (a), (b) 참조). 배출구(32d)는 연결 부재(32)에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의 외부로 노출되는 커플링 받음부(28)나 연결 부재(32)는 모두 중공의 통 형상(관 형상,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즉, 배출로는 이중 통 구조이다. 커플링 받음부(28)의 원통부(28a)(도 17 참조)는 연결 부재(32)의 내측에 배치된 내통이다. 한편, 연결 부재(32)는 커플링 받음부(28)의 원통부(28a)의 외측에 배치된 외통이다. 즉, 연결 부재(32)는 커플링 받음부(28)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32)가 이동함으로써 제2 반송로(61)는 신축한다. 즉, 연결 부재(32)는, 커플링 받음부(28) 등에 대해 이동 가능한 가동부로서, 퇴피 위치(도 9의 (a) 참조)와 진출 위치(연결 위치:도 9의 (b) 참조)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즉, 연결 부재(32)는 커플링 받음부(28)의 원통부(28a)를 따라 진퇴 가능하다.
배출되는 토너의 이동 방향(화살표 N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 측으로 연결 부재(32)가 퇴피함으로써, 연결 부재(32)는 퇴피 위치에 도달한다(도 9의 (a) 참조).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해서 장착 또는 떼어내질 때는, 연결 부재(32)가 퇴피 위치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연결 부재(32)가 카트리지의 착탈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도 8의 (a) 참조). 또한 카트리지가 사용되고 있지 않는 보관 시 등에, 연결 부재(32)가 퇴피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카트리지의 사이즈를 작게 유지할 수 있다.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너의 이동 방향(화살표 N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 측을 향하여 연결 부재(32)가 진출함으로써, 연결 부재(32)는 진출 위치(연결 위치)에 도달한다. 카트리지(7)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되어 진출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카트리지의 배출로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받아들임 개구(80d)에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즉 연결 부재(32)는, 카트리지의 제2 반송로(61)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받아들임 개구(80d)를 연결하는 연결부이다. 이 연결 상태에 있어서, 토너가 배출로의 배출구(32d)를 지나서 카트리지의 외부의 받아들임 개구(80d)로 배출된다.
또한 연결 부재(32)는 커플링 받음부(28)를 따라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도 14의 (a), (b) 참조). 커플링 받음부(28)는, 연결 부재(32)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연결부(32)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이기도 하다. 커플링 받음부(28)의 외주가 연결 부재(32)의 내주를 가이드 한다. 원활히 연결 부재(32)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커플링 받음부(28)의 외주와 연결 부재(32)의 내주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공간)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커플링 받음부(28)의 내부 공간은 배출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즉, 카트리지 받음부(28)는 배출로의 일부로 간주할 수 있다. 커플링 받음부(28)는 카트리지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어, 카트리지의 프레임의 일부로 간주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 부재(32)가 배출로의 가동부인데 대해, 커플링 받음부(28)는 배출로의 고정부(不動部)이다. 즉, 커플링 받음부(28)는 카트리지(7)에 대해 고정되고 있어 움직이지 않는다.
연결 부재(32)의 진출 및 퇴피에 연동하여, 제2 커플링 부재(30)도 진출 및 퇴피한다. 이 제2 커플링 부재(30)는, 진출했을 때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된 스프링 커플링(44)과 연결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제2 커플링 부재(30)는, 스프링 커플링(44)이나 반송 핀(45)으로 구동력을 전달 가능한 상황(구동 전달 위치(진출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제2 커플링 부재(30)는 퇴피하였을 때(연결 해제 위치(퇴피 위치)에 위치할 때)에, 스프링 커플링(44)과의 연결을 해소한다.
제2 커플링 부재(30)를 퇴피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제2 커플링 부재(30)가 카트리지(7)의 착탈에 방해가 될 일은 없고, 카트리지(7)를 장치 본체로부터 떼어내었을 때에, 카트리지(7)의 사이즈를 작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사이에, 토너의 반송 경로를 연결하거나, 구동력의 전달 경로를 연결하거나 하기 위해서, 연결 부재(32)나 제2 커플링 부재(30)와 같은 가동 기구(진퇴 기구)를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가동 기구(진퇴 기구)를 토너의 유로에 마련하면, 토너가 경시적으로 가동 기구의 동작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 가동 기구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측은 아니고 카트리지(7) 측에 마련함으로써 그 동작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카트리지(7)가 교환되는 타이밍에 가동 기구도 새로운 것으로 교환되므로, 같은 가동 기구가 과도하게 긴 기간 사용되기 어려워, 가동 부재의 동작 안정성을 유지하기 쉽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받아들임 개구(80d)의 내부에 설치된 토너의 반송 부재(스프링 커플링(44) 또는 반송 핀(45):도 5, 도 9의 (a), (b) 참조)는, 카트리지 측의 배출로(61)에 설치된 제2 커플링 부재(30)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된다. 즉 토너의 반송로의 내부에서 스프링 커플링(44) 또는 반송 핀(45)으로 구동력이 전달되고 있으므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 간략화되어 있다. 만일 본 실시예와는 달리, 토너의 반송로의 외부로부터 스프링 커플링(44) 또는 반송 핀(45)에 구동력을 입력하려고 하면, 구동 전달 기구의 일부가 토너의 반송로의 내외를 관통하는 구성을 취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는, 반송로의 관통부의 주위에서 토너가 새지 않게 할 필요가 있는 등, 본 실시예보다도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이 복잡화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토너의 반송로 내에 제2 커플링 부재(30)나 스프링 커플링(44)이 배치되어 있으면, 서로가 맞물리는 부분 사이에 토너가 개재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커플링 부재(30)와 스프링 커플링(44)이 같은 축선을 따라 배치되어, 양자가 커플링 되었을 때에는 이들이 일체적으로 회전하므로, 이들 커플링은 토너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만일 본 실시예와 달리, 2개의 커플링 부재의 연결(커플링)은 아니고, 2개의 기어의 치합에 의해 반송 핀(45)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토너가 각 기어의 이빨을 마모시키는 등의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즉 2개의 기어는, 회전하여 서로 치합하는 이빨을 상시 변화시키면서 구동력을 전달한다. 그 때문에 서로의 기어 이빨 사이에 토너가 개재하고 있으면, 이들 기어 이빨의 치합의 변화에 수반하여 토너와 이빨의 사이에 마찰이 생겨, 토너가 이빨의 마모를 일으키게 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커플링 구성을 채용하면, 제2 커플링 부재(30)와 스프링 커플링(44)은, 커플링 되었을 때에 실질적으로 같은 축선을 중심으로 일체적으로 회전하므로, 양 커플링의 결합은 변화하기 어렵다. 따라서 양 커플링의 사이에 토너가 개재하고 있어도, 양 커플링은 마모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카트리지(7)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스프링 커플링(44) 또는 반송 핀(45)으로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아, 이들이 회전하지 않는다. 카트리지(7)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동력(모터)이 인가되고 있었다고 해도, 스프링 커플링(44) 또는 반송 핀(45)이 회전하지 않으므로, 이들이 토너 받아들임 개구(80) 내부의 토너를 비산시켜 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카트리지는, 셔터(34)를 갖는다(도 7의 (a), (b) 참조). 셔터(34)는 배출구(32d)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부재이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 완료된 상태에서는, 셔터(34)는 배출구(32d)를 개방한다(도 9의 (b)). 이에 의해, 배출구(32d)로부터 토너가 카트리지의 외부, 즉 화상 형성 장치 본체를 향해 배출되는 것을 허용한다(도 9의 (b) 참조). 한편,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셔터(34)가 연결부(32)의 배출구(32d)나 제2 반송로의 개구를 덮는다(도 7의 (a) 참조). 이에 의해 배출구(32d)나 제2 반송로(61)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도 7의 (a)는, 셔터(34)가, 제2 반송로(61)의 배출구(즉 연결 부재(32)의 배출구(32d))를 덮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떼어 내어져 있는 상태에서는, 이와 같이 셔터(34)에 의해, 토너가 카트리지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은 억제되고 있다.
그러나 이 상태에 있어서도, 배출구(32d) 이외에 토너를 누출시킬 수 있는 간극(극간, 공간)이, 배출로의 가동부(연결 부재(32))의 주위에 생길 경우가 있다. 즉, 카트리지의 프레임(커플링 받음부(28))과 연결 부재(32)의 사이에는 약간의 공간이 있고, 특히 배출구(32d)의 상면부(32p)의 주변(근방)에 있어서 생기는 공간(간극 Q)은, 카트리지의 외부로 통하고 있다(도 17 참조).
토너의 이동 방향(화살표 N 방향)에 있어서, 간극 Q는 배출구(32d)보다도 상류에 있으므로, 통상의 카트리지의 취급에 있어서는 간극 Q로부터 토너가 새는 일은 없다. 그러나,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떼어내진 후에, 흔들려지거나 하면 그 충격에 의해 배출로 내부의 토너가 연결 부재(32)와 카트리지 받음부(28)의 간극을 지나 화살표 R 방향으로 가리키는 경로를 이동하는 경우가 생각된다. 이 경우, 토너가, 최종적으로 간극 Q로부터 외부로 누출될 우려가 있다(도 17 참조).
또는, 카트리지(7)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떼어내진 후에, 배출로(제2 반송로(61))가 아래에 배치된 자세를 카트리지가 취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1 반송로(51)나 폐토너 수용실(14a)(도 5 참조)에 남아 있던 토너가 중력에 의해 제2 반송로(61)로 흘러들어, 그 결과 토너가 역류하여, 화살표 R의 경로를 지나 간극 Q로부터 카트리지의 외부로 넘칠 우려가 있다.
또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내부에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에서, 연결 부재(32)가 화살표 I 방향(도 16의 (a), (b) 참조)을 향해 진출 위치(구동 전달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한다. 이 이동의 과정에서, 연결 부재(32)와 커플링 받음부(28)의 사이에 끼워진 토너가 카트리지 외부로 누출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토너의 이동 방향 N에 있어서 배출구(32d)보다도 상류 측에 시일(501)을 배치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연결 부재(32)의 상면(32p)보다도 상류에 시일(501)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결 부재(32)가 퇴피 위치에 있는 때에는, 연결 부재(32)의 상면부(32p)에 이 시일(501)을 접촉시키고 있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떼어 내졌을 때에는, 상기 간극 Q를 시일(501)로 막아 토너의 유출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고 있다. 즉, 배출로로부터 토너가 유출하는 경로가 배출구(32d) 이외에 생기는 것을 시일(501)에 의해 억제하고 있다. 시일(501)은, 배출구(32d)와는 다른 위치에 있어서 연결 부재(32)와 접촉하고, 배출구(32d)와는 다른 위치에서, 배출로를 봉지하는 봉지부이다. 다른 말로 하면, 시일(501)은 셔터(34)와 다른 위치에서 배출로를 봉지하는 봉지부이다.
시일(501)은, 연결부(32)의 상면부(32p)의 주위(근방)에 생기는 간극 Q를 봉지하는 형상이면 된다. 본 실시예는, 연결부(32)는 통 형상(관 형상,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있고, 그 통(관, 파이프)의 단면이 원이다. 그 때문에 시일(501)도, 연결 부재(32)의 형상에 대응한 링 형상(즉 내부에 개구를 형성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시일(501)은 원형의 개구를 가지고 있다(도 18의 (a)). 즉, 시일(501)에 의한 토너의 봉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시일(501)이 연결 부재(32)의 상류측 단부의 전(全) 주위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다른 말로 하면, 시일(501)은, 연결 부재(32)를 형성하는 통의 가장자리의 전체와 접촉한다.
시일(501)은, 제2 반송로(61)를 구성하는 카트리지의 프레임(커플링 받음부(28)의 원통부(28a))의 외주를 덮도록 배치된다. 즉 시일(501)의 개구에는, 원통부(28a)가 관통한다(도 18의 (a), (b), (c)).
또한, 만약 연결 부재(32)나 커플링 받음부(28)의 단면 형상이 원이 아니라 사각이라면, 시일(501)도 이에 대응하여 사각의 개구를 가지는 링 형상으로 하면 된다. 이것은 연결 부재(32)나 카트리지 받음부(28)의 형상이 사각 이외인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며, 배출로의 형상(연결부(32)나 카트리지 받음부(28)의 형상)에 맞추어 시일(501)의 개구의 형상을 바꾸면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시일(501)은 원형의 개구를 형성하는 링 형상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카트리지의 구성에 따라 시일(501)은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시일(501)은 탄성을 갖고 있어서, 연결 부재(32)가 퇴피 위치에 위치할 때에, 연결 부재(32)와 커플링 받음부(28)의 사이에서 시일(501)이 압축된다. 이에 의해 연결 부재(32)와 커플링 받음부(28)에 시일(501)이 밀접하여, 토너가 새는 간극을 확실하게 막고 있다. 한편, 연결 부재(32)가 진출 위치로 이동하면, 시일(501)은 연결 부재(32)의 상면부(32p)로부터 멀어져, 상기 압축이 적어도 일부 해소된다.
또한 시일(501)은, 커플링 받음부(28)에 고정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1의 (a), (b), (c)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32)의 상면부(32p)에 시일(1501)이 고정되어 있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도 21의 (a)는, 장치 본체(100)에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설치했을 때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만의 단면도이다. 도 21의 (b)는, 장치 본체(100)와 카트리지(7)의 연결 상태 시의 단면도이다. 도 21의 (c)는, 연결 상태로부터, 다시 연결 해제하였을 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경우도 전술한 구성과 마찬가지로, 시일(1501)은 토너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연결 부재(32)보다 상류에 배치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지만, 전술한 구성과는 달리 시일은 상면부(32p)와 항상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일(1501)은, 연결 부재(32)가 퇴피 위치에 있을 때에는 연결 부재(32)에 의해 커플링 받음부(28)에 눌려져, 간극(Q)을 막는다.
또는 도 22의 (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2501)이, 커플링 받음부(28)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도 22의 (a)는, 장치 본체(100)에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설치하였을 때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만의 단면도이다. 도 22의 (b)는, 장치 본체(100)와 카트리지(7)의 연결 상태 시의 단면도이다. 도 22의 (c)는, 연결 상태로부터, 다시 연결 해제하였을 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2의 (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2501)은 커플링 받음부(28)에 의해 지지되고 있되, 시일(501)과 달리 커플링 받음부(28)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즉 시일(2501)은, 커플링 받음부(28)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연결 부재(32)가 퇴피 위치에 있을 때에 시일(2501)과 접촉한다면, 간극을 봉지함으로써, 본 실시예와 동등한 봉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시일(2501)이 고정되지 않고 커플링 받음부(28)와 연결 부재(32)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였다고 하더라도, 연결 부재(32)가 퇴피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시일(2501)이 연결 부재(32)에 밀려 커플링 받음부(28)에 눌려진다. 그 결과, 연결 부재(32)가 퇴피 위치로 이동한 시점에서, 시일(2501)이 연결 부재(32)와 커플링 받음부(28)의 사이에 끼워 넣어져, 시일(2501)은 간극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21, 도 22에서 나타내는 시일(1501)이나 시일(2501)은, 연결 부재(32)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므로, 이 때에 이들 시일(2501, 1501)과 커플링 받음부(28)의 사이에 마찰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 마찰에 의해 연결 부재(32)의 원활한 이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마찰이 생기기 어렵게 시일(2501, 1501)을 적당히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시일(501)이 커플링 받음부(28)에 고정되는 경우(도 20 참조)에는, 시일 부재(501)는 부동(不動)이므로, 이러한 마찰의 문제가 애당초 생기지 않는다.
또한 도 20에 나타내는 본 실시예에서는, 시일(501)과 접촉하는 연결 부재(32)의 접촉부는, 연결 부재(32)의 선단에 설치된 상면부(32p)이며, 다른 말로 하면 연결 부재(32)의 단부였다. 그러나, 시일(501)과 접촉하는 연결 부재(32)의 접촉부를 반드시 연결 부재(32)의 단부에 마련할 필요는 없다.
도 23의 (a)에서는, 연결 부재(32)가 시일(501)과의 접촉부로서 플랜지 형상의 상면부(32q)를 가지는 구성이다. 이 상면부(32q)는 전술한 상면부(32q)보다도 면적이 넓고, 상면부(32q)의 외주의 단부와 시일(501)이 접촉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시일(501)은 상면부(32q)의 내주측의 일부분과만 접촉한다. 또한 도 23의 (a)에 있어서도 시일(501)은, 배출로(제2 반송로(61))의 주위 36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있다. 즉 시일(501)은, 연결 부재(32)의 전 주위와 접촉하고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또한 도 23의 (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부(32q)에 시일(1501)을 고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도 시일(1501)은, 배출로(제2 반송로(61))의 주위 36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시일(1501)은, 연결 부재(32)의 전 주위와 접촉하고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또한 도 23의 (b)에서는 시일(1501)은, 커플링 받음부(28)의 원통부(28a)로부터 떨어져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시일(1501)은, 연결 부재(32)와 커플링 받음부(28)의 원통부(28a)의 사이에 생기는 토너의 유로를 막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체 드럼(1)이나 현상 롤러(17), 대전 롤러(16) 등이 하나의 카트리지에 설치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7)가 상기 시일(501)이나 배출로(제2 반송로(61)), 연결 부재(32) 등을 가지고, 또한, 현상 롤러(17)를 갖지 않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일례로서는, 클리닝 유닛(13)과 현상 유닛이 서로 연결되지 않고, 클리닝 유닛(13)이 단체(單體)로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것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 드럼(1)으로부터 토너를 제거하기 위해, 감광 드럼(1)에 판 형상(블레이드 형상)의 클리닝 블레이드(6)를 감광 드럼(1)에 접촉시키고 있다. 그러나 클리닝 블레이드(6) 대신에, 브러쉬 형상의 클리닝 부재 등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는 그러한 모든 변형과 등가 구조 및 기능을 아우르도록 최광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3)

  1.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로부터 제거된 현상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배출로로서, 현상제 배출구 및, 토너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가동부로서, 상기 배출구를 지나는 현상제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 측으로 퇴피한 퇴피 위치와 상기 현상제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 측으로의 진출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가동부를 가지는 배출로와,
    상기 배출구와는 다른 위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배출로를 봉지하는 봉지부
    를 가지는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가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현상제의 이동 방향에 대해 상기 봉지부는 상기 배출구보다 상류 측에 위치하고 있는 카트리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가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현상제의 이동 방향에 대해, 상기 봉지부는 상기 가동부보다 상류 측에 위치하고 있는 카트리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개폐 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배출구를 닫을 때에, 상기 현상제의 이동 방향에 대해 상기 봉지부는 상기 개폐 부재보다 상류 측에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가동부가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배출구를 닫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동부는 상기 퇴피 위치로부터 상기 진출 위치로의 이동이 허용되는 카트리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상기 가동부가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카트리지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끼워지는, 카트리지.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가동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설치된 프레임을 더 갖고,
    상기 봉지부는, 상기 가동부가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프레임과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끼워지는 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출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지지부의 내부를 현상제가 이동할 수 있는 카트리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카트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오목부에 압입되는 카트리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접착되는 카트리지.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상기 가동부에 장착되어 상기 가동부와 함께 이동가능한 카트리지.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상기 봉지부를 상기 카트리지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를 가지는 카트리지.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통 형상인 카트리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상기 통 형상의 가장자리(edge)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가동부의 전체 둘레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링 형상을 가지는 카트리지.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회전함으로써 현상제를 상기 배출로를 향해 반송하는 반송 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트리지.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는,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 구동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구동 출력부를 가지는 카트리지.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탄성을 가지는 카트리지.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상기 진출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가동부에 의해 압축되는 카트리지.
  23. 화상 형성 장치로서,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카트리지와,
    상기 배출구로부터 현상제를 받아들이기 위한 받아들임 개구를 가지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를 갖고,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가동부가 상기 진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배출로가 상기 받아들임 개구에 연결되는 화상 형성 장치.
  24.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로부터 제거된 현상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반송로로서, 중공의 내통(inner cylinder)과, 상기 내통의 외주를 둘러싸며 퇴피 위치와 진출 위치 사이에서 상기 내통을 따라 왕복 가능한 중공의 외통(outer cylinder)과,
    상기 내통과 상기 외통의 사이에 형성되는 현상제의 유로를 막는 봉지부
    를 가지는 카트리지.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은,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가지는 카트리지.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트리지.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배출구를 닫을 때에, 상기 외통의 내부에서의 현상제의 이동 방향에 대해 상기 봉지부는 상기 개폐 부재보다 상류 측에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외통이 퇴피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배출구를 닫으며,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외통은 상기 진출 위치로의 이동이 허용되는 카트리지.
  29.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이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외통의 내부에서의 현상제의 이동 방향에 대해 상기 봉지부는 상기 배출구보다 상류 측에 위치하고 있는 카트리지.
  30.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이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외통의 내부에서의 현상제의 이동 방향에 대해, 상기 봉지부는 상기 외통보다 상류 측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외통에 접촉하는 카트리지.
  31.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상기 내통의 주위를 둘러싸는 카트리지.
  32.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오목부에 압입되는 카트리지.
  33.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접착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에 고정되는 카트리지.
  34.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상기 외통에 장착되어 상기 외통과 함께 이동가능한 카트리지.
  35.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상기 봉지부를 상기 카트리지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를 가지는 카트리지.
  36.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상기 외통의 가장자리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외통의 가장자리(edge) 전체와 접촉하는 카트리지.
  38.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링 형상을 가지는 카트리지.
  39.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함으로써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트리지.
  40.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는,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 구동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구동 출력부를 가지는 카트리지.
  41.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탄성을 가지는 카트리지.
  42.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상기 외통이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압축되는 카트리지.
  43. 화상 형성 장치로서,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트리지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를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80062783A 2017-05-31 2018-05-31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286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07458 2017-05-31
JP2017107458A JP6957205B2 (ja) 2017-05-31 2017-05-31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500A true KR20180131500A (ko) 2018-12-10
KR102286224B1 KR102286224B1 (ko) 2021-08-04

Family

ID=62486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783A KR102286224B1 (ko) 2017-05-31 2018-05-31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474096B2 (ko)
EP (1) EP3410225B1 (ko)
JP (1) JP6957205B2 (ko)
KR (1) KR102286224B1 (ko)
CN (1) CN108983575B (ko)
MA (1) MA4621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1901179RA (en) 2016-08-26 2019-03-28 Canon Kk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957205B2 (ja) 2017-05-31 2021-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005266B2 (ja) * 2017-10-13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搬送装置および伝達部材
SG11202005446QA (en) 2017-12-13 2020-07-29 Canon Kk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928751B2 (en) 2018-08-29 2021-02-23 Canon Kabushiki Kaisha Remanufacturing method for developing apparatus and cartridge
US10983475B2 (en) 2019-02-25 2021-04-2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unit
JP7358087B2 (ja) 2019-06-28 2023-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483541B2 (ja) * 2019-09-17 2024-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3796100B1 (en) 2019-09-17 2023-05-03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16339092A (zh) 2020-12-07 2023-06-27 佳能株式会社 调色剂容器和图像形成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807B1 (ko) * 2004-08-14 2006-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2010096827A (ja) * 2008-10-14 2010-04-30 Kyocera Mita Corp トナーコンテナ
JP2013152361A (ja) * 2012-01-25 2013-08-08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2014029410A (ja) * 2012-07-31 2014-02-13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画像形成装置
JP2014052475A (ja) 2012-09-06 2014-03-20 Casio Electronics Co Ltd 廃トナー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58196A4 (en) 1994-05-05 1999-05-06 Univ Pennsylvania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TUMORS
JP2987083B2 (ja) * 1994-10-21 1999-12-06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950189A (ja) * 1995-08-07 1997-02-18 Hiraoka H I Kenkyusho:Kk 現像装置
JP3679665B2 (ja) 1999-11-19 2005-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間隙保証部材および現像装置および帯電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478797B2 (ja) 1999-12-28 2003-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829455B2 (en) 2000-10-20 2004-12-07 Canon Kabushiki Kaisha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such a mechanism, and process unit of such an apparatus
JP3432218B2 (ja) 2000-10-31 2003-08-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負荷発生部材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244382A (ja) 2000-12-13 2002-08-3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気接点部材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DK1233310T3 (da) * 2001-02-19 2010-02-15 Canon Kk Tonertilførselsbeholder og tonertilførselssystem
JP2003162203A (ja) 2001-09-13 2003-06-06 Canon Inc ユニット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215917A (ja) 2002-01-24 2003-07-30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072362B2 (ja) 2002-03-14 2008-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101690A (ja) 2002-09-06 2004-04-02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44045B2 (ja) 2002-09-30 2007-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供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13153B2 (ja) 2002-09-30 2007-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接点部材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314006B2 (ja) 2002-09-30 2009-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4151563A (ja) 2002-10-31 2004-05-2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US7164875B2 (en) 2004-03-30 2007-01-16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for detachably mounting a plurality process cartridges
JP3885062B2 (ja) 2004-03-30 2007-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110128B2 (ja) 2004-04-26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軸受部材
US7158749B2 (en) 2004-04-26 2007-01-02 Canon Kabushiki Kaisha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cleaning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840232B2 (ja) 2004-05-06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885074B2 (ja) 2004-05-11 2007-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26148B2 (ja) 2004-08-26 2006-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886182B2 (ja) 2004-09-27 2012-02-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794892B2 (ja) 2005-04-11 2011-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227626B2 (ja) 2005-05-09 2009-02-1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容器の製造方法
JP4681946B2 (ja) 2005-05-27 2011-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13912B2 (ja) 2006-11-29 2010-02-10 株式会社沖データ 粉体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47371B2 (ja) 2006-12-11 201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948382B2 (ja) 2006-12-22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感光ドラム取り付け用カップリング部材
JP4498407B2 (ja) 2006-12-22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5311854B2 (ja) 2007-03-23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
JP4337902B2 (ja) * 2007-04-11 2009-09-3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トナー収容容器及びそれに適した画像形成装置
US8229320B2 (en) 2007-05-15 2012-07-24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cartridge, and cartridge holding member with lock and lock releasing members for releasably locking cartridge to the cartridge holding member
JP2009047907A (ja) * 2007-08-20 2009-03-05 Fuji Xerox Co Ltd 回転部材対向ユニット、像保持体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9085999A (ja) * 2007-09-27 2009-04-23 Oki Data Corp 画像形成装置
JP5328230B2 (ja) 2008-06-10 201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306050B2 (ja) 2008-06-20 201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付け方法、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外し方法
JP2010044153A (ja) * 2008-08-11 2010-02-2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軸受、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371627B2 (ja) 2008-08-27 2013-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147607B2 (ja) 2008-09-01 201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19584B2 (ja) 2008-09-01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N102138108B (zh) 2008-09-01 2014-01-08 佳能株式会社 显影盒、处理盒以及电子照相成像设备
JP5424749B2 (ja) 2008-09-01 2014-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335329B2 (ja) 2008-09-01 2013-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0276718A (ja) * 2009-05-26 2010-12-09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5430349B2 (ja) 2009-10-30 2014-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5554963B2 (ja) 2009-10-30 2014-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150656B2 (ja) * 2010-01-29 2013-02-20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066841B2 (ja) 2012-09-10 2017-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053428B2 (ja) 2012-09-27 2016-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40962B2 (ja) 2012-09-27 2017-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975823B2 (ja) 2012-09-28 2016-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245932B2 (ja) 2012-11-06 2017-12-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033103B2 (ja) 2013-01-25 2016-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370039B2 (ja) 2013-01-31 2018-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収納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9182733B2 (en) 2013-02-07 2015-11-10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289172B2 (ja) 2013-05-23 2018-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12974B2 (ja) 2013-05-31 2017-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20694B2 (ja) 2013-06-24 2017-04-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73069B2 (ja) 2013-06-27 2017-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230495B2 (ja) * 2014-06-27 2017-11-15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512864B2 (ja) 2015-02-27 2019-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ES2951429T3 (es) 2015-02-27 2023-10-20 Canon Kk Cartucho
JP6541478B2 (ja) * 2015-07-02 2019-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粉体移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957205B2 (ja) * 2017-05-31 2021-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807B1 (ko) * 2004-08-14 2006-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2010096827A (ja) * 2008-10-14 2010-04-30 Kyocera Mita Corp トナーコンテナ
JP2013152361A (ja) * 2012-01-25 2013-08-08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2014029410A (ja) * 2012-07-31 2014-02-13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画像形成装置
JP2014052475A (ja) 2012-09-06 2014-03-20 Casio Electronics Co Ltd 廃トナー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48700A1 (en) 2018-12-06
US20200050143A1 (en) 2020-02-13
EP3410225A1 (en) 2018-12-05
US11204582B2 (en) 2021-12-21
CN108983575B (zh) 2021-10-08
JP6957205B2 (ja) 2021-11-02
JP2018205384A (ja) 2018-12-27
CN108983575A (zh) 2018-12-11
KR102286224B1 (ko) 2021-08-04
US20200333744A1 (en) 2020-10-22
MA46214A (fr) 2021-06-02
EP3410225B1 (en) 2022-03-23
US10474096B2 (en) 2019-11-12
US10739721B2 (en)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1500A (ko)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US8019240B2 (en)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9618880B2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CN108073056B (zh) 显影盒和使用该显影盒的电子照相成像装置
US7983589B2 (en)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612571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594331B2 (en)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US20130121721A1 (en) Developer conveyance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JP5176761B2 (ja) 廃トナーボトル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167228A (ja) 粉体回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処理装置
JP2013068752A (ja) 着脱開閉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846834B1 (ko) 토너 카트리지
US20120275815A1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5031934A (ja) トナー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210032903A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6663562B2 (ja) 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9195166B2 (en) Developer storage container having improved workability with mounted developer agitation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7374703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659128B2 (ja) 画像形成装置
JP6463006B2 (ja) 画像形成装置
JP5028205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092097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224049A (ja) 交換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