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5161A -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박스형 끈조임 채널 - Google Patents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박스형 끈조임 채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5161A
KR20180125161A KR1020187029693A KR20187029693A KR20180125161A KR 20180125161 A KR20180125161 A KR 20180125161A KR 1020187029693 A KR1020187029693 A KR 1020187029693A KR 20187029693 A KR20187029693 A KR 20187029693A KR 20180125161 A KR20180125161 A KR 20180125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string
channel
tightening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5115B1 (ko
Inventor
서머 엘. 슈나이더
나리사 장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to KR1020227025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665B1/ko
Publication of KR20180125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3/0005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9/00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4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4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 B65H75/14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with at least one frustoconical end fl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2Constructional details collapsible; with removable parts
    • B65H75/2254Constructional details collapsible; with removable parts with particular joining means for releasably connecting parts
    • B65H75/2263Discrete fasteners, e.g. bolts or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30Arrangements to facilitate driving or brak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9Other types of filamentary materials or special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38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4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 B65H75/141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cov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81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driving the reel or the material
    • B65H75/4486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신발류 끈조임 장치가 하우징 구조, 스풀 및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구조는 제1 유입구, 제2 유입구, 및 제1 유입구와 제2 유입구 사이에서 연장하는 끈조임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끈조임 채널은 제1 및 제2 유입구 사이에 위치된 스풀 리셉터클, 스풀 리셉터클과 제1 유입구 사이에 위치된 제1 릴리프 영역, 및 스풀 리셉터클과 제2 유입구 사이에 위치된 제2 릴리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릴리프 영역은 각각 스풀 리셉터클과 제1 및 제2 유입구 사이에서 선형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스풀은 끈조임 채널의 스풀 리셉터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메커니즘은 스풀과 결합될 수 있고 끈조임 채널을 통해 그리고 스풀을 통해 연장하는 조임끈 케이블을 권취 또는 권취 해제하기 위해 스풀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박스형 끈조임 채널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을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구동 메커니즘"으로 하여, 2016년 3월 15일자로 출원되었으며,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62/308,648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하기 명세서는 동력화된 끈조임 시스템, 동력화된 및 비-동력화된 끈조임 엔진, 끈조임 엔진에 관련된 신발류 컴포넌트, 자동화된 끈조임 신발류 플랫폼, 및 관련 조립 프로세스의 다양한 양태를 기술한다. 하기 명세서는 또한 끈조임 엔진용 모듈형 스풀 조립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다양한 양태를 기술한다.
신발류 물품(article of footwear)을 자동으로 조임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이미 제안되어 있다. 류(Liu)의 발명의 명칭이 "자동 조임 신발(Automatic tightening shoe)"인 미국 특허 번호 6,691,433은 신발의 상부 부분(upper portion) 상에 장착된 제1 체결구(fastener), 및 폐쇄 부재(closure member)에 연결되고 폐쇄 부재를 조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제1 체결구와 제거 가능하게 맞물리는 것이 가능한 제2 체결구를 제공한다. 류는 솔(sole)의 뒤꿈치 부분(heel portion)에 장착된 구동 유닛을 교시하고 있다. 구동 유닛은 하우징,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spool), 한 쌍의 견인 스트링(pull string) 및 모터 유닛을 포함한다. 각각의 스트링은 스풀에 연결된 제1 단부 및 제2 체결구 내의 스트링 구멍에 대응하는 제2 단부를 갖는다. 모터 유닛은 스풀에 결합된다. 류는 모터 유닛이 하우징 내에서 스풀을 회전 구동하여 제2 체결구를 제1 체결구를 향해 견인하기 위해 스풀 상에 견인 스트링을 권취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교시하고 있다. 류는 또한 견인 스트링이 통과 연장할 수 있는 가이드 튜브 유닛을 교시하고 있다.
자가-조임 신발 조임끈의 개념은 1989년 개봉된 영화 백투더퓨처 II(Back to the Future II)에서 마티 맥플라이(Marty McFly)가 착용하였던 가상의 전동식-끈조임형 Nike® 스니커즈에 의해 최초로 광범위하게 대중화되었다. Nike®는 개봉 이후로 백투더퓨처 II로부터 영화 소품 버전에 외관이 유사한 전동식-끈조임형 스니커즈의 적어도 하나의 버전을 가졌지만, 채용된 내부 기계적 시스템 및 주변 신발류 플랫폼은 반드시 이들을 대량 생산 또는 일상 사용에 알맞게 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동력화된 끈조임 시스템(motorized lacing system)을 위한 이전의 설계는 다수의 문제 중 단지 몇몇을 들자면, 높은 제조 비용, 복잡성, 조립 문제, 수리성(serviceability)의 결여, 취약한 또는 연약한 기계적 메커니즘과 같은 문제점을 비교적 많이 갖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무엇보다도, 전술된 문제점의 일부 또는 모두를 해결하는 동력화된 및 비-동력화된 끈조임 엔진을 수용하기 위해 모듈형 신발류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이하에 설명되는 컴포넌트는 수리 가능한 컴포넌트, 교환 가능한 자동화된 끈조임 엔진, 강인한(robust) 기계적 설계, 신뢰적인 동작, 간단한 조립 프로세스, 및 소매 레벨 맞춤화를 포함하는, 그러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다양한 이익을 제공한다. 이하에 설명되는 컴포넌트의 다양한 다른 이익은 통상의 기술자에 자명할 것이다.
하기 논의된 동력화된 끈조임 엔진은 자동화된 끈조임 신발류 플랫폼의 강인하고, 수리 가능하고, 교환 가능한 컴포넌트를 제공하는 데 근거를 두고 개발되었다. 끈조임 엔진은 소매 레벨 최종 조립체를 모듈형 신발류 플랫폼이 되게 하는 독특한 설계 요소를 포함한다. 끈조임 엔진 설계는 신발류 조립 프로세스의 대부분에 대해 공지된 조립 기술의 활용을 허용하고, 표준 조립 프로세스에 대한 독특한 적응은 여전히 현용의 조립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반드시 실체 축척대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은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는 상이한 도면에서 유사한 컴포넌트를 설명할 수 있다. 상이한 문자 접미사를 갖는 유사한 도면 부호는 유사한 컴포넌트의 상이한 경우를 표현할 수 있다. 도면은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으로서가 아니라 예로서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동력화된 끈조임 시스템의 컴포넌트의 분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n은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동력화된 끈조임 엔진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및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동력화된 끈조임 엔진과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작동기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및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끈조임 엔진을 보유하기 위한 미드-솔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및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끈조임 엔진 및 관련된 컴포넌트를 수용하기 위한 미드-솔 및 아웃-솔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및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동력화된 끈조임 엔진을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의 예시도이다.
도 7은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끈조임 엔진을 포함하는 신발류의 조립을 위한 신발류 조립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에 조립하기 위한 준비에서 신발류 상부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도면 및 흐름도이다.
도 9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끈조임 엔진의 스풀 내에 조임끈을 고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동력화된 끈조임 시스템의 컴포넌트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b는 센서로부터의 발 존재 정보를 이용하는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동력화된 끈조임 엔진용 모터 제어 방안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2a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얽힘 방지 끈조임 채널(anti-tangle lacing channel)을 갖는 동력화된 끈조임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2b는 하우징을 통해 얽힘 방지 끈조임 채널과 정렬된 스풀을 통한 권취 채널을 도시하는 도 12a의 동력화된 끈조임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2c는 동력화된 끈조임 시스템의 컴포넌트를 도시하는 도 12a의 동력화된 끈조임 시스템의 분해도이다.
도 13은 스풀 리세스에 근접한 버퍼 구역 및 얽힘 방지 끈조임 채널의 유입구를 도시하는 도 12b의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4a는 끈조임 채널로의 유입구에서의 끈조임 채널의 폭을 도시하는, 섹션 14C - 14C에서 취한 도 13의 얽힘 방지 끈조임 채널을 통한 측단면도이다.
도 14b는 스풀 리세스로의 유입구에서의 끈조임 채널의 폭을 도시하는, 섹션 14B - 14BA에서 취한 도 13의 얽힘 방지 끈조임 채널을 통한 측단면도이다.
도 14c는 스풀 리세스에서의 끈조임 채널의 폭을 도시하는, 섹션 14A - 14A에서 취한 도 13의 얽힘 방지 끈조임 채널을 통한 측단면도이다.
도 15a는 스풀 리세스로의 유입구로부터의 끈조임 채널의 윤곽화를 도시하는 얽힘 방지 끈조임 채널을 통한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15b는 스풀이 끈조임 채널에 삽입된, 도 15a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원에 제공된 방향성은 단지 편의를 위한 것이며, 사용된 용어의 범주 또는 의미에 반드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일 예에서, 신발류 끈조임 장치는 하우징 구조, 스풀 및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구조는 제1 유입구, 제2 유입구, 및 제1 유입구와 제2 유입구 사이에서 연장하는 끈조임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끈조임 채널은 제1 및 제2 유입구 사이에 위치된 스풀 리셉터클, 스풀 리셉터클과 제1 유입구 사이에 위치된 제1 릴리프 영역, 및 스풀 리셉터클과 제2 유입구 사이에 위치된 제2 릴리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릴리프 영역은 각각 스풀 리셉터클과 제1 및 제2 유입구 사이에서 선형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스풀은 끈조임 채널의 스풀 리셉터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메커니즘은 스풀과 결합될 수 있고 끈조임 채널을 통해 그리고 스풀을 통해 연장하는 조임끈 케이블을 권취 또는 권취 해제하기 위해 스풀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본원에서 설명된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은 신발류 끈조임 장치를 위한 하우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구조는 본체, 내부 구획부 및 끈조임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상단 표면, 저부 표면, 상단 표면과 저부 표면을 연결하는 제1 측벽, 및 상단 표면과 저부 표면을 연결하는 제2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구획부는 상부 및 저부 표면과 제1 및 제2 측벽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끈조임 채널은 제1 측벽으로부터 제2 측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끈조임 채널은 제1 측벽 내의 제1 유입구, 제2 측벽 내의 제2 유입구, 제1 및 제2 유입구 사이에 위치된 스풀 리셉터클, 스풀 리셉터클과 제1 유입구 사이에 위치된 제1 릴리프 영역, 및 스풀 리셉터클과 제2 유입구 사이에 위치된 제2 릴리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릴리프 영역은 각각 스풀 리셉터클과 제1 및 제2 유입구 사이에서 선형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신발류 끈조임 장치 내의 스풀을 권취 해제하는 방법은, 스풀 주위에 랩핑된 조임끈 케이블 내의 인장을 감소시키기 위해 구동 메커니즘으로 스풀을 회전시키는 단계, 스풀로부터 신발류 끈조임 장치의 하우징 내의 끈조임 채널 내로 조임끈 케이블을 푸시하는 단계, 끈조임 채널의 릴리프 영역 내에서 조임끈 케이블을 수집하는 단계, 및 스풀로부터 조임끈 케이블을 권취 해제하기 위해 릴리프 영역으로부터 조임끈 케이즐이 끈조임 채널을 느슨하게 진출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초기 개요는 본 특허 출원의 요지를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이하의 더 상세한 설명에 개시된 다양한 발명의 배타적 또는 포괄적 설명을 제공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
다음은 동력화된 끈조임 엔진, 미드-솔 플레이트, 및 플랫폼의 다양한 다른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의 다양한 컴포넌트를 설명한다. 본 개시내용의 많은 부분이 동력화된 끈조임 엔진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설명된 설계의 많은 기계적 양태는 인력식 끈조임 엔진 또는 추가의 또는 더 적은 능력을 갖는 다른 동력화된 끈조임 엔진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에 사용되는 "자동화된"이라는 용어는 사용자 입력 없이 동작하는 시스템만을 커버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오히려, 용어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 은 신발류의 끈조임 또는 유지 시스템을 조임하기 위한 다양한 전기 동력 및 인력, 자동 활성화 및 인간 활성화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도 1은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를 위한 동력화된 끈조임 시스템의 컴포넌트의 분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동력화된 끈조임 시스템(1)은 끈조임 엔진(10), 뚜껑(20), 작동기(30), 미드-솔 플레이트(40), 미드-솔(50) 및 아웃솔(60)을 포함한다. 도 1은 자동화된 끈조임 신발류 플랫폼의 컴포넌트의 기본적인 조립 시퀀스를 도시한다. 동력화된 끈조임 시스템(1)은 미드-솔 플레이트(40)가 미드-솔 내에 고정되는 것으로 시작한다. 다음에, 작동기(30)는 아웃솔(60) 내에 내장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버튼에 대향하는 미드-솔 플레이트의 외측 측면의 개구부 내로 삽입된다. 이어서, 끈조임 엔진(10)을 미드-솔 플레이트(40)에 삽입한다. 예에서, 끈조임 시스템(1)은 끈조임 케이블의 연속 루프 아래에 삽입되고, 끈조임 케이블은 끈조임 엔진(10)의 스풀과 정렬된다(하기 설명됨). 마지막으로, 뚜껑(20)은 미드-솔 플레이트(40) 내의 홈 내로 삽입되고, 폐쇄 위치로 고정되고, 미드-솔 플레이트(40) 내의 리세스 내로 래칭된다. 뚜껑(20)은 끈조임 엔진(10)을 포획할 수 있고, 동작 동안에 끈조임 케이블의 정렬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에서, 신발류 물품 또는 동력화된 끈조임 시스템(1)은 발 존재 특성을 모니터링하거나 결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발 존재 센서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동력화된 끈조임 시스템(1)을 포함하는 신발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 존재 센서는 발이 신발류 내에 존재하는지 아닌지 여부에 대한 이진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 존재 센서로부터의 이진 신호가 발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경우, 동력화된 끈조임 시스템(1)은 활성화되어, 예컨대 신발류 끈조임 케이블을 자동으로 조임 또는 이완(즉, 풀림)할 수 있다. 예에서, 신발류 물품은 발 존재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 또는 해석할 수 있는 프로세서 회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회로는 선택적으로 끈조임 엔진(10) 내에 또는 그와 함께, 예컨대 신발류 물품의 솔 내에 내장될 수 있다.
예에서, 발 존재 센서는 신발류에 진입할 때 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력화된 끈조임 시스템(1)은 일반적으로, 예로서 신발류 물품의 솔의 모두 또는 일부에 접하는 것 같이, 단지 발이 신발류 내에 적절하게 위치 설정되거나 착좌될 때에만 끈조임 케이블을 조임하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발 행정(foot travel) 또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발 존재 센서는 발이 예컨대 솔에 대해 또는 신발류 물품의 몇몇 다른 구성에 대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착좌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자동화된 끈조임 절차는 센서로부터의 정보가 발이 적절한 위치에 있다고 표시할 때까지 중단되거나 지연될 수 있다.
예에서, 발 존재 센서는 신발류의 내부의 발의 상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 존재 센서는 예컨대 이러한 발 컴포넌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신발류의 대응 부분에 대한, 발의 아치, 뒤꿈치, 발가락, 또는 다른 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의 상대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신발류가 주어진 발에 대해 양호하게 "맞는지(fit)"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에서, 발 존재 센서는 예로서 시간 경과에 따른 끈조임 케이블의 풀림에 기인하여, 또는 발 자체의 자연적인 팽창 및 수축에 기인하여, 발 또는 발 컴포넌트의 위치가 소정 기준에 대해 변화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에서, 발 존재 센서는 신체의 존재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거나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전기, 자기, 열, 용량성, 압력, 광학 또는 다른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센서는 적어도 2개의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 특성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임피던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과 같은 신체가 전극에 근접하여 또는 인접하여 위치될 때, 전기 센서는 제1 값을 갖는 센서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신체가 전극으로부터 원격으로 위치될 때, 전기 센서는 상이한 제2 값을 갖는 센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임피던스 값이 비어 있는 신발류 조건과 연관될 수 있고, 더 낮은 제2 임피던스 값이 점유된 신발류 조건과 연관될 수 있다.
전기 센서는 AC 신호 생성기 회로 및 무선 주파수 정보를 방출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에 대한 신체의 근접도에 기초하여, 임피던스, 주파수, 또는 신호 진폭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기 신호 특성이 수신되어 신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분석될 수 있다. 예에서, 수신 신호 강도 지시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가 수신 무선 신호 내의 전력 레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로서 몇몇 기준선 또는 기준 값에 대한 RSSI의 변화가 신체의 존재 또는 부존재를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에서, 와이파이(WiFi) 주파수가 예를 들어, 2.4 GHz, 3.6 GHz, 4.9 GHz, 5 GHz, 및 5.9 GHz 대역 중 하나 이상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에서, 킬로헤르츠 범위의 주파수, 예를 들어, 약 400kHz의 주파수가 사용될 수 있다. 예에서, 전력 신호 변화는 밀리와트 또는 마이크로와트 범위에서 검출될 수 있다.
발 존재 센서는 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기 센서는 자석 및 자력계(magneto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자력계는 끈조임 엔진(10) 내에 또는 그 부근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자석은, 예를 들어 보조 솔, 또는 아웃솔(60) 위에 착용되도록 구성된 인솔(insole) 내에, 끈조임 엔진(10)으로부터 원격에 위치될 수 있다. 예에서, 자석은 보조 솔의 발포체 또는 다른 압축 가능 재료 내에 내장된다. 사용자가 예로서 서 있을 때 또는 걸을 때와 같이 보조 솔을 누름에 따라, 자력계에 대한 자석의 위치의 대응 변화가 감지되고 센서 신호를 거쳐 보고될 수 있다.
제2 자기 센서는 자기장의 변화 또는 중단을 감지하도록(예를 들어, 홀 효과를 통해) 구성된 자기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가 제2 자기 센서에 근접할 때, 센서는 주위 자기장에 대한 변화를 표시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자기 센서는 검출된 자기장의 변동에 응답하여 전압 출력 신호를 변화시키는 홀 효과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신호에서 전압 변화는, 전도체 내의 전기 전류를 횡단하는 것과 같은 전기 신호 전도체를 가로지르는 전압차 및 전류에 수직인 자기장의 생성에 기인할 수 있다.
예에서, 제2 자기 센서는 신체로부터 전자기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바르샤프스키(Varshavsky) 등의 발명의 명칭이 "자기장 기반 식별을 사용하는 보안용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ty using magnetic field based identification)"인 미국 특허 8,752,200에는 인증을 위한 신체의 고유 전자기 서명(signature)을 사용하는 것을 교시하고 있다. 예에서, 신발류 물품 내의 자기 센서는 검출된 전자기 서명을 통해, 현재 사용자가 신발의 소유자이고, 물품이 예로서 소유자의 하나 이상의 지정된 끈조임 선호도(예를 들어, 조임도 프로파일)에 따라 자동으로 끈조임되어야 한다는 것을 인증하거나 검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에서, 발 존재 센서는 신발류의 일부 내의 또는 부근의 온도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열 센서를 포함한다. 착용자의 발이 신발류 물품에 진입할 때, 착용자 자신의 체온이 신발류 물품의 주위 온도와 상이하면 물품의 내부 온도는 변화한다. 따라서, 열 센서는 온도 변화에 기초하여 발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에서, 발 존재 센서는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용량성 센서를 포함한다. 용량성 센서는 단일의 플레이트 또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용량성 센서는 다중-플레이트 또는 다중-전극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용량성 유형의 발 존재 센서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예에서, 발 존재 센서는 광학 센서를 포함한다. 광학 센서는 시선이 예로서 신발류 공동의 대향 측면들 사이에서 중단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에서, 광학 센서는 발이 신발류 내에 삽입될 때 발에 의해 커버될 수 있는 광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가 감지된 명도 조건의 변화를 표시할 때, 발 존재 또는 위치의 표시가 제공될 수 있다.
예에서, 하우징 구조(100)는 하우징 구조(100)에 의해서 둘러싸인 컴포넌트 주위에 공기 밀폐 또는 기밀 시일을 제공한다. 예에서, 하우징 구조(100)는 압력 센서가 배치될 수 있는 별개의 기밀 시일 공동을 포위한다. 도 17 및 밀봉된 공동 내에 배치된 압력 센서에 관한 이하의 대응 설명을 참조한다.
끈조임 엔진(10)의 예는 도 2a 내지 도 2n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작동기(30)의 예는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미드-솔 플레이트(40)의 예는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동력화된 끈조임 시스템(1)의 다양한 추가의 세부 사항은 설명의 나머지 부분에 걸쳐 설명된다.
도 2a 내지 도 2n은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동력화된 끈조임 엔진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및 도면이다. 도 2a는 하우징 구조(100), 케이스 나사(108), 조임끈 채널(110)(조임끈 가이드 릴리프(110)로도 지칭됨), 조임끈 채널 벽(112), 조임끈 채널 전이부(114), 스풀 리세스(115), 버튼 개구부(120), 버튼(121), 버튼 멤브레인 시일(124), 프로그래밍 헤더(128), 스풀(130), 및 조임끈 홈(132)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끈조임 엔진(10)의 다양한 외부 구성을 소개한다. 하우징 구조(100)의 부가적인 세부 사항이 도 2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예에서, 끈조임 엔진(10)은 케이스 나사(108)와 같은 하나 이상의 나사에 의해 함께 보유된다. 케이스 나사(108)는 끈조임 엔진(10)의 구조적 완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 구동 메커니즘 근처에 위치 설정된다. 케이스 나사(108)는 또한 조립 프로세스를 보조하는 기능, 예컨대 외부 결합선의 초음파 용접을 위해 케이스를 함께 보유하는 기능을 한다.
이 예에서, 끈조임 엔진(10)은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 내로 조립되고 나서 조임끈 또는 조임끈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조임끈 채널(110)을 포함한다. 조임끈 채널(110)은 조임끈 채널 벽(11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임끈 채널 벽(112)은 동작 중에 조임끈 케이블이 지나가는 매끄러운 안내 표면을 제공하기 위한 모따기된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임끈 채널(110)의 매끄러운 안내 표면의 일부는 스풀 리세스(115) 내로 이어지는 조임끈 채널(110)의 확장된 부분인 채널 전이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풀 리세스(115)는 채널 전이부(114)로부터 스풀(130)의 프로파일에 밀접하게 일치하는 대체로 원형 섹션으로 전이한다. 스풀 리세스(115)는 스풀(130)의 위치의 유지뿐만 아니라 스풀링된 조임끈 케이블의 유지를 돕는다. 그러나, 설계의 다른 양태가 스풀(130)의 일차적 유지를 제공한다. 이 예에서, 스풀(130)은 평탄한 상단 표면을 통해 연장하는 조임끈 홈(132)과 대향 측면으로부터 하위로 연장하는 스풀 샤프트(133)(도 2a에 도시되지 않음)를 갖는 요요(yo-yo)의 절반과 유사하게 성형된다. 스풀(130)은 추가의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끈조임 엔진(10)의 외측 측면은 메커니즘의 활성화를 위한 버튼(121)이 하우징 구조(100)를 통해 연장할 수 있게 하는 버튼 개구부(120)를 포함한다. 버튼(121)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추가의 도면에 도시된, 스위치(122)의 활성화를 위한 외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일부 예에서, 하우징 구조(100)는 먼지 및 물로부터의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버튼 멤브레인 시일(124)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버튼 멤브레인 시일(124)은 코너 위에서 그리고 외측 측면 아래에서 하우징 구조(100)의 상위 표면으로부터 접착된 수 밀(mil)(1/1000 in) 두께에 달하는 투명 플라스틱(또는 유사한 재료)이다. 다른 예에서, 버튼 멤브레인 시일(124)은 버튼(121) 및 버튼 개구부(120)를 덮는 2 mil 두께의 비닐 접착제로 이면처리된 멤브레인이다.
도 2b는 상단 섹션(102) 및 하단 섹션(104)을 포함하는 하우징 구조(100)의 예시도이다. 이 예에서, 상단 섹션(102)은 케이스 나사(108), 조임끈 채널(110), 조임끈 채널 전이부(114), 스풀 리세스(115), 버튼 개구부(120) 및 버튼 시일 리세스(126)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버튼 시일 리세스(126)는 버튼 멤브레인 시일(124)에 대한 삽입부를 제공하도록 삭감된 상단 섹션(102)의 일 부분이다. 이 예에서, 버튼 시일 리세스(126)는 상위 표면의 외측 에지의 일부 위, 그리고, 상단 섹션(104)의 외측 측면의 일부의 길이 아래로 전이하는 상단 섹션(104)의 상위 표면의 외측 측면 상의 수 mil의 만입된 부분이다.
이 예에서, 하단 섹션(104)은 무선 충전기 액세스(105), 조인트(106) 및 그리스 격리 벽(109)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특별히 표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케이스 나사(108)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 나사 베이스뿐만 아니라 구동 메커니즘의 부분을 보유하기 위한 그리스 격리 벽(109) 내의 다양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스 격리 벽(109)은 기어 모터 및 봉입된 기어 박스를 포함하는 끈조임 엔진(10)의 전기 컴포넌트로부터 이격되게, 구동 메커니즘을 둘러싸는 그리스 또는 유사한 화합물을 유지하도록 설계된다.
도 2c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끈조임 엔진(10)의 다양한 내부 컴포넌트의 예시도이다. 이 예에서, 끈조임 엔진(10)은 스풀 자석(136), O-링 시일(138), 웜 구동부(140), 부싱(141), 웜 구동 키(142), 기어 박스(144), 기어 모터(145), 모터 인코더(146), 모터 회로 보드(147), 웜 기어(150), 회로 보드(160), 모터 헤더(161), 배터리 연결부(162), 및 유선 충전 헤더(163)를 더 포함한다. 스풀 자석(136)은 자력계(도 2c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검출을 통해 스풀(130)의 이동을 추적하는 것을 보조한다. o-링 시일(138)은 스풀 샤프트(133) 주위의 끈조임 엔진(10) 내로 이동할 수 있는 먼지 및 수분을 밀봉 배제하는 기능을 한다.
이 예에서, 끈조임 엔진(10)의 주요 구동 컴포넌트는 웜 구동부(140), 웜 기어(150), 기어 모터(145) 및 기어 박스(144)를 포함한다. 웜 기어(150)는 웜 구동부(140) 및 기어 모터(145)의 역구동을 억제하도록 설계되고, 이는 스풀(130)을 거쳐 끈조임 케이블로부터 나오는 주요 입력 힘이 비교적 큰 웜 기어 및 웜 구동부 치형부 상에서 해소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배열은 기어 박스(144)에 신발류 플랫폼의 실제 사용으로부터의 동적 하중 또는 끈조임 시스템을 조임하는 것으로부터의 조임 하중 모두를 견디기에 충분한 강도의 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게 한다. 웜 구동부(140)는 구동 시스템의 더 연약한 부분, 예컨대 웜 구동 키(142)를 보호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추가의 구성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웜 구동 키(142)는 기어 박스(144)로부터 나오는 구동 샤프트를 통해 핀과 인터페이싱하는 웜 구동부(140)의 모터 단부에서의 반경방향 슬롯이다. 이러한 배열은 웜 구동부(140)가 축방향으로(기어 박스(144)로부터 멀어 지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게 하여 부싱(141) 및 하우징 구조(100) 상으로 이들 축방향 하중을 전달하게 함으로써 웜 구동부(140)가 기어 박스(144) 또는 기어 모터(145) 상에 임의의 축방향 힘을 부여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d는 끈조임 엔진(10)의 추가의 내부 컴포넌트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이 예에서, 끈조임 엔진(10)은 웜 구동부(140), 부싱(141), 기어 박스(144), 기어 모터(145), 모터 인코더(146), 모터 회로 보드(147) 및 웜 기어(150)와 같은 구동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도 2d는 배터리(170)의 예시도뿐만 아니라 전술된 구동 컴포넌트의 일부의 더 양호한 모습을 추가한다.
도 2e는 끈조임 엔진(10)의 내부 컴포넌트를 도시하는 다른 예시도이다. 도 2e에서, 인덱싱 휠(151)(일반적인 제네바 휠(Geneva wheel)(151) 이라고도 함)을 더 잘 도시하기 위해 웜 기어(150)는 제거되어 있다. 더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인덱싱 휠(151)은 전기 또는 기계적 고장 및 위치 소실의 경우에 구동 메커니즘을 복원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이 예에서, 끈조임 엔진(10)은 배터리(170)(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보다 하위에 위치하는 무선 충전 인터커넥트(165) 및 무선 충전 코일(166)을 또한 포함한다. 이 예에서, 무선 충전 코일(166)은 끈조임 엔진(10)의 하단 섹션(104)의 외부 하위 표면 상에 장착된다.
도 2f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끈조임 엔진(10)의 단면도이다. 도 2f는 스풀(130)의 구조뿐만 아니라 조임끈 홈(132) 및 조임끈 채널(110)이 조임끈 케이블(131)과 어떻게 인터페이싱하는지를 도시하는 것을 보조한다. 이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끈(131)는 조임끈 채널(110)을 통해 그리고 스풀(130)의 조임끈 홈(132) 내로 연속적으로 진행한다. 단면 예시도는 조임끈 리세스(135)를 또한 도시하는데, 이는 스풀(130)의 회전에 의해 조임끈이 권취됨에 따라 조임끈(131)이 구축되는 위치이다. 조임끈(131)는 끈조임 엔진(10)을 가로질러 연장할 때 조임끈 홈(132)에 의해 포획되어, 스풀(130)이 회전될 때 조임끈(131)가 조임끈 리세스(135) 내의 스풀(130)의 본체 상으로 회전된다.
끈조임 엔진(10)의 단면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130)은 O-링(138)을 통해서 진행된 후에 웜 기어(150)와 결합되는 스풀 샤프트(133)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스풀 샤프트(133)는 키결합 연결 핀(134)을 통해 웜 기어에 결합된다. 일부 예에서, 키결합 연결 핀(134)은 단지 하나의 축방향으로 스풀 샤프트(133)로부터 연장하고, 웜 기어(150)의 방향이 반전될 때 키결합 연결 핀(134)이 접촉되기 전에 웜 기어(150)의 거의 완전한 일순(revolution)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웜 기어 상의 키와 접촉된다. 클러치 시스템은 스풀(130)을 웜 기어(150)에 결합하도록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클러치 메커니즘은 스풀(130)이 끈조임 해제(풀림) 시에 자유롭게 작동할 수 있도록 비활성화될 수 있다. 스풀 샤프트(133)로부터 하나의 축방향으로만 연장하는 키결합 연결 핀(134)의 예에서, 스풀은, 웜 기어(150)가 역방향 구동되는 동안, 끈조임 해제 프로세스의 초기 활성화 시에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허용된다. 스풀(130)이 끈조임 해제 프로세스의 초기 부분 동안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것은, 사용자가 신발류를 풀기 시작하기 위한 시간을 제공하고 이는 결국 웜 기어(150)에 의해 구동되기 전에 조임끈(131)를 풀림 방향으로 인장할 것이므로 조임끈(131) 내의 얽힘을 방지하는 것을 보조한다.
도 2g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끈조임 엔진(10)의 다른 단면 예시도이다. 도 2g는 도 2f와 비교하여, 끈조임 엔진(10)의 보다 내측의 단면을 도시하며, 회로 보드(160), 무선 충전 인터커넥트(165) 및 무선 충전 코일(166)과 같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도시한다. 도 2g는 스풀(130) 및 조임끈(131) 인터페이스 주변의 추가적 세부 사항을 도시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도 2h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끈조임 엔진(10)의 평면도이다. 도 2h는 그리스 격리 벽(109)을 강조하고 그리스 격리 벽(109)이 스풀(130), 웜 기어(150), 웜 구동부(140), 및 기어 박스(145)를 포함하는 구동 메커니즘의 특정 부분을 어떻게 둘러싸는지를 도시한다. 특정 예에서, 그리스 격리 벽(109)은 웜 구동부(140)를 기어 박스(145)로부터 분리한다. 도 2h는 또한 스풀(130)과 조임끈 케이블(131) 사이의 인터페이스의 평면도를 제공하고, 조임끈 케이블(131)은 스풀(130) 내의 조임끈 홈(132)을 통해 내측-외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2i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끈조임 엔진(10)의 웜 기어(150) 및 인덱스 휠(151) 부분의 평면도이다. 인덱스 휠(151)은 시계제조 및 필름 프로젝터에 사용되는 널리-공지된 제네바 휠의 변형이다. 전형적인 제네바 휠 또는 구동 메커니즘은, 필름 프로젝터에서 요구되는 것과 같이, 연속적인 회전 이동을 간헐적 운동으로 전환하거나 시계의 초침을 간헐적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시계제조자는 기계적 시계 스프링의 과잉-권취를 방지하기 위해 상이한 유형의 제네바 휠을 사용하였으나, 누락 슬롯을 갖는 제네바 휠(예를 들어, 제네바 슬롯(157) 중 하나가 누락됨)을 사용하였다. 누락 슬롯은, 스프링을 권취하는 것을 담당하고 과잉-권취를 방지하는, 제네바 휠의 추가적인 인덱싱을 방지할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 끈조임 엔진(10)은 원복 동작에서 정지 메커니즘으로서 작용하는 작은 정지 치형부(156)를 포함하는, 제네바 휠, 인덱싱 휠(151)의 변형을 포함한다. 도 2j 내지 도 2m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 치형부(152)가 제네바 치형부(155) 중 하나의 옆에 있는 제네바 슬롯(157)과 맞물릴 때, 표준 제네바 치형부(155)는 단순히 웜 기어(150)의 각각의 회전에 대해 인덱싱된다. 그러나, 인덱스 치형부(152)가 정지 치형부(156) 옆에 있는 제네바 슬롯(157)과 맞물릴 때, 원복 동작에서 구동 메커니즘을 스톨링(stall)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더 큰 힘이 발생된다. 정지 치형부(156)는 모터 인코더(146)와 같은 다른 위치 설정 정보의 소실의 경우에 원복을 위한 메커니즘의 공지된 위치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j 내지 도 2m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인덱스 동작을 통해 이동하는 웜 기어(150) 및 인덱스 휠(151)의 예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 도면은 도 2j 내지 도 2m에서 시작하여 웜 기어(150)의 한번의 완전한 일순(revolution) 중에 어떤 상황이 발생하는 지를 도시한다. 도 2j에서, 웜 기어(150)의 인덱스 치형부(153)는 제네바 치형부(155)의 제1 제네바 치형부(155a)와 정지 치형부(156) 사이의 제네바 슬롯(157) 내에 맞물린다. 도 2k는 인덱스 치형부(153)가 웜 기어(150)와의 그의 일순을 시작함에 따라 유지되는 제1 인덱스 위치의 인덱스 휠(151)을 도시한다. 도 2l에서, 인덱스 치형부(153)는 제1 제네바 치형부(155a)의 대향 측면 상의 제네바 슬롯(157)과 맞물리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도 2m에서, 인덱스 치형부(153)는 제1 제네바 치형부(155a)와 제2 제네바 치형부(155b) 사이에서 제네바 로트(157) 내에 완전히 맞물린다. 도 2j 내지 도 2m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인덱스 치형부(153)가 정지 치형부(156)와 맞물릴 때까지 웜 기어(150)의 각각의 일순과 함께 계속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인덱스 치형부(153)가 정지 치형부(156)와 맞물릴 때, 증가된 힘은 구동 메커니즘을 스톨링할 수 있다.
도 2n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끈조임 엔진(10)의 분해도이다. 끈조임 엔진(10)의 분해도는 모든 다양한 컴포넌트가 함께 어떻게 끼워지는 지의 예시를 제공한다. 도 2n은 지면의 상단에 하단 섹션(104)이 있고 저부 부근의 상단 섹션(102)이 있는, 상하 반전된 끈조임 엔진(10)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무선 충전 코일(166)은 하단 섹션(104)의 외부(저부)에 접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분해도는 또한 웜 구동부(140)가 부싱(141), 구동 샤프트(143), 기어 박스(144) 및 기어 모터(145)와 어떻게 조립되는 지에 대한 양호한 예시를 제공한다. 이 도면은 웜 구동부(140)의 제1 단부 상의 웜 구동 키(142) 내에 수용되는 구동 샤프트 핀을 포함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웜 구동부(140)는 웜 구동 키(142) 내의 구동 샤프트 핀과 맞물리도록 구동 샤프트(143) 위에서 활주하고, 웜 구동 키는 본질적으로 웜 구동부(140)의 제1 단부에서 구동 샤프트(143)에 횡단하여 연장하는 슬롯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동력화된 끈조임 엔진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작동기(30)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및 도면이다. 이 예에서, 작동기(30)는 브리지(310), 광 파이프(320), 후방 아암(330), 중앙 아암(332), 및 전방 아암(334)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도 3a는 또한 LED(340)(LED(340)으로도 언급됨), 버튼(121) 및 스위치(122)와 같은 끈조임 엔진(10)의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후방 아암(330) 및 전방 아암(334)은 각각 버튼(121)을 통해 스위치(122) 중 하나를 개별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작동기(30)는 또한 리셋 또는 다른 기능과 같은 것들에 대해 양쪽 스위치(122)의 활성화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작동기(30)의 주 기능은 끈조임 엔진(10)에 조임 및 풀림 명령을 제공하는 것이다. 작동기(30)는 또한, LED(340)로부터의 광을 신발류 플랫폼의 외부 부분(예를 들어, 아웃솔(60))으로 지향시키는 광 파이프(320)를 포함한다. 광 파이프(320)는 다수의 개별 LED 소스로부터의 광을 작동기(30)의 면을 가로질러서 균등하게 분산시키도록 구조화된다.
이러한 예에서, 작동기(30)의 아암, 후방 아암(330) 및 전방 아암(334)은 스위치(122)의 과다 활성화를 방지하여 신발류 플랫폼의 측면에 대한 충격에 대한 안전 조치를 제공하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큰 중앙 아암(332)은 또한 버튼(121)에 대한 이들 하중의 전달을 허용하는 대신에, 끈조임 엔진(10)의 측면에 대해 충격 하중을 전달하도록 설계된다.
도 3b는 전방 아암(334)의 예시적인 구조 및 버튼(121)과의 맞물림을 더 도시하는 작동기(30)의 측면도를 제공한다. 도 3c는 후방 아암(330) 및 전방 아암(334)을 통한 활성화 경로를 도시하는 작동기(30)의 추가의 평면도이다. 도 3c는 또한 도 3d에 도시된 단면에 대응하는 섹션 라인 A-A를 도시한다. 도 3d에서, 작동기(30)는 투과광(345)이 점선으로 도시된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광 파이프(320)는 LED(340)로부터의 투과광(345)을 위한 전달 매체를 제공한다. 도 3d는 또한 작동기 커버(610) 및 상승된 작동기 인터페이스(615)와 같은, 아웃솔(60)의 양태들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끈조임 엔진(10)을 보유하기 위한 미드-솔 플레이트(40)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및 도면이다. 이러한 예에서, 미드-솔 플레이트(40)는, 끈조임 엔진 공동(410), 내측 조임끈 가이드(420), 외측 조임끈 가이드(421), 뚜껑 슬롯(430), 전방 플랜지(440), 후방 플랜지(450), 상위 표면(460), 하위 표면(470), 및 작동기 절결부(480)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끈조임 엔진 공동(410)은 끈조임 엔진(10)을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이 예에서, 끈조임 엔진 공동(410)은 끈조임 엔진(10)을 외측 및 전방/후방 방향으로 유지하지만, 끈조임 엔진(10)을 포켓에 잠그기 위한 어떠한 내장 구성도 포함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끈조임 엔진 공동(410)은 디텐트, 탭, 또는 끈조임 엔진(10)을 끈조임 엔진 공동(410) 내에 적극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측벽을 따른 유사한 기계적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조임끈 가이드(420) 및 외측 조임끈 가이드(421)는 조임끈 케이블을 조임끈 엔진 포켓(410) 내로 및 끈조임 엔진(10)(존재하는 경우) 위로 안내하는 것을 보조한다. 내측/외측 조임끈 가이드(420,421)는 조임끈 케이블을 끈조임 엔진(10) 위의 원하는 위치로 안내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모따기된 에지 및 하위로 경사진 경사부(ramp)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내측/외측 조임끈 가이드(420,421)는 전형적인 끈조임 케이블 직경보다 다수배 넓은 미드-솔 플레이트(40)의 측면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다른 예에서, 내측/외측 조임끈 가이드(420,421)를 위한 개구부는 단지 끈조임 케이블 직경보다 단지 수배 넓을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미드-솔 플레이트(40)는, 미드-솔 플레이트(40)의 내측 측면 상에서 훨씬 더 연장되는, 조형(sculpted) 또는 윤곽형(contoured) 전방 플랜지(440)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전방 플랜지(440)는 신발류 플랫폼의 아치 아래에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다른 예에서, 전방 플랜지(440)는 내측 측면에서 덜 돌출될 수 있다. 이 예에서, 후방 플랜지(450)는 또한 내측 및 외측 측면 모두 상에서 연장된 부분을 갖는 특정 윤곽을 포함한다. 도시된 후방 플랜지(450) 형상은 끈조임 엔진(10)에 대한 향상된 외측 안정성을 제공한다.
도 4b 내지 도 4d는 끈조임 엔진(10)을 유지하고 조임끈 케이블(131)을 포획하기 위한, 미드-솔 플레이트(40) 내로의 뚜껑(20)의 삽입을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뚜껑(20)은 래치(210), 뚜껑 조임끈 가이드(220), 뚜껑 스풀 리세스(230) 및 뚜껑 클립(240)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뚜껑 조임끈 가이드(220)는 내측 및 외측 뚜껑 조임끈 가이드(220)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뚜껑 조임끈 가이드(220)는 끈조임 엔진(10)의 적절한 부분을 통한 조임끈 케이블(131)의 정렬을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뚜껑 클립(240)은 또한 내측 및 외측 뚜껑 클립(240)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 클립(240)은 미드-솔 플레이트(40)에 대한 뚜껑(20)의 부착을 위한 피벗 지점을 제공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은 뚜껑 클립(240)이 뚜껑 슬롯(430)을 통해 미드-솔 플레이트(40)에 진입하는 상태로 미드-솔 플레이트(40) 내로 직선으로 삽입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클립(240)이 뚜껑 슬롯(430)을 통해 삽입되면, 뚜껑(20)은 뚜껑 클립(240)이 미드-솔 플레이트(4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방으로 이동된다. 도 4d는, 미드-솔 플레이트(40) 내의 뚜껑 래치 리세스(490)와 래치(210)의 맞물림에 의해 끈조임 엔진(10) 및 조임끈 케이블(131)을 고정하기 위한 뚜껑 클립(240)을 중심으로 한 뚜껑(20)의 회전 또는 피벗을 도시한다. 일단 위치에 스냅결합되면, 뚜껑(20)은 미드-솔 플레이트(40) 내에 끈조임 엔진(10)을 고정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끈조임 엔진(10) 및 관련된 컴포넌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미드-솔(50) 및 아웃-솔(60)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및 도면이다. 미드-솔(50)은 임의의 적합한 신발류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미드-솔 플레이트(40) 및 관련 컴포넌트를 수용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미드-솔(50)은 플레이트 리세스(510), 전방 플랜지 리세스(520), 후방 플랜지 리세스(530), 작동기 개구부(540) 및 작동기 커버 리세스(550)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플레이트 리세스(510)는 미드-솔 플레이트(40)의 대응하는 구성과 정합하기 위한 다양한 절결부 및 유사한 구성을 포함한다. 작동기 개구부(540)는 신발류 플랫폼(1)의 외측 측면으로부터 작동기(30)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크기 설정 및 위치 설정된다. 작동기 커버 리세스(550)는,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기(30)를 보호하고, 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특별한 촉각 및 시각적 외관을 끈조임 엔진(10)에 제공하기 위해서 몰딩된 커버링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미드-솔(50)의 만입된 부분이다.
도 5b 및 도 5c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50) 및 아웃-솔(60)의 부분을 도시한다. 도 5b는 작동기 커버(610) 내로 성형되거나 달리 형성되는 예시적인 작동기 커버(610) 및 상승된 작동기 인터페이스(615)의 예시도를 포함한다. 도 5c는 작동기(30)의 광 파이프(320) 부분을 통해 아웃-솔(60)에 전달된 광의 부분을 분산시키기 위한 수평 스트립핑을 포함하는, 작동기(610) 및 상승된 작동기 인터페이스(615)의 추가의 예를 도시한다.
도 5d는 미드-솔(50) 상의 작동기 커버 리세스(550)뿐만 아니라 작동기 커버(610)의 적용 이전의, 작동기 개구부(540) 내의 작동기(30)의 위치 설정을 추가로 도시한다. 이 예에서, 작동기 커버 리세스(550)는 작동기 커버(610)를 미드-솔(50) 및 아웃-솔(60)에 부착하기 위해 접착제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도 6a 내지 도 6d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동력화된 끈조임 엔진(10)을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1)의 예시도이다. 이 예에서, 도 6a 내지 도 6c는 끈조임 엔진(10), 미드-솔 플레이트(40), 미드-솔(50) 및 아웃-솔(60)을 포함하는 조립된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1)의 명확한 예를 도시한다. 도 6a는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1)의 외측 측면도이다. 도 6b는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1)의 내측 측면도이다. 도 6c는 상부 부분이 제거된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1)의 평면도이다. 평면도는 끈조임 엔진(10), 뚜껑(20), 작동기(30), 미드-솔 플레이트(40), 미드-솔(50) 및 아웃-솔(60)의 상대적 위치 설정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 평면도는 또한 스풀(130), 내측 조임끈 가이드(420), 외측 조임끈 가이드(421), 전방 플랜지(440), 후방 플랜지(450), 작동기 커버(610), 및 상승된 작동기 인터페이스(615)를 도시한다.
도 6d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끈조임 구성을 도시하는 상부(70)의 평면도이다. 이 예에서, 상부(70)는 조임끈(131) 및 끈조임 엔진(10)에 추가로 외측 조임끈 고정부(71), 내측 조임끈 고정부(72), 외측 조임끈 가이드(73), 내측 조임끈 가이드(74), 및 브리오 케이블(brio cable)(75)을 포함한다. 도 6d에 도시된 예는 비-중첩 내측 및 외측 끈조임 경로를 포함하는 대각선 끈조임 패턴을 갖는 연속 니트 직물 상부(70)를 포함한다. 외측 조임끈 고정부에서 시작하여, 외측 조임끈 가이드(73)를 통해, 끈조임 엔진(10)을 통해, 내측 조임끈 가이드(74)를 통해, 다시 내측 조임끈 고정부(72)로 연장되는 끈조임 경로가 생성된다. 이 예에서, 조임끈(131)는 외측 조임끈 고정부(71)로부터 내측 조임끈 고정부(72)로의 연속 루프를 형성한다.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조임은 이 예에서는 브리오 케이블(75)을 통해 전달된다. 다른 예에서, 끈조임 경로는 교차하거나, 상부(70)를 가로질러 내측-외측 방향으로 조임력을 전달하기 위해 추가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연속적인 조임끈 루프 개념은 중앙(내측) 간극과 조임끈(131)가 중앙 간극을 가로질러 전후로 교차되는 상태로, 더 전통적인 상부에 포함될 수 있다.
조립 프로세스
도 7은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끈조임 엔진(10)을 포함하는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1)의 조립을 위한 신발류 조립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예에서, 조립 프로세스는: 710에서 아웃솔/미드솔 조립체를 획득하고, 720에서 미드-솔 플레이트를 삽입 및 접착하고, 730에서 끈조임된 상부를 부착하고, 740에서 작동기를 삽입하고, 선택적으로 745에서 소매 상점으로 서브조립체를 수송하고, 750에서 끈조임 엔진을 선택하고, 760에서 끈조임 엔진을 미드-솔 플레이트에 삽입하고, 770에서 끈조임 엔진을 고정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포함한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프로세스(700)는 설명된 프로세스 동작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스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는 다양한 위치들(예를 들어, 제조 공장 대 소매 상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특정 예에서, 프로세스(700)를 참조하여 설명된 모든 프로세스 동작은 제조 위치 내에서 완료될 수 있고, 완성된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이 소비자에게 직접 전달되거나 구매를 위한 보유 위치로 전달될 수 있다.
이 예에서, 프로세스(700)는 아웃-솔(60)에 접착된 미드-솔(50)과 같은, 아웃-솔 및 미드-솔 조립체를 획득하는 것으로 710에서 시작한다. 720에서, 프로세스(700)는 미드-솔 플레이트(40)와 같은 미드-솔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리세스(510) 내로의 삽입으로 이어진다. 일부 예에서, 미드-솔 플레이트(40)는 미드-솔에 미드-솔 플레이트를 접착하기 위해 하위 표면 상에 접착제 층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접착제는 미드-솔 플레이트의 삽입 전에 미드-솔에 적용된다. 또 다른 예에서, 미드-솔은 미드-솔 플레이트와 간섭 끼워 맞춤하도록 설계되며, 이는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의 2개의 컴포넌트를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730에서, 프로세스(700)는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의 끈조임된 상부 부분이 미드-솔에 부착되는 것으로 이어진다. 끈조임 엔진(10)과 같은 끈조임 엔진과의 후속적인 맞물림을 위해 미드-솔 플레이트에 하부 조임끈 루프를 위치 설정하는 것을 추가하여, 끈조임된 상부 부분의 부착은 임의의 공지된 신발류 제조 프로세스를 통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미드-솔 플레이트(40)가 삽입된 미드-솔(50)을 끈조임된 상부에 부착하면, 하부 조임끈 루프는 내측 조임끈 가이드(420) 및 외측 조임끈 가이드(421)와 정렬되도록 위치 설정되고, 이는 조임끈 루프를 조립 프로세스에서 나중에 삽입될 때 끈조임 엔진(10)과 맞물리도록 적절하게 위치 설정한다. 상부 부분의 조립은 아래에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740에서, 프로세스(700)는, 작동기(30) 같은 작동기의 미드-솔 플레이트로의 삽입으로 이어진다. 선택적으로, 작동기의 삽입은 동작 730에서의 상부 부분의 부착 전에 행해 질 수 있다. 예에서, 미드-솔 플레이트(40)의 작동기 절결부(480) 내로 작동기(30)의 삽입은 작동기(30)와 작동기 절결부(480) 사이의 스냅 끼워 맞춤을 수반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스(700)는 745에서 소매 위치 또는 유사한 판매 지점으로의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의 서브조립체의 수송으로 이어진다. 프로세스(700) 내의 나머지 동작은 특별한 공구 또는 재료 없이 수행될 수 있고, 이는 자동화된 신발류 서브조립체 및 끈조임 엔진 옵션의 모든 조합을 제조 및 보유할 필요 없이 소매 레벨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유연한 맞춤화를 가능하게 한다.
750에서, 프로세스(700)는 오직 하나의 끈조임 엔진이 이용 가능한 경우에 선택적인 동작 일 수 있는, 끈조임 엔진의 선택으로 이어진다. 예에서, 동작(710 내지 740)으로부터 서브조립체로의 조립을 위해 끈조임 엔진(10), 동력화된 끈조임 엔진이 선택된다. 그러나,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은 완전 자동 동력화된 끈조임 엔진으로부터의 인력식 수동 활성화 끈조임 엔진까지 다양한 유형의 끈조임 엔진을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아웃-솔(60), 미드-솔(50) 및 미드-솔 플레이트(40)와 같은 컴포넌트를 가지는 동작 710 내지 740에 내장된 서브조립체는 광범위한 선택적 자동화 컴포넌트를 수용하기 위한 모듈형 플랫폼을 제공한다.
760에서, 프로세스(700)는 선택된 끈조임 엔진의 미드-솔 플레이트 내로의 삽입으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끈조임 엔진(10)은 미드-솔 플레이트(40) 내로 삽입될 수 있고, 끈조임 엔진(10)은 끈조임 엔진 공동(410)을 통해 연장되는 조임끈 루프 아래에서 미끄러진다. 끈조임 엔진(10)이 제자리에 위치하고 조임끈 케이블이 끈조임 엔진의 스풀, 예컨대 스풀(130) 내에 맞물림으로써, 뚜껑(또는 유사한 컴포넌트)이 미드-솔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끈조임 엔진(10) 및 조임끈을 고정할 수 있다. 끈조임 엔진(10)을 고정하기 위한 미드-솔 플레이트(40) 내로의 뚜껑(20)의 설치의 예가 도 4b 내지 도 4d에 도시되고 앞서 설명되었다. 뚜껑이 끈조임 엔진 위에 고정된 상태에서,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은 완성되고 실제 사용을 위해 준비된다.
도 8a 및 도 8b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에 조립하기 위한 준비에서 신발류 상부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 프로세스(800)를 개괄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를 포함한다.
도 8a는 예컨대 앞서 설명된 프로세스(700)를 통해, 최종 조립을 위해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 내로 신발류 조립체의 끈조임된 상부 부분을 조립하기 위한 일련의 조립 동작을 시각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8a에 도시된 프로세스(800)는 동작 1로 시작하며, 이는 니트 상부 및 조임끈(조임끈 케이블)를 획득하는 것을 수반한다. 이어서, 니트 상부의 제1 절반이 조임끈으로 끈조임된다. 이 예에서, 상부를 끈조임하는 것은 다수의 아일릿을 통해 조임끈 케이블을 끼우고 한 단부를 상부의 전방 섹션에 고정시키는 것을 수반한다. 다음에, 조임끈 케이블은 상부를 지지하는 고정구 아래 및 대향하는 측부 주변으로 라우팅된다. 이어서, 동작 2.6에서, 고정구 주위에 조임끈의 하부 루프를 유지하면서, 상부의 다른 절반이 끈조임된다. 2.7에서, 조임끈이 고정 및 트리밍되고, 3.0에서 고정구를 제거하여 상부 부분 아래의 하부 조임끈 루프를 갖는 끈조임된 니트 상부를 남긴다.
도 8b는 신발류 상부를 조립하기 위한 프로세스(800)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예에서, 프로세스(800)는 810에서 상부 및 조임끈 케이블을 획득하고, 820에서 상부의 제1 절반을 끈조임하고, 830에서 조임끈을 끈조임 고정구 아래로 라우팅(routing)하고, 840에서 상부의 제2 절반을 끈조임하고, 850에서 조임끈을 조이고, 860에서 상부를 완성하고, 870에서 끈조임 고정구를 제거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포함한다.
프로세스(800)는 조립될 상부 및 조임끈 케이블을 획득함으로써 810에서 시작한다. 상부를 획득하는 것은 프로세스(800)의 다른 동작을 통해 사용되는 끈조임 고정구 상에 상부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820에서, 프로세스(800)는 조임끈 케이블로 상부의 제1 절반을 끈조임으로써 계속된다. 끈조임 동작은 일련의 아일릿 또는 상부에 내장된 유사한 구성을 통해 조임끈 케이블을 라우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820에서의 끈조임 동작은 조임끈 케이블의 일 단부를 상부의 일부에 고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임끈 케이블을 고정하는 것은 조임끈 케이블의 제1 단부를 상부의 고정된 부분으로 재봉, 결속 또는 달리 종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830에서, 프로세스(800)는 조임끈 케이블의 자유 단부를 상부 아래 및 끈조임 고정구 주위로 라우팅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이 예에서, 상부가 미드-솔/아웃-솔 조립체와 접합된 후에 끈조임 엔진과의 궁극적인 맞물림을 위해 상부 아래에서 적절한 조임끈 루프를 생성하기 위해 끈조임 고정구가 사용된다(상기 도 7의 설명 참조). 끈조임 고정구는 프로세스(800)의 잇따른 동작 동안 조임끈 케이블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홈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840에서, 프로세스(800)는 조임끈 케이블의 자유 단부로 상부의 제2 절반을 끈조임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제2 절반을 끈조임하는 것은 제2 일련의 아일릿 또는 상부의 제2 절반 상의 유사한 구성을 통해 조임끈 케이블을 라우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850에서, 프로세스(800)는, 끈조임 엔진과의 적절한 맞물림을 위해 하부 조임끈 루프가 적절하게 형성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조임끈 케이블을 다양한 아일릿을 통해 그리고 끈조임 고정구 주위로 조임으로써 계속된다. 끈조임 고정구는 적절한 조임끈 루프 길이의 획득을 보조하고, 상이한 끈조임 고정구가 신발류의 상이한 크기 또는 스타일에 사용될 수 있다. 끈조임 프로세스는 조임끈 케이블의 자유 단부가 상부의 제2 절반에 고정되는 것으로 860에서 완료된다. 상부의 완성은 또한 추가의 트리밍 또는 스티칭(stitching)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870에서, 프로세스(800)는 끈조임 고정구로부터 상부를 제거하는 것으로 완료된다.
도 9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끈조임 엔진의 스풀 내에 조임끈을 고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 끈조임 엔진(10)의 스풀(130)은 조임끈 홈(132) 내에 조임끈 케이블(131)을 수용한다. 도 9는 페룰을 갖는 조임끈 케이블 및 페룰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하는 조임끈 홈을 갖는 스풀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페룰은 스풀 내에 조임끈 케이블을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리세스 내로 스냅(예를 들어, 간섭 끼워 맞춤)된다. 스풀(130)과 같은 다른 예시적 스풀은 리세스를 포함하지 않으며, 스풀의 조임끈 홈 내에 조임끈 케이블을 유지하기 위해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의 다른 컴포넌트가 사용된다.
도 10a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를 위한 동력화된 끈조임 시스템의 컴포넌트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시스템(1000)은 인터페이스 버튼, 발 존재 센서(들), 프로세서 회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 조립체(PCA), 배터리, 충전 코일, 인코더, 모터, 트랜스미션, 및 스풀을 포함하는 것과 같은 동력화된 끈조임 시스템의 기본 컴포넌트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인터페이스 버튼 및 발 존재 센서(들)는 회로 보드(PCA)와 통신하고, 회로 보드는 또한 배터리 및 충전 코일과 통신한다. 인코더 및 모터는 또한 회로 보드에, 그리고, 서로 간에 연결된다. 트랜스미션은 모터를 스풀에 결합시켜 구동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예에서, 프로세서 회로는 구동 메커니즘의 하나 이상의 양태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회로는 버튼 및/또는 발 존재 센서 및/또는 배터리 및/또는 구동 메커니즘 및/또는 인코더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신발류를 조임하거나 풀기 위해, 또는 다른 기능들 중에서, 센서 정보를 획득하거나 기록하기 위해, 구동 메커니즘에 명령들을 발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b는 구동 메커니즘을 작동시키기 위해 발 존재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방법(1001)의 예를 일반적으로 도시한다. 단계 1010에서, 예는 발 존재 센서로부터 발 존재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발 존재 정보는 발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관한 이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발이 신발류 물품 내에 존재할 가능성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는 센서로부터 프로세서 회로에 제공되는 전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발 존재 정보는 신발류 내의 하나 이상의 센서에 대한 발의 위치에 대한 정성적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1020에서, 예는 발이 신발류 내에 완전히 착좌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센서 신호가 발이 완전히 착좌되어 있다는 것을 표시하면, 이 예는 조임끈 구동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단계 1030에서 계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이 완전히 착좌될 때, 조임끈 구동 메커니즘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스풀 메커니즘을 거쳐 조임된 신발류 조임끈에 맞물릴 수 있다. 센서 신호가 발이 완전히 착좌되지 않았다는 것을 표시하면, 이 예는 일부 지정 간격(예를 들어, 1 내지 2초, 또는 그 이상)에 대해 지연 또는 아이들링함으로써 단계 1022에서 계속될 수 있다. 지연이 경과한 후에, 예는 동작 단계 1010으로 복귀할 수 있고, 프로세서 회로는 발이 완전히 착좌되어 있는지를 다시 결정하기 위해 발 존재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다시 샘플링할 수 있다.
조임끈 구동 메커니즘이 단계 1030에서 작동된 후에, 프로세서 회로는 동작 1040에서 발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회로는 발 존재 센서로부터 신발류 내의 발의 절대 또는 상대 위치에 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단계 1040에서의 발 위치 정보 모니터링 및 단계 1010에서의 발 존재 정보 수신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발 위치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040에서, 예는 신발류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버튼으로부터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신발류를 제거하기를 원할 때, 예를 들어 조임끈을 맞물림 해제하는(푸는) 사용자 지시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에서, 조임끈 인장 정보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구동 모터 또는 인장 조임끈을 작동시키기 위한 피드백 정보로서 모니터링 또는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임끈 인장 정보는 구동 모터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모니터링될 수 있다. 인장은 공장에서 특성화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모니터링되거나 측정된 구동 모터 전류 레벨과 상관될 수 있다.
단계 1050에서, 예는 발 위치가 신발류 내에서 변화되었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발 위치 변화가 프로세서 회로에 의해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발 존재 센서로부터 발 존재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검출되지 않으면, 예는 지연(1052)으로 계속될 수 있다. 지정된 지연 간격 후에, 예는 발 위치가 변화되었는지를 다시 결정하기 위해 발 존재 센서(들)로부터의 정보를 다시 샘플링하도록 단계 1040으로 복귀할 수 있다. 지연(1052)은 수 밀리초 내지 수 초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고, 선택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지연(1052)은, 예를 들어 신발류 사용 특성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세서 회로에 의해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가 격렬한 활동(예를 들어, 달리기, 도약 등)에 관여한다고 프로세서 회로가 결정하면, 프로세서 회로는 지연(1052)을 감소시킬 수 있다. 착용자가 격렬하지 않은 활동(예를 들어, 보행 또는 앉음)에 관여하고 있다고 프로세서 회로가 결정하면, 프로세서 회로는 예를 들어 센서 샘플링 이벤트를 늦춤으로써 배터리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해 지연(1052)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에서, 위치 변화가 1050에서 검출되면, 예는, 예를 들어, 신발류의 조임끈을 조임하거나 풀리게 하기 위해, 조임끈 구동 메커니즘을 작동시키기 위해, 동작 1030으로 복귀함으로써 계속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프로세서 회로는 원하지 않는 조임끈 스풀링을 피하는 것을 돕기 위해 구동 메커니즘을 위한 히스테레틱 제어기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를 통합한다.
모터 제어 방안
도 11a 내지 11d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동력화된 끈조임 엔진용 모터 제어 방안(1100)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이 예에서, 모터 제어 방안(1100)은 조임끈 권취와 관련하여, 전체 행정을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것을 수반하고, 세그먼트는 조임끈 행정(lace travel)의 연속 상의 위치(예를 들어, 한쪽 단부 상의 복원/풀림 위치와 다른 쪽의 최대 조임도(max tightness) 사이)에 기반하여 크기가 변한다. 모터가 반경방향 스풀을 제어하고 주로 모터 샤프트 상의 반경방향 인코더를 통해 제어될 때, 세그먼트는 스풀 행정(spool travel) 정도(인코더 카운트의 관점에서 볼 수 있음)의 관점에서 크기가 정해 질 수 있다. 연속의 풀림측에서, 조임끈 이동의 양이 덜 중요하기 때문에, 10 도의 스풀 행정과 같이 세그먼트가 더 클 수 있다. 그러나, 조임끈이 조임될 때, 조임끈 행정의 각각의 증분은 원하는 양의 조임끈 조임도를 얻기 위해 점점 더 중요해 진다. 모터 전류와 같은 다른 파라미터가 조임끈 조임도 또는 연속 위치의 보조 척도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1a는 조임도 연속(tightness continuum)에 따른 위치에 기초한 상이한 세그먼트 크기의 예시도를 포함한다.
도 11b는 현재의 조임도 연속 위치 및 원하는 최종 위치에 기초하여 모션 프로파일의 표를 구축하기 위해 조임도 연속 위치를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다. 모션 프로파일은 이어서 사용자 입력 버튼으로부터 특정 입력으로 전환될 수 있다. 모션 프로파일은 가속(Accel(deg/s/s)), 속력(Vel(deg/s)), 감속(Dec(deg/s/s)), 및 이동 각도(Angle(deg))와 같은 스풀 모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도 11c는 속력 대 시간 그래프 상에 플롯팅된 예시적인 모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11d는 조임도 연속을 따라 다양한 모션 프로파일들을 활성화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용자 입력들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얽힘 방지 박스 조임끈 채널 형상
도 12a는 일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얽힘 방지 끈조임 채널(1110)을 갖는 동력화된 끈조임 시스템(1101)의 사시도이다. 도 12b는 모듈형 스풀(1130)을 통해 연장되고 하우징 구조(1105)를 통한 끈조임 채널(1110)과 정렬된 권취 채널(1132)을 도시하는 도 12a의 동력화된 끈조임 시스템(1101)의 평면도이다. 위에서 설명된 스풀(130)과 유사하게, 모듈형 스풀(1130)은, 모듈형 스풀(1130)이 신발류 물품 상부에 조임끈(131)를 조이기 위해 권취될 때, 조임끈 또는 케이블(131)(도 2f)과 같은 조임끈을 위한 저장 위치를 제공한다. 모듈형 스풀(1130)은 상부 플레이트(1131) 및 하부 플레이트(1134)와 같은 컴포넌트의 집합물(assortment)로부터 조립될 수 있다.
모듈형 스풀(1130)은 끈조임 채널(1110)의 스풀 리세스(1115) 내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끈조임 채널(1110)은 하우징 구조(1105)로부터 권취 및 권취 해제 조임끈(131) 내의 모듈형 스풀(1130)의 성능을 최적화하거나 개선하도록 성형된다. 특히,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끈조임 채널(1110)은 조임끈 채널 전이부(1114) 및 다른 형상, 기하학적 형상 및 표면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새집화(bird's nesting)에 의해 조임끈(131)가 스풀 리세스(1115) 내에서 재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임끈 채널 전이부(1114)는 조임끈(131)를 압축 또는 얽히게 할 필요 없이하지 조임끈(131)를 저장하기에 적절한 체적을 끈조임 채널(1110)에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끈조임 엔진(1101)이 하우징 구조(1105)의 상부 컴포넌트(1102) 및 하부 컴포넌트(1104), 케이스 나사(1108), 끈조임 채널(1110)(조임끈 가이드 릴리프(1110)로도 지칭됨), 조임끈 채널 벽(1112), 조임끈 채널 전이부(1114), 스풀 리세스(1115), 버튼 개구부(1120), 버튼(1121), 버튼 멤브레인 시일(1124), 프로그래밍 헤더(1128), 모듈형 스풀(1130), 및 권취 채널(조임끈 홈)(1132)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구조(1105)는, 예를 들어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신발류 물품의 솔 내로의 삽입을 위한 콤팩트한 끈조임 엔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케이스 나사(1108)가 상부 컴포넌트(1102) 및 하부 컴포넌트(1104)를 맞물린 상태로 보유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함께, 상부 컴포넌트(1102) 및 하부 컴포넌트(1104)는 웜 구동부(1140) 및 모듈형 스풀(1130)의 컴포넌트와 같은 동력화된 끈조임 시스템(1101)의 컴포넌트의 배치를 위한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도 12c). 조임끈 채널 벽(1112)은 하우징 구조(1105) 내외로 조임끈(131)를 안내하도록 성형될 수 있고, 조임끈 채널 전이부(1114)는 모듈형 스풀(1130) 내외로 조임끈을 안내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조임끈 채널 벽(1112)은 끈조임 채널(1110)의 장축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반면, 조임끈 채널 전이부(1114)는 조임끈 채널 벽(1112)과 스풀 리세스(1115) 사이에서 연장하는 상태에서 끈조임 채널(1110)의 장축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한다. 스풀 리세스(1115)는 모듈형 스풀(1130)을 수용하기 위한 부분 원통형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임끈(131)(도 2f)는 끈조임 채널(1110) 및 권취 채널(1132)을 가로질러 내부로 연장되도록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모듈형 스풀(1130)이 웜 구동부(1140)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조임끈(131)는 상부 플레이트(1131)와 하부 플레이트(1134) 사이에서 드럼(1135)(도 15b에 더 명확하게 도시됨) 주위에 권취된다. 버튼(1121)은 버튼 개구부(1120)를 통해 연장할 수 있고,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모듈형 스풀(1130)을 회전시키기 위해 웜 구동부(1140)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로그래밍 헤더(1128)는 예를 들어 버튼(1121)에 의해 제공되는 끈조임 작용 및 웜 구동부(1140)의 동작을 특성화하기 위해 끈조임 엔진(1101)의 회로 보드(1160)(도 12c)가 외부 컴퓨팅 시스템에 연결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 12c는 얽힘 방지 끈조임 채널(1110)에 대한 동력화된 끈조임 시스템(1101)의 다양한 컴포넌트를 도시하는 도 12a의 동력화된 끈조임 시스템(1101)의 분해도이다. 동력화된 끈조임 시스템(1101)은 하우징 구조(1105)의 상부 및 하부 컴포넌트(1102, 1104)(도 12a), 모듈형 스풀(1130), 웜 기어(1150), 인덱싱 휠(1151), 회로 보드(1160), 배터리(1170), 무선 충전 코일(1166), 버튼 멤브레인 시일(1124), 버튼(1121) 및 웜 구동부(11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구조(1105)는 상부 컴포넌트(1102) 및 하부 컴포넌트(11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컴포넌트(1102)는 끈조임 채널(1110) 및 스풀 리세스(1115)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형 스풀(1130)은 상부 플레이트(1131), 권취 채널(1132), 스풀 샤프트(1133) 및 하부 플레이트(113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컴포넌트(1104)는 기어 리셉터클(1182), 샤프트 소켓(1188) 및 휠 포스트(1190)를 포함할 수 있다.
웜 구동부(1140)는 부싱(1141), 키(1142), 구동 샤프트(1143), 기어 박스(1144), 기어 모터(1145), 모터 인코더(1146) 및 모터 회로 보드(1147)를 포함할 수 있다. 웜 구동부(1140), 회로 보드(1160), 무선 충전 코일(1166) 및 배터리(117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웜 구동부(140), 회로 보드(160), 무선 충전 코일(166) 및 배터리(170)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고, 간결함을 위해 추가의 설명은 여기서 제공되지 않는다.
체결구(1183)는 조립된 모듈형 스풀(1130)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 플레이트(1131)를 하부 플레이트(1134)에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시일(1138)은 조립될 때 상부 플레이트(1131)와 하부 플레이트(1134) 사이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모듈형 스풀(1130)은 스풀 샤프트(1133)가 샤프트 베어링(1174) 내로 삽입되도록 스풀 리세스(1115) 내로 위치 설정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134)는 카운터보어(1178) 내에 그에 의해 착좌되게 구성되는 반면에, 상부 플레이트(1131)는 스풀 벽(1116)으로부터 연장하는 스풀 플랜지(1172)에 인접하여 위치 설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스풀 샤프트(1133)는 샤프트 베어링(1174)을 통해 연장하고 그를 통과하여 샤프트 소켓(1188)과 맞물리도록 소켓(1152)에서 웜 기어(1150)와 맞물린다.
웜 기어(1150)는 하부 컴포넌트(1104)의 기어 리셉터클(1182) 내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스풀 샤프트(1133)의 원위 팁은 소켓(1188)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인덱싱 휠(1151) 내의 보어(1195)는, 인덱싱 휠(1151)이 소켓(1188) 내에서 부분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휠 포스트(1190) 주위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기어 리셉터클(1182) 내에 안착되는 웜 기어(1150) 및 휠 포스트(1190) 상에 위치 설정되는 인덱싱 휠(1151)에 의해, 인덱싱 휠(1151)의 치형부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웜 기어(1150)의 저부 측 상의 치형부(153)(도 2i)와 같은 치형부와 정합하여, 적절한 인덱싱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웜 구동부(1140)는, 예를 들어 스풀 샤프트(1133)가 소켓(1152) 내로 억지끼움 되거나 스플라인되는(splined) 것에 의해서, 스풀 샤프트(1133)의 직접 회전을 유발하도록 웜 기어(1150)를 구동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인덱싱 휠(1151)은 인덱싱 작용에 의한 웜 기어(1150)의 특정 수의 일순(revolution) 후에 웜 기어(1150)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듈형 스풀(1130)이 끈조임 채널(1110) 내의 카운터보어(1178) 내에 착좌될 때, 모듈형 스풀(1130)은 조임끈 체적을 형성하고, 끈조임 채널(1110)은 저장 체적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모듈형 스풀(1130)은, 상부 플레이트(1131)와 하부 플레이트(1134)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고 모듈형 스풀(1130)의 중심 축으로부터, 그의 추가의 연장범위에서, 상부 플레이트(1131)의 외경 에지까지 연장하는 조임끈 체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끈조임 채널(1110)은, 조임끈 벽 전이부들(1114)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고 조임끈 채널 벽(1112)과 조임끈 체적 사이에서 연장되는 저장 체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저장 체적은 조임끈 체적보다 크다.
도 13은 조임끈 채널 벽(1112)에 의해 형성된 끈조임 채널(1110)의 유입구 및 조임끈 채널 전이부(1114)에 의해 형성된 스풀 리세스(1115)에 근접한 버퍼 구역을 도시하는 도 12b의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상부 컴포넌트(1102)는 끈조임 채널(1110), 채널 벽(유입구)(1112), 채널 전이부(릴리프/버퍼 영역)(1114), 스풀 리세스(1115)를 위한 스풀 벽(1116), 스풀 플랜지(1172), 샤프트 베어링(1174), 채널 바닥(1176), 바닥(1177), 카운터보어(1178) 및 채널 립(1180)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임끈 채널 벽(1112)은 끈조임 채널(1110)에 의해 형성된 축(A)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평면형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서, 축(A)은 섹션 라인 15 - 15와 일치한다. 스풀 리세스(1115)는 축(A) 상에 중심 설정될 수 있고 스풀 리세스(1115)의 대향 측면들 상의 조임끈 채널 벽(1112) 사이의 절반에 중심 설정된 상부 컴포넌트(1102) 내에 부분적인 원통형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카운터보어(1178)는 원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스풀 리세스(1115) 내에 중심 설정될 수 있다. 샤프트 베어링(1174)은 스풀 샤프트(1133)가 그를 통해 연장할 수 있는 원형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베어링(1174)은 카운터보어(1178) 내에 중심 설정될 수 있다. 스풀 벽(1116)은 스풀 리세스(1115)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아치형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스풀 플랜지(1172)는 스풀 벽(1116)으로부터 (도 13의 배향에 대해) 위로 연장될 수 있는 아치형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스풀 벽(1116) 및 스풀 플랜지(1172)의 각각은 대략 80도의 원호 거리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채널 전이부(1114)는 채널 벽(1112)과 스풀 벽(1116) 사이에서 직선으로 연장할 수 있는 평면형 벽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채널 전이부(1114)는 그 원위 단부에서 채널 벽(1112)에 연결되어 그 사이에 각도를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작은 곡선 표면 또는 반경이 채널 전이부(1114)와 채널 벽(1112) 사이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채널 전이부(1114)는 스풀 벽(1116)에 그 근위 단부에서 연결되어 그 사이의 각도를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채널 전이부(1114)는 라인(T)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 벽(1116)의 곡선에 접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채널 벽(1112)에 의해 형성된 유입구는 사용될 수 있거나 사용될 수 없다. 이는 상술한 저장 체적의 체적을 최대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채널 전이부(1114)는 스풀 플랜지(1172)의 내부 코너로 연장한다.
채널 바닥(1176)은 채널 벽(1112)과 채널 립(1180) 사이에서 연장하는 편평한 또는 평면형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1177)은 끈조임 채널(1110) 내에서 부분적으로 그리고 스풀 리세스(1115) 내에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편평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1177)은 상부 컴포넌트(1102) 내에서 채널 바닥(1176)보다 (도 13의 배향에 대해) 더 낮을 수 있다. 채널 립(1180)은 채널 바닥(1176)과 바닥(1177) 사이에서 연장하는 아치형 또는 곡선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채널 립(1180)은 채널 바닥(1176)과 바닥(1177) 사이에 각도를 형성하는 편평한 또는 평면형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채널 립(1180)은, 도 15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향 채널 전이부들(1114) 사이의 임의의 위치가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균일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4a는 끈조임 채널(1110)의 폭(W1)을 도시하는, 섹션 14A - 14A에서 취해진 도 13의 얽힘 방지 끈조임 채널(1110)을 통한 측단면도이다. 폭(W1)은 대향 채널 벽(1112)들에 형성된 끈조임 채널(1110)로의 유입구의 폭에 대응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벽(1112) 및 채널 바닥(1176)은 직선으로 둘러싸인 유입구를 형성하도록 편평하다. 채널 벽(1112)은 서로에 대해 대략적으로 평행하면서, 채널 바닥(1176)에 대략적으로 수직하다. 폭(W1)은 채널 벽(1112)의 높이보다 넓을 수 있고, 폭(W1)은 끈조임 채널(1110)에 사용되도록 의도된 조임끈(예를 들어, 조임끈(131))의 단면보다 수 배 클 수 있다. 이러한 종횡비는 엉클어지려는 경향을 낮추기 위해 조임끈이 끈조임 채널(1110) 중심의 대략적인 근접부에서 상부 컴포넌트(1102) 내로 공급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스풀(1130)의 권취 채널(1132)이 회전함에 따라 조임끈이 측면-대-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게도 한다.
도 14b는 스풀 리세스(1115)로의 유입구에서 끈조임 채널(1110)의 폭(W2)을 도시하는 섹션 14B - 14BA에서 취해진 도 13의 얽힘 방지 끈조임 채널(1110)을 통한 측단면도이다. 대향 채널 전이부(1114)는 끈조임 채널(1110) 내에 릴리프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대향 채널 전이부(1114)는 대체로 V-형상을 형성도록 서로 대면한다. 채널 전이부(1114)는 각각의 채널 전이부(1114)를 통해 연장하는 평면이 도 14b의 평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축을 따라 교차하도록 비스듬하다. 따라서, 채널 전이부(1114)는 권취 해제 절차 동안 채널 벽(1112)을 향해 조임끈(131)를 완만하게 깔때기부를 통과시키고, 동시에 스풀(1130)로부터의 조임끈(131)의 펴짐을 허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채널 전이부(1114)는 에지(1184)를 형성하도록 스풀 플랜지(1172)에 근접하여 스풀 벽(1116)에 접촉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에지(1184)가 매끄러운 전이부로 대체되도록, 스풀 벽(1116)과 접할 수 있다. 채널 전이부(1114)는 채널 립(1180)을 지나 연장한다. 채널 전이부(1114)는 채널 립(1180)이 곡선 측면 에지(1186)를 갖도록 채널 립(1180)보다 클 수 있다. 채널 전이부(1114)는 카운터보어(1178)에 근접한 스풀 리세스(1115)에서 종료된다.
도 14c는 스풀 리세스(1115)에서 끈조임 채널(1110)의 폭(W3)을 도시하는 섹션 14C - 14C에서 취해진 도 13의 얽힘 방지 끈조임 채널(1110)을 통한 측단면도이다. 스풀 리세스(1115)의 중심에서, 대향하는 스풀 벽(1116)들은 스풀 리세스(1115)를 형성하도록 폭(W3)으로 이격된다. 폭(W3)은 바닥(1177)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카운터보어(1178)보다 넓을 수 있다. 폭(W3)은 스풀(1130)의 하부 플레이트(1134)가 전술한 조임끈 체적을 위한 추가 공간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카운터보어(1178)보다 넓을 수 있다. 스풀 플랜지(1172)는 회전을 촉진하기 위해 모듈형 스풀(1130)을 위한 틈새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플랜지(1172)는, 커버 또는 뚜껑 구조가 모듈형 스풀(1130)의 회전과 간섭하지 않도록, 모듈형 스풀(1130) 및 끈조임 채널(1110) 위에 위치 설정되는, 도 1의 뚜껑(20)과 같은 커버 또는 뚜껑 구조로부터 모듈형 스풀(1130)을 차폐할 수 있다. 스풀 플랜지(1172)는 또한 하우징 구조(1105) 내의 공간 내로의 조임끈(131)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리브 또는 다른 장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풀 플랜지(1172)는 예를 들어 솔 구조의 요소로부터 끈조임 채널(1110) 위의 틈새를 제공함으로써, 조임끈(131) 상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5a는 스풀 리세스(1115) 및 채널 벽(1112)의 유입구들 사이에 끈조임 채널(1110)의 윤곽화를 도시하는 얽힘 방지 끈조임 채널(1110)을 통한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15a는 채널 바닥(1176), 채널 립(1180), 바닥(1177) 및 카운터보어(1178)의 상대적인 높이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바닥(1176)은 끈조임 채널(1110)의 가장 얕은 부분에 상응하는, 끈조임 채널(1110)의 (도 15a의 배향에 대해) 최고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채널 립(1180)은 끈조임 채널(1110)을 채널 바닥(1176)으로부터 바닥(1177)으로 아래로 낮춘다. 채널 립(1180)은 잠재적으로 조임끈을 손상시킬 수 있는 날카로운 에지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해 매끄러운 전이부를 제공한다. 바닥(1177)은 끈조임 채널(1110)을 스풀 리세스(1115)로 전이시키고 스풀 벽(1116) 사이에서 카운터보어(1178)를 둘러싼다. 카운터보어(1178)는 바닥(1117) 내에서 중심 설정되고, 끈조임 채널(1110)의 최저 부분을 형성한다. 하지만, 카운터보어(1178)는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1130)의 하부 플레이트(1134)에 의해 실질적으로 충전된다. 따라서, 바닥(1177)은 동작 중에 끈조임 채널(1110)의 가장 얕은 부분을 형성한다. 도 15a의 단면에서의 끈조임 채널(1110)의 윤곽화는 조임끈(131)가 권취 해제 절차 중에 채널 벽(1112)을 향해 완만하게 깔때기부를 통과하도록 허용하고, 동시에 채널 전이부(1114)와 유사하지만 횡단 평면 내에서 스풀(1130)로부터 조임끈(131)의 펴짐을 허용하기 위한 공간도 제공한다. 따라서, 끈조임 채널(1110)은 끈조임 또는 케이블의 저장을 위한 얽힘-방지 릴리프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2개의 평면에서 깔때기 형상을 갖는다.
도 15b는 스풀(1130)이 끈조임 채널(1110) 내에 삽입된, 도 15a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끈조임 채널(1110)의 윤곽화는 스풀(1130) 내로의 조임끈(131)의 공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바닥(1176)은 점선(F)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1130)의 조임끈 체적(V1)의 중심과 대략적으로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풀(1130)의 하부 플레이트(1134)는 디스크 부분(1204) 및 베벨(1206)을 포함할 수 있다. 베벨(1206)은 조임끈(131)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하부 플레이트(1134)의 상부 컴포넌트(1102)와 디스크 부분(1204) 사이에 매끄러운 전이를 제공하도록 바닥(1177)과 정렬될 수 있는 테이퍼진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디스크 부분(1204) 및 베벨(1206)는 또한 하우징 구조(1105) 내의 공간 내로의 조임끈(131)의 진입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15b는 스풀(1130)의 조임끈 체적(V1) 및 끈조임 채널(1110)의 저장 체적(V2)를 도시한다. 조임끈 체적(V1)은 상부 플레이트(1131)와 하부 플레이트(1132) 사이의 공간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스풀(1130)의 드럼(1135)으로부터 상부 플레이트(1131) 및 하부 플레이트(1132)의 외경 에지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조임끈 체적(V1)은 반-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고리-형상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임끈 체적(V1)은 바닥(1177) 위의 공간을 포함하도록 하부 플레이트(1132)에서 상부 플레이트(1131)의 외경까지 전체적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저장 체적(V2)은 하부 에지에서의 채널 바닥(1176), 채널 립(1180) 및 바닥(1177)에 의해 상부 에지에서의 채널 전이부(1114) 및 채널 벽(1112)의 상부 에지 사이들의 공간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채널 벽(1112)으로부터 조임끈 체적(V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저장 체적(V2)은, 하우징 구조(1105)가 신발류 물품을 위한 솔 구조 내에 끼워지는 것을 여전히 허용하면서, 조임끈 또는 케이블이 끈조임 채널(1110) 내에서 수집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콤팩트하지만, 예를 들어 그 자체로 밀접하게 푸시되거나 압축되어, 조임끈 또는 케이블이 뒤섞이거나 또는 새집화되는 것(bird's nested)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충분히 크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저장 체적(V2)은 조임끈 체적(V1)보다 크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끈조임 채널(1110)의 다양한 양태는 조임끈이, 스풀(1130) 상에서의 저장을 위해 하우징 구조(1105) 내로 효율적으로 견인되고 조임끈이 외부로부터 하우징 구조(1105)에서 완만하게 견인될 수 없는 정도로 엉클어지거나 매듭형성되거나 또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풀(1130)에 의해 하우징 구조(1105)로부터 푸시될 수 있게 하며, 동시에 솔 구조와 하우징 구조(1105) 사이 그리고 하우징 구조(1105)와 스풀(1130) 사이에서 조임끈에 날카로운 에지 또는 잠재적인 핀치(pinch) 지점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예1은 신발류 끈조임 장치와 같은 요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이용할 수 있는데, 상기 신발류 끈조임 장치는, 하우징 구조로서, 제1 유입구, 제2 유입구, 및 제1 유입구와 제2 유입구 사이에서 연장하는 끈조임 채널로서, 제1 유입구와 제2 유입구 사이에 위치된 스풀 리셉터클, 스풀 리셉터클과 제1 유입구 사이에 위치된 제1 릴리프 영역, 및 스풀 리셉터클과 제2 유입구 사이에 위치된 제2 릴리프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및 제2 릴리프 영역이 스풀 리셉터클과 제1 및 제2 유입구 사이에서 각각 선형으로 테이퍼지는, 끈조임 채널을 포함할 수 있는, 하우징 구조와, 끈조임 채널의 스풀 리셉터클에 배치되는 스풀과, 스풀과 결합되고 끈조임 채널을 통해 그리고 스풀을 통해 연장하는 조임끈 케이블을 권취 또는 권취 해제하기 위해 스풀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 2는, 각각 스풀 리셉터클로부터 제1 및 제2 유입구로 테이퍼지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스풀 리셉터클로부터 연장하는 평면형 측벽을 포함할 수 있는 제1 및 제2 릴리프 영역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예 1의 요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그와 조합될 수 있다.
예 3은, 스풀 리셉터클에 접할 수 있는 평면형 측벽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예 1 또는 예 2 중 하나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의 요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그와 조합될 수 있다.
예 4는, 스풀 리셉터클과 제1 및 제2 유입구 사이에 사다리꼴 형상의 통로를 각각 형성하는 제1 및 제2 릴리프 영역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예 1 내지 예 3 중 하나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의 요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그와 조합될 수 있다.
예 5는, 조합된 릴리프 영역의 저장 용량보다 작은 스풀의 저장 용량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예 1 내지 예 4 중 하나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의 요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그와 조합될 수 있다.
예 6은 한 쌍의 대향하는 아치형 측벽을 포함할 수 있는 스풀 리셉터클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예 1 내지 예 5 중 하나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의 요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그와 조합될 수 있다.
예 7은, 샤프트 소켓 및 샤프트 소켓을 둘러싸는 카운터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스풀 리셉터클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예 1 또는 예 6 중 하나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의 요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그와 조합될 수 있다.
예 8은 스풀 리셉터클로서, 스풀 리셉터클 위로 연장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아치형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스풀 리셉터클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예 1 또는 예 7 중 하나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의 요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그와 조합될 수 있다.
예 9는, 하우징 구조 내의 직사각형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예 1 또는 예 8 중 하나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의 요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그와 조합될 수 있다.
예 10은, 각각 직사각형 통로를 형성하는 평면형 측벽을 더 포함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예 1 또는 예 9 중 하나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의 요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그와 조합될 수 있다.
예 11은, 스풀 리셉터클과의 연접부(juncture)에서 곡선 립을 포함할 수 있는 제1 및 제2 릴리프 영역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예 1 또는 예 10 중 하나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의 요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그와 조합될 수 있다.
예 12는, 하부 플레이트,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연장하는 샤프트, 상부 플레이트,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 설정된 드럼, 및 드럼을 통해 연장하는 권취 채널을 포함할 수 있는 스풀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예 1 또는 예 11 중 하나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의 요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그와 조합될 수 있다.
예 13은 신발류 끈조임 장치를 위한 하우징 구조와 같은 요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이용할 수 있는데, 상기 하우징 구조는, 본체로서, 상단 표면, 저부 표면, 상단 표면과 저부 표면을 연결하는 제1 측벽, 및 상단 표면과 저부 표면을 연결하는 제2 측벽을 포함할 수 있는, 본체와, 상단 표면 및 저부 표면 그리고 제1 및 제2 측벽 사이의 내부 구획부와, 제1 측벽으로부터 제2 측벽까지 연장하는 끈조임 채널로서, 상기 끈조임 채널은, 제1 측벽 내의 제1 유입구, 제2 측벽 내의 제2 유입구, 제1 유입구와 제2 유입구 사이에 위치된 스풀 리셉터클, 스풀 리셉터클과 제1 유입구 사이에 위치된 제1 릴리프 영역, 및 스풀 리셉터클과 제2 유입구 사이에 위치된 제2 릴리프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및 제2 릴리프 영역이 스풀 리셉터클과 제1 및 제2 유입구 사이에서 각각 선형으로 테이퍼지는, 끈조임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 14는, 각각 스풀 리셉터클로부터 제1 및 제2 유입구로 테이퍼지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스풀 리셉터클로부터 연장하는 평면형 측벽을 포함할 수 있는 제1 및 제2 릴리프 영역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예 13의 요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그와 조합될 수 있다.
예 15는 한 쌍의 대향하는 아치형 측벽을 포함할 수 있는 스풀 리셉터클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예 13 또는 예 14 중 하나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의 요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그와 조합될 수 있다.
예 16은, 스풀 리셉터클의 아치형 측벽에 접할 수 있는 평면형 측벽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예 13 내지 예 15 중 하나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의 요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그와 조합될 수 있다.
예 17은, 스풀 리셉터클과 제1 및 제2 유입구 사이에 사다리꼴 형상의 통로를 각각 형성할 수 있는 제1 및 제2 릴리프 영역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예 13 내지 예 16 중 하나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의 요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그와 조합될 수 있다.
예 18은, 스풀 리셉터클로서, 스풀 리셉터클 위로 연장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아치형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스풀 리셉터클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예 13 또는 예 17 중 하나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의 요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그와 조합될 수 있다.
예 19는, 본체 내의 직사각형 개구부 및 직사각형 통로를 형성하는 평면형 측벽을 포함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유입구의 각각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예 13 또는 예 18 중 하나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의 요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그와 조합될 수 있다.
예 20은, 상부 컴포넌트 및 하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는 본체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예 13 또는 예 19 중 하나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의 요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그와 조합될 수 있다.
예 21은 본체의 상단 표면을 관통할 수 있는 끈조임 채널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예 13 또는 예 20 중 하나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의 요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그와 조합될 수 있다.
예 22는 신발류 끈조임 장치 내의 스풀을 권취 해제하는 방법과 같은 요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이용할 수 있는데, 상기 방법은, 스풀 주위에 랩핑된 조임끈 케이블 내의 인장을 감소시키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으로 스풀을 회전시키는 단계와, 신발류 끈조임 장치의 하우징 내에서 스풀로부터 끈조임 채널로 조임끈 케이블을 푸시하는 단계와, 끈조임 채널의 릴리프 영역 내에서 조임끈 케이블을 수집하는 단계와, 스풀로부터 조임끈 케이블을 권취 해제하기 위해 조임끈 케이블이 릴리프 영역으로부터 끈조임 채널을 느슨하게 진출하게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23은 조임끈 케이블이 릴리프 영역에 자유롭게 수집(collecting)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릴리프 영역 내에서 조임끈 케이블의 얽힘을 방지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예 22의 요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그와 선택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예 24는, 릴리프 영역 내로 스풀을 비우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예 22 또는 예 23 중 하나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의 요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그와 조합될 수 있다.
예 25는 얽힘 없이 릴리프 영역으로부터 조임끈 케이블을 견인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예 22 내지 예 24 중 하나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의 요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그와 조합될 수 있다.
추가 노트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복수 인스턴스는 단일 인스턴스로서 설명된 컴포넌트, 동작 또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방법의 개별 동작들이 별개의 동작들로서 예시되고 설명되지만, 개별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어떠한 것도 동작들이 도시된 순서로 수행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예시적 구성에서 별개의 컴포넌트로서 제시되는 구조 및 기능은 조합된 구조 또는 컴포넌트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단일 컴포넌트로서 제시되는 구조 및 기능은 별개의 컴포넌트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변형, 수정, 추가 및 개선은 본원의 요지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요지의 개요가 특정한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더 넓은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해 다양한 수정들 및 변화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지의 이러한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는 단지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발명"이라 지칭될 수 있으며, 임의의 단일 개시내용 또는 사실상 하나보다 많은 개시내용이 개시된다면, 발명의 개념에 본 출원의 범주를 자발적으로 제한하기를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실시예들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개시된 교시들을 실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된다. 다른 실시예가 그로부터 사용 및 안출될 수 있으며, 그래서, 구조적 및 논리적 치환 및 변화가 본 개시내용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제한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지지 않아야 하고,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개시된 요지에 부여되는 등가물의 전체 범위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또는" 은 포괄적인 또는 배타적인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단일 인스턴스로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자원, 동작, 또는 구조에 대한 복수의 인스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자원들, 동작들, 모듈들, 엔진들, 및 데이터 저장소들 간의 경계들은 다소 임의적 이고, 특정한 동작들은 특정한 예시적인 구성들의 맥락에서 도시된다. 기능의 다른 할당이 예상되고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예시적인 구성에서 별개의 자원으로 제시되는 구조 및 기능은 조합된 구조 또는 자원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단일 자원으로서 제시되는 구조 및 기능은 별개의 자원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변형, 수정, 추가 및 개선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표현되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들 비-제한적인 예들 각각은 그 자체로 독립적이거나, 다른 예들 중 하나 이상과의 다양한 치환 또는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세한 설명은 상세한 설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에 대한 참조를 포함한다.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또한 본원에서 "예"로 지칭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시되거나 기재된 것에 추가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도시되거나 설명된 단지 이들 요소만이 제공되는 예를 또한 고려한다. 더욱이, 본 발명자들은 특정 예(또는 그 하나 이상의 양태)에 관하여, 또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거나 설명된 다른 예(또는 그 하나 이상의 양태)에 관하여, 도시되거나 설명된 이들 요소(또는 그 하나 이상의 양태)의 임의의 조합 또는 치환을 사용하는 예를 또한 고려한다.
이러한 문헌과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 임의의 문헌 사이의 불일치하는 용법의 경우에, 본 문헌에서의 용법이 우선한다.
본 문헌에서, 특허 문헌에서 통상적인 바와 같이, 용어 "일"은 임의의 다른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 또는 용법과 독립적으로 하나 또는 하나 초과를 포함하도록 사용된다. 본 문헌에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비배타적인 것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A 또는 B"가 "B를 제외한 A" 또는 "A를 제외한 B" 및 " A 및 B"를 포함하도록 사용된다. 본 문헌에서, 용어 "함유하는(including)" 및 "여기에서(in which)"는 각각의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 및 "여기서(wherein)" 평범한 등가물로서 사용된다. 또한, 하기 청구 범위에서, 용어 "함유하는" 및 "포함하는"은 끝이 열려있으며, 즉, 청구 범위에서 이러한 용어 뒤에 나열된 것들에 추가적인 요소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디바이스, 물품, 조성물, 제제, 또는 프로세스가 여전히 해당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더욱이,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용어 "제1", "제2" 및 "제3" 등은 단지 라벨로서만 사용되고, 이들의 대상물에 수치적 요구를 부여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모터 제어 예들과 같은 본원에 기술된 방법 예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계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몇몇 예는 상기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를 구성하도록 동작 가능한 명령어에 의해 인코딩된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또는 기계-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구현예는 마이크로코드(microcode), 어셈블리 언어 코드(assembly language code), 고급 언어 코드(higher-level language code) 등과 같은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다양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부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예에서, 코드는 예로서 실행 중에 또는 다른 시간에, 하나 이상의 휘발성, 비일시적(non-transitory), 또는 비휘발성 유형의(tangible)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유형적으로(tangibly) 저장될 수 있다. 이들 유형의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의 예는 하드 디스크, 이동식 자기 디스크, 이동식 광학 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 및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자기 카세트, 메모리 카드 또는 스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ies: RAMs),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ies: ROMs)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제한을 의도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술된 예(또는 그 하나 이상의 양태)는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가 예로서 상기 설명을 고찰시에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제공되는 경우, 요약서는 독자가 기술적 개시내용의 특성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포함된다. 이는 청구범위의 범주 또는 의미를 해석하거나 한정하는데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이해를 갖고 제출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 다양한 구성이 본 개시내용을 능률화하기 위해 함께 그룹화될 수도 있다. 이는 청구되지 않은 개시된 구성이 임의의 청구항에 필수적이라는 것을 의도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는 특정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구성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는 이에 의해 예 또는 실시예로서 상세한 설명에 합체되어 있고, 각각의 청구항은 개별 실시예로서 자립하고, 이러한 실시예는 다양한 조합 또는 치환에서 서로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청구범위에 부여되는 등가물의 전체 범주와 함께, 첨부된 청구범위를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25)

  1. 신발류 끈조임 장치이며,
    하우징 구조로서,
    제1 유입구,
    제2 유입구, 및
    제1 유입구와 제2 유입구 사이에서 연장하는 끈조임 채널로서, 상기 끈조임 채널은,
    제1 유입구와 제2 유입구 사이에 위치된 스풀 리셉터클,
    스풀 리셉터클과 제1 유입구 사이에 위치된 제1 릴리프 영역, 및
    스풀 리셉터클과 제2 유입구 사이에 위치된 제2 릴리프 영역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릴리프 영역은 스풀 리셉터클과 제1 및 제2 유입구 사이에서 각각 선형으로 테이퍼지는, 끈조임 채널을 포함하는, 하우징 구조와,
    끈조임 채널의 스풀 리셉터클에 배치되는 스풀과,
    스풀과 결합되고 끈조임 채널을 통해 그리고 스풀을 통해 연장하는 조임끈 케이블을 권취 또는 권취 해제하기 위해 스풀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신발류 끈조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릴리프 영역은 각각 스풀 리셉터클로부터 제1 및 제2 유입구로 테이퍼지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스풀 리셉터클로부터 연장하는 평면형 측벽을 포함하는, 신발류 끈조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평면형 측벽은 스풀 리셉터클에 접하는, 신발류 끈조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릴리프 영역은 각각 스풀 리셉터클과 제1 및 제2 유입구 사이에 사다리꼴 형상 통로를 형성하는, 신발류 끈조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스풀의 저장 용량이 조합된 릴리프 영역의 저장 용량보다 작은, 신발류 끈조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스풀 리셉터클은 한 쌍의 대향하는 아치형 측벽을 포함하는, 신발류 끈조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스풀 리셉터클은,
    샤프트 소켓, 및
    샤프트 소켓을 둘러싸는 카운터보어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끈조임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스풀 리셉터클은, 스풀 리셉터클 위로 연장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아치형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끈조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유입구는 하우징 구조 내의 직사각형 개구부를 포함하는, 신발류 끈조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유입구는 각각 직사각형 통로를 형성하는 평면형 측벽을 더 포함하는, 신발류 끈조임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릴리프 영역은 스풀 리셉터클과의 연접부에서 곡선 립을 포함하는, 신발류 끈조임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스풀은,
    하부 플레이트,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연장하는 샤프트,
    상부 플레이트,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 설정된 드럼; 및
    드럼을 통해 연장하는 권취 채널을 포함하는, 신발류 끈조임 장치.
  13. 신발류 끈조임 장치를 위한 하우징 구조이며, 상기 하우징 구조는,
    본체로서,
    상단 표면,
    저부 표면,
    상단 표면과 저부 표면을 연결하는 제1 측벽, 및
    상단 표면과 저부 표면을 연결하는 제2 측벽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단 표면 및 저부 표면 그리고 제1 및 제2 측벽 사이의 내부 구획부와,
    제1 측벽으로부터 제2 측벽까지 연장하는 끈조임 채널로서, 상기 끈조임 채널은,
    제1 측벽 내의 제1 유입구,
    제2 측벽 내의 제2 유입구,
    제1 유입구와 제2 유입구 사이에 위치된 스풀 리셉터클,
    스풀 리셉터클과 제1 유입구 사이에 위치된 제1 릴리프 영역, 및
    스풀 리셉터클과 제2 유입구 사이에 위치된 제2 릴리프 영역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릴리프 영역은 스풀 리셉터클과 제1 및 제2 유입구 사이에서 각각 선형으로 테이퍼지는, 끈조임 채널을 포함하는, 하우징 구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릴리프 영역은 각각 스풀 리셉터클로부터 제1 및 제2 유입구로 테이퍼지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스풀 리셉터클로부터 연장하는 평면형 측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구조.
  15. 제14항에 있어서, 스풀 리셉터클은 한 쌍의 대향하는 아치형 측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구조.
  16. 제15항에 있어서, 평면형 측벽은 스풀 리셉터클의 아치형 측벽에 접하는, 하우징 구조.
  17. 제1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릴리프 영역은 각각 스풀 리셉터클과 제1 및 제2 유입구 사이에 사다리꼴 형상 통로를 형성하는, 하우징 구조.
  18. 제15항에 있어서, 스풀 리셉터클은, 스풀 리셉터클 위로 연장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아치형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하우징 구조.
  19. 제1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유입구의 각각은,
    본체 내의 직사각형 개구부, 및
    직사각형 통로를 형성하는 평면형 측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구조.
  20. 제13항에 있어서, 본체는 상부 컴포넌트 및 하부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하우징 구조.
  21. 제13항에 있어서, 끈조임 채널이 본체의 상단 표면을 관통하는, 하우징 구조.
  22. 신발류 끈조임 장치 내의 스풀을 권취 해제하는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스풀 주위에 랩핑된 조임끈 케이블 내의 인장을 감소시키기 위해 구동 메커니즘으로 스풀을 회전시키는 단계와,
    신발류 끈조임 장치의 하우징 내에서 스풀로부터 끈조임 채널 내로 조임끈 케이블을 푸시하는 단계와,
    끈조임 채널의 릴리프 영역 내에서 조임끈 케이블을 수집하는 단계와,
    스풀로부터 조임끈 케이블을 권취 해제하기 위해 조임끈 케이블이 릴리프 영역으로부터 끈조임 채널을 느슨하게 진출하게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풀 권취 해제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릴리프 영역 내에서 조임끈 케이블이 자유롭게 수집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릴리프 영역 내에서 조임끈 케이블의 얽힘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풀 권취 해제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릴리프 영역 내로 스풀을 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풀 권취 해제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얽힘없이 릴리프 영역으로부터 조임끈 케이블을 견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풀 권취 해제 방법.
KR1020187029693A 2016-03-15 2017-03-15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박스형 끈조임 채널 KR102425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25280A KR102561665B1 (ko) 2016-03-15 2017-03-15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박스형 끈조임 채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08648P 2016-03-15 2016-03-15
US62/308,648 2016-03-15
PCT/US2017/022586 WO2017161044A1 (en) 2016-03-15 2017-03-15 Box lacing channel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5280A Division KR102561665B1 (ko) 2016-03-15 2017-03-15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박스형 끈조임 채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161A true KR20180125161A (ko) 2018-11-22
KR102425115B1 KR102425115B1 (ko) 2022-07-26

Family

ID=59847279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702A KR102425116B1 (ko) 2016-03-15 2017-03-08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구동 메커니즘
KR1020237026440A KR20230119730A (ko) 2016-03-15 2017-03-14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모듈러 스풀
KR1020187029692A KR102429745B1 (ko) 2016-03-15 2017-03-14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모듈러 스풀
KR1020227026666A KR102564382B1 (ko) 2016-03-15 2017-03-14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모듈러 스풀
KR1020237025642A KR20230119025A (ko) 2016-03-15 2017-03-15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박스형 끈조임 채널
KR1020227025280A KR102561665B1 (ko) 2016-03-15 2017-03-15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박스형 끈조임 채널
KR1020187029693A KR102425115B1 (ko) 2016-03-15 2017-03-15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박스형 끈조임 채널

Family Applications Before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702A KR102425116B1 (ko) 2016-03-15 2017-03-08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구동 메커니즘
KR1020237026440A KR20230119730A (ko) 2016-03-15 2017-03-14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모듈러 스풀
KR1020187029692A KR102429745B1 (ko) 2016-03-15 2017-03-14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모듈러 스풀
KR1020227026666A KR102564382B1 (ko) 2016-03-15 2017-03-14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모듈러 스풀
KR1020237025642A KR20230119025A (ko) 2016-03-15 2017-03-15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박스형 끈조임 채널
KR1020227025280A KR102561665B1 (ko) 2016-03-15 2017-03-15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박스형 끈조임 채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1) US10390589B2 (ko)
EP (7) EP3932237B1 (ko)
JP (6) JP7312551B2 (ko)
KR (7) KR102425116B1 (ko)
CN (5) CN109068806B (ko)
WO (3) WO201716056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71548B1 (en) * 2012-08-31 2024-04-03 NIKE Innovate C.V. Motorized tensioning system
US11185130B2 (en) 2015-10-07 2021-11-30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tomatic lacing system
US11103030B2 (en) 2015-10-07 2021-08-31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tomatic lacing system
US11033079B2 (en) 2015-10-07 2021-06-15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tomatic lacing system
CN108366639B (zh) 2015-12-02 2022-03-25 彪马欧洲股份公司 一种系紧鞋、尤其是运动鞋的方法
US9961963B2 (en) * 2016-03-15 2018-05-08 Nike, Inc. Lacing engine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US11064768B2 (en) 2016-03-15 2021-07-20 Nike, Inc. Foot presence signal processing using velocity
KR102494900B1 (ko) 2016-03-15 2023-02-01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신발류를 위한 용량성 발 존재 감지
US10827804B2 (en) * 2016-03-15 2020-11-10 Nike, Inc. Lacing apparatus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US11357290B2 (en) 2016-03-15 2022-06-14 Nike, Inc. Active footwear sensor calibration
US10390589B2 (en) 2016-03-15 2019-08-27 Nike, Inc. Drive mechanism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US10188169B2 (en) 2016-03-15 2019-01-29 Nike, Inc. Sensor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11026481B2 (en) 2016-03-15 2021-06-08 Nike, Inc. Foot presence signal processing using velocity
CN110087499A (zh) 2016-11-22 2019-08-02 彪马欧洲股份公司 将衣服穿在穿着者身上或从穿着者身上脱下、或关闭、穿上、打开或取下人携带的行李的方法
KR102519623B1 (ko) 2016-11-22 2023-04-10 푸마 에스이 신발, 특히 스포츠화 및 신발, 특히 스포츠화를 고정시키는 방법
JP6974856B2 (ja) * 2016-12-09 2021-12-01 アダマンド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巻取装置
CN111629625B (zh) * 2017-05-31 2021-12-28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自动鞋系鞋带系统、装置及技术
CN111295108B (zh) * 2017-08-21 2022-08-16 马库公司 用于条带的可调整紧固系统
WO2019079673A1 (en) 2017-10-20 2019-04-25 Nike Innovate, C.V. ARCHITECTURE OF AUTOMATED SHOE DECK PLATING
US10334906B1 (en) 2018-05-31 2019-07-02 Nike, Inc. Intelligent electronic footwear and control logic for automated infrastructure-based pedestrian tracking
US11122852B2 (en) 2018-05-31 2021-09-21 Nike, Inc. Intelligent electronic footwear and logic for navigation assistance by automated tactile, audio, and visual feedback
JP7108054B2 (ja) 2018-06-14 2022-07-27 プーマ エス イー 靴、特に運動靴
EP3843576A4 (en) * 2018-08-31 2021-11-03 NIKE Innovate C.V. SELF-LACING SHOE WITH ELONGATED COIL
US11684110B2 (en) * 2018-08-31 2023-06-27 Nike, Inc. Autolacing footwear
EP3843578B1 (en) * 2018-08-31 2023-06-07 NIKE Innovate C.V. Autolacing footwear having a notched spool
US11470910B2 (en) * 2018-11-30 2022-10-18 Nike, Inc. Autolacing footwear motor having rotary drum encoder
USD889805S1 (en) 2019-01-30 2020-07-14 Puma SE Shoe
USD899053S1 (en) 2019-01-30 2020-10-20 Puma SE Shoe
USD906657S1 (en) 2019-01-30 2021-01-05 Puma SE Shoe tensioning device
KR102203729B1 (ko) * 2019-02-21 2021-01-1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 조임 장치
WO2020186171A1 (en) 2019-03-14 2020-09-17 Nike Innovate C.V. Touch interface for active footwear systems
US11484089B2 (en) 2019-10-21 2022-11-01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tomatic lacing system with integrated sound damping
JP2023514472A (ja) 2019-11-22 2023-04-06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衣服ベースの動的動作スコアリング
CN113023501B (zh) * 2019-12-09 2023-05-26 苏州星诺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传动的绳带松紧装置及穿戴制品
JP7487564B2 (ja) 2020-06-02 2024-05-21 ニデック株式会社 モータ、モータユニット
CN113942891B (zh) * 2020-07-17 2024-04-26 苏州星诺奇科技股份有限公司 绳带松紧组件的制造方法及可穿戴制品的制造方法
JP2022064758A (ja) * 2020-10-14 2022-04-26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プール及びそれを備えたレーシングモジュール
JP2022064759A (ja) * 2020-10-14 2022-04-26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プール及びそれを備えたレーシングモジュール
US20220175091A1 (en) * 2020-12-04 2022-06-09 Nidec Corporation Spool and lacing module provided with same
JP2022090802A (ja) 2020-12-08 2022-06-20 日本電産株式会社 レーシングモジュール
WO2023003010A1 (ja) * 2021-07-20 2023-01-26 日本電産株式会社 レーシングモジュール、回転規制機構
US20240076075A1 (en) * 2022-09-01 2024-03-07 Suzohapp, Inc. Bag sealing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CN218354887U (zh) * 2022-09-15 2023-01-24 重庆卡电科技有限公司 自动系带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7155A (en) * 1963-09-25 1965-07-27 Rev Andrew Song Device for tightening shoe laces
KR100986674B1 (ko) * 2010-07-15 2010-10-08 유디텔주식회사 탄성스트링 와인딩 및 언와인딩 장치
KR101550444B1 (ko) * 2014-12-10 2015-09-09 구연욱 와이어를 이용한 조임용 회전 릴

Family Cites Families (1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97A (en) * 1869-09-21 Improvement in the mantjtacttjre of xroh asfb bteee
US3752200A (en) 1971-10-26 1973-08-14 T Reichner Powered hand tool
DE2900077A1 (de) * 1979-01-02 1980-07-17 Wagner Lowa Schuhfab Schuhverschluss
JPS583099A (ja) * 1981-06-30 1983-01-08 桜測器株式会社 液面計と発信器の結合装置
JPS6023951A (ja) 1983-07-19 1985-02-06 Toshiba Corp 非水溶媒電池の製造方法
JPS6023951U (ja) * 1983-07-21 1985-02-1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のリミツタ機構
JPS6120687U (ja) * 1984-07-02 1986-02-06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スリツトを設けたスプリング昇降シヤツタ−
JPS6120687A (ja) 1984-07-10 1986-01-29 Japan Tobacco Inc レ−ザ開孔装置
US5117893A (en) * 1985-08-07 1992-06-02 Excel Shutter Systems, Inc. Rolling shutter system
AT393939B (de) * 1985-11-14 1992-01-10 Dynafit Skischuh Gmbh Skischuh
IT1186221B (it) * 1985-12-02 1987-11-18 Nordica Spa Scarpone da sci con gruppo di azionamento dei dispositivi di chiusura e di regolazione
US4787124A (en) 1986-09-23 1988-11-29 Nordica S.P.A. Multiple-function actuation device particularly usable in ski boots
CH674124A5 (ko) 1987-12-22 1990-05-15 Raichle Sportschuh Ag
DE3900777C2 (de) * 1988-06-30 1999-06-24 Lowa Sportschuhe Gmbh Skistiefel (Querschlitzspanner für Rist- und Fersenseil)
CH677586A5 (ko) * 1988-11-09 1991-06-14 Lange Int Sa
US4901938A (en) * 1988-11-21 1990-02-20 Cantley Donald G Electrical cord retractor
AT398885B (de) * 1990-07-11 1995-02-27 Koeflach Sportgeraete Gmbh Einrichtung zur verstellung der vorlage des schaftes eines schischuhes
JPH0554401A (ja) 1991-08-23 1993-03-05 Kyocera Corp 光デイスク装置のトラツクアクセス装置
US5157813A (en) * 1991-10-31 1992-10-27 William Carroll Shoelace tensioning device
US5205055A (en) * 1992-02-03 1993-04-27 Harrell Aaron D Pneumatic shoe lacing apparatus
DE4240916C1 (de) * 1992-12-04 1993-10-07 Jungkind Roland Schuhverschluß
DE4302401A1 (de) * 1993-01-28 1994-08-04 Egolf Heinz Drehverschluß
IT1270438B (it) 1993-06-10 1997-05-05 Sip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la determinazione del periodo del tono fondamentale e la classificazione del segnale vocale in codificatori numerici della voce
FR2735335B1 (fr) 1995-06-15 1997-08-01 Smh Management Services Ag Fermoir de bracelet a boucle deployante
JPH0986674A (ja) 1995-09-28 1997-03-31 Canon Inc シート検知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68510C (zh) * 1997-07-08 2001-07-18 周龙交 鞋带自动穿系暨脱解复动的鞋子
US5929332A (en) 1997-08-15 1999-07-27 Brown; Norma Sensor shoe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a foot
US7591050B2 (en) 1997-08-22 2009-09-22 Boa Technology, Inc. Footwear lacing system
US5934599A (en) * 1997-08-22 1999-08-10 Hammerslag; Gary R. Footwear lacing system
US20020095750A1 (en) * 1997-08-22 2002-07-25 Hammerslag Gary R. Footwear lacing system
US6032387A (en) * 1998-03-26 2000-03-07 Johnson; Gregory G. Automated tightening and loosening shoe
US7096559B2 (en) * 1998-03-26 2006-08-29 Johnson Gregory G Automated tightening shoe and method
JP3716616B2 (ja) * 1998-04-24 2005-11-16 日本精工株式会社 ウォーム減速機とウォーム減速機付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US6349893B1 (en) * 2000-02-01 2002-02-26 Avaya Technology Corp. Retractable fiber slack storage device
JP3900777B2 (ja) 2000-02-15 2007-04-04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冷却装置
TW521593U (en) * 2002-02-08 2003-02-21 Kuen-Jung Liou Shoes capable of being tightened electrically
ATE373966T1 (de) * 2002-11-25 2007-10-15 Bencom S R L Schuh mit verbesserter schliessvorrichtung
US7631382B2 (en) * 2003-03-10 2009-12-15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Intelligent footwear systems
US6694643B1 (en) * 2003-04-07 2004-02-24 Cheng-Hui Hsu Shoelace adjustment mechanism
US7076843B2 (en) * 2003-10-21 2006-07-18 Toshiki Sakabayashi Shoestring tying apparatus
TWM250576U (en) * 2003-11-10 2004-11-21 Tung Yi Steel Wire Company Ltd Device for retrieving and releasing tie lace
US20050198867A1 (en) * 2004-03-12 2005-09-15 Frederick Labbe Self tying shoe
US7516914B2 (en) * 2004-05-07 2009-04-14 Enventys, Llc Bi-directional device
JP4874986B2 (ja) * 2004-10-29 2012-02-15 ボア テクノロジ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ケーブル締め付け機構およびその付勢方法
US7116883B2 (en) * 2004-11-19 2006-10-03 Fiber Optic Protection Systems, Inc. Fiber optic protective carrier
US7162899B2 (en) * 2004-12-28 2007-01-16 Alpha Security Products, Inc. Cable wrap security device
US7168275B2 (en) * 2004-12-28 2007-01-30 Alpha Security Products, Inc. Cable wrap security device
US7721468B1 (en) * 2005-08-26 2010-05-25 Gregory G. Johnson Tightening shoe
US7367522B2 (en) * 2005-10-14 2008-05-06 Chin Chu Chen String fastening device
US20070169378A1 (en) * 2006-01-06 2007-07-26 Mark Sodeberg Rough and fine adjustment closure system
US7549602B2 (en) * 2006-03-22 2009-06-23 Hitachi Maxell, Ltd. Tape cartridge
CN201015448Y (zh) * 2007-02-02 2008-02-06 盟汉塑胶股份有限公司 鞋卷线器
US7584528B2 (en) * 2007-02-20 2009-09-08 Meng Hann Plastic Co., Ltd. Shoelace reel operated easily and conveniently
US7752774B2 (en) * 2007-06-05 2010-07-13 Tim James Ussher Powered shoe tightening with lace cord guiding system
FR2924577B1 (fr) 2007-12-07 2010-03-12 Ct Tech Cuir Chaussure Maroqui Article chaussant a serrage facilite
EP2237692B1 (en) * 2008-01-18 2015-01-07 Boa Technology, Inc. Closure system
US8046937B2 (en) * 2008-05-02 2011-11-01 Nike, Inc. Automatic lacing system
JP4689725B2 (ja) 2008-08-29 2011-05-25 株式会社ユピテル 車載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US8177157B2 (en) * 2008-10-15 2012-05-15 Lincoln Global, Inc. Castellated reel core
US8468657B2 (en) * 2008-11-21 2013-06-25 Boa Technology, Inc. Reel based lacing system
US8146853B2 (en) * 2009-09-28 2012-04-03 Jeanne Godett Optical laser fiber reel
KR100953398B1 (ko) * 2009-12-31 2010-04-20 주식회사 신경 신발끈 조임장치
US8230995B2 (en) * 2010-04-27 2012-07-31 Desert Extrusion Corporation Container and packaging method for vegetation trimmer line
KR101942227B1 (ko) * 2010-04-30 2019-01-24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릴 기반 끈 조임 시스템
US8231074B2 (en) * 2010-06-10 2012-07-31 Hu rong-fu Lace winding device for shoes
US8752200B2 (en) 2011-07-12 2014-06-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ty using magnetic field based identification
US8904673B2 (en) * 2011-08-18 2014-12-09 Palidium, Inc. Automated tightening shoe
US9101181B2 (en) * 2011-10-13 2015-08-11 Boa Technology Inc. Reel-based lacing system
US8935860B2 (en) 2011-10-28 2015-01-20 George Torres Self-tightening shoe
US11071344B2 (en) * 2012-02-22 2021-07-27 Nike, Inc. Motorized shoe with gesture control
JP5714532B2 (ja) * 2012-03-30 2015-05-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リール
JP5714531B2 (ja) * 2012-03-30 2015-05-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リール
JP5718266B2 (ja) * 2012-03-30 2015-05-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リール
JP6120687B2 (ja) 2012-06-14 2017-04-26 アジア航測株式会社 ラスター画像立体化処理装置及びラスター画像立体化方法並びにラスター画像立体化プログラム
EP3871548B1 (en) 2012-08-31 2024-04-03 NIKE Innovate C.V. Motorized tensioning system
US20230301402A9 (en) * 2012-08-31 2023-09-28 Nike, Inc. Motorized tensioning device with compact spool system
EP4327688A3 (en) * 2012-08-31 2024-05-01 Nike Innovate C.V. Motorized tensioning system with sensors
WO2014074645A2 (en) * 2012-11-06 2014-05-15 Boa Technology Inc. Devices and methods for adjusting the fit of footwear
US9578926B2 (en) * 2012-12-17 2017-02-28 Vibralabs Incorporated Device for automatically tightening and loosening laces
US9204690B1 (en) * 2012-12-17 2015-12-08 Jepthah Alt Device for automatically tightening and loosening shoe laces
US8955199B2 (en) * 2013-02-13 2015-02-17 Tzy Shenq Enterprise Co., Ltd. Shoelace fastener
JP6105404B2 (ja) * 2013-06-18 2017-03-29 株式会社ジャパーナ 靴紐巻取用リール
DE112014003135B4 (de) * 2013-07-02 2020-12-24 Boa Technology Inc. Rolle zur verwendung mit einem verschnürungssystem zum festziehen eines gegenstandes sowie vorrichtungen hierzu und verfahren zum zusammenbauen einer vorrichtung zum festziehen eines gegenstandes
US9867417B2 (en) * 2013-07-11 2018-01-16 Nike, Inc. Article with tensioning system including tension balancing member
JP6660079B2 (ja) 2013-08-26 2020-03-0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乾燥機
JP6581989B2 (ja) * 2013-09-20 2019-09-25 ナイキ イノヴェイト シーヴィーNike Innovate C.V. 取り外し可能な電動調整システムを有する履物
US9364064B2 (en) * 2014-01-10 2016-06-14 Dayco Holdings, Lp Attic door rope apparatus
US9326566B2 (en) * 2014-04-15 2016-05-03 Nike, Inc. Footwear having coverable motorized adjustment system
US10092065B2 (en) * 2014-04-15 2018-10-09 Nike, Inc. Footwear having motorized adjustment system and removable midsole
US9629418B2 (en) * 2014-04-15 2017-04-25 Nike, Inc. Footwear having motorized adjustment system and elastic upper
US9277785B2 (en) * 2014-04-22 2016-03-08 Michael Doyle Boot fastening device
JP6406919B2 (ja) * 2014-08-11 2018-10-17 株式会社ジャパーナ 靴紐巻取装置の取付構造
US10470525B2 (en) * 2014-09-05 2019-11-12 Chin-Chu Chen Apparatus and method for tightening and loosening lace
US10264852B2 (en) * 2015-01-14 2019-04-23 Sug Whan Kim String winding and unwinding apparatus
KR101569461B1 (ko) * 2015-01-14 2015-11-18 스피어다인 주식회사 스트링 권취 및 권출 장치
US10292451B2 (en) * 2015-05-28 2019-05-21 Nike, Inc. Sole plate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10743620B2 (en) * 2015-05-28 2020-08-18 Nike, Inc. Automated tens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10231505B2 (en) * 2015-05-28 2019-03-1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and a charg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11812825B2 (en) * 2015-05-29 2023-11-14 Nike, Inc. Motorized tensioning device with compact spool system
EP3302156B1 (en) 2015-05-29 2020-07-01 Nike Innovate C.V. Article of footwear comprising motorized tensioning device
KR101782151B1 (ko) * 2015-06-12 2017-10-13 김석환 끈 조임장치
US11033079B2 (en) * 2015-10-07 2021-06-15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tomatic lacing system
MX2018004218A (es) 2015-10-07 2018-08-01 Puma SE Zapato, en particular zapatilla de deporte.
CN108366639B (zh) 2015-12-02 2022-03-25 彪马欧洲股份公司 一种系紧鞋、尤其是运动鞋的方法
CN106919220B (zh) * 2015-12-25 2018-06-05 陈金柱 紧固装置
WO2017139396A1 (en) * 2016-02-08 2017-08-17 Commscope Technologies Llc Fiber demarcation point and slack storage
US10094997B2 (en) * 2016-02-08 2018-10-09 CommScope Technologies, LLC Fiber demarcation point and slack storage
US9961963B2 (en) * 2016-03-15 2018-05-08 Nike, Inc. Lacing engine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US11272762B2 (en) * 2016-03-15 2022-03-15 Nike, Inc. Assembly process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KR102494900B1 (ko) * 2016-03-15 2023-02-01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신발류를 위한 용량성 발 존재 감지
JP7029405B2 (ja) * 2016-03-15 2022-03-03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自動化されたフットウェア・プラットフォームのためのモータ制御
KR102416917B1 (ko) * 2016-03-15 2022-07-05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액추에이터
US10390589B2 (en) * 2016-03-15 2019-08-27 Nike, Inc. Drive mechanism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US10827804B2 (en) * 2016-03-15 2020-11-10 Nike, Inc. Lacing apparatus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EP3763237B1 (en) * 2016-03-15 2022-02-09 NIKE Innovate C.V. Homing mechanism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US11395527B2 (en) * 2016-10-25 2022-07-26 James Rankin No bow lace loopers
US10575590B2 (en) * 2016-10-25 2020-03-03 James Rankin No bow lace loopers
US11071353B2 (en) * 2016-10-26 2021-07-27 Nike, Inc. Automated footwear platform having lace cable tensioner
KR101837194B1 (ko) * 2016-12-30 2018-03-13 소윤서 줄 길이 조절장치
WO2018165990A1 (zh) * 2017-03-16 2018-09-20 北京孙寅贵绿色科技研究院有限公司 滑雪靴
CN111629625B (zh) * 2017-05-31 2021-12-28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自动鞋系鞋带系统、装置及技术
KR102229928B1 (ko) * 2017-10-20 2021-03-19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지지 구조물
TWI694216B (zh) * 2019-04-25 2020-05-21 陳金柱 緊固裝置
US20220142304A1 (en) * 2019-04-25 2022-05-12 Chin-Chu Chen Fastening device
JP2022064759A (ja) * 2020-10-14 2022-04-26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プール及びそれを備えたレーシングモジュール
JP2022064758A (ja) * 2020-10-14 2022-04-26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プール及びそれを備えたレーシングモジュール
US20220175091A1 (en) * 2020-12-04 2022-06-09 Nidec Corporation Spool and lacing module provided with same
JP2022090802A (ja) * 2020-12-08 2022-06-20 日本電産株式会社 レーシング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7155A (en) * 1963-09-25 1965-07-27 Rev Andrew Song Device for tightening shoe laces
KR100986674B1 (ko) * 2010-07-15 2010-10-08 유디텔주식회사 탄성스트링 와인딩 및 언와인딩 장치
KR101550444B1 (ko) * 2014-12-10 2015-09-09 구연욱 와이어를 이용한 조임용 회전 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60866A1 (en) 2017-09-21
CN114652052A (zh) 2022-06-24
EP3429407A1 (en) 2019-01-23
US20230309657A1 (en) 2023-10-05
EP3429417A1 (en) 2019-01-23
CN115624230A (zh) 2023-01-20
KR20180127643A (ko) 2018-11-29
CN109310183B (zh) 2022-04-01
US20170265583A1 (en) 2017-09-21
KR20220111744A (ko) 2022-08-09
US10602805B2 (en) 2020-03-31
EP3932237B1 (en) 2024-03-13
EP3925476B1 (en) 2023-03-29
JP7362808B2 (ja) 2023-10-17
EP4046523A1 (en) 2022-08-24
JP2023179621A (ja) 2023-12-19
EP3932237A1 (en) 2022-01-05
US20240122304A1 (en) 2024-04-18
JP2022115971A (ja) 2022-08-09
JP2019509822A (ja) 2019-04-11
US11076658B2 (en) 2021-08-03
KR20220107320A (ko) 2022-08-02
EP3429399A4 (en) 2019-11-20
JP2022095661A (ja) 2022-06-28
JP7375073B2 (ja) 2023-11-07
US10390589B2 (en) 2019-08-27
KR102564382B1 (ko) 2023-08-04
KR20230119025A (ko) 2023-08-14
US11864632B2 (en) 2024-01-09
US20170267485A1 (en) 2017-09-21
US20170265592A1 (en) 2017-09-21
EP3429407A4 (en) 2019-11-27
US11707116B2 (en) 2023-07-25
KR102561665B1 (ko) 2023-07-28
KR102425116B1 (ko) 2022-07-26
JP2019512324A (ja) 2019-05-16
EP3429399A2 (en) 2019-01-23
EP3429417A4 (en) 2019-11-20
EP3429417B1 (en) 2022-04-13
WO2017160561A2 (en) 2017-09-21
EP3429399B1 (en) 2021-08-25
CN109310183A (zh) 2019-02-05
JP7312551B2 (ja) 2023-07-21
KR20230119730A (ko) 2023-08-16
US20220039520A1 (en) 2022-02-10
KR102429745B1 (ko) 2022-08-04
US11559109B2 (en) 2023-01-24
WO2017161044A1 (en) 2017-09-21
CN109310182A (zh) 2019-02-05
US20170265580A1 (en) 2017-09-21
KR20180128011A (ko) 2018-11-30
JP7122971B2 (ja) 2022-08-22
CN109310182B (zh) 2022-08-09
WO2017160561A3 (en) 2018-07-26
JP2019509817A (ja) 2019-04-11
CN109068806B (zh) 2022-06-07
US10660405B2 (en) 2020-05-26
EP3429407B1 (en) 2021-08-18
JP2022088385A (ja) 2022-06-14
US20200253337A1 (en) 2020-08-13
US20220104586A1 (en) 2022-04-07
US20200253336A1 (en) 2020-08-13
US10111496B2 (en) 2018-10-30
US11241065B2 (en) 2022-02-08
US20200022458A1 (en) 2020-01-23
CN109068806A (zh) 2018-12-21
KR102425115B1 (ko) 2022-07-26
EP3925476A1 (en) 2021-12-22
EP4205587A1 (en) 2023-07-05
JP7034932B2 (ja) 202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5161A (ko)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박스형 끈조임 채널
KR101992842B1 (ko)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끈조임 엔진
KR102416113B1 (ko)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조립 공정
JP7497387B2 (ja) 自動履物プラットフォーム用ボックス紐締め通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