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905A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905A
KR20180078905A KR1020160184170A KR20160184170A KR20180078905A KR 20180078905 A KR20180078905 A KR 20180078905A KR 1020160184170 A KR1020160184170 A KR 1020160184170A KR 20160184170 A KR20160184170 A KR 20160184170A KR 20180078905 A KR20180078905 A KR 20180078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resin
resin composition
weight
light stabilizer
zinc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7965B1 (ko
Inventor
이은주
권영철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to KR1020160184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965B1/ko
Priority to US15/855,421 priority patent/US10472510B2/en
Priority to EP17210669.2A priority patent/EP3342817B1/en
Priority to JP2017250418A priority patent/JP7103786B2/ja
Publication of KR20180078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2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9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6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광안정제 및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를 포함하는 광안정제; 및 평균 입자 크기가 0.5 내지 3 ㎛이고, 비표면적 BET가 1 내지 10 m2/g인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내후성, 내충격성, 외관 특성, 항균성 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내후성, 내충격성, 외관 특성, 항균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BS 수지) 등의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기계적 물성, 가공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하여, 전기/전자 제품의 내/외장재, 자동차 내/외장재, 건축용 외장재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장기간 사용 시, 변색 등의 물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어, 내후성(내변색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의 고무질 중합체로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를 사용하거나, 내후 안정제를 추가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아크릴레이트계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의 함량이 늘어날수록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가격이 상승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또한, 내후 안정제는 과량 사용 시, 가스 발생 등으로 외관 특성, 기계적 물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증량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성형품은 신체 접촉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발생하는 용도에 사용될 경우, 소재 자체에 항균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내충격성 등 기계적 물성, 외관 특성의 저하 없이, 내후성, 항균성 등이 우수하고, 경제적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2020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후성, 내충격성, 외관 특성, 항균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광안정제 및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를 포함하는 광안정제; 및 평균 입자 크기가 0.5 내지 3 ㎛이고, 비표면적 BET가 1 내지 10 m2/g인 산화아연을 포함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15 내지 50 중량%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50 내지 85 중량%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 상기 HALS계 광안정제 0.05 내지 5 중량부; 상기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 0.05 내지 5 중량부; 및 상기 산화아연 0.1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를 제외한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것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중합체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HALS계 광안정제는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N-옥틸옥시-테트라메틸)피페리디닐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메틸-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 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2,3,4-부탄 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1,2,3-트리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4-트리데실 부탄-1,2,3,4-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1,2,3-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4-트리데실 부탄-1,2,3,4-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1,2,3,4-부탄테트라카르본산, 및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놀과 β,β,β',β'-테트라메틸-3,9-(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디에탄올과의 축합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는 2-(2H-벤조트리아졸-2-일)-4-(1,2,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2-(2'-히드록시-3,5'-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ert-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2-[2'-히드록시-3,5'-디(1,1-디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및 비스[2-히드록시-5-tert-옥틸-3-(벤조트리아졸-2-일)페닐]메탄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아연은 광 발광(Photo Luminescence) 측정 시, 370 내지 390 nm 영역의 피크 A와 450 내지 600 nm 영역의 피크 B의 크기비(B/A)가 0 내지 1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아연은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분석 시, 피크 위치(peak position) 2θ 값이 35 내지 37° 범위이고, 하기 식 1에 의한 미소결정의 크기(crystallite size) 값이 1,000 내지 2,000 Å일 수 있다:
[식 1]
미소결정 크기(D) =
Figure pat00001
상기 식 1에서, K는 형상 계수(shape factor)이고, λ는 X선 파장(X-ray wavelength)이고, β는 X선 회절 피크(peak)의 FWHM 값(degree)이며, θ는 피크 위치 값(peak position degree)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HALS계 광안정제 및 상기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의 중량비(HALS계 광안정제: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는 1 : 0.9 내지 1 : 2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광안정제 및 상기 산화아연의 중량비(광안정제:산화아연)는 1 : 0.3 내지 1 : 20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50 mm × 90 mm × 3 mm 크기 사출 시편에 대해 ASTM D4459에 의거하여 초기 색상(L0 *, a0 *, b0 *)을 측정하고, 85℃, 상대습도 85%의 조건에서 300시간 노출 후 동일한 방법으로 항온 항습 시험 후 색상(L1 *, a1 *, b1 *)을 측정한 다음, 하기 식 2에 따라 산출한 색상 변화(ΔE)가 7 이하일 수 있다:
[식 2]
색상 변화(ΔE) =
Figure pat00002
상기 식 2에서, ΔL*는 항온 항습 시험 전후의 L* 값의 차이(L1 *-L0 *)이고, Δa*는 항온 항습 시험 전후의 a* 값의 차이(a1 *- a0 *) 이며, Δb*는 항온 항습 시험 전후의 b* 값의 차이(b1 *- b0 *)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두께 1/8" 시편으로 측정한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15 내지 40 kgf·cm/c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시료 3g을 250℃에서 2시간 동안 가열 시 발생하는 아웃-가스(out-gas)량이 3,000 ppm 이하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JIS Z 2801 항균 평가법에 의거하여, 5 cm × 5 cm 크기 시편에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을 접종하고, 35℃, RH 90% 조건에서 24시간 배양 후, 측정한 항균 활성치가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7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후성, 내충격성, 외관 특성, 항균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1)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A2)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A) 열가소성 수지; (B1)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광안정제 및 (B2)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를 포함하는 (B) 광안정제; 및 (C) 산화아연을 포함한다.
(A) 열가소성 수지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는 (A1)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A2)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고무변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일 수 있다.
(A1)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성형 가공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를 제외한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그라프트 중합하여 얻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는 단량체를 더욱 포함시켜 그라프트 중합할 수 있다. 상기 중합은 유화중합, 현탁중합 등의 공지의 중합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코어(고무질 중합체)-쉘(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질 중합체로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스티렌-부타디엔),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등의 디엔계 고무 및 상기 디엔계 고무에 수소 첨가한 포화고무, 이소프렌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단량체 삼원공중합체(EPDM)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타디엔계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질 중합체(고무 입자)의 평균 입경(Z-평균)은 0.05 내지 6 ㎛, 예를 들면 0.15 내지 4 ㎛, 구체적으로 0.25 내지 3.5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함량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전체 100 중량% 중 20 내지 70 중량%, 예를 들면 30 내지 60 중량%일 수 있고, 상기 단량체 혼합물(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포함)의 함량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전체 100 중량% 중 30 내지 80 중량%, 예를 들면 40 내지 7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상기 고무질 중합체에 그라프트 공중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 중 10 내지 90 중량%, 예를 들면 40 내지 9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는 상기 방향족 비닐계와 공중합 가능한 것으로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 중 10 내지 90 중량%, 예를 들면 10 내지 6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화학성, 기계적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한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무수말레인산, N-치환말레이미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한 단량체 사용 시, 그 함량은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 중 15 중량% 이하, 예를 들면 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다른 물성의 저하 없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로는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인 스티렌 단량체와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인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공중합체(g-ABS)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전체 열가소성 수지(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 중 15 내지 50 중량%, 예를 들면 20 내지 4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성(성형 가공성), 외관 특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할 수 있다.
(A2)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통상적인 고무변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에 사용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등의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체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등을 혼합한 후, 이를 중합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중합은 유화중합, 현탁중합, 괴상중합 등의 공지의 중합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전체 100 중량% 중, 20 내지 90 중량%, 예를 들면 30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등의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함량은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전체 100 중량% 중, 10 내지 80 중량%, 예를 들면 20 내지 7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300,000 g/mol, 예를 들면, 15,000 내지 15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 성형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전체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 중, 50 내지 85 중량%, 예를 들면 55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성(성형 가공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B) 광안정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광안정제는 상기 산화아연과 함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시편)의 내후성, 항균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B1)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광안정제 및 (B2)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를 포함한다.
(B1) HALS계 광안정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HALS계 광안정제는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N-옥틸옥시-테트라메틸)피페리디닐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메틸-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 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2,3,4-부탄 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1,2,3-트리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4-트리데실 부탄-1,2,3,4-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1,2,3-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4-트리데실 부탄-1,2,3,4-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1,2,3,4-부탄테트라카르본산,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놀과 β,β,β',β'-테트라메틸-3,9-(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디에탄올과의 축합물,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HALS계 광안정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5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3 중량부, 구체적으로 0.2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 항균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B2)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는 2-(2H-벤조트리아졸-2-일)-4-(1,2,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2-(2'-히드록시-3,5'-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ert-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2-[2'-히드록시-3,5'-디(1,1-디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비스[2-히드록시-5-tert-옥틸-3-(벤조트리아졸-2-일)페닐]메탄,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2H-벤조트리아졸-2-일)-4-(1,2,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5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3 중량부, 구체적으로 0.3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 항균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HALS계 광안정제(B1) 및 상기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B2)의 중량비(B1 : B2)는 1 : 0.9 내지 1 : 2, 예를 들면 1 : 1 내지 1 : 1.5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 등이 더 우수할 수 있다.
(C) 산화아연
본 발명의 산화아연은 상기 광안정제와 함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 항균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입도분석기로 측정한 평균 입자 크기가 0.5 내지 3 ㎛, 예를 들면 1 내지 3 ㎛일 수 있고, 비표면적 BET가 1 내지 10 m2/g, 예를 들면 1 내지 7 m2/g일 수 있으며, 순도가 99%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 항균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 아연은 광 발광(Photo Luminescence) 측정 시, 370 내지 390 nm 영역의 피크 A와 450 내지 600 nm 영역의 피크 B의 크기비(B/A)가 0 내지 1, 예를 들면 0.01 내지 1, 구체적으로 0.1 내지 1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 항균성 등이 더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아연은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분석 시, 피크 위치(peak position) 2θ 값이 35 내지 37° 범위이고, 측정된 FWHM 값(회절 피크(peak)의 Full width at Half Maximum)을 기준으로 Scherrer's equation(하기 식 1)에 적용하여 연산된 미소결정의 크기(crystallite size) 값이 1,000 내지 2,000 Å, 예를 들면 1,200 내지 1,800 Å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초기 색상, 내후성, 항균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식 1]
미소결정 크기(D) =
Figure pat00003
상기 식 1에서, K는 형상 계수(shape factor)이고, λ는 X선 파장(X-ray wavelength)이고, β는 FWHM 값(degree)이며, θ는 피크 위치 값(peak position degree)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아연은 금속형태의 아연을 녹인 후, 850 내지 1,000℃, 예를 들면 900 내지 950℃로 가열하여 증기화시킨 후, 산소 가스를 주입하고 20 내지 30℃로 냉각한 다음, 필요 시, 반응기에 질소/수소 가스를 주입하면서, 700 내지 800℃에서 30분 내지 150분 동안 열처리를 진행한 후, 상온(20 내지 30℃)으로 냉각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아연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부, 예를 들면 0.5 내지 10 중량부, 구체적으로 1 내지 4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 항균성, 내충격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광안정제(B) 및 상기 산화아연(C)의 중량비(B : C)는 1 : 0.3 내지 1 : 20, 예를 들면 1 : 1 내지 1 : 20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 항균성 등이 더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난연제, 충진제, 산화 방지제, 적하 방지제, 활제,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료, 염료,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첨가제 사용 시, 그 함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40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00 내지 280℃, 예를 들면 220 내지 250℃에서 용융 압출한 펠렛 형태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50 mm × 90 mm × 3 mm 크기 사출 시편에 대해 ASTM D4459에 의거하여 초기 색상(L0 *, a0 *, b0 *)을 측정하고, 85℃, 상대습도 85%의 조건에서 300시간 노출 후 동일한 방법으로 항온 항습 시험 후 색상(L1 *, a1 *, b1 *)을 측정한 다음, 하기 식 2에 따라 산출한 색상 변화(ΔE)가 7 이하, 예를 들면 0.1 내지 6일 수 있다.
[식 2]
색상 변화(ΔE) =
Figure pat00004
상기 식 2에서, ΔL*는 항온 항습 시험 전후의 L* 값의 차이(L1 *-L0 *)이고, Δa*는 항온 항습 시험 전후의 a* 값의 차이(a1 *- a0 *) 이며, Δb*는 항온 항습 시험 전후의 b* 값의 차이(b1 *- b0 *)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두께 1/8" 시편으로 측정한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15 내지 40 kgf·cm/cm, 예를 들면 20 내지 30 kgf·cm/c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시료 3g을 페트리 디쉬(petri dish)에 넣고 250℃에서 2시간 동안 가열 시 발생하는 아웃-가스(out-gas)량이 3,000 ppm 이하, 예를 들면 2,000 내지 2,700 pp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JIS Z 2801 항균 평가법에 의거하여, 5 cm × 5 cm 크기 시편에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을 접종하고, 35℃, RH 90% 조건에서 24시간 배양 후, 측정한 항균 활성치가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7, 예를 들면 3 내지 6.5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펠렛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된 펠렛은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다양한 성형품(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성형품은 내후성, 항균성, 내충격성, 외관 특성, 유동성(성형 가공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하므로, 전기/전자 제품의 내/외장재, 자동차 내/외장재, 건축용 외장재 등으로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열가소성 수지
(A1)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45 중량%의 Z-평균이 310 nm인 부타디엔 고무에 55 중량%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중량비: 75/25)가 그라프트 공중합된 g-ABS를 사용하였다.
(A2)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 71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29 중량%가 중합된 SAN 수지(중량평균분자량: 130,000 g/mol)를 사용하였다.
(B) 광안정제
(B1) HALS계 광안정제로서,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를 사용하였다.
(B2)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로서, 2-(2H-벤조트리아졸-2-일)-4-(1,2,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을 사용하였다.
(B3) 헥사데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를 사용하였다.
(C) 산화아연
(C1) 하기 표 1의 평균 입자 크기, BET 표면적, 순도, 광 발광(Photo Luminescence) 측정 시, 370 내지 390 nm 영역의 피크 A와 450 내지 600 nm 영역의 피크 B의 크기비(B/A) 및 미소결정의 크기(crystallite size) 값을 갖는 산화아연을 사용하였다.
(C2) 하기 표 1의 평균 입자 크기, BET 표면적, 순도, 광 발광(Photo Luminescence) 측정 시, 370 내지 390 nm 영역의 피크 A와 450 내지 600 nm 영역의 피크 B의 크기비(B/A) 및 미소결정의 크기(crystallite size) 값을 갖는 산화아연을 사용하였다.
(C1) (C2)
평균 입자 크기 (㎛) 1.2 1.1
BET 표면적 (m2/g) 4 15
순도 (%) 99 97
PL 크기비(B/A) 0.28 9.8
미소결정 크기 (Å) 1,417 503
물성 측정 방법
(1) 평균 입자 크기(단위: ㎛): 입도분석기를 사용하여, 평균 입자 크기를 측정하였다.
(2) BET 표면적(단위: m2/g): 질소가스 흡착법을 사용하여, BET 표면적을 측정하였다.
(3) 순도 (단위: %): TGA 열분석법을 사용하여, 800℃ 온도에서 잔류하는 무게를 가지고 순도를 측정하였다.
(4) PL 크기비(B/A): 광 발광(Photo Luminescence) 측정법에 따라, 실온에서 325 nm 파장의 He-Cd laser (KIMMON사, 30mW)를 시편에 입사해서 발광되는 스펙트럼을 CCD detector를 이용하여 검출하였으며, 이때 CCD detector의 온도는 -70℃ 를 유지하였다. 370 내지 390 nm 영역의 피크 A와 450 내지 600 nm 영역의 피크 B의 크기비(B/A)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사출 시편은 별도의 처리 없이 레이저(laser)를 시편에 입사시켜 PL 분석을 진행하였고, 산화아연 파우더는 6 mm 직경의 펠렛타이저(pelletizer)에 넣고 압착하여 편평하게 시편을 제작한 뒤 측정하였다.
(5) 미소결정 크기(crystallite size, 단위: Å): 고분해능 X-선 회절분석기(High Resolution X-Ray Diffractometer, 제조사: X'pert사, 장치명: PRO-MRD)을 사용하였으며, 피크 위치(peak position) 2θ 값이 35 내지 37° 범위이고, 측정된 FWHM 값(회절 피크(peak)의 Full width at Half Maximum)을 기준으로 Scherrer's equation(하기 식 1)에 적용하여 연산하였다. 여기서, 파우더 형태 및 사출 시편 모두 측정이 가능하며, 더욱 정확한 분석을 위하여, 사출 시편의 경우, 600℃, 에어(air) 상태에서 2시간 열처리하여 고분자 수지를 제거한 후, XRD 분석을 진행하였다.
[식 1]
미소결정 크기(D) =
Figure pat00005
상기 식 1에서, K는 형상 계수(shape factor)이고, λ는 X선 파장(X-ray wavelength)이고, β는 FWHM 값(degree)이며, θ는 피크 위치 값(peak position degree)이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7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하기 표 2 및 3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한 후, 230℃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36, 직경 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펠렛은 80℃에서 2시간 이상 건조 후, 6 Oz 사출기(성형 온도 230℃, 금형 온도: 60℃)에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3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내후성 평가(색상 변화(ΔE)): 50 mm × 90 mm × 3 mm 크기 사출 시편에 대해 ASTM D4459에 의거하여 초기 색상(L0 *, a0 *, b0 *)을 측정하고, 85℃, 상대습도 85%의 조건에서 300시간 노출 후 동일한 방법으로 항온 항습 시험 후 색상(L1 *, a1 *, b1 *)을 측정한 다음, 하기 식 2에 따라 색상 변화(ΔE)를 산출하였다.
[식 2]
색상 변화(ΔE) =
Figure pat00006
상기 식 2에서, ΔL*는 항온 항습 시험 전후의 L* 값의 차이(L1 *-L0 *)이고, Δa*는 항온 항습 시험 전후의 a* 값의 차이(a1 *- a0 *) 이며, Δb*는 항온 항습 시험 전후의 b* 값의 차이(b1 *- b0 *)이다.
(2)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단위: kgf·cm/cm): ASTM D256에 의거하여 두께 1/8"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3) 아웃-가스(out-gas) 발생량(단위: ppm): 페트리 디쉬(petri dish)에 3 g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시료(펠렛)를 넣고, 250℃에서 2시간 동안 가열 후 발생하는 아웃-가스(out-gas)량을 측정하였다.
(4) 항균 활성치: JIS Z 2801 항균 평가법에 의거하여, 5 cm × 5 cm 크기 시편에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을 접종하고, 35℃, RH 90% 조건에서 24시간 배양 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A)
(중량%)
(A1) 30 30 30 30 30
(A2) 70 70 70 70 70
(B)
(중량부)
(B1) 0.2 3 0.1 0.2 0.2
(B2) 0.3 3 0.1 0.3 0.3
(B3) - - - - -
(C)
(중량부)
(C1) 2 2 2 0.5 10
(C2) - - - - -
색상 변화 (ΔE) 5.0 4.0 6.0 5.0 4.0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25 25 25 25 20
아웃-가스 발생량 2,500 3,000 2,300 2,500 2,500
항균 활성치 (대장균) 4.0 4.0 4.0 3.0 4.0
항균 활성치 (포도상구균) 6.5 6.5 6.5 5.0 6.5
* 중량부 열가소성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비교예
1 2 3 4 5 6 7
(A)
(중량%)
(A1) 30 30 30 30 30 30 30
(A-2) 70 70 70 70 70 70 70
(B)
(중량부)
(B1) - 0.5 0.2 0.2 - 0.2
(B2) 0.5 - 0.3 - 0.3 - 0.5
(B3) - - - 0.3 0.2
(C)
(중량부)
(C1) 2 2 - 2 2 -
(C2) - - 2 - - -
색상 변화 (ΔE) 6.0 6.0 11.0 9.0 9.2 12.0 9.0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20 20 20 20 20 20 20
아웃-가스 발생량 4,000 5,000 9,000 8,000 8,000 10,000 9,000
항균 활성치 (대장균) 4.0 4.0 2.5 4.0 4.0 0 0
항균 활성치 (포도상구균) 6.5 6.5 4.0 6.5 6.5 0 0
* 중량부 열가소성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내후성, 내충격성, 항균성 등이 모두 우수하고, 아웃-가스 발생량이 적어 외관 불량을 저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HALS계 광 안정제(B1)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B2)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2의 경우, 아웃-가스 발생량이 많음을 알 수 있고, 본 발명의 산화아연 (C1) 대신에 산화아연 (C2)를 사용한 비교예 3 및 산화아연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6 및 7의 경우, 아웃-가스 발생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내후성이 저하되고, 항균성이 상대적으로 저하되거나 발현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각각 HALS계 광안정제(B1) 및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B2) 대신에 벤조에이트계 광안정제(B3)를 사용한 비교예 4 및 5의 경우, 내후성이 저하되고, 아웃-가스 발생량이 많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5)

  1.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광안정제 및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를 포함하는 광안정제; 및
    평균 입자 크기가 0.5 내지 3 ㎛이고, 비표면적 BET가 1 내지 10 m2/g인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15 내지 50 중량%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50 내지 85 중량%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 상기 HALS계 광안정제 0.05 내지 5 중량부; 상기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 0.05 내지 5 중량부; 및 상기 산화아연 0.1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를 제외한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ALS계 광안정제는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N-옥틸옥시-테트라메틸)피페리디닐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메틸-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 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2,3,4-부탄 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1,2,3-트리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4-트리데실 부탄-1,2,3,4-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1,2,3-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4-트리데실 부탄-1,2,3,4-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1,2,3,4-부탄테트라카르본산, 및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놀과 β,β,β',β'-테트라메틸-3,9-(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디에탄올과의 축합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는 2-(2H-벤조트리아졸-2-일)-4-(1,2,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2-(2'-히드록시-3,5'-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ert-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2-[2'-히드록시-3,5'-디(1,1-디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및 비스[2-히드록시-5-tert-옥틸-3-(벤조트리아졸-2-일)페닐]메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아연은 광 발광(Photo Luminescence) 측정 시, 370 내지 390 nm 영역의 피크 A와 450 내지 600 nm 영역의 피크 B의 크기비(B/A)가 0 내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아연은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분석 시, 피크 위치(peak position) 2θ 값이 35 내지 37° 범위이고, 하기 식 1에 의한 미소결정의 크기(crystallite size) 값이 1,000 내지 2,000 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식 1]
    미소결정 크기(D) =
    Figure pat00007

    상기 식 1에서, K는 형상 계수(shape factor)이고, λ는 X선 파장(X-ray wavelength)이고, β는 X선 회절 피크(peak)의 FWHM 값(degree)이며, θ는 피크 위치 값(peak position degree)이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ALS계 광안정제 및 상기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의 중량비(HALS계 광안정제: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는 1 : 0.9 내지 1 :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안정제 및 상기 산화아연의 중량비(광안정제:산화아연)는 1 : 0.3 내지 1 :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50 mm × 90 mm × 3 mm 크기 사출 시편에 대해 ASTM D4459에 의거하여 초기 색상(L0 *, a0 *, b0 *)을 측정하고, 85℃, 상대습도 85%의 조건에서 300시간 노출 후 동일한 방법으로 항온 항습 시험 후 색상(L1 *, a1 *, b1 *)을 측정한 다음, 하기 식 2에 따라 산출한 색상 변화(ΔE)가 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식 2]
    색상 변화(ΔE) =
    Figure pat00008

    상기 식 2에서, ΔL*는 항온 항습 시험 전후의 L* 값의 차이(L1 *-L0 *)이고, Δa*는 항온 항습 시험 전후의 a* 값의 차이(a1 *- a0 *) 이며, Δb*는 항온 항습 시험 전후의 b* 값의 차이(b1 *- b0 *)이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두께 1/8" 시편으로 측정한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15 내지 40 kgf·cm/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시료 3g을 250℃에서 2시간 동안 가열 시 발생하는 아웃-가스(out-gas)량이 3,000 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JIS Z 2801 항균 평가법에 의거하여, 5 cm × 5 cm 크기 시편에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을 접종하고, 35℃, RH 90% 조건에서 24시간 배양 후, 측정한 항균 활성치가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160184170A 2016-12-30 2016-12-3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967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170A KR101967965B1 (ko) 2016-12-30 2016-12-3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US15/855,421 US10472510B2 (en) 2016-12-30 2017-12-27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EP17210669.2A EP3342817B1 (en) 2016-12-30 2017-12-27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JP2017250418A JP7103786B2 (ja) 2016-12-30 2017-12-27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製造された成形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170A KR101967965B1 (ko) 2016-12-30 2016-12-3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905A true KR20180078905A (ko) 2018-07-10
KR101967965B1 KR101967965B1 (ko) 2019-04-10

Family

ID=60915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170A KR101967965B1 (ko) 2016-12-30 2016-12-3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72510B2 (ko)
EP (1) EP3342817B1 (ko)
JP (1) JP7103786B2 (ko)
KR (1) KR1019679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013A1 (ko) 2016-10-25 2018-05-03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18084484A2 (ko) 2016-11-02 2018-05-11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967961B1 (ko) 2016-12-22 2019-04-10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991584B1 (ko) 2016-12-23 2019-06-20 롯데첨단소재(주) 발포성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체
KR101962520B1 (ko) 2016-12-23 2019-03-26 롯데첨단소재(주) 내전리방사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961994B1 (ko) 2016-12-27 2019-03-25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967965B1 (ko) 2016-12-30 2019-04-10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161339B1 (ko) 2017-11-08 2020-09-29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787A (ja) * 1997-07-24 1999-02-09 Techno Polymer Kk 抗菌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1220486A (ja) * 2000-02-09 2001-08-14 Techno Polymer Co Ltd リサイクル性に優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再生成形材料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1303A (en) 1955-08-03 1962-06-26 Monsanto Chemicals Molding powder comprising polystyrene, white inorganic pigment and finely divided metal powder
GB1040287A (en) 1963-08-15 1966-08-24 Sterling Moulding Materials Lt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manufacture of synthetic rubber compositions
FR1439417A (fr) 1964-06-19 1966-05-20 Monsanto Co Compositions polymères de caoutchoucs diéniques et d'interpolymères à ténacitéaméliorée
US3354108A (en) 1964-06-19 1967-11-21 Monsanto Co Graft blend of diene rubber polymeric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toughness
JPS5448852A (en) * 1977-09-27 1979-04-17 Asahi Chem Ind Co Ltd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CH642982A5 (de) 1979-02-26 1984-05-15 Inventa Ag Polyaetherpolyamide.
JPS5645419A (en) 1979-09-21 1981-04-25 Teijin Yuka Kk Preparation of p-xylene
FR2466478B2 (fr) 1979-10-02 1986-03-14 Ato Chimie Procede de preparation de copolyetheresteramides aliphatiques elastomeres
US4612340A (en) 1983-03-09 1986-09-16 Yoshinori Ohachi Medical device
JP2998122B2 (ja) * 1993-11-08 2000-01-1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系樹脂組成物
US5714534A (en) 1993-12-27 1998-02-03 Mitsui Toatsu Chemicals, Inc. Resin compositions having excellent antistatic properties
US5906679A (en) 1994-06-06 1999-05-25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Coating compositions employing zinc antimonate anhydride particles
JPH08253640A (ja) 1995-03-17 1996-10-01 Mitsui Toatsu Chem Inc 帯電防止性に優れた樹脂組成物
KR970006388A (ko) 1995-07-19 1997-02-19 조규향 열가소성 에라스토머 (elastomer)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6663877B1 (en) 1996-06-26 2003-12-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ntibacterial solid surface materials with restorable antibacterial effectiveness
JPH10195309A (ja) 1996-11-13 1998-07-28 Asahi Chem Ind Co Ltd 抗菌防黴性樹脂組成物
DE19652958A1 (de) 1996-12-19 1998-06-25 Bayer Ag ABS-Formmassen mit verbessertem Geruchsverhalten
JP3716891B2 (ja) 1997-03-14 2005-11-16 旭電化工業株式会社 抗菌性高分子材料組成物
US6166116A (en) 1999-06-03 2000-12-26 The Dow Chemical Company Carbonate polymer compositions stabilized against discoloration and physical property deterioration during sterilization by ionizing radiation
JP4883828B2 (ja) 2000-01-19 2012-02-22 小林製薬株式会社 消臭組成物
ES2264681T3 (es) 2000-09-21 2007-01-16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Mezclas de fenoles y materiales inorganicos con actividad antimicrobiana.
JP2002245825A (ja) 2001-02-15 2002-08-30 Nec Corp バックライト、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4212928B2 (ja) 2003-03-05 2009-01-21 テクノポリマー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KR100632603B1 (ko) 2003-08-20 2006-10-09 에스케이 주식회사 열가소성 에라스토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132987A (ja) 2003-10-31 2005-05-26 Mitsubishi Rayon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US8128998B2 (en) * 2004-01-12 2012-03-06 Ecolab Usa Inc. Polyurethane coating cure enhancement using ultrafine zinc oxide
JP2006182841A (ja) 2004-12-27 2006-07-13 Sumitomo Dow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成形してなる成形品
CN1320175C (zh) 2005-04-19 2007-06-06 太原理工大学 一种氧化锌空心四足晶须束的制取方法
US7683137B2 (en) 2005-07-05 2010-03-23 Fina Technology, Inc. Color reduction polyethylene modified by radical initiation
KR100761799B1 (ko) 2005-08-24 2007-10-05 제일모직주식회사 나노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나노복합재 수지조성물
KR100782700B1 (ko) 2005-11-01 2007-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안정성, 내광변색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696385B1 (ko) 2005-12-30 2007-03-19 제일모직주식회사 항균성 및 광택성이 우수한 시트 공압출용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20100264383A1 (en) * 2006-06-15 2010-10-21 Croda International Plc Uv Absorbing Composition
JP2008024556A (ja) 2006-07-21 2008-02-07 Tokyo Univ Of Science 金属酸化物粉末の製造方法、及び当該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る金属酸化物粉末
CN1919542A (zh) 2006-08-18 2007-02-28 宋太元 一种抗菌防霉刀
KR101043642B1 (ko) 2009-01-28 2011-06-22 주식회사 단석산업 미립상의 산화아연의 연속 제조방법 및 그 장치
JP2011194166A (ja) 2010-03-24 2011-10-06 Gc Corp 歯科用石膏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880426A (zh) 2010-07-13 2010-11-10 青岛开世密封工业有限公司 一种抗菌防霉型彩色门封及其制造方法
KR101452020B1 (ko) 2010-09-03 2014-10-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RU2013141031A (ru) 2011-02-07 2015-03-20 Эвоник Рем ГмбХ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антимикробных акриловых материалов
KR101334283B1 (ko) 2012-07-13 2013-11-28 (주)나노미래생활 항균 플라스틱 소재, 항균 플라스틱, 항균 플라스틱 제조용 마스터배치, 및 항균 플라스틱의 제조방법
KR20140068672A (ko) 2012-11-28 2014-06-09 제일모직주식회사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JP5667220B2 (ja) 2013-01-16 2015-02-12 テクノポリマー株式会社 耐候性樹脂組成物
JP2014172783A (ja) 2013-03-08 2014-09-22 Ube Material Industries Ltd 酸化亜鉛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221708A (ja) 2013-05-14 2014-11-27 テイカ株式会社 酸化亜鉛および酸化亜鉛の製造方法並びにこの酸化亜鉛を用いた化粧料、樹脂組成物、塗料組成物、無機粉体
US20160326670A1 (en) 2014-01-10 2016-11-10 Nano, Future And Life, Inc. Antibacterial fiber material, antibacterial fibers, master batch for manufacturing antibacterial fiber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tibacterial fibers
JP6161561B2 (ja) 2014-03-28 2017-07-12 共栄産業株式会社 シート状消臭性発泡成形体、その製造法および発泡食品容器
EP3026082B1 (en) 2014-10-02 2018-02-28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and transparency,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molded product comprising same
JP2016121273A (ja) 2014-12-25 2016-07-07 セツナン化成株式会社 帯電防止性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KR102169267B1 (ko) 2014-12-31 2020-10-26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성형체 제조
WO2018080013A1 (ko) 2016-10-25 2018-05-03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18084484A2 (ko) 2016-11-02 2018-05-11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EP3326975A1 (en) 2016-11-29 2018-05-30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íficas Zinc oxide microparticles,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KR101967961B1 (ko) 2016-12-22 2019-04-10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962520B1 (ko) 2016-12-23 2019-03-26 롯데첨단소재(주) 내전리방사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961994B1 (ko) 2016-12-27 2019-03-25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967965B1 (ko) 2016-12-30 2019-04-10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787A (ja) * 1997-07-24 1999-02-09 Techno Polymer Kk 抗菌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1220486A (ja) * 2000-02-09 2001-08-14 Techno Polymer Co Ltd リサイクル性に優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再生成形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42817A1 (en) 2018-07-04
EP3342817B1 (en) 2019-08-28
US10472510B2 (en) 2019-11-12
KR101967965B1 (ko) 2019-04-10
US20180186989A1 (en) 2018-07-05
JP7103786B2 (ja) 2022-07-20
JP2018109165A (ja)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796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6966288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製造された成形品
KR10200516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93379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96199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7261800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製造された成形品
KR10201571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86148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94560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18373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97222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98001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17142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96801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15075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013502B1 (ko)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96802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20110121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2022515319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製造された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