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257A - 전사 시트 - Google Patents

전사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257A
KR20180037257A KR1020187006420A KR20187006420A KR20180037257A KR 20180037257 A KR20180037257 A KR 20180037257A KR 1020187006420 A KR1020187006420 A KR 1020187006420A KR 20187006420 A KR20187006420 A KR 20187006420A KR 20180037257 A KR20180037257 A KR 20180037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transfer sheet
mass
acryl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야 요다
에미 마츠바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7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2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07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aspe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41M5/385 - B41M5/395
    • B41M5/38214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92Additives, other than colour forming substances, dyes or pigments, e.g. sensitisers, transfer promoting agents
    • B41M5/395Macromolecular additives, e.g. b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02Dye diffusion thermal transfer printing (D2T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06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relating to melt (thermal) mass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0Thermal donors, e.g. thermal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8Intermediate layers; Layers between substrate and imag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57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n intermediate recep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과제] 화상의 블러링 및 스미어링을 발생시키지 않고, 높은 인화 농도의 인화를 가능하게 하는 전사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박리층과 열용융 착색층을 이 순서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사 시트이며, 상기 열용융 착색층이, 바인더 수지로서 유리 전이 온도가 75℃ 이상인 (메트)아크릴계 수지, 및 착색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 시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사 시트
본 발명은 전사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재와, 기재 상에, 착색제 및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열용융 착색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사 시트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간편한 인쇄 방법으로서 열전사 기록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열전사 기록 방법은, 각종 화상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 매수가 비교적 적어도 되는 인쇄물, 예를 들어, 신분 증명서 등의 ID 카드의 제작이나 영업 사진, 또는 퍼스널 컴퓨터의 프린터나, 비디오 프린터 등에서 이용되고 있다.
열전사 기록 방식에 사용되는 전사 시트는 크게 구별하면, 가열에 의해 착색제를 포함하는 열용융 착색층이 용융 연화하여 피전사체, 즉 수상 시트에 전사 이행하는, 소위 용융 전사 타입의 전사 시트와, 가열에 의해 염료층 중의 염료가 승화하여 염료가 수상 시트로 이행하는, 소위 승화 타입의 전사 시트로 분류된다. 여기서, 신분 증명서 등의 ID를 제작하는 경우, 특히, 문자나 숫자 등의 단조로운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용융 전사 타입의 열전사 시트가 사용된다.
용융 전사 타입의 열전사 시트를 사용하여, 문자나 숫자 등의 단조로운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화상의 블러링 및 스미어링이 발생해버리는 것이 문제로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1에 있어서, 기재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착색제를 포함하는 착색층을 구비하는 전사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있어서 개시되는 전사 시트에서는, 화상의 블러링 및 스미어링의 방지 성능이 충분하지 않아,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01180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배경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화상의 블러링 및 스미어링을 발생시킬 일이 없는, 인화 안정성이 높은 전사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기재와, 박리층과, 바인더 수지로서 유리 전이 온도가 75℃ 이상인 (메트)아크릴계 수지, 및 착색제를 포함하는 열용융 착색층을 구비한 전사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지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기재와, 기재 상에 박리층과 열용융 착색층을 이 순서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사 시트이며,
열용융 착색층이, 바인더 수지로서 유리 전이 온도가 75℃ 이상인 (메트)아크릴계 수지, 및 착색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 시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박리층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열용융 착색층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함유량이 5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 이상 1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기재와, 박리층 사이에 이형층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열용융 착색층에 있어서, 착색제의 함유량과,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함유량의 비(상기 착색제의 함유량/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함유량)가 질량 기준으로, 1.0 이상 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기재 상에 염료층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화에 의한 블러링 및 스미어링을 발생시킬 일이 없는, 높은 인화 안정성을 갖는 전사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사 시트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사 시트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의 평가에 있어서의 전사 조건의 인화 패턴(백색선 및 흑색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배합을 나타내는 「부」, 「%」, 「비」 등은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질량 기준이다.
<전사 시트>
본 발명에 의한 전사 시트는, 기재와, 기재 상에 박리층과 열용융 착색층을 이 순서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기재와 박리층 사이에 이형층을 더 구비해도 되고, 기재의 열용융 착색층을 형성시킨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배면층을 더 구비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사 시트의 층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사 시트의 일 실시 형태의 모식 단면도를 도 1에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되는 전사 시트(10)는, 기재(11)와, 그 기재(11) 상에 이형층(12)과, 박리층(13)과, 열용융 착색층(14)을 이 순서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기재(11)의 이형층(12)과 반대측의 면에, 배면층(15)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사 시트(10)는, 기재(11) 상에 염료층(16)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염료층(16)은, 박리층(13)과 면 순차로 되도록 설치되어도 되고(도 2 참조), 기재(11)와 박리층(13) 사이에 이형층(12)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이형층(12)과 면 순차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도시하지 않음).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사 시트를 구성하는 각 층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재>
본 발명에 있어서 기재는, 열용융 착색층을 보유 지지한다는 역할을 가짐과 함께, 열전사 시에는 열이 가해지기 때문에, 가열된 상태에서도 취급상 지장이 없을 정도의 기계적 강도를 갖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재의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1,4-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폴리페닐렌술피드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술폰 필름, 아라미드 필름,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셀로판,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나일론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아이오노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재의 두께는, 2㎛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 이상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는, 표면에 접착 용이화 처리를 행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접착 용이 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기재와 후술하는 열용융 착색층 등과의 사이에 접착 용이층을 형성하는 처리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접착 용이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수성 아크릴, 수성 폴리에스테르 및 수성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성 아크릴이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아크릴계 수지이며, 알킬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를 주요한 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성분이 30몰% 이상 90몰% 이하로 되도록 공중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수성 폴리에스테르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며, 이러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구성하는 성분으로서, 다가 카르복실산 및 다가 히드록시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수성 에폭시 화합물이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바람직하게는 수용성의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이며, 분자 내에 에폭시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함유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수성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글리콜, 폴리에테르, 폴리올류의 글리시딜에테르, 카르복실산류의 글리시딜에스테르, 글리시딜 치환된 아민류 등을 들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딜에테르류이다. 접착 용이화 처리는, 기재의 표면에 접착 용이성의 도막을 형성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기타의 접착 용이화 처리로서, 기재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스마 처리, 오존 처리, 프레임 처리, 예열 처리, 제진애 처리, 증착 처리, 알칼리 처리, 대전 방지층 부여 등의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박리층>
본 발명에 있어서 박리층은, 열전사 시에 열용융 착색층이 기재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도록 설치되는 층이며, 열용융 착색층과 함께 전사한다. 박리층은, 기재와, 열용융 착색층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박리층은, 바인더 수지로서,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층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열전사 시트로부터의 박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중간 전사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1차 전사 시의 열전사 시트로부터의 박리 성능과, 재전사 시의 각 피전사체로의 밀착성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박리층에 있어서의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수지의 함유량은, 5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인화에 의해 제작하는 화상에 있어서의 스미어링 및 블러링의 발생을 억제하는 전사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수지의 함유량은, 10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수지란, (1) 염화비닐과 아세트산비닐의 공중합체 또는 그의 유도체, 및 (2) 염화비닐과 아세트산비닐과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박리층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수지 이외에도, 바인더 수지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세탈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폴리올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박리층은 박리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해도 된다. 박리제로서는, 실리콘 오일 및/또는 왁스 성분이 사용된다. 박리층에, 실리콘 오일 및 왁스 성분 등의 박리제를 첨가함으로써, 인화에 의해 제작하는 화상에 있어서의 스미어링 및 블러링을 억제하는 전사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실리콘 오일로서는, 아미노 변성 실리콘, 에폭시 변성 실리콘,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 에폭시-아르알킬 변성 실리콘, 알코올 변성 실리콘, 비닐 변성 실리콘, 우레탄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고, 에폭시 변성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왁스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파라핀 왁스, 피셔-트롭쉬 왁스, 각종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목랍, 밀랍, 경랍, 충랍, 양모랍, 셸락 왁스, 칸델릴라 왁스, 페트롤레이텀, 일부 변성 왁스, 지방산에스테르, 지방산아미드 등, 여러가지 왁스 등을 들 수 있고, 폴리에틸렌 왁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종래 공지된 도포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당한 용제 중에 상기 바인더 수지와, 필요에 따라 박리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고, 각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시켜서 도포액을 조제한 후, 이 도포액을 기재 또는 이형층 상에 그라비아 코팅법, 롤 코팅법, 콤마 코팅법, 그라비아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및 그라비아 리버스 롤 코팅법 등의 공지된 수단을 사용하여 도포, 건조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포액의 건조 시 도포량은, 0.2g/㎡ 이상 2.0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4g/㎡ 이상 1.0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용융 착색층>
본 발명에 있어서 열용융 착색층은, 전사 시트의 기재 상에 설치되고, 전사 시트와 피전사체 또는 중간 전사 기록 매체를 중첩하고, 기재의 이면측(기재의 열용융 착색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을 열전사용 프린터가 구비하는 서멀 헤드 등, 종래 공지된 가열 수단을 사용하여 가열함으로써, 피전사체 또는 중간 전사 기록 매체가 구비하는 수용층 상에 전사되는 층이다. 이와 같이, 열용융 착색층을, 피전사체 상 또는 중간 전사 기록 매체가 구비하는 수용층 상에 전사함으로써, 문자나 숫자 등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열용융 착색층은, 착색제 및 바인더 수지로서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한다. 열용융 착색층이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전사 시트의 전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과 「메타크릴」의 양쪽을 포함한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수지란, (1)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모노머의 중합체 또는 그의 유도체, (2) 아크릴산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모노머의 중합체 또는 그의 유도체, (3)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 또는 그의 유도체, 및 (4) 아크릴산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아크릴산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아크릴레이트,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및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방향족 탄화수소, 아릴기 함유 화합물, 아미드기 함유 화합물 및 염화비닐 등,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티렌, 벤질스티렌, 페녹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트)아크릴아미드,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내열성, 내찰과성 및 투명성을 보다 확보한다는 이유에서,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75℃ 이상이며, 9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Tg를 상기 수치 범위로 함으로써, 열용융 착색층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인화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Tg는, 1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Tg는, DSC(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의한 열량 변화의 측정(DSC법)에 기초해 구할 수 있다.
열용융 착색층의 바인더 수지 중의 고형분의 총량에 대한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함유량은, 5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함유량을 상기 수치 범위로 함으로써, 여러가지 인화 조건에 있어서도, 전사성을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바인더 수지 중의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함유량은 10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20000 이상 1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00 이상 90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000 이상 850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Mw를 상기 수치 범위로 함으로써, 화상의 블러링 및 스미어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Mw는,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한 분자량이다.
또한, 열용융 착색층이 2종 이상인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그 평균 Mw는, 20000 이상 1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00 이상 90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000 이상 850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열용융 착색층이, Mw 40000의 아크릴계 수지 및 Mw 95000의 아크릴계 수지를 질량비 7:3으로 포함하는 경우, 그 평균 Mw는, 56500으로 된다(40000×0.7+95000×0.3).
또한, 열용융 착색층이, (메트)아크릴계 수지 이외의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열용융 착색층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의 평균 Mw는, 20000 이상 1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00 이상 90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000 이상 850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열용융 착색층은, 그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바인더 수지로서,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이외에,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의 우레탄계 수지, 에틸셀룰로오스 수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수지, 에틸히드록시셀룰로오스 수지, 메틸셀룰로오스 수지, 아세트산셀룰로오스 수지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아세탈계 수지, 및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한 바인더 수지 중에서도, 인화에 의해 제작하는 화상에 있어서의 블러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전사성이 향상된다는 관점에서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수지가 바람직하다.
착색제로서는, 종래 공지된 착색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인화 재료로서 양호한 특성을 갖는 것, 예를 들어, 충분한 착색 농도를 갖고, 광, 열, 온도 등에 의해 변퇴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에 의해 발색되는 물질이나, 피전사체의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성분과 접촉함으로써 발색되는 물질이어도 된다. 착색제는, 흑색, 백색, 실버, 시안, 마젠타, 옐로우, 레드, 그린, 및 블루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색을 나타내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착색제로서는, 흑색에는 카본 블랙, 백색에는 산화티타늄, 및 실버에는 알루미늄 등의 무기 재료, 시안, 마젠타, 옐로우, 레드, 그린, 및 블루에는 C.I.Pigment에 기재되는 각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용융 착색층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함유량은, 20질량% 이상 9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용융 착색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종래 공지된 도포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당한 용제 중에 상기한 바와 같은 착색제 및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첨가하고, 각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시켜서 도포액을 조제한 후, 이 도포액을 기재 등 상에 그라비아 코팅법, 롤 코팅법, 콤마 코팅법, 그라비아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및 그라비아 리버스 롤 코팅법 등의 공지된 수단을 사용해 도포, 건조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포액의 건조 시 도포량은, 0.5g/㎡ 이상 10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8g/㎡ 이상 5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용융 착색층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함유량과, 아크릴계 수지의 함유량의 비(착색제의 함유량/아크릴계 수지의 함유량)는 질량 기준으로, 0.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용융 착색층이, 착색제 및 아크릴계 수지를 이러한 비율로 함유하고 있음으로써, 화상의 블러링 및 스미어링을 발생시키지 않고, 높은 농도의 인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형층>
본 발명에 있어서 이형층은, 열전사 시에 열용융 착색층이 기재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도록, 원한다면 설치되는 층이며, 열전사 시에 기재측에 머무르는 층이다. 이형층은, 기재와, 열용융 착색층 사이, 또는 기재와, 박리층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이형층은, 이형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바인더 수지와, 이형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 수지로서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세탈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폴리올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폴리비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고, 우레탄계 수지 및 아세탈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제로서는, 실리콘 오일, 인산에스테르계 가소제, 불소계 화합물, 왁스, 금속 비누, 및 필러 등을 들 수 있고,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종래 공지된 도포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당한 용제 중에 상기 바인더 수지와, 필요에 따라 이형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고, 각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시켜서 도포액을 조제한 후, 이 도포액을 기재 상에 그라비아 코팅법, 롤 코팅법, 콤마 코팅법, 그라비아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및 그라비아 리버스 롤 코팅법 등의 공지된 수단을 사용해 도포, 건조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포액의 건조 시 도포량은, 0.1g/㎡ 이상 1.0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2g/㎡ 이상 0.6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배면층>
본 발명에 있어서 배면층은, 열전사할 때의 기재 이면측(기재의 열용융 착색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으로부터의 가열에 의한 스티킹이나 주름 등의 악영향을 방지하기 위해서, 원한다면 설치되는 층이다. 배면층을 설치함으로써, 내열성이 떨어진 플라스틱 필름을 기재로 한 전사 시트에 있어서도 스티킹이 일어날 일 없이 열 인자가 가능하여, 플라스틱 필름이 갖는 끊어지기 어려움, 가공의 용이함 등과 같은 특징을 살릴 수 있다.
배면층은, 바인더 수지와, 활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면층에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로서는, 아크릴계 수지, 비닐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아세탈계 수지, 및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활제로서는, 금속 비누, 왁스, 실리콘 오일, 지방산에스테르, 필러, 탈크 등을 들 수 있다.
배면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종래 공지된 도포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당한 용제 중에 상기 바인더 수지와, 필요에 따라 활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고, 각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시켜서 도포액을 조제한 후, 이 도포액을 기재 상에 그라비아 코팅법, 롤 코팅법, 콤마 코팅법, 그라비아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및 그라비아 리버스 롤 코팅법 등의 공지된 수단을 사용해 도포, 건조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포액의 건조 시 도포량은, 0.2g/㎡ 이상 2.0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4g/㎡ 이상 1.2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염료층>
본 발명에 의한 전사 시트는, 원한다면, 기재 상에 염료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염료층은, 박리층과 면 순차로 되도록 설치되어도 되고, 기재와 박리층 사이에 이형층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이형층과 면 순차로 되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염료층은,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충분한 착색 농도를 갖고, 광, 열, 온도 등에 의해 변퇴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화성 염료는, 예를 들어, 디아릴메탄계 염료, 트리아릴메탄계 염료, 티아졸계 염료, 메로시아닌 염료, 피라졸론 염료, 메틴계 염료, 인도아닐린계 염료, 아세토페논아조메틴, 피라졸로아조메틴, 이미다졸아조메틴, 이미다조아조메틴, 피리돈아조메틴 등의 아조메틴계 염료, 크산텐계 염료, 옥사진계 염료, 디시아노스티렌, 트리시아노스티렌 등의 시아노스티렌계 염료, 티아진계 염료, 아진계 염료, 아크리딘계 염료, 벤젠아조계 염료, 피리돈아조, 티오펜아조, 이소티아졸아조, 피롤아조, 피라졸아조, 이미다졸아조, 티아디아졸아조, 트리아졸아조, 디스아조 등의 아조계 염료, 스피로피란계 염료, 인돌리노스피로피란계 염료, 플루오란계 염료, 로다민락탐계 염료, 나프토퀴논계 염료, 안트라퀴논계 염료, 퀴노프탈론계 염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MSRedG(미쯔이 도아쯔 가가꾸(주)제), Macrolex Red Violet R(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사제), CeresRed 7B(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사제), Samaron Red F3BS(미쯔비시 가가꾸(주)제) 등의 적색 염료, 포론 브릴리언트 옐로우6GL(클라리안트사제), PTY-52(미쯔비시 가세이(주)제), 마크로렉스 옐로우6G(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사제) 등의 황색 염료, 카야셋 블루 714(닛본 가야꾸(주)제), 왁솔린 블루 AP-FW(ICI사제), 포론 브릴리언트 블루 S-R(샌드(주)제), MS 블루 100(미쯔이 도아쯔 가가꾸(주)제), C.I.솔벤트 블루 22 등의 청색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염료층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비닐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의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인더 수지 중에서도 내열성, 염료의 이행성 등이 우수한 관점에서, 셀룰로오스계 수지, 비닐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비닐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비닐부티랄 및 폴리비닐아세토아세탈이 특히 바람직하다.
염료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염료 및 바인더 수지에, 필요에 따라 이형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고,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등의 적당한 유기 용제 또는 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염료층용 도포액(용해액 또는 분산액)을 예를 들어, 그라비아 인쇄법, 그라비아판을 사용한 리버스 롤 코팅법, 롤 코터, 바 코터 등의 형성 수단에 의해, 기재의 한쪽 면에 도포 시공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포액의 건조 시 도포량은, 0.2g/㎡ 이상 1.2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3g/㎡ 이상 0.6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피전사체>
본 발명에 의한 전사 시트의 전사에 사용 가능한 피전사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보통지, 상질지, 트레이싱 페이퍼, 플라스틱 필름, 유리, 금속, 세라믹스, 목재, 천 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전사 방법>
열용융 착색층의 피전사체에의 전사는, 종래 공지된 열전사 프린터를 사용하여, 피전사체에 직접 행할 수 있다.
또한, 피전사체가 직접 전사를 행하는 것이 곤란한 것인 경우, 중간 전사 기록 매체가 구비하는 수용층 상에, 열용융 착색층을 전사 후(1차 전사), 이 중간 전사 기록 매체의 수용층을 피전사체에 전사(재전사)함으로써도 행할 수 있다.
열전사 프린터는, 예를 들어, 승화 전사용, 열용융 전사용, 보호층 전사용이라고 하는 것처럼 따로따로 전사 조건을 설정해도 되고, 또한, 공통의 프린터에서 각각 인자 에너지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행해도 된다. 또한, 가열 수단으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열판, 핫 스탬퍼, 열 롤, 라인 히터, 다리미 등을 사용하여 전사를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기재로서, 두께 4.5㎛의 PET 필름을 준비하였다.
계속해서, 기재 상에 하기 조성의 박리층용 도포액을 건조 시 1.0g/㎡로 되도록 도포하여 박리층을 형성하였다.
<박리층용 도포액>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수지 95질량부
(Mw: 35000, 닛신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솔바인(등록 상표) CNL)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5질량부
(도요 보세끼(주)제, 상품명: 바이런(등록 상표) 200)
·메틸에틸케톤 200질량부
·톨루엔 200질량부
계속해서, 박리층 상에 하기 조성의 열용융 착색층용 도포액을 건조 시 1.0g/㎡로 되도록 도포하여 열용융 착색층을 형성하였다.
<열용융 착색층용 도포액>
·카본 블랙 분산체 100질량부
(고형분 46%, 카본 블랙 40%, 분산제 6%, 메틸에틸케톤:톨루엔=1:1)
·아크릴계 수지 A 40질량부
(Tg: 105℃, Mw: 40000, 미쯔비시 레이온(주)제, 상품명: 다이야날(등록 상표) BR-83)
·메틸에틸케톤 25질량부
·톨루엔 25질량부
박리층을 형성한 기재의 면과는 반대인 면에, 하기 조성의 배면층용 도포액을 건조 시 0.8g/㎡로 되도록 도포하여 배면층을 형성하여, 전사 시트를 얻었다.
<배면층용 도포액>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2.0질량부
(세끼스이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에스렉(등록 상표) BX-1)
·폴리이소시아네이트 9.2질량부
(다이닛본 잉크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버녹(등록 상표) D750)
·인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1.3질량부
(다이이찌 고교 세야꾸(주)제, 상품명: 플라이 서프(등록 상표) A208N)
·탈크 0.3질량부
(닛본 탈크 고교(주)제, 상품명: 마이크로 에이스(등록 상표) P-3)
·톨루엔 43.6질량부
·메틸에틸케톤 43.6질량부
(실시예 2)
열용융 착색층용 도포액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수지 A를, 아크릴계 수지 B(Tg: 105℃, Mw: 25000, 미쯔비시 레이온(주)제, 상품명: 다이야날(등록 상표) BR-87)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3)
열용융 착색층용 도포액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수지 A를, 아크릴계 수지 C(Tg: 105℃, Mw: 85000, 미쯔비시 레이온(주)제, 상품명: 다이야날(등록 상표) BR-52)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4)
열용융 착색층용 도포액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수지 A를, 아크릴계 수지 D(Tg: 90℃, Mw: 85000, 미쯔비시 레이온(주)제, 상품명: 다이야날(등록 상표) BR-7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5)
열용융 착색층용 도포액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수지 A를, 아크릴계 수지 E(Tg: 80℃, Mw: 65000, 미쯔비시 레이온(주)제, 상품명: 다이야날(등록 상표) BR-77)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6)
열용융 착색층용 도포액을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의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 시트를 얻었다. 또한, 열용융 착색층용 도포액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의 평균 Mw는, 38000이었다(40000×0.6+35000×0.4).
<열용융 착색층용 도포액>
·카본 블랙 분산체 100질량부
(고형분 46%, 카본 블랙 40%, 분산제 6%, 메틸에틸케톤:톨루엔=1:1)
·아크릴계 수지 A 24질량부
(Tg: 105℃, Mw: 40000, 미쯔비시 레이온(주)제, 상품명: 다이야날(등록 상표) BR-83)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수지 16질량부
(Mw: 35000, 닛신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솔바인(등록 상표) CNL)
·메틸에틸케톤 25질량부
·톨루엔 25질량부
(실시예 7)
박리층용 도포액을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의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 시트를 얻었다.
<박리층용 도포액>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수지 50질량부
(Mw: 35000, 닛신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솔바인(등록 상표) CNL)
·아크릴계 수지 B 50질량부
(Tg: 105℃, Mw: 25000, 미쯔비시 레이온(주)제, 상품명: 다이야날(등록 상표) BR-87)
·메틸에틸케톤 200질량부
·톨루엔 200질량부
(실시예 8)
박리층용 도포액을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의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 시트를 얻었다.
<박리층용 도포액>
·아크릴계 수지 B 100질량부
(Tg: 105℃, Mw: 25000, 미쯔비시 레이온(주)제, 상품명: 다이야날(등록 상표) BR-87)
·메틸에틸케톤 200질량부
·톨루엔 200질량부
(실시예 9)
기재로서, 한쪽 면에 수분산성 아크릴 수지에 표면 접착 용이화 처리를 실시한 두께 4.5㎛의 PET 필름을 준비하였다. 이 기재의 한쪽 면에, 하기 조성의 이형층용 도포액을 건조 시 0.5g/㎡로 되도록 도포하여 이형층을 형성하였다.
<이형층용 도포액>
·우레탄계 수지 25질량부
·아세탈계 수지 75질량부
(세끼스이 가가꾸(주)제, 상품명: 에스렉(등록 상표) KS-5)
·톨루엔 950질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950질량부
계속해서, 이형층 상에 하기 조성의 박리층용 도포액을 건조 시 1.0g/㎡로 되도록 도포하여 박리층을 형성하였다.
<박리층용 도포액>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수지 95질량부
(Mw: 35000, 닛신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솔바인(등록 상표) CNL)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5질량부
(도요 보세끼(주)제, 상품명: 바이런(등록 상표) 200)
·메틸에틸케톤 200질량부
·톨루엔 200질량부
계속해서, 박리층 상에 하기 조성의 열용융 착색층용 도포액을 건조 시 1.0g/㎡로 되도록 도포하여 열용융 착색층을 형성하였다.
<열용융 착색층용 도포액>
·카본 블랙 분산체 100질량부
(고형분 46%, 카본 블랙 40%, 분산제 6%, 메틸에틸케톤:톨루엔=1:1)
·아크릴계 수지 A 40질량부
(Tg: 105℃, Mw: 40000, 미쯔비시 레이온(주)제, 상품명: 다이야날(등록 상표) BR-83)
·메틸에틸케톤 25질량부
·톨루엔 25질량부
박리층을 형성한 기재의 면과는 반대인 면에, 하기 조성의 배면층용 도포액을 건조 시 1.0g/㎡로 되도록 도포하여 배면층을 형성하여, 전사 시트를 얻었다.
<배면층용 도포액>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2.0질량부
(세끼스이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에스렉(등록 상표) BX-1)
·폴리이소시아네이트 9.2질량부
(다이닛본 잉크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버녹(등록 상표) D750)
·인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1.3질량부
(다이이찌 고교 세야꾸(주)제, 상품명: 플라이 서프(등록 상표) A208N)
·탈크 0.3질량부
(닛본 탈크 고교(주)제, 상품명: 마이크로 에이스(등록 상표) P-3)
·톨루엔 43.6질량부
·메틸에틸케톤 43.6질량부
(실시예 10)
열용융 착색층용 도포액에 포함되는 카본 블랙 분산체를, 산화티타늄 분산체 (고형분 46%, 산화티타늄 40%, 분산제 6%, 메틸에틸케톤:톨루엔=1:1)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1)
열용융 착색층용 도포액에 포함되는 카본 블랙 분산체를, 옐로우 안료 분산체(고형분 46%, 옐로우 안료(디스퍼스 옐로우54) 40%, 분산제 6%, 메틸에틸케톤:톨루엔=1:1)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2)
열용융 착색층용 도포액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수지 A를, 아크릴계 수지 F(Tg: 105℃, Mw: 95000, 미쯔비시 레이온(주)제, 상품명: 다이야날(등록 상표) BR-8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3)
열용융 착색층용 도포액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수지 A를, 아크릴계 수지 A 및 아크릴계 수지 F의 혼합물(혼합비 1:1, 평균 Mw: 6750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4)
열용융 착색층용 도포액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수지 A를, 아크릴계 수지 A 및 아크릴계 수지 F의 혼합물(혼합비 7:3, 평균 Mw: 5650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5)
열용융 착색층용 도포액을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의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 시트를 얻었다. 또한, 열용융 착색층용 도포액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의 평균 Mw는, 39000이었다.
<열용융 착색층용 도포액>
·카본 블랙 분산체 100질량부
(고형분 46%, 카본 블랙 40%, 분산제 6%, 메틸에틸케톤:톨루엔=1:1)
·아크릴계 수지 A 32질량부
(Tg: 105℃, Mw: 40000, 미쯔비시 레이온(주)제, 상품명: 다이야날(등록 상표) BR-83)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수지 8질량부
(Mw: 35000, 닛신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솔바인(등록 상표) CNL)
·메틸에틸케톤 25질량부
·톨루엔 25질량부
(비교예 1)
열용융 착색층용 도포액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수지 A를,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수지(Tg: 70℃, 중합도: 300, 닛신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솔바인(등록 상표) CL)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2)
열용융 착색층용 도포액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수지 A를,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수지(Tg: 76℃, 중합도: 200, 닛신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솔바인(등록 상표) CNL)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3)
열용융 착색층용 도포액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수지 A를, 아크릴계 수지 G(Tg: 55℃, Mw: 65000, 미쯔비시 레이온(주)제, 상품명: 다이야날(등록 상표) BR-64)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4)
열용융 착색층용 도포액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수지 A를, 아크릴계 수지 H(Tg: 50℃, Mw: 45000, 미쯔비시 레이온(주)제, 상품명: 다이야날(등록 상표) BR-116)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 시트를 얻었다.
[전사 시트의 성능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전사 시트에 대해서, 인화 안정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인화 안정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전사 시트와, 하기 테스트 프린터를 사용하여, 1라인 주기 3밀리초로 하고 인화 전압을 16.5V, 18.0V 및 19.5V의 각각의 경우에 대해서, 하기와 같이 하여 제작한 중간 전사 기록 매체의 수용층 상에, 인화 패턴(도 3에 도시하는 인화 패턴: 해상도 300dpi로 2dots의 세선)을 전사하였다. 화상의 블러링 및 스미어링이 발생하였는지(백색 세선부의 재현성이 좋을수록 화상의 스미어링이 적고, 흑색 세선부의 재현성이 좋을수록 화상의 블러링이 적다.)를 눈으로 확인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통합하였다.
(테스트 프린터)
서멀 헤드: KEE-57-12GAN2-STA(교세라(주)제)
발열체 평균 저항값: 3303(Ω)
주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dpi)
부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dpi)
1라인 주기: 3.0(msec.)
인자 개시 온도: 35(℃)
펄스 Duty비: 85%
<중간 전사 기록 매체의 제작>
두께 16㎛의 PET 필름 상에, 하기 조성의 박리층용 도포액, 보호층용 도포액 및 수용층 겸 히트 시일층용 도포 시공액을 그라비아 리버스 코팅 방식으로, 순차 도포 시공, 건조하고, 박리층, 보호층 및 수용층 겸 히트 시일층을 형성시켜서 피전사체를 얻었다. 상기 각각의 건조 도포 시공량은, 박리층은 1.0g/㎡, 보호층은 2.0g/㎡, 수용층 겸 히트 시일층은 1.5g/㎡였다.
(박리층용 도포액)
·아크릴계 수지 B 29질량부
(Tg: 105℃, Mw: 25000, 미쯔비시 레이온(주)제, 상품명: 다이야날(등록 상표) BR-87)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1질량부
(도요 보세끼(주)제, 상품명: 바이런(등록 상표) 200)
·메틸에틸케톤 35질량부
·톨루엔 35질량부
(보호층용 도포액 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30질량부
(도요 보세끼(주)제, 상품명: 바이런(등록 상표) 200)
·메틸에틸케톤 35질량부
·톨루엔 35질량부
(수용층 겸 히트 시일층용 도포액)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수지 20질량부
(Mw: 35000, 닛신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솔바인(등록 상표) CNL)
·실리콘 오일 1질량부
·메틸에틸케톤 39.5질량부
·톨루엔 39.5질량부
<블러링 평가 기준>
A: 블러링이 없고, 양호하다.
B: 부분적으로 블러링이 있지만, 판독할 수 있다.
C: 블러링이 있고, 판독이 곤란하다.
D: 전체적으로 블러링이 있고, 불량하다.
<스미어링 평가 기준>
A: 스미어링이 없고, 양호하다.
B: 부분적으로 스미어링이 있지만, 판독할 수 있다.
C: 스미어링이 있고, 판독이 곤란하다.
D: 전체적으로 스미어링이 있고, 불량하다.
Figure pct00001
10: 전사 시트
11: 기재
12: 이형층
13: 박리층
14: 열용융 착색층
15: 배면층
16: 염료층

Claims (6)

  1.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박리층과 열용융 착색층을 이 순서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사 시트이며,
    상기 열용융 착색층이, 바인더 수지로서 유리 전이 온도가 75℃ 이상인 (메트)아크릴계 수지, 및 착색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층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포함하는, 전사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용융 착색층의 바인더 수지 중에 있어서의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함유량이 50질량% 이상인, 전사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 이상 100000 이하인, 전사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상기 박리층 사이에 이형층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사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상에 염료층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사 시트.
KR1020187006420A 2015-09-11 2016-09-09 전사 시트 KR201800372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79768 2015-09-11
JPJP-P-2015-179768 2015-09-11
PCT/JP2016/076694 WO2017043650A1 (ja) 2015-09-11 2016-09-09 転写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257A true KR20180037257A (ko) 2018-04-11

Family

ID=58239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420A KR20180037257A (ko) 2015-09-11 2016-09-09 전사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336115B2 (ko)
EP (1) EP3348413B1 (ko)
JP (1) JP6745064B2 (ko)
KR (1) KR20180037257A (ko)
CN (1) CN107949483B (ko)
TW (1) TWI691562B (ko)
WO (1) WO20170436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82478B2 (ja) * 2017-06-15 2023-05-29 凸版印刷株式会社 保護層転写シート
JP7047304B2 (ja) * 2017-09-26 2022-04-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転写シート、及び化粧材の製造方法
CN111295290B (zh) * 2018-07-30 2022-03-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热转印片
JPWO2021033778A1 (ko) 2019-08-22 2021-02-25
WO2023003028A1 (ja) 2021-07-20 2023-01-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印画物の製造方法及び印画物
CN114654903A (zh) * 2022-03-25 2022-06-24 安徽维森智能识别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纺织品的防伪碳带
CN114958118A (zh) * 2022-07-05 2022-08-30 浙江广印通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pet膜上的刮涂离型涂层
CN115570901A (zh) * 2022-11-11 2023-01-06 湖南鼎一致远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玻璃转印的树脂碳带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9290B2 (ja) * 1989-07-05 1997-06-11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感熱性転写記録シート
JP3345674B2 (ja) * 1994-05-26 2002-11-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フィルム
JPH0999656A (ja) * 1995-10-06 1997-04-15 Toppan Printing Co Ltd 熱転写リボン
JP3567398B2 (ja) 1996-04-24 2004-09-22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及びそれにより形成される画像要素
JPH1142864A (ja) * 1997-07-25 1999-02-16 Dainippon Printing Co Ltd 受容層転写シート用熱転写シート
JP2000108524A (ja) * 1998-10-01 2000-04-18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シート
JP2001260542A (ja) * 2000-03-16 2001-09-25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記録媒体
JP2002230738A (ja) * 2001-02-01 2002-08-16 Dainippon Ink & Chem Inc 転写型磁気記録シート
JP4028271B2 (ja) * 2002-03-20 2007-12-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メタリック画像付き画像表示媒体及び熱転写シート
JP4336176B2 (ja) * 2003-09-30 2009-09-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JP5534151B2 (ja) 2009-09-30 2014-06-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及び印画物
JP2011201180A (ja) 2010-03-26 2011-10-13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48413A1 (en) 2018-07-18
CN107949483A (zh) 2018-04-20
US10336115B2 (en) 2019-07-02
CN107949483B (zh) 2019-12-31
JP6745064B2 (ja) 2020-08-26
TW201723100A (zh) 2017-07-01
JP2017052278A (ja) 2017-03-16
EP3348413B1 (en) 2020-06-17
TWI691562B (zh) 2020-04-21
WO2017043650A1 (ja) 2017-03-16
EP3348413A4 (en) 2019-07-17
US20180244095A1 (en)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49483B (zh) 转印片
JP4390644B2 (ja) 感熱転写リボンおよび感熱保護層転写シート
KR20180119658A (ko) 중간 전사 매체, 중간 전사 매체와 열전사 시트의 조합 및 인화물의 형성 방법
CN107848316B (zh) 热转印片
JP5799525B2 (ja) 熱転写シート及び熱転写記録方法
WO2017146151A1 (ja) 熱転写シートと中間転写媒体の組合せ、及び印画物の形成方法
KR102478352B1 (ko) 승화형 열전사 시트
JP6690159B2 (ja) 転写シート
JP6677919B2 (ja) 転写シート
JP2005313619A (ja) 熱転写シート
JP6677918B2 (ja) 転写シート
CN111683819B (zh) 热转印片、中间转印介质与热转印片的组合、印相物的制造方法以及装饰物
KR100265926B1 (ko) 열전사 필름
JP5671932B2 (ja) 熱転写シート及び熱転写記録方法
JP2014065162A (ja) 熱転写シート
JP7380283B2 (ja) 熱転写シート
JP2018171840A (ja) 熱転写受像シート、熱転写シート、受容層用塗工液、熱転写受像シートの形成方法、及び印画物の形成方法
JP2018058225A (ja) 熱転写受像シート、熱転写シート、受容層用塗工液、熱転写受像シートの形成方法、及び印画物の形成方法
JP2017061072A (ja) 転写シート
JP4335627B2 (ja) 熱転写記録方法
JP6645082B2 (ja) 転写シート
JP3440342B2 (ja) 熱転写シート
JP2020114668A (ja) 転写シート
JP2021142737A (ja) 熱転写シート及び印画物の製造方法
JPH08175037A (ja) 熱転写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熱転写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