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0165A - 온감 화장료 - Google Patents

온감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0165A
KR20180030165A KR1020187004500A KR20187004500A KR20180030165A KR 20180030165 A KR20180030165 A KR 20180030165A KR 1020187004500 A KR1020187004500 A KR 1020187004500A KR 20187004500 A KR20187004500 A KR 20187004500A KR 20180030165 A KR20180030165 A KR 20180030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warm
mass
feeling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2908B1 (ko
Inventor
마사키 마츠오
카나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Publication of KR20180030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9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61K2800/242Exothermic; Self-heating; Heating s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61K2800/31Anhydro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포 시의 연전성이 양호하고, 끈적이는 감이 없으며, 최적의 온감을 충분히 느낄 수 있고, 씻어내림이 양호한 온감 화장료의 제공, 그리고 현격히 뛰어난 제제의 보존 안정성을 갖는 온감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는, (A) 다가 알코올, (B) HLB 값이 8∼16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트리베헨산글리세릴 및 (D) (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을 함유하고, 물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물을 포함하고 또한 화장료 100 질량% 중의 물의 함유량이 1 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감 화장료
본 발명은 온감(溫感)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피부를 마사지하는 화장료나 메이크업 더러움을 제거하는 화장료에 있어서, 온감을 부여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화장료의 다수는,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나 발열의 온화함의 관점에서, 주로 다가 알코올류의 수화열이 이용되고 있다.
온감을 부여하는 시도로는, 알코올과 소르비트에테르를 함유한 비수계 화장료(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글리세린 또는 디글리세린과 음이온성 고분자 화합물과 물을 함유한 겔상 온열 마사지료(예를 들면, 특허문헌 2를 참조), 특정의 다가 알코올과 스크럽제와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을 함유한 마사지 화장료(예를 들면, 특허문헌 3을 참조) 등의 수단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다가 알코올류에 의한 수화열을 이용한 경우, 온감의 발현이 온화하고, 온감을 느끼는 시간도 짧아, 바람직한 온감이 얻어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적의 온감을 얻기 위해, 다가 알코올류의 배합량을 높이면, 도포 시의 연전성(퍼짐)이 나빠져, 시술 시에 과도한 끈적임을 느껴, 사용감이 뒤떨어질 뿐만 아니라, 씻어내림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가 알코올류를 고배합함으로써, 제제의 보존 안정성이 극단적으로 악화된다는 문제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시도에서는, 「최적의 온감을 느낌」 「끈적임이 없는 사용감」, 「양호한 씻어내림」, 「뛰어난 제제의 보존 안정성」의 4개의 과제 모두에 있어서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온감 화장료를 얻는 것은 곤란했다.
일본국 특개평6-80534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11-12126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0-247860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도포 시의 연전성이 양호하고, 끈적이는 감이 없으며, 최적의 온감을 충분히 느낄 수 있고, 씻어내림이 양호한 온감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현격히 뛰어난 제제의 보존 안정성을 갖는 온감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A) 다가 알코올, (B) HLB 값이 8∼16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트리베헨산글리세릴 및 (D) (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을 함유하고, 물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물을 포함하고 또한 화장료 100 질량% 중의 물의 함유량이 1 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감 화장료를 제공한다.
상기 성분 (A)가 2가 알코올과 3가 이상의 알코올을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B)가 단쇄형 분기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C)의 함유량이 1∼6 질량%, 상기 성분 (D)의 함유량이 1∼6 질량%이고, 성분 (C)의 함유량과 성분 (D)의 함유량의 총계가 2∼7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D)에 대한 상기 성분 (C)의 질량 비율((C)/(D))이 0.25∼4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상기 온감 화장료는, (E) 트리폴리히드록시스테아린산디펜타에리트리틸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상기 온감 화장료는, (F)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및/또는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상기 온감 화장료는, (G) 탄화수소유 및 실리콘유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감 화장료는, 온감 클렌징 화장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는, 상기 구성 요건을 만족함으로써, 제제의 분리나 이액(離液)이 없어, 현격히 뛰어난 보존 안정성을 발휘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는, 도포 시의 연전성(퍼짐)이 좋고, 끈적이는 감이 없으며, 최적의 온감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는, 씻어내림에도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는, (A) 다가 알코올, (B) HLB 값이 8∼16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트리베헨산글리세릴 및 (D) (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을 함유하고, 물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물을 포함하고 또한 화장료 100 질량% 중의 물의 함유량이 1 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에 이용되는 각 성분의 상세를 설명한다.
[성분 (A): 다가 알코올]
상기 성분 (A)는 다가 알코올이다. 본 발명에서는, 성분 (A)를 이용함으로써, 시술 시에 피부에 포함되는 수분과 작용하여 수화열을 발생시켜 최적의 온감을 발휘시킬 수 있다.
상기 성분 (A)로는, 예를 들면, 2가 알코올, 3가 이상의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2가 알코올」을 「성분 (A1)」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 「3가 이상의 알코올」을 「성분 (A2)」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성분 (A)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상기 성분 (A1)인 2가 알코올이란, 탄화수소의 2개의 수소를 수산기로 치환한 알코올류의 총칭이다. 구체적인 성분 (A1)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1,2-부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1,2-옥탄디올, 1,2-데칸디올, 1,2-도데칸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A1)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성분 (A1)으로는, 도포 시의 연전성(퍼짐)을 높이는 관점에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A2)인 3가 이상의 알코올이란, 탄화수소의 3개 이상의 수소를 수산기로 치환한 알코올류의 총칭이다. 구체적인 성분 (A2)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농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1,2,4-부탄트리올,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말티톨, 수크로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A2)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성분 (A2)로는, 최적의 온감을 충분히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글리세린(농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 중의 성분 (A)의 함유량은, 원하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온감을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온감 화장료 100 질량% 중, 5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 중의 성분 (A)의 함유량은, 제제의 보존 안정성의 관점에서, 온감 화장료 100 질량% 중, 8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분 (A)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 중에 배합되는 모든 성분 (A)의 함유량의 합계량이다.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에서는, 상기 성분 (A)인 다가 알코올이, 상기 성분 (A1)인 2가 알코올과, 상기 성분 (A2)인 3가 이상의 알코올의 쌍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성분 (A1)의 함유량과 상기 성분 (A2)의 함유량을, 성분 (A1)에 대한 성분 (A2)의 질량 비율((A2)/(A1))로서, 1.5∼8의 범위가 되도록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7이다. 해당 질량 비율을 만족함으로써, 최적의 온감을 발휘시킬 뿐만 아니라, 도포 시의 연전성(퍼짐)을 높이고, 끈적임이 없는 뛰어난 사용감을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 중의 성분 (A1)의 함유량은, 원하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포 시의 연전성(퍼짐)을 높이고, 끈적임이 없는 뛰어난 사용감을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온감 화장료 100 질량% 중, 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 중의 성분 (A1)의 함유량은, 최적의 온감을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온감 화장료 100 질량% 중, 3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분 (A1)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 중에 배합되는 모든 성분 (A1)의 함유량의 합계량이다.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 중의 성분 (A2)의 함유량은, 원하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최적의 온감을 충분히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온감 화장료 100 질량% 중, 4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 중의 성분 (A2)의 함유량은, 끈적임이 없는 뛰어난 사용감을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온감 화장료 100 질량% 중, 7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분 (A2)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 중에 배합되는 모든 성분 (A2)의 함유량의 합계량이다.
[성분 (B):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상기 성분 (B)는 HLB 값이 8∼16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본 발명에서는, 성분 (B)를 이용함으로써, 시술 후의 씻어내림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폴리글리세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B)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상기 성분 (B) 중에서도, 씻어내림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지방산 폴리글리세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성분 (B)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지방산은, 직쇄 지방산이어도, 분기 지방산이어도, 원하는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씻어내림을 높이는 관점에서, 분기 지방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분기 지방산은, 단쇄형이어도, 다쇄형이어도, 원하는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사용감을 높이는 관점에서, 단쇄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에서는, 성분 (B)로서, 단쇄형 분기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적합한 성분 (B)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이소스테아린산 PEG-5글리세릴(HLB값: 8), 이소스테아린산 PEG-6글리세릴(HLB값: 8), 이소스테아린산 PEG-8글리세릴(HLB값: 10), 이소스테아린산 PEG-10글리세릴(HLB값: 10), 이소스테아린산 PEG-15글리세릴(HLB값: 12), 이소스테아린산 PEG-20글리세릴(HLB값: 13), 이소스테아린산 PEG-25글리세릴(HLB값: 14), 이소스테아린산 PEG-30글리세릴(HLB값: 15), 이소스테아린산 PEG-40글리세릴(HLB값: 15), 이소스테아린산 PEG-50글리세릴(HLB값: 16), 이소스테아린산 PEG-60글리세릴(HLB값: 16) 등을 들 수 있다. 적합한 성분 (B)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 중의 성분 (B)의 함유량은, 원하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클렌징 후의 씻어내림을 높이는 관점에서, 온감 화장료 100 질량% 중, 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 중의 성분 (B)의 함유량은, 시술 시의 눈 자극의 관점에서, 온감 화장료 100 질량% 중, 3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분 (B)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 중에 배합되는 모든 성분 (B)의 함유량의 합계량이다.
[성분 (C): 트리베헨산글리세릴]
상기 성분 (C)는 트리베헨산글리세릴이다. 본 발명에서는, 성분 (C)를 이용함으로써, 뛰어난 제제의 보존 안정성을 발휘하는 온감 화장료를 조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성분 (C)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성분 (C)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상품명 「싱크로왁스 HR-C」(구로다 재팬사 제조), 상품명 「에스테라이드 G-B」(내셔널 미마츠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 중의 성분 (C)의 함유량은, 원하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뛰어난 제제의 보존 안정성을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온감 화장료 100 질량% 중, 0.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 중의 성분 (C)의 함유량은, 도포 시의 연전성의 관점에서, 온감 화장료 100 질량% 중, 7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 (D): (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
상기 성분 (D)는 (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이다. 본 발명에서는, 성분 (D)를 이용하고, 상기 성분 (C)와 병용함으로써, 현격히 뛰어난 제제의 보존 안정성을 발휘하는 온감 화장료를 조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성분 (D)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성분 (D)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상품명 「노무코트 HK-G」(닛신 오일리오 그룹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 중의 성분 (D)의 함유량은, 원하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뛰어난 제제의 보존 안정성을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온감 화장료 100 질량% 중, 0.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 중의 성분 (D)의 함유량은, 도포 시의 연전성의 관점에서, 온감 화장료 100 질량% 중, 7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에서는, 한층 뛰어난 제제의 보존 안정성을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상기 성분 (C)의 함유량과 성분 (D)의 함유량의 총계가 1∼8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7 질량%이다. 성분 (C)의 함유량과 성분 (D)의 함유량의 총계가 1 질량% 미만인 경우, 제제의 분리나 이액이 발생하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성분 (C)의 함유량과 성분 (D)의 함유량의 총계가 8 질량%를 넘는 경우, 도포 시의 연전성이 뒤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에서는, 현격히 뛰어난 제제의 보존 안정성을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상기 성분 (C)의 함유량과 상기 성분 (D)의 함유량을, 성분 (D)에 대한 성분 (C)의 질량 비율((C)/(D))로서, 0.2∼5의 범위가 되도록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4이다. 성분 (D)에 대한 성분 (C)의 질량 비율((C)/(D))이 0.2 미만인 경우, 제제의 분리나 이액이 발생하기 쉬워, 제제의 보존 안정성이 뒤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성분 (D)에 대한 성분 (C)의 질량 비율((C)/(D))이 5를 넘는 경우, 도포 시의 연전성이 뒤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성분 (C)인 트리베헨산글리세릴과, 성분 (D)인 (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을 병용하여 이용함으로써, 제제의 분리나 이액을 억제하여, 현격히 뛰어난 보존 안정성을 발휘시키고, 도포 시의 연전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성분 (E): 트리폴리히드록시스테아린산디펜타에리트리틸]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는, 상기한 성분 (A), 성분 (B), 성분 (C) 및 성분 (D)에 더하여, (E) 트리폴리히드록시스테아린산디펜타에리트리틸을 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성분 (E)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더 뛰어난 제제의 보존 안정성을 발휘시킬 수 있다.
상기 성분 (E)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성분 (E)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상품명 「사라코스 WO-6」(닛신 오일리오 그룹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 중의 성분 (E)의 함유량은, 원하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보다 더 뛰어난 제제의 보존 안정성을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온감 화장료 100 질량% 중, 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 중의 성분 (E)의 함유량은, 연전성 및 씻어내림의 관점에서, 온감 화장료 100 질량% 중, 3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 (F):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및/또는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는, 더욱더 뛰어난 제제의 보존 안정성을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F)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및/또는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를 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시비닐폴리머」를 「성분 (F1)」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를 「성분 (F2)」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성분 (F)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상기 성분 (F1)의 카르복시비닐폴리머란, INCI명(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제15판, 제1권, Personal Care Products Council, 2014년 p.582-583):「CARBOMER」라고 칭해지는 화합물이며, 카보폴이라고도 한다.
상기 성분 (F2)의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란, INCI명(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제15판, 제1권, Personal Care Products Council, 2014년 p.63-64):「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라고 칭해지는 화합물이며,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알킬) 변성 카보폴, (알킬) 변성 카르보머 등이라고도 한다.
상기 성분 (F)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 (F1)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상품명 「CARBOPOL 980 POLYMER」(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Lubrizol Advanced Materials)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 (F2)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상품명 「Carbopol ETD2020 polymer」, 상품명 「PEMULEN TR-1」, 상품명 「PEMULEN TR-2」(모두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 (F)는, 통상, 염기성 물질로 중화하여 이용된다. 염기성 물질로는, 예를 들면, 트리에탄올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등의 알칸올아민; 암모니아,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무기염기; 아르기닌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 등을 들 수 있다. 또, 염기성 물질의 첨가량은, 상기 성분 (F)를 중화하는 데에 충분한 양이며, 이들 성분의 종류나 사용량에 따라서 적절히 배합하면 된다.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 중의 성분 (F)의 함유량은, 원하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더욱더 뛰어난 제제의 보존 안정성을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온감 화장료 100 질량% 중, 0.0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 중의 성분 (F)의 함유량은, 연전성의 관점에서, 온감 화장료 100 질량% 중, 0.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4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분 (F)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 중에 배합되는 모든 성분 (F)의 함유량의 합계량이다.
[기타 성분]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더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한 성분 외에 통상 화장료에 이용되는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 성분 (C) 및 성분 (D) 이외의 지방산 에스테르유, 식물유, 상기 성분 (F) 이외의 증점성(增粘性) 고분자, 고급 알코올, 지질, 향료, 방부·살균제, 보습제, 청량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른 성분은, 적절히, 그 용도, 목적에 따라서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성분 (C) 및 성분 (D) 이외의 지방산 에스테르유로는, 예를 들면, 직쇄 지방산과 저급 알코올의 에스테르유, 직쇄 지방산과 직쇄 고급 알코올의 에스테르유, 직쇄 지방산과 분기 알코올의 에스테르유, 분기 지방산과 직쇄 고급 알코올의 에스테르유, 분기 지방산과 분기 알코올의 에스테르유, 지방산과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유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산 에스테르유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상기 성분 (C) 및 성분 (D) 이외의 지방산 에스테르유로는, 예를 들면,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린산부틸,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팔미틴산세틸, 스테아린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올레인산올레일,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린산에틸, 스테아린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린산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린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린산프로필렌글리콜, 2-에틸헥산산세틸,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트리옥탄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옥탄산세틸, 옥탄산이소세틸,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세바신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린산옥틸도데실, 디메틸옥탄산옥틸도데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물유로는, 예를 들면, 오렌지유, 올리브유, 동백유, 마카다미아 너트유, 호호바유, 로즈유, 라벤더유, 티트리유 등을 들 수 있다. 식물유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상기 성분 (F) 이외의 증점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면, 천연 고분자, 반합성 고분자, 합성 고분자, 점토 광물 등을 들 수 있다. 증점성 고분자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상기 성분 (F) 이외의 증점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면, 아라비아 고무, 트라가칸트검, 구아검, 잔탄검, 로커스트빈검, 카라야검, 아이리스 모스, 퀸스시드, 젤라틴, 셸락, 로진, 카제인 등의 천연 고분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에스테르 검, 니트로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결정셀룰로오스 등의 반합성 고분자; 아크릴산·폴리옥시에틸렌알킬이타콘산 공중합체, 아크릴산알킬·메타크릴산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공중합체, 아크릴산·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 공중합체, 아크릴산·메타크릴산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크로스폴리머, 아크릴산·네오데칸산비닐크로스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비닐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합성 고분자; 플루오로 규산(나트륨/마그네슘), 합성 규산(나트륨/마그네슘) 등의 점토 광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급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코올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는, 시술 시에 최적의 온감을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물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물을 포함하고 또한 온감 화장료 100 질량% 중의 물의 함유량이 1 질량% 이하이다. 즉,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 중의 물의 함유량은 0∼1 질량%이며, 0∼0.5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혼합하고,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디스퍼믹서, 호모믹서, 디스퍼밀 등을 이용하여 교반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는, 튜브 용기, 넓은 입구의 자(jar) 용기 등의 용이하게 꺼내는 것이 가능한 용기에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는, 시술 시에 최적의 온감을 발휘시키는 것을 최대의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당해 온감 화장료에 있어서, 상기한 성분 외에 성분 (G)로서, 탄화수소유 및 실리콘유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제를 배합시킴으로써, 클렌징 기능을 부여한 온감 화장료, 소위, 온감 클렌징 화장료로 할 수 있다.
[성분 (G): 탄화수소유 및 실리콘유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제]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는, 상기 성분 (G)를 이용함으로써, 클렌징 화장료의 장점인 뛰어난 클렌징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유」를 「성분 (G1)」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 「실리콘유」를 「성분 (G2)」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성분 (G)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상기 성분 (G1)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폴리부텐, 수소 첨가(水添) 폴리이소부텐, 이소도데칸, 휘발성 이소파라핀, 경질 이소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중질 유동 이소파라핀, 수소 첨가(테트라데세닐/메틸펜타데센)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G1)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상기 성분 (G2)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디메티코놀, 25℃에서의 점도가 예를 들면 1mPa·s 이상 10mPa·s 미만의 디메틸폴리실록산, 25℃에서의 점도가 예를 들면 10mPa·s 이상 6,000mPa·s 미만의 디메틸폴리실록산, 25℃에서의 점도가 예를 들면 6,000mPa·s 이상 20,000,000mPa·s 이하이고, 또한 수평균 중합도가 650 이상인 고중합 디메틸폴리실록산 등 쇄상 실리콘유;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의 환상 실리콘유; 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등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카르복시 변성 실리콘유, 지방산 에스테르 변성 실리콘유, 알코올 변성 실리콘유, 에폭시 변성 실리콘유, 불소 변성 실리콘유, 알킬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A2)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 중의 성분 (G)의 함유량은, 원하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클렌징 기능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온감 화장료 100 질량% 중, 8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 중의 성분 (G)의 함유량은, 제제의 보존 안정성의 관점에서, 온감 화장료 100 질량% 중, 4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분 (G)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온감 화장료 중에 배합되는 모든 성분 (G)의 함유량의 합계량이다.
본 발명의 클렌징 기능을 발휘하는 온감 화장료, 소위, 온감 클렌징 화장료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혼합하고,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디스퍼믹서, 호모믹서, 디스퍼밀 등을 이용하여 교반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온감 클렌징 화장료는, 튜브 용기, 넓은 입구의 자 용기 등의 용이하게 꺼내는 것이 가능한 용기에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클렌징 기능을 발휘하는 온감 화장료, 소위, 온감 클렌징 화장료는, 상기 구성 요건을 만족함으로써, 제제의 분리나 이액(기름 뜸)이 없어, 현격히 뛰어난 보존 안정성을 발휘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도포 시의 연전성(퍼짐)이 좋고, 끈적이는 감이 없으며, 최적의 온감을 충분히 느끼면서 클렌징(메이크업 더러움 제거)을 행할 수 있고, 씻어내림이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배합량은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질량%」를 나타내고, 배합 성분은 모두 순분(純分)으로 환산했다. 또, 평가는 모두 23℃, 습도 60%의 항온항습의 일정 조건하에서 실시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하기 성분을 이용했다.
[성분 (A)]
프로필렌글리콜: 상품명 「MPG」(쉘 케미칼즈 재팬사 제조)
디프로필렌글리콜: 상품명 「디프로필렌글리콜 DPG-FC」(아사히 가라스사 제조)
1,3-부틸렌글리콜: 상품명 「1,3-부틸렌글리콜」(다이셀 가가쿠 고교사 제조)
농글리세린: 상품명 「화장용 농글리세린」(사카모토 야쿠힝 고교사 제조)
디글리세린: 상품명 「디글리세린 S」(사카모토 야쿠힝 고교사 제조)
폴리글리세린: 상품명 「폴리글리세린 #750」(사카모토 야쿠힝 고교사 제조)
[성분 (B)]
이소스테아린산 PEG-8글리세릴: 상품명 「브라우논 RGL-8MISE」(아오키 유시 고교사 제조)
이소스테아린산 PEG-20글리세릴: 상품명 「EMALEX GWIS-120」(니혼 에멀전사 제조)
[성분 (C)]
트리베헨산글리세릴: 상품명 「싱크로왁스 HR-C」(구로다 재팬사 제조)
[성분 (D)]
(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 상품명 「노무코트 HK-G」(닛신 오일리오 그룹사 제조)
[성분 (E)]
트리폴리히드록시스테아린산디펜타에리트리틸: 상품명 「사라코스 WO-6」(닛신 오일리오 그룹사 제조)
[성분 (F)]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상품명 「CARBOPOL 980 POLYMER」(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사 제조)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상품명 「PEMULEN TR-2」(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사 제조)
[성분 (G)]
유동 파라핀: 상품명 「CARNATION」(존네본(Sonneborn)사 제조)
이소도데칸: 상품명 「마르카졸 R」(마루젠 세키유 가가쿠사 제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상품명 「SF558MD」(도레이·다우코닝사 제조)
[기타 성분]
2-에틸헥산산세틸: 상품명 「CIO-N」(닛폰 서팩턴트 고교사 제조)
오렌지유: 상품명 「ORANGE(DECO)-CS OIL IT」(오가와 고료사 제조)
(각 시료의 조제 1)
표 1∼표 2에 기재한 조성에 따라, 실시예 1∼6 및 비교예 1∼6의 온감 화장료를 조제하여, 하기 평가 시험에 제공했다. 결과를 각각 표 1∼표 2에 병기한다.
(시험예 1: 보존 안정성의 평가)
실시예 1∼6 및 비교예 1∼6에서 얻어진 각 시료를, 30g 용량의 투명 유리 용기에 각각 충전하고, 50℃의 항온조에 4주간 보관 후의 계(系)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육안 평가했다.
<보존 안정성의 평가 기준>
◎(매우 양호): 제조 직후와 대비하여, 균일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변화가 전혀 인지되지 않음)
○(양호): 제조 직후와 대비하여, 균일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표면에 매우 적은 이액이 인지됨
△(불충분): 제조 직후와 대비하여, 균일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 않고, 명확한 이액이 인지됨
×(불량): 명확한 분리가 인지됨
또한, 상기 보존 안정성의 평가에 있어서, 「◎(매우 양호)」, 「○(양호)」, 「△(불충분)」의 결과가 얻어진 시료만, 하기 사용감의 평가 시험(시험예 2)을 실시했다. 또, 「×(불량)」의 시료에 대해서는, 명확한 분리가 인지되어, 사용감의 평가를 행할 수 없기 때문에, 하기 평가 시험은 행하고 있지 않다.
(시험예 2: 사용감의 평가)
여성 관능 평가 패널 16명에 의해, 상기 보존 안정성의 평가에 있어서, 「◎(매우 양호)」, 「○(양호)」, 「△(불충분)」의 결과가 얻어진 각 시료를 이용하여 마사지 화장료의 사용 형태에서의 사용 시험을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마른 손바닥에 시료 3g을 덜어, 얼굴 전체에 도포하고, 손가락 끝으로 작은 원을 그리면서 피부에 융화되도록 1분간 마사지를 행해주고, 그 후 40℃의 온수로 충분히 씻어내고 타월 건조에 의해 얼굴의 수분을 닦아내 주었다.
사용 시험은 도포 후의 「연전성(퍼짐)」, 마사지 시의 「끈적이는 감」과 「온감」, 세정 시의 「씻어내림」에 대해서 행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따라 관능 평가했다.
<연전성(퍼짐)의 평가 기준>
◎(매우 양호): 16명 중 13명 이상이, 연전 시의 퍼짐이 좋고, 제(劑)의 「뭉침」을 느끼지 않는다고 회답
○(양호): 16명 중 9∼12명이, 연전 시의 퍼짐이 좋고, 제의 「뭉침」을 느끼지 않는다고 회답
△(불충분): 16명 중 5∼8명이, 연전 시의 퍼짐이 좋고, 제의 「뭉침」을 느끼지 않는다고 회답
×(불량): 16명 중 4명 이하가, 연전 시의 퍼짐이 좋고, 제의 「뭉침」을 느끼지 않는다고 회답
<끈적이는 감의 평가 기준>
◎(매우 양호): 16명 중 13명 이상이, 마사지 시에 끈적임을 느끼지 않는다고 회답
○(양호): 16명 중 9∼12명이, 마사지 시에 끈적임을 느끼지 않는다고 회답
△(불충분): 16명 중 5∼8명이, 마사지 시에 끈적임을 느끼지 않는다고 회답
×(불량): 16명 중 4명 이하가, 마사지 시에 끈적임을 느끼지 않는다고 회답
<온감의 평가 기준>
◎(매우 양호): 16명 중 13명 이상이, 마사지 시에 최적의 온감을 충분히 느낀다고 회답
○(양호): 16명 중 9∼12명이, 마사지 시에 최적의 온감을 충분히 느낀다고 회답
△(불충분): 16명 중 5∼8명이, 마사지 시에 최적의 온감을 충분히 느낀다고 회답
×(불량): 16명 중 4명 이하가, 마사지 시에 최적의 온감을 충분히 느낀다고 회답
<씻어내림의 평가 기준>
◎(매우 양호): 16명 중 13명 이상이, 씻어내림이 뛰어나다고 회답
○(양호): 16명 중 9∼12명이, 씻어내림이 뛰어나다고 회답
△(불충분): 16명 중 5∼8명이, 씻어내림이 뛰어나다고 회답
×(불량): 16명 중 4명 이하가, 씻어내림이 뛰어나다고 회답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1∼표 2의 결과로부터, 각 실시예의 온감 화장료는, 각 비교예의 것과 대비하여, 제제의 분리나 이액이 없어, 현격히 뛰어난 보존 안정성을 발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각 실시예의 온감 화장료는, 도포 시의 연전성(퍼짐)이 양호하고, 끈적이는 감이 없으며, 최적의 온감을 충분히 느낄 수 있고, 씻어내림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필수 구성 성분인 성분 (A)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본 발명의 필수 구성 성분인 성분 (C)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 또는, 본 발명의 필수 구성 성분인 성분 (D)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3에서는, 명확한 분리가 인지되어, 보존 안정성이 극단적으로 나쁜 것인 것을 알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필수 구성 성분인 성분 (C)를 다른 유사 성분으로 치환한 비교예 4∼5, 더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필수 구성 성분인 성분 (D)를 다른 유사 성분으로 치환한 비교예 6에 있어서도 보존 안정성이 뒤떨어져,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것인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결과로부터도 명확한 바와 같이, 온감 화장료에 있어서, 보존 안정성을 담보하고, 또한, 뛰어난 사용감을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필수 구성 성분인 성분 (C)와 성분 (D)를 병용하고, 또한, 성분 (A)와 성분 (B)를 조합하는 것이 필요 불가결인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각 시료의 조제 2)
표 3∼표 4에 기재한 조성에 따라, 실시예 7∼12 및 비교예 7∼12의 온감 클렌징 화장료를 조제하여, 하기 평가 시험에 제공했다. 결과를 각각 표 3∼표 4에 병기한다.
(시험예 3: 보존 안정성의 평가)
실시예 1∼6 및 비교예 1∼6에서 얻어진 각 시료를, 30g 용량의 투명 유리 용기에 각각 충전하고, 50℃의 항온조에 4주간 보관 후의 계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육안 평가했다.
<보존 안정성의 평가 기준>
◎(매우 양호): 제조 직후와 대비하여, 균일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변화가 전혀 인지되지 않음)
○(양호): 제조 직후와 대비하여, 균일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표면에 매우 적은 이액(기름 뜸)이 인지됨
△(불충분): 제조 직후와 대비하여, 균일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 않고, 명확한 이액(기름 뜸)이 인지됨
×(불량): 명확한 분리가 인지됨
또한, 상기 보존 안정성의 평가에 있어서, 「◎(매우 양호)」, 「○(양호)」, 「△(불충분)」의 결과가 얻어진 시료만, 하기 사용감의 평가 시험(시험예 4)을 실시했다. 또, 「×(불량)」의 시료에 대해서는, 명확한 분리가 인지되어, 사용감의 평가를 행할 수 없기 때문에, 하기 평가 시험은 행하고 있지 않다.
(시험예 4: 사용감의 평가)
얼굴에 메이크업을 한 여성 관능 평가 패널 16명에 의해, 상기 보존 안정성의 평가에 있어서, 「◎(매우 양호)」, 「○(양호)」, 「△(불충분)」의 결과가 얻어진 각 시료를 이용하여 메이크업 제거제의 형태에서의 사용 시험을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마른 손바닥에 시료 3g을 덜어, 메이크업 더러움에 융화되도록 얼굴 전체에 도포 후, 메이크업 더러움이 신경 쓰이는 개소를 중심으로 손가락 끝으로 작은 원을 그리는 것처럼 1분간 클렌징해 주고, 그 후 40℃의 온수로 충분히 씻어 내고 타월 건조에 의해 얼굴의 수분을 닦아내 주었다.
사용 시험은 도포 후의 「연전성(퍼짐)」, 클렌징 시의 「끈적이는 감」과 「온감」, 세정 시의 「씻어내림」, 타월 건조 후의 「클렌징 효과(메이크업 더러움 제거 효과)」에 대해서 행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따라 관능 평가했다.
<연전성(퍼짐)의 평가 기준>
◎(매우 양호): 16명 중 13명 이상이, 연전 시의 퍼짐이 좋고, 제의 「뭉침」을 느끼지 않는다고 회답
○(양호): 16명 중 9∼12명이, 연전 시의 퍼짐이 좋고, 제의 「뭉침」을 느끼지 않는다고 회답
△(불충분): 16명 중 5∼8명이, 연전 시의 퍼짐이 좋고, 제의 「뭉침」을 느끼지 않는다고 회답
×(불량): 16명 중 4명 이하가, 연전 시의 퍼짐이 좋고, 제의 「뭉침」을 느끼지 않는다고 회답
<끈적이는 감의 평가 기준>
◎(매우 양호): 16명 중 13명 이상이, 클렌징 시에 끈적임을 느끼지 않는다고 회답
○(양호): 16명 중 9∼12명이, 클렌징 시에 끈적임을 느끼지 않는다고 회답
△(불충분): 16명 중 5∼8명이, 클렌징 시에 끈적임을 느끼지 않는다고 회답
×(불량): 16명 중 4명 이하가, 클렌징 시에 끈적임을 느끼지 않는다고 회답
<온감의 평가 기준>
◎(매우 양호): 16명 중 13명 이상이, 클렌징 시에 최적의 온감을 충분히 느낀다고 회답
○(양호): 16명 중 9∼12명이, 클렌징 시에 최적의 온감을 충분히 느낀다고 회답
△(불충분): 16명 중 5∼8명이, 클렌징 시에 최적의 온감을 충분히 느낀다고 회답
×(불량): 16명 중 4명 이하가, 클렌징 시에 최적의 온감을 충분히 느낀다고 회답
<씻어내림의 평가 기준>
◎(매우 양호): 16명 중 13명 이상이, 씻어내림이 뛰어나다고 회답
○(양호): 16명 중 9∼12명이, 씻어내림이 뛰어나다고 회답
△(불충분): 16명 중 5∼8명이, 씻어내림이 뛰어나다고 회답
×(불량): 16명 중 4명 이하가, 씻어내림이 뛰어나다고 회답
<클렌징 효과(메이크업 더러움 제거 효과)의 평가 기준>
◎(매우 양호): 16명 중 13명 이상이, 클렌징 효과(메이크업 더러움 제거 효과)가 뛰어나다고 회답
○(양호): 16명 중 9∼12명이, 클렌징 효과(메이크업 더러움 제거 효과)가 뛰어나다고 회답
△(불충분): 16명 중 5∼8명이, 클렌징 효과(메이크업 더러움 제거 효과)가 뛰어나다고 회답
×(불량): 16명 중 4명 이하가, 클렌징 효과(메이크업 더러움 제거 효과)가 뛰어나다고 회답
[표 3]
Figure pct00003
[표 4]
Figure pct00004
표 3∼표 4의 결과로부터, 각 실시예의 클렌징 기능을 발휘하는 온감 화장료, 소위, 온감 클렌징 화장료는, 각 비교예의 것과 대비하여, 제제의 분리나 이액(기름 뜸)이 없어, 현격히 뛰어난 보존 안정성을 발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각 실시예의 온감 클렌징 화장료는, 뛰어난 클렌징 효과(메이크업 더러움 제거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도포 시의 연전성(퍼짐)이 양호하고, 클렌징 시에 끈적이는 감이 없으며, 최적의 온감을 충분히 느낄 수 있고, 씻어내림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필수 구성 성분인 성분 (A)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7, 본 발명의 필수 구성 성분인 성분 (C)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8, 또는, 본 발명의 필수 구성 성분인 성분 (D)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9에서는, 명확한 분리가 인지되어, 보존 안정성이 극단적으로 나쁜 것인 것을 알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필수 구성 성분인 성분 (C)를 다른 유사 성분으로 치환한 비교예 10∼11, 더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필수 구성 성분인 성분 (D)를 다른 유사 성분으로 치환한 비교예 12에 있어서도 보존 안정성이 뒤떨어져,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것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결과로부터도, 본원 발명의 필수 구성 성분을 만족함으로써 비로소 본원 발명의 특유의 효과를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A) 다가 알코올, (B) HLB 값이 8∼16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트리베헨산글리세릴 및 (D) (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을 함유하고,
    물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물을 포함하고 또한 화장료 100 질량% 중의 물의 함유량이 1 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감 화장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가 2가 알코올과 3가 이상의 알코올을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인 온감 화장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B)가 단쇄형 분기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인 온감 화장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C)의 함유량이 1∼6 질량%, 상기 성분 (D)의 함유량이 1∼6 질량%이고, 성분 (C)의 함유량과 성분 (D)의 함유량의 총계가 2∼7 질량%인 온감 화장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D)에 대한 상기 성분 (C)의 질량 비율((C)/(D))이 0.25∼4인 온감 화장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E) 트리폴리히드록시스테아린산디펜타에리트리틸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감 화장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F)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및/또는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감 화장료.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G) 탄화수소유 및 실리콘유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감 화장료.
  9. 제 8 항에 있어서,
    온감 클렌징 화장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감 화장료.
KR1020187004500A 2016-03-15 2017-02-22 온감 화장료 KR1020029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50683 2016-03-15
JP2016050683 2016-03-15
JPJP-P-2016-050682 2016-03-15
JP2016050682 2016-03-15
JP2016135184 2016-07-07
JPJP-P-2016-135184 2016-07-07
PCT/JP2017/006515 WO2017159248A1 (ja) 2016-03-15 2017-02-22 温感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165A true KR20180030165A (ko) 2018-03-21
KR102002908B1 KR102002908B1 (ko) 2019-07-23

Family

ID=5985018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500A KR102002908B1 (ko) 2016-03-15 2017-02-22 온감 화장료
KR1020187004346A KR102029189B1 (ko) 2016-03-15 2017-02-22 유성 클렌징 화장료
KR1020187004349A KR102028429B1 (ko) 2016-03-15 2017-02-22 온감 클렌징 화장료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346A KR102029189B1 (ko) 2016-03-15 2017-02-22 유성 클렌징 화장료
KR1020187004349A KR102028429B1 (ko) 2016-03-15 2017-02-22 온감 클렌징 화장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3) JP6482723B2 (ko)
KR (3) KR102002908B1 (ko)
CN (3) CN108024930B (ko)
WO (3) WO20171592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25946B2 (ja) * 2018-02-06 2022-02-25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6893485B2 (ja) * 2018-03-13 2021-06-23 株式会社マンダム クレンジング化粧料
WO2019230578A1 (ja) * 2018-05-29 2019-12-05 株式会社 資生堂 温感化粧料
US20220218588A1 (en) * 2021-01-08 2022-07-14 L'oréal Method and system for removing makeup
JP7181646B2 (ja) * 2021-02-08 2022-12-01 株式会社アイテック 液晶乳化物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0534A (ja) 1992-09-01 1994-03-22 Kao Corp 化粧料
JPH07126604A (ja) * 1993-10-28 1995-05-16 Nisshin Oil Mills Ltd:The 有機液体のゲル化又は固化剤
JPH1112126A (ja) 1997-06-25 1999-01-19 Nof Corp ゲル状温熱マッサージ料
JP2000247860A (ja) 1999-02-23 2000-09-12 Shiseido Co Ltd マッサージ化粧料
JP2004331573A (ja) * 2003-05-08 2004-11-25 Noevir Co Ltd 固形状多価アルコール基剤
JP2014034548A (ja) * 2012-08-09 2014-02-24 Kao Corp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2014101297A (ja) * 2012-11-19 2014-06-05 Kao Corp 油性液状クレンジング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6817A (ja) 1999-11-15 2001-07-31 Shiseido Co Ltd 多価アルコール中油型温熱基剤
JP3729836B1 (ja) * 2004-07-06 2005-12-21 株式会社ファンケル 油性液状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JP4680798B2 (ja) 2006-02-28 2011-05-11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油性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FR2924607B1 (fr) * 2007-12-10 2009-12-18 Chanel Parfums Beaute Composition cosmetique renfermant un gel anhydre et un ester de glyceryle
JP4189886B1 (ja) 2008-03-28 2008-12-03 株式会社ファンケル 油性液状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JP2010001260A (ja) * 2008-06-20 2010-01-07 Kao Corp 油中水型乳化化粧料
CN101744745B (zh) * 2008-11-27 2013-07-17 株式会社芳珂 油性液体洁肤用组合物
JP6005396B2 (ja) 2012-05-16 2016-10-12 ロート製薬株式会社 油性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2014024788A (ja) 2012-07-26 2014-02-06 Kose Corp 油性クレンジング組成物
KR101437727B1 (ko) * 2012-07-27 2014-09-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1619428B1 (ko) * 2014-01-22 2016-05-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흡유성 분체를 함유하는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JP2016074638A (ja) * 2014-10-08 2016-05-12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ペースト状クレンジング化粧料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0534A (ja) 1992-09-01 1994-03-22 Kao Corp 化粧料
JPH07126604A (ja) * 1993-10-28 1995-05-16 Nisshin Oil Mills Ltd:The 有機液体のゲル化又は固化剤
JPH1112126A (ja) 1997-06-25 1999-01-19 Nof Corp ゲル状温熱マッサージ料
JP2000247860A (ja) 1999-02-23 2000-09-12 Shiseido Co Ltd マッサージ化粧料
JP2004331573A (ja) * 2003-05-08 2004-11-25 Noevir Co Ltd 固形状多価アルコール基剤
JP2014034548A (ja) * 2012-08-09 2014-02-24 Kao Corp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2014101297A (ja) * 2012-11-19 2014-06-05 Kao Corp 油性液状クレンジング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189B1 (ko) 2019-10-07
JP6482721B2 (ja) 2019-03-13
JPWO2017159248A1 (ja) 2018-07-05
JP6482723B2 (ja) 2019-03-13
CN108024930B (zh) 2024-04-19
JP6482722B2 (ja) 2019-03-13
KR102028429B1 (ko) 2019-11-04
WO2017159247A1 (ja) 2017-09-21
CN108024929A (zh) 2018-05-11
WO2017159249A1 (ja) 2017-09-21
WO2017159248A1 (ja) 2017-09-21
CN108024930A (zh) 2018-05-11
KR20180030129A (ko) 2018-03-21
KR20180026536A (ko) 2018-03-12
JPWO2017159249A1 (ja) 2018-07-26
CN108024931A (zh) 2018-05-11
JPWO2017159247A1 (ja) 2018-06-28
KR102002908B1 (ko) 201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908B1 (ko) 온감 화장료
JP5495757B2 (ja) 水性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5723188B2 (ja) ジェル状クレンジング用化粧料
JP5419506B2 (ja) 二層式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2012206974A (ja) 固形状油性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5709167B2 (ja) ジェル状クレンジング用化粧料
JP2015067584A (ja) 皮膚用化粧料キット
JP6530236B2 (ja) 皮膚用クリーム
JP6715396B1 (ja) 化粧料用組成物
JP7112068B2 (ja) 油性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H11263721A (ja) 水中油型ゴマージュ化粧料
JP6893485B2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6611749B2 (ja) ゴマージュ洗浄剤用組成物
JP2019172625A (ja) 皮膚用クリーム
JP2020200259A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7220957B2 (ja) 透明液状クレンジング化粧料
CN109475477A (zh) 皮肤化妆料
JP7364362B2 (ja) 毛髪洗浄用組成物、及び毛髪洗浄方法
JP2011126821A (ja) 洗い流さないタイプの毛髪化粧料
JP2020066623A (ja) クレンジング組成物
WO2019188356A1 (ja) 乳化整髪剤組成物
JP2022103106A (ja) クレンジング組成物
JP2024065801A (ja) 整髪剤組成物
JP2021187825A (ja) 皮膚外用剤組成物
JP2009091258A (ja) 泡沫状毛髪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