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428B1 - 흡유성 분체를 함유하는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흡유성 분체를 함유하는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428B1
KR101619428B1 KR1020140007774A KR20140007774A KR101619428B1 KR 101619428 B1 KR101619428 B1 KR 101619428B1 KR 1020140007774 A KR1020140007774 A KR 1020140007774A KR 20140007774 A KR20140007774 A KR 20140007774A KR 101619428 B1 KR101619428 B1 KR 101619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olyglyceryl
group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7608A (ko
Inventor
정민우
오주영
박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40007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428B1/ko
Publication of KR20150087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4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유성 분체;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및 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흡유성 분체와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포함되어 유동성이 없는 겔상(gel-phase)을 유지하여 흘러내릴 위험이 없으며, 피부도포 시에는 그 구조가 체온과 마찰에 의해 서서히 녹아서 기존의 클렌징 오일과 같은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기존 클렌징 화장료의 사용감과 클렌징 효과를 유지하면서도 피부도포 시 흘러내리지 않아 사용이 용이한 겔 또는 고형 성상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흡유성 분체를 함유하는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Oily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oil absorbing material}
본 발명은 유성 클렌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액상 클렌징 화장료의 사용감, 클렌징 효과 및 외관을 유지하면서 피부도포 시 흘러내리지 않는 유성 클렌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을 지우기 위한 클렌징 화장료는 성상으로는 크림상, 유액상, 액상, 투명 겔상으로 분류되고 타입으로는 에멀젼 타입, 유성타입 및 수성타입으로 분류된다.
에멀젼 타입으로는 클렌징 로션과 크림이 대표적인데 이들은 유성 성분을 총 중량 대비 20 내지 70중량% 사용하여 화장에 대한 클렌징 효과가 우수하고 사용시 부드러움과 마사지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에멀젼 타입은 다량의 오일 사용으로 인해 사용 후 피부에 오일이 남아 물로 완전히 씻어낼 수 없으므로 티슈 오프로 닦아 내야 하는데, 이로 인한 물리적 자극에 의해 피부자극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티슈로 닦아낸 후에도 남아 있는 유성감으로 인하여 폼 클렌징이나 비누를 사용하여 수성 세안을 해야만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수성 타입의 클렌징 겔은 다량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다량의 오일을 사용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 타입과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하는 클렌징 겔 타입으로 나뉠 수 있는데 이들은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총 중량 대비 10 내지 40중량%로 비교적 많이 배합된다. 전자는 다량의 오일과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므로 클렌징력은 우수하지만 사용상에 뻑뻑한 사용감이 있고 사용 후에도 오일이 피부에 잔존하므로 물로 완전히 씻어내기 어렵다. 후자는 오일을 사용하지 않고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므로 물로 쉽게 씻어낼 수 있고 사용시에도 산뜻하여 좋지만, 메이크업을 제거하는 클렌징 효과가 떨어지며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인해 피부자극이 우려된다.
유성타입의 클렌징 오일은 거의 100%의 오일을 사용하므로 메이크업 클렌징 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씻김성도 대단히 우수하다. 그러나 점도가 낮은 오일을 사용하므로 사용시 흘러내리는 불편함이 있고 젖은 손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페이스트상 또는 겔상의 오일 제형이 개발되고 있다. 페이스트상을 만들기 위해 오일 및 보습제의 종류에 따라 폴리에칠렌 (polyethylene), 비즈왁스(beeswax)와 같은 고형 왁스, 글리세릴베헤네이트/에이코사디에이트(glyceryl behenateeicosadioate)와 같은 글리세릴 에스테르류를 선택해서 사용한다.
페이스트상은 손으로 바로 떠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끈적임이 있기 때문에 오일에서와 같은 부드러운 발림성과 롤링감을 주지 못한다. 이에 반해 폴리에칠렌 등의 고형왁스를 사용한 클렌징오일에 고형의 외관을 만들어주나 사용감이 상대적으로 무거워지고, 사용량이 많아 하드한 고형성상으로 뜨임성이 나쁘며, 물에 잘 씻기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세정력이 우수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성 클렌징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렌징 오일의 사용감과 외관을 유지하면서 피부도포 시 흘러내리지 않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클렌징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초기에 유동성이 없는 반투명한 고형 성상(solid-phase)을 유지하면서, 피부도포 시에는 클렌징 오일과 같은 사용감을 제공해 주어 세정 시 부드러운 발림성과 롤링감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화장료는 흡유성 분체와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흡유성 분체;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및 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기존의 클렌징 오일의 사용감과 외관을 유지하면서 피부도포 시 흘러내리지 않고 롤링감과 세정력이 우수하며 물로 씻어낼 수 있는 고형 타입의 클렌징 오일 화장료를 개발하고자 오일 점증에 대하여 연구해 왔다. 그 결과 점토광물과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초기에는 유동성이 없는 반투명한 겔 또는 고형 성상(solid-phase)을 유지하면서, 피부도포 시에는 그 구조가 체온과 마찰에 의해 빠르게 퍼져 기존의 클렌징 오일과 같은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겔' 형태라 함은 점성이 있는 액상 제형을 포함하며, 액상 제형에 비해 유동성을 상실한 상태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고형'이라는 용어는 유동성이 없으며, 일정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후도 경도계(FUDOH RHEO METER, 9번, 10φ, 스핀들 25mm, 속도 5cm/min)를 이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을 때 그 경도가 10-200 의 범위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흡유성 분체를 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흡유성 분체는 원료의 특성상 클렌징 오일 화장료의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20중량%의 함량 범위에서 오일의 점증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점도 형성이 미약하고 온도 안정성이 충분치 않고, 20 중량% 초과하면 제품의 경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여 제조가 어렵고, 사용시 롤링감이 저하되고, 물로 씻을 때 잘 안 씻겨 내려갈 수 있다.
상기 흡유성 분체는 헥토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논트로나이트, 사포나이트, 베이델라이트, 사우코나이트 및 그의 혼합물 등과 같은 점토 광물로부터 유래된 것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쿼터늄-18헥토라이트(Quaternium-18 Hectorite),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Stearalkonium Hectorite), 쿼터늄-18벤토나이트(Quaternium-18 Bentonite), 실리카(Silica),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Silica Dimethyl Silylate), 및 실리카실릴레이트(Silica Silyl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이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Stearalkonium Hectorite),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Silica Dimethyl Silyl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유성 분체는 0.001 ㎛ 내지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내지 80 ㎛ 의 입경을 가질 수 있고, 20~500m2/g의 비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입경은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0.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그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점도 형성이 미약하고 온도안정성이 충분치 않고, 20 중량% 초과하면 제품의 경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여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덱스트린 베헤네이트(Dextrin behenate), 덱스트린 스테아레이트(Dextrin stearate), 덱스트린 팔미테이트(Dextrin palmitate),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에틸헥사노에이트(Dextrin palmitate/Ethyl hexanoate) 및 덱스트린 미리스테이트(Dextrin myrist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상 바람직하게는 덱스트린 팔미테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흡유성 분체 및 상기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본 발명의 목적상 3:7 내지 7:3의 중량비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로 이용될 때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유동성이 없는 겔 성상을 유지하면서도 퍼짐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물로 씻을 수 있는 워셔블의 효과를 주기 위해서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5 내지 3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2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5 중량% 미만에서는 물로 씻을 때 씻김성이 떨어지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가 증가하여 퍼짐성이 나빠져 사용성이 떨어지게 되고, 과도한 피지를 흡착하여 피부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가 5에서 12사이의 값을 사용하는데 HLB가 5 이하일 경우 소수성이 커서 사용 후 물로 헹구어낼 때 씻김성이 떨어지고, 12 이상인 경우 친수성이 증가하여 오일과의 사용성이 떨어져 온도 변화에 따라 상이 불투명해져 안정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낮은 HLB를 갖는 계면활성제와 높은 HLB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계 계면활성제,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 슈크로오스계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는데,
에틸렌옥사이드가 5 내지 40몰 부가된 폴리에틸렌글라이콜계 계면활성제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테트라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칠렌 트리올리이트, 폴리소르베이트85, 폴리소르베이트60, 및 폴리소르베이트 8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폴리에틸렌글라이콜계 계면활성제;
폴리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폴리글리세릴 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 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 디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 디올리에이트 및 폴리글리세릴 디미리스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 및
슈크로오스 라우레이트, 슈크로오스 미리스테이트, 슈크로오스 팔미테이트, 슈크로오스 스테아레이트, 슈크로오스 디스테아레이트, 및 슈크로오스 디라우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슈크로오스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제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오일은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쿠알란, 미네랄 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C12-15알킬벤조에이트 등의 탄화수소계 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네오펜틸글리콜디카프레이트, 2-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리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이소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칸올, 글리세릴 트리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오일; 올리브오일, 아보카도오일, 호호바오일, 마카다미아오일, 포도씨오일, 쌀겨오일 등의 식물성 오일; 라놀린 등의 동물성 오일; 및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메틸크트리메치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 등의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 목적에 따라 보습제, 자외선 흡수제 또는 향료 등을 더 배합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통상적으로 화장료에 사용되는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솔비톨 또는 천연유래추출물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화장료는 자(jar)용기에 담을 수 있는 유동성이 없는 정도의 경도가 적당하나 그보다 낮아 펌프에 담을 수 있는 점도를 가진 성상도 제공할 수 있다. 피부도포 시 기존 클렌징 오일처럼 흘러내리지 않으며, 도포과정에서 오일이 얼굴에서 목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화장료는 반투명한 외관을 나타내므로 기존의 클렌징 오일에 점도가 높은 특이한 성상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화장료는 초기에는 유동성이 없는 반투명의 겔상 또는 고상을 유지하고, 피부도포 시 유동성을 쉽게 가지게 되어 일반 클렌징 오일과 같은 상태로 변하여 기존의 오일과 같은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펌프 또는 자(jar) 용기에서 덜어 내어 사용하므로 피부에 도포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는 처음 오일을 덜어내는 과정에서 오일이 흘러 바닥으로 떨어질 위험이 없으며, 도포과정에서 오일이 얼굴 아래로 흘러 옷을 버리는 현상을 막을 수 있고, 얼굴에 균일하게 발라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기존 유상 형태의 클렌징 오일과 동일하거나 더 나은 클렌징 효과를 나타내 우수한 세정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흡유성 분체,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및 오일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화장료로서 우수한 안정도와 성상을 나타내기 위한 조건을 찾기 위해 흡유성 분체와 오일 점증제의 종류와 함량을 달리하여 아래 실험예와 같이 평가하였다.
흡유성 분체와 오일 점증제 종류별 클렌징 오일의 안정도
각각의 흡유성 분체를 실온에서 분산시키고, 오일 점증제를 8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완전히 녹인 다음 상온에서 하룻동안 방치하여 온도를 충분히 낮추었다. 각각을 25℃, 50℃의 항온조에 넣어둔 후 하루 간격으로 총 한달 간 오일의 분리 정도를 관찰하였다. 오일로는 미네랄오일과 옥틸도데칸올을 75:25의 비율로 사용하였다. 50℃ 항온조에서 흡유성 분체와 점증제 종류별 오일 안정도를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흡유성 분체 또는 오일 점증제 사용량 1일 3일 7일 14일 28일
흡유성 분체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10% Ο × × × ×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 10% Ο × × × ×
쿼터늄-18 헥토라이트 10% Ο Ο × × ×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 10% Ο Ο × × ×
오일 점증제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에틸헥사노에이트 10% Ο Ο × × ×
폴리에칠렌 10% Ο Ο × × ×
비즈왁스 10% Ο × × × ×
트리베헤닌 10% Ο × × × ×
글리세릴베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 10% Ο Ο Ο × ×
흡유성 분체
+
오일 점증제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5%
5%
Ο Ο Ο Ο Ο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5%
5%
Ο Ο Ο Ο Ο
쿼터늄-18 헥토라이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5%
5%
Ο Ο Ο Ο Ο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5%
5%
Ο Ο Ο Ο Ο
오일 점증제 혼합 사용 폴리에칠렌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5%
5%
× × × × ×
글리세릴베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5%
5%
× × × × ×
비즈왁스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5%
5%
× × × × ×
트리베헤닌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5%
5%
× × × × ×
Ο : 분리 없이 안정
× : 분리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50℃에서는 흡유성 분체를 단독 사용했을 경우와 오일 점증제를 단독 사용했을 경우, 그리고, 오일 점증제를 혼합 사용했을 경우, 표면에 오일이 맺혀 장기 보관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그리고, 흡유성 분체와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를 같이 사용한 제형 이외에는 1달 이내에 상층부에 오일이 맺혀 분리되었다(25℃ 측정결과는 표로 나타내지는 않음). 이는 흡유성 분체와 오일 점증제, 사용된 오일과의 구조적 특성과 용해도에도 영향을 받았다. 제형의 안정도를 고려하여 흡유성 분체와 오일 점증제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험을 통해 흡유성 분체와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같이 사용되었을 경우 가장 안정한 상을 유지시켜 줌을 알 수 있었다.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와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의 비율별 클렌징 오일의 점증 정도 확인
흡유성 분체인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와 오일 점증제로 덱스트린 팔미테이트를 사용하여 함량에 따른 클렌징 오일의 점증 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오일로는 미네랄오일과 옥틸도데칸올을 75:25의 비율로 사용하였다.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 덱스트린팔미테이트 50도 안정성 유동성 퍼짐성 점증 정도 (정지상태 기준)
9 : 1 중량% 7일 안정 유동성 높음. 퍼짐성 좋아서 클렌징오일과 유사 낮은 경도
8 : 2 중량% 28일 안정 유동성 약간 있음. 기울이면 흐름 쉽게 잘 퍼지는 사용감 낮은 경도
7 : 3 중량% 28일 안정 유동성 약간 있음. 퍼짐성 좋음. 경도 높아짐
5 : 5 중량% 28일 안정 유동성 없음 부드럽게 잘 퍼짐. 경도 높아짐
3 : 7 중량% 28일 안정 유동성 없음 부드럽게 잘 퍼짐. 경도 높아짐
2 : 8 중량% 28일 안정 유동성 없음 퍼짐성이 약간 부족함 경도 단단함.
1 : 9 중량% 28일 안정 유동성 없음 퍼짐성 매우 부족 가장 단단한 경도
상기 표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와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의 비율별 점증 정도를 볼 경우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와 덱스트린팔미테이트를 1:1 중량비로 사용시 유동성이 없는 겔 성상을 유지하면서도 쉽게 퍼짐성을 갖는 구조를 나타내었다. 조성물 총 중량 대비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 덱스트린팔미테이트의 비율은 오일 점증제의 함량은 3:7 내지 7:3 중량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였다.
실시예 1. 우수한 사용감을 나타내는 유효성분들의 비율을 갖는 클렌징 화장료의 제조
상기 실험예들을 기초로 하여 우수한 사용감을 나타내기 위해 선택된 오일 점증제의 종류 및 함량과 기타 유효성분들을 사용하여 클렌징 화장료를 제조하였다(실시예 1). 실시예 1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대비 흡유성 분체인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5 중량%, 오일 점증제로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5 중량%; 계면활성제로 피이지-20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15 중량%; 기타 정제수 1 중량%, 조합향 적량 및 보습제로 1,3-부틸렌글리콜 0.5 중량%; 오일 성분은 올리브오일 10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0 중량%, 세칠에틸헥사노에이트 10 중량% 및 잔량은 미네랄오일로 구성된다. 이렇게 조성된 본 발명의 화장료는 반투명한 고상을 이루고 있다. 비교예로 흡유성분체와 오일 점증제를 사용하지 않은 클렌징 오일과 클렌징 크림을 제조하여 그 물성을 비교하였다. 하기 표 4에 실시예 1과 클렌징 오일(비교예 1), 클렌징 크림(비교예 2), 클렌징 젤(비교예 3)의 조성물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표 3에 나타난 수치는 오일 점증제와 기타 유효성분들의 각 중량%를 의미한다.
성분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작용
미네랄오일 To 100 To 100 To 100 To 100 30.0 - 오일
올리브오일 10.0 10.0 10.0 10.0 10.0 - 오일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0.0 10.0 10.0 10.0 10.0 15.0 오일
세칠에틸 헥사노에이트 10.0 10.0 10.0 10.0 10.0 15.0 오일
피이지-20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15.0 15.0 15.0 15.0 - - 계면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 60 - - - - 2.0 2.0 계면활성제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 - - - 0.5 - 계면활성제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 - - - 1.0 - 계면활성제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 - - - 0.5 - 계면활성제
세테아릴알코올 - - - - 3.0 - 계면활성제
밀납 - 1.0 - 계면활성제
정제수 1.0 1.0 1.0 1.0 To 100 To 100 정제수
카보머 - - - - 0.2 0.3 점증제
트리에탄올아민 - - - - 0.2 0.3 중화제
조합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5.0 - - - - - 흡유성분체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 - 5.0 - - - - 흡유성분체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 - - 5.0 - - - 흡유성분체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5.0 5.0 5.0 - - - 오일점증제
1,3-부틸렌글리콜 0.5 0.5 0.5 0.5 0.5 0.5 보습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클렌징 화장료의 사용감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클렌징 화장료의 사용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20~35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사전에 안면에 화장을 하게 한 다음, 실시예 1, 비교예1, 및 비교예 2의 제품을 일반적인 사용법에 따라 사용하여 사용감 중 가장 중요한 클렌징력과 퍼짐성, 사용 후 촉촉함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점수는 매우 만족 5점, 만족 4점, 보통 3점, 나쁨 2점, 매우 나쁨 1점으로 평가하도록 하였고, 종합점수를 아래 식에 의해 산출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점수 = [(매우만족 인원수)*5 + (만족 인원수)*4 + (보통 인원수)*3 + (나쁨 인원수)*2 + (매우나쁨 인원수)*1] / 평가인원수
실험예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퍼짐성 4.48 4.68 4.54 4.63 3.48 3.81
흘러내림 4.82 3.56 4.66 2.85 4.88 4.62
클렌징력 4.62 4.72 4.42 4.48 3.64 3.41
물로 씻은 후 촉촉함 4.45 4.68 4.22 4.38 2.62 3.12
위의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퍼짐성, 클렌징력 및 씻은 후 촉촉함 항목에서 비교예 1의 클렌징 오일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클렌징 화장료가 유사한 평가를 받았는데 이는 본 발명이 클렌징 화장료로서 우수한 사용감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클렌징 화장료의 흘러내림 정도는 비교예 1의 클렌징 오일과 극명한 차이를 보이는 반면, 비교예 2의 클렌징 크림, 비교예 3의 클렌징 젤과는 유사한 평가를 받았는데 이는 본 발명은 피부도포 시 거의 흘러내리지 않음을 의미한다.

Claims (11)

  1. 흡유성 분체;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및 오일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흡유성 분체: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3:7 내지 7:3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흡유성 분체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중량% 이상이면서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고,
    상기 흡유성 분체는 쿼터늄-18헥토라이트(Quaternium-18 Hectorite),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Stearalkonium Hectorite), 쿼터늄-18벤토나이트(Quaternium-18 Bentonite), 실리카(Silica),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Silica Dimethyl Silylate), 및 실리카실릴레이트(Silica Silyl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0.5 내지 20 중량%; 계면활성제 5 내지 30 중량%; 및 오일 성분 50 내지 93.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덱스트린 베헤네이트(Dextrin behenate), 덱스트린 스테아레이트(Dextrin stearate), 덱스트린 팔미테이트(Dextrin palmitate),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에틸헥사노에이트(Dextrin palmitate/Ethyl hexanoate) 및 덱스트린 미리스테이트(Dextrin myrist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에틸렌옥사이드기, 폴리글리세릴기 또는 슈크로오스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테트라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칠렌 트리올리이트, 폴리소르베이트85, 폴리소르베이트60, 및 폴리소르베이트 8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폴리에틸렌글라이콜계 계면활성제;
    폴리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폴리글리세릴 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 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 디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 디올리에이트 및 폴리글리세릴 디미리스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 및
    슈크로오스 라우레이트, 슈크로오스 미리스테이트, 슈크로오스 팔미테이트, 슈크로오스 스테아레이트, 슈크로오스 디스테아레이트, 및 슈크로오스 디라우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슈크로오스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성분은 탄화수소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및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 제2항, 및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겔 또는 고형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유성 분체는 0.001 ㎛ 내지 100 ㎛ 의 평균입경을 가지고, 20~500m2/g의 비표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후도 경도계(FUDOH RHEO METER, 9번, 10φ, 스핀들 25mm, 속도 5cm/min)를 이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을 때 그 경도가 10-200 의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007774A 2014-01-22 2014-01-22 흡유성 분체를 함유하는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1619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774A KR101619428B1 (ko) 2014-01-22 2014-01-22 흡유성 분체를 함유하는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774A KR101619428B1 (ko) 2014-01-22 2014-01-22 흡유성 분체를 함유하는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608A KR20150087608A (ko) 2015-07-30
KR101619428B1 true KR101619428B1 (ko) 2016-05-10

Family

ID=53876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774A KR101619428B1 (ko) 2014-01-22 2014-01-22 흡유성 분체를 함유하는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4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189B1 (ko) * 2023-10-05 2024-02-23 다에크(주) 피부도포력, 세정력 및 피부개선 효과가 우수한 고체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82723B2 (ja) * 2016-03-15 2019-03-13 株式会社マンダム 温感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6758663B2 (ja) * 2018-08-18 2020-09-23 ジェイオーコスメティックス株式会社 油性固形クレンジング化粧料
KR102014935B1 (ko) * 2018-11-28 2019-08-28 여명바이오켐 주식회사 액정 타입의 택시폴린 테트라 옥타노에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3431B1 (ko) * 2019-04-05 2021-02-08 코스맥스 주식회사 섬유 성분을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173530B1 (ko) * 2020-07-24 2020-11-03 이도연 클렌징 오일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189B1 (ko) * 2023-10-05 2024-02-23 다에크(주) 피부도포력, 세정력 및 피부개선 효과가 우수한 고체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608A (ko) 2015-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265B1 (ko) 투명 또는 반투명 겔 형상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1619428B1 (ko) 흡유성 분체를 함유하는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US20040223992A1 (en) Wet skin treatment compositions comprising gel-networks
KR101347727B1 (ko) 클렌징과 마사지가 가능한 고형 화장료 조성물
JP2008531735A (ja) 洗い流し又はふき取り用皮膚洗浄組成物
KR20060123067A (ko) 피부 관리 국소 연고
CN107982077A (zh) 包含二氧化硅气凝胶粒子和粘土的化妆品组合物
JP2014118400A (ja) 無水化粧料組成物
KR102645904B1 (ko) 펠라르곤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수성 화장 조성물
KR101437727B1 (ko)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150029407A (ko) 전상이 빠른 수중유형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5089A (ko) 클렌징 기능 융합 워시-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BR112021011123A2 (pt) Composição, uso da mesma, processo cosmético para o cuidado de um material de queratina, notavelmente a pele, e mais particularmente a pele do rosto e processo para tornar a pele do rosto opaca e/ou para reduzir o seu brilho
JP2008214321A (ja) 油性皮膚洗浄料
CN104994834B (zh) 气溶胶型防晒化妆料
KR20140143005A (ko) 스킨, 로션 및 에센스의 기능과 사용감을 갖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JPH11263721A (ja) 水中油型ゴマージュ化粧料
JP2004067622A (ja) 整髪用乳化化粧料
JPH09124435A (ja) 油性化粧料
JP2004210730A (ja) 油性液体化粧料
JP5777859B2 (ja) 乳化組成物
KR20210124197A (ko)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KR101834196B1 (ko) 겔 형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JPH09124436A (ja) 油性化粧料
KR20180114851A (ko) 흡수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