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4851A - 흡수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흡수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4851A
KR20180114851A KR1020180041942A KR20180041942A KR20180114851A KR 20180114851 A KR20180114851 A KR 20180114851A KR 1020180041942 A KR1020180041942 A KR 1020180041942A KR 20180041942 A KR20180041942 A KR 20180041942A KR 20180114851 A KR20180114851 A KR 20180114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peg
wat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7806B1 (ko
Inventor
반성연
김은미
김락균
최경희
이윤정
Original Assignee
반성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성연 filed Critical 반성연
Publication of KR20180114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8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성 고분자, 피부컨디셔닝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수분 흡수성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의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 도포되어 물기를 흡수함으로써 크림 성상으로 변화되어 별도의 건조과정이 없이도 피부의 보습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수성 화장료 조성물 {Absorbent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수성 고분자, 피부컨디셔닝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흡수성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 세안 등을 하는 경우에는 물로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각종 세안제 또는 바디워시 등 비누를 사용한다. 이러한 비누 성분들은 피부의 각질층으로부터 오일, 지질, 천연 피부 조절 인자 및 보습인자를 제거할 수 있다. 이는 피부를 과다하게 건조하게 만들고 여러 피부 문제점, 예컨대 홍반, 인설, 박편 및 균열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샤워 또는 세안 후에 물기를 제거하고 다양한 형태의 로션을 피부를 도포하여 보습성의 향상, 영양분의 공급 등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물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들은 깨끗한 상태의 수건이나 종이타월을 사용하여 물기를 제거하고 로션을 도포하게 되는 데 이 경우 번거로울 수 있다.
예를 들면, 설거지 등 물을 사용하는 주방일 하는 경우에는 쉽게 손이 거칠어 질 수 있으며, 매번 손을 닦고 로션을 바르는 것이 매우 번거울 수 있다. 특히 물을 사용하여 손을 닦는 회수가 빈번함에 따라 주방수건으로 물기만 제거하는 경우에 많으며, 이 경우 주방수건에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어 비위생적일 수 있다.
한편, 수건을 사용할 수 없는 외부에서는 종이 타월이나 핸드드라이어를 사용하여 물기를 제거하고 개인이 소유한 로션을 피부에 도포하게 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서 한국 공개특허 특2003-0062348 '종이 제품을 위한 오일-기재 로션'에는 종이타월을 사용하여 발생하는 피부의 건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피부에 쉽게 전달될 수 있는 제제를 함유하는 종이 제품이 개시되어 있다. 종이 타월에 로션을 함유하는 것뿐 만 아니라 핸드드라이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278463 '핸드 드라이어'에는 핸드드라이어를 사용하였을 때 손이 건조하게 되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물로 씻은 손을 핸드드라이어를 통해서 무리를 건조시킬 때 핸드드라이어에서 열풍과 함께 손에 보습효과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밀크로션이나 스킨로션 또는 핸드크림과 같은 보습효과를 가지는 물체를 분사하는 핸드드라이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피부의 건조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습제를 도입한 구성에 해당한다. 종이 타월의 경우 계속적으로 보충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비용이 발생하게 되며, 드라이어의 경우는 초기에 설치비가 과도하게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특2003-0062348호(2003. 07. 23.)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8463호(2002. 06. 14.)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샤워, 세안 또는 세수 후에 물기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피부에 도포되어 보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흡수성 고분자, 피부컨디셔닝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흡수성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흡수성 고분자, 피부컨디셔닝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흡수성 화장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페이터 타월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핸드크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흡수성 고분자, 피부컨디셔닝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흡수성 화장용 조성물을 포함하며, 샤워 후 타월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디 로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흡수성 고분자, 피부컨디셔닝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흡수성 화장용 조성물을 포함하며, 아기 피부에 사용할 수 있는 베이비 로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로션 조성물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샤워, 세안 또는 세수 후에 물기가 남아 있는 상태에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 피부에 도포하게 되면 별도의 물기 제거 과정 없이 한번에 보습을 위한 로션 도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게 피부 보호를 위한 로션 도포가 가능하다.
둘째, 별도의 물기 제거도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수건 또는 페이퍼 타월을 사용하는 것 보다 위생적일 수 있다. 특히 수건의 경우에는 한번 사용으로 다시 세탁하지 않는 경우에 발생되는 미생물에 의한 발병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공공장소에 설치된 세면대에서 세수 또는 세안을 하는 경우, 페이퍼 타올이나 핸드드라이어 배치함으로써 발생되는 여러가지 비용요소를 절약할 수 있다.
넷째, 사용자는 일정량의 로션을 휴대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손수건이나 종이타월을 사용하지 않고 세안, 세수 후에 로션을 도포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다.
다섯째, 로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공공장소에 비치하여 페이퍼 타올이나 핸드 드라이어를 대체할 수 있으며, 사워 후에는 별도의 타월 없이 사용이 가능한 바디 로션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천연 소재를 함유하는 경우 아기 피부에 사용할 수 있는 베이비 로션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흡수성 고분자, 피부컨디셔닝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흡수성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에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 도포되어 물기를 흡수함으로써 크림 성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흡수성 고분자가 0.5 내지 3 중량%, 피부컨디셔닝제가 60 내지 80 중량%, 계면활성제가 10내지 30 중량%, 점도조절제가 5 내지 15 중량%, 용제가 0.05 내지 2 중량%인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산화방지제와 착향제 중 하나 이상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고분자는 실리카 및 소듐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2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컨디셔닝제는 에틸헥실에틸헥사노에이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동백오일,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및 호호바씨오일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PEG-20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EG-5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및 PEG-8 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도 조절제는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이렌/부타다이엔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로션, 크림, 로션, 유액(乳液), 크림, 연고, 연제(練劑), 현탁제, 에멀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흡수성 고분자, 피부컨디셔닝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수분 흡수성 화장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페이터 타월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핸드크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흡수성 고분자, 피부컨디셔닝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수분 흡수성 화장용 조성물을 포함하며, 샤워 후 타월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디 로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흡수성 고분자, 피부컨디셔닝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수분 흡수성 화장용 조성물을 포함하며, 아기 피부에 사용할 수 있는 베이비 로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보습 및 각종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로션 및 크림 등은 기본적으로 내부적으로 약 50% 정도의 수분과 오일류, 히알루론산 등의 보습제와 유화제 및 점증제 등으 함유되어 마른 피부에 사용하여 보습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자는 샤워, 세안 또는 세수 후에 피부에 잔존하는 물기를 제거하지 않고 이를 흡수하여 조성물의 성상을 변화시키기 이를 피부에 도포하여 보습성을 부여하는 경우 피부에 존재하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수건, 페이퍼타올 또는 핸드드라이어의 사용 없이도 간편하게 활용하는 것을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기존의 보습 화장품에 혼합되어 있는 물을 제거하고, 피부에 남아 있는 물기를 흡수하여 크림 성상으로 변화 시킬 수 있는 흡수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즉 조성물 자체에 수분을 배제하고 외부의 수분을 적절하게 흡수하여 이를 활용하여 크림 형태로 변화시킨 후 이를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통상적인 보습용 로션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사용하게 되면 별도의 물기제거 과정을 거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극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피부에 남아있는 물기를 흡수할 수 있어야 하며, 흡수된 경우 일정한 점도를 유지하고 피부에 일정한 보습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성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흡수용 조성물은 흡수성 고분자, 계면활성제, 점도조절제 및 피부컨디셔닝제를 포함한다.
상기 흡수제는 피부에 남아있는 물기를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흡수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 하나, 너무 과량 포함되는 경우 피부에 도포시 손에서 겉돌며 완전히 흡수되는 도포되지 않고 사용 후 피부에 잔여감을 줄 수 있으며, 서걱거리는 사용감 및 밀림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흡수성 고분자는 여러가지 다양한 흡수 성능을 가진 성분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소듐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흡수성 고분자, 피부컨디셔닝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흡수성 화장용 조성물이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에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 도포되어 물기를 흡수함으로써 크림 성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흡수성 고분자가 0.5 내지 3 중량%, 피부컨디셔닝제가 60 내지 80 중량%, 계면활성제가 10내지 30 중량%, 점도조절제가 5 내지 15 중량%, 용제가 0.05 내지 2 중량%인 것이다.
흡수성 고분자는 유기계 고분자, 무기계 고분자가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구아검, 아라비아검, 로커스트빈검, 카라기난 전분, 산탄검, 텍스스트란, 젤라틴, 콜라겐 등의 천연추출물이나, 셀룰로오즈 유도체의 고분자, 카르복시비닐폴리머의 합성 고분자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합성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카르보폴) 등의 비닐계 고분자,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0, 40,000, 60,000 등의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공중합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에틸렌이민, 및 양이온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벤트나이트, 규산AlMg(비검), 라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및 무수규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하이드록시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에틸셀룰로오스, 카보머,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마이드코폴리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 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C12-22 알킬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스테아레스-20 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비닐이소데카노에이트크로스폴리머, 아크릴레이트/비닐 네오데카노에이트 크로스폴리머 및 무기계 수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1, 아크릴레이트/에칠헥실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3,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포타슘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11,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8, 아크릴아마이드/소듐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소듐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및 소듐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2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다. 흡수성 고분자가 0.5 내지 3 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 미만의 경우 흡수성이 떨어지며, 3중량%을 넘을 경우 사용감이 좋지 않게 된다.
피부컨디셔닝제는 기본적으로 유성성분으로 피부에 도포시에 특유의 사용감을 주는 성분이다. 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성분이 포함될 수 있으며, 탄화수소유, 합성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동식물유, 인지질, 고급지방산, 고급알코올, 불소계 유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것들 중 어느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들의 상온에서의 상태는 액상, 반고형, 고형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탄화수소유로는 예를 들어, 유동파라핀, 이소파라핀, 파라핀, *j올레핀올리고머, 지랍, 스쿠알란, 프리스탄, 세레신, 스쿠알렌, 와세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에스테르유로는 예르 들어, 이소노난산 이소노닐, 이소노난산 이소데실, 이소노난산 이소트리데실, 미리스틴산 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 세틸,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팔미틴산 2-에틸헥실, 스테아린산 부틸, 라우린산 헥실, 미리스틴산 미리스틸, 올레인산 데실, 디메틸옥탄산 헥실데실, 유산세틸, 유산미리스틸, 유산옥틸도데실, 아세트산 라우린, 스테아린산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린산 이소세틸,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피토스테릴, 올레인산 피토스테릴, 디-2-에틸헥산산 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알킬글리콜, 디에틸헥산산 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린산 네오펜틸글리콜, 디-2-헵필운데칸산 글리세릴,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이소스테아린산 펜타에리스리톨,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미리스틴산/스테아린산) 글리세릴, 트리미리스틴산 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 글리세릴, 트리카프린산 글리세릴, 트리-2-헵틸운데칸산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2-에틸헥산산 트리메틸올프로판, (이소스테아린산/세바스산) 디트리메틸올프로판올리고에스테르, 트리에틸헥산산 에리스리틸, 트리폴리히드록시스테아린산 디펜타에리스리틸, 이소스테아린산 트레할로오스 에스테르, 펜타이소스테아린산 디펜타에리스리틸, 트리이소스테아린산 디글리세릴, 테트라이소스테아린산 디글리세릴, 사과산 디이소스테아릴,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라놀린산 지방산 이소프로필, 올레인산 올레일, 아세트글리세라이드, 팔미틴산 2-헵틸운데실, 아디프산 디이소부틸, (아디프산·2-에틸헥산산·스테아린산) 글리세릴올리고에스테르, (2-헥실데칸산·세바스산) 디글리세릴올리고에스테르,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프산 디-2-헵틸운데실, 라우린산 헥실, 라우린산 에틸, 헤바스산 디-2-에틸헥실, 미리스틴산 2-헥실데실, 필미틴산 2-헥실데실, 아디프산 2-헥실데실, 세바스산 디이소프로필, 숙신산 2-에틸헥실, 트리이소팔미틴산 글리세린,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쿠엔산 트리에틸, 트리(베헨산/이소스테아린산/에이코산이산) 글리세릴, (베헨산/에이코산이산) 글리세릴, (베헨산/에이코산이산) 폴리글리세릴, 숙신산 비스에톡시디글리콜, 디이소노난산 네오펜틸글리콜, (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2/다이머-디리놀산) 코폴리머, 다이머-디리놀산 수첨 피마자유, 디(카프릴산/카프린산) 프로판디올, 디이소스테아린산 프로판디올, 옥타카프릴산 폴리글리세릴-6, 시클로헥산-1,4-디카르본산 비스에톡시디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로는 예를 들어,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록겐폴리실록산 등의 사슬상 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테트라히드로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등의 환상 폴리실록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알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동식물 유지로는 예를 들어, 아보카도유, 동백나무유, 거북이유, 마카데미아넛유, 옥수수유, 해바라기유, 밍크유, 올리브유, 채유, 난황유, 콩기름, 퍼식유, 소맥배아유, 애기동백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홍화유, 포도씨유, 면실유, 들깨유, 대두유, 낙화생유, 녹차유, 비자나무유, 미강유, 시나기리유, 일본 오동나무유, 호호바유, 배아유, 우골지, 목랍핵유, 우각지, 목랍, 경화야자유, 경화팜유, 경화우지, 경화피마자유, 밀랍, 칸데리라 왁스, 면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베이베리 왁스, 백랍, 고래 왁스, 몬탄 왁스, 쌀겨 왁스, 케이폭 왁스, 사탕수수 왁스, 라놀린, 액상 라놀린, 환형 라놀린, 경질 라놀린, 호호바 왁스, 쉘락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헥실에틸헥사노에이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동백오일,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및 호호바씨오일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피부컨디셔닝제는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션 조성물의 성상을 나타나게 하는 것으로서 점성을 가지는 유성의 액상을 띠게 한다. 에틸헥실에틸헥사노에이트은 피부보습, 사용감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며, 사이클로펜타실록산은 피부보습과 부드러운 사용감과 흡수 후 잔여감을 줄이며,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은 피부보습과 발림성을 좋게 하며, 토코페릴아세테이트은 항산화와 피부보습을 좋게 하고, 동백오일 및 호호바씨 오일은 보습막을 형성하여 피부표면의 수분 증발을 막아 보습력이 지속되도록 도움을 준다.
상기 피부컨디셔닝제는 피부로부터 흡수된 수분과 함께 유화되어 피부의 보습을 향상시키는 성분에 해당한다. 상기 피부컨디셔닝제는 아르간트리커넬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오일은 피부 보습, 항산화 효과, 유분 공급이나 영양공급 등의 효능을 가지며, 유분 공급 및 피부 보습에 도움을 준다.
피부컨디셔닝제가 60 내지 80 중량%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60중량 %미만일 경우 보습력이 떨어지고 80중량%을 넘을 경우 제형의 안정도가 떨어지게 된다.
상기 점도조절제는 제품의 성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흡수제를 통하여 흡수된 물과 전체 로션 조성물이 피부에 도포될 때 그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점도조절제가 미량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점도조절제가 다량 첨가되는 경우 제형의 안정화를 높일 수 있으나, 흡수력이 낮아 질 수 있으며 로션 조성물 사용시 피부에 잔존하는 물기로 인하여 미끌리는 사용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점도조절제는 하이드레이티드실리카, 실리카다이메티콘실릴레이트, 실리카다이메틸실릴레이트, 실리카실릴레이트, 실리카카프릴릴실릴레이트, 실리카세틸실릴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이렌/이소프렌코폴리머,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이렌/부타디엔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이렌/부타디엔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점도조절제가 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피부에 있는 물기를 흡수하는 경우 상기 피부컨디셔닝제의 유성성분과의 흡수된 물의 유화를 돕기 위해 계면활성제가 포함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는 유성의 피부컨디셔닝제의 소수성 부분과 물의 친수성 부분의 작용기 양측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및 PEG/PPG-18/18 디메치콘(PEG/PPG-18/18 Dimethicone), 글리콜 스테아레이트(Glycol Stearate),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Sorbitan Sesquioleate), 글리세릴 올레이트(Glyceryl Oleate),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Glycol Distearate),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Propylene Glycol Monostearate),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PEG-30 디폴리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PEG-30 Dipolyhydroxystearate), PEG-10 디메치콘(PEG-10 Dimethico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 PEG.PPG-19.19 디메치콘(Cyclopentasiloxane/PEG.PPG-19.19 Dimethicone),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Isostearate), 라우릴 PEG.PPG-18.18 메치콘(Lauryl PEG.PPG-18.18 Methicone), 세틸 PEG.PPG-10.1 디메치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라우릴 PEG-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PPG-26-부테트-26(PPG-26-Buteth-26) 및 PEG-40 경화피마자유(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PEG-30 경화피마자유(PEG-30 Hydrogenated Castor Oil), 세테아레스-12(CETEARETH-12), PEG-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PEG-5 Glyceryl Stearate), PEG-6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PEG-60 Glyceryl Isostearate), PEG-50 스테아레이트(PEG-50 Stearate), PEG-100 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폴리소르베이트 20(Polysorbate 20),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10 Pentastearate) , 스테아릴젖산나트륨(Sodium Stearoyl Lactylate), 메톡시 PEG-114/폴리엡실론 카프롤락톤(Methoxy PEG-114/Polyepsilon Caprolactone),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Potassium Cetyl Phosphate),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10 Stearate), 소르비탄 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이눌린라우릴 카바메이트(Inulin Lauryl Carbamate), 세테아릴 올리베이트/소르비탄 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Sorbitan Olivate), PEG-60 경화피마자유(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루코오스 디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3 Methylglucose Distearate), PEG-5 평지씨 스테롤(PEG-5 Rapeseed Sterol), 수크로오스 폴리스테아레이트/경화 폴리이소부틴(Sucrose Polystearate/Hydrogenated Polyisobutene), C12-20 알킬 글루코시드(C12-20 Alkyl Glucoside), 경화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아라키딜 글루코시드(Arachidyl Glucoside), 올리브유 PEG-8 에스테르류(Olive Oil PEG-8 Esters) 및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Sucrose Fatty Acid Est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바람직하게는 PEG-20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EG-5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및 PEG-8 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다. 계면활성제가 10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중량% 미만의 경우 제형의 안정도가 떨어지며, 30중량%을 넘는 다고 하여 안정도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산화방지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알려진 어느 물질도 사용될 수 있으며, 토코페릴아세테이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의 기본 향을 입힐 수 있는 착향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착향제는 다양한 향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로션 조성물의 기본적의 향을 입힐 수 있게 된다. 피부에 사용될 수 있는 착향제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으며, 특정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추가로 이가폴리올이 포함될 수 있다. 이가 폴리올은 탄소수 3 - 6의 이가 폴리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3 - 6의 이가 폴리올로는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3-부틸렌글리콜, 3-메틸-1,3-부탄디올, 1,2-펜탄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1,2- 헥산디올 및 헥실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3-메틸-1,3-부탄디올, 1,2-펜탄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1,2- 헥산디올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제는 정제수나 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제형이 부드러워 지도록 용제는 되도록 함량을 낮추었으며, 0.05 내지 2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표1에 따라 성분과 각 함량을 변화시키면서 로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함량은 중량 %이다.
원료명 실험예1 실험예2 실험예3 실험예4 실험예5
에틸헥실에틸헥사노에이트 30.54 29.59 28.59 27.09 29.09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10 20 20 20 2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20 10 10 10 10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7 7 7 7 7
사이클로펜타실록산   0.875 0.875 0.875 0.875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0.125 0.125 0.125 0.125
아르간커넬오일 0.5 0.5 0.5 0.5 0.5
동백나무씨오일 0.5 0.5 0.5 0.5 0.5
호호바씨오일 0.5 0.5 0.5 0.5 0.5
에틸헥실글리세린 0.06 0.06 0.06 0.06 0.06
1,2-헥산디올 2 2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3 0.25 0.25 0.25 0.25
PEG-5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14        
PEG-20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14 14 14 14
PEG-8이소스테아레이트 6 6 6 6 6
향료 0.1 0.1 0.1 0.1 0.1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이렌/부타디엔코폴리머     3 3 3
실리카디메틸실릴레이트 8 8 8 8 7
실리카 0.01 0.01 0.01 0.04 0.02
소듐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2 0.44 0.44 0.44 1.76 0.88
정제수 0.05 0.05 0.05 0.2 0.1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은 제형의 장기 안정도가 불안하며, 사용감이 건조하고 물 흡수력이 떨어지는 정도를 보였다.
상기 실시예 2의 조성물은 제형의 장기 안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 PEG-5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에서 PEG-20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로 변경하고 가벼운 사용감을 위하여 오일 원료의 함량을 조절하였고, 사용감은 좋아졌으나 변경 후 점도가 많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상기 실시예 3의 조성물은 점도를 높이기 위하여 점도조절제로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이렌/부타디엔코폴리머를 추가 투입하여 제형의 적절한 점도 확보를 확보하였다.
상기 실시예 4의 조성물은 물 흡수력을 높이기 위하여 흡수제 함량을 증가. 물 흡수력은 높였으나, 물을 흡수하고 남은 흡수제가 피부의 수분도 흡수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사용감이 뻣뻣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상기 실시예 5의 조성물은 사용감 개선 및 적절한 물 흡수를 위하여, 흡수제 및 점도조절제를 조정하여 제형을 개발하였으며, 안정도가 뛰어나고 보습력과 사용감이 탁월하였다.
우선 각 성분 중 오일 성상 (A상)의 원료를 보조 유화탱크에 투입한 후에 실온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혼합이 완료된 다음 파우더-1 상 (B상)의 원료를 보조 유화 탱크에 서서히 투입하여 용해시킨 후, 주 유화탱크로 이송시켰다. 주 유화탱크로 이송시킨 다음에 파우더-2상 (C상)을 투입하고 혼합용 패드를 약 20 rpm으로 15분간 작동시켜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탈포과정을 수행하여 보관하였다. 이 제조과정을 동일하게 거쳐 각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조성물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형으로는 로션, 크림, 로션, 유액(乳液), 크림, 연고, 연제(練劑), 현탁제, 에멀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것도 가능하다.
우선 화장실에 비치하여 손을 물로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핸드크림 대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공공장소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종이 타월 또는 핸드드라이어를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는 경우에는 별도의 타월이나 화장지 없이 말끔하게 손의 물기를 제거하면서 보습효과를 가지는 크림을 도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핸드크림 뿐만 아니라, 샤워 후에 피부에 도포되는 바디로션으로 사용하는 경우 샤워 후에 수건을 활용하여 별도로 물기를 제거하지 않더라도 바디로션을 몸에 도포함으로써 물기를 제거함과 동시에 보습효과를 가지는 크림을 도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아기들의 경우에는 용변 후에 물로 세척하는 경우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피부에 자극이 적은 성분을 위주로 투입하여 베이비 로션으로 활용하는 경우에 별도의 수건이나 종이 타월를 구비하지 않아도 물기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물기 제거 수건이나 종이 타월의 마찰에 의해 피부 손상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흡수성 고분자, 피부컨디셔닝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흡수성 화장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에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 도포되어 물기를 흡수함으로써 크림 성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흡수성 고분자가 0.5 내지 3 중량%, 피부컨디셔닝제가 60 내지 80 중량%, 계면활성제가 10내지 30 중량%, 점도조절제가 5 내지 15 중량%, 용제가 0.05 내지 2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산화방지제와 착향제 중 하나 이상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고분자는 실리카 및 소듐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2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컨디셔닝제는 에틸헥실에틸헥사노에이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동백오일,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및 호호바씨오일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PEG-20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EG-5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및 PEG-8 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점도 조절제는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이렌/부타다이엔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로션, 크림, 로션, 유액(乳液), 크림, 연고, 연제(練劑), 현탁제, 에멀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청구항 1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함하며, 페이퍼 타월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핸드 크림.
  11. 청구항 1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함하며, 샤워 후 타월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디 로션.
  12. 청구항 1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함하며, 아기 피부에 사용할 수 있는 베이비 로션.
KR1020180041942A 2017-04-11 2018-04-11 흡수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77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435 2017-04-11
KR20170046435 2017-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851A true KR20180114851A (ko) 2018-10-19
KR102077806B1 KR102077806B1 (ko) 2020-02-14

Family

ID=64101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942A KR102077806B1 (ko) 2017-04-11 2018-04-11 흡수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8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112A (ko) * 2020-11-26 2022-06-03 충청북도 음성군 들깨유를 이용한 주름과 미백 이중기능성을 지니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463Y1 (ko) 2002-03-15 2002-06-14 주식회사 테크노.티 핸드 드라이어
KR20030062348A (ko) 2000-11-21 2003-07-23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종이 제품을 위한 오일-기재 로션
US20060159649A1 (en) * 2005-01-14 2006-07-20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Wet-skin treatment compositions using specific gum and acrylate systems for enhanced rheology
KR100741959B1 (ko) * 2006-03-07 2007-07-23 (주)아모레퍼시픽 유/수용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피부도포시 상전이 성질을갖는 젤상 화장료 조성물
WO2013076238A1 (en) * 2011-11-25 2013-05-30 L'oreal Composition comprising a superabsorbent polymer and a nonsuperabsorbent acrylic acid homopolymer or copolymer which is at least partially neutralized
KR20160054347A (ko) * 2014-11-06 2016-05-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인-샤워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60061476A (ko) * 2014-11-21 2016-06-01 코웨이 주식회사 유중수 유화형 저점도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348A (ko) 2000-11-21 2003-07-23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종이 제품을 위한 오일-기재 로션
KR200278463Y1 (ko) 2002-03-15 2002-06-14 주식회사 테크노.티 핸드 드라이어
US20060159649A1 (en) * 2005-01-14 2006-07-20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Wet-skin treatment compositions using specific gum and acrylate systems for enhanced rheology
KR100741959B1 (ko) * 2006-03-07 2007-07-23 (주)아모레퍼시픽 유/수용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피부도포시 상전이 성질을갖는 젤상 화장료 조성물
WO2013076238A1 (en) * 2011-11-25 2013-05-30 L'oreal Composition comprising a superabsorbent polymer and a nonsuperabsorbent acrylic acid homopolymer or copolymer which is at least partially neutralized
KR20160054347A (ko) * 2014-11-06 2016-05-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인-샤워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60061476A (ko) * 2014-11-21 2016-06-01 코웨이 주식회사 유중수 유화형 저점도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112A (ko) * 2020-11-26 2022-06-03 충청북도 음성군 들깨유를 이용한 주름과 미백 이중기능성을 지니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806B1 (ko) 2020-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2469B1 (en) Make-up removing and/or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water-in-oil emulsion
EP3000459B1 (en) Antiperspirant compositions
US20040223992A1 (en) Wet skin treatment compositions comprising gel-networks
KR101521265B1 (ko) 투명 또는 반투명 겔 형상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EP1762216B1 (en) Cosmetic preparation
KR20060123067A (ko) 피부 관리 국소 연고
KR101619428B1 (ko) 흡유성 분체를 함유하는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JP2000256124A (ja) 液晶組成物および化粧料
JP7017971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5695388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2017140431A (ja) 固形有効成分の溶解度が改善された組成物及び/又は物品
JPS6127094B2 (ko)
JP2001172503A (ja) 弾性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の粒子の水性分散物を含む組成物、及びその化粧的使用
JP5058457B2 (ja) 化粧料用組成物及び化粧料
KR20180114851A (ko) 흡수성 화장료 조성물
JP2006028183A (ja) O/w型ファインエマルションと化粧品分野でのその使用
KR20140143005A (ko) 스킨, 로션 및 에센스의 기능과 사용감을 갖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101719174B1 (ko) 라멜라 액정이 수분산된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60075356A (ko) 발한 억제 조성물
BR112017023693B1 (pt) Composição cosmética ou dermatológica na forma de uma nanoemulsão de óleo-em-água, uso cosmético da composição e uso da composição
JPH11263721A (ja) 水中油型ゴマージュ化粧料
JP4076020B2 (ja) 非水系透明マッサージ化粧料
KR102175467B1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3646848A1 (en) Compositions for drying and care of skin
KR102610931B1 (ko) 온열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