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005A - 스킨, 로션 및 에센스의 기능과 사용감을 갖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킨, 로션 및 에센스의 기능과 사용감을 갖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005A
KR20140143005A KR1020130064876A KR20130064876A KR20140143005A KR 20140143005 A KR20140143005 A KR 20140143005A KR 1020130064876 A KR1020130064876 A KR 1020130064876A KR 20130064876 A KR20130064876 A KR 20130064876A KR 20140143005 A KR20140143005 A KR 20140143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thicone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water
cross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구
김선영
박병규
한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30064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3005A/ko
Publication of KR20140143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킨, 로션 및 에센스의 기능과 사용감을 갖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사용감 개선제로 수분산성 실리콘왁스와 실리콘 분체 및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특유의 가볍고 넓게 발리는 사용감을 유지하면서도 에센스와 같은 영양감과 보습력을 제공하여 스킨, 로션, 에센스를 함께 포함함으로써 스킨, 로션, 에센스로 나뉘어 있는 화장단계를 줄여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킨, 로션 및 에센스의 기능과 사용감을 갖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All-in-one liquid cosmetic composition with function and good feeling of use of skin, lotion and essence}
본 발명은 화장품 분야에서 올인원 제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킨, 로션 및 에센스의 기능과 사용감을 갖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킨은 일반적으로 다량의 수상성분을 포함하며 소량의 향료를 계면활성제를 통해 가용화하여 수상에 녹이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스킨은 가벼운 사용감을 주며 피부 청정효과와 수렴효과를 주목적으로 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반면 유상성분을 일정 함량 이상 포함하지 못하므로 영양감이 부족하고 로션이나 에센스에 비해 보습 효과 등 기능적인 측면에서 떨어지게 된다.
로션, 에센스는 일반적으로 수상성분과 유상성분, 그리고 이들을 안정하게 조합시켜 줄 수 있는 계면활성제 및 왁스류 등으로 구성된다. 주로 유상성분에 계면활성제 및 왁스류를 녹여 수상성분과 혼합하여 유화입자를 만들고 이를 계면활성제 등을 통해 안정화시키는 방식으로 제조되며 영양감을 가지고 보습력 등 효능이 스킨에 비해 뛰어나다.
이처럼 스킨과 같은 저점도 화장료는 로션이나 에센스 제형과 많이 달라서 스킨과 같은 사용감을 유지하면서 로션이나 에센스와 같은 영양감과 보습감을 주기는 힘든 문제가 있다. 스킨 형태의 제형은 왁스상의 영양감을 줄 수 있는 원료들을 안정화시키기가 힘든 문제가 있고 로션과 에센스 같은 제형은 영양감은 충분히 줄 수 있지만 스킨과 같은 발림성을 구현하기가 힘든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여러 단계로 나뉘어 있는 화장순서를 간소화하여 하나의 제품만 사용할 수 있도록 스킨과 같은 저점도 형태로 가볍고 넓게 발리는 장점을 갖고 있으며 로션이나 에센스의 영양감을 함께 확보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
대한민국 특허 제473262호, 2005.02.1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60175호, 2002.07.16
본 발명의 목적은 로션 및 에센스와 같이 풍부한 영양감과 함께 높은 보습 효과를 가지면서도 스킨과 같이 가볍고 넓게 발리는 사용감을 동시에 가지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분산성 실리콘 왁스 및 실리콘 분체를 함유하는 수상성분 및 유상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수분산성 실리콘 왁스, 실리콘 분체 및 유상성분의 총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인, 점도 1000 cps 이하의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수상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40 중량%의 수용성 보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및 에센스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수분산성 실리콘 왁스, 실리콘 분체 및 소량의 유상성분을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시킴으로써 에센스와 같은 영양감과 보습감을 줄 수 있으면서도 저점도 타입으로 가볍고 넓게 발리는 스킨 본연의 특성이 있어 스킨, 로션, 에센스로 나눠진 화장 단계를 한 번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비교 품질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시간에 따른 보습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2주간 사용 후 전체적인 사용감 만족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분산성 실리콘 왁스 및 실리콘 분체를 함유하는 수상성분 및 유상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수분산성 실리콘 왁스, 실리콘 분체 및 유상성분의 총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인, 점도 1000 cps 이하의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감 개선제로 수분산성 실리콘 왁스, 실리콘 분체 및 소량의 유상성분을 적절한 함량으로 포함하여 저점도 형태에서도 높은 영양감과 보습감을 주며, 스킨과 같이 점성이 낮아 가벼운 사용감을 내고 넓게 바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수분산성 실리콘 왁스, 실리콘 분체 및 유상성분의 총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 영양감이 느껴지지 않으며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스킨의 산뜻한 사용감이 사라지고 안정성이 좋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수분산성 실리콘 왁스는 보습력, 영양감, 가벼운 사용감을 동시에 제공하기 위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수분산성 실리콘 왁스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실리콘류에 수용성 반응기를 합성하여 수분산이 가능하도록 만든 것으로, 예컨대, 비스-피이지-18 메칠에텔디메칠실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분체는 보습력, 영양감, 가벼운 사용감을 동시에 제공하기 위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실리콘 분체는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로서 세테아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세테아릴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3, 디메치콘/피이지-10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0/15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5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페닐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릴-3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코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실리카크로스폴리머, 디페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라우릴디메치콘피이지-15크로스폴리머, 라우릴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또는 비닐디메치콘/라우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등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성분으로 수용성 보습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보습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은데, 상기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보습 효과가 떨어지고, 4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사용감 및 제형 형태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수용성 보습제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원료인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메칠프로판디올, 솔비톨, 디글리세린, 에리스리톨, 펜타에리스리톨, 폴리부틸렌글라이콜-10, 폴리글리세린-3, 폴리글리세린-4, 폴리글리세린-6, 폴리글리세린-10, 폴리글리세린-20, 폴리글리세린-40, 소르베스-5, 소르베스-6, 소르베스-20, 소르베스-30, 소르베스-40, 이노시톨, 말티톨, 말토스, 만난, 만니톨, 만노스,락티톨, 락토스, 디하이드록시프로필 PG-글루코사이드, 디치아옥탄디올, 프룩토오스, 글루카민, 메칠글루카민, 글루코스, 1,2,6-헥산치올, 메칠글루세스-10, 메칠글루세스-20, 오조니즈드글리세린, 피탄트리올, 치오글리세린, 트레이톨, 트리메칠올프로판, 또는 자이리톨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영양, 사용감, 저온안정성, 효능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수용성 고분자, 염류 등의 수용성 원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원료들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이내로 포함되는 것이 좋은데,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높아지고 사용감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원료들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원료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상성분은 끈적이는 사용감을 줄이고 적절한 영양감을 주기 위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유상성분은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실리콘류 및 비실리콘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류는 구체적으로는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헵타실록산,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페닐메치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트리실록산, 디메치콘, 카프릴디메치콘, 카프릴릴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세테아릴메치콘, 헥사데실메치콘, 헥실메치콘, 라우릴메치콘, 미리스칠메치콘, 페닐메치콘, 스테아릴메치콘, 스케아릴디메치콘,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치콘, 세틸디메치콘,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메틸크트리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등의 실리콘계 유동성 오일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실리콘류 오일은 아스코빌팔미테이트, 아스코빌리놀레이트, 아스코빌스테아레이트, 디스테아릴말레이트, 벤질벤조에이트, 벤질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이소노나노에이트, 부틸렌글리콜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스테아레이트, 부틸이소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세테아릴노나노에이트, 세틸카프릴레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에틸헥실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헥실라우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옥틸도데실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카프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이소노나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헥사노인 등의 에스테르류; 유동파라핀(리퀴드 파라핀, 미네랄오일), 파라핀, 바세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스쿠알라렌 등의 탄화수소류; 아보카도 오일, 밀배아오일, 로즈힙 오일, 쉐어버터, 아몬드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유, 동백오일, 옥수수오일, 잇꽃오일, 대두오일, 유채꽃 오일, 마카나디아넛츠 오일, 호호바 오일, 카카오 버터, 팜오일, 팜핵오일, 코코넛 오일 등의 식물성 오일; C8 -12 애씨드트리글리세라이드, C12 -18 애씨드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라우릭트리글리세라이드, C10 -40 이소알킬애씨드트리글리세라이드, C10 -18 트리글리세라이드, 글리세릴트리아세틸하이드로스테아레이트, 소이빈글리세라이드, 트리베헤닌, 트리카프린, 트리에틸헥사노인, 트리헵타노인, 트리이소스테아린, 트리팔미틴, 트리스테아린 등의 유지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유화제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 합성 또는 천연 계면활성제, 예컨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유기적으로 개질된 유기폴리실록산으로 디메티콘코폴리올을 포함한다. 이러한 물질은 폴리에테르 측쇄,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옥사이드사슬,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사슬, 이러한 사슬의 혼합물, 및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 모두로부터 유래된 부분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사슬을 포함하도록 개질된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이다. 다른 예는 알킬-개질디메티콘코폴리올, 즉 C2-C30 펜던트 측쇄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계면활성제로서 유용한 디메티콘코폴리올과 기타 실리콘계 계면활성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펜던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공중합체, 펜던트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펜던트 혼합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펜던트 혼합 폴리(에틸렌)(프로필렌)옥사이드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펜던트 유기베타인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펜던트 카르복실레이트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펜던트 4차암모늄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와, 펜던트 C2-C30 직쇄, 분지쇄, 또는 사이클릭알킬 부분을 함유하는 공중합체들의 추가의 변형을 포함한다. 디메티콘코폴리올의 다른 비제한적 예에는 라우릴다이메티콘코폴리올, 라우릴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코폴리올, 디메티콘코폴리올아세테이트, 디메티콘코폴리올 아디페이트, 디메티콘코폴리올아민, 디메티콘코폴리올베헤네이트, 디메티콘코폴리올부틸에테르, 디메티콘코폴리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디메티콘코폴리올아이소스테아레이트, 디메티콘코폴리올 라우레이트, 디메티콘코폴리올메틸에테르, 디메티콘코폴리올포스페이트, 또는 디메티콘코폴리올스테아레이트 등이 포함된다.
상기 유화제는 끈적이는 사용감을 줄이기 위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이내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좋은데, 유상성분과 유화제의 함량이 낮아 유중수형으로 제조할 경우 제형 안정성이 좋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개선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개선 물질로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디오스메틴, 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 메이스리그난, 백출유,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콕시페닐트리아진, 숙수자종자추출물, 아세틸피토스핑고신,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아시아티코사이드, 알부틴, 에칠아스코빌에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감초추출물, 작약추출물, 진세노사이드알이, 징크옥사이드, 티타늄옥사이드, 폴리다틴,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 프란게니딘, 하이드록시프롤린, 알부틴, 호모살레이트, 휴먼 올리고펩타이드-1, 메리로드 추출물, 아파니조미난 플로스 아쿠아 추출물, 천년초 선인장 추출물, 하고초 추출물, 여우구슬 추출물, 키네틴, 아미노부티릭애씨드, 올리고펩타이드-2, 백지 추출물, 작약 추출물, 들쭉 추출물, 인삼 추출물 또는 발효사탕수수 추출물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들 이외에 일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호박 추출물, 히비스커스꽃 추출물, 마돈나백합꽃 추출물, 매실 추출물, 국화꽃 추출물, 홍삼 추출물, 가시오갈피뿌리 추출물, 브델리아 추출물, 선백리향 추출물, 회향 추출물, 호프 추출물, 레몬밤잎 추출물, 겨우살이잎 추출물, 캐모마일꽃 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등의 식물성 추출물, 메이스리그난, 백출유,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콕시페닐트리아진, 숙수자종자추출물, 아세틸피토스핑고신,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아시아티코사이드, 알부틴, 에칠아스코빌에텔,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 프란게니딘, 하이드록시프롤린, 알부틴, 안정화제,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합성 오일, 자외선 차단제, 향료, 산화방지제, pH 조절제 등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에센스와 같이 풍부한 영양감과 보습력, 스킨과 같은 산뜻하고 가벼운 사용감을 가지고 있어 스킨, 로션 및 에센스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과 함량(단위: 중량%)에 따라 수상의 원료 1 내지 9를 비이커에 계량한 후 45~50℃의 온도에서 HOMO MIX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유상원료인 원료 10 및 11을 비이커에 계량한 후 45~50℃의 온도에서 HOMO MIX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균일하게 혼합된 유상을 수상에 서서히 투입한 후 45~50℃에서 5000rpm으로 5분간 유화시켰다. 유화 후 온도를 유지하며 원료 12와 13을 첨가하여 5000rpm으로 3분간 유화시키고 탈포한 후 냉각하여 수중유형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C12-14-파레스-12 (원료 8)은 계면활성제로 사용되었다.
원료명 (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1 트리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2 암모늄아클리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폴리머 0.3 0.3 0.3 0.3 0.3 0.3
3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1 0.1 0.1 0.1 0.1 0.1
4 글리세린 3.0 5.0 3.0 3.0 25.0 3.0
5 프로판디올 2.0 3.0 2.0 2.0 20.0 2.0
6 비스 -피이지-18 메칠에텔디메칠실란 1.0 1.0 2.0 - 1.0 5.0
7 디메치콘 /비닐디 메치콘크로스폴리머 0.7 0.7 1.0 - 0.7 3.0
8 C12-14-파레스-12 0.03 0.03 0.03 0.03 0.03 0.03
9 정제수 To 100
1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0.5 0.5 1.0 - 0.5 3.0
11 트리에칠헥사노인 0.5 0.5 1.0 - 0.5 3.0
12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3 pH 조절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험예 1> 사용감 개선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스킨, 로션, 에센스를 함께 포함하는 저점도 화장료의 사용감을 시험자를 대상으로 관능 평가하였다. 피험자는 30세 내지 50세의 성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세안 후 견본 하나만 사용한 후 사용감을 하기 기술된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매우 나쁨 : 1, 나쁨 : 2, 보통 : 3, 좋음 : 4, 매우 좋음 : 5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저점도 화장료를 사용한 경우 발림성, 촉촉함, 끈적임, 영양감, 사용후 느낌 등 여러 평가 부분에서 전체적인 만족도가 비교예 1에 비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보습력 개선 평가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의 제형에 따른 지속적인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연속적 사용 후 보습력을 평가하였다. 피험자는 30세 내지 50세의 성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아침, 저녁으로 세안 후 견본 하나만 2주간 사용한 후 사용감 및 효과를 상기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듯이 수분산성 실리콘 왁스와 실리콘 분체 및 소량의 유상성분 복합물을 사용하게 되면 그렇지 않은 견본에 비해 보습력이 뛰어나게 평가되었다.
또한, 도 3에 나타나듯 일반적으로 상기 복합물 또는 보습제의 함량을 늘릴수록 보습력은 높게 평가되나 그에 반비례하여 사용감 만족도는 떨어지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제형에 따른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조건별 경시 안정성을 하기 안정성 평가 기준에 따라 관능평가 하였다. 안정성 평가는 0℃, 25℃, 45℃, 50℃, -15℃, 형광, 일광 조건 하에서 4주간 정치시킨 후 변취, 변색, 상분리 등의 항목을 평가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안정성 평가 기준>
안정 : ○, 보통 : △, 불안정 : X
실험예1 실험예2 실험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1주
2주
3주 X
4주 X
표 2에서 보듯이 수분산성 실리콘 왁스와 실리콘 분체 및 유상성분 복합물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대비 10 중량%를 초과하거나, 수용성 보습제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대비 40 중량%를 초과하면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4)

  1. 수분산성 실리콘 왁스 및 실리콘 분체를 함유하는 수상성분 및 유상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수분산성 실리콘 왁스, 실리콘 분체 및 유상성분의 총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인, 점도 1000 cps 이하의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수분산성 실리콘 왁스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수분산성 실리콘 왁스는 비스-피이지-18 메칠에텔디메칠실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실리콘 분체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실리콘 분체는 세테아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세테아릴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3, 디메치콘/피이지-10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0/15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5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페닐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릴-3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코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실리카크로스폴리머, 디페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라우릴디메치콘피이지-15크로스폴리머, 라우릴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및 비닐디메치콘/라우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수상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40 중량%의 수용성 보습제를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수용성 보습제는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메칠프로판디올, 솔비톨, 디글리세린, 에리스리톨, 펜타에리스리톨, 폴리부틸렌글라이콜-10, 폴리글리세린-3, 폴리글리세린-4, 폴리글리세린-6, 폴리글리세린-10, 폴리글리세린-20, 폴리글리세린-40, 소르베스-5, 소르베스-6, 소르베스-20, 소르베스-30, 소르베스-40, 이노시톨, 말티톨, 말토스, 만난, 만니톨, 만노스,락티톨, 락토스, 디하이드록시프로필 PG-글루코사이드, 디치아옥탄디올, 프룩토오스, 글루카민, 메칠글루카민, 글루코스, 1,2,6-헥산치올, 메칠글루세스-10, 메칠글루세스-20, 오조니즈드글리세린, 피탄트리올, 치오글리세린, 트레이톨, 트리메칠올프로판 및 자이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유상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유상성분은 실리콘류, 에스테르류, 탄화수소류, 식물성 오일 및 유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화제를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인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디오스메틴, 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 메이스리그난, 백출유,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콕시페닐트리아진, 숙수자종자추출물, 아세틸피토스핑고신,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아시아티코사이드, 알부틴, 에칠아스코빌에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감초추출물, 작약추출물, 진세노사이드알이, 징크옥사이드, 티타늄옥사이드, 폴리다틴,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 프란게니딘, 하이드록시프롤린, 알부틴, 호모살레이트, 휴먼 올리고펩타이드-1, 메리로드 추출물, 아파니조미난 플로스 아쿠아 추출물, 천년초 선인장 추출물, 하고초 추출물, 여우구슬 추출물, 키네틴, 아미노부티릭애씨드, 올리고펩타이드-2, 백지 추출물, 작약 추출물, 들쭉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발효사탕수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피부 개선 물질을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안정화제,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합성 오일, 자외선 차단제, 향료, 산화방지제 및 pH 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및 에센스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제형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064876A 2013-06-05 2013-06-05 스킨, 로션 및 에센스의 기능과 사용감을 갖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20140143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876A KR20140143005A (ko) 2013-06-05 2013-06-05 스킨, 로션 및 에센스의 기능과 사용감을 갖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876A KR20140143005A (ko) 2013-06-05 2013-06-05 스킨, 로션 및 에센스의 기능과 사용감을 갖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005A true KR20140143005A (ko) 2014-12-15

Family

ID=52460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876A KR20140143005A (ko) 2013-06-05 2013-06-05 스킨, 로션 및 에센스의 기능과 사용감을 갖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300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8724A (zh) * 2015-06-09 2016-06-29 广州艾玫格生物科技有限公司 修复皮肤的化妆品组合物
CN108113898A (zh) * 2018-02-11 2018-06-05 颜值堂(广州)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祛斑组合物的制备工艺、祛斑组合物及应用
US10456343B2 (en) 2017-01-26 2019-10-29 L'oreal Microemulsion compositions comprising polydatin and method of use
CN115670962A (zh) * 2022-11-23 2023-02-03 上海绵花棠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双管持妆保湿粉底精华液及其制备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8724A (zh) * 2015-06-09 2016-06-29 广州艾玫格生物科技有限公司 修复皮肤的化妆品组合物
US10456343B2 (en) 2017-01-26 2019-10-29 L'oreal Microemulsion compositions comprising polydatin and method of use
CN108113898A (zh) * 2018-02-11 2018-06-05 颜值堂(广州)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祛斑组合物的制备工艺、祛斑组合物及应用
CN108113898B (zh) * 2018-02-11 2020-07-24 颜值堂(广州)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祛斑组合物的制备工艺、祛斑组合物及应用
CN115670962A (zh) * 2022-11-23 2023-02-03 上海绵花棠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双管持妆保湿粉底精华液及其制备方法
CN115670962B (zh) * 2022-11-23 2024-01-30 上海绵花棠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双管持妆保湿粉底精华液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710B1 (ko) 유중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
JP5361089B2 (ja)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KR101044196B1 (ko)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용 조성물
US20130345317A1 (en) Water-releasing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a hydrophobic silica and a co-emulsifier
KR101521265B1 (ko) 투명 또는 반투명 겔 형상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DE19852212A1 (de) Zubereitungen vom Emulsionstyp W/O mit erhöhtem Wassergehalt, enthaltend ferner ein oder mehrere Alkylmethiconcopolyole und/oder Alkyl-Dimethiconpolyole sowie kationische Polymere
CN108348426B (zh) 含壬酸酯的水性化妆品组合物
TW201907898A (zh) W/o型乳化物
KR102498844B1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CN112566612A (zh) 多层化妆料
KR20140143005A (ko) 스킨, 로션 및 에센스의 기능과 사용감을 갖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5658A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US11696886B2 (en) Cosmetic
JP2014172853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CN104994834B (zh) 气溶胶型防晒化妆料
JP4250093B2 (ja) 化粧料
GB2422605A (en) Ionic thickening agent for compositions
KR20160056842A (ko) 점증제 없이 점도 및 경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70897B1 (ko) 유중수형 냄새제거 화장료 조성물
JP6929333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101338503B1 (ko) 비중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2063984A (ja) 水中油型乳化固形化粧料
DE102015222479A1 (de) Gelförmiges Haarfestigungsmittel
JPWO2019045056A1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6328583B2 (ja) ジェル状水中油型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