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897B1 - 유중수형 냄새제거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중수형 냄새제거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897B1
KR101470897B1 KR1020130014465A KR20130014465A KR101470897B1 KR 101470897 B1 KR101470897 B1 KR 101470897B1 KR 1020130014465 A KR1020130014465 A KR 1020130014465A KR 20130014465 A KR20130014465 A KR 20130014465A KR 101470897 B1 KR101470897 B1 KR 101470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ilicone oil
weight
cosmetic composition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1159A (ko
Inventor
박진서
박병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30014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897B1/ko
Publication of KR20140101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Zo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실리콘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비실리콘계 오일:실리콘계 오일의 중량비가 1:0.02 내지 1:0.3인 유상 10 내지 40 중량부; 및
수상 4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냄새제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중수형 조성물로, 냄새 원인 성분이 휘발되어 냄새로 인식되는 과정에서 냄새 원인 성분이 공기중으로 휘발되는 속도를 늦추어 효과적인 냄새 제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유중수형 냄새제거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deordorizing W/O emulsion}
본 발명은 담배냄새 커버 및 제거가 우수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우수한 안정성을 지니며, 피부에 큰 자극 없이 냄새 커버에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흡연 시 손에 배는 담배 냄새의 주요 원인은 담배에 함유되어 있는 담배 타르가 손에 배기 때문이다. 담배 타르(담뱃진)는 담배에 포함되어 있는 200여 종의 화합물을 총칭하는데, 흔히 담배를 필 때, 필터나 파이프가 검게 변하는 것이 이 타르 성분 때문이다. 담배가 약 880℃로 연소할 때, 담배 타르는 작은 입자로 연기 속에 존재하며, 이를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연기 1 ml 속에 0.01 내지 1.0 ㎛의 입자가 100만 개 이상 들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몸에 배인 담배 냄새, 땀냄새 및 음식 냄새 등을 가리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좋은 향취가 나는 물질을 통하여 악취를 가리는 마스킹 방법이다. 상기 마스킹 방법은 예로부터 사용된 방법으로, 보다 강한 향으로 약한 냄새를 가리므로, 강한 향을 필요로하며 이로 인해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 상기 마스킹 방법을 이용한 예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화장품, 향수 또는 섬유탈취제 등을 들 수 있다.
둘째, 냄새 원인 성분을 분해 혹은 변형 시켜 냄새 성분 자체를 없애는 탈취·소취 방법이다. 상기 탈취·소취 방법은 냄새의 원인 성분을 없애기 때문에 냄새 제거의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냄새 성분은 한 자리에 머물러 있지 않고, 공기 중에 떠돌아 다니기 때문에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실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또한, 상기 방법을 인체에 사용 시, 즉시적 효과를 위해서는 빠른 반응이 필요하지만 이는 자극의 우려가 있고, 이러한 자극을 없애기 위해서 저 농도로 느린 반응을 유도할 때에는 즉시성에서 매우 취약함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몸에 배는 담배 냄새 등의 냄새를 효과적으로 없애기 위한 방법이 오랜 시간 동안 강구되어 왔다. 특히 화장품, 생활용품 및 제약 산업 분야에서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상기 연구의 대부분은 강한 향을 사용하여 냄새를 덮거나, 이에 더하여 탈취·소취제를 사용하여 냄새 원인을 잡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냄새 성분의 대부분은 알데히드기를 지닌 저분자 물질이므로, 휘발성이 강하여 장시간의 효과를 거두기 힘들었다. 따라서 인체에 밴 냄새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의 적용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뛰어난 냄새 제거 효과를 위해 냄새 원인 성분의 휘발을 지연시키고,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인체에 자극이 미미한 농도의 탈취·소취제의 사용만으로도 즉시적인 냄새 완화 및 제거 효과가 우수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비실리콘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비실리콘계 오일:실리콘계 오일의 중량비가 1:0.02 내지 1:0.3인 유상 10 내지 40 중량부; 및
수상 4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냄새제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비실리콘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비실리콘계 오일:실리콘계 오일의 중량비가 1:0.02 내지 1:0.3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체에 밴 담배 냄새 등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덮어주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냄새 원인 성분이 휘발되어 냄새로 인식되는 과정에서 냄새 원인 성분이 공기중으로 휘발되는 속도를 늦추어 효과적인 냄새 제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자극 평가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비실리콘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비실리콘계 오일:실리콘계 오일의 중량비가 1:0.02 내지 1:0.3인 유상 10 내지 40 중량부; 및
수상 4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냄새제거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냄새제거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 냄새 커버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은 향에 의한 마스킹 효과에 기대할 수밖에 없었는데, 이는 냄새 커버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형태를 수중유형으로 선택했기 때문이다. 수중유형 에멀젼은 외상이 친수성이기 때문에, 냄새의 원인 성분이 공기 중으로 휘발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해하지 못하므로 좋은 향을 통한 마스킹법을 이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탈취제가 냄새 원인 성분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도록 냄새 원인 성분을 물리적으로 일정시간 가두어 두고 서서히 휘발되게 함으로써 냄새 제거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는 비극성이 강한 비실리콘계 오일의 함량을 이상적으로 조절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상은 오일로 구성된다. 상기 오일의 종류에 따라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냄새 제거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서는 오일로 비실리콘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실리콘계 오일은 피부에 도포되면서 냄새 원인 성분들의 퍼짐 현상을 저해하므로, 냄새 제거 효과에 도움을 주며, 실리콘계 오일은 일반적으로 냄새 제거 효과를 감소시킨다.
상기 비실리콘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비실리콘계 오일:실리콘계 오일의 중량비가 1:0.02 내지 1:0.3, 구체적으로 1:0.05 내지 1:0.2, 보다 구체적으로 1:0.1 내지 1:0.15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피부 자극 없이 사용감이 우수하며, 냄새 제거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비율이 1:0.02 미만이면, 냄새 성분의 휘발이 과하게 차단되어 피부 자극의 우려 및 화장료로서의 사용감이 좋지 않으며, 1:0.3을 초과하면, 냄새 제거 효과가 크지 않다.
여기서, 비실리콘계 오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에스테르류, 탄화수소류, 식물성 오일 또는 유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류로는 아스코빌팔미테이트, 아스코빌리놀레이트, 아스코빌스테아레이트, 디스테아릴말레이트, 벤질벤조에이트, 벤질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이소노나노에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부틸렌글리콜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스테아레이트, 부틸이소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세테아릴노나노에이트, 세틸카프릴레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에틸헥실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헥실라우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옥틸도데실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카프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이소노나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및 트리에틸헥사노인으로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탄화수소류로는 유동파라핀(리퀴드 파라핀, 미네랄오일), 파라핀, 바세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및 스쿠알라렌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식물성 오일로는 아보카도 오일, 밀배아오일, 로즈힙 오일, 쉐어버터, 아몬드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유, 동백오일, 옥수수오일, 잇꽃오일, 대두오일, 유채꽃 오일, 마카나디아넛츠 오일, 호호바 오일, 카카오 버터, 팜오일, 팜핵오일 및 코코넛 오일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유지로는 C8-12애씨드트리글리세라이드, C12-18애씨드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라우릭트리글리세라이드, C10-40이소알킬애씨드트리글리세라이드, C10-18트리글리세라이드, 글리세릴트리아세틸하이드로스테아레이트, 소이빈글리세라이드, 트리베헤닌, 트리카프린, 트리에틸헥사노인, 트리헵타노인, 트리이소스테아린, 트리팔미틴 및 트리스테아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계 오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실리콘계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리콘계 유동성 오일 또는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유동성 오일로는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헵타실록산,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페닐메치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트리실록산, 디메치콘, 카프릴디메치콘, 카프릴릴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세테아릴메치콘, 헥사데실메치콘, 헥실메치콘, 라우릴메치콘, 미리스칠메치콘, 페닐메치콘, 스테아릴메치콘, 스케아릴디메치콘,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치콘, 세틸디메치콘,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메틸크트리메치콘 및 페닐트리메치콘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로는 세테아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세테아릴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3, 디메치콘/피이지-10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0/15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5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페닐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릴-3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코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실리카크로스폴리머, 디페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라우릴디메치콘피이지-15크로스폴리머, 라우릴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및 비닐디메치콘/라우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등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상은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부, 구체적으로 15 내지 3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냄새제거 화장료 조성물에서 수상의 성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상은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내지 60 중량부, 구체적으로 45 내지 5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화제는 수상을 유상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유화제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유화입자의 크기, 유화의 안정성 및 사용감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화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합성 계면활성제 및 천연계면 활성제, 예를 들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비온성 계면활성제, 보다 구체적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는 유기적으로 개질된 유기폴리실록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적으로 개질된 유기폴리실록산은 폴리에테르 측쇄,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사슬,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사슬 또는 상기 사슬의 혼합물과 에틸렌 옥사이드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두로부터 유래된 부분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 사슬을 포함하도록 개질된 폴리다이메틸 실록산이다. 본 발명에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는 디메티콘 코폴리올, 구체적으로, 알킬-개질 디메티콘 코폴리올, 보다 구체적으로 C2-C30 펜던트 측쇄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 펜던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펜던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펜던트 혼합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및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펜던트 혼합 폴리(에틸렌)(프로필렌)옥사이드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펜던트 유기베타인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펜던트 카르복실레이트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펜던트 4차 암모늄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및 펜던트 C2-C30 직쇄, 분지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 부분을 함유하는 공중합체들의 추가의 변형을 사용할 수 있다. 디메티콘 코폴리올의 다른 비제한적 예에는 라우릴 다이메티콘 코폴리올, 라우릴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티콘 코폴리올, 디메티콘 코폴리올 아세테이트, 디메티콘 코폴리올 아디페이트, 디메티콘 코폴리올아민, 디메티콘 코폴리올 베헤네이트, 디메티콘 코폴리올 부틸에테르, 디메티콘 코폴리올 하이드록시 스테아레이트, 디메티콘 코폴리올 아이소스테아레이트, 디메티콘 코폴리올 라우레이트, 디메티콘 코폴리올 메틸 에테르, 디메티콘 코폴리올 포스페이트, 디메티콘 코폴리올 스테아레이트 및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소듐 라우레이트, 소듐 팔미테이트,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칼륨 라우릴 설페이트, POE-라우릴 설페이트의 트리에탄올아민염, 소듐 POE-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라우로일사르코신, 소듐 N-미리스토일-N-메틸-타우린, 소듐 N-코코일-N-메틸 타우레이트, 소듐 라우로일메틸 타우레이트, 소듐 POE-올레일 에테르 포스페이트, 소듐 POE-스테아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소듐 디-2-에틸헥실 설포숙시네이트, 소듐 모노라우로일 모노에탄올아미도폴리옥시에틸렌설포숙시네이트, 소듐 라우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설포숙시네이트, 소듐 선형 도데실젠설포네이트, 소듐 선형 도데실젠설포네이트, 모노소듐 N-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디소듐 N-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모노소듐 N-미리스토일-L-글루타메이트, 경화된 코코넛유 지방산 에스테르, POE-알킬 에테르 카르복실산염, POE-알킬아릴 에테르 카르복실산염, α-올레핀설폰산염,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설폰산염, 2 차 알코올 설페이트 에스테르염, 고급 지방산 알킬롤아미드 설페이트 에스테르염, 소듐 라우로일 모노에탄올아미도숙시네이트, N-팔미토일아스파르트산 디-트리에탄올아민염 및 소듐 카세이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라우릴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 클로라이드,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알킬테트라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르폴리늄염, POE-알킬아민, 알킬아민염, 폴리아민 지방산 유도체, 아밀 알코올 지방산 유도체,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및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는, 소듐 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 디소듐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 히드록시드-1-카르복시에틸옥시,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 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알킬 베타인, 아미드 베타인 및 설포베타인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 구체적으로, 2 내지 4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수상 및 유상의 유화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유화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경시 안정성에서 에멀젼의 분리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5 중량부를 초과하면, 사용감이 크게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탈취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제는 유상 중의 비실리콘계 오일에 의해 휘발이 지연된 냄새 원인 성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탈취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탈취제 성분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천연 탈취 효과가 있는 탈취제를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편백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감잎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솔잎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편백나무 추출물(또는 편백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은 편백나무의 잎, 뿌리, 줄기 및 열매 등을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탈취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부, 구체적으로 0.5 내지 20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 1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냄새 원인 성분의 탈취 효과가 우수하며, 탈취제를 과량 사용할 경우, 탈취 효과는 우수하나 피부 자극에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또는 향료 등의 보조제 및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호박 추출물, 히비스커스꽃 추출물, 마돈나백합꽃 추출물, 매실 추출물, 국화꽃 추출물, 홍삼 추출물, 가시오갈피뿌리 추출물, 브델리아 추출물, 선백리향 추출물, 회향 추출물, 호프 추출물, 레몬밤잎 추출물, 편백수, 편백정유, 겨우살이잎 추출물, 캐모마일꽃 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등의 식물성 추출물, 메이스리그난, 백출유,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콕시페닐트리아진, 숙수자종자추출물, 아세틸피토스핑고신,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아시아티코사이드, 알부틴, 에칠아스코빌에텔,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 프란게니딘, 하이드록시프롤린, 알부틴 및 자외선 차단제 등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화장품으로 제조하는 경우, 제조되는 화장품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쉬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실리콘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비실리콘계 오일:실리콘계 오일의 중량비가 1:0.02 내지 1:0.3인 냄새제거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비실리콘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전술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부 외용제 제형으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와 같은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3 >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 성분 및 함량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먼저, 유상부인 원료 1 내지 4를 계량하고, 75℃까지 가온하여 호모믹서(HOMO Mixer)로 균일하게 혼합한 후, 원료 5를 소량씩 천천히 투입하여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또한, 수상부인 원료 6 내지 11을 계량하고 75℃까지 가온하여 디스퍼(Disper)로 균일하게 혼합한 후, 상기 수상부를 유상부에 천천히 투입하면서 유화시켰다. 유화는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5000 RPM, 75℃ 및 10분 동안 실시하고, 이후 서서히 냉각하다가 50℃에서 향을 투입하여 호모믹서로 완전 분산시킨 후 탈포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부)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1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14.0 14.0 14.0
2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3.0 3.0 3.0
3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2.0 2.0 2.0
4 디메치콘 1.0 1.0 1.0
5 쿼터늄-18헥토라이트 0.6 0.6 0.6
6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7 글리세린 5.0 5.0 5.0
8 편백수 2.0 15 -
9 부틸렌글라이콜 5.0 5.0 5.0
10 염화나트륨 1.0 1.0 1.0
11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12 적량 적량 적량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 성분 및 함량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먼저, 유상부인 원료 1 내지 8을 계량하고 75℃까지 가온하여 호모믹서(HOMO Mixer)로 균일하게 혼합시켰다. 또한, 수상부인 원료 9 내지 14를 계량하고 75℃까지 가온하여 디스퍼(Disper)로 균일하게 혼합한 후, 상기 유상부를 수상부에 투입하면서 유화시켰다. 유화는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5000 RPM, 75℃ 및 10분 동안 실시하고, 이후 원료 15를 투입하여 다시 5분간 유화시켰다. 이후 서서히 냉각하다가 50℃에서 향을 투입하여 호모믹서로 완전 분산시킨 후 탈포하여 일반적인 수중유형의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부)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1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1.0 1.0 1.0
2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1.0 1.0 1.0
3 밀납 0.5 0.5 0.5
4 스쿠알란 5.0 5.0 5.0
5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3.0 3.0 3.0
6 디메틸실록산 0.3 0.3 0.3
7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0.5 0.5
8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8.0 8.0 8.0
9 정제수 To 100
10 편백수 2.0 15 -
11 글리세린 5.0 5.0 5.0
12 디프로필렌글리콜 5.0 5.0 5.0
13 카르복시폴리머 0.22 0.22 0.22
14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15 트리에탄올아민 0.22 0.22 0.22
16 적량 적량 적량
<실험예 1> 피부 자극 테스트
피부 자극 테스트는 피부질환이 없는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 의해 제조된 에멀젼(20ul)이 도포된 IQ Ultra Chamber를 실험 대상자의 팔에 부착한 뒤, 첩포 24시간 후 패치를 제거하고, 2시간 후 피부 자극성을 판정하였다.
판정은 <CTFA/ICDRG guideline, Textbook of Contact Dermatitis>를 참고하였고, 하기의 표 3 및 식 1에 따라 피부 자극 지수를 도출하였다.
자극도
(Score)
자극반응
(Reaction)
판정기준
0 - 아무런 반응이 없음
0.5 +/- 약한 홍반
1 + 명확한 홍반
2 ++ 부종을 동반한 심한 홍반
3 +++ 심한홍반, 수포, 부종 동반
[식 1]
피부자극지수=[∑(Score X No. of responses)] / [20(No. of total subjects) X 1(총 자극 평가 횟수)]
상기 피부 자극 테스트의 결과를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편백수의 함량에 따라 유중수형(실시예 1 내지 3) 에멀젼 및 수중유형(비교예 1 내지 3) 에멀젼에서 동일하게 피부자극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부에 직접 도포하여 사용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가급적 탈취제의 사용량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담배냄새 제거 효과
담배 냄새 제거 효과 테스트는 20명의 흡연자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 의해 제조된 에멀젼을 실험 대상자가 흡연 후 평소 핸드크림을 바르듯이 발라 이때 탈취, 소취 결과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주관적인 효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응답자수
매우 우수 우수 미흡 매우 미흡
실시예1 도포 직후 8 12 1 0
10분 후 14 6 0 0
실시예2 도포 직후 13 6 1 0
10분 후 16 4 0 0
실시예3 도포 직후 4 12 3 1
10분 후 5 13 1 1
비교예1 도포 직후 3 7 8 2
10분 후 0 2 8 10
비교예2 도포 직후 9 7 4 0
10분 후 4 7 9 0
비교예3 도포 직후 0 4 9 7
10분 후 0 2 8 10
상기 표 4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형의 화장료가 담배냄새를 탈취 및 소취하는데 큰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중수형의 화장료에 소량의 탈취제를 첨가하는 것만으로도 수중유형의 화장료보다 우수한 효과를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유중수형 화장료의 외상인 오일이 유막을 형성하여, 냄새 성분의 즉시적 휘발을 저해하는 역할을 하고 이에 따라 탈취, 소취 성분이 효과가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실험예 3> 소비자 만족도 평가
소비자 만족도 평가는 성인 남성 60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실험 대상자는 3개의 군으로 나누었으며, 실시예 1 내지 3 과 비교예 1 내지 3의 에멀젼을 각 군에 적절히 조절하여 얼굴 양쪽 부위에 사용하게 한 후, 다음 평가 기준에 따라 담배냄새 개선 정도, 보습력, 전반적인 만족감 등의 소비자 만족도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 매우 나쁨 : 1
- 나쁨 : 2
- 보통 : 3
- 좋음 : 4
- 매우 좋음 : 5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담배냄새 개선 4.4 4.6 3.3 3.2 3.7 2.5
자극성 3.8 1.6 4.1 3.8 1.8 4.0
전반적인 사용감 4.1 3.6 4.2 4.3 3.5 4.3
상기 표 5의 결과로부터, 전반적으로 유중수형의 실시예 1 내지 3의 에멀젼이 수중유형의 비교예 1 내지 3의 에멀젼에 비해 담배냄새 개선효과가 우수하며, 특히 실시예 1의 경우 자극이 심하지 않으면서도 담배냄새 개선에는 큰 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편백수의 탈취/소취 효과가 우수하나, 수중유형에서 사용되기 보다 오일 막을 형성시킬 수 있는 유중수형의 화장료에서 사용할 때 그 효과가 더 우수해짐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비실리콘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비실리콘계 오일:실리콘계 오일의 중량비가 1:0.02 내지 1:0.3인 유상 10 내지 40 중량부; 및
    수상 4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냄새제거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비실리콘계 오일은 에스테르류, 탄화수소류, 식물성 오일 또는 유지인 냄새제거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실리콘계 오일은 실리콘계 유동성 오일 또는 실리콘계 크로스 폴리머인 냄새제거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유화제를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5 중량부 더 포함하는 냄새제거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탈취제를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30 중량부 더 포함하는 냄새제거 화장료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탈취제는 편백나무 추출물,녹차 추출물, 감잎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솔잎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냄새제거 화장료 조성물.
  7. 비실리콘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비실리콘계 오일:실리콘계 오일의 중량비가 1:0.02 내지 1:0.3인 냄새제거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30014465A 2013-02-08 2013-02-08 유중수형 냄새제거 화장료 조성물 KR101470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465A KR101470897B1 (ko) 2013-02-08 2013-02-08 유중수형 냄새제거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465A KR101470897B1 (ko) 2013-02-08 2013-02-08 유중수형 냄새제거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159A KR20140101159A (ko) 2014-08-19
KR101470897B1 true KR101470897B1 (ko) 2014-12-09

Family

ID=51746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465A KR101470897B1 (ko) 2013-02-08 2013-02-08 유중수형 냄새제거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8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592A (ko) 2015-08-18 2017-02-28 허진희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7299A (zh) * 2017-03-27 2017-09-08 苏州宝丽洁日化有限公司 一种女性特殊护理湿巾及其制备方法
KR102039456B1 (ko) * 2018-02-13 2019-11-04 김만수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1368A (ja) * 1999-06-03 2003-01-14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制汗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1368A (ja) * 1999-06-03 2003-01-14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制汗剤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592A (ko) 2015-08-18 2017-02-28 허진희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159A (ko) 201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45317A1 (en) Water-releasing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a hydrophobic silica and a co-emulsifier
CN102481463A (zh) 化妆品或皮肤病学制剂
JP7058943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US20040120905A1 (en) Sunscre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BR102022008827A2 (pt) Fermento bacteriano de espécies de lactobacillus
JP2017140431A (ja) 固形有効成分の溶解度が改善された組成物及び/又は物品
BR112021010118A2 (pt) Composições para cuidados pessoais
KR101470897B1 (ko) 유중수형 냄새제거 화장료 조성물
KR101338518B1 (ko) 유중수형 보습화장료 조성물
KR20160065658A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JP2023552848A (ja) 1種または複数の(バイオ)アルカンジオールおよび活性成分を含む組成物
KR102265979B1 (ko) 인-샤워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40143005A (ko) 스킨, 로션 및 에센스의 기능과 사용감을 갖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WO2003099241A2 (en) Sunscre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230248626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Bio)-Alkanediols
KR102610931B1 (ko) 온열 화장료 조성물
US20230293403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Lipophilic Compounds and One or More (Bio)-Alkanediols
CN114746154B (zh) 化妆品组合物及其用途以及改善感官特性的方法
KR20180114442A (ko) 안티에이징 화장료 조성물
JP6632210B2 (ja) マスキング組成物
WO2024110515A1 (en) An active composition comprising retinol
WO2022122134A1 (en) Compositions with (bio)-alkanediols and cooling agents
JP2023504697A (ja) 化粧品組成物及びその使用、並びに官能特性を改善する方法
CN114073643A (zh) 没有白浊现象的水包油型化妆料组合物
JP2014024788A (ja) 油性クレンジング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