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497A - 수전 작업차 - Google Patents
수전 작업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2497A KR20180002497A KR1020170068218A KR20170068218A KR20180002497A KR 20180002497 A KR20180002497 A KR 20180002497A KR 1020170068218 A KR1020170068218 A KR 1020170068218A KR 20170068218 A KR20170068218 A KR 20170068218A KR 20180002497 A KR20180002497 A KR 201800024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 blower
- passage
- path
- fee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1—Fertiliser distributors with slowly turning whee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4—Fertiliser distributors using b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저류부에 남은 분립체를 배출하여 회수하는 경우, 블로워의 금속 부분에 분립체가 부착되는 상태를 방지한다.
저류부(12)로부터 분립체를 조출하는 조출부(13), 조출부(13)로부터 조출된 분립체를 안내하여 논바닥에 공급하는 공급로(16), 저류부(12)로부터 배출된 분립체를 회수하여 배출하는 배출로(29)를 구비한다. 블로워(14)의 반송풍을 공급로(16)에 공급하는 작업 상태와, 블로워(14)의 반송풍을 배출로(29)에 공급하는 배출 상태로 전환 가능한 반송풍 전환부(26)를 구비한다. 저류부(12)로부터 배출로(29)로 배출된 분립체가 블로워(14)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부(50)를 구비한다.
저류부(12)로부터 분립체를 조출하는 조출부(13), 조출부(13)로부터 조출된 분립체를 안내하여 논바닥에 공급하는 공급로(16), 저류부(12)로부터 배출된 분립체를 회수하여 배출하는 배출로(29)를 구비한다. 블로워(14)의 반송풍을 공급로(16)에 공급하는 작업 상태와, 블로워(14)의 반송풍을 배출로(29)에 공급하는 배출 상태로 전환 가능한 반송풍 전환부(26)를 구비한다. 저류부(12)로부터 배출로(29)로 배출된 분립체가 블로워(14)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부(5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승용형 이앙기나 승용형 직파기 등과 같이, 농업용 분립체(비료, 약제 및 종자 등)를 논바닥에 공급하는 수전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수전 작업차의 일례인 승용형 이앙기에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분립체를 저류하는 저류부(특허문헌 1의 도 1 및 도 2의 12), 저류부로부터 분립체를 조출하는 조출부(특허문헌 1의 도 2, 도 3, 도 4의 13), 조출부로부터 조출된 분립체를 안내하여 논바닥에 공급하는 공급로(특허문헌 1의 도 1, 도 2, 도 3의 16), 공급로에 반송풍을 공급하는 블로워(특허문헌 1의 도 2 및 도 12의 14)를 구비한 것이 있다.
이에 의해, 기체의 진행에 수반하여, 저류부의 분립체가 조출부로부터 공급로로 조출되고, 블로워의 반송풍에 의해 분립체가 공급로를 따라 반송되어 논바닥에 공급된다.
수전 작업차에서는, 수전에서의 작업을 종료하면, 저류부에 남은 분립체를 배출하여 회수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특허문헌 1에서는, 저류부로부터 배출된 분립체를 회수하여 배출하는 배출로(특허문헌 1의 도 5 및 도 12의 29) 및 반송풍 전환부(특허문헌 1의 도 12의 26, 26a)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저류부에 남은 분립체를 배출하여 회수하는 경우, 반송풍 전환부를 블로워의 반송풍을 배출로에 공급하는 배출 상태로 전환하여, 분립체를 저류부로부터 배출로로 배출하는 배출 상태로 전환하면, 분립체가 저류부로부터 배출로로 배출되어, 블로워의 반송풍에 의해 분립체가 배출로를 따라 반송되는 것이며, 배출로의 출구(특허문헌 1의 도 12의 29a)로부터 분립체를 회수할 수 있다.
비료나 약제 등의 농업용 분립체에서는, 분립체가 금속 부분에 부착되면, 금속 부분에 녹 등의 부식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류부에 남은 분립체를 배출하여 회수하는 경우, 반송풍 전환부를 블로워의 반송풍을 배출로에 공급하는 배출 상태로 전환하면, 블로워와 배출로가 연통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반송풍 전환부를 블로워의 반송풍을 배출로로 공급하는 배출 상태로 전환하여, 분립체를 저류부로부터 배출로로 배출하는 배출 상태로 전환하였을 때, 블로워를 작동시키는 것이 지연되면, 배출로로 배출된 분립체가, 배출로로부터 블로워로 역류하여 블로워의 금속 부분에 부착되어, 블로워의 금속 부분의 부식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저류부, 조출부, 공급로 및 블로워를 구비한 수전 작업차에 있어서, 저류부에 남은 분립체를 배출하여 회수하는 경우, 블로워의 금속 부분에 분립체가 부착되는 상태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성)
본 발명의 특징은, 수전 작업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데 있다.
분립체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저류부로부터 분립체를 조출하는 조출부와, 상기 조출부로부터 조출된 분립체를 안내하여 논바닥에 공급하는 공급로와, 상기 저류부로부터 배출된 분립체를 회수하여 배출하는 배출로가 구비되고,
분립체를 상기 저류부로부터 상기 공급로로 조출하는 작업 상태와, 분립체를 상기 저류부로부터 상기 배출로로 배출하는 배출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
반송풍을 내는 블로워가 구비되고, 상기 블로워와 상기 공급로 및 상기 배출로가 반송풍 전환부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반송풍 전환부가, 상기 블로워의 반송풍을 상기 공급로에 공급하는 작업 상태와, 상기 블로워의 반송풍을 상기 배출로에 공급하는 배출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저류부로부터 상기 배출로로 배출된 분립체가 상기 블로워에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부가 구비되어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반송풍 전환부를 블로워의 반송풍을 공급로에 공급하는 작업 상태로 전환하고, 분립체를 저류부로부터 공급로로 조출하는 작업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저류부의 분립체가 조출부로부터 공급로로 조출되고, 블로워의 반송풍에 의해 분립체가 공급로를 따라 반송되어 논바닥에 공급된다.
저류부에 남은 분립체를 배출하여 회수하는 경우, 반송풍 전환부를 블로워의 반송풍을 배출로로 공급하는 배출 상태로 전환하고, 분립체를 저류부로부터 배출로로 배출하는 배출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분립체가 저류부로부터 배출로로 배출되고, 블로워의 반송풍에 의해 분립체가 배출로를 따라 반송되는 것이며, 배출로로부터 분립체를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송풍 전환부를 블로워의 반송풍을 배출로에 공급하는 배출 상태로 전환하고, 분립체를 저류부로부터 배출로로 배출하는 배출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 있어서, 배출로로 배출된 분립체가 배출로로부터 블로워로 역류하려고 해도, 역류 방지부에 의해 배출로로부터 블로워로의 분립체의 흐름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분립체가 블로워의 금속 부분에 부착되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분립체가 부착되는 것에 의한 블로워의 금속 부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구성)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부가, 상기 블로워와 상기 배출로 사이에 구비된 중계 송풍로이며,
상기 중계 송풍로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측보다 상기 블로워측이 높아지도록 상기 중계 송풍로가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로워와 배출로 사이에 구비된 중계 송풍로에 있어서, 중계 송풍로를 배출로측보다 블로워측이 높아지도록 배치함으로써, 배출로로부터 블로워로의 분립체의 흐름을, 중계 송풍로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중계 송풍로를 배출로측보다 블로워측이 높아지도록 배치한다고 하는 간소한 구성에 의해, 역류 방지부를 얻을 수 있어, 구조의 간소화의 면에서 유리한 것이 된다.
(구성)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의 반송풍의 출구가 상기 배출로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배출로로부터 블로워로의 분립체의 흐름이 중계 송풍로에 의해 방지되는 것 외에도, 블로워의 반송풍의 출구를 배출로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분립체가 배출로로부터 블로워로 다시 흐르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분립체가 블로워의 금속 부분에 부착되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분립체가 부착되는 것에 의한 블로워의 금속 부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구성)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조출부가 기체의 후방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공급로가 상기 조출부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출로가, 복수의 상기 조출부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또한 측면에서 보아 상기 공급로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수전 작업차로서는, 복수의 조출부를 기체의 후방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하고, 공급로를 조출부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배출로가 복수의 조출부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측면에서 보아 공급로의 하측에 배치되므로, 배출로는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분립체가 배출로로부터 블로워로 다시 흐르기 어려워져, 분립체가 블로워의 금속 부분에 부착되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분립체가 부착되는 것에 의한 블로워의 금속 부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구성)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조출부가 기체의 후방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배출로가 복수의 상기 조출부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조출부의 우측 또는 좌측 단부에, 상기 블로워, 상기 반송풍 전환부 및 상기 중계 송풍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저류부로부터 배출된 분립체를 상기 배출로로 안내하는 안내 배출로가 구비되고,
배면에서 보아, 상기 안내 배출로의 상기 배출로와의 접속부가, 상기 안내 배출로의 상부보다 상기 중계 송풍로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내 배출로가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수전 작업차로서는, 복수의 조출부를 기체의 후방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하고, 배출로를 복수의 조출부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배치하여, 복수의 조출부의 우측 또는 좌측 단부에, 블로워, 반송풍 전환부 및 중계 송풍로를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저류부로부터 배출된 분립체를 배출로로 안내하는 안내 배출로를, 안내 배출로의 배출로와의 접속부가 안내 배출로의 상부보다 중계 송풍로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블로워의 반송풍은 블로워로부터 중계 송풍로를 통해 배출로로 들어가 배출로를 흐르므로, 저류부로부터 배출된 분립체가 안내 배출로를 통해 배출로로 들어가는 경우, 배출로에서의 반송풍의 흐름의 방향을 따르도록 하여, 분립체가 안내 배출로로부터 배출로로 들어간다.
이에 의해, 안내 배출로로부터 배출로로 들어간 분립체는, 배출로의 반송풍에 역행하는 일 없이 배출로의 반송풍을 탈 수 있는 것이며, 무리 없이 원활하게 배출로를 따라 반송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내 배출로의 배출로와의 접속부를, 중계 송풍로(블로워)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으므로, 분립체가 배출로로부터 블로워로 다시 흐르기 어려워져, 분립체가 블로워의 금속 부분에 부착되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분립체가 부착되는 것에 의한 블로워의 금속 부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구성)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가 상기 조출부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고, 측면에서 보아, 상기 배출로가 상기 공급로의 하측에 배치되고,
배면에서 보아, 상기 공급로가 상기 안내 배출로의 상부와 상기 배출로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전술한 바와 같이, 안내 배출로의 배출로와의 접속부가 안내 배출로의 상부보다 중계 송풍로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도록 안내 배출로를 배치하면, 안내 배출로의 상부와 배출로 사이에 공간이 생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내 배출로의 상부와 배출로 사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이 공간에 공급로를 배치함으로써, 안내 배출로, 배출로 및 공급로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구성)
본 발명에 있어서,
기체의 후방부에 구비된 후방부 스텝의 상측에, 상기 저류부 및 상기 조출부가 구비되고,
측면에서 보아, 상기 배출로가 상기 후방부 스텝의 후단부의 후방측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수전 작업차로서는, 복수의 조출부를 기체의 후방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하고, 배출로를 복수의 조출부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배치하는 경우, 기체의 후방부에 후방부 스텝을 구비하고, 후방부 스텝의 상측에 저류부 및 조출부를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배출로를 후방부 스텝의 후단부의 후방측에 인접하여 구비함으로써, 배출로가 후방부 스텝의 일부가 되는 상태로 되어, 후방부 스텝이 배출로에 의해 후방측으로 연장된 상태로 되므로, 후방부 스텝의 하측에 위치하는 후륜 등으로부터 튀는 진흙 등이 저류부나 조출부에 부착되는 상태가 방지되기 쉬워진다.
도 1은 승용형 이앙기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기체의 후방부(시비 장치 및 블로워)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시비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시비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5는 시비 장치에 있어서의 조출부의 부근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있어서의 VI-VI 방향에서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있어서의 VII-VII 방향에서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8은 조출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9는 반송풍 전환부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10은 시비 장치에 있어서의 배출 호스의 부근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시비 장치의 전동계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는 시비 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기체의 후방부(시비 장치 및 블로워)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시비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시비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5는 시비 장치에 있어서의 조출부의 부근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있어서의 VI-VI 방향에서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있어서의 VII-VII 방향에서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8은 조출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9는 반송풍 전환부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10은 시비 장치에 있어서의 배출 호스의 부근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시비 장치의 전동계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는 시비 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특단의 설명이 없는 한, 이하와 같이 기재하고 있다. 기체의 작업 주행 시에 있어서의 전진측의 진행 방향이 「전」이고, 후진측의 진행 방향이 「후」이다. 전후 방향에서의 전방 방향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우」이고, 좌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좌」이다.
[1]
승용형 이앙기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전륜(1), 우측 및 좌측의 후륜(2)으로 지지된 기체의 후방부에, 상하 요동 가능한 링크 기구(3)가 구비되고, 링크 기구(3)의 후방부에 8조식 형식의 모 이식 장치(5)가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링크 기구(3)를 승강 구동하는 유압 실린더(4)가 구비되어, 수전 작업차의 일례인 승용형 이앙기가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 이식 장치(5)는, 4개의 전동 케이스(6), 전동 케이스(6)의 후방부의 우측 및 좌측부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케이스(7), 회전 케이스(7)의 양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이식 아암(8), 플로트(9) 및 모 적재대(10)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의 전방부의 엔진(17)의 동력이, 주행용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 미션 케이스(18)에 구비된 주간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 및 이식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PTO축(19)을 통해 모 이식 장치(5)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모 적재대(10)가 좌우로 왕복 횡 이송 구동되는 것에 수반하여, 회전 케이스(7)가 회전 구동되어, 모 적재대(10)의 하부로부터 이식 아암(8)이 교대로 모종을 빼내어 논바닥에 이식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기체 프레임(28)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기체 프레임(28)의 전방부에 미션 케이스(18)가 연결되고, 미션 케이스(18)의 전방부에 연결된 프레임(30)에 엔진(17)이 지지되어 있다. 우측 및 좌측의 기체 프레임(28)의 후방부에 우측 및 좌측의 지지 부재(38)가 연결되어 있고, 지지 부재(38)에 운전 좌석(31)이 지지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28)에 스텝(32)이 지지되어 있고, 지지 부재(38)에 후방부 스텝(33)이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텝(32)보다 후방부 스텝(33)이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기체의 후방부에 구비되어 있고, 후방부 스텝(33)의 전방부의 좌우 중앙에 운전 좌석(31)이 구비되고, 운전 좌석(31)의 후방측이며 후방부 스텝(33)의 상측에, 시비 장치(11)(저류부(12) 및 조출부(13) 등)가 구비되어 있다.
[2]
다음으로, 시비 장치(11)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3,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8개의 조출부(13)가, 기체의 후방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우측의 4개의 조출부(13)의 상부에 걸쳐, 분립상의 비료(분립체에 상당)를 저류하는 우측의 저류부(12)가 접속되어 있고, 좌측의 4개의 조출부(13)의 상부에 걸쳐, 분립상의 비료(분립체에 상당)를 저류하는 좌측의 저류부(12)가 접속되어 있다.
도 1, 도 3,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비 장치(11)(8개의 조출부(13))의 좌측 단부에, 블로워(14) 및 블로워(14)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25)가 구비되어 있다. 블로워(14)의 반송풍의 출구(14a)에 반송풍 전환부(26)가 접속되고, 반송풍 전환부(26)와 조출부(13)의 전방부에 걸쳐, 둥근 파이프 형상의 공급 덕트(27)가 접속되어, 공급 덕트(27)가 조출부(13)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조출부(13)의 흡입부(13a)가 공급 덕트(27)에 접속되어 있다.
도 1,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로워(14)의 흡입구(14b)에 흡입 덕트(20)가 접속되어 있고, 흡입 덕트(20)가 후방부 스텝(33)의 개구부를 통해 후방부 스텝(33) 및 스텝(32)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엔진(17)의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로트(9)에 작구기(15)가 연결되어, 8개의 작구기(15)가 구비되어 있고, 조출부(13)와 작구기(15)에 걸쳐 8개의 호스(16)(공급로에 상당)가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저류부(12), 조출부(13), 블로워(14), 작구기(15) 및 호스(16) 등에 의해, 시비 장치(11)가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식 작업 상태에 있어서, 블로워(14)의 흡입 작용에 의해, 엔진(17)의 부근의 따뜻한 공기가, 흡입 덕트(20)를 통해 블로워(14)에 흡입되고, 블로워(14)의 반송풍이, 공급 덕트(27)를 통해 조출부(13) 및 호스(16)로 공급되고 있다. 저류부(12)로부터 비료가 소정량씩 조출부(13)에 의해 조출되면, 블로워(14)의 반송풍에 의해 비료가 호스(16)를 통해 작구기(15)에 공급되는 것이며, 작구기(15)에 의해 논바닥에 형성된 홈에, 비료가 작구기(15)를 통해 공급된다.
[3]
다음으로, 시비 장치(11)에 있어서, 조출부(13)의 지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도 3, 도 4,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지지 프레임(39)이 우측 및 좌측의 지지 부재(38)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후방부 스텝(33)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우측 및 좌측의 지지 프레임(39)의 상부에 걸쳐 좌우 방향으로, 각진 파이프 형상의 후방 프레임(40)이 연결되어 있다.
도 3,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재를 상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구성된 횡프레임(41)이 후방 프레임(40)의 우측 및 좌측부에 전후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우측 및 좌측의 횡프레임(41)의 전방부에 걸쳐 좌우 방향으로, 전방 프레임(42)이 연결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 프레임(40)의 좌우 방향 중간부와 전방 프레임(42)의 좌우 방향 중간부에 걸쳐, 복수 개의 판상의 중간 프레임(43)이 연결되어 있다.
도 3, 도 5,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8개의 조출부(13)에 있어서, 2개의 조출부(13)가 인접하여 구비되어 있다(연결되어 있다). 2개의 조출부(13)가, 평면에서 보아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방 프레임(42) 및 후방 프레임(40) 사이에 배치되고, 평면에서 보아 좌우 방향에 있어서 횡 프레임(41) 및 중간 프레임(43)의 사이(또는, 중간 프레임(43)의 사이)에 배치되고, 조출부(13)의 전방부가 전방 프레임(42)에 연결되어 있다. 도 4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프레임(45)이, 전방 프레임(42)에 연결되어 후방측의 경사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프레임(45)에 조출부(13)가 연결되어 있다.
도 4, 도 6, 도 7,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출부(13)의 하부에 깔때기부(13b)가 구비되어 있다. 조출부(13)의 깔때기부(13b)의 전방부에 흡입부(13a)가 전방 방향으로 구비되고, 조출부(13)의 흡입부(13a)에 걸쳐 공급 덕트(27)가 접속되어 있다. 조출부(13)의 깔때기부(13b)의 후방부에 출구부(13e)가 후방 방향으로 구비되고, 출구부(13e)에 호스(16)의 접속부(16a)가 접속되어 있고, 호스(16)가 조출부(13)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4]
다음으로, 시비 장치(11)에 있어서, 블로워(14)의 부근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부 스텝(33)의 우측 및 좌측의 횡측부의 외측에, 우측 및 좌측의 프레임(34)이 구비되어 있고, 우측 및 좌측의 프레임(34)에 걸쳐 프레임(35, 46)이 연결되어, 프레임(35)이 저류부(12)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프레임(46)이 공급 덕트(27)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프레임(35, 46)이, 저류부(12) 및 공급 덕트(27)의 전방측을 보호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35)의 좌측부에 프레임(36)이 연결되고, 프레임(36)의 상부에 천장판(36a)이 연결되어 있고, 프레임(36)(천장판(36a))이 블로워(14) 및 전동 모터(25)의 상측 및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프레임(36)(천장판(36a))이 블로워(14) 및 전동 모터(25)의 상측 및 전방측을 보호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로워(14)의 흡입구(14b)가, 정면에서 보아 기체의 좌우 중앙측을 향한 경사 하향으로 설정되고, 측면에서 보아 전방측을 향한 경사 하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블로워(14)의 흡입구(14b) 전체가, 측면에서 보아 저류부(12)의 전단부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블로워(14) 전체가, 측면에서 보아 운전 좌석(31)의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모터(25)(블로워(14))의 회전 축심이 연직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다(정면에서 보아, 회전 축심의 하부가 회전 축심의 상부보다 기체의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고 있다. 측면에서 보아, 회전 축심의 하부가 회전 축심의 상부보다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5]
다음으로, 시비 장치(11)에 있어서, 조출부(13)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8개의 조출부(13)에 있어서, 2개의 조출부(13)가 인접하여 구비되고, 2개의 조출부(13)의 케이스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출부(13)의 하부에 깔때기부(13b)가 구비되고, 깔때기부(13b)의 전방부에 흡입부(13a)가 구비되고, 깔때기부(13b)의 후방부에 출구부(13e)가 구비되어 있다. 조출부(13)의 깔때기부(13b)가 연결 부재(47)에 의해 조출부(13)에 접속되어 있고, 연결 부재(47)를 해제함으로써, 조출부(13)의 깔때기부(13b)를 조출부(13)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도 5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류부(12)의 비료를 조출하여 조출부(13)의 깔때기부(13b)에 공급하는 회전체(48)가 조출부(13)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회전체(48)는 외주부에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한 원통 형상이다.
도 5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체(48)의 외주부에 접촉하는 브러시(52)가 조출부(13)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회전체(48)의 회전에 수반하여 비료가 회전체(48)의 오목부로 들어가면, 브러시(52)의 쓸어냄 작용에 의해, 회전체(48)의 오목부의 용적에 상당하는 비료가, 조출부(13)의 깔때기부(13b)에 공급된다.
[6]
다음으로, 시비 장치(11)에 있어서, 저류부(12)의 지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그것의 1).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의 4개의 조출부(13)의 상부에 걸쳐 우측의 저류부(12)의 하부(접속부(77))가 접속되어 있고, 좌측의 4개의 조출부(13)의 상부에 걸쳐 좌측의 저류부(12)의 하부(접속부(77))가 접속되어 있다.
도 3, 도 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의 저류부(12)용 저류부 프레임(73), 및 좌측의 저류부(12)용 저류부 프레임(73)이 구비되어 있다.
도 3, 도 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1 프레임(81)이 구비되고, 제1 프레임(81)의 우측 및 좌측부, 좌우 중앙부에 제2 프레임(82)이 연결되어, 제2 프레임(82)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 프레임(82)의 연장 부분에 걸쳐 제3 프레임(83)이 연결되어, 제3 프레임(83)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3, 도 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프레임(81), 제2 프레임(82) 및 제3 프레임(83) 등에 의해, 저류부 프레임(73)이 구성되어 있고, 저류부(12)의 하부가 제2 프레임(82)에 연결되어, 저류부(12)가 저류부 프레임(73)에 지지되어 있다. 도 5, 도 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류부 프레임(73)에 있어서, 제1 프레임(81)에 지지점 부재(81a)가 연결되어 있고, 후방 프레임(40)에 지지점 부재(40a)가 연결되어 있다.
도 5, 도 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 프레임(40)의 지지점 부재(40a)의 좌우 방향의 횡축심(P1) 주위로, 제1 프레임(81)의 지지점 부재(81a)가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저류부 프레임(73)이 조출부(13)의 후방측의 횡축심(P1) 주위로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류부(12)의 하부에 접속부(77)가 구비되어 있고, 접속부(77)에 슬라이드 가능한 개폐부(78)가 구비되어 있다. 개폐부(78)는,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한 슬라이드 형식의 셔터 부재이며, 저류부(12)의 접속부(77)(하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및 저류부(12)와 조출부(13)를 연통시키는 개방 위치로 조작 가능하다.
이에 의해,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류부 프레임(73)을 횡축심(P1) 주위로 상하로 요동시킴으로써, 저류부(12)의 접속부(77)가 조출부(13)의 상부에 접속된 작업 위치와, 저류부(12)의 접속부(77)가 조출부(13)의 상부로부터 분리되어, 저류부(12)가 조출부(13)로부터 상측 및 후방측으로 이격된 비작업 위치에 걸쳐, 저류부(12)를 이동시킬 수 있다.
[7]
다음으로, 시비 장치(11)에 있어서, 저류부(12)의 지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그것의 2).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류부 프레임(73)에 있어서, 제3 프레임(83)의 좌우 중앙부에, 고정구(83a)가 연결되어 있다. 제3 프레임(83)의 고정구(83a)에 대응하는 전방 프레임(42)의 위치에 브래킷(74)이 연결되고, 브래킷(74)에 버클 부재(75)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류부(12)를 작업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 있어서, 버클 부재(75)를 제3 프레임(83)의 고정구(83a)에 걺으로써, 저류부(12)를 작업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류부 프레임(73)에 있어서, 좌우 중앙부의 제2 프레임(82)의 전방부에, 지지 부재(76)가 전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76)에 대응하는 중간 프레임(43)에, 전후 방향을 따른 긴 구멍(43b)이 개구되어 있어, 지지 부재(76)의 하부의 횡방향의 핀(76a)이 중간 프레임(43)의 긴 구멍(43b)에 삽입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류부(12)를 작업 위치에 위치시키면, 지지 부재(76)가 쓰러진 상태로 되어, 지지 부재(76)의 핀(76a)이 중간 프레임(43)의 긴 구멍(43b)의 후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류부(12)를 비작업 위치로 이동시키면, 지지 부재(76)가 기립해 가서, 지지 부재(76)의 핀(76a)이 중간 프레임(43)의 긴 구멍(43b)을 따라 전방측으로 이동한다. 저류부(12)를 비작업 위치로 이동시키면, 지지 부재(76)가 기립하는 것이며, 지지 부재(76)의 핀(76a)이 중간 프레임(43)의 긴 구멍(43b)의 전단부의 오목부로 들어가 보유 지지된다.
이에 의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76)에 의해, 저류부(12)를 작업 위치로 이동하지 않도록 비작업 위치에서 지지(보유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며, 저류부(12)가 비작업 위치로부터 다시 후방측으로 이동하는 상태가 방지된다.
[8]
다음으로, 시비 장치(11)에의 전동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17)의 동력이, 주행용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 및 미션 케이스(18)에 구비된 시비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기체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전동축(21)에 전달되고 있다.
도 1, 도 2,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비 장치(11)의 우측 후방부의 좌우 방향을 따라 전동축(2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전동축(21)의 후방부에 연결된 아암(21a)과, 전동축(22)의 좌측부에 연결된 아암(22a)에 걸쳐 연계 로드(23)가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동축(21)의 회전 동력이, 전동축(21)의 아암(21a) 및 연계 로드(23)에 의해 상하의 왕복 동력으로 변환되고, 연계 로드(23)에 의해 소정 각도의 범위에서의 왕복 회전 동력으로서 전동축(22)에 전달된다.
도 4, 도 7,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비 장치(11)의 우측의 횡프레임(41)에 공급량 변경 장치(24)가 구비되어 있고, 전동축(22)의 우측부가 공급량 변경 장치(24)에 접속되어 있다. 조출부(13)의 후방부의 좌우 방향을 따라, 구동축(37)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구동축(37)의 우측부가 공급량 변경 장치(24)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 기어(37a)가 구동축(37)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회전체(48)에 연결된 구동축(49)의 구동 기어(49a)가 구동 기어(37a)에 맞물려 있다.
도 4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프트 부재(37b)가 구동축(37)에 일체 회전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시프트 부재(37b)가 구동 기어(37a)에 맞물리는 작동 위치 및 구동 기어(37a)로부터 이격된 정지 위치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시프트 부재(37b)가 구동 기어(37a)와의 맞물림 측의 작동 위치에 가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동 기어(37a)와 시프트 부재(37b)에 의해, 하나의 조출부(13)를 작동 상태 및 정지 상태로 조작 가능한 시비 클러치가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2, 도 4, 도 7,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축(21)의 회전 동력이, 전동축(21)의 아암(21a) 및 연계 로드(23)에 의해 상하의 왕복 회전 동력으로 변환되어 전동축(22)에 전달되고, 전동축(22)의 왕복 회전 동력이, 공급량 변경 장치(24)에 의해 일방향의 회전 동력으로 변환되어, 구동축(37)에 전달된다.
공급량 변경 장치(24)에 있어서 구동축(37)의 회전 속도가 수동으로 변경 가능하고, 구동축(37)의 동력이 구동 기어(37a)로부터 구동축(49)의 구동 기어(49a)에 전달되고, 회전체(48)가 회전 구동되어 조출부(13)로부터 비료가 조출된다.
[9]
다음으로, 시비 클러치의 조작계에 대해 설명한다(그것의 1).
도 4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축(37)과 평행하게 조작축(64)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조작축(64)에 있어서의 구동축(37)의 시프트 부재(37b)에 대향하는 부분에, 캠 부재(64a)가 연결되어 있다.
도 4, 도 5,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축(64)을 회전 구동하는 전동 모터(65)가 우측의 횡프레임(41)에 구비되어 있고, 조작 지령에 기초하여 전동 모터(65)가 작동한다. 조작축(64)이 회전 구동되면, 조작축(64)의 캠 부재(64a)에 의해, 구동축(37)의 시프트 부재(37b)가 구동 기어(37a)로부터 이간 측으로 조작되어, 조출부(13)가 정지 상태로 된다(시비 클러치의 정지 상태).
8개의 조출부(13)에 있어서, 2개의 조출부(13)가 인접하여 구비되어 있음으로써(연결되어 있음으로써), 기체의 진행 방향을 향해 좌측으로부터, 1번째의 2개의 조출부(13), 2번째의 2개의 조출부(13), 3번째의 2개의 조출부(13), 4번째의 2개의 조출부(13)로서, 설정한 것으로 한다.
도 4, 도 5, 도 11에 도시하는 상태는, 조작축(64)의 모든 캠 부재(64a)가 구동축(37)의 모든 시프트 부재(37b)로부터 이격되어, 구동축(37)의 모든 시프트 부재(37b)가 구동 기어(37a)와 맞물린 상태이며, 1∼4번째의 2개의 조출부(13)의 작동 상태이다(시비 클러치의 작동 상태).
1∼4번째의 2개의 조출부(13)(8개의 조출부(13))의 작동 상태에 있어서, 도 4, 도 5,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축(64)이 일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 구동될 때마다, 1번째의 2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 1, 2번째의 2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4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 1, 2, 3번째의 2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6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 1, 2, 3, 4번째의 2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8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를 얻을 수 있다.
1∼4번째의 2개의 조출부(13)(8개의 조출부(13))의 작동 상태에 있어서, 도 4, 도 5,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축(64)이 역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 구동될 때마다, 4번째의 2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 4, 3번째의 2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4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 4, 3, 2번째의 2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6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 4, 3, 2, 1번째의 2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8개의 조출부(13)의 정지 상태)를 얻을 수 있다.
[10]
다음으로, 시비 클러치의 조작계에 대해 설명한다(그것의 2).
도 5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프레임(43)에 브래킷(43a)이 연결되고, 후방 프레임(40)의 우측부에 브래킷(66)이 연결되어 있다. 중간 프레임(43)의 브래킷(43a) 및 브래킷(66)에, 스프링 선재로 구성된 8개의 조작 레버(67)가 연결되어 있고, 8개의 조작 레버(67)가 전방 프레임(42)의 하측을 통해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5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8개의 조작 레버(67) 각각은, 8개의 조출부(13)의 각각에 있어서, 구동축(37)의 시프트 부재(37b)의 상측 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조작 레버(67)를 조작하지 않는 상태(조작 레버(67)의 작동 위치)에 있어서, 구동축(37)의 시프트 부재(37b)가 구동 기어(37a)와 맞물려 있다(조출부(13)의 작동 상태).
전항 [9]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작축(64)의 캠 부재(64a)에 의해, 구동축(37)의 시프트 부재(37b)가 구동 기어(37a)로부터 이간 측으로 조작되어도(조출부(13)의 정지 상태), 구동축(37)의 시프트 부재(37b)가 조작 레버(67)로부터 이격될 뿐이며, 조작축(64)의 캠 부재(64a)에 의한 구동축(37)의 시프트 부재(37b)의 조작에 지장은 없다.
도 5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67)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조작 레버(67)에 의해 구동축(37)의 시프트 부재(37b)를 구동 기어(37a)로부터 이간 측으로 조작할 수 있는 것이며, 조작 레버(67)를 전방 프레임(42)의 결합부(도시하지 않음)에 보유 지지함으로써(조작 레버(67)의 정지 위치), 구동축(37)의 시프트 부재(37b)를 구동 기어(37a)로부터 이간 측으로 조작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조출부(13)의 정지 상태)(시비 클러치의 정지 상태).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67)에 의해 구동축(37)의 시프트 부재(37b)를 구동 기어(37a)로부터 이간 측으로 조작하여 보유 지지한 상태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축(64)이 회전 구동되어도, 조작축(64)의 캠 부재(64a)가 구동축(37)의 시프트 부재(37b)에 접촉하지 않고 공회전할 뿐이며, 조작 레버(67)에 의해 구동축(37)의 시프트 부재(37b)를 구동 기어(37a)로부터 이간 측으로 조작하여 보유 지지한 상태에 지장은 없다.
도 5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67)는, 8개의 조출부(13) 각각에 대해 구비되어 있으므로, 조작 레버(67)에 의해 8개의 조출부(13) 각각을 독립적으로 정지 상태로 조작할 수 있다.
[11]
다음으로, 저류부(12)에 남은 비료를 회수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그것의 1).
도 2, 도 4,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둥근 파이프 형상의 배출 덕트(29)(배출로에 상당)가, 조출부(13)의 후방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배출 덕트(29)가 프레임(45)의 하부에 브래킷(44)을 통해 연결되어 지지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출 덕트(29)가 후방부 스텝(33)의 후단부의 후방측에 인접하여 좌우 방향으로 구비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2, 도 4,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풍 전환부(26)에 엘보 파이프 형상의 중계 송풍로(50)(역류 방지부에 상당)가 접속되어, 중계 송풍로(50)가 반송풍 전환부(26)로부터 후방측의 경사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중계 송풍로(50)가 배출 덕트(29)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2, 도 4,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계 송풍로(50)에 있어서 배출 덕트(29)(배출로)측보다 블로워(14)측이 높아지도록 중계 송풍로(50)가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고, 블로워(14)의 출구(14a) 및 반송풍 전환부(26)가 측면에서 보아 배출 덕트(29)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구동축(37)의 좌측 단부와 중계 송풍로(50)의 일부가, 평면에서 보아 중복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도 2, 도 4,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출부(13)의 후방부로부터 안내 배출로(13c)가 연장되어 있고, 2개의 안내 배출로(13c)가 합류하면서 배출 덕트(29)의 상면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에서 보아, 조출부(13)의 안내 배출로(13c)의 배출 덕트(29)와의 접속부가, 조출부(13)의 안내 배출로(13c)의 상부(조출부(13)와의 접속부)보다 중계 송풍로(50)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도록, 조출부(13)의 안내 배출로(13c)가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호스(16)의 접속부(16a)가 프레임(45)의 하부에 브래킷(44)을 통해 연결되어 지지되어 있다. 배출 덕트(29)에 지지 부재(51)가 연결되어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호스(16)가 지지 부재(51)에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출 덕트(29)가 측면에서 보아, 조출부(13)의 깔때기부(13b) 및 호스(16)(공급로)의 하측에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조출부(13)의 깔때기부(13b) 및 호스(16)(공급로)가 측면에서 보아 배출 덕트(29)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4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에서 보아, 호스(16)(공급로)가 조출부(13)의 안내 배출로(13c)의 상부와 배출 덕트(29)(배출로)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출 덕트(29)의 우측 단부(중계 송풍로(50)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고무제의 벨로우즈 형상이며 가요성을 구비한 배출 호스(53)가 접속되어 있다. 우측의 횡프레임(41)에 지지 프레임(54)이 연결되어 있고, 지지 프레임(54)에 반원 형상의 수용부(54a)가 구비되어 있다. 통상은, 배출 호스(53)를, 상향으로 구부려 지지 프레임(54)의 수용부(54a)에 지지시켜 둔다.
[12]
다음으로, 저류부(12)에 남은 비료를 회수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그것의 2).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풍 전환부(26)는, 엘보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어, 흡입구(55), 제1 출구(56) 및 제2 출구(57)가 구비되어 있고, 블로워(14)의 출구(14a)와 반송풍 전환부(26)의 흡입구(55)가 고무제의 접속 파이프(58)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풍 전환부(26)의 제1 출구(56)와 공급 덕트(27)가 고무제의 접속 파이프(59)를 통해 접속되어 있고, 접속 파이프(59)가 반송풍 전환부(26)의 내부로 들어가, 접속 파이프(59)의 단부(59a)가 패킹으로서 기능한다. 반송풍 전환부(26)의 제2 출구(57)에 중계 송풍로(50)가 접속되어 있고, 반송풍 전환부(26)의 제2 출구(57)의 내면에, 고무제의 패킹(60)이 설치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풍 전환부(26)의 내부에 있어서, 반송풍 전환부(26)의 흡입구(55)에 대향하는 부분(흡입구(55)의 반대측 부분)에, 조작축(6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조작축(61)에 셔터(62)가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축(61)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셔터(62)를 조작하는 것이며, 셔터(62)가 패킹(60)에 접촉하여 반송풍 전환부(26)의 제2 출구(57)를 폐쇄하는 상태 A1 및 셔터(62)가 접속 파이프(59)의 단부(59a)(패킹)에 접촉하여 반송풍 전환부(26)의 제1 출구(56)를 폐쇄하는 상태 A2를 얻을 수 있다.
도 3, 도 5,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의 횡프레임(41)에 전환 레버(68)가 상하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고, 전환 레버(68)를 안내하는 레버 가이드(69)가 구비되어 있다. 전환 레버(68)에 연결된 조작축(70)이, 전방 프레임(42)의 전방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조작축(70)의 연장 부분과 반송풍 전환부(26)의 조작축(61)(셔터(62))에 걸쳐 연계 링크(71)가 접속되어 있다.
도 8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출부(13)의 안내 배출로(13c)를 개폐 가능한 셔터(13d)가 조출부(13)에 구비되어 있고, 조작축(70)의 중간 부분과 조출부(13)의 셔터(13d)에 걸쳐 연계 링크(72)가 접속되어 있다.
[13]
다음으로, 전항 [12]에 기재된 저류부(12)에 남은 비료를 회수하는 구조에 대해, 이식 작업에서의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및 도 12에 나타내는 상태는, 전환 레버(68)를 작업 위치로 조작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조작축(70) 및 연계 링크(71)에 의해, 셔터(62)가 패킹(60)에 접촉하여 반송풍 전환부(26)의 제2 출구(57)를 폐쇄하는 상태 A1로 조작된다(블로워(14)의 반송풍을 공급 덕트(27) 및 호스(16)(공급로)에 공급하는 작업 상태에 상당). 동시에 조작축(70) 및 연계 링크(72)에 의해, 조출부(13)의 셔터(13d)가 폐쇄 위치로 조작된다(도 8 참조).
도 9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레버(68)를 작업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 있어서, 블로워(14)의 반송풍이, 반송풍 전환부(26)로부터 공급 덕트(27)를 통해 호스(16)에 공급된다. 이 경우, 블로워(14)의 반송풍이 반송풍 전환부(26)에 공급되면, 블로워(14)의 반송풍에 의해, 반송풍 전환부(26)의 셔터(62)가 패킹(60)에 압박되는 상태로 되어, 반송풍 전환부(26)의 제2 출구(57)를 폐쇄하는 상태 A1의 기밀성이 높은 것이 된다.
도 9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레버(68)를, 작업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 있어서, 전항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회전체(48)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저류부(12)의 비료가 조출부(13)(조출부(13)의 깔때기부(13b))로부터 호스(16)로 조출되는 것이며(비료(분립체)를 저류부(12)로부터 호스(16)(공급로)로 조출하는 작업 상태에 상당), 비료가 블로워(14)의 반송풍에 의해 호스(16)를 통해 작구기(15)에 공급되고, 작구기(15)에 의해 논바닥에 형성된 홈에 공급된다.
[14]
다음으로, 전항 [12]에 기재된 저류부(12)에 남은 비료를 회수하는 구조에 대해, 저류부(12)에 남은 비료를 회수하는 상태(조작)에 대해 설명한다(그것의 1).
이식 작업이 종료된 후에 저류부(12)에 남은 비료를 회수하는 경우, 조출부(13)(회전체(48))를 정지시킨 상태에 있어서, 도 9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레버(68)를 배출 위치로 조작한다. 배출 호스(53)를 지지 프레임(54)의 수용부(54a)로부터 제거하여 하향으로 설정하여, 배출 호스(53)의 하측에 비료의 회수용 용기(도시하지 않음)나 주머니(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한다.
도 9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레버(68)를 배출 위치로 조작하면, 조작축(70) 및 연계 링크(71)에 의해, 셔터(62)가 접속 파이프(59)의 단부(59a)(패킹)에 접촉하여 반송풍 전환부(26)의 제1 출구(56)를 폐쇄하는 상태 A2로 조작된다(블로워(14)의 반송풍을 배출 덕트(29)(배출로)에 공급하는 배출 상태에 상당). 동시에 조작축(70) 및 연계 링크(72)에 의해, 조출부(13)의 셔터(13d)가 개방 위치로 조작된다.
도 9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레버(68)를 배출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 있어서, 블로워(14)의 반송풍이, 반송풍 전환부(26)로부터 중계 송풍로(50)를 통해 배출 덕트(29)에 공급된다. 이 경우, 블로워(14)의 반송풍이 반송풍 전환부(26)에 공급되면, 블로워(14)의 반송풍에 의해, 반송풍 전환부(26)의 셔터(62)가 접속 파이프(59)의 단부(59a)(패킹)에 압박되는 상태로 되어, 반송풍 전환부(26)의 제1 출구(56)를 폐쇄하는 상태 A2의 기밀성이 높은 것이 된다.
도 9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출부(13)(회전체(48))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전환 레버(68)를 배출 위치로 조작하면, 저류부(12)의 비료가 조출부(13)의 안내 배출로(13c)로부터 배출 덕트(29)로 배출되는 것이며, 블로워(14)의 반송풍이 배출 덕트(29)에 공급되고, 배출 덕트(29)로 배출된 비료가 배출 호스(53)로 반송되어, 배출 호스(53)로부터 배출되어 회수된다.
도 9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류부(12)의 비료가 조출부(13)의 안내 배출로(13c)로부터 배출 덕트(29)로 배출되는 경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출부(13)의 안내 배출로(13c)가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배출 덕트(29)의 반송풍의 흐름의 방향(도 4의 좌측으로부터 도 4의 우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르도록 하여, 비료가 조출부(13)의 안내 배출로(13c)로부터 배출 덕트(29)로 들어간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출부(13)의 안내 배출로(13c)로부터 배출 덕트(29)로 들어간 비료는, 배출 덕트(29)의 반송풍에 역행하는 일 없이 배출 덕트(29)의 반송풍을 탈 수 있는 것이며, 무리 없이 원활하게 배출 덕트(29)를 따라 반송된다.
[15]
다음으로, 전항 [12]에 기재된 저류부(12)에 남은 비료를 회수하는 구조에 대해, 저류부(12)에 남은 비료를 회수하는 상태(조작)에 대해 설명한다(그것의 2).
도 9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레버(68)를 배출 위치로 조작하면(셔터(62)가 접속 파이프(59)의 단부(59a)(패킹)에 접촉하여 반송풍 전환부(26)의 제1 출구(56)를 폐쇄하는 상태 A2), 블로워(14)와 배출 덕트(29)가 반송풍 전환부(26) 및 중계 송풍로(50)를 통해 연통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술한 상태에 있어서, 블로워(14)가 정지하고 있으면, 조출부(13)의 안내 배출로(13c)로부터 배출 덕트(29)로 들어간 비료가, 반송풍 전환부(26) 및 중계 송풍로(50)를 통해 블로워(14)로 역류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상태에 있어서, 조출부(13)의 안내 배출로(13c)로부터 배출 덕트(29)로 들어간 비료가, 반송풍 전환부(26) 및 중계 송풍로(50)를 통해 블로워(14)를 향해 역류하려고 해도, 이하에 기재된 (1), (2), (3)에 의해, 비료가 블로워(14)에 도달하는 것은 곤란하다.
(1)
도 4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에서 보아, 조출부(13)의 안내 배출로(13c)의 배출 덕트(29)와의 접속부가, 조출부(13)의 안내 배출로(13c)의 상부(조출부(13)와의 접속부)보다 중계 송풍로(50)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도록 조출부(13)의 안내 배출로(13c)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조출부(13)의 안내 배출로(13c)의 배출 덕트(29)와의 접속부가, 블로워(14), 반송풍 전환부(26) 및 중계 송풍로(50)로부터 먼 것에 의해, 비료가 중계 송풍로(50)에 도달하기 어려운 점.
(2)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계 송풍로(50)에 있어서 배출 덕트(29)(배출로)측보다 블로워(14)측이 높아지도록 중계 송풍로(50)가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음으로써, 비료가 중계 송풍로(50)에 도달해도, 반송풍 전환부(26)를 향해 비료가 중계 송풍로(50)를 올라가는 것은 곤란한 것인 점.
(3)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로워(14)의 출구(14a) 및 반송풍 전환부(26)가, 측면에서 보아 배출 덕트(29)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는 점.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있어서, 링크 기구(3)의 후방부에 모 이식 장치(5) 및 시비 장치(11)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시비 장치(11)(복수의 조출부(13))의 우측 단부에, 블로워(14), 전동 모터(25), 반송풍 전환부(26) 및 중계 송풍로(50)를 구비하고, 시비 장치(11)(복수의 조출부(13))의 좌측 단부에, 공급량 변경 장치(24) 및 전동 모터(65)를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블로워(14)를 시비 장치(11)의 좌우 중앙에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조출부(13)의 안내 배출로(13c) 및 셔터(13d)를 조출부(13)에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저류부(12)에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2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에 있어서, 중계 송풍로(50)의 내부의 하면(바닥면)을, 직선 형상이 아닌 계단 형상으로 구성하거나, 요철을 구비하도록 구성하거나, 중계 송풍로(50)의 일부에 중계 송풍로(50)의 내경이 작아지는 부분을 구비함으로써, 비료가 반송풍 전환부(26)를 향해 중계 송풍로(50)를 올라가는 것이, 더욱 곤란한 것으로 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3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2 다른 형태]에 있어서, 중계 송풍로(50)를 직선 형상이 아닌, 위로 볼록 형상인 삼각 형상이나 사각 형상, 원호 형상 등으로 구성하거나, 반대로 아래로 볼록 형상인 삼각 형상이나 사각 형상, 원호 형상으로 구성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4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발명의 실시의 제3 다른 형태]에 있어서, 블로워(14)의 출구(14a) 및 반송풍 전환부(26)와, 배출 덕트(29)를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발명의 실시의 제3 다른 형태]에 기재된 중계 송풍로(50)에 관한 구조를, 중계 송풍로(50)가 아닌, 반송풍 전환부(26)에 구비하여, 역류 방지부를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반송풍 전환부(26)가 중계 송풍로(50)가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5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발명의 실시의 제4 다른 형태]에 있어서, 조출부(13)의 안내 배출로(13c)를 비스듬히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조출부(13)의 안내 배출로(13c)를 아래로 볼록한 원호 형상이나 계단 형상으로 구성하고, 배면에서 보아, 조출부(13)의 안내 배출로(13c)의 배출 덕트(29)와의 접속부가, 조출부(13)의 안내 배출로(13c)의 상부(조출부(13)와의 접속부)보다 중계 송풍로(50)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6 다른 형태]
시비 장치(11)가 아니라, 농업용 분립체로서 약제를 논바닥에 공급하는 약제 공급 장치(저류부 및 조출부)(도시하지 않음)나, 농업용 분립체로서 종자를 논바닥에 공급하는 파종 장치(저류부 및 조출부)(도시하지 않음)에 대해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발명의 실시의 제5 다른 형태]에 기재된 구성을 적용해도 된다.
본 발명은, 시비 장치뿐만 아니라, 농업용 분립체로서 약제를 논바닥에 공급하는 약제 공급 장치(저류부 및 조출부)나, 농업용 분립체로서 종자를 논바닥에 공급하는 파종 장치(저류부 및 조출부)를 장비한 승용형 이앙기나 승용형 직파기 등의 수전 작업차에 적용할 수 있다.
12 : 저류부
13 : 조출부
13c : 안내 배출로
14 : 블로워
14a : 블로워의 출구
16 : 공급로
26 : 반송풍 전환부
29 : 배출로
33 : 후방부 스텝
50 : 역류 방지부, 중계 송풍로
13 : 조출부
13c : 안내 배출로
14 : 블로워
14a : 블로워의 출구
16 : 공급로
26 : 반송풍 전환부
29 : 배출로
33 : 후방부 스텝
50 : 역류 방지부, 중계 송풍로
Claims (7)
- 분립체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저류부로부터 분립체를 조출하는 조출부와, 상기 조출부로부터 조출된 분립체를 안내하여 논바닥에 공급하는 공급로와, 상기 저류부로부터 배출된 분립체를 회수하여 배출하는 배출로가 구비되고,
분립체를 상기 저류부로부터 상기 공급로로 조출하는 작업 상태와, 분립체를 상기 저류부로부터 상기 배출로로 배출하는 배출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
반송풍을 내는 블로워가 구비되고, 상기 블로워와 상기 공급로 및 상기 배출로가 반송풍 전환부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반송풍 전환부가, 상기 블로워의 반송풍을 상기 공급로에 공급하는 작업 상태와, 상기 블로워의 반송풍을 상기 배출로에 공급하는 배출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저류부로부터 상기 배출로로 배출된 분립체가 상기 블로워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수전 작업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부가, 상기 블로워와 상기 배출로 사이에 구비된 중계 송풍로이며,
상기 중계 송풍로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측보다 상기 블로워측이 높아지도록 상기 중계 송풍로가 배치되어 있는, 수전 작업차.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의 반송풍의 출구가 상기 배출로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수전 작업차.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조출부가 기체의 후방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공급로가 상기 조출부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출로가, 복수의 상기 조출부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또한 측면에서 보아 상기 공급로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수전 작업차.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조출부가 기체의 후방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배출로가 복수의 상기 조출부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조출부의 우측 또는 좌측 단부에, 상기 블로워, 상기 반송풍 전환부 및 상기 중계 송풍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저류부로부터 배출된 분립체를 상기 배출로로 안내하는 안내 배출로가 구비되고,
배면에서 보아, 상기 안내 배출로의 상기 배출로와의 접속부가, 상기 안내 배출로의 상부보다 상기 중계 송풍로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내 배출로가 배치되어 있는, 수전 작업차.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가 상기 조출부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고, 측면에서 보아, 상기 배출로가 상기 공급로의 하측에 배치되고,
배면에서 보아, 상기 공급로가 상기 안내 배출로의 상부와 상기 배출로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수전 작업차. - 제4항에 있어서,
기체의 후방부에 구비된 후방부 스텝의 상측에, 상기 저류부 및 상기 조출부가 구비되고,
측면에서 보아, 상기 배출로가 상기 후방부 스텝의 후단부의 후방측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있는, 수전 작업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129159A JP6650842B2 (ja) | 2016-06-29 | 2016-06-29 | 水田作業車 |
JPJP-P-2016-129159 | 2016-06-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2497A true KR20180002497A (ko) | 2018-01-08 |
KR102472826B1 KR102472826B1 (ko) | 2022-12-02 |
Family
ID=6094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8218A KR102472826B1 (ko) | 2016-06-29 | 2017-06-01 | 수전 작업차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6650842B2 (ko) |
KR (1) | KR102472826B1 (ko) |
CN (1) | CN107535144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99630A (zh) * | 2018-02-28 | 2019-09-06 | 株式会社久保田 | 乘坐型作业机 |
JP7169756B2 (ja) * | 2018-03-28 | 2022-11-11 | 株式会社クボタ | 圃場作業機 |
JP2019170259A (ja) * | 2018-03-28 | 2019-10-10 | 株式会社クボタ | 農作業機 |
JP7118018B2 (ja) | 2019-01-31 | 2022-08-15 | 株式会社クボタ | 水田作業機 |
CN113906880B (zh) * | 2021-10-12 | 2023-01-24 | 华南农业大学 | 一种水稻分蘖期开沟施肥装置及其工作方法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10014A (ja) * | 2002-01-22 | 2003-07-29 | Iseki & Co Ltd | 粉粒体繰出し装置 |
JP2005204540A (ja) * | 2004-01-21 | 2005-08-04 | Kubota Corp | 施肥装置付き乗用型田植機 |
KR20100085818A (ko) * | 2009-01-20 | 2010-07-29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농업용 자재 공급 장치 및 분립체 공급 장치 |
JP2014121296A (ja) * | 2012-12-21 | 2014-07-03 | Iseki & Co Ltd | 苗移植機 |
JP2015100307A (ja) | 2013-11-25 | 2015-06-04 | 株式会社クボタ | 農用資材供給装置 |
JP2016002007A (ja) | 2014-06-13 | 2016-01-12 | 株式会社クボタ | 農作業機 |
US20160123353A1 (en) * | 2014-11-04 | 2016-05-05 | Cnh Industrial Canada, Ltd. | Hydraulic system for an air cart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70049B2 (ja) * | 1995-11-17 | 2004-09-29 | 井関農機株式会社 | 粒状物散布装置 |
JPH11196638A (ja) * | 1998-01-19 | 1999-07-27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田植機 |
JP3949001B2 (ja) * | 2002-04-30 | 2007-07-25 | 株式会社クボタ | 施肥装置付き乗用型田植機 |
JP2005185149A (ja) * | 2003-12-25 | 2005-07-14 | Kubota Corp | 作業機 |
JP4752451B2 (ja) * | 2005-10-25 | 2011-08-17 | 井関農機株式会社 | 作業用走行車両 |
CA2905177C (en) * | 2014-11-04 | 2021-05-11 | Cnh Industrial Canada, Ltd. | Drive system for an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system |
JP6504835B2 (ja) * | 2015-01-28 | 2019-04-24 | 株式会社クボタ | 水田作業機 |
CN205213372U (zh) * | 2015-11-26 | 2016-05-11 | 株式会社久保田 | 水田作业机 |
-
2016
- 2016-06-29 JP JP2016129159A patent/JP6650842B2/ja active Active
-
2017
- 2017-05-17 CN CN201710347969.XA patent/CN107535144B/zh active Active
- 2017-06-01 KR KR1020170068218A patent/KR1024728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10014A (ja) * | 2002-01-22 | 2003-07-29 | Iseki & Co Ltd | 粉粒体繰出し装置 |
JP2005204540A (ja) * | 2004-01-21 | 2005-08-04 | Kubota Corp | 施肥装置付き乗用型田植機 |
KR20100085818A (ko) * | 2009-01-20 | 2010-07-29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농업용 자재 공급 장치 및 분립체 공급 장치 |
JP2014121296A (ja) * | 2012-12-21 | 2014-07-03 | Iseki & Co Ltd | 苗移植機 |
JP2015100307A (ja) | 2013-11-25 | 2015-06-04 | 株式会社クボタ | 農用資材供給装置 |
JP2016002007A (ja) | 2014-06-13 | 2016-01-12 | 株式会社クボタ | 農作業機 |
US20160123353A1 (en) * | 2014-11-04 | 2016-05-05 | Cnh Industrial Canada, Ltd. | Hydraulic system for an air car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650842B2 (ja) | 2020-02-19 |
JP2018000058A (ja) | 2018-01-11 |
CN107535144A (zh) | 2018-01-05 |
KR102472826B1 (ko) | 2022-12-02 |
CN107535144B (zh) | 2022-04-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02497A (ko) | 수전 작업차 | |
JP5249811B2 (ja) | 作業機 | |
JP5237855B2 (ja) | 農用供給装置 | |
KR20200064986A (ko) | 승용 전식기 | |
KR102431274B1 (ko) | 수전 작업차 | |
JP4910540B2 (ja) | 粉粒体施用機 | |
JP6238794B2 (ja) | 粉粒体供給装置 | |
JP6638242B2 (ja) | 苗移植機 | |
JP6739249B2 (ja) | 水田作業車 | |
JP6671092B2 (ja) | 水田作業機 | |
JP2018000059A (ja) | 水田作業車 | |
JP2010193762A (ja) | 粉粒体供給装置 | |
JP6827351B2 (ja) | 田植機 | |
JP2005237245A (ja) | 苗植機の粉粒体繰出装置 | |
JP7138590B2 (ja) | 水田作業機 | |
CN105191551B (zh) | 插播系水田作业机 | |
JP2006034175A (ja) | 苗移植機 | |
JP7169756B2 (ja) | 圃場作業機 | |
JP4802840B2 (ja) | 苗移植機 | |
JP6532365B2 (ja) | 水田作業機 | |
JP6328017B2 (ja) | 水田作業機 | |
JPH11225523A (ja) | 乗用型田植機 | |
JP2007282584A5 (ko) | ||
JP2004357515A (ja) | 田植機 | |
JP2005021028A (ja) | 流体物吐出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