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986A - 승용 전식기 - Google Patents

승용 전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986A
KR20200064986A KR1020207007115A KR20207007115A KR20200064986A KR 20200064986 A KR20200064986 A KR 20200064986A KR 1020207007115 A KR1020207007115 A KR 1020207007115A KR 20207007115 A KR20207007115 A KR 20207007115A KR 20200064986 A KR20200064986 A KR 20200064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planting
seedling
powder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스케 오마에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64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01C11/025Transplanting machines using seedling trays; Devices for removing the seedlings from the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4Fertiliser distributors using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9/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powder-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ertiliz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비용의 고등이나 차체 중량의 증가를 초래하는 일 없이 제 1 분립체 공급 장치에 의한 포장으로의 분립체의 공급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승용 전식기에 있어서, 주행 차체(1)의 후방부에 연결된 모종 식부 장치(3)와, 모종 식부 장치(3)의 후방부에 연결된 제 1 분립체 공급 장치(6)를 구비하고, 모종 식부 장치(3)는 매트 모종이 재치되는 묘탑재대(15)와, 매트 모종으로부터 소정량의 모종을 스크레이핑하여 포장에 식부하는 식부 기구(19)를 갖고, 제 1 분립체 공급 장치(6)는 제 1 분립체가 저류되는 제 1 호퍼와, 제 1 호퍼로부터 소정량의 제 1 분립체를 조출하는 제 1 조출 기구와, 조출된 제 1 분립체를 포장에 있어서의 식부 모종의 횡측방 개소에 공급 안내하는 제 1 공급관(36)과, 제 1 공급관(36)의 내부에 반송풍을 공급하는 제 1 블로어(38)를 갖고, 제 1 블로어(38)는 묘탑재대(15)보다 후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승용 전식기
본 발명은 모종 식부 장치와 제 1 분립체 공급 장치를 구비한 승용 전식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승용 전식기에 있어서는 제 1 분립체 공급 장치로서 입상 비료가 저류되는 비료 호퍼와, 비료 호퍼로부터 소정량의 입상 비료를 조출하는 비료 조출부와, 반송풍을 공급하는 블로어가 묘탑재대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주행 차체의 후방부에 구비된 미드 마운트 사양이며, 비료 조출부로부터 조출된 입상 비료를 비료 조출부에 접속된 비료 이송 호스에 의해 묘탑재대의 후방에 위치하는 식부 기구에 의해 식부된 식부 모종의 횡측방 개소에 공급 안내하는 측상 공급식으로 구성된 시비 장치를 구비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07-282584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시비 장치에 있어서는 비료 이송 호스에 의한 비료의 안내 거리가 길어지는 점에서 비료 이송 호스에서 안내되는 비료의 유속이 비료 이송 호스의 안내 종단측에 있어서 저하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비료 이송 호스의 안내 종단측에 있어서는 비료 이송 호스의 내면에 비료가 부착되기 쉬워진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시비 장치는 측상 공급식임으로써 비료 이송 호스의 안내 종단부에 접속된 시비 가이드가 그 전방측의 작구(作溝)체로 포장에 형성된 시비홈에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포장의 부근까지 공급된 비료가 습기를 띠기 쉬워져 비료 이송 호스의 내면이나 시비 가이드의 내면에 부착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비료 이송 호스의 안내 종단측에 있어서 비료 막힘이 발생하기 쉬워져 있다.
또한, 이 비료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성능이 높은 대형의 블로어를 채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비용이 불어남과 아울러, 차체 중량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이 실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비용의 고등이나 차체 중량의 증가를 초래하는 일 없이 제 1 분립체 공급 장치에 의한 포장으로의 분립체의 공급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 구성은
승용 전식기에 있어서,
주행 차체의 후방부에 연결된 모종 식부 장치와, 상기 모종 식부 장치의 후방부에 연결된 제 1 분립체 공급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모종 식부 장치는 매트 모종이 재치되는 묘탑재대와, 상기 매트 모종으로부터 소정량의 모종을 스크레이핑하여 포장에 식부하는 식부 기구를 갖고,
상기 제 1 분립체 공급 장치는 제 1 분립체가 저류되는 제 1 호퍼와, 상기 제 1 호퍼로부터 소정량의 제 1 분립체를 조출하는 제 1 조출 기구와, 조출된 제 1 분립체를 포장에 있어서의 식부 모종의 횡측방 개소에 공급 안내하는 제 1 공급관과, 상기 제 1 공급관의 내부에 반송풍을 공급하는 제 1 블로어를 갖고,
상기 제 1 블로어는 상기 묘탑재대보다 후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제 1 분립체 공급 장치는 모종 식부 장치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제 1 조출 기구로부터 조출된 분립체를 제 1 공급관에 의해 묘탑재대의 후방에 위치하는 식부 기구에 의해 식부된 식부 모종의 횡측방 개소에 공급 안내하게 된다. 그 때문에 제 1 공급관에 의한 분립체의 안내 거리가 짧아져 제 1 공급관으로 안내되는 분립체의 유속이 저하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 1 공급관에 의해 식부 모종의 횡측방 개소에 공급 안내된 분립체가 습기를 띠어서 제 1 공급관의 내면에 부착되기 쉬워졌다고 해도 그 부착을 묘탑재대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 1 블로어로부터의 반송풍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블로어는 제 1 호퍼나 제 1 조출 기구 등과 함께 식부 기구의 모종 식부 개소에 가까운 모종 식부 장치의 후방부에 위치하고, 이 위치로부터 제 1 공급관의 내부에 반송풍을 공급하는 점에서 제 1 공급관에 의한 분립체의 안내 거리와 마찬가지로 제 1 블로어로부터의 반송풍의 송풍 거리도 짧아진다. 이에 따라 제 1 블로어로서 성능이 높은 대형의 블로어를 채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제 1 분립체 공급 장치에 의한 포장으로의 분립체의 공급을 비용의 고등이나 차체 중량의 증가를 초래하는 일 없이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 구성은
상기 묘탑재대보다 전방의 위치에 배치되는 제 2 분립체 공급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분립체 공급 장치는 제 2 분립체가 저류되는 제 2 호퍼와, 상기 제 2 호퍼로부터 소정량의 제 2 분립체를 조출하는 제 2 조출 기구와, 조출된 제 2 분립체를 포장에 있어서의 식부 모종의 횡측방 개소에 공급 안내하는 제 2 공급관과, 상기 제 2 공급관의 내부에 반송풍을 공급하는 제 2 블로어를 갖고,
상기 제 1 블로어와 상기 제 2 블로어를 독립 구동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제 1 블로어와 제 2 블로어의 쌍방을 구동시킴으로써 제 1 분립체와 제 2 분립체의 쌍방을 포장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포장이나 포장 내의 영역에 따라 2종류의 모종을 나눠 심을 경우 또는 포장의 상태에 따라 2종류의 분립체를 구분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이들의 경우에 적합한 제 1 분립체와 제 2 분립체를 채용하고, 모종의 품종이나 포장의 상태 등에 따라 구동시키는 블로어를 택일적으로 스위칭하도록 하면 모종의 품종이나 포장의 상태 등에 적합한 분립체를 포장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매트 모종으로서 고밀도로 포장 1장당 사용 장수를 삭감할 수 있는 밀묘를 채용할 경우에는 제 1 분립체와 제 2 분립체를 동일한 것으로 해서 제 1 블로어와 제 2 블로어를 순서를 정해 구동시키도록 하면 모종 보급 횟수와 함께 분립체의 보급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작업자가 행하는 식부 작업에 적합한 분립체 공급 형태의 선택이 가능해지며, 모종의 생육 촉진이나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 구성은
상기 제 1 블로어와 상기 제 2 블로어는 전동 블로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 1 블로어와 상기 제 2 블로어를 모두 시동시킬 경우에 상기 제 1 블로어의 시동 타이밍과 상기 제 2 블로어의 시동 타이밍을 상이하게 하는 시간차가 설정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시동 시의 소비 전력이 큰 2대의 전동 블로어를 동시에 시동시킬 경우에 비교해서 최대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고, 배터리 등의 전동 부품에 가해지는 전력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각 블로어의 작동에 관한 각 전장 부품에 드는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 구성은
상기 제 2 블로어는 상기 묘탑재대보다 전방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시간차는 상기 제 1 블로어의 시동 타이밍보다 빠른 타이밍에서 상기 제 2 블로어가 시동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묘탑재대의 전방에 위치함으로써 묘탑재대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 1 블로어보다 송풍 거리가 길어지는 제 2 블로어를 우선해서 시동시키는 점에서 제 1 블로어와 제 2 블로어의 송풍 거리의 차에 의한 분립체의 공급 지연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특징 구성은
상기 제 1 분립체 공급 장치는 상기 모종 식부 장치의 후방부에 지지 프레임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모종 식부 장치에 고정된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에 전후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우의 링크 암과, 상기 좌우의 링크 암의 자유단부에 가설된 이동 부재를 갖고,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한 평행 자세로 상기 이동 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평행 링크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호퍼와 상기 제 1 조출 기구는 상기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이동측에 지지되고,
상기 제 1 블로어는 상기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고정측에 있어서의 상기 이동 부재가 후방 요동으로 변위하는 좌우 일방측과는 좌우 반대측의 단부에 지지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이동 부재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이동 부재와 함께 제 1 호퍼와 제 1 조출 기구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제 1 블로어로부터 멀어지는 좌우 일방으로 변위한다. 이에 따라 모종 식부 장치 및 제 1 블로어와, 제 1 호퍼 및 제 1 조출 기구 사이에 큰 유지보수 공간을 얻을 수 있고, 이 유지보수 공간으로부터 모종 식부 장치 및 분립체 공급 장치에 대한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다. 특히, 이동 부재와 함께 제 1 호퍼와 제 1 조출 기구가 제 1 블로어로부터 크게 멀어지는 점에서 제 1 블로어에 대한 유지보수가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이동 부재를 이동시킬 경우에는 중량이 큰 블로어가 지지 프레임의 고정측에 남겨지는 점에서 비교적 가벼운 노력으로 이동 부재와 함께 제 1 호퍼와 제 1 조출 기구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모종 식부 장치 및 분립체 공급 장치에 대한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측조 시약식의 제 1 약제 공급 장치를 구비한 승용 전식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측조 시약식의 제 1 약제 공급 장치를 구비한 승용 전식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묘탑재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제 1 약제 호퍼와 제 1 약제 조출 기구 등이 작업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약제 공급 장치 주변의 일부 종단 좌측면도이다.
도 5는 제 1 약제 호퍼와 제 1 약제 조출 기구 등이 비작업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약제 공급 장치 주변의 일부 종단 좌측면도이다.
도 6은 제 1 약제 호퍼와 제 1 약제 조출 기구 등이 작업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약제 공급 장치 주변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7은 제 1 약제 호퍼와 제 1 약제 조출 기구 등이 비작업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약제 공급 장치 주변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8은 제 1 약제 조출 기구의 전동계 등을 나타내는 제 1 약제 조출 기구의 우반부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시약용 전동 기구 등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의 종단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제 1 로크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제 2 로크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12는 유지 기구에 의한 링크 암의 접힘 자세 유지 상태를 나타내는 유지 기구 주변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유지 기구에 의한 링크 암의 돌출 자세 유지 상태를 나타내는 유지 기구 주변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일례로서 본 발명을 승용 전식기의 일례인 8열 심기용의 승용 전식기에 적용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승용 전식기는 8열 심기용 이외에 4열 심기용, 5열 심기용, 6열 심기용, 10열 심기용 등이어도 좋다.
도 1~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예시하는 승용 전식기는 4륜 구동 형식의 승용형으로 구성된 주행 차체(1)와, 주행 차체(1)의 후방부에 유압식의 승강 구동 유닛(2)을 통해 연결된 8열 심기용의 모종 식부 장치(3)와, 주행 차체(1)의 후방부로부터 모종 식부 장치(3)에 걸치는 미드 마운트 사양의 8열용의 시비 장치(제 2 분립체 공급 장치의 일례)(4)와, 모종 식부 장치(3)의 후방부에 지지 프레임(5)을 통해 지지된 8열용의 제 1 약제 공급 장치(제 1 분립체 공급 장치의 일례)(6)와 제 2 약제 공급 장치(7)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차체(1)는 조타 가능하며, 구동 가능한 좌우의 전륜(8)과, 구동 가능한 좌우의 후륜(9)과, 전륜 조타용의 스티어링 휠(10)과, 탑승 운전용의 좌석(11)을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전륜(8) 및 좌우의 후륜(9)에는 주행 차체(1)의 전방부에 탑재된 엔진(12)으로부터의 동력이 도시하지 않은 유압 기계식 무단 변속 장치(HMT) 등을 구비한 주행 전동계를 통해 전달되어 있다. 주행 차체(1)의 전방부에는 예비의 매트 모종이 재치되는 좌우 한 쌍의 예비 묘탑재대(1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주행 전동계에는 유압 기계식 무단 변속 장치 대신에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HST) 또는 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 등을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 구동 유닛(2)은 주행 차체(1)의 후방부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평행 링크 기구(14)와, 평행 링크 기구(14)를 요동 구동하는 승강용의 유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와, 유압 실린더에 대한 오일의 흐름을 제어하는 승강용의 밸브 유닛(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있다.
도 1~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식부 장치(3)는 8열분의 매트 모종이 재치 가능하게 형성된 묘탑재대(15)와, 작업 주행 시에 포장의 진흙면을 정지(整地)하는 5개의 정지 플로트(16)와, 주행 차체(1)로부터의 작업용의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부(17)와, 입력부(17)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횡 이송 기구(도시하지 않음)와 8개의 종 이송 기구(18)와 8개의 식부 기구(19)와, 이들을 지지하는 식부 프레임(20)을 갖고 있다. 묘탑재대(15)는 식부 프레임(20)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5개의 정지 플로트(16) 중 좌우 중앙측에 배치된 3개의 정지 플로트(16)는 2열분의 모종 식부 개소를 정지하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 대략 T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양단에 배치된 2개의 정지 플로트(16)는 1열분의 모종 식부 개소를 정지하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 대략 L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횡 이송 기구는 입력부(17)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됨으로써 묘탑재대(15)를 매트 모종의 좌우 폭에 대응하는 일정 스트로크로 좌우 방향으로 왕복 구동한다. 각 종 이송 기구(18)는 벨트식으로 구성되고, 묘탑재대(15)가 스트로크단에 도달할 때마다 횡 이송 기구를 경유한 입력부(17)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되고, 이 구동에 의해 매트 모종을 소정 피치로 하방으로 종 이송한다. 8개의 식부 기구(19)는 식부 열 간에 대응하는 일정 간격으로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식부 기구(19)는 로터리식으로 구성되고, 입력부(17)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됨으로써 각 매트 모종의 하단으로부터 모종을 소정량씩 스크레이핑하여 포장에 식부한다. 식부 프레임(20)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파이프형상의 주부재(21)와 주부재(2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지지 프레임(22)과, 주부재(2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4개의 전동 케이스(23)를 갖고 있다. 각 전동 케이스(23)는 지지 프레임(5)을 통해 제 1 약제 공급 장치(6)와 제 2 약제 공급 장치(7)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겸용되어 있다. 각 전동 케이스(23)의 내부에는 식부 기구(19)에 전동하는 식부용 전동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각 전동 케이스(23)의 후단부에는 좌우 한 쌍의 식부 기구(19)가 구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식부 장치(3)의 입력부(17)에는 유압 기계식 무단 변속 장치에 의한 변속 후의 전진 동력이 주행 차체(1)의 후방부에 배치된 작업용 전동 유닛(24)과, 작업용 전동 유닛(24)으로부터 모종 식부 장치(3)의 입력부(17)에 걸치는 외부 전동축(25) 등을 통해 식부 작업용의 동력으로서 입력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작업용 전동 유닛(24)에는 식부 작업용의 동력을 6단계로 변경하는 주간(株間) 변속 장치와, 식부 작업용의 동력을 단속하는 식부 클러치 등이 구비되어 있다.
매트 모종에는 1장당 파종량이 통상의 약 2배로 설정된 고밀도의 밀묘가 채용되어 있다. 이에 따라 1장의 매트 모종에 대한 식부 기구(19)의 모내기 횟수를 많게 할 수 있고, 포장 1장당 사용하는 매트 모종의 장수를 삭감할 수 있다.
도 1~도 2, 도 4~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비 장치(4)는 8열분의 비료(제 2 분립체의 일례)를 저류하는 횡으로 긴 비료 호퍼(제 2 호퍼의 일례)(26)와, 4개의 비료 조출 기구(제 2 조출 기구의 일례)(27)와, 차체 좌측에 배치된 전동식의 시비 블로어(제 2 블로어의 일례)(28)와, 8열분의 비료 공급 경로를 형성하는 8개의 비료 공급관(제 2 공급관의 일례)(29)과, 그루빙부를 갖는 8개의 작구기(30)와, 8개의 복토판(31)을 갖고 있다. 비료 호퍼(26)는 그 하단부에 8개의 비료 배출부(26A)가 형성되고, 각 비료 배출부(26A)가 비료 조출 기구(27)의 상부에 연통 접속되어 있다. 각 비료 조출 기구(27)는 유압 기계식 무단 변속 장치에 의한 변속 후의 동력이 시비 작업용의 동력으로서 시비용 전동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전달됨으로써 구동되고, 이 구동에 의해 비료 호퍼(26)로부터 2열분의 비료를 소정량씩 조출한다. 시비 블로어(28)는 주행 차체(1)에 탑재된 배터리(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전력으로 구동되고, 이 구동에 의해 각 비료 조출 기구(27)에 의해 조출된 비료를 포장의 진흙면을 향해 반송하는 반송풍을 발생시킨다. 각 비료 공급관(29)은 비료 조출 기구(27)로부터 조출된 비료를 반송풍과 함께 각 작구기(30)에 안내한다. 각 작구기(30)는 정지 플로트(16)와 식부 기구(19) 사이에 있어서의 식부 기구(19)의 모종 식부 위치에 대한 횡 방향의 인접 개소에 위치하도록 정지 플로트(16)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작구기(30)는 모종 식부 장치(3)와 함께 승강하고, 각 정지 플로트(16)가 접지하는 작업 주행 시에는 포장의 진흙면에 시비홈을 형성하여 비료를 시비홈 내에 안내한다. 각 복토판(31)은 작구기(3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정지 플로트(16)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작구기(30)에 의해 형성되어 비료가 공급된 시비홈을 각 복토판(31)에 의해 되메울 수 있다.
즉, 시비 장치(4)는 각 식부 기구(19)에 의해 포장에 식부된 모종의 횡측방 개소에 비료를 소정 깊이로 매몰 공급하는 측조 시비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시비 장치(4)는 시비용 전동 기구에 구비된 시비 클러치의 단속 조작 및 전기 회로에 구비된 시비용의 블로어 스위치의 단속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각 비료 조출 기구(27) 및 시비 블로어(28)가 작동하는 시비 상태와, 각 비료 조출 기구(27) 및 시비 블로어(28)가 작동을 정지하는 시비 정지 상태로 스위칭된다.
도 1~도 2, 도 4~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약제 공급 장치(6)는 2열분의 약제(제 1 분립체의 일례)를 각 작구기(30)가 형성한 시비홈에 공급하는 4개의 시약 유닛(32)과, 각 시약 유닛(32)에 시약용의 반송풍을 공급하는 반송풍 공급 유닛(33)을 갖고 있다. 각 시약 유닛(32)은 살충 살균용의 약제를 저류하는 횡으로 긴 제 1 약제 호퍼(제 1 호퍼의 일례)(34)와, 좌우 2개의 제 1 약제 조출 기구(제 1 조출 기구의 일례)(35)와, 2열분의 약제 공급 경로를 형성하는 2개의 약제 공급관(제 1 공급관의 일례)(36)과, 2개의 시약 가이드(37)를 갖고 있다. 반송풍 공급 유닛(33)은 차체 좌측에 배치된 전동식의 시약 블로어(제 1 블로어의 일례)(38)와, 시약 블로어(38)의 배기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송풍 공급관(39)을 갖고 있다. 각 제 1 약제 호퍼(34)는 그 하단부가 제 1 약제 조출 기구(35)의 상단부에 연통 접속되어 있다. 각 제 1 약제 조출 기구(35)는 식부 기구(19)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지지 프레임(5)에 지지되어 있다. 각 제 1 약제 조출 기구(35)는 식부 작업용의 동력이 시약 작업용의 동력으로서 시약용 전동 기구(40)를 통해 전달됨으로써 구동되고, 이 구동에 의해 제 1 약제 호퍼(34)로부터 1열분의 약제를 소정량씩 조출한다. 각 제 1 약제 조출 기구(35)의 저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의 약제 배출부(35A)가 형성되고, 각 약제 배출부(35A)에는 약제 공급관(36)의 상단부(36A)가 착탈 가능하게 연통 접속되어 있다. 각 약제 공급관(36)은 반송풍 공급 유닛(33)으로부터의 반송풍을 합류시키는 대략 y자상의 합류관부(36B)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약제 공급관(36)은 제 1 약제 조출 기구(35)로부터 조출된 약제를 반송풍과 함께 시약 가이드(37)에 안내한다. 각 시약 가이드(37)는 작구기(30)와 복토판(31) 사이에 위치하도록 작구기(30)와 함께 정지 플로트(16)에 부착되어 있다. 시약 블로어(38)는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으로 구동되고, 이 구동에 의해 각 제 1 약제 조출 기구(35)에 의해 조출된 약제를 포장의 진흙면을 향해 반송하는 반송풍을 반송풍 공급관(39)의 내부에 공급한다. 반송풍 공급관(39)은 식부 기구(19)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지지 프레임(5)에 지지되어 있다. 반송풍 공급관(39)의 좌단부에는 시약 블로어(38)의 배기부가 접속되어 있다. 반송풍 공급관(39)의 저부에는 각 약제 공급관(36)의 합류관부(36B)에 형성된 통형상의 흡기부(36C)가 연통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약제 공급 장치(6)는 모종 식부 장치(3)와 함께 승강하고, 각 정지 플로트(16)가 접지하는 작업 주행 시에는 각 시약 가이드(37)가 작구기(30)에 의해 형성된 시비홈에 들어가서 약제를 시비홈 내에 안내한다. 그리고 약제가 시비홈 내에 안내된 후에 시비홈이 각 복토판(31)에 의해 되메워지도록 되어 있다.
즉, 제 1 약제 공급 장치(6)는 각 식부 기구(19)에 의해 포장에 식부된 모종의 횡측방 개소에 약제를 소정 깊이로 매몰 공급하는 측조 시약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도 4~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약제 공급관(36)의 합류관부(36B)는 약제만을 안내하는 약제 안내 영역과, 반송풍만을 안내하는 반송풍 안내 영역과, 반송풍에 의해 약제를 반송시키는 합류 반송 영역을 갖고 있다. 그리고 반송풍 안내 영역과 합류 반송 영역의 접속 영역이 대략 일직선으로 형성됨으로써 반송풍이 시약 가이드(37)를 향해 흐르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약제 안내 영역과 반송풍 안내 영역의 협각이 예각으로 설정됨으로써 약제가 반송풍과 함께 제 1 약제 조출 기구(35)를 향해서 역류할 우려가 회피되어 있다.
측조 시약식의 제 1 약제 공급 장치(6)는 작업 주행 시에 각 시약 가이드(37)가 시비홈에 들어감으로써 포장의 부근까지 공급된 약제가 습기를 띠기 쉬워져 각 약제 공급관(36)의 내면이나 각 시약 가이드(37)의 내면에 부착되기 쉬워진다.
그래서 이 제 1 약제 공급 장치(6)는 각 약제 공급관(36)의 내부를 통과하여 각 시약 가이드(37)의 내부를 향하는 시약용의 반송풍을 발생시키는 시약 블로어(38)를 가짐으로써 습기를 띤 약제가 각 약제 공급관(36)의 내면이나 각 시약 가이드(37)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약제 공급관(36)의 내면이나 각 시약 가이드(37)의 내면에 약제가 부착 퇴적하는 약제 막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약제 공급 장치(6)는 시비 장치(4)와 같이 비료 조출 기구(27)나 시비 블로어(28) 등이 주행 차체(1)의 후방부에 탑재되는 것은 아니고, 시약 대상 개소에 가까운 모종 식부 장치(3)의 후방 개소에 제 1 약제 조출 기구(35)나 시약 블로어(38) 등이 배치됨으로써 각 약제 공급관(36)에 의해 형성되는 약제 공급 경로가 짧아진다.
이에 따라 약제 공급관(36)으로 안내되는 약제의 유속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이 유속의 저하에 기인하여 약제가 각 약제 공급관(36)의 내면이나 각 시약 가이드(37)의 내면에 부착되기 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각 시약 가이드(37)에는 내마모성이 높은 강판 등의 단단한 소재가 채용되고, 그 내면의 전역 또는 포장의 흙탕물이 튀기 쉬운 내면의 하측 영역 등에 발수성을 갖는 시트가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시약 가이드(37)가 작업 주행 시에 시비홈에 들어감으로써 발생하는 각 시약 가이드(37)의 마모 및 각 시약 가이드(37)의 내면으로의 진흙 등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 시약 가이드(37)의 내면에 진흙이나 약제 등이 부착되어도 작업 주행 중에 각 시약 가이드(37)의 내면으로 튀는 포장의 흙탕물에 의해 씻어 버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각 약제 공급관(36)의 내면이나 각 시약 가이드(37)의 내면에 약제나 진흙이 부착 퇴적하는 막힘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1, 도 4~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시약 가이드(37)는 그들이 시비홈에 들어가는 작업 주행 시에 시비홈에 선행 공급된 비료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그들의 정지 플로트(16)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각 작구기(30)의 정지 플로트(16)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비홈을 이용해서 시약을 행하도록 하면서도 시비와 시약의 쌍방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도 4~도 5, 도 8~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약제 공급 장치(6)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입력축(41)을 갖고 있다. 제 1 약제 공급 장치(6)에 있어서 각 시약 유닛(32)은 좌우의 제 1 약제 조출 기구(35)에 걸치는 조출 구동축(42)을 갖고 있다. 제 1 약제 공급 장치(6)의 좌측에 배치된 2개의 시약 유닛(32)은 그들의 조출 구동축(42)이 입력축(41)의 좌단부에 기어식 전동 기구(43)와 맞물림 클러치(44)를 통해 전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 약제 공급 장치(6)의 우측에 배치된 2개의 시약 유닛(32)은 그들의 조출 구동축(42)이 입력축(41)의 우단부에 기어식 전동 기구(43)와 맞물림 클러치(44)를 통해 전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 1 약제 공급 장치(6)는 상술한 식부 클러치의 단속 조작 및 전기 회로에 구비된 시약용의 블로어 스위치의 단속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각 제 1 약제 조출 기구(35) 및 시약 블로어(38)가 작동하는 시약 상태와, 각 제 1 약제 조출 기구(35) 및 시비 블로어(28)가 작동을 정지하는 시약 정지 상태로 스위칭된다.
도 1~도 2, 도 4~도 7,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약제 공급 장치(7)는 제초용의 약제를 저류하는 단일의 제 2 약제 호퍼(45)와, 단일의 제 2 약제 조출 기구(46)와, 약제 확산용의 회전체(47)와, 회전체(47)를 종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전동 모터(48)와, 횡으로 긴 산포 커버(49)를 갖고 있다. 제 2 약제 호퍼(45)는 그 하단부가 제 2 약제 조출 기구(46)의 상단부에 연통 접속되어 있다. 제 2 약제 조출 기구(46)는 지지 프레임(5)의 후단부에 지지됨으로써 시비 장치(4) 및 제 1 약제 공급 장치(6)보다 후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약제 조출 기구(46)는 식부 작업용의 동력이 시약 작업용의 동력으로서 시약용 전동 기구(40)를 통해 전달됨으로써 구동되고, 이 구동에 의해 제 2 약제 호퍼(45)로부터 산포 커버(49)의 내부에 약제를 소정량씩 조출한다. 회전체(47)와 전동 모터(48)는 산포 커버(49)에 있어서의 내부의 좌우 중앙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체(47)는 전동 모터(48)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제 2 약제 조출 기구(46)로부터 조출된 약제를 산포 커버(49)의 내부에 있어서 확산시킨다. 산포 커버(49)는 지지 프레임(5)과 제 2 약제 조출 기구(46)로 지지되어 있다. 산포 커버(49)는 회전체(47)에 의해 확산된 약제를 산포 커버(49)의 내부에 있어서 적절하게 반사시켜서 산포 커버(49)의 하단에 형성된 개구(49A)로부터 포장의 산포 대상 영역에 산포한다.
즉, 제 2 약제 공급 장치(7)는 각 식부 기구(19)에 의해 모종이 식부된 포장의 산포 대상 영역에 상방으로부터 약제를 산포 공급하는 산포 시약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 2 약제 공급 장치(7)는 상술한 식부 클러치의 단속 조작 및 시약용의 블로어 스위치의 단속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제 2 약제 조출 기구(46) 및 전동 모터(48)가 작동하는 산포 상태와, 제 2 약제 조출 기구(46) 및 전동 모터(48)가 작동을 정지하는 산포 정지 상태로 스위칭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식부 장치(3)에 있어서 좌로부터 2번째에 배치된 전동 케이스(23)에는 그 내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식부 작업용의 동력의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PTO축(50)이 구비되어 있다.
도 1, 도 4~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약용 전동 기구(40)는 PTO축(50)과 일체 회전하는 회전 암(51)과, 회전 암(51)의 회전으로 상하 방향으로 밀고 당겨지는 제 1 연계 로드(52)와, 제 1 연계 로드(52)의 밀고 당김으로 요동하는 제 1 요동 암(53)과, 제 1 요동 암(53)의 요동으로 전후 방향으로 밀고 당겨지는 제 2 연계 로드(54) 및 제 3 연계 로드(55)와, 제 2 연계 로드(54)의 밀고 당김으로 상하 방향으로 요동하는 제 2 요동 암(56)과, 제 3 연계 로드(55)의 밀고 당김으로 전후 방향으로 요동하는 제 3 요동 암(57)과, 제 2 요동 암(56)의 하방으로의 요동을 제 1 약제 공급 장치(6)의 입력축(41)에 전달하는 제 1 원 웨이 클러치(58)와, 제 3 요동 암(57)의 전방으로의 요동을 제 2 약제 공급 장치(7)의 조출 구동축(59)으로 전달하는 제 2 원 웨이 클러치(60)를 갖고 있다. 회전 암(51)은 PTO축(50)에 퀵 조인트(61)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 요동 암(53)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62)을 지점으로 해서 요동한다. 제 2 요동 암(56)은 입력축(41)에 독립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3 요동 암(57)은 조출 구동축(59)에 독립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1 원 웨이 클러치(58)는 제 1 비틀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작용에 의해 제 2 요동 암(56)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하는 제 1 연계 핀(63)을 갖고 있다. 제 2 원 웨이 클러치(60)는 제 2 비틀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작용에 의해 제 3 요동 암(57)에 전방으로부터 접촉하는 제 2 연계 핀(64)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시약용 전동 기구(40)는 PTO축(50)으로부터의 식부 작업용의 동력으로 제 1 연계 로드(52)가 내려져서 제 2 요동 암(56)이 하방으로 요동한 경우에는 제 1 비틀림 스프링의 작용에 저항해서 제 1 연계 핀(63)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 하방으로의 이동에 연동해서 입력축(41)을 회전시킬 수 있다. 반대로, PTO축(50)으로부터의 식부 작업용의 동력으로 제 1 연계 로드(52)가 밀어 올려져서 제 2 요동 암(56)이 상방으로 요동한 경우에는 제 1 비틀림 스프링의 작용으로 제 1 연계 핀(63)이 제 2 요동 암(56)에 추종하여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입력축(41)의 회전이 정지한다.
즉, 시약용 전동 기구(40)는 PTO축(50)으로부터의 식부 작업용의 동력으로 제 1 약제 공급 장치(6)의 입력축(41)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약제 공급 장치(6)에 의한 시약을 간헐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시약용 전동 기구(40)는 PTO축(50)으로부터의 식부 작업용의 동력으로 제 1 연계 로드(52)가 밀어 올려져서 제 3 요동 암(57)이 전방으로 요동한 경우에는 제 2 비틀림 스프링의 작용에 저항해서 제 2 연계 핀(64)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 전방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조출 구동축(59)을 회전시킬 수 있다. 반대로, PTO축(50)으로부터의 식부 작업용의 동력으로 제 1 연계 로드(52)가 내려져서 제 3 요동 암(57)이 후방으로 요동한 경우에는 제 2 비틀림 스프링의 작용으로 제 2 연계 핀(64)이 제 3 요동 암(57)에 추종하여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조출 구동축(59)의 회전이 정지한다.
즉, 시약용 전동 기구(40)는 PTO축(50)으로부터의 식부 작업용의 동력으로 제 2 약제 공급 장치(7)의 조출 구동축(59)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2 약제 공급 장치(7)에 의한 약제 산포를 간헐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도 4~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5)은 각 전동 케이스(23)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4개의 지지 부재(65)와, 우측의 2개의 지지 부재(65)에 가설된 각형 강관제의 고정 부재(66)와, 고정 부재(66)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제 1 지지축(67)과, 제 1 지지축 둘레에 전후 방향으로 요동하는 좌우의 링크 암(68)과, 좌우의 링크 암(68)의 자유단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제 2 지지축(69)과, 제 2 지지축(69)을 개재하여 좌우의 링크 암(68)의 자유단부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좌우의 브래킷(70)과, 좌우의 브래킷(70)에 가설된 둥근형 강관제의 이동 부재(71)와, 이동 부재(71)의 좌우 양단측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지지 암(72)과, 좌우의 지지 암(72)의 전단부에 가설된 각형 강관제 전방측 지지 부재(73)와, 좌우의 지지 암(72)의 후단부에 가설된 각형 강관제의 후방측 지지 부재(74)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지지 프레임(5)은 이동 부재(71)가 고정 부재(66)에 근접한 작업 위치와, 이동 부재(71)가 고정 부재(66)로부터 우측 후방으로 크게 멀어진 비작업 위치에 걸쳐 지지 부재(65)와 고정 부재(66)를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5)의 고정측에 대하여 이동 부재(71)와, 전방측 지지 부재(73)와, 후방측 지지 부재(74)를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5)의 이동측이 평행 이동하는 평행 링크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5)은 이동 부재(71)를 작업 위치에 고정하는 좌우의 제 1 로크 기구(75)와 단일의 제 2 로크 기구(76)와, 좌우의 링크 암(68)을 이동 부재(71)의 작업 위치에 대응하는 접힘 자세와 이동 부재(71)의 비작업 위치에 대응하는 돌출 자세로 스위칭하여 유지하는 좌우의 유지 기구(77)를 갖고 있다.
도 4~도 7,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제 1 로크 기구(75)는 좌단의 지지 부재(65) 또는 고정 부재(66)의 우단부에 구비된 받이부(78)와, 이동 부재(71)를 받이부(78)의 수용 위치(작업 위치)를 넘어가 안내하는 롤러(79)와, 이동 부재(71)를 받이부(78)의 수용 위치에 고정하는 토글식의 고정구(80)를 갖고 있다. 각 받이부(78)에는 수용 위치의 이동 부재(71)가 들어가는 오목부(78A)가 형성되어 있다. 각 롤러(79)는 받이부(78)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8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고정구(80)는 이동 부재(7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록킹 클로(82)와, 록킹 클로(82)에 걸리는 링 부재(83)와, 링 부재(83)를 자유 위치와 고정 위치로 스위칭하는 토글 기구(84)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좌우의 제 1 로크 기구(75)는 이동 부재(71)가 수용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이동 부재(71)의 록킹 클로(82)에 링 부재(83)가 걸린 후 토글 기구(84)의 조작으로 링 부재(83)가 자유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스위칭됨으로써 이동 부재(71)를 수용 위치(작업 위치)에 고정한다.
또한, 이 고정 상태에 있어서 토글 기구(84)의 조작으로 링 부재(83)가 고정 위치로부터 자유 위치로 스위칭됨으로써 이동 부재(71)의 수용 위치(작업 위치)에서의 고정을 해제하고, 그 후 록킹 클로(82)에 대한 링 부재(83)의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이동 부재(71)의 수용 위치(작업 위치)로부터의 이탈을 허용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로크 기구(76)는 좌로부터 2번째의 지지 부재(65)에 고정된 U자상의 받이 부재(85)와, 받이 부재(85)에 수용되도록 이동 부재(71)에 고정된 L자 금구(86)와, 이동 부재(71)를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축(87)과, 관통축(87)의 상단부에 좌우로 연장되는 지지축(88)을 개재하여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조작 레버(89)와, 관통축(87)의 하단부에 부착된 판 스프링(90)과, 관통축(87)과 조작 레버(89)를 안내 지지하도록 이동 부재(71)에 고정된 가이드 부재(91)를 갖고 있다. 조작 레버(89)는 관통축(87)을 개재하여 판 스프링(90)을 받이 부재(85)의 외면에 접촉시켜서 탄성 변형시키는 편심 캠부(89A)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제 2 로크 기구(76)는 이동 부재(71)가 작업 위치에 위치하고, L자 금구(86)가 받이 부재(85)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조작 레버(89)에 의한 관통축(87)의 회전 조작으로 판 스프링(90)이 받이 부재(85)에 대한 접촉 불능 자세로부터 접촉 가능 자세로 스위칭된 후 조작 레버(89)가 관통축(87)을 따르는 해제 자세로부터 관통축(87)과 직교하는 로크 자세로 요동 조작되면 관통축(87)을 개재한 편심 캠부(89A)의 작용으로 판 스프링(90)이 받이 부재(85)를 향해 끌어올려짐과 아울러, 받이 부재(85)에 접촉해서 탄성 변형되고, 이 탄성 변형으로 얻어지는 탄성력으로 이동 부재(71)를 작업 위치에 고정한다.
또한, 이 고정 상태에 있어서 조작 레버(89)가 로크 자세로부터 해제 자세로 요동 조작되면 관통축(87)을 개재한 편심 캠부(89A)의 작용으로 판 스프링(90)이 받이 부재(8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받이 부재(85)와의 접촉을 해제함으로써 이동 부재(71)의 작업 위치에서의 고정을 해제한다. 그 후 조작 레버(89)에 의한 관통축(87)의 회전 조작으로 판 스프링(90)이 받이 부재(85)에 대한 접촉 가능 자세로부터 접촉 불능 자세로 스위칭됨으로써 이동 부재(71)의 작업 위치로부터의 이탈을 허용한다.
도 4~도 7, 도 12~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유지 기구(77)는 링크 암(68)의 자유단부를 형성하는 부채형의 브래킷(92)과, 링크 암(68)의 브래킷(70)에 상하 방향으로 출퇴 조작 가능하게 지지된 록킹 핀(93)과, 록킹 핀(93)을 하방으로 돌출 바이어싱하는 압축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있다. 브래킷(92)에는 압축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록킹 핀(93)이 꽂아 넣어지는 제 1 록킹 구멍(92A)과 제 2 록킹 구멍(92B)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유지 기구(77)는 압축 스프링의 작용으로 록킹 핀(93)이 제 1 록킹 구멍(92A)에 꽂아 넣어짐으로써 링크 암(68)을 접힘 자세로 유지한다. 또한, 압축 스프링의 작용으로 록킹 핀(93)이 제 2 록킹 구멍(92B)에 꽂아 넣어짐으로써 링크 암(68)을 돌출 자세로 유지한다. 그리고 압축 스프링의 작용에 저항해서 록킹 핀(93)이 제 1 록킹 구멍(92A) 또는 제 2 록킹 구멍(92B)으로부터 뽑아내어짐으로써 링크 암(68)의 요동을 허용한다.
도 6~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부재(71)는 이동 부재(71)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 U자상의 핸들(94)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이동 부재(71)의 이동 조작을 행할 경우에는 제 2 약제 공급 장치(7)의 후방으로부터 용이하게 핸들(94)을 잡을 수 있고, 이동 부재(71)의 이동 조작을 무리 없이 행할 수 있다.
도 4~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5)에 있어서 각 지지 부재(65)는 제 1 약제 공급 장치(6)의 반송풍 공급관(39)과 각 약제 공급관(36)을 지지하고 있다. 좌측의 지지 암(72)은 시약용 전동 기구(40)의 지지축(62)을 지지하고 있다. 전방측 지지 부재(73)는 제 1 약제 공급 장치(6)의 각 제 1 약제 조출 기구(35)와 좌우의 기어식 전동 기구(43)를 지지하고 있다. 후방측 지지 부재(74)는 제 2 약제 공급 장치(7)의 제 2 약제 조출 기구(46)와 산포 커버(49)를 지지하고 있다. 반송풍 공급관(39)은 높은 강도를 갖는 둥근형 강관제이며, 시약 블로어(38) 등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겸하고 있다.
즉, 지지 프레임의 고정측인 각 지지 부재(65) 등에 의해 제 1 약제 공급 장치(6)의 반송풍 공급관(39)과, 각 약제 공급관(36)과, 시약 블로어(38) 등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의 이동측인 지지 암(72)과, 전방측 지지 부재(73)와, 후방측 지지 부재(74)에 의해 제 1 약제 공급 장치(6)의 각 제 1 약제 조출 기구(35)와, 좌우의 기어식 전동 기구(43)와, 시약용 전동 기구(40)와, 제 2 약제 공급 장치(7) 등이 지지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이 승용 전식기에 있어서 모종 식부 장치(3)나 제 1 약제 공급 장치(6) 등의 유지보수를 행할 경우에는, 우선 퀵 조인트(61)를 조작해서 모종 식부 장치(3)의 PTO축(50)으로부터 시약용 전동 기구(40)를 분리하고, 또한 제 1 약제 공급 장치(6)에 있어서의 각 제 1 약제 조출 기구(35)의 약제 배출부(35A)와 약제 공급관(36)의 접속을 해제한다. 그 후 좌우의 제 1 로크 기구(75) 및 제 2 로크 기구(76)에 의한 이동 부재(71)의 작업 위치에서의 고정을 해제하고, 또한 좌우의 유지 기구(77)에 의한 좌우의 링크 암(68)의 접힘 자세에서의 유지를 해제한다. 이에 따라 이동 부재(71)를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의 이동측과 함께 제 1 약제 공급 장치(6)의 상부측에 배치된 제 1 약제 호퍼(34)와 제 1 약제 조출 기구(35)에 추가하여 시약용 전동 기구(40)와 제 2 약제 공급 장치(7) 등을 그들이 모종 식부 장치(3) 및 시약 블로어(38)에 근접한 작업 위치로부터 모종 식부 장치(3)의 우측 후방으로 크게 멀어지는 비작업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5, 도 7 참조). 그리고 이 이동에 의해 이동 부재(71) 등이 비작업 위치에 도달하면 좌우의 유지 기구(77)에 의해 좌우의 링크 암(68)이 돌출 자세로 자동적으로 유지됨과 아울러, 모종 식부 장치(3) 및 시약 블로어(38)와, 제 1 약제 공급 장치(6)의 각 제 1 약제 호퍼(34) 및 각 제 1 약제 조출 기구(35) 등 사이에 큰 유지보수 공간을 얻을 수 있고, 이 유지보수 공간으로부터 모종 식부 장치(3)와 제 1 약제 공급 장치(6) 등에 대한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모종 식부 장치(3)나 제 1 약제 공급 장치(6) 등의 유지보수를 끝냈을 경우에는 좌우의 유지 기구(77)에 의한 좌우의 링크 암(68)의 돌출 자세에서의 유지를 해제함으로써 이동 부재(71) 및 제 1 약제 공급 장치(6)의 제 1 약제 조출 기구(35) 등을 비작업 위치로부터 작업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4, 도 6 참조). 그리고 이 이동에 의해 이동 부재(71) 등이 작업 위치에 도달하면 좌우의 유지 기구(77)에 의해 좌우의 링크 암(68)이 접힘 자세로 자동적으로 유지되는 점에서 이 유지 상태에 있어서 좌우의 제 1 로크 기구(75) 및 제 2 로크 기구(76)에 의한 이동 부재(71)의 작업 위치에서의 고정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고정 후에 제 1 약제 공급 장치(6)에 있어서의 각 제 1 약제 조출 기구(35)의 약제 배출부(35A)와 약제 공급관(36)의 접속을 행하고, 또한 퀵 조인트(61)를 조작해서 모종 식부 장치(3)의 PTO축(50)에 시약용 전동 기구(40)를 연결함으로써 모종 식부 장치(3) 및 제 1 약제 공급 장치(6) 등을 구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부재(71) 등을 이동시킬 경우에는 제 1 약제 공급 장치(6)에 있어서의 반송풍 공급관(39)과, 각 약제 공급관(36)과, 각 시약 가이드(37)와, 중량이 큰 시약 블로어(38) 등이 지지 프레임(5)의 고정측에 남겨지는 점에서 각 시약 가이드(37)가 지면에 접촉한 채 끌릴 우려를 초래하는 일 없이 비교적 가벼운 노력으로 이동 부재(71) 등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약제를 포장에 있어서의 식부 모종의 횡측방 개소에 공급하는 측조 시약식의 제 1 약제 공급 장치(6)를 구비한 승용 전식기에 있어서도 제 1 약제 공급 장치(6)의 파손이나 노력의 증대 등을 초래하는 일 없이 모종 식부 장치(3)와, 제 1 약제 공급 장치(6)의 각 제 1 약제 호퍼(34) 및 각 제 1 약제 조출 기구(35) 등 사이에 큰 유지보수 공간을 얻을 수 있고, 모종 식부 장치(3) 및 제 1 약제 공급 장치(6)에 대한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이동 부재(71)와 함께 제 1 약제 호퍼(34)와 제 1 약제 조출 기구(35)가 시약 블로어(38)로부터 크게 멀어지는 점에서 시약 블로어(38)에 대한 유지보수가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이동 부재(71) 등이 비작업 위치에 위치하는 유지보수 상태에서는 제 1 약제 공급 장치(6)의 각 제 1 약제 조출 기구(35) 및 제 2 약제 공급 장치(7) 등이 주행 차체(1)의 우측으로 변위하는 것에 대해서 중량이 큰 시비 블로어(28)와 시약 블로어(38)가 주행 차체(1)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유지보수 상태에서의 차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부재(71)에는 이동 부재(71)가 작업 위치에 위치하는 것에 따라서 식부 기구(19)의 상방에 배치되고, 또한 이동 부재(71)가 비작업 위치에 위치하는 것에 따라서 식부 기구(19)의 상방을 개방하는 5개의 진흙 방지 커버(95)가 지지 암(96)을 개재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부재(71)가 작업 위치에 위치하는 작업 주행 시에는 각 식부 기구(19)에 의해 튀어 오른 흙탕물 등이 묘탑재대(15)에 재치된 매트 모종에 덮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부재(71)가 비작업 위치에 위치하는 유지보수 상태에서는 각 식부 기구(19)에 대한 유지보수가 행하기 쉬워진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주행 차체(1)에는 모종 식부 장치(3)와, 시비 장치(4)와, 제 1 약제 공급 장치(6)와, 제 2 약제 공급 장치(7) 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이하, ECU라고 칭한다)이 탑재되어 있다. ECU는 상술한 시비 클러치와, 시비용의 블로어 스위치와, 식부 클러치와, 시약용의 블로어 스위치와, 좌우의 맞물림 클러치(44) 중 시비 클러치와, 시비용의 블로어 스위치와, 좌우의 맞물림 클러치(44)의 단속 조작을 제어함으로써 시비 장치(4)와 제 1 약제 공급 장치(6)의 쌍방을 구동시키는 상태와, 시비 장치(4)와 제 1 약제 공급 장치(6) 중 한쪽만을 구동시키는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다. 즉, 시비 장치(4)와 제 1 약제 공급 장치(6) 사이에 있어서 시비 장치(4)와 제 1 약제 공급 장치(6)를 구동시키는 상태와, 시비 장치(4)를 독립 구동시키는 상태와, 제 1 약제 공급 장치(6)를 독립 구동시키는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다.
ECU는 모종 식부 장치(3)에 구비된 접지 센서 등의 출력에 의거하여 작업 주행 중에 모종 식부 장치(3)의 포장 진흙면으로부터의 부상(浮上)을 검지했을 경우에 시비 블로어(28)와 시약 블로어(38)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모종 식부 장치(3)가 포장의 진흙면으로부터 부상한 작업 정지 상태에 있어서 시비 블로어(28)와 시약 블로어(38)가 작동하는 것에 의한 쓸데없는 전력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종 식부 장치(3)가 포장 진흙면으로부터 부상하기 전에 행해지는 식부 클러치의 오프 조작보다 느린 타이밍에서 시비 블로어(28)와 시약 블로어(38)를 작동 정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각 비료 조출 기구(27) 및 각 제 1 약제 조출 기구(35)에 의한 비료 또는 약제의 조출이 정지된 후의 각 비료 공급관(29) 및 각 약제 공급관(36)에 잔류하는 비료 또는 약제를 시비 블로어(28) 또는 시약 블로어(38)로부터의 반송풍에 의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잔류 비료에 의한 비료 막힘이나 잔류 약제에 의한 약제 막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ECU는 평행 링크 기구(14)의 상하 요동 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센서의 출력에 의거하여 모종 식부 장치(3)의 부상 위치로부터의 하강을 검지했을 경우에 시비 블로어(28)와 시약 블로어(38)를 시동시킨다.
이에 따라 모종 식부 장치(3)가 포장 진흙면에 접지한 후에 행해지는 식부 클러치의 온 조작보다 빠른 타이밍에서 시비 블로어(28)와 시약 블로어(38)를 시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시동에 시간이 걸리는 시비 블로어(28)와 시약 블로어(38)를 식부 클러치의 온 조작과 동일한 타이밍에서 시동시킬 경우에 발생하는 시비 블로어(28) 및 시약 블로어(38)의 시작 지연에 기인한 시비 불량이나 시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ECU는 시비 블로어(28)와 시약 블로어(38)를 함께 시동시킬 경우에 시비 블로어(28)의 시동 타이밍과 시약 블로어(38)의 시동 타이밍에 시간차를 두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동 시의 소비 전력이 큰 시비 블로어(28)와 시약 블로어(38)를 동시에 시동시킬 경우에 비교하여 최대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고, 배터리 등의 전동 부품에 가해지는 전력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시비 블로어(28)와 시약 블로어(38)의 작동에 관한 각 전장 부품에 드는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ECU는 시비 블로어(28)의 시동 타이밍과 시약 블로어(38)의 시동 타이밍에 시간차를 둘 경우에는 시약 블로어(38)의 시동 타이밍보다 빠른 타이밍에서 시비 블로어(28)를 시동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묘탑재대(15)의 전방에 위치함으로써 묘탑재대(15)의 후방에 위치하는 시약 블로어(38)보다 송풍 거리가 길어지는 시비 블로어(28)를 우선해서 시동시키는 점에서 시비 블로어(28)와 시약 블로어(38)의 송풍 거리의 차에 의한 약제의 공급 지연을 개선할 수 있다.
ECU는 이동 부재(71)의 작업 위치로부터의 이동을 검출하는 위치 센서의 출력에 의거하여 이동 부재(71) 등의 비작업 위치로의 이동을 검지했을 경우에 시약 블로어(38)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이동 부재(71) 등을 비작업 위치에 이동시킨 유지보수 상태에 있어서는 각 제 1 약제 조출 기구(35)의 약제 배출부(35A)로부터 분리된 각 약제 공급관(36)의 상단부(36A)로부터 반송풍을 유출시킬 수 있고, 우천 시에 각 약제 공급관(36)의 상단부(36A)로부터 우수가 침입하여 약제의 막힘의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각 실시형태의 구성은 각각 단독으로 적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과 조합해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승용 전식기의 구성은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승용 전식기는 제 2 약제 공급 장치(7)를 구비하지 않고, 모종 식부 장치(3)와, 시비 장치(4)와, 제 1 약제 공급 장치(6)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승용 전식기는 시비 장치(4)를 구비하지 않고, 모종 식부 장치(3)와, 제 1 약제 공급 장치(6)와, 제 2 약제 공급 장치(7)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승용 전식기는 시비 장치(4)와 제 2 약제 공급 장치(7)를 구비하지 않고, 모종 식부 장치(3)와 제 1 약제 공급 장치(6)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2) 주행 차체(1)의 구성은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주행 차체(1)는 엔진(12)과 주행용의 전동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사양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주행 차체(1)는 엔진(12) 대신에 주행용의 전동 모터를 구비하는 전동 사양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3) 지지 프레임(5)의 구성은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지지 프레임(5)은 이동 부재(71)가 모종 식부 장치(3)에 근접한 작업 위치와, 모종 식부 장치(3)의 좌후방으로 크게 멀어지는 비작업 위치에 걸쳐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지지 프레임(5)은 제 2 로크 기구(76)를 제거하고, 좌우의 제 1 로크 기구(75)와 좌우의 유지 기구(77)를 갖는 구성이어도 좋다.
(4) 제 1 분립체 공급 장치(6)의 구성은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 분립체 공급 장치(6)는 비료를 포장에 있어서의 식부 모종의 횡측방 개소에 공급하는 시비 장치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분립체 공급 장치(6)는 제 1 블로어(38)가 제 1 분립체 공급 장치(6)의 우단부 또는 좌우 중앙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분립체 공급 장치(6)는 각 제 1 조출 기구(35)가 이동 부재(71)와 함께 작업 위치로부터 이동할 때에 이동 부재(71)가 가이드 부재(79)에 의해 넘어가 안내되는 것에 따라 각 제 1 조출 기구(35)의 약제 배출부(35A)와 제 1 공급관(36)의 상단부(36A)의 접속이 자동적으로 해제되고, 또한 각 제 1 조출 기구(35)가 이동 부재(71)와 함께 작업 위치에 도달할 때에 이동 부재(71)가 가이드 부재(79)에 의해 넘어가 안내되는 것에 따라 각 제 1 조출 기구(35)의 약제 배출부(35A)와 제 1 공급관(36)의 상단부(36A)가 자동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분립체 공급 장치(6)는 각 제 1 조출 기구(35)에 있어서의 약제 배출부(35A)의 하단부가 전방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또한 제 1 공급관(36)의 상단부가 후방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이동 부재(71)와 함께 각 제 1 조출 기구(35)가 작업 위치로부터 비작업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따라 각 제 1 조출 기구(35)의 약제 배출부(35A)와 제 1 공급관(36)의 상단부(36A)의 접속이 자동적으로 해제되고, 또한 이동 부재(71)와 함께 각 제 1 조출 기구(35)가 비작업 위치로부터 작업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따라 각 제 1 조출 기구(35)의 약제 배출부(35A)와 제 1 공급관(36)의 상단부(36A)가 자동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5) 제 2 분립체 공급 장치(4)의 구성은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2 분립체 공급 장치(4)는 약제를 포장에 있어서의 식부 모종의 횡측방 개소에 공급하는 시약 장치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2 분립체 공급 장치(4)는 제 2 블로어(28)가 제 2 분립체 공급 장치(4)의 우단부 또는 좌우 중앙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모종 식부 장치와 분립체 공급 장치를 구비한 승용 전식기에 적용할 수 있다.
1: 주행 차체 3: 모종 식부 장치
4: 제 2 분립체 공급 장치 5: 지지 프레임
6: 제 1 분립체 공급 장치 15: 묘탑재대
19: 식부 기구 26: 제 2 호퍼
27: 제 2 조출 기구 28: 제 2 블로어
29: 제 2 공급관 34: 제 1 호퍼
35: 제 1 조출 기구 36: 제 1 공급관
38: 제 1 블로어 66: 고정 부재
68: 링크 암 71: 이동 부재

Claims (5)

  1. 주행 차체의 후방부에 연결된 모종 식부 장치와, 상기 모종 식부 장치의 후방부에 연결된 제 1 분립체 공급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모종 식부 장치는 매트 모종이 재치되는 묘탑재대와, 상기 매트 모종으로부터 소정량의 모종을 스크레이핑하여 포장에 식부하는 식부 기구를 갖고,
    상기 제 1 분립체 공급 장치는 제 1 분립체가 저류되는 제 1 호퍼와, 상기 제 1 호퍼로부터 소정량의 제 1 분립체를 조출하는 제 1 조출 기구와, 조출된 제 1 분립체를 포장에 있어서의 식부 모종의 횡측방 개소에 공급 안내하는 제 1 공급관과, 상기 제 1 공급관의 내부에 반송풍을 공급하는 제 1 블로어를 갖고,
    상기 제 1 블로어는 상기 묘탑재대보다 후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승용 전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묘탑재대보다 전방의 위치에 배치되는 제 2 분립체 공급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분립체 공급 장치는 제 2 분립체가 저류되는 제 2 호퍼와, 상기 제 2 호퍼로부터 소정량의 제 2 분립체를 조출하는 제 2 조출 기구와, 조출된 제 2 분립체를 포장에 있어서의 식부 모종의 횡측방 개소에 공급 안내하는 제 2 공급관과, 상기 제 2 공급관의 내부에 반송풍을 공급하는 제 2 블로어를 갖고,
    상기 제 1 블로어와 상기 제 2 블로어를 독립 구동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는 승용 전식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블로어와 상기 제 2 블로어는 전동 블로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 1 블로어와 상기 제 2 블로어를 모두 시동시킬 경우에 상기 제 1 블로어의 시동 타이밍과 상기 제 2 블로어의 시동 타이밍을 상이하게 하는 시간차가 설정되어 있는 승용 전식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블로어는 상기 묘탑재대보다 전방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시간차는 상기 제 1 블로어의 시동 타이밍보다 빠른 타이밍에서 상기 제 2 블로어가 시동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승용 전식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립체 공급 장치는 상기 모종 식부 장치의 후방부에 지지 프레임을 개재하여 연결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모종 식부 장치에 고정된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에 전후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우의 링크 암과, 상기 좌우의 링크 암의 자유단부에 가설된 이동 부재를 갖고,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한 평행 자세로 상기 이동 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평행 링크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호퍼와 상기 제 1 조출 기구는 상기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이동측에 지지되고,
    상기 제 1 블로어는 상기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고정측에 있어서의 상기 이동 부재가 후방 요동으로 변위하는 좌우 일방측과는 좌우 반대측의 단부에 지지되어 있는 승용 전식기.
KR1020207007115A 2017-10-23 2018-09-05 승용 전식기 KR202000649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04774 2017-10-23
JP2017204774A JP6830425B2 (ja) 2017-10-23 2017-10-23 乗用田植機
PCT/JP2018/032860 WO2019082517A1 (ja) 2017-10-23 2018-09-05 乗用田植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986A true KR20200064986A (ko) 2020-06-08

Family

ID=66247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115A KR20200064986A (ko) 2017-10-23 2018-09-05 승용 전식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30425B2 (ko)
KR (1) KR20200064986A (ko)
CN (1) CN111343855A (ko)
TW (1) TWI683615B (ko)
WO (1) WO20190825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9339B (zh) * 2019-09-23 2021-05-07 浙江理工大学 一种步行式地轮驱动的自动铺盘装置及其铺盘方法
CN113812240A (zh) * 2020-09-28 2021-12-21 湖南晶优农业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除杂草插秧机
CN112567969B (zh) * 2020-12-11 2022-03-15 阿坝州林业和草原科学技术研究所 一种基于大黄种植专用的除草施肥装置及其高产栽培方法
CN114145112B (zh) * 2021-11-29 2023-03-21 山东理工大学 一种用于颗粒肥料的定量定点施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2584A (ja) 2006-04-18 2007-11-01 Iseki & Co Ltd 苗移植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6727B2 (ja) * 1986-05-19 1995-04-26 井関農機株式会社 施肥装置付き移植機
JPH10165074A (ja) * 1996-12-11 1998-06-23 Kubota Corp 薬剤散布装置付き田植機
JP6238794B2 (ja) * 2014-03-04 2017-11-29 株式会社クボタ 粉粒体供給装置
WO2017170659A1 (ja) * 2016-03-31 2017-10-05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2584A (ja) 2006-04-18 2007-11-01 Iseki & Co Ltd 苗移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2517A1 (ja) 2019-05-02
JP6830425B2 (ja) 2021-02-17
TWI683615B (zh) 2020-02-01
JP2019076011A (ja) 2019-05-23
TW201922083A (zh) 2019-06-16
CN111343855A (zh)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64986A (ko) 승용 전식기
KR102247422B1 (ko) 수전 작업기
KR20180002497A (ko) 수전 작업차
KR102382289B1 (ko) 승용 수전 작업기
JP5822714B2 (ja) 作業機
KR20140143074A (ko) 수전 작업기
JP6406826B2 (ja) 水田作業機
JP5763478B2 (ja) 田植機
KR20180002500A (ko) 수전 작업차
JP5586197B2 (ja) 固形体散布機及び作業車両
JP2011062182A (ja) 薬剤散布機及び田植機
JP2019076085A (ja) 乗用田植機
CN110313284B (zh) 苗移植机
KR102485084B1 (ko) 수전 작업기
KR20190015542A (ko) 이앙기
JP5464254B2 (ja) 直播機
JP4677741B2 (ja) 苗移植機
JP7202921B2 (ja) 植播系作業機
KR102450180B1 (ko) 분립체 공급 장치
JP6827351B2 (ja) 田植機
KR102451373B1 (ko) 승용형 직파기
JP6328017B2 (ja) 水田作業機
JPH10304722A (ja) 施肥装置付き田植機
JP2009106202A (ja) 苗移植機
JP2015084755A (ja) 水田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