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5542A - 이앙기 - Google Patents

이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5542A
KR20190015542A KR1020197000440A KR20197000440A KR20190015542A KR 20190015542 A KR20190015542 A KR 20190015542A KR 1020197000440 A KR1020197000440 A KR 1020197000440A KR 20197000440 A KR20197000440 A KR 20197000440A KR 20190015542 A KR20190015542 A KR 20190015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seedlings
food
ma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2269B1 (ko
Inventor
쇼이치 나카무라
고지 미야케
구니오 도이
겐스케 오마에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5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01C11/025Transplanting machines using seedling trays; Devices for removing the seedlings from the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이앙기 (1) 는, 모종 적재대 (29) 에 재치된 모종 매트로부터 식부 클로 (30) 로 모종을 스크레이핑하여 포장에 식부하는 모종 식부 장치 (23) 와, 약제를 산포하는 약제 산포기 (400) 를 구비하고,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와,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보다 모종이 저밀도로 생육된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서, 약제 산포기 (400) 의 약제 산포량을 변경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Description

이앙기
본원 발명은, 모종 적재대에 재치 (載置) 된 모종 매트로부터 식부 클로로 모종을 스크레이핑하여 포장에 식부하는 모종 식부 장치를 구비하는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포장으로의 모종 심기 작업에 사용되는 이앙기에 있어서는, 주행 기체의 후방부에, 모종 적재대 및 식부 클로가 형성된 이식 기구를 갖는 모종 식부 장치를 장착하고 있다. 모종 식부 장치의 이식 기구로는, 1 개의 로터리 케이스에 2 개의 식부 클로를 갖는 타입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로터리 케이스가 1 회전하면, 2 개의 식부 클로는 각각 로터리 케이스에 대해 역방향으로 1 회전한다. 즉, 각 식부 클로는, 로터리 케이스의 회전 축심 둘레로 공전하면서 자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모종 심기 작업에서는, 모종 매트를 실은 모종 적재대를 소정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가로 이송하면서, 모종 적재대를 향한 식부 클로를 로터리 케이스의 축심 둘레로 공전하면서 자전시킴으로써, 식부 클로를 모종 적재대와 포장면 사이에서 왕복동시키고, 모종 매트로부터 모종을 1 주 (株) 씩 스크레이핑하여 포장에 식부한다.
이앙기에 의한 모종 심기 작업에서 사용되는 모종 매트는, 내경 치수가 약 580 ㎜ (세로) × 약 280 ㎜ (가로) × 약 30 ㎜ (높이) 의 사각형의 육묘 상자 내에 전체면에 깐 상토 위에 볍씨를 파종하고, 복토를 덮은 상태에서 발아시키고 육묘하여 매트상으로 한 것이다. 모종 매트의 종류로는, 1 장의 육묘 상자에 대해 100 g ∼ 130 g 정도의 볍씨가 파종되는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 외에, 1 장의 육묘 상자에 대한 볍씨 파종량이 예를 들어 200 g ∼ 300 g 정도인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는,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에 비하여 모종이 밀집하여 생육되고 있다.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 사용시에는, 식부 클로가 모종 매트로부터 스크레이핑하는 1 주당의 모종 개수를 적절하게 하기 위하여,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 사용시에 비하여 식부 클로에 의해 모종 매트를 스크레이핑하는 면적이 작아지도록, 오퍼레이터에 의해 이앙기의 모종 식부 조건이 설정된다. 이로써, 단위면적당의 모내기 작업에 필요한 모종 매트 장수를 저감시킬 수 있어, 경제성이 향상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043731호
모종 매트를 사용하는 모내기 작업에서는, 모종의 살충이나 살균을 목적으로 하여, 모종 적재대에 재치된 모종 매트를 향하여 상자 시용제가 산포된다. 그러나,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와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에서는 모종의 밀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에 맞춰 약제 산포량을 설정하면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를 충분히는 살충이나 살균할 수 없고,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에 맞춰 상자 시용제 산포량을 설정하면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에 과잉량의 약제가 산포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원 발명은, 상기의 현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약제 산포를 적절히 실시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본원 발명에 관련된 이앙기는, 모종 적재대에 재치된 모종 매트로부터 식부 클로로 모종을 스크레이핑하여 포장에 식부하는 모종 식부 장치와, 약제를 산포하는 약제 산포기를 구비하는 이앙기에 있어서,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와, 상기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보다 모종이 저밀도로 생육된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서, 상기 약제 산포기의 약제 산포량을 변경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약제 산포기는, 상기 모종 적재대에 재치된 모종 매트에 약제를 산포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는, 상기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 비하여, 상기 약제 산포기의 약제 산포량을 많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도록 해도 된다.
또, 본원 발명의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약제 산포기는, 상기 모종 식부 장치에 형성된 작구기 (作溝機) 에 의해 상기 포장에 작구되는 홈에 약제를 산포하는 것이도록 해도 된다.
본원 발명의 이앙기는, 모종 적재대에 재치된 모종 매트로부터 식부 클로로 모종을 스크레이핑하여 포장에 식부하는 모종 식부 장치와, 약제를 산포하는 약제 산포기를 구비하는 이앙기에 있어서,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와,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보다 모종이 저밀도로 생육된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서, 약제 산포기의 약제 산포량을 변경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와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서, 약제 산포량을 상이하게 하여,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와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에 각각 따른 적절한 산포량의 약제를 산포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약제 산포기는, 상기 모종 적재대에 재치된 모종 매트에 약제를 산포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는, 상기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 비하여, 상기 약제 산포기의 약제 산포량을 많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를 사용하는 모내기 작업시에,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에 있어서의 충분한 모종의 살충이나 살균을 할 수 있어, 포장에 식부된 모종의 건전한 생육을 실현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약제 산포기는, 상기 모종 식부 장치에 형성된 작구기에 의해 상기 포장에 작구되는 홈에 약제를 산포하는 것이도록 하면,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와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에 각각 따른 적절한 양의 약제를 포장에 산포할 수 있다. 이 양태의 이앙기에서는, 약제 산포기는, 약제를 모종 매트가 아니라 포장에 산포한다. 따라서, 이 양태의 이앙기는, 모종 매트 1 장 당의 약제 산포량에 상한이 형성되어 있어 모종 적재대 상에서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에 대해 적절한 양의 약제를 산포할 수 없는 경우여도,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 적절한 양의 약제를 포장에 산포할 수 있다. 여기서,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 포장에 산포되는 단위면적당의 약제 산포량은,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 비하여 적어도 되고, 많아도 된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승용형 이앙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2 는 승용형 이앙기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엔진, 미션 케이스 및 리어 액슬 케이스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4 는 엔진, 미션 케이스 및 리어 액슬 케이스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조종 핸들을 생략한 운전 조작부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승용형 이앙기의 구동 계통도이다.
도 7 은 승용형 이앙기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8 은 모종 식부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9 는 모종 식부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0 은 모종 식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 은 식부 깊이 조절축 및 모종 취출 조절축 주변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2 는 모종 세로 취출량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좌측 단면도이다.
도 13 은 액추에이터 기구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전방 사시도이다.
도 14 는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 는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다.
도 16 은 모종 취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7 은 모종 취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좌측면도이다.
도 18 은 승강 센서 기구와 표면 검지 센서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9 는 승강 센서 기구와 표면 검지 센서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좌측면이다.
도 20 은 상자 시용제 산포기의 배면도이다.
도 21 은 상자 시용제 산포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22 는 산포 유닛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3 은 산포량 조절 기구와 원웨이 클러치 기구 주변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4 는 모종 취출구 주변의 평면도이다.
도 25 는 이식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26 은 이식 기구의 좌측면도이다.
도 27 은 식부 클로 가이드 구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8 은 식부 클로 가이드 구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9 는 취출구 커버 및 식부 클로 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고밀도 육묘용 취출구 커버를 나타내고, (B) 는 표준형 육묘용 취출구 커버를 나타낸다.
도 30 은 식부 클로 및 압출편의 착탈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1 은 식부 클로, 압출편 및 푸시로드의 정면도, 평면도 및 좌측면도로서, (A) 는 고밀도 육묘용을 나타내고, (B) 는 표준형 육묘용을 나타낸다.
도 32 는 압출편 커버의 정면도, 평면도,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33 은 모종 식부 제어에 관한 개략적인 기능 블록도이다.
도 34 는 액정 패널에 표시되는 선택 항목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 는 모종 식부 조건의 설정 및 모종 식부 제어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 차트이다.
도 36 은 모종 식부 조건의 설정 및 모종 식부 제어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 차트이다.
도 37 은 모종 식부 조건의 설정 및 상자 시용제 산포 제어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 차트이다.
도 38 은 약제 산포기의 배면도이다.
도 39 는 약제 산포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40(A) 는 밀묘 모드 선택 후의 액정 패널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40(B) 는 표준 모드 선택시의 액정 패널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에, 본원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8 조 (條) 심기식의 승용형 이앙기 (1) (이하, 간단히 이앙기 (1) 라고 한다) 에 적용한 경우의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행 기체 (2) 의 진행 방향을 향하여 좌측을 간단히 좌측으로 칭하고, 동일하게 진행 방향을 향하여 우측을 간단히 우측으로 칭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서, 이앙기 (1) 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의 이앙기 (1) 는, 주행부로서의 좌우 1 쌍의 전차륜 (3) 및 동일하게 좌우 1 쌍의 후차륜 (4) 에 의해 지지된 주행 기체 (2) 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기체 (2) 의 전방부에는 엔진 (5) 이 탑재되어 있다. 엔진 (5) 으로부터의 동력을 후방의 미션 케이스 (6) 에 전달하여, 전차륜 (3) 및 후차륜 (4) 을 구동시킴으로써, 주행 기체 (2) 가 전후진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 (6) 의 좌우 측방에 프론트 액슬 케이스 (7) 를 돌출시키고, 프론트 액슬 케이스 (7) 로부터 좌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차축 (36) 에 전차륜 (3) 이 조타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 (6) 의 후방에 통상 (筒狀) 프레임 (8) 을 돌출시키고, 통상 프레임 (8) 의 후단측 (後端側) 에 리어 액슬 케이스 (9) 를 고정 형성하고, 리어 액슬 케이스 (9) 로부터 좌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차축 (37) 에 후차륜 (4) 이 장착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 (2) 의 전방부 및 중앙부의 상면측에는, 오퍼레이터 탑승용 작업 스텝 (차체 커버) (10) 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 스텝 (10) 의 전방부의 상방에는 프론트 보닛 (11) 이 배치되고, 프론트 보닛 (11) 의 내부에 엔진 (5) 을 설치하고 있다. 작업 스텝 (10) 의 상면 중 프론트 보닛 (11) 의 후방부 측방에, 밟기 조작용 주행 변속 페달 (12) 이 배치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생략하지만, 실시형태의 이앙기 (1) 는, 주행 변속 페달 (12) 의 밟기량에 따른 변속 전동 모터의 구동으로, 미션 케이스 (6) 의 유압 무단 변속기 (40) 로부터 출력되는 변속 동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프론트 보닛 (11) 의 후방부 상면측에 있는 운전 조작부 (13) 에는, 조종 핸들 (14) 과 주행 주변속 레버 (15) 와 승강 조작구로서의 작업 레버 (16) 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참조). 작업 스텝 (10) 의 상면 중 프론트 보닛 (11) 의 후방에는, 시트 프레임 (17) 을 개재하여 조종 좌석 (18) 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보닛 (11) 의 좌우 측방에는, 작업 스텝 (10) 을 사이에 두고 좌우의 예비 모종 적재대 (24) 가 형성되어 있다.
주행 기체 (2) 의 후단부 (後端部) 에 링크 프레임 (19) 이 세워서 형성되어 있다. 링크 프레임 (19) 에는, 로어 링크 (20) 및 탑 링크 (21) 로 이루어지는 승강 링크 기구 (22) 를 통하여, 8 조 심기용의 모종 식부 장치 (23) 가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모종 식부 장치 (23) 의 전방면측에, 롤링 지지점축 (도시 생략) 을 통하여 히치 브래킷 (38) 을 형성하고 있다. 승강 링크 기구 (22) 의 후방부측에 히치 브래킷 (38) 을 연결함으로써, 주행 기체 (2) 의 후방에 모종 식부 장치 (23) 를 승강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통상 프레임 (8) 의 상면 후방부에, 유압식의 승강 실린더 (39) (유압 승강 제어 기구) 의 실린더 기단측을 상하 회동 (回動) 가능하게 지지시킨다. 승강 실린더 (39) 의 로드 선단측은 로어 링크 (20) 에 연결되어 있다. 승강 실린더 (39) 의 신축동으로 승강 링크 기구 (22) 를 상하 회동시키는 결과, 모종 식부 장치 (23) 가 승강동한다. 또한, 모종 식부 장치 (23) 는 상기 롤링 지지점축 둘레로 회동하여 좌우 방향의 경사 자세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오퍼레이터는, 작업 스텝 (10) 의 측방에 있는 승강 스텝 (25) 으로부터 작업 스텝 (10) 상에 탑승하고, 운전 조작으로 포장 내를 이동하면서, 모종 식부 장치 (23) 를 구동시켜 포장에 모종을 식부하는 모종 심기 작업 (모내기 작업) 을 실행한다. 또한, 모종 심기 작업 중에 있어서, 모종 식부 장치 (23) 에는, 예비 모종 적재대 (24) 상의 모종 매트를 오퍼레이터가 수시 보급한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식부 장치 (23) 는, 엔진 (5) 으로부터 미션 케이스 (6) 를 경유한 동력이 전달되는 식부 입력 케이스 (26) 와, 식부 입력 케이스 (26) 에 연결하는 8 조용 4 세트 (2 조로 1 세트) 의 식부 전동 케이스 (27) 와, 각 식부 전동 케이스 (27) 의 후단측에 형성된 모종 식부 기구 (28) 와, 8 조 심기용의 모종 적재대 (29) 와, 각 식부 전동 케이스 (27) 의 하면측에 배치된 논바닥 균평용의 플로트 (32) 를 구비하고 있다. 모종 식부 기구 (28) 에는, 1 조분 2 개의 식부 클로 (30) 를 갖는 식부 전동 케이스 (27) 가 형성되어 있다. 식부 전동 케이스 (27) 에 2 조분의 식부 전동 케이스 (27) 가 배치되어 있다. 식부 전동 케이스 (27) 의 출력축의 1 회전에 의해, 2 개의 식부 클로 (30) 가 각각 1 주씩의 모종을 잘라내어 잡고, 플로트 (32) 에 의해 정지 (整地) 된 논바닥에 식부한다. 모종 식부 장치 (23) 의 전방면측에는, 포장면을 고르게 하는 (정지하는) 정지 로터 (85) 를 승강동 가능하게 형성하고 있다.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식부 장치 (23) 에는, 모종 적재대 (29) 에 재치된 모종 매트에 상자 시용제를 산포하는 상자 시용제 산포기 (약제 산포기) (400) 를 형성하고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엔진 (5) 으로부터 미션 케이스 (6) 를 경유한 동력은, 전차륜 (3) 및 후차륜 (4) 에 전달될 뿐만 아니라, 모종 식부 장치 (23) 의 식부 입력 케이스 (26) 에도 전달된다. 이 경우, 미션 케이스 (6) 로부터 모종 식부 장치 (23) 를 향하는 동력은, 리어 액슬 케이스 (9) 의 우측 상부에 형성된 주간 (株間) 변속 케이스 (75) 에 일단 전달되고, 주간 변속 케이스 (75) 로부터 식부 입력 케이스 (26) 에 동력 전달된다. 당해 전달된 동력에서, 각 모종 식부 기구 (28) 나 모종 적재대 (29) 가 구동한다. 주간 변속 케이스 (75) 에는, 식부되는 모종의 주간을 예를 들어 소식 (疎植), 표준식 (標準植) 또는 밀식 등으로 전환하는 주간 변속 기구 (76) 와, 모종 식부 장치 (23) 로의 동력 전달을 계단 (繼斷) 하는 식부 클러치 (77) 가 내장되어 있다 (도 6 참조).
또한, 모종 식부 장치 (23) 의 좌우 외측에는 라인 마커 (33) 를 구비하고 있다. 라인 마커 (33) 는, 선 긋기용의 마커륜체 (34) 와, 마커륜체 (34) 를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마커 아암 (35) 을 갖고 있다. 각 마커 아암 (35) 의 기단측이 모종 식부 장치 (23) 의 좌우 외측에 좌우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라인 마커 (33) 는, 운전 조작부 (13) 에 있는 작업 레버 (16) 의 조작에 기초하여, 다음 공정에서의 기준이 되는 궤적을 논바닥에 착지하여 형성하는 작업 자세와, 마커륜체 (34) 를 상승시켜 논바닥로부터 이간시킨 비작업 자세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 (2) 는 전후로 연장되는 좌우 1 쌍의 기체 프레임 (50) 을 구비하고 있다. 각 기체 프레임 (50) 은 전방부 프레임 (51) 과 후방부 프레임 (52) 으로 2 분할되어 있다. 전방부 프레임 (51) 의 후단부와 후방부 프레임 (52) 의 전단부 (前端部) 가 좌우 가로로 긴 중간 연결 프레임 (53) 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좌우 1 쌍의 전방부 프레임 (51) 의 전단부는 전방 프레임 (54) 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좌우 1 쌍의 후방부 프레임 (52) 의 후단측은 후방 프레임 (55) 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전방 프레임 (54), 좌우 양 전방부 프레임 (51) 및 중간 연결 프레임 (53) 은 평면에서 보아 사각 프레임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중간 연결 프레임 (53), 좌우 양 후방부 프레임 (52) 및 후방 프레임 (55) 도 평면에서 보아 사각 프레임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양 전방부 프레임 (51) 의 전방 근처 부위는, 전후 2 개의 베이스 프레임 (56)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당해 각 베이스 프레임 (56) 의 중간부는, 좌우 양 전방부 프레임 (51) 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U 자형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베이스 프레임 (56) 의 좌우 단부는, 대응하는 전방부 프레임 (51) 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대략 평판상의 엔진대 (57) 및 복수의 방진 고무 (도시 생략) 를 개재하여, 전후 양 베이스 프레임 (56) 에 엔진 (5) 이 탑재되고 방진 지지되어 있다. 후측의 베이스 프레임 (56) 은, 후방 중계 브래킷 (60) 을 통하여 미션 케이스 (6) 의 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
도 4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우 양 전방부 프레임 (51) 의 후방 근처 부위는, 미션 케이스 (6) 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된 프론트 액슬 케이스 (7) 에 연결되어 있다. 중간 연결 프레임 (53) 의 중앙측에는, 측면에서 보아 후경사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U 자상 프레임 (61) 의 좌우 양단부가 용접 고정되어 있다. U 자상 프레임 (61) 의 중간부가 미션 케이스 (6) 와 리어 액슬 케이스 (9) 를 연결하는 통상 프레임 (8) 의 중도부에 연결되어 있다 (도 3 및 도 4 참조). 후방 프레임 (55) 의 중간부에는, 좌우 2 개의 세로 프레임 (62) 의 상단측이 용접 고정되어 있다. 좌우 양 세로 프레임 (62) 의 하단측에는 좌우 가로로 긴 리어 액슬 지지 프레임 (63) 의 중간부가 용접 고정되어 있다. 리어 액슬 지지 프레임 (63) 의 좌우 양단부가 리어 액슬 케이스 (9) 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좌측의 전방부 프레임 (51) 에 외측 방향 돌출 형성된 스텝 지지대 (64) 의 하방에, 엔진 (5) 의 배기음을 저감시키는 머플러 (65) 가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5) 의 후방에 배치된 미션 케이스 (6) 의 전방부에는, 파워 스티어링 유닛 (66) 이 형성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생략하지만, 파워 스티어링 유닛 (66) 의 상면에 세워서 형성되는 핸들 포스트의 내부에 핸들축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핸들축의 상단측에 조종 핸들 (14) 이 고정되어 있다. 파워 스티어링 유닛 (66) 의 하면측에는 조타 출력축 (도시 생략) 이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당해 조타 출력축에는, 좌우의 전차륜 (3) 을 조타하는 조타간 (68) (도 4 참조) 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엔진 (5) 은, 출력축 (70) (크랭크축) 을 좌우 방향을 향하게 하고 전후 양 베이스 프레임 (56) 의 중간부 상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 (5) 및 엔진대 (57) 의 좌우폭은 좌우 양 전방부 프레임 (51) 사이의 안치수보다 작고, 엔진 (5) 의 하부측 및 엔진대 (57) 는, 전후 양 베이스 프레임 (56) 의 중간부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좌우 양 전방부 프레임 (51) 보다 하측에 노출되어 있다. 이 경우, 엔진 (5) 의 출력축 (70) (축선) 은, 측면에서 보아 좌우 양 전방부 프레임 (51) 과 겹치는 위치에 있다. 엔진 (5) 의 좌우 일측면 (실시형태에서는 좌측면) 에는, 엔진 (5) 의 배기계에 연통하는 배기관 (69) 이 배치되어 있다. 배기관 (69) 의 기단측이 엔진 (5) 의 각 기통에 접속되고, 배기관 (69) 의 선단측이 머플러 (65) 의 배기 입구측에 접속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운전 조작부 (13) 에 있어서, 주행 주변속 레버 (15) 는, 조종 핸들 (14) 을 사이에 둔 좌우 일방측 (실시형태에서는 좌측) 에 위치하고 있다. 운전 조작부 (13) 에 형성한 가이드 홈 (83) 을 따라 주행 주변속 레버 (15) 를 조작함으로써, 이앙기 (1) 의 주행 모드를 전진, 중립, 후진, 모종 보충 및 이동의 각 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작업 레버 (16) 는, 조종 핸들 (14) 을 사이에 둔 좌우 타방측 (실시형태에서는 우측) 에 위치하고 있다. 작업 레버 (16) 는, 모종 식부 장치 (23) 의 승강 조작, 식부 클러치 (77) 의 계단 조작 및 좌우 라인 마커 (33) 의 선택 조작이라는 복수의 조작을 단독으로 담당하는 것이고, 십자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작업 레버 (16) 를 1 회 전경 (前傾) 조작하면 모종 식부 장치 (23) 가 하강하고, 다시 1 회 전경 조작하면 식부 클러치 (77) 가 온 작동한다 (동력 접속 상태가 된다). 반대로, 작업 레버 (16) 를 1 회 후경 (後傾) 조작하면 식부 클러치 (77) 가 오프 작동하고 (동력 차단 상태가 되고), 다시 1 회 후경 조작하면 모종 식부 장치 (23) 가 상승한다. 모종 식부 장치 (23) 의 승강 동작을 중지하는 경우에는, 작업 레버 (16) 를 역방향으로 경동 (傾動) 조작한다. 예를 들어 모종 식부 장치 (23) 의 하강동 (下降動) 을 도중에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작업 레버 (16) 를 후경 조작하면 된다. 작업 레버 (16) 를 1 회 좌측으로 경동 조작하면 좌측의 라인 마커 (33) 가 작업 자세가 되고, 다시 1 회 좌측으로 경동 조작하면 좌측의 라인 마커 (33) 가 비작업 자세로 돌아간다. 작업 레버 (16) 를 1 회 우측으로 경동 조작하면 우측의 라인 마커 (33) 가 작업 자세가 되고, 다시 1 회 우측으로 경동 조작하면 우측의 라인 마커 (33) 가 비작업 자세로 돌아간다.
다음으로, 도 6 을 참조하면서, 이앙기 (1) 의 구동 계통에 대해 설명한다. 엔진 (5) 의 출력축 (70) 은 엔진 (5) 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출력축 (70) 중 엔진 (5) 좌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단부에 엔진 출력 풀리 (72) 를 형성하고, 미션 케이스 (6) 로부터 좌외측으로 돌출된 미션 입력축 (71) 에 미션 입력 풀리 (73) 를 형성하고, 양 풀리 (72, 73) 에 전달 벨트를 감고 있다. 양 풀리 (72, 73) 및 전달 벨트를 통하여, 엔진 (5) 으로부터 미션 케이스 (6) 에 동력 전달한다.
미션 케이스 (6) 내에는, 유압 펌프 (40a) 및 유압 모터 (40b) 로 이루어지는 유압 무단 변속기 (40), 유성 기어 장치 (41), 유압 무단 변속기 (40) 및 유성 기어 장치 (41) 를 경유한 변속 동력을 복수단으로 변속하는 기어식 부변속 기구 (42), 유성 기어 장치 (41) 로부터 기어식 부변속 기구 (42) 로의 동력 전달을 계단하는 주클러치 (43), 그리고, 기어식 부변속 기구 (42) 로부터의 출력을 제동시키는 주행 브레이크 (44) 등을 구비하고 있다. 미션 입력축 (71) 으로부터의 동력으로 유압 펌프 (40a) 를 구동시키고, 유압 펌프 (40a) 로부터 유압 모터 (40b) 에 작동유를 공급하고, 유압 모터 (40b) 로부터 변속 동력이 출력된다. 유압 모터 (40b) 의 변속 동력은, 유성 기어 장치 (41) 및 주클러치 (43) 를 통하여 기어식 부변속 기구 (42) 에 전달된다. 그리고, 기어식 부변속 기구 (42) 로부터, 전후 차륜 (3, 4) 과 모종 식부 장치 (23) 의 2 방향으로 분기되어 동력 전달된다.
전후 차륜 (3, 4) 을 향하는 분기 동력의 일부는, 기어식 부변속 기구 (42) 로부터 차동 기어 기구 (45) 를 통하여, 프론트 액슬 케이스 (7) 의 전차축 (36) 에 전달되어, 좌우 전차륜 (3) 을 회전 구동시킨다. 전후 차륜 (3, 4) 을 향하는 분기 동력의 나머지는, 기어식 부변속 기구 (42) 로부터, 자재 (自在) 이음축 (46), 리어 액슬 케이스 (9) 내의 리어 구동축 (47), 좌우 1 쌍의 마찰 클러치 (48) 및 기어식 감속 기구 (49) 를 통하여, 리어 액슬 케이스 (9) 의 후차축 (37) 에 전달되어, 좌우 후차륜 (4) 을 회전 구동시킨다. 주행 브레이크 (44) 를 작동시킨 경우에는, 기어식 부변속 기구 (42) 로부터의 출력이 없어지므로, 전후 차륜 (3, 4) 모두 브레이크가 걸린다. 또, 이앙기 (1) 를 선회시키는 경우에는, 리어 액슬 케이스 (9) 내의 선회 내측의 마찰 클러치 (48) 를 오프 작동시켜 선회 내측의 후차륜 (4) 을 자유 회전시키고, 동력 전달되는 선회 외측의 후차륜 (4) 의 회전 구동에 의해 선회한다.
리어 액슬 케이스 (9) 내에는, 정지 로터 (85) 에 대한 동력 계단용 정지 로터 클러치를 갖는 로터 구동 유닛 (86) 을 구비하고 있다. 기어식 부변속 기구 (42) 로부터 자재 이음축 (46) 에 전달된 동력은 로터 구동 유닛 (86) 으로도 분기되어 전달되고, 로터 구동 유닛 (86) 으로부터 자재 이음축 (87) 을 통하여 정지 로터 (85) 에 동력 전달된다. 정지 로터 (85) 의 회전 구동에 의해 포장면이 고르게 된다.
모종 식부 장치 (23) 를 향하는 분기 동력은, 자재 이음축이 형성된 PTO 전동축 기구 (74) 를 통하여 주간 변속 케이스 (75) 에 전달된다. 주간 변속 케이스 (75) 내에는, 식부되는 모종의 주간을 예를 들어 소식, 표준식 또는 밀식 등으로 전환하는 주간 변속 기구 (76) 와, 모종 식부 장치 (23) 로의 동력 전달을 계단하는 식부 클러치 (77) 를 구비하고 있다. 주간 변속 케이스 (75) 에 전달된 동력은, 주간 변속 기구 (76), 식부 클러치 (77) 및 자재 이음축 (78) 을 통하여 식부 입력 케이스 (26) 에 전달된다.
식부 입력 케이스 (26) 내에는, 모종 적재대 (29) 를 가로 이송 이동시키는 모종대 가로 이송 기구 (79) 와, 모종 적재대 (29) 상의 모종 매트를 세로 이송 반송시키는 모종 세로 이송 기구 (80) 와, 식부 입력 케이스 (26) 로부터 각 식부 전동 케이스 (27) 에 동력 전달하는 식부 출력축 (81) 을 구비하고 있다. 식부 입력 케이스 (26) 에 전달된 동력에 의해, 모종대 가로 이송 기구 (79) 및 모종 세로 이송 기구 (80) 가 구동하여, 모종 적재대 (29) 를 연속적으로 왕복으로 가로 이송 이동시키고, 모종 적재대 (29) 가 왕복 이동단 (왕복 이동의 반환점) 에 도달했을 때에 모종 적재대 (29) 상의 모종 매트를 간헐적으로 세로 이송 반송한다. 식부 입력 케이스 (26) 로부터 식부 출력축 (81) 을 경유한 동력은 각 식부 전동 케이스 (27) 에 전달되어, 각 식부 전동 케이스 (27) 의 식부 전동 케이스 (27) 그리고 식부 클로 (30) 를 회전 구동시킨다. 또한, 시비 (施肥) 장치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주간 변속 케이스 (75) 로부터 시비 장치에 동력 전달된다.
식부 입력 케이스 (26) 내부에는, 좌우 길이의 중간축 (211) 과 모종 적재대 구동축 (212) 을 평행상으로 배치하고 있다. 식부 입력 케이스 (26) 에 전달된 동력은, 중간축 (211) 및 모종 적재대 구동축 (212) 을 경유하여 모종대 가로 이송 기구 (79) 및 모종 세로 이송 기구 (80) 에 전달된다. 모종 적재대 구동축 (212) 에는 복수 장의 가로 이송 조절 종동 기어 (214) 를 고정시키는 한편, 중간축 (211) 에는, 가로 이송 조절 종동 기어 (214) 에 대응하는 가로 이송 조절 구동 기어 (213) 를 헐겁게 끼우고 있다. 복수 장의 가로 이송 조절 구동 기어 (213) 중 어느 1 개에만, 식부 입력 케이스 (26) 에 형성한 슬라이드 레버 (도시 생략) 로 슬라이드 조작 가능한 슬라이드 키 (215) 에 의해, 중간축 (211) 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동력 전달되어, 모종 적재대 구동축 (212) 을 회전시킨다.
가로 이송 조절 기어 (213, 214) 의 각 세트는 각각 톱니수의 비율이 상이하고, 가로 이송 조절 기어 (213, 214) 의 조합을 변경하면, 모종 적재대 구동축 (212) 의 회전 비율이 변경된다. 그 결과, 모종 적재대 (29) 의 가로 이송 피치가 변화하고, 모종 매트의 모종의 스크레이핑량이 변화한다. 실시형태에서는, 가로 이송 조절 기어 (213, 214) 의 조합이 4 종류 있고, 가로 이송 횟수가 18 회, 20 회, 26 회 및 30 회 중 어느 것으로 설정된다. 여기서, 가로 이송 횟수란, 모종 적재대 (29) 를 좌우 어느 이동단까지 가로 이송하는 동안에, 1 조분 2 개의 식부 클로 (30) 가 모종 매트로부터 모종을 스크레이핑하는 횟수를 의미하고 있다. 가로 이송 횟수가 30 회에 대응한 가로 이송 조절 기어 (213, 214) 의 조합이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다음으로, 도 7 을 참조하면서, 이앙기 (1) 의 유압 회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이앙기 (1) 의 유압 회로 (90) 에는, 유압 무단 변속기 (40) 의 구성 요소인 유압 펌프 (40a) 및 유압 모터 (40b) 와, 차지 펌프 (91) 및 작업 펌프 (92) 를 구비한다. 유압 펌프 (40a), 차지 펌프 (91) 및 작업 펌프 (92) 가 엔진 (5) 의 동력에 의해 구동된다. 유압 펌프 (40a) 와 유압 모터 (40b) 는, 폐쇄 루프 유로 (93) 를 통하여 각각의 흡입측 및 토출측에 접속하고 있다. 차지 펌프 (91) 를 폐쇄 루프 유로 (93) 에 접속하고 있다. 주행 변속 페달 (12) 의 밟기량에 따른 변속 전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유압 펌프 (40a) 의 경사판 각도를 조절하여, 유압 모터 (40b) 를 정전 (正轉) 또는 역전 구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작업 펌프 (92) 는, 조종 핸들 (14) 의 조작을 보조하는 파워 스티어링 유닛 (66) 에 접속하고 있다. 파워 스티어링 유닛 (66) 은, 조향 유압 전환 밸브 (94) 및 조향 유압 모터 (95) 를 구비하고 있다. 조종 핸들 (14) 의 조작에 의해 조향 유압 전환 밸브 (94) 를 전환 작동시켜 조향 유압 모터 (95) 를 구동시켜, 조종 핸들 (14) 의 조작을 보조한다. 그 결과, 좌우 전차륜 (3) 을 작은 조작력으로 간단하게 조타할 수 있다.
파워 스티어링 유닛 (66) 은 플로 디바이더 (96) 에 접속하고 있다. 플로 디바이더 (96) 는 제 1 유로 (97) 와 제 2 유로 (98) 로 분기되어 있다. 제 1 유로 (97) 는, 승강 실린더 (39) 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승강 전환 밸브 (99) 에 접속되어 있다. 승강 전환 밸브 (99) 는, 승강 실린더 (39) 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공급 위치 (99a) 와, 승강 실린더 (39) 로부터 작동유를 배출하는 배출 위치 (99b) 의 2 위치로 전환 가능한 4 포트 2 위치 전환형의 기계식 전환 밸브이다. 작업 레버 (16) 의 조작으로 승강 전환 밸브 (99) 를 전환 작동시켜 승강 실린더 (39) 를 신축동시킴으로써, 승강 링크 기구 (22) 를 통하여 모종 식부 장치 (23) 가 승강동한다. 또한, 플로 디바이더 (96) 나 승강 전환 밸브 (99) 는, 미션 케이스 (6) 후방부에 형성한 밸브 유닛 (89) 내에 수용되어 있다.
승강 전환 밸브 (99) 로부터 승강 실린더 (39) 에 이르는 실린더 유로 (100) 중에 전자 개폐 밸브 (101) 를 형성하고 있다. 전자 개폐 밸브 (101) 는, 승강 실린더 (39) 에 대해 작동유를 급배하는 개방 위치 (101a) 와, 승강 실린더 (39) 에 대한 작동유의 급배를 정지하는 폐쇄 위치 (101b) 의 2 위치로 전환 가능한 전자 제어 밸브이다. 따라서, 전자 솔레노이드 (102) 를 여자하여 전자 개폐 밸브 (101) 를 개방 위치 (101a) 로 하면, 승강 실린더 (39) 는 신축동 가능하게 되고, 모종 식부 장치 (23) 가 승강동 가능하게 된다. 전자 솔레노이드 (102) 를 비여자로 하여 리턴 스프링 (103) 에 의해 전자 개폐 밸브 (101) 를 폐쇄 위치 (101b) 로 하면, 승강 실린더 (39) 는 신축동 불능으로 유지되고, 모종 식부 장치 (23) 가 임의의 높이 위치에서 승강 정지한다.
또한, 실린더 유로 (100) 중 전자 개폐 밸브 (101) 와 승강 실린더 (39) 사이에는, 어큐뮬레이터 유로 (104) 를 통하여 어큐뮬레이터 (105) 를 접속하고 있다. 승강 실린더 (39) 내의 급격한 작동 유압 변동시에는, 어큐뮬레이터 (105) 에 의해 작동 유압 변동을 흡수하고, 승강 전환 밸브 (99) 및 전자 개폐 밸브 (101) 의 조합에 의해, 승강 실린더 (39) 를 원활하게 신축동시켜, 모종 식부 장치 (23) 를 경쾌하게 승강동시킨다.
플로 디바이더 (96) 의 제 2 유로 (98) 는, 모종 식부 장치 (23) 의 좌우 경사 자세를 제어하는 롤링 제어 유닛 (106) 에 접속되어 있다. 롤링 제어 유닛 (106) 에는, 롤링 실린더 (108) 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전자 제어 밸브 (107) 를 내장하고 있다. 전자 제어 밸브 (107) 의 전환 작동에 의해, 롤링 제어 유닛 (106) 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롤링 실린더 (108) 를 작동시키는 결과, 모종 식부 장치 (23) 가 수평 자세로 유지된다. 또한, 이앙기 (1) 의 유압 회로 (90) 는, 릴리프 밸브나 유량 조정 밸브, 체크 밸브, 오일 필터 등도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1 을 참조하여, 모종 식부 장치 (23)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모종 식부 장치 (23) 는, 8 조용 4 세트의 식부 전동 케이스 (27) 의 전단 사이를 연결하는 식부 프레임 (111) 을 구비하고 있다. 식부 프레임 (111) 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식부 프레임 (111) 의 중앙부에 식부 입력 케이스 (26) 가 장착되어 있다. 식부 입력 케이스 (26) 는, 모종 적재대 (29) 의 좌우 방향의 가로 이송을 실시하는 모종대 가로 이송 기구 (79) 의 가로 이송축과, 모종 적재대 (29) 상의 모종의 세로 이송을 실시하는 모종 세로 이송 기구 (80) 의 세로 이송 구동축 (80a) 과, 모종 식부 기구 (28) 의 식부 출력축 (81) 을 회전시킨다.
식부 전동 케이스 (27) 의 전단부 하측에 식부 깊이 조절축 (121) 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피봇되어 있다. 식부 깊이 조절축 (121) 에, 각 플로트 (32a, 32b) 후단부 상면에 배치된 브래킷 (113a, 113b) 이 식부 깊이 조절 링크 (114a, 114b) 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 식부 깊이 조절축 (121) 에, 기준 식부 깊이의 조절을 실시하는 식부 깊이 조절 부재 (122) 의 기단부가 고착되어 있다. 식부 깊이 조절 부재 (122) 는, 후술하는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에 의해 식부 깊이 조절축 (121) 을 회동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되어 위치 조절된다. 식부 깊이 조절 부재 (122) 가 위치 조절됨으로써, 식부 깊이 조절축 (121) 및 식부 깊이 조절 링크 (114a, 114b) 를 통하여 브래킷 (113a, 113b) 의 높이 위치, 나아가서는 플로트 (32a, 32b) (피조절체) 가 원하는 식부 깊이 설정 높이에 배치된다. 센터 플로트 (32a) 의 전단부에 승강 센서 기구 (311) 의 센싱 아암이 장착되어 있다. 승강 센서 기구 (311) 는 플로트 경사 각도 (식부 깊이) 의 변화를 검출한다. 센터 플로트 (32a) 의 상방에, 식부 프레임 (111) 의 전방면에 장착된 표면 검지 센서 기구 (331) 가 배치되어 있다. 표면 검지 센서 기구 (331) 는 포장의 표면 위치의 변화를 검출한다. 사이드 플로트 (32b) 의 전단부에, 사이드 플로트 (32b) 전단부의 상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플로트 융통 기구 (116) 가 장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롤링 제어 장치 (109) 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치 브래킷 (38) 하단부는, 식부 프레임 (111) 대략 중앙에 고정 형성된 지지점 부재 (141) 에 롤링 지지점축 (142) 을 통하여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히치 브래킷 (38) 상단측에 형성된 장착 시트 (143) 에 유압 롤링 실린더 (108) 가 장착되어 있다. 실린더 (108) 의 피스톤 로드 (145) 선단은, 롤링 아암 (146) 에 장착된 고정 브래킷 (147) 에 연결되어 있다. 실린더 (108) 에, 복동형의 실린더 (108) 를 왕복 구동하는 롤링 제어 유닛 (106) 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 시트 (143) 상면에 고정 형성된 수용판 (148) 과, 모종 적재대 (29) 이측면의 상측 레일 프레임 (151) 에, 상측 레일 프레임 (151) 중앙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1 쌍의 스프링 훅 사이에, 롤링 보정 스프링 (149) 이 장설 (張設) 되어 있다. 진자형 롤링 센서 (도시는 생략) 가 모종 식부 장치 (23) 의 경사를 검출할 때, 실린더 (108) 의 피스톤 로드 (145) 를 진퇴 제어하여 롤링 지지점축 (142) 둘레로 모종 식부 장치 (23) 를 좌우로 요동시켜 모종 식부 장치 (23) 의 수평 유지를 도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식부 입력 케이스 (26) 에는 모종대 가로 이송 기구 (79) 와 모종 세로 이송 기구 (80) 가 접속되어 있다. 모종대 가로 이송 기구 (79) 의 이송체 (79a) 는 모종 적재대 (29) 의 이면 하부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측 레일 프레임 (151) 및 하측 레일 프레임 (152) 을 따른 좌우 폭 방향으로 모종 적재대 (29) 를 가로 이송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모종 적재대 (29) 상의 모종 매트는 연속적으로 왕복으로 가로 이송 반송된다.
한편, 모종 세로 이송 기구 (80) 의 세로 이송 구동축 (80a) 에는 1 쌍의 세로 이송 구동캠 (80b) 이 고착되어 있다. 모종 적재대 (29) 가 왕복 이동단 (왕복 이동의 반환점) 에 도달할 때, 세로 이송 구동축 (80a) 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각 세로 이송 구동캠 (80b) 이 종동캠 (153) 의 선단부에 맞닿아 종동캠 (153) 을 회동시킨다. 이로써 무단 띠상의 모종 세로 이송 벨트 (155) 가 간헐 구동되어, 모종 적재대 (29) 상의 모종 매트가 모종 취출측 (모종 적재대 (29) 의 경사 하단측) 을 향하여 간헐적으로 세로 이송 반송된다.
모종 세로 이송 벨트 (155) 는, 모종 적재대 (29) 의 하단측에 형성한 좌우 가로로 긴 세로 이송 구동 롤러축 (154) 에 장착된 세로 이송 구동 롤러와, 모종 적재대 (29) 의 중도부에 형성한 좌우 가로로 긴 세로 이송 종동 롤러축 (157) 에 장착된 세로 이송 종동 롤러에 감긴다. 모종 적재대 (29) 의 모종 매트 적재면에 사각형상의 2 장의 모종 매트를 직렬로 싣고, 모종 세로 이송 벨트 (155) 를 간헐 구동시킴으로써, 모종 적재대 (29) 의 모종 매트 적재면의 경사 하단측 (모종 취출측) 을 향하여 모종 매트가 세로 이송 반송된다. 모종 세로 이송 벨트 (155) 의 모종 이송 작용면의 길이는 1 장의 모종 매트의 길이보다 길다. 또, 모종 취출 조절축 (136) 에 고착된 모종 취출 연동캠 (138) 과, 세로 이송 구동 롤러축 (154) 에 장착된 종동캠 (153) 을, 연동 와이어 (156) 를 통하여 연결시켜, 모종 세로 취출량의 변화에 대응시켜 모종 세로 이송량도 변화시켜, 모종 세로 취출량에 따른 적정한 모종 세로 이송을 실시한다.
또,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식부 장치 (23) 에는, 모종 적재대 (29) 하단의 모종 취출판 (131) 을 상하동시켜 모종 세로 취출량을 조절하는 모종 취출 조절구 (132) 가 형성되어 있다. 모종 취출 조절구 (132) 는, 식부 전동 케이스 (27) 에 볼트 체결된 가이드 부재 (133) 에 자유롭게 상하동할 수 있게 지지된 가이드 로드 (134) 상부에 고착되어 있다.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모종 취출 조절축 (136) 에 모종 취출 조절캠 (135) 의 기단부가 고착되어 있다. 모종 취출 조절캠 (135) 의 선단부는 모종 취출 조절구 (132) 에 삽입되어 있다. 또, 모종 취출 조절축 (136) 에 모종 취출 조절 부재 (137) 의 기단부가 고착되어 있다. 후술하는 모종 취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81) 에 의해 모종 취출 조절 부재 (137) 가 위치 조절됨으로써, 모종 취출 조절축 (136) 및 모종 취출 조절캠 (135) 을 통하여 모종 취출판 (131), 모종 취출 조절구 (132) 및 가이드 로드 (134) 가 상하 이동되어, 식부 클로 (30) 가 취출하는 1 주분의 모종량의 조절이 실시된다. 모종 취출 조절축 (136) 은, 식부 전동 케이스 (27) 상부에 고정 형성하는 각 베어링판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지지된다.
다음으로, 도 13 내지 도 17 을 참조하면서,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71) 와 모종 취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81) 를 갖는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군 (161)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군 (161) 은,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71) 와 모종 취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81) 와 액추에이터 기구 커버 (162) 를 구비하고 있다.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군 (161) 은 롤링 지지점축 (142) 보다 좌측방 위치에서 식부 프레임 (111) 에 장착되어 있다.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군 (161) 에 있어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71, 181) 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다. 모종 취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81) 는,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71) 보다 주행 기체 (2)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다.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71) 와 모종 취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81) 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71, 181) 는, 이송 나사 (172, 182) 와, 슬라이더 (173, 183) 와, 전동식의 조절 모터 (174, 184) 와, 이송 나사 상부 지지 부재 (175, 185) 와, 이송 나사 하부 지지 부재 (176, 186) 를 구비하고 있다. 조절 모터 (174, 184) 에 의해 이송 나사 (172, 182) 가 회전됨으로써, 이송 나사 (172, 182) 상에서 슬라이더 (173, 183) 가 직선 운동된다. 이송 나사 상부 지지 부재 (175, 185) 는 이송 나사 (172, 182) 의 상단측 (조절 모터측) 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한다. 이송 나사 하부 지지 부재 (176, 186) 는 이송 나사 (172, 182) 의 하단부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한다. 또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71, 181) 는, 전동식의 조절 모터 (174, 184) 대신에, 이송 나사 (172, 182) 를 회전시키는 유압 모터를 구비한 구성이어도 된다.
액추에이터 기구 커버 (162) 에는, 이송 나사 (172) 를 따라 개구된 슬라이더 회전 방지홈 (164d) 과, 이송 나사 (182) 를 따라 개구된 슬라이더 회전 방지홈 (164e) 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 회전 방지홈 (164d, 164e) 에 슬라이더 (173, 183) 의 회전 방지 돌기부 (173a, 183a) 가 삽입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 를 참조하면서,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71) 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71) 의 슬라이더 (173) 에, 상기 서술한 식부 깊이 조절 부재 (122) 가 융통 기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기단부가 식부 깊이 조절축 (121) 에 고착된 식부 깊이 조절 부재 (122) 의 선단부는, 식부 프레임 (111) 의 상방측에서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71) 우방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식부 깊이 조절 부재 (122) 의 선단부에 전방 하방으로 연신되는 봉상 부재 (123) 의 기단부가 장착되어 있다. 봉상 부재 (123) 의 선단부에,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71) 측으로 돌출 형성된 핀 부재 (124) 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더 (173) 에는, 핀 부재 (124) 의 선단부가 걸어맞춰지는 홈을 갖는 걸어맞춤 부재 (173b) 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71) 의 슬라이더 (173) 와 식부 깊이 조절 부재 (122) 는 연결되어 있다.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71) 는, 운전 조작부 (13) 에 배치된 항목 설정기 (502) (도 5 참조) 에 의해 조절되는 설정 식부 깊이에 따라, 식부 깊이 조절 모터 (174) 의 구동에 따라 이송 나사 (172) 를 회전시켜 슬라이더 (173) 를 이동시킨다. 슬라이더 (173) 의 위치는, 예를 들어, 이송 나사 커버 부재 (164) 의 좌측면 (164b) 에 장착된 플로트 위치 센서 (178) (여기서는 포텐셔미터) 에 의해 검출된다. 슬라이더 (173) 와 함께 걸어맞춤 부재 (173b) 가 이동되면, 핀 부재 (124) 및 봉상 부재 (123) 를 통하여 식부 깊이 조절 부재 (122) 가 식부 깊이 조절축 (121) 을 회동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되어 위치 조절된다. 식부 깊이 조절축 (121) 의 회전에 의해 식부 깊이 조절축 (121) 및 상기 서술한 식부 깊이 조절 링크 (114a, 114b) 가 회전되고, 플로트 (32) 가, 운전 조작부 (13) 에 배치된 항목 설정기 (502) (도 5 참조) 에 의해 설정된 설정 식부 깊이에 따른 설정 식부 깊이 위치에 배치된다. 항목 설정기 (502) 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6 및 도 17 을 참조하면서, 모종 취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81) 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모종 취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81) 의 슬라이더 (183) 에, 상기 서술한 모종 취출 조절 부재 (137) 가 융통 기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모종 취출 조절 부재 (137) 에,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 부재 (139) 의 기단부가 장착되어 있다. 연결 부재 (139) 의 선단부는, 식부 프레임 (111) 보다 상방측에서 모종 취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81) 좌방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 (139) 의 선단부에 연결 부재 (139) 의 길이 방향을 따른 긴 구멍 (139a) 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더 (183) 에는, 긴 구멍 (139a) 에 삽입되는 걸어맞춤 핀 부재 (183b) 가 핀 지지 부재 (183c) 를 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 (139) 의 긴 구멍 (139a) 에 걸어맞춤 핀 부재 (183b) 가 삽입됨으로써, 모종 취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81) 의 슬라이더 (183) 와 모종 취출 조절 부재 (137) 는 연결되어 있다.
모종 취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81) 는, 항목 설정기 (502) (도 5 참조) 에 의해 조절되는 설정 모종 세로 취출량에 따라, 모종 취출 조절 모터 (184) 의 구동에 의해 이송 나사 (182) 를 회전시켜 슬라이더 (183) 를 이동시킨다. 슬라이더 (183) 와 함께 걸어맞춤 핀 부재 (183b) 가 이동되면, 연결 부재 (139) 를 통하여 모종 취출 조절 부재 (137) 가 모종 취출 조절축 (136) 을 회동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되어 위치 조절된다. 모종 취출 조절 부재 (137) 의 회전에 의해 모종 취출 조절축 (136) 을 통하여 모종 취출 조절캠 (135) 이 회전되고, 모종 취출판 (131) 이, 항목 설정기 (502) 에 의해 설정된 설정 모종 세로 취출량에 따른 설정 모종 세로 취출량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슬라이더 (183) 의 위치는, 예를 들어, 기단부가 모종 취출 조절축 (136) 에 고착된 검출용 봉상 부재 (188) 의 선단부의 위치를, 식부 프레임 (111) 에 센서 브래킷 (189) 을 통하여 장착된 모종 취출판 센서 (190) (여기서는 포텐셔미터) 가 검출함으로써 검출된다.
다음으로, 도 18 및 도 19 를 참조하면서, 승강 센서 기구 (311) 와 표면 검지 센서 기구 (331) 에 대해 설명한다. 승강 센서 기구 (311) 와 표면 검지 센서 기구 (331) 는, 센터 플로트 (32a) 상방에서 식부 프레임 (111) 의 중앙부에 서로 이웃하여 장착되어 있다.
승강 센서 기구 (311) 에 있어서, 센터 플로트 (32a) 전방부에 브래킷 (313) 을 통하여 센싱 아암 (312) 의 하단측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연결하고, 센싱 아암 (312) 의 상단측을 식부 깊이 링크 기구 (314) 에 연동 연결한다. 식부 깊이 링크 기구 (314) 는, 식부 프레임 (111) 의 전방면에 고정된 링크 브래킷 (315) 과, 링크 브래킷 (315) 에 회동 지지축 (316) 을 통하여 연결되는 링크체 (317) 와, 링크체 (317) 의 전방부에 연결 핀 (318) 을 통하여 연결되는 센서 지지 부재 (319) 를 구비하고 있다. 식부 깊이 조절축 (121) 에 세워서 형성한 보정 아암 (321) 을 대략 U 자형의 보정 로드 (320) 를 통하여 링크체 (317) 의 하부에 연결한다. 센서 지지 부재 (319) 의 후방부측 하단부를 대략 U 자형의 센서 링크 로드 (322) 를 통하여 링크 브래킷 (315) 에 연결한다. 센서 지지 부재 (319) 에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요동 지지축 (323) 을 축지지한다. 식부 깊이 조절축 (121) 의 회동에 의해, 보정 아암 (321) 및 보정 로드 (320) 가 변위하여 링크체 (317) 가 회동 지지축 (316) 을 지지점으로서 회동하고, 센서 지지 부재 (319) 가 상하 요동된다.
요동 지지축 (323) 의 좌단부에 좌측 요동 플레이트 (324) 의 후방부를 연결하고, 좌측 요동 플레이트 (324) 의 전방부에 센싱 아암 (312) 의 상단측을 연결한다. 또, 요동 지지축 (323) 의 좌단부측에, 좌측 요동 플레이트 (324) 와 연동하는 규제 플레이트 (330) 의 기단부가 좌측 요동 플레이트 (324) 보다 센서 지지 부재 (319) 측에서 헐겁게 끼워져 있다. 센서 지지 부재 (319) 의 우측면에, 센서 브래킷 (326) 을 통하여 승강 센서 (325) (여기서는 포텐셔미터) 를 형성한다. 요동 지지축 (323) 의 우단부에 우측 요동 플레이트 (327) 의 후방부를 연결하고, 우측 요동 플레이트 (327) 의 우측면에 우측으로 세워서 형성한 긴 홈부 (328) 의 긴 홈에 승강 센서 (325) 의 검출 아암 (329) 을 걸어맞춘다. 승강 센서 (325) 는 요동 지지축 (323) 의 회동 변위량을 검출하고, 센터 플로트 (32a) 의 상하 방향의 자세를 나타내는 플로트각 (경사 각도) 을 검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규제 플레이트 (330) 의 전단부와 센서 지지 부재 (319) 의 전방 하부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 (350) 이 팽팽하게 형성되고, 우측 요동 플레이트 (327) 의 전단부와 센서 지지 부재 (319) 의 전방 하부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 (351) 이 팽팽하게 형성되어 있다.
표면 검지 센서 기구 (331) 는, 식부 프레임 (111) 의 전방면에 고정된 링크 브래킷 (332) 에 장착된다. 링크 브래킷 (332) 상부에 회동 지지축 (333) 을 통하여 링크체 (334) 의 후방부를 연결하고, 링크체 (334) 의 전방부에 연결 로드 (335) 를 통하여 섹터 기어 케이스 (336) 의 상부를 연결한다. 섹터 기어 케이스 (336) 의 우측면 하부 근방 부위를 대략 J 자형의 센서 링크 로드 (337) 를 통하여 링크 브래킷 (332) 하부에 연결한다. 연결 로드 (335) 의 우단부는 연결 플레이트 (338) 를 통하여, 승강 센서 기구 (311) 의 대략 J 자형의 센서 링크 로드 (322) 의 전측 좌단부에 연결된다. 섹터 기어 케이스 (336) 는, 식부 깊이 조절축 (121) 의 회동에 수반하여 상하 요동하는 승강 센서 기구 (311) 의 센서 지지 부재 (319) 의 변위에 연동하여 상하 요동한다.
섹터 기어 케이스 (336) 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표면 검지 요동축 (339) 을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축지지한다. 표면 검지 요동축 (339) 의 좌우 양단부에, 좌우 1 쌍의 표면 검지 아암 (340, 340) 의 기단측을 장착하고, 표면 검지 아암 (340, 340) 의 선단측에 표면 검지체 (341, 341) 를 장착한다. 섹터 기어 케이스 (336) 내부에, 섹터 기어쌍 (343) 을 통하여 표면 검지 요동축 (339) 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센서축 (342) 을 형성한다. 섹터 기어 케이스 (336) 좌측면에 표면 검지 센서 (344) (여기서는 포텐셔미터) 를 형성하고, 표면 검지 센서 (344) 의 검지축을 센서축 (342) 의 좌단부에 연결한다. 표면 검지 센서 (344) 는, 섹터 기어쌍 (343) 및 센서축 (342) 을 통하여 표면 검지 요동축 (339) 의 회동 변위량을 검출하여, 표면 검지체 (341, 341) 의 변위나, 포장 표면으로부터 모종 식부 장치 (23) 의 소정 지점 (예를 들어 식부 깊이 조절축 (121)) 까지의 높이를 검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20 내지 도 23 을 참조하면서, 상자 시용제 산포기 (400) 에 대해 설명한다. 상자 시용제 산포기 (400) 는, 모종 식부 기구 (28) 의 식부 전동 케이스 (27) 의 후방부 상면에 연결된 지지 프레임 (401) 과, 지지 프레임 (401) 에 지지된 4 개의 산포 유닛 (402) 을 구비한다. 4 개의 산포 유닛 (402) 은, 모종 적재대 (29) 의 하단부 상방의 위치에서, 모종 적재대 (29) 에 대향하여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각 산포 유닛 (402) 은, 입상의 상자 시용제를 수용하는 호퍼 (403) 로부터 조출 기구 (404) 의 구동에 의해 상자 시용제를 소정량씩 조출하여 산포 노즐 (405) 로부터 모종 적재대 (29) 에 재치된 모종 매트를 향하여 상자 시용제를 산포한다. 각 호퍼 (403) 는, 하단측이 두 갈래로 분기됨과 함께, 상단 및 하단이 개구되고, 상단 개구부는 개폐 가능한 덮개 부재 (406) 에 의해 닫힌다. 두 갈래로 분기된 호퍼 (403) 의 하단측에 조출 기구 (404) 가 연결된다. 각 산포 유닛 (402) 은 조출 기구 (404) 및 산포 노즐 (405) 을 2 세트씩 구비하고, 조출 기구 (404) 및 산포 노즐 (405) 은 조간 피치와 대략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조출 기구 (404) 는, 조출 케이스 (407) 에 수용된 조출 롤 (408) 이 회전 구동함으로써, 호퍼 (403) 내의 상자 시용제를 산포 노즐 (405) 에 소정의 공급 속도로 조출한다. 조출 롤 (408) 은 대략 원반형이고, 그 외주면에 복수의 오목부 (408a) 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출 롤 (408) 과 호퍼 (403) 측벽의 간극은, 조출 롤 (408) 전방에 배치된 브러시상 부재 (409) 와, 조출 롤 (408) 후방에 배치된 봉지 부재 (410) 에 의해 메워진다.
조출 롤 (408) 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통상의 조출 구동축 (411) 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조출 구동축 (411) 의 구동력은 식부 전동 케이스 (27) 로부터 취출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4 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 (27) 중 1 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 (27) 의 후방부에 연결된 구동력 취출 기구 (412) 가 장착된다. 구동력 취출 기구 (412) 는, 식부 전동 케이스 (27) 내부로부터 동력 전달되는 구동 취출축 (413) 의 회전 운동을, 구동 취출축 (413) 후단에 장착된 크랭크 플레이트 (414) 와, 크랭크 플레이트 (414) 선단에 하단측이 장착된 하측 링크 로드 (415) 에 의해 상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한다.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버 플레이트 지지축 (417) 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된 수동 레버 플레이트 (416) 에 하측 링크 로드 (415) 의 상단측을 연결하고, 수동 레버 플레이트 (416) 를 회동 왕복 운동시킨다.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측 링크 로드 (418) 의 후단측을 수동 레버 플레이트 (416) 에 연결하고, 상측 링크 로드 (418) 를 전후 왕복 운동시켜, 원웨이 클러치 기구 (420) 에 동력을 전달한다.
원웨이 클러치 기구 (420) 는, 상측 링크 로드 (418) 의 전후 왕복 운동을 회전 왕복 운동으로 변환함과 함께,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전달 구동축 (421) 을 간헐적으로 회전 구동한다. 원웨이 클러치 기구 (420) 에서는, 전달 구동축 (421) 에 링크 레버 부재 (422) 를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축지지하고, 링크 레버 부재 (422) 의 상부에 상측 링크 로드 (418) 의 전단측을 연결한다. 전달 구동축 (421) 에는, 링크 레버 부재 (422) 의 우측방에, 원웨이 클러치의 클러치 레버 부재 (423) 를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축지지한다. 클러치 레버 부재 (423) 의 기단부측에 좌측방으로 돌출되는 구동 핀 (424) 을 고착시키고, 클러치 레버 부재 (423) 의 선단부측에 우측방으로 돌출되는 규제 핀 (425) 을 고착시킨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 (426) 을 전달 구동축 (421) 에 외측에 끼우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 (426) 의 일단측을 구동 핀 (424) 에 걸고, 타단측을 지지 프레임 (401) 에 고정된 고정 부재 (427) 에 건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 (426) 의 탄성에 의해 구동 핀 (424) 이 링크 레버 부재 (422) 의 하단부에 탄성 지지된다. 상측 링크 로드 (418) 의 전후 왕복 운동에 의해 링크 레버 부재 (422) 가 왕복 회전 구동하고, 그것에 수반하여 원웨이 클러치의 클러치 레버 부재 (423) 가 왕복 회전 구동하고, 클러치 레버 부재 (423) 내부의 원웨이 클러치의 작용에 의해 전달 구동축 (421) 이 일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 구동한다.
클러치 레버 부재 (423) 의 회동 가능 범위는 산포량 조절 기구 (430) 에 의해 제한된다. 산포량 조절 기구 (430) 는, 산포량 조절 다이얼 (431) 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 나사 (432) 상에서 직선 운동하는 산포량 조절 부재 (433) 를 구비한다. 산포량 조절 부재 (433) 는 하단부에 스토퍼 부재 (434) 를 구비한다. 스토퍼 부재 (434) 는, 클러치 레버 부재 (423) 의 규제 핀 (425) 의 원호 궤적 상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배치된다. 산포량 조절 부재 (433) 및 스토퍼 부재 (434) 가 규제 핀 (425) 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클러치 레버 부재 (423) 의 회동 가능 범위가 커지는 한편, 산포량 조절 부재 (433) 및 스토퍼 부재 (434) 가 규제 핀 (425) 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클러치 레버 부재 (423) 의 회동 가능 범위가 좁아진다. 클러치 레버 부재 (423) 의 회동 가능 범위가 클수록, 상측 링크 로드 (418) 의 1 왕복당의 전달 구동축 (421) 의 회전각이 커지므로, 전달 구동축 (421) 의 회전 속도는 커진다. 반대로, 클러치 레버 부재 (423) 의 회동 가능 범위가 작을수록, 전달 구동축 (421) 의 회전 속도는 작아진다.
전달 구동축 (421) 의 회전 구동력은, 전달 구동축 (421) 의 양단에 연결된 전달 기구 (435) 를 통하여, 산포 유닛 (402) 의 조출 구동축 (411) 에 전달된다. 전달 기구 (435) 의 내부에는, 조출 구동축 (411) 과 전달 구동축 (421) 에 1 개씩 고착된 1 쌍의 기어 (도시 생략) 가 배치되고, 이들 기어의 맞물림에 의해, 조출 구동축 (411) 이 전달 구동축 (421) 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조출 구동축 (411) 의 간헐적인 회전 구동에 의해 조출 롤 (408) 이 간헐적으로 회전하고, 호퍼 (403) 내의 상자 시용제가 조출 롤 (408) 의 오목부 (408a) 및 산포 노즐 (405) 을 통하여 모종 매트를 향하여 산포된다. 상자 시용제 산포기 (400) 는 식부 전동 케이스 (27) 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모종 적재대 (29) 상의 모종 매트가 모종대 가로 이송 기구 (79) 및 모종 세로 이송 기구 (80) (도 6 참조) 의 구동에 의해 산포 노즐 (405) 에 대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모종 매트 상에 상자 시용제가 골고루 산포된다.
상자 시용제 산포기 (400) 에서는, 산포량 조절 기구 (430) 에서의 산포량 조절 부재 (433) 및 스토퍼 부재 (434) 의 위치 조절에 의해, 전달 구동축 (421) 의 회전 속도가 조절됨으로써, 조출 구동축 (411) 의 회전 속도, 나아가서는 조출 롤 (408) 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산포 노즐 (405) 로부터 산포되는 상자 시용제의 산포량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산포량 조절 부재 (433) 및 스토퍼 부재 (434) 의 위치 조정은, 산포량 조절 기구 (430) 의 우측방에 인접 배치되어 이송 나사 (432) 를 회전시키는 산포량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436) 에 의해 위치 조절된다. 산포량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436) 는, 이송 나사 (432) 를 회전시키는 산포량 조절 모터 (437) 와, 산포량 조절 부재 (433) 의 위치를 검출하는 산포량 센서 (438) (여기서는 포텐셔미터) 를 구비한다. 후술하는 항목 설정기 (502) (도 5 참조) 에 의해 설정되는 상자 시용제 산포량에 기초하여, 설정 산포량이 되도록 산포량 조절 부재 (433) 의 위치가 조절된다. 또한, 수동으로 산포량 조절 다이얼 (431) 을 회전 조작하여 산포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4 내지 도 29 를 참조하면서, 모종 식부 기구 (28) 및 그 주변의 상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식부 입력 케이스 (26) 의 후방에는, 모종 취출구 (220) 를 갖는 모종 취출판 (131) 을 대략 수평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모종 적재대 (29) 의 이면 하부에, 대략 수평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측 레일 프레임 (152) 을 고착시키고 있다. 모종 취출판 (131) 에 형성한 하측 슬라이드 슈 (223) 를, 하측 레일 프레임 (152) 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방으로부터 끼워넣고 있다.
모종 취출판 (131) 에 있어서의 각 모종 취출구 (220) 의 지점에는, 모종 취출구 (220) 의 내부 둘레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취출구 커버 (226) 와, 식부 클로 (30) 의 길이 중도부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는 식부 클로 협지 가이드 (227) 와, 식부 클로 (30) 의 선단측과 대치하는 식부 클로 선단 가이드 (228) 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이 경우, 모종 취출판 (131) 에 있어서의 각 모종 취출구 (220) 근방의 2 개 지점에 형성한 볼트 장착용 구멍 (241) 에, 식부 클로 선단 가이드 (228) 의 상단측의 장착용 구멍 (242), 취출구 커버 (226) 의 장착용 구멍 (243) 및 식부 클로 협지 가이드 (227) 의 상단측의 장착용 구멍 (244) 을, 순차 중첩한 상태에서 볼트 (229) 에 의해 함께 체결하고 있다. 취출구 커버 (226) 의 존재는, 모종 취출판 (131) 에 있어서의 각 모종 취출구 (220) 의 지점의 강도를 향상시켜, 식부 클로 (30) 에 의한 모종 매트의 모종의 스크레이핑량을 안정화시키는 데에 기여하고 있다. 식부 클로 선단 가이드 (228) 나 식부 클로 협지 가이드 (227) 의 상단측도, 함께 체결 구조에 의해, 각 모종 취출구 (220) 의 지점의 강도 향상에 공헌하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취출구 커버 (226), 식부 클로 협지 가이드 (227) 및 식부 클로 선단 가이드 (228) 의 조합을 취출구 유닛 (230) 으로서 2 종류 준비하고 있다. 1 개는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용의 것, 또 하나는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용인 것이다. 어느 쪽의 사양의 모종 매트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취출구 유닛 (230) 을 교체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취출구 커버 (226) 에 있어서 식부 클로 (30) 가 통과하는 개구 홈 (231) 의 홈폭 치수 ΔW 는, 고밀도 육묘용과 표준형 육묘용에서 넓고 좁음을 다르게 하고 있다.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밀도 육묘용 취출구 커버 (226a) 의 홈폭 치수 ΔWa ((A) 참조) 는, 표준형 육묘용 취출구 커버 (226b) 의 홈폭 치수 ΔWb ((B) 참조) 보다 폭이 좁게 설정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식부 클로 협지 가이드 (227) 의 장착용 구멍 (244) 은 좌우 가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모종 취출판 (131) 으로의 식부 클로 협지 가이드 (227) 의 장착 위치를, 모종 취출판 (131) 의 모종 취출구 (220) 나 볼트 장착용 구멍 (241) 에 대해, 개구 홈 (231) 의 폭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로써, 동일 형상의 식부 클로 협지 가이드 (227) 를, 고밀도 육묘용 취출구 커버 (226a) 의 홈폭 치수 ΔWa 와 표준형 육묘용 취출구 커버 (226b) 의 홈폭 치수 ΔWb 의 양방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용 취출구 유닛 (230) 과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용 취출구 유닛 (230) 에서 식부 클로 협지 가이드 (227) 를 공통화할 수 있어, 식부 클로 협지 가이드 (227) 의 설계 비용이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25, 도 26 및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식부 기구 (28) 에 있어서의 각 로터리 케이스 (31) 의 길이 양단측에는, 식부 클로 (30) 와, 식부 클로 (30) 로 협지한 모종을 압출하는 U 자상의 압출편 (234) 과, 압출편 (234) 을 식부 클로 (30) 를 따라 슬라이딩시키는 푸시로드 (235) 를 구비하고 있다. 식부 클로 (30) 는, 로터리 케이스 (31) 의 길이 양단측에 위치하는 식부 본체부 (236) 에, 스터드 볼트 (237) 및 너트 (238) 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압출편 (234) 은 푸시로드 (235) 의 선단부에 고착되어 있다.
도 3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서는, 식부 클로 (30), 압출편 (234) 및 푸시로드 (235) 의 조합을 식부 클로 유닛으로서 2 종류 준비하고 있다. 1 개는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용의 것, 또 하나는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용인 것이다. 고밀도 육묘용 식부 클로 (30a) 의 선단측은 기단측보다 폭이 좁게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표준형 육묘용 식부 클로 (30b) 선단측은 14 ㎜ 정도의 폭으로 설정하고 있는 것에 반하여, 고밀도 육묘용 식부 클로 (30a) 선단측은 11 ㎜ 정도의 폭으로 설정하고 있다.
한편, 고밀도 육묘용의 압출편 (234a) 에 있어서의 두 갈래상의 상단부 외측을,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비스듬히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모서리를 잘라낸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압출편 (234a) 의 두 갈래상의 상단측을, 고밀도 육묘용 식부 클로 (30a) 의 협폭의 선단측의 이면에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게 근접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식부 클로 (30a) 의 선단측과, 압출편 (234a) 의 두 갈래상의 상단측을 폭이 좁게 구성하면,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로부터 1 주분의 모종을 스크레이핑하기 쉽게 한 것이면서, 스크레이핑한 모종이 U 자상의 압출편 (234a) 내에 가득 차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표준형 육묘용의 압출편 (234b) 은 대략 균일한 두께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압출편 (234b) 의 두 갈래상의 상단측을, 표준형 육묘용 식부 클로 (30b) 선단측의 이면에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게 근접시키고 있다.
또, 도 3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밀도 육묘용의 압출편 (234a) 및 푸시로드 (235) 선단부에 압출편 커버 (251) 를 장착하고, 압출편 (234a) 및 압출편 커버 (251) 의 두 갈래상의 상단측을 표준형 육묘용 식부 클로 (30b) 선단측의 이면에 근접시키도록 해도 된다. 압출편 커버 (251) 는, 대략 U 자상이고, 압출편 (234a) 및 푸시로드 (235) 의 외주면 형상에 따른 내벽을 갖는 공동부 (252) 와, 압출편 (234a) 의 내벽 바닥부의 선단측 부위에 맞닿는 전방 걸림용 돌기부 (253) 와, 압출편 (234a) 의 두 갈래상의 후측면 (푸시로드 (235) 의 기단측의 측면) 의 하부에 맞닿는 1 쌍의 후방부 걸림용 돌기부 (254) 를 구비하고 있다. 압출편 커버 (251) 는 가요성을 갖는 재료 금속 또는 수지로 형성된다.
압출편 (234a) 및 압출편 커버 (251) 의 선단부를, 후방부 걸림용 돌기부 (254) 측으로부터 전방 걸림용 돌기부 (253) 측을 향하여, 후방부 걸림용 돌기부 (254, 254) 의 간격을 넓히면서 공동부 (252) 내에 삽입한다. 전방 걸림용 돌기부 (253) 가 압출편 (234a) 의 내벽 바닥부의 선단측 부위에 맞닿음과 함께, 후방부 걸림용 돌기부 (254, 254) 가 푸시로드 (235) 를 파지하면서 압출편 (234a) 의 후측면에 맞닿아, 압출편 커버 (251) 가 압출편 (234a) 및 푸시로드 (235) 선단부에 장착된다. 이로써, 압출편 (234a) 및 푸시로드 (235) 를 교환하지 않아도, 고밀도 육묘용 식부 클로 (30a) 를 표준형 육묘용 식부 클로 (30b) 로 교환함과 함께 압출편 커버 (251) 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에 간단하게 대응할 수 있다. 즉, 번잡한 푸시로드 (235) 의 교환 작업을 실시하지 않고,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를 사용한 모종 심기 작업과,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를 사용한 모종 심기 작업의 양방을, 1 대의 이앙기로 실현할 수 있어, 이앙기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모종 식부에 관한 이앙기 (1) 의 제어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3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 (2) 에는, 주로 모종 식부 장치 (23) 에 관련하는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식부 작업 컨트롤러 (500) (제어 장치) 가 탑재되어 있다. 식부 작업 컨트롤러 (500) 는, 각종 연산 처리나 제어를 실행하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나,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 ROM (Read Only Memory) 과,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 (Random Access Memory) 을 포함하는 기억 장치 (501), 입력 인터페이스 등을 갖고 있다.
식부 작업 컨트롤러 (500) 의 입력측에는, 각종 모종 식부 조건을 선택 및 설정하기 위한 항목 설정기 (502), 기준 플로트각을 설정하기 위한 유압 감도 설정기 (503), 플로트각을 검출하는 승강 센서 (325), 로어 링크 (20) 또는 탑 링크 (21) (도 1 참조) 의 회동부에 장착된 포텐셔미터 등의 센서로 구성되어 모종 식부 장치 (23) 의 위치를 검출하는 승강 위치 센서 (504), 미션 케이스 (6) 로부터의 주행 출력을 검출하는 차속 센서 (505), 플로트 (32) 의 위치를 검출하는 플로트 위치 센서 (178), 모종 취출판 (131) 의 위치를 검출하는 모종 취출판 센서 (190), 표면 검지체 (341) 의 위치를 검출하는 표면 검지 센서 (344), 산포량 조절 기구 (430) 의 산포량 조절 부재 (433) 의 위치를 검출하는 산포량 센서 (438) 와, 상자 시용제 산포기 (400) 의 모종 식부 장치 (23) 에 대한 장착을 검출하는 상자 시용제 산포기 장착 센서 (506) 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식부 작업 컨트롤러 (500) 의 출력측에는, 승강 실린더 (39) 의 신축동을 제어하는 승강 전환 밸브 (99) 및 전자 개폐 밸브 (101) 와, 플로트 (32) 의 위치를 조절하는 식부 깊이 조절 모터 (174) 의 모터 구동 회로부 (511) 와, 모종 취출판 (131) 의 위치를 조절하는 모종 취출 조절 모터 (184) 의 모터 구동 회로부 (512) 와, 상자 시용제 산포량을 조절하는 산포량 조절 모터 (437) 의 모터 구동 회로부 (513) 와, 운전 조작부 (13) 에 있어서의 표시 패널 (521) 에 각종 설정 항목 등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 (522) (표시부) 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33 은 개략적인 기능 블록도이고,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식부 작업 컨트롤러 (500) 에는 그 밖에도 각종 센서나 구동 장치 등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 조작부 (13) 에 있어서, 유압 감도 설정기 (503) 는, 운전 조작부 (13) 중 후방부 우측 근처 부위에 배치되고, 항목 설정기 (502) 는, 조종 핸들 (14) 의 핸들축의 좌측 전방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유압 감도 설정기 (503) 는 로터리 인코더 등의 스위치로 구성된다. 항목 설정기 (502) 는 푸시 스위치가 형성된 로터리 인코더 등의 스위치로 구성된다. 항목 설정기 (502) 를 좌우 방향의 어느 쪽으로 노브 회전 조작하면, 도 3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 (521) 의 액정 패널 (522) 에 각종 설정 항목이 항목 설정기 (502) 를 회전시킬 때마다 순차 표시된다. 또한, 도 34 에서는, 이앙기 (1) 의 각종 설정 항목 중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목적하는 항목 선택 화면 (523) 이 액정 패널 (522) 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항목 설정기 (502) 를 누름 조작하면, 그 설정 항목의 설정 화면 (524) 으로 이행하고, 항목 설정기 (502) 의 노브 회전 조작에 의해, 그 선택 항목의 조절이나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설정 화면 (524) 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항목 설정기 (502) 를 누름 조작하면, 그 선택 항목의 조건이 결정되고, 항목 선택 화면 (523) 이 표시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항목 설정기 (502) 에 의해, 모종 식부 모드 (모종 모드) 의 선택이나, 모종의 식부 깊이 (식부 깊이) 의 조절, 모종 세로 취출량 (모종 취출량) 의 조절, 상자 시용제 산포량 (상자 시용) 의 조절 등이 실시된다. 여기서, 상자 시용제 산포량 (상자 시용) 의 설정 항목은, 상자 시용제 산포기 (400) (도 21 참조) 의 모종 식부 장치 (23) 에 대한 장착을 검출하는 상자 시용제 산포기 장착 센서 (506) (도 33 참조) 가 상자 시용제 산포기 (400) 의 장착을 검출할 때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들 항목의 선택 및 설정은, 항목 설정기 (502) 에 의해 실시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밀묘 모드와 표준 모드의 선택은, 전환 스위치로 전환해도 되고, 모드 선택용 푸시 버튼식 스위치를 누를 때마다 전환해도 된다. 또, 모종의 식부 깊이 조절이나 모종 세로 취출량 조절, 상자 시용제 산포량의 조절은, 각각 로터리 인코더식의 설정기로 설정되어도 된다.
도 35 를 참조하여, 모종 식부 조건의 설정 및 모종 식부 제어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앙기 (1) 는,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에 대응하는 표준 모드와,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보다 모종이 고밀도로 생육된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에 대응하는 밀묘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식부 작업 컨트롤러 (500) 는, 표준 모드용 제어 프로그램과, 밀묘 모드용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 장치 (501) 에 기억하고 있다.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 사용시에는 고밀도 육묘용 취출구 커버 (226a), 식부 클로 (30a) 및 압출편 (234a) 이 장착되고,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 사용시에는 표준형 육묘용 취출구 커버 (226b), 식부 클로 (30b) 및 압출편 (234b) 이 장착된다 (도 30 및 도 31 참조).
항목 설정기 (502) 의 조작에 의해 모종 모드의 항목 선택 화면 (523) (도 34 참조) 에서 밀묘 모드가 선택되면 (스텝 S1 : Yes), 밀묘 모드용 제어 프로그램이 판독 입력된다 (스텝 S2). 밀묘 모드에서는, 모종 취출량 (모종 세로 취출량) 의 항목 선택 화면 (523) 및 설정 화면 (524) 에 있어서, 모종 세로 취출량의 조절 가능 범위가 하한측의 소정 범위로 제한된다 (스텝 S3). 요컨대,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는,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 비하여, 모종 취출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81) (도 17 참조) 에 의한 모종 취출 조절 부재 (137) 의 변위 가능한 범위를 전기 제어적으로 제한하여, 모종 세로 취출량의 조절 가능 범위가 하한측의 소정 범위로 제한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표준 모드에서는 모종 세로 취출량의 조절 가능 범위가 8 ∼ 17 ㎜ (1 눈금 1 ㎜ 로 10 눈금) 인 것에 반하여, 도 3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묘 모드에서는 모종 세로 취출량의 조절 가능 범위 (525) 가 8 ∼ 13 ㎜ (하한측의 6 눈금) 로 제한된다.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를 사용하는 모내기 작업시에, 오퍼레이터가 밀묘 모드를 선택하고 있으면, 모종 세로 취출량의 설정을 잊어도, 모종 세로 취출량을 13 ㎜ 이하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1 주당의 모종 개수가 극단적으로 많아져 쓸데없는 모종 소비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적절한 모내기 작업을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모종 세로 취출량 설정에 관한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모종 세로 이송 벨트 (155) (도 9 및 도 12 참조) 의 간헐 구동에 의한 모종 세로 이송량은, 연동 와이어 (156) 를 통하여 모종 취출 연동캠 (138) (도 8 참조) 과 종동캠 (153) 이 연결됨으로써, 모종 세로 취출량의 변화에 대응하여 모종 세로 이송량도 변화한다. 따라서,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 사용시에 있어서,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 사용시보다 모종 세로 취출량이 적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종 세로 이송량도 적게 되어, 모종 세로 취출량에 따른 적정한 모종 세로 이송이 실시된다. 이로써,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 사용시에는,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 사용시에 비하여, 모종 매트의 소비 속도를 작게 할 수 있어, 단위면적당의 모내기 작업에 필요한 모종 매트 장수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모종 적재대 (29) 에 모종 매트를 보충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모종 식부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 감소나, 오퍼레이터나 작업 보조자의 노력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밀묘 모드로 모종 식부 작업 중의 모종의 식부 깊이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밀묘 모드 선택시에는, 표준 모드 선택시에 비하여, 모종의 식부 깊이가 깊어지도록 유압 실린더 (39) (유압 승강 제어 기구) 의 승강 제어를 보정한다. 작업 레버 (16) 의 조작에 의해 모종 식부 장치 (23) 가 하강되어 모종 식부 작업이 개시될 때 (스텝 S4 : Yes), 승강 전환 밸브 (99) 및 전자 개폐 밸브 (101) 의 조작에 의해 승강 실린더 (39) 가 하강측으로 구동된다. 승강 센서 (325) 의 승강 센서치 V 와 유압 감도 (센터 플로트 (32a) 의 목표 경사 각도) 인 목표치 V1 이 일치 (센터 플로트 (32a) 의 경사 각도가 일정) 할 때까지 승강 실린더 (39) 에 의해 모종 식부 장치 (23) 가 하강 제어되고, 이후 목표의 식부 깊이를 일정 유지 (V = V1) 시키도록 모종 식부 장치 (23) 의 승강 제어가 실시된다.
모종 식부 작업 중에 있어서는, 유압 감도 설정기 (503) 의 유압 감도 설정치와 승강 센서 (325) 의 승강 센서치 V 와 차속 센서의 차속 센서치를 판독 입력하고 (스텝 S5 : Yes), 유압 감도 설정기 (503) 의 유압 감도 설정치에 대해 유압 실린더 (39) 의 유압 감도 (감도) 를 둔감측 (플로트 (32a) 의 전방부가 상승하는 측) 으로 보정하고 (스텝 S6), 승강 센서치와 보정 후 감도치와 차속 센서치에 기초하여, 유압 감도인 목표치 V1 을 산출한다 (스텝 S7). 여기서, 주행 기체 (2) 의 주행 속도가 빨라질수록, 플로트 (32) 가 전방 상승 경향이 되어 플로트 (32) 의 침하량이 증대하는 한편, 주행 기체 (2) 의 주행 속도가 느려질수록, 플로트 (32) 가 전방 하강 경향이 되어 플로트 (32) 의 침하량이 감소하므로, 상기 스텝 S6 에서는 차속 센서치에 따라, 모종 식부 깊이가 일정해지도록 목표치 V1 을 산출한다.
승강 센서치 V 와 목표치 V1 이 일치하도록 모종 식부 장치 (23) 를 승강 제어한다 (스텝 S8). 승강 센서치 V 와 목표치 V1 이 일치할 때에는, 유압 실린더 (39) 를 작동시키지 않고 모종 식부 장치 (23) 의 승강을 정지한다. 승강 센서치 V 가 목표치 V1 보다 작을 때에는, 전자 개폐 밸브 (101) 를 개방 위치 (101a) 에 접속함과 함께 승강 전환 밸브 (99) 를 배출 위치 (99b) 에 접속하여 승강 실린더 (39) 를 축 (縮) 작동시켜 승강 센서치 V 와 목표치 V1 이 일치하도록 모종 식부 장치 (23) 를 하강시킨다. 승강 센서치 V 가 목표치 V1 보다 클 때에는, 전자 개폐 밸브 (101) 를 개방 위치 (101a) 에 접속함과 함께 승강 전환 밸브 (99) 를 공급 위치 (99a) 에 접속하여 승강 센서치 V 와 목표치 V1 이 일치하도록 모종 식부 장치 (23) 를 상승시킨다.
한편, 모종 모드의 항목 선택 화면 (523) (도 34 참조) 에서 표준 모드가 선택되면 (스텝 S1 : No), 표준 모드용 제어 프로그램이 판독 입력된다 (스텝 S11). 표준 모드에서는, 모종 취출량 (모종 세로 취출량) 의 항목 선택 화면 (523) 및 설정 화면 (524) 에 있어서, 모종 세로 취출량의 조절 가능 범위가 전기 제어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8 ∼ 17 ㎜ (1 눈금 1 ㎜ 로 10 눈금) 의 범위에서 선택 가능하다.
계속해서, 표준 모드로 모종의 식부 작업이 개시되고, 모종의 식부 작업 중일 때 (스텝 S12 : Yes), 유압 감도 설정기 (503) 의 유압 감도 설정치와 승강 센서 (325) 의 승강 센서치 V 와 차속 센서 (505) 의 차속 센서치를 판독 입력하고 (스텝 S13 : Yes), 유압 감도인 목표치 V1 을 산출한다 (스텝 S14). 여기서, 표준 모드에서는, 밀묘 모드시의 스텝 S6 과 같이는, 유압 감도 설정치를 보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승강 센서치 V 와 목표치 V1 이 일치하도록 모종 식부 장치 (23) 를 제어한다 (스텝 S15).
이 실시형태에서는, 밀묘 모드 선택시에는, 상기 스텝 S3 과 같이, 유압 감도 설정기 (503) 의 유압 감도 설정치에 대해 유압 실린더 (39) 의 유압 감도를 둔감측으로 보정하여, 표준 모드 선택시에 비하여, 모종의 식부 깊이가 깊어지도록 유압 실린더 (39) (유압 승강 제어 기구) 의 승강 제어를 보정한다.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를 사용하는 모내기 작업에서는,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 사용시에 비하여 식부 클로 (30) 가 모종 매트를 스크레이핑하는 면적이 작기 때문에, 포장에 식부한 모종이 떠오르기 쉽다. 그래서,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에 대응하는 밀묘 모드 선택시에는,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에 대응하는 표준 모드 선택시에 비하여, 모종의 식부 깊이를 깊게 하도록 유압 실린더 (39) 의 승강 제어를 자동으로 보정함으로써, 뜬묘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모종의 식부 깊이 설정에 관한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스텝 S7 및 S14 에서, 표면 검지 센서 (334) 의 센서치를 사용하여 센터 플로트 (32a) 의 침하량이 일정치가 되도록 유압 감도의 목표치 V1 을 보정하여, 모종의 식부 깊이가 일정해지도록 해도 된다. 포장 표면의 실제 높이를 검출하는 표면 검지 센서 (334) 의 센서치로부터 센터 플로트 (32a) 의 침하량을 산출하고, 침하량이 일정해지도록 유압 감도의 목표치 V1 을 둔감측 (플로트 (32a) 의 전방부가 상승하는 측) 또는 민감측 (플로트 (32a) 의 전방부가 하강하는 측) 으로 보정한다. 여기서, 밀묘 모드 선택시에는, 상기 스텝 S6 에서 유압 감도 설정치가 둔감측으로 보정된 보정 후 감도치를 사용하여 유압 감도의 목표치 V1 의 산출 및 보정이 된다.
도 36 을 참조하여, 모종 식부 조건의 설정 및 모종 식부 제어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35 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형태의 상기 스텝 S6 (밀묘 모드 선택시) 대신에, 모종의 식부 깊이가 깊어지도록 플로트 (32) 의 위치를 보정하는 스텝 S3-1 을 포함한다. 스텝 S3-1 에서는, 항목 설정기 (502) 의 조작에 의해 설정되는 식부 깊이 설정치 (도 34 참조) 에 대해, 모종의 식부 깊이가 깊어지도록 식부 깊이 설정치를 보정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식부 깊이 조절 모터 (174) (도 15 참조) 의 구동에 의해 보정분만큼 식부 깊이 조절 부재 (122) 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플로트 (32) 의 위치를 식부 깊이 조절축 (121) 측으로 보정한다. 이로써, 모종 식부 작업시의 식부 클로 (30) 의 클로 전진량 (식부 클로 (30) 의 선단부와 플로트 (32) 바닥면의 거리) 이 커져, 모종의 식부 깊이가 깊어진다. 이와 같이,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를 사용하는 밀묘 모드에 있어서, 모종의 식부 깊이를 깊게 하도록 플로트 (32) 의 위치를 자동으로 보정함으로써, 식부 클로 (30) 가 모종 매트를 스크레이핑하는 면적이 작아도 뜬묘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모종의 식부 깊이 설정에 관한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37 을 참조하여, 상자 시용제 산포 제어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밀묘 모드 선택시에 있어서, 상자 시용제 산포량을 보정하는 스텝 S3-2 를 포함한다. 상자 시용제 산포기 (400) (도 20 내지 도 23 참조) 의 상자 시용제 산포량은, 항목 설정기 (502) 의 조작에 의해 설정되는 상자 시용제 산포량 (상자 시용) 의 설정치 (도 34 참조), 또는 산포량 조절 다이얼 (431) (도 23 참조) 의 회전 조작에 의해 설정된다. 밀묘 모드 선택시에는, 약제 산포량 설정치에 대해, 약제 산포량이 많아지도록 약제 산포량 설정치를 보정한다 (스텝 S3-2). 이 실시형태에서는, 산포량 조절 모터 (437) (도 23 참조) 를 구동의 구동에 의해 보정분만큼 산포량 조절 부재 (433) 를 규제 핀 (425) 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 (후경사 상방향) 으로 이동시켜, 산포량 조절 부재 (433) 및 스토퍼 부재 (434) 의 위치를 보정한다.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에서는, 모종이 조밀하게 생육되어 있으므로,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 사용시와 상자 시용제 산포량이 동일하면, 충분한 모종의 살충이나 살균을 할 수 없다. 그래서,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 사용시 (밀묘 모드 선택시) 에는, 상자 시용제 산포량이 자동으로 많게 설정됨으로써,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에 있어서의 충분한 모종의 살충이나 살균을 할 수 있어, 포장에 식부된 모종의 건전한 생육을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상자 시용제 산포량의 설정에 관한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의 이앙기 (1) 는, 모종 적재대 (29) 에 재치된 모종 매트로부터 식부 클로 (30) 로 모종을 스크레이핑하여 포장에 식부하는 모종 식부 장치 (23) 를 구비하고,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에 대응하여 스크레이핑하는 양이 많은 표준 모드와,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보다 모종이 고밀도로 생육된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에 대응하여 스크레이핑량이 적은 밀묘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 사용시의 이앙기의 설정을 간편하게 하여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이앙기 (1) 는, 모종의 식부 깊이를 조절하는 플로트 (32a) 의 경사 각도를 검출하는 승강 센서 (325) 의 검출치에 기초하여 모종 식부 장치 (23) 를 승강 제어하는 유압 실린더 (39) (승강 제어 기구) 를 구비한 구성으로서, 밀묘 모드의 선택시에는, 표준 모드의 선택시에 비하여, 모종의 식부 깊이가 깊어지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를 사용하는 모내기 작업에서는 식부 클로 (30) 가 모종 매트를 스크레이핑하는 면적이 작기 때문에 포장에 식부한 모종이 뜨기 쉽지만, 모종의 식부 깊이를 깊게 하도록 유압 실린더 (39) 의 승강 제어를 자동으로 보정함으로써, 뜬묘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모종의 식부 깊이 설정에 관한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이앙기 (1) 는, 모종 적재대 (29) 의 하방에 배치된 모종 취출판 (131) 의 위치 조절에 의해 식부 클로 (30) 의 모종 세로 취출량을 조절 가능한 구성으로서, 밀묘 모드의 선택시에는, 모종 세로 취출량의 조절 가능 범위가 하한측의 소정 범위로 제한되므로,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를 사용하는 모내기 작업시에, 오퍼레이터가 밀묘 모드를 선택하고 있으면, 모종 세로 취출량의 설정을 잊어도, 모종 세로 취출량을 하한측의 소정 범위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1 주당의 모종 개수가 극단적으로 많아져 쓸데없는 모종 소비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적절한 모내기 작업을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모종 세로 취출량 설정에 관한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이앙기 (1) 는, 모종 적재대 (29) 에 재치된 모종 매트에 약제를 산포하는 상자 시용제 산포기 (400) (약제 산포기) 를 구비한 구성으로서, 밀묘 모드의 선택시에는, 표준 모드의 선택시에 비하여, 상자 시용제 산포기 (400) 의 약제 산포량을 많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를 사용하는 모내기 작업시에, 오퍼레이터가 밀묘 모드를 선택하고 있으면, 상자 시용제 산포량이 자동으로 많게 설정됨으로써,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에 있어서의 충분한 모종의 살충이나 살균을 할 수 있어, 포장에 식부된 모종의 건전한 생육을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상자 시용제 산포량의 설정에 관한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이앙기 (1) 는, 모종 적재대 (29) 에 재치된 모종 매트로부터 식부 클로 (30) 로 모종을 스크레이핑하여 포장에 식부하는 모종 식부 장치 (23) 와, 모종의 식부 깊이를 조절하는 플로트 (32a) 의 경사 각도를 검출하는 승강 센서 (325) 의 검출치에 기초하여 모종 식부 장치 (23) 를 승강 제어하는 유압 실린더 (39) (승강 제어 기구) 를 구비하는 이앙기에 있어서,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는,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보다 모종이 저밀도로 생육된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 비하여, 모종의 식부 깊이가 깊어지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를 사용하는 모내기 작업에 있어서 식부 클로 (30) 가 모종 매트를 스크레이핑하는 면적이 작은 경우여도, 뜬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이앙기 (1) 는,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는, 유압 실린더 (39) (승강 제어 기구) 의 유압 감도 (감도) 를 둔감측으로 보정하여 모종의 식부 깊이가 깊어지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식부 깊이를 깊게 하는 부재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 유압 실린더 (39) 의 유압 감도를 보정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모종의 식부 깊이를 깊게 하여 뜬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이앙기 (1) 는, 식부 깊이 조절 액추에이터 기구 (171) 에 의해 위치 조절되는 식부 깊이 조절 부재 (122) 의 변위에 수반하여 플로트 (32) 가 위치 조절되는 구성으로서,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는, 플로트 (32) 의 위치를 상승측으로 보정하여 모종의 식부 깊이가 깊어지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식부 깊이를 깊게 하는 부재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 플로트 (32) 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모종의 식부 깊이를 깊게 하여 뜬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이앙기 (1) 는, 모종 적재대 (29) 에 재치된 모종 매트로부터 식부 클로 (30) 로 모종을 스크레이핑하여 포장에 식부하는 모종 식부 장치 (23) 와, 약제를 산포하는 상자 시용제 산포기 (400) (약제 산포기) 를 구비하는 이앙기에 있어서,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와,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보다 모종이 저밀도로 생육된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서, 상자 시용제 산포기 (400) 의 약제 산포량을 변경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와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서, 약제 산포량을 상이하게 하여,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와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에 각각 따른 적절한 산포량의 약제를 산포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이앙기 (1) 는,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는,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 비하여, 상자 시용제 산포기 (400) (약제 산포기) 의 약제 산포량을 많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를 사용하는 모내기 작업시에,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에 있어서의 충분한 모종의 살충이나 살균을 할 수 있어, 포장에 식부된 모종의 건전한 생육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8 및 도 39 를 참조하면서, 이앙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의 이앙기는, 모종 식부 장치 (23) 에 형성한 작구기 (441) 가 포장에 작구하는 홈에 약제를 시용하는 약제 산포기 (440) 를 구비한다. 약제 산포기 (440) 는, 모종 적재대 (29) 의 후방에 형성된다.
약제 산포기 (440) 는, 상자 시용제 산포기 (400) (도 20 내지 도 24 참조)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약제 산포기 (440) 에 있어서, 조출 기구 (404) 의 조출 케이스 (407) 의 하부에, 8 개의 산포 노즐 (405) 대신에, 8 개의 호스 (445) 의 상단측이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8 개의 작구기 (441) 가 형성된다. 각 작구기 (441) 는, 식부 클로 (30) 에 의해 모종이 식부되는 위치의 경사 전방에 배치되도록, 플로트 (32a, 32b) 의 이면에 고정된다. 작구기 (441) 의 후방부에 단면 C 자상의 매립 슈트 (442) 가 고정되어 있다. 매립 슈트 (442) 의 상단측에, 부츠 (443) 를 통하여 호스 (445) 의 하단측이 연결된다. 또, 매립 슈트 (442) 의 후방에는, 플로트 (32a, 32b) 에 고정된 복토판 (444) 이 형성된다.
약제 산포기 (440) 의 조출 케이스 (407) 의 하부로부터 조출되는 약제는, 호스 (445) 및 부츠 (443) 를 통하여 매립 슈트 (442) 에 이송되고, 작구기 (441) 가 형성하는 포장의 홈 내에 매립 슈트 (442) 의 안내에 의해 산포된다. 약제가 산포된 포장의 홈은, 복토판 (444) 에 의해 되메워진다. 이로써, 식부 클로 (30) 에 의해 심어지는 모종열의 측방에 약제가 매립된다.
약제 산포기 (440) 는, 상자 시용제 산포기 (400) (도 20 내지 도 24 참조) 와 마찬가지로, 산포량 조절 기구 (430) 에서의 산포량 조절 부재 (433) 및 스토퍼 부재 (434) 의 위치 조절에 의해 전달 구동축 (421) 의 회전 속도가 조절됨으로써, 매립 슈트 (442) 로부터 산포되는 약제량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액정 패널 (522) (도 5 참조) 에 표시되는 항목 선택 화면 (523) 중 하나로서「약 시용」의 문자로 식별되는 약제 산포기 (440) 의 약제 산포량의 설정 화면 (도 40(A) 의 (a4) 및 도 40(B) 의 (b4) 참조) 이 표시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34 에 나타나는,「상자 시용」의 문자로 식별되는 상자 시용제 산포량의 항목 선택 화면 (523) 및 설정 화면 (524) 은 표시되지 않는다. 약제 산포기 (440) 의 약제 산포량은, 항목 설정기 (502) (도 5 참조) 의 조작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산포량 조절 다이얼 (431) (도 39 참조) 의 수동 회전 조작에 의해 약제 산포기 (440) 의 약제 산포량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40(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 (522) 에 모종 모드의 항목 선택 화면 (523) (a1) 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항목 설정기 (502) 가 누름 조작되면, 모종 모드의 설정 화면 (524) 으로 이행하여,「모종 모드」의 문자가 반전 표시된다 (a2). 계속해서, 항목 설정기 (502) 의 노브 회전 조작에 의해「밀묘」의 문자가 반전 표시된 후, 항목 설정기 (502) 가 누름 조작되면, 밀묘 모드가 선택된 상태가 되어, 액정 패널 (522) 에「밀묘」의 문자가 반전 표시된 모종 모드의 항목 선택 화면 (523) (a3) 이 표시된다. 밀묘 모드가 선택되면, 식부 작업 컨트롤러 (500) (도 33 참조) 는, 밀묘 모드용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 입력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40(A) 의 (a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묘 모드 선택시의 약제 산포기 (440) 의 초기 산포량 설정치는, 표준 모드 선택시의 초기 산포량 설정치 (도 40(B) 의 (b4) 참조) 에 비하여, 적게 되도록 보정된다.
또, 밀묘 모드가 선택된 후, 소정 시간 동안,「밀묘」의 문자가 반전 표시된 모종 모드의 항목 선택 화면 (523) (a3) 과, 약제 산포량의 항목 선택 화면 (523) (a4) 이, 소정 주기 (예를 들어 2 초 주기) 로 액정 패널 (522) 에 교대로 표시된다. 이로써, 약제 산포량 설정치의 변경에 대해, 오퍼레이터에게 주의가 촉구된다. 또한, 이 교대 표시 동작은, 오퍼레이터에 의해 항목 설정기 (502) 가 누름 조작 또는 노브 회전 조작되면, 상기 소정 시간의 경과 전이어도 해제된다.
한편, 표준 모드가 선택될 때에는, 도 40(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에 의한 항목 설정기 (502) 의 조작에 의해, 액정 패널 (522) 에, 모종 모드의 항목 선택 화면 (523) (b1),「모종 모드」의 문자가 반전 표시된 모종 모드의 설정 화면 (524) (b2),「표준」의 문자가 반전 표시된 모종 모드의 항목 선택 화면 (523) (b3) 이 순서대로 표시된다. 표준 모드가 선택되면, 식부 작업 컨트롤러 (500) 는, 표준 모드용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 입력하고, 표준 모드 선택시의 초기 산포량 설정치 ((b4) 참조) 를 설정한다. 또, 밀묘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표준 모드가 선택된 후,「표준」의 문자가 반전 표시된 모종 모드의 항목 선택 화면 (523) (b3) 과, 약제 산포량의 항목 선택 화면 (523) (b4) 이, 소정 주기로 액정 패널 (522) 에 교대로 표시되어, 약제 산포량 설정치의 변경이 오퍼레이터에게 주의 환기된다. 또한, 상기의 교대 표시 동작에 의한 오퍼레이터에 대한 주의 환기는, 도 37 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자 시용제 산포 제어의 실시형태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37 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자 시용제 산포 제어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여, 밀묘 모드 또는 표준 모드가 선택되면 약제의 산포량 설정치가 자동으로 설정되고, 밀묘 모드 선택시에는 산포량 설정치가 보정된다. 또한, 모종 모드의 선택 조작이 되어 초기 산포량 설정치가 설정된 후,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 산포량 설정치가 변경되었을 때에는, 약제 산포기 (440) 는, 변경 후의 산포량 설정치에 기초하여, 약제를 호스 (445) 로 조출한다. 도 37 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자 시용제 산포 제어의 실시형태에서도, 모종 모드의 선택 조작이 된 후에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 산포량 설정치가 변경되었을 때에는, 동일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약제 산포기 (440) 는, 모종 식부 장치 (23) 에 형성된 작구기 (441) 에 의해 포장에 작구되는 홈에 약제를 산포한다. 또,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와,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서, 약제 산포기 (440) 의 약제 산포량의 초기 산포량 설정치가 상이하다. 이것들에 의해, 약제 산포기 (440) 는,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와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에 각각 따른 적절한 양의 약제를 포장에 산포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의 이앙기는, 약제를 모종 매트가 아니라 포장에 산포하므로, 모종 매트 1 장 당의 약제 산포량에 상한이 형성되어 있어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에 대해 적절한 양의 약제를 산포할 수 없는 경우여도,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 적절한 양의 약제를 포장에 산포할 수 있다.
또,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는, 폭 좁은 고밀도 육묘용 식부 클로 (30a) (도 31 참조) 가 사용되는 점에서 1 주당의 모종 개수가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 비하여 적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밀묘 모드 선택시에는, 단위면적당의 포장에 대한 약제 산포량은, 표준 모드 선택시에 비하여, 적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로써,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와,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의 양방에서, 적절한 양의 약제를 포장에 산포하여, 포장에 식부된 모종의 건전한 생육을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약제 산포량의 설정에 관한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 1 주당의 모종 개수가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 비하여 많아지는 경향이 있는 경우 등, 필요에 따라,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는,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 비하여, 약제 산포기의 약제 산포량을 많게 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밀묘 모드 선택시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의 포장에 대한 약제 산포량이 표준 모드 선택시에 비하여 많아지도록, 밀묘 모드용 프로그램 및 표준 모드용 프로그램이 설계되어도 된다.
본원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여러가지 양태로 구체화할 수 있다. 각부의 구성은 도시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원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 : 이앙기
23 : 모종 식부 장치
29 : 모종 적재대
30 : 식부 클로
400 : 상자 시용제 산포기 (약제 산포기)

Claims (3)

  1. 모종 적재대에 재치된 모종 매트로부터 식부 클로로 모종을 스크레이핑하여 포장에 식부하는 모종 식부 장치와, 약제를 산포하는 약제 산포기를 구비하는 이앙기에 있어서,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와, 상기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보다 모종이 저밀도로 생육된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서, 상기 약제 산포기의 약제 산포량을 변경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이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산포기는, 상기 모종 적재대에 재치된 모종 매트에 약제를 산포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고밀도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는, 상기 표준형 육묘의 모종 매트의 식부시에 비하여, 상기 약제 산포기의 약제 산포량을 많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이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산포기는, 상기 모종 식부 장치에 형성된 작구기에 의해 상기 포장에 작구되는 홈에 약제를 산포하는 것인, 이앙기.
KR1020197000440A 2017-01-17 2017-10-31 이앙기 KR102282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05799 2017-01-17
JP2017005799A JP6830365B2 (ja) 2017-01-17 2017-01-17 田植機
PCT/JP2017/039238 WO2018135071A1 (ja) 2017-01-17 2017-10-31 田植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542A true KR20190015542A (ko) 2019-02-13
KR102282269B1 KR102282269B1 (ko) 2021-07-26

Family

ID=62908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440A KR102282269B1 (ko) 2017-01-17 2017-10-31 이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30365B2 (ko)
KR (1) KR102282269B1 (ko)
CN (1) CN110167333B (ko)
WO (1) WO20181350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75059B (zh) * 2021-09-15 2023-04-14 昆明理工大学 一种链夹式三七移栽机
JP7403738B2 (ja) * 2022-02-01 2023-12-25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3427A (ja) * 1998-09-08 2000-03-28 Kubota Corp 粉粒体繰出し装置
JP2002027892A (ja) * 2000-07-11 2002-01-29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田植機の薬剤散布装置
JP2015043731A (ja) 2013-08-28 2015-03-12 ヤンマー株式会社 田植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7621A (ja) * 1995-08-02 1997-02-10 Seibutsukei Tokutei Sangyo Gijutsu Kenkyu Suishin Kiko 苗植付装置
JP2002027895A (ja) * 2000-07-11 2002-01-29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乗用田植機の薬剤散布装置
JP5777850B2 (ja) * 2009-09-18 2015-09-09 ヤンマー株式会社 田植機の散布装置
CN201563370U (zh) * 2009-10-23 2010-09-01 安徽省天马泵阀集团有限公司 4行7寸带开沟功能插秧机
JP6226732B2 (ja) * 2013-12-12 2017-11-08 株式会社クボタ 田植機
JP6249810B2 (ja) * 2014-02-10 2017-12-20 株式会社クボタ 田植機
CN204860734U (zh) * 2015-08-03 2015-12-16 杨八康 一种适用于水稻田的四轮乘坐式田间管理机
CN205142855U (zh) * 2015-09-02 2016-04-13 内蒙古医科大学 一种栽苗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3427A (ja) * 1998-09-08 2000-03-28 Kubota Corp 粉粒体繰出し装置
JP2002027892A (ja) * 2000-07-11 2002-01-29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田植機の薬剤散布装置
JP2015043731A (ja) 2013-08-28 2015-03-12 ヤンマー株式会社 田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167333A (zh) 2019-08-23
JP6830365B2 (ja) 2021-02-17
WO2018135071A1 (ja) 2018-07-26
KR102282269B1 (ko) 2021-07-26
JP2018113885A (ja) 2018-07-26
CN110167333B (zh)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5542A (ko) 이앙기
JP3968516B2 (ja) 農作業機
KR20190044658A (ko) 이앙기
KR20180103171A (ko) 이앙기
KR20190044659A (ko) 이앙기
KR20180103169A (ko) 이앙기
JP2015123021A (ja) 苗移植機
JP2007043958A (ja) 植付機
JP6524045B2 (ja) 水田作業機
JP2013046628A (ja) 直播機
JP2010000014A (ja) 苗移植機
JP4802840B2 (ja) 苗移植機
JP3544248B2 (ja) 野菜移植機
JP6827351B2 (ja) 田植機
JP5309721B2 (ja) 苗移植機
JP2020110113A (ja) 散布装置
JP2020096614A (ja) 水田作業機
JP2007282584A5 (ko)
US1049319A (en) Seeder, planter, and fertilizer-distributer.
JP2008067608A (ja) 作業装置の駆動操作機構およびその駆動操作機構を用いた乗用型作業機
JP2009100716A (ja) 苗植付け装置
JPH05260812A (ja) 施肥田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