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289B1 - 승용 수전 작업기 - Google Patents

승용 수전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289B1
KR102382289B1 KR1020140116006A KR20140116006A KR102382289B1 KR 102382289 B1 KR102382289 B1 KR 102382289B1 KR 1020140116006 A KR1020140116006 A KR 1020140116006A KR 20140116006 A KR20140116006 A KR 20140116006A KR 102382289 B1 KR102382289 B1 KR 102382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chemical
main
seed
re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7958A (ko
Inventor
아이 시바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50057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6Seeders combined with fertilis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Sowing (AREA)
  • Fertiliz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구성의 간소화나 조립성의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승용형의 주행 차체(1)와, 파종용 또는 모심기용의 주 작업 장치(15)와, 비료를 포장에 공급하는 시비 장치(16)와, 약제를 포장에 공급하는 시약 장치(17)를 구비하고, 주 작업 장치(15)와 시비 장치(16)와 시약 장치(17)를 작업 유닛(A)으로서 유닛화한 상태에서, 주행 차체(1)의 후방부에 상하 요동식의 링크 기구(3)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고, 작업 유닛(A)은, 그 전방부측에 시비 장치(16)에 구비한 비료 저류부(28)를 배치하고, 그 후방부측에 주 작업 장치(15)에 구비한 종자용 또는 모종용의 주 저류부(24)를 배치하고, 주 저류부(24)와 비료 저류부(28) 사이에 시약 장치(17)에 구비한 약제 저류부(33)를 배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승용 수전 작업기 {RIDING-TYPE PADDY FIELD WORK MACHINE}
본 발명은, 승용형의 주행 차체와, 파종용 또는 모심기용의 주 작업 장치와, 비료를 포장(圃場)에 공급하는 시비(施肥) 장치와, 약제를 포장에 공급하는 시약(施藥) 장치를 구비한 승용 수전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승용 수전 작업기로서는, 예를 들어 시비 장치의 비료 호퍼(비료 저류부) 및 조출 유닛(비료 조출부) 등을 주행 기체(주행 차체)의 후방부에 장비하고, 파종 장치(주 작업 장치), 시비 장치의 복수의 작구기(作溝器, furrower) 및 약제 살포 장치(시약 장치) 등을, 주행 기체의 후방부에 상하 요동식 링크 기구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고, 기체 후방부의 조출 유닛으로부터 기체 후방의 각 작구기에 걸쳐 복수의 시비 호스를 가설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01919호 공보
상기한 구성에서는, 시비 장치를, 주행 기체의 후방부와 주행 기체에 대해 승강 가능한 기체 후방의 장치측에 걸쳐 구성하므로, 예를 들어 기체 후방부의 조출 유닛에 대한 기체 후방측의 각 작구기의 승강 변위를 허용하기 위한 고안 등을 집중시킬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시비 호스를 변형 가능하게 구성할 뿐만 아니라, 각 시비 호스의 변형에 의한 주변부와의 부적절한 접촉을 피하기 위한 구조의 추가나 공간의 확보 등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체 후방부의 조출 유닛으로부터 기체 후방측의 각 작구기에의 비료 공급을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하기 위해, 기체 후방부에, 각 시비 호스에 반송풍을 공급하는 블로워 등을 장비하여, 조출 유닛이 조출한 비료를 블로워로부터 각 시비 호스에 공급하는 반송풍에 태워 각 작구기를 향해 유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그로 인해, 구성의 복잡화나 조립성의 저하 등을 초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시비 장치를 장비하지 않는 승용 수전 작업기와의 주행 기체의 겸용화도 도모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의 간소화나 조립성의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승용형의 주행 차체와, 파종용 또는 모심기용의 주 작업 장치와, 비료를 포장에 공급하는 시비 장치와, 약제를 포장에 공급하는 시약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주 작업 장치와 상기 시비 장치와 상기 시약 장치를, 작업 유닛으로서 유닛화한 상태에서, 상기 주행 차체의 후방부에 상하 요동식의 링크 기구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작업 유닛은, 그 전방부측에 상기 시비 장치에 구비한 비료 저류부를 배치하고, 그 후방부측에 상기 주 작업 장치에 구비한 종자용 또는 모종용의 주 저류부를 배치하고, 상기 주 저류부와 상기 비료 저류부 사이에 상기 시약 장치에 구비한 약제 저류부를 배치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예를 들어 주 작업 장치와 시비 장치와 시약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주행 차체와 주행 차체에 대해 승강 가능한 차체 후방의 작업 유닛측에 걸쳐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들의 구성의 간소화나 주행 차체에 대한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주 작업 장치와 시비 장치와 시약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장비하지 않는 승용 수전 작업기와의 주행 차체의 겸용화도 도모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최근의 농작업에 있어서는 시약량의 삭감이 요망되고 있는 것을 고려하고, 또한 일반적으로는 단위 면적당 소비량이 종자 또는 모종보다도 비료의 쪽이 많은 것을 고려하여, 주행 차체측으로 되는 작업 유닛의 전방부측에 비료 저류부를 배치하고, 또한 승용 수전 작업기의 후단부측으로 되는 작업 유닛의 후방부측에 주 저류부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단위 면적당 소비량이 가장 많음으로써 빈도가 가장 높아지는 비료 저류부에 대한 비료의 보급을, 주행 차체로부터 내리는 일 없이 주행 차체로부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단위 면적당 소비량이 비료 다음으로 많음으로써 빈도가 비료 보급 다음으로 높아지는 주 저류부에 대한 종자 또는 모종의 보급을, 승용 수전 작업기의 후방으로부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승용 수전 작업기에 있어서의 구성의 간소화나 조립성의 향상 등을 도모하면서, 다른 승용 수전 작업기와의 주행 차체의 겸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보급 빈도가 높은 저류부에 대한 보급 작업의 용이화에 의한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서,
상기 약제 저류부는, 그 상부에 구비한 약제 보급구가 상기 주 저류부의 상단부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주 저류부와 비료 저류부 사이에 구비한 약제 저류부에 대한 약제의 보급을, 승용 수전 작업기의 후방으로부터 주 저류부에 의해 저해되는 일 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주 저류부를 적재대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약제 저류부에 대한 보급 작업의 용이화에 의한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서,
상기 비료 저류부를 상기 약제 저류부보다도 상방측에 배치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비료 저류부를, 주행 차체로부터의 비료 보급을 행하기 쉬운 높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비료 저류부에 대한 주행 차체로부터의 보급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서,
상기 비료 저류부는, 상단부에 비료 보급구를 갖는 비료 호퍼와, 상기 비료 보급구를 개폐하는 비료 호퍼용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비료 호퍼용 덮개는, 후방으로의 요동 변위에 의해 상기 비료 보급구를 개방하고, 전방으로의 요동 변위에 의해 상기 비료 보급구를 폐색하는 전후 요동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비료 호퍼용 덮개를 착탈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비료 보급구의 개폐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비료 보급구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비료 보급구의 상방에 위치하는 비료 호퍼용 덮개가, 주행 차체로부터 이격되는 후방측으로 요동 변위하므로, 비료 저류부에 대한 주행 차체로부터의 보급 작업을, 비료 호퍼용 덮개에 의해 저해되는 일 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비료 저류부에 대한 주행 차체로부터의 보급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서,
상기 주 저류부는, 상단부에 종자 보급구를 갖는 종자 호퍼와, 상기 종자 보급구를 개폐하는 종자 호퍼용 덮개를 구비하여 종자용으로 구성하고,
상기 종자 호퍼용 덮개는, 전방으로의 요동 변위에 의해 상기 종자 보급구를 개방하고, 후방으로의 요동 변위에 의해 상기 종자 보급구를 폐색하는 전후 요동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종자 호퍼용 덮개를 착탈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종자 보급구의 개폐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종자 보급구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종자 보급구의 상방에 위치하는 종자 호퍼용 덮개가, 기체 후방의 종자보급 작업 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전방측으로 요동 변위하므로, 주 저류부에 대한 승용 수전 작업기의 후방으로부터의 보급 작업을, 종자 호퍼용 덮개에 의해 저해되는 일 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주 저류부에 대한 승용 수전 작업기의 후방으로부터의 보급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서,
상기 종자 호퍼용 덮개를, 상기 종자 보급구를 개방하는 후방 경사 자세로 유지하는 유지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전후 요동에 의해 종자 보급구를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하면서, 그 덮개가 보급 작업시에 예기치않게 폐색 요동하는 문제를 초래하는 일 없이, 주 저류부를 더욱 약제 저류부에 접근시킨 전방 부근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 유닛의 전후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작업 유닛의 무게 중심 위치를 주행 차체측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유닛을 포함하는 승용 수전 작업기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또한 승용 수전 작업기로서의 중량 밸런스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서,
상기 약제 저류부는, 상단부에 약제 보급구를 갖는 약제 호퍼와, 상기 약제 보급구를 개폐하는 약제 호퍼용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호퍼용 덮개는, 전방으로의 요동 변위에 의해 상기 약제 보급구를 개방하고, 후방으로의 요동 변위에 의해 상기 약제 보급구를 폐색하는 전후 요동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약제 호퍼용 덮개를 착탈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약제 보급구의 개폐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약제 보급구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약제 보급구의 상방에 위치하는 약제 호퍼용 덮개가, 기체 후방의 약제 보급 작업 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전방측으로 요동 변위하므로, 약제 저류부에 대한 승용 수전 작업기의 후방으로부터의 보급 작업을, 약제 호퍼용 덮개에 의해 저해되는 일 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 저류부에 대한 승용 수전 작업기의 후방으로부터의 보급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서,
상기 약제 호퍼용 덮개를, 상기 약제 보급구를 개방하는 후방 경사 자세로 유지하는 유지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전후 요동에 의해 약제 보급구를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하면서, 그 덮개가 보급 작업시에 예기치않게 폐색 요동하는 문제를 초래하는 일 없이, 약제 저류부를 더욱 시비 저류부에 접근시킨 전방 부근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 유닛의 전후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작업 유닛의 무게 중심 위치를 주행 차체측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유닛을 포함하는 승용 수전 작업기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또한 승용 수전 작업기로서의 중량 밸런스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서,
상기 약제 호퍼의 상단부가 후방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약제 호퍼의 상단부가 후방 하향으로 경사져 있는 만큼, 약제 호퍼의 약제 보급구가 승용 수전 작업기의 후방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약제 저류부에 대한 승용 수전 작업기의 후방으로부터의 보급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서,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링크 기구에 연결하는 주 프레임과, 상기 주 프레임에 기립 설치한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해 상기 시비 장치와 상기 시약 장치를 지지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시비 장치 전용의 지지 프레임과 시약 장치 전용의 지지 프레임을 각각 구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서,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주 작업 장치에 저속의 동력을 전달하는 저속 전동계와, 상기 시비 장치에 고속의 동력을 전달하는 고속 전동계와, 상기 주 작업 장치에 상기 시약 장치를 연동 연결하는 연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주 작업 장치에 의한 종자 또는 모종의 공급 타이밍과, 시약 장치에 의한 약제의 공급 타이밍을 맞추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주 작업 장치에 의한 종자 또는 모종의 공급 위치와 시약 장치에 의한 약제의 공급 위치를 맞추기 쉬워진다. 그리고,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종자 또는 모종의 공급 위치와 약제의 공급 위치를 맞추기 쉬움으로써, 소량의 약제를 종자 또는 모종의 가까이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시약량의 삭감을 도모하면서, 종자 또는 모종에 대한 방병(防病)이나 방충 등의 약효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시비 장치와 시약 장치를 연동시키는 경우에는,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종자 또는 모종의 공급 위치와 약제의 공급 위치를 맞추는 데 있어서 필요해지는 감속 구조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동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서,
상기 주 작업 장치는, 상기 주 저류부에 저류한 종자 또는 모종을 소정량씩 조출하는 종자용 또는 모종용의 복수의 주 조출부를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상기 시약 장치는, 상기 약제 저류부에 저류한 약제를 소정량씩 조출하는 복수의 약제 조출부를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상기 연동 기구는,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주 조출부의 사이로부터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약제 조출부의 사이에 걸친 공간에 배치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인접하는 2개의 주 조출부의 사이로부터 인접하는 2개의 약제 조출부의 사이에 걸친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연동 기구를 장비하므로, 작업 유닛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서,
상기 주 작업 장치는, 종자 또는 모종을 포장에 공급하는 복수의 주 공급부를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정렬 배치하고,
상기 시비 장치는, 시비용 작구기에 의해 포장의 진흙면에 고랑을 형성하여 고랑 내에 비료를 공급하는 작구식으로 구성한 복수의 비료 공급부와, 상기 비료 저류부로부터의 비료를 대응하는 상기 비료 공급부에 안내하는 복수의 비료 안내관을 구비하고,
상기 시약 장치는, 시약용 작구기에 의해 포장의 진흙면에 고랑을 형성하여 고랑 내에 약제를 공급하는 작구식으로 구성한 복수의 약제 공급부와, 상기 약제 저류부로부터의 약제를 대응하는 상기 약제 공급부에 안내하는 복수의 약제 안내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비료 안내관과 상기 복수의 약제 안내관을 측면에서 보아 교차시켜, 상기 복수의 비료 공급부를, 상기 복수의 주 공급부보다도 기체 전방측의 위치이며, 또한 대응하는 상기 주 공급부로부터 기체 횡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둔 위치에 배치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약제 공급부를, 상기 복수의 비료 공급부보다도 기체 전방측의 위치이며, 또한 대응하는 상기 주 공급부와의 기체 횡폭 방향에서의 동일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기체 횡폭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배치하는 각 주 공급부와 각 약제 공급부의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이격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용의 전진 주행시에 있어서, 선행하는 작구식의 각 약제 공급부가 시약 고랑을 형성하고 나서, 그 시약 고랑 형성 개소에 후속의 각 주 공급부가 종자 또는 모종을 공급할 때까지의 시간차를 크게 할 수 있어, 각 약제 공급부가 고랑을 형성하고 나서 각 주 공급부가 종자 또는 모종을 공급할 때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시약 고랑의 재매립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즉, 종자 또는 모종이 약효를 얻기 쉽게 하기 위해, 각 주 공급부와 작구식의 각 약제 공급부를 기체 횡폭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배치하여, 기체 횡폭 방향에서의 종자 또는 모종의 공급 위치와 시약 위치를 동일하게 설정해도, 시약 장치의 각 약제 공급부가 시약을 위해 형성한 시약 고랑을, 후속되는 주 작업 장치의 각 주 공급부가 종자 또는 모종을 공급할 때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각 약제 공급부의 통과 후에 시약 고랑으로 유입되는 진흙에 의해 재매립할 수 있고, 재매립된 시약 고랑 형성 개소의 포장 진흙에 종자 또는 모종을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각 시약 고랑의 재매립이 불충분한 상태에서 종자 또는 모종의 공급이 행해지는 것에 기인한, 종자의 매몰에 의한 출아율이나 입모율의 저하, 혹은 심기 불량에 의한 모종 쓰러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구식의 각 비료 공급부와 작구식의 각 약제 공급부를 좌우로 나란히 근접 배치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시비용 작구기와 시약용 작구기 사이에서의 진흙 막힘을 방지할 수 있어, 이 진흙 막힘에 기인한 고랑 형성 불량이나 각 시약 고랑 및 각 시비 고랑의 재매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랑 형성 불량이나 각 시약 고랑 및 각 시비 고랑의 재매립 불량에 기인하여, 각 시약 고랑 또는 각 시비 고랑에 공급한 약제 또는 비료가 넓은 영역으로 확산되어 약효 또는 비효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자 또는 모종 및 약제 및 비료의 적정한 포장 공급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어, 종묘의 육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승용 직파기의 좌측면도.
도 2는 승용 직파기의 평면도.
도 3은 작업 유닛의 좌측면도.
도 4는 작업 유닛의 종단 좌측면도.
도 5는 작업 유닛의 배면도.
도 6은 시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작업 유닛의 종단 배면도.
도 7은 시약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작업 유닛의 종단 배면도.
도 8은 종자 공급부와 비료 공급부와 약제 공급부의 배치를 도시하는 작업 유닛의 횡단 평면도.
도 9는 비료 공급부와 약제 공급부의 배치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
도 10은 좌우의 정지(整地) 플로트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
도 11은 좌우의 정지 플로트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작업 유닛의 전동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3은 직파 장치와 시약 장치의 연동 구조 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
도 14는 직파 장치와 시약 장치의 연동 구조 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횡단 평면도.
도 15는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비료 공급부와 약제 공급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
도 16은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비료 공급부와 약제 공급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횡단 평면도.
도 17은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정지 플로트의 형상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횡단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일례로서, 본 발명을, 승용 수전 작업기의 일례인 승용 직파기에 적용한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예시하는 승용 직파기는, 승용형의 4륜 구동 형식으로 구성한 주행 차체(1)의 후방부에, 단동형의 유압 실린더를 채용한 승강 실린더(2)의 작동에 의해 상하 요동하는 상하 요동식 링크 기구(3)를 통해, 파종용의 작업 유닛(A)을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하고 있다.
주행 차체(1)는, 그 전방부에 방진 탑재한 엔진(4)으로부터의 동력을, 주 변속 장치로서 구비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 및 부 변속 장치로서 구비한 기어식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해, 그 전방부에 배치한 좌우의 전륜(5) 및 그 후방부에 배치한 좌우의 후륜(6)에 전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주행 차체(1)의 후방부측에는, 탑승 스텝(7), 전륜 조타용의 스티어링 휠(8) 및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한 운전 좌석(9) 등을 배치하여 탑승 운전부(10)를 형성하고 있다. 주행 차체(1)의 좌우에는, 탑승 면적을 좌우로 확장하는 좌우의 확장 스텝(11)을 배치하고 있다. 탑승 운전부(10)의 후방에는, 링크 기구(3) 및 좌우의 후륜(6) 등의 상방에 있어서 주행 차체(1)의 후방부로부터 작업 유닛(A)을 향해 연장되는 후방부 스텝(12) 및 후방부 스텝(12)에 대한 이동 등을 할 때에 사용하는 난간(13)을 배치하고 있다.
도 1∼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 유닛(A)은, 링크 기구(3)의 후단부에 롤링 가능하게 연결하는 파종 프레임(14)에, 파종용 주 작업 장치로서의 6줄용 직파 장치(15), 비료를 포장에 공급하는 6줄용 시비 장치(16), 약제를 포장에 공급하는 6줄용 시약 장치(17), 각 장치(15∼17)에 전동하는 전동 장치(18), 작업용의 전진 주행시에 작업 대상인 포장 진흙면을 정지하는 평면에서 보아 T자 형상의 3개의 정지 플로트(19) 및 작업용의 전진 주행에 수반하여 포장에 배수 도랑을 형성하는 좌우의 구절기(furrow opener)(20) 등을 구비하여 유닛화하고 있다.
즉, 직파 장치(15)와 시비 장치(16)와 시약 장치(17)를 유닛화함으로써, 그들 각 장치(15∼17)를 개별적으로 주행 차체(1)에 조립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들 각 장치(15∼17)의 주행 차체(1)에 대한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종 프레임(14)은 링크 기구(3)의 후단부에 연결하는 주 프레임(21), 주 프레임(21)의 전방부측에 높이가 높게 기립 설치한 전방 지지 프레임(22) 및 주 프레임(21)의 후방부측에 높이가 낮게 기립 설치한 후방 지지 프레임(23)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1∼도 5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파 장치(15)는 종자의 일례인 철 코팅 처리가 실시된 볍씨를 저류하는 주 저류부로서 3줄분씩의 볍씨를 저류하는 좌우의 종자 저류부(24), 대응하는 종자 저류부(24)로부터 소정량의 볍씨를 간헐적으로 하방으로 조출하는 주 조출부로서의 6개의 종자 조출부(25) 및 대응하는 종자 조출부(25)가 하방으로 조출한 볍씨를 상기 종자 조출부(25)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정지 후의 포장 진흙면을 향해 낙하 공급하는 주 공급부로서의 6개의 종자 공급부(26)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외부 전동축(27) 및 전동 장치(18) 등을 통해 전달되는 주행 차체(1)로부터의 작업용의 동력에 의해 각 종자 조출부(25)가 작동함으로써, 소정량의 볍씨를 1포기분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둔 상태에서 포장의 진흙 표면에 최대 6줄분의 파종을 행하는 6줄용의 진흙면 점파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직파 장치(15)에 있어서, 좌우의 종자 저류부(24)는, 그들의 하단부에 3개의 종자 배출구(도시하지 않음)를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정렬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 종자 저류부(24)에 있어서의 종자 배출구 형성 개소의 각각에 종자 조출부(25)를 연접하고 있다. 각 종자 조출부(25)는, 그들의 종자 배출측으로 되는 하단부 부분의 각각에 종자 공급부(26)를 연접하고 있다. 그리고, 각 종자 공급부(26)가, 대응하는 종자 조출부(25) 및 종자 배출구와 함께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정렬 배치한 상태로 되도록, 좌우의 종자 저류부(24)를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있다.
도 1∼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비 장치(16)는, 비료의 일례인 입상의 비료를 3줄분씩 저류하는 좌우의 비료 저류부(28), 대응하는 비료 저류부(28)로부터 소정량의 비료를 간헐적으로 조출하는 6개의 비료 조출부(29), 대응하는 비료 조출부(29)가 조출한 비료를 유하 안내하는 비료 안내관으로서의 6개의 시비 호스(30) 및 대응하는 시비 호스(30)가 안내한 비료를 포장에 공급하는 6개의 비료 공급부(31)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외부 전동축(27) 및 전동 장치(18) 등을 통해 전달되는 주행 차체(1)로부터의 작업용의 동력에 의해 각 비료 조출부(29)가 작동함으로써, 소정량의 비료를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둔 상태에서 최대 6줄분의 시비를 행하는 6줄용으로 구성하고 있다.
좌우의 비료 저류부(28)는, 그들의 하단부에 3개의 비료 배출구(도시하지 않음)를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정렬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 비료 저류부(28)에 있어서의 비료 배출구 형성 개소의 각각에 비료 조출부(29)를 연접하고 있다. 각 비료 조출부(29)는, 대응하는 비료 저류부(28)에 연접한 상태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각 비료 공급부(31)는, 후방을 개방하는 평면에서 보아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시비용 작구기(32)에 의해 정지 후의 포장 진흙면에 고랑을 형성하여 고랑 내에 비료를 공급하는 작구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대응하는 종자 공급부(26)보다도 기체 전방측의 위치이며, 또한 대응하는 종자 공급부(26)로부터 기체 횡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둔 위치에 위치하도록, 대응하는 정지 플로트(19)의 전단부측 부분에 구비한 좌우의 돌출 영역에 있어서의 좌우 중심 부근의 부위에 고정 장비하고 있다.
시약 장치(17)는, 약제의 일례인 분말상의 제초제나 방병제 등의 약제를 2줄분씩 저류하는 3개의 약제 저류부(33), 대응하는 약제 저류부(33)로부터 소정량의 약제를 간헐적으로 조출하는 6개의 약제 조출부(34), 대응하는 약제 조출부(34)가 조출한 약제를 유하 안내하는 약제 안내관으로서의 6개의 시약 호스(35) 및 대응하는 시약 호스(35)가 안내한 약제를 포장에 공급하는 6개의 약제 공급부(36)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외부 전동축(27) 및 전동 장치(18) 등을 통해 전달되는 주행 차체(1)로부터의 작업용의 동력에 의해 각 약제 조출부(34)가 작동함으로써, 소정량의 약제를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둔 상태에서 최대 6줄분의 시약을 행하는 6줄용으로 구성하고 있다.
각 약제 저류부(33)는, 그들의 하단부에 2개의 약제 배출구(도시하지 않음)를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정렬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 약제 저류부(33)에 있어서의 약제 배출구 형성 개소의 각각에 약제 조출부(34)를 연접하고 있다. 각 약제 조출부(34)는, 대응하는 약제 저류부(33)에 연접한 상태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각 약제 공급부(36)는, 후방을 개방하는 평면에서 보아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시약용 작구기(37)에 의해 정지 후의 포장 진흙면에 고랑을 형성하여 고랑 내에 약제를 공급하는 작구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대응하는 비료 공급부(31)보다도 기체 전방측의 위치이며, 또한 대응하는 종자 공급부(26)와의 기체 횡폭 방향에서의 동일 위치에 위치하도록, 대응하는 정지 플로트(19)의 전술한 좌우의 돌출 영역에 있어서의 좌우의 외측 단부 부근의 부위에 고정 장비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부터, 작업 유닛(A)을 작동시킨 작업용의 전진 주행시에는, 우선 그 주행에 수반하여 각 정지 플로트(19)가 작업 대상인 포장 진흙면을 정지한다.
다음으로, 시약 장치(17)의 각 약제 공급부(36)가, 직파 장치(15)의 각 종자 공급부(26) 및 시비 장치(16)의 각 비료 공급부(31)에 선행하는 상태에서, 각 정지 플로트(19)에 의한 정지 후의 포장 진흙면에 있어서의 각 종자 공급부(26)의 파종 예정 개소에 대한 기체 횡폭 방향에서의 동일 위치에 시약 고랑을 형성하고, 그 시약 고랑의 내부에 시약 장치(17)의 각 약제 조출부(34)가 조출한 약제를 공급한다.
또한, 시비 장치(16)의 각 비료 공급부(31)가, 직파 장치(15)의 각 종자 공급부(26)에 선행하는 상태에서, 각 정지 플로트(19)에 의한 정지 후의 포장 진흙면에 있어서의 각 종자 공급부(26)의 파종 예정 개소로부터 기체 횡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둔 위치에 시비 고랑을 형성하고, 그 시비 고랑의 내부에 시비 장치(16)의 각 비료 조출부(29)가 조출한 비료를 공급한다.
그 후, 직파 장치(15)의 각 종자 공급부(26)가, 시약 장치(17)의 각 약제 공급부(36)에 의한 시약 후이며, 또한 시비 장치(16)의 각 비료 공급부(31)에 의한 시비 후의 포장 진흙면에 있어서의, 각 약제 공급부(36)의 시약 개소에 대한 기체 횡폭 방향에서의 동일한 위치에, 직파 장치(15)의 각 종자 조출부(25)가 조출한 볍씨를 낙하 공급한다.
그리고, 이 작업 유닛(A)에 있어서는, 직파 장치(15)의 각 종자 공급부(26)와 시비 장치(16)의 각 비료 공급부(31)와 시약 장치(17)의 각 약제 공급부(36)를 각 약제 공급부(36)가 각 종자 공급부(26)보다도 기체 전방측에 위치하는 배치이며, 그들 사이에 각 비료 공급부(31)가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각 종자 공급부(26)와 각 약제 공급부(36)의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이격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용의 전진 주행시에 있어서, 선행하는 작구식의 각 약제 공급부(36)가 시약 고랑을 형성하고 나서, 그 시약 고랑 형성 개소에 후속의 각 종자 공급부(26)가 파종할 때까지의 시간차를 크게 할 수 있어, 각 약제 공급부(36)가 고랑을 형성하고 나서 각 종자 공급부(26)가 파종할 때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시약 고랑의 재매립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즉, 볍씨가 약효를 얻기 쉽게 하기 위해, 진흙면 점파식의 각 종자 공급부(26)와 작구식의 각 약제 공급부(36)를 기체 횡폭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여, 기체 횡폭 방향에서의 파종 위치와 시약 위치를 동일하게 설정해도, 시약 장치(17)의 각 약제 공급부(36)가 시약을 위해 형성한 시약 고랑을, 후속되는 직파 장치(15)의 각 종자 공급부(26)가 파종할 때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각 약제 공급부(36)의 통과 후에 시약 고랑으로 유입되는 진흙에 의해 재매립할 수 있고, 재매립된 시약 고랑 형성 개소의 진흙 표면에 파종할 수 있다.
그 결과, 각 시약 고랑의 재매립이 불충분한 상태에서 파종이 행해지는 것에 기인하여, 철 코팅 처리를 실시한 볍씨가 매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 매몰에 기인한 입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시약 고랑의 재매립이 불충분해지는 것에 기인하여, 각 시약 고랑에 공급한 약제가 넓은 영역으로 확산되어 약효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작업 유닛(A)에 있어서는, 작구식의 각 비료 공급부(31)와 작구식의 각 약제 공급부(36)를 기체의 전후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함으로써, 그들을 좌우로 나란히 근접 배치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시비용 작구기(32)와 시약용 작구기(37) 사이에서의 진흙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비용의 각 작구기(32) 및 시약용의 각 작구기(37) 각각은, 그들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각 작구기(32, 37)에 의한 고랑 형성을 보조하는 고랑 형성 보조 부재(38, 39)를 연결 장비하고 있다. 각 고랑 형성 보조 부재(38, 39)는, 전단부측일수록 휘어 올라간 상태로 되는 저면을 갖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각 작구기(32, 37)에 의한 고랑 형성을, 저항 적게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도 3∼도 5 및 도 9∼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정지 플로트(19)는, 포장 진흙면의 요철에 대한 정지 성능 등을 높이는 데 있어서, 그들의 전술한 좌우의 돌출 영역을 갖는 전단부측 부분이 전단부측일수록 휘어 올라간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또한, 그들의 전후 중간부에 구비한 금속제의 브래킷(68)을 파종 프레임(14)에 있어서의 주 프레임(21)의 하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분산 배치한 3개의 플로트 지지 부재(40)에, 좌우 방향의 지지축(41)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파종 프레임(14)의 하부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장비하고 있다. 그리고, 대응하는 비료 공급부(31)를, 그들에 있어서의 측면에서 보아 정지 플로트(19)의 요동 지지점인 좌우 방향의 지지축(41)과 겹치는 배치로 지지하고 있다. 또한, 대응하는 약제 공급부(36)를, 그들에 있어서의 저면이 휘어 올라간 상태로 되는 전단부측 부분에 있어서 지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각 정지 플로트(19)를, 각 비료 공급부(31) 및 각 약제 공급부(36)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 겸용할 수 있어, 부품 개수의 삭감에 의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각 정지 플로트(19)를 지지 부재로 겸용하면서도, 각 정지 플로트(19)의 상하 요동에 관계없이, 시비 장치(16)에 의한 시비 깊이를 고정밀도로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정지 플로트(19)의 전후 길이를 유효하게 이용하면서, 각 비료 공급부(31)와 각 약제 공급부(36)의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이격 거리를 크게 할 수 있고, 이에 수반하여 각 종자 공급부(26)와 각 약제 공급부(36)의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이격 거리도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각 약제 공급부(36)가 고랑을 형성하고 나서 각 종자 공급부(26)가 파종할 때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시약 고랑의 재매립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확보하기 더욱 쉬워진다.
도 3, 도 4,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약제 공급부(36)는, 그들에 구비한 시약용 작구기(37)가 그들의 후방에 위치하는 각 시비용 작구기(32)에 구비한 고랑 형성 보조 부재(38)의 전단부와 측면에서 보아 겹치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작업용의 전진 주행시에 행해지는 각 약제 공급부(36)의 고랑 형성에 수반하여 좌우 방향으로 밀어내어지는 포장 진흙 중 비료 공급부측으로 밀어내어지는 포장 진흙을, 후속되는 각 시비용의 고랑 형성 보조 부재(38)에 의해 기체 후방측으로 안내할 수 있고, 이 안내한 포장 진흙을, 각 비료 공급부(31)의 작구에 수반하여 좌우 방향으로 밀어내어지는 포장 진흙 중 시약 고랑측으로 밀어내어지는 포장 진흙 등과 함께, 각 시약 고랑을 향해 유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각 시약 고랑의 재매립을 보다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각 시약 고랑의 재매립이 불충분한 상태에서 파종이 행해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3∼도 5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정지 플로트(19)는, 그들에 구비한 좌우의 약제 공급부(36)가 형성한 시약 고랑의 각각을 재매립하여 정지하는 좌우의 시약용 복토 부재(42)를, 전후로 배열하는 약제 공급부(36)와 종자 공급부(26)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하고 있다. 또한, 그들에 구비한 좌우의 비료 공급부(31)가 형성한 시비 고랑의 각각을 재매립하여 정지하는 좌우의 시비용 복토 부재(43)를 구비하고 있다.
각 시약용 복토 부재(42)는, 그들이 재매립할 각 시약 고랑에 인접하는 시비 고랑과는 반대측에 구비한 제1 고정부로 되는 각 정지 플로트(19)에 있어서의 좌우의 돌출 영역의 외측 단부(19A)로부터 재매립할 시약 고랑을 향해, 그들의 연장 단부측이 재매립할 시약 고랑에 도달하도록, 비스듬히 후향의 경사 자세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작업용의 전진 주행시에 행해지는 각 약제 공급부(36)의 고랑 형성에 수반하여 좌우 방향으로 밀어내어지는 포장 진흙 중 각 정지 플로트(19)의 횡외측으로 밀어내어지는 포장 진흙 등을, 후속되는 각 시약용 복토 부재(42)에 의해 각 시약 고랑으로 안내할 수 있다. 그 결과, 포장의 진흙이 단단하여 시약 고랑으로 유입되기 어려운 경우나, 작업 속도가 빨라 선행하는 각 약제 공급부(36)가 고랑을 형성하고 나서 후속의 각 종자 공급부(26)가 파종할 때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시약 고랑의 재매립에 필요로 하는 시간의 확보가 어려워지는 경우 등에 있어서도, 각 시약 고랑의 재매립을 신속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어, 각 시약 고랑의 재매립이 불충분한 상태에서 파종이 행해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각 시비용 복토 부재(43)는, 그들이 재매립할 각 시비 고랑에 인접하는 시약 고랑과는 반대측에 구비한 제2 고정부로 되는 각 정지 플로트(19)의 후방부(19B)로부터 재매립할 시비 고랑을 향해, 그들의 연장 단부측이 재매립할 시약 고랑에 도달하도록, 비스듬히 후향의 경사 자세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작업용의 전진 주행시에 행해지는 각 비료 공급부(31)의 고랑 형성에 수반하여 좌우 방향으로 밀어내어지는 포장 진흙 중 각 정지 플로트(19)의 좌우 중심측으로 밀어내어지는 포장 진흙 등을, 후속되는 각 시비용 복토 부재(43)에 의해 각 시비 고랑으로 안내할 수 있다. 그 결과, 포장의 진흙이 단단하여 시비 고랑으로 유입되기 어려운 경우 등에 있어서도, 각 시비 고랑의 재매립을 신속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어, 각 시비 고랑의 재매립이 불충분해지는 것에 기인하여, 각 시비 고랑에 공급한 비료가 넓은 영역으로 확산되어 비효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 유닛(A)은, 그 좌우 양단부측에 배치한 좌우의 정지 플로트(19)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지지축(41)보다도 기체 후방측의 후방부에 구절기(20)를 배치하고 있다. 한편, 파종 프레임(14)에 있어서, 구절기(20)를 구비한 좌우의 정지 플로트(19)를 지지하는 좌우의 플로트 지지 부재(40)는 그들의 전방부측에, 대응하는 정지 플로트(19)에 구비한 브래킷(68)의 전방부측과의 접촉에 의해, 대응하는 정지 플로트(19)의 기본 자세로부터의 상승 요동을 제한하는 상승 제한부(40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주 프레임(21)은 좌우의 플로트 지지 부재(40)를 통해 좌우의 정지 플로트(19)를 지지하는 좌우의 플로트 지지부(21A)의 후단부에, 대응하는 정지 플로트(19)에 구비한 브래킷(68)의 후방부측과의 접촉에 의해, 대응하는 정지 플로트(19)의 기본 자세로부터의 하강 요동을 저지하는 하강 저지부(21B)를 구비하고 있다.
즉, 좌우의 플로트 지지 부재(40)에 상승 제한부(40A)를 구비함으로써, 좌우의 정지 플로트(19)가 크게 상승 요동하는 것에 기인한 정지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 프레임(21)에 있어서의 좌우의 플로트 지지부(21A)에 하강 저지부(21B)를 구비함으로써, 좌우의 정지 플로트(19)의 하강 요동에 수반하여 구절기(20)가 상승하는 것에 기인한 배수 도랑의 형성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 유닛(A)은, 그 전방부측에 단위 면적당 소비량이 가장 많은 비료를 저류하는 좌우의 비료 저류부(28)를 배치하고, 그 후방부측에 단위 면적당 소비량이 비료 다음으로 많은 볍씨를 저류하는 좌우의 종자 저류부(24)를 배치하고, 좌우의 종자 저류부(24)와 좌우의 비료 저류부(28) 사이의 공간에, 단위 면적당 소비량이 가장 적은 약제를 저류하는 전후 폭이 좁은 3개의 약제 저류부(33)를 배치하고 있다.
즉, 단위 면적당 소비량이 가장 많은 비료를 저류하는 각 비료 저류부(28)를 주행 차체측으로 되는 작업 유닛(A)의 전방부측에 배치함으로써, 각 비료 저류부(28)에 대한 비료의 보급을, 주행 차체(1)로부터 내리는 일 없이 주행 차체(1)로부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단위 면적당 소비량이 비료 다음으로 많은 볍씨를 저류하는 각 종자 저류부(24)를 승용 직파기의 후단부측으로 되는 작업 유닛(A)의 후방부측에 배치함으로써, 각 종자 저류부(24)에 대한 볍씨의 보급을 기체의 후방으로부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각 비료 저류부(28)를 각 약제 저류부(33)보다도 기체 전방측에 배치하는 것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비료 공급부(31)를 각 약제 공급부(36)보다도 기체 후방측에 배치함으로써, 그들의 대응하는 것끼리에 걸친 각 시비 호스(30)와 각 시약 호스(35)가 측면에서 보아 교차하도록 되어 있다.
도 3∼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종자 저류부(24)는 상단부에 종자 보급구를 갖는 종자 호퍼(24A)와, 종자 보급구를 개폐하는 종자 호퍼용 덮개(24B)를 구비하고 있다. 각 비료 저류부(28)는, 상단부에 비료 보급구를 갖는 비료 호퍼(28A)와, 비료 보급구를 개폐하는 비료 호퍼용 덮개(28B)를 구비하고 있다. 각 약제 저류부(33)는, 상단부에 약제 보급구를 갖는 약제 호퍼(33A)와, 약제 보급구를 개폐하는 약제 호퍼용 덮개(33B)를 구비하고 있다.
직파 장치(15)는, 각 종자 조출부(25)를 전술한 높이가 낮은 후방 지지 프레임(23)에 지지시킴으로써, 대응하는 종자 조출부(25)의 상단부에 연접하는 각 종자 저류부(24)의 전체가, 높이가 높은 전방 지지 프레임(22)의 상단부보다도 낮아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각 종자 호퍼용 덮개(24B)를, 전방으로의 요동 변위에 의해 대응하는 종자 호퍼(24A)의 종자 보급구를 개방하고, 후방으로의 요동 변위에 의해 대응하는 종자 호퍼(24A)의 종자 보급구를 폐색하는 전후 요동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각 종자 저류부(24)에 대한 기체 후방으로부터의 볍씨의 보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시약 장치(17)는, 각 약제 조출부(34)를 전술한 높이가 높은 전방 지지 프레임(22)의 상부에 지지시킴으로써, 대응하는 약제 조출부(34)의 상단부에 연접한 각 약제 저류부(33)의 전체가 각 종자 저류부(24)의 상단부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각 약제 호퍼용 덮개(33B)를, 전방으로의 요동 변위에 의해 대응하는 약제 호퍼(33A)의 약제 보급구를 개방하고, 후방으로의 요동 변위에 의해 대응하는 약제 호퍼(33A)의 약제 보급구를 폐색하는 전후 요동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각 약제 호퍼(33A)를, 약제 보급구를 구비하는 상단부가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각 약제 저류부(33)에 대한 기체 후방으로부터의 약제의 보급을, 각 종자 저류부(24)에 의해 저해되는 일 없이, 또한 각 종자 저류부(24)를 적재대로 이용하면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시비 장치(16)는, 각 비료 저류부(28)가 각 약제 저류부(33)보다도 상방측에 위치하도록 대응하는 비료 저류부(28)의 하단부에 연접한 각 비료 조출부(29)를 높이가 높은 전방 지지 프레임(22)의 상단부에 지지시킴으로써, 각 비료 저류부(28)가 작업 유닛(A)의 최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작업 유닛(A)을 상한 위치까지 상승시킨 경우에는, 각 비료 호퍼(28A)의 상단부에 형성한 비료 보급구가, 주행 차체(1)의 후방부에 구비한 난간(13)의 상단부에 접근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각 비료 호퍼용 덮개(28B)를, 후방으로의 요동 변위에 의해 대응하는 비료 호퍼(28A)의 비료 보급구를 개방하고, 전방으로의 요동 변위에 의해 대응하는 비료 호퍼(28A)의 비료 보급구를 폐색하는 전후 요동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각 비료 호퍼(28A)에 대한 비료 보급을 주행 차체(1)로부터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작업 유닛(A)을 상한 위치까지 상승시킴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에서는, 작업 유닛(A)에 있어서 전후로 나란히 배치하는 각 저류부(24, 28, 33)를, 작업 유닛(A)의 후방부측에 위치하는 것일수록 배치 높이가 낮아지도록 배치함으로써, 작업 유닛(A)의 무게 중심 위치를 주행 차체측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승용 직파기로서의 중량 밸런스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방 지지 프레임(22)에 의해 시비 장치(16)의 각 비료 조출부(29)와 시약 장치(17)의 각 약제 조출부(34)를 지지하므로, 비료 조출부 전용의 지지 프레임과 약제 조출부 전용의 지지 프레임을 개별로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 개수의 삭감에 의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 유닛(A)은, 대응하는 종자 호퍼용 덮개(24B)를, 종자 보급구를 개방하는 후방 경사 자세로 유지하는 제1 유지구(44)와, 대응하는 약제 호퍼용 덮개(33B)를, 약제 보급구를 개방하는 후방 경사 자세로 유지하는 제2 유지구(45)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제1 유지구(44)는, 대응하는 약제 호퍼(33A)에 부착한 제1 접합 부재(44A)와, 대응하는 종자 호퍼용 덮개(24B)에 부착한 제2 접합 부재(44B)로부터 면 파스너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각 제2 유지구(45)는, 대응하는 비료 호퍼(28A)에 부착한 제1 접합 부재(45A)와, 대응하는 시약 호퍼용 덮개(33B)에 부착한 제2 접합 부재(45B)로부터 면 파스너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부터, 각 종자 저류부(24)를, 전후 요동에 의해 종자 보급구를 개폐하는 덮개(24B)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면서도, 각 종자 저류부(24)를 보다 각 약제 저류부(33)에 접근시킨 전방 부근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각 약제 저류부(33)를 전후 요동에 의해 약제 보급구를 개폐하는 덮개(33B)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면서도, 각 약제 저류부(33)와 각 종자 저류부(24)를 보다 비료 저류부(28)에 접근시킨 전방 부근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 유닛(A)의 무게 중심 위치를 주행 차체측에 가깝게 할 수 있어, 승용 직파기 전체적인 중량 밸런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약 장치(17)는, 각 종자 조출부(25)가 조출한 볍씨를 각 종자 조출부(25)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포장 진흙면을 향해 낙하 공급하는 구성의 직파 장치(15)에 대해, 각 약제 조출부(34)의 대략 바로 아래 위치에 대응하는 약제 공급부(36)를 배치하여, 대응하는 약제 조출부(34)로부터 약제 공급부(36)에 걸친 시약 호스(35) 각각을 대략 일직선으로 수직 하강시키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직파 장치(15)의 파종 위치와 시약 장치(17)의 시약 위치를 맞추기 쉽게 하고 있다.
도 3∼도 7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 유닛(A)의 전동 장치(18)는, 외부 전동축(27) 등을 통해 전달되는 주행 차체(1)로부터의 동력을 수취하는 입력부(46), 수취한 동력을 입력부(46)로부터 좌우로 분배하는 동력 분배축(47), 동력 분배축(47)의 좌측 단부로부터 직파 장치(15)의 각 종자 조출부(25)에 저속의 동력을 전달하는 저속 전동계(48), 동력 분배축(47)의 우측 단부로부터 시비 장치(16)의 각 비료 조출부(29)에 고속의 동력을 전달하는 고속 전동계(49) 및 직파 장치(15) 및 시약 장치(17)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2개의 종자 조출부(25)와 2개의 약제 조출부(34)를 연동 연결하는 3개의 연동 기구(5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즉, 직파 장치(15)의 각 종자 조출부(25)와 시약 장치(17)의 각 약제 조출부(34)를 저속 전동계(48)를 통한 저속 동력에 의해 저속 연동시키므로, 직파 장치(15)의 각 종자 조출부(25)에 의한 볍씨의 조출 타이밍과, 시약 장치(17)의 각 약제 조출부(34)에 의한 약제의 조출 타이밍을 맞추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직파 장치(15)의 파종 위치와 시약 장치(17)의 시약 위치를 맞추기 쉬워진다. 그리고,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파종 위치와 시약 위치를 맞추기 쉬움으로써, 소량의 약제를 볍씨의 가까이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시약량의 삭감을 도모하면서, 볍씨에 대한 방병이나 방충 등의 약효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시비 장치(16)의 비료 조출부(29)와 시약 장치(17)의 약제 조출부(34)를 연동시키는 경우에는,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직파 장치(15)의 파종 위치와 시약 장치(17)의 시약 위치를 맞추는 데 있어서 필요해지는 감속 구조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동 장치(18)에 있어서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3∼도 7 및 도 12∼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장치(18)에 있어서, 저속 전동계(48)는 동력 분배축(47)으로부터의 동력을 감속하는 체인식 감속 기구(51), 체인식 감속 기구(51)로부터 감속 후의 동력을 취출하는 좌우 방향의 제1 중계축(52), 제1 중계축(52)에 구비한 6개의 제1 부분 줄 클러치(53) 및 대응하는 제1 부분 줄 클러치(53)로부터 종자 조출부(25)에 전동하는 6개의 제1 기어식 전동 기구(54) 등을 구비하고 있다.
고속 전동계(49)는, 동력 분배축(47)의 회전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 변환 기구(55), 제1 변환 기구(55)에 의한 변환 후의 요동 운동을 정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 변환 기구(56), 제2 변환 기구(56)에 의한 변환 후의 정회전 운동을 정회전 동력으로서 취출하는 좌우 방향의 제2 중계축(57), 제2 중계축(57)에 구비한 3개의 제2 부분 줄 클러치(58) 및 각 제2 부분 줄 클러치(58)로부터 대응하는 2개의 비료 조출부(29)에 전동하는 3개의 제2 기어식 전동 기구(59) 등을 구비하고 있다.
각 연동 기구(50)는, 대응하는 제1 기어식 전동 기구(54)의 회전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 변환부(60) 및 제1 변환부(60)에 의한 변환 후의 요동 운동을 정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 변환부(61) 등을 구비하고, 제2 변환부(61)에 의한 변환 후의 정회전 운동을 정회전 동력으로서 대응하는 2개의 약제 조출부(34)에 전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전동 장치(18)는, 좌측의 2개의 종자 조출부(25) 및 좌측의 2개의 약제 조출부(34)에의 전동을 단속(斷續)하는 좌측의 2개의 제1 부분 줄 클러치(53)가 동일한 작동 상태로 전환되고, 좌우 중앙측의 2개의 종자 조출부(25) 및 좌우 중앙측의 2개의 약제 조출부(34)에의 전동을 단속하는 좌우 중앙측의 2개의 제1 부분 줄 클러치(53)가 동일한 작동 상태로 전환되고, 우측의 2개의 종자 조출부(25) 및 우측의 2개의 약제 조출부(34)에의 전동을 단속하는 우측의 2개의 제1 부분 줄 클러치(53)가 동일한 작동 상태로 전환되도록, 대응하는 2개의 제1 부분 줄 클러치(53)를 연동 연결하는 3개의 제1 연계 기구(6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좌측의 2개의 제1 부분 줄 클러치(53)와 좌측의 2개의 비료 조출부(29)에의 전동을 단속하는 좌측의 제2 부분 줄 클러치(58)가 동일한 작동 상태로 전환되고, 좌우 중앙측의 2개의 제1 부분 줄 클러치(53)와 좌우 중앙측의 2개의 비료 조출부(29)에의 전동을 단속하는 좌우 중앙측의 제2 부분 줄 클러치(58)가 동일한 작동 상태로 전환되고, 우측의 2개의 제1 부분 줄 클러치(53)와 우측의 2개의 비료 조출부(29)에의 전동을 단속하는 우측의 제2 부분 줄 클러치(58)가 동일한 작동 상태로 전환되도록, 대응하는 제1 연계 기구(62)와 제2 부분 줄 클러치(58)를 연동 연결하는 3개의 제2 연계 기구(63)를 구비하고 있다.
작업 유닛(A)은,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이 가능한 3개의 조작 레버(64)를, 파종 프레임(14)의 전방 상부에 있어서의 각 제2 부분 줄 클러치(58)와의 대응 개소에 분산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좌측의 조작 레버(64)의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에 수반하여 좌측의 제2 부분 줄 클러치(58)의 작동 상태가 전환되고, 좌우 중앙측의 조작 레버(64)의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에 수반하여 좌우 중앙측의 제2 부분 줄 클러치(58)의 작동 상태가 전환되고, 우측의 조작 레버(64)의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에 수반하여 우측의 제2 부분 줄 클러치(58)의 작동 상태가 전환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주행 차체(1)로부터 각 조작 레버(64)를 임의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작업 유닛(A)의 작업 상태를, 모든 종자 조출부(25)와 비료 조출부(29)와 약제 조출부(34)를 작동시키는 6줄 작업 상태, 좌측의 4개의 종자 조출부(25)와 비료 조출부(29)와 약제 조출부(34)를 작동시키는 좌측 4줄 작업 상태, 좌측의 2개의 종자 조출부(25)와 비료 조출부(29)와 약제 조출부(34)를 작동시키는 좌측 2줄 작업 상태, 우측의 4개의 종자 조출부(25)와 비료 조출부(29)와 약제 조출부(34)를 작동시키는 우측 4줄 작업 상태 및 우측의 2개의 종자 조출부(25)와 비료 조출부(29)와 약제 조출부(34)를 작동시키는 우측 2줄 작업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 유닛(A)은, 연동하는 상태에서 인접하는 2개의 종자 조출부(25)의 사이로부터 연동하는 상태에서 인접하는 2개의 약제 조출부(34)의 사이에 걸친 공간(65)을 3개소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공간(65)을 유효 이용하여, 각 공간(65)에 대응하는 연동 기구(50)를 배치함으로써, 작업 유닛(A)의 소형화를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도 3, 도 4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 유닛(A)은, 각 후륜(6)의 차체 내측에 보조 차륜(도시하지 않음)을 장착한 경우의 각 보조 차륜에 의한 바퀴 자국 등을 정지하는 레이크 형상의 좌우의 정지판(6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후륜(6)에 의해 튄 진흙이, 각 후륜(6)의 후방에 위치하는 좌우의 정지 플로트(19)의 상면에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좌우의 진흙 제거 커버(67)를 장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작업용의 전진 주행시에 있어서의 정지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주행 차체(1)로서는, 좌우의 각 후륜(6)의 적어도 차체 내측 또는 차체 외측에 보조 차륜을 장착한 것이어도 된다.
〔2〕 작업 유닛(A)으로서는, 6줄 이외의 4줄 또는 8줄 등의 복수 줄의 작업을 행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정지 플로트(19)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적어도 시약용 복토 부재(42)와 시비용 복토 부재(43) 중 어느 한쪽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이어도 된다.
〔3〕 작업 유닛(A)으로서는, 각 비료 공급부(31)를, 대응하는 정지 플로트(19)의 전단부측 부분에 구비한 좌우의 돌출 영역에 있어서의 좌우의 외측 단부 부근의 부위에 고정 장비하고, 또한 각 약제 공급부(36)를, 대응하는 정지 플로트(19)의 좌우 돌출 영역에 있어서의 좌우 중심 부근의 부위에 고정 장비함으로써, 대응하는 비료 공급부(31)와 약제 공급부(36)를 기체 횡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둔 위치에 배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4〕 작업 유닛(A)으로서는, 복수의 약제 공급부(36)를, 복수의 주 공급부(26)보다도 기체 전방측의 위치이며, 또한 대응하는 주 공급부(26)로부터 기체 횡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둔 위치에 배치하고, 또한 복수의 비료 공급부(31)를 복수의 약제 공급부(36)보다도 기체 전방측의 위치이며, 또한 대응하는 주 공급부(26)와의 기체 횡폭 방향에서의 동일 위치에 배치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약제 공급부(36)를, 복수의 주 공급부(26)보다도 기체 전방측의 위치이며, 또한 대응하는 주 공급부(26)와의 기체 횡폭 방향에서의 동일 위치에 배치하고, 또한 복수의 비료 공급부(31)를 복수의 약제 공급부(36)보다도 기체 전방측의 위치이며, 또한 대응하는 주 공급부(26)로부터 기체 횡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둔 위치에 배치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5〕 작업 유닛(A)으로서는, 링크 기구(3)에 연결하는 주 프레임(21)에, 시비 장치 전용의 지지 프레임과 시약 장치 전용의 지지 프레임을 기립 설치한 것이어도 된다.
〔6〕주 작업 장치(15)로서는, 모종용의 주 저류부(24)로서의 모종 적재대, 모종용의 복수의 주 조출부(25)로서의 스타휠식 또는 벨트식의 복수의 모종 세로 이송 기구 및 모종용의 복수의 주 공급부(26)로서의 크랭크식 또는 로터리식의 복수의 심기 기구 등을 구비하는 모심기 장치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과산화칼슘 코팅 처리를 실시한 볍씨, 코팅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볍씨, 또는 보리나 채소 등의 종자를 포장에 뿌리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7〕시비 장치(16)로서는, 분말상 또는 액상 등의 비료를 포장에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각 비료 공급부(31)에 시비용 작구기(32)를 구비하지 않고, 시비를 각 작업 줄마다 살포나 적하 등에 의해 행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8〕시비 장치(16)로서는, 작업 유닛(A)을 상한 위치까지 상승시킨 경우에, 각 비료 호퍼(28A)의 상단부에 형성한 비료 보급구가, 주행 차체(1)의 후방부에 구비한 난간(13)의 상단부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9〕시비 장치(16)로서는, 작구식으로 구성한 복수의 비료 공급부(31)를 측면에서 보아 정지 플로트(19)의 요동 지지점(41)과 겹치지 않는 배치로 정지 플로트(19)에 장비한 것이어도 된다.
〔10〕시약 장치(17)로서는, 입상 또는 액상 등의 약제를 포장에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각 약제 공급부(36)에 시약용 작구기(37)를 구비하지 않고, 시약을 각 작업 줄마다 살포나 적하 등에 의해 행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11〕시약 장치(17)로서는, 각 약제 저류부(33)의 상부에 구비한 약제 보급구가 각 주 저류부(24)의 상단부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정도로 낮게 배치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각 약제 저류부(33)의 상부에 구비한 약제 보급구가 각 주 저류부(24)의 상단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것이어도 된다.
〔12〕시약 장치(17)로서는, 각 약제 공급부(36)를, 그들에 구비한 시약용 작구기(37)의 후단부가, 그들의 후방에 위치하는 각 시비용 작구기(32)에 구비한 고랑 형성 보조 부재(38)의 전단부와 측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보다 기체 전방측의 위치에 배치한 것이어도 된다.
〔13〕시약 장치(17)로서는, 작구식으로 구성한 각 약제 공급부(36)를, 측면에서 보아 정지 플로트(19)의 요동 지지점(41)과 겹치는 배치로 정지 플로트(19)에 장비한 것이어도 된다.
〔14〕주 저류부(24)로서는, 상단부에 종자 보급구를 갖는 종자 호퍼(24A)와, 종자 호퍼(24A)에 대한 착탈에 의해 종자 보급구를 개폐하는 종자 호퍼용 덮개(24B)를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15〕주 저류부(24)로서는, 1줄분의 종자 또는 모종, 2줄분의 종자 또는 모종, 혹은 전체 줄분의 종자 또는 모종 등을 저류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16〕비료 저류부(28)로서는, 상단부에 비료 보급구를 갖는 비료 호퍼(28A)와, 비료 호퍼(28A)에 대한 착탈에 의해 비료 보급구를 개폐하는 비료 호퍼용 덮개(28B)를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1줄분의 비료, 2줄분의 비료, 혹은 전체 줄분의 비료 등을 저류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17〕약제 저류부(33)로서는, 상단부에 약제 보급구를 갖는 약제 호퍼(33A)와, 약제 호퍼(33A)에 대한 착탈에 의해 약제 보급구를 개폐하는 약제 호퍼용 덮개(33B)를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1줄분의 약제, 2줄분의 약제, 혹은 전체 줄분의 약제 등을 저류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약제 호퍼(33A)의 상단부가 수평하게 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18〕종자 호퍼용 덮개(24B)를 종자 보급구를 개방하는 후방 경사 자세로 유지하는 유지구(44)를 종자 호퍼(24A)와 종자 호퍼용 덮개(24B) 중 어느 한쪽에 구비한 결합 부재와 다른 쪽에 구비한 피결합 부재로부터 결합식으로 구성해도 된다.
〔19〕 약제 호퍼용 덮개(33B)를 약제 보급구를 개방하는 후방 경사 자세로 유지하는 유지구(45)를 약제 호퍼(33A)와 약제 호퍼용 덮개(33B) 중 어느 한쪽에 구비한 결합 부재와 다른 쪽에 구비한 피결합 부재로부터 결합식으로 구성해도 된다.
〔20〕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비용 작구기(32) 및 시약용 작구기(37)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탄성 변형 불가능한 제1 부재로서의 스테인리스제 등의 상측 부재(70)와, 고랑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제2 부재로서의 수지제 등의 하측 부재(71)로 구성하여, 하측 부재(71)가, 고랑 형성 부하가 커지면 좁은 고랑 폭으로 고랑을 형성하고, 또한 고랑 형성 부하가 작아지면 넓은 고랑 폭으로 고랑을 형성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리고, 이 구성에 있어서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부재(70)의 하단부에 하측 부재(71)의 상단부를 외부 끼움시켜, 고랑 폭을 좁게 하는 방향으로의 하측 부재(71)의 탄성 변형을, 하측 부재(71)의 상단부가 상측 부재(70)의 하단부에 접촉함으로써 제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구기(32, 37)에 연결 장비하는 고랑 형성 보조 부재(38, 39)를 수지제로 하여, 하측 부재(71)를 고랑 형성 보조 부재(38, 39)에 일체 형성해도 된다.
〔21〕시비용 작구기(32) 및 시약용 작구기(37)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탄성 변형 불가능한 제1 부재로서의 스테인리스제 등의 내측 부재와, 고랑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제2 부재로서의 수지제 등의 외측 부재를 구비하는 이중 구조로 구성하고, 외측 부재가, 고랑 형성 부하가 커지면 좁은 고랑 폭으로 고랑을 형성하고, 또한 고랑 형성 부하가 작아지면 넓은 고랑 폭으로 고랑을 형성하고, 또한 고랑 폭을 좁게 하는 방향으로의 외측 부재의 탄성 변형을, 외측 부재가 내측 부재에 접촉함으로써 제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22〕시비용 작구기(32) 및 시약용 작구기(37)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그 전체를 고무판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수지제로 함으로써, 고랑 형성 부하가 커지면 좁은 고랑 폭으로 고랑을 형성하고, 또한 고랑 형성 부하가 작아지면 넓은 고랑 폭으로 고랑을 형성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23〕시비용 작구기(32) 및 시약용 작구기(37)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그 전체를 탄성 변형 가능한 수지제로 하고, 또한 그 상부에 비료 안내관(30) 또는 약제 안내관(35)에 접속하는 벨로우즈부를 일체 형성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24〕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정지 플로트(19)를, 시약용 작구기(37)와 시비용 작구기(32) 사이에 있어서, 좌우의 돌출 영역으로부터 후향으로, 각 후단부가 시비용 작구기(32)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하는 좌우의 작구기간 정지부(19C)를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작업용의 전진 주행에 수반하여 각 정지 플로트(19)의 하방으로 들어간 포장 진흙이, 이때의 주행에 수반되는 시약용 작구기(37)의 고랑 형성에 의해 시약용 작구기(37)의 좌우로 밀어내어지고, 또한 시비용 작구기(32)의 고랑 형성에 의해 시비용 작구기(32)의 좌우로 밀어내어짐으로써, 시약용 작구기(37)와 시비용 작구기(32) 사이에 집중적으로 부상되기 쉬워졌다고 해도, 그들 사이에 위치하는 작구기간 정지부(19C)의 작용에 의해, 시약용 작구기(37)와 시비용 작구기(32) 사이로부터의 포장 진흙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약용 작구기(37)와 시비용 작구기(32) 사이로부터 포장 진흙이 부상하는 것이나, 부상한 포장 진흙이 정지 플로트(19)를 타고 올라가는 것에 기인한 정지 성능의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 작업 장치로서 직파 장치를 구비한 승용 직파기 및 주 작업 장치로서 모심기 장치를 구비한 승용 이앙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1 : 주행 차체
3 : 링크 기구
15 : 주 작업 장치
16 : 시비 장치
17 : 시약 장치
21 : 주 프레임
22 : 지지 프레임
24 : 주 저류부
24A : 종자 호퍼
24B : 종자 호퍼용 덮개
25 : 주 조출부
26 : 주 공급부
28 : 비료 저류부
28A : 비료 호퍼
28B : 비료 호퍼용 덮개
30 : 비료 안내관
31 : 비료 공급부
32 : 시비용 작구기
33 : 약제 저류부
33A : 약제 호퍼
33B : 약제 호퍼용 덮개
34 : 약제 조출부
35 : 약제 안내관
36 : 약제 공급부
37 : 시약용 작구기
44 : 유지구
45 : 유지구
48 : 저속 전동계
49 : 고속 전동계
50 : 연동 기구
65 : 공간
A : 작업 유닛

Claims (13)

  1. 승용형의 주행 차체와, 파종용 또는 모심기용의 주 작업 장치와, 비료를 포장에 공급하는 시비 장치와, 방병용 약제를 포장에 공급하는 시약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주 작업 장치와 상기 시비 장치와 상기 시약 장치를, 작업 유닛으로서 유닛화한 상태에서, 상기 주행 차체의 후방부에 상하 요동식 링크 기구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작업 유닛은, 그 전방부측에 상기 시비 장치에 구비한 비료 저류부를 배치하고, 그 후방부측에 상기 주 작업 장치에 구비한 종자용 또는 모종용의 주 저류부를 배치하고, 상기 주 저류부와 상기 비료 저류부 사이에 상기 시약 장치에 구비한 약제 저류부를 배치하고,
    상기 시약 장치는, 시약용 작구기에 의해 포장의 진흙면에 고랑을 형성하여 고랑 내에 약제를 공급하는 작구식으로 구성한 복수의 약제 공급부와, 상기 약제 저류부로부터의 약제를 대응하는 상기 약제 공급부에 안내하는 복수의 약제 안내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약제 공급부를, 종자 또는 모종을 포장에 공급하는 주 공급부보다도 기체 전방측의 위치에 배치하고 있는, 승용 수전 작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저류부는, 그 상부에 구비한 약제 보급구가 상기 주 저류부의 상단부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는, 승용 수전 작업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료 저류부를 상기 약제 저류부보다도 상방측에 배치하고 있는, 승용 수전 작업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료 저류부는, 상단부에 비료 보급구를 갖는 비료 호퍼와, 상기 비료 보급구를 개폐하는 비료 호퍼용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비료 호퍼용 덮개는, 후방으로의 요동 변위에 의해 상기 비료 보급구를 개방하고, 전방으로의 요동 변위에 의해 상기 비료 보급구를 폐색하는 전후 요동식으로 구성하고 있는, 승용 수전 작업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저류부는, 상단부에 종자 보급구를 갖는 종자 호퍼와, 상기 종자 보급구를 개폐하는 종자 호퍼용 덮개를 구비하여 종자용으로 구성하고,
    상기 종자 호퍼용 덮개는, 전방으로의 요동 변위에 의해 상기 종자 보급구를 개방하고, 후방으로의 요동 변위에 의해 상기 종자 보급구를 폐색하는 전후 요동식으로 구성하고 있는, 승용 수전 작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 호퍼용 덮개를, 상기 종자 보급구를 개방하는 후방 경사 자세로 유지하는 유지구를 구비하고 있는, 승용 수전 작업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저류부는, 상단부에 약제 보급구를 갖는 약제 호퍼와, 상기 약제 보급구를 개폐하는 약제 호퍼용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호퍼용 덮개는, 전방으로의 요동 변위에 의해 상기 약제 보급구를 개방하고, 후방으로의 요동 변위에 의해 상기 약제 보급구를 폐색하는 전후 요동식으로 구성하고 있는, 승용 수전 작업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호퍼용 덮개를, 상기 약제 보급구를 개방하는 후방 경사 자세로 유지하는 유지구를 구비하고 있는, 승용 수전 작업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호퍼의 상단부가 후방 하향으로 경사져 있는, 승용 수전 작업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링크 기구에 연결하는 주 프레임과, 상기 주 프레임에 기립 설치한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해 상기 시비 장치와 상기 시약 장치를 지지하고 있는, 승용 수전 작업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주 작업 장치에 저속의 동력을 전달하는 저속 전동계와, 상기 시비 장치에 고속의 동력을 전달하는 고속 전동계와, 상기 주 작업 장치에 상기 시약 장치를 연동 연결하는 연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승용 수전 작업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작업 장치는, 상기 주 저류부에 저류한 종자 또는 모종을 소정량씩 조출하는 종자용 또는 모종용의 복수의 주 조출부를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상기 시약 장치는, 상기 약제 저류부에 저류한 약제를 소정량씩 조출하는 복수의 약제 조출부를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상기 연동 기구는,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주 조출부의 사이로부터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약제 조출부의 사이에 걸친 공간에 배치하고 있는, 승용 수전 작업기.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작업 장치는, 종자 또는 모종을 포장에 공급하는 복수의 주 공급부를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정렬 배치하고,
    상기 시비 장치는, 시비용 작구기에 의해 포장의 진흙면에 고랑을 형성하여 고랑 내에 비료를 공급하는 작구식으로 구성한 복수의 비료 공급부와, 상기 비료 저류부로부터의 비료를 대응하는 상기 비료 공급부에 안내하는 복수의 비료 안내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비료 안내관과 상기 복수의 약제 안내관을 측면에서 보아 교차시켜, 상기 복수의 비료 공급부를, 상기 복수의 주 공급부보다도 기체 전방측의 위치이며, 또한 대응하는 상기 주 공급부로부터 기체 횡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둔 위치에 배치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약제 공급부를, 상기 복수의 비료 공급부보다도 기체 전방측의 위치이며, 또한 대응하는 상기 주 공급부와의 기체 횡폭 방향에서의 동일 위치에 배치하고 있는, 승용 수전 작업기.
KR1020140116006A 2013-11-19 2014-09-02 승용 수전 작업기 KR102382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39120A JP6150715B2 (ja) 2013-11-19 2013-11-19 乗用水田作業機
JPJP-P-2013-239120 2013-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958A KR20150057958A (ko) 2015-05-28
KR102382289B1 true KR102382289B1 (ko) 2022-04-05

Family

ID=53374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006A KR102382289B1 (ko) 2013-11-19 2014-09-02 승용 수전 작업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150715B2 (ko)
KR (1) KR1023822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2480B2 (ja) * 2016-06-21 2020-01-22 株式会社クボタ 乗用型直播機
JP2017225375A (ja) * 2016-06-21 2017-12-28 株式会社クボタ 乗用型直播機
CN107258195A (zh) * 2017-07-07 2017-10-20 四川省草原科学研究院 用于人工草地和草种基地的施肥喷药装置
CN107211634A (zh) * 2017-07-31 2017-09-29 常州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水稻插秧机
CN107852904A (zh) * 2017-10-30 2018-03-30 华南农业大学 一种同步开沟起垄的滚筒气力水稻穴直播机
CN112042337B (zh) * 2020-09-14 2022-03-01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水稻插秧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113B1 (ko) * 2008-12-09 2012-08-21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농업용 작업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9117U (ja) * 1982-08-18 1984-02-23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湛水土壌複合作業機における各作業装置の覗窓取付構造
JPS60234509A (ja) * 1984-05-07 1985-11-21 井関農機株式会社 播種マルチ装置
JPS6227411U (ko) * 1985-07-31 1987-02-19
JPH06209614A (ja) * 1992-11-30 1994-08-02 Minoru Sangyo Kk 直播機
JP3461161B2 (ja) * 2000-10-11 2003-10-27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の後部バンパー
JP4072619B2 (ja) * 2003-06-09 2008-04-09 アグリテクノ矢崎株式会社 施肥播種機
KR20130071340A (ko) * 2011-12-20 2013-06-2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무논 작업기
JP5839983B2 (ja) * 2011-12-22 2016-01-0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2013201919A (ja) 2012-03-27 2013-10-07 Kubota Corp 粒体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113B1 (ko) * 2008-12-09 2012-08-21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농업용 작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97501A (ja) 2015-05-28
KR20150057958A (ko) 2015-05-28
JP6150715B2 (ja) 201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2289B1 (ko) 승용 수전 작업기
JP6858809B2 (ja) 苗植付機
JP5714822B2 (ja) 水田作業機
KR102282594B1 (ko) 직파기 및 그 직파기를 사용한 직파 방법
KR102247415B1 (ko) 수전 작업기
KR20140094417A (ko) 수전 작업기
WO2019082517A1 (ja) 乗用田植機
JP2013132235A (ja) 水田作業機
JP5763478B2 (ja) 田植機
JP6406826B2 (ja) 水田作業機
KR101973927B1 (ko) 무논 작업기
JP6030535B2 (ja) 水田作業機
JP5586197B2 (ja) 固形体散布機及び作業車両
JP6524045B2 (ja) 水田作業機
KR20170077036A (ko) 승용형 직파기
KR102485084B1 (ko) 수전 작업기
JP7072593B2 (ja) 水田作業機
JP6861180B2 (ja) 水田作業機
JP6468719B2 (ja) 水田作業機
JP6259031B2 (ja) 直播機及びその直播機を用いた直播方法
CN114532020A (zh) 插秧机
JPH11225523A (ja) 乗用型田植機
JP2007282584A (ja) 苗移植機
JP2007282584A5 (ko)
JP2018164407A (ja) 田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