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180B1 - 분립체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분립체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180B1
KR102450180B1 KR1020170077879A KR20170077879A KR102450180B1 KR 102450180 B1 KR102450180 B1 KR 102450180B1 KR 1020170077879 A KR1020170077879 A KR 1020170077879A KR 20170077879 A KR20170077879 A KR 20170077879A KR 102450180 B1 KR102450180 B1 KR 102450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nular material
chemical
medical agent
powder
recessed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507A (ko
Inventor
다로 나카무라
요시키요 나카가와
쇼타 이시하라
요시히토 가토
히로키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가부시끼가이샤 사이또오 노오끼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가부시끼가이샤 사이또오 노오끼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80002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6Seeders combined with fertilis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7/00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vermin in soil or in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9/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powder-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9/0053Mechanical dusters
    • A01M9/0069Gravity du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rtiliz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Sowing (AREA)

Abstract

농용 분립체의 공급량을 안정시킬 수 있는 분립체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농용 분립체인 약제를 저류하는 약제 호퍼와, 약제 호퍼에 저류되어 있는 약제를 수용 가능한 복수의 수용 오목부(88)를 회전 방향(A1)을 따라 나열하여 갖고, 회전 구동에 의해 수용 오목부(88)에 수용된 약제를 낙하시켜서 하방으로 조출하는 약제 조출 롤(85)과, 약제 조출 롤(85)의 회전 구동에 따라 수용 오목부(88)로부터 비어져 나온 약제를 마찰시켜 절단하는 마찰 절단 부재(86)가 구비되고, 회전 방향에 있어서, 약제 조출 롤(85)에 마찰 절단 부재(86)가 작용하는 범위 C1이, 1개의 수용 오목부(88)가 위치하는 범위 C2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분립체 공급 장치 {GRAIN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농용 분립체를 저류하는 저류부가 구비되어 있는 분립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 종래의 분립체 공급 장치(동 문헌에서는 「약제 살포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분립체 공급 장치에는, 저류부(동 문헌에서는 「탱크」)에 저류되어 있는 분립체(상기 문헌에서는 「약제」)를 수용 가능한 복수의 수용 오목부(동 문헌에서는 「조출 오목부」)를 회전 방향을 따라서 나열하여 갖고, 회전 구동에 의해 수용 오목부에 수용된 분립체를 낙하시켜서 하방으로 조출하는 조출 롤(동 문헌에서는 「조출 롤」)이 구비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72223호 공보(도 7)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조출 롤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조출 롤에 마찰 절단 부재가 작용하는 범위가, 1개의 수용 오목부가 위치하는 범위보다도 작게 되어 있으므로, 조출 롤의 회전을 정지시켰을 때 등에, 수용 오목부 중 마찰 절단 부재로 커버되어 있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농용 분립체가 누출되기 쉬워, 공급량이 안정되기 어려워지고 있었다.
상기 실정에 비추어, 농용 분립체의 공급량을 안정시킬 수 있는 분립체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분립체 공급 장치는,
농용 분립체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 상기 분립체를 수용 가능한 복수의 수용 오목부를 회전 방향을 따라서 나열하여 갖고,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수용 오목부에 수용된 상기 분립체를 낙하시켜서 하방으로 조출하는 조출 롤과,
상기 조출 롤의 회전 구동에 따라 상기 수용 오목부로부터 비어져 나온 상기 분립체를 마찰시켜 절단하는 마찰 절단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조출 롤에 상기 마찰 절단 부재가 작용하는 범위가, 1개의 상기 수용 오목부가 위치하는 범위보다도 커지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출 롤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조출 롤에 마찰 절단 부재가 작용하는 범위가, 1개의 수용 오목부가 위치하는 범위보다도 커지고 있으므로, 조출 롤의 회전을 정지시켰을 때 등에 있어서도, 마찰 절단 부재로 수용 오목부 전체가 커버되기 쉬워지고, 수용 오목부로부터 농용 분립체의 누출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농용 분립체의 공급량이 더 이상 불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면, 농용 분립체의 공급량을 안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측의 상기 수용 오목부와, 상기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측의 상기 수용 오목부에 인접하는 하측의 상기 수용 오목부가, 상기 회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보다 적합하게는, 상기 상측의 상기 수용 오목부와 상기 하측의 상기 수용 오목부는, 상기 회전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고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조출 롤을 회전 구동할 때에, 하측의 수용 오목부로부터의 농용 분립체의 공급이 끝나기 전(또는 끝나는 동시)에, 상측의 수용 오목부로부터의 농용 분립체의 공급이 개시되므로, 조출 롤로부터의 농용 분립체의 공급을 도중에 끊어지지 않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마찰 절단 부재에 의해 상측의 수용 오목부와 하측의 수용 오목부의 양쪽이 커버되므로, 수용 오목부로부터의 농용 분립체의 누출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 오목부가,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보다도 상기 회전 방향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부와, 상기 중앙부보다도 상기 회전 방향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부를 갖고,
상기 상측의 상기 수용 오목부의 상기 하측부와, 상기 하측의 상기 수용 오목부의 상기 상측부가, 상기 회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조출 롤을 회전 구동할 때에, 하측의 수용 오목부의 상측부로부터의 농용 분립체의 공급이 끝나기 전(또는 끝나는 동시)에, 상측의 수용 오목부의 하측부로부터의 농용 분립체의 공급이 개시되므로, 조출 롤로부터의 농용 분립체의 공급을 도중에 끊어지지 않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마찰 절단 부재에 의해 상측의 수용 오목부의 하측부와 하측의 수용 오목부의 상측부와의 양쪽이 커버되므로, 수용 오목부로부터의 농용 분립체의 누출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찰 절단 부재가, 상기 조출 롤의 외주면에 맞닿는 복수의 스크레이퍼를 상기 회전 방향을 따라서 나열하여 갖고,
상기 복수의 스크레이퍼의 선단부가, 상기 조출 롤의 회전 축심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조출 롤의 외주면에 맞닿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각 스크레이퍼의 선단부가, 각각 조출 롤의 외주면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여 맞닿으므로, 예를 들어 각 스크레이퍼의 선단부가, 각각 조출 롤의 외주면을 따른 방향에 맞닿는 구성에 비하여, 농용 분립체의 긁어 떨어뜨리기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스크레이퍼의 선단부와 조출 롤의 외주면이 이루는 각도가 각 스크레이퍼에서 대략 동일해지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스크레이퍼의 선단부와 조출 롤의 외주면이 이루는 각도가 스크레이퍼마다 크게 다른 구성에 비하여, 스크레이퍼의 마모 진행 정도가 변동되기 어려워져, 장기 사용에 견딜 수 있는 마찰 절단 부재가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끼리의 사이에 간극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간극 공간은, 상기 스크레이퍼의 선단부측보다도 지지부측이 폭이 넓어져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스크레이퍼로 긁어 떨어뜨린 농용 분립체는, 스크레이퍼의 선단부측으로부터 지지부측을 향해 스크레이퍼 사이의 간극 공간 속을 솟아오르는 경우가 있지만, 그 간극 공간은 스크레이퍼의 선단부측보다도 지지부측이 폭이 넓게 되어 있으므로, 긁어 떨어뜨린 농용 분립체가 간극 공간의 지지부측으로 빠져 나가기 쉬워져, 스크레이퍼 간에 농용 분립체가 막히기 어려워진다.
도 1은 승용형 직파기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파종 장치 및 약제 공급 장치의 주변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파종 장치 및 약제 공급 장치의 주변을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4는 약제 공급 장치의 주변을 나타내고,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5는 파종 장치, 시비 장치 및 약제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플로트 부근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 상면도이다.
도 6은 파종 장치와 약제 공급 장치에의 전동계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약제 공급 장치의 조출부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8은 약제 공급 장치의 조출 롤의 전면도이다.
도 9는 약제 공급 장치의 마찰 절단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약제 공급 장치의 조출 롤의 수용 오목부와 마찰 절단 부재의 치수 관계 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정지 부재의 주변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12는 정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약제 공급 장치에의 전동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약제 공급 장치에의 전동계의 각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약제 공급 장치의 스토퍼 기구의 주변을 나타내는 횡단 상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례인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분립체 공급 장치」는, 식파계 수전 작업기의 일례인 승용형 직파기 등에 탑재 가능한 것이다. 이로 인해, 먼저 승용형 직파기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방향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5의 부호 F의 방향이 「전」, 도 1 및 도 5의 부호 B의 방향이 「후」, 도 5의 부호 L의 방향이 「좌」, 도 5의 부호 R의 방향이 「우」이다.
〔승용형 직파기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도 1, 도 2 등에 나타내는 승용형 직파기에는, 주행 장치로서의 좌우 한 쌍의 전륜(1) 및 좌우 한 쌍의 후륜(2)에 의해 자주 가능한 기체가 구비되어 있다. 기체의 후방부에는, 승강 가능한 링크 기구(3), 링크 기구(3)를 승강 구동하는 유압 실린더(4)가 구비되어 있다.
링크 기구(3)의 후방부에는, 벼 등의 작물의 종자(예를 들어 볍씨)를 포장에 공급하는 파종 장치(5)가 지지되고 있다. 기체에 있어서의 링크 기구(3)의 주변에는, 포장에 비료를 공급하는 시비 장치(6)가 구비되어 있다. 링크 기구(3)의 후방부에는, 포장에 약제(「농용 분립체」의 일례)를 공급하는 약제 공급 장치(7)(「분립체 공급 장치」의 일례)가 지지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승용형 직파기는, 6줄분의 파종, 시비, 시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6줄 사양으로 되어 있다.
〔프레임 구조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에는 좌우 방향을 따른 하부 횡 프레임(8)이 구비되어 있다. 하부 횡 프레임(8)의 중앙부에는, 판재로 구성된 상자 형상의 프레임부(9)가 연결되어 있다. 프레임부(9)에는, 전후 방향을 따른 보스부(10)가 연결되어 있다. 프레임부(9) 및 하부 횡 프레임(8)에는, 각각 상하 방향의 전방 종 프레임(11)이 연결되어 있다. 각 전방 종 프레임(11)의 상단부는, 좌우 방향을 따른 상부 횡 프레임(12)으로 연결되어 있다.
하부 횡 프레임(8)의 좌우 양측단부에는, 각각 전후 방향의 외측 전후 프레임(13)이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부 횡 프레임(8)에 있어서의 외측 전후 프레임(13)보다도 기체의 좌우 내측에는, 각각 중간 전후 프레임(14)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부 횡 프레임(8)에 있어서의 중간 전후 프레임(14)보다도 기체의 좌우 내측에는, 각각 내측 전후 프레임(15)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좌우의 외측 전후 프레임(13)의 후방부에는, 각각 상하 방향의 후방 종 프레임(16)이 연결되어 있다. 각 후방 종 프레임(16)의 상부는, 좌우 방향의 후방 횡 프레임(1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9)는 링크 기구(3)의 후방부 하부에, 전후 축심 P1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하부 횡 프레임(8) 등의 전체는, 전후 축심 P1 주위에 롤링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상부 횡 프레임(12)의 좌 우 부분에는, 각각 설치 브래킷(18)이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설치 브래킷(18)과 링크 기구(3)의 후방부 상부에 걸쳐, 하부 횡 프레임(8) 등의 전체를 기체와 병행한 자세로 압박하는 조절 스프링(19)이 접속되어 있다.
외측 전후 프레임(13)의 후방부에는, 지지 브래킷(20)이 연결되어 있다. 각 지지 브래킷(20)에는, 횡 축심 P2 주위에 상하로 요동 가능해지도록, 플로트(21)의 후방부가 지지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트(21)는 4개 구비되어 있다. 좌우의 외측 플로트(21)는, 상면에서 보아 L자 형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좌우의 내측 플로트(21)는 상면에서 보아 T자 형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륜(2)에는, 본륜(2A), 본륜(2A)의 좌우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보조륜(2B), 본륜(2A)의 좌우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보조륜(2C)이 구비되어 있다. 내측 보조륜(2B), 외측 보조륜(2C)은, 기체의 내려앉음을 완화하는 어태치먼트이며, 본륜(2A)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좌우의 외측 플로트(21)는, 각각 후륜(2)의 외측 보조륜(2C)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좌우의 내측 플로트(21)는, 좌우의 후륜(2)의 내측 보조륜(2B)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외측의 플로트(21)와 내측의 플로트(21) 사이의 전방측에, 후륜(2)의 본륜(2A)이 위치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플로트(21)의 후방부 저면에는, 각각 배수용 홈을 논바닥에 형성하는 배수용 구절기(22)가 설치되어 있다.
도 5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중간 전후 프레임(14)의 전단부에는, 각각 레이크 형상의 정지 부재(23)가 지지되고 있다. 각 정지 부재(23)의 좌우 중앙부는, 각각 후륜(2)의 본륜(2A)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각 정지 부재(23)의 좌우 양단부는, 각각 외측 플로트(21)와 내측 플로트(21)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2, 도 5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 부재(23)의 설치부(107)의 상측에는, 판 형상의 진흙 제거판(103)이 설치되어 있다. 진흙 제거판(103)에 의해 후륜(2)으로부터 플로트(21) 위를 향해 날아가는 진흙을 받아낼 수 있어, 플로트(21) 위에 진흙이 실리기 어렵게 되어 있다.
도 5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내측 플로트(21) 사이에는, 레이크 형상의 중앙 정지판(104)이 구비되어 있다. 중앙 정지판(104)은, 2개의 내측 플로트(21) 사이의 영역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13, 도 1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횡 프레임(17)에는, 판 형상의 제1 브래킷(24) 및 판 형상의 제2 브래킷(25)을 통해, 지지 부재(26)가 고정 지지되고 있다.
〔파종 장치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 도 6에 나타내는 파종 장치(5)에는, 종자를 저류하는 2개의 종자 호퍼(27), 종자를 포장을 향해 조출하는 6개의 종자 조출부(28), 종자를 포장을 향해 안내 가능한 6개의 종자 안내 부재(29)가 구비되어 있다. 파종 장치(5)는, 논바닥의 표면에 종자를 뿌리는 표면 뿌리기형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복수 입자의 종자를 하나의 괴상으로 공급(점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6개의 종자 조출부(28)는, 후방 횡 프레임(17)에,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있다. 종자 안내 부재(29)는, 각각 대응하는 종자 조출부(28)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종자 안내 부재(29)는, 후방측이 개방된 단면 U자 형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종자 호퍼(27)는, 각각 3개의 종자 조출부(28)의 상부에 걸쳐서 연결되어 있다.
종자 호퍼(27)의 종자는, 종자 조출부(28)에 의해 소정량씩 조출되고, 조출된 종자가 종자 안내 부재(29)의 내부를 통해서 낙하하여, 논바닥(표면)에 공급된다.
〔시비 장치에 대해서〕
도 1 등에 나타내는 시비 장치(6)에는, 비료를 저류하는 2개의 비료 호퍼(30), 6개의 비료 조출부(31), 6개의 비료 파이프(32), 6개의 비료용 작구기(33), 각 비료 파이프(32) 내의 비료를 비료용 작구기(33)를 향해 압송하는 공기를 발생시키는 블로워(34)가 구비되어 있다. 비료 호퍼(30) 및 비료 조출부(31)는, 기체의 대략 전후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즉, 이 승용형 파종기는, 소위 미드 시비 사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지만, 각 비료 호퍼(30)는, 각각 3개의 비료 조출부(31)의 상부에 걸쳐서 연결되어 있다. 도 4, 도 5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트(21)에는 비료용 구절 판(35) 및 비료용 진흙 모음 부재(36)가 연결되어 있다. 비료 파이프(32)는, 비료 조출부(31)와 비료용 작구기(33)에 걸쳐서 접속되어 있다.
비료 호퍼(30)의 비료가 비료 조출부(31)에 의해 조출되고, 조출된 비료가 비료 파이프(32)로부터 비료용 작구기(33)에 공급되고, 비료용 구절 판(35) 및 비료용 작구기(33)에 의해 논바닥에 형성된 홈에 비료가 공급된다. 비료가 공급된 홈은, 비료용 진흙 모음 부재(36)의 진흙 모음 작용에 의해 매립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시비 장치(6)는, 파종 장치(5)에 의한 종자가 공급되는 예정된 개소의 옆에 인접한 개소에, 비료를 매립하도록 해서 공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약제 공급 장치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5, 도 7 등에 나타내는 약제 공급 장치(7)에는, 3개의 약제를 저류하는 약제 호퍼(38)(「저류부」에 상당), 6개의 약제 조출부(39), 6개의 약제 파이프(40), 6개의 약제용 작구기(41)가 구비되어 있다. 약제 공급 장치(7)는, 약제로서 종자용 살충제(살균제)를 포장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도 3, 도 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약제 조출부(39)는, 상부 횡 프레임(12)에,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있다. 각 약제 호퍼(38)는, 2개의 약제 조출부(39)의 상부에 걸쳐 연결되어 있다. 플로트(21)에 약제용 구절 판(42) 및 약제용 진흙 모음 부재(43)가 연결되고, 약제용 구절 판(42)에 약제용 작구기(41)가 연결되어 있다. 약제 파이프(40)는, 약제 조출부(39)와 약제용 작구기(41)에 걸쳐 접속되어 있다.
약제 호퍼(38)의 약제가 약제 조출부(39)에 의해 조출되고, 조출된 약제가 약제 파이프(40)로부터 약제용 작구기(41)에 공급되고, 약제용 구절 판(42) 및 약제용 작구기(41)에 의해 논바닥에 형성된 홈에 약제가 공급된다. 약제가 공급된 홈은, 약제용 진흙 모음 부재(43)의 진흙 모음 작용에 의해 매립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약제 공급 장치(7)는, 파종 장치(5)에 의해 종자가 공급되는 예정된 개소의 바로 아래 개소에, 약제를 매립하도록 해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파종 장치와 약제 공급 장치에의 전동계에 대해서〕
도 1에 도시하는 엔진(45)으로부터의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축(46)(도 2, 도 6 참조)은, 보스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축(46)은 베벨 기어 기구(47)를 통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 전동축(48)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제1 전동축(48)은,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2 전동축(49)에, 체인 전동 기구(50)를 통해, 연동 연결되어 있다. 체인 전동 기구(50)는, 커버(51)로 덮여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전동축(49)에는 파종 장치(5)마다,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또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시프터(52)가 설치되어 있다. 시프터(52)는, 2개 1세트로 일체가 되어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시프터(52)에 대응하여, 제2 전동축(49)에는 상대 회전 가능한 전동 기어(53)가 설치되어 있다. 전동 기어(53)는, 시프터(52)에 맞물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동 기어(53)는, 피전동 기어(54)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피전동 기어(54)는, 파종 장치(5)의 종자 조출부(28)를 구동하는 종자 전동축(55)과 일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시프터(52)를 슬라이드 이동해서 전동 기어(53)에 맞물리게 하면, 제2 전동축(49)의 동력이 종자 전동축(55)에 전달되고, 종자 조출부(28)가 구동되어, 파종 장치(5)에 의한 종자의 공급이 행하여진다. 한편, 시프터(52)를 슬라이드 이동해서 전동 기어(53)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면, 제2 전동축(49)의 동력이 종자 전동축(55)에 전달되지 않게 되어, 종자 조출부(28)가 정지되고, 파종 장치(5)에 의한 종자의 공급이 정지된다.
도 2, 도 6, 도 13, 도 1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6개의 피전동 기어(54) 중 3개의 피전동 기어(54)에는, 약제 공급 장치(7)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기구(56)가 연동 연결되어 있다.
도 6, 도 13, 도 1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기구(56)에는, 피전동 기어(54)에 맞물리는 구동 기어(57), 구동 기어(57)에 연동 연결되는 제1 부재(58), 제1 부재(58)에 연동 연결되어서 설치 위치를 변경 가능한 제2 부재(59)에 연동 연결되는 제3 부재(60), 제1 스프링(61), 제2 부재(59)에 설치되는 연결 로드(62)가 구비되어 있다. 전동 기구(56)에는, 연결 로드(62)에 연동 연결되는 접속 부재(63), 접속 핀(64), 제2 스프링(65), 접속 부재(63)에 연동 연결되는 중계 부재(6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전동 기구(56)에는, 중계 부재(66)에 연동 연결되는 제1 원웨이 클러치 기구(67), 중계 부재(66)에 연동 연결되는 제2 원웨이 클러치 기구(68)가 구비되어 있다. 제1 부재(58)에는, 복수의 걸림 결합부(69)가 구비되어 있다.
도 13, 도 1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부재(58)는, 지지 부재(26)에 고정되는 좌우 방향의 회전축(70)에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고 있다. 제3 부재(60)는, 제2 부재(59)에 핀 접속되고, 제1 스프링(61)에 의해 걸림 결합부(69)에 걸림 결합하는 측에 압박되고 있다. 연계 로드(71)의 일단부는, 제2 부재(59)의 지지점 핀(72)에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연계 로드(71)의 타단부는, 접속 부재(63)에 핀 접속되어 있다. 중계 부재(66)에는, 복수의 위치 조정용의 접속 구멍(73)이 개구되어 있다. 접속 핀(64)은, 접속 부재(63)의 구멍부와 중계 부재(66)의 선택된 접속 구멍(73)을 지나 삽입 관통되어 있다. 접속 핀(64)은, 제2 스프링(65)에 의해 돌출측으로 압박되고 있다. 제1 부재(58), 제2 부재(59), 제3 부재(60), 제1 스프링(61) 등에 의해 조절부(74)가 구성되어 있다.
도 13, 도 1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원웨이 클러치 기구(67)에는, 제1 연계 부재(75), 제1 아암부(76), 제1 원웨이 클러치(77)가 구비되어 있다. 제2 원웨이 클러치 기구(68)에는, 제2 연계 부재(78), 제2 아암부(79), 제2 원웨이 클러치(80)가 구비되어 있다. 중계 부재(66)는, 좌우 방향의 요동 축(81)에 피봇 지지되어 있다. 도 1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원웨이 클러치 기구(67)와 제2 원웨이 클러치 기구(68)는, 2개 1세트인 약제 조출부(39)에 연동 연결되는 약제 입력축(82)에 동력을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동 기구(56)에 있어서, 중계 부재(66)가 제1 방향으로 요동하면, 제1 원웨이 클러치 기구(67)에 의해 약제 입력축(82)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 구동됨과 함께, 제2 원웨이 클러치 기구(68)는 공회전한다. 한편, 전동 기구(56)에 있어서, 중계 부재(66)가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요동하면, 제2 원웨이 클러치 기구(68)에 의해 약제 입력축(82)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 구동됨과 함께, 제1 원웨이 클러치 기구(67)가 공회전한다. 즉, 중계 부재(66)의 왕복 이동의 양쪽이, 제1 원웨이 클러치 기구(67) 및 제2 원웨이 클러치 기구(68)의 소정 방향의 회전 동력으로서 전달된다.
도 13, 도 14 등에 나타내는 조절부(74)의 조작에 의해, 제1 원웨이 클러치 기구(67)의 제1 아암부(76) 및 제2 원웨이 클러치 기구(68)의 제2 아암부(79)의 요동 범위(T)를 변경할 수 있다. 요동 범위(T)를 변경함으로써, 약제 입력축(82)의 회전 속도가 변경되어, 약제 조출부(39)로부터의 단위 시간당의 약제의 조출량이 변경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파종 장치(5)와 약제 공급 장치(7)는, 도 6에 나타내는 한 쌍의 시프터(52)의 조작에 의해, 2개 1세트(2줄씩) 단위로 구동 상태와 비구동 상태를, 일체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약제 공급 장치의 조출 롤과 마찰 절단 부재에 대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조출부(39)의 케이스(84)의 내부에는, 회전 구동되어서 약제를 조출하는 약제 조출 롤(85)(「조출 롤」의 일례)과, 약제 조출 롤(85)의 회전 구동 시에 약제 조출 롤(85)이 여분의 약제를 마찰시켜 절단하는 마찰 절단 부재(86)가 구비되어 있다.
도 7, 도 8, 도 10에 도시하는 약제 조출 롤(85)은, 합성 수지제이며,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약제 조출 롤(85)에 일체 성형된 축부(87)에, 약제 입력축(82)이 연결되어 있다. 축부(87)에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약제 조출 롤(85)은 좌우 방향의 회전 축심(P3) 주위로 회전 방향(A1)으로 회전 구동된다.
도 7, 도 8,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조출 롤(85)은, 약제 호퍼(38)에 저류되어 있는 약제를 수용 가능한 복수의 수용 오목부(88)를 회전 방향(A1)을 따라 나열하여 갖고 있다. 각 수용 오목부(88)는, 그 연장 방향이 서로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약제 조출 롤(85)은, 회전 구동에 의해 수용 오목부(88)에 수용된 약제를 낙하시켜서 하방으로 조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 8,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오목부(88)는 회전 축심(P3)의 방향을 따라서 긴 타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88)는, 회전 방향(A1)에 대하여 비스듬히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수용 오목부(88)의 연장 방향은, 약제 조출 롤(85)의 회전 축심(P3)의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도 8,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조출 롤(85)의 외주면(89)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수용 오목부(88) 사이에 위치하는 약제 조출 롤(85)의 구획부(90)도 마찬가지로, 수용 오목부(88)와 평행하고 회전 방향(A1)에 대하여 비스듬히 교차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방향(A1)에 있어서, 약제 조출 롤(85)의 구획부(90)의 폭 B2는, 수용 오목부(88)의 폭 B1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의 수용 오목부(88)와, 회전 방향(A1)에 있어서 상측의 수용 오목부(88)에 인접하는 하측의 수용 오목부(88)는, 회전 방향(A1)과 직교하는 방향[회전 축심(P3)의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측의 수용 오목부(88)와, 하측의 수용 오목부(88)는, 회전 방향(A1)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어 있다. 즉, 서로 인접하는 수용 오목부(88)는, 약제의 공급 타이밍이 부분적으로 겹치게 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오목부(88)는 중앙부(91)와, 중앙부(91)보다도 회전 방향(A1)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부(92)와, 중앙부(91)보다도 회전 방향(A1)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부(93)를 갖고 있다. 하측부(92)는 중앙부(91)로부터 회전 방향(A1)과 직교하는 소정 방향(A2)[회전 축심(P3)의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고, 상측부(93)는 중앙부(91)로부터 소정 방향(A2)의 타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측의 수용 오목부(88)의 하측부(92)와 하측의 수용 오목부(88)의 상측부(93)는, 소정 방향(A2)에서는 일방측 및 타방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되어 있지만, 회전 방향(A1)에서는 서로 접근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의 수용 오목부(88)의 하측부(92)와 상측의 수용 오목부(88)에 회전 방향(A1)의 하측에 인접하는 하측의 수용 오목부(88)의 상측부(93)는, 회전 방향(A1)과 직교하는 소정 방향(A2)으로 나열되어 있다. 설명을 덧붙이면, 인접하는 회전 방향(A1)의 상측 수용 오목부(88) 및 회전 방향(A1)의 하측의 수용 오목부(88)에 있어서, 소정 방향(A2)으로부터 보아 상측의 수용 오목부(88)의 하측부(92)와 하측의 수용 오목부(88)의 상측부(93)는, 범위(B3)에서 중복되고 있다.
도 7, 도 9, 도 10에 도시하는 마찰 절단 부재(86)에는, 케이스(84)에 설치 지지되는 경질인 수지의 설치 부재(94)와, 설치 부재(94)에 고정되어, 연질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작용 부재(99)가 구비되어 있다.
마찰 절단 부재(86)의 작용 부재(99)는, 약제 조출 롤(85)의 외주면(89)에 맞닿는 복수(예를 들어 3개)의 평판 형상의 스크레이퍼(95)를 회전 방향(A1)을 따라 나열하여 갖고 있다. 각 스크레이퍼(95)는, 설치 부재(94)측의 지지부(96)가 일체로 되어서 연결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스크레이퍼(95)의 선단부(97)는, 약제 조출 롤(85)의 외주면(89)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도 7, 도 9,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스크레이퍼(95)는, 각각 선단부(97)의 약제 조출 롤(85)의 외주면(89)에 작용하는 선 형상부가 회전 축심(P3)과 평행해지고 있다.
도 7, 도 9,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크레이퍼(95)의 선단부(97)의 판면은, 서로 비평행하게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크레이퍼(95)의 선단부(97)는, 약제 조출 롤(85)의 회전 축심(P3)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약제 조출 롤(85)의 외주면(89)에 맞닿고 있다. 바꿔 말하면, 복수의 스크레이퍼(95)의 선단부(97)는, 약제 조출 롤(85)의 회전 축심(P3)을 중심으로 해서 방사 방향을 따른 방향[약제 조출 롤(85)의 직경 방향을 따른 방향]을 향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방향(A1)에 있어서, 약제 조출 롤(85)에 마찰 절단 부재(86)의 스크레이퍼(95)가 작용하는 범위 C1은, 1개의 수용 오목부(88)가 위치하는 범위 C2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또한, 각 스크레이퍼(95)의 회전 축심(P3) 방향의 길이는, 수용 오목부(88)의 회전 축심(P3) 방향의 길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즉, 마찰 절단 부재(86)와 수용 오목부(88)는, 회전 방향(A1)의 최상측의 스크레이퍼(95)의 선단부(97)와 회전 방향(A1)의 최하측의 스크레이퍼(95)의 선단부(97)와의 사이에, 1개의 수용 오목부(88)가 완전히 수용되는 것이 가능한 치수 관계로 되어 있다.
도 7, 도 9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95)끼리의 사이에는, 간극 공간(S)이 마련되어 있다. 간극 공간(S)의 회전 방향(A1)을 따른 폭 B4는, 수용 오목부(88)의 회전 방향(A1)을 따른 폭 B1과 대략 동일한(또는 조금 작은) 크기로 되어 있다. 간극 공간(S)은, 스크레이퍼(95)의 선단부(97)측보다도 지지부(96)측이 폭이 넓게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각 스크레이퍼(95)는 선단부(97)측으로부터 지지부(96)측을 향함에 따라서 서로의 거리가 이격되도록 되어 있다. 간극 공간(S)의 크기는, 약제의 평균 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이러한 간극 공간(S)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스크레이퍼(95) 사이에 약제의 막힘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도 7, 도 8, 도 10에서 이해되는 것처럼, 약제 조출 롤(85)이 회전 방향(A1)으로 회전 구동되어, 수용 오목부(88)가 약제 호퍼(38)의 하부에 위치하는 약제 출구부(98)에 도달하면, 약제가 수용 오목부(88)에 들어간다. 수용 오목부(88)가 마찰 절단 부재(86)에 도달함으로써, 마찰 절단 부재(86)의 마찰 절단 작용에 의해, 수용 오목부(88)의 용적에 상당하는 약제를 제외하고, 약제가 비벼서 끊어진다.
거기에서 다시 약제 조출 롤(85)이 회전 방향(A1)으로 회전 구동되면, 하측의 수용 오목부(88)의 하측부(92)가 마찰 절단 부재(86)의 하변부에 도달하고, 하측의 수용 오목부(88)의 하측부(92)로부터 약제가 나온다. 거기에서 다시 약제 조출 롤(85)이 회전 방향(A1)으로 회전 구동되면, 하측의 수용 오목부(88)의 중앙부(91)가 마찰 절단 부재(86)의 하변부에 도달하고, 하측의 수용 오목부(88)의 중앙부(91)로부터 약제가 나온다. 거기에서 다시 약제 조출 롤(85)이 회전 방향(A1)으로 회전 구동되면, 하측의 수용 오목부(88)의 상측부(93)가 마찰 절단 부재(86)의 하변부에 도달하고, 하측의 수용 오목부(88)의 상측부(93)로부터 약제가 나온다.
이 경우, 하측의 수용 오목부(88)의 상측부(93)가 마찰 절단 부재(86)의 하변부에 도달했을 때에, 상측의 수용 오목부(88)의 하측부(92)도 마찰 절단 부재(86)의 하변부에 도달하고 있는 상태가 되어, 하측의 수용 오목부(88)의 상측부(93)로부터 약제가 나오면서, 상측의 수용 오목부(88)의 하측부(92)로부터 약제가 나오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하측의 수용 오목부(88)와 상측의 수용 오목부(88) 사이에 있어서, 약제가 도중에 끊어지는 상태를 발생시키지 않고, 약제 조출 롤(85)로부터 약제를 연속적으로 조출할 수 있다. 또한, 약제 조출 롤(85)의 회전 중은, 하측의 수용 오목부(88)와 상측의 수용 오목부(88)로부터 동시에 약제가 조출될 때에, 1개의 수용 오목부(88)만으로부터 약제가 조출될 때보다도, 약제의 공급량이 많아진다. 즉, 상술한 전동 기구(56)의 조절부(74)의 조절에 의해, 포장에 약제가 밀하게 공급되는 간격(주간)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설치 부재(94)는 케이스(84)에 대한 설치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에 의해, 작용 부재(99)의 각 스크레이퍼(95)가 약제 조출 롤(85)의 외주면(89)에 작용하는 작용 자세와, 작용 부재(99)의 각 스크레이퍼(95)가 약제 조출 롤(85)의 외주면(89)에 작용하지 않는 메인터넌스용의 해제 자세로 마찰 절단 부재(86)의 자세를 전환할 수 있다.
〔약제 공급 장치에의 전동 기구의 사점 초과 규제에 대해서〕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내는 전동 기구(56)를 고속으로 구동한 경우에, 진동 등에 의해 큰 관성력이 작용하면, 전동 기구(56)가 사점을 넘어서 요동할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기구(56)에는, 요동 시의 사점 초과를 규제하는 스토퍼 기구(100)가 구비되어 있다.
스토퍼 기구(100)에는, 지지 부재(26)에 있어서 돌출부로서 설치된 규제편(101)과, 접속 핀(64)에 있어서 규제편(101)이 맞닿음 가능한 라운딩을 띤 맞닿음부(102)가 구비되어 있다.
복수의 접속 구멍(73) 중 상측의 접속 구멍(73)에 접속 부재(63)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계 부재(66)의 요동 범위(T)가 커지므로, 중계 부재(66)가 지나치게 요동하면, 규제편(101)이 접속 핀(64)의 맞닿음부(102)에 맞닿게 되어 있다. 한편, 복수의 접속 구멍(73) 중 하측의 접속 구멍(73)에 접속 부재(63)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계 부재(66)의 요동 범위(T)가 작아지므로, 규제편(101)이 접속 핀(64)의 맞닿음부(102)의 요동 궤적의 연장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것이 된다. 즉, 지지 부재(26)의 규제편(101)은, 필요 충분한 크기가 되어 콤팩트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동 기구(56)에 있어서 사점을 넘어선 요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사점의 초과에 기인해서 기어 비산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적절히 피할 수 있다.
〔정지 부재에 대해서〕
도 2, 도 3, 도 5, 도 11,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 부재(23)에는 복수의 중앙부 톱니(105)와, 복수의 중앙부 톱니(105)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단부 톱니(106)와, 설치부(107)와, 보강 브래킷(108)이 구비되어 있다.
설치부(107)는, 중앙 3개의 중앙부 톱니(105)의 전방부로부터 기립 설치되어 있다. 보강 브래킷(108)은, 좌우 외측의 중앙부 톱니(105)와 설치부(107)를 연결하는 앵글 형상의 부재로 되어 있다. 설치부(107)에는, 높이 조정용의 한 쌍의 세로로 긴 타원(109)이 개구되어 있다. 중간 전후 프레임(14)에 대하여 타원(109)의 설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정지 부재(23)의 설치 높이를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중앙부 톱니(105)와 좌우의 단부 톱니(106)는 전방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중앙부 톱니(105)와 단부 톱니(106)는, 전체가 후방으로 내려가는 자세로 지지되고 있다. 중앙부 톱니(105)의 후단부는, 비스듬하게 상부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도 2, 도 3, 도 5, 도 11,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 톱니(106)는 복수의 중앙부 톱니(105)로 형성되는 면에 대하여, 정지 부재(23)의 좌우 중심을 향해 내부 방향 하방으로 구부러져 있다. 각 복수의 중앙부 톱니(105)와 좌우의 단부 톱니(106)와의 각각의 사이에는, 물이나 진흙을 제거하기 위한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 좌우의 단부 톱니(106)는, 플로트(21)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5,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 부재(23)의 좌우단부에 위치하는 단부 톱니(106)가 내부 방향 하방으로 구부러져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중앙부 톱니(105)의 전단부 위치는 정렬되어 있고, 좌우 단부 톱니(106)의 전단부 위치는 중앙부 톱니(105)의 전단부보다도 전방측에 있다. 이에 의해, 도 5, 도 11에서 이해되는 것처럼, 기체의 주행 중에, 정지 부재(23)의 단부 톱니(106)에 의해, 정지 부재(23)의 좌우 중심, 즉 후륜(2)의 본륜(2A)의 차륜 자국으로 파인 곳을 향해 포장면의 진흙이 모아져, 기체의 통과 후의 후륜(2)의 본륜(2A)의 차륜 자국으로 파인 곳을 매립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이해되는 것처럼, 정지 부재(23)의 단부 톱니(106)의 통과 자국은, 플로트(21)에 의해 땅이 정지된다. 이에 의해, 기체의 통과 자국의 논바닥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이하, 상기 실시 형태를 변경한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다른 실시 형태는,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한, 상기 실시 형태에 복수 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고 있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의 수용 오목부(88)의 하측부(92)와 하측의 수용 오목부(88)의 상측부(93)가, 회전 방향(A1)과 직교하는 소정 방향(A2)[회전 축심(P3)의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측의 수용 오목부(88)와 하측의 수용 오목부(88)가, 회전 방향(A1)과 직교하는 소정 방향(A2)에 중복되지 않고, 회전 방향(A1)에 있어서 약간 거리가 이격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측의 수용 오목부(88)와 하측의 수용 오목부(88)와의 중복 범위가 상기 실시 형태보다도 크게, 예를 들어 상측의 수용 오목부(88)의 하측부(92) 및 중앙부(91)와 하측의 수용 오목부(88)의 중앙부(91) 및 상측부(93)가 회전 방향(A1)과 직교하는 소정 방향(A2)으로 배열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용 오목부(88)가 회전 축심(P3)의 방향을 따라서 긴 타원 형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용 오목부(88)의 형상은, 회전 방향(A1)의 방향을 따라서 긴 타원 형상 등,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스크레이퍼(95)의 선단부(97)의 판면이, 서로 비평행으로 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스크레이퍼(95)의 선단부(97)가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스크레이퍼(95)끼리 사이의 간극 공간(S)이, 스크레이퍼(95)의 선단부(97)측보다도 지지부(96)측이 폭이 넓게 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크레이퍼(95)끼리 사이의 간극 공간(S)이, 스크레이퍼(95)의 선단부(97)측과 지지부(96)측이 동일 폭으로 되어 있거나, 스크레이퍼(95)의 선단부(97)측보다도 지지부(96)측이 폭이 좁게 되어 있거나 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정지 부재(23)에 있어서, 각 중앙부 톱니(105)의 전단부 위치는 정렬되고 있고, 좌우의 단부 톱니(106)의 전단부 위치는 중앙부 톱니(105)의 전단부보다도 전방측에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지 부재(23)에 있어서, 좌우 단부 톱니(106)의 전단부와 각 중앙부 톱니(105)의 전단부가 상면에서 보아, U자 형상으로 배열하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거나, V자 형상으로 배열하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거나 해도 된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약제 공급 장치(7)의 약제가 살충제(살균제)인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약제 공급 장치(7)의 약제가 제초제 등이어도 된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분립체 공급 장치」로서 약제 공급 장치(7)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파종 장치(5), 시비 장치(6) 등의 「조출 롤」을 구비하는 다른 「분립체 공급 장치」라도 된다. 파종 장치(5)의 경우에는 「농용 분립체」는 종자이며, 시비 장치(6)의 경우에는 「농용 분립체」는 비료이다.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6줄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승용형 직파기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4줄식, 8줄식 등의 다른 줄수에 대응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승용형 직파기라도 된다. 또한, 식파계 수전 작업기로서 승용형 직파기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승용형 이앙기 등의 다른 식파계 수전 작업기라도 된다.
본 발명은, 포장 등의 공급 대상에 농용 분립체를 공급하는 분립체 공급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7 : 약제 공급 장치(분립체 공급 장치)
38 : 약제 호퍼(저류부)
85 : 약제 조출 롤(조출 롤)
88 : 수용 오목부
86 : 마찰 절단 부재
89 : 외주면
91 : 중앙부
92 : 하측부
93 : 상측부
95 : 스크레이퍼
97 : 선단부
96 : 지지부
A1 : 회전 방향
P3 : 회전 축심
S : 간극 공간

Claims (6)

  1. 농용 분립체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 상기 분립체를 수용 가능한 복수의 수용 오목부를 회전 방향을 따라서 나열하여 갖고,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수용 오목부에 수용된 상기 분립체를 낙하시켜서 하방으로 조출하는 조출 롤과,
    상기 조출 롤의 회전 구동에 따라 상기 수용 오목부로부터 비어져 나온 상기 분립체를 마찰시켜 절단하는 마찰 절단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조출 롤에 상기 마찰 절단 부재가 작용하는 범위가, 1개의 상기 수용 오목부가 위치하는 범위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상기 마찰 절단 부재가 상기 조출 롤의 외주면에 맞닿는 복수의 평판 형상의 스크레이퍼를 상기 회전 방향을 따라서 나열하여 갖고, 상기 복수의 스크레이퍼의 선단부가 상기 조출 롤의 회전 축심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조출 롤의 외주면에 맞닿고 있는, 분립체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측의 상기 수용 오목부와, 상기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측의 상기 수용 오목부에 인접하는 하측의 상기 수용 오목부가, 상기 회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는, 분립체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의 상기 수용 오목부와, 상기 하측의 상기 수용 오목부는, 상기 회전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어 있는, 분립체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오목부가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보다도 상기 회전 방향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부와, 상기 중앙부보다도 상기 회전 방향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부를 갖고,
    상기 상측의 상기 수용 오목부의 상기 하측부와, 상기 하측의 상기 수용 오목부의 상기 상측부가 상기 회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는, 분립체 공급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끼리의 사이에 간극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간극 공간은, 상기 스크레이퍼의 선단부측보다도 지지부측이 폭이 넓게 되어 있는, 분립체 공급 장치.
KR1020170077879A 2016-06-29 2017-06-20 분립체 공급 장치 KR1024501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29168A JP6637849B2 (ja) 2016-06-29 2016-06-29 粉粒体供給装置
JPJP-P-2016-129168 2016-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507A KR20180002507A (ko) 2018-01-08
KR102450180B1 true KR102450180B1 (ko) 2022-10-04

Family

ID=60945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879A KR102450180B1 (ko) 2016-06-29 2017-06-20 분립체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637849B2 (ko)
KR (1) KR1024501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9717A (ja) * 2002-01-31 2003-08-05 Iseki & Co Ltd 粉粒体吐出機
US20030217679A1 (en) * 2000-09-28 2003-11-27 Lempriere Noel D. Seed metering device
JP2011125231A (ja) * 2009-12-15 2011-06-30 Taisho:Kk 散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7774B2 (ja) 2009-09-29 2014-04-02 株式会社クボタ 粉粒体散布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7679A1 (en) * 2000-09-28 2003-11-27 Lempriere Noel D. Seed metering device
JP2003219717A (ja) * 2002-01-31 2003-08-05 Iseki & Co Ltd 粉粒体吐出機
JP2011125231A (ja) * 2009-12-15 2011-06-30 Taisho:Kk 散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37849B2 (ja) 2020-01-29
KR20180002507A (ko) 2018-01-08
JP2018000061A (ja)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4822B2 (ja) 水田作業機
KR102247422B1 (ko) 수전 작업기
JP2011142872A5 (ko)
KR102382289B1 (ko) 승용 수전 작업기
KR102282594B1 (ko) 직파기 및 그 직파기를 사용한 직파 방법
JP6091343B2 (ja) 水田作業機
KR20200064986A (ko) 승용 전식기
JP2013132235A (ja) 水田作業機
JP5822714B2 (ja) 作業機
KR102450180B1 (ko) 분립체 공급 장치
JP2016174586A (ja) 農業用機械の繰出装置
JP2013021943A (ja) 湛水直播機
JP2011234674A (ja) 水田作業機
CN104823951B (zh) 作业机
KR102485084B1 (ko) 수전 작업기
JP6249810B2 (ja) 田植機
JP6847146B2 (ja) 粉粒体供給装置及び水田作業機
CN104823953B (zh) 作业机
JP6632480B2 (ja) 乗用型直播機
JP6413182B2 (ja) 農業用機械の繰出装置
JP6468719B2 (ja) 水田作業機
JP2013046628A (ja) 直播機
JP6532365B2 (ja) 水田作業機
JP6510266B2 (ja) 粉粒体供給装置
JP2010000014A (ja) 苗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