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817B1 - 파종기 - Google Patents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817B1
KR102559817B1 KR1020150175760A KR20150175760A KR102559817B1 KR 102559817 B1 KR102559817 B1 KR 102559817B1 KR 1020150175760 A KR1020150175760 A KR 1020150175760A KR 20150175760 A KR20150175760 A KR 20150175760A KR 102559817 B1 KR102559817 B1 KR 102559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der
adjusting
seed
s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7339A (ko
Inventor
다로오 나카무라
아이 시바하라
요시키요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60087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6Seeders combined with fertilis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1/00Methods of fertilising, sowing or planting
    • A01C21/002Apparatus for sowing fertiliser; Fertiliser dril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7Metering or regulat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085Broadcast s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 Fertiliz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Abstract

파종 장치의 단위 작동량에 대한 분립체 공급 장치의 작동량의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파종기를 구성한다.
파종 장치(15)의 종자 조출부(25)의 구동에 수반하여 작동하는 제1 작동체(82)의 구동력을 분립체 조출 장치(17)의 분립체 조출부(34)에 전달하는 전동 기구(5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작동체(82)의 단위 작동량에 대한 전동체(86)의 작동량을 조절하는 제1 조절부(M1)를 구비하고 있다. 파종 장치(15)가 주행 기체(1)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제1 조절부(M1)를 파종 장치(15)의 후방면에 노출되는 위치에 배치하였다.

Description

파종기{SEEDING MACHINE}
본 발명은, 주행 기체의 후단부에 파종 장치와 분립체 공급 장치를 구비하고, 주행 기체의 주행에 동기하여 파종 장치에 의해 종자의 파종을 행하고, 분립체 공급 장치에 의해 포장면에의 분립체의 공급을 행하는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파종기와 유사한 것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주행 기체의 후단부에 파종 장치와, 시비 장치(분립체 공급 장치)와, 약제 공급 장치(분립체 공급 장치)를 구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서는, 파종 장치가 종자를 저류하는 파종 탱크에 저류된 종자를 종자 조출부에 의해 조출하는 구성과, 비료 탱크에 저류된 비료를 비료 조출부에 의해 조출하는 구성을 갖고, 파종과 시비를 주행 기체의 주행과 연동하여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21301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파종 장치는, 주행 기체로부터 구동력이 기어 전동 기구를 통해 파종 장치의 종자 조출부에 전달되는 전동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특허문헌 1에서는, 크랭크 아암의 작동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2종의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한쪽의 구동 기구의 구동력을 시비 장치의 비료 조출부에 전달하고, 다른 쪽의 구동 기구의 구동력을 약제 공급 장치의 약제 조출부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비료 조출부를 구동하는 전동 구성과, 약제 조출부를 구동하는 전동 구성에는, 크랭크 아암의 1회전에 대한 약제 조출부의 조출량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주행 기체의 후단부에 파종 장치와, 약제 살포 장치를 구비한 것에서는, 포장의 조건이나, 종자의 종류, 혹은 약제의 종류에 따라, 파종 장치에서의 종자의 파종량에 대한 약제 살포 장치에서의 약제의 공급량의 비율의 변경도 필요해진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파종기에서는, 주행 기체의 후단부에 대해, 시비 장치가 배치되고, 이 후방에 약제 공급 장치가 배치되고, 더 후방에 파종 장치가 배치되므로, 파종 장치가 가장 후단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로부터, 파종 장치에 있어서의 단위 파종량에 대한, 시비 장치나 약제 공급 장치에서의 공급량의 비율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파종 장치보다 전방측의 조출부를 구동하는 전동 구성의 조절부의 조작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되지만, 이 조작을 파종 장치가 방해하므로 조절부의 조작이 곤란해져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종 장치의 단위 작동량에 대한 분립체 공급 장치의 작동량의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파종기를 구성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종자를 저류하는 종자 저류부 및 주행 기체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종자 저류부의 종자를 조출하는 종자 조출부를 가진 파종 장치와,
농업용 분립체를 저류하는 분립체 저류부 및 상기 종자 조출부로부터 전동 기구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분립체 저류부의 분립체를 조출하는 분립체 조출부를 가진 분립체 공급 장치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전동 기구가, 상기 종자 조출부의 구동에 수반하여 작동하는 제1 작동체와, 당해 제1 작동체의 구동력을 상기 분립체 조출부에 전달하는 전동체와, 당해 전동체의 상기 제1 작동체에 대한 연계 위치의 조절에 의해, 상기 제1 작동체의 단위 작동량에 대한 상기 전동체의 작동량을 조절하는 제1 조절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파종 장치와 상기 분립체 공급 장치가 상기 주행 기체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조절부가, 상기 파종 장치의 후방면에 노출되는 위치에 배치된 점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조절부의 조절을 용이하게 파종 장치의 후방면에 노출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파종 장치의 후방 위치로부터 제1 작동체와 전동체의 연계 위치의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파종 장치의 종자 조출부에서의 종자의 단위 조출량에 대한, 분립체 공급 장치의 분립체 조출부에서의 조출량의 조절에 수고를 필요로 하는 일도 없다. 따라서, 파종 장치의 단위 작동량에 대한 분립체 공급 장치의 작동량의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파종기가 구성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파종 장치가, 상기 분립체 공급 장치보다 후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작업자가 제1 작동체와 전동체의 연계 위치의 조절을 행하는 경우에, 분립체 공급 장치에 방해되는 일 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동 기구가, 상기 분립체 조출부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제2 작동체에 대한 상기 전동체의 연계 위치의 조절에 의해 당해 전동체의 단위 작동량에 대한 상기 제2 작동체의 작동량을 조절하는 제2 조절부를 구비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제1 조절부에서의 조절과, 제2 조절부에서의 조절을 행함으로써 종자 조출부에서의 종자의 조출량을 기준으로 한 약제 조출부에서의 약제의 조출량의 비율을 넓은 조절 영역에 있어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조절부가, 상기 제1 작동체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전동체가 연계되는 제1 조절 부재와, 당해 제1 조절 부재의 요동 자세를 복수의 요동 자세 중 어느 하나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1 작동체의 작동 중심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전동체의 연계 위치를 서로 다른 복수의 거리 중 어느 하나에 설정 가능한 제1 고정 부재를 구비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제1 작동체의 단위 작동량에 대한 전동체의 작동량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제1 조절 부재를 소정의 요동 자세로 설정하여 제1 고정 부재로 고정함으로써 완료된다. 그 결과, 파종 장치의 단위 작동량에 대한 분립체 공급 장치의 작동량의 조절을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승용 직파기의 좌측면도.
도 2는 승용 직파기의 평면도.
도 3은 작업 유닛의 좌측면도.
도 4는 작업 유닛의 종단 좌측면도.
도 5는 작업 유닛의 배면도.
도 6은 시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작업 유닛의 종단 배면도.
도 7은 시약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작업 유닛의 종단 배면도.
도 8은 정지 플로트와 각 작구기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정지 플로트와 각 작구기의 배치의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
도 10은 정지 플로트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
도 11은 정지 플로트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작업 유닛의 전동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직파 장치와 시약 장치의 연동 구조 등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
도 14는 직파 장치와 시약 장치의 연동 구조 등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횡단 평면도.
도 15는 약제 조출부의 보유 지지 아암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6은 약제 조출부의 종단 측면도.
도 17은 약제 조출부의 스크레이퍼의 사시도.
도 18은 센터 프레임과 보강 리브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9는 작업 유닛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보유 지지 로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1은 보유 지지 로드의 사시도.
도 22는 제1 조절부와 제2 조절부의 연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3은 제1 조절부에서 제1 로드의 작동량을 최대로 설정한 상태에서의 제1 조절부와 제2 조절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4는 중간 부재와 중계 부재의 연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5는 중간 부재와 중계 부재의 연계 구성의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기본 구성〕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륜 구동형 주행 기체(1)의 후방부에 승강 실린더(2)에 의해 상하 요동하는 링크 기구(3)를 통해, 작업 유닛(A)을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여 파종기로서 승용 직파기가 구성되어 있다.
주행 기체(1)는, 전방부에 탑재된 엔진(4)으로부터의 동력을 기어식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좌우의 전방 차륜(5)과 좌우의 후방 차륜(6)에 전달하는 주행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기체(1)의 후방부측에는, 탑승 스텝(7), 전륜 조타용 스티어링 휠(8) 및 운전 좌석(9)을 가진 탑승 운전부(10)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1)의 좌우에는, 탑승 면적을 좌우로 확장하는 좌우의 확장 스텝(11)이 형성되어 있다. 탑승 운전부(10)의 후방에는, 링크 기구(3) 및 좌우의 후방 차륜(6)의 상방으로부터 주행 기체(1)의 후방부로부터 작업 유닛(A)을 향해 연장되는 후방부 스텝(12) 및 후방부 스텝(12)에의 탑승시에 작업자의 보조로 되는 난간(13)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 유닛〕
도 1∼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 유닛(A)은, 링크 기구(3)의 후단부에 롤링 가능하게 연결되는 파종 프레임(14)에 대해, 포장면에 파종을 행하는 6조용 파종 장치(15)와, 포장에 비료를 공급하는 6조용 시비 장치(16)와, 포장에 약제(농업용 분립체의 일례)를 공급하는 6조용 약제 공급 장치(17)(분립체 공급 장치의 일례)와, 이들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유닛(B)을 구비하고 있다. 이 작업 유닛(A)은, 전진 주행시에 포장 진흙면을 정지하는 3개의 정지 플로트(19) 및 작업용의 전진 주행에 수반하여 포장에 배수 홈을 형성하는 좌우의 구절구(20)를 구비한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3∼도 7 및 도 18,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종 프레임(14)은, 링크 기구(3)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주 프레임(21)과, 주 프레임(21)의 전방부측에 배치되는 전방 지지 프레임(22), 및 주 프레임(21)의 후방부측에 배치되는 후방 지지 프레임(23)을 구비하고 있다. 이 파종 프레임(14)에서는, 좌우 방향의 중앙 위치에 센터 프레임(18)을 기립 설치하고 있고, 이 센터 프레임(18)에는 보강 리브(18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파종 프레임(14)의 좌우 양단부에는 지지 기둥 프레임(78)을 구비하고 있고, 이 좌우의 지지 기둥 프레임(78)과 센터 프레임(18)의 상단부에 전방 지지 프레임(22)이 연결됨으로써, 이 전방 지지 프레임(22)이 지지되어 있다.
〔작업 유닛: 파종 장치〕
도 1∼도 5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종 장치(15)는, 투명 수지 탱크로 이루어지는 2개의 종자 저류부(24)와, 종자 저류부(24)의 종자를 조출하는 6개의 종자 조출부(25)와, 각각의 종자 조출부(25)로부터 조출된 종자의 낙하 공간을 형성하는 종자 공급부(26)를 구비하고 있다.
1개의 종자 저류부(24)는, 철 코팅 처리가 실시된 3조분의 볍씨를 저류한다. 좌우의 종자 저류부(24)는, 상단부에 종자 보급구를 갖는 종자 호퍼(24A)와, 종자 보급구를 개폐하는 종자 호퍼용 덮개체(24B)를 구비하고 있다.
즉, 1개의 종자 호퍼(24A)에 대해 3개의 종자 조출부(25)를 구비함으로써, 파종 장치(15)에는, 6조에 대응하는 6개의 종자 조출부(25)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이 주행 기체(1)의 주행에 동기하여 조출 작동함으로써 소정량의 볍씨가 간헐적으로 하방으로 조출되어 종자 공급부(26)의 내부를 낙하하여 포장면에 도달하여 진흙면 점파를 실현한다.
종자 호퍼용 덮개체(24B)는, 종자 호퍼(24A)의 종자 보급구의 전방측 개구 모서리에 대해 힌지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종자 호퍼용 덮개체(24B)의 후단부에는, 종자 호퍼(24A)에 결합됨으로써 종자 호퍼용 덮개체(24B)를 폐쇄 자세로 보유 지지하는 종자 호퍼용 보유 지지부(24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종자 호퍼용 덮개체(24B)의 내면에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방시에 내부에의 빗물 등의 침입을 억제하는 투명한 수지 시트(24S)가 구비되어 있다.
이 작업 유닛에서는, 도 20,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자 호퍼용 덮개체(24B)를 개방 자세로 조작한 경우에 개방 자세로 유지하기 위해, 종자 호퍼용 덮개체(24B)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보유 지지 로드(7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보유 지지 로드(71)는, 시비 장치(16)보다 전방의 프레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피아노선으로 구성되고, 연장 단부를 절곡한 형상의 걸림부(71A)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보유 지지 로드(71)를 구비함으로써, 종자 호퍼용 덮개체(24B)를 개방 자세로 조작한 경우에는, 개방 조작에 수반하여 보유 지지 로드(71)의 걸림부(71A)가, 자동적으로 결합되어 종자 호퍼용 덮개체(24B)가 개방 자세로 보유 지지된다.
종자 조출부(25)는, 파종 구동축(25A)과 함께 회전하는 종자 조출 롤을 내장하고 있다. 이 종자 조출 롤은, 외주에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고, 파종 구동축(25A)의 회전에 수반하여 오목부에 끼어 들어간 종자를 조출한다.
〔작업 유닛: 시비 장치〕
도 1∼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비 장치(16)는, 투명 수지 탱크로 이루어지는 2개의 비료 저류부(28)와, 비료 저류부(28)로부터 비료를 조출하는 6개의 비료 조출부(29)와, 각각의 비료 조출부(29)로부터의 비료를 유하 안내하는 시비 호스(30)와, 시비 호스(30)로부터의 비료가 공급되는 시비용 작구기(32)를 구비하고 있다.
1개의 비료 저류부(28)는, 3조분의 입상의 비료를 저류한다. 각각의 비료 저류부(28)는, 상단부에 비료 보급구를 갖는 비료 호퍼(28A)와, 비료 보급구를 개폐하는 비료 호퍼용 덮개체(28B)를 구비하고 있다.
즉, 1개의 비료 호퍼(28A)에 대해 3개의 비료 조출부(29)를 구비함으로써, 시비 장치(16)에는 6조에 대응하는 6개의 비료 조출부(29)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이 주행 기체(1)의 주행에 동기하여 조출 작동함으로써 소정량의 비료가 간헐적으로 시비 호스(30)로부터 하방으로 보내져, 시비용 작구기(32)로부터 포장면 하부에 공급된다.
비료 호퍼용 덮개체(28B)는, 비료 호퍼(28A)의 비료 보급구의 후방측의 개구 모서리에 대해 힌지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비료 호퍼용 덮개체(28B)의 전단부에는, 비료 호퍼(28A)에 결합됨으로써 비료 호퍼용 덮개체(28B)를 폐쇄 자세로 보유 지지하는 비료 호퍼용 보유 지지부(28C)를 구비하고 있다.
비료 조출부(29)는, 시비 구동축(29A)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비료 조출 롤을 내장하고 있다. 이 비료 조출 롤은, 외주에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고, 시비 구동축(29A)의 회전에 수반하여 오목부에 끼어 들어간 비료를 조출한다.
시비용 작구기(32)는, 평면에서 보아 U자 형상으로 성형되고, 정지 플로트(19)의 전단부측의 저면에 구비된 시비용 작구판(38)의 후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주행 기체(1)의 주행에 수반하여 시비용 작구판(38)이 포장면에 홈을 만들고, 이 홈에 대해 시비용 작구기(32)가 포장면 하부에 대한 비료의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작업 유닛: 약제 공급 장치〕
약제 공급 장치(17)는, 투명 수지 탱크로 이루어지는 3개의 약제 저류부(33)(분립체 저류부의 일례)와, 약제 저류부(33)로부터 약제를 조출하는 6개의 약제 조출부(34)(분립체 조출부의 일례)와, 각각의 약제 조출부(34)로부터의 약제를 유하 안내하는 시약 호스(35)와, 시약 호스(35)로부터 약제가 공급되는 시약용 작구기(37)를 구비하고 있다.
약제 저류부(33)는, 2조분의 약제를 저류한다. 각각의 약제 저류부(33)는, 상단부에 약제 보급구를 갖는 약제 호퍼(33A)와, 약제 보급구를 개폐하는 약제 호퍼용 덮개체(33B)를 구비하고 있다.
즉, 1개의 약제 저류부(33)에 대해 2개의 약제 조출부(34)를 구비함으로써, 약제 공급 장치(17)에는 6조에 대응하는 6개의 약제 조출부(34)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이 주행 기체(1)의 주행에 동기하여 조출 작동함으로써 소정량의 약제가 간헐적으로 시약 호스(35)로부터 하방으로 보내져, 시약용 작구기(37)로부터 포장 모서리 하부에 공급된다.
약제 호퍼용 덮개체(33B)는, 약제 호퍼(33A)의 약제 보급구 전방측의 개구 모서리에 힌지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약제 호퍼용 덮개체(33B)의 후단부에는, 약제 호퍼(33A)에 결합됨으로써 약제 호퍼용 덮개체(33B)를 폐쇄 자세로 보유 지지하는 약제 호퍼용 보유 지지부(33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약제 호퍼용 덮개체(33B)를 개방 자세로 보유 지지하는 토션 스프링(33D)이 힌지 부분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약제 호퍼용 덮개체(33B)의 내면에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방시에 내부에의 빗물 등의 침입을 억제하는 투명한 수지 시트(33S)가 구비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제 조출부(34)는, 시약 구동축(34A)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약제 조출 롤(34R)을 내장하고 있다. 이 34R은, 외주에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고, 시약 구동축(34A)의 회전에 수반하여 오목부에 끼어 들어간 약제를 조출한다. 또한, 약제 조출부(34)의 내부에는 약제 조출 롤(34R)의 외주에 접촉하는 수지제의 스크레이퍼(34S)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크레이퍼(34S)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수지제의 시트 형상 돌기 부분이 형성되고, 이 시트 형상의 돌기 부분에 밀접함으로써, 입경이 작은 약제라도 오목부로부터 외부에 있는 잉여의 약제를 제거하고, 적정한 양의 약제 공급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제 조출부(34)의 외부에는, 아암 지지 축(34Ca)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 아암(34C)을 구비하고 있다. 이 보유 지지 아암(34C)은, 도 1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약 호스(35)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 핀(35A)에 결합되어 시약 호스(35)를 약제 조출부(34)에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자세와, 도 1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 핀(35A)으로부터 분리되어, 약제 조출부(34)로부터 시약 호스(35)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해제 자세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약제 조출부(34)의 한쪽의 측면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를 폐쇄하는 커버체(34D)가 개구에 끼움 삽입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보유 지지 아암(34C)의 요동 단부 부분에는, 보유 지지체(34Cb)를 일체 형성하고 있고, 이 보유 지지 아암(34C)을 도 15의 (a)에 도시하는 보유 지지 자세로 설정한 경우에는 보유 지지체(34Cb)가 커버체(34D)의 외면측에 겹쳐지는 위치에 도달하여, 커버체(34D)를 보유 지지한다. 또한, 보유 지지 아암(34C)을 도 15의 (c)에 도시하는 해제 자세로 설정한 경우에는 보유 지지체(34Cb)가 커버체(34D)로부터 이격되어, 커버체(34D)의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제 조출부(34)의 상면에는, 약제 호퍼(33A)로부터 약제가 공급되는 끼워 맞춤 통부(34B)가 상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약제 호퍼(33A)에는, 약제를 자중으로 송출하는 구멍 형상의 공간을 둘러싸는 위치에 내부 끼움 통부(33E)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것보다 외측에는, 내부 끼움 통부(33E)와 동축심으로 외부 끼움 통부(33F)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내부 끼움 통부(33E)와 외부 끼움 통부(33F)의 중간에 끼워 맞춤 통부(34B)가 끼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약제 조출부(34)에 약제 호퍼(33A)를 지지한 상태에서는, 끼워 맞춤 통부(34B)에 내부 끼움 통부(33E)가 내부 끼움되는 동시에, 끼워 맞춤 통부(34B)에 외부 끼움 통부(33F)가 외부 끼움된다. 그 결과, 약제 호퍼(33A)로부터의 약제를, 내부 끼움 통부(33E)를 통해 약제 조출부(34)에 공급하고, 외부 끼움 통부(33F)가 빗물 등의 약제 조출부(34)에의 침입을 억제한다.
시약용 작구기(37)는, 평면에서 보아 U자 형상으로 성형되고, 정지 플로트(19)의 전단부측의 저면에 구비된 시약용 작구판(39)의 후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주행 기체(1)의 주행에 수반하여 포장면에 홈을 만들어 내어, 포장면 하부에 대한 약제의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작업 유닛: 정지 플로트〕
도 8∼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 유닛(A)의 하부에는, 평면에서 보아 T자 형상으로 되는 3개의 정지 플로트(19)가 구비되어 있다. 각각의 정지 플로트(19)의 전후 방향의 중간 위치에 브래킷(68)을 구비하고, 주 프레임(2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플로트 지지부(21A)의 하부에 플로트 지지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좌우 위치의 정지 플로트(19)와 중앙의 정지 플로트(19)의 중간 위치의 전방측에는, 포장면을 정지하는 레이크 형상의 정지판(76)을 배치하고, 좌우의 정지 플로트(19)의 바로 앞 위치에는 후방 차륜(6)에 의해 튄 진흙이 정지 플로트(19)의 상면에 퇴적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진흙 제거 커버(77)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이들 정지판(76)과 진흙 제거 커버(77)는 작업 유닛(A)에 지지되어 있다.
플로트 지지 부재(40)는, 그 전단부가 플로트 지지부(21A)에 대해 현수 상태로 지지되고, 그 후단부가 플로트 지지부(21A)의 후단부에 축 연결되어 있다. 이 플로트 지지 부재(40)와 브래킷(68)에 좌우 방향 자세의 지지축(41)이 관통함으로써 정지 플로트(19)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플로트 지지 부재(40)에 상승 제한부(40A)를 구비하고, 플로트 지지부(21A)의 후단부 위치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하강 저지부(21B)를 구비하고 있다.
즉, 좌우의 플로트 지지 부재(40)에 상승 제한부(40A)를 구비함으로써, 좌우의 정지 플로트(19)가 크게 상승 요동하는 것에 기인한 정지 불량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플로트 지지부(21A)에 하강 저지부(21B)를 구비함으로써, 정지 플로트(19)의 하강 요동에 수반하여 구절구(20)가 상승하는 것에 기인한 배수 홈의 형성 불량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정지 플로트(19)의 저면에는, 시비용 작구판(38)과 시약용 작구판(39)이 하방으로 돌출되는 자세로 구비되고, 시비용 작구판(38)에 대해 시비용 작구기(32)가 지지되고, 시약용 작구판(39)에 대해 시약용 작구기(37)가 지지되어 있다.
평면에서 보아 시비용 작구기(32)와 시비용 작구판(38)이 정지 플로트(19)의 좌우 방향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시약용 작구기(37)와 시약용 작구판(39)이 정지 플로트(19)의 좌우 방향에서 시비용 작구기(32)보다 외측이며, 또한 시비용 작구기(32)보다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시비용 작구기(32)보다 후방 위치에는, 시비용 작구기(32)에 의해 진흙면에 형성되는 홈을 다시 메우는 시비용 복토체(4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시약용 작구기(37)보다 후방 위치에는, 시약용 작구기(37)에 의해 진흙면에 형성되는 홈을 다시 메우는 시약용 복토체(4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시약용 작구기(37)보다 후방이며 시약용 복토체(42)보다 더욱 후방 위치에 종자 공급부(26)로부터 송출되는 종자가 공급되는 파종 위치(P)가 설정되어 있다.
시비용 복토체(43)는, 좌우 방향에서 시비용 작구기(32)보다 정지 플로트(19)의 중앙측에 기단부가 연결되고, 연장 단부가 후방 외측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지지되어 있다. 시약용 복토체(42)는, 좌우 방향에서 시약용 작구기(37)로부터 정지 플로트(19)의 중앙측에 기단부가 연결되어, 연장 단부가 후방 외측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지지되어 있다.
즉, 정지 플로트(19)에 대해, 한 쌍의 시약용 작구기(37)가 정지 플로트(19)의 좌우 방향 중앙 위치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되는 위치 관계로 지지되고, 이것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시약용 복토체(42)가 정지 플로트(19)의 좌우 방향 중앙 위치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 관계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정지 플로트(19)는 시약용 작구기(37)가 구비된 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 방향에서의 외측 위치를 제거한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부터, 주행 기체(1)의 주행에 수반하여 시약용 복토체(42)와 시비용 복토체(43)에 의해 진흙의 흐름이 만들어 내어진 경우라도, 진흙의 흐름은 정지 플로트(19)의 좌우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밀어내어짐으로써, 정지 플로트(19)의 근방에 흙 덩어리를 만들어 내는 일은 없다.
작업 유닛(A)에서는, 시약용 작구기(37)에 의한 시약 위치와, 시비용 작구기(32)에 의한 시비 위치와, 종자 공급부(26)에 의한 파종 위치(P)가, 이 순서로 전방 위치로부터 후방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지지축(41)은, 정지 플로트(19)의 요동 지지점이며, 지지축(41)은 파종 위치(P)보다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절구(20)는, 좌우 양단부 위치의 정지 플로트(19)의 후단부 하면측에 배치되고, 이 구절구(20)는 플로트 지지 부재(40)에 지지되어 있다.
〔작업 형태〕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파종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작업 유닛(A)을 작동시켜 주행 기체(1)를 전진시킴으로써, 주행에 수반하여 정지 플로트(19)에 의해 포장의 진흙면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정지된 진흙면에 대해 시약용 작구기(37)가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대해 약제 조출부(34)에 의해 조출된 약제가 시약 호스(35)를 통해 공급되고, 이 직후에 시약용 복토체(42)에 의해 홈이 다시 메워진다. 이와 마찬가지로, 정지된 진흙면에 대해 시비용 작구기(32)가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대해 비료 조출부(29)에 의해 조출된 비료가 시비 호스(30)를 통해 공급되고, 이 직후에 시비용 복토체(43)에 의해 홈이 다시 메워진다.
이와 같이 포장의 진흙면 하부에 약제와 비료가 공급된 후의 진흙면에 대해 종자 조출부(25)에 의해 조출된 종자가 종자 공급부(26)를 통해 낙하 공급되어 진흙면 점파가 실현된다. 또한, 포장의 진흙면에는, 구절구(20)에 의해 배수 홈이 형성된다.
〔전동 유닛〕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유닛(B)은, 외부 전동축(27)을 통해 주행 기체(1)의 구동력을 받는 입력부(46)와, 입력부(46)로부터의 구동력을 분배하는 동력 분배축(47)을 구비하고 있다. 전동 유닛(B)은, 동력 분배축(47)의 좌측 단부로부터 직파 장치(15)의 종자 조출부(25)에 저속의 동력을 전달하는 저속 전동계(48)와, 동력 분배축(47)의 우측 단부로부터 시비 장치(16)의 복수의 비료 조출부(29)에 고속의 동력을 전달하는 고속 전동계(49)를 구비하고 있다.
저속 전동계(48)는, 동력 분배축(47)으로부터의 동력을 감속하는 체인식 감속 기구(51)와, 체인식 감속 기구(51)로부터의 동력을 취출하는 좌우 방향의 제1 중계축(52)과, 제1 중계축(52)에 구비한 6개의 제1 단수조 클러치(53) 및 대응하는 제1 단수조 클러치(53)로부터 종자 조출부(25)에 전동하는 6개의 제1 기어식 전동 기구(54)를 구비하고 있다.
직파 장치(15) 및 약제 공급 장치(17)에 있어서 대응하는 2개의 종자 조출부(25)와 2개의 약제 조출부(34)를 연동 연결하는 3개의 전동 기구(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동 유닛(B)에서는 고속 전동계(49)가, 동력 분배축(47)의 회전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 변환 기구(55)와, 제1 변환 기구(55)의 요동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 변환 기구(56)와, 제2 변환 기구(56)에 의한 회전 운동을 취출하는 좌우 방향의 제2 중계축(57)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중계축(57)에는 3개의 제2 단수조 클러치(58) 및 각각의 제2 단수조 클러치(58)로부터 대응하는 2개의 비료 조출부(29)에 전동하는 3개의 제2 기어식 전동 기구(59)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기구(50)는, 도 13,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제1 기어식 전동 기구(54)의 회전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 변환부(60) 및 제1 변환부(60)에 의한 변환 후의 요동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 변환부(61)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2 변환부(61)에 의한 변환 후의 회전 운동을 대응하는 2개의 약제 조출부(34)에 전달한다. 이 제1 변환부(60)와 제2 변환부(61)는, 전동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 조절을 위한 구성은 후술한다.
전동 유닛(B)에서는, 좌측의 2개의 종자 조출부(25)와, 중앙의 2개의 종자 조출부(25)와, 우측의 2개의 종자 조출부(25)의 각각에 대해 제1 중계축(52)으로부터의 전동을 단속하기 위해 제1 단수조 클러치(5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좌측과, 중앙과, 우측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종자 조출부(25)를 연계하여 작동시키는 제1 연계 기구(6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좌측의 2개의 약제 조출부(34)와, 중앙의 2개의 약제 조출부(34)와, 우측의 2개의 약제 조출부(34)는, 대응하는 2개의 종자 조출부(25)와 전동 기구(50)를 통해 연동하므로, 어느 하나의 제1 단수조 클러치(53)가 조작된 경우에는 대응하는 2개의 종자 조출부(25)와 2개의 약제 조출부(34)에 대한 전동이 단속된다.
좌측의 2개의 비료 조출부(29)와, 중앙의 2개의 비료 조출부(29)와, 우측의 2개의 비료 조출부(29)의 각각에 대한 제2 중계축(57)으로부터의 전동을 단속하기 위해 제2 단수조 클러치(5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좌측과 중앙과 우측의 제2 단수조 클러치(58)와, 이것에 대응하는 좌측과 중앙과 우측의 제1 단수조 클러치(53)가 제2 연계 기구(63)에 의해 연계되어 있다.
작업 유닛(A)은,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이 가능한 3개의 조작 레버(64)를, 파종 프레임(14)의 전방 상부에 배치하고 있다. 3개의 조작 레버(64)는, 제2 단수조 클러치(58)를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3개의 조작 레버(64) 중 어느 하나가 조작된 경우에는, 대응하는 제2 단수조 클러치(58)의 상태가 전환됨과 함께, 제1 단수조 클러치(53)의 상태가 전환되어, 그 결과, 대응하는 비료 조출부(29)와 종자 조출부(25)와 약제 공급 장치(17)에 대한 전동이 단속된다.
즉, 주행 기체(1)로부터 임의의 조작 레버(64)를 조작함으로써, 모든 종자 조출부(25)와 비료 조출부(29)와 약제 조출부(34)를 작동시키는 6조 작업 상태와, 임의의 4조 또는 2조의 종자 조출부(25)와 비료 조출부(29)와 약제 조출부(34)를 작동시키는 상태를 만들어 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덧붙여, 3개의 조작 레버(64)를 조작함으로써 모든 종자 조출부(25)와 비료 조출부(29)와 약제 조출부(34)를 정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전동 유닛(B)에서는, 각각의 종자 조출부(25)에서의 종자의 조출량을 조절하는 조출량 조절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자 조출부(25)는, 파종 구동축(25A)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종자 조출 롤을 내장하고 있고, 종자 조출 롤의 외주에 형성된 오목부의 용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기어(25B)가, 파종 구동축(25A)과 동축심으로, 제1 기어식 전동 기구(54)와 반대측에 구비되어 있다.
조출량 조절 기구는, 제1 중계축(52)과 평행 자세로 되는 조절 축(65)과, 이 조절 축(65)과 일체 회전하는 6개의 작동 기어(66)를 구비하고 있다. 조절 축(65)의 외측 단부에는 크랭크 형상의 핸들(65A)을 구비하고 있다.
6개의 작동 기어(66)는, 조절 축(65)의 시프트 조작에 의해, 대응하는 6개의 조절 기어(25B)와 맞물리는 상태와 분리되는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부터, 엔진(4)을 정지하고, 제1 단수조 클러치(53)를 해제 상태로 설정하고, 작동 기어(66)를 조절 기어(25B)에 맞물리게 하여, 조절 축(65)의 핸들(65A)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6개의 종자 조출부(25)의 조출량 조절이 실현된다.
특히, 엔진(4)을 정지한 상태에서 제1 단수조 클러치(53)를 해제 상태로 설정하여 조절 축(65)의 핸들(65A)을 회전 조작한 경우에는, 종자 조출부(25)에서 조출량의 조절은 행해지지 않지만, 파종 구동축(25A)이 자유롭게 회전하므로, 종자 조출부(25)로부터 종자의 조출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절 축(65)의 회전력이 제1 변환부(60)와 제2 변환부(61)를 통해 시약 구동축(34A)에 전달되므로, 시약 구동축(34A)을 회전시켜 약제 조출부(34)로부터 약제를 조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이들 작동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비 장치(16)와 약제 공급 장치(17)에 있어서의 조출량의 비율 등의 확인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연동 기구〕
도 13, 도 14 및 도 22∼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기구(50)는, 제1 변환부(60)와 제2 변환부(61)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변환부(60)는, 제1 기어식 전동 기구(54) 중, 파종 구동축(25A)과 일체 회전하는 구동 기어(54A)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81)와, 중간 부재(82)(제1 작동체의 일례)와, 조절 아암(83)(제1 조절 부재의 일례)과, 로크 부재(84)(제1 고정 부재의 일례)와, 로크 스프링(85)과, 제1 로드(86)(전동체의 일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1 변환부(60) 중, 중간 부재(82)(제1 작동체의 일례)와, 조절 아암(83)(제1 조절 부재의 일례)과, 로크 부재(84)(제1 고정 부재의 일례)와 로크 스프링(85)으로 본 발명의 제1 조절부(M1)가 구성되어 있다. 이 제1 조절부(M1)는 3개소에 배치되고, 어느 제1 조절부(M1)도 중간 부재(82)(제1 작동체의 일례)의 단위 작동량에 대한 제1 로드(86)(전동체의 일례)의 작동량을 조절하도록 기능한다.
중간 부재(82)는, 중간 기어(81)와 일체 형성된 구성을 갖고, 외측 단부 모서리에 복수의 결합 오목부(8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중간 부재(82)와 중간 기어(81)는, 중간 지지축(82S)을 통해 중간 프레임(87)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24,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지지축(82S)의 길이 방향의 중간 영역에 소직경부(82Sa)를 형성함으로써, 이 소직경부(82Sa)의 외주 위치에 그리스 저류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 프레임(87)은, 파종 장치(15)의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다.
조절 아암(83)은, 그 기단부가 중간 부재(82)에 대해 아암 축(83A)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조절 아암(83)의 중간부에 대해 기단부측 핀(86A)을 통해 제1 로드(86)(전동체의 일례)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크 부재(84)는, 조절 아암(83)의 요동 단부에 대해 요동 지지축(84A)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며, 이 로크 부재(84)의 요동 단부에는 중간 부재(82)의 결합 오목부(82A)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84B)와, 인위 조작되는 노브(82C)와, 중간 부재(82)의 측면에 근접하는 보유 지지편(84D)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 스프링(85)은, 로크 부재(84)의 결합부(84B)를 결합 오목부(82A)에 결합시키는 가압력을 부여한다.
즉, 제1 조절부(M1)(제1 변환부(60))는, 중간 부재(82)의 복수의 결합 오목부(82A)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로크 부재(84)의 결합부(84B)를 결합시킴으로써, 도 22, 도 23에 나타내는 방향에서 보아, 중간 기어(81)의 회전 중심(작동 중심: 중간 지지축(82S)의 축심)으로부터 제1 로드(86)의 기단부측 핀(86A)(연계 위치의 일례)까지의 거리가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중간 기어(81)가 1회전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1 로드(86)의 왕복 작동량의 조절을 실현한다.
이 로크 부재(84)의 결합부(84B)가, 중간 부재(82)의 결합 오목부(82A)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보유 지지편(84D)이, 중간 부재(82)를 기준으로 하여 로크 부재(84)의 반대측에 근접 배치되므로, 로크 부재(84)가 중간 부재(82)의 두께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고,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3개소의 제1 조절부(M1)는, 한 쌍의 종자 조출부(25)의 중간 위치에서, 파종 장치(15)의 후방면에 노출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되어, 어느 제1 조절부(M1)도 파종 장치(15)의 후방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위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변환부(61)는, 중간 프레임(87)에 대해 중계축(91A)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중계 부재(91)(제2 작동체의 일례)를 구비함과 함께, 제1 로드(86)의 연결 위치의 조절이 가능한 위치 조절부(92)와, 중계 부재(91)의 요동력을 취출하는 제2 로드(93) 및 제3 로드(94)와, 이 제2 로드(93) 및 제3 로드(94)가 개별로 연결되는 한 쌍의 일 방향 클러치(95)를 구비하고 있다.
위치 조절부(92)는, 중계 부재(91)에 천공된 복수의 결합 구멍(91B)과, 이 복수의 결합 구멍(91B)이 병렬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중계 부재(91)에 지지된 슬라이드체(91C)와, 결합 구멍(91B)으로부터 슬라이드체(91C)의 구멍부에 걸쳐 삽입 관통하는 위치 설정축(91D)과, 이 위치 설정축(91D)을 결합 방향으로 가압하는 보유 지지 스프링(91E)을 갖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체(91C)에는 제1 로드(86)의 선단부측 핀(86B)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위치 조절부(92)로 본 발명의 제2 조절부(M2)가 구성되어 있다.
이 제2 조절부(M2)는, 중계 부재(91)(제2 작동체의 일례)에 대한 제1 로드(86)(전동체의 일례)의 작동량을 조절하도록 기능한다. 즉, 보유 지지 스프링(91E)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위치 설정축(91D)을 결합 구멍(91B)으로부터 인위적으로 뽑아내어, 복수의 결합 구멍(91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보유 지지 스프링(91E)의 가압력에 의해 결합 상태가 유지되어, 제1 로드(86)의 작동량에 대한 중계 부재(91)의 요동량의 조절이 가능해진다.
제2 로드(93)와 제3 로드(94)를 구비함으로써 중계 부재(91)가 어느 방향으로 요동한 것 중, 한 쌍의 일 방향 클러치(95)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시약 구동축(34A)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전동 기구(50)에서는, 제1 조절부(M1)에 있어서의 전동비의 조절 범위가, 제2 조절부(M2)에 있어서의 전동비의 조절 범위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조절부(M1)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과부족이 없는 조절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 대신에, 제1 조절부(M1)에 있어서의 전동비의 조절 범위보다, 제2 조절부(M2)에 있어서의 전동비의 조절 범위를 크게 설정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전동 기구(50)에서는, 제1 중계축(52)의 회전에 수반하여 종자 조출부(25)의 종자 조출 롤이 회전하여 종자의 조출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제1 중계축(52)이 회전할 때에는, 구동 기어(54A)의 회전에 연동하여 중간 기어(81)와 일체적으로 중간 부재(82)가 회전하고, 조절 아암(83)이 회전한다. 조절 아암(83)에는 기단부측 핀(86A)을 통해 제1 로드(86)가 연계되므로, 중간 부재(82)의 회전에 수반되는 크랭크 모션에 의해 조절 아암(83)에 연계되는 제1 로드(86)가 왕복 작동을 행한다.
이 제1 로드(86)의 왕복 작동은, 위치 조절부(92)를 통해 중계 부재(91)를, 중계축(91A)을 중심으로 요동시킨다. 이 중계 부재(91)의 요동 작동이 제2 로드(93)와 제3 로드(94)로부터 대응하는 일 방향 클러치(95)에 의해 회전력으로 변환되어 시약 구동축(34A)에 전달되고, 이에 의해 시약 구동축(34A)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약제 조출 롤(34R)을 회전시켜 약제가 조출된다.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
이 구성에서는, 시비 장치(16)와 약제 공급 장치(17)와 파종 장치(15)가, 이 순서로 전방으로부터 배열되는 형태로 주행 기체(1)의 후단부에 대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파종 장치(15)가 가장 후단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조절부(M1)가 한 쌍의 종자 조출부(25)의 중간 위치에서, 파종 장치(15)의 후방면에 노출되게 되어, 어느 제1 조절부(M1)도 파종 장치(15)의 후방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파종 장치(15)에 의한 단위 파종량에 대한 약제 공급 장치(17)에 의한 비료의 살포량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제1 조절부(M1)는, 약제의 종류에 따라 조절되게 되어, 이 제1 조절부(M1)를 조절함으로써, 단위 파종량에 대한 약제의 공급량이 변경된다. 또한, 제2 조절부(M2)는, 파종 장치(15)에 있어서의 점파의 간격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것이다. 또한, 파종 장치(15)에서의 점파의 간격은 전동계에 개재 장착된 변속 기구를 인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실현한다.
또한, 제1 조절부(M1)와 제2 조절부(M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파종 장치(15)에 의한 파종량에 대한 약제 공급 장치(17)에 의한 비료의 살포량을 넓은 조절 범위에서 설정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조절부(M1)에 있어서의 전동비의 조절 범위가, 제2 조절부(M2)에 있어서의 전동비의 조절 범위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1 조절부(M1)만을 조작해도 필요로 하는 조절이 가능해진다.
제1 조절부(M1)에 의해 전동비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로크 부재(84)의 노브(82C)의 조작에 의해 결합 오목부(82A)에 대한 결합부(84B)의 결합을 해제하고, 이들의 위치 관계를 변경한 후에 결합시키는 조작 형태로 된다. 이 조작 형태는, 예를 들어 베타 핀을 제거하는 것과 비교하여 조작이 간단해진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 이외에 이하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a) 제1 변환부(60)와 제1 조절부(M1)의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파종 장치(15)로부터의 구동력을 시비 장치(16)에 전달하도록 제2 변환부(61)와 제2 조절부(M2)를 구성해도 된다. 즉, 이 구성에서는, 시비 장치(16)가, 본 발명의 분립체 공급 장치에 상당하는 것이며, 제1 조절부(M1)의 조절에 의해 단위 파종량에 대한 시비량의 조절이 가능해지고, 또한 제2 조절부(M2)의 조절에 의해 점파의 간격에 대한 시비량의 조절이 가능해진다.
(b) 제1 조절부(M1)로서, 중간 부재(82)에 대해, 이 중간 부재(82)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복수의 결합 구멍을 형성하고, 복수의 결합 구멍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인위 조작에 의해 제1 로드(86)의 단부를 직접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이나, 제1 로드(86)에 구비한 결합 핀 등을 결합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은, 주행 기체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파종을 행하는 파종 장치와, 파종 장치로부터 전동 기구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분립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파종기에 이용할 수 있다.
1 : 주행 기체
15 : 파종 장치
17 : 분립체 공급 장치(약제 공급 장치)
24 : 종자 저류부
25 : 종자 조출부
33 : 분립체 저류부(약제 저류부)
34 : 분립체 조출부(약제 조출부)
50 : 전동 기구
82 : 제1 작동체(중간 부재)
83 : 제1 조절 부재(조절 아암)
84 : 제1 고정 부재(로크 부재)
86 : 전동체(제1 로드)
91 : 제2 작동체(중계 부재)
B : 전동 기구
M1 : 제1 조절부
M2 : 제2 조절부

Claims (4)

  1. 종자를 저류하는 종자 저류부 및 주행 기체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종자 저류부의 종자를 조출하는 종자 조출부를 가진 파종 장치와,
    농업용 분립체를 저류하는 분립체 저류부 및 상기 종자 조출부로부터 전동 기구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분립체 저류부의 분립체를 조출하는 분립체 조출부를 가진 분립체 공급 장치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파종 장치는 상기 분립체 공급 장치보다 후방에서 가장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전동 기구는 제1 조절부와 제2 조절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조절부는, 상기 종자 조출부의 구동에 수반하여 작동하는 제1 작동체와, 당해 제1 작동체의 구동력을 상기 분립체 조출부에 전달하는 왕복 작동형의 전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체의 상기 제1 작동체에 대한 연계 위치의 조절에 의해, 상기 제1 작동체의 단위 작동량에 대한 상기 전동체의 작동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조절부는, 상기 분립체 조출부에 연동되어 작동하는 제2 작동체에 대한 상기 전동체의 연계 위치의 조절에 의해 상기 전동체의 단위 작동량에 대한 상기 제2 작동체의 작동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종 장치와 상기 분립체 공급 장치가 상기 주행 기체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조절부가, 상기 파종 장치의 후방면에 노출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파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부가, 상기 제1 작동체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전동체가 연계되는 제1 조절 부재와, 당해 제1 조절 부재의 요동 자세를 복수의 요동 자세 중 어느 하나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1 작동체의 작동 중심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전동체의 연계 위치를 서로 다른 복수의 거리 중 어느 하나에 설정 가능한 제1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파종기.
  3. 삭제
  4. 삭제
KR1020150175760A 2015-01-13 2015-12-10 파종기 KR102559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04398A JP6395616B2 (ja) 2015-01-13 2015-01-13 播種機
JPJP-P-2015-004398 2015-0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339A KR20160087339A (ko) 2016-07-21
KR102559817B1 true KR102559817B1 (ko) 2023-07-26

Family

ID=56414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760A KR102559817B1 (ko) 2015-01-13 2015-12-10 파종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395616B2 (ko)
KR (1) KR1025598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23444B (zh) * 2023-11-02 2024-06-04 青岛洪珠农业机械有限公司 一种播种机间距调节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1301A (ja) * 2012-12-21 2014-07-03 Kubota Corp 直播機及びその直播機を用いた直播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62755B1 (fr) * 1984-04-13 1986-11-07 Soderma Semoir de graines en poquets
JPH0753454Y2 (ja) * 1987-01-08 1995-12-13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施肥機の施肥量調節装置
JP2816929B2 (ja) * 1993-08-24 1998-10-27 みのる産業株式会社 多条型直播装置
JP3234466B2 (ja) * 1995-09-18 2001-12-04 株式会社クボタ 直播機
JP3383511B2 (ja) * 1996-04-23 2003-03-04 株式会社クボタ 直播機
JP4051498B2 (ja) * 2002-05-31 2008-02-27 井関農機株式会社 農作業機
JP4669425B2 (ja) * 2006-03-24 2011-04-13 株式会社クボタ 農用繰出し装置
JP6091343B2 (ja) * 2013-06-05 2017-03-08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1301A (ja) * 2012-12-21 2014-07-03 Kubota Corp 直播機及びその直播機を用いた直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29496A (ja) 2016-07-21
JP6395616B2 (ja) 2018-09-26
KR20160087339A (ko) 201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4822B2 (ja) 水田作業機
JP4867193B2 (ja) 苗移植機
KR102382289B1 (ko) 승용 수전 작업기
JP2013132235A (ja) 水田作業機
KR20200064986A (ko) 승용 전식기
JP2011160814A (ja) 苗移植機
KR102559817B1 (ko) 파종기
JP5513141B2 (ja) 粉粒体供給装置
JP2006067861A (ja) 苗植機
KR20190010687A (ko) 무논 작업기
JP5024442B2 (ja) 苗移植機
KR102485084B1 (ko) 수전 작업기
KR20190015542A (ko) 이앙기
JP2007043958A (ja) 植付機
JP2010124810A (ja) 乗用型農作業機
JP5832270B2 (ja) 水田作業機
JP5464254B2 (ja) 直播機
JP4677741B2 (ja) 苗移植機
JP2008022761A (ja) 移植機
JP2016136976A (ja) 移植機
JP6524045B2 (ja) 水田作業機
JP2019076085A (ja) 乗用田植機
JP6468719B2 (ja) 水田作業機
JP3783406B2 (ja) 施肥装置
JP2007267626A (ja) 複数条植えの苗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