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6518A - 폴리아크릴레이트와 플루오르-함유 폴리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아크릴레이트와 플루오르-함유 폴리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6518A
KR20170026518A KR1020177002295A KR20177002295A KR20170026518A KR 20170026518 A KR20170026518 A KR 20170026518A KR 1020177002295 A KR1020177002295 A KR 1020177002295A KR 20177002295 A KR20177002295 A KR 20177002295A KR 20170026518 A KR20170026518 A KR 20170026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isomers
component
composition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9029B1 (ko
Inventor
볼프강 크나우프
레지나 브룬마이어
Original Assignee
아르크로마 아이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크로마 아이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르크로마 아이피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26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0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L33/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0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18C13or longer chain (meth)acrylate, e.g. stear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2Esters containing halogen
    • C08F220/24Esters containing halogen containing perhaloalkyl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 C08F220/325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containing glycidyl radical, e.g. glycid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 C08L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 C08L33/068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containing glycid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L61/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L61/2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e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 C09D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 C09D133/068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containing glycid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D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9D133/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oils, fats or wax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09D1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224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ac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395Isocyan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4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D06M15/24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containing chlori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06M15/27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of unsaturated carboxylic esters having epoxy 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06M15/27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containing fluori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8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 D06M15/29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containing a N-methylol group or an etherified N-methylol group; containing a N-aminomethylene group; containing a N-sulfidomethylene group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9Aldehyde resins; Ketone resins; Polyacetals
    • D06M15/423Amino-aldehyde resi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C08F2220/1825
    • C08F2220/325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2Applications used for fi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02Natural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04Vegetal fibres
    • D06M2101/06Vegetal fibres cellulos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2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01Stain or soil resist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1Ole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50Modified hand or grip properties; Softening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크릴레이트 (A1) 및 왁스 (B)를 포함하는 제1 구성성분 (I),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A2)를 포함하는 제2 구성성분 (II)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폴리아크릴레이트 (A1)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M1) 및 (M2), 및 선택적으로 (M3) 유래의 모이어티들을 포함하고, (M1) CH2=CR3COO-R1, (M2) CH2=CR3COO-R2, (M3) CH2=CR3-X-R4; 여기서, R1은 1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단량체 (M1) 내의 알코올 모이어티이며; R2는 9개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단량체 (M2) 내의 알코올 모이어티이며; R3는 독립적으로 H, CH3 또는 C2H5로부터 선택되며; X는 COO 또는 CONH이며; R4는 글리시딜 또는 CH2(CH2)n-OR5이며, 여기서, n은 1 내지 10의 범위의 정수이고, R5는 H, 또는 1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잔기이고; 폴리아크릴레이트 (A2)는 플루오르-함유 폴리아크릴레이트이고; 상기 조성물은 물 및/또는 유기 용매를 기재로 한다(based on).

Description

폴리아크릴레이트와 플루오르-함유 폴리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MIXTURES OF POLYACRYLATES WITH FLUORINE-CONTAINING POLYACRYLATES}
본 발명은, 2개의 서로 다른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들로부터 제조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파라핀 왁스, 및 선택적으로, 차단된(blocked) 이소시아네이트, 폴리실록산 및 멜라민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구성성분을 함유하고, 플루오르-함유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제2 구성성분을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이러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 텍스타일과 같은 기재에 발수성, 발유성 및 발오성을 부여하기 위해 이러한 기재를 이러한 조성물로 처리하는 방법, 및 이와 같이 처리된 상기 기재에 관한 것이다.
우븐(woven), 편물 또는 부직포와 같은 텍스타일 직물에 요망되는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이들 직물을 수성 분산액으로 처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요망되는 특성은 예를 들어, 발수 효과, 즉 소수성 효과이다. 텍스타일을 위한 발수성, 발유성 및 발오성을 수득하기 위해, 플루오르-함유 생성물의 수성 분산액이 사용될 수 있다.
EP 1 899 391은 발유성, 발오성 및 발수성 및 추가의 표면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증량제(extender) 조성물을 플루오르화된 분산액과 혼합함으로써 제조되는 수성 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EP 1 485 533은 물 및/또는 유기 용매를 기재로 하는(based on) 조제물, 및 텍스타일 직물 상에서 코팅으로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제물은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함유하는 반응 생성물을 함유할 수 있다.
EP 1 424 433은 고급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로부터 유래된 수계(waterborne) 소수성 차단벽 코팅에 관한 것이다. 코팅은 플루오르-함유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US 2007/0009663은 처리된 기재에 표면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플루오로중합체와 블렌딩될 수 있는 중합체 증량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EP 1 595 932는, 플루오르화된 발수제 및 발유제 (A), 파라핀 왁스, 예컨대 50℃ 내지 70℃의 용융점 및 25℃에서 최대 20의 침투 경도(penetration hardness)를 가진 파라핀 왁스, 및 카르복실기-함유 폴리에틸렌, 예컨대 90℃ 내지 135℃의 용융점 및 10 mg KOH/g 내지 30 mg KOH/g의 산가(acid value)를 가진 카르복실기-함유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에멀젼화된 생성물 (B), 및 유기산 (C)을 포함하는 발수성 및 발유성 수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EP 2 430 713은 수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적어도 구성성분 A 내지 C를 포함하며, 여기서, 구성성분 A는 적어도 구성성분 A1 내지 A3를 함유하는 혼합물이며, 구성성분 A1은 파라핀 왁스이며; 구성성분 B는 적어도 구성성분 B1 내지 B3를 함유하는 혼합물이며, 구성성분 B1은 이소시아네이트기-함유 폴리우레탄이며, 구성성분 B2는 분산제 또는 이의 혼합물이고 에톡실화된 알코올 및 선택적으로 2가 지방족 알코올 및 무기산을 함유하고, 구성성분 B3는 물이고; 구성성분 C는 퍼플루오로알킬 RF 기를 함유하는 중합체이다. 수성 조성물은 적어도 구성성분 A 내지 C를 포함하며, 여기서, 구성성분 A는 적어도 구성성분 A1 내지 A3를 함유하는 혼합물이며, 구성성분 A1은 파라핀 왁스이며, 구성성분 A2는 12C 내지 22C 알코올, 에테르화된 폴리메틸올-멜라민, 바람직하게는 4차화된(quaternized) 폴리메틸올-멜라민 및 선택적으로 폴리하이드릭 에탄올아민의 축합 생성물이며, 여기에 0.05 중량% 내지 1.5 중량%의 산,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이 함유되고, 구성성분 A3는 물이거나, 구성성분 A는 적어도 구성성분 A4 내지 A6를 함유하는 혼합물이고, 구성성분 A4는 규소 원자에 결합된 알킬기 외에도 규소 원자에 결합된 수소 원자를 함유하는 폴리실록산 및 알킬 하이드로겐 폴리실록산이며, 구성성분 A5는 물이고, 구성성분 A6는 분산제, 바람직하게는 에톡실화된 알코올 또는 에톡실화된 알코올들의 혼합물이며, 바람직하게는, 8개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에톡실화된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코올이 사용되며; 구성성분 B는 적어도 구성성분 B1 내지 B3를 함유하는 혼합물이며, 구성성분 B1은 이소시아네이트기-함유 폴리우레탄이고, 이의 이소시아네이트기는 차단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케톤 옥심에 의해 차단되어 있고; 폴리우레탄은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또는 지방족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다이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2C 내지 6C 다이올을 가진 다이이소시아네이트가 3가 지방족 알코올 및 N-알킬화된 다이에탄올아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으로 반응되며; 구성성분 B2는 분산제 또는 이의 혼합물이고 에톡실화된 알코올 및 선택적으로 2가 지방족 알코올 및 선택적으로 무기산을 함유하며; 구성성분 B3는 물이고; 구성성분 C는 퍼플루오로알킬 (RF) 기를 함유하는 중합체이며, 여기서, 존재하는 모든 RF-기의 55% 내지 100%는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지르코늄 염, 바람직하게는 지르코늄 아세테이트를 구성성분 D로서 함유한다. 섬유 물질로 제조된 텍스타일 편평 구조는 조성물로 처리될 수 있다.
EP 1 629 149는 물 및/또는 유기 용매를 기재로 하는 조제물, 및 평면 구조 상의 마감재로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제물은 (1) 10 중량% 내지 90 중량%의 플루오라이드-함유 발유 및 발수 작용제, (2) 구성성분 (A)를 비-차단 또는 부분적으로 차단된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IC)와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되는, 10 중량% 내지 80 중량%의 소수성 반응 생성물 (S), (3) 0 중량% 내지 45 중량%의 비-차단 또는 차단된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4) 선택적인 보편적인 유화제를 함유한다. 조제물은 마감재로서 사용 시, 영구적인 발유성과 발수성 및 부드러운 촉감을 가진, 처리된 평면 구조를 제공한다.
산업에서, 텍스타일과 같은 기재에 내구성 있는 발수성을 부여하는 새로운 발수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은 하나 이상의 제1 구성성분 (I) 및 제2 구성성분 (II)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해 달성되며, 여기서, 제1 구성성분 (I)은 폴리아크릴레이트 (A1) 및 왁스 (B)를 포함하고, 제2 구성성분 (II)은 플루오르-함유 폴리아크릴레이트 (A2), 바람직하게는 퍼플루오로알킬기를 함유하는 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되는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제1 구성성분 (I)은 적어도 폴리아크릴레이트 (A1) 및 왁스 (B)로 제조되며, 여기서, 폴리아크릴레이트 (A1)는 2개의 서로 다른 (메트)아크릴레이트들을 바람직하게는 물 및/또는 유기 용매에서 중합함으로써 제조되는 폴리아크릴레이트이다.
이에, 제1 양태에서 ,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제1 구성성분 (I) 및 제2 구성성분 (II)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제1 구성성분 (I)은 폴리아크릴레이트 (A1) 및 왁스 (B)를 포함하고, 제2 구성성분 (II)은 폴리아크릴레이트 (A2)를 포함하며, 여기서,
폴리아크릴레이트 (A1)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M1) 및 (M2), 및 선택적으로 (M3) 유래의 모이어티들을 포함하고,
(M1) CH2=CR3COO-R1
(M2) CH2=CR3COO-R2
(M3) CH2=CR3-X-R4;
상기 식들에서,
R1은 1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단량체 (M1) 내의 알코올 모이어티이며;
R2는 9개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단량체 (M2) 내의 알코올 모이어티이며;
R3는 독립적으로 H, CH3 또는 C2H5로부터 선택되며;
X는 COO 또는 CONH이며;
R4는 글리시딜 또는 CH2(CH2)n-OR5이며, 여기서, n은 1 내지 10의 범위의 정수이고, R5는 H, 또는 1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잔기이고;
폴리아크릴레이트 (A2)는 플루오르-함유 폴리아크릴레이트이고;
상기 조성물은 물 및/또는 유기 용매를 기재로 한다(based on).
일 구현예에서, 구성성분 (I)은 적어도 폴리아크릴레이트 (A1) 및 왁스 (B),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C) 내지 (E)를 포함하고, 여기서:
(A1)은 단량체 (M1)과 (M2) 및 선택적으로 (M3)의 중합에서 수득되며;
(C)는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이며;
(D)는 유기 폴리실록산이며;
(E)는 멜라민 수지이다.
일 구현예에서, R1은 1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R2는 12개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일 구현예에서, R1은 분지형, 비분지형 또는 환형 C1 내지 C6 알킬이고, R2는 분지형, 비분지형 또는 환형 C12 내지 C40 알킬이다.
일 구현예에서, R1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n-펜틸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헥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고; R2는 n-도데실 (라우릴)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트리데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테트라데실 (미리스틸)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펜타데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헥사데실 (세틸)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헵타데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옥타데실 (스테아릴) 및 이들의 이성질체, n-노나데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에이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헤네이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도코실 (베헤닐)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트리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테트라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펜타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헥사코실 (세릴(ceryl))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헵타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옥타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노나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트리아콘틸 (미리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서, 폴리아크릴레이트 (A1)는 (A1)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45 중량%의 단량체 (M1)와 55 중량% 내지 95 중량%의 단량체 (M2)의 중합에서 수득된다.
일 구현예에서, 폴리아크릴레이트 (A1)는 (A1)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44 중량%의 단량체 (M1), 55 중량% 내지 94 중량%의 단량체 (M2)와 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단량체 (M3)의 중합에서 수득된다.
일 구현예에서, 왁스 (B)의 용융점은 50℃ 내지 130℃, 또는 60℃ 내지 90℃의 범위이다.
일 구현예에서, 왁스 (B)는 파라핀 왁스이다.
일 구현예에서, 제1 구성성분 (I)은, 이러한 제1 구성성분 (I)의 총 양(= 100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내지 90 중량%의 (A1);
10 중량% 내지 90 중량%의 (B);
0 중량% 내지 40 중량%의 (C);
0 중량% 내지 40 중량%의 (D);
0 중량% 내지 40 중량%의 (E)
를 포함하고; 제2 구성성분 (II)은 이러한 제2 구성성분 (II)의 총 양을 기준으로, 1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A2)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제2 구성성분 (II)의 폴리아크릴레이트 (A2)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M4)로부터 유래되는 모이어티를 포함하며:
(M4) CH2=CR6COO-Y-RF,
RF-Y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M4) 내의 알코올 모이어티이며,
Y는 -(CH2)m-이며, 여기서, m은 1 내지 10의 범위의 정수이고;
RF는 CxF2x +1이며, 여기서, x는 1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의 범위의 정수이고;
R6는 H, CH3, Cl 또는 F이다.
일 구현예에서, 폴리아크릴레이트 (A2)는 단량체 (M4) CH2=CR6COO-Y-RF의 중합에서 수득된다.
일 구현예에서, 폴리아크릴레이트 (A2)는 단량체 (M4)와 단량체 (M1), (M2), (M3), (V1) 및 (V2) 중 하나 이상의 중합에서 수득되며, 여기서, (V1)은 비닐 클로라이드이고, (V2)는 비닐리덴 클로라이드이다.
일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이러한 조성물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90 중량%의 제1 구성성분 (I) 및 90 중량% 내지 5 중량%의 제2 구성성분 (II)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구성성분 (I)와 (II)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내지 90 중량%의 제1 구성성분 (I) 및 90 중량% 내지 10 중량%의 제2 구성성분 (II)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은, 이러한 조성물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60 중량%의 범위이다.
제2 양태 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제조 방법은 적어도 단계 (C3)를 포함한다:
(C3) 제1 구성성분 (I)을 제2 구성성분 (II)과 혼합하는 단계.
일 구현예에서, 본 방법은 추가로, 단계 (C3) 전에 적어도 단계 (C1) 및 단계 (C2)를 포함한다:
(C1) 적어도 단량체 (M1) 및 (M2), 및 왁스 (B), 및 물 및/또는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균질화하는 단계;
(C2) 단계 (C1)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중합하여, 제1 구성성분 (I)을 수득하는 단계.
제3 양태 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재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처리 방법은 적어도 단계 (S1)를 포함한다:
(S1) 기재를 제1 양태 에서 정의된 조성물과 접촉시키거나, 기재를 제2 양태 에서 정의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
일 구현예에서, 기재는 스레드 및 방적사와 같은 선형 모양의 형태, 직물, 니티드(knitted) 직물, 노티드(knotted) 직물, 부직포 직물, 펠트와 같은 평면 모양의 형태, 또는 호스, 및 여성, 남성 및 어린이용 겉옷과 같은 공간 모양의 형태이거나; 기재는 텍스타일, 섬유, 직물, 제지, 부직포, 가죽 또는 이들 중 2개 이상의 조합이다.
제4 양태 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 양태 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폴리아크릴레이트 (A1), 왁스 (B)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A2)를 포함하는 기재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기재는 제3 양태 에 정의된 방법에 의해 처리되거나, 처리되었다.
일 구현예에서, 기재는 스레드 및 방적사와 같은 선형 모양의 형태, 직물, 니티드 직물, 노티드 직물, 부직포 직물, 펠트와 같은 평면 모양의 형태, 또는 호스, 및 여성, 남성 및 어린이용 겉옷과 같은 공간 모양의 형태이거나; 기재는 텍스타일, 섬유, 직물, 제지, 부직포, 가죽 또는 이들 중 2개 이상의 조합이다.
제4 양태 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레드 및 방적사와 같은 선형 모양의 형태, 직물, 니티드 직물, 노티드 직물, 부직포 직물, 펠트와 같은 평면 모양의 형태, 또는 호스, 및 여성, 남성 및 어린이용 겉옷과 같은 공간 모양의 형태의 임의의 텍스타일에서의, 또는 텍스타일에 대한 마감재로서의 제1 양태 에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스레드 및 방적사와 같은 선형 모양의 형태, 직물, 니티드 직물, 노티드 직물, 부직포 직물, 펠트와 같은 평면 모양의 형태, 또는 호스, 및 여성, 남성 및 어린이용 겉옷과 같은 공간 모양의 형태의 임의의 텍스타일에서의, 또는 텍스타일에 대한 마감재로서의 왁스의 용도에 관한 것이며, 왁스는 이러한 왁스의 총 양을 기준으로, 75 중량% 내지 95 중량% 양의 n-파라핀 및 5 중량% 내지 25 중량% 양의 하나 이상의 이소파라핀, 사이클로파라핀 또는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n-파라핀은 20개 내지 6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n-파라핀의 분자량은 300 내지 600이다.
인용된 하기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정의되며, 예를 들어 용어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둘 다 포함한다.
제1 양태 :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구성성분, 즉 제1 구성성분 (I) 및 제2 구성성분 (II)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1 구성성분은 폴리아크릴레이트 (A1) 및 왁스 (B)를 기재로 하고, 제2 구성성분은 플루오르-함유 폴리아크릴레이트 (A2)를 기재로 한다.
제1 구성성분 (I)
제1 구성성분 (I)은 적어도 폴리아크릴레이트 (A1) 및 왁스 (B),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C) 내지 (E)를 포함한다:
(A1) 단량체
(M1) CH2=CR3COO-R1
(M2) CH2=CR3COO-R2 및 선택적으로
(M3) CH2=CR3-X-R4
의 중합에서 수득되는 폴리아크릴레이트;
(B) 왁스;
(C)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
(D) 유기 폴리실록산;
(E) 멜라민 수지;
여기서,
R1은 1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잔기이며;
R2는 9개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잔기이며;
R3는 독립적으로 H, CH3 또는 C2H5로부터 선택되며;
X는 COO 또는 CONH이며;
R4는 글리시딜 또는 CH2(CH2)n-OR5이며, 여기서, n은 1 내지 10의 범위의 정수이고, R5는 H 또는 1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잔기이다.
폴리아크릴레이트 (A1)
폴리아크릴레이트 (A1)는 단량체 (M1)와 단량체 (M2)의 중합 반응에서 수득되는 반응 생성물이다. 선택적으로, 단량체 (M3)가 부가적으로 단량체 (M1) 및 (M2)에 이용될 수 있다.
용어 "폴리아크릴레이트 (A1)는 단량체 (M1)와 단량체 (M2) 및 선택적으로 단량체 (M3)의 중합 반응에서 수득되는 반응 생성물이다"는, 폴리아크릴레이트 (A1)가 단량체 (M1) 및 단량체 (M2) 및 선택적으로 단량체 (M3)로부터 유래되는 모이어티들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량체 (M1) 및 (M2)는 서로 다른 아크릴산 에스테르이다. 용어 "서로 다른"이라는 것은, (M1) 및 (M2)가 단량체의 에스테르 모이어티의 구성에서 적어도 상이함을 의미한다.
단량체 (M1)
본 발명에 따르면, 단량체 (M1)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CH2=CR3COO-R1이며, 여기서, R1은 1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잔기를 나타낸다. R3는 H, CH3 또는 C2H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단량체 (M1) [또는 단량체 (M2) 또는 (M3) 또는 (M4)]와 같은 본원에 정의된 임의의 단량체의 정의에 사용되는 용어 "잔기"는 에스테르 또는 단량체 (M1) (또는 다른 각각의 단량체)의 알코올 모이어티를 나타낸다.
일 구현예에서, R1은 포화 또는 불포화될 수 있는 분지형, 비분지형 또는 환형 C1 - C8 알킬기이다.
바람직하게는, R1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ec-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n-펜틸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헥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헵틸 및 이들의 이성질체, n-옥틸 및 이들의 이성질체,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헵틸 및 사이클로옥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서로 다른 단량체 (M1)들의 혼합물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R1과 함께 용어 "이성질체"는 위치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R1은 1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잔기, 즉, 에스테르의 알코올 모이어티를 나타낸다.
일 구현예에서, R1은 포화 또는 불포화될 수 있는 분지형, 비분지형 또는 환형 C1 내지 C6 알킬기이다.
바람직하게는, R1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n-펜틸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헥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단량체 (M2)
본 발명에 따르면, 단량체 (M2)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CH2=CR3COO-R2이며, 여기서, R2는 9개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잔기, 즉 에스테르의 알코올 모이어티이다. R3는 H, CH3 또는 C2H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서, R2는 포화 또는 불포화될 수 있는 분지형, 비분지형 또는 환형 C9 내지 C40 알킬기이다.
바람직하게는, R2는 n-노닐 및 이들의 이성질체, n-데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운데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도데실 (라우릴)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트리데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테트라데실 (미리스틸)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펜타데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헥사데실 (세틸)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헵타데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옥타데실 (스테아릴) 및 이들의 이성질체, n-노나데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에이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헤네이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도코실 (베헤닐)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트리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테트라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펜타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헥사코실 (세릴)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헵타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옥타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노나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트리아콘틸 (미리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서로 다른 단량체 (M2)들의 혼합물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R2와 관련하여 용어 "이성질체"는 위치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R2는 12개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잔기, 즉 에스테르의 알코올 모이어티이다.
일 구현예에서, R2는 포화 또는 불포화될 수 있는 분지형, 비분지형 또는 환형 C12 내지 C40 알킬기이다.
바람직하게는, R2 n-도데실 (라우릴)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트리데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테트라데실 (미리스틸)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펜타데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헥사데실 (세틸)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헵타데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옥타데실 (스테아릴) 및 이들의 이성질체, n-노나데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에이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헤네이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도코실 (베헤닐)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트리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테트라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펜타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헥사코실 (세릴)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헵타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옥타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노나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트리아콘틸 (미리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서, 단량체 (M1)의 R1은 분지형, 비분지형 또는 환형 C1 내지 C6 알킬기이고, R2는 분지형, 비분지형 또는 환형 C12 내지 C40 알킬기이며, 이들은 각각 포화 또는 불포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R1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n-펜틸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헥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고, R2는 n-도데실 (라우릴)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트리데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테트라데실 (미리스틸)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펜타데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헥사데실 (세틸)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헵타데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옥타데실 (스테아릴) 및 이들의 이성질체, n-노나데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에이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헤네이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도코실 (베헤닐)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트리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테트라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펜타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헥사코실 (세릴)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헵타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옥타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노나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트리아콘틸 (미리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서, 단량체 (M1)의 R1은 분지형, 비분지형 또는 환형 C1 내지 C5 알킬기이고, R2는 분지형, 비분지형 또는 환형 C14 내지 C40 알킬기이며, 이들은 각각 포화 또는 불포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R1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n-펜틸 및 이들의 이성질체,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고, R2는 n-테트라데실 (미리스틸)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펜타데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헥사데실 (세틸)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헵타데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옥타데실 (스테아릴) 및 이들의 이성질체, n-노나데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에이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헤네이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도코실 (베헤닐)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트리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테트라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펜타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헥사코실 (세릴)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헵타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옥타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노나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트리아콘틸 (미리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폴리아크릴레이트 (A1)는 바람직하게는 (A1)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45 중량%의 단량체 (M1)와 55 중량% 내지 95 중량%의 단량체 (M2)의 반응에서 수득되거나; 또는 (A1)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내지 40 중량%의 단량체 (M1)와 60 중량% 내지 80 중량%의 단량체 (M2)의 반응에서 수득된다.
단량체 (M3)
본 발명에 따르면, 조성물은 단량체 (M3)의 존재 하에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단량체 CH2=CR3-X-R4이다.
일 구현예에서, 단량체 (M3)는 아크릴산의 글리시딜에스테르 (X = COO이고, R4 = 글리시딜임)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단량체 (M3)는 아크릴산의 에스테르이며, 여기서, 에스테르 모이어티는 에테르기 (X = COO이고, R4 = CH2(CH2)n-OR5임)를 가지며, n은 1 내지 10의 범위의 정수이고, R5는 H, 또는 1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잔기, 바람직하게는 분지형, 비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이다. 바람직하게는, n은 1 내지 4의 범위의 정수이고, R5는 H, 또는 1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잔기, 바람직하게는 분지형, 비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R4 = CH2(CH2)n-OR5인 경우, n은 1 내지 4의 범위의 정수이고, R5는 H, n-부틸 또는 이소-부틸이다.
일 구현예에서, 단량체 (M3)는 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단량체 (M3)는 글리시딜아크릴산의 에스테르 아미드 (X = CONH이고, R4 = 글리시딜)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단량체 (M3)는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아미드이며, 여기서, 에스테르 모이어티는 에테르기 (X = CONH이고, R4 = CH2(CH2)n-OR5)를 가지고, n은 1 내지 10의 범위의 정수이고, R5는 H, 또는 1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잔기, 바람직하게는 분지형, 비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이다. 바람직하게는, n은 1 내지 4의 범위의 정수이고, R5는 H, 또는 1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잔기, 바람직하게는 분지형, 비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이다.
서로 다른 단량체 (M3)들의 혼합물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아크릴산 아미드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R4 = CH2(CH2)n-OR5이라면, n은 1 내지 4의 범위의 정수이고, R5는 H, n-부틸 또는 이소-부틸이다.
글리시딜기를 가진 단량체 (M3)는, 하이드록실기 또는 아미노기와 같은 상기 글리시딜기와 반응할 수 있는 기를 가진 기재에의 증가된 접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단량체 (M3)가 존재하는 경우, (A1)은 바람직하게는, (A1)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44 중량%의 (M1)과 55 중량% 내지 94 중량%의 (M2) 및 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M3)의 반응에서 수득된다.
왁스 (B)
본 발명에 따르면, (B)는 왁스, 바람직하게는 발수성과 같은 소수성 특성을 가진 왁스이다.
기본적으로 알려진 모든 왁스들, 즉, 천연 왁스, 화학적으로 변형된 왁스 및 합성 왁스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이용될 수 있으며, 단, 이들 왁스는 소수성을 가진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왁스"는 공개문헌 "Roempp Chemielexikon, 9th edition, vol. 6, page 4972"에 주어진 정의를 지칭한다.
이에, 천연 왁스는 식물성 왁스, 동물성 왁스, 미네랄 왁스 및 석유화학 왁스를 기재로 할 수 있다.
식물성 왁스는 예를 들어 카르나우바 왁스이고, 동물성 왁스는 예를 들어 밀납이다.
미네랄 왁스는 예를 들어, 세레신(ceresin)이다.
바셀린(petrolatum), 파라핀 왁스 및 마이크로왁스와 같은 석유화학 왁스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화학적으로 변형된 왁스는 몬탄 에스테르 왁스 및 사솔(sasol) 왁스와 같은 왁스이다.
합성 왁스는 폴리알킬렌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기재로 하는 왁스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왁스는 50℃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의 범위의 용융점을 가진 것으로 선택된다. 용융점은 ASTM D 938-05 / DIN ISO 2207:1983에 따라 확인된다.
50℃보다 더 낮은 용융점을 가진 왁스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때때로,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분산액으로 처리되어야 하는 텍스타일에 발수성을 부여하기에 덜 적합하다. 100℃보다 더 높은 용융점 범위를 가진 왁스는 직물의 허용가능한 발수성 및 내세척성(resistance to washing)을 초래할 수 있긴 하지만, 이러한 왁스는 수성 분산액의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이들 분산액은 기술적으로 취급하기가 덜 용이하다.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100℃ 내지 130℃의 범위의 용융점을 가진 왁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적합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성분 (B)에 따른 왁스의 용융점은 50℃ 내지 130℃의 범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왁스는 파라핀 왁스이다.
파라핀 왁스는 20개 내지 6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n-파라핀을 주요 구성성분으로 함유하고 이소파라핀, 및/또는 사이클로파라핀 및/또는 방향족 화합물을 소량으로 함유하는 혼합물이다. n-파라핀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600이다.
분자량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확인된다. n-파라핀, 이소파라핀, 사이클로파라핀 및 방향족 화합물의 분포는 13C NMR 분광법을 사용하여 확인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왁스는, 이러한 왁스의 총 양을 기준으로 (= 100 중량%), n-파라핀 75 중량% 내지 95 중량% 및 하나 이상의 이소파라핀, 사이클로파라핀 또는 방향족 화합물 5 중량%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융융점의 범위가 68℃ 내지 74℃인 파라핀 왁스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CAS No. 8002-74-2).
사솔왁스(Sasolwax) 8775, 사솔왁스 7040, 사솔왁스 3971, 사솔왁스 6805 또는 사솔왁스 222와 같은 이러한 적합한 왁스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일 구현예에서, 2개 이상의 왁스 (B)가 이용될 수 있다.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 (C) (선택적인)
본 발명에 따르면, 구성성분 (I)은 선택적으로 조성물에 차단 또는 부분적으로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 (C)를 함유할 수 있다.
용어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차단제와 반응한 모노이소시아네이트,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며, 이는 가열 시 이소시아네이트 및 차단제를 방출한다. 아민, 아미드, 활성 수소 원자 또는 알코올을 가진 화합물과 같은 적합한 차단제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상기 가열이,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예컨대 섬유와 같은 적합한 기재의 하이드록실기 또는 아미노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가진 화합물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경우, 개선된 접착성이 수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존재하는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 특히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상기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할 수 있는 아민기 또는 하이드록실기와 같은 기를 가진 기재에의 증가된 접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성분 (C)은 조성물에, 구성성분 (I)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0 중량%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Arkophob DAN, Arkophob SR 및 Cassurit FF (all Archroma); Phobol XAN (Huntsman) 및 Ruco-Guard WEB (Rudolf)와 같은 이러한 적합한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유기 폴리실록산 (D) (선택적인)
본 발명에 따르면, 구성성분 (I)은 선택적으로, 유기 폴리실록산 수지 (D)를 함유할 수 있다.
용어 "유기 폴리실록산"은, 적어도 규소 원자의 일부가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가진, 즉 치환될 수 있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폴리실록산은 환형,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다.
기재에 발수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유기 폴리실록산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생성물은 예를 들어, DE 10 2013 209 170 및 EP 2 152 957로부터 알려져 있다.
폴리실록산 (D)는 조성물에, 구성성분 (I)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0 중량%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Ceraperm SFC (Archroma), Powersoft FE 55 또는 Wacker Finish WR 210 (둘 다 Wacker Chemie, Germany)과 같은 이러한 폴리실록산 제형이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멜라민 수지 (E) (선택적인)
본 발명에 따르면, 구성성분 (I)은 선택적으로, 멜라민 수지 (E)를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멜라민 수지는 예를 들어, 멜라민 모이어티의 아미노기의 수소 원자가 CH2O-알킬기 또는 CH2O2C-알킬기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치환된 수지이다. 이러한 생성물은 US 3 480 579로부터 알려져 있다.
추가의 적합한 멜라민 수지는, 멜라민 모이어티의 아미노기의 수소 원자가 포화 또는 불포화, 선형, 분지형 및/또는 환형 탄화수소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치환된 수지이다. 이러한 생성물은 예를 들어, DE 10 2013 209 170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성분 (E)는 조성물에, 구성성분 (I)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0 중량%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적합한 멜라민 수지를 함유하는 제형, 예컨대 Cerol EX (Archroma) 또는 Freepel 1225 (Emerald Performance Materials) 또는 Phobotex JVA (Huntsman)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이러한 멜라민 수지는 구성성분 (B)과 같은 파라핀 왁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성분 (A) 내지 (E)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거나, 알려진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폴리아크릴레이트 (A1)는 본 발명의 제2 양태 에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구성성분 (I)의 성분은 전형적으로, 상기 구성성분 (I)을 형성하기 위해 물 및/또는 유기 용매에 제공된다.
용어 "성분"은 구성성분 (I) 또는 (II)에 함유된 화합물 또는 성분을 의미한다.
제2 구성성분 (II)
제2 구성성분 (II)은 플루오르-함유 폴리아크릴레이트 (A2), 특히 퍼플루오로알킬기를 함유하는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폴리아크릴레이트 (A2)
일 구현예에서, 폴리아크릴레이트 (A2)는 단량체 (M4) CH2=CR6COO-Y-RF의 중합에서 수득되며, 여기서,
RF-Y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M4) 내의 알코올 모이어티이며,
Y는 - (CH2)m-이며, m은 1 내지 10의 범위의 정수이고;
RF는 CxF2x +1이며, x는 1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의 범위의 정수이며;
R6는 H, CH3, Cl 또는 F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서, CxF2x +1 분지형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CxF2x +1 비분지형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RF는 CxF2x +1이고, x는 4, 5 또는 6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RF는 CxF2x +1이고, x는 6이다.
용어 "폴리아크릴레이트 (A2)는 단량체 (M4)의 중합에서 수득된다"는, 폴리아크릴레이트 (A2)가 단량체 (M4) 유래의 모이어티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폴리아크릴레이트 (A2)는 단량체 (M4)와 하나 이상의 단량체 (M1), (M2), (M3), (V1) 및 (V2)의 중합에서 수득되며, 여기서, (M1), (M2) 및 (M3)는 구성성분 (I)에 대해 정의된 의미를 가지고, (V1)은 비닐 클로라이드이고, (V2)는 비닐리덴 클로라이드이다.
용어 "폴리아크릴레이트 (A2)는 단량체 (M4)와 하나 이상의 단량체 (M1), (M2), (M3), (V1) 및 (V2)의 중합에서 수득된다"는, 폴리아크릴레이트 (A2)가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M4) 유래의 모이어티, 및 부가적으로는 단량체 (M1), (M2), (M3), (V1) 및/또는 (V2) 유래의 하나 이상의 모이어티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 구현예에서, 폴리아크릴레이트 (A2)는 단량체 (M4)와 하나 이상의 (M1), (M2) 또는 (M3), 및 (V1) 또는 (V2)의 공중합체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폴리아크릴레이트는 단량체 (M4)와 하나 이상의 (M1), (M2) 또는 (M3)의 공중합체이다.
일 구현예에서, 폴리아크릴레이트 (A2)는 2-퍼플루오로헥실에틸 메타크릴레이트 C6F13C2H4OCOC(CH3)=CH2와 적어도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또는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및 비닐 클로라이드 또는 비닐리덴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폴리아크릴레이트 (A2)는 2-퍼플루오로헥실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적어도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또는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이다.
폴리아크릴레이트 (A2)는 예를 들어 WO 2008/022985 (EP 2 057 201)로부터 알려져 있거나, 알려진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A2)는 알려진 방법에 따라 에멀젼 중합에서 제조된다.
일 구현예에서, 폴리아크릴레이트 (A2) 외에도, 구성성분 (II)은 부가적으로는,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유기 폴리실록산 및/또는 멜라민 수지를 추가의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은 동일할 수 있거나 구성성분 (I)에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들과 서로 다를 수 있다.
구성성분 (II)의 성분은 전형적으로, 상기 구성성분 (II)을 형성하기 위해 물 및/또는 유기 용매에 제공된다.
물 및/또는 유기 용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물 및/또는 유기 용매를 기재로 한다.
용어 "물 및/또는 유기 용매를 기재로 하는"은 물 및/또는 유기 용매에서 조성물에 함유된 고체 및/또는 액체 화합물의 용액, 에멀젼 및 분산액을 포함한다. 용어 "용액", "에멀젼" 및 "분산액"은 상호호환적으로 사용된다.
용어 ""은 증류수뿐만 아니라 파이프 물을 포함한다.
용어 "유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과 혼화성이거나 부분적으로 수용성인 용매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유기 수-혼화성 용매는 C1-2 알코올, 글리콜,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아미드, 예컨대 N-메틸포름아미드 및 N,N-다이메틸포름아미드이다.
부분적으로 수용성인 용매가 또한 적합하다. 바람직한 유기 용매는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다이메틸에테르, 메톡시 프로필 아세테이트, 메톡시 부틸 아세테이트 (부톡실) 및 메톡시 메틸 부틸 아세테이트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주로 물을 기재로 한다. 용어 "주로"는, 유기 용매의 양이 물과 유기 용매의 총 중량 (= 100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미만임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유기 용매의 양은 40 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미만이다. 일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유기 용매를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러한 조성물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1 중량% 내지 90 중량%의 물 및/또는 유기 용매를 함유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물 및/또는 유기 용매 내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은 조성물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60 중량%, 또는 10 중량%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4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내지 35 중량%의 범위이다.
더욱이,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하기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화합물은 종종 기재에 발수성을 부여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N-메틸올 화합물, 예컨대 N-메틸올 아크릴산 아미드, 또는 N-메틸올기를 가진 멜라민 수지; 염소-함유 생성물 특히, 단량체, 예컨대 비닐 클로라이드 또는 비닐리덴 다이클로라이드 유래의 염소-함유 생성물.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러한 조성물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90 중량%의 제1 구성성분 (I) 및 90 중량% 내지 5 중량%의 제2 구성성분 (II)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구성성분 (I)과 (II)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내지 90 중량%의 제1 구성성분 (I) 및 90 중량% 내지 10 중량%의 제2 구성성분 (II)을 포함한다.
제2 양태 :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제1 구성성분 (I) 및 제2 구성성분 (II)을 당업계에 알려진 혼합 방법에 따라 혼합하고, 예를 들어 구성성분 (I)을 구성성분 (II)에 첨가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첨가하고, 이를 교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균질한 혼합물이 수득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적어도 단계 (C3):
(C3) 구성성분 (I)을 구성성분 (II)와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방법은 단계 (C3) 전에 적어도 단계 (C1) 및 단계 (C2)를 포함한다:
(C1) 적어도 단량체 (M1) 및 (M2), 및 선택적으로 왁스 (B), 및 물 및/또는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균질화하는 단계;
(C2) 단계 (C1)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중합하여, 구성성분 (I)을 수득하는 단계.
일 구현예에서, 단계 (C2)는 단량체 (M1) 및 (M2), 및 선택적으로 (M3)를 물 및/또는 유기 용매에서 중합하고, 구성성분 (B)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요망되는 경우, 텍스타일 처리 조성물의 구성성분으로서 알려진 하나 이상의 (C) 내지 (E)가, 바람직하게는 중합이 종료된 후,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구성성분 (I)은 왁스 (B)의 존재 하에 단량체 (M1) 및 (M2) 및 선택적으로 (M3)를 물 및/또는 유기 용매에서 중합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물에서의 에멀젼 중합에서 제조될 수 있다. 요망되는 경우, 텍스타일 처리 조성물의 구성성분으로서 알려진 하나 이상의 (C) 내지 (E)가, 바람직하게는 중합이 종료된 후,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중합 전에, 물 및/또는 유기 용매에서의 (M1)과 (M2) 및 선택적으로 (M3) 및 왁스 (B)의 혼합물이 균질화된다. 이러한 방법은 하기에 예시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왁스 (B), 단량체 (M1) 및 (M2) 및 선택적으로 단량체 (M3)를 용융시키며, 바람직하게는 분산제 [분산제 (F)]의 존재 하에 용융시킨다. 수득된 혼합물을 뜨거운 물, 예를 들어 85℃의 뜨거운 물에서, 교반에 의해, 예를 들어 Turrax를 사용한 교반에 의해 분산시킨다. 이후, 예를 들어 400 bar 및 80℃ 내지 85℃의 온도에서 고압 균질화시킨다. 이를 위해, 수득된 가열된 혼합물을 균질화기(homogenizer)의 노즐 또는 구멍(orifice)에 통과시킬 수 있다. 적합한 장치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균질화 후, 분산액을 냉각시킬 수 있으며, 중합 촉매를 첨가하고, 바람직하게는 물에 분산 또는 용해시키며: 분산액을 또한, 승온, 예를 들어 80℃에서 중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50℃ 내지 80℃에서 수 시간의 반응 시간 후, 중합이 종료된다.
적합한 분산제 (F)가 알려져 있으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생성물, 예컨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에톡실화된 생성물, 예컨대 에톡실화된 알코올 또는 에톡실화된 카르복실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양이온성-활성 생성물은 4차 암모늄 염, 또는 이러한 양이온성-활성 생성물 및 비이온성 생성물, 예컨대 모노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다이프로필렌 글리콜과의 혼합물일 수 있다. 추가의 적합한 분산제는 양쪽성 구조, 예를 들어 베타인 및/또는 아민 N-옥사이드 관능기를 가진 화합물이다.
폴리아크릴레이트 (A1)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크릴레이트 (A1)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3 중량%의 분산제 또는 분산제 혼합물을 함유한다.
통상, 공중합은 중합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자유-라디칼 공중합으로서 수행된다. 라디칼 중합용 촉매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상업적인 생성물이 사용되며, 이는 자유-라디칼 개시제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특히, 아조 화합물이 촉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촉매는 예를 들어,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이다. 통상, 공중합은 자유-라디칼 공중합으로서 수행되며, 이용되는 중합 촉매의 양은 단량체 (M1) 및 (M2) 및 선택적으로 (M3)의 혼합물 (= 100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내지 5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균질화는 100 bar 내지 1,000 bar의 범위의 압력 및 50℃ 내지 100℃ 범위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혼합물을 노즐 또는 구멍에 통과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균질화는 200 bar 내지 600 bar의 범위의 압력 및 60℃ 내지 90℃의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적합한 균질화기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일 구현예에서, 구성성분 (I) 및 구성성분 (II)은 물 및/또는 유기 용매를 기재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성물은 물 및/또는 유기 용매를 기재로 한다.
용어 "물 및/또는 유기 용매를 기재로 하는"은, 물 및/또는 유기 용매에서 조성물에 함유된 고체 및/또는 액체 화합물의 용액, 에멀젼 및 분산액을 포함한다. 용어 "용액", "에멀젼" 및 "분산액"은 상호호환적으로 사용된다.
용어 ""은 증류수뿐만 아니라 파이프 물을 포함한다.
용어 "유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과 혼화성이거나 부분적으로 수용성인 용매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유기 수-혼화성 용매는 C1-2 알코올, 글리콜,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아미드, 예컨대 N-메틸포름아미드 및 N,N-다이메틸포름아미드이다.
부분적으로 수용성 용매가 또한 적합하다. 바람직한 유기 용매는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다이메틸에테르, 메톡시 프로필 아세테이트, 메톡시 부틸 아세테이트 (부톡실), 및 메톡시 메틸 부틸 아세테이트이다.
바람직하게는, 구성성분 (I) 및/또는 구성성분 (II),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주로 물을 기재로 한다. 용어 "주로"는, 유기 용매의 양이 물과 유기 용매의 총 중량 (= 100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미만임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유기 용매의 양은 40 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미만이다. 일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유기 용매를 함유하지 않는다. 일 구현예에서, 구성성분 (I) 및/또는 구성성분 (II)은 물 및/또는 유기 용매에서 분산액으로서 제공된다.
일 구현예에서, 구성성분 (I)과 (II)의 혼합 전에, 구성성분 (I)은, 이러한 구성성분 (I)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90 중량%의 (A1);
5 중량% 내지 90 중량%의 (B);
0 중량% 내지 40 중량%의 (C);
0 중량% 내지 40 중량%의 (D);
0 중량% 내지 40 중량%의 (E);
0.1 중량% 내지 90 중량%의 물 및/또는 유기 용매
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구성성분 (II)은, 이러한 구성성분 (II)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내지 90 중량%의 (A2);
10 중량% 내지 90 중량%의 물 및/또는 유기 용매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러한 조성물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90 중량% 물 및/또는 유기 용매를 함유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러한 조성물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90 중량%의 제1 구성성분 (I) 및 90 중량% 내지 5 중량%의 제2 구성성분 (II)을 포함하거나, 10 중량% 내지 80 중량%의 제1 구성성분 (I) 및 80 중량% 내지 10 중량%의 제2 구성성분 (II)을 포함하거나, 70 중량% 내지 15 중량%의 제1 구성성분 (I) 및 15 중량% 내지 70 중량%의 제2 구성성분 (II)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구성성분 (I)과 (II)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내지 90 중량%의 제1 구성성분 (I) 및 90 중량% 내지 10 중량%의 제2 구성성분 (II)을 포함하거나, 15 중량% 내지 85 중량%의 제1 구성성분 (I) 및 85 중량% 내지 15 중량%의 제2 구성성분 (II)을 포함하거나, 20 중량% 내지 80 중량%의 제1 구성성분 (I) 및 80 중량% 내지 20 중량%의 제2 구성성분 (II)을 포함한다.
제3 양태 :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특히, 기재에 발수성, 발유성 및/또는 발오성을 부여하는 데 유용하다.
용어 "발수성"은 AATCC 시험 방법 11-2010에 정의된 바와 같이, 습기에 저항하는 섬유, 방적사 또는 직물의 특징을 정의한다.
용어 "발유성"은 AATCC 시험 방법 118-2002에 정의된 바와 같이, 탄화수소에 저항하는 섬유, 방적사 또는 직물의 특징을 정의한다.
용어 "발오성"은 AATCC 시험 방법 130에 정의된 바와 같이, 오염물에 저항하거나 오일을 방출시키는 섬유, 방적사 또는 직물의 특징을 정의한다.
이에, 본 발명은 기재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처리 방법은 적어도 단계 (S1)를 포함한다:
(S1) 기재를 제1 양태 에서 정의된 조성물과 접촉시키거나, 기재를 제2 양태 에서 정의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
용어 "기재의 처리"는 예컨대, "기재의 마감", "기재에 소수성을 부여하는 것", "기재를 발수성으로 만드는 것", "기재를 먼지 저항성으로 만드는 것" 또는 "기재의 코팅"을 포함한다.
기재의 접촉은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방법, 예컨대 기재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담그거나 침지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기재 상에 분무함으로써, 브러쉬 적용 또는 스폰지 적용에 의해, 강제 적용(forced application)을 통해, 또는 추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접촉 후, 접촉된 기재를 건조할 수 있으며, 적절하다면, 140℃ 내지 190℃의 범위의 온도에서 경화시킬 수 있다. 우수한 성능은 또한, 낮은 경화 조건 또는 심지어 주위 경화 조건에서 달성될 수 있으며, 100℃ 미만, 또는 심지어 50℃의 온도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기재는 텍스타일, 섬유, 직물, 제지, 부직포, 가죽 또는 이들 중 2개 이상의 조합이다.
텍스타일은 바람직하게는 면, 폴리에스테르, 또는 면 / 폴리에스테르 블렌드,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아라미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니트릴,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엘라스탄, 탄소 섬유, 실리케이트 섬유, 유리 섬유, 베살트(besalt) 섬유, 금속 섬유, 또는 이들 중 2개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된다. 텍스타일은 통상 우븐, 편물 또는 부직포이다.
이에,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기재, 예컨대 텍스타일 직물에 대한 마감재 또는 마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재는 선형 모양, 평면 모양 또는 공간 모양의 형태로 제공된다.
용어 "마감재 또는 마감"은 발수성이 기재에 부여될 수 있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마감은 기재의 세척 전 또는 세척 후에 기재에 적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임의의 텍스타일 (= 기재)에 대한 마감에서 또는 마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텍스타일은 스레드 및 방적사와 같은 선형 모양의 형태, 직물, 니티드 직물, 노티드 직물, 부직포 직물, 펠트와 같은 평면 모양의 형태, 또는 호스, 및 여성, 남성 및 어린이용 겉옷과 같은 공간 모양의 형태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기재, 예컨대 텍스타일 직물에서의, 또는 텍스타일 직물에 대한 마감재로서의 왁스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왁스는, 왁스의 총 양을 기준으로, 75 중량% 내지 95 중량% 양의 n-파라핀 및 5 중량% 내지 25 중량% 양의 이소파라핀 및/또는 사이클로파라핀 및/또는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지고, n-파라핀은 20개 내지 6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n-파라핀의 분자량은 300 내지 600이다. 바람직하게는, 기재는 선형 모양의 형태, 평면 모양의 형태 또는 공간 모양의 형태로 제공된다.
용어 "선형 모양", "평면 모양" 및 "공간 모양"은 텍스타일 산업에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세척되어야 하는 겉옷에 대한 마감재로서 적용될 수도 있다.
제4 양태 에서, 본 발명은 제1 양태 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폴리아크릴레이트 (A1), 왁스 (B)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A2)를 포함하는 기재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기재는 제3 양태 에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처리되거나 처리되었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 구성성분 (I)의 제조
5 g의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및 15 g의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를, 10 g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및 120 g 물 중 4.8 g Genapol ID 100 (지방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Clariant))과 0.4 g의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가열된 혼합물에 80℃에서 첨가하고, 교반에 의해 분산시켰다. 별개의 용기에서, 40 g의 파라핀 왁스 (용융점 범위 68℃ 내지 74℃)를 용융시켰다. 상기 기술된 단량체 분산액을 용융된 파라핀 왁스에 첨가하였다. 추가로 2분 동안 분산시킨 후, 적합한 에멀젼이 수득될 때까지, 혼합물을 Manton-Gaulin 균질화 장치(400 bar, 85℃)에 의해 2회 균질화시켰다. 온도를 75℃ 내지 80℃에서 유지시키고, 1.8 g 물에 희석시킨 0.2 g의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개시제 (Wako V-50)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75℃에서 N2 하에 돈드 환류 축합기(donned reflux condenser) 하에 6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로써, 고형분 함량이 약 33중량% (120℃/2 h에서 건조에 의해 확인됨)인 약 200 g의 생성물이 수득되었다.
예를 들어 #1에 기술된 공정과 유사하게, 다른 단량체 조합 및 파라핀 왁스 유형을 사용하여, 적합한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상세한 사항은 표 1에 나타나 있다:
#1 #2 #3 #4 #5 #6
t-BuMA 2,5 2,5 1 2,5
i-BuMA 1
MMA -- 2,5
SA 7,5 7,5 7,5
BeMA 5 5 12,5
LA 10
HEMA 0,2 1,0
GMA 0,4 0,1 0,1
HBAC 0,1
파라핀 왁스 20 15 20 10 25 7,5
(t-BuMA = tert.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i-BuMA =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 MMA =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SA =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BeMA = 베헤닐 아크릴레이트; LA =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HEMA =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GMA =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HBAC = 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파라핀 왁스: 사솔왁스 8775)
실시예 #7 및 실시예 #8: 구성성분 (II)의 제조
실시예 #7: EP 2 057 201의 실시예 1에 따른 퍼플루오로알킬기를 함유하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분산액의 제조
분산액을, 교반기, 환류 축합기 및 내부 온도계가 구비된 오토클레이브에서 불활성 기체 분위기 하에 하기 화합물들을 긴밀하게 교반함으로써 제조하였다:
60.0 g 2-퍼플루오로헥실에틸 메타크릴레이트 C6F13C2H4O2CC(CH3)=CH2
22.5 g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15.5 g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1.0 g N-메톡시메틸 아크릴아미드
1.0 g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30.0 g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0.5 g 도데칸티올
4.0 g 라우릴 알코올/16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3.5 g N,N-다이메틸도데실암모늄 아세테이트
200.0 g 물.
에멀젼을 60℃까지 가열하고, 0.6 g의 개시제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중합을 60℃에서 6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반응 후, 미반응된 비닐 클로라이드를 증류시켰다. 생성된 분산액의 고형분 함량은 약 33%였다.
실시예 #8: 퍼플루오로 알킬기를 함유하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분산액의 제조
분산액을, 교반기, 환류 축합기 및 내부 온도계가 구비된 오토클레이브에서 불활성 기체 분위기 하에 하기 화합물들을 긴밀하게 교반함으로써 제조하였다:
60.0 g 2-퍼플루오로헥실에틸 메타크릴레이트 C6F13C2H4OCOC(CH3)=CH2
22.5 g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1.0 g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30.0 g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0.5 g 도데칸티올
4.0 g 라우릴 알코올/16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3.5 g N,N-다이메틸도데실암모늄 아세테이트
200.0 g 물.
에멀젼을 60℃까지 가열하고, 0.6 g의 개시제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중합을 60℃에서 6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반응 후, 생성된 분산액의 고형분 함량은 약 30%였다.
표 2는 실시예 #7 및 #8로 나타낸 조성물 M19 및 M20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M1 내지 M18을 명시한 것이다. 조성물 M1 내지 M18을, 실시예 #1 내지 #7에 따라 제조된 구성성분 (I)을 실시예 #7 및 #8에 따라 제조된 구성성분 (II)과 혼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조성물 (I) 조성물 (II)
M1 60 중량부 Exp #1 40 중량부 Exp #7
M2 60 중량부 Exp #2 40 중량부 Exp #7
M3 60 중량부 Exp #3 40 중량부 Exp #7
M4 60 중량부 Exp #4 40 중량부 Exp #7
M5 60 중량부 Exp #5 40 중량부 Exp #7
M6 60 중량부 Exp #6 40 중량부 Exp #7
M7 30 중량부 Exp #1 70 중량부 Exp #7
M8 30 중량부 Exp #2 70 중량부 Exp #7
M9 30 중량부 Exp #3 70 중량부 Exp #7
M10 30 중량부 Exp #4 70 중량부 Exp #7
M11 30 중량부 Exp #5 70 중량부 Exp #7
M12 30 중량부 Exp #6 70 중량부 Exp #7
M13 60 중량부 Exp #1 40 중량부 Exp #8
M14 60 중량부 Exp #3 40 중량부 Exp #8
M15 60 중량부 Exp #5 40 중량부 Exp #8
M16 30 중량부 Exp #1 70 중량부 Exp #8
M17 30 중량부 Exp #3 70 중량부 Exp #8
M18 30 중량부 Exp #5 70 중량부 Exp #8
M19 없음 100 중량부 Exp #7
M20 없음 100 중량부 Exp #8
적용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조성물 M1 내지 M20에 따라 제조된 분산액으로 텍스타일 직물을 처리한 것을 기술한 것이다.
우븐 100% 폴리에스테르 직물 (100 g/m2) 및 우븐 100% 면 직물 (200 g/m2)을 처리하였다.
면 직물을, 1 g/l 아세트산, 20 g/l 셀룰로스 가교제 및 70 g/l 분산액 M1 내지 M20을 함유하는 액체와 패드-맹글(pad-mangle)에서 처리하였다. 액체의 전형적인 중량 픽업(pick-up)은 80%였다.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1 g/l 아세트산, 1 g/l 보습제 및 40 g/l 조성물 M1 내지 M20을 함유하는 액체와 함께 패딩(padding)하였다. 액체의 전형적인 중량 픽업은 60%였다. 패딩 후, 직물을 160℃에서 3분 동안 건조하였다.
마감처리된 직물을 40℃에서 20회의 세척 주기 (DIN ISO 6330) 후, AATCC 22-2010, ISO 4920 (EN 24920)에 따른 물 분무 시험, AATTC 시험 방법 118-2002에 따른 발유성 시험, 및 AATTC 시험 방법 193-2005 오리지널 (초기)에 따른 물방울 시험으로 처리하였다. 세척 주기 후, 직물을 텀블 건조(tumble dry)한 다음, 분무 시험하였다. 전형적인 텀블 건조 온도는 60℃ 내지 65℃였으며, 30분 동안이었다.
그 결과를 폴리에스테르에 대해서는 표 3에 나타내고, 면에 대해서는 표 4에 나타낸다.
표 3: 폴리에스테르
M1 - M20 40 g/l 초기
분무
20x
세척 주기
초기
발유성
20x
세척 주기
초기
물 적하
20x
세척 주기
M 1 100 100 6 5 8 7
M 2 100 90 6 5 8 7
M 3 100 100 6 5 8 7
M 4 100 90 6 5 8 7
M 5 100 90 6 5 8 7
M 6 100 90 6 5 8 7
M 7 100 100 7 6 8 7
M 8 100 90 6 6 8 8
M 9 100 100 7 6 8 8
M 10 100 90 6 6 8 8
M 11 100 90 6 6 8 8
M 12 100 90 6 6 8 8
M 13 100 90 6 5 8 7
M 14 100 100 6 5 8 7
M 15 100 100 6 4 8 7
M 16 100 90 7 6 8 8
M 17 100 100 7 6 8 8
M 18 100 100 6 6 8 8
M 19 100 80 6 4 8 6
M 20 100 70 6 3 8 5
표 4: 면
M1-M20 70 g/l 초기
분무
20x
세척 주기
초기
발유성
20x
세척 주기
초기
물 적하
20x
세척 주기
M 1 100 80 6 3 8 5
M 2 100 80 6 3 8 5
M 3 100 80 6 3 8 5
M 4 100 80 6 3 8 5
M 5 100 70 6 3 8 5
M 6 100 80 6 3 8 5
M 7 100 80 7 4 8 5
M 8 100 70 6 4 8 5
M 9 100 70 7 4 8 6
M 10 100 70 6 4 8 6
M 11 100 70 6 4 8 5
M 12 100 70 6 3 8 6
M 13 100 70 6 4 8 5
M 14 100 80 6 4 8 5
M 15 100 80 6 3 8 5
M 16 100 70 7 3 8 5
M 17 100 70 7 3 8 5
M 18 100 70 6 3 8 5
M 19 100 70 6 3 8 4
M 20 100 50 6 1 8 3
실시예는 폴리에스테르 상에서, 심지어 세척 후에도, (물방울 시험으로부터) 심지어 낮은 부가량에도, 매우 양호한 발수성, 발유성 및 발알코올 효과를 보여주었다. 면에 대해서, 매우 양호한 초기 효과가 달성되었다.
부가적인 가교제, 예를 들어 Cassurit FF를 적용 배쓰(bath)에 첨가함으로써, 그러나 특히 면 직물 상에서, 폴리에스테르 상에서의 발수성, 발유성 및 발알코올성 효과의 내구성이 추가로 개선될 수 있었다. 그 결과를 면에 대해서는 표 5에 나타내고, 폴리에스테르에 대해서는 표 6에 나타낸다.
표 5: 면
M1- M20 (70 g/l) + 가교제 Cassurit FF (10 g/l) 초기
분무
20x
세척 주기
초기
발유성
20x
세척 주기
초기
물 적하
20x
세척 주기
M 1 100 90 6 4 8 7
M 2 100 100 6 4 8 7
M 3 100 100 6 4 8 7
M 4 100 90 6 4 8 7
M 5 100 90 6 4 8 7
M 6 100 90 6 4 8 7
M 7 100 90 7 5 8 7
M 8 100 90 6 6 8 8
M 9 100 90 7 6 8 8
M 10 100 90 6 5 8 8
M 11 100 80 6 5 8 8
M 12 100 90 6 5 8 8
M 13 100 90 6 5 8 7
M 14 100 90 6 4 8 7
M 15 100 90 6 4 8 7
M 16 100 80 7 5 8 8
M 17 100 90 7 5 8 8
M 18 100 90 6 5 8 8
M 19 100 80 6 4 8 6
M 20 100 70 6 3 8 5
표 6: 폴리에스테르
M1- M2 (40 g/l) + Cassurit FF (5 g/l) 초기
분무
20x
세척 주기
초기
발유성
20x
세척 주기
초기
물 적하
20x
세척 주기
M 1 100 100 6 5 8 7
M 2 100 100 6 5 8 7
M 3 100 100 6 5 8 7
M 4 100 100 6 5 8 7
M 5 100 100 6 5 8 7
M 6 100 90 6 5 8 7
M 7 100 100 7 6 8 7
M 8 100 90 6 6 8 8
M 9 100 100 7 6 8 8
M 10 100 100 6 6 8 8
M 11 100 100 6 6 8 8
M 12 100 100 6 6 8 8
M 13 100 100 6 5 8 7
M 14 100 100 6 5 8 7
M 15 100 100 6 4 8 7
M 16 100 90 7 6 8 8
M 17 100 100 7 6 8 8
M 18 100 100 6 6 8 8
M 19 100 80 6 4 8 6
M 20 100 70 6 3 8 5
발수성, 발유성 및 발알코올성 효과의 내구성의 유사한 개선은 20 g/l의 멜라민 수지 제형(예, Cerol EX 또는 Freepel 1225)을 적용 배쓰에 첨가함으로써 달성되었다.
제형 M1 내지 M18로 처리된 직물이 이미 양호한 손 촉감을 제공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처리된 직물에 특수한 여분의 부드러운 손 촉감을 제공하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이는, 적용 배쓰 외에도, Ceraperm SFC와 같은 유기 폴리실록산을 기재로 하는 보다 부드러운 제형을 첨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 결과를 표 7에서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나타낸다:
표 7: 폴리에스테르
M1- M20 (40 g/l) + Cassurit FF (5 g/l) + Ceraperm SFC (15 g/l) 초기
분무
20x
세척 주기
초기
발유성
20x
세척 주기
초기
물 적하
20x
세척 주기
M 1 100 90 6 4 8 7
M 2 100 100 6 3 8 7
M 3 100 100 6 4 8 7
M 4 100 90 6 4 8 7
M 5 100 90 6 4 8 7
M 6 100 90 6 4 8 7
M 7 100 90 7 5 8 7
M 8 100 90 6 5 8 8
M 9 100 90 7 4 8 8
M 10 100 90 6 5 8 8
M 11 100 90 6 5 8 8
M 12 100 90 6 5 8 8
M 13 100 90 6 4 8 7
M 14 100 90 6 4 8 7
M 15 100 90 6 3 8 7
M 16 100 90 7 5 8 8
M 17 100 90 7 5 8 8
M 18 100 90 6 5 8 8
M 19 100 70 6 3 8 6
M 20 100 50 6 2 8 5
매우 부드럽고 편안한 손 촉감 외에도, 매우 양호한 초기 및 내구성 있는 발수성이 달성된다.

Claims (26)

  1. 폴리아크릴레이트 (A1) 및 왁스 (B)를 포함하는 제1 구성성분 (I),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A2)를 포함하는 제2 구성성분 (II)
    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A1)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M1) 및 (M2), 및 선택적으로 (M3) 유래의 모이어티들을 포함하고,
    (M1) CH2=CR3COO-R1
    (M2) CH2=CR3COO-R2
    (M3) CH2=CR3-X-R4;
    상기 식들에서,
    R1은 1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단량체 (M1) 내의 알코올 모이어티이며;
    R2는 9개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단량체 (M2) 내의 알코올 모이어티이며;
    R3는 독립적으로 H, CH3 또는 C2H5로부터 선택되며;
    X는 COO 또는 CONH이며;
    R4는 글리시딜 또는 CH2(CH2)n-OR5이며, 여기서, n은 1 내지 10의 범위의 정수이고, R5는 H, 또는 1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잔기이고;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A2)는 플루오르-함유 폴리아크릴레이트이고;
    상기 조성물은 물 및/또는 유기 용매를 기재로 하는(based on),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성분 (I)이 적어도 폴리아크릴레이트 (A1) 및 왁스 (B),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C) 내지 (E)를 포함하고, 여기서:
    (A1)은 단량체 (M1)과 (M2) 및 선택적으로 (M3)의 중합에서 수득되며;
    (C)는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이며;
    (D)는 유기 폴리실록산이며;
    (E)는 멜라민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1이 1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R2가 12개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이 분지형, 비분지형 또는 환형 C1 내지 C6 알킬이고,
    R2가 분지형, 비분지형 또는 환형 C12 내지 C40 알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n-펜틸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헥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고;
    R2가 n-도데실 (라우릴)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트리데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테트라데실 (미리스틸)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펜타데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헥사데실 (세틸)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헵타데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옥타데실 (스테아릴) 및 이들의 이성질체, n-노나데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에이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헤네이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도코실 (베헤닐)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트리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테트라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펜타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헥사코실 (세릴)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헵타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옥타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노나코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n-트리아콘틸 (미리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1)이 (A1)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45 중량%의 단량체 (M1)와 55 중량% 내지 95 중량%의 단량체 (M2)의 중합에서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1)이 (A1)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44 중량%의 단량체 (M1), 55 중량% 내지 94 중량%의 단량체 (M2)와 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단량체 (M3)의 중합에서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 (B)의 용융점이 50℃ 내지 13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 (B)의 용융점이 60℃ 내지 9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 (B)가 파라핀 왁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성분 (I)이, 제1 구성성분 (I)의 총 양(= 100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내지 90 중량%의 (A1);
    10 중량% 내지 90 중량%의 (B);
    0 중량% 내지 40 중량%의 (C);
    0 중량% 내지 40 중량%의 (D);
    0 중량% 내지 40 중량%의 (E)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성성분 (II)이, 제2 구성성분 (II)의 총 양을 기준으로, 1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A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성성분 (II)의 폴리아크릴레이트 (A2)가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M4)로부터 유래되는 모이어티를 포함하며:
    (M4) CH2=CR6COO-Y-RF,
    RF-Y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M4) 내의 알코올 모이어티이며,
    Y는 -(CH2)m-이며, 여기서, m은 1 내지 10의 범위의 정수이고;
    RF는 CxF2x +1이며, 여기서, x는 1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의 범위의 정수이고;
    R6는 H, CH3, Cl 또는 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A2)가 단량체 (M4) CH2=CR6COO-Y-RF의 중합에 의해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A2)가 단량체 (M4), 및 부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단량체 (M1), (M2), (M3), (V1) 및/또는 (V2)의 중합에서 수득되며,
    (M1), (M2) 및 (M3)가 제1항에서 정의된 의미를 가지며,
    (V1)이 비닐 클로라이드이고,
    (V2)가 비닐리덴 클로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조성물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90 중량%의 제1 구성성분 (I) 및 90 중량% 내지 5 중량%의 제2 구성성분 (II)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구성성분 (I)와 (II)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내지 90 중량%의 제1 구성성분 (I) 및 90 중량% 내지 10 중량%의 제2 구성성분 (II)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이, 조성물의 총 양 (= 100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60 중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적어도 단계 (C3):
    (C3) 제1 구성성분 (I)을 제2 구성성분 (II)과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추가로, 단계 (C3) 전에 적어도 단계 (C1) 및 단계 (C2):
    (C1) 적어도 단량체 (M1) 및 (M2), 및 왁스 (B), 및 물 및/또는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균질화하는 단계;
    (C2) 단계 (C1)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중합하여, 제1 구성성분 (I)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
  20. 기재(substrate)의 처리 방법으로서,
    적어도 단계 (S1):
    (S1) 기재를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과 접촉시키거나, 기재를 제18항 또는 제19항에 따른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재의 처리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스레드 및 방적사와 같은 선형 모양의 형태, 직물, 니티드(knitted) 직물, 노티드(knotted) 직물, 부직포 직물, 펠트와 같은 평면 모양의 형태, 또는 호스, 및 여성, 남성 및 어린이용 겉옷과 같은 공간 모양의 형태이거나;
    상기 기재가 텍스타일, 섬유, 직물, 제지, 부직포, 가죽 또는 이들 중 2개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의 처리 방법.
  22. 제1항에서 정의된 적어도 (A1), (B) 및 (A2)를 포함하는 기재.
  23. 제22항에 있어서,
    제20항 또는 제21항에 따른 기재의 처리 방법으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스레드 및 방적사와 같은 선형 모양의 형태, 직물, 니티드 직물, 노티드 직물, 부직포 직물, 펠트와 같은 평면 모양의 형태, 또는 호스, 및 여성, 남성 및 어린이용 겉옷과 같은 공간 모양의 형태이거나;
    상기 기재가 텍스타일, 섬유, 직물, 제지, 부직포, 가죽 또는 이들 중 2개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
  25. 스레드 및 방적사와 같은 선형 모양의 형태, 직물, 니티드 직물, 노티드 직물, 부직포 직물, 펠트와 같은 평면 모양의 형태, 또는 호스, 및 여성, 남성 및 어린이용 겉옷과 같은 공간 모양의 형태의 임의의 텍스타일에서의, 또는 텍스타일에 대한 마감재로서의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26. 스레드 및 방적사와 같은 선형 모양의 형태, 직물, 니티드 직물, 노티드 직물, 부직포 직물, 펠트와 같은 평면 모양의 형태, 또는 호스, 및 여성, 남성 및 어린이용 겉옷과 같은 공간 모양의 형태의 임의의 텍스타일에서의, 또는 텍스타일에 대한 마감재로서의 왁스의 용도로서,
    상기 왁스는, 왁스의 총 양을 기준으로, 75 중량% 내지 95 중량% 양의 n-파라핀 및 5 중량% 내지 25 중량% 양의 하나 이상의 이소파라핀, 사이클로파라핀 또는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지고,
    n-파라핀은 20개 내지 6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n-파라핀의 분자량은 300 내지 600인, 왁스의 용도.
KR1020177002295A 2014-07-04 2015-07-03 폴리아크릴레이트와 플루오르-함유 폴리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79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002305.2 2014-07-04
EP14002305 2014-07-04
PCT/EP2015/001371 WO2016000829A1 (en) 2014-07-04 2015-07-03 Composition comprising mixtures of polyacryates with fluorine-containing polyacryla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518A true KR20170026518A (ko) 2017-03-08
KR102279029B1 KR102279029B1 (ko) 2021-07-19

Family

ID=5120512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850A KR20170026578A (ko) 2014-07-04 2015-07-03 플루오르 함유 발수성 조성물
KR1020177002851A KR102508998B1 (ko) 2014-07-04 2015-07-03 플루오르 비 함유 발수성 조성물
KR1020177002295A KR102279029B1 (ko) 2014-07-04 2015-07-03 폴리아크릴레이트와 플루오르-함유 폴리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850A KR20170026578A (ko) 2014-07-04 2015-07-03 플루오르 함유 발수성 조성물
KR1020177002851A KR102508998B1 (ko) 2014-07-04 2015-07-03 플루오르 비 함유 발수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3) US11072885B2 (ko)
EP (3) EP3164425B1 (ko)
JP (3) JP6781049B2 (ko)
KR (3) KR20170026578A (ko)
CN (3) CN106661303B (ko)
DE (3) DE15734579T1 (ko)
ES (3) ES2715423T3 (ko)
MX (1) MX2016016714A (ko)
PL (1) PL3164425T3 (ko)
PT (1) PT3164425T (ko)
TR (2) TR201708833T3 (ko)
TW (3) TWI686439B (ko)
WO (3) WO20160008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1442B2 (ja) * 2016-02-29 2020-08-19 日華化学株式会社 撥水助剤、非フッ素系撥水剤組成物、及び撥水性繊維製品の製造方法
JP6658865B2 (ja) * 2016-03-11 2020-03-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DE102016212443A1 (de) 2016-07-07 2018-01-11 Rudolf Gmbh Zubereitungen als Hydrophobierungsmittel
CN109715879B (zh) * 2016-09-23 2022-07-05 亨茨曼纺织货品(德国)有限责任公司 用于纺织织物整理的不含氟的水性分散体
EP3498910A1 (en) 2017-12-14 2019-06-19 Henkel IP & Holding GmbH Superhydrophobic coatings for the treatment of textiles
CN108124206A (zh) * 2017-12-19 2018-06-05 东莞市爱高音响有限公司 一种抗水音箱面网及其制作方法
MX2020006583A (es) * 2017-12-26 2020-09-09 Akzo Nobel Coatings Int Bv Composicion de recubrimiento de poliacrilato fluorado, el metodo de preparacion de la misma y uso de la misma.
CN109988264B (zh) * 2017-12-29 2022-03-04 乳源东阳光氟有限公司 一种无氟防水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513179B1 (ko) 2018-02-20 2023-03-24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처리제
DE102018117071A1 (de) 2018-07-13 2020-01-16 Mitsubishi Hitec Paper Europe Gmbh Heißsiegelfähiges Barrierepapier
JP7469845B2 (ja) * 2018-09-14 2024-04-17 日華化学株式会社 繊維用撥水剤組成物、撥水性繊維製品及び撥水性繊維製品の製造方法
JP7397270B2 (ja) * 2018-10-10 2023-12-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含フッ素重合体および表面処理剤
EP3976874A1 (en) 2019-05-24 2022-04-06 Southern Mills, Inc. Flame resistant finished fabrics exhibiting water repellency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CN110241619B (zh) * 2019-06-11 2021-11-30 浙江梅盛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人工皮革的防水后处理液及防水后处理工艺
CN110590987B (zh) * 2019-09-25 2020-12-22 华南理工大学 一种氟硅共聚丙烯酸树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1187380A (zh) * 2020-03-11 2020-05-22 桐乡市钜成涂装科技有限公司 一种含氯的无氟防水剂共聚物乳液及其聚合方法
JP2021143292A (ja) * 2020-03-12 2021-09-24 日華化学株式会社 撥水剤組成物、撥水性繊維製品及び撥水性繊維製品の製造方法
JP7039661B2 (ja) * 2020-07-27 2022-03-22 日華化学株式会社 非フッ素系撥水剤組成物、及び撥水性繊維製品の製造方法
CN112175464A (zh) * 2020-09-30 2021-01-05 苏州市三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固化环保型水性涂料及其制备方法
WO2022186908A1 (en) * 2021-03-03 2022-09-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uorine-free dynamic water repellents with oil-repellent properties, water-repellent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240068158A1 (en) 2021-03-15 2024-02-29 Dow Silicones Corporation Silicone - (meth)acrylate copolymer formulation and processes for preparation and use thereof
NL2027946B1 (en) 2021-04-08 2022-10-20 Lamoral Holding B V Method for conferring durable water repellence to woven or non-woven fabric and water repellent composition
WO2023019044A1 (en) 2021-08-10 2023-02-16 Dow Silicones Corporation Silicone-(meth)acrylate copolymer emulsion formulation for textile treatment
WO2023086692A1 (en) 2021-11-10 2023-05-19 Dow Silicones Corporation Textile treatment emulsion formulation including a silicone - (meth)acrylate copolymer and a silicone additive
US20230227755A1 (en) 2022-01-19 2023-07-20 Ecolab Usa Inc. Non-fluorocarbon laundry treatment providing enhanced fluid repellency
AT526258A1 (de) 2022-06-24 2024-01-15 Mondi Ag Fettabweisendes papier
CN116289217A (zh) * 2023-02-24 2023-06-23 福可新材料(上海)有限公司 一种纺织品用无氟防水防油污整理剂及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1252A (ja) * 2012-06-14 2014-01-09 Ipposha Oil Industries Co Ltd 乳化物、乳化物の製造方法、撥水剤、撥水助剤、撥水加工方法、撥水性繊維製品の製造方法、撥水性繊維製品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1121365D (ko) * 1964-08-14
NL6608665A (ko) * 1965-06-24 1966-09-26
US3459696A (en) * 1965-06-24 1969-08-05 Du Pont Water-repellent compositions
US3480579A (en) 1965-07-08 1969-11-25 Du Pont Water repellent compositions
JPS5634021B2 (ko) * 1973-07-07 1981-08-07
JPH0823007B2 (ja) * 1985-09-25 1996-03-06 三菱化学株式会社 撥水性組成物
DE3787118T2 (de) 1986-05-28 1994-01-20 Daikin Ind Ltd Fluor enthaltende, Wasser und Ölabweisende Zubereitung.
CA1338989C (en) * 1988-03-08 1997-03-11 Masashi Matsuo Water and oil repellant
JP2899905B2 (ja) * 1990-04-10 1999-06-02 株式会社リコー 非水系樹脂分散液及びその製造方法
JP3549920B2 (ja) * 1994-05-23 2004-08-04 株式会社日本触媒 ワックス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17013B2 (ja) * 1995-03-06 2004-04-05 近代化學工業株式会社 防湿剤及びその製造法
JP3631810B2 (ja) 1995-06-02 2005-03-23 セーレン株式会社 撥水加工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315824B1 (en) 1996-02-02 2001-11-13 Rodrigue V. Lauzon Coacervate stabilizer system
JP3944922B2 (ja) 1996-06-06 2007-07-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防汚加工用組成物および防汚加工方法
JP3800672B2 (ja) 1996-06-11 2006-07-26 日本油脂株式会社 撥水撥油性組成物
JP2000129573A (ja) * 1998-10-23 2000-05-09 Unitika Ltd 防水性セルロース系繊維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IL128404A0 (en) 1999-02-07 2000-01-31 Spector Avner Device for transmission of shock waves on to large surfaces of human tissue
JP3262536B2 (ja) * 1999-02-18 2002-03-04 淳 吉田 自動車塗装表面用保護撥水剤
DE60018343T2 (de) 1999-03-29 2006-01-05 Asahi Glass Co., Ltd. In wasser dispergierbare wasser- und ölabweisende zusammensetzung
DE19959949A1 (de) * 1999-12-13 2001-06-21 Bayer Ag Hydrophobierung mit carboxylgruppenhaltigen Polysiloxanen
BR0117202A (pt) * 2001-12-19 2004-12-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 Composição aquosa, método para tratar um substrato fibroso, e, substrato fibroso
DE10211549B9 (de) 2002-03-15 2004-11-25 Rudolf Gmbh & Co. Kg Chemische Fabrik Zubereitungen auf Basis von Wasser und/oder organischen Lösemitteln und deren Anwendung als Appretur auf Flächengebilden
US7332450B2 (en) * 2002-11-26 2008-02-19 Air Products Polymers, L.P. Waterborne hydrophobic barrier coatings derived from copolymers of higher vinyl esters
KR100536445B1 (ko) 2002-11-26 2005-12-16 에어 프로덕츠 폴리머, 엘.피. 고급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로부터 유도된 수계 소수성배리어 코팅
JP4206767B2 (ja) * 2003-02-07 2009-01-14 旭硝子株式会社 撥水撥油剤水性組成物
DE10325094B4 (de) 2003-06-03 2006-02-16 Rudolf Gmbh & Co. Kg Chemische Fabrik Zubereitungen für die öl- und wasserabweisende Ausrüstung von Flächengebilden und deren Anwendung
EP1493761A1 (en) 2003-07-02 2005-01-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uoropolymer of fluorinated short chain acrylates or methacrylates and oil- and water repellent compositions based thereon
US7094743B2 (en) * 2003-07-29 2006-08-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osition, wipe and method for cleaning, protecting and imparting gloss to a substrate
JP4996875B2 (ja) * 2005-04-28 2012-08-08 日華化学株式会社 撥水剤、撥水加工方法及び撥水性繊維製品
US7652112B2 (en) * 2005-07-06 2010-01-26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meric extenders for surface effects
CN101506257B (zh) 2006-08-25 2012-08-08 克莱里安特财务(Bvi)有限公司 防油、防水和防污的甲基丙烯酸全氟烷基乙酯共聚物
JP2008138336A (ja) 2006-12-05 2008-06-19 Teijin Techno Products Ltd 耐熱性撥水撥油加工布帛
US20080146758A1 (en) * 2006-12-14 2008-06-19 Peter Michael Murphy Low temperature cure repellents
US20080202384A1 (en) 2007-02-28 2008-08-28 Sheng Peng Fluoropolymer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e
DE102007020790B4 (de) 2007-05-03 2009-10-01 Rudolf Gmbh & Co. Kg Chemische Fabrik Fluorkohlenstoffpolymer-freie Zubereitungen auf Basis von Wasser und/oder organischen Lösemitteln und deren Anwendung als Appretur auf Flächengebilden sowie danach erhaltene textile Substrate
TW200916541A (en) * 2007-07-16 2009-04-16 Luzenac America Inc Wax coatings, methods of making coated articles and coated articles therefrom
US20090030114A1 (en) 2007-07-25 2009-01-29 Ying Wang Fluoropolymer emulsions
EP2233633A1 (de) * 2009-03-28 2010-09-29 Huntsman Textile Effects (Germany) GmbH Fluorfreie wässrige Dispersion für die Behandlung von textilen Flächengebilden
FR2945676B1 (fr) 2009-05-15 2012-01-27 Centre Nat Rech Scient Procede de generation et systeme laser a electrons libres par interaction avec un onduleur laser
JP5603067B2 (ja) 2009-12-28 2014-10-08 東レ株式会社 繊維構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て構成される被服
WO2011122442A1 (ja) 2010-03-30 2011-10-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α-クロロアクリレートを使用した撥水撥油剤
WO2012147700A1 (ja) * 2011-04-25 2012-11-01 旭硝子株式会社 撥水撥油剤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物品
EP2703465A4 (en) 2011-04-27 2014-11-19 Asahi Glass Co Ltd WATER-REPELLENT AND OIL-REPELLENT COMPOSITION,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ITEM THEREOF
JP5482762B2 (ja) * 2011-10-18 2014-05-07 ユニマテック株式会社 含フッ素共重合体およ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表面改質剤
CN102493193B (zh) * 2011-12-14 2014-01-29 太仓中化环保化工有限公司 一种含氟拒水拒油剂及其制备方法
CN102634981A (zh) 2012-04-27 2012-08-15 天津达一琦精细化工有限公司 一种弱阳离子防水防油剂乳液
CN102675527B (zh) * 2012-05-18 2013-12-25 华南理工大学 一种水性长链丙烯酸酯类隔离剂的制备方法
CN104870508B (zh) * 2012-12-19 2017-06-13 旭化成株式会社 水性组合物、水性封端多异氰酸酯的稳定化方法、纤维处理剂组合物以及纤维
DE102013209170A1 (de) 2013-05-17 2013-09-12 Cht R. Beitlich Gmbh Wasserabweisende Effekte auf textilen Oberflächen
CN103396510A (zh) 2013-07-19 2013-11-20 厦门爱思康新材料有限公司 一种阳离子含氟纸张防油剂
CN103524670A (zh) * 2013-09-27 2014-01-22 昆山培新服装有限公司 一种拒水拒油棉织物整理剂的制备及其染色工艺
CN103572602A (zh) 2013-10-24 2014-02-12 广东德美精细化工股份有限公司 无氟防水剂及制备方法、纺织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1252A (ja) * 2012-06-14 2014-01-09 Ipposha Oil Industries Co Ltd 乳化物、乳化物の製造方法、撥水剤、撥水助剤、撥水加工方法、撥水性繊維製品の製造方法、撥水性繊維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00831A1 (en) 2016-01-07
ES2714281T3 (es) 2019-05-28
EP3164426A1 (en) 2017-05-10
TR201709626T3 (tr) 2019-05-21
WO2016000829A1 (en) 2016-01-07
TWI688601B (zh) 2020-03-21
TR201708833T3 (tr) 2017-07-21
CN106661822A (zh) 2017-05-10
CN106661303B (zh) 2019-10-01
PL3164425T3 (pl) 2022-01-17
TWI662073B (zh) 2019-06-11
JP2017521518A (ja) 2017-08-03
DE15734300T1 (de) 2017-08-03
TWI686439B (zh) 2020-03-01
EP3164425A1 (en) 2017-05-10
CN106661822B (zh) 2019-06-25
JP6568122B2 (ja) 2019-08-28
KR20170026579A (ko) 2017-03-08
EP3164427B1 (en) 2019-01-02
US10407823B2 (en) 2019-09-10
TW201638194A (zh) 2016-11-01
KR20170026578A (ko) 2017-03-08
JP6781049B2 (ja) 2020-11-04
EP3164427A1 (en) 2017-05-10
ES2715423T3 (es) 2019-06-04
JP2017521517A (ja) 2017-08-03
KR102279029B1 (ko) 2021-07-19
US20170204558A1 (en) 2017-07-20
TW201615728A (zh) 2016-05-01
WO2016000830A1 (en) 2016-01-07
JP6693892B2 (ja) 2020-05-13
EP3164425B1 (en) 2021-09-22
TW201627383A (zh) 2016-08-01
CN106661303A (zh) 2017-05-10
US11072885B2 (en) 2021-07-27
KR102508998B1 (ko) 2023-03-09
CN106536622A (zh) 2017-03-22
EP3164426B1 (en) 2018-12-12
MX2016016714A (es) 2017-08-18
US10597816B2 (en) 2020-03-24
US20170158850A1 (en) 2017-06-08
JP2017528539A (ja) 2017-09-28
ES2898092T3 (es) 2022-03-03
CN106536622B (zh) 2019-08-23
US20170130394A1 (en) 2017-05-11
DE15736193T1 (de) 2017-08-17
DE15734579T1 (de) 2017-08-17
PT3164425T (pt)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029B1 (ko) 폴리아크릴레이트와 플루오르-함유 폴리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EP1899391B1 (en) Polymeric extenders for surface effects
JP5500068B2 (ja) 防汚剤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て処理された物品
JP6840385B2 (ja) フッ素を含まないはっ水剤及びはっ水加工方法、はっ水性繊維製品
JP2017222967A (ja) フッ素を含まないはっ水剤及びはっ水加工方法、はっ水性繊維製品
TW202239784A (zh) 具有防滑移效果的撥水性有機微粒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