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4094A -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 및 그것을 사용한 직편물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 및 그것을 사용한 직편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4094A
KR20160124094A KR1020167021502A KR20167021502A KR20160124094A KR 20160124094 A KR20160124094 A KR 20160124094A KR 1020167021502 A KR1020167021502 A KR 1020167021502A KR 20167021502 A KR20167021502 A KR 20167021502A KR 20160124094 A KR20160124094 A KR 20160124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crimp
retention ratio
yarn
elon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1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6563B1 (ko
Inventor
히로아키 다테
야스히로 시바타
요스케 마츠키
훙촨 징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4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5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2Side-by-side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amide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20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28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filaments, fibres or yar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5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ll components being made from artificial or synthet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0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woven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2Conjugate fibres, e.g. core/sheath o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or yarns
    • D06N2201/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D06N2201/0263Polyamide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1/00Specially adapted uses
    • D06N2211/10Cloth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Abstract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저흡수성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섬유를 사용하고, 권축가공사가 가지는 신축성을 직편물에 있어서 적정하게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한 신축성과 유연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는 온도 30℃, 상대습도 90% RH시의 평균 흡수율이 5% 이하인 저흡수성 폴리아미드를 적어도 40질량% 포함하고, 상기 저흡수성 폴리아미드를 한쪽의 성분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사이며, 또한 가연가공되고 크림프 신장률이 25% 이상이다.

Description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 및 그것을 사용한 직편물{CRIMPED POLYAMIDE YARN, AND WOVEN OR KNIT FABRIC EMPLOYING SAME}
본 발명은 저흡수성 폴리아미드를 적어도 일부에 포함하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권축가공사로서, 염색 가공 공정을 통과한 제품에 있어서도 주름이나 잔주름 등의 발생이 없어 제품품위도 좋고, 높은 스트레치성을 갖는 직편물을 제공하는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폴리아미드 섬유는 폴리에스테르와 비교해서 부드럽고 터치도 양호해서, 의료 용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의료용 폴리아미드 섬유의 대표인 나일론 6이나 나일론 66 등에 의해 1종류의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단일사는, 섬유 자체에 신축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가연가공 등을 행해서 신축성이 부여되어, 신축성이 있는 직편물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일사에 가연가공 등의 가공을 실시한 것에서는 충분하게 만족할 수 있는 신축성을 갖는 직편물을 얻는 것은 곤란했다.
그래서, 탄성을 갖는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신축성을 갖는 직편물을 얻는 방법이나, 또는 성질이 다른 2종류 이상의 폴리머를 병용하고, 염색 등의 열처리에 의해 권축을 발현시키는 잠재권축 성능을 갖는 복합섬유로 함으로써 신축성을 갖는 직편물을 얻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전자의 탄성을 갖는 섬유에 있어서는, 폴리우레탄계 탄성사가 많이 이용되지만, 폴리우레탄계 탄성사는 염색성이나 내광성에 과제가 있기 때문에 나일론 6이나 나일론 66으로 이루어지는 섬유 사조로 커버링 가공을 실시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문에, 제품의 질량이 무거워지는 것이나, 커버링 가공비나 폴리우레탄계 탄성사의 제품 비용이 높아지는 것이나 생지 중량이 무거운 등의 과제가 남는다.
또한 별도로, 신축성을 갖는 섬유로서 나일론계 엘라스토머와 폴리아미드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이나 편심 심초형으로 배합한 복합섬유가 제안되어 있지만(특허문헌 2 참조), 이 제안에서는 폴리아미드 독특의 팽윤성 때문에 정련 공정이나 염색 공정 등의 가공 공정을 통과함으로써 그 스트레치성이 소실되어, 제품에 있어서는 충분한 스트레치가 얻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폴리아미드 섬유는 원사나 가공사의 상태에서는 권축성이 뛰어나고, 그리고 양호한 스트레치가 얻어지는 것이여도, 직편물의 정련이나 염색 가공의 습열 공정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섬유 특유의 주름 발생이 일어나기 쉽고, 또한 열 셋팅 공정의 건열 공정에 있어서 습열 공정에서 만들어진 주름이 펴지기 어렵기 때문에, 직편물 품위를 유지하기 위해서 습열 공정에 있어서는 직편물에 장력을 주면서의 가공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습열 공정에 있어서 직편물에 장력을 가함으로써 원사나 가공사가 가지는 권축을 충분하게 발현시킬 수 없어, 결과적으로 스트레치성이 부족한 직편물로 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잠재권축 폴리아미드에 의해 직물에서의 세로 스트레치와 회복성이 양호한 소재를 제안하고 있지만, 폴리아미드는 함수에 의해 팽윤하는 경향이 있고, 정련·릴렉스, 염색의 공정에서 주름이나 잔주름이 발생하기 쉬워, 통상은 잡아 늘려서 가공하기 때문에 스트레치가 떨어진다. 스트레치를 높이기 위해서 가공하는 장력을 낮게 하면 비교적 높은 스트레치성이 얻어지지만, 주름이나 잔주름 등 품위를 높이는 것은 어렵다.
일본 특허공개 2000-2703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57-19352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3-129352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저흡수성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섬유를 사용하여, 권축가공사가 가지는 신축성을 직편물에 있어서 충분하게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한 신축성과 유연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에 의해, 품위가 양호한 스트레치가 높은 직편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할 수 없었던 과제 해결을 다른 기술적 어프로치에 의해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토한 결과, 본 발명에 도달했다. 즉,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는 온도 30℃, 상대습도 90% RH시의 평균 흡수율이 5% 이하인 저흡수성 폴리아미드를 적어도 40질량% 포함하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권축가공사이며, 신축 신장률이 1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스트레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는 온도 30℃, 상대습도 90% RH시의 평균 흡수율이 5% 이하인 저흡수성 폴리아미드를 적어도 40질량% 포함하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권축가공사이며, 크림프 신장률이 2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이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저흡수성 폴리아미드가 나일론 610 또는 그 공중합체가 적어도 일부에 포함되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권축가공사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섬유의 습열 권축 유지율이 30% 이상이고 건열 권축 유지율이 50% 이상이며, 건열 권축 유지율/습열 권축 유지율로 나타내어지는 권축 유지율 비가 1.0 이상 1.7 이하인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섬유가 0.03 이상 0.15 이하의 점도차를 갖는 2종류의 폴리아미드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접합시킨 섬유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를 적어도 일부에 포함하는 직편물을 제편직할 수 있고, 이 직편물에는 정련과 염색 공정이 액류 가공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로부터 얻어지는 직편물은 온도 30℃, 상대습도 90% RH시의 평균 흡수율이 5% 이하인 저흡수성 폴리아미드를 적어도 40질량%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저흡수성 폴리아미드를 한쪽의 성분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사의 가연사를 포함하며, 직물 날실 방향에 있어서의 14.7N/5㎝ 하중시의 신장률이 20% 이상이며, 직물 날실 방향에 있어서의 신장 회복률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고신장 직물이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고신장 직물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라미네이트 가공 또는 코팅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고신장 직물이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고신장 직물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저흡수성 폴리아미드로서 나일론 610 또는 그 공중합체를 한쪽의 성분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사가, 적어도 일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고신장 직물이다.
본 발명의 직편물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직물 씨실 방향의 14.7N/5㎝ 하중시의 신장률이 20% 이상인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저흡수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섬유를 사용하고, 권축가공사가 가지는 신축성을 직편물에 있어서 충분하게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한 신축성과 유연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가 얻어지고, 특히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폴리아미드 직물에서는 어려웠던 날실 방향으로 높은 신축성을 가진 직편물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는 온도 30℃, 상대습도 90% RH시의 평균 흡수율이 5% 이하인 저흡수성 폴리아미드를 적어도 40질량% 포함하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권축가공사이며, 신축 신장률이 100% 이상인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이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로서는 온도 30℃, 상대습도 90% RH, 처리 시간 24시간으로 했을 때의 평균 흡수율이 5% 이하인 저흡수성 폴리아미드를 적어도 40질량% 포함하는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평균 흡수율이 5% 이하인 저흡수성 폴리아미드를 40질량% 이상 포함하는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정련 공정이나 염색 가공 공정 등의 습열 조건 하에 있어서의 팽윤이 작고, 이것들의 공정시의 직편물의 신장이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직편물에 여분의 장력을 가하지 않고 정련 공정이나 염색 가공 공정 등의 공정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저흡수성 폴리아미드가 40질량% 미만의 섬유에서는, 사조나 직편물의 팽윤이 크고, 정련 공정이나 염색 가공 공정 등의 공정에서 늘어짐에 의한 통과 불량이나 주름 등 직편물의 품위 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높은 장력으로 이들 공정을 통과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열에 의해 발현되는 권축이 크게 저하하여 스트레치가 적은 제품(직편물)으로 되어 버린다. 저흡수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섬유를 권축가공사의 일부에 사용해도 되고, 100질량%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평균 흡수율이 5% 이하인 저흡수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섬유로 하고 있지만, 평균 흡수율이 5%보다 커지면 정련이나 염색 가공시의 팽윤이 커지고, 상기 하는 스트레치 제품(직편물)이 얻어지지 않게 된다.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정도이면 정련이나 염색 가공 공정 등에서의 늘어짐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평균 흡수율의 하한값으로서는 통상 폴리에스테르 평균의 0.4% 정도이면 된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의 신축 신장률은 100% 이상이다. 신축 신장률이 100%보다 작으면 제품(직편물)에 있어서 충분한 스트레치성이 얻어어지지 않는다. 스트레치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높은 권축가공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질적으로 권축가공사에 부여할 수 있는 신축 신장률로 400% 이상의 값의 권축가공사를 얻으려고 하면, 제사나 가연 공정에 있어서의 실의 통과성이 저하하고, 품질도 안정되지 않을 경우가 있다. 따라서, 신축 신장률의 바람직한 범위는 150% 이상 400% 이하이다.
여기에서, 신축 신장률이란 처리하는 조건에 따라 수치가 크게 다른 권축가공사의 신장성 측정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공 공정 통과 후의 제품 스트레치를 예측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직물(직편물) 구조 내를 상정한 하중을 가한 습열처리를, 신축 신장률의 처리 조건으로서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상세한 측정 방법은 후술한다.
신축 신장률이 100% 이상인 권축가공사를 얻는 방법으로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방사에 있어서 점도차나 수축차를 갖는 폴리머의 조합으로 하는 방법이나, 방사 후의 섬유에 권축을 강하게 부여하는 가공(가연이나 압입 권축)을 부여함으로써 높은 권축가공사를 얻을 수 있고, 이 2가지를 병용하는 방법이 유효하다. 단,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의 복합 방사에서는 권축 발현시에 섬유에 나선형의 권축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가연에 의해 스트레치 효과가 발현되지 않을 경우가 있다. 이 권축을 유효하게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가연의 꼬임계수를 20000 이상 35000 이하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권축가공사에 있어서 크림프 신장률이 25% 이상인 것이 중요하다. 직편물 제품에 있어서의 권축가공사이면, 직편물 제품으로부터 뽑아 낸 실로 평가함으로써 제직이나 제편, 염색 가공 공정에서의 권축 저하를 포함시킨 권축가공사의 상태를 평가한다. 상술한 신축 신장률은 권축가공사가 가지는 실의 포텐셜을 확인하는 지표이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직·제편 후의 염색 가공 공정에 있어서 폴리아미드는 그 특유의 팽윤 때문에, 주름 등의 품위나 공정 통과성을 고려하여 비교적 높은 장력을 가해서 가공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러한 높은 장력 하에서는 직편 구조 내의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의 권축 발현이 억제되어, 설계하고 있었던 높은 신장성을 얻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를 사용함으로써, 상술하는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에서 발생하기 쉬운 주름 등의 품위 저하나 공정 통과성의 악화는 일어나기 어렵다. 따라서, 가공 공정에 있어서도 가공 장력을 적정하게 컨트롤하는 등, 적정한 염색 가공 방법을 행함으로써 염색 가공 후의 직편물 제품의 구조 내의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에 있어서 충분한 권축을 발현 가능하게 하고, 직편물에 있어서 목표의 높은 신장 특성이 얻어진다. 높은 신장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직편물 제품으로부터 뽑아 낸 권축가공사의 크림프 신장률이 25% 이상의 높은 권축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를 구성하는 섬유의 적어도 일부에 사용되는 저흡수성의 폴리아미드는, 예를 들면 세바스산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디카르복실산 단위와 디아민 단위의 조합에 의해 얻어지는, 나일론 210, 나일론 310, 나일론 410, 나일론 510, 나일론 610, 나일론 710, 나일론 810, 나일론 910, 나일론 1010, 나일론 1110 및 나일론 1210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나일론 410, 나일론 510, 나일론 610, 나일론 710, 나일론 810, 나일론 910, 나일론 1010, 나일론 1110 및 나일론 1210이 더욱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이것들 중에서도, 중합성이 안정되어 권축가공사의 황화가 적고, 염색성이 양호한 나일론 610이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여기에서, 세바스산은 예를 들면 피마자유의 종자로부터 정제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어 식물 유래 원료로 평가된다. 세바스산 단위 이외의 디카르복실산 단위를 구성하는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테레프탈산 등을 들 수 있고,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이것들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디카르복실산에 대해서도 식물 유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바스산 단위 이외의 디카르복실산 단위의 공중합량으로서는, 전체 디카르복실산 단위 중 0∼40몰% 이하가 바람직하고, 0∼20몰%가 보다 바람직하고, 0∼10몰%가 더욱 바람직하다. 디아민 단위를 구성하는 디아민으로서는, 탄소수 2 이상의 디아민,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12의 디아민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푸트레신, 1,5-펜탄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트리메틸렌디아민, 노난디아민, 메틸펜탄디아민, 페닐렌디아민, 에탐부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것들의 디아민에 대해서도, 식물 유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를 구성하는 섬유는 습열 권축 유지율이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고 건열 권축 유지율이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며, 건열 권축 유지율/습열 권축 유지율로 나타내어지는 권축 유지율 비가 1.0 이상 1.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는 습열 권축 유지율이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고, 건열 권축 유지율이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며, 건열 권축 유지율/습열 권축 유지율로 나타내어지는 권축 유지율 비가 1.0 이상 1.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습열 권축 유지율과 건열 권축 유지율은, 권축가공사가 권축가공사 단체로 습열 상태와 건열 상태에 있어서 최대한 발휘하는 권축에 대하여, 직물(직편물) 상태에 있어서의 정련, 염색 및 건열 셋팅에 있어서의 습열이나 건열의 처리시의 권축가공사의 권축 특성을,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목표가 된다. 우선, 본 발명에서는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의 습열 권축 유지율을 3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습열 권축률이 30% 미만이면, 권축이 지나치게 작아서 직편물에 충분한 스트레치를 부여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의 건열의 권축 유지율은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다. 습열 권축 유지율과 마찬가지로, 건열 권축 유지율도 50%보다 작으면 스트레치 부족으로 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습열 권축 유지율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40% 이상이며, 건열 권축 유지율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70% 이상이다.
여기에서, 상기 습열 권축 유지율, 건열 권축 유지율, 및 건열 권축 유지율/습열 권축 유지율을 동시에 달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저흡수성 폴리아미드를 40질량% 이상 포함하고, 신축 신장률이 높은 권축가공사로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고, 또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접합시킨 섬유 구조로 하는 것이나, 가연 등의 권축가공 등을 적당하게 사용하고, 조건을 조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폴리아미드사 형상의 상태에 있어서 하중을 가하지 않고 처리함으로써 권축이 크게 발현되는 권축가공사는 종래부터 수많이 존재하지만, 직편물의 상태에서의 정련, 염색 및 건열 셋팅의 공정을 재현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폴리아미드 직편물, 특히 직물 날실 방향에 있어서 스트레치가 높은 소재(직편물)는 적다. 이것은, 폴리아미드사 형상이 직편물로서 형성되어 있는 상태의 장력(하중)이나, 습열과 건열의 권축 발현과 유지 거동이 고려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습열과 건열의 권축 유지율의 비를 작게 함으로써, 주름의 발생이 적고, 또한 주름 발생 후에 건열로 셋팅을 가해서 주름의 제거 및 품위의 향상이 가능한 직편물을 제안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에 있어서는, 상기 건열 권축 유지율/습열 권축 유지율로 나타내어지는 권축 유지율 비가 1.0 이상 1.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권축 유지율 비는 건열과 습열의 권축 유지율 비가 가까운 값의 쪽이 바람직하지만, 상술하고 있는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 섬유에서는 습열 처리에서의 형태 셋팅성이 높기 때문에 상기 권축 유지율 비가 1.0보다 작은 값의 권축가공사의 제작은 곤란하다. 또한, 권축 유지율 비의 한계로서, 1.7보다 크면 건열 셋팅에서 품위 향상이 확인되지 않고, 제품(직편물) 품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정련, 염색 및 셋팅 가공에 있어서 생지(직편물)에 장력을 가하기 때문에, 사조에 있어서도 권축 발현이 작고, 결과적으로 직편물에 충분한 스트레치가 주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사조의 권축의 관점으로부터, 뒤에 나타내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접합시킨 조합이 바람직한 형태이다.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사에 있어서의 저흡수성 폴리아미드의 혼용 비율은, 상술하고 있는 바와 같이 40질량%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저흡수성 폴리아미드의 사용 비율이 40질량% 미만이면, 상기에 나타내는 정련, 염색 및 셋팅 가공시의 권축 발현 효과가 작아지거나, 제품(직편물) 품위가 나빠진다. 또한, 저흡수성 폴리아미드를 권축가공사에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저흡수성 폴리아미드는 고가인 경우에는 그 사용 비율을 적게 한 쪽이 제품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비용을 고려하면, 저흡수성 폴리아미드의 혼용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의 범위이다. 또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했을 경우에 권축성으로부터 생각하면, 저흡수성 폴리아미드의 바람직한 혼용 비율은 40질량% 이상 70질량% 이하가 된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를 구성하는, 저흡수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섬유는, 점도차를 갖는 2종류의 폴리아미드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접합시킨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접합시킨 섬유 구조로 함으로써, 사용하는 폴리머간에 점도차나 수축차를 만들고, 섬유 자체가 가지는 권축이 높아진다.
또한, 저흡수성의 폴리머를 적어도 한쪽에 배치함으로써, 상술한 정련이나 염색 공정에서의 품위 저하나 권축 발현 불량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통상, 저흡수성 폴리머는 비용이 높아 그것 단체로 섬유로 했을 경우에 매우 고가로 되어버리지만,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의 섬유 구조로 함으로써 고가인 폴리머의 비율을 적게 할 수 있어 섬유의 가격을 낮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스트레치 성능에 추가해서 스트롱 포인트가 된다.
또한, 폴리머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접합시킨 섬유에 있어서, 한쪽의 폴리머와 다른쪽의 폴리머의 점도차가 0.03 이상 0.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도차가 0.03 미만이면 점도차에 의한 권축 발현 효과는 작고, 점도차가 0.15보다 크면 폴리아미드 폴리머간의 접합성의 나쁨이나 방사 불량이 일어나기 때문에, 품질문제가 일어날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에 있어서는 초기 영률을 15 이상 25cN/dtex 이하로 함으로써 부드로운 촉감을 유지하면서 직편물 촉감도 견고하다. 또한 강도를 2.0cN/dtex 이상으로 함으로써 고차 공정에서의 통과성이나 제품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접합시킨 섬유의 폴리아미드의 조합으로서, 스트레치 성능, 제품 비용, 방사성 및 고차 통과성의 관점으로부터, 고점도 폴리머로서 나일론 610 또는 그 공중합체를 사용하고, 저점도 폴리머로서 나일론 6 또는 66 또는 그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점도차를 갖는 2종류의 폴리아미드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의 방사구금으로 용융 방출하지만, 이 때 상용의 복합 방사 장치를 이용하여 상용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의 방사구금으로 용융 방사할 수 있다. 그리고, 방출된 사조를 냉각 고화하고, 유제를 부여한 후, 바람직하게는 속도 4000m/분 이상으로 권취하여 고배향 미연신사를 얻는다.
고배향 미연신사를 얻을 때에는, 4000m/분 이상의 속도로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취 속도가 이것보다 낮으면 방사 유제나 공기 중의 수분 흡수 등에 의해, 권취 중의 사조가 팽윤하여 안정 방사가 곤란하게 된다.
얻어진 고배향 미연신사에는 가연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를 얻지만, 생산성과 권축 상태를 고려하면 가연수를 결정하는 꼬임계수의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20000 이상 35000 이하로 행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저흡수성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섬유는, 종래 공지의 단독사나 사이드 바이 사이드 복합사용 구금에 의해 소정의 폴리머를 선택해서 용융 복합 방사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그 제조 공정은 일단 미연신사를 얻고, 그 후 연신하는 2공정법의 UY/DT법이여도, 1공정으로 연신사를 얻는 OSP법이여도 관계없다. 또한 반연신사 POY라도 된다.
본 발명의 저흡수성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는, 가연가공에 의해 작성되는 가연사인 것이 중요하다. 폴리아미드 섬유 사조에 가연가공을 행함으로써 높은 권축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지만, 저흡수성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섬유에 가연을 행함으로써 열처리가 저온의 영역으로부터 높은 권축이 발현되어, 정련이나 염색 공정에 있어서의 직편물의 품위를 저하시키지 않고 높은 권축을 유지할 수 있고, 직편물에 높은 스트레치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저흡수성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가연 권축가공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에 가연가공을 행함으로써, 습열 건열 처리 전의 섬유 형태인 현재(顯在) 권축이 커지고, 또한 수축 후에 발현되는 잠재(潛在) 권축도 높아지기 때문에, 저흡수성의 폴리아미드를 단체로 사용하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권축가공사보다 큰 권축과 직편물에 있어서는, 큰 스트레치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가연가공의 방법에는 핀 타입, 프릭션 타입 및 벨트 타입 등 여러가지로 존재한다. 단, 본 발명에서는 총섬도가 가는 합성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핀 타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프릭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디스크 매수를 늘리는 등 총섬도가 가는 합성 섬유에 대응하여 가연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를 적어도 일부에 포함하는 직편물에서는, 정련과 염색 공정을 액류 가공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저흡수성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습열 공정에서의 셋팅성이 낮기 때문에 직편물에 있어서의 주름 등의 품위 저하가 일어나기 어렵고, 습열에서의 주름 등의 품위 저하도 건열 공정에서 개선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높은 권축 발현이 가능한 액류 가공 공정에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액류 가공 공정에서도 가공 중에 직편물로의 인장 장력이 낮은 타입의 액류 염색기, 노즐 및 가공 조건으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방법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중간 셋팅이나 마무리 셋팅 공정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를 포함한 직편물을 사용함으로써 습윤에 의한 늘어짐이 적기 때문에 생지를 여분으로 인장하지 않아도 생지를 붙인 상태에서 열 셋팅을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주름 등 품위 저하 억제를 위해서 직물에 높은 장력을 가해서 가공하기 때문에, 씨실 방향의 스트레치가 높은 폴리아미드 직물의 제작은 가능했지만, 장력을 가해서 가공하기 때문에 날실 방향의 권축가공사의 권축을 발현할 수 없고, 직물의 날실 방향으로 높은 스트레치를 부여하는 것이 곤란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에 없는 높은 스트레치성이 있는 직물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구체적으로는, 직물의 날실 방향 신장률이 20% 이상이다. 또한, 종래의 방법에서는 특히 어려운 문제이었던 날실 방향의 신장률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크게 하면 고차의 통과성이나 제품의 품질의 저하, 생지의 신장 회복률의 저하를 초래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를 날실 방향으로 사용함으로써 직물의 날실 방향의 신장률이 14.7N/5㎝ 하중시에서 20% 이상이며, 직물 날실 방향에 있어서의 신장 회복률이 80% 이상인 양호한 스트레치성을 가지는 직물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신장 회복률 80% 이상을 유지하면서 직물의 날실 방향의 신장률이 25% 이상 40% 이하로 된다. 씨실 방향 신장률도 2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는 고가로 되는 것이 예상되기 때문에,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를 경사에만 사용하여 직물 날실 방향으로 높은 스트레치를 부여하고, 위사에 종래의 고권축가공사를 사용함으로써 비교적 저렴하고 날실과 씨실 방향 모두 스트레치가 높은 직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를 이용하여 얻어진 스트레치 직물에 라미네이트나 코팅 가공을 실시하여 방풍 성능이나 내수 성능을 향상시킨 제품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라미네이트나 코팅으로 직물의 스트레치성이 저하할 경우도 있기 때문에, 라미네이트나 코팅의 가공 방법을 적당하게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사용하는 라미네이트재나 코팅재의 선정이나, 가공시에 직물에 장력을 가해서 가공하기 때문에 품위를 확인하면서 가공 장력을 떨어뜨리는 방법, 라미네이트의 접착 방식을 전면 접착이 아니라 도트 접착 등 부분 접착으로 하는 방법, 및 코팅을 부분 코팅으로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라미네이트는 반응성 접착제를 피막 또는 직물, 또는 피막, 직물의 양쪽에 도포하여 건조 혹은 반건조하고, 접합시켜서 압착하는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또는 접착제를 도포한 피막 혹은 직물, 또는 피막, 직물의 양쪽을 건조시키지 않고 접합시켜서 압착하는 웨트 라미네이트법 등의 방법에 의해 적층한다. 또는, 미리 수지피막 중에 가교제를 혼합하는 등 반응성을 부여해 두고, 직물과 열압착함으로써 라미네이트해도 좋다.
피막과 직물을 접합한 후에 이형 지지체를 이형하고, 투습성 방수직물을 얻을 수 있다. 얻어진 투습성 방수직물에는, 필요에 따라서 불소계 발수제, 규소계 발수제 등을 이용하여 발수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이러한 라미네이트 가공을 행함으로써, 의료 소재에 이용하면 낚시, 등산복 등의 아웃도어 웨어, 스키 관련 웨어, 바람막이, 체육용 웨어, 골프 웨어, 비옷, 캐쥬얼 코트 등 외에, 옥외 작업복, 장갑, 신발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도트 접착 등 부분접착으로서는 직물과 필름의 라미네이트 접착 형태는 부분적이지만,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네트 형상이나 도트 형상 등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의 분포에 치우침이 있으면 결로(結露)되기 쉬운 부위가 생기거나, 막의 과도 한 팽윤이나 막 찢김이 일어나 쉬운 부위가 생기고, 방수성이 저하할 경우가 있다. 또한, 흡수 팽윤 억제, 강도 지지의 역할 때문에 전체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트 형상으로 적층할 경우, 성능 밸런스의 면으로부터 도트 1개당의 면적은 0.0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트의 형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직선 및 원호의 각각, 또는 이것들의 조합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형상 등, 모든 형태의 것을 적당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라미네이트하는 필름의 측 또는 직물측에, 그라비어 코팅, 스프레이 코팅, 커튼 코팅 등에 의해 반응성을 갖는 접착제액을 원하는 두께 및 도포 형태가 되도록 도포한다. 접착제는 도트 형상 또는 선 형상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필름과 직물을 접착제를 도포한 복합 필름을 건조 혹은 반건조하고, 직물과 접합해서 압착하는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또는 접착제를 도포한 필름을 건조시키지 않고 직물과 접합해서 압착하는 웨트 라미네이트법 등의 방법에 의해 적층한다. 직물을 접합한 후의 프레스는 도트 형상 혹은 네트 형상으로 도포한 접착제를 눌러 으깨서 투습도를 저하시키는 일이 없도록, 적당한 온도 및 압력 조건하에서 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권축가공사에 있어서는, 정련·염색 등의 습열 셋팅으로 권축이 꺼지지 어려운 가공사로 하기 위해서는, 습열 권축 유지율이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 셋팅이나 마무리 셋팅 등의 건열 셋팅으로 권축이 꺼지기 어려운 가공사로 하기 위해서는, 건열 권축 유지율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건열 권축 유지율/습열 권축 유지율로 나타내어지는 권축 유지율 비가, 건열에서의 가공 공정에 비하여, 비교적 습열에서의 가공 공정에서의 권축의 꺼짐이 작다고 하는 점으로부터 1.0 이상 1.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나일론은 습열 공정에서 하중을 가해 권축을 편 상태의 가공사 권축이, 하중 프리로 발현시킨 가공사 권축보다 저하한다. 이것에 비해 폴리에스테르는 하중을 가한 습열 공정에서의 권축 저하는 작다. 본 발명의 가공사를 사용한 직물에서도 습열에서의 권축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는 신축성을 필요로 하는 스포츠 의료, 아웃도어, 및 팬츠나 이너 등의 의료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를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물성값은 다음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측정 횟수에 대해서는 JIS에 기재된 소정의 횟수로 실시하고, JIS에 기재가 없는 것은 5회의 측정 횟수로 실시하고, 이것들의 평균값을 산출했다.
(A) 온도 30℃, 상대습도 90% RH시의 평균 흡수율:
JIS L 0105(2006년도판)에 준하여 절건 상태와 온도 30℃, 상대습도 90% RH에서 24시간 처리에 의한 흡수성을 측정하고, 그 흡수율을 측정했다.
(B) 신축 신장률:
JIS L 1013(C법)(2010년도판)에 준하여 신축 신장률을 측정했다. 단, 열처리방법은 90℃의 온도의 온수 중에 하중을 가하지 않고 20분간 처리했다.
(C) 습열 권축 유지율:
JIS L 1013(2010년도판)의 신축 복원율의 측정 방법에 의거하여 베이스 권축률을 측정한다. 단, 처리 조건은 온수 90℃, 하중 없이 20분간으로 했다. 이어서, 새롭게 채취한 실패를 90℃의 온도의 온수 중에 20분간, 0.0176mN/dtex의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처리한다. 베이스 권축률과 동일한 측정 방법에 의해 습열 권축률을 측정하고, 다음 식에 의해 습열 권축 유지율을 산출한다.
·습열 권축 유지율=습열 권축률/베이스 권축률×100.
(D) 건열 권축 유지율:
베이스 권축률은 상기의 (C)와 동일한 값으로 된다. 채취한 실패를 120℃의 온도의 건열 중에 5분간, 0.0176mN/dtex의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처리한다. 베이스 권축률과 동일한 측정 방법에 의해 건열 권축률을 측정하고, 다음 식에 의해 건열 권축 유지율을 산출한다.
·건열 권축 유지율=건열 권축률/베이스 권축률×100.
(E) 권축 유지율 비:
건열 유지율 비는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한 값이다.
·권축 유지율 비=건열 권축 유지율/습열 권축 유지율.
(F) 상대점도:
절건 시료 0.25±0.001g을, 98질량% 황산에서 용해 농도가 1g/100ml가 되도록 녹이고, 오스왈드 점도계(나가노식 개량형)로 25±0.2℃의 항온 중에서 상대점도를 측정했다.
(G) 강신도와 초기 영률:
JIS L 1013(2010년도판)에 준하여 시마즈 세이사쿠쇼제 오토그래프 AG-IS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H) 비수율(비등수 수축률):
JIS L 1013(2010년도판)에 준하여 시료를 프리하게 해서 비등수 중에 30분간 침지한 후, 자연 건조하여 비수율을 산출했다.
(I) 생지 날실과 씨실 방향의 신장률:
JIS L 1096A법(정속 신장법: 2010년도판)에 준하여 인스트론사제 인장시험기를 사용하고, 날실 방향과 씨실 방향으로 폭 50㎜×300㎜의 시료를, 잡기 간격 200㎜이고 인장속도 200㎜/분, 14.7N까지 신장했을 때의 신장률을 측정했다.
(J) 생지 날실과 씨실 방향의 신장 회복률:
신장 회복률은 JISL1096A법(정속 신장법: 2010년도판)을 응용해서 측정한다. 즉, 표준 상태로 조온습한 시료로부터 날실 방향과 씨실 방향으로 폭 50㎜×길이 300㎜의 시료를, 상기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잡기 간격(원래의 표시간) 200㎜, 인장속도 200㎜/분으로, 상기 신장률의 80%(14.7N까지 신장했을 때의 신장률을 100%라고 했을 때의 80%)까지 신장하고, 1분간 유지한다. 계속해서, 같은 속도로 원래의 위치까지 되돌려서 3분간 유지하고, 이어서, 이 조작을 11회 반복한 후, 그려진 하중-신장 곡선으로부터 잔류 신장(10회 반복한 후, 11회째의 신장시의 첫하중까지 하중했을 때의 신장)을 측정하고, 다음 식(1)에 의해 신장 회복률(%)을 구하고, 날실과 씨실 방향의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소수 제 1자리까지 산출한다.
신장 회복률(%)={(L-L3)/L}×100···(1)
L은 신장률의 80%까지 신장시의 신장(㎜), L3은 10회 반복의 잔류 신장(㎜)이다.
(K) 가연의 꼬임계수
가연시의 꼬임계수 K=(꼬임수:T/m)×√{(섬도: dtex)×0.9}
(L) 크림프 신장률
40㎝의 섬유를 사용하고, JIS L 1013(A법)(2010년도판)에 준하여 크림프 신장률을 측정했다.
직편물에 있어서의 실에 대해서는 직편물로부터 실을 40㎝ 빼내고, 빼낸 실 섬유에 열처리하지 않고,
(실시예 1)
저점도 폴리머에 상대점도 2.63의 나일론 6(흡수율 7.7%)을 사용하고, 고점도 폴리머에는 상대점도 2.71의 나일론 610(흡수율 3.6%)을 사용하여, 상용의 복합 용융 방사 장치에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방사구금을 장착하고, 저점도 폴리머와 고점도 폴리머의 복합비(질량비)를 1:1로 해서 방사온도 260℃에서 용융 방출했다. 이 복합섬유를 냉각하고, 유제를 부여한 후, 속도 4000m/분으로 권취하고, 총섬도 90dtex/12f의 환단면 형상의 고배향 미연신사를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고배향 미연신사를 히터 온도 170℃, 가연시의 꼬임계수 K=30000으로 핀 가연기를 이용하여 가연가공을 실시하여 총섬도 84dtex/12f의 잠재권축 가연사를 얻었다.
얻어진 잠재권축 가연사를, 평조직을 이용하여 조키 직물을 제작하고, 액류 정련-액류 염색에 의해 정련과 염색 가공을 행하고, 염색 전후의 생지 건열 셋팅은 적당하게 조정했다. 얻어진 제품은 표면 품위도 좋고 날실과 씨실 방향 모두 스트레치성이 매우 높은 소재이었다. 또한, 이대로 제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그라비아 롤을 이용하여 우레탄계 2액 반응형 접착제를 무공질 투습성 폴리우레탄막에 직경 1㎜로 도트 형상으로 도포했다. 또한 별도로, 상기의 방법으로 얻어진 직물에 미리 발수처리를 실시하고, 폴리우레탄막과 직물을 적층해서 라미네이트 가공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고배향 미연신사를 사용하고, 가연시의 꼬임계수 K=23000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가연가공하여 80dtex/12F의 권축가공사를 얻었다.
얻어진 실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생기(生機) 제작, 액류 정련-액류 염색, 염색 전후의 생지 건열 셋팅은 적당하게 조정했다. 얻어진 제품은 표면품위도 좋고, 날실과 씨실 방향 모두 스트레치성이 좋은 소재이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라미네이트 가공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저점도 폴리머에 상대점도 2.62의 나일론 66(흡수율 7.0%)을 사용하고, 고점도 폴리머에는 상대점도 2.71의 나일론 610(흡수율 3.6%)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총섬도 90dtex/12f의 환단면 형상의 고배향 미연신사를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고배향 미연신사를 히터 온도 190℃, 가연시의 꼬임계수 K=30000으로 핀 가연가공기를 이용하여 가연가공을 실시하여 총섬도 84dtex/12f의 잠재권축 가연사를 얻었다.
얻어진 실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생기 제작, 액류 정련-액류 염색, 염색 전후의 생지 건열 셋팅은 적당하게 조정했다. 얻어진 제품은 표면품위도 좋고, 날실과 씨실 방향 모두 스트레치성이 높은 소재이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라미네이트 가공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저점도 폴리머에 상대점도 2.63의 나일론 6(흡수율 7.7%)을 사용하고, 고점도 폴리머에는 상대점도 3.15의 나일론 12(흡수율 2.0%)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총섬도 90dtex/12f의 환단면 형상의 고배향 미연신사를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고배향 미연신사를 히터 온도 160℃, 가연시의 꼬임계수 K=30000으로 핀 가연기를 이용하여 가연가공을 실시하여 총섬도 84dtex/12f의 잠재권축 가연사를 얻었다.
얻어진 실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생기 제작, 액류 정련-액류 염색, 염색 전후의 생지 건열 셋팅은 적당하게 조정했다. 얻어진 제품은 표면품위도 좋고, 날실과 씨실 방향 모두 스트레치성이 높은 소재이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라미네이트 가공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저점도 폴리머에 상대점도 2.63의 나일론 6(흡수율 7.7%)을 사용하고, 고점도 폴리머에는 상대점도 2.83의 나일론 510(흡수율 4.1%)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총섬도 90dtex/12f의 환단면 형상의 고배향 미연신사를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고배향 미연신사를 히터 온도 180℃, 가연시의 꼬임계수 K=30000으로 핀 가연기를 이용하여 가연가공을 실시하여 총섬도 84dtex/12f의 잠재권축 가연사를 얻었다.
얻어진 실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생기 제작, 액류 정련-액류 염색, 염색 전후의 생지 건열 셋팅은 적당하게 조정했다. 얻어진 제품은 표면품위도 좋고, 날실과 씨실 방향 모두 스트레치성이 높은 소재이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라미네이트 가공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나일론 6을 사용하고, 속도 4000m/분으로 방사한 90dtex/12f의 환단면의 고배향 미연신사를,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가연가공하여 78dtex/12F의 가연사를 얻었다.
얻어진 실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생기 제작, 액류 정련-액류 염색, 염색 전후의 생지 건열 셋팅은 적당하게 조정했지만, 건열 셋팅에서도 주름·잔주름이 없어지지 않아, 얻어진 제품은 주름이나 잔주름이 발생한 품위가 나쁜 소재이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라미네이트 가공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비교예 1과 동일한 생기를 이용하여 오픈 소퍼로 연속 정련-액류 염색기를 이용하고, 염색 전후의 생지 건열 셋팅은 주름 등 품질을 확인하면서 적당하게 조정했지만, 얻어진 제품은 주름이 없고 품위는 좋지만, 날실 방향의 스트레치성이 낮은 소재이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라미네이트 가공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비교예 1에서 사용한 고배향 미연신사를 사용하고, 가연시의 꼬임계수 K=23000으로 설정한 같은 방법으로 가연가공을 행하여 78dtex/12F의 가연사를 얻었다.
얻어진 실을, 비교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정련·염색·생지 건열 셋팅을 행하였다. 얻어진 제품은 주름이나 잔주름이 없고 품위는 좋지만, 날실 방향·씨실 방향 모두 스트레치성이 낮은 소재이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라미네이트 가공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실시예 5에서 사용한 나일론 66을 사용하고, 속도 4000m/분으로 방사한 90dtex/12f의 환단면의 고배향 미연신사를,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가연가공하여 78dtex/12F의 가연사를 얻었다.
얻어진 실을, 비교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주름 등 품질을 확인하면서 적당하게 조정했지만, 얻어진 제품은 날실 방향 스트레치가 낮은 소재이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라미네이트 가공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Claims (12)

  1. 온도 30℃, 상대습도 90% RH시의 평균 흡수율이 5% 이하인 저흡수성 폴리아미드를 적어도 40질량% 포함하고, 상기 저흡수성 폴리아미드를 한쪽의 성분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사이며, 또한 가연가공되고 크림프 신장률이 2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
  2. 온도 30℃, 상대습도 90% RH시의 평균 흡수율이 5% 이하인 저흡수성 폴리아미드를 적어도 40질량% 포함하고, 상기 저흡수성 폴리아미드를 한쪽의 성분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사이며, 또한 가연가공되고 신축 신장률이 1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흡수성 폴리아미드로서 나일론 610 또는 그 공중합체가 적어도 일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습열 권축 유지율이 30% 이상이고 건열 권축 유지율이 50% 이상이며, 건열 권축 유지율/습열 권축 유지율로 나타내어지는 권축 유지율 비가 1.0 이상 1.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사는 0.03 이상 0.15 이하의 점도차를 갖는 2종류의 폴리아미드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접합시킨 복합사인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를 적어도 일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액류 가공에 의해 정련과 염색 공정이 실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8. 온도 30℃, 상대습도 90% RH시의 평균 흡수율이 5% 이하인 저흡수성 폴리아미드를 적어도 40질량% 포함하고, 상기 저흡수성 폴리아미드를 한쪽의 성분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사의 가연사를 사용한 직물이며, 직물 날실 방향에 있어서의 14.7N/5㎝ 하중시의 신장률이 20% 이상이고, 직물 날실 방향에 있어서의 신장 회복률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직물.
  9. 제 8 항에 있어서,
    라미네이트 가공 또는 코팅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직물.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저흡수성 폴리아미드로서 나일론 610 또는 그 공중합체를 한쪽의 성분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사가 적어도 일부에 사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직물.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습열 권축 유지율이 30% 이상이고, 건열 권축 유지율이 50% 이상이며, 건열 권축 유지율/습열 권축 유지율로 나타내어지는 권축 유지율 비가 1.0 이상 1.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직물.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 씨실 방향의 14.7N/5㎝ 하중시의 신장률이 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직물.
KR1020167021502A 2014-02-26 2015-02-25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 및 그것을 사용한 직편물 KR102236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35053 2014-02-26
JP2014035053 2014-02-26
PCT/JP2015/055367 WO2015129735A1 (ja) 2014-02-26 2015-02-25 ポリアミド捲縮加工糸およびそれを用いた織編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094A true KR20160124094A (ko) 2016-10-26
KR102236563B1 KR102236563B1 (ko) 2021-04-06

Family

ID=5400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502A KR102236563B1 (ko) 2014-02-26 2015-02-25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 및 그것을 사용한 직편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316439B2 (ko)
EP (1) EP3112506B1 (ko)
JP (1) JP6540507B2 (ko)
KR (1) KR102236563B1 (ko)
CN (1) CN106062262B (ko)
CA (1) CA2939217C (ko)
ES (1) ES2811827T3 (ko)
WO (1) WO20151297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5859A1 (en) * 2018-09-10 2020-03-19 Universal Fibers, Inc. Wool-like synthetic multifilament yar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75918B1 (en) * 2015-11-10 2022-05-11 Toray Industries, Inc. Core-sheath composite cross-section fiber having excellent moisture absorbency and wrinkle prevention
JP6699403B2 (ja) * 2016-06-30 2020-05-27 東レ株式会社 仮撚り用複合ポリアミド繊維
CN109957856B (zh) * 2017-12-25 2022-07-19 上海凯赛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并列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
JPWO2021020354A1 (ko) * 2019-07-31 2021-02-04
CN110820079A (zh) * 2019-11-18 2020-02-21 广东新会美达锦纶股份有限公司 一种纳米掺杂的聚酰胺并列弹性复合纤维的制备方法
KR102184497B1 (ko) * 2020-05-27 2020-12-01 길경택 잠재권축사를 포함하는 고신축성 원단의 제조방법
CA3188295A1 (en) 2020-07-20 2022-01-27 Toray Industries, Inc. Woven/knitted fabric and garment containing same
CN117051500B (zh) * 2023-07-25 2024-03-12 广东新会美达锦纶股份有限公司 一种光交联弹性聚酰胺面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3521A (en) 1981-04-28 1982-11-27 Teijin Ltd Nylon 12 elastomer conjugated yarn
JPH0226932A (ja) * 1988-07-12 1990-01-29 Toray Ind Inc ポリアミド系複合繊維捲縮加工糸の製造方法
JP2000027031A (ja) 1998-07-09 2000-01-25 Unitika Ltd ポリアミド潜在捲縮糸
JP2001159030A (ja) * 1999-11-29 2001-06-12 Toray Ind Inc 複合ポリアミド繊維
JP2003129352A (ja) 2001-10-26 2003-05-08 Unitica Fibers Ltd 伸縮性ポリアミド織物
KR20040002915A (ko) * 2001-04-17 2004-01-07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에스테르계 복합 섬유의 가연 가공사 및 그의 제조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72045A (en) * 1967-01-31 1969-11-26 Asahi Chemical Ind Crimpable Conjugate Filaments and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JPS5876537A (ja) * 1981-10-28 1983-05-09 帝人株式会社 ストレツチ性捲縮加工糸
US5621937A (en) * 1994-04-04 1997-04-22 S. Sclavos, S.A. Jet dyeing apparatus and method
TW371679B (en) * 1996-02-21 1999-10-11 Toray Industries Method for producing coarse and fine polyesteramide staple
JPH09228218A (ja) * 1996-02-28 1997-09-02 Nippon Ester Co Ltd ポリエステル系弾性固綿の製造方法
JPH10130977A (ja) * 1996-10-30 1998-05-19 Toyobo Co Ltd 伸縮性スラブ糸
JPH10204747A (ja) * 1997-01-10 1998-08-04 Toyobo Co Ltd 伸縮性を有する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874372A (en) * 1996-10-30 1999-02-23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Highly stretchable fabric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6548429B2 (en) * 2000-03-01 2003-04-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icomponent effect yarns and fabrics thereof
CN100523364C (zh) * 2004-02-13 2009-08-05 东丽株式会社 皮革状片状物及其制造方法
JP5214132B2 (ja) * 2006-10-30 2013-06-19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複合糸および布帛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3521A (en) 1981-04-28 1982-11-27 Teijin Ltd Nylon 12 elastomer conjugated yarn
JPH0226932A (ja) * 1988-07-12 1990-01-29 Toray Ind Inc ポリアミド系複合繊維捲縮加工糸の製造方法
JP2000027031A (ja) 1998-07-09 2000-01-25 Unitika Ltd ポリアミド潜在捲縮糸
JP2001159030A (ja) * 1999-11-29 2001-06-12 Toray Ind Inc 複合ポリアミド繊維
KR20040002915A (ko) * 2001-04-17 2004-01-07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에스테르계 복합 섬유의 가연 가공사 및 그의 제조법
JP2003129352A (ja) 2001-10-26 2003-05-08 Unitica Fibers Ltd 伸縮性ポリアミド織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5859A1 (en) * 2018-09-10 2020-03-19 Universal Fibers, Inc. Wool-like synthetic multifilament yar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29735A1 (ja) 2015-09-03
KR102236563B1 (ko) 2021-04-06
EP3112506B1 (en) 2020-07-01
EP3112506A4 (en) 2017-10-11
JPWO2015129735A1 (ja) 2017-03-30
EP3112506A1 (en) 2017-01-04
JP6540507B2 (ja) 2019-07-10
CA2939217A1 (en) 2015-09-03
CA2939217C (en) 2022-03-15
US10316439B2 (en) 2019-06-11
CN106062262A (zh) 2016-10-26
US20170167061A1 (en) 2017-06-15
ES2811827T3 (es) 2021-03-15
CN106062262B (zh) 202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4094A (ko)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 및 그것을 사용한 직편물
WO2006043677A1 (ja) 水湿潤により空隙率が低下する捲縮繊維含有織編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繊維製品
KR101220720B1 (ko) 수습윤에 의해 요철이 발현하는 권축 섬유 함유 직편물,그리고 그 제조 방법 및 섬유 제품
TWI413715B (zh) 含有複合纖維之紗線
JP2015108204A (ja) 複合紡績糸からなる織物
JP6116459B2 (ja) ポリアミド潜在捲縮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5465929B2 (ja) ポリアミド繊維、ポリアミド仮撚加工糸及び織編物
JP6090546B1 (ja) 吸湿性芯鞘複合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695098B (zh) 聚醯胺纖維及使用其之纖維構造物、及衣物
ITPI20100123A1 (it) Filato elasticizzato, tessuto elasticizzato prodotto con detto filato elasticizzato e metodo per la produzione di detto filato
JP4769279B2 (ja) ポリアミド潜在捲縮糸
JP5180053B2 (ja) 保温編地
JP4097788B2 (ja) ポリアミド潜在捲縮糸
KR20230036066A (ko) 직편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의복
JP2010133047A (ja) 撚糸織物
WO2015151220A1 (ja) ポリアミド潜在捲縮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59570A (ja) 織物および繊維製品
JP6691857B2 (ja) ポリアミド潜在捲縮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5033725B2 (ja) ナイロン11捲縮加工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31453A (ja) 感湿捲縮複合繊維
JP6298748B2 (ja) ポリアミド潜在捲縮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147858A (ja) ポリアミド複合糸、織編物、ポリアミド複合糸の製造方法、及び積層生地
TW202300739A (zh) 複合纖維及其製備方法
JP2008184708A (ja) プレス機用パ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032146A (ja) 強撚織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