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066A - 직편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의복 - Google Patents

직편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066A
KR20230036066A KR1020227043656A KR20227043656A KR20230036066A KR 20230036066 A KR20230036066 A KR 20230036066A KR 1020227043656 A KR1020227043656 A KR 1020227043656A KR 20227043656 A KR20227043656 A KR 20227043656A KR 20230036066 A KR20230036066 A KR 20230036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warp
woven
fiber
ya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야 나카미치
코지로 이나다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36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amide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3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 D03D15/3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6Knitted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92Conjugate, i.e. bi- or multicomponent, fibre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9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textured; curled; crimp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6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12Permeability or impermeability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12Permeability or impermeability properties
    • D06N2209/1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D06N2209/128Non-permeab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몸의 움직임을 저해하지 않고 착용감이 우수하고, 특히 의복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직편물 및 그것을 사용한 의료로 하기 위해서, 평형 수분율 6.3% 이하의 편심 심초형의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가연 가공사를 적어도 일부에 포함하고, 경사 방향과 위사 방향에 있어서의 15% 신장시의 응력비가 0.25 이상 2.0 이하인 직편물로 한다.

Description

직편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의복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편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의복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의료용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있어서는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몸의 움직임을 저해시키지 않도록 신축성을 부여하는 것이 이루어져 왔다. 그리고 폴리아미드 섬유도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비교해서 부드럽고 터치도 양호하여 의료용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의료용 폴리아미드 섬유의 대표인 나일론 6이나 나일론 66 등은 1종류의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단일 섬유 사조의 신축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가연 가공 등을 행해서 신축성이 부여되어 직편물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일 섬유 사조에 가연 가공 등의 가공을 실시한 것에서는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신축성을 갖는 직편물을 얻는 것이 곤란했다.
그래서, 상대점도가 다른 잠재 권축성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사에 꼬임을 실시함으로써, 신축성을 갖는 직물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저흡수성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권축 가공사에 의해, 염색 가공 공정을 통과한 제품에 있어서도, 높은 스트레치성을 갖는 직편물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비결정 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나 가공사에 의해, 경사 방향으로 높은 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습열 또는 건열 처리해도 권축을 발현하여 높은 스트레치성을 발휘할 수 있는 직편물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02-285449호 공보 국제공개 제2015/129735호 국제공개 제2017/221713호
그러나, 특허문헌 1∼3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모두, 몸의 움직임을 저해하지 않고 착용감이 우수한, 의복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직편물이라고 까지는 말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로 구성되는 직물은 주름이 없는 표면품위와 신축성의 양립이 곤란했다. 일반적으로 폴리아미드 섬유 직편물은 정련이나 염색 가공의 습열 공정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섬유 특유의 주름이 발생하기 쉽고, 한번 발생하면 열세트하는 건열 공정에 있어서도 없어지기 어렵다. 그래서 품위를 유지하기 위해서, 습열 공정에 있어서 장력을 주면서 가공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지만, 그렇게 하면 원사나 가공사에 기대하는 권축을 충분히 발현시킬 수 없어 결과적으로 신축성이 부족한 직편물이 된다.
이것에 대하여, 특허문헌 2와 같이 저흡수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권축 가공사이면, 주름 발생을 억제하면서 신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품위를 유지하면서, 복잡한 몸의 움직임을 저해하지 않고 착용감이 우수한 의복으로 하기 위해서는 아직 불충분하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에 의하면, 직편물의 구속력을 능가하는 응력으로 수축하여 높은 수축성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마찬가지로, 복잡한 몸의 움직임을 저해하지 않고 착용감이 우수한 의복으로 하기 위해서는 아직 불충분하다. 또한, 비결정 폴리아미드 폴리머는 경시에서 흡습 결정화가 진행되므로, 수축 특성의 관리가 어렵고, 결정화가 진행되면 신축성이 부족한 직편물이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몸의 움직임을 저해하지 않고 착용감이 우수하고, 특히 의복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직편물 및 그것을 사용한 의복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직편물은 평형 수분율 6.3% 이하의 편심 심초형의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가연 가공사를 적어도 일부에 포함하고, 경사 방향과 위사 방향에 있어서의 15% 신장시의 응력비가 0.25 이상 2.0 이하이다.
본 발명의 직편물의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에 있어서, 초성분을 구성하는 폴리아미드의 수분 함유율이 4.00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직편물의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에 있어서, 심성분을 구성하는 폴리아미드와 초성분을 구성하는 폴리아미드의 점도비가 1.20 이상 1.40 이하이다.
본 발명의 직편물의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단면에 있어서, 초성분의 최소두께(S)과 섬유직경(D)의 비(S/D)가 0.010∼0.100이며, 복합 섬유의 무게중심(CG)과 심성분의 무게중심(CGcore)의 거리(L)와, 상기 CG와 상기 CGcore를 연결하는 직선에 의해 절취되는 섬유 단면의 길이(M)의 비(L/M)가 0.125∼0.333이다.
본 발명의 직편물의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에 있어서, 상기 초성분을 구성하는 폴리아미드가 주로 나일론 610이며, 상기 심성분을 구성하는 폴리아미드가 주로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이다.
본 발명의 직편물의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상기 발명에 있어서, 수지층을 더 포함하는 직편물이다.
본 발명의 직편물의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상기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직편물을 적어도 일부에 포함하는 의복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품위가 우수함과 아울러 특정 방향 뿐만 아니라 복잡한 몸의 움직임을 저해하지 않으므로, 착용감이 우수하고, 특히 의복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직편물, 및 그것을 사용한 의복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다른 편심 심초형의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에 있어서의 단면 개략도의 일례이다.
본 발명의 직편물은 평형 수분율 6.3% 이하의 편심 심초형의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를 적어도 일부에 포함하는 것이다.
편심 심초형의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란 적어도 2종류의 폴리아미드가 편심한 심초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복합 섬유를 말한다. 여기서 편심이란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단면에 있어서, 심성분을 구성하는 폴리아미드의 무게중심점 위치가 복합 섬유 단면의 중심과 다른 것을 의미한다. 도 1을 사용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무게중심(1)(CG)과, 심성분의 무게중심(2)(CGcore)은 다른 위치에 있다. 또한, 심초란 심성분인 폴리아미드(이하, 「제 1 폴리아미드」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가, 초성분인 폴리아미드(이하, 「제 2 폴리아미드」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등으로 덮여져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이 아닌 편심 심초형의 복합 섬유로 함으로써, 우수한 품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저해되지 않는 한, 제 1 폴리아미드가 덮여져 있는 양태이면, 제 1 폴리아미드 및 제 2 폴리아미드와 상이한 폴리아미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폴리아미드는 결정성이면, 품질 안정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결정성 폴리아미드란 결정을 형성하고 융점을 갖는 폴리아미드이며, 소위 탄화수소기가 주쇄에 아미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폴리머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카프라미드,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폴리헥사메틸렌세바카미드, 폴리테트라메틸렌아디파미드, 1,4-시클로헥산비스와 선상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축합 중합형 폴리아미드 등, 및, 이들의 공중합체 혹은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단, 균일한 계를 재현하기 쉽고, 안정된 기능 발현의 점에서는 호모의 폴리아미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폴리아미드로서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4, 나일론 610, 나일론 11, 나일론 12 등 및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를 예시할 수 있고, 후술하는 제 2 폴리아미드와는 다른 종류의 폴리아미드이다.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받지 않는 한, 그 반복 구조에 락탐, 아미노카르복실산, 디아민 및 디카르복실산 이외의 성분을 함유시킬 수 있다. 단, 제사성이나 강도의 면에서 반복 구조에 폴리올 등을 포함하는 엘라스토머 이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제사성, 강도 및 방박리성의 관점에서, 단일의 락탐, 아미노카르복실산 혹은 1조합의 디아민 및 디카르복실산으로 하는 중합체가 반복 구조의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반복 구조의 9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성분은 열안정성의 관점에서 주로 나일론 66 또는 나일론 6, 즉 나일론 66, 나일론 6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나일론 6 또는 그 공중합체가 더욱 바람직하다. 나일론 6 또는 그 공중합체는 후술하는 제 2 폴리아미드와의 융점이 가깝고, 보다 안정되게 용융 방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폴리아미드는 예를 들면, 세바신산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디카르복실산 단위와 디아민 단위의 조합에 의해 얻어진다. 특히, 중합성이 안정되고 권축 가공사의 황화가 적고, 직편물의 신축성이 우수하고, 염색성이 양호한 점에서, 주로 나일론 610, 즉 나일론 610 또는 그 공중합체가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여기에서, 세바신산은 피마자유의 종자로부터 정제함으로써도 제조할 수 있고, 식물 유래 원료라고 위치 부여되어 바람직한 양태이다.
세바신산 단위 이외의 디카르복실산 단위를 구성하는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테레프탈산 등을 들 수 있고,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이들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디카르복실산에 대해서도, 식물 유래의 디카르복실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세바신산 단위 이외의 디카르복실산 단위의 공중합량으로서는 전디카르복실산 단위 중 0∼40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0∼20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0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디아민 단위를 구성하는 디아민으로서는 탄소수 2 이상의 디아민,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12의 디아민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푸토레신, 1,5-펜탄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트리메틸렌디아민, 노난디아민, 메틸펜탄디아민, 페닐렌디아민, 및 에탐부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디아민에 대해서도, 식물 유래의 디아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아미드의 복합 비율은 제 1 폴리아미드:제 2 폴리아미드=6:4∼4:6(질량비)인 것이 바람직한 양태이다. 질량비를 6:4∼4:6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평형 수분율을 6.3%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직편물이 우수한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안료, 열안정제, 산화 방지제, 내후제, 난연제, 가소제, 이형제, 활제, 발포제, 대전 방지제, 성형성 개량제, 및 강화제 등을 첨가 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는 온도 30℃이며 상대습도 90RH%, 처리 시간 72시간으로 했을 때의 평형 수분율이 6.3% 이하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평형 수분율이란 JIS L 1013 8.2(2010)에 준해서 측정되는 평형 수분율이다. 평형 수분율을 6.3% 이하로 함으로써, 정련 공정이나 염색 가공 공정 등의 습열 조건하에 있어서의 폴리아미드 섬유의 팽윤이 작아지고, 직편물의 신장이 작아짐과 아울러 주름이나 잔주름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직편물에 여분의 장력을 가하지 않고 정련 공정이나 염색 가공 공정 등의 공정을 통과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우수한 신축성을 갖는 직편물이 얻어진다. 평형 수분율은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다. 평형 수분율의 하한값은 특정할 수 없고 작을수록 바람직하지만, 실시상은 1.0%이다. 평형 수분율을 본 발명의 범위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평형 수분율이 본 발명의 범위가 되는 폴리아미드를 사용해서 복합 섬유로 하는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에서는 초를 구성하는 제 2 폴리아미드의 수분 함유율이 4.0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5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하한값은 특정할 수 없지만, 실시상은 1.00질량% 이상이다. 또한, 초측에 배치하는 제 2 폴리아미드의 수분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수분 함유율보다 낮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심성분의 제 1 폴리아미드보다 낮다. 이들에 의해, 폴리아미드 특유의 습열에서의 팽윤을 보다 억제할 수 있고, 염색 가공 공정을 통과한 제품에 있어서도, 더욱 양호한 신축성을 얻을 수 있다. 수분 함유율은 온도 23℃이며 상대습도 90RH%, 처리 시간 72시간으로 한 시료를 JIS L 7251(2002)A법에 준해서 측정한 것이다. 편심 심초형 복합 섬유의 심부분과 초부분을 분리해서 초성분만을 사용하거나, 또는 초성분을 특정할 수 있는 경우는 그것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해서 측정한다. 수분 함유율을 본 발명의 범위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에서 예시한 제 2 폴리아미드에 있어서, 방사 공정이나 가연 공정에서 연신, 열세트를 행하여 결정화시키는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는 심성분을 구성하는 폴리아미드와 초성분을 구성하는 폴리아미드의 점도비, 즉, 심성분이나 초성분에 상관없이 복합되는 폴리아미드 중, 가장 점도가 큰 폴리아미드의 점도를 가장 점도가 작은 폴리아미드의 점도로 나눈 값이 1.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1.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의 점도비가 되는 폴리아미드를 선택함으로써, 가열 처리후에 수축차가 발현하여 보다 강고한 권축에 의해 직편물의 신축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단면에 있어서, 초성분의 최소두께(S)과 섬유직경(D)의 비(S/D)가 0.010∼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0.100 이하로 함으로써, 폴리머의 수축차가 저해되기 어렵고, 또한 스트레치성이 우수하다. 또한, 0.010 이상으로 함으로써, 내마모성이나 감량에 의한 크랙 형성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S/D는 0.02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0.03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단면에 있어서, 복합 섬유의 무게중심(CG)과 심성분의 무게중심(CGcore)의 거리(L)와, CG와 CGcore를 연결하는 직선에 의해 절취되는 섬유 단면의 길이(M)의 비(L/M)가 0.125∼0.333인 것이 바람직하다. L/M을 0.125 이상으로 함으로써, 폴리머의 수축차에 따른 권축이 더욱 발현되므로, 보다 스트레치이 우수하다. 또한, 0.333 이하로 함으로써, 복합 섬유의 단면성형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L/M은 0.2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 S/D와 L/M의 쌍방에 있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값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평형 수분율 6.3% 이하의 편심 심초형의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를 가연 가공사로 함으로써, 팽윤의 영향이 더욱 억제되어 가연 가공사로서의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평형 수분율이 6.3%를 초과하는 경우나, 복합 섬유이어도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인 경우에서는 가연 가공해도 공정 중의 팽윤 등에 의해 신축성 등의 기대하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섬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연사는 본 발명의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포함되어 있어도 좋지만, 가연 가공사보다 품위나 감촉, 신축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주의해서 혼합한다.
본 발명의 직편물은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편심 심초형의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가연 가공사가 적어도 일부에 포함되어 있으면 좋지만, 예를 들면 직물의 경우, 직물의 신축성을 더욱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경사 및 위사 중 적어도 한 쪽이 상기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가연 가공사의 혼용률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편물의 경우도, 구성사의 일부가 상기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가연 가공사이면 좋지만, 편물의 신축성을 더욱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편물의 편면 또는 양면을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가연 가공사의 혼용률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가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혼용률은 JIS L 1030-2(2012)에 의해 구한다. 또한, 가연 가공사는 가연 가공 중에 가열 상태로 수속하는 것에 의한 단면변형을 하므로 섬유 횡단면의 관찰로부터로도 판별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가연 가공사에 있어서의 신축 신장률은 150% 이상이 바람직하고, 17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의 신축 신장률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가연 가공사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폴리아미드 섬유 사용 직편물에서는 곤란한 경사 방향의 신축성이 우수하고, 경사 방향의 신장 응력을 컨트롤할 수 있고, 또한 표면품위도 양호한 직편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직편물의 경사 방향에 있어서 특히 우수한 신축성을 얻기 위해서 가연시의 꼬임 계수(K)[(K=(꼬임수:T/m)×{(섬도:dtex)×0.9}^(1/2)]를 25000 이상 350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1000 이상 35000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가연 가공사에 있어서의 총섬도는 5dtex 이상 300dtex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dtex 이상 200dtex 이하이다. 상기의 총섬도의 범위로 함으로써 직편물의 강도가 우수하면서, 쾌적한 착용감을 얻을 수 있다.
단사 섬도는 5.0dtex 이하가 바람직하고, 2.5dtex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단사 섬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0.7dtex이다. 이러한 범위의 단사 섬도로 함으로써 유연성이 우수한 직편물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직편물에 있어서는 상기의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가연 가공사 이외의 섬유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해도 좋지만, 그 경우의 신축 신장률은 50% 이상이 바람직하고, 7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복합 섬유를 경사에 사용하고, 위사에는 단성분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가연 권축사를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신장 응력비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감촉이나 표면품위도 우수하므로, 조금 낮은 신축성이 허용되는 용도에 있어서는 바람직한 양태의 하나이다. 이 단성분의 섬유로서,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염색 견뢰도나 신축성의 관점에서, 폴리아미드 섬유나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지는 신축 얀이나, 폴리아미드 섬유,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섬유나 각종 천연 섬유 또는 반합성 섬유를 폴리우레탄 섬유에 커버링한 신축 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폴리아미드 섬유로 이루어지는 신축 얀이면 표면품위도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편물은 직편물의 경사 방향과 위사 방향에 있어서의 15% 신장시의 응력비, 즉, 경사 방향의 응력을 위사 방향의 응력으로 나눈 값이 0.25 이상 2.0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0.4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상이다. 또한, 1.5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몸의 움직임을 저해하지 않고 착용감이 우수한 의복으로 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직물의 경사 방향이나 위사 방향 중 어느 한쪽의 신축성이 높은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으로 해도 의복의 부위에 제약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쌍방의 신축성이 높은 경우이어도, 착용감이 우수한 의복으로 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폴리아미드 섬유 직편물을 사용해서 착용감이 우수한 의복으로 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직편물의 신축성이 아닌 피부의 움직임에 연동한다고 생각되는 15% 신장시의 응력이 중요해진다. 의복에 있어서의 착용감에 영향을 주는 것은 15% 신장했을 때의 응력이며, 신축성이 높아도 15% 신장시의 응력이 높은 경우에는 착용감이 좋은 의복으로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경사 방향과 위사 방향의 응력비가 중요하다. 응력비가 0.25미만이나 2.0을 초과하는 경우, 불쾌감이 생긴다. 이러한 응력비를 얻기 위해서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인 것이 효과적이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가연 가공사에 의해 신축성을 제어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그 사용량이나, 직편물의 밀도를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의 응력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염색 가공 공정 등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장력 제어에 의해, 이 공정에서 경사 위사 모두 밸런스 좋게 권축을 발현시키는 것도 유효한 수단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가연 가공사를 적어도 경사에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응력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한 양태이다.
직편물의 조직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직물의 경우, 그 조직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평조직, 능조직, 주자조직이나 이들의 변화 조직, 및 혼합 조직의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다. 직물의 질감을 견고한 조직으로 하기 위해서는 구속점이 많은 평조직, 평조직과 페블, 및 바스켓 조직을 조합한 립스톱 조직이 바람직하다. 또한, 팽창감이 있고, 더욱 신축성이 우수한 직물로 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구속점이 있는 능조직이 바람직하다. 또한, 편물의 경우, 그 조직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서 환편지의 천축 조직, 인터락 조직, 경편지의 하프 조직, 사틴 조직, 자카드 조직이나 이들의 변화 조직, 및 혼합 조직의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지만, 편지가 얇아서 안정성이 있고, 또한 신축성도 우수한 점에서 싱글트리콧 편지의 하프 조직지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직편물의 밀도를 제어하는 것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응력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한 양태이다. 직물의 경우, 경사와 위사의 커버 팩터(CF){CF=밀도(개/2.54cm)×(섬도(dtex)×0.9)^(1/2)}의 비(경사 CF/위사 CF)가 0.8∼2.0이며, 1.0∼1.7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편물의 경우는 경사 위사의 밀도비(웰/코스)가 0.7∼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직물에 있어서, 상기의 커버 팩터의 제어에 추가해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복합 섬유를 경사, 위사 모두 사용함으로써, 직물의 경사 방향, 위사 방향 모두 20%를 초과하는 신장률이 용이하게 얻어지는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직편물의 신장률은 경사 방향, 위사 방향 모두 20%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3%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90% 이하가 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신장률은 실시예 기재의 방법으로 얻어진 값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직편물은 수지층을 가짐으로써, 방풍 성능이나 내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한 양태이다. 일반적으로 수지층을 가지면 착용감은 저하되는 경향이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직편물에 의해 착용감이 우수한 의복으로 할 수 있으므로, 기능성 부여를 위해서 수지층을 형성한 직편물은 바람직한 양태의 하나이다. 수지층이란 수지가 직편물의 한쪽의 면 또는 양면에 수지가 층상으로 형성된 것이며, 연속한 형상이면, 부분적으로 구멍이 존재해도 상관없다. 또한, 복수의 층구조이어도 상관없다. 수지로서는 폴리우레탄이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등, 부여하는 기능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하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능이나 감촉 등의 관점에서, 수지에 적당히 각종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폴리아미드와의 친화성이라고 하는 점에서는 수지로서 폴리우레탄이 바람직한 양태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직편물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용융 방사에 대해서, 처음에 고속 직접 방사에 의한 제조 방법을 예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평형 수분율이나 점도비의 범위로 하기 위해서, 단성분의 폴리아미드 섬유의 평형 수분율이나 점도를 참고로 해서, 심성분의 제 1 폴리아미드와 초성분의 제 2 폴리아미드를 적당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한 제 1 폴리아미드와 제 2 폴리아미드를 각각 용융하고, 기어 펌프를 사용해서 계량해서 수송하고, 그대로 통상의 방법으로 심초구조를 취하도록 복합류를 형성해서 편심 심초형 복합 섬유용 방사구금으로부터 토출한다. 그 때, 소망의 복합 섬유 단면을 얻기 위해서, 방사구금에 의해 각각의 폴리머 유로, 토출 단면을 제어한다. 토출된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 사조를 침니 등의 사조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풍을 분사함으로써 30℃까지 냉각하고, 급유 장치로 급유함과 아울러 수속한다. 이어서, 인취 롤러에 의해 1500∼4000m/분으로 인취하고, 인취 롤러와 연신 롤러를 통과시킨다. 그 때, 인취 롤러와 연신 롤러의 둘레속도의 비에 따라서 1.0∼3.0배로 연신한다. 또한, 사조를 연신 롤러에 의해 열세트하고, 3000m/분 이상의 권취 속도로 패키지에 권취한다. 또한 별도로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용융 방사의 고속 직접 방사에 의한 제조 방법에 대해서, 다음에 예시 설명한다. 제 1 폴리아미드와 제 2 폴리아미드를 각각 용융하고, 기어 펌프를 사용해서 계량해서 수송하고, 그대로 통상의 방법으로 심초구조를 취하도록 복합류를 형성하고, 편심 심초형 복합 섬유용 방사구금을 사용하여 방사구금으로부터 토출한다. 토출된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 사조는 침니 등의 사조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풍을 분사함으로써 사조를 30℃까지 냉각하고, 급유 장치로 급유함과 아울러 수속하고, 인취 롤러에 의해 3000∼4500m/분으로 인취하고, 인취 롤러와 연신 롤러를 통과하고, 그 때 인취 롤러와 연신 롤러의 둘레속도의 비에 따라서 1.0∼1.2배로 미연신한다. 또한, 3000m/분 이상의 권취 속도로 패키지에 권취된다.
방사온도는 점도가 높은 폴리아미드의 융점을 기준으로, 특별히 적절하게 설정한다. 방사온도가 높아지면 결정부가 증대하여 평형 수분율이 저하되고, 방사온도가 낮아지면 가동 비결정량이 증대하여 강직 비결정량이 약간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방사온도는 폴리아미드의 융점보다 높은 35∼70℃인 것이 바람직하고, 45∼6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방사온도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평형 수분율이나, 이것에 영향을 주는 강직 비결정량을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소망의 열수축 응력이나 신축 신장률이 얻어진다.
일반적으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단면의 경우, 유동 속도차에 의해 실구부러짐이 발생하기 쉬워 조업성은 악화되지만, 편심 심초형 복합 단면으로 함으로써 제사성이 양호해지고, 단사 세섬도품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드래프트 연신(인취 속도)을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도,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평형 수분율을 제어할 수 있다. 인취 속도가 빠르면 결정성이 높아지고 평형 수분율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고, 인취 속도가 느리면 결정성이 낮아지고 평형 수분율이 커지기 쉽다. 또한, 강직 비결정량이 증가하고, 열수축 응력과 신축 신장률이 향상된다. 인취 속도는 1500∼4000m/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사를 얻는 경우, 인취 롤러를 가열 롤러로서 열연신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도,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평형 수분율을 작게 할 수 있을 경우가 있다. 또한, 강직 비결정량이 증가하고, 열수축 응력이 향상된다. 연신 배율은 1.5∼3.0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0배이다. 열연신 온도는 30∼9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60℃이다. 또한, 연신 롤러를 가열 롤러로서 열세트를 실시함으로써,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열수축 응력을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다. 열세트 온도는 130∼1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권취까지의 공정에서 공지의 교락 장치를 사용하여 교락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요하면, 복수회 교락을 부여함으로써 교락수를 올리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권취 직전에 추가로 유제를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연 가공사의 제조 방법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시하면, 섬도나 꼬임수에 따라서 핀 타입, 프릭션 타입 및 벨트 타입 등을 사용해서 가연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편물은 공지의 방법에 따라 제직 및 제편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직편물에 있어서, 응력비를 본 발명의 범위로 하기 위해서, 염색 가공 공정에서 조정,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이나 열수, 증기를 다용하는 염색 가공 공정에 있어서, 특히 가공 장력을 컨트롤한다. 경사 방향 또는 위사 방향의 가공 장력이 높은 경우, 높은 장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직편구조 내의 섬유의 권축발현이 억제되고, 15% 신장시의 응력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직편물의 염색 가공 공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폴리아미드 섬유는 수분 등으로 팽윤되어서 주름 등의 품위 저하나 공정 통과성 악화가 있으므로, 비교적 높은 장력을 가해서 가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편심 심초형의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가연 가공사를 사용한 직편물인 점에서 주름 등의 품위 저하나 공정 통과성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공 장력을 컨트롤함으로써,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응력비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제어된 염색 가공 방법을 행함으로써, 염색 가공후에 충분한 권축을 발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높은 신축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지층은 라미네이트 가공이나 코팅 가공에 의해 형성시킬 수 있다. 라미네이트 가공이나 코팅 가공시에, 직편물의 신축성이 저하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사용하는 라미네이트제나 코팅제의 선정이나, 가공 장력의 억제, 코팅을 부분 코팅으로 하는 방법 등을 적당히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직편물은 그 신축성을 이용해서 의복이나 침장구, 가방, 시트, 장갑, 플로어 매트, 표피재 등,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신축성이 우수하고, 또한 경사 위사의 신장 특성 밸런스가 우수하므로, 본 발명의 직편물을 적어도 일부에 포함하는 의복으로 함으로써, 몸의 움직임을 저해하지 않는 착용감이 우수한 의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복은 상기한 본 발명의 직편물을 적어도 일부에 포함한다. 의복의 용도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운재킷, 바람막이, 골프웨어, 우비, 요가복 등으로 대표되는 스포츠, 캐주얼웨어나 부인 신사 의료이다. 특히, 스포츠 웨어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어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직편물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점도 및 점도비
폴리아미드의 칩 시료 0.25g을 농도 98질량%의 황산 25ml에 대하여 1g/100ml가 되도록 용해하고, 오스왈드형 점도계를 사용해서 25℃의 온도에서의 유하 시간(T1)을 측정했다. 계속해서, 농도 98질량%의 황산만의 유하 시간(T2)을 측정했다. T2에 대한 T1의 비, 즉 T1/T2인 황산 상대 점도를 구하고, 본 발명의 점도로 했다. 또한, 복합되는 폴리아미드의 점도 중 가장 큰 값을 가장 작은 값으로 나눈 값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도비로 했다. 점도 및 점도비는 모두 소수점 이하 제 3 자리를 사사오입해서 제 2 자리까지 구했다.
B. 평형 수분율
JIS L 1013 8.2(2010년도판)에 준해서 절건상태와 온도 30℃, 상대습도 90% RH에서 72시간 처리에 의한 질량으로부터 평형 수분율을 측정했다.
C. 수분 함유율
수분 함유율은 온도 23℃이며 상대습도 90RH%, 처리 시간 72시간으로 한 시료를 JIS L 7251 A법(2002)에 준해서 측정했다.
D. 초성분의 최소두께(S)와 섬유직경(D) 및 그 비(S/D)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멀티필라멘트를 섬유축 방향으로 1cm 간격으로 10개소 연속해서 에폭시 수지 등의 포매제로 포매한 것을 시료로 하고, 투과형 전자현미경(TEM)으로 10개 이상의 섬유를 관찰할 수 있는 배율로 해서 각 시료의 화상을 촬영했다. 이 때, 금속염색을 실시해서 심성분과 초성분의 접합부의 콘트라스트를 명확히 했다. 화상 해석 소프트로서, 미타니 쇼지 가부시키가이샤제 "WinROOF2015"를 사용하고, 관찰 화상중 모든 단사로부터 섬유직경(D)과, 초성분의 최소두께(S)를 측정했다. 또한, 섬유 단면이 진원이 아닌 경우는 최소두께(S)와 동 방향의 섬유지름을 D로 했다. 10개소의 시료에 있어서, 각 화상에서 관찰할 수 있는 모든 섬유에 있어서의 최소두께(S)와 섬유직경(D)의 평균값을 구하고, 각 시료의 평균 섬유직경(D) 및 평균 최소두께(S)의 세트를 10점 맞추고, 그것을 또한 평균하여 본 발명의 섬유직경(D), 최소두께(S)로 했다. 또한, 섬유직경(D) 및 최소두께(S)는 ㎛ 단위로 소수 제 4 자리까지 측정하고, 평균화시에 제 4 자리를 사사오입해서 제 3 자리까지 구했다. 또한, 이렇게 하여 얻은 최소두께(S)와 섬유직경(D)의 비(S/D)는 소수점 이하 제 4 자리를 사사오입해서 제 3 자리에 반올림했다.
E. 복합 섬유의 무게중심(CG)과 심성분의 무게중심(CGcore)의 거리(L)와, CG와 CGcore를 연결하는 직선에 의해 절취되는 섬유 단면의 길이(M), 및 그 비(L/M)
상기 D항에서 촬영한 10개소의 화상에 있어서, 화상 해석 소프트로서, 미타니 쇼지 가부시키가이샤제 "WinROOF2015"를 사용하고, 관찰 화상중 모든 복합 섬유의 무게중심(CG)과 심성분의 무게중심(CGcore)의 거리(L)를 측정했다. 계속해서, L을 연장한 직선에 의해 절취되는 섬유 단면의 길이(M)를 측정했다. 이렇게 해서 10개소의 시료에 있어서, 각 화상에서 관찰할 수 있는 모든 섬유에 있어서의 거리(L)와 길이(M)의 평균값을 구하고, 각 시료의 평균 무게중심간 거리(L), 섬유 단면의 길이(M)의 세트를 10점 맞추고, 그것을 또한 평균하여 본 발명의 무게중심간 거리(L), 섬유 단면의 길이(M)로 했다. 거리(L) 및 길이(M)는 ㎛ 단위로 소수 제 4 자리까지 측정하고, 평균화시에 제 4 자리를 사사오입해서 제 3 자리까지 구했다. 또한, 그 비(L/M)는 소수점 이하 제 4 자리를 사사오입해서 제 3 자리에 반올림했다.
F. 총섬도
JIS L 1013 8.3 A법(2010)에 준했다. 섬유시료를 1/30(g)×상정 섬도(dtex)의 장력으로 JIS 규정에 준한 실길이의 롤을 작성해서 섬유 사조의 총섬도를 산출했다. 측정은 5회 행하고, 평균값을 총섬도로 했다.
G. 신축 신장률
JIS L 1013 8.11 C법(2010)에 준했다. 섬유시료를 타래로 하고, 90℃의 온도의 비등수에 20분간 담근 후, 풍건하고, 0.176mN/tex의 하중을 30초 가해서 길이 A를 구하고, 이어서 8.82mN/tex의 하중을 30초 가해서 길이 B를 구하고, 다음 식으로 산출했다.
·신축 신장률 (%)=〔(B-A)/A〕×100.
H. 직편물의 신장률
JIS L 1096 8.16.1 A법(2010)에 준했다.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시료로부터, 경사 방향 및 위사 방향으로 각각 폭 50mm×300mm의 시험편을 제작하고, 파지 간격 200mm로 측정 방향에 대하여 인장속도 200mm/분, 14.7N까지 신장했을 때의 신장률을 측정했다.
I. 신장시 응력(15%) 및 15% 신장시의 응력비
소형 2축 인장 시험기(카토테크(주)제, "Pf-002")를 사용하고, 온도 20℃, 상대습도 65% RH의 환경하에서, 경사 50mm×위사 50mm의 시험편에 시험편의 폭으로 1m의 길이에 가하는 중력에 해당되는 하중(N)(정수 자리까지의 값)의 초하중 하, 경사 방향과 위사 방향으로 3mm/sec의 속도로 동시에 신장시켜서, 15% 신장시의 응력을 직편물의 경사 방향, 위사 방향 모두 측정했다. 경사 방향의 응력을 위사 방향의 응력으로 나누고, 경사 방향과 위사 방향에 있어서의 15% 신장시의 응력비를 얻었다. 측정은 다른 시험편으로 5회 행하고, 그 평균값을 소수점 이하 2자리에 반올림한 것을 신장시 응력(15% (N/cm) 및 15% 신장시의 응력비로 했다.
J. 감촉
숙련 기술자(5명)의 촉감에 의해 직물의 감촉에 대해서, 이하의 5단계로 평가하고, 각 기술자의 평가점의 평균값의 소수점 1자리를 사사오입했다. 3점 이상을 감촉 양호로 했다.
·5점: 매우 우수하다
·4점: 우수하다
·3점: 약간 우수하다
·2점: 약간 떨어진다
·1점: 떨어진다.
K. 표면품위
숙련 기술자(5명)의 육안에 의해 직물의 표면품위에 대해서, 이하의 5단계로 평가하고, 각 기술자의 평가점의 평균값의 소수점 1자리를 사사오입했다. 3점 이상을 표면품위 양호로 했다.
·5점: 매우 우수하다
·4점: 우수하다
·3점: 약간 우수하다
·2점: 약간 떨어진다
·1점: 떨어진다.
L. 착용 쾌적성
실시예에 의해 얻어진 직편물을 사용해서 긴 소매 및 긴 바지의 의복을 제작하고, 숙련 기술자(5명)의 착용 평가에 의해 착용 쾌적성에 대해서, 이하의 5단계로 평가하고, 각 기술자의 평가점의 평균값의 소수점 1자리를 사사오입했다. 3점 이상을 착용 쾌적성 양호로 했다.
·5점: 매우 우수하다
·4점: 우수하다
·3점: 약간 우수하다
·2점: 약간 떨어진다
·1점: 떨어진다.
실시예, 비교예에서 사용하는 섬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조예 1]
결정성 폴리아미드(A)로서 나일론 6(점도 2.63)과, 결정성 폴리아미드(B)로서 나일론 610(점도 2.71)을 각각 용융하고, 편심 심초형 복합 섬유용 방사구금(12구멍, 환공)을 사용하고, 결정성 폴리아미드(A)를 초에 배치하고, 결정성 폴리아미드(A)와 결정성 폴리아미드(B)의 복합 비율(질량비)을 5:5로 용융 토출했다(방사온도 270℃). 구금으로부터 토출된 사조는 사조 냉각 장치로 사조를 냉각 고화하고, 급유 장치에 의해 함수유제를 급유후, 유체 교락 노즐 장치로 교락을 부여한 후, 인취 롤러(실온 25℃)로 3700m/분으로 인취하고, 연신 롤러(실온 25℃) 사이에서 1.1배로 연신을 행한 후에, 권취 속도 4000m/분으로 패키지에 권취했다. 또한 얻어진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를 히터 온도 170℃, 가연시의 꼬임 계수(K)=33000으로 핀 가연기를 사용해서 가연 가공을 실시하고, 총섬도 78dtex, 필라멘트수 12개의 가연 가공사를 얻었다. 얻어진 가연 가공사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제조예 2]
결정성 폴리아미드(B)를 나일론 510으로 한 이외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연 가공사를 얻었다. 얻어진 가연 가공사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제조예 3]
편심 심초사 단면의 초를 나일론 610(점도 2.71), 심을 나일론 6(점도 2.63)으로 한 이외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연 가공사를 얻었다. 얻어진 가연 가공사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제조예 4, 5]
결정성 폴리아미드(A)를 제조예 4에서는 나일론 6(점도 3.32), 제조예 5에서는 나일론 6/66 공중합체(점도 3.65)로 한 이외는 제조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연 가공사를 얻었다. 얻어진 가연 가공사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제조예 6, 7]
편심 심초형 복합 섬유용 방사구금을 바꿔서 S/L과 L/M을 변경한 이외는 제조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편심 심초 단면의 형태를 조정한 가연 가공사를 얻었다. 얻어진 가연 가공사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제조예 8]
방사구금을 (24구멍, 환공)으로 하고 용융 토출량을 조정한 이외는 제조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총섬도 56dtex, 필라멘트수 24개의 가연 가공사를 얻었다. 얻어진 가연 가공사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제조예 9]
결정성 폴리아미드(B)를 나일론 6(점도 2.63)으로 한 이외는 제조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가연 가공사를 얻었다. 얻어진 가연 가공사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제조예 10]
나일론 6(점도 2.63)을 용융하고, 방사구금(24구멍, 환공)을 사용해서 용융 토출했다(방사온도 270℃). 구금으로부터 토출된 사조는 사조 냉각 장치로 사조를 냉각 고화하고, 급유 장치에 의해 함수유제를 급유후, 유체 교락 노즐 장치로 교락을 부여한 후, 인취 롤러(실온 25℃)로 3700m/분으로 인취하고, 연신 롤러(실온 25℃) 사이에서 1.1배로 연신을 행한 후에, 권취 속도 4000m/분으로 패키지에 권취했다. 또한 얻어진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를 히터 온도 190℃, 가연시의 꼬임 계수(K)=32000으로 핀 가연기를 사용해서 가연 가공을 실시하고, 총섬도 56dtex, 필라멘트수 24개의 가연 가공사를 얻었다. 얻어진 가연 가공사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제조예 11]
가연시의 꼬임 계수(K)=23000으로 한 이외는 제조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연 가공사를 얻었다. 얻어진 가연 가공사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제조예 12]
구금을 변경해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섬유로 한 이외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연 가공사를 얻었다. 얻어진 가연 가공사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제조예 13]
결정성 폴리아미드(A)로서 나일론 6(점도 3.32)과, 결정성 폴리아미드(B)로서 나일론 610(점도 2.71)을 각각 용융하고, 편심 심초형 복합 섬유용 방사구금(12구멍, 환공)을 사용하고, 결정성 폴리아미드(B)를 초에 배치하고, 결정성 폴리아미드(A)와 결정성 폴리아미드(B)의 복합 비율(질량비)을 5:5로 용융 토출했다(방사온도 270℃). 구금으로부터 토출된 사조는 사조 냉각 장치로 사조를 냉각 고화하고, 급유 장치에 의해 함수유제를 급유후, 유체 교락 노즐 장치로 교락을 부여한 후, 인취 롤러(실온 25℃)로 3700m/분으로 인취하고, 연신 롤러(실온 25℃) 사이에서 1.2배로 연신을 행한 후에, 권취 속도 4500m/분으로 패키지에 권취했다. 또한 얻어진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에 꼬임 계수(K)=4000으로 연사를 실시하고, 총섬도 78dtex, 필라멘트수 12개의 연사를 얻었다. 얻어진 연사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
경사, 위사 모두 제조예 1의 실을 사용해서 평조직의 직물을 제작하고, 액류 정련, 액류 염색에 의해 정련과 염색 가공을 행하고, 염색 전후의 생지 건열 세트는 적당히 조정하고, 마무리 밀도가 경사 125개/2.54cm, 위사 92개/2.54cm인 경사 위사의 신장 밸런스가 우수하고, 착용 쾌적성이 우수한 제품을 얻었다. 얻어진 제품의 특징을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
경사 위사 모두 제조예 2의 실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무리 밀도가 경사 123개/2.54cm, 위사 90개/2.54cm인 경사 위사의 신장 밸런스가 우수하고, 착용 쾌적성이 우수한 제품을 얻었다. 얻어진 제품의 특징을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3]
경사 위사 모두 제조예 3의 실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무리 밀도가 경사 130개/2.54cm, 위사 95개/2.54cm인 경사 위사의 신장 밸런스가 우수하고, 더욱 표면품위도 우수한 제품을 얻었다. 얻어진 제품의 특징을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4]
경사 위사 모두 제조예 4의 실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무리 밀도가 경사 135개/2.54cm, 위사 98개/2.54cm인 제품을 얻었다. 얻어진 제품은 견고한 질감이며 경사 위사의 신장 밸런스와 표면품위가 우수하고, 또한 신장률도 우수한 것이었다. 얻어진 제품의 특징을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5, 6]
생기의 밀도를 적당히 조정한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5에서는 마무리 밀도가 경사 148개/2.54cm, 위사 68개/2.54cm의 제품, 실시예 6에서는 마무리 밀도가 경사 102개/2.54cm, 위사 122개/2.54cm인 경사 위사의 신장 밸런스가 우수한 제품을 얻었다. 얻어진 제품의 특징을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위사를 제조예 10의 실로 한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마무리 밀도가 경사 120개/2.54cm, 위사 115개/2.54cm인 경사 위사의 신장 밸런스가 우수한 제품을 얻었다. 얻어진 제품의 특징을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직조직을 2/1 트윌로 하고, 생기 밀도를 조정한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경사 166개/2.54cm, 위사 117개/2.54cm인 제품을 얻었다. 얻어진 제품은 부드러운 질감이며 경사 위사의 신장 밸런스가 우수한 것이었다. 얻어진 제품의 특징을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9]
경사 위사 모두 제조예 5의 실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마무리 밀도가 경사 138개/2.54cm, 위사 101개/2.54cm인 제품을 얻었다. 얻어진 제품은 견고한 질감이며 경사 위사의 신장 밸런스와 표면품위가 우수하고, 또한 신장률도 우수한 것이었다. 얻어진 제품의 특징을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11]
경사 위사 모두 실시예 10에서는 제조예 6의 실, 실시예 11에서는 제조예 7의 실로 한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마무리 밀도가 실시예 10에서는 경사 130개/2.54cm, 위사 98개/2.54cm, 실시예 11에서는 경사 120개/2.54cm, 위사 88개/2.54cm인 제품을 얻었다. 얻어진 제품은 경사 위사의 신장 밸런스가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2]
경사 위사 모두 제조예 8의 실을 사용하고, 생기 밀도를 적당히 조정한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마무리 밀도가 경사 149개/2.54cm, 위사 119개/2.54cm인 제품을 얻었다. 얻어진 제품은 경사 위사의 신장 밸런스에 추가해서, 특히 감촉이 우수한 것이었다. 얻어진 제품의 특징을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무공질 투습성 폴리우레탄막에 그라비아롤을 사용해서 우레탄계 2액 반응형 접착제를 직경 1mm로 도트상으로 도포했다. 또 별도 실시예 4에서 얻어진 제품에 대하여 발수 가공을 실시하고, 상기 폴리우레탄막의 접착제 도포면과 직물 이면이 접합되도록 적층해서 라미네이트 가공을 실시했다. 얻어진 제품은 경사 위사의 신장 밸런스에 추가해서, 특히 발수성, 방수성도 우수한 것이었다. 얻어진 제품의 특징을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경사 위사 모두 제조예 9의 실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련, 염색을 행한 결과 강한 주름이 발생해서 표면품위가 저하했기 때문에, 장력을 가해서 마무리 세트를 행하고, 마무리 밀도가 경사 128개/2.54cm, 위사 81개/2.54cm인 제품을 얻었다. 얻어진 제품은 경사 위사의 신장 밸런스가 떨어지는 것이었다. 얻어진 제품의 특징을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위사를 제조예 11의 실로 한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무리 밀도가 경사 113개/2.54cm, 위사 115개/2.54cm인 제품을 얻었다. 얻어진 제품은 위사 방향의 신장 특성이 낮고, 경사 위사의 신장 밸런스가 떨어지는 것이었다. 얻어진 제품의 특징을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3]
경사 위사 모두 제조예 12의 실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무리 밀도가 경사 122개/2.54cm, 위사 90개/2.54cm인 제품을 얻었다. 얻어진 제품은 표면품위가 불충분했다. 얻어진 제품의 특징을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4]
경사 위사 모두 제조예 13의 실로 하고, 생기 밀도를 적당히 조정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무리 밀도가 경사 177개/2.54cm, 위사 88개/2.54cm인 제품을 얻었다. 얻어진 제품은 경사 방향의 신장 특성이 낮고, 경사 위사의 신장 밸런스가 떨어지는 것이었다. 얻어진 제품의 특징을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5, 6]
생기 밀도를 적당히 조정한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5에서는 마무리 밀도가 경사 173개/2.54cm, 위사 68개/2.54cm, 비교예 6에서는 마무리 밀도가 경사 95개/2.54cm, 위사 127개/2.54cm인 제품을 얻었다. 얻어진 제품은, 비교예 5는 위사 방향의 신장 특성이 낮고, 비교예 6에서는 경사 방향의 신장 특성이 낮은 것이며, 모두 경사 위사의 신장 밸런스가 떨어지는 것이었다. 얻어진 제품의 특징을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생기를 사용하고, 경사 방향으로 장력이 가해지는 오픈 소퍼로 정련한 후, 액류 염색으로 염색을 행했다. 마무리 세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고, 마무리 밀도가 경사 122개/2.54cm, 위사 81개/2.54cm인 제품을 얻었다. 얻어진 제품은 경사 방향의 신장 특성이 낮고, 경사 위사의 신장 밸런스가 떨어지는 것이었다. 얻어진 제품의 특징을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4]
프론트면, 백면 모두 제조예 4의 실을 사용하고, 하프 트리콧의 편지를 제작했다. 얻어진 편지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60웰/2.54cm, 76코스/2.54cm인 경사 위사의 신장 밸런스가 우수한 제품을 얻었다. 얻어진 제품의 특징을 표 4에 나타낸다.
[비교예 8]
생기 밀도를 적당히 조정한 이외는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53웰/2.54cm, 92코스/2.54cm인 제품을 얻었다. 얻어진 제품은 경사 위사의 신장 밸런스가 떨어지는 것이었다. 얻어진 제품의 특징을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1:복합 섬유의 무게중심(CG)
2:심성분의 무게중심(CGcore)
D:섬유직경
S:초성분의 최소두께
L:복합 섬유의 무게중심(CG)과 심성분의 무게중심(CGcore)의 거리
M:CG와 CGcore를 연결하는 직선에 의해 절취되는 섬유 단면의 길이

Claims (7)

  1. 평형 수분율 6.3% 이하의 편심 심초형의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가연 가공사를 적어도 일부에 포함하고, 경사 방향과 위사 방향에 있어서의 15% 신장시의 응력비가 0.25 이상 2.0 이하인 직편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에 있어서, 초성분을 구성하는 폴리아미드의 수분 함유율이 4.00질량% 이하인 직편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에 있어서, 심성분을 구성하는 폴리아미드와 초성분을 구성하는 폴리아미드의 점도비가 1.20 이상 1.40 이하인 직편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의 단면에 있어서, 초성분의 최소두께(S)와 섬유직경(D)의 비(S/D)가 0.010∼0.100이며, 복합 섬유의 무게중심(CG)과 심성분의 무게중심(CGcore)의 거리(L)와, 상기 CG와 상기 CGcore를 연결하는 직선에 의해 절취되는 섬유 단면의 길이(M)의 비(L/M)가 0.125∼0.333인 직편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복합 섬유에 있어서, 상기 초성분을 구성하는 폴리아미드가 주로 나일론 610이며, 상기 심성분을 구성하는 폴리아미드가 주로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인 직편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편물이 수지층을 포함하는 직편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편물을 적어도 일부에 포함하는 의복.
KR1020227043656A 2020-07-20 2021-05-26 직편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의복 KR202300360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23451 2020-07-20
JPJP-P-2020-123451 2020-07-20
PCT/JP2021/019944 WO2022018960A1 (ja) 2020-07-20 2021-05-26 織編物およびそれを含む衣服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066A true KR20230036066A (ko) 2023-03-14

Family

ID=7972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3656A KR20230036066A (ko) 2020-07-20 2021-05-26 직편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의복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287604A1 (ko)
EP (1) EP4183909A1 (ko)
JP (1) JPWO2022018960A1 (ko)
KR (1) KR20230036066A (ko)
CN (1) CN115803487A (ko)
CA (1) CA3188295A1 (ko)
TW (1) TW202214925A (ko)
WO (1) WO20220189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89299B (zh) * 2022-06-28 2023-04-18 宝艺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高强防潮复合包装纸板的制备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5449A (ja) 2001-03-27 2002-10-03 Unitica Fibers Ltd 伸縮性ポリアミド織物
WO2015129735A1 (ja) 2014-02-26 2015-09-03 東レ株式会社 ポリアミド捲縮加工糸およびそれを用いた織編物
WO2017221713A1 (ja) 2016-06-22 2017-12-28 東レ株式会社 高熱収縮性ポリアミド複合繊維および加工糸およびそれらを一部に用いた織編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9030A (ja) * 1999-11-29 2001-06-12 Toray Ind Inc 複合ポリアミド繊維
JP3897150B2 (ja) * 2001-10-25 2007-03-22 東洋紡績株式会社 伸縮バランスに優れた経編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721037B (zh) * 2015-11-20 2021-03-11 美商纖維創新科技公司 多成分纖維、織物、紗及其形成方法
JP6699403B2 (ja) * 2016-06-30 2020-05-27 東レ株式会社 仮撚り用複合ポリアミド繊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5449A (ja) 2001-03-27 2002-10-03 Unitica Fibers Ltd 伸縮性ポリアミド織物
WO2015129735A1 (ja) 2014-02-26 2015-09-03 東レ株式会社 ポリアミド捲縮加工糸およびそれを用いた織編物
WO2017221713A1 (ja) 2016-06-22 2017-12-28 東レ株式会社 高熱収縮性ポリアミド複合繊維および加工糸およびそれらを一部に用いた織編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018960A1 (ko) 2022-01-27
TW202214925A (zh) 2022-04-16
US20230287604A1 (en) 2023-09-14
CN115803487A (zh) 2023-03-14
EP4183909A1 (en) 2023-05-24
WO2022018960A1 (ja) 2022-01-27
CA3188295A1 (en) 202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88365B (zh) 偏心芯鞘复合纤维及混纤丝
JP3797486B2 (ja) 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645084B (zh) 極細高強度聚醯胺多絲纖維及使用其之包覆紗、長襪、織物
US10323341B2 (en) Highly air-permeable woven fabric resistant to washing
KR20160124094A (ko) 폴리아미드 권축가공사 및 그것을 사용한 직편물
JP7135469B2 (ja) 偏心芯鞘複合繊維を用いた織編物
CN108291335B (zh) 织物
JP2006214056A (ja) 織物
KR20230036066A (ko) 직편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의복
JP3835616B2 (ja) ポリアミドマルチフィラメント織物及びその製造法
JP5315961B2 (ja) ストレッチ織物
JP4414854B2 (ja) 吸湿時に通気性が向上する撥水性織編物および繊維製品
JP2004218162A (ja) 芯地用複合糸及び芯地用布帛
WO2023182145A1 (ja) 複合仮撚加工糸、織編物及び衣服
US20240060217A1 (en) Composite fiber, composite mixed-filament fiber including same, woven/knitted fabric, and garment
WO2024018818A1 (ja) 複合繊維、構造糸、織編物及び衣類
EP4006216A1 (en) Polyamide composite fiber and finished yarn
JP4558970B2 (ja) 伸縮性ポリアミド織物
WO2024070727A1 (ja) 織編物
JP2005048309A (ja) ポリアミド繊維、ポリアミド織物およびそれよりなる繊維製品
WO2023100570A1 (ja) 偏心芯鞘複合仮撚糸及びそれを用いた織編物
JP5033725B2 (ja) ナイロン11捲縮加工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83193A (ja) 織物
TW202417702A (zh) 複合纖維、構造紗、織編物及衣物
KR20240034772A (ko) 복합 섬유속 및 섬유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