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7312A -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 그 제조방법 및 그 품질관리방법 - Google Patents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 그 제조방법 및 그 품질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7312A
KR20160117312A KR1020160037814A KR20160037814A KR20160117312A KR 20160117312 A KR20160117312 A KR 20160117312A KR 1020160037814 A KR1020160037814 A KR 1020160037814A KR 20160037814 A KR20160037814 A KR 20160037814A KR 20160117312 A KR20160117312 A KR 20160117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omite
surface area
specific surface
based material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9185B1 (ko
Inventor
유키 이타야
겐지 구니니시
신타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오사카 세멘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오사카 세멘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오사카 세멘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7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B01J20/043Carbonates or bicarbonates, e.g. limestone, dolomite, aragon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2Naturally occurring clays or bleaching eart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03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magnesium oxide, calcium oxide or oxide mixtures derived from dolom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2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B01J20/04
    • B01J20/0225Compounds of Fe, Ru, Os, Co, Rh, Ir, Ni, Pd, Pt
    • B01J20/0229Compounds of 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78Thermal treatment, e.g. calcining or pyrol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8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Lime, magnesia or dolomite
    • C04B2/10Preheating, burning calcining or 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가 되는 돌로마이트 광석의 산지나 소성 조건 등에 좌우되지 않고, 높은 비표면적을 갖는 반소성 돌로마이트인,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 그 제조방법 및 그 품질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는, 분말 X선 회절에 의한 리트벨트법을 이용하여 해석한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의 잔류 CaMg(CO3)2상의 함량이, 0.4≤x≤35.4(질량%)인 반소성 돌로마이트로서,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의 잔류 CaMg(CO3)2상의 함량을, 0.4≤x≤35.4(질량%)로 유지함으로써 고비표면적을 갖는 품질을 유지하게 된다.

Description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 그 제조방법 및 그 품질관리방법{DOLOMITE BASED MATERIAL HAVING HIGH SPECIFIC SURFACE AREA,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AND METHOD FOR MANAGING QUALITY THEREOF}
본 발명은,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 그 제조방법 및 그 품질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표면적이 높기 때문에 중금속 등의 흡착성능을 최대로 발휘하는 성능을 구비하는,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 그 제조방법 및 그 품질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수처리 및 토양 중에 있어서의 중금속 등 불용화재로서 사용되는 약제로서 황산 나트륨, 염화 제2철, 황산 제1철, 산화 마그네슘, 타이타늄염, 세륨염, 킬레이트제, 하이드로탈사이트, 슈베르트마나이트 등이 알려져 있지만, 이들 약제는, 불용화 효과가 낮거나, 복합오염에 대응하는 것이 곤란하거나, 비용이 비싸거나, 안정적인 확보가 어렵다는 등의 문제를 갖고 있었다.
이들 문제를 감안하여, 불용화재로서 반소성 돌로마이트, 하소 돌로마이트나, 부분 분해 돌로마이트 등으로 칭해지고 있는 돌로마이트계 흡착재가 제안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이하의 돌로마이트재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2-157834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돌로마이트를 소성하여 얻어진, 유리(遊離)산화 칼슘의 함유량이 1.2중량% 이하이고, 유리산화 마그네슘의 함유량이 8중량% 이상인 반소성 돌로마이트와, 수가용성의 철화합물의 배합물로 이루어지는 배수 중의 불소 및/또는 중금속 이온의 제거제가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1-240325호 공보(특허문헌 2)에는, 돌로마이트를 소성하여 얻어진, 유리산화 칼슘의 함유량이 1.2중량% 이하이고, 유리산화 마그네슘의 함유량이 8중량% 이상인 반소성 돌로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배수 중의 중금속 이온 및(또는) 인산 이온의 제거제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0-214254호 공보(특허문헌 3)에는, 돌로마이트를 반소성하여 얻어지는 반소성 돌로마이트를 포함하는 중금속 용출 억제재로서, 상기 반소성이, 돌로마이트 중의 탄산 마그네슘을 탈탄산하고, 또한, 돌로마이트 중의 탄산 칼슘을 탈탄산하지 않는 탄산 가스 분압이 특정인 소성 조건하에서 행해져, 상기 반소성 돌로마이트가, 산화 마그네슘 및 탄산 칼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용출 억제재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8-80223호 공보(특허문헌 4)에는, 600℃ 내지 880℃에서 돌로마이트를 가열 처리하고, 그 미분해 이산화 탄소 성분이 1.5중량% 내지 47중량%인 불화물 이온 포착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 돌로마이트재는, 소성 후의 돌로마이트에 관한 규정이 미분해 이산화 탄소 성분량이나 유리산화 칼슘, 마그네슘 등의 간접적인 지표로 되어 있으며, 출발원료가 되는 돌로마이트 광석 중 돌로마이트상이 현저하게 적은 경우에는, 유리산화 마그네슘 함유량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또, 원료가 상이하면 미분해 이산화 탄소 성분량이 변화되어, 출발원료인 돌로마이트 광석에 따라서는, 적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돌로마이트의 소성을 특정범위의 탄산 가스 분압이 되도록 조정하여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특수한 소성로를 이용하지 않으면 안되어, 설비투자 및 생산비용의 상승이 문제이다.
한편, 돌로마이트는 소성에 의하여, 이하의 식으로 나타나는 열분해가 이루어져, 중금속 등의 흡착성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CaMg(CO3)2→MgO+CaCO3+CO2···(1)
돌로마이트를 소성함으로써, 반소성 돌로마이트에는, 돌로마이트상(CaMg(CO3)2상), MgO상, CaCO3상이 공존하게 되며, 이들 결정상의 함유비율에 따라, 각종 중금속 등에 대한 불용화성능, 흡착성능, 용출억제성능이 다르다.
또, 원료가 되는 돌로마이트 광석은, 통상 돌로마이트상과 탄산 칼슘상의 2상 혼합물 상태에서 산출되며, 돌로마이트상의 함유율은, 산지마다 크게 상이하고, 따라서, 원료마다 적절한 소성 조건이 상이해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중금속 등을 유효하게 흡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의 요소를 생각할 수 있는데, 돌로마이트계 재료가 갖는 비표면적도 그 중 하나이다. 따라서, 돌로마이트계 재료의 비표면적을 효율 좋게 높여 중금속 등을 유효하게 흡착할 수 있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2-157834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1-240325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0-214254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8-80223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원료가 되는 돌로마이트 광석의 산지에 따른 조성의 차이나 온도 등의 소성 조건의 설정 등에 좌우되지 않고, 고비표면적을 갖는 반소성 돌로마이트인,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료가 되는 돌로마이트 광석의 산지에 따른 조성의 차이나 온도 등의 소성 조건의 설정 등에 좌우되지 않고, 원료 돌로마이트의 비표면적이 높아지는 돌로마이트계 재료를 얻기 위한,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료가 되는 돌로마이트 광석의 산지에 따른 조성의 차이나 온도 등의 소성 조건의 설정 등에 좌우되지 않고, 당해 돌로마이트의 비표면적이 높아지도록, 돌로마이트의 품질을 관리하는, 돌로마이트계 재료의 고비표면적 품질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에 잔류하는 돌로마이트상의 함량과, 소성에 의하여 변화하는 비표면적이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을 발견하고,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의 돌로마이트상의 잔류량을 특정 회절방법으로 해석하여 결정함으로써, 본 발명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는, 반소성 돌로마이트로서, 분말 X선 회절에 의한 리트벨트법을 이용하여 해석한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의 잔류 CaMg(CO3)2상의 함량이, 0.4≤x≤35.4(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이다.
적합하게는, 상기 본 발명의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에 있어서, 황산 제1철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이다.
또, 본 발명의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의 제조방법은, 돌로마이트를, 분말 X선 회절에 의한 리트벨트법을 이용하여 해석한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의 잔류 CaMg(CO3)2상의 함량이, 0.4≤x≤35.4(질량%)가 되도록 소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의 제조방법이다.
적합하게는, 상기 본 발명의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잔류 CaMg(CO3)2상의 함량이, 0.4≤x≤35.4(질량%)가 되도록 소성한 후, 황산 제1철을 더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의 품질관리방법은, 분말 X선 회절에 의한 리트벨트법을 이용하여 해석한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의 잔류 CaMg(CO3)2상의 함량이, 0.4≤x≤35.4(질량%)가 되도록, 돌로마이트를 소성하여 CaMg(CO3)2상의 잔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의 품질관리방법이다.
본 발명은, 돌로마이트가 갖는 비표면적과,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의 잔류 돌로마이트상의 함량이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을 발견한 것에 의하여, 본 발명의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는, 원료가 되는 돌로마이트 광석의 산지에 따른 조성의 차이나, 소성 온도 등의 소성 조건의 조정 등에 의존하지 않고, 반소성 돌로마이트 중의 잔류 돌로마이트상의 함량을 특정함으로써, 높은 비표면적을 갖는 것이 가능해지며, 돌로마이트가 갖는 중금속 등 흡착성능을 유효하게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돌로마이트가 높은 비표면적을 가질 수 있도록, 돌로마이트 재료의 비표면적을 높게 유지하는 품질의 관리를 간이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고비표면적을 갖는 반소성 돌로마이트인 돌로마이트계 재료를, 특별한 장치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적정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는, 토양이나 배수 중에 포함되는 중금속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흡착제거할 수 있는 중금속 등으로서는, 중금속이나 할로젠, 반금속을 의미하며, 중금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크로뮴, 납, 카드뮴 등의 1종 혹은 2종 이상의 것을 예시할 수 있고, 또 할로젠으로서는 염소, 불소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또한 반금속으로서는 비소, 붕소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 중금속이나 할로젠, 반금속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례의 돌로마이트계 재료를 이용한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의 잔류 돌로마이트상의 함량 및 비표면적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2는, 다른 일례의 돌로마이트계 재료를 이용한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의 잔류 돌로마이트상의 함량 및 비표면적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3은, 다른 일례의 돌로마이트계 재료를 이용한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의 잔류 돌로마이트상의 함량 및 비표면적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4는, 다른 일례의 돌로마이트계 재료를 이용한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의 잔류 돌로마이트상의 함량 및 비표면적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5는, 다른 일례의 돌로마이트계 재료를 이용한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의 잔류 돌로마이트상의 함량 및 비표면적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6은, 일례의 돌로마이트계 재료인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의 잔류 돌로마이트상의 함량 및 중금속 등의 흡착제거율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7은, 다른 일례의 돌로마이트계 재료인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의 잔류 돌로마이트상의 함량 및 중금속 등의 흡착제거율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8은, 다른 일례의 돌로마이트계 재료인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의 잔류 돌로마이트상의 함량 및 중금속 등의 흡착제거율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9는, 다른 일례의 돌로마이트계 재료인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의 잔류 돌로마이트상의 함량 및 중금속 등의 흡착제거율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10은, 다른 일례의 돌로마이트계 재료인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의 잔류 돌로마이트상의 함량 및 중금속 등의 흡착제거율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11은, 돌로마이트 원료의 산지의 차이에 따른 돌로마이트 소성물의 비표면적과 돌로마이트상의 잔류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을 이하의 적합예에 의하여 설명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돌로마이트계 재료는, 반소성 돌로마이트로서, 분말 X선 회절에 의한 리트벨트법을 이용하여 해석한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의 잔류 CaMg(CO3)2상의 함량이, 0.4≤x≤35.4(질량%)임으로써, 돌로마이트 원료의 산지에 관계없이, 고비표면적을 갖는 재료가 된다.
본 발명은, 소성 돌로마이트 중의 잔류 돌로마이트상의 함량과, 비표면적이 상관관계를 가짐으로써,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에 포함되는 돌로마이트상인 CaMg(CO3)2상을 정량하여, 상기 특정 범위 내의 잔류량으로 함으로써, 원료가 되는 돌로마이트 광석의 산지에 따른 조성의 차이나, 소성 온도 등의 소성 조건의 조정 등에 관계없이, 돌로마이트가 높은 비표면적을 가지며, 중금속 등 흡착이 우수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원료 돌로마이트는, 임의의 원료 돌로마이트를 이용할 수 있고, 산지나 원료 돌로마이트의 조성은 관계 없다.
돌로마이트는, 석회석 CaCO3과 마그네사이트 MgCO3의 몰비가 1:1이 되는 복염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CO3 2-기를 사이에 두고 Ca2 이온과 Mg2 이온이 교대로 층을 이루고 있고, 일반적으로, 탄산 마그네슘의 비율이 10~45질량%인 것을 말한다. 돌로마이트는, 일본 내에 다량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를 사용한 중금속 등 흡착재는, 비용이나 환경부하의 점에서도 유리하다.
돌로마이트는 소성함으로써,
CaMg(CO3)2→MgO+CaCO3+CO2···(1)
로 나타나는 분해반응을 나타낸다. 돌로마이트의 소성에 의한 상기 열분해에 의하여, 돌로마이트의 비표면적이 증가하여, 중금속 등을 흡착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은, 돌로마이트를 소성한 반소성 돌로마이트 중의 돌로마이트상(CaMg(CO3)2상)의 잔류량을 분말 X선 회절에 의한 리트벨트법에 의하여 해석하여, 잔류 CaMg(CO3)2상의 함량이, 0.4≤x≤35.4(질량%), 바람직하게는 1.8≤x≤17.4(질량%)가 되는 반소성 돌로마이트라면, 높은 비표면적을 갖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잔류 CaMg(CO3)2상의 함량이, 0.4질량%보다 작은 경우나 35.4질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얻어지는 돌로마이트의 비표면적이 작아져 버린다.
분말 X선 회절에 의한 리트벨트법은, TG-DSC법과 달리, 반소성 돌로마이트 중에 포함되는 CaMg(CO3)2상, CaCO3상, MgO상의 양을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의 잔류 돌로마이트상(CaMg(CO3)2상)의 정확한 정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합하게는, 제1철 화합물을 더 함유할 수 있고, 제1철 화합물로서는, 염화 제1철이나 황산 제1철을 예시할 수 있다.
그 배합량은, 상기 잔류 CaMg(CO3)2상의 함량이, 0.4≤x≤35.4(질량%)인 반소성 돌로마이트에 대하여, 질량비로 5:5~9:1, 바람직하게는 9:1이다.
제1철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에 의해서도, 돌로마이트 소성물의 비표면적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고비표면적을 유지할 수 있으며, 중금속 등 흡착재로서 상기 반소성 돌로마이트계 재료를 이용한 경우에는, 첨가한 제1철의 환원작용에 의하여, 보다 유효하게 중금속 등을 불용화할 수 있어, 오염배수나 오염토양으로부터 중금속 등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돌로마이트계 재료의 제조방법은, 돌로마이트를, 분말 X선 회절에 의한 리트벨트법을 이용하여 해석한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의 잔류 CaMg(CO3)2상의 함량이, 0.4≤x≤35.4(질량%)가 되도록 소성함으로써 고비표면적을 구비할 수 있고, 이로써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돌로마이트를 소성하는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 돌로마이트를 소성하여 반소성 돌로마이트를 제조하는 온도, 예를 들면 650~1000℃에서 소성할 수 있다. 잔류 CaMg(CO3)2상의 함량이 0.4≤x≤35.4(질량%)가 되도록 소성하면 소성시간도 특정되는 것은 아니다.
돌로마이트를 소성하는 과정에서, 잔류 CaMg(CO3)2상의 함량이, 0.4≤x≤35.4(질량%)가 되는 시간의 반소성 돌로마이트를 선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를 얻을 수 있다.
또, 돌로마이트 소성물의 분말 X선 회절에 의한 리트벨트법을 이용한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의 잔류 CaMg(CO3)2상의 함량이, 0.4≤x≤35.4(질량%)가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돌로마이트가 높은 비표면적을 갖도록 그 품질을 관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본 발명의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는, 오염토양이나, 오염배수와 접촉시킴으로써, 오염토양이나 오염배수 중에 포함되는 중금속 등을 흡착제거할 수 있어, 중금속 등 흡착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중금속 등을 흡착하기 위해서는, 임의의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돌로마이트계 재료와 토양의 혼합이나, 배수 중으로의 투입교반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오염배수 중으로 투입한 경우에는, 그 후, 응집제 등을 배합하여, 고액분리방법에 의하여 회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설명한다.
산지 A~E의 상이한 각 돌로마이트 6종을, 대기 중 800℃에서 10~120분 소성하고, 그 사이, 소성 개시로부터 10분마다 각 돌로마이트 소성물을 얻었다. 각 돌로마이트 소성물을, 하기 조건의 분말 X선 회절 리트벨트법으로, 각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의 잔류 돌로마이트상(CaMg(CO3)2상)의 함량을 해석했다.
그 결과를, 각각 하기 표 1~5 및 도 1~도 5, 도 6~10에 나타낸다(산지 A는 표 1·도 1과 도 6, 산지 B는 표 2·도 2와 도 7, 산지 C는 표 3·도 3과 도 8, 산지 D는 표 4·도 4와 도 9, 산지 E는 표 5·도 5와 도 10).
[표 1]
Figure pat00001
[표 2]
Figure pat00002
[표 3]
Figure pat00003
[표 4]
Figure pat00004
[표 5]
Figure pat00005
분말 X선 회절의 측정조건은, 이하와 같다.
사용장치: PANalytical X'Pert Pro MPD
리트벨트 해석 소프트: PANalytical X'Pert HighScore Plus
측정조건: 관구 Cu-Kα
관전압: 45kV
전류: 40mA
발산 슬릿: 가변(12mm)
안티스캐터 슬릿(입사측): 없음
솔러 슬릿(입사측): 0.04rad.
수광 슬릿: 없음
안티스캐터 슬릿(수광측): 가변(12mm)
솔러 슬릿(수광측): 0.04rad
주사 범위: 2θ=5~90°
주사 스텝: 0.008°
계수 시간: 0.10°/sec.
또, 상기 각 산지 A~E로부터 얻어진 각 돌로마이트 소성물의 비표면적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각각 하기 표 6~10 및 도 1~도 5에 나타낸다(산지 A는 도 1, 산지 B는 도 2, 산지 C는 도 3, 산지 D는 도 4, 산지 E는 도 5).
또, 표 6~10에는, 상기 각 산지 A~E로부터 얻어진 돌로마이트 소성물의 세공용적 및 세공반경도 나타낸다.
또한, 비표면적, 세공용적 및 세공반경은 하기 방법으로 측정했다.
·질소 흡착법
전(前)처리방법: 120℃에서 8시간, 진공탈기를 행했다.
측정방법: 정용법을 이용하여, 질소에 의한 흡착이탈 등온선을 측정했다.
흡착온도: 77K 흡착질 단면적: 0.162nm2
흡착질: 질소 평형 대기시간: 150sec※1
포화 증기압: 실측
※1: 흡착 평형상태(흡탈착할 때의 압력변화가 소정의 값 이하가 되는 상태)에 도달한 후의 대기시간
비표면적: BET법(JIS Z 8830:2013)에 의하여 산출했다.
세공용적 및 세공반경: BJH법(JIS Z 8831-2:2010)에 의하여 산출했다.
측정장치: BELSORP-mini((주)마이크로트랙·벨(주)제)
전처리장치: BELPREP-vac II((주)마이크로트랙·벨(주)제)
또한, 질소 BET법이란, 흡착재에 흡착 분자로서 질소를 흡탈착시킴으로써 흡착등온선을 측정하고, 측정한 데이터를 하기 식 (1)로 나타나는 BET법에 근거하여 해석하는 방법이며, 이 방법에 근거하여 비표면적이나 세공용적 등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질소 BET법에 의하여 비표면적의 값을 산출하는 경우, 먼저, 흡착재에 흡착 분자로서 질소를 흡탈착시킴으로써, 흡착등온선을 구한다. 그리고, 얻어진 흡착등온선으로부터, 하기 식 (1) 혹은 식 (1)을 변형한 하기 식 (1')에 근거하여[p/{Va(p0-p)}]를 산출하고, 평형 상대압(p/p0)에 대하여 플롯한다. 그리고, 이 플롯을 직선으로 간주하고, 최소제곱법에 근거하여, 기울기 s(=[(C-1)/(C·Vm)]) 및 절편 i(=[1/(C·Vm)])를 산출한다. 그리고, 구해진 기울기 s 및 절편 i로부터 하기 식 (2-1), 하기 식 (2-2)에 근거하여, Vm 및 C를 산출한다. 또한, Vm으로부터, 하기 식 (3)에 근거하여 비표면적 asBET를 산출함으로써, 비표면적을 구할 수 있다.
Va=(Vm·C·p)/[(p0-p){1+(C-1)(p/p0)}]···(1)
[p/{Va(p0-p)}]=[(C-1)/(C·Vm)](p/p0)+[1/(C·Vm)]···(1')
Vm=1/(s+i)···(2-1)
C =(s/i)+1···(2-2)
asBET=(Vm·L·σ)/22414···(3)
단, 상기 식 중, Va: 흡착량, Vm: 단분자층의 흡착량, p: 질소의 평형 시의 압력, p0: 질소의 포화 증기압, L: 아보가드로수, σ: 질소의 흡착 단면적을 나타낸다.
질소 BET법에 의하여 세공용적 Vp를 산출하는 경우, 예를 들면, 구해진 흡착등온선의 흡착 데이터를 직선 보간하고, 세공용적 산출 상대압으로 설정한 상대압에서의 흡착량 V를 구한다. 이 흡착량 V로부터 하기 식 (4)에 근거하여 세공용적 Vp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질소 BET법에 근거하는 세공용적을, 이하, 간단하게 "세공용적"이라고 칭한다.
Vp=(V/22414)×(Mg/ρg)···(4)
단, 상기 식 중, V: 상대압에서의 흡착량, Mg: 질소의 분자량, ρg: 질소의 밀도를 나타낸다.
메소 세공의 구멍직경은, 예를 들면, BJH법에 근거하여, 그 구멍직경에 대한 세공용적 변화율로부터 세공의 분포로서 산출할 수 있다. BJH법은, 세공분포 해석법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BJH법에 근거하여 세공분포 해석을 하는 경우, 먼저, 흡착재에 흡착 분자로서 질소를 흡탈착시킴으로써, 탈착등온선을 구한다. 그리고, 구해진 탈착등온선에 근거하여, 세공이 흡착 분자(예를 들면 질소)에 의하여 채워진 상태로부터 흡착 분자가 단계적으로 착탈할 때의 흡착층의 두께, 및, 그 때에 생긴 구멍의 내경(코어반경의 2배)을 구하고, 하기 식 (5)에 근거하여 세공반경 rp를 산출하며, 하기 식 (6)에 근거하여 세공용적을 산출한다. 그리고, 세공반경 및 세공용적으로부터 세공직경(2rp)에 대한 세공용적 변화율(dVp/drp)을 플롯함으로써 세공분포 곡선이 얻어진다. 또한 이 세공분포 곡선에 있어서 피크를 취하는 세공반경을 피크 세공반경으로 한다.
rp=t+rk···(5)
Vpn=Rn·dVn-Rn·dtn·c·∑Apj···(6)
단, Rn=rpn2/(rkn-1+dtn)2···(7)
상기 식 중, rp: 세공반경, rk: 세공반경 rp의 세공의 내벽에 그 압력에 있어서 두께 t의 흡착층이 흡착된 경우의 코어반경(내경/2), Vpn: 질소의 제n번째의 착탈이 발생했을 때의 세공용적, dVn: 그 때의 변화량, dtn: 질소의 제n번째의 착탈이 발생했을 때의 흡착층의 두께 tn의 변화량, rkn: 그 때의 코어반경, c: 고정값, rpn: 질소의 제n번째의 착탈이 발생했을 때의 세공반경을 나타낸다.
또, ∑Apj는, j=1에서 j=n-1까지의 세공벽면의 면적의 적산값을 나타낸다.
[표 6]
Figure pat00006
[표 7]
Figure pat00007
[표 8]
Figure pat00008
[표 9]
Figure pat00009
[표 10]
Figure pat00010
하기 표 11에 나타내는 각 시약을 이용하여 조제한 비소(As), 불소(F), 납(Pb)을 각각 5mg/l로 포함하는 각 용액 100ml에, 각 돌로마이트 소성물을 1g 첨가 배합하여, 4시간 진탕하여 균일하게 혼합했다.
[표 11]
Figure pat00011
그 후, 고액분리를 행하여, 그 각 용액 중에 잔류하는 상기 비소 및 불소 및 납의 잔류량으로부터, 그 용액 중 비소의 흡착제거율과, 상기 비소 및 불소 및 납의 평균 제거율을, 이하의 표 12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산출했다.
또한, 납에 대해서는, mg/l 오더의 분석에는 ICP 발광분광 분석법을 이용하고, μg/l 오더의 분석에는 전기가열 원자흡광법을 이용하여 산출했다.
또 여액의 pH 및 산화-환원전위(ORP)를 (주)호리바 세이사쿠쇼제의 탁상형 pH 미터: F-73(pH 전극: 9615S-10D, ORP전극: 9300-10D)으로 측정했다.
[표 12]
Figure pat00012
그 결과를 각각, 표 13~17 및 도 6~10에 나타낸다(산지 A는 표 13 및 도 6, 산지 B는 표 14 및 도 7, 산지 C는 표 15 및 도 8, 산지 D는 표 16 및 도 9, 산지 E는 표 17 및 도 10).
[표 13]
Figure pat00013
[표 14]
Figure pat00014
[표 15]
Figure pat00015
[표 16]
Figure pat00016
[표 17]
Figure pat00017
또, 상기 표로부터, 산지 차이에 의한 돌로마이트계 재료의 비표면적과 돌로마이트상 잔류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를 도 11에 나타낸다.
상기 표 및 도로부터, 고비표면적을 갖기 위해서는, 반소성 돌로마이트 중에 잔류하는 돌로마이트상(CaMg(CO3)2상)의 함량을 0.4≤x≤35.4(질량%)로 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비표면적과는 별도로, 세공용적을 측정함으로써, 세공이 소성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다공질로 되어 있는 것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는, 중금속 등을 유효하게 흡착할 수 있다.
또, 상기 표 11에 나타내는 시약을 이용하여 조제한, 비소(As)를 5mg/l 및 100mg/l로 각각 포함하는 용액 100ml를 조제했다. 이에, 표 1 중의 반소성 돌로마이트 중에 잔류하는 돌로마이트상(CaMg(CO3)2상)의 함량이 2.6질량%인 반소성 돌로마이트를 1g 첨가하고 4시간 진탕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것과, 상기 반소성 돌로마이트를 0.9g과 황산 제1철 0.1g을 첨가하고 4시간 진탕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조제했다. 그 후 각 용액을 고액분리하여, 여액 중의 잔류 비소량을 상기 표 12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측정하여, 각각의 비소 흡착제거율(%)을 산출했다. 그 결과를 표 18에 나타낸다.
또 여액의 pH 및 산화-환원전위(ORP)를 (주)호리바 세이사쿠쇼제의 탁상형 pH 미터: F-73(pH 전극: 9615S-10D, ORP전극: 9300-10D)으로 측정했다. 그 결과도 표 18에 나타낸다.
[표 18]
Figure pat00018
상기 표 18로부터, 본 발명의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인 잔류 돌로마이트상(CaMg(CO3)2상)의 함량이 0.4≤x≤35.4(질량%)인 반소성 돌로마이트에 황산 제1철을 더 배합하면, 보다 중금속 등의 흡착제거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산지나 원료 돌로마이트의 조성에 관계없이, 간단하게,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배수 중이나 토양 중에 포함되는 유해한 중금속 등을 효율 좋게, 흡착 제거하는 것에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터널이나 댐 등의 굴삭공사나 건설공사 등에 의하여 대량으로 발생하는 중금속 등을 포함하는 오염토양의 처리나, 공장 등의 중금속 등을 포함하는 배수처리에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반소성 돌로마이트로서, 분말 X선 회절에 의한 리트벨트법을 이용하여 해석한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의 잔류 CaMg(CO3)2상의 함량이, 0.4≤x≤35.4(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황산 제1철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
  3. 돌로마이트를, 분말 X선 회절에 의한 리트벨트법을 이용하여 해석한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의 잔류 CaMg(CO3)2상의 함량이, 0.4≤x≤35.4(질량%)가 되도록 소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잔류 CaMg(CO3)2상의 함량이, 0.4≤x≤35.4(질량%)가 되도록 소성한 후, 황산 제1철을 더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의 제조방법.
  5. 분말 X선 회절에 의한 리트벨트법을 이용하여 해석한 돌로마이트 소성물 중의 잔류 CaMg(CO3)2상의 함량이, 0.4≤x≤35.4(질량%)가 되도록, 돌로마이트를 소성하여 CaMg(CO3)2상의 잔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의 품질관리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할로젠 또는 반금속의 흡착방법.
KR1020160037814A 2015-03-31 2016-03-29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 그 제조방법 및 그 품질관리방법 KR102579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74265A JP6380206B2 (ja) 2015-03-31 2015-03-31 高比表面積を有するドロマイト系材料の品質管理方法
JPJP-P-2015-074265 2015-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312A true KR20160117312A (ko) 2016-10-10
KR102579185B1 KR102579185B1 (ko) 2023-09-18

Family

ID=57016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814A KR102579185B1 (ko) 2015-03-31 2016-03-29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 그 제조방법 및 그 품질관리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288085A1 (ko)
JP (1) JP6380206B2 (ko)
KR (1) KR102579185B1 (ko)
CN (1) CN1060002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7313B2 (ja) * 2015-03-31 2019-01-09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ドロマイト系重金属等吸着材の製造方法及びその品質管理方法
JP6805935B2 (ja) * 2017-03-31 2020-12-23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環境水中のリン吸着剤の再利用方法
JP6805934B2 (ja) * 2017-03-31 2020-12-23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環境水中のリン吸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リン吸着剤の品質管理方法、並びにリン吸着剤を用いた環境水中のリンの除去方法
CN111447994A (zh) * 2017-06-07 2020-07-24 金熙濬 吸附剂的制造方法、吸附剂及处理方法
CN107456944B (zh) * 2017-09-26 2020-11-06 南京乐透思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无机复合材料、制备方法及其在污水处理中用于去除重金属离子的用途
JP6992651B2 (ja) * 2018-03-30 2022-01-13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重金属等不溶化材及びその製造方法、重金属等不溶化材の品質管理方法並びに重金属等不溶化方法
CN110560473B (zh) * 2019-08-21 2020-07-07 生态环境部环境规划院 一种对土壤氟化物和砷的稳定化方法
JP7188329B6 (ja) * 2019-09-09 2023-01-05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重金属等不溶化材及びその製造方法、重金属等不溶化材の品質管理方法並びに重金属等不溶化方法
JP7367487B2 (ja) 2019-11-26 2023-10-24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低流動化泥土用の固化不溶化中性改質材及び当該改質材を用いた低流動化泥土改質工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9188B1 (ko) * 1969-03-12 1975-07-04
JP2008080223A (ja) 2006-09-27 2008-04-10 Nisshoku Corp フッ化物イオン捕捉材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10214254A (ja) 2009-03-13 2010-09-30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重金属溶出抑制材及びそれを含む硬化性組成物
JP2011156503A (ja) * 2010-02-02 2011-08-18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溶出低減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240325A (ja) 2010-04-22 2011-12-01 Yoshizawa Lime Industry 排水中の重金属イオンおよびリン酸イオンの除去剤とそれを使用した重金属イオンおよびリン酸イオンの除去方法
JP2012050911A (ja) * 2010-08-31 2012-03-15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溶出低減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157834A (ja) 2011-02-01 2012-08-23 Yoshizawa Lime Industry 排水中の有害物の除去剤とそれを使用した除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K283214B6 (sk) * 1998-07-22 2003-03-04 Ipres In�Iniering, S. R. O. Sorbent, spôsob jeho výroby a použitia na imobilizáciu ťažkých kovov v kontaminovanej vodnej a pevnej fáze
CN101759379A (zh) * 2010-01-08 2010-06-30 浙江大学 一种白云岩煅粉的活化方法及其用途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9188B1 (ko) * 1969-03-12 1975-07-04
JP2008080223A (ja) 2006-09-27 2008-04-10 Nisshoku Corp フッ化物イオン捕捉材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10214254A (ja) 2009-03-13 2010-09-30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重金属溶出抑制材及びそれを含む硬化性組成物
JP2011156503A (ja) * 2010-02-02 2011-08-18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溶出低減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240325A (ja) 2010-04-22 2011-12-01 Yoshizawa Lime Industry 排水中の重金属イオンおよびリン酸イオンの除去剤とそれを使用した重金属イオンおよびリン酸イオンの除去方法
JP2012050911A (ja) * 2010-08-31 2012-03-15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溶出低減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157834A (ja) 2011-02-01 2012-08-23 Yoshizawa Lime Industry 排水中の有害物の除去剤とそれを使用した除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93802A (ja) 2016-11-17
CN106000291A (zh) 2016-10-12
JP6380206B2 (ja) 2018-08-29
US20160288085A1 (en) 2016-10-06
KR102579185B1 (ko) 2023-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7312A (ko) 고비표면적을 갖는 돌로마이트계 재료, 그 제조방법 및 그 품질관리방법
KR102483275B1 (ko) 돌로마이트계 중금속 등 흡착재, 그 제조방법 및 그 품질관리방법, 그리고 중금속 등 흡착방법
JP5019188B2 (ja) 重金属の溶出低減材の製造方法
JP5682809B2 (ja) 重金属またはフッ素の溶出低減材の製造方法
JP2005040685A (ja) 重金属吸着材及び重金属処理方法
JP2017179341A (ja) 重金属等汚染対策材及び前記汚染対策材を用いた重金属等汚染対策工法
JP2018149532A (ja) 重金属等汚染対策材及び前記汚染対策材を用いた重金属等汚染対策工法
JP6485513B1 (ja) 重金属等汚染対策材及び前記汚染対策材を用いた重金属等汚染対策工法
JP5915202B2 (ja) 不溶化方法
US20060094921A1 (en) Method for chemically stabilizing waste materials containing multivalent oxyanions
JP5013005B1 (ja) 不溶化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992651B2 (ja) 重金属等不溶化材及びその製造方法、重金属等不溶化材の品質管理方法並びに重金属等不溶化方法
EP2835359A1 (en) Insolubilizing agent for specific toxic substances, method for insolubilizing specific toxic substances using same, and soil improvement method
TWI713664B (zh) 砷之不溶化材及不溶化方法
Cvetković et al. Manganese removal from water by magnesium enriched kaolinite-bentonite ceramics
JP4718420B2 (ja) フッ素捕集材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水質浄化方法
JPWO2010087297A1 (ja) ヒ素収着材及びヒ素汚染物質の浄化方法
JP2010005488A (ja) 酸化マグネシウムの重金属不溶化性能の評価方法
JP6686630B2 (ja) 重金属等不溶化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7089971B2 (ja) 重金属類の不溶化方法、及び、不溶化材
JP6046476B2 (ja) 有害物質の溶出防止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溶出防止方法
He et al. Immobilization of hexavalent chromium in aqueous solution through the formation of 3CaO·(Al, Fe) 2O3· Ca (OH) 2· xH2O phase, ettringite and C–S–H gel
JP6686631B2 (ja) 重金属等不溶化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6227879B2 (ja) 特定有害物質の不溶化材及びこれを用いた特定有害物質の不溶化方法
JP7076337B2 (ja) 不溶化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