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331A - 브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331A
KR20160116331A KR1020167019430A KR20167019430A KR20160116331A KR 20160116331 A KR20160116331 A KR 20160116331A KR 1020167019430 A KR1020167019430 A KR 1020167019430A KR 20167019430 A KR20167019430 A KR 20167019430A KR 20160116331 A KR20160116331 A KR 20160116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brake
vehicle
driv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9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0635B1 (ko
Inventor
와타루 요코야마
기미오 니시노
겐이치로 마츠바라
히로시 치쿠마
겐지 하시다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6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62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characterised by specified functions of the control system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58Combined or convertible systems
    • B60T13/588Combined or convertible systems both fluid and mechan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1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n ultimat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Abstract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파킹 스위치(18)의 조작에 따라서 전동 액추에이터(43)를 구동하여, 디스크 브레이크(31)를 주차 브레이크로서 유지 작동시킨다.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파킹 스위치(18)의 고장(이상)이 검출되었을 때는, 차량의 정차시에 운전자가 주행을 계속하지 않음을 추정하는 조건을 검출한 경우에, 전동 액추에이터(43)를 구동하여, 자동적으로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 작동시킨다.

Description

브레이크 시스템{BRAKE SYSTEM}
본 발명은 차량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으로서, 예컨대,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기초하여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 부재(디스크, 드럼)에 마찰 부재(패드, 슈)를 접촉시킴으로써 제동력을 부여하는 브레이크 기구와, 차량의 정차, 주차시 등에 파킹 스위치(주차 브레이크 스위치)의 조작에 기초하여 전동 모터를 구동(회전)함으로써 제동력을 부여하는 파킹 기구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3-112167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의한 종래 기술은, 파킹 스위치가 고장이 나면,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어플라이)를 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어, 편리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킹 스위치가 고장 나더라도,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 시스템은, 차량의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 부재에 접촉할 수 있게 배치되는 마찰 부재를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을 토대로 압박 부재로 추진하는 브레이크 기구와, 상기 차륜을 회전 불능으로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게 전동 모터에 의해 조작되는 파킹 기구와, 이 파킹 기구를 유지 또는 해제 작동시키기 위한 파킹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 시스템은,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파킹 스위치의 이상을 검출하는 파킹 스위치 이상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이 파킹 스위치 이상 검출 수단에 의해서 상기 파킹 스위치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정차시에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소정 시간 밟히고 있는 경우, 또는 상기 차량의 정차시에 운전자의 하차를 추정하는 조건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전동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파킹 기구를 유지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 시스템은,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파킹 스위치의 이상을 검출하는 파킹 스위치 이상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이 파킹 스위치 이상 검출 수단에 의해서 상기 파킹 스위치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구동 장치가 주행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정차시에 운전자가 주행을 계속하지 않음을 추정하는 조건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전동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파킹 기구를 유지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따르면, 파킹 스위치가 고장 나더라도,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할 수 있어, 차량의 정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브레이크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의 개념도.
도 2는 도 1에서의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3은 도 1에서의 후륜 측에 설치된 전동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갖춘 디스크 브레이크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4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의한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도 4에 이어지는 흐름도.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의한 하차 또는 비운전 판정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도어 개폐와 주차 브레이크 유지의 관계를 도시하는 타임차트.
이하, 실시형태에 의한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해서,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을 4륜 자동차에 탑재한 경우를 예로 들어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도 4~도 6에 도시하는 흐름도의 각 단계는, 각각 「S」라고 하는 표기를 이용하여, 예컨대 단계 1을 「S1」로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에서, 차량의 보디를 구성하는 차체(1)의 하측(노면 측)에는, 4개의 차륜, 예컨대 좌우의 전륜(2)(FL, FR)과 좌우의 후륜(3)(RL, RR)이 설치된다. 이들 각 전륜(2) 및 각 후륜(3)에는, 각각의 차륜(각 전륜(2), 각 후륜(3))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 부재(디스크)로서의 디스크 로터(4)가 설치된다. 각 전륜(2)용의 디스크 로터(4)는, 액압식의 디스크 브레이크(5)에 의해 제동력이 부여되고, 각 후륜(3)용의 디스크 로터(4)는, 전동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갖춘 액압식의 디스크 브레이크(31)에 의해 제동력이 부여된다. 이에 따라, 각 차륜(각 전륜(2),각 후륜(3))의 각각에 대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제동력이 부여된다.
차체(1)의 프론트 보드 측에는 브레이크 페달(6)이 설치된다. 브레이크 페달(6)은, 차량의 브레이크 조작시에 운전자에 의해서 밟아누름 조작되고, 이 조작을 토대로 상용 브레이크(서비스 브레이크)로서의 제동력의 부여 및 해제가 이루어진다. 브레이크 페달(6)에는, 브레이크 램프 스위치, 페달 스위치, 페달 스트로크 센서 등의 브레이크 페달 조작 검출 센서(브레이크 센서)(6A)가 설치된다. 브레이크 페달 조작 검출 센서(6A)는, 브레이크 페달(6)의 밟아누름 조작의 유무 또는 그 조작량을 검출하여, 그 검출 신호를 액압 공급 장치용 컨트롤러(13)로 출력한다. 브레이크 페달 조작 검출 센서(6A)의 검출 신호는, 예컨대 차량 데이터 버스(16), 또는 액압 공급 장치용 컨트롤러(13)와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를 접속하는 신호선(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전송된다(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로 출력된다).
브레이크 페달(6)의 밟아누름 조작은 배력 장치(7)를 통해 유압원으로서 기능하는 마스터 실린더(8)에 전달된다. 배력 장치(7)는, 브레이크 페달(6)과 마스터 실린더(8) 사이에 설치되는 부압 부스터 또는 전동 부스터로서 구성되며, 브레이크 페달(6)의 밟아누름 조작시에 밟는 힘을 증력하여 마스터 실린더(8)에 전한다. 이 때, 마스터 실린더(8)는, 마스터 리저버(9)로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액에 의해 액압을 발생시킨다. 마스터 리저버(9)는 브레이크액이 수용되는 작동액 탱크에 의해 구성된다. 브레이크 페달(6)에 의해 액압을 발생하는 기구는 상기한 구성에 한하지 않으며, 브레이크 페달(6)의 조작에 따라서 액압을 발생하는 기구, 예컨대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 방식의 기구 등이라도 좋다.
마스터 실린더(8) 내에 발생하는 액압은, 예컨대 한 쌍의 실린더 측의 액압 배관(10A, 10B)을 통해, 액압 공급 장치(11)(이하, ESC(11)라고 한다)로 송출된다. ESC(11)는, 마스터 실린더(8)로부터의 액압을 브레이크 측의 배관부(12A, 12B, 12C, 12D)를 통해 각 디스크 브레이크(5, 31)로 분배한다. 이에 따라, 차륜(각 전륜(2), 각 후륜(3))의 각각에 대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제동력이 부여된다.
ESC(11)는 각 디스크 브레이크(5, 31)와 마스터 실린더(8) 사이에 배치된다. ESC(11)는, 브레이크 페달(6)의 조작량에 따르지 않는 양태일지라도, 각 디스크 브레이크(5, 31)에 액압을 공급, 즉, 각 디스크 브레이크(5, 31)의 액압을 높일 수 있다. ESC(11)는, ESC(11)의 작동을 제어하는 액압 공급 장치용 컨트롤러(13)(이하, 컨트롤 유닛(13)이라고 한다)을 갖는다. 컨트롤 유닛(13)은, ESC(11)의 각 제어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개폐하거나, 액압 펌프용의 전동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회전, 정지시키거나 하는 구동 제어를 행함으로써, 브레이크 측의 배관부(12A~12D)로부터 각 디스크 브레이크(5, 31)로 공급되는 브레이크 액압을 증압, 감압 또는 유지하는 제어를 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브레이크 제어, 예컨대, 배력 제어, 제동력 분배 제어, 브레이크 어시스트 제어, 안티록 브레이크 제어(ABS), 안티스키드 제어, 트랙션 제어, 차량 안정화 제어(사이드슬립 방지를 포함한다), 언덕길 발진 보조 제어 등이 실행된다.
컨트롤 유닛(13)은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한다. 컨트롤 유닛(13)에는, 배터리(14)로부터의 전력이 전원 라인(15)을 통해 급전된다. 또한, 컨트롤 유닛(13)은,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차량 데이터 버스(16)에 접속된다. 또 차량(1)에는, 이 차량의 구동 장치를 구동시키거나, 그 밖의 기기의 전원을 온/오프하게 하는 차량의 기동 스위치로서의 이그니션 스위치(50)가 마련된다. 이그니션 스위치(50)의 온(통전), 오프(비통전) 정보는 차량 데이터 버스(16)에 의해 전송되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그니션 스위치(50)를 이그니션이라고 기재한다. 또한, 상기한 ESC(11) 대신에, 공지된 ABS 유닛을 이용하여도 좋다. 나아가서는, ESC(11)를 설치하지 않고서(즉, 생략하고), 마스터 실린더(8)와 브레이크 측의 배관부(12A~12D)를 직접적으로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차량 데이터 버스(16)는, 차체(1)에 탑재되는 시리얼 통신부로서의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구성하고, 차량에 탑재되는 다수의 전자기기, 컨트롤 유닛(13) 및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 등과의 사이에서 차량 내에서의 다중 통신을 행한다. 이 경우, 차량 데이터 버스(16)에 보내지는 차량 정보로서는, 예컨대 조타각 센서, 액셀러레이터 센서(액셀러레이터 페달 조작 검출 센서), 스로틀 센서, 엔진 회전 센서, 브레이크 센서(브레이크 페달 조작 검출 센서(6A)), 이그니션 스위치(50), 차륜속 센서, 차속 센서, 경사 센서, G 센서(가속도 센서), 스테레오 카메라, 밀리파 레이더, 안전벨트 센서, 트랜스미션 센서(시프트 센서), 도어 센서, 스티어링 센서(핸들 센서), 착좌 센서, 실내 카메라, 압력 센서(17) 등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한 정보(차량 정보)를 들 수 있다.
압력 센서(17)는, 브레이크 측의 배관부(12A, 12B, 12C, 12D)에 각각 설치되고, 각각의 관로 내부 압력(즉, 액압), 바꿔 말하면, 각 관로 내부 압력에 대응하는 캘리퍼(34)(실린더부(36)) 내의 액압(휠 실린더 액압)을 개별적으로 검출한다. 또한, 압력 센서(17)는, 하나 또는 2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으며, 예컨대 마스터 실린더(8)와 ESC(11) 사이의 실린더 측의 액압 배관(10A, 10B)에만 설치하는(마스터 실린더 액압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차체(1) 내에는, 운전석(도시하지 않음) 근방에 파킹 스위치(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가 설치된다. 파킹 스위치(18)는 운전자에 의해서 조작된다. 파킹 스위치(18)는, 운전자로부터의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요구(유지 요구·해제 요구)에 대응하는 신호(작동 요구 신호)를,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 전달한다. 즉, 파킹 스위치(18)는, 전동 액추에이터(43)의 구동(회전)에 기초하여 파킹 기구(회전 직동 변환 기구(40))를 유지 또는 해제시키기 위한 신호(유지 요구 신호, 해제 요구 신호)를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로 출력한다.
파킹 스위치(18)가 제동 측(주차 브레이크 ON 측)으로 조작되었을 때, 즉, 운전자로부터의 유지 요구(구동 요구)가 있었을 때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를 통해 후륜(3)용의 디스크 브레이크(31)에, 전동 액추에이터(43)를 제동 측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전력이 급전된다. 이에 따라, 후륜(3)용의 디스크 브레이크(31)는, 주차 브레이크로서의 제동력이 부여된 상태, 즉, 유지 상태(어플라이 상태)가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주차 제동을 거는(어플라이하는) 것, 즉, 주차 브레이크로서의 제동력을 부여하는 것을, 「유지」라고 하는 단어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것은, 전동 액추에이터(43)의 구동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33)에 소정의 압박력(추력)을 부여하고, 그 때의 피스톤(39) 및 브레이크 패드(33)의 위치를 파킹 기구(회전 직동 변환 기구(40))에 의해 유지하므로, 이 단어를 이용하는 것이다.
한편, 파킹 스위치(18)가 제동 해제 측(주차 브레이크 OFF 측)으로 조작되었을 때, 즉, 운전자로부터의 해제 요구가 있었을 때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를 통해 디스크 브레이크(31)에, 전동 액추에이터(43)를 제동 측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전력이 급전된다. 이에 따라, 후륜(3)용의 디스크 브레이크(31)는, 주차 브레이크로서의 제동력의 부여가 해제된 상태, 즉, 해제 상태(릴리스 상태)가 된다.
주차 브레이크는, 예컨대 차량이 정지했을 때(예컨대, 주행 중에 감속에 따라 4 km/h 미만의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되었을 때), 엔진이 정지(엔진 고장)했을 때, 시프트 레버(셀렉트 레버, 셀렉트 스위치)를 P(파킹)로 조작했을 때, 도어가 열렸을 때, 안전벨트가 해제되었을 때 등,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서의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 판단 논리에 의한 자동적인 유지 요구(자동 유지 요구)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제동력을 부여(유지)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는, 예컨대 차량이 주행했을 때(예컨대, 정차에서 증속에 따라 5 km/h 이상의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되었을 때),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조작되었을 때, 클러치 페달이 조작되었을 때, 시프트 레버가 P, N(뉴트럴) 이외로 조작되었을 때 등,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서의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 판단 논리에 의한 자동적인 해제 요구(자동 해제 요구)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제동력을 해제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한편, 파킹 스위치(18)가 고장 났을 때의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 의한 자동 유지 요구에 관해서는 후에 자세히 설명한다.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좌우 한 쌍의 디스크 브레이크(31)와 함께 브레이크 시스템(전동 브레이크 장치)을 구성한다.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에 의해서 구성되는 연산 회로(CPU)(20)를 가지고,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는, 배터리(14)로부터의 전력이 전원 라인(15)을 통해 급전된다.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제어 수단(컨트롤러, 컨트롤 유닛)을 구성하는 것이다.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전동 액추에이터(43)를 제어하여, 차량의 주차, 정차시(필요에 따라 주행시)에 제동력(주차 브레이크, 보조 브레이크)을 발생시킨다. 즉,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파킹 스위치(18)의 조작,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해제의 판단 논리 등에 따라서 전동 액추에이터(43)를 구동함으로써, 디스크 브레이크(31)를 주차 브레이크(필요에 따라 보조 브레이크)로서 작동(유지·해제)시킨다.
여기서,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차량의 운전자가 파킹 스위치(18)를 조작했을 때에, 그 파킹 스위치(1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ON, OFF 신호)를 토대로 전동 액추에이터(43)를 구동하여, 디스크 브레이크(31)의 유지(어플라이) 또는 해제(릴리스)를 행한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파킹 스위치(18)로부터의 신호 외에,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해제의 판단 논리에 기초하여 전동 액추에이터(43)를 구동하여, 디스크 브레이크(31)를 유지 또는 해제한다.
이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파킹 스위치(18)의 신호,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해제의 판단 논리에 기초한 신호를 포함하는 「작동 요구 신호」, 즉,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유지·해제)을 요구하는 「작동 요구 신호」가 있었을 때에, 그 요구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31)의 유지 또는 해제를 행하는 것이다. 이 때, 디스크 브레이크(31)에서는, 전동 액추에이터(43)의 구동에 기초하여, 파킹 기구(회전 직동 변환 기구(40))에 의한 피스톤(39) 및 브레이크 패드(33)의 유지 또는 해제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동 요구 신호」는, 파킹 기구(회전 직동 변환 기구(40))에 의한 피스톤(39) 및 브레이크 패드(33)의 유지 작동 또는 해제 작동을 위한 신호가 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입력 측이 파킹 스위치(18) 등에 접속되고, 출력 측은 디스크 브레이크(31)의 전동 액추에이터(43) 등에 접속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연산 회로(CPU)(20)에는, 기억부(메모리)(21)에 더하여, 파킹 스위치(18), 차량 데이터 버스(16), 전압 센서부(22), 모터 구동 회로(23), 전류 센서부(24) 등이 접속된다. 차량 데이터 버스(16)로부터는, 주차 브레이크의 제어(작동)에 필요한 차량의 각종 상태량, 즉, 각종 차량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데이터 버스(16)로부터 취득하는 차량 정보는, 그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를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연산 회로(20))에 직접 접속함으로써 취득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연산 회로(20)는, 파킹 스위치(18), 및 차량 데이터 버스(16)에 접속되는 다른 제어 장치(예컨대 컨트롤 유닛(13))로부터의 작동 요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예컨대, 상술한 판단 논리에 의한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해제의 판정을,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 대신에, 다른 제어 장치, 예컨대 컨트롤 유닛(13)에서 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컨트롤 유닛(13)에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제어 내용을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ROM, RAM, EEPROM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억부(메모리)(21)(도 2 참조)를 구비한다. 기억부(21)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처리 플로우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즉, 파킹 스위치(18)가 고장 났을 때의 디스크 브레이크(31)의 유지(제동 부여)의 가부를 판단하기 위한 처리 프로그램, 그 판단에 이용하는 임계치 등이 저장된다. 또한 기억부(21)에는, 후술하는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의 값, 「하차 또는 비운전용 카운터」의 값이 갱신 가능하게 기억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를 ESC(11)의 컨트롤 유닛(13)과 별개의 부재로 했지만,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를 컨트롤 유닛(13)과 일체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좌우에서 2개의 디스크 브레이크(31)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지지만, 좌우의 디스크 브레이크(31)마다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이 경우에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를 디스크 브레이크(31)에 일체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는, 전원 라인(15)으로부터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센서부(22), 좌우의 전동 액추에이터(43, 43)를 각각 구동하는 좌우의 모터 구동 회로(23, 23), 좌우의 전동 액추에이터(43, 43)의 각각의 모터 전류를 검출하는 좌우의 전류 센서부(24, 24) 등이 내장된다. 이들 전압 센서부(22), 모터 구동 회로(23), 전류 센서부(24)는 각각 연산 회로(20)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연산 회로(20)는, 예컨대,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어플라이)나 해제(릴리스)를 행할 때에, 전동 액추에이터(43)의 모터 전류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43)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연산 회로(20)는,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행할 때는, 예컨대 모터 전류치가 유지 임계치(그 때에 발생하여야 할 추력에 대응하는 전류치)에 달했을 때에,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에 의한 피스톤(39)의 상태가 유지 상태가 되었다고 판정하여, 전동 액추에이터(43)의 구동을 정지한다. 한편,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를 행할 때는, 연산 회로(20)는, 예컨대 모터 전류치가 미리 설정한 해제 임계치에 달했을 때에,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에 의한 피스톤(39)의 상태가 해제 상태가 되었다고 판정하여, 전동 액추에이터(43)의 구동을 정지한다.
여기서, 실시형태에서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파킹 스위치(18)의 이상(오류, 고장)을 검출하는 파킹 스위치 이상 검출 수단(도 4의 S1)을 구비한다. 이 파킹 스위치 이상 검출 수단은, 예컨대, 파킹 스위치(18)의 전압치의 변화로부터 그 이상을 판정한다. 즉, 파킹 스위치(18)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면 전압이 변화된다. 이 때문에,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미리 정해진 전압치에 의해 조작 상황(어플라이 조작, 릴리스 조작, 조작 없음)을 판정한다.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파킹 스위치(18)의 전압치가 정해진 전압치 이외의 전압치가 되는 경우, 예컨대, 어플라이 조작할 때의 전압치와 릴리스 조작할 때의 전압치와 조작이 없을 때의 전압치의 어느 전압치로부터도 벗어난(어긋난) 경우에, 파킹 스위치(18)의 이상(오류, 고장)으로 판정할 수 있다.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파킹 스위치 이상 검출 수단에 의해서 파킹 스위치(18)의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는, 차량의 정차시에, 브레이크 페달(6)이 소정 시간 밟히고 있는 경우는, (이그니션 스위치(50)가 온, 즉, 이그니션 온이라도) 전동 액추에이터(43)를 작동시켜, 주차 브레이크를 (자동적으로) 유지 작동시킨다. 이 경우, 차량 정차의 검출은,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센서, 차륜의 속도를 검출하는 차륜속 센서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6)의 조작(밟아누름)의 검출은, 페달 스위치, 페달 스트로크 센서, 브레이크 램프 스위치 등의 브레이크 페달 조작 검출 센서(브레이크 센서)(6A)나 마스터 실린더(8)의 액압을 검출하는 액압 센서, 마스터 실린더(8)의 피스톤의 변위 혹은 배력 장치(7)의 내부 부품의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 센서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한편, 소정 시간, 즉, 운전자가 차량의 정차를 지속할 의사(추정 조건)에 대응하는 브레이크 페달(6)의 밟기 시간은, 파킹 스위치(18)가 고장 났을 때(이상이라고 판정했을 때)에 운전자가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어플라이)시키기 위한 조건으로서 설정되는 것이다. 이 경우, 소정 시간은, 이그니션(IGN)이 온(ON)일 때와 오프(OFF)일 때에 각각 다른 값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그니션 온(IGN_ON)일 때의 소정 시간은, 이그니션 오프(IGN_OFF)일 때의 소정 시간과 비교하여, 길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그니션 온일 때는, 차량의 상태나 운전자의 조작 상황에 따라서 소정 시간의 길이를 가변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이그니션 온일 때는, 트랜스미션의 위치에 대응하는 시프트 레버(셀렉트 레버, 셀렉트 스위치)의 위치가 주행 상태를 선택하고 있을 때에, 주행 상태 이외(비주행 상태)를 선택하고 있을 때와 비교하여, 소정 시간을 길게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행 상태가 되는 드라이브(D), 리버스(R), 로우(L), 변속단(예컨대 1속 내지 7속 중 어느 것) 등을 선택하고 있을 때의 소정 시간을, 비주행 상태가 되는 파킹(P), 뉴트럴(N) 등을 선택하고 있을 때의 소정 시간보다도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행 상태(D, R, L, 1속 내지 7속 중 어느 것 등)를 선택하고 있을 때의 소정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예컨대 정체 주행일 때에 불필요하게 주차 브레이크가 유지 작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파킹 스위치 이상 검출 수단에 의해서 파킹 스위치(18)의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는, 차량의 정차시에 운전자의 하차를 추정하는 조건을 검출한 경우에, (이그니션 온이라도) 전동 액추에이터(43)를 작동시켜, 주차 브레이크를 (자동적으로) 유지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운전자의 하차를 추정하는 조건(하차하려고 하고 있는 것 및/또는 하차했음을 추정하는 조건)은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즉, 다음 (1)~(6)의 조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출한 경우에, 운전자에게 하차 의사가 있다(운전자가 하차할 가능성이 높다, 운전자가 하차하려고 하고 있다, 운전자가 하차했다)고 판정할 수 있다.
(1)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차량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어(예컨대, 운전석의 도어)가 열린 것.
(2)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운전자의 안전벨트가 벗겨진 것.
(3)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트랜스미션의 위치가 되는 시프트 레버(셀렉트 레버, 셀렉트 스위치)의 위치가 파킹(P) 위치로 선택(조작)된 것.
(4)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핸들)로부터 소정 시간(예컨대, 1분 정도의 장시간) 손을 뗀 것.
(5)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벗어난 것.
(6)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하차하는 움직임을 한 것 또는 하차한 것.
이 경우, 상기 (1)은,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도어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상기 (2)는, 안전벨트의 착탈을 검출하는 안전벨트 착탈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상기 (3)은, 시프트 레버의 조작 위치(선택 위치)를 검출하는 시프트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상기 (4)는, 핸들을 쥐고 있는(파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스티어링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상기 (5)는, 운전석의 하중을 검출하는 착좌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상기 (6)은, 운전자를 비추는 실내 카메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실내 카메라는, 예컨대 상기 (4), (5)도 검출할 수 있다. 어떻든 간에, 상기 (1)~(6)의 조건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출하면, 예컨대 이그니션 온인 상태에서도, 운전자에게 하차 의사가 있다고 판정하여, 주차 브레이크를 (자동적으로) 유지 작동시킨다.
또한, 운전자의 하차를 추정하는 조건으로서는, (1)~(6)의 각 조건을 조합하여 운전자의 하차를 추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이그니션 오프의 상태에서, 차량의 정차시에, 브레이크 페달 조작의 검출이나 운전자의 하차를 추정하는 검출 중 어느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 작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그니션 온인 상태에서, 차량의 정차시에, 운전자의 하차를 추정하는 검출이 이루어졌을 때에,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 작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파킹 스위치 이상 검출 수단에 의해서 파킹 스위치(18)의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는, 차량의 구동 장치가 주행 가능한 상태에서, 차량의 정차시에 운전자가 주행을 계속하지 않음을 추정하는 조건을 검출한 경우에, 전동 액추에이터(43)를 작동시켜, 주차 브레이크를 (자동적으로) 유지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장치가 주행 가능한 상태란, 주행용의 엔진이 탑재된 차량이라면, 예컨대 이그니션 온인 상태, 즉, 주행용의 엔진이 시동되어 회전축(크랭크축)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적어도 아이들링 상태)를 말한다. 주행용의 엔진과 주행용의 전동 모터가 탑재된 (하이브리드식의) 차량이라면, 예컨대 주행 가능 모드(레디 모드, 파워온 모드)의 상태, 즉, 엔진이 시동되어 회전축(크랭크축)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와 주행용의 전동 모터에 의한 주행이 가능한 상태 중의 적어도 한쪽을 만족하는 상태를 말한다. 주행용 전동 모터만이 탑재된 차량이라면, 예컨대 주행 가능 모드(레디 모드, 파워온 모드)의 상태, 즉, 주행용 전동 모터에 의한 주행이 가능한 상태(내지 축전 장치에 의한 전장품, 보조 기계의 구동이 가능한 상태), 즉, 차량의 기동 스위치가 온인 상태를 말한다.
어떻든 간에, 구동 장치가 주행 가능한 상태에서, 차량의 정차시에 운전자가 주행을 계속하지 않음을 추정하는 조건을 검출한 경우, 예컨대, 브레이크 페달(6)이 소정 시간 밟힌 경우, 상기 (1)~(6)이 검출된 경우 등에, 운전자가 비운전(非運轉) 의사가 있다고 추정하여,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운전자를 비추는 실내 카메라에 의해 운전자의 시선이 소정 시간 전방에 없음이 검출된 경우, 운전자의 눈이 소정 시간 감겨 있음이 검출된 경우 등에도, 운전자가 비운전 의사가 있다고 추정하여,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서 행해지는 도 4 및 도 5의 제어 처리에 관해서는 후에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이그니션(IGN)의 온/오프 정보, 차륜속 센서나 차속 센서에 의한 차량 속도의 정보, 브레이크 페달 조작 검출 센서(6A)에 의한 브레이크 페달(6)의 조작(밟아누름) 정보, 시프트 센서(셀렉트 센서, 트랜스미션 센서)에 의한 트랜스미션의 위치(시프트 레버의 위치) 정보, 도어 센서에 의한 도어 개폐 정보, 안전벨트 센서에 의한 안전벨트의 착탈 정보, 스티어링 센서(핸들 센서)에 의한 스티어링 휠 유지(파지) 정보, 착좌 센서에 의한 이착좌 정보, 실내 카메라에 의한 운전자의 정보 등의 차량 정보는, 예컨대 차량 데이터 버스(16)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이어서, 좌우의 후륜(3, 3) 측에 설치되는 전동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갖춘 디스크 브레이크(31, 31)의 구성에 관해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도 3에서는, 좌우의 후륜(3, 3)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되는 좌우의 디스크 브레이크(31, 31) 중 한쪽만을 대표예로서 도시한다.
차량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각각 브레이크 기구로서의 한 쌍의 디스크 브레이크(31)는, 전동식의 주차 브레이크 기능이 부설된 액압식의 디스크 브레이크로서 구성된다. 디스크 브레이크(31)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와 함께 브레이크 시스템(전동 브레이크 장치)을 구성한다. 디스크 브레이크(31)는, 차량 후륜(3) 측의 비회전 부분에 부착되는 부착 부재(32)와, 마찰 부재로서의 내측, 외측의 브레이크 패드(33)와, 전동 액추에이터(43)가 설치되는 캘리퍼(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디스크 브레이크(31)는, 브레이크 패드(33)를 브레이크 페달(6)의 조작에 기초하여 피스톤(39)으로 추진함으로써, 브레이크 패드(33)를 디스크 로터(4)에 압박하여, 차륜(후륜(3))에 제동력을 부여한다. 이에 더하여, 디스크 브레이크(31)는, 파킹 스위치(18)나 상술한 주차 브레이크 유지의 판단 논리에 기초한 제동 요구 신호에 따라서, 전동 액추에이터(43)에 의해(회전 직동 변환 기구(40)를 통해) 피스톤(39)을 추진함으로써, 브레이크 패드(33)를 디스크 로터(4)에 압박하여, 차륜(후륜(3))에 주차 브레이크로서의 제동력을 부여한다.
부착 부재(32)는, 디스크 로터(4)의 외주를 걸치는 식으로 디스크 로터(4)의 축 방향(즉, 디스크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디스크 둘레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아암부(도시하지 않음)와, 이 각 아암부의 기단 측을 일체적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디스크 로터(4)의 내측이 되는 위치에서 차량의 비회전 부분에 고정되는 두터운 지지부(32A)와, 디스크 로터(4)의 외측이 되는 위치에서 상기 각 아암부의 선단 측을 상호 연결하는 보강 빔(32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측, 외측의 브레이크 패드(33)는 마찰 부재를 구성하는 것으로, 디스크 로터(4)의 양면에 접촉할 수 있게 배치되며, 부착 부재(32)의 각 아암부에 의해 디스크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다. 내측, 외측의 브레이크 패드(33)는, 캘리퍼(34)(캘리퍼 본체(35), 피스톤(39))에 의해 디스크 로터(4)의 양면 측에 압박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패드(33)는, 차륜(후륜(3))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 로터(4)를 압박함으로써 차량에 제동력을 부여한다.
부착 부재(32)에는, 디스크 로터(4)의 외주 측을 걸치는 식으로 캘리퍼(34)가 배치된다. 캘리퍼(34)는, 부착 부재(32)의 각 아암부에 대하여 디스크 로터(4)의 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는 캘리퍼 본체(35), 이 캘리퍼 본체(35)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는 피스톤(39)에 더하여,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 전동 액추에이터(43) 등을 갖추고 있다. 캘리퍼(34)는, 브레이크 페달(6)의 조작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액압에 의해서 작동하는 피스톤(39)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패드(33)를 추진한다.
캘리퍼 본체(35)는, 실린더부(36)와 브릿지부(37)와 후크부(38)를 구비한다. 실린더부(36)는, 축선 방향의 일측이 격벽부(36A)에 의해서 폐색되고 디스크 로터(4)에 대향하는 타측이 개구되는, 바닥을 가진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브릿지부(37)는, 디스크 로터(4)의 외주 측을 걸치는 식으로 상기 실린더부(36)로부터 디스크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후크부(38)는, 실린더부(36)와 반대쪽에서 브릿지부(37)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캘리퍼 본체(35)의 실린더부(36)는, 도 1에 도시하는 브레이크 측의 배관부(12C 또는 12D)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6)의 밟아누름 조작 등에 따른 액압이 공급된다. 이 실린더부(36)는 격벽부(36A)와 일체로 형성된다. 격벽부(36A)는 실린더부(36)와 전동 액추에이터(43) 사이에 위치한다. 격벽부(36A)는 축선 방향의 관통 구멍을 가지며, 격벽부(36A)의 내주 측에는, 전동 액추에이터(43)의 출력축(43B)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캘리퍼 본체(35)의 실린더부(36) 내에는, 압박 부재(이동 부재)로서의 피스톤(39)과,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가 설치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가 피스톤(39) 내에 수용된다. 단,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는, 피스톤(39)을 추진하도록 구성되면 되며, 반드시 피스톤(39) 내에 수용되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피스톤(39)은, 축선 방향의 일측이 개구되고, 내측의 브레이크 패드(33)에 대면하는, 축선 방향의 타측이 덮개부(39A)에 의해서 폐색된다. 피스톤(39)은 실린더부(36) 내에 삽입된다. 또한,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는 피스톤(39)의 내부에 수용되고, 피스톤(39)은, 상기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에 의해 실린더부(36)의 축선 방향으로 추진되도록 구성된다.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는, 차륜(후륜(3))을 회전 불능으로 유지하거나 또는 해제할 수 있게 전동 액추에이터(43)에 의해 조작되는 파킹 기구를 구성한다. 바꿔 말하면,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는, 전동 액추에이터(43)의 구동(회전)에 기초하여, 피스톤(39) 및 브레이크 패드(33)의 위치를 유지하거나 또는 해제하는 압박 부재 유지 기구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는, 실린더부(36) 안으로의 액압 부가에 의해서 생기는 힘과는 다른 외력, 즉, 전동 액추에이터(43)에 의해 발생되는 힘에 의해서 캘리퍼(34)의 피스톤(39)을 추진시킴과 더불어, 추진된 피스톤(39) 및 브레이크 패드(33)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주차 브레이크는 유지 상태(어플라이 상태)가 된다. 한편,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는, 전동 액추에이터(43)에 의해 피스톤(39)을 추진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후퇴시켜,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 상태로 한다. 그리고, 좌우의 후륜(3)용으로 좌우의 디스크 브레이크(31)가 각각 설치되기 때문에,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 및 전동 액추에이터(43)도 차량의 좌우에 각각에 설치된다.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는, 사다리꼴 나사 등의 수나사가 형성되는 막대형상체를 갖는 나사 부재(41)와, 사다리꼴 나사에 의해서 형성되는 암나사 구멍이 내주 측에 형성되는 추진 부재가 되는 직동 부재(42)에 의해 구성된다. 즉, 직동 부재(42)의 내주 측에 나합되는 나사 부재(41)는, 전동 액추에이터(43)에 의한 회전 운동을 직동 부재(42)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나사 기구를 구성한다. 이 경우, 직동 부재(42)의 암나사와 나사 부재(41)의 수나사는, 불가역성이 큰 나사, 실시형태에서는, 사다리꼴 나사를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파킹 기구를 구성한다.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는, 전동 액추에이터(43)에 대한 급전을 정지한 상태라도, 직동 부재(42)(즉, 피스톤(39))를 임의의 위치에서 마찰력(유지력)에 의해서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는, 전동 액추에이터(43)에 의해 추진된 위치에 피스톤(39)을 유지할 수 있으면 되며, 예컨대, 사다리꼴 나사 이외의 불가역성이 큰 통상의 삼각 단면의 나사나 웜기어로 하여도 좋다.
직동 부재(42)의 내주 측에 나사결합되어 설치되는 나사 부재(41)에는, 축선 방향의 일측에 대직경의 플랜지부인 플랜지부(41A)가 형성된다. 나사 부재(41)의 축선 방향의 타측은, 피스톤(39)의 덮개부(39A)를 향해서 연장된다. 나사 부재(41)는, 플랜지부(41A)에 있어서 전동 액추에이터(43)의 출력축(43B)에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또 직동 부재(42)의 외주 측에는, 직동 부재(42)를 피스톤(39)에 대하여 돌림 방지(상대 회전을 규제)하면서, 직동 부재(42)가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맞물림 돌출부(42A)가 형성된다.
전동 모터(전동 기구,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로서의 전동 액추에이터(43)는 케이싱(43A) 내에 설치된다. 이 케이싱(43A)은 캘리퍼 본체(35)의 실린더부(36)에 격벽부(36A)의 외측 위치에서 고정하여 설치된다. 전동 액추에이터(43)는, 상술한 작동 요구 신호(유지의 작동 요구 신호, 해제의 작동 요구 신호)에 따라서 디스크 브레이크(31)를 작동(유지·해제)시킴으로써, 스테이터, 로터 등을 내장하는 모터와, 이 모터의 토크를 증대하는 감속기(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속기는, 증대 후의 회전 토크를 출력하는 출력축(43B)을 갖는다. 출력축(43B)은 실린더부(36)의 격벽부(36A)를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되고, 나사 부재(41)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실린더부(36) 내에서 나사 부재(41)의 플랜지부(41A)의 단부에 연결된다.
출력축(43B)과 나사 부재(41)를 연결하는 수단은, 예컨대 축선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지만 회전 방향으로는 회전 방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예컨대 스플라인 감합이나 다각형 기둥에 의한 감합(비원형 감합) 등의 공지된 기술이 이용된다. 또한 감속기로서는, 예컨대, 유성기어 감속기나 웜기어 감속기 등이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웜기어 감속기 등, 역작동성이 없는(불가역성의) 공지된 감속기를 이용하는 경우는,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로서, 볼 나사나 볼 램프 기구 등, 가역성이 있는 공지된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예컨대, 가역성의 회전 직동 변환 기구와 불가역성의 감속기에 의해 파킹 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운전자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파킹 스위치(18)를 조작했을 때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를 통해 전동 액추에이터(43)(의 모터)에 급전되어, 전동 액추에이터(43)의 출력축(43B)이 회전하게 된다. 이 때문에,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의 나사 부재(41)는, 한 방향으로 출력축(43B)과 일체로 회전하게 되어, 직동 부재(42)를 통해 피스톤(39)을 디스크 로터(4) 측으로 추진(구동)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 브레이크(31)는, 디스크 로터(4)를 내측 및 외측의 브레이크 패드(33) 사이에 끼이도록 파지하여, 전동식의 주차 브레이크로서 제동력을 부여한 상태, 즉, 유지 상태(어플라이 상태)가 된다.
한편, 파킹 스위치(18)가 제동 해제 측으로 조작되었을 때는, 전동 액추에이터(43)에 의해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의 나사 부재(41)가 다른 방향(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에 따라, 직동 부재(42)(및 액압 부가가 없으면 피스톤(39))는 디스크 로터(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동되어, 디스크 브레이크(31)는, 주차 브레이크로서의 제동력의 부여가 해제된 상태, 즉, 해제 상태(릴리스 상태)가 된다.
이 경우,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에서는, 나사 부재(41)가 직동 부재(42)에 대하여 상대 회전될 때, 피스톤(39) 내에서의 직동 부재(42)의 회전이 규제되기 때문에, 직동 부재(42)는, 나사 부재(41)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에 따라,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직동 부재(42)에 의해 피스톤(39)이 추진된다. 또 이와 함께,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는, 직동 부재(42)를 임의의 위치에서 나사 부재(41)와의 마찰력에 의해서 유지함으로써, 피스톤(39) 및 브레이크 패드(33)를 전동 액추에이터(43)에 의해 추진된 위치에 유지한다.
실린더부(36)의 격벽부(36A)와 나사 부재(41)의 플랜지부(41A) 사이에는, 쓰러스트 베어링(44)이 마련된다. 이 쓰러스트 베어링(44)은, 격벽부(36A)와 함께 나사 부재(41)로부터의 쓰러스트 하중을 받아, 격벽부(36A)에 대한 나사 부재(4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실린더부(36)의 격벽부(36A)에는, 전동 액추에이터(43)의 출력축(43B)과의 사이에 시일 부재(45)가 마련되고, 이 시일 부재(45)는, 실린더부(36) 내의 브레이크액이 전동 액추에이터(43) 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양자 사이를 시일한다.
또 실린더부(36)의 개구단 측에는, 이 실린더부(36)와 피스톤(39) 사이를 시일하는 탄성 시일로서의 피스톤 시일(46)과, 실린더부(36) 안으로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막는 더스트 부츠(47)가 마련된다. 더스트 부츠(47)는, 가요성을 갖은 주름상자형의 시일 부재이며, 실린더부(36)의 개구단과 피스톤(39)의 덮개부(39A) 측의 외주와의 사이에 부착된다.
또한, 전륜(2)용의 디스크 브레이크(5)는, 주차 브레이크 기구를 제외하고, 후륜(3)용의 디스크 브레이크(31)와 거의 같은 구성된다. 즉, 전륜(2)용의 디스크 브레이크(5)는, 후륜(3)용의 디스크 브레이크(31)가 구비하는, 주차 브레이크로서 작동하는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 및 전동 액추에이터(43) 등을 구비하지 않는다. 그러나, 디스크 브레이크(5) 대신에, 전륜(2)용으로 전동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갖춘 디스크 브레이크(31)가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전동 액추에이터(43)를 갖는 액압식의 디스크 브레이크(31)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예컨대, 전동 캘리퍼를 갖는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전동 액추에이터에 의해 슈를 드럼에 꽉 눌러 제동력을 부여하는 전동식 드럼 브레이크, 전동 드럼식의 주차 브레이크를 갖는 디스크 브레이크, 전동 액추에이터로 케이블을 잡아당김으로써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 작동시키는 구성 등, 전동 액추에이터(전동 모터)의 구동에 기초하여 마찰 부재(패드, 슈)를 회전 부재(디스크 로터, 드럼)에 압박(추진)하고, 그 압박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파킹 기구가 설치되는 브레이크 기구라면, 그 구성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구성이 아니어도 된다.
실시형태에 의한 4륜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상술한 것과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이며, 이어서 그 작동에 관해서 설명한다.
차량의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6)을 밟아누름 조작하면, 그 밟는 힘이 배력 장치(7)를 통해 마스터 실린더(8)에 전달되고, 마스터 실린더(8)에 의해서 브레이크 액압이 발생한다. 마스터 실린더(8) 내에서 발생한 액압은, 실린더 측의 액압 배관(10A, 10B), ESC(11) 및 브레이크 측의 배관부(12A, 12B, 12C, 12D)를 통해 각 디스크 브레이크(5, 31)로 분배되어, 좌우의 전륜(2)과 좌우의 후륜(3)에 각각 제동력이 부여된다.
후륜(3)용의 디스크 브레이크(31)에 관해서 설명한다. 캘리퍼(34)의 실린더부(36) 내에 브레이크 측의 배관부(12C, 12D)를 통해 액압이 공급되고, 실린더부(36) 내의 액압 상승에 따라서 피스톤(39)이 내측의 브레이크 패드(33)를 향해서 미끄럼 이동하는 식으로 변위한다. 이에 따라, 피스톤(39)은, 내측의 브레이크 패드(33)를 디스크 로터(4)의 일 측면에 대하여 압박한다. 이 때의 반력에 의해서, 캘리퍼(34) 전체가 부착 부재(32)의 상기 각 아암부에 대하여 내측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식으로 변위한다.
이 결과, 캘리퍼(34)의 외측 아암부(후크부(38))는, 외측의 브레이크 패드(33)를 디스크 로터(4)에 대하여 압박하도록 동작하고, 디스크 로터(4)는,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33)에 의해서 축선 방향의 양측에서 끼이도록 파지된다. 이에 따라, 액압에 기초한 제동력이 발생된다. 한편, 브레이크 조작이 해제되었을 때는, 실린더부(36) 안으로의 액압 공급이 정지됨으로써, 피스톤(39)이 실린더부(36) 안으로 후퇴하도록 변위한다. 이에 따라, 내측과 외측의 브레이크 패드(33)가 디스크 로터(4)로부터 각각 이격되어, 차량은 비제동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어서, 차량의 운전자가 파킹 스위치(18)를 제동 측(온)으로 조작했을 때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로부터 디스크 브레이크(31)의 전동 액추에이터(43)에 급전이 이루어져, 전동 액추에이터(43)의 출력축(43B)이 회전 구동된다. 전동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갖춘 디스크 브레이크(31)는, 전동 액추에이터(43)의 회전 운동을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의 나사 부재(41)를 통해 직동 부재(42)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고, 직동 부재(42)를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스톤(39)을 추진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33)가 디스크 로터(4)의 양면에 대하여 압박된다.
이 때, 직동 부재(42)는, 피스톤(39)으로부터 전달되는 압박 반력을 수직 항력으로 한, 나사 부재(41)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유지력)에 의해 제동 상태로 유지되고, 후륜(3)용의 디스크 브레이크(31)는 주차 브레이크로서 작동(어플라이)된다. 즉, 전동 액추에이터(43)에의 급전을 정지한 후에도, 직동 부재(42)의 암나사와 나사 부재(41)의 수나사에 의해, 직동 부재(42)(나아가서는 피스톤(39))은 제동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운전자가 파킹 스위치(18)를 제동 해제 측(오프)으로 조작했을 때에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로부터 전동 액추에이터(43)에 대하여 모터가 역회전하도록 급전되어, 전동 액추에이터(43)의 출력축(43B)은,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시(어플라이시)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나사 부재(41)와 직동 부재(42)에 의한 제동력의 유지가 해제되어,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는, 전동 액추에이터(43)의 역회전량에 대응한 이동량으로 직동 부재(42)를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즉, 실린더부(36) 안으로 이동시켜, 주차 브레이크(디스크 브레이크(31))의 제동력을 해제한다.
그런데, 파킹 스위치(18)가 고장 났을 때에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어플라이)를 할 수 없게 되면 불편하다. 한편, 파킹 스위치(18)가 고장이 난 경우에, 이그니션 오프를 조건으로,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자동적으로 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는, 운전자가 다른 탑승자를 남겨두고 차량에서 떠날 때에,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하기 위해서, 이그니션 오프를 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에어컨(차내 공기 조절 장치)을 운전할 수 없게 되어, 예컨대 혹서나 혹한일 때는 탑승자에게 과도한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실시형태에서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파킹 스위치(18)의 고장(이상)이 검출되면, 차량의 정차시에 운전자가 주행을 계속하지 않음을 추정하는 조건을 검출한 경우에,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하도록 전동 액추에이터(43)를 구동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연산 회로(20)에서 행해지는 제어 처리(파킹 스위치(18) 이상일 때의 주차 브레이크의 자동 유지 처리)에 관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처리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 통전하고 있는 동안, 소정의 제어 주기로, 즉 소정 시간(예컨대, 10 ms)마다 반복해서 실행된다.
이 경우,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의 통전은, 예컨대, 운전자의 파워 스위치, 키 스위치 등(이그니션 스위치(50))의 조작에 의한 액세서리 온(ACC 모드), 이그니션 온(레디 모드), 전원 온(온 모드) 등의 시스템 기동(차량 시스템의 기동,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기동)에 의해 시작된다.
한편,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의 통전의 종료(정지)는, 운전자의 파워 스위치, 키 스위치 등의 조작에 의한 이그니션 오프(전원 오프, 잠금)가 이루어진 후, 즉시 종료하는 것은 아니고, 운전자의 조작 후, 어느 정도의 시간(소정 시간: 예컨대 5분 정도) 경과한 후에 종료한다. 이 이유는, 운전자의 파워 스위치, 키 스위치 등의 조작에 의한 이그니션 오프(전원 오프, 잠금) 후에도,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 작동, 및 도 4 및 도 5의 처리에 의한 주차 브레이크의 자동적인 유지 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의 통전에 의해, 도 4의 처리 동작이 스타트되면, 연산 회로(20)는, S1에서, 파킹 스위치(18)가 고장이 났는지 여부(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예컨대, 파킹 스위치(18)의 전압치를 토대로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파킹 스위치(18)의 전압치가, 어플라이 조작할 때의 전압치와 릴리스 조작할 때의 전압치와 조작이 없을 때의 전압치의 어느 전압치에 대해서도 벗어난(틀어진) 경우에, 파킹 스위치(18)의 고장(이상)으로 판정할 수 있다.
S1에서 「예」, 즉, 파킹 스위치(18)가 고장이 났다(이상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는, S2로 진행한다. S2에서는, 차량이 정차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것은 차량의 속도(차속)를 토대로 판정할 수 있다. 즉, 차속이, 예컨대, 주행 중에 감속에 따라 4 km/h 미만인 상태가 소정 시간(예컨대, 30 ms) 계속된 경우에 차량이 정지 중이라고 판정하고, 정차에서부터 증속에 따라 5 km/h 이상의 상태가 소정 시간(예컨대, 30 ms) 계속된 경우에 차량이 주행 중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 차속은, 예컨대, 차량 데이터 버스(16)로부터 취득되는 차륜(2, 3)의 속도(차륜속)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차륜속 이외에도, 예컨대 차량의 트랜스미션의 회전축의 회전 속도로부터 구해지는 차속 등의 다른 차속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S2에서 「예」, 즉, 차량이 정차 중이라고 판정된 경우는, S3으로 진행한다. S3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발진 조작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예컨대, 운전자가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밟았는지 여부, 운전자가 시프트 레버(셀렉트 레버, 셀렉트 스위치)를 주행 상태(D, R, L, 1속 내지 7속 중 어느 것 등)로 조작했는지 여부 등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조작 정보, 시프트 레버의 조작 위치(선택 위치) 정보는, 예컨대 차량 데이터 버스(16)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S3에서 「아니오」, 즉, 운전자에 의한 발진 조작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는, S4로 진행한다. S4에서는, 이그니션(IGN)의 전환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직전의 제어 주기의 이그니션(IGN)의 상태와 이번의 제어 주기의 이그니션(IGN)의 상태가 상이한지 여부, 구체적으로는, 직전의 제어 주기가 이그니션 온(IGN_ON)이고 이번의 제어 주기가 이그니션 오프(IGN_OFF)인지 여부, 또는 직전의 제어 주기가 이그니션 오프(IGN_OFF)이고 이번의 제어 주기가 이그니션 온(IGN_ON)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그니션의 온/오프 정보는, 예컨대 차량 데이터 버스(16)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S4에서 「아니오」, 즉, 이그니션(IGN)의 전환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는, S5, S6을 거치지 않고 S7로 진행한다. 한편, S4에서 「예」, 즉, 이그니션(IGN)의 전환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는, S5, S6으로 진행한다. S5에서는, 운전자가 주행을 계속하지 않음을 추정하는 조건이 되는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를 0으로 한다(리셋한다). S6에서는, 운전자가 주행을 계속하지 않음을 추정하는 조건이 되는 「하차 또는 비운전용 카운터」를 0으로 한다(리셋한다).
S4 또는 S6에 이어지는 S7에서는, 브레이크를 밟는 중(브레이크 페달(6)의 밟아누름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브레이크 페달(6)의 조작은, 브레이크 페달 조작 검출 센서(6A)로부터 (차량 데이터 버스(16)를 통해) 취득할 수 있다.
S7에서 「예」, 즉, 브레이크를 밟는 중이라고 판정된 경우는, S8로 진행하여,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의 값에 1을 더한다(카운트업한다). 한편, S7에서 「아니오」, 즉, 브레이크를 밟는 중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는, S9로 진행하여,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의 값을 0으로 한다(리셋한다).
S8 또는 S9에 이어지는 S10에서는, 운전자의 하차 또는 비운전을 추정하는 조건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운전자의 하차를 추정하는 조건에 대응하는 운전자의 하차 의사(하차하려고 하고 있는 것 및/또는 하차한 것)는, 예컨대, 차량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어가 열린 것, 안전벨트가 벗겨진 것, 시프트 레버가 파킹(P) 위치로 조작된 것, 스티어링 휠(핸들)에서 손을 소정 시간 뗀 것, 운전자가 자리를 벗어난 것, 운전자가 하차하는 움직임을 한 것, 운전자가 하차한 것 등이 검출된 경우에, 그 의사가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비운전을 추정하는 조건에 대응하는 운전자의 비운전 의사는, 예컨대, 운전자의 하차 의사와 같은 상태가 검출됨으로써, 그 의사가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를 비추는 실내 카메라에 의해 운전자의 시선이 소정 시간 전방에 없는 것, 운전자가 소정 시간 눈을 감고 있는 것 등이 검출되었을 때에, 운전자의 비운전 의사가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운전자의 하차 의사, 운전자의 비운전 의사를 추정하기 위한 정보(조건)는, 예컨대 차량 데이터 버스(16)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S10에서 「예」, 즉, 운전자의 하차 또는 비운전을 추정하는 조건이 검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는, S11로 진행하여, 「하차 또는 비운전용 카운터」의 값에 1을 더한다(카운트업한다). 한편, S10에서 「아니오」, 즉, 운전자의 하차 또는 비운전을 추정하는 조건이 검출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는, S12로 진행하여, 「하차 또는 비운전용 카운터」의 값을 0으로 한다(리셋한다).
한편, S1에서 「아니오」, 즉, 파킹 스위치(18)가 고장 나지 않았다(이상 없다)고 판정된 경우, S2에서 「아니오」, 즉, 차량이 정차 중이 아니라(주행 중이라)고 판정된 경우, 및 S3에서 「예」, 즉, 운전자에 의한 발진 조작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는, 모두 S13, S14로 진행한다. S13에서는,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의 값을 0으로 하고(리셋하고), 이어지는 S14에서는, 「하차 또는 비운전용 카운터」의 값을 0으로 한다(리셋한다).
S11, S12 또는 S14에 이어지는 S15에서는, 이그니션 온(IGN_ON)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그니션 온/오프의 정보는, 예컨대 차량 데이터 버스(16)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S15에서 「예」, 즉, 이그니션 온이라고 판정된 경우는, S16으로 진행하여,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가 「이그니션 온일 때의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이그니션 온일 때의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 임계치」는, 이그니션 온일 때에, 브레이크 페달(6)이 밟히고 나서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 작동이 자동적으로 시작될 때까지의 소정 시간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그니션 온일 때의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 임계치」는, 이그니션 온인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가 필요하게 될 때(운전자나 탑승자가 원할 때)에,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할 수 있도록, 예컨대, 실험, 계산, 시뮬레이션 등에 의해 바람직한 값을 미리 설정해 둔다.
「이그니션 온일 때의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 임계치」는, 후술하는 S18에서 이용하는 「이그니션 오프일 때의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 임계치」보다도 큰 값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 작동이 자동적으로 시작될 때까지의 브레이크 페달(6)의 밟기 시간이 되는 소정 시간을, 이그니션 온일 때에, 이그니션 오프일 때와 비교하여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이그니션 온일 때의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 임계치」는, 차량의 상태나 운전자의 조작 상황에 따라서 가변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시프트 레버의 선택 위치가 주행 상태(D, R, L, 1속 내지 7속 중 어느 것 등)일 때의 임계치를, 시프트 레버의 위치가 비주행 상태(P, N)일 때의 임계치와 비교하여, 크게 할 수 있다.
S16에서 「예」, 즉,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가 「이그니션 온일 때의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는, S20로 진행하여, 자동 어플라이 지령을 출력한다. 즉,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지령을 토대로, 전동 액추에이터(43)를 제동 측으로 회전시켜,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 작동시킨다.
한편, S16에서 「아니오」, 즉,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가 「이그니션 온일 때의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 임계치」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는, S17로 진행한다. S17에서는, 「하차 또는 비운전용 카운터」가 「이그니션 온일 때의 하차 또는 비운전용 카운터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이그니션 온일 때의 하차 또는 비운전용 카운터 임계치」는, 이그니션 온일 때에, 운전자의 하차 또는 비운전을 추정하는 조건이 검출되고 나서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 작동이 자동적으로 시작될 때까지의 소정 시간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그니션 온일 때의 하차 또는 비운전용 카운터 임계치」도, 이그니션 온인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가 필요하게 될 때(운전자나 탑승자가 원할 때)에,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할 수 있도록, 예컨대, 실험, 계산, 시뮬레이션 등에 의해 바람직한 값을 미리 설정해 둔다.
S17에서 「예」, 즉, 「하차 또는 비운전용 카운터」가 「이그니션 온일 때의 하차 또는 비운전용 카운터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는, S20으로 진행하여, 자동 어플라이 지령을 출력한다. 즉,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지령을 토대로, 전동 액추에이터(43)를 제동 측으로 회전시켜,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 작동시킨다.
한편, S17에서 「아니오」, 즉, 「하차 또는 비운전용 카운터」가 「이그니션 온일 때의 하차 또는 비운전용 카운터 임계치」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는, S20을 거치지 않고 리턴으로 진행하여, 스타트를 통해 S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S15에서 「아니오」, 즉, 이그니션 온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는, S18로 진행하여,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가 「이그니션 오프일 때의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이그니션 오프일 때의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 임계치」는, 이그니션 오프일 때에, 브레이크 페달(6)이 밟히고 나서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 작동이 자동적으로 시작될 때까지의 소정 시간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그니션 오프일 때의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 임계치」는, 이그니션 오프의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가 필요하게 될 때(운전자나 탑승자가 원할 때)에,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할 수 있도록, 예컨대, 실험, 계산, 시뮬레이션 등에 의해 바람직한 값을 미리 설정해 둔다.
S18에서 「예」, 즉,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가 「이그니션 오프일 때의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는, S20으로 진행하여, 자동 어플라이 지령을 출력한다. 즉,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지령을 토대로, 전동 액추에이터(43)를 제동 측으로 회전시켜,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 작동시킨다.
한편, S18에서 「아니오」, 즉,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가 「이그니션 오프일 때의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 임계치」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는, S19로 진행한다. S19에서는, 「하차 또는 비운전용 카운터」가 「이그니션 오프일 때의 하차 또는 비운전용 카운터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이그니션 오프일 때의 하차 또는 비운전용 카운터 임계치」는, 이그니션 오프일 때에, 운전자의 하차 또는 비운전을 추정하는 조건이 검출되고 나서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 작동이 자동적으로 시작될 때까지의 소정 시간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그니션 오프일 때의 하차 또는 비운전용 카운터 임계치」도, 이그니션 오프의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가 필요하게 될 때(운전자나 탑승자가 원할 때)에,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할 수 있도록, 예컨대, 실험, 계산, 시뮬레이션 등에 의해 바람직한 값을 미리 설정해 둔다.
S19에서 「예」, 즉, 「하차 또는 비운전용 카운터」가 「이그니션 오프일 때의 하차 또는 비운전용 카운터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는, S20으로 진행하여, 자동 어플라이 지령을 출력한다. 즉,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지령을 토대로, 전동 액추에이터(43)를 제동 측으로 회전시켜,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 작동시킨다.
한편, S19에서 「아니오」, 즉, 「하차 또는 비운전용 카운터」가 「이그니션 오프일 때의 하차 또는 비운전용 카운터 임계치」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는, S20을 거치지 않고서 리턴으로 진행하여, 스타트를 통해 S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실시형태에서는, 파킹 스위치(18)가 고장 나더라도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할 수 있어, 차량의 정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실시형태에서는, 파킹 스위치(18)가 고장 났을 때(이상이라고 판정했을 때)는, 차량이 정차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6)이 소정 시간 밟히고 있는 경우, 또는 차량이 정차한 상태에서 운전자의 하차 내지 비운전을 추정하는 조건을 검출한 경우에, 전동 액추에이터(43)를 제동 측으로 작동시켜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킹 스위치(18)가 고장 나더라도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할 수 있어, 차량의 정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파킹 스위치(18)가 고장 났을 때(이상이라고 판정했을 때)는, 구동 장치가 되는 엔진이 주행 가능한 상태(이그니션 온인 상태)에서, 차량이 정차하고 있을 때에, 운전자가 주행을 계속하지 않음을 추정하는 조건(브레이크 페달(6)이 소정 시간 밟힌 것이나 운전자의 하차 내지 비운전을 추정하는 조건)을 검출한 경우에, 전동 액추에이터(43)를 제동 측으로 작동시켜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킹 스위치(18)가 고장 나더라도, 구동 장치가 주행 가능한 상태(이그니션 온인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차내 공기 조절 장치(에어컨)를 운전한 상태에서, 차량의 정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파킹 스위치(18)가 고장 나더라도, 혹서나 혹한 중에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이그니션 온일 때에, 오프일 때와 비교하여 소정 시간을 길게 설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이그니션 온일 때에,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가 불필요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이그니션 온일 때에, 트랜스미션의 위치가 되는 시프트 레버의 선택 위치가 주행 상태(D, R, L, 1속 내지 7속 중 어느 것 등)일 때에, 주행 상태 이외(비주행 상태: P, N)의 것을 선택하고 있을 때와 비교하여 소정 시간을 길게 설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단시간의 정차와 주행이 반복될 때, 예컨대 정체 주행 중에,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가 불필요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운전자의 하차를 추정하는 조건은, 차량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어가 열린 것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는,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차량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어가 열렸을 때에,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킹 스위치(18)가 고장 났을 때에도,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가 필요하게 될 때(운전자나 탑승자가 원할 때)에,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운전자의 하차를 추정하는 조건은,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운전자의 안전벨트가 벗겨진 것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는,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운전자의 안전벨트가 벗겨졌을 때에,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킹 스위치(18)가 고장 났을 때에도,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가 필요하게 될 때(운전자나 탑승자가 원할 때)에,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운전자의 하차를 추정하는 조건은, 트랜스미션의 위치가 되는 시프트 레버의 위치가 파킹 위치(P)로 선택된 것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는,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트랜스미션이 파킹 위치(P)로 선택되었을 때에,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파킹 스위치(18)가 고장 났을 때에도,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가 필요하게 될 때(운전자나 탑승자가 원할 때)에,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4의 S1의 처리가 본 발명의 구성 요건인 파킹 스위치 이상 검출 수단의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S4의 처리에서 이그니션(IGN)의 전환이 있다(YES)고 판정되면, S5의 처리에서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를 0으로 하고(리셋하고), S6의 처리에서 「하차 또는 비운전용 카운터」를 0으로 하는(리셋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S4, S5, S6의 처리를 생략하고, S3에서 「아니오」라고 판정된 경우는 S7로 진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S15에서 「아니오」, 즉, 이그니션 온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는, S18 또는 S19에서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 또는 「하차 또는 비운전용 카운터」가 그 임계치 이상이라(YES)고 판정되면, S20으로 진행하여,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즉, 실시형태에서는, 이그니션 온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브레이크 밟기용 카운터」 또는 「하차 또는 비운전용 카운터」가 그 임계치 이상임을 조건으로,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S15에서 「아니오」라고 판정되면, S18 또는 S19의 처리를 거치지 않고서 S20으로 진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이그니션 온이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때,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그니션 오프나 액세서리 상태 등, 엔진 등의 구동 장치를 비구동 상태로 했을 때에,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어서, 도 6 및 도 7은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제2 실시형태의 특징은, 차량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파킹 스위치의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는, 그 열린 상태의 도어가 닫히고 다시 열렸을 때에 운전자의 하차를 추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있다. 또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파킹 스위치 이상 검출 수단에 의해서 파킹 스위치(18)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있어서,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차량의 도어(예컨대, 운전석의 도어)가 열리면, 이그니션 온이라도(즉, 이그니션 온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전동 액추에이터(43)를 작동시켜, 주차 브레이크를 (자동적으로) 유지 작동시킨다. 이 때문에, 예컨대, 차량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파킹 스위치(18)의 이상이 검출되면, 그 이상이 검출된 시점에서 전동 액추에이터(43)가 작동하여, 주차 브레이크가 유지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예컨대, 이그니션 온으로 하고 있었던 운전자에게 있어서는, 이상의 검출에 의해 예고 없이 주차 브레이크가 유지 작동하게 되어, 위화감을 줄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제2 실시형태의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어(예컨대, 운전석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파킹 스위치(18)의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는, 그 열린 상태의 도어가 닫히고 다시 열렸음을 조건으로, 전동 액추에이터(43)를 작동시켜, 주차 브레이크를 (자동적으로) 유지 작동시킨다. 여기서, 이 조건, 즉, 「열린 상태의 도어가 닫히고 다시 열린 것」은, 이그니션 온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운전자의 하차를 추정하는 조건으로 할 수 있다. 단, 상기 조건은, 이그니션 온일 때의 운전자의 하차를 추정하는 조건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제2 실시형태에서는, 이그니션 온이고, 차량 중 어느 하나의 도어가 열려 있으며 또한 파킹 스위치(18)의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는, 그 열린 상태의 도어가 닫히고 다시 열리면, 전동 액추에이터(43)를 작동시켜,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 작동시킨다. 한편, 이그니션 오프일 때는, 파킹 스위치(18)의 이상이 검출되면, 차량 중 어느 하나의 도어가 열렸음을 조건으로 전동 액추에이터(43)를 작동시켜,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 작동시킨다.
이러한 제어 처리를 하기 위해서, 제2 실시형태에서는, 도 4의 S10의 처리, 즉, 운전자의 하차 또는 비운전을 추정하는 조건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의 하나로서, 도 6의 처리를 행한다. 즉, 도 4의 S8 또는 S9를 통해 도 4의 S10으로 진행함으로써, 도 6의 처리가 스타트되면, 도 6의 S21에서는, 파킹 스위치(18)가 고장이 났는지 여부(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도 4의 S1과 같은 처리가 된다. 도 6의 S21에서 「아니오」, 즉, 파킹 스위치(18)가 고장 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S22로 진행하여, 하차 또는 비운전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또 이 경우, 예컨대, 운전자의 하차 또는 비운전을 추정하기 위한 다른 조건(상술한 (2) 내지 (6)의 조건)을 검출하는 처리로 진행되어도 좋다. 또는, 다른 조건을 검출하는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는, 도 6의 리턴을 통해, 도 4의 S12로 진행되어도 좋다.
한편 도 6의 S21에서 「예」, 즉, 파킹 스위치(18)가 고장이 났다고 판정되면, S23으로 진행한다. S23에서는, 이번의 제어 처리에서 차량의 도어(예컨대, 운전석의 도어)가 열린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예컨대, 도어 센서에 의한 도어의 개폐 정보를 차량 데이터 버스(16)로부터 취득하고, 이 취득한 정보를 토대로 행할 수 있다. S23에서 「아니오」, 즉, 이번의 제어 처리에서 차량의 도어가 열린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되면, S22로 진행한다. 한편, S23에서 「예」, 즉, 이번의 제어 처리에서 차량의 도어가 열린 상태라고 판정되면, S24로 진행한다.
S24에서는, 이그니션 온(IGN_ON)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도 5의 S15와 같은 처리가 된다. 도 6의 S24에서 「예」, 즉, 이그니션 온이라고 판정된 경우는, S25로 진행한다. 한편, S24에서 「아니오」, 즉, 이그니션 오프라고 판정된 경우는, S25를 거치는 일없이 S26으로 진행한다. S25에서는, 전회의 제어 처리에서 차량의 도어가 닫힌 상태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예컨대 전회의 제어 처리에서 기억부(21)에 기억된 도어의 개폐 정보를 토대로 판정할 수 있다.
S25에서 「아니오」, 즉, 전회의 제어 처리에서 차량의 도어가 닫힌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는, S22로 진행한다. 한편 S25에서 「예」, 즉, 전회의 제어 처리에서 차량의 도어가 닫힌 상태였다고 판정된 경우는, S26로 진행하여, 하차 또는 비운전 상태로 판정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는, 도 6의 리턴을 통해, 도 4의 S11로 진행한다.
도 7은 도어의 개폐와 주차 브레이크 유지의 관계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이 도 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이그니션 온이며 또한 도어가 열려 있을 때에, 도 7의 (a)의 시점에서, 파킹 스위치(18)의 이상이 검출되더라도, S25에 의해 「아니오」라고 판정된다. 이에 따라, (a)의 시점에서는, 주차 브레이크가 유지 상태가 되지 않는다. 한편, 파킹 스위치(18)의 이상이 검출된 후, 도 7의 (b)의 시점에서, 도어가 닫힘에서 열림으로 되면, 도 6의 S25에서 「예」라고 판정된다. 이에 따라, 도 7의 (b)의 시점에서,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 작동(Applying)이 시작되고, 그 후, 주차 브레이크가 완전히 유지 상태가 되는 잠금 상태(Lock)가 된다.
제2 실시형태는, 상술한 것과 같은 도 6의 처리에 의해 하차 또는 비운전 상태를 판정하는 것이며, 그 기본적 작용에 관해서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것과 각별한 차이는 없다.
특히, 제2 실시형태에서는, 이그니션 온이고, 차량 중 어느 도어(예컨대, 운전석의 도어)가 열려 있으며 또한 파킹 스위치(18)의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는, 도 6의 S21~S25의 처리에 의해, 그 열린 상태의 도어가 닫히고 다시 열리면, 하차 또는 비운전 상태라고 판정된다. 그리고, 이 판정을 토대로 S20에서, 전동 액추에이터(43)가 작동하여,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그니션 온으로 하고 있었던 운전자에 대하여 위화감을 주는 것, 즉, 이상의 검출에 의해 예고 없이 주차 브레이크가 유지 작동됨에 따른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이그니션 오프이며 또한 도어가 열려 있을 때는, 운전자에게 차량을 발진시킬 의사가 없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는, S23, S24로 진행하고, S25를 거치지 않고서 S26으로 진행한다. 이 때문에, 이그니션 오프일 때는, 도어가 열림이라면, S26에서 하차 또는 비운전 상태라고 판정되고, 이 판정을 토대로, S20에서, 전동 액추에이터(43)가 작동하여,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그니션 오프일 때는, 도어가 열림임을 조건으로 신속히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좌우의 후륜 측의 브레이크를 전동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갖춘 디스크 브레이크(31)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모든 차륜(4륜 전부)의 브레이크를 전동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갖춘 디스크 브레이크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전동 주차 브레이크를 갖춘 액압식 디스크 브레이크(31)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액압의 공급이 불필요한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디스크 브레이크식의 브레이크 기구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드럼 브레이크식의 브레이크 기구로서 구성하여도 좋다. 또 예컨대, 디스크 브레이크에 드럼식의 전동 주차 브레이크를 설치한 드럼 인 디스크 브레이크, 전동 모터로 케이블을 잡아당김으로써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하는 구성 등, 브레이크 시스템의 파킹 기구 및 브레이크 기구는 각종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파킹 스위치가 고장 나더라도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할 수 있어, 차량의 정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실시형태에 따르면, 파킹 스위치가 고장 났을 때(이상이라고 판정했을 때)는, 차량이 정차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이 소정 시간 밟히고 있는 경우, 또는 차량이 정차한 상태에서 운전자의 하차를 추정하는 조건을 검출한 경우에, 차량의 기동 스위치가 오프일 때는 물론, 차량의 기동 스위치가 온이라도, 전동 모터를 작동시켜 파킹 기구에 의한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킹 스위치가 고장 나더라도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할 수 있어, 차량의 정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실시형태에 따르면, 파킹 스위치가 고장 났을 때(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때)는, 차량의 구동 장치가 주행 가능한 상태에서, 차량이 정차하고 있을 때에, 운전자가 주행을 계속하지 않음을 추정하는 조건을 검출한 경우에, 전동 모터를 작동시켜 파킹 기구에 의한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킹 스위치가 고장 나더라도, 구동 장치가 주행 가능한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차내 공기 조절 장치(에어컨)를 운전하는 상태에서 차량의 정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한랭지나 고온지에서 특히 유효하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이그니션이 온일 때에, 오프일 때와 비교하여 소정 시간을 길게 설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이그니션이 온일 때에,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가 불필요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이그니션이 온일 때에, 트랜스미션의 위치가 주행 상태를 선택하고 있을 때에, 주행 상태 이외의 것을 선택하고 있을 때와 비교하여 소정 시간을 길게 설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단시간의 정차와 주행이 반복될 때, 예컨대 정체 주행 중에,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가 불필요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운전자의 하차를 추정하는 조건은, 차량에 설치되는 복수의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어가 열린 것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는,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차량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어가 열렸을 때에,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킹 스위치가 고장 났을 때에도,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가 필요하게 될 때(운전자나 탑승자가 원할 때)에,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차량에 설치되는 복수의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파킹 스위치의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는, 운전자의 하차를 추정하는 조건은, 열린 상태의 도어가 닫히고 다시 열린 것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보다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기동 스위치가 온이고, 차량에 설치되는 복수의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어가 열린 상태이며 또한 파킹 스위치의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는, 운전자의 하차를 추정하는 조건은, 열린 상태의 도어가 닫히고 다시 열리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어의 개폐 조작을 토대로 운전자의 하차 의사를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더구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예고 없이 주차 브레이크가 유지 작동됨에 따른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운전자의 하차를 추정하는 조건은,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운전자의 안전벨트가 벗겨진 것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는,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운전자의 안전벨트가 벗겨졌을 때에,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킹 스위치가 고장 났을 때에도,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가 필요하게 될 때(운전자나 탑승자가 원할 때)에,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운전자의 하차를 추정하는 조건은, 트랜스미션을 파킹 위치로 선택한 것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는,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트랜스미션이 파킹 위치에 선택되었을 때에,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파킹 스위치가 고장 났을 때에도,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가 필요하게 될 때(운전자나 탑승자가 원할 때)에, 주차 브레이크의 유지를 할 수 있다.
2: 전륜(차륜), 3: 후륜(차륜), 4: 디스크 로터(회전 부재), 6: 브레이크 페달, 18: 파킹 스위치, 19: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제어 수단), 31: 디스크 브레이크(브레이크 기구), 33: 브레이크 패드(마찰 부재), 39: 피스톤(압박 부재), 40: 회전 직동 변환 기구(파킹 기구), 43: 전동 액추에이터(전동 모터)

Claims (9)

  1. 차량의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 부재에 접촉할 수 있게 배치되는 마찰 부재를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을 토대로 압박 부재로 추진하는 브레이크 기구와,
    상기 차륜을 회전 불능으로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게 전동 모터에 의해 조작되는 파킹 기구와,
    상기 파킹 기구를 유지 또는 해제 작동시키기 위한 파킹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하는 제어 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파킹 스위치의 이상을 검출하는 파킹 스위치 이상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파킹 스위치 이상 검출 수단에 의해서 상기 파킹 스위치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정차시에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정해진 시간 밟히고 있는 경우,
    또는,
    상기 차량의 정차시에 운전자의 하차를 추정하는 조건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전동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파킹 기구를 유지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차량의 기동 스위치가 온이라도, 상기 전동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파킹 기구를 유지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동 스위치가 온일 때에, 오프일 때와 비교하여 상기 정해진 시간을 길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동 스위치가 온일 때에, 트랜스미션의 위치가 주행 상태를 선택하고 있는 때에, 주행 상태 이외의 것을 선택하고 있을 때와 비교하여 상기 정해진 시간을 길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하차를 추정하는 조건은,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복수의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어가 열린 것으로 하는 것인, 브레이크 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복수의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파킹 스위치의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는, 상기 운전자의 하차를 추정하는 조건은, 열린 상태의 상기 도어가 닫히고 다시 열리는 것으로 하는 것인, 브레이크 시스템.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하차를 추정하는 조건은, 상기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운전자의 안전벨트가 벗겨진 것으로 하는 것인, 브레이크 시스템.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하차를 추정하는 조건은, 트랜스미션을 파킹 위치에 선택한 것으로 하는 것인, 브레이크 시스템.
  9. 차량의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 부재에 접촉할 수 있게 배치되는 마찰 부재를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을 토대로 압박 부재로 추진하는 브레이크 기구와,
    상기 차륜을 회전 불능으로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게 전동 모터에 의해 조작되는 파킹 기구와,
    상기 파킹 기구를 유지 또는 해제 작동시키기 위한 파킹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하는 제어 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파킹 스위치의 이상을 검출하는 파킹 스위치 이상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파킹 스위치 이상 검출 수단에 의해서 상기 파킹 스위치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구동 장치가 주행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정차시에 운전자가 주행을 계속하지 않음을 추정하는 조건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전동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파킹 기구를 유지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167019430A 2014-01-31 2014-12-26 브레이크 시스템 KR102110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17621 2014-01-31
JPJP-P-2014-017621 2014-01-31
PCT/JP2014/084570 WO2015115019A1 (ja) 2014-01-31 2014-12-26 ブレーキ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331A true KR20160116331A (ko) 2016-10-07
KR102110635B1 KR102110635B1 (ko) 2020-05-13

Family

ID=53756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9430A KR102110635B1 (ko) 2014-01-31 2014-12-26 브레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93800B2 (ko)
JP (1) JP6268195B2 (ko)
KR (1) KR102110635B1 (ko)
CN (1) CN105960361B (ko)
DE (1) DE112014006308T5 (ko)
WO (1) WO20151150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8035B2 (ja) * 2012-09-28 2016-04-0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DE102014226856A1 (de) * 2014-12-22 2016-06-2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Bremseinrichtung, Bremseinrichtung
US20160244039A1 (en) * 2015-02-24 2016-08-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ular crawl mode deceleration control
US20160356232A1 (en) * 2015-06-05 2016-12-08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afety during key-off of vehicle
CN107709113B (zh) * 2015-08-31 2020-02-18 日立汽车系统株式会社 操作开关及驻车制动控制装置
KR20170030962A (ko) * 2015-09-10 2017-03-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충격 완화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714241B1 (ko) * 2015-10-22 2017-03-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6308399B2 (ja) * 2015-11-13 2018-04-1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停止維持装置
DE102016201664A1 (de) * 2016-02-03 2017-08-0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lektronische Steuereinheit zur Steuerung der Autohold-Funktion
DE102016202224A1 (de) * 2016-02-15 2017-08-17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msanlage eines Fahrzeuges und Bremsanlage
ITUA20161540A1 (it) * 2016-03-10 2017-09-10 Freni Brembo Spa Sistema di attuazione tira-cavo per freno di stazionamento e relativo freno di stazionamento
KR102520005B1 (ko) * 2016-03-15 2023-04-10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683581B2 (ja) * 2016-09-28 2020-04-2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ブレーキ制御装置
KR101891612B1 (ko) * 2016-09-30 2018-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
DE102016223655A1 (de) * 2016-11-29 2018-05-3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elektromotorischen Feststellbremse eines Kraftfahrzeugs, Kraftfahrzeug
DE102017201066A1 (de) * 2017-01-24 2018-07-26 Audi Ag Verfahren zum Aktivieren einer Feststellbremse eines Kraftfahrzeugs sowie System zur Steuerung einer Feststellbremse eines Kraftfahrzeugs
DE102017204178A1 (de) * 2017-03-14 2018-09-2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bsicherung der Funktionsfähigkeit eines Bedienelements einer Parkbremse
JP6790971B2 (ja) * 2017-04-03 2020-11-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ブレーキ装置
DE102017006636A1 (de) * 2017-07-13 2019-01-17 Wabco Gmbh Hydraulik-Aktuator, Fahrzeugachs-Anordnung mit einem Hydraulik-Aktuator sowie elektronisch steuerbares hydraulisches Bremssystem
DE102017214455A1 (de) * 2017-08-18 2019-02-2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remssystems mit einer automatisierten Feststellbremse
CN107856661B (zh) * 2017-10-19 2021-04-02 深圳市大地和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手刹系统的检测方法、系统及介质
DE102017129629A1 (de) * 2017-12-12 2019-06-13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Innenraumbeleuchtung in einem Fahrzeug und Fahrzeug mit einer Innenraumbeleuchtung
DE102018206563A1 (de) * 2018-04-27 2019-10-31 Robert Bosch Gmbh Elektromechanischer oder elektromagnetischer Radbremszylinder und Bremssystem für ein Fahrzeug
JP7124451B2 (ja) * 2018-05-29 2022-08-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動駐車ブレーキ装置
JP6734898B2 (ja) * 2018-09-28 2020-08-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137734A1 (ja) * 2018-12-26 2020-07-0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ブレーキ装置
KR20200094868A (ko) * 2019-01-30 2020-08-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주차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10927910B2 (en) * 2019-02-18 2021-02-23 Akebono Brake Industry Co., Ltd Brak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DE102019208160A1 (de) * 2019-06-05 2020-12-10 Robert Bosch Gmbh Feststellbremse in einem Fahrzeug
JP7242435B2 (ja) * 2019-06-11 2023-03-2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両
DE102019210271A1 (de) * 2019-07-11 2021-01-14 Robert Bosch Gmbh Bremssystem und Verfahren zum Bremsen eines Kraftfahrzeugs
KR20220057597A (ko) * 2019-10-22 2022-05-09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모터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US11230827B2 (en) 2019-11-08 2022-01-25 Caterpillar Inc. Electronically operated locking system for earth moving equipment and method
US11884251B2 (en) 2019-12-19 2024-01-30 Westinghouse Air Brake Technologies Corporation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EP4119811A4 (en) * 2020-03-12 2023-08-30 Hitachi Astemo, Ltd. ELECTRIC PARKING BRAKE SYSTEM
DE102020107548A1 (de) * 2020-03-19 2021-09-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raftfahrzeugs
JP2021172293A (ja) * 2020-04-30 2021-11-01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の電動駐車ブレーキ装置
FR3112521B1 (fr) 2020-07-15 2022-06-17 Foundation Brakes France Procédé de commande de freinage de secours
CN112046451A (zh) * 2020-08-18 2020-12-08 精诚工科汽车系统有限公司 线控制动系统及包含该线控制动系统的车辆
JP2022059721A (ja) * 2020-10-02 2022-04-14 ジーケーエヌ オートモーティブ リミテッド 電動車両の駆動システム
CN113353047B (zh) * 2021-07-06 2022-08-26 南昌智能新能源汽车研究院 一种基于电动汽车线控底盘的线控制动失效保护系统
WO2023067781A1 (ja) * 2021-10-21 2023-04-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制御方法及びスイッチング制御装置
IT202200005954A1 (it) * 2022-03-25 2023-09-25 Brembo Spa Metodo di controllo di un sistema frenante e relativo sistema frenant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4739A (ja) * 2005-02-16 2006-08-31 Toyota Motor Corp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2006306350A (ja) * 2005-05-02 2006-11-09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動制御装置
JP2008265551A (ja) * 2007-04-20 2008-11-06 Toyota Motor Corp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システム
KR20090124595A (ko) * 2008-05-30 2009-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용 자동 파킹 브레이크장치
JP2013112167A (ja) 2011-11-29 2013-06-10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ディスクブレーキ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0669B2 (ko) * 1973-06-21 1978-10-28
DE2933336C2 (de) * 1979-08-17 1986-04-03 Wabco Westinghouse Fahrzeugbremsen GmbH, 3000 Hannover Blockierschutzregelsystem mit Sicherheitsschaltungen
JPS60207344A (ja) 1984-03-31 1985-10-18 Yokowo Mfg Co Ltd 回路基板等の検査装置
US4837552A (en) * 1988-03-25 1989-06-06 Allied-Signal Inc. Non-volatile fault display with magnetic reset switch for adaptive braking system
JPH0260067U (ko) * 1988-10-26 1990-05-02
EP1032517B1 (de) * 1997-11-22 2005-01-2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mechanisches bremssystem
DE19807369A1 (de) * 1998-02-21 1999-08-26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Bremsanlage
US6406102B1 (en) * 1999-02-24 2002-06-18 Orscheln Management Co. Electrically operated parking brake control system
DE19931345A1 (de) * 1999-06-10 2000-12-1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orrichtung sowie Verfahren für die fahrsituationsabhängige Betätigung einer Bremsanlage eines Kraftfahrzeuges
JP3348707B2 (ja) * 1999-10-04 2002-1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駐車ブレーキ装置
JP2006160203A (ja) * 2004-12-10 2006-06-22 Toyota Motor Corp 電動駐車ブレーキ装置
JP4887126B2 (ja) * 2006-11-30 2012-02-29 ボッシュ株式会社 ブレーキスイッチ故障診断方法及びブレーキスイッチ故障診断装置
DE102007000557B3 (de) * 2007-10-24 2009-06-04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automatischen Ansteuern einer Neutralposition und einer Parksperre eines Kraftfahrzeug-Getriebes
GB0802212D0 (en) * 2008-02-06 2008-03-12 Meritor Heavy Vehicle Braking A brake system and method
US8260516B2 (en) * 2009-08-24 2012-09-04 Robert Bosch Gmbh Good checking for vehicle brake light switch
JP2013199165A (ja) * 2012-03-23 2013-10-03 Fuji Heavy Ind Ltd シフトバイワイヤシステムのフェイルセーフ装置
KR101351347B1 (ko) * 2012-05-25 2014-01-15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의 고장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4739A (ja) * 2005-02-16 2006-08-31 Toyota Motor Corp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2006306350A (ja) * 2005-05-02 2006-11-09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動制御装置
JP2008265551A (ja) * 2007-04-20 2008-11-06 Toyota Motor Corp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システム
KR20090124595A (ko) * 2008-05-30 2009-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용 자동 파킹 브레이크장치
JP2013112167A (ja) 2011-11-29 2013-06-10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ディスクブレー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60361A (zh) 2016-09-21
CN105960361B (zh) 2019-01-04
KR102110635B1 (ko) 2020-05-13
JP6268195B2 (ja) 2018-01-24
WO2015115019A1 (ja) 2015-08-06
US20160339888A1 (en) 2016-11-24
DE112014006308T5 (de) 2016-11-17
JPWO2015115019A1 (ja) 2017-03-23
US10293800B2 (en) 201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0635B1 (ko) 브레이크 시스템
JP6297883B2 (ja) 電動ブレーキ装置
US10442413B2 (en) Brake control apparatus
KR102142028B1 (ko) 브레이크 시스템
JP6182311B2 (ja) ブレーキ装置
JP6129553B2 (ja) ブレーキシステム
WO2016104682A1 (ja) 電動ブレーキシステム
JP6205620B2 (ja) ブレーキ装置
JP2018069879A (ja) ブレーキシステム
JP6189144B2 (ja) 電動ブレーキシステム
JP6478617B2 (ja) ブレーキ装置
JP2018016175A (ja) ブレーキ装置およびブレーキシステム
JP6498579B2 (ja) ブレーキ装置
JP2017171215A (ja) ブレーキシステム
JP6683581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JP6630249B2 (ja) ブレーキ装置
JP6418639B2 (ja) ブレーキ装置
JP6846077B2 (ja) ブレーキシステム
JP6134967B2 (ja) ブレーキ装置
JP6649149B2 (ja) ブレーキ装置
JP6366035B2 (ja) ブレーキ装置
JP6630209B2 (ja) ブレーキシステム
JP2016124404A (ja) 電動ブレーキ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