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677A - 타이어 지지장치, 타이어 냉각 시스템 - Google Patents

타이어 지지장치, 타이어 냉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677A
KR20160104677A KR1020167020785A KR20167020785A KR20160104677A KR 20160104677 A KR20160104677 A KR 20160104677A KR 1020167020785 A KR1020167020785 A KR 1020167020785A KR 20167020785 A KR20167020785 A KR 20167020785A KR 20160104677 A KR20160104677 A KR 20160104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tire
engaging
support por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0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8197B1 (ko
Inventor
게이이치 도모토
미츠루 모리타
요시카츠 히네노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우고오 마시나리 테크노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우고오 마시나리 테크노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우고오 마시나리 테크노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4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61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3Loading or unloading th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33After-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vulcanising tyres
    • B29D30/0643Cooling during post cure inflation; Post cure inflators us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2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B29C2035/1658Cooling us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Abstract

이 타이어 지지장치(11)는, 제1 림 지지부(23)와, 제1 림 지지부(23)에 대향하여 마련된 제2 림 지지부(30)와, 제2 림 지지부(30)를 상기 제1 림 지지부(23)로부터 접근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16)를 가지는 프레임(15)과, 상기 가이드(16)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반송부(40)와, 상기 반송부(40)를 상기 가이드(16)를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44)와, 상기 제2 림 지지부(30)를, 상기 제1 림 지지부(23)로부터 이간한 퇴피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15)에 대하여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기구(50)와, 상기 걸어맞춤기구(50)에 의한 걸어맞춤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림 지지부(30)를 상기 반송부(40)와 일체로 상기 가이드(16)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용부(58)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타이어 지지장치, 타이어 냉각 시스템 {TIRE SUPPORT APPARATUS AND TIRE COOLING SYSTEM}
이 발명은, 타이어 지지장치, 타이어 냉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생 타이어(미가류 타이어)는, 가류기의 금형 내에 있어서 소정 압력, 소정 온도로 유지되어 가류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품 타이어(가류 완료 타이어)가 된다. 가류 처리 직후의 가류 완료 타이어는, 고온으로 연화되어 있어, 자중에 의하여 변형되기 쉽다. 또, 가류 완료 타이어는, 냉각에 따라 수축하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하여, 가류 완료 타이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냉각하는 인플레이트 처리를 행하는 PCI(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PCI 장치는, 타이어 파지 수단, 림 승강 수단, 타이어 냉각 수단, 타이어 반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타이어 파지 수단은, 가류기측으로부터 로더에 의하여 반입된 가류 완료 상태의 미냉각 타이어(이하, 미냉각 타이어라고 함)를 파지한다.
타이어 파지 수단은, 반입된 미냉각 타이어의 일방의 비드에 끼워 넣어지는 제1 림과, 타방의 비드에 끼워 넣어지는 제2 림을 구비한다.
림 승강 수단은, 제1 림이 끼워 넣어진 미냉각 타이어에 대하여, 제2 림을 끼워 넣음과 함께, 냉각된 타이어(이하, 냉각 완료 타이어)의 비드로부터 제2 림을 분리한다. 이로 인하여, 림 이동 수단은, 제2 림을, 제1 림에 대하여 접근·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림 이동 수단은, 제2 림을 제1 림에 대하여 접근·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재와, 제2 림을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유체압 실린더 등의 구동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타이어 냉각 수단은, 제1 림, 제2 림이 끼워 넣어진 미냉각 타이어 내에 압축 공기 등의 유체를 주입한다. 그리고, 유체가 주입되어 일정시간이 경과함으로써, 미냉각 타이어가 냉각된다.
타이어 반출 수단은, 냉각 완료 타이어를 반출한다. 여기에는, 림 승강 수단에 있어서, 제2 림을 냉각 완료 타이어의 비드로부터 분리하여, 제1 림에 유지된 냉각 완료 타이어로부터 이간시킨다. 타이어 반출 수단은, 제1 림에 유지된 냉각 완료 타이어를 유지하고, PCI 장치의 근방에 배치된 반출 컨베이어 등에 반출한다. 이로 인하여, 타이어 반출 수단은, 타이어를 유지하는 유지부재와, 유지부재를 제1 림에 대하여 접근·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재와, 유지부재를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유체압 실린더 등의 구동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PCI 장치는, 림 이동 수단과, 타이어 반출 수단으로, 각각 가이드부재 및 구동부재를 구비하게 된다.
일본 특허공보 제2713701호
그러나, 림 이동 수단과, 타이어 반출 수단으로, 각각 가이드부재 및 구동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에서는, 부품 수가 증가함과 함께, 조립이나 메인트넌스에 걸리는 공정 수가 증가하게 된다.
이 발명은, 부품 수를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조립이나 메인트넌스에 걸리는 공정 수를 저감할 수 있는 타이어 지지장치, 타이어 냉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관한 제1 양태에 의하면, 타이어 지지장치는, 타이어에 장착되는 제1 림을 지지하는 제1 림 지지부와, 상기 제1 림 지지부에 대향하여 마련되고, 상기 타이어에 장착되는 제2 림을 지지하는 제2 림 지지부와, 상기 제2 림 지지부를 상기 제1 림 지지부에 대하여 접근하는 방향, 및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를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 림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타이어의 취출과, 상기 제1 림 지지부로의 상기 타이어의 장착 중 적어도 일방을 행하는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를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제2 림 지지부를, 상기 제1 림 지지부로부터 이간한 퇴피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기구와, 상기 걸어맞춤기구에 의한 걸어맞춤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림 지지부를 상기 반송부와 일체로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용부를 구비한다.
이 발명에 관한 제2 양태에 의하면, 타이어 지지장치는, 제1 양태의 타이어 지지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걸어맞춤기구가, 상기 제2 림 지지부 및 상기 프레임의 일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림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진퇴 가능한 걸어맞춤부재와, 상기 제2 림 지지부 및 상기 프레임의 타방에 마련되어, 진출한 상기 걸어맞춤부재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와, 상기 걸어맞춤부재를 진퇴시키는 진퇴부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 발명에 관한 제3 양태에 의하면, 타이어 지지장치는, 제2 양태의 타이어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재에, 하방으로 돌출하는 키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어맞춤부에, 상기 걸어맞춤부재가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키부가 맞물리는 키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이 발명에 관한 제4 양태에 의하면, 타이어 지지장치는, 제1부터 제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타이어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림 지지부와 상기 반송부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기구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 발명에 관한 제5 양태에 의하면, 타이어 지지장치는, 제4 양태의 타이어 지지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제2 림 지지부 및 상기 반송부의 일방에 마련되어, 상기 걸어맞춤기구의 걸어맞춤 동작, 및 이탈 동작에 의하여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제2 림 지지부 및 상기 반송부의 타방에 마련된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이동부재가 서로 걸어맞춰진 상태와,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걸어맞춤이 해제된 상태를 전환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이 발명에 관한 제6 양태에 의하면, 타이어 냉각 시스템은, 제1부터 제5 양태 중 어느 하나의 타이어 지지장치와, 상기 제1 림 및 상기 제2 림이 장착된 상기 타이어의 내부에 주입하기 위한 유체를 공급 가능한 유체 공급부를 구비한다.
상기 서술한 타이어 지지장치, 타이어 냉각 시스템에 의하면, 부품 수를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조립이나 메인트넌스에 걸리는 공정 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CI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CI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기구 및 연결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기구 및 연결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기구를 지주(支柱)에 걸어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기구를 지주에 걸어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기구를 지주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언로더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CI 장치에 있어서, 미냉각 타이어가, 제1 림 상에 세트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CI 장치에 있어서, 림 승강부와 언로더를 일체로 하강시켜 제2 림을 타이어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CI 장치에 있어서, 제2 림을 타이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CI 장치에 있어서, 림 승강부를 지주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언로더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CI 장치에 있어서, 언로더로 타이어를 반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CI 장치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CI 장치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로서, 언로더의 지지암을 3단계로 선회시키는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CI 장치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로서, 언로더의 지지암을 도 14와 상이한 위치로 선회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CI 장치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로서, 언로더의 지지암을 도 14, 도 15와 상이한 위치로 선회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기구, 연결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기구, 연결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17의 좌측으로부터 본 도이다.
도 19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기구, 연결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림 승강부와 언로더를 연결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기구, 연결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림 승강부와 언로더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기구, 연결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림 승강부와 언로더를 연결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기구, 연결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림 승강부와 언로더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CI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CI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CI 장치(타이어 냉각 시스템)(10)는, 타이어 지지장치(11)와, 냉각 유체 공급부(유체 공급부)(12)를 구비한다.
타이어 지지장치(11)는, 가류 완료 타이어(T)를 지지한다.
냉각 유체 공급부(12)는, 타이어 지지장치(11)에 지지된 가류 완료 타이어(T)의 내부에 공기 등의 유체를 공급(주입)하여, 타이어(T)를 냉각한다.
타이어 지지장치(11)는, 바닥면 상에 세워 설치된 지주(프레임)(15)와, 타이어 파지부(20), 림 승강부(제2 림 지지부)(30), 언로더(반송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이어 지지장치(11)는, 타이어 파지부(20), 림 승강부(30), 언로더(40)를, 전(前)공정의 가류기와 지주(15)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축(CL)을 사이에 두고 2세트가 선대칭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일방의 세트의 타이어 파지부(20), 림 승강부(30), 언로더(40)에 대하여 설명을 행하지만, 타방의 세트의 타이어 파지부(20), 림 승강부(30), 언로더(40)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성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이어 파지부(20)는, 도시하지 않은 가류기측으로부터 로더에 의하여 반입된 타이어(T)를 파지한다.
타이어 파지부(20)는, 반입된 타이어(T)의 비드에 장착되는 제1 림(21)과, 타방의 비드에 장착되는 제2 림(22)을 구비한다.
제1 림(21)은, 중앙부에 타이어(T)의 비드의 내방의 공간에 돌출하는 통 형상부(21t)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림(21)은, 지주(15)에 고정된 제1 림 지지부(23)에 장착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타이어 파지부(20)는, 제1 림(21), 제1 림 지지부(23)를 2세트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타이어 파지부(20)는, 바닥면 상에 세워 설치된 지주(15)의 하부에 고정된 지지축(24)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축(24)은, 지주(15)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지지축(24)을 사이에 두고, 2개의 제1 림(21, 21)이, 각각 상하방향으로 뻗는 제1 림 지지부(23)를 통하여 지지축(24)에 마련되어 있다. 지지축(24)은, 수평축 둘레로 회전운동하고, 이로써, 지지축(24)의 상하에 각각 제1 림 지지부(23)를 통하여 마련된 제1 림(21)은, 수평축 둘레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림(22)은, 제1 림(21)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통 형상부(21t) 내에 삽입되는 통 형상부(22t)를 구비하고 있다. 통 형상부(22t)는 통 형상부(21t)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통 형상부(21t)에 대하여 서로 착탈 가능하게 걸어맞춰진다. 이로써, 제2 림(22)은, 제1 림(21)에 대하여, 걸어맞춤 및 이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림 승강부(30)는, 가이드 블록(31)과, 지지암(32)과, 림 지지 브래킷(33)을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블록(31)은, 지주(15)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속해서 마련된 가이드 레일(가이드)(16)에 의하여, 제1 림(21)에 대하여 접근, 및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지지암(32)은, 기단부(32a)가 가이드 블록(31)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암(32)은, 지주(15)에 대하여, 가이드 블록(31)이 마련된 측으로부터 그 반대측을 향하여, 중심축(CL)으로부터 점차 이간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림 지지 브래킷(33)은, 지지암(32)의 선단부(32b)의 하측에 마련되어 있다. 림 지지 브래킷(33)은, 제2 림(22)의 상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림 지지 브래킷(33)은, 제2 림(22)의 통 형상부(22t)를 제1 림(21)의 통 형상부(21t)에 대하여, 걸어맞춤·걸어맞춤 해제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림 승강부(30)는, 림 지지 브래킷(33)으로 제2 림(22)을 지지한 상태에서, 가이드 블록(31)이,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한다. 이로써, 림 승강부(30)는, 제2 림(22)을, 제1 림(21)에 대하여 접근, 및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 림 승강부(30)는, 제2 림(22)을, 제1 림(21)에 대하여, 걸어맞춤, 및 이탈시킬 수 있다.
언로더(40)는, 가이드 블록(41), 지지암(42)과, 타이어 유지부(43)를 구비한다.
가이드 블록(41)은, 지주(15)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속해서 마련된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블록(41)은, 구동 실린더(구동부)(44)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승강 구동된다. 구동 실린더(44)는, 실린더 본체(44a)가 지주(15)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 실린더(44)는, 실린더 본체(44a)로부터 연직 하방을 향하여 신축하는 신축 로드(44b)를 구비하고 있다. 신축 로드(44b)의 선단은, 브래킷(46)을 통하여 가이드 블록(41)에 연결되어 있다.
지지암(42)은, 기단부(42a)가 가이드 블록(41)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가이드 블록(41)과 지지암(42)의 사이에는, 에어 실린더(45)가 가이드 블록(41)과 지지암(42)에 각각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지지암(42)은, 에어 실린더(45)를 신축시킴으로써, 가이드 블록(41)에 연결된 기단부(42a)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면 내에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타이어 유지부(43)는, 타이어(T)의 비드 또는 외주부를 유지하는 유지 클릭(43a)을 복수 구비하고 있다. 타이어 유지부(43)는, 지지암(42)의 선단부(42b)의 하면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타이어 지지장치(11)에 있어서, 림 승강부(30)의 가이드 블록(31)과, 언로더(40)의 가이드 블록(41)은, 동일한 지주(15)의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상하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림 승강부(30)의 가이드 블록(31)은, 언로더(40)의 가이드 블록(41)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기구 및 연결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기구 및 연결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이어 지지장치(11)는, 또한, 걸어맞춤기구(50)와, 지지수용부(58)와, 연결기구(60)를 구비한다.
걸어맞춤기구(50)는, 가이드 블록(31)을, 제1 림 지지부(23)로부터 이간한 퇴피 위치에서 지주(15)에 대하여 걸어맞춤 가능하다. 걸어맞춤기구(50)는, 걸어맞춤부재(이동부재)(51)와, 걸어맞춤부(52)와, 진퇴 실린더(진퇴부)(53)를 구비한다.
걸어맞춤부재(51)는, 림 승강부(30)의 가이드 블록(31)에 고정된 유지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가이드 블록(31)과 지주(15)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진퇴 실린더(53)는, 에어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지며, 지지 플레이트(56)를 통하여 가이드 블록(31)에 지지되어 있다. 진퇴 실린더(53)는, 걸어맞춤부재(51)를, 가이드 블록(31)과 지주(15)를 연결하는 방향(예를 들면, 수평방향)으로 진퇴시킨다. 이 걸어맞춤부재(51)는,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고 있다.
걸어맞춤부(52)는, 지주(15)의 측면에 마련되어, 진출한 걸어맞춤부재(51)가 걸어맞춰진다. 이 걸어맞춤부(52)는, 제1 림 지지부(23)로부터 상방으로 이간한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기구를 지주에 걸어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기구를 지주에 걸어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기구를 지주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언로더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걸어맞춤기구(50)에 있어서는, 걸어맞춤부재(51)가, 진퇴 실린더(53)에 의하여, 지주(15)에 마련된 걸어맞춤부(52)를 향하여 진출하면, 걸어맞춤부(52)에 걸어맞춰진다. 이로써, 림 승강부(30)는, 제1 림 지지부(23)로부터 이간한 퇴피 위치에서 지주(15)에 대하여 걸어맞춰진다.
걸어맞춤부재(51)의 선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키부(54)가 형성되어 있다. 또, 걸어맞춤부(52)에는, 걸어맞춤부재(51)가 진출하여 걸어맞춤부(52)에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키부(54)에 대향하는 위치에, 키부(54)가 맞물리는 키 걸어맞춤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키부(54)가 키 걸어맞춤부(55)에 맞물리면, 걸어맞춤부재(51)가 걸어맞춤부(52)로부터 부주의하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수용부(58)는, 언로더(40)의 가이드 블록(41)의 상면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지지수용부(58)는, 림 승강부(30)의 하중을 지지한다. 그리고, 지지수용부(58)는, 걸어맞춤기구(50)에 의한 림 승강부(30)의 지주로의 걸어맞춤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림 승강부(30)를 언로더(40)와 일체로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연결기구(60)는, 걸어맞춤기구(50)에 의한 림 승강부(30)와 지주(15)의 걸어맞춤이 해제된 상태에서, 림 승강부(30)와 언로더(40)를 일체로 연결시킨다. 연결기구(60)는, 상기 걸어맞춤기구(50)의 걸어맞춤부재(51)와, 언로더(40)에 마련된 고정부재(6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연결기구(60)에 있어서의 이동부재로서의 걸어맞춤부재(51)에는, 관통공(57)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57)은, 가이드 블록(31)과 지주(15)를 연결하는 방향(예를 들면,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다. 관통공(57)은, 지주(15)에 가까운 측이 제1 구멍부(57a)로 되어 있고, 지주(15)로부터 먼 측이 제2 구멍부(57b)로 되어 있다. 제1 구멍부(57a)는, 일정한 폭을 가진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구멍부(57b)는, 제1 구멍부(57a)에 연속해서 형성되며, 제1 구멍부(57a)보다 큰 폭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62)는, 언로더(40)의 가이드 블록(4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고정부재(62)는, 제1 축부(62a)와, 제2 축부(62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축부(62a)는, 관통공(57)의 제1 구멍부(57a)보다 좁은 폭을 가지고 있다. 제2 축부(62b)는, 제1 축부(62a)의 상측에 형성되어, 제1 구멍부(57a)보다 넓고, 또한 제2 구멍부(57b)보다 좁은 폭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연결기구(60)는,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재(51)가 지주(15)측으로부터 후퇴하여, 걸어맞춤부재(51)가 걸어맞춤부(52)에 걸어맞춰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정부재(62)의 제1 축부(62a)가 관통공(57)의 제1 구멍부(57a) 내에 위치한다. 그러면, 제1 구멍부(57a)보다 넓은 폭을 가진 제2 축부(62b)가 제1 구멍부(57a)의 상측에 위치하여, 걸어맞춤부재(51)와 고정부재(62)가, 상하방향으로 이간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로써, 걸어맞춤기구(50)에 의한 림 승강부(30)와 지주(15)의 걸어맞춤이 해제된 상태에서, 림 승강부(30)와 언로더(40)가 일체로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 실린더(44)에 의하여 언로더(4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림 승강부(30)도 언로더(40)와 일체로 이동한다.
또,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기구(60)는, 걸어맞춤부재(51)가 지주(15)측에 진출하여, 걸어맞춤부재(51)가 걸어맞춤부(52)에 걸어맞춰진 상태에서는, 고정부재(62)의 제2 축부(62b)가 관통공(57)의 제2 구멍부(57b)의 상방에 위치한다. 그러면, 제2 축부(62b)가 제2 구멍부(57b)를 통과하여, 고정부재(62)가 관통공(57)으로부터 하방으로 이탈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연결기구(60)는, 걸어맞춤기구(50)에 의하여 림 승강부(30)와 지주(15)가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림 승강부(30)와 언로더(40)의 연결이 해제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 실린더(44)를 작동시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림 승강부(30)가 제1 림 지지부(23)로부터 이간한 퇴피 위치에서 지주(15)에 대하여 걸어맞춰진 채로 유치되어, 언로더(40)만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연결기구(60)는, 걸어맞춤부재(51)의 이동(걸어맞춤 동작, 및 이탈 동작)에 의하여, 고정부재(62)와 걸어맞춤부재(51)가 서로 걸어맞춰진 상태와, 고정부재(62)와 걸어맞춤부재(51)의 걸어맞춤이 해제된 상태를 전환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PCI 장치(10)에 있어서의 타이어(T)의 냉각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CI 장치에 있어서, 미냉각 타이어가, 제1 림 상에 세트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CI 장치에 있어서, 림 승강부와 언로더를 일체로 하강시켜 제2 림을 타이어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CI 장치에 있어서, 제2 림을 타이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CI 장치에 있어서, 림 승강부를 지주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언로더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CI 장치에 있어서, 언로더로 타이어를 반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여기에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CI 장치(10)는, 냉각 중의 타이어(T)가, 타이어 파지부(20)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하는 제1 림(21)과 제2 림(22)에 파지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공정의 가류기(도시하지 않음)에 마련된 로더에 의하여, 가류 완료 상태의 미냉각 타이어(T)가, 타이어 파지부(20)에 있어서,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1 림(21) 상에 세트된다.
다음으로, 림 승강부(30)의 림 지지 브래킷(33)에 지지된 제2 림(22)을, 미냉각 타이어(T)의 비드에 장착한다. 여기에는 먼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실린더(44)를 하방을 향하여 확장하여, 언로더(40)와 함께 림 승강부(30)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림 지지 브래킷(33)에 지지된 제2 림(22)을, 미냉각 타이어(T)의 비드에 끼워 넣는다. 또한, 림 지지 브래킷(33)은, 제2 림(22)의 통 형상부(22t)를 제1 림(21)의 통 형상부(21t)에 대하여 걸어맞춘이다.
이 상태에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냉각 타이어(T)에 대해서는, 그 양면의 비드에 제1 림(21), 제2 림(22)이 장착된다. 따라서, 냉각 유체 공급부(12)는, 타이어(T) 내에 공기 등의 냉각 유체를 공급하여, 타이어(T)를 냉각한다.
타이어(T)에 제2 림(22)을 장착한 후, 구동 실린더(44)를 상방을 향하여 수축한다. 그러면, 언로더(40)와 함께 림 승강부(30)가 상승한다. 또한, 림 승강부(30)에 마련된 걸어맞춤부재(51)가, 지주(15)측의 걸어맞춤부(52)에 대향하는 소정의 높이까지 림 승강부(30)가 상승하면, 구동 실린더(44)를 정지시킨다. 이로써, 림 승강부(30)는, 제1 림(21)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간한 위치로 퇴피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타이어 파지부(20)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하는 제1 림(21)과 제2 림(22)에 파지되어, 냉각 중이었던 타이어(T)를 취출한다. 여기에는, 지지축(24)을 회전시켜, 그 상하의 제1 림(21) 및 제1 림 지지부(23)를 반전시킨다. 그러면, 하측에 위치하는 제1 림(21)과 제2 림(22)에 파지되어, 냉각 중이었던 타이어(T)가 지지축(24)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또, 상기와 같이 하여 새로 세트한 미냉각 타이어(T)가, 지지축(24)의 하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퇴 실린더(53)에 의하여, 걸어맞춤부재(51)를 지주(15)를 향하여 진출시켜, 걸어맞춤부(52)에 걸어맞춰진다. 이로써, 림 승강부(30)는, 제1 림 지지부(23)로부터 이간한 퇴피 위치에서 지주(15)에 대하여 걸어맞춰진다.
이와 같이 하여 걸어맞춤부재(51)가 걸어맞춤부(52)에 걸어맞춤되면, 걸어맞춤부재(51)에 형성된 관통공(57)의 제2 구멍부(57b)가, 고정부재(62)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로 인하여, 연결기구(60)에 있어서, 림 승강부(30)와 언로더(40)의 연결이 해제된다.
다음으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언로더(40)를 하강시킨다. 여기에는, 구동 실린더(44)를 하방을 향하여 확장한다. 그러면, 림 승강부(30)가 제1 림 지지부(23)로부터 이간한 퇴피 위치에서 지주(15)에 대하여 걸어맞춰진 채로 유치되어, 언로더(40)만이 하강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주(15)에 걸어맞춰진 채로 유치된 림 승강부(30)에 있어서는, 걸어맞춤부(52)에 걸어맞춰진 걸어맞춤부재(51)의 키부(54)가, 림 승강부(30)의 자중에 의하여 하방을 향하여 압압되어, 키 걸어맞춤부(55)에 맞물린다.
또, 언로더(40)에 있어서는, 림 승강부(30) 및 타이어(T)와 간섭하지 않는 높이에서, 에어 실린더(45)를 작동시킨다. 이로써, 지지암(42)을 선회시켜, 선단부(42b)를 냉각 완료 타이어(T)의 연직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구동 실린더(44)의 하방으로의 신장에 의하여, 타이어 유지부(43)를 하강시킨다. 유지 클릭(43a)이 냉각 완료 타이어(T)와 동일 레벨까지 하강하면, 구동 실린더(44)의 신장을 정지시켜, 유지 클릭(43a)으로 냉각 완료 타이어(T)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구동 실린더(44)를 수축하여, 냉각 완료 타이어(T)를 유지한 언로더(40)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45)를 작동시키고, 지지암(42)을 선회시켜, 선단부(42b)를 반송 컨베이어(17)의 연직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구동 실린더(44)를 확장하여, 타이어 유지부(43)에서 유지한 냉각 완료 타이어(T)를 하강시켜, 반송 컨베이어(17) 위에 싣는다. 냉각 완료 타이어(T)는, 반송 컨베이어(17)에 의하여 PCI 장치(10)로부터 반출된다.
이로써, 도 1에 나타낸 상태로 되돌아온다. 이 상태에서, 미냉각이었던 타이어(T)는, 타이어 파지부(20)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하는 제1 림(21)과 제2 림(22)에 파지되고, 냉각 유체가 공급되어 냉각 중이 된다. 또, 상기와 마찬가지로, 다음의 미냉각 타이어(T)가 PCI 장치(10)에 반입되어, 타이어 파지부(20)에 있어서 상측에서, 제1 림(21)과 제2 림(22)에 파지된 후에, 타이어 파지부(20)의 상하를 반전하여, 언로더(40)에 의하여 타이어 파지부(20)로부터 반출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타이어 지지장치(11), PCI 장치(10)에 의하면, 림 승강부(30)와, 언로더(40)가, 지주(15)의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타이어 지지장치(11), PCI 장치(10)는, 림 승강부(30)를, 제1 림 지지부(23)로부터 이간한 퇴피 위치에서 지주(15)에 대하여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기구(50)와, 걸어맞춤기구(50)에 의한 걸어맞춤이 해제된 상태에서, 림 승강부(30)를 언로더(40)와 일체로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용부(58)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걸어맞춤기구(50)에 의하여, 림 승강부(30)를, 제1 림 지지부(23)로부터 이간한 퇴피 위치에서 지주(15)에 대하여 갈어맞춰지면, 구동 실린더(44)에 의하여, 언로더(40)만을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걸어맞춤기구(50)에 의한 걸어맞춤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구동 실린더(44)를 작동시키면, 지지수용부(58)에 의하여 지지한 림 승강부(30)를 언로더(40)와 일체로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림 승강부(30)와 언로더(40)를, 1세트의 지주(15)의 가이드 레일(16)에 마련하면서, 림 승강부(30) 및 언로더(40)의 각각에서, 필요한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로써, 타이어 지지장치(11), PCI 장치(10)의 부품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조립이나 메인트넌스에 걸리는 공정 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림 승강부(30)와, 언로더(40)를, 지주(15)의 일면측의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지주(15)의 타면측의 공간(A)(도 2 참조)을, PCI 장치(10)를 구성하는 구동 실린더(44)나 에어 실린더(45), 진퇴 실린더(53)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자 밸브, 스피드 컨트롤러 등의 부품이나 작동 유체의 배관을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로서 유효 이용할 수 있다.
또, 걸어맞춤기구(50)는, 림 승강부(30)측에 마련한 진퇴 실린더(53)에 의하여 걸어맞춤부재(51)를 진퇴시켜, 지주(15)측에 형성된 걸어맞춤부(52)에 걸어맞춤, 및 이탈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같은 걸어맞춤기구(50)에서는, 걸어맞춤부재(51)가 걸어맞춤부(52)에 걸어맞춰짐으로써, 림 승강부(30)를 지주(15)에 대하여 걸어맞춰질 수 있다. 이로써, 림 승강부(30)를 지주(15)에 남겨 두고, 언로더(40)만을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춤부재(51)의 선단부에 키부(54)가 형성되고, 걸어맞춤부(52)에 키 걸어맞춤부(55)가 형성되어 있다. 키부(54)가 키 걸어맞춤부(55)에 맞물림으로써, 걸어맞춤부재(51)가 걸어맞춤부(52)로부터 부주의하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연결기구(60)에 의하여, 림 승강부(30)와 언로더(40)를 일체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로써, 걸어맞춤기구(50)에 의한 걸어맞춤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구동 실린더(44)를 작동시키면, 연결기구(60)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된 림 승강부(30) 및 언로더(40)를,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림 승강부(30)에 있어서, 제2 림(22)을 타이어(T)의 비드에 끼워 넣을 때, 연결기구(60)에 의하여 림 승강부(30)에 언로더(40)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림 승강부(30)의 자중에 더하여 언로더(40)의 자중, 및 구동 실린더(44)의 추진력도 이용할 수 있다. 이로써, 제2 림(22)의 타이어(T)의 비드로의 끼워 넣음을, 보다 확실히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변형예)
다만, 이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설계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방에 배치한 타이어 파지부(20)의 제1 림(21)에 대하여, 림 승강부(30) 및 언로더(40)를 상방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3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CI 장치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이어 파지부(20)의 제1 림(21)을 상방에 배치하고, 림 승강부(30) 및 언로더(40)를 하방에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림 승강부(30) 및 언로더(40)는, 상방을 향하여 신축하는 구동 실린더(44)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림 승강부(30)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걸어맞춤기구(50)에 의하여 지주(15)에 걸어맞춤, 및 이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림 승강부(30)와 언로더(40)는, 연결기구(60)에 의하여 연결 가능한 것도 상기 실시형태와 같다.
(제2 변형예)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타이어 지지장치(11), PCI 장치(10)로부터, 냉각 완료 타이어(T)를 반출하는 언로더(40)를 구비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언로더(40) 대신에, 가류기로부터 타이어 지지장치(11), PCI 장치(10)에 미냉각 타이어(T)를 반입하는 로더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제3 변형예)
나아가서는, 지지암(42)의 요동 범위를 확대하여, 가류기로부터 타이어 지지장치(11), PCI 장치(10)에 미냉각 타이어(T)를 반입하는 로더의 기능과, 냉각 완료 타이어(T)를 반출하는 언로더의 기능을 겸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4 변형예)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언로더(40)는, 제1 림(21)이 끼워 넣어진 타이어(T)의 연직 상방 위치와, 반송 컨베이어(17)에 타이어(T)를 재치하는 위치의 사이에서, 지지암(42)을 요동시키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CI 장치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로서, 언로더의 지지암을 3단계로 선회시키는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CI 장치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로서, 언로더의 지지암을 도 14와 상이한 위치로 선회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CI 장치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로서, 언로더의 지지암을 도 14, 도 15와 상이한 위치로 선회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예를 들면, 도 14~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암(42)을, 2개의 에어 실린더(71, 72)로 요동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는, 가이드 블록(41)에, 에어 실린더(71)의 제1 단부(71a)를 수평면 내에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에어 실린더(71)의 제2 단부(71b)는, 링크 플레이트(73)의 중간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 링크 플레이트(73)는, 제3 단부(73a)를 가이드 블록(41)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또한, 링크 플레이트(73)의 제4 단부(73b)측에, 에어 실린더(72)의 본체(72a)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또, 에어 실린더(72)의 신축 로드(72b)를, 지지암(42)의 중간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71, 72)의 쌍방을 수축하면, 지지암(42)은, 제1 위치(P1)로 이동한다. 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71)만을 확장하고, 에어 실린더(72)를 수축한 상태로 하면, 제1 위치(P1)와는, 지지암(42)의 선회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제2 위치(P2)로 지지암(42)이 이동한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71, 72)의 쌍방을 확장하면, 지지암(42)은, 제1 위치(P1), 제2 위치(P2)와는, 지지암(42)의 선회방향으로 상이한 제3 위치(P4)로 이동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ON/OFF의 전환으로 동작하는 염가의 에어 실린더(71, 72)를 이용하여, 3개의 위치(P1, P2, P3)로 지지암(42)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 3개의 위치(P1, P2, P3) 중 하나를, 구동 실린더(44)에 의한 언로더(40)의 이동 범위에 있어서, 언로더(40)가 PCI 장치(10) 및 반송 컨베이어(17)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설정함으로써, 반송 컨베이어(17)의 배치 높이의 제한을 없앨 수 있다.
(제5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걸어맞춤기구(50), 연결기구(60)에 대하여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7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기구, 연결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기구, 연결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17의 좌측으로부터 본 도이다. 도 19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기구, 연결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림 승강부와 언로더를 연결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기구(60)의 고정부재(62A)는, 걸어맞춤부재(51)의 후단부(51b)를 삽입 가능한 구멍(80)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재(51)가 지주(15)측으로부터 후퇴하여, 걸어맞춤부재(51)가 걸어맞춤부(52)에 걸어맞춰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후단부(51b)가, 고정부재(62A)의 구멍(80)에 삽입된다. 이로써, 림 승강부(30)와 언로더(40)가 일체로 연결된다.
또,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재(51)를 지주(15)측에 진출시켜, 걸어맞춤부(52)에 걸어맞춤시키면, 걸어맞춤부재(51)의 후단부(51b)가 구멍(80)으로부터 이탈한다. 이로써, 림 승강부(30)와 언로더(40)의 연결이 해제된다.
(제6 변형예)
도 20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기구, 연결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림 승강부와 언로더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기구, 연결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림 승강부와 언로더를 연결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기구, 연결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림 승강부와 언로더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기구(50), 연결기구(60)로서, 지주(15)측에 마련된 걸어맞춤부재(90)와, 림 승강부(30)의 가이드 블록(31)의 하면에 마련되어, 하방으로 뻗는 피걸어맞춤부재(91)와, 연결핀(92)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걸어맞춤부재(90)는, 지주(15)에 마련된 에어 실린더(90a)와, 에어 실린더(90a)에 의하여 림 승강부(30)측을 향하여 진출하는 걸어맞춤편(90b)을 구비한다.
피걸어맞춤부재(91)는, 진출한 걸어맞춤편(90b)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91h)을 구비한다. 피걸어맞춤부재(91)의 하단부에는, 연결핀(92)에 대향하는 측에, 경사면(91s)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91s)은, 상방으로 감에 따라, 연결핀(92)에 가까운 측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연결핀(92)은, 언로더(40)의 가이드 블록(41) 상에 마련되어 있다. 연결핀(92)은, 코일 스프링 등의 부세부재(93)에 의하여, 지주(15)측을 향하여 부세되어 있다. 연결핀(92)은, 그 선단부에, 회전 가능한 롤러(94)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걸어맞춤기구(50), 연결기구(60)에서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세부재(93)에 의하여 부세된 연결핀(92)이, 피걸어맞춤부재(91)의 삽입 구멍(91h)에 삽입됨으로써, 림 승강부(30)와 언로더(40)가 일체로 연결된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90a)에 의하여 걸어맞춤편(90b)을 진출시키면, 걸어맞춤편(90b)은, 피걸어맞춤부재(91)의 삽입 구멍(91h)에 삽입된다. 이로써, 림 승강부(30)가, 지주(15)에 대하여 걸어맞춰진다.
이 때,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구멍(91h)에 삽입된 걸어맞춤편(90b)에 의하여, 삽입 구멍(91h) 내의 연결핀(92)이 밀려 나온다. 이로써, 림 승강부(30)와 언로더(40)의 연결이 해제된다.
또,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림 승강부(30)가, 걸어맞춤기구(50)에 의하여 지주(15)에 대하여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언로더(40)를 하방으로부터 상승시켜 가면, 롤러(94)가 피걸어맞춤부재(91)의 경사면(91s)에 부딪친다. 이로써, 연결핀(92)이 지주(15)측으로부터 후퇴한다. 그리고, 연결핀(92)이, 피걸어맞춤부재(91)의 삽입 구멍(91h)에 도달하면, 에어 실린더(90a)에 의하여 걸어맞춤편(90b)이 후퇴됨에 따라, 부세부재(93)의 부세력에 의하여, 연결핀(92)이 삽입 구멍(91h)에 삽입된다.
(그 외의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서는, 타이어 지지장치(11)는, 타이어 파지부(20), 림 승강부(30), 언로더(40)를, 전공정의 가류기와 지주(15)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축(CL)을 사이에 두고 2세트를 선대칭으로 마련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타이어 파지부(20), 림 승강부(30), 언로더(40)를, 1세트만 마련해도 된다. 또, 타이어 파지부(20), 림 승강부(30), 언로더(40)를 복수 개의 지주(15)에 각각 마련함으로써, 복수의 PCI 장치(10)를 병설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서는, 타이어 파지부(20)는, 지지축(24)의 상하에 각각 제1 림 지지부(23)를 통하여 마련된 제1 림(21)을, 수평축 둘레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림 지지부(23) 및 제1 림(21)을 1세트 마련하여, 지지축(24) 둘레로 회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타이어 파지부(20)에서는, 1세트의 타이어(T)만을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제2 림 지지부 및 반송부를, 프레임의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면서, 제2 림 지지부를 프레임에 대하여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기구와, 제2 림 지지부를 반송부와 일체로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용부를 구비함으로써, 제작비를 저감할 수 있다.
10 PCI 장치(타이어 냉각 시스템)
11 타이어 지지장치
12 냉각 유체 공급부(유체 공급부)
15 지주(프레임)
16 가이드 레일(가이드)
17 반송 컨베이어
20 타이어 파지부
21 제1 림
21t 통 형상부
22 제2 림
22t 통 형상부
23 제1 림 지지부
24 지지축
30 림 승강부(제2 림 지지부)
31 가이드 블록
32 지지암
32a 기단부
32b 선단부
33 림 지지 브래킷
40 언로더(반송부)
41 가이드 블록
42 지지암
42a 기단부
42b 선단부
43 타이어 유지부
43a 유지 클릭
44 구동 실린더(구동부)
44a 실린더 본체
44b 신축 로드
45 에어 실린더
46 브래킷
50 걸어맞춤기구
51 걸어맞춤부재(이동부재)
51b 후단부
52 걸어맞춤부
53 진퇴 실린더(진퇴부)
54 키부
55 키 걸어맞춤부
56 지지 플레이트
57 관통공
57a 제1 구멍부분
57b 제2 구멍부분
58 지지수용부
60 연결기구
62 고정부재
62A 고정부재
62a 제1 축부
62b 제2 축부
71, 72 에어 실린더
71a 제1 단부
71b 제2 단부
72a 본체
72b 신축 로드
73 링크 플레이트
73a 제3 단부
73b 제4 단부
80 구멍
90 걸어맞춤부재
90a 에어 실린더
90b 걸어맞춤편
91 피걸어맞춤부재
91h 삽입 구멍
91s 경사면
92 연결핀
93 부세부재
94 롤러
T 타이어

Claims (6)

  1. 타이어에 장착되는 제1 림을 지지하는 제1 림 지지부와,
    상기 제1 림 지지부에 대향하여 마련되어, 상기 타이어에 장착되는 제2 림을 지지하는 제2 림 지지부와,
    상기 제2 림 지지부를 상기 제1 림 지지부에 대하여 접근하는 방향, 및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를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 림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타이어의 취출과, 상기 제1 림 지지부로의 상기 타이어의 장착 중 적어도 일방을 행하는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를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제2 림 지지부를, 상기 제1 림 지지부로부터 이간한 퇴피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기구와,
    상기 걸어맞춤기구에 의한 걸어맞춤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림 지지부를 상기 반송부와 일체로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용부
    를 구비하는 타이어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기구는, 상기 제2 림 지지부 및 상기 프레임의 일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림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진퇴 가능한 걸어맞춤부재와,
    상기 제2 림 지지부 및 상기 프레임의 타방에 마련되어, 진출한 상기 걸어맞춤부재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와,
    상기 걸어맞춤부재를 진퇴시키는 진퇴부
    를 구비하는 타이어 지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재에, 하방으로 돌출하는 키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어맞춤부에, 상기 걸어맞춤부재가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키부가 맞물리는 키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타이어 지지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림 지지부와 상기 반송부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기구를 추가로 구비하는
    타이어 지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제2 림 지지부 및 상기 반송부의 일방에 마련되어, 상기 걸어맞춤기구의 걸어맞춤 동작, 및 이탈 동작에 의하여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제2 림 지지부 및 상기 반송부의 타방에 마련된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이동부재가 서로 걸어맞춰진 상태와,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걸어맞춤이 해제된 상태를 전환 가능한 타이어 지지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타이어 지지장치와,
    상기 제1 림 및 상기 제2 림이 장착된 상기 타이어의 내부에 주입하기 위한 유체를 공급 가능한 유체 공급부
    를 구비하는 타이어 냉각 시스템.
KR1020167020785A 2014-02-06 2014-02-06 타이어 지지장치, 타이어 냉각 시스템 KR1018281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52796 WO2015118649A1 (ja) 2014-02-06 2014-02-06 タイヤ支持装置、タイヤ冷却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677A true KR20160104677A (ko) 2016-09-05
KR101828197B1 KR101828197B1 (ko) 2018-02-09

Family

ID=53777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0785A KR101828197B1 (ko) 2014-02-06 2014-02-06 타이어 지지장치, 타이어 냉각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32697B2 (ko)
EP (1) EP3081359B1 (ko)
JP (1) JP5829781B1 (ko)
KR (1) KR101828197B1 (ko)
CN (2) CN107877896A (ko)
HR (1) HRP20182154T1 (ko)
WO (1) WO20151186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5007230B4 (de) * 2015-12-24 2022-01-05 Mitsubishi Heavy Industries Machinery Systems, Ltd. Reifenprüfmaschine und reifeninspektionsverfahren mit reifenprüfmaschine
WO2018116436A1 (ja) * 2016-12-22 2018-06-28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イヤ保持装置
JP6485987B2 (ja) * 2017-01-11 2019-03-20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タイヤ保持装置
CN107187809B (zh) * 2017-07-26 2023-02-28 萨驰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轮胎处理装置
US11975573B2 (en) 2018-04-18 2024-05-07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Internally cooled tire-wheel system
DE102021102256A1 (de) * 2021-02-01 2022-08-04 Harburg-Freudenberger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zur Nachbehandlung von vulkanisierten Reifen und Reifenheizpres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3701B2 (ja) 1995-11-13 1998-02-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加硫済タイヤの把持冷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2090A (en) 1977-05-18 1978-05-30 Nrm Corporation Tire curing system
JP3340560B2 (ja) * 1994-06-01 2002-11-0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加硫済タイヤの搬送方法
JP4240678B2 (ja) * 1999-09-20 2009-03-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設備
JP2002067036A (ja) * 2000-08-25 2002-03-05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加硫設備
CN100404224C (zh) * 2001-01-09 2008-07-23 株式会社市丸技研 加硫后充气处理装置的轮胎夹持装置
EP1928674B1 (en) * 2005-09-30 2016-04-13 Android Industries LLC Flip seal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for inflating a tire using the same
US8769807B2 (en) * 2007-10-02 2014-07-08 Android Industries Llc Apparatus for processing a tire-wheel assembly including weight application and balancing sub-stations
JP5424727B2 (ja) * 2009-06-10 2014-02-2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WO2011050167A2 (en) * 2009-10-21 2011-04-28 Mcneil & Nrm, Inc. Combination loader and post cure inflator
IT1396147B1 (it) * 2009-11-05 2012-11-16 Corghi Spa Apparecchiatura e metodo per il montaggio e lo smontaggio di pneumatici su e da rispettivi cerchioni
JP5411011B2 (ja) * 2010-02-02 2014-02-1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ポストキュアインフレータ
CN104220244B (zh) * 2012-08-06 2016-10-05 三菱重工机械科技株式会社 轮胎保持装置
JP5968249B2 (ja) * 2013-02-22 2016-08-10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のアンローディング装置、及び、タイヤ加硫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3701B2 (ja) 1995-11-13 1998-02-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加硫済タイヤの把持冷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32697B2 (en) 2020-04-28
CN105939827B (zh) 2019-01-29
EP3081359A4 (en) 2017-04-12
JPWO2015118649A1 (ja) 2017-03-23
WO2015118649A1 (ja) 2015-08-13
KR101828197B1 (ko) 2018-02-09
EP3081359A1 (en) 2016-10-19
CN107877896A (zh) 2018-04-06
US20160009038A1 (en) 2016-01-14
EP3081359B1 (en) 2018-09-19
JP5829781B1 (ja) 2015-12-09
HRP20182154T1 (hr) 2019-02-08
CN105939827A (zh) 201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197B1 (ko) 타이어 지지장치, 타이어 냉각 시스템
JP4917837B2 (ja) タイヤ加硫装置
EP2949442A1 (en) Unloading device
US88217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ire
JP6063949B2 (ja) タイヤの加硫方法及びタイヤの製造方法
WO2019019946A1 (zh) 轮胎处理装置
WO2019210735A1 (zh) 摆臂式轮胎后处理装置
KR101479569B1 (ko) 그린타이어 형상 복원장치
KR101546926B1 (ko) 중장비 차량 및 농기계용 솔리드형 타이어 조립장치
JP5244135B2 (ja) タイヤの加硫装置
KR20130119501A (ko) 타이어 가황기, 및 타이어 가황 설비
JP6809104B2 (ja) 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加硫方法
TWI540036B (zh) 輪胎支撐裝置、輪胎冷卻系統
JP3865503B2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タイヤ加硫装置の金型交換方法並びにタイヤ加硫方法
JP2799256B2 (ja) ポストキュアインフレータ及びそれへの搬入装置
KR100476079B1 (ko) 그린타이어 인출장치
KR100554118B1 (ko) 타이어 가황장치 및 타이어 가황방법
KR100987171B1 (ko) 중하중용 타이어의 튜브 삽입을 위한 볼캐스터 승하강 장치
CN107000346B (zh) 用于操纵轮胎坯件的设备和输送装置
JP4623881B2 (ja) タイヤ加硫システム
JP2014141334A (ja) タイヤ搬送コンベア
JP4921047B2 (ja) タイヤ搬送用ローダ及びタイヤ加硫機
JP2003053734A (ja) タイヤ加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