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763A - 차량 하부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하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7763A
KR20160087763A KR1020160004041A KR20160004041A KR20160087763A KR 20160087763 A KR20160087763 A KR 20160087763A KR 1020160004041 A KR1020160004041 A KR 1020160004041A KR 20160004041 A KR20160004041 A KR 20160004041A KR 20160087763 A KR20160087763 A KR 20160087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vehicle
band
floor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타 이토
겐이치로 요시모토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60087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7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Fuel tanks characterised by fuel reser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3Tank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60K15/07Mounting of tanks of ga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2015/0631Arrangement of tanks the fuel tank forming at least part of the vehicl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2015/0634Arrangement of tanks the fuel tank is arranged below the vehicl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2015/0635Arrangement of tanks the fuel tank is arranged between th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차량 하부 구조는, 플로어 패널의 대략 차량 폭방향 중앙에 차량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고 또한 차량 하측을 향해 개구된 플로어 터널과, 상기 플로어 패널에 장착됨과 함께, 차량 전후방향 또는 차량 폭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고, 차량 하측으로 돌출된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에 체결된 탱크 밴드와, 상기 탱크 밴드에 의해 상기 플로어 터널 내에 상부가 수용된 상태로 유지된 탱크와, 상기 볼록부와 상기 탱크의 하부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차량 측방으로부터의 충돌 하중에 의해 차량 폭방향으로 변위하는 상기 볼록부로부터 상기 탱크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하는 제 1 완충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차량 하부 구조{VEHICLE LOWER S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 하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4-368227호 공보에는, 수소 엔진을 구비한 자동차에 있어서의 탱크 탑재 구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로어 패널의 차량 폭방향 대략 중앙부에 차량 하측으로 개구한 센터 터널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이 센터 터널의 차량 하측의 공간에 수소 가스가 저류 가능하게 된 탱크가 센터 터널을 따라 연장 설치되어 있다. 탱크는 강성이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차량 중앙부에 강성이 높은 탱크가 설치됨으로써 차체 전체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4-368227호 공보에 개시된 구성에 의하면, 탱크에는, 차량 폭방향을 따라 탱크 외주면으로부터 탱크 외측으로 연장 설치된 장착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장착 플랜지를 플로어 패널에 장착되어 있는 플로어리인포스에 볼트 조임 함으로써, 탱크를 플로어 패널 나아가서는 차량에 장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차량 측면 충돌(이하, 이 충돌 형태를 「차량 측돌」이라 한다)시,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차량 폭방향을 따라 충돌 하중이 입력되면, 플로어리인포스로부터 탱크로 충돌 하중이 직접 입력된다. 따라서, 충격력을 견딜 수 있도록 탱크 자체를 강고한 구성으로 할 필요가 있는 점으로부터, 탱크의 경량화나 비용의 저감이라는 점에서 상기 선행 기술은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고려하여, 탱크의 경량화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차량 하부 구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차량 하부 구조는, 플로어 패널의 대략 차량 폭방향 중앙에 차량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고 또한 차량 하측을 향해 개구된 플로어 터널과, 상기 플로어 패널에 장착됨과 함께, 차량 전후방향 또는 차량 폭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고, 차량 하측으로 돌출된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에 체결된 탱크 밴드와, 상기 탱크 밴드에 의해 상기 플로어 터널 내에 상부가 수용된 상태로 유지된 탱크와, 상기 볼록부와 상기 탱크의 하부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차량 측방으로부터의 충돌 하중에 의해 차량 폭방향으로 변위하는 상기 볼록부로부터 상기 탱크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하는 제 1 완충부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차량 하부 구조는, 제 1 양태의 차량 하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완충부에는, 상기 충격력을 흡수하는 완충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의 차량 하부 구조는, 제 1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차량 하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탱크 밴드는, 일방의 밴드와 타방의 밴드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각각의 밴드의 일방의 단부는 상기 볼록부에 체결되고, 당해 일방의 밴드와 당해 타방의 밴드는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의 차량 하부 구조는, 플로어 패널의 대략 차량 폭방향 중앙에 차량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고 또한 차량 하측을 향해 개구된 플로어 터널과, 상기 플로어 패널에 장착됨과 함께, 차량 전후방향 또는 차량 폭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고, 차량 하측으로 돌출된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에 체결된 탱크 밴드와, 상기 탱크 밴드에 의해 상기 플로어 터널 내에 상부가 수용된 상태로 유지된 탱크와, 상기 탱크 밴드의 일부에 형성되고, 차량 측방으로부터의 충돌 하중에 의해 차량 폭방향으로 변위하는 상기 볼록부로부터 상기 탱크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하는 제 2 완충부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의 차량 하부 구조는, 제 1 양태∼제 4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차량 하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탱크 밴드에는, 상기 탱크와 맞닿음과 함께, 상기 탱크의 맞닿은 개소의 외측면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탱크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의 차량 하부 구조는, 제 1 양태∼제 5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차량 하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탱크 및 상기 탱크 밴드의 차량 하측에는, 판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적어도 상기 탱크를 차량 하측으로부터 덮도록 탱크 보호판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의 차량 하부 구조는, 제 6 양태의 차량 하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탱크 보호판은, 상기 탱크를 지지하는 이너 패널과, 당해 이너 패널에 대해 차량 하방으로 이간하여 배치된 아우터 패널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의 차량 하부 구조는, 제 1 양태∼제 5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차량 하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탱크 밴드와 상기 탱크의 사이에 탱크 지지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탱크 지지 부재에는, 상기 탱크와 맞닿음과 함께, 상기 탱크의 맞닿은 개소의 외측면과 대략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탱크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양태에 의하면, 플로어 터널 내에 수용된 탱크와 플로어 패널에 장착된 볼록부의 사이에는, 제 1 완충부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측돌시,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차량 폭방향을 따라 충돌 하중이 플로어 패널로 입력되면, 플로어 패널과 플로어 패널에 장착된 볼록부가 차량 폭방향을 따라 변위하여 탱크와 맞닿음으로써 볼록부로부터 탱크로 충격력이 작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 1 완충부에 의해 볼록부로부터 탱크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탱크의 내(耐)충격 구조를 간소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제 2 양태에 의하면, 제 1 완충부에는 완충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점으로부터, 차량 측돌시의 볼록부로부터 탱크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보다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탱크의 내충격 구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양태에 의하면, 탱크 밴드는, 일방의 밴드와 타방의 밴드로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일방의 밴드와 타방의 밴드는 이간되어 있다. 따라서, 이 이간된 스페이스에서 탱크 밴드나 플로어 패널 등의 치수 불균일이나 조립 불균일을 흡수할 수 있다.
제 4 양태에 의하면, 플로어 패널에 장착된 볼록부와 탱크의 사이의 범위에 탱크 밴드에 형성된 제 2 완충부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측돌시,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차량 폭방향을 따라 충돌 하중이 플로어 패널로 입력되면, 플로어 패널과 플로어 패널에 장착된 볼록부가 차량 폭방향을 따라 변위함으로써 볼록부로부터 탱크로 충격력이 작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 2 완충부에 의해 볼록부로부터 탱크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탱크의 내충격 구조를 간소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제 5 양태에 의하면, 탱크의 외측면과 동일 형상으로 된 탱크 지지부가 탱크를 지지하는 점으로부터, 탱크와 탱크 지지부는 일정하게 맞닿아져 있다. 따라서, 탱크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탱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탱크가 진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진동에 의해 탱크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으므로, 탱크의 내충격 구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6 양태에 의하면, 탱크는 탱크 보호판에 의해 차량 하측으로부터 덮여 있는 점으로부터, 장해물 등에 의해 차량 하측으로부터 차량으로 입력되는 충격력은 탱크 보호판에 입력된다. 즉, 차량 하측으로부터의 충격력은 탱크로 직접 전달되기 어렵고, 탱크 보호판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제 7 양태에 의하면, 이너 패널과 아우터 패널의 둘러싸인 영역을 변형 흡수부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해물 등에 의해 차량 하측으로부터 차량으로 입력되는 충격력에 의해 탱크 보호판이 차량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변형되어도, 변형 흡수부에 의해 탱크 보호판과 탱크의 맞닿음이 억제되는 점으로부터, 탱크 보호판으로부터 탱크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다.
제 8 양태에 의하면, 탱크 밴드와 탱크의 사이에 탱크 지지 부재가 설치되고, 탱크의 외측면과 대략 동일 형상으로 된 탱크 지지부가 탱크 지지 부재에 형성되어 탱크를 지지한다. 이로 인해, 탱크와 탱크 지지부는 일정하게 맞닿아져 있다. 따라서, 탱크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탱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탱크가 진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진동에 의해 탱크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으므로, 탱크의 내충격 구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양태, 제 2 양태, 제 4 양태∼제 8 양태의 차량 하부 구조는, 탱크의 경량화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 3 양태의 차량 하부 구조는, 플로어 패널에 대한 탱크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아래 도면에 의거하여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를 구비한 플로어 패널을 차량 후방으로부터 차량 전방을 향해 본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의 (A)는 대비예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를 구비한 차량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B)는 (A)에 대해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를 구비한 차량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의 (A)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에 있어서의 탱크 밴드가 플로어리인포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에 있어서의 탱크 밴드가 플로어크로스멤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례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를 차량 정면으로부터 본 단면도이고;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에 있어서의 탱크 밴드가 플로어리인포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에 있어서의 탱크 밴드가 플로어리인포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에 있어서의 탱크 밴드가 플로어리인포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의 탱크 밴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제 4 실시형태의 변형례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에 있어서의 탱크 밴드에 대해 2부품으로 구성된 탱크 유지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의 (B)는 제 4 실시형태의 변형례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에 있어서의 탱크 밴드에 대해 1부품으로 구성된 탱크 유지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에 있어서의 탱크 밴드가 플로어리인포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의 (B)는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에 있어서의 탱크 밴드가 플로어크로스멤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제 5 실시형태의 변형례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에 있어서의 탱크 밴드의 제 2 완충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10의 (B)는, 도 10의 (A)에 대해 또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의 (A)는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에 있어서의 탱크 밴드에 대해 2부품으로 구성된 탱크 유지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의 (B)는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에 있어서의 탱크 밴드에 대해 1부품으로 구성된 탱크 유지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에 있어서의 탱크 밴드가 플로어크로스멤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를 구비한 플로어 패널을 차량 후방으로부터 차량 전방을 향해 본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의 (A)는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에 있어서의 통상 상태를 차량 측면으로부터 본 단면도이고,
도 14의 (B)는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에 있어서의 통상 상태를 탱크 밴드 장착 위치에서의 차량 측면으로부터 본 단면도이고,
도 14의 (C)는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에 있어서의 탱크 보호판 변형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의 (A)는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를 차량 측면으로부터 본 단면도이고,
도 15의 (B)는 도 15의 (A)에 있어서의 Z부를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15의 (C)는 도 15의 (A)에 있어서의 Y부를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16의 (A)는 제 8 실시형태의 제 1 변형례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를 차량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16의 (B)는 제 8 실시형태의 제 2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의 (C)는 제 8 실시형태의 제 3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의 (D)는 제 8 실시형태의 제 4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의 (A)는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를 차량 정면으로부터 본 단면도이고,
도 17의 (B)는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의 제 1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의 (C)는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의 제 2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의 (D)는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의 제 3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도 1,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차량 전부(前部) 구조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들 도면에 있어서 나타내어지는 화살표 FR은 차량 전후방향 전측, 화살표 OUT은 차량 폭방향 외측, 화살표 UP은 차량 상하방향 상측을 각각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차량(10)의 하부를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12)에는, 대략 차량 폭방향 중앙에 플로어 터널(14)이 형성되어 있다. 플로어 터널(14)은, 차량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역U자 형상이면서 개구(16)가 차량 하방을 향해 형성되어 있고, 플로어 패널(12)의 전단에 설치된 대시 패널(18)로부터 플로어 패널(12)의 후단부에 걸쳐 차량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로어 터널(14)은 플로어 패널(12)의 대략 차량 폭방향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나, 차폭방향의 중앙으로부터 다소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플로어 터널(14)의 차량 하측이면서 플로어 터널(14) 내에는, 탱크로서의 수소 탱크(20)가 수용되어 있다(도 3 참조). 수소 탱크(20)는, 차량 전후방향을 축으로 하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차량 전후방향의 양단이 대략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단부에 의해 닫혀 있다. 이로 인해, 수소 탱크(20)는 내부가 밀폐 구조로 되어, 수소가 충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수소 탱크(20)는, 수소 탱크(20)의 차량 하측에 설치됨과 함께,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볼트(22)(도 3 참조) 등에 의해 플로어 패널(12)측에 체결된 복수의 탱크 밴드(24)에 의해 차량 하측으로부터 지지된다.
수소 탱크(20)는, 하부를 제외한 부분이 플로어 터널(14) 내에 수용되어 있음과 함께, 도 2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차량 상하방향의 중심(C1)이 플로어 패널(12)에 결합된 후술하는 플로어리인포스(26)의 리인포스 저벽부(底壁部)(38)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또한, 수소 탱크(20)의 차량 상하방향의 높이는, 노면(R)에 있어서의 장해물 등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소정의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즉, 수소 탱크(20)를 고려하여 플로어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의 (A)에 나타내어진 수소 탱크(20)의 차량 상하방향의 중심이 플로어리인포스(26)의 리인포스 저벽부(38)보다 하측에 배치된 구성과 비교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로어 터널(14)의 차량 상하방향의 높이 치수가 커짐과 함께, 플로어 패널(12)의 차량 하측면이 보다 차량 하측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차실 내의 공간(28)이 확대된다. 또, 수소 탱크(20)의 차량 폭방향 외측에 플로어 터널(14)의 측벽부(30)가 배치됨으로써, 수소 탱크(20)가 플로어 터널(14)에 의해 덮이는 범위가 늘어나는 점으로부터 차량 측돌시에 수소 탱크(20)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플로어 터널(14)의 차량 상하방향의 높이 치수가 커짐으로써, 플로어 터널(14)의 강성이 향상하여 차량 전면(前面) 충돌시에 플로어 패널(12)에 작용하는 충돌 하중이 플로어 터널(14)에 집중한다. 이로 인해, 수소 탱크(20)로의 충돌 하중의 입력이 완화된다.
도 3의 (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플로어 터널(14)의 개구(16)의 단부, 즉 플로어 터널(14)의 차량 하측 단부(32)와 플로어 패널(12)의 하벽부(34)와의 결합부 근방에는, 각각 볼록부로서의 플로어리인포스(26)가 결합되어 있다. 플로어리인포스(26)는, 차량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대략 차량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된 한 쌍의 리인포스 종벽부(縱壁部)(36)와, 이 리인포스 종벽부(36)의 차량 하측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리인포스 저벽부(38)에 의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로어리인포스(26)는 플로어 터널(14)을 따라 대략 차량 전후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 각각의 리인포스 종벽부(36)의 차량 상측의 단부에는, 차량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플랜지부(40)가 설치되어 있고, 이 플랜지부(40)는 플로어 패널(12)에 결합되어 있다. 이로 인해, 플로어리인포스(26)는 플로어 패널(12)에 결합되어 있다.
플로어리인포스(26)의 리인포스 저벽부(38)에는, 판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리인포스 체결 구멍(39)이 형성되어 있고, 이 리인포스 체결 구멍(39)과 탱크 밴드(24)의 양단부에 판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밴드 크로스 체결 구멍(41)에 볼트(22)를 삽입 통과하여 너트(42)로 체결함으로써, 탱크 밴드(24)가 플로어리인포스(26)를 통해 플로어 패널(12)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탱크 밴드(24)는, 수소 탱크(20)의 차량 하측과 맞닿는 탱크 지지부로서의 탱크 맞닿음부(44)가 수소 탱크(20)의 외주면의 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탱크 밴드(24)가 설치된 개소에 있어서의 플로어리인포스(26)의 차량 내측의 리인포스 종벽부(36)와, 수소 탱크(20)의 외측면과의 사이에는, 제 1 완충부(46)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완충부(46)에 완충 부재(48)가 설치되어 있다. 완충 부재(48)는, 고무제의 블록으로 되어 있고, 플로어리인포스(26)의 차량 내측의 리인포스 종벽부(36)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완충 부재(48)는, 탱크 밴드(24)의 차량 상측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차량 하측으로의 탈락이 억제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완충 부재(48)는 고무제의 블록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알루미늄 합금제 등 기타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메시 구조나 허니콤 구조로 해도 된다.
도 3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볼록부로서의 플로어크로스멤버(50)가 설치되어 있는 개소에 탱크 밴드(24)가 장착되는 경우는, 탱크 밴드(24)는 플로어크로스멤버(50)에 체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로어크로스멤버(50)는 멤버 종벽부(52)와, 멤버 종벽부(52)의 차량 하측의 단부로부터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멤버 저벽부(54)에 의해 차량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멤버 저벽부(54)의 차량 폭방향 외측의 단부는, 플로어리인포스(26)의 리인포스 저벽부(38)에 차량 하측으로부터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음과 함께, 멤버 종벽부(52)의 차량 상측의 단부가 플로어 터널(14)의 개구(16)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이로 인해, 플로어크로스멤버(50)는 플로어 패널(12)에 결합되어 있다.
플로어크로스멤버(50)의 멤버 저벽부(54)에는, 판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멤버 체결 구멍(55)이 형성되어 있다. 멤버 체결 구멍(55)과 탱크 밴드(24)의 양단부에 판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밴드 크로스 체결 구멍(41)에 볼트(22)를 삽입 통과하여 너트(42)로 체결함으로써, 탱크 밴드(24)가 플로어크로스멤버(50)를 통해 플로어 패널(12)에 체결되어 있다.
탱크 밴드(24)가 설치된 개소에 있어서의 플로어크로스멤버(50)의 차량 내측의 멤버 종벽부(52)와, 수소 탱크(20)의 외측면과의 사이에도, 제 1 완충부(4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완충부(46)에도, 상술과 동일하게, 완충 부재(4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완충 부재(48)는, 탱크 밴드(24)의 차량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점으로부터, 차량 하측으로의 탈락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상술의 플로어크로스멤버(50)는, 플로어리인포스(26)에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플로어 패널(12)에만 결합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탱크 밴드(24)는 볼록부로서의 플로어크로스멤버(51)를 통해 플로어 패널(12)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으나, 수소 탱크(20)를 플로어 패널(12)에 조립할 때는, 탱크 밴드(24)를 수소 탱크(20)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양자를 차량 상측으로 들어 올려, 플로어 패널(12)의 차량 하측으로부터 플로어 패널(12)의 플로어 터널(14) 내에 수소 탱크(20)를 수용시킨다. 그리고, 탱크 밴드(24)와 플로어리인포스(26)(플로어크로스멤버(50, 51))를 볼트(22)로 체결함으로써, 수소 탱크(20) 및 탱크 밴드(24)를 동시에 차량(10)에 장착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작용·효과)
다음에, 제 1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의 (A), 도 3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플로어 터널(14) 내에 수용된 수소 탱크(20)와 플로어 패널(12)에 장착된 플로어리인포스(26) 및 플로어크로스멤버(50, 51)(도 4 참조)와의 사이에는, 제 1 완충부(46)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측돌시,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차량 폭방향을 따라 충돌 하중이 플로어 패널(12)로 입력되면, 플로어 패널(12)과 플로어 패널(12)에 장착된 플로어리인포스(26) 및 플로어크로스멤버(50, 51)가 차량 폭방향을 따라 변위하여 수소 탱크(20)와 맞닿음으로써 플로어리인포스(26) 및 플로어크로스멤버(50, 51)로부터 수소 탱크(20)로 충격력이 작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 1 완충부(46)에 의해 플로어리인포스(26) 및 플로어크로스멤버(50, 51)와 수소 탱크(20)는 이간되어 있는 점으로부터, 플로어리인포스(26) 및 플로어크로스멤버(50, 51)로부터 수소 탱크(20)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소 탱크(20)의 내충격 구조를 간소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소 탱크(20)의 경량화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1 완충부(46)에는 완충 부재(48)가 설치되어 있는 점으로부터, 차량 측돌시의 플로어리인포스(26) 및 플로어크로스멤버(50, 51)로부터 수소 탱크(20)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보다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소 탱크(20)의 내충격 구조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탱크 밴드(24)의 차량 폭방향의 양단부는, 수소 탱크를 사이에 두고, 차량 폭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플로어리인포스(26) 및 플로어크로스멤버(50, 51)와, 차량 폭방향에 있어서의 반대측에 설치된 타방의 플로어리인포스(26) 및 플로어크로스멤버(50, 51)에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 측돌시에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차량 폭방향을 따라 충돌 하중이 플로어 패널(12)로 입력되면, 일방의 플로어리인포스(26) 및 플로어크로스멤버(50, 51)로부터 탱크 밴드(24)를 통해 타방의 일방의 플로어리인포스(26) 및 플로어크로스멤버(50, 51)로 충돌 하중이 전달된다. 이로 인해, 수소 탱크(20)에 직접 작용하는 충돌 하중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수소 탱크(20)의 외측면과 동일 형상으로 된 탱크 맞닿음부(44)가 수소 탱크(20)를 지지하는 점으로부터, 수소 탱크(20)와 탱크 맞닿음부(44)는 일정하게 맞닿아져 있다. 따라서, 수소 탱크(20)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수소 탱크(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수소 탱크(20)가 진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진동에 의해 수소 탱크(20)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으므로, 수소 탱크(20)의 내충격 구조를 간소한 구조로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차량 전부 구조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서술한 제 1 실시형태 등과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는, 기본적인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되고, 탱크 밴드(58)가 분할 구조로 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탱크 밴드(58)는, 일방의 밴드로서의 제 1 밴드(60)와 타방의 밴드로서의 제 2 밴드(6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밴드(60)와 제 2 밴드(62)는, 차량 폭방향 대략 중앙을 중심으로 차량 폭방향에서 좌우 대칭 구조이므로, 이하에 있어서는 일방의 제 1 밴드(60)에 대해서만 도시 및 설명한다.
제 1 밴드(60)는, 차량 폭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된 체결 벽부(64)와, 이 체결 벽부(64)의 차량 하측에 설치된 탱크 지지 벽부(66)와, 체결 벽부(64)와 탱크 지지 벽부(66)를 연결하는 연결 벽부(6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체결 벽부(64)는, 플로어리인포스(26)의 리인포스 저벽부(38)에 차량 하측으로부터 맞닿아져 있다. 그리고, 체결 벽부(64)에는 리인포스 저벽부(38)에 형성되어 있는 리인포스 체결 구멍(39)에 대응한 위치에 판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리인포스 체결 구멍(65)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리인포스 체결 구멍(39)과 리인포스 체결 구멍(65)에 볼트(22)를 삽입 통과하여 너트(42)로 체결함으로써, 체결 벽부(64) 나아가서는 제 1 밴드(60)가 플로어리인포스(26)를 통해 플로어 패널(12)에 체결되어 있다.
체결 벽부(64)의 차량 폭방향 내측의 단부는, 플로어리인포스(26)에 장착된 완충 부재(48)의 차량 폭방향 내측 단부와 대략 동일한 위치까지 차량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즉, 완충 부재(48)를 체결 벽부(64)가 차량 하측으로부터 지지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완충 부재(48)의 차량 하측으로의 탈락이 억제되어 있다.
체결 벽부(64)의 차량 폭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차량 하측으로 연결 벽부(68)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 벽부(68)의 차량 하측 단부로부터 차량 폭방향을 따라 차량 폭방향 내측으로 탱크 지지 벽부(66)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탱크 지지 벽부(66)는, 수소 탱크(20)의 차량 하측과 맞닿음과 함께, 차량 폭방향 내측의 단부가 수소 탱크(20)의 차량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심(C2)보다 차량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밴드(60)와 제 2 밴드(62)는, 이간된 상태에서 플로어리인포스(26)에 장착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작용·효과)
다음에, 제 2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플로어 터널(14) 내에 수용된 수소 탱크(20)와 플로어 패널(12)에 장착된 플로어리인포스(26)(플로어크로스멤버(50, 51))의 사이에는, 제 1 완충부(46)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측돌시,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차량 폭방향을 따라 충돌 하중이 플로어 패널(12)로 입력되면, 플로어 패널(12)과 플로어 패널(12)에 장착된 플로어리인포스(26)(플로어크로스멤버(50, 51))가 차량 폭방향을 따라 변위하여 수소 탱크(20)와 맞닿음으로써 플로어리인포스(26)(플로어크로스멤버(50, 51))로부터 수소 탱크(20)로 충격력이 작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 1 완충부(46)에 의해 플로어리인포스(26)(플로어크로스멤버(50, 51))와 수소 탱크(20)는 이간되어 있는 점으로부터, 플로어리인포스(26)(플로어크로스멤버(50, 51))로부터 수소 탱크(20)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소 탱크(20)의 내충격 구조를 간소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소 탱크(20)의 경량화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1 완충부(46)에는 완충 부재(48)가 설치되어 있는 점으로부터, 차량 측돌시의 플로어리인포스(26) 및 플로어크로스멤버(50, 51)로부터 수소 탱크(20)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보다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소 탱크(20)의 내충격 구조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탱크 밴드(58)는, 제 1 밴드(60)와 제 2 밴드(62)가 이간된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으로부터, 탱크 밴드(58)나 플로어 패널(12) 등의 치수 불균일이나 조립 불균일을 흡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탱크 밴드(58)의 차량(10)으로의 장착이 용이해지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에,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차량 전부 구조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 1, 2 실시형태 등과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는, 기본적인 구성은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되고, 탱크 밴드(70)의 제 1 밴드(72)와 제 2 밴드(74)가 체결 벽부(64)와 탱크 지지부로서의 탱크 지지 벽부(76)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제 1 밴드(72)와 제 2 밴드(74)는, 차량 폭방향 대략 중앙을 중심으로 차량 폭방향에서 좌우 대칭 구조이므로, 이하에 있어서는 일방의 제 1 밴드(72)에 대해서만 도시 및 설명한다.
즉, 제 1 밴드(72)는, 체결 벽부(64)와, 체결 벽부(64)의 차량 폭방향 내측의 단부에 설치된 탱크 지지 벽부(7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체결 벽부(64)는, 차량 폭방향 내측의 단부가 수소 탱크(20)와 맞닿는 위치까지 차량 폭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 탱크 지지 벽부(76)는, 수소 탱크(20)의 외주면의 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작용·효과)
다음에, 제 3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플로어 터널(14) 내에 수용된 수소 탱크(20)와 플로어 패널(12)에 장착된 플로어리인포스(26)(플로어크로스멤버(50, 51))의 사이에는, 제 1 완충부(46)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측돌시,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차량 폭방향을 따라 충돌 하중이 플로어 패널(12)로 입력되면, 플로어 패널(12)과 플로어 패널(12)에 장착된 플로어리인포스(26)(플로어크로스멤버(50, 51))가 차량 폭방향을 따라 변위하여 수소 탱크(20)와 맞닿음으로써 플로어리인포스(26)(플로어크로스멤버(50, 51))로부터 수소 탱크(20)로 충격력이 작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 1 완충부(46)에 의해 플로어리인포스(26)(플로어크로스멤버(50, 51))와 수소 탱크(20)는 이간되어 있는 점으로부터, 플로어리인포스(26) 및 플로어크로스멤버(50, 51)로부터 수소 탱크(20)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소 탱크(20)의 내충격 구조를 간소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소 탱크(20)의 경량화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1 완충부(46)에는 완충 부재(48)가 설치되어 있는 점으로부터, 차량 측돌시의 플로어리인포스(26) 및 플로어크로스멤버(50, 51)로부터 수소 탱크(20)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보다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소 탱크(20)의 내충격 구조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밴드(72) 및 제 2 밴드(74)의 탱크 지지 벽부(76)가 수소 탱크(20)의 외측면과 동일 형상으로 되어 수소 탱크(20)를 지지하는 점으로부터, 수소 탱크(20)와 탱크 지지 벽부(76)는 일정하게 맞닿아져 있다. 따라서, 수소 탱크(20)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수소 탱크(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수소 탱크(20)가 진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진동에 의해 수소 탱크(20)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으므로, 수소 탱크(20)의 내충격 구조를 간소한 구조로 향상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에, 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차량 전부 구조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 1∼3 실시형태 등과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는, 기본적인 구성은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되고, 탱크 밴드(78)에 탱크 맞닿음 부재(80)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7의 (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탱크 밴드(78)는 제 1 밴드(82)와 제 2 밴드(8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밴드(82)와 제 2 밴드(84)는, 차량 폭방향 대략 중앙을 중심으로 차량 폭방향에서 좌우 대칭 구조이므로, 이하에 있어서는 일방의 제 1 밴드(82)에 대해서만 도시 및 설명한다.
제 1 밴드(82)는, 체결 벽부(64)와, 이 체결 벽부(64)의 차량 하측에 설치된 탱크 지지 벽부(86)와, 체결 벽부(64)와 탱크 지지 벽부(86)를 연결하는 연결 벽부(6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체결 벽부(64)의 차량 폭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차량 하측으로 연결 벽부(68)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 벽부(68)의 차량 하측 단부로부터 차량 폭방향을 따라 차량 폭방향 내측으로 탱크 지지 벽부(86)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탱크 지지 벽부(86)는, 수소 탱크(20)의 차량 하측과 이간함과 함께, 차량 폭방향 내측의 단부가 수소 탱크(20)의 차량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심(C2)보다 차량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탱크 지지 벽부(86)의 차량 상측면에는, 탱크 맞닿음 부재(80)가 장착되어 있다. 탱크 맞닿음부(88)는, 상벽부(90)와, 내측 벽부(92)와, 탱크 지지부로서의 탱크 맞닿음부(94)와, 저벽부(96)와, 외측 벽부(98)에 의해 차량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차량 상측에 설치되는 상벽부(90)와 차량 폭방향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벽부(92)의 사이에는, 탱크 맞닿음부(94)가 설치되어 있다. 탱크 맞닿음부(94)는, 수소 탱크(20)와 맞닿음과 함께 수소 탱크(20)의 외주면의 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차량 폭방향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벽부(98)가 연결 벽부(68)와 맞닿음과 함께, 차량 하측에 설치되는 저벽부(96)가 탱크 지지 벽부(86)와 맞닿아져 있다. 탱크 맞닿음 부재(80)에는, 도 7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 형성된 장착 탭(10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 탭(100)의 판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탭 체결 구멍(102)과, 탱크 지지 벽부(86)에 있어서의 탭 체결 구멍(102)에 대응한 위치에서 판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도시하지 않는 지지 벽부 체결 구멍에 볼트(104)를 삽입 통과시켜 도시하지 않는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탱크 맞닿음 부재(80)가 탱크 지지 벽부(86)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탱크 맞닿음 부재(80)가 볼트(104)에 의해 체결된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조용 접착제 등으로 탱크 지지 벽부(86)에 장착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탱크 맞닿음 부재(80)가 분할 구조로 된 탱크 밴드(78)에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8의 (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로 구성된 탱크 밴드(106)에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탱크 맞닿음 부재(80)는 좌우 대칭으로 각각 1개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8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로 구성된 탱크 맞닿음 부재(130)로 해도 된다. 이 탱크 맞닿음 부재(130)는, 상벽부(200)와, 탱크 지지부로서의 탱크 맞닿음부(204)와, 저벽부(206)와, 외측 벽부(208)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탱크 맞닿음부(204)는 수소 탱크(20)와 맞닿음과 함께 수소 탱크(20)의 외주면의 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 4 실시형태의 작용·효과)
다음에, 제 4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3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도 7의 (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플로어 터널(14) 내에 수용된 수소 탱크(20)와 플로어 패널(12)에 장착된 플로어리인포스(26)(플로어크로스멤버(50, 51))의 사이에는, 제 1 완충부(46)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측돌시,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차량 폭방향을 따라 충돌 하중이 플로어 패널(12)로 입력되면, 플로어 패널(12)과 플로어 패널(12)에 장착된 플로어리인포스(26)(플로어크로스멤버(50, 51))가 차량 폭방향을 따라 변위하여 수소 탱크(20)와 맞닿음으로써 플로어리인포스(26)(플로어크로스멤버(50, 51))로부터 수소 탱크(20)로 충격력이 작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 1 완충부(46)에 의해 플로어리인포스(26)(플로어크로스멤버(50, 51))와 수소 탱크(20)는 이간되어 있는 점으로부터, 플로어리인포스(26)(플로어크로스멤버(50, 51))로부터 수소 탱크(20)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소 탱크(20)의 내충격 구조를 간소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소 탱크(20)의 경량화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1 완충부(46)에는 완충 부재(48)가 설치되어 있는 점으로부터, 차량 측돌시의 플로어리인포스(26)(플로어크로스멤버(50, 51))로부터 수소 탱크(20)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보다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소 탱크(20)의 내충격 구조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소 탱크(20)의 외측면과 동일 형상으로 된 탱크 맞닿음 부재(80, 130)에 있어서의 탱크 맞닿음부(94, 204)가 수소 탱크(20)를 지지하는 점으로부터, 수소 탱크(20)와 탱크 맞닿음부(94, 204)는 일정하게 맞닿아져 있다. 따라서, 수소 탱크(20)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수소 탱크(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수소 탱크(20)가 진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진동에 의해 수소 탱크(20)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으므로, 수소 탱크(20)의 내충격 구조를 간소한 구조로 향상시킬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에, 도 9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차량 전부 구조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 1∼4 실시형태 등과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는, 기본적인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되고, 탱크 밴드(108)에 제 2 완충부(110)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도 9의 (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탱크 밴드(108)는, 체결 벽부(112)와, 체결 벽부(112)의 차량 내측에 설치된 탱크 맞닿음부(144)와, 체결 벽부(112)와 탱크 맞닿음부(144)를 연결하는 제 2 완충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체결 벽부(112)는, 플로어리인포스(26)의 리인포스 저벽부(38)에 차량 하측으로부터 맞닿아져 있다. 그리고, 체결 벽부(112)에는 리인포스 저벽부(38)에 형성되어 있는 리인포스 체결 구멍(39)에 대응한 위치에 판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밴드 크로스 체결 구멍(113)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리인포스 체결 구멍(39)과 밴드 크로스 체결 구멍(113)에 볼트(22)을 삽입 통과하여 너트(42)로 체결함으로써, 체결 벽부(112) 나아가서는 탱크 밴드(108)가 플로어리인포스(26)를 통해 플로어 패널(12)에 체결되어 있다.
탱크 맞닿음부(144)는, 수소 탱크(20)의 차량 하측과 맞닿음과 함께, 수소 탱크(20)의 외주면의 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제 2 완충부(110)에는, 대략 차량 상하방향에서 요철이 되도록 굴곡된 신축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신축부(116)에 의해, 체결 벽부(112)가 탱크 맞닿음부(114)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2 완충부(110)는, 도 9의 (A), 도 9의 (B) 및 도 10의 (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대략 차량 상하방향으로 요철이 되도록 굴곡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도 10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차량 폭방향으로 요철이 되도록 굴곡된 신축부(117)가 형성된 구성이어도 된다.
도 9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플로어크로스멤버(50)가 설치되어 있는 개소에서는, 탱크 밴드(108)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판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밴드 크로스 체결 구멍(113)과 플로어크로스멤버(50)의 멤버 체결 구멍(55)에 볼트(22)를 삽입 통과하여 너트(42)로 체결함으로써, 탱크 밴드(108)가 플로어크로스멤버(50)를 통해 플로어 패널(12)에 체결되어 있다.
(제 5 실시형태의 작용·효과)
다음에, 제 5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의 (A), 도 9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플로어 터널(14) 내에 수용된 수소 탱크(20)와 플로어 패널(12)에 장착된 플로어리인포스(26)(플로어크로스멤버(50, 51))의 사이에는, 제 2 완충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측돌시,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차량 폭방향을 따라 충돌 하중이 플로어 패널(12)로 입력되면, 플로어 패널(12)과 플로어 패널(12)에 장착된 플로어리인포스(26)(플로어크로스멤버(50, 51))가 차량 폭방향을 따라 변위하여 수소 탱크(20)와 맞닿음으로써 플로어리인포스(26)(플로어크로스멤버(50, 51))로부터 수소 탱크(20)로 충격력이 작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 2 완충부(110)에 의해 플로어리인포스(26)(플로어크로스멤버(50, 51))로부터 수소 탱크(20)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소 탱크(20)의 내충격 구조를 간소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소 탱크(20)의 경량화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수소 탱크(20)의 외측면과 동일 형상으로 된 탱크 맞닿음부(144)가 수소 탱크(20)를 지지하는 점으로부터, 수소 탱크(20)와 탱크 맞닿음부(144)는 일정하게 맞닿아져 있다. 따라서, 수소 탱크(20)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수소 탱크(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수소 탱크(20)가 진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진동에 의해 수소 탱크(20)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으므로, 수소 탱크(20)의 내충격 구조를 간소한 구조로 향상시킬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다음에, 도 11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차량 전부 구조의 제 6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 1∼5 실시형태 등과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는, 기본적인 구성은 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되고, 탱크 밴드(118)에 탱크 맞닿음 부재(80)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도 11의 (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탱크 밴드(118)는, 체결 벽부(112)와, 이 체결 벽부(112)의 차량 내측에 설치된 탱크 지지 벽부(120)와, 체결 벽부(112)와 탱크 지지 벽부(120)를 연결하는 제 2 완충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탱크 지지 벽부(120)는, 한 쌍의 측벽부(126)와, 이 측벽부(126)의 차량 하측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저벽부(128)에 의해 차량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탱크 지지 벽부(120)는, 수소 탱크(20)의 차량 하측과 이간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탱크 지지 벽부(120)에는, 탱크 맞닿음 부재(80)가 2개 장착되어 있다. 즉, 일방의 탱크 맞닿음 부재(80)는, 외측 벽부(98)가 일방의 측벽부(126)와 맞닿음과 함께, 저벽부(96)가 저벽부(128)와 맞닿아 탱크 지지 벽부(120)에 장착되어 있다. 동일하게, 타방의 탱크 맞닿음 부재(80)도, 외측 벽부(98)가 타방의 측벽부(126)와 맞닿음과 함께, 저벽부(96)가 저벽부(128)와 맞닿아 탱크 지지 벽부(120)에 장착되어 있다. 즉, 일방의 탱크 맞닿음 부재(80)와 타방의 탱크 맞닿음 부재(80)는, 수소 탱크(20)의 차량 폭방향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탱크 맞닿음 부재(80)는 좌우 대칭으로 각각 1개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1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로 구성된 탱크 맞닿음 부재(130)로 해도 된다.
(제 6 실시형태의 작용·효과)
다음에, 제 6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도 11의 (A), 도 11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플로어 터널(14) 내에 수용된 수소 탱크(20)와 플로어 패널(12)에 장착된 플로어리인포스(26)(플로어크로스멤버(50, 51))의 사이에는, 제 2 완충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측돌시,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차량 폭방향을 따라 충돌 하중이 플로어 패널(12)로 입력되면, 플로어 패널(12)과 플로어 패널(12)에 장착된 플로어리인포스(26)(플로어크로스멤버(50, 51))가 차량 폭방향을 따라 변위하여 수소 탱크(20)와 맞닿음으로써 플로어리인포스(26)(플로어크로스멤버(50, 51))로부터 수소 탱크(20)로 충격력이 작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 2 완충부(110)에 의해 플로어리인포스(26)(플로어크로스멤버(50, 51))로부터 수소 탱크(20)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소 탱크(20)의 내충격 구조를 간소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소 탱크(20)의 경량화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수소 탱크(20)의 외측면과 동일 형상으로 된 탱크 맞닿음 부재(80, 130)에 있어서의 탱크 맞닿음부(94, 204)가 수소 탱크(20)를 지지하는 점으로부터, 수소 탱크(20)와 탱크 맞닿음부(94, 204)는 일정하게 맞닿아져 있다. 따라서, 수소 탱크(20)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수소 탱크(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수소 탱크(20)가 진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진동에 의해 수소 탱크(20)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으므로, 수소 탱크(20)의 내충격 구조를 간소한 구조로 향상시킬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다음에, 도 12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차량 전부 구조의 제 7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 1∼6 실시형태 등과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는, 기본적인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되고, 제 1 완충부(46)에 완충 스페이스(131)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도 1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탱크 밴드(24)가 설치된 개소에 있어서의 플로어크로스멤버(50)의 차량 내측의 멤버 종벽부(52)와, 수소 탱크(20)의 외측면과의 사이에는, 제 1 완충부(4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완충부(46)에는, 완충 스페이스(131)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공간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로어크로스멤버(50)에 탱크 밴드(24)가 장착된 개소에 한정되지 않고, 플로어리인포스(26)에 탱크 밴드(24)가 장착된 개소에 있어서의 제 1 완충부(46)에 완충 스페이스(131)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 7 실시형태의 작용·효과)
다음에, 제 7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플로어 터널(14) 내에 수용된 수소 탱크(20)와 플로어 패널(12)에 장착된 플로어크로스멤버(50, 51)(플로어리인포스(26))의 사이에는, 제 1 완충부(46)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측돌시,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차량 폭방향을 따라 충돌 하중이 플로어 패널(12)로 입력되면, 플로어 패널(12)과 플로어 패널(12)에 장착된 플로어크로스멤버(50, 51)(플로어리인포스(26))가 차량 폭방향을 따라 변위하여 수소 탱크(20)와 맞닿음으로써 플로어크로스멤버(50, 51)(플로어리인포스(26))로부터 수소 탱크(20)로 충격력이 작용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완충부(46)에 의해 플로어크로스멤버(50, 51)(플로어리인포스(26))와 수소 탱크(20)는 이간되어 있는 점으로부터, 플로어크로스멤버(50, 51)(플로어리인포스(26))로부터 수소 탱크(20)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소 탱크(20)의 내충격 구조를 간소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소 탱크(20)의 경량화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탱크 밴드(24)의 차량 폭방향의 양단부는, 각각 차량 폭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플로어크로스멤버(50)(플로어리인포스(26), 플로어크로스멤버(51))와, 반대측에 설치된 타방의 플로어크로스멤버(50)(플로어리인포스(26), 플로어크로스멤버(51))에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 측돌시에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차량 폭방향을 따라 충돌 하중이 플로어 패널(12)로 입력되면, 일방의 플로어크로스멤버(50)(플로어리인포스(26), 플로어크로스멤버(51))로부터 탱크 밴드(24)를 통해 타방의 플로어크로스멤버(50)(플로어리인포스(26), 플로어크로스멤버(51))로 충돌 하중이 전달된다. 이로 인해, 수소 탱크(20)에 직접 작용하는 충돌 하중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탱크 밴드(24)는 1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할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 탱크 밴드(24)에 탱크 맞닿음 부재(80)가 설치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 8 실시형태)
다음에, 도 13∼15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차량 전부 구조의 제 8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 1∼7 실시형태 등과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는, 제 1∼7 실시형태에 추가되는 구성으로 되어, 수소 탱크(20)의 차량 하측에 탱크 보호판(134)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탱크 밴드(24)에 의해 플로어 패널(12)에 장착되는 수소 탱크(20)의 차량 하측에는, 한 쌍의 보호판 측벽부(135)와, 이 보호판 측벽부(135)의 차량 하측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보호판 저벽부(136)와, 보호판 측벽부(135)의 차량 상측의 단부로부터 차량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간하도록 연장 설치된 보호판 플랜지부(133)에 의해 차량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해트 형상으로 된 탱크 보호판(13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탱크 보호판(134)의 보호판 플랜지부(133)는, 도 14의 (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플로어리인포스(26)의 리인포스 저벽부(38)에 차량 하측으로부터 맞닿아져 있음과 함께, 리인포스 저벽부(38)의 리인포스 체결 구멍(39)과 보호판 플랜지부(133)에 판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보호판 체결 구멍(138)에 볼트(22)를 삽입 통과시켜 너트(42)로 체결함으로써, 보호판 플랜지부(133)는 플로어리인포스(26) 나아가서는 플로어 패널(12)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탱크 밴드(24)가 장착되어 있는 개소에 대해서는, 도 14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탱크 밴드(24)와, 탱크 밴드(24)를 플로어리인포스(26)에 체결하고 있는 볼트(22)를 차량 하측으로부터 덮도록 탱크 보호판(134)의 보호판 플랜지부(133)가 굴곡되어 있다.
또한, 도 15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탱크 보호판(134)의 전단부(140)에는, 상승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상승부(142)는, 전단부(140)로부터 차량 상하방향을 따라 수소 탱크(20)의 전단부와 이간하여 차량 상측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차량 전측으로부터 충돌 하중의 입력이 있었을 경우에, 상승부(142)가 충돌 하중을 받음으로써 수소 탱크(20)로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5의 (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탱크 보호판(134)의 전단부(140)와 동일하게, 탱크 보호판(134)의 후단부(144)에도 상승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차량 후측으로부터 충돌 하중의 입력이 있었을 경우에, 상승부(142)가 충돌 하중을 받음으로써 수소 탱크(20)로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탱크 보호판(134)은, 1매의 부재로 수소 탱크(20)를 차량 하측으로부터 덮는 구성뿐만 아니라, 도 16의 (A)∼도 16의 (D)에 나타내어지는 제 1∼제 4 변형례와 같이,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도 16의 (A)에 나타내어지는 제 1 변형례의 탱크 보호판(132)은, 제 1 전측 보호판(146)과 제 1 후측 보호판(148)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전측 보호판(146)과 제 1 후측 보호판(148)은, 제 1 전측 보호판(146)의 후단부에 제 1 후측 보호판(148)의 전단부가 포개진 상태에서 플로어리인포스(26) 등에 볼트(22)로 체결되어 있다. 즉, 수소 탱크(20)는, 탱크 밴드(24)도 포함하여 전면(全面)이 덮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전측 보호판(146) 및 제 1 후측 보호판(148) 각각의 사이즈는, 1매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탱크 보호판(132)의 조립시의 처리가 용이해짐과 함께, 수소 탱크(20)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6의 (B)에 나타내어지는 제 2 변형례의 탱크 보호판(129)은, 제 2 전측 보호판(150)과 제 2 후측 보호판(15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2 전측 보호판(150)과 제 2 후측 보호판(152)은, 제 2 전측 보호판(150)의 후단부와 제 2 후측 보호판(152)의 전단부가 대향한 상태에서 플로어리인포스(26) 등에 볼트(22)로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전측 보호판(150) 및 제 2 후측 보호판(152) 각각의 사이즈는, 1매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탱크 보호판(129)의 조립시의 처리가 용이해짐과 함께, 장착 작업이 용이해진다.
도 16의 (C)에 나타내어지는 제 3 변형례의 탱크 보호판(139)은, 제 3 전측 보호판(154)과 제 3 중간 보호판(156)과 제 3 후측 보호판(15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3 전측 보호판(154)과 제 3 중간 보호판(156)은, 차량 전측의 탱크 밴드(24)의 차량 하측에서 제 3 전측 보호판(154)의 후단부와 제 3 중간 보호판(156)의 전단부가 대향한 상태에서 플로어리인포스(26) 등에 볼트(22)로 체결되어 있다. 또, 제 3 중간 보호판(156)과 제 3 후측 보호판(158)은, 차량 후측의 탱크 밴드(24)의 차량 하측에서 제 3 중간 보호판(156)의 후단부와 제 3 후측 보호판(158)의 전단부가 대향한 상태에서 플로어리인포스(26) 등에 볼트(22)로 체결되어 있다. 즉, 제 3 전측 보호판(154)과 제 3 중간 보호판(156)과 제 3 후측 보호판(158)은, 각각 단체(單體)의 사이즈를 보다 작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수소 탱크(20)는, 탱크 밴드(24)도 포함하여 대략 전면(全面)이 덮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탱크 보호판(139)의 조립시의 처리가 보다 용이해짐과 함께, 수소 탱크(20)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6의 (D)에 나타내어지는 제 4 변형례의 탱크 보호판(141)은, 제 4 전측 보호판(160)과 제 4 중간 보호판(162)과 제 4 후측 보호판(16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4 전측 보호판(160)과 제 4 중간 보호판(162)은, 차량 전측의 탱크 밴드(24)의 차량 하측에서 제 4 전측 보호판(160)의 후단부와 제 4 중간 보호판(162)의 전단부가 당해 탱크 밴드(24)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플로어리인포스(26) 등에 볼트(22)로 체결되어 있다. 또, 제 4 중간 보호판(162)과 제 4 후측 보호판(164)은, 차량 후측의 탱크 밴드(24)의 차량 하측에서 제 4 중간 보호판(162)의 후단부와 제 4 후측 보호판(164)의 전단부가 당해 탱크 밴드(24)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플로어리인포스(26) 등에 볼트(22)로 체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수소 탱크(20)의 표면이 차 밖으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함과 함께, 제 4 전측 보호판(160)과 제 4 중간 보호판(162)과 제 4 후측 보호판(164)의 각각의 단체의 사이즈를 더 작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탱크 보호판(141)의 조립시의 처리가 한층 더 용이해짐과 함께, 장착 작업이 한층 용이해진다.
(제 8 실시형태의 작용·효과)
다음에, 제 8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4의 (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수소 탱크(20)는 탱크 보호판(134)에 의해 차량 하방으로부터 덮여 있는 점으로부터, 도 14의 (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장해물 등에 의해 차량 하방으로부터 차량(10)으로 입력되는 충격력은 탱크 보호판(134)에 입력된다. 즉, 차량 측돌시뿐만 아니라, 차량 하방으로부터의 충격력도 수소 탱크(20)로 직접 전달되지 않고, 탱크 보호판(134)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소 탱크(20)로 작용하는 충격을 한층 완화할 수 있다.
(제 9 실시형태)
다음에, 도 17의 (A)∼도 17의 (D)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차량 전부 구조의 제 9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 1∼8 실시형태 등과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는, 기본적인 구성은 제 8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되고, 탱크 보호판(166)이 차량 상하방향에 복수의 패널을 가지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도 17의 (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탱크 보호판(166)은, 아우터 패널로서의 제 1 아우터 패널(168)과 이너 패널로서의 제 1 이너 패널(170)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아우터 패널(168)은, 한 쌍의 아우터 측벽부(169)와, 이 아우터 측벽부(169)의 차량 하측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아우터 저벽부(172)와, 아우터 측벽부(169)의 차량 상측의 단부로부터 차량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간하도록 연장 설치된 아우터 플랜지부(173)에 의해 차량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아우터 패널(168)의 아우터 플랜지부(173)는, 플로어리인포스(26)의 리인포스 저벽부(38)에 차량 하측으로부터 맞닿아져 있음과 함께, 리인포스 저벽부(38)의 리인포스 체결 구멍(39)과 아우터 플랜지부(173)에 판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도시하지 않는 아우터 체결 구멍에 볼트(22)를 삽입 통과시켜 너트(42)로 체결함으로써, 아우터 플랜지부(173)는 플로어리인포스(26) 나아가서는 플로어 패널(12)에 장착되어 있다.
제 1 이너 패널(170)은, 한 쌍의 이너 측벽부(171)와, 이 이너 측벽부(171)의 차량 하측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이너 저벽부(176)와, 이너 저벽부(176)의 차량 폭방향 중앙에 형성된 탱크 지지부로서의 탱크 맞닿음부(178)에 의해 차량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너 측벽부(171)는, 아우터 측벽부(169)의 차량 폭방향 내측면에 결합됨으로써, 제 1 이너 패널(170)과 제 1 아우터 패널(168)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탱크 맞닿음부(178)는, 수소 탱크(20)의 외주면의 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이너 패널(170)과 제 1 아우터 패널(168)의 사이에는, 변형 흡수부(18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변형 흡수부(180)는, 한 쌍의 아우터 측벽부(169)와 아우터 저벽부(172)와, 이너 저벽부(176)와, 탱크 맞닿음부(178)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변형 흡수부(180)의 크기는, 도 17의 (B)에 나타내어지는 제 1 변형례와 같이, 제 1 아우터 패널(188)의 아우터 저벽부(190)를 차량 하측으로 이동시킨 형상으로 변경하거나, 도 17의 (C)에 나타내어지는 제 2 변형례와 같이 제 1 아우터 패널(192)을 평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제 1 이너 패널(194)의 형상을 대략 해트 형상으로 하는 등에 의해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7의 (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탱크 보호판(166)이 제 1 이너 패널(170)과 제 1 아우터 패널(168)의 2부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7의 (D)에 나타내어지는 변형례와 같이, 제 2 아우터 패널(182)과, 수소 탱크(20)와 맞닿은 제 2 이너 패널(184)과, 제 2 아우터 패널(182)과 제 2 이너 패널(184)의 사이에 설치되고, 차량 상측에 볼록 형상을 가지는 제 2 중간 부재(186)에 의해 3부품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 2 중간 부재(186)에 의해 형성된 공간(196)이 변형 흡수부로 되어 있다. 또한, 탱크 보호판(166)은 3부품 이상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 9 실시형태의 작용·효과)
다음에, 제 9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7의 (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수소 탱크(20)와 탱크 보호판(166)의 사이에는 변형 흡수부(180)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장해물 등에 의해 차량 하방으로부터 차량(10)으로 입력되는 충격력에 의해 탱크 보호판(166)이 차량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변형되어도, 이 탱크 보호판(166)과 수소 탱크(20)의 맞닿음이 억제되는 점으로부터, 탱크 보호판(166)으로부터 수소 탱크(20)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수소 탱크(20)의 외측면과 동일 형상으로 된 탱크 맞닿음부(178)가 수소 탱크(20)를 지지하는 점으로부터, 수소 탱크(20)와 탱크 맞닿음부(178)는 일정하게 맞닿아져 있다. 따라서, 수소 탱크(20)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수소 탱크(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수소 탱크(20)가 진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진동에 의해 수소 탱크(20)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으므로, 수소 탱크(20)의 내충격 구조를 간소한 구조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제 1∼제 9 실시형태에서는, 탱크로서 내부에 수소를 저류하는 수소 탱크(20)를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스를 저류하는 가스 탱크여도 되고, 또한 그 밖의 것이 저류되는 탱크여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8)

  1. 플로어 패널의 대략 차량 폭방향 중앙에 차량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고 또한 차량 하측을 향해 개구된 플로어 터널과,
    상기 플로어 패널에 장착됨과 함께, 차량 전후방향 또는 차량 폭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고, 차량 하측으로 돌출된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에 체결된 탱크 밴드와,
    상기 탱크 밴드에 의해 상기 플로어 터널 내에 상부가 수용된 상태로 유지된 탱크와,
    상기 볼록부와 상기 탱크의 하부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차량 측방으로부터의 충돌 하중에 의해 차량 폭방향으로 변위하는 상기 볼록부로부터 상기 탱크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하는 제 1 완충부를 갖는 차량 하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완충부에는, 상기 충격력을 흡수하는 완충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 하부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밴드는, 일방의 밴드와 타방의 밴드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각각의 밴드의 일방의 단부는 상기 볼록부에 체결되고, 당해 일방의 밴드와 당해 타방의 밴드는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는, 차량 하부 구조.
  4. 플로어 패널의 대략 차량 폭방향 중앙에 차량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고 또한 차량 하측을 향해 개구된 플로어 터널과,
    상기 플로어 패널에 장착됨과 함께, 차량 전후방향 또는 차량 폭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고, 차량 하측으로 돌출된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에 체결된 탱크 밴드와,
    상기 탱크 밴드에 의해 상기 플로어 터널 내에 상부가 수용된 상태로 유지된 탱크와,
    상기 탱크 밴드의 일부에 형성되고, 차량 측방으로부터의 충돌 하중에 의해 차량 폭방향으로 변위하는 상기 볼록부로부터 상기 탱크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하는 제 2 완충부를 갖는 차량 하부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밴드에는, 상기 탱크와 맞닿음과 함께, 상기 탱크의 맞닿은 개소의 외측면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탱크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 하부 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및 상기 탱크 밴드의 차량 하측에는, 판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적어도 상기 탱크를 차량 하측으로부터 덮도록 탱크 보호판이 설치되어 있는, 차량 하부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보호판은, 상기 탱크를 지지하고 있는 이너 패널과, 당해 이너 패널에 대해 차량 하방으로 이간하여 배치된 아우터 패널로 구성되어 있는, 차량 하부 구조.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밴드와 상기 탱크의 사이에 탱크 지지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탱크 지지 부재에는, 상기 탱크와 맞닿음과 함께, 상기 탱크의 맞닿은 개소의 외측면과 대략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탱크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 하부 구조.
KR1020160004041A 2015-01-14 2016-01-13 차량 하부 구조 KR201600877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05205 2015-01-14
JP2015005205A JP6304049B2 (ja) 2015-01-14 2015-01-14 車両下部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763A true KR20160087763A (ko) 2016-07-22

Family

ID=56233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041A KR20160087763A (ko) 2015-01-14 2016-01-13 차량 하부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200191A1 (ko)
JP (1) JP6304049B2 (ko)
KR (1) KR20160087763A (ko)
CN (1) CN105774917A (ko)
DE (1) DE102016100392B4 (ko)
FR (1) FR30314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5599B2 (ja) * 2013-07-23 2016-10-12 豊田鉄工株式会社 車両用フロアブレースの製造方法
JP5870992B2 (ja) * 2013-12-25 2016-03-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池搭載構造
DE102015201710A1 (de) * 2015-02-02 2016-08-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bschirmvorrichtung, Fahrgastzelle, Kraftfahrzeug und Abschirmungsverfahren
JP6365500B2 (ja) * 2015-10-20 2018-08-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床下構造
JP6174659B2 (ja) * 2015-10-22 2017-08-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バルブ保護構造
JP6439986B2 (ja) * 2016-02-22 2018-12-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車
JP2019177705A (ja) * 2016-07-11 2019-10-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JP6642346B2 (ja) * 2016-09-09 2020-02-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DE102016223749A1 (de) * 2016-11-30 2018-05-3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arosserie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r Bodenbaugruppe, die einen Mitteltunnel aufweist
DE102017203093A1 (de) * 2017-02-24 2018-08-3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Druckbehälteranordnung und Fahrzeug mit der Druckbehälteranordnung
US10252751B2 (en) * 2017-03-07 2019-04-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flatable tunnel reinforcement
JP6819391B2 (ja) * 2017-03-22 2021-01-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JP6766745B2 (ja) * 2017-05-11 2020-10-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6848834B2 (ja) * 2017-11-29 2021-03-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タンクの搭載構造及び車両
JP7052333B2 (ja) 2017-12-18 2022-04-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室下部構造
JP7127298B2 (ja) * 2018-02-28 2022-08-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JP7067178B2 (ja) 2018-03-23 2022-05-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CN108544920A (zh) * 2018-06-12 2018-09-18 芜湖爱丽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储气罐布置结构
CN108773265A (zh) * 2018-06-12 2018-11-09 芜湖爱丽机电科技有限公司 用于新能源汽车储气罐的安装结构
CN108790803A (zh) * 2018-06-12 2018-11-13 芜湖爱丽机电科技有限公司 新能源汽车储气罐布置结构
JP7139961B2 (ja) * 2019-01-11 2022-09-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カバー部材
DE102019111744A1 (de) * 2019-05-07 2020-11-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einem Druckbehälter in einer Bodenbaugruppe
DE102019113700A1 (de) * 2019-05-22 2020-11-2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Gruppe von Kraftfahrzeugen mit einem Batterieantriebsfahrzeug und/oder einem Hybridantriebsfahrzeug und/oder einem Brennstoffzellenantriebsfahrzeug und/oder einem Verbrennungsmotorantriebsfahrzeug
DE102019120607A1 (de) * 2019-07-31 2021-02-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CN110843935B (zh) * 2019-10-23 2020-09-11 武汉格罗夫氢能汽车有限公司 一种氢能源汽车的具有容置氢气瓶功能的中通道框架
FR3123295B1 (fr) * 2021-05-28 2023-04-14 Psa Automobiles Sa Vehicule muni d'un dispositif d'amortissement de choc pour un reservoir de gaz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4274U (ja) * 1981-09-09 1983-03-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フロア構造
JPS60156029U (ja) * 1984-03-28 1985-10-1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フユ−エルタンクの支持構造
JPS60156029A (ja) * 1984-11-22 1985-08-16 Minolta Camera Co Ltd カメラの自動焦点調整方法
JPH04368227A (ja) 1991-06-14 1992-12-21 Mazda Motor Corp 水素エンジンを備えた自動車
JPH08175203A (ja) * 1994-12-27 1996-07-09 Toyota Motor Corp 燃料タンク取付け構造
JP3391432B2 (ja) 1997-04-07 2003-03-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燃料タンク取付構造
KR19980064050U (ko) * 1997-04-24 1998-11-25 김영귀 퓨얼탱크 고정장치
US5996207A (en) 1998-05-11 1999-12-07 Honda Of America Mfg., Inc. Tank installation method
KR20000047257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다수의 채널복조기 제어장치
JP2004026117A (ja) * 2002-06-28 2004-01-29 Toyota Motor Corp 燃料タンクの配置構造
US6755460B1 (en) 2003-02-28 2004-06-29 Paccar Inc. Vehicle body panel mounting system
US7140642B2 (en) * 2004-02-12 2006-11-28 Mazda Motor Corporation Fuel tank disposition structure of vehicle
US7270209B2 (en) 2004-08-10 2007-09-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dular fuel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CN100546843C (zh) * 2004-10-29 2009-10-07 福特全球技术公司 一种用于车辆的燃料存储系统
JP2006168527A (ja) * 2004-12-15 2006-06-29 Honda Motor Co Ltd 車体フレーム構造
CN104118350A (zh) * 2014-07-15 2014-10-29 张家港市顺佳隔热技术有限公司 车载气罐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6100392A1 (de) 2016-07-14
CN105774917A (zh) 2016-07-20
DE102016100392B4 (de) 2020-06-18
FR3031491A1 (ko) 2016-07-15
FR3031491B1 (fr) 2020-03-06
JP2016130103A (ja) 2016-07-21
US20160200191A1 (en) 2016-07-14
JP6304049B2 (ja)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7763A (ko) 차량 하부 구조
CN110239628B (zh) 车辆后部构造
CN107662650B (zh) 车辆的前部车体构造
US9764765B2 (en) Vehicle-body front structure
CN103029754B (zh) 车体后部结构
JP2019023029A (ja) 車両下部構造
CN104884288A (zh) 车辆用电池搭载结构
US20180362087A1 (en) Vehicular frame
US10137934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CN110304149B (zh) 车辆的前部车身结构
CN109229216B (zh) 车辆的后部车体构造
JP2018188106A (ja) 車体下部構造
KR20170068326A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조립 구조
JP2019171934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US20230223635A1 (en) Vehicle battery mounting structure
CN110239623B (zh) 车辆后部构造
JP2012126166A (ja) 自動車用車体骨格における補強構造
JP6027448B2 (ja) 車体前部構造
CN112298363A (zh) 车辆的前部车身结构
CN114132388B (zh) 车身
CN111776077A (zh) 用于车辆的前柱结构
JP4556412B2 (ja) 車体後部構造
JP6236111B2 (ja) 車体前部構造
JP6278996B2 (ja) 車体前部構造
US20200122779A1 (en) Fender apron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