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8944A - 엘리베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8944A
KR20160048944A KR1020167008399A KR20167008399A KR20160048944A KR 20160048944 A KR20160048944 A KR 20160048944A KR 1020167008399 A KR1020167008399 A KR 1020167008399A KR 20167008399 A KR20167008399 A KR 20167008399A KR 20160048944 A KR20160048944 A KR 20160048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ed
car
elevator
elevator car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8971B1 (ko
Inventor
고지 야마기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8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33For elevator systems with a single shaft and multipl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7Tandem operation of multiple elevator cars in the sam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이 발명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원 샤프트 더블 카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한쪽 엘리베이터 칸(2a)에 대해서, 엘리베이터 칸 위치와 층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것을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층상 인식 이상을 검출하는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4a)과,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2b)에 대해서, 상기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4a)으로 검출한 층상 인식 이상 정보의 통지에 의해, 상기 한쪽 엘리베이터 칸(2a)과는 반대 방향의 종단층으로 주행시키는 종단층 주행 수단(6b)과, 상기 종단층 주행 수단(6b)으로부터의 종단층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 엘리베이터 칸(2a)의 층상 인식 이상을 수정하는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을 실시하는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수단(8a)을 구비하였으므로, 엘리베이터 칸 끼리가 충돌하는 일 없이, 안전하게 이상 복구 운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ELEVATOR SYSTEM}
이 발명은 하나의 승강로 내에 2대의 엘리베이터 칸이 독립하여 주행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원 샤프트 더블 카(one-shaft double-car)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 대상이 되는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와 층상 중 적어도 어느 것이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 정상 복귀시키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서는, 원 샤프트 멀티 카(one-shaft multi-car)에 있어서, 한쪽의 엘리베이터 칸이 정상 착상하고 있을 때만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을 허가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0013 단락).
또 원 샤프트 멀티 카에 있어서, 주행 가능한 층상을 에어리어 구분한 운용으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0-12845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소 61-111284호 공보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는, 미리 측정한 카운터의 값 등을 이용하여 인식하고 있다. 예를 들면 착상 센서가 검지했을 경우에, 미리 측정한 카운터값과 같거나 혹은 소정의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위치가 정확하다고 인식한다. 그러나 순간적인 정전이나, 서지, 로프의 늘어남(elongation) 그 외에 의해, 그 카운터값을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 그 경우, 카운터값을 다시 기억하는 동작이 필요하다.
특허 문헌 1-2에 있어서는, 한쪽 엘리베이터 칸 위치와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 위치의 관계를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고, 그러한 경우에 어떻게 정상 복귀시키는지가 분명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하나의 승강로 내에 2대의 엘리베이터 칸이 독립하여 주행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한쪽 엘리베이터 칸의 이상(異常) 검출에 기초하여,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제어를 행하고, 상기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제어를 행하는 원 샤프트 더블 카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한쪽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엘리베이터 칸 위치와 층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것을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층상 인식 이상을 검출하는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과,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상기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층상 인식 이상 정보의 통지에 의해, 상기 한쪽 엘리베이터 칸과는 반대 방향의 종단층으로 주행시키는 종단층 주행 수단과,
상기 종단층 주행 수단으로부터의 종단층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 엘리베이터 칸의 층상 인식 이상을 수정하는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을 실시하는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발명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하면, 원 샤프트 더블 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끼리가 충돌하는 일 없이, 안전하게 이상 복구 운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3, 5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일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개의 승강로(도시하지 않음) 내에는, 상(上) 엘리베이터 칸인 엘리베이터 칸 A(2a)와 하(下) 엘리베이터 칸인 엘리베이터 칸 B(2b)가 있고, 각각 상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a)와, 하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b)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상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a)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나 층상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것이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게 되는 층상 인식 이상을 검출하는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4a), 하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b)로부터 받은 층상 인식 이상 정보의 통지에 의해 하 엘리베이터 칸이 존재하지 않는 종단층으로 주행하는 요구를 작성하는 종단층 주행 요구 수단(5a), 종단층 주행 요구 수단(5a)으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하여, 종단층으로 주행·정지를 행하는 종단층 주행 수단(6a), 종단층 주행 수단(6b)으로부터 받은 종단층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을 요구하는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요구 수단(7a) 및,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요구 수단(7a)의 요구에 기초하여,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을 행하는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수단(8a)을 구비한다.
여기서, 층상 인식 이상 정보는, 예를 들면, 미리 취득한 층상을 나타내는 정보(카운터값)와, 정상 착상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카운터값)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나, 소정 범위 내(카운터값이라면 ±10 이내 등)인 경우에 통지된다.
또, 종단층 주행 정보는, 예를 들면, 종단층으로의 주행이 완료되어, 엘리베이터 칸 B가 정지했을 경우에 통지되지만, 엘리베이터 칸 B가 종단층으로 주행을 개시했을 경우에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상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a)에는, 상 엘리베이터 칸인 엘리베이터 칸 A(2a)와 권상기(3a)가 접속되어 있다.
하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b)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나 층상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것이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게 되는 층상 인식 이상을 검출하는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4b), 상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a)로부터 받은 층상 인식 이상 정보의 통지에 의해 상 엘리베이터 칸이 존재하지 않는 종단층으로 주행하는 요구를 작성하는 종단층 주행 요구 수단(5b), 종단층 주행 요구 수단(5b)으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하여, 종단층으로 주행·정지를 행하는 종단층 주행 수단(6b), 종단층 주행 수단(6a)으로부터 받은 종단층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을 요구하는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요구 수단(7b) 및,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요구 수단(7b)의 요구에 기초하여,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을 행하는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수단(8b)을 구비한다.
여기서, 층상 인식 이상 정보는, 예를 들면, 미리 취득한 층상을 나타내는 정보(카운터값)와, 정상 착상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카운터값)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나, 소정 범위 내(카운터값이라면 ±10 이내 등)인 경우에 통지된다.
또, 종단층 주행 정보는, 예를 들면, 종단층으로의 주행이 완료되어, 엘리베이터 칸 A가 정지했을 경우에 통지되지만, 엘리베이터 칸 A가 종단층으로 주행을 개시했을 경우에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하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b)에는, 하 엘리베이터 칸인 엘리베이터 칸 B(2b)와 권상기(3b)가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의 동작을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동작 순서도이다.
먼저, S11에 있어서,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4a)으로 엘리베이터 칸 A(3a)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와 층상 중 적어도 어느 것이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게 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는, S12로 진행하고,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S12에서는,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4a)으로 검출한 엘리베이터 칸 A 층상 인식 이상 정보를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요구 수단(7a) 및 종단층 주행 요구 수단(5b)에 통지하고, S13으로 진행한다.
S13에서는, 종단층 주행 요구 수단(5b)으로부터의 종단층 주행 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종단층 주행 수단(6b)으로, 하 엘리베이터 칸인 엘리베이터 칸 B(2b)를 상 엘리베이터 칸인 엘리베이터 칸 A(2a)가 존재하지 않는 방향의 종단층으로 주행하고, S14로 진행한다.
S14에서는, 종단층 주행 수단(6b)의 종단층 주행 정보의 통지에 의해, 하 엘리베이터 칸인 엘리베이터 칸 B(2b)가 종단층으로의 주행·정지를 완료했는지를 판단한다. 완료되어 있지 않으면 S13로 돌아가고(S14;NO), 완료되었으면 S15로 진행한다(S14;YES). 또한 여기서, 엘리베이터 칸 B가 종단층으로 주행을 개시했을 경우에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S15에서는, 종단층 주행 수단(6b)이 엘리베이터 칸 B 종단층 주행 정지 정보를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요구 수단(7a)에 통지하고, S16으로 진행한다.
S16에서는,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요구 수단(7a)에 있어서,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4a)으로부터의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정보와, 종단층 주행 수단(6b)으로부터의 엘리베이터 칸 B 종단층 주행 정지 정보에 기초하여,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수단(8a)에,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요구를 통지하고, S17로 진행한다.
S17에서는,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수단(8a)에 있어서, 상 엘리베이터 칸인 엘리베이터 칸 A(2a)를 하 엘리베이터 칸인 엘리베이터 칸 B(2b)가 존재하지 않는 방향의 종단층으로 주행시키고, S18로 진행한다.
S18에서는, 상 엘리베이터 칸인 엘리베이터 칸 A(2a)는 종단층에 있으므로, 예를 들면, 종단층을 나타내는 층상 인식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정상 착상 위치를 나타내는 착상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정보를 기초로 현재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종단층으로 수정함으로써, 층상 인식 이상의 수정을 행한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 설명에 이용하지 않았던 도 1의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4b), 종단층 주행 요구 수단(5a), 종단층 주행 수단(6a),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요구 수단(7b),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수단(8b)은 없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하면, 원 샤프트 더블 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 끼리가 충돌하는 일 없이, 안전하게 이상 복구 운전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상 엘리베이터 칸인 엘리베이터 칸 A에 있어서 착상 인식 이상을 검출했지만, 하 엘리베이터 칸인 엘리베이터 칸 B에 있어서 착상 인식 이상을 검출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일 구성도이다. 모두 실시 형태 1에서 설명되었기 때문에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1의 동작을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동작 순서도이다.
먼저, S21에 있어서,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4b)으로 엘리베이터 칸 B(3b)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와 층상 중 적어도 어느 것이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게 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는, S22로 진행하고,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S22에서는,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4b)으로 검출한 엘리베이터 칸 A 층상 인식 이상 정보를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요구 수단(7b) 및 종단층 주행 요구 수단(5a)에 통지하고, S23으로 진행한다.
S23에서는, 종단층 주행 요구 수단(5a)으로부터의 종단층 주행 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종단층 주행 수단(6a)으로, 상 엘리베이터 칸인 엘리베이터 칸 A(2a)를 하 엘리베이터 칸인 엘리베이터 칸 B(2b)가 존재하지 않는 방향의 종단층으로 주행하고, S24로 진행한다.
S24에서는, 종단층 주행 수단(6a)의 종단층 주행 정보의 통지에 의해, 상 엘리베이터 칸인 엘리베이터 칸 A(2a)가 종단층으로의 주행·정지를 완료했는지를 판단한다. 완료되어 있지 않으면 S23로 돌아가고(S24;NO), 완료되었으면 S25로 진행한다(S24;YES). 또한 여기서, 엘리베이터 칸 A가 종단층으로 주행을 개시했을 경우에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S25에서는, 종단층 주행 수단(6a)이 엘리베이터 칸 B 종단층 주행 정지 정보를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요구 수단(7b)에 통지히고, S26으로 진행한다.
S26에서는,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요구 수단(7b)에 있어서,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4b)으로부터의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정보와, 종단층 주행 수단(6a)으로부터의 엘리베이터 칸 B 종단층 주행 정지 정보에 기초하여,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수단(8b)에,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요구를 통지하고, S27로 진행한다.
S27에서는,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수단(8b)에 있어서, 하 엘리베이터 칸인 엘리베이터 칸 B(2b)를 상 엘리베이터 칸인 엘리베이터 칸 A(2a)가 존재하지 않는 방향의 종단층으로 주행시키고, S28로 진행한다.
S28에서는, 하 엘리베이터 칸인 엘리베이터 칸 B(2b)는 종단층에 있으므로, 예를 들면, 현재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카운터값)를 미리 기억된 종단층을 나타내는 정보(카운터값)에 다시 기억함으로써, 층상 인식 이상의 수정을 행한다.
또한, 실시 형태 2에서 설명에 이용하지 않았던 도 1의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4a), 종단층 주행 요구 수단(5b), 종단층 주행 수단(6b),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요구 수단(7a),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수단(8a)은 없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 2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하면,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원 샤프트 더블 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 끼리가 충돌하는 일 없이, 안전하게 이상 복구 운전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3.
상기 실시 형태 1-2에서는, 상 엘리베이터 칸인 엘리베이터 칸 A 또는 하 엘리베이터 칸 B에 있어서 착상 인식 이상을 검출했지만, 한쪽을 「한쪽 엘리베이터 칸 」, 다른 쪽을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으로 하여 착상 인식 이상을 검출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일 구성도이다. 또,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실시 형태 1의 상 엘리베이터 칸을 한쪽 엘리베이터 칸, 하 엘리베이터 칸을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으로 바꾸어 읽으면, 모든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기 때문에, 구성 및 동작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 3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하면, 실시 형태 1-2와 마찬가지로, 원 샤프트 더블 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 끼리가 충돌하는 일 없이, 안전하게 이상 복구 운전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4.
상기 실시 형태 1-3에서는, 층상 인식 이상을 검출한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에 사람이 타고 있지 않은 것을 전제로 하고 있었지만,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에 사람이 타고 있을 때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 형태 4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일 구성도이다. 도 1과 동일 부호의 부분은 도 1에서 설명되었기 때문에 적당히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있어서, 상 엘리베이터 칸인 엘리베이터 칸 A(2a)에는, 엘리베이터 칸 내에 마련되어, 승객의 유무를 검출하는 사람 검출 수단(9a)과 엘리베이터 칸 도어(10a)가 접속되어 있다. 또, 하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b)의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4b)으로부터의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정보에 의해, 최근층(nearest floor) 정지를 행하는 최근층 정지 수단(12a), 도어 개폐 제어 수단(11a)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또, 하 엘리베이터 칸인 엘리베이터 칸 B(2b)에는, 엘리베이터 칸 내에 마련되어, 승객의 유무를 검출하는 사람 검출 수단(9b)과 엘리베이터 칸 도어(10b)가 접속되어 있다. 또, 상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a)의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4a)으로부터의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정보에 의해, 최근층 정지를 행하는 최근층 정지 수단(12b), 도어 개폐 제어 수단(11b)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5의 동작을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동작 순서도이다.
먼저, S31에 있어서,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4a)으로 한쪽 엘리베이터 칸(3a)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와 층상 중 적어도 어느 것이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게 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는, S32로 진행하고,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S32에서는,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4a)으로 검출한 한쪽 엘리베이터 칸의 층상 인식 이상 정보를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요구 수단(7a) 및 종단층 주행 요구 수단(5b)에 통지하고, S41로 진행한다.
S41에서는,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의 사람 검출 수단(9b)에 의해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2b)에 승객이 타고 있는지를 판정하여, 타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S42로 진행하고(S41;YES), 타고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S33으로 진행한다(S41;NO).
S42에서는,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2b)에 사람이 타고 있으므로 최근층 정지 수단(12b)에 의해 최근층으로의 정지를 행하고, S43으로 진행한다.
S43에서는,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2b) 내에 이상을 나타내는 경보를 발행한다.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엘리베이터 칸 내 표시 장치에 「이상이 발생했습니다. 하차해 주세요.」등의 표시를 행하거나, 같은 내용의 음성을 알리거나 한다. 이 표시와 알림은 어느 한쪽이어도 되고, 양쪽을 행해도 된다. 표시 또는 알림 후는 S44로 진행한다.
S44에서는, 도어 개폐 제어 수단(11b)에 의해, 승객이 하차 하기에 충분한 시간, 예를 들면 4초 동안, 도어 열림하고 그 후 도어 닫힘하고, S33으로 진행한다. S33 이후의 동작은 이미 실시 형태 3에서 설명되었으므로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 4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하면, 실시 형태 1-3의 효과에 더하여, 한쪽에서 층상 인식 이상을 검출했을 경우에,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의 승객이 하차를 행하고 나서 종단층으로 주행시키게 되므로,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에 승객이 타고 있었을 경우에 잠시 동안 갇힌 상태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실시 형태 5.
상기 실시 형태 1-4에서는, 층상 인식 이상의 검출이 한쪽 엘리베이터 칸 밖에 발생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었지만, 양쪽의 엘리베이터 칸에 발생했을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5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일 구성도이다. 모두 실시 형태 1에서 설명되었기 때문에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1의 동작을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동작 순서도이다.
먼저, S51에 있어서, 예를 들면 10초 이내에,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4a, 4b)으로 한쪽 엘리베이터 칸(3a)과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3b)의 양쪽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위치와 층상 중 적어도 어느 것이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게 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는, S52로 진행하고(S51;YES),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경우에는, S55로 진행한다(S51;NO).
S52에서는, 종단층 주행 요구 수단(5b, 5a), 종단층 주행 수단(6b, 6a)에 의해, 한쪽 엘리베이터 칸을 상방의 종단층,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을 하방의 종단층으로 주행시키고, S53으로 진행한다.
S53에서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도 2의 S14~S18의 동작을 행하고, S54로 진행한다.
S54에서는, 실시 형태 2에서 설명한 도 3의 S24~S28의 동작을 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S55에서는,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4a)으로 한쪽 엘리베이터 칸(3a)에서 엘리베이터 칸 위치와 층상 중 적어도 어느 것이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게 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는, S56으로 진행하고(S55;YES),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경우에는, S57로 진행한다(S55;NO).
S56에서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도 2의 S12~S18의 동작을 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S57에서는,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4b)으로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3b)에서 엘리베이터 칸 위치와 층상 중 적어도 어느 것이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게 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는, S58로 진행하고(S57;YES),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S57;NO).
S58에서는, 실시 형태 2에서 설명한 도 3의 S22~S28의 동작을 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본 실시 형태 5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하면, 층상 인식 이상의 검출이 양쪽의 엘리베이터 칸에 발생했을 경우더라도, 엘리베이터 칸 끼리가 충돌하는 일 없이, 안전하게 이상 복구 운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한쪽 엘리베이터 칸 」을 「상 엘리베이터 칸」,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을 「하 엘리베이터 칸」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한쪽 엘리베이터 칸 」을 「하 엘리베이터 칸」,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을 「상 엘리베이터 칸」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도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한다.
또, 상기 실시 형태는 적당히 조합해도 되고, 그 경우, 각각의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내에 표시하는 정보의 갱신을, 무선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정보 표시하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1a: 상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1b: 하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2a: 상 엘리베이터 칸 2b: 하 엘리베이터 칸
3a: 상 엘리베이터 칸 권상기 3b: 하 엘리베이터 칸 권상기
4a: 상 엘리베이터 칸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
4b: 하 엘리베이터 칸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
5a: 상 엘리베이터 칸 종단층 주행 요구 수단
5b: 하 엘리베이터 칸 종단층 주행 요구 수단
6a: 상 엘리베이터 칸 종단층 주행 수단
6b: 하 엘리베이터 칸 종단층 주행 수단
7a: 상 엘리베이터 칸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요구 수단
7b: 하 엘리베이터 칸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요구 수단
8a: 상 엘리베이터 칸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수단
8b: 하 엘리베이터 칸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수단
9a: 상 엘리베이터 칸 사람 검출 수단
9b: 하 엘리베이터 칸 사람 검출 수단
10a: 상 엘리베이터 칸 도어 10b: 하 엘리베이터 칸 도어

Claims (4)

  1. 하나의 승강로 내에 2대의 엘리베이터 칸이 독립하여 주행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한쪽 엘리베이터 칸의 이상(異常) 검출에 기초하여,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제어를 행하고, 상기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제어를 행하는 원 샤프트 더블 카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한쪽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엘리베이터 칸 위치와 층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것을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층상 인식 이상을 검출하는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과,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상기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층상 인식 이상 정보의 통지에 의해, 상기 한쪽 엘리베이터 칸과는 반대 방향의 종단층으로 주행시키는 종단층 주행 수단과,
    상기 종단층 주행 수단으로부터의 종단층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 엘리베이터 칸의 층상 인식 이상을 수정하는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을 실시하는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엘리베이터 칸 위치와 층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것을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층상 인식 이상을 검출하는 제2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과,
    상기 한쪽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상기 제2 층상 인식 이상 수단으로 검출한 층상 인식 이상 정보의 통지에 의해, 상기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과는 반대 방향의 종단층으로 주행시키는 제2 종단층 주행 수단과,
    상기 제2 종단층 주행 수단으로부터의 종단층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의 층상 인식 이상을 수정하는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을 실시하는 제2 층상 인식 이상 수정 운전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으로 층상 인식 이상을 검출했을 때,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에 승객이 승차하고 있는 것을 검지하는 사람 검지 수단과,
    사람 검출 수단으로 승객을 검출했을 경우에, 최근층(nearest floor)에 정지하는 제어를 행하는 최근층 정지 수단과,
    도어 열림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도어 닫힘을 행하는 도어 개폐 제어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과, 상기 제2 층상 인식 이상 검출 수단이 소정 시간 이내에 각각 층상 인식 이상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상기 제2 종단층 주행 수단에 있어서 상기 한쪽 엘리베이터 칸과는 반대 방향의 종단층으로 주행시킴과 아울러, 상기 종단층 주행 수단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 엘리베이터 칸과는 반대 방향의 종단층으로 주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0167008399A 2013-09-03 2013-09-03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1808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05184 WO2015033370A1 (ja) 2013-09-03 2013-09-03 エレベータ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944A true KR20160048944A (ko) 2016-05-04
KR101808971B1 KR101808971B1 (ko) 2018-01-18

Family

ID=52627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399A KR101808971B1 (ko) 2013-09-03 2013-09-03 엘리베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92996B2 (ko)
JP (1) JP6065982B2 (ko)
KR (1) KR101808971B1 (ko)
CN (1) CN105517935B (ko)
DE (1) DE112013007394T5 (ko)
WO (1) WO20150333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17935B (zh) * 2013-09-03 2017-06-23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系统
JP6966391B2 (ja) * 2018-07-31 2021-11-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及び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4154T1 (de) * 1984-10-09 1988-05-15 Inventio Ag Einrichtung zur steuerung von aufzuegen mit doppelkabinen.
JPS61111284A (ja) 1984-10-31 1986-05-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装置
US4971178A (en) * 1989-02-02 1990-11-20 Inventio Ag Elevator system with independent limiting of a speed pattern in terminal zones
JPH10302558A (ja) 1997-04-30 1998-11-13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はみ出し防止具
JP3986133B2 (ja) * 1997-08-22 2007-10-0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多連デッキエレベータの着床制御装置
KR100259511B1 (ko) * 1998-03-26 2000-07-01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위치 제어 방법
JP4190626B2 (ja) 1998-10-23 2008-12-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4553535B2 (ja) * 2001-09-28 2010-09-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299964C (zh) * 2002-05-30 2007-02-14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群管理控制装置
CN101780908B (zh) * 2004-05-31 2012-06-20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WO2005115900A1 (ja) * 2004-05-31 2005-12-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US7819228B2 (en) * 2005-02-17 2010-10-26 Otis Elevator Company Collison prevention in hoistway with two elevator cars
EP1940717B1 (en) * 2005-10-25 2012-10-03 Otis Elevator Company Multiple car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FI118081B (fi) * 2005-12-29 2007-06-29 Kone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ovien ennakkoaukaisun valvomiseksi kaksoiskorihississä
US8020668B2 (en) 2006-06-07 2011-09-20 Otis Elevator Company Operating less than all of multiple cars in a hoistway following communication failure between some or all cars
EP1894874A1 (de) * 2006-08-31 2008-03-05 Inventio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 Aufzugsanlage
EG24538A (en) * 2006-09-08 2009-09-03 Inventio Ag Method of operating a lift installation, a lift installation operable by this method and safety equipment for this lift installation
CN101172556B (zh) * 2007-10-10 2011-11-16 倪既民 有共用层的同井道上下异类电梯
RU2493091C2 (ru) * 2007-12-14 2013-09-20 Инвенцио Аг Тормоз наезда для двух перемещающихся независимо друг от друга лифтовых корпусов
BRPI0923522B1 (pt) * 2008-12-23 2019-08-06 Inventio Aktiengesellschaft Instalação de elevador
JP5064454B2 (ja) * 2009-08-12 2012-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5404907B2 (ja) * 2010-03-01 2014-02-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DE102010030436A1 (de) * 2010-06-23 2011-12-29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anlage
US8424651B2 (en) * 2010-11-17 2013-04-23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otion planning for elevator cars moving independently in one elevator shaft
JP5646047B2 (ja) * 2011-04-08 2014-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ルチカー式エレベ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
EP2786950B1 (en) * 2011-11-28 2016-10-1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group management device
EP2607282A1 (de) * 2011-12-23 2013-06-26 Inventio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n Aufzug mit mehreren Kabinen
JP5863504B2 (ja) * 2012-02-23 2016-02-16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US9708158B2 (en) * 2012-04-16 2017-07-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ulti-car elevator using an exclusion zone and preventing inter-car collision
CN103072877A (zh) * 2013-01-28 2013-05-01 舒马克电梯(张家港)有限公司 一种单井道双轿厢电梯
DE112013007235B4 (de) * 2013-07-10 2019-11-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steuervorrichtung
CN105517935B (zh) * 2013-09-03 2017-06-23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系统
FI126734B (fi) * 2014-08-11 2017-04-28 Kone Corp Paikannuslaitteisto, hissi sekä menetelmä hissikorin paikan määrittämiseks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971B1 (ko) 2018-01-18
JPWO2015033370A1 (ja) 2017-03-02
CN105517935A (zh) 2016-04-20
WO2015033370A1 (ja) 2015-03-12
US20160200548A1 (en) 2016-07-14
CN105517935B (zh) 2017-06-23
US9592996B2 (en) 2017-03-14
JP6065982B2 (ja) 2017-01-25
DE112013007394T5 (de)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55233B (zh) 电梯组件间隔保证系统和操作方法
KR10212693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120977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2687471B1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5994926B2 (ja) エレベータードアの制御装置
JPWO2010067435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4395219B (zh) 电梯的控制系统及电梯的控制方法
US9963321B2 (en) Elevator device
JP2016222438A (ja) 昇降機のドア異常検出装置
WO2020031284A1 (ja) エレベータ診断システム
JPWO2016157369A1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KR101808971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JPWO2017013709A1 (ja) 油圧式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および油圧式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異常検出方法
JP2006290500A (ja) 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3256344A (ja) エレベータ用ドア制御装置
US20190061774A1 (en) Plan for guiding a motor vehicle driverlessly on an inclined ramp of a parking lot
KR20160143961A (ko) 자동 무인열차의 정위치 정차 실패 시 자동 인칭제어방법 및 시스템
JP2008007322A (ja) エレベータの終端階減速制御システム
JP4794179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KR101283643B1 (ko)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CN109476450B (zh) 电梯的控制装置
JP5103864B2 (ja) エレベータの地震管制運転装置
CN109399414B (zh) 一种轿厢位置矫正的方法
KR20100104230A (ko)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분리대
JP5114913B2 (ja) エレベーターの速度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