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779A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779A
KR20160012779A KR1020140094939A KR20140094939A KR20160012779A KR 20160012779 A KR20160012779 A KR 20160012779A KR 1020140094939 A KR1020140094939 A KR 1020140094939A KR 20140094939 A KR20140094939 A KR 20140094939A KR 20160012779 A KR20160012779 A KR 20160012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state
region
terminal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9032B1 (ko
Inventor
김삼식
이서진
유동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4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032B1/ko
Priority to US14/602,086 priority patent/US9830075B2/en
Priority to EP15000368.9A priority patent/EP2977850B1/en
Priority to CN201510174939.4A priority patent/CN105278902B/zh
Publication of KR20160012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032B1/ko
Priority to US15/784,754 priority patent/US1067842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5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small, e.g. for presenting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06F1/169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the I/O peripheral being a secondary touch screen used as control interface, e.g. virtual buttons or sli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면, 외면, 및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내면이 노출되는 열린 상태와 상기 내면을 덮고 상기 외면 및 측면이 노출되는 닫힌 상태로 전환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내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영역과, 상기 외면에 배치되는 제3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일 측과 상기 제3영역의 일 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측면에 배치되는 제4영역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상기 열린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상기 제1 및 제2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닫힘 방식에 근거하여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3영역 및 제4영역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한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내면 디스플레이가 외측면까지 연장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의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적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디자인적 형태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좀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의 하나로, 내면 디스플레이가 외측면까지 연장된 디스플레이부와 이러한 디스플레이부를 접거나 펼치는 동작을 이용하여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외측면에 연장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내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측면에 연장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내면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알려주거나 내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화면에 대한 제어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면 디스플레이나 외측면에 연장된 디스플레이를 접거나 펴는 동작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내면, 외면, 및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내면이 노출되는 열린 상태와 상기 내면을 덮고 상기 외면 및 측면이 노출되는 닫힌 상태로 전환가능하도록 형성된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내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영역과, 상기 외면에 배치되는 제3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일 측과 상기 제3영역의 일 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측면에 배치되는 제4영역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열린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상기 제1 및 제2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닫힘 방식에 근거하여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3영역 및 제4영역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에서의 기울기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닫힘 방식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닫힘 방식에 근거하여, 상기 제3영역 및 제4영역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여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영역에서만 기울기변화가 검출되는 제1닫힘 방식이 감지되면, 상기 제3영역에 상기 정보를 알려주는 제1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에서 기울기변화가 검출되는 제2닫힘 방식이 감지되면, 상기 제4영역에 상기 정보를 알려주는 제2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는 서로 다른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닫힘 방식이 감지되면, 상기 제4영역을 더 활성화하고, 상기 제3영역에서 상기 제4영역으로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상기 제1이미지에 인가되면, 상기 드래그 입력의 경로를 따라 상기 제1이미지의 크기나 형상을 변화하여 상기 제4영역까지 연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이미지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닫힘 방식이 감지되면, 상기 제4영역을 더 활성화하고, 상기 제1닫힘 방식에서 상기 제1이미지에 대응되는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제4영역에 상기 기능의 실행과 관련된 제3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되는 무선 통신부와;상기 열린 상태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에 표시하고, 작성된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닫힘 방식에 근거하여,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아이콘을 상기 제3영역 및 상기 제4영역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task)가 실행중인 상태에서 상기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태스크가 실행중임을 알려주는 제1아이콘을 상기 제3영역 및 제4영역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하고, 상기 태스크가 완료되면 상기 제1아이콘을 제2아이콘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접힘 이벤트 동안 상기 제3영역 및 제4영역에 인가되는 제어명령의 입력을 제한하고, 상기 접힘 이벤트에 근거하여 상기 열린 상태가 상기 닫힌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닫힘 방식에 근거하여 상기 제3영역 및 제4영역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여 상기 제한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측면에 배치되는 제4영역은, 상기 제3영역에서 연장되고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닫힘 방식에 근거하여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정보가 상기 제3영역과 상기 곡률을 따라 상기 제4영역의 일부에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제4영역에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린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를 알려주는 알람을 출력하고, 상기 알람에 응답하여 제1영역에서 상기 제4영역으로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상기 제1영역의 일 측에 인가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제1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1영역의 일 측에 인가된 상기 드래그 입력이 상기 제1영역내에서 종료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제2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람에 응답하여 상기 열린 상태가 상기 닫힌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3영역 및 제4영역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이벤트의 처리와 관련된 이미지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이미지객체에 인가된 드래그 입력이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제3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3 및 제4영역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정보가 사라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닫힌 상태에서 열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3영역 및 제4영역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사라진 정보가 다시 표시되거나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다른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닫힌 상태가 상기 제1영역이 움직여서 상기 제2영역을 덮는 제1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정보나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다른 정보를 상기 제3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닫힌 상태가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4영역이 정면에 노출되는 제2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정보나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다른 정보를 상기 제4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4영역에 터치가 인가되면, 상기 터치가 인가된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실행화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열린 상태가 상기 닫힌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3 및 제4 영역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터치입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닫힌 상태가 다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중 적어도 하나에 이전에 출력되었던 실행화면을 다시 표시하고,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의 실행에 따른 화면변화가 상기 실행화면에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닫힌 상태가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4영역이 정면에 노출되는 제2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4영역에 인가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감지하고, 상기 제2 닫힌 상태에서 열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감지된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과 매칭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4영역은 가상의 영역들로 구획되고, 상기 가상의 복수의 영역들은 상기 제4영역에 처음 인가된 터치에 근거하여 생성되고, 상기 복수의 터치입력들은, 상기 생성된 가상의 영역들 중 상기 기 설정된 패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터치하는 입력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영역에 인가되는 상기 복수의 터치입력들 중 상기 열림 이벤트의 발생시 감지되는 터치입력이나 상기 열림 이벤트의 발생 전에 감지되어 상기 열림 이벤트 동안 유지되는 터치입력은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해제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해제 상태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을 상기 제4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상기 열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열린 상태가 상기 제1영역만 펼쳐진 제1 열린 상태이면, 상기 제1영역에 상기 해제 상태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알려주는 화면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열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열린 상태가 상기 제4영역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2영역만 펼쳐진 제2 열린 상태이면, 상기 해제 상태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실행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열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열린 상태가 상기 제1 및 제2영역이 모두 펼쳐진 제3 열린 상태이면, 상기 이벤트를 알려주는 화면정보와 상기 해제 상태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실행화면을 모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4영역에는 지문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닫힌 상태가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4영역이 정면에 노출되는 제2 닫힌 상태에서 열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지문센서를 활성화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닫힌 상태가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4영역이 정면에 노출되는 제2 닫힌 상태에서 열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4영역에 실행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아이콘들 중 하나에 터치가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사이각이 기준각을 벗어나면, 상기 제4영역에 상기 터치가 인가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추가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3영역에는 지문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닫힌 상태가 상기 제1영역이 움직여서 상기 제2영역을 덮는 제1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3영역에 터치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지문센서를 활성화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닫힌 상태가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4영역이 정면에 노출되는 제2 닫힌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3영역에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3영역이 소정각도로 펼쳐지면, 상기 제3영역에 표시된 정보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롤 바가 제4영역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닫힌 상태가 상기 제1영역이 움직여서 상기 제2영역을 덮는 제1 닫힌 상태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3영역에 상기 이벤트를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알림 아이콘에 인가된 터치가 드래그되는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외면에 배치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가 구동되면 제1촬영모드에 대응되는 제1촬영이미지를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하고,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닫힌 상태가 상기 제1영역이 움직여서 상기 제2영역을 덮는 제1 닫힌 상태가 되면, 상기 제1촬영모드를 제2촬영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2촬영모드에 대응되는 제2촬영이미지를 상기 제3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촬영모드 및 상기 제2촬영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상기 열린 상태 또는 상기 제1 닫힌 상태가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이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4영역이 정면에 노출되는 제2 닫힌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1촬영이미지 및 상기 제2촬영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하기 위한 실행아이콘을 상기 제4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단말기의 잠금 상태가 해제 상태로 전환된 것에 대응되는 화면정보가 출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린 상태가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닫힌 상태로 전환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해제 상태를 다시 상기 잠금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터치입력이 상기 닫힌 상태에서도 유지되면 상기 해제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열린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영역에 상기 닫힌 상태를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이벤트가 종료되면 상기 제3영역 및 상기 제4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열린 상태를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면 디스플레이가 덮힌 상태에서도 외측면에 연장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내면 디스플레이의 출력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외측면에 연장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내면 디스플레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동작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내면 디스플레이를 보기 위해 펼치는 동작에서 외측면에 연장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하거나 최근 실행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나아가, 서로 연접한 내면 디스플레이와 외면 디스플레이를 접거나 펼치는 다양한 동작에 따라 서로 다른 화면이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닫힌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열린 상태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구현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예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흐름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개념도이다.
도 6a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하여 구현되는 동작의 예로서, 내면 디스플레이에서 완료되지 않은 작업을 외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9a 및 도 9b는, 외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내면 디스플레이의 동작 상태를 알려주는 서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열린 상태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외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b는, 외면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7b는, 외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닫힌 상태에서 외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내면 디스플레이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닫힌 상태에서 발행한 이벤트를 외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1은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에 따라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다르게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2는 닫힌 상태에서 잠금 상태의 해제를 유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3a, 도 23b는 접거나 펼치는 동작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이드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4는 외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긴급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5는 닫힌 상태를 열린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6a 내지 도 27은 디스플레이부를 접거나 펼쳐서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8은 디스플레이부를 접거나 펼칠 수 있는 범위를 알려주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9는 디스플레이부가 전부 펼쳐진 상태에서 배터리 부족시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0a 내지 도 30d는 디스플레이부가 전부 펼쳐진 상태에서, 회전시키거나 일부를 접거나 펼쳐서 서로 다른 화면을 출력시키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폴더형 단말기인 경우 폴더형 단말기의 개폐 여부, 즉 폴딩 및 언폴딩과 이에 대응되는 상태, 즉 이동 단말기(100)의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즉 열린 상태와 닫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영역이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서로 연접한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에서 전면에 노출되는 제1 및 제2영역과, 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에서 전면 및 상기 전면으로부터 연장된 측면에 노출되는 제3영역 및 제4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제1, 제2, 제3, 및 제4영역은 기설정된 방향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가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되는 경우, 제1, 제2, 제3, 및 제4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이 접힌 방식과 접히는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입체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디스플레이부(151)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연접한 복수의 영역들을 갖도록 형성되며, 복수의 영역들의 적어도 일부를 기 설정된 방향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열린 상태'에서 복수의 영역들을 모두 펼쳐서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고(이를 제1 및 제2영역만 전면에 노출되는 경우와 구별할 수 있도록, 이하에서는 '확장된 열린 상태'로 명명하기로 하겠다), '닫힌 상태'에서도 적어도 외면영역과(또는, 외면의 전면영역), 내면 및 외면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면 영역(또는, 외면의 측면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가 보다 대화면으로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1)는 단말이 열린 상태에서 본체의 전면 좌측에 배치되는 제1영역(251a)과 본체의 전면 우측에 배치되는 제2영역(251b)을 구비한다.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은 좌우대칭 구조로 형성되거나, 또는 제1영역(251a) 및 제2영역(251b) 중 어느 하나가 좀 더 큰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의 사이는 일정 각도, 예를 들어 0도~210도 내에서 또는 힌지구조에 따라 0도~360도 범위내에서 특정 각도로 접히거나 또는 펴질 수 있다. 또한,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은 단말이 열린 상태에서만 노출되므로, 내면(또는 내측면) 디스플레이영역들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확장된 열린 상태'에서는 제1영역(251a), 제2영역(251b), 제3영역(251c), 및 제4영역(251d)이 내면(또는 내측면) 디스플레이영역들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열린 상태'란 단말의 내면이 노출된 상태, 즉 단말의 내면에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영역들이 힌지를 중심으로 일부 또는 완전히 펼쳐져서, 전면에 노출된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a)와 같이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의 사이가 접힘 없이 완전히 펼쳐져서 전면에 노출된 경우 '열린 상태'가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는 마치 책을 펼쳐놓은 것과 유사하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의 사이가 접힘 없이 완전히 펼쳐지고 나아가, 제1영역(251a)과 제3영역(251c) 및 제4영역(251d)의 사이가 접힘 없이 완전히 또는 거의 펼쳐져서 전면에 노출된 경우 "확장된 열린 상태"가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전술한 열린 상태에서 "꺾인 상태"로 전환되거나 또는 그 반대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꺾인 상태"란 전술한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영역 또는 제2영역이 뒤쪽으로 더 젖혀진 상태로서,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의 사이에 구비된 힌지부가 뒤쪽으로 꺾이는 구조를 지원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러한 "꺾인 상태"는 전술한 확장된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의 사이, 상기 제1영역 및 제4영역의 사이, 그리고 상기 제3영역 및 제4영역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힌지부가 뒤쪽으로 꺾이는 구조를 지원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이 '열린 상태'에서, 예를 들어 도 3의 (a)와 같이,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을 합친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예를 들어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의 대화창 화면(301)이 출력될 수 있다. 다만,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에 출력되는 대화창 화면은 단지 예시일 뿐이고, 상기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 중 적어도 하나에는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 중 적어도 하나가 비활성화된 상태인 경우이면, 상기 제1영역(251a) 또는 제2영역(251b)에 터치를 가하거나 또는 제1영역(251a) 또는 제2영역(251b)을 안으로/밖으로 살짝 꺾였다가 펼치는 경우에 상기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어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감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접힘 이벤트란,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을 감싸는 바디에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내면 디스플레이들, 즉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이 힌지부을 중심으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의미한다.
'열린 상태'에서, 제1영역(251a) 및 제2영역(251b)의 사이에 구비된 힌지부(미도시)를 중심으로 제1영역(251a) 및 제2영역(251b)이 마주보도록 접히는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는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닫힘 방식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닫힘 방식은, 크게 1)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을 동시에 접는 방식, 2)제2영역(251b)은 그대로 두거나 조금만 움직이고 제1영역(251a)을 크게 움직여서 제1영역(251a)이 제2영역(251b)을 덮도록 접는 방식, 그리고 3)제1영역(251a)은 그대로 두거나 조금만 움직이고 제2영역(251b)을 크게 움직여서 제2영역(251b)이 제1영역(251a)을 덮도록 접는 방식으로 구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닫힘 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열린 상태가 닫힌 상태로 전환된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251)는 닫힌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내면에 배치된 제1영역(251a) 및 제2영역(251b)과 외면에 배치된 제3영역(251c)과, 제1영역(251a)의 일 측과 제3영역(251c)의 일 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측면에 배치된 제4영역(251d)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닫힘 방식'이 전술한 1)인 경우 제4영역(251d)이 정면에 노출되도록 이동 단말기(100)가 닫히고, 2)인 경우 제3영역(251c)이 정면에 노출되도록 이동 단말기(100)가 닫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 닫힘 방식이 3)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의 노출 없이 후면 프레임 또는 후면 커버만 정면에 노출되도록 이동 단말기(100)가 닫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b)와 같이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을 동시에 접는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는, 제1영역(251a) 및 제2영역(251b)에서 출력되는 실행화면(예, 대화창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내면(또는 내측면) 디스플레이영역의 일 측과 외면(또는 외측면) 디스플레이영역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측면'에 배치된 제4영역(251d)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정보는, '접힘 이벤트'의 발생시, 내면(또는 내측면) 디스플레이영역들에 출력되는 실행화면의 출력 상태, 출력 동작, 및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진다. 제어부는 도 3의 (a)의 상태에서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영역(251a) 및 제2영역(251b)에 출력된 대화창 화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마지막으로 수행된 작업, 완료되지 않은 작업 등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접힘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단말의 '열린 상태'가 "닫힌 상태"로 완전히 전환된 경우에 한하여, 실행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외면에 노출된 디스플레이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닫힌 상태"란, 단말의 외면이 노출된 상태, 즉 단말의 내면에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영역들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일부 또는 완전히 접혀져서, 단말의 외면 및 측면 디스플레이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전면에 노출된 상태를 의미한다. 단말의 내면에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영역들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완전히 접혀진 상태가 되면,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경우, 단말의 내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영역들이 '일부'가 접혀진 상태를 "닫힌 상태"로 볼지 또는 '열린 상태'로 볼 것인지는, 접힘 이벤트에 따라 내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영역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각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내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영역들의 사이각이 '기준각도' 이상으로 벌어진 동안에는 '열린 상태'로 정의하고, '기준각도' 미만으로 좁혀지게 되면 "닫힌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각도의 부근에서 내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영역들을 접거나 펼치는 동작을 반복하는 경우,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의 전환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b)와 같이,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의 사이각이 기준각도 'θ' 이상인 동안에는 제4영역(251d)에 아무런 정보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은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다가,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의 사이각이 기준각도 'θ' 미만으로 좁혀지면, "닫힌 상태"로 전환되고,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된다. 이는 마치, 페이지 옆면의 두께가 전면에 보이도록 책표지 양쪽을 덮는 것과 유사하다.
그리고, 도 3의 (c)와 같이, 제1영역(251a) 및 제2영역(251b)에 출력되었던 실행화면과 관련된 정보가 제4영역(251d)에 표시된다. 여기에서, 단말이 "닫힌 상태"에서 제4영역(251d)에 출력되는 정보는, 단말이 '열린 상태'에서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에 출력되었던 정보와 다른 정보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제1영역(251a) 및 제2영역(251b)과 그리고 제4영역(251d)은 서로 다른 형태의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GUI)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에서 대화창 화면(301)에서 작성된 메시지(302a)가 아직 전송되지 않은 상태(302b)에서,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동시에 접히는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면, 작성된 메시지(302a)를 전송하기 위한 아이콘(304)과 가이드 정보(303)가 제4영역(251d)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이콘(304)은 제어명령의 입력방식, 즉 터치입력의 드래그 방향을 화살표(예, 위로 드래그 터치입력) 형태로 알려줄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정보(303)에는 메시지 전송을 나타내는 "send"가 표시될 수 있다. 가이드 정보(303)가 표시된 영역에 플리킹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작성된 메시지가 미리보기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아이콘(304)과 가이드 정보(303)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인가된 지점을 기준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영역(251a)의 좌측 하단과 제2영역(251b)의 우측 하단을 좌우대칭 되도록 잡은(터치) 상태에서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면, 터치가 인가된 지점을 피하면서 터치가 인가된 지점에서 가까운 위치에 아이콘(304)과 가이드 정보(303)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아이콘(304)과 가이드 정보(303)는 제4영역(251d)의 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바 형태의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콘(304)과 가이드 정보(303)는 표시될 정보의 량에 따라 동적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아이콘(304)에 대한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GUI와 같이 이미지, 텍스트 및 아이콘 등의 형태로 구현되는 시각정보를 출력하였다가, 일정시간이 지나거나 특정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아이콘(304)과 가이드 정보(303)의 출력시, 대응되는 음성 안내가 음향 출력부(25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를 전송하시려면 전송 버튼을 위(아래)로 밀어주세요"와 같은 음성 안내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4영역(251d)에 표시된 아이콘(304)이 나타내는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예, 위로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아이콘(304)에 인가되면, 단말기가 '열린 상태'에서 작성한 메시지(302a)가 상대방 단말로 전송된다. 즉, '열린 상태'에서 완료되지 않았던 작업이 "닫힌 상태"에서 이어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가 전송되는 동안, 도 3의 (d)와 같이, 제4영역(251d)에 메시지 전송중임을 알려주는 이미지(305)가 표시될 수 있다. 또, 메시지가 전송되는 동안에는 일시적으로 제4영역(251d)이 비활성화(또는, 제4영역(251d)에 인가되는 제어명령의 입력이 제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메시지 전송이 완료되면, 제4영역(251d)에 전송 완료를 알려주는 이미지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될 수 있으며, 이 후 제4영역(251d)은 다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어, 다음 입력을 감지하거나 또는 다음 동작(예, 이하에 보다 자세히 설명되는 '열림 이벤트')을 준비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시지 전송이 완료되면, 제4영역(251d)에는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에 출력되었던 실행화면과 관련된 다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에서 가장 최근에 실행되었던 애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이나,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에서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이 기설정된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방식에 의하면, 사용자가 단말기의 열린 상태에서 내면(내측면) 디스플레이에서 수행하던 작업을 완료하지 않고 단말기를 접은 경우, 다시 단말기를 열지 않고도 외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나머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간편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된다.
또한, 단말기가 '닫힌 상태'인 동안에도, 내면(내측면) 디스플레이영역에서 마지막 실행된 작업이나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형태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이하, 도 2a, 도 2b, 도 2c를 참조하여,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하드웨어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닫힌 상태'인 경우에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열린 상태'인 경우에 전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200)는 '닫힌 상태'에서 폴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러한 형태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더 형태의 단말기 바디는 제1바디(201a) 및 제1바디(201a)의 적어도 일측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게 형성된 제2바디(201b)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201a)와 제2바디(201b)가 서로 중첩되게 포개지도록 배치된 상태, 즉 제1 및 제2바디가 힌지부(202)를 중심으로 폴딩된 상태를, 전술한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로 명명할 수 있다. 닫힌 상태에서 제1 및 제2바디(201a, 201b)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닫힌 상태'에서는 외측 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영역(251c) 및 디스플레이영역(251c)으로부터 연장되어 측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영역(251d)이 마련된다. 측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영역(251d)의 일 측은 제1바디(201a) 및 제2바디(201b)에 의해 덮혀 있는 디스플레이영역들(251a, 251b)의 일 측에 연장된다.
즉, '닫힌 상태'에서 외측 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영역(251c)와 측면에 연장되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영역(251d)은 노출된 상태이고, 내측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영역들(251a, 251b)은 덮힌 상태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접거나 펼 수 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영역들은 실제로는 서로 연접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서로 연결하여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접거나 펼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외측 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영역(251c)와 측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영역(251d)의 일 측(예, 가장자리영역)은 케이스나 커버로 일부 덮혀질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측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영역(251d)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외측 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영역(251c)과 측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영역(251d)이 라운드 형태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된다. 그에 따라, 외측 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영역(251c)가 정면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측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영역(251d)의 적어도 일부(여기서는 전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가 함께 노출될 수 있다.
힌지부(202)는 해당영역을 중심으로 내측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영역들(251a, 251b)의 일부 접힘 또는 완전 접힘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닫힌 상태'에서, 힌지부(202)에 의해 접힌 디스플레이들(251a, 251b)은 각각 제1바디(201a) 와 제2바디(201b)에 마련되며, 힌지부(202)는 디스플레이영역들(251a, 251b)이 서로 연접된 부분, 예를 들면, 중앙 부근을 기점으로 일정 각도 예를 들면 0도~180도 또는 힌지부 구조에 따라 0도~360도 범위내에서 특정 각도로 접힐 수 있다.
제1바디(201a)와 제2바디(201b)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20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201)는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201)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바디(201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 주로 프론트 케이스의 일 측에는 내측으로부터 연장된 외면 디스플레이(251d), 음향출력부(252), 카메라 모듈(221)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 케이스에서 연장되는 일 측면(예, 좌측면)에는 힌지부(202)이 배치되고, 다른 측면(예, 우측면)에는 내면 디스플레이영역들로 연장되는 측면 디스플레이(251d)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디스플레이(251d)을 "외측 연장 디스플레이(영역)"으로 명명할 수 있다.
외면 디스플레이(251d) 및 외측 연장 디스플레이(251d)는 이동 단말기(200)의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에서 처리되는 정보와 관련된 시각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2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 그리고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에서 처리되는 실행화면과 관련된 다양한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가 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외력에 의하여 휘어질 수 있는, 구부러질 수 있는, 비틀어질 수 있는, 접힐 수 있는, 말려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전자종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지거나,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거나 말 수 있는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의미한다. 또한, 전자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일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電氣泳動, 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그림 또는 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렉서블한 재질적 특성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가 접혀지거나 굽혀진 형태의 단말기 본체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외면 디스플레이(251d)와 외측 연장 디스플레이(251d)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와 윈도우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 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디스플레이부의 특성은 외측 연장 디스플레이(251d)와 서로 연접하도록 내측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들(251a, 251b)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디스플레이부는 '닫힌 상태'에서 단말기의 전면의 일부 및 측면에 배치되며, 시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는 단말기의 전면 및 측면뿐만 아니라, 상기 단말기의 내면까지 확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열린 상태'에서 단말기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영역(251a) 및 제2영역(251b)과, 제1영역(251a)에서 연장되고, '닫힌 상태'에서 단말기의 전면의 일부에 배치되는 제3영역(251c)와 측면에 배치되는 제4영역(251d)을 부기한다.
음향출력부(252)는 외면 디스플레이(251d)가 배치된 전면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와 프론트 케이스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서, 이동 단말기(2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음향출력부(252)는 이동 단말기(200)의 후면에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221)은 외면 디스플레이(251d)가 배치된 전면의 일 영역에서 음향 출력부(252)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21)은,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 특히 외면 디스플레이(251d)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내면에 카메라 모듈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 모듈이 추가로 장착되는 경우, 카메라(2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 모듈(221)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221)은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추가로 장착된 카메라 모듈은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카메라 모듈들은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200)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음향 출력부(2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c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200)는 '열린 상태'에서 폴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 단말기(200)의 '열린 상태'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201a)와 제2바디(201b)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내면 디스플레이영역들(251a, 251b)이 전면에 노출된 상태, 즉 제1 및 제2바디가 힌지부(202)를 중심으로 언폴딩된 상태를, 전술한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로 명명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면에는 서로 연접한 복수의 디스플레이영역들(251a, 251b)이 노출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200)의 좌측영역에는 제1디스플레이(251a)가 배치되고 우측영역에는 제2디스플레이(251b)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디스플레이(251a)의 좌측에는 전술한 외측 연장 디스플레이(251d)가 연장되어 배치된다.
이때, 외측 연장 디스플레이(251d)와 연접한 외면 디스플레이(251c)는, 제1디스플레이(251a)가 전면에 노출됨에 따라 바닥과 맞닿도록 덮여지게 된다. 한편, 덮혀진 외면 디스플레이(251c)는, 단말기의 '열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외측 연장 디스플레이(251d)와 함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술한 '확장된 열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디스플레이(251a), 제2디스플레이(251b)와 함께, 외측 연장 디스플레이(251d)와 외면 디스플레이(251c)까지 연결되어 더욱 대화면으로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열린 상태'에서 외측 연장 디스플레이(251d)의 일부나, '확장된 열린 상태'에서, 외면 디스플레이(251c) 및 외측 연장 디스플레이(251d)는 제1디스플레이(251a) 및 제2디스플레이(251b)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특히, '확장된 열린 상태'에서, 외면 디스플레이(251c) 및 외측 연장 디스플레이(251d)에는, 제1디스플레이(251a) 및 제2디스플레이(251b)에 출력되는 실행화면과 다른 화면정보가 출력되거나, 또는 제1디스플레이(251a) 및 제2디스플레이(251b)에 출력되는 실행화면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특정 제어명령을 입력받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제1디스플레이(251a) 및 제2디스플레이(251b)에 출력되는 화면정보가 외측 연장 디스플레이(251d)까지 연장되어 출력되도록 구현되어, 사용자가 보다 대화면으로 현재 실행화면을 확장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이동 단말기(2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상기 터치펜은 전술한 제1디스플레이(251a) 및 제2디스플레이(251b)의 사이에 마련된 힌지부(미도시)의 내측에 삽입되는 형태로 이동 단말기(100)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앞에서도 언급된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의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에서, 외측 연장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내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나 특정 기능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이하에서는, 이동 단말기의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와 내면, 외면, 외측 연장 디스플레이를 조합하여, 내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고, 특정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방법의 흐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흐름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에서,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내측 전면 디스플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출력시킬 수 있다(S410).
여기에서, '열린 상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의 내면이 노출된 상태, 즉 단말의 내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힌지부 중심으로 일부 또는 완전히 펼쳐져서, 전면에 노출된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a)와 같이 내면에 배치된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의 사이가 접힘 없이 완전히 펼쳐져서, 마치 책을 펼쳐놓은 것처럼 전면에 노출된 경우 '열린 상태'가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의 사이가 접힘 없이 완전히 펼쳐지고 나아가, 제1영역(251a)과 제3영역(251c) 및 제4영역(251d)의 사이가 접힘 없이 완전히 또는 거의 펼쳐져서 전면에 노출된 "확장된 열린 상태"에서 확장된 내측 전면 디스플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열린 상태'에서 내측 전면 디스플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확장된 열린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화면이 확장된 디스플레이(제3영역(251c) 및 제4영역(251d))까지 연장되어 출력되거나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화면정보(예,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이나 실행화면 등)가 확장된 디스플레이(제3영역(251c) 및 제4영역(251d))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 중 적어도 하나가 비활성화된 상태인 경우라면, 상기 제1영역(251a) 또는 제2영역(251b)에 터치를 가하거나 또는 제1영역(251a) 또는 제2영역(251b)을 안으로/밖으로 살짝 꺾였다가 펼치는 경우에 상기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어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에서, 내측 전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단말기에서 구동가능한 모든 형태의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 동영상 재생, 일정 관리, 콜(call), 게임, 음악, 문서작업, 메시지, 금융, 전자책(e-book), 교통정보,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등과 관련된 프로그램일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란,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다양한 시각정보 및 화면변화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융 기능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계좌 이체를 실행하기 위한 화면정보(501)가 좌측 전면에 배치된 제1영역(251a)과 우측 전면에 배치된 제2영역(251b)에 연결된 하나의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가 '제1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이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에 하나의 화면이 출력되고, '제2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제1영역(251a) 및 제2영역(251b) 중 어느 하나에만 화면이 출력되거나 각각 서로 다른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가 '제3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제1영역(251a), 제2영역(251b), 제3영역(251c), 및 제4영역(251d)에 하나의 화면이 출력되거나 제3영역(251c), 및 제4영역(251d)에는 다른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는, 이동 단말기가 '제1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와 '제2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그리고 필요한 경우 '제3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감지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접힘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S420).
여기에서, '접힘 이벤트'란, '열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 예를 들어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에 대응되는 바디에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내측 전면 디스플레이들, 즉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이 힌지부을 중심으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접힘 이벤트'란, '확장된 열린 상태'에서 내측 전면에 디스플레이된 제3영역(251c) 및 제4영역(251d)이 뒤쪽으로 꺾여서 다시 외측면에 배치되도록 접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감지부(140)는 자이로센서,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및 조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접힘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40)는 이러한 센서들을 통해, 지표면을 기준으로 어느 디스플레이영역이 얼마만큼의 각도로 기울어지는지(또는 접혀지는지)를 감지하고, 이러한 감지 결과는 제어부(180)에 전달된다.
또한, 상기 감지부(140)는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접힘 각도뿐만 아니라, 그에 대응되는 이동 단말기의 배치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 단말기가, 도 5의 (a)와 다르게, 세로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감지부(140)를 통해서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배치 각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접힘 이벤트 및 배치각도변화에 대응되는 출력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감지부(140)의 자이로센서,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등은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는 지점 또는 부근, 예를 들어, 내면 디스플레이영역들의 사이에 배치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닫힘 방식에 근거하여, 상기 열린 상태를 상기 닫힌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외측 연장 디스플레이 또는 외측 전면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한다(S430).
이를 위해, 상기 감지부(140)는 내측 디스플레이들에서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면, 내측 디스플레이들에서의 기울기변화를 검출하여 이동 단말기의 닫힘 방식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닫힘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크게 1)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을 동시에 접는 방식, 2)제2영역(251b)은 그대로 두거나 조금만 움직이고 제1영역(251a)을 크게 움직여서 제1영역(251a)이 제2영역(251b)을 덮도록 접는 방식, 그리고 3)제1영역(251a)은 그대로 두거나 조금만 움직이고 제2영역(251b)을 크게 움직여서 제2영역(251b)이 제1영역(251a)을 덮도록 접는 방식으로 구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닫힘 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열린 상태가 닫힌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닫힘 방식'이 전술한 1)인 경우 제4영역(251d)이 정면에 노출되도록 이동 단말기(100)가 닫히고, 2)인 경우 제3영역(251c)이 정면에 노출되도록 이동 단말기(100)가 닫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 닫힘 방식이 3)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의 노출 없이 후면 프레임 또는 후면 커버만 정면에 노출되도록 이동 단말기(100)가 닫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닫힘 방식의 판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이로센서,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및 조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의 조합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힌지부의 이동 간격을 인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을 동시에 접음에 따라, 외측 연장 디스플레이영역(즉, 제4영역(251d))이 정면에 노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에 출력되었던 화면정보와 관련된 정보가 정면에 노출된 제4영역(251d)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전술한 '접힘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의 '열린 상태'를 '닫힌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열린 상태'가 '닫힌 상태'로 전환된 경우에 한하여, '열린 상태'에서 출력되었던 화면정보와 관련된 시각정보를 외면 디스플레이 영역이나 외측 연장 디스플레이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닫힌 상태"란, 단말의 내면이 덮이고 외면이 노출되는 상태, 즉 단말의 내면에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영역들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일부 또는 완전히 접혀져서, 단말의 외면 디스플레이영역(251c)과 외측 연장 디스플레이영역(251d)이 전면에 노출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닫힌 상태'가 되면, 내면에 배치된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단말의 내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영역들이 '일부'가 접혀진 상태를 "닫힌 상태"로 볼지 또는 '열린 상태'로 볼 것인지는, 접힘 이벤트에 따라 내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영역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각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내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영역들의 사이각이 '기준각도' 이상으로 벌어진 동안에는 '열린 상태'로 정의하고, '기준각도' 미만으로 좁혀지게 되면 "닫힌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각도의 부근에서 내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영역들을 접거나 펼치는 동작을 반복하는 경우,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의 전환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기준각도의 부근에서 내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영역들을 접거나 펼치는 동작을 반복하는 경우,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의 상태 전환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의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의 사이각이 기준각도 'θ'와 같거나 또는 그 이상인 동안에는, '열린 상태'로 정의되어, 제4영역(251d)에는 아무런 정보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의 활성화 상태가 유지되어, 계좌 이체를 실행하기 위한 화면정보(501)가 계속 출력될 수 있다.
그러다가, 디스플레이부의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의 사이각이 'θ'각도 미만으로 좁혀지게 되면, 즉, 도 5의 (c)와 같이 '닫힌 상태'가 되면,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화면정보(501)와 관련된 시각정보가 제4영역(251d)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에서는 내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영역들이 완전히 접혀진 경우에 '열린 상태'가 '닫힌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취급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의 사이각이 '0'이 되는 경우에, 비로소 제3영역(251c) 또는 제4영역(251d)에 소정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정보란, '접힘 이벤트'의 발생시, 제1 및 제2영역(251a, 251b)에 출력되었던 화면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완료되지 않은 작업, 실행중인 작업, 동작상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는,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면, 그 시점에 제1영역(251a) 및 제2영역(251b)에 출력되고 있는 화면정보,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작업 상태, 동작 상태 등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제3영역(251c) 또는 제4영역(251d)에 표시할 정보를 상기 인식된 화면정보,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작업 상태, 동작 상태 등과 연관지어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서, 상기 제어부는, '접힘 이벤트' 발생시,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에 출력되고 있던 화면정보가 금융 애플리케이션이고, 실행화면에 대응되는 단계가 보안 인증(비밀번호, 공인인증번호의 입력에 대응되는 인증)이 완료된 상태임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영역(251a) 및 제2영역(251b)를 동시에 접는 방식으로 단말기가 닫히면, 그에 따라 정면에 노출된 제4영역(251d)에 보안 인증을 유지하기 위한 아이콘(503)과 가이드정보(502)가 출력된다.
이때, 가이드정보(502)의 표시 방향은 제1영역(251a) 및 제2영역(251b)이 접혀지는 방향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이 책처럼, 가로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시에 접히는 경우, 상기 정보는 제4영역(251d)에서 세로방향으로 표시된다. 반면,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이, 예컨대 노트북처럼, 세로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시에 접히는 경우, 상기 정보는 제4영역(251d)에서 가로방향으로 표시된다. 즉, 사용자의 시선과 일치된 방향으로 정보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아이콘(503)과 가이드 정보(502)는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터치입력이 인가된 지점을 기준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영역(251a)의 좌측 상단과 제2영역(251b)의 우측 상단을 좌우대칭되게 잡은(터치) 상태에서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면, 터치가 인가된 지점을 피하면서 터치가 인가된 지점에서 가까운 위치에 아이콘(503)과 가이드 정보(502)를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아이콘(503)에 대한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콘(503)과 가이드 정보(502)는, '접힘 이벤트'의 발생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미완료된 작업의 종류, 미완료된 작업의 량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이미지(예, 형상, 길이, 색상 등이 다른 이미지)로 표시되거나 동적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이콘(503)과 가이드 정보(502)는 도 5의 (c)와 같이, 금융 애플리케이션에서 보안 인증을 유지하기 위한 아이콘 및 가이드정보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린 상태'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실행화면과 관련된 정보가 '닫힌 상태'에 따라 선택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그러한 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실행한다(S440).
예를 들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영역(251d)에 보안 인증을 유지하기 위한 아이콘(503)에 표시된 방향(예, 우측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의 '열린 상태'에서 실행되었던 계좌이체를 실행하기 위한 웹페이지(501)에서 보안 인증된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또는, 적어도 일 회 갱신한다). 그에 따라, 해당 웹페이지에서 보안 인증 해제의 디폴트값으로 설정한 시간(예, 1분 30초)이 지나도 보안 인증된 상태가 계속 유지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2분 뒤에 다시 이동 단말기가 '열린 상태'로 전환된 경우,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에는 가장 최근에 출력되었던 화면, 즉 계좌이체를 실행하기 위한 화면정보가 다시 출력되고, 해당 화면정보에서 보안 인증된 상태가 계속 유지된다.
한편, 이 경우, 가이드 정보(502)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의 종류에 따라, 다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정보(502)에 기설정된 방향의 플리킹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비밀번호 유지'가 '비밀번호 해지'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아이콘(503)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열린 상태'에서 실행되었던 웹페이지(501)에 적용된 보안 인증이 즉시 해지된다. 또는, 다른 예에서는, 가이드 정보(502)에 기설정된 방향의 플리킹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단말기의 '열린 상태'에서 출력되었던 화면정보와 관련된 다른 정보(예, 연관된 다른 금융 애플리케이션들)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외측 연장 디스플레이(251d)에 표시된 아이콘(503)에 인가된 드래그 입력이 해제되는 지점에 따라, 다른 기능이 추가적으로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콘(503)이 가리키는 화살표 방향이 도 5의 (c)와 달리 좌측방향인 경우, 아이콘(503)에 인가된 드래그 입력이 제3영역(251c)까지 연장된 다음 제3영역(251c)에서 해제되면, 상기 제어부는, 보안 인증의 완료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실행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유지 상태를 해당 웹페이지(501)에서 정한 디폴트값보다 더 길게 유지시키는 제어동작(예, 3분 이상)을 추가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아이콘(503) 또는 가이드정보(502)에 아무런 터치입력을 수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4영역(251d)에 표시되었던 시각정보들이 사라지며, 소정 시간 동안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터치센서는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비록 도 5의 (c)에서는 보안 인증의 유지와 관련된 실행키만 도시되었으나, 다른 예에서는, 보안 인증을 해지하기 위한 키 또는 입력방법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보안 인증을 해지하기 위한 키에 기설정된 방식의 터치입력을 수행하면,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에 출력되었던 웹페이지에서 기 수행되었던 보안 인증이 즉시 해지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타인에게 단말기를 빌려주는 경우에, 금융 정보의 유출 방지를 위해, 단말기를 열지 않고 보안 해지를 즉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외측면에 연장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내면 디스플레이의 출력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내면 디스플레이에서 특정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로 '접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외측 연장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닫힌 상태에서 완료되지 않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가 '열린 상태'에서 실행중인 작업이 완료되지 않고 '닫힌 상태'가 된 경우, 실행중인 작업과 관련된 정보는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닫힘 방식에 따라 다르게 처리된다.
이하, 도 6a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하여 구현되는 동작의 예로서, 내면 디스플레이에서 완료되지 않은 작업이 있는 상태에서, 접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외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개념도들이다.
이동 단말기의 감지부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에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출력되고, 작성된 메시지(602a)가 전송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술한 '접힘 이벤트'가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는 동안, 제어부는 외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의 제3영역(251c)과 제4영역(251d)의 비활성화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감지부(14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닫힘 방식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닫힘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크게 1)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을 동시에 접는 방식, 2)제2영역(251b)은 그대로 두거나 조금만 움직이고 제1영역(251a)을 크게 움직여서 제1영역(251a)이 제2영역(251b)을 덮도록 접는 방식, 그리고 3)제1영역(251a)은 그대로 두거나 조금만 움직이고 제2영역(251b)을 크게 움직여서 제2영역(251b)이 제1영역(251a)을 덮도록 접는 방식으로 구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닫힘 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열린 상태가 닫힌 상태로 전환된다.
'닫힘 방식'이 전술한 1)인 경우 제4영역(251d)이 정면에 노출되도록 이동 단말기(100)가 닫히고, 2)인 경우 제3영역(251c)이 정면에 노출되도록 이동 단말기(100)가 닫히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닫힘 방식이 3)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의 노출 없이 후면 프레임 또는 후면 커버만 정면에 노출되도록 이동 단말기(100)가 닫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닫힘 방식의 판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이로센서,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및 조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의 조합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힌지부의 이동 간격을 인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의 (a) 및 (b)를 참조하면, 단말의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의 사이각이 'θ'이상인 동안에는, 제4영역(251d)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또,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닫힘 방식 2)에서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의 사이각이 'θ'이상을 유지하는 동안에도, 제3영역(251d)의 비활성화 상태는 유지된다.
한편, 이와 같은 접힘 이벤트에 근거하여 단말의 열린 상태가 "닫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어부는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닫힘 방식에 근거하여, 단말의 외면에 배치된 제3영역 또는 외측면에 연장된 제4영역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내면 좌측에 배치된 제1영역(251a)에서만 기울기변화가 검출되는 제1닫힘 방식이 감지되면, 내면 디스플레이들에서 출력되었던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제3영역(251c)에 표시한다. 그리고, 내면 좌측에 배치된 제1영역(251a)과 내면 우측에 배치된 제2영역(251b)에서 모두 기울기변화가 검출되는 제2닫힘 방식이 감지되면, 내면 디스플레이들에서 출력되었던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제4영역(251d)에 표시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단말의 열린 상태가 "닫힌 상태"로 전환되면,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6a의 (c)와 같이, 내면에 배치된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이 동시에 접혀서 단말이 '닫힌 상태'로 전환되면, 단말의 열린 상태에서 작성된 메시지(602a)를 전송하기 위한 제1이미지, 즉 아이콘(604)과 가이드 정보(603)가 제4영역(251d)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아이콘(604)에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을 수행하면, 작성된 메시지(602a)가 상대방 단말로 전송된다.
한편, 도 6b의 (c)와 같이, 내면에 배치된 제1영역(251a)이 움직여서 제2영역(251b)을 덮도록 접혀지는 닫힘 방식으로, '열린 상태'가 '닫힌 상태'로 전환되면, 단말의 열린 상태에서 작성된 메시지(607b)를 전송하기 위한 제2이미지, 즉 전송 아이콘(609a) 취소 아이콘(609b), 작성된 메시지가 미리보기 형태(608)로 제3영역(251c)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보기 형태의 메시지(608)는 제3영역(251c)의 상단에 표시되고, 전송 아이콘(609a) 취소 아이콘(609b)은 제3영역(251c)의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송 아이콘(609a)에 터치입력을 수행하면 메시지(608)가 상대방 단말로 전송된다. 사용자가 취소 아이콘(609b)에 터치입력을 수행하면 메시지(608)가 전송되지 않은 상태로 작업이 완료되고, 전송 아이콘(609a) 취소 아이콘(609b),및 메시지(608)의 표시가 제3영역(251c)에서 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이 '닫힌 상태'로 전환된 경우, 정보가 출력될 영역(제3영역(251c) 또는 제4영역(251d))에 따라 서로 다른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즉, 제3영역(251c)에 출력되는 제1이미지와 제4영역(251d)에 출력되는 제2이미지는 서로 다른 이미지일 수 있다. 이는, 제3영역(251c)과 제4영역(251d)의 크기 및 형상이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제3영역(251c)은 제4영역(251d)보다 크기가 커서 더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설정된 방식의 터치입력이 아이콘에 인가되어 대응되는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제어부는, 단말의 열린 상태에서 출력되었던 실행화면과 관련된 다른 정보를 이어서 외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의 (c)에서 화살표 아이콘(604)에 기설정된 방향(예, 위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이 인가되면, 작성된 메시지(602a)가 상대방 단말로 전송된 다음, 이어서 제4영역(251d)에는 단말의 열린 상태에서 실행중이였던 애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 '즐겨찾기'에 등록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 또는 최근에 사용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내면에 배치된 제1영역(251a)이 움직여서 제2영역(251b)을 덮도록 접혀지는 닫힘 방식에 따라, 이동 단말기가 '닫힌 상태'로 전환된 경우, 제3영역(251c) 외에 제4영역(251d)을 더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영역(251d)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어부는, 제3영역에 인가된 드래그 입력이 상기 제4영역까지 연장되거나 제4영역에서 해제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의 (c)와 같이, 제3영역(251c)에 내면 디스플레이영역에서 전송되지 않은 메시지(702b)를 포함하는 이미지(703)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3영역(251c)에서 제4영역(251d)으로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이미지(703)에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경로를 따라서 상기 이미지(703)의 크기를 변화하여 제4영역(251d)까지 연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영역(251c) 및 제4영역(251d)에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경로를 따라 크기가 점차적으로 변하는 이미지가 생성되고, 그러한 이미지 내에는 소정의 정보(예, '전화 연락 부탁드립니다')의 표시가 유지된다.
상기 이미지는 상기 드래그 입력이 해제되는 지점에 따라 서로 다르게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영역(251c)에서 상기 드래그 입력이 해제되면 이미지의 크기가 변경되지 않거나 다시 원래의 이미지로 복귀하고 아무런 기능이 실행되지 않는다. 반면, 제4영역(251d)에서 상기 드래그 입력이 해제되면 변경된 이미지가 적어도 일정 시간(예, 전송완료시) 동안 유지되거나 또는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드래그 입력에 따라, 제3영역(251c)의 일 영역에 표시된 정보(예, '전화 연락 부탁드립니다')가 더욱 펼쳐지거나 다른 내용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 상기 드래그 입력에 따라, 종이 등이 말린 형태에서 펼쳐지는 효과나, 고무줄 같은 탄성체가 당겨지는 등의 드래그 입력을 반영하는 효과가 상기 이미지(703)에 부여될 수 있다.
인가된 드래그 입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703)에 포함된 메시지(702b)의 전송 기능을 실행한다. 즉, 드래그 입력이 해제되면 작성된 메시지(702b)가 상대방 단말로 전송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703)를,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즉, '메시지 전송 기능')이 실행중임 알려주는 이미지(705)로 변경시킬 수있다. 이와 함께, 제4영역(251d)에 메시지 전송중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바(또는 프로그레스 바)가 더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4영역(251d)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즉, '메시지 전송 기능')이 실행중임 알려주는 인디케이터 바(또는 프로그레스 바)를 제4영역(251d)에 표시하고, 제3영역(251c)에는 상기 이미지(703)의 표시를 유지하거나 또는 다른 정보(예, 상대방 단말의 전화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4영역(251d)에 표시된 인디케이터 바(또는 프로그레스 바)에 터치입력을 인가하면, 제4영역(251d)에 표시된 인디케이터 바와 관련된 다른 정보(예, 기설정된 이미지나 메시지 대화창 화면 등)를 제3영역(251c)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이미지에 인가된 드래그 입력이 해제되는 지점에 따라 다른 기능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의 (d)에서, 작성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이미지(703)에 인가된 드래그 입력이 제4영역(251d)까지 연장되어 제4영역(251d)내에서 해제되면, 전송중인 메시지의 취소가 불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반면, 제4영역(251d)까지 연장된 드래그 입력이 다시 제3영역(251c)내에서 해제되면, 전송은 실행되지만 전송 완료전까지 취소가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에는, 전송완료시까지 전송 취소를 위한 아이콘이 제3영역(251c) 또는 제4영역(251d)에 팝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작성된 메시지(702b)가 전송되는 동안 제4영역(251d)에 메시지 전송중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바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가해지는 터치 입력의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숏-터치입력이 인가되면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이미지를 제3영역(251c) 또는 제4영역(251d)에 표시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바에 롱-터치입력이 인가되면 메시지 전송을 취소하기 위한 아이콘을 제3영역(251c) 또는 제4영역(251d)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 바를 상하로 이동하는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제3영역(251c)에 출력되고 있는 정보를 상하로 이동하는 스크롤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제3영역(251c)에 메시지 전송중임을 나타내는 이미지(705)가 표시된 상태에서, 외측면에 연장된 디스플레이(251d)가 정면에 오도록 단말을 기울이는 것이 감지되면, 메시지 전송중임을 나타내는 이미지(705)가 이동하여 제4영역(251d)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3영역(251c)에 표시된 이미지가 제4영역(251d)에 표시될 때, 다른 이미지(예, 정보량 감소 등)로 변경될 수 있다.
메시지 전송이 완료되거나, 또는 도 7b의 (c) 및 (d)와 같이 메시지 전송이 취소되면, 제3영역(251c)에는 단말의 열린 상태에서 실행중이였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705)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아이콘들(705)이 표시되는 순서는 기정해진 순서에 의하거나 또는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최근에 실행된 순서에 의하여 정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내면 디스플레이가 덮힌 상태에서도 외측면에 연장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내면 디스플레이의 출력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8은 내면 디스플레이가 덮힌 상태에서 외측면에 연장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내면 디스플레이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주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어부는, 단말의 '열린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실행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task)가 실행중인 상태에서,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와 같이, 웹 서버를 통해,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또는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의 기능이 실행중인 상태에서, 도 8의 (b)처럼, 단말의 내면 좌측에 배치된 제1영역(251a)과 내면 우측에 배치된 제2영역(251b)이 동시에 접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는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닫힘 방식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task)가 실행중임을 알려주는 제1아이콘을 단말의 외면에 배치된 제3영역(251c) 및 외측면에 연장된 제4영역(251d)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태스크(task)의 종류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상기 태스크(task)는 작성된 메시지의 전송 실행, 이미지의 캡쳐 실행, 동영상 다운로드 실행 등과 같이 특정 작업이 실행된 상태가 아직 완료되지 않은 모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c)는 단말의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이 동시에 접혀서, 도 8의 (d)와 같이,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중임을 알려주는 이미지(802)가 외측면에 연장된 제4영역(251d)에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계속해서, 태스크(task)의 실행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제3영역(251c) 또는 제4영역(251d)에 표시된 제1아이콘을 태스크(task)의 실행완료를 알려주는 제2아이콘으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도 8의 (d)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완료'에 대응되는 이미지(예, 'download completed')가 단말의 기울기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제4영역(251d)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8의 (c)와 같이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중임을 알려주는 이미지(802)가 표시된 상태에서, 해당 이미지(802)에 기설정된 방식의 터치입력(예, 더블-숏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어부는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중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단말이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전환된 경우에 그 즉시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거나 출력 동작을 제어하는 예시들을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9a 및 도 9b는, 단말이 '닫힌 상태'로 전환된 후 기설정된 시간 또는 상당 시간이 경과한 후에, 외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내면 디스플레이의 동작 상태를 알려주는 서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단말이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열린 상태에서 출력되었던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외면 디스플레이나 외측면에 연장된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외면 디스플레이나 외측면에 연장된 디스플레이는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은 '닫힌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어부는 내면 디스플레이들에서 실행되는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태를 외면 디스플레이나 외측면에 연장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조건은, 단말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상태 조건이나, 또는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미리 설정한 시간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배터리 상태에 따라 단말의 일부 동작이 제한되도록 하거나 또는 특정 일정을 상기시키기 위한 알람 기능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도 9a는 단말의 배터리 상태에 따라 단말의 동작 제한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상태가 외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실시예이다.
도 9a의 (a)와 같이, 단말의 내면 디스플레이들을 이용하여 카메라를 동작하는 중에, 단말의 '열린 상태'가 '닫힌 상태'로 전환되면, 카메라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가 외면에 배치된 제3영역(251c)에 표시되었다가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사라지게 된다. 그에 따라, 제3영역(251c)은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거나 또는 일정 시간 동안만 터치센서가 활성화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는, 단말의 배터리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간격 또는 실시간으로 단말의 전원공급부(190)에 포함된 배터리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배터의 상태는 배터리의 사용 잔량과 관련된 것으로서, 제어부는, 배터리의 레벨이 기준 레벨 이하(예를 들어, 기준 레벨: 배터리 사용 잔량이 10% 이하인 경우)인지를 체크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 레벨의 값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변경되기 전에는 미리 설정된 디폴트값을 가질 수 있다.
배터리의 상태를 체크한 결과, 배터리의 레벨이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단말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동작 제한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시각정보를 제3영역(251c)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동작 제한 모드란, 배터리 사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어부가 시각적, 촉각적, 청각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에는, 사용자가 단말을 보고 있지 않는 경우를 고려하여, 전술한 제3영역(251c)에의 상태 표시와 함께, 소리 또는 진동과 같은 다른 형태의 출력수단을 조합하여 단말의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배터리의 레벨이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에 자동으로 동작 제한 모드가 수행되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는 제3영역(251c)에 동작 제한 모드의 실행을 알려주는 이미지만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의 레벨이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에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는 제3영역(251c)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들의 종료 여부를 묻는 시각정보나, 배터리 절약 모드의 진입 여부를 묻는 시각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의 레벨이 기준 레벨 이하가 됨에 따라, 도 9a의 (b)와 같이, 단말에서 실행중인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및 SNS 애플리케이션의 각 배터리 소모량과 선택 아이콘(802), 및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아이콘(803)을 제3영역(251c)에 출력시킬 수 있다.
이때, 종료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순서는 최근실행된 순서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열린 상태'에서 가장 최근에 실행된 아이콘(예,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처음에 표시될 수 있다. 또, 종료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 많은 경우, 제3영역(251c) 또는 제4영역(251d)에 인가되는 플리킹 터치입력의 방향에 따라, 제3영역(251c)에 출력된 정보를 상하로 이동한 다음 종료시킬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아이콘(803)에 숏-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고, 상기 아이콘(803)에 롱-터치입력이 가해지면 내면 디스플레이들에서 실행중인 모든 애플리케이션이 한번에 종료될 수 있다.
또,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단말이 놓인 상태가 제2영역(251b)이 제1영역(251a)을 덮어서 바닥면에 놓인 닫힌 상태인 경우, 즉 디스플레이가 외측 전면에 노출되지 않는 경우, 동작 제한 모드의 실행을 알려주는 이미지나 아이콘을 제4영역(251d)에만 표시할 수 있다. 선택 아이콘(802)에 터치입력이 가해지고 '지우기' 아이콘(803)을 선택하면, 단말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면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여 배터리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더 이상 단말기를 열어서 제1 및 제2영역을 온(on) 상태로 전환시킨 다음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킬 필요가 없다. 이때, 제3영역(251c) 또는 제4영역(251d)에는 단말의 충전을 유도하는 시각정보나 충전기 위치를 알려주는 시각정보가 일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영역(251c) 또는 제4영역(251d)에 단말의 동작 제한 모드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단말의 충전이 시작되고(이때, '충전'을 알려주는 정보가 제3영역(251c) 또는 제4영역(251d)에 표시될 수 있음), 배터리의 레벨이 기준 레벨을 초과한 경우, 동작 제한 모드를 해제하고 해제에 대응되는 표시가, 단말의 놓인 상태에 대응되는 제3영역(251c) 또는 제4영역(251d)에 표시될 수 있다.
도 9b는 단말에 기설정된 특정 일정이나 시간을 상기시키기 위한 알람 기능과 관련된 상태가 외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실시예이다.
도 9b의 (a)와 같이, 단말의 내면 디스플레이들을 이용하여 카메라를 동작하는 중에, 단말의 '열린 상태'가 '닫힌 상태'로 전환되면, 카메라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가 외면에 배치된 제3영역(251c)에 표시되었다가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사라지게 된다. 그에 따라, 제3영역(251c)은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거나 일정 시간동안에만 터치센서가 활성화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는, 단말에 기설정된 알람 기능에 대응되는 시간을 체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간격 또는 실시간으로 단말의 일정 애플리케이션이나 알람 애플리케이션 등에 설정된 일정 또는 알람 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현재시간이 기설정된 일정 또는 알람 시간으로부터 소정시간 남아 있음을 사용자에게 환기시켜주거나 또는 기설정된 일정 또는 알람 시간이 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때, 도 9b의 (b)와 같이, 복수의 일정에 대응되는 알람 리스트(예, '병원가기')가 기설정된 알람 시간과 함께 제3영역(251c)에 표시될 수 있다. 또, 기설정된 알람 시간에 알람이 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정 선택 아이콘(804) 및 알람 오프(off) 아이콘(805)이 제3영역(251c)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열린 상태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외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전술한 단말의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벤트의 발생은 예를 들어, 부재중 전화가 있는 경우, 업데이트 대상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 메세지가 도착한 경우, 충전(charging), 단말기의 파워 온(power on), 파워 오프(power off), 디스플레이 활성화 키 눌림(LCD awake key), 알람(alarm), 호 연결(Incoming call), 부재중 알림(missed notification)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단말기의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특정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는, 일정 관리에 사용자가 입력한 항목이 있는 경우에, 상기 입력한 항목에 해당하는 날짜가 되면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제어부는, 발생된 이벤트를 알려주는 아이콘을 제1영역의 일부분(예, 좌측 상단)에 출력시킬 수 있다. 제1영역의 일부분을 벗어난 부분들에는 이벤트가 발생하기 이전에 출력되었던 화면이 계속 출력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발생된 이벤트를 단말의 설정에 따라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소리, 진동, LED 변화, 및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a)와 같이 동영상의 재생화면(1001)이 단말의 내면에 배치된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에 출력된 상태에서, 호(call)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호신호와 관련된 정보가 제1영역(251a)의 일부분(예, 좌측상단)에 표시된다. 즉, 호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주는 인디케이터(1002)가 출력된다. 이때, 상기 인디케이터(1002)는 예를 들어, 호신호를 송신한 상대방 단말기의 정보, 예를 들어 상대방 이름(또는 상대방 단말의 전화번호)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벤트를 알려주는 아이콘이 단말의 내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아이콘에 인가된 터치입력이 해제되는 지점에 따라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다르게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발생된 이벤트가 소리, 진동, 등과 같이 다른 형태의 알람으로 출력되는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는 제1영역(251a)의 일 측에 인가된 터치입력이 해제되는 지점에 따라, 발생된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다르게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a)에서 제1영역(251a)에 표시된 인디케이터(1002)에 터치가 가해지면, 호신호에 응답하는 기능이 실행된다. 또는, 인디케이터(1002)에 인가된 드래그 입력(예, 아래로 향하는 드래그입력)이 제1영역(251a)내에서 해제되면, 호신호에 미응답(거절)하는 기능이 실행된다.
한편, 상기 제1영역(251a)에서 외측면(도 10의 (a)에서는 후면이됨)에 연장된 제4영역(251d)으로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상기 인디케이터(1002)에 인가되면, 발생된 이벤트와 관련된 다른 기능(예, 통화 미응답에 대한 메시지전송기능)을 실행한다. 즉, 인디케이터(1002)에 가해진 드래그 입력이 제4영역(251d)에까지 연장된 다음 해제되면, 호신호를 송신한 상대방 단말기에 메시지(예, '나중에 전화드리겠습니다') 전송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1영역(251a)에 이벤트를 알려주는 아이콘이 출력된 상태에서, 단말의 열린 상태가 '닫힌 상태'로 전환되면, 전술한 닫힘 방식에 따라 단말의 외면에 배치된 제3영역(251c) 또는 외측면에 연장된 제4영역(251d) 중 어느 하나에 이미지객체를 출력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이미지객체는 발생된 이벤트와 관련된 실행가능한 기능을 알려주는 복수의 아이콘일 수 있다.
제3영역(251c) 또는 제4영역(251d)에 출력된 이미지객체 중 어느 하나에 기 설정된 방향의 드래그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이미지객체에 대응되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또 다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a)에서 제1영역(251a)에 터치입력을 수행하지 않고,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을 동시에 접어서 단말이 '닫힌 상태'로 전환되면, 수신된 호신호가 거절되고, 제4영역(251d)에는 상대방 단말로 전송가능한 메시지들의 항목(1003a, 1003b, 1003c, 1003d)들이 표시된다. 특정 항목(1003b)에 인가된 터치가 기설정된 방향(예, 우측방향)으로 드래그되면, 대응되는 메시지(예, '지금은 통화할 수 없습니다')가 상대방 단말로 전송되고, 메시지가 전송되는 동안 도 10의 (d)와 같이,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메시지 내용(1004)이 제4영역(251d)에 표시된다. 메시지 전송 후, 단말이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중단되었던 동영상 재생화면(1001)이 다시 제1영역(251a) 및 제2영역(251b)에 출력되거나, 또는 일시 정지된 장면이 출력된다.
한편, 사용자가 수신된 호신호에 대하여 미응답한 상태로, 동영상 재생화면(1001)을 그대로 시청하는 경우, 즉, 호신호를 알려주는 인디케이터(1001)가 사라진 다음에 단말이 '닫힌 상태'로 전환되면, 단말의 닫힘 방식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영역(즉, 제3영역(251c) 또는 제4영역(251d))에 부재중 전화를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을 표시해줄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b는, 단말이 '닫힌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외면 디스플레이에 인가되는 외력이나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의 '열린 상태'에서 출력되고 있던 화면과 관련된 정보가 단말의 '닫힌 상태'에서 외면 디스플레이 또는 외측면에 연장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아무런 터치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더 이상 정보가 표시되지 않고 사라지게 된다. 즉, 외면 디스플레이 및 외측면에 연장된 디스플레이는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에 '열림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열림 이벤트'란, 단말의 '닫힌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외력이 단말기에 인가된 것을 의미한다.
'열림 이벤트'의 발생은, 이동 단말기의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의 상태 전환 중에서, 내면 디스플레이들(즉,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이 완전히 맞닿도록 포개진 상태에서 내면 디스플레이들의 내면 일측 또는 내면 디스플레이들에 대응되는 프레임 또는 커버의 내측 일면에 서로 맞닿게 구비된 "자석"의 '자성변화'를 통해 감지되거나 또는 힌지부의 이동 간격(또는 이동 감지)을 인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내면 디스플레이들의 내면 일측 또는 내면 디스플레이들에 대응되는 프레임 또는 커버의 일측에 서로 맞닿는 복수의 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감지부(140)는 소정의 센서를 통해, 내면 디스플레이들 또는 내면 디스플레이들에 대응되는 프레임이나 커버의 이동에 의존하여 이동되는 자석의 자성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이와 같은 자성변화와 함께, 상기 자석들이 서로 떨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소리, 즉 '딸깍'하는 소리가 감지된 경우에 전술한 '열림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닫힌 상태'에서 감지부(140)를 통해 상기 자석의 자성변화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열림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는 '열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열림 방식에 근거하여 단말의 외면에 배치된 제3영역(251c) 또는 외측면에 연장된 제4영역(251d)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열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열림 방식은, 크게 1)제4영역(251d)이 정면에 노출된 상태에서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의 프레임의 일부를 잡고 동시에 여는 방식, 2)제3영역(251c)이 정면에 노출된 상태에서 제1영역(251a)의 프레임의 일부를 잡고 책처럼 펼쳐서 여는 방식, 그리고 3)디스플레이가 노출되지 않도록 놓인 상태에서 제2영역(251b)의 프레임의 일부를 잡고 책처럼 펼쳐서 여는 방식으로 구별할 수 있다. 이러한 열림 방식의 판단은, 감지부(140)의 자이로센서,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등을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열림 방식'이 전술한 1)인 경우 제4영역이 활성화되고, 2)인 경우 제3영역이 활성화된다. 또, 닫힘 방식이 3)인 경우에는 제4영역이 활성화되거나 아무런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내면 디스플레이들 또는 내면 디스플레이들에 대응되는 프레임이나 커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닫힌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하여 인가되는 외력(사용자에 의해 인가되는 압력) 의해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면 디스플레이들 또는 내면 디스플레이들에 대응되는 프레임이나 커버의 모서리 또는 일단이 외력에 의하여 휘어지면, 구비된 자석들에서 자성변화가 외력에 대응되는 위치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의 '닫힌 상태'에서 '열림 이벤트'가 발생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영역(251c) 및 제4영역(251d)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이전에 단말의 '열린 상태'에서 출력되었던 화면과 관련된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단말의 '닫힌 상태'가 제1영역(251a)이 제2영역(251b)을 덮는 제1상태로 놓여진 상태에서, 열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다른 정보를 상기 제3영역(251c)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1의 (b) 및 (c)와 같이, 단말이 '닫힌 상태'에서 열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도 11의 (a)와 같이, 단말의 '열린 상태'에서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에 출력되었던 동영상 재생화면(1101)과 관련된 정보가 단말의 외면 디스플레이, 즉 제3영역(251c)에 출력된다. 구체적으로, 동영상 재생화면(1101)에 대응되는 제목, 재생된 정도, 남은 재생 시간 등을 알려주는 알림 정보(1102)와 중단된 동영상 재생화면(1101)을 처음부터 볼지 또는 이어보기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들(1103a, 1103b)이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전술한 접힘 이벤트에 따라, 단말의 열린 상태가 닫힌 상태로 전환되고, 관련된 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터치입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닫힌 상태가 다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중 적어도 하나에 이전에 출력되었던 실행화면을 다시 출력한다. 그리고, 다시 출력된 실행화면에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의 실행에 대응되는 화면변화가 나타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이어보기 아이콘(1103b)에 터치입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단말이 '열린 상태'로 전환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입력이 인가된 후 일정 시간내에(예, 수초 이내에) 전술한 '열림 이벤트'가 발생되면, '접힘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중단된 시점부터 동영상 재생화면(1101)의 이어보기가 제1영역(251a) 및 제2영역(251b)에서 실행된다.
한편, 단말이 '닫힌 상태'에서 상당 시간(예, 수 시간 이상 또는 하루 이상)이 경과되거나 또는 멀티태스킹 수행중 단말이 '닫힌 상태'로 전환된 경우이면, 단말의 열림 방식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영역에 멀티태스킹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이나 즐겨찾기 등록된 애프리케이션들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a와 같이, 단말의 '닫힌 상태'가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이 서로 마주보고 제4영역(251d)이 정면에 오도록 놓인 상태에서, 열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4영역(251d)에 단말의 열린 상태에서 수행되었던 멀티태스킹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1201)이 세로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표시된 아이콘들(1201) 중 어느 하나(1201c)에 터치(예, 롱 터치입력)가 가해진 상태에서 또는 상기 터치가 가해진 후 일정 시간내에(예, 수초 이내에) 전술한 '열림 이벤트'가 발생되면, 단말이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터치가 인가된 아이콘(1201c)에 대응되는 실행화면(단말에 '접힘 이벤트'의 발생시 실행중인 메시지 대화창(1202))이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 중 적어도 하나에 다시 표시된다.
한편, 표시된 아이콘들(1201)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됨이 없이 단말이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도 12a의 (b")와 같이, 대기 화면(idle screen)(2103)이나 가장 최근에 출력되었던 실행화면이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아이콘들(1201) 중 하나가 선택되어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에 다른 실행화면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변형된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의 제4영역(251d)에 인가된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이어서 '열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러한 터치를 무시하고 제4영역(251d)에 아이콘들(1201)을 표시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말을 '열린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아이콘들(1201) 중 어느 하나를 의도적으로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제4영역(251d)에 터치를 인가한 후 터치업을 수행한 경우에 비로소 아이콘들(1201)이 제4영역(251d)에 표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에 열림 이벤트가 발생하여, 제3영역(251c) 또는 제4영역(251d)이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고 소정의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에, 제어부는 상기 정보가 열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터치가 인가된 지점을 기준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2b에서, 단말의 '닫힌 상태'가 제3영역(251c)이 정면에 노출된 상태로 놓인 상태에서, 제1영역(251a)의 프레임의 일부를 잡고 책처럼 펼쳐서 여는 방식의 '열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최근에 자주 사용한 애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1201")이 제3영역(251c) 중 '열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터치가 발생한 부분에 표시된다. 즉, 도 12b의 (a)에서 단말을 열기 위하여 처음 터치가 인가된 부분에 대응되는 제3영역(251c)의 일부분에 아이콘(1201")이 표시된다.
표시된 아이콘(1201)에 기설정된 방식의 터치입력(예, 롱-터치입력, 스와이프, 제4영역(251d)까지 연장된 드래그입력 또는 처음 단말을 열기 위한 터치 이후에 연속하는 터치입력 또는 복수의 터치입력(이하에서 설명되는 '톡톡'))이 가해지면, 도 12b의 (c)와 같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표시된다.
반면, 표시된 아이콘(1201")의 선택 없이 단말을 펼치면, 대기 화면(idle screen)(2103)이나 가장 최근에 출력되었던 실행화면이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 구체적으로 제3영역(251c) 및 제4영역(251d)은 각각 터치센서를 구비하여, 터치입력이 인가됨에 따라 활성화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단말의 '닫힌 상태'에서 제3영역(251c) 및 제4영역(251d) 중 적어도 하나에 터치가 가해지면, 해당 영역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최근에 자주 사용한 애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의 '닫힌 상태'가, 도 13a와 같이 제3영역(251c)이 정면에 노출된 상태에서 제1영역(251a)의 프레임의 일부를 잡고 책처럼 펼쳐서 여는 방식의 '열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표시되는 아이콘들(1301)이나, 또는 도 13b와 같이 제4영역(251d)이 정면에 노출된 상태에서 제1영역(251a) 및 제2영역(251b)의 프레임들의 일부를 잡고 책처럼 펼쳐서 여는 방식의 '열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표시되는 아이콘들(1301") 모두 단말을 열기 위해 처음 터치가 인가된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표시된다. 또는, 처음 터치 이후에 인가된 '톡톡'이나 연속하는 터치 발생하면, 제3영역(251c) 또는 제4영역(251d)에서 전면으로 넓게 펼쳐져 보이도록 아이콘들(1301)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단말의 '열린 상태'가 '닫힌 상태'가 전환되면(즉시 또는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에 따라, 단말을 잠금 상태, 즉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명령의 입력이 제한되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말의 '닫힌 상태'가 다시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단말의 잠금 상태를 다시 해제시키기 위한 입력(패턴입력)을 수행해야하는 불편이 있다.
도 14a 내지 도 17b는,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말이 '열린 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외면 디스플레이나 외측면에 연장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단말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실시예들이다.
여기에서, 단말의 잠금 상태는 사용자에 의한 제어명령의 수신이 제한되는 상태로서, 특정인에 의하여 설정된 암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잠금 상태가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잠금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되는 경우에 기설정된 암호를 입력하도록 형성된 잠금화면이 표시된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디스플레이에 기설정된 패턴의 복수의 터치입력을 인가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실시예들이다. 그리고, 도 15a 및 도 15b는 터치 센서의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터치 센서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4a와 도 14b는 단말의 '담힘 상태'가 제4영역(251d)이 정면에 오도록 놓인 상태에서, 서로 맞닿은 제1영역(251a) 및 제2영역(251b)이 벌어지도록 외력을 가하여 단말에 열림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제4영역(251d)에 복수의 번의 탭들을 인가하여서 단말이 '열린 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이다.
제어부는, 단말의 '닫힌 상태'가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서로 마주보고 제4영역이 정면에 오는 상태에서,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제4영역에 인가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터치입력을 위한 가상의 영역들이 제4영역(251d)에 표시되며, 이러한 영역들은, 제4영역에 복수의 터치입력을 위한 터치가 처음 인가된 지점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또한, 가상의 영역들은 단말이 놓인 상태에 따라 가로방향으로 긴 바(bar) 형태로 생성되거나 또는 세로방향으로 긴 바(bar)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a의 (a)와 같이, 단말을 열기 위한 처음 터치가 제4영역(251d)의 아래쪽에 인가된 경우, 제4영역(251d)의 하단을 기준으로 세로방향으로 길게 가상의 영역들(1,2,3,4)이 생성된다. 그리고, 도 14a의 (b)와 같이, 단말을 열기 위한 처음 터치가 제4영역(251d)의 위쪽에 인가된 경우, 제4영역(251d)의 상단을 기준으로 세로방향으로 길게 가상의 영역들(1,2,3,4)이 생성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현재 자세를 바꾸지 않고, 한 손으로 가상의 영역들에 복수의 터치입력을 인가하기가 쉽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4영역(251d)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정면에 놓인 상태에서 단말을 열기 위한 처음 터치가 제4영역(251d)에 인가되면, 가로방향으로 길게 가상의 영역들이 생성될 수 있다.
또는, 단말을 열기 위한 처음 터치를 포함하여 제4영역(251d)의 전체를 구획하거나(예, 4분면의 영역들로 구획) 또는 단말을 열기 위한 처음 터치를 포함하여 그와 가까운 제4영역(251d)의 일부를 구획할 수 있다(예, 그 근방을 4분면의 영역들로 구획).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센서가 주기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란 디스플레이부(151)를 조명하는 내부에 구비된 조명이 오프(off) 상태임을 의미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어떠한 정보 또는 그래픽 이미지(graphic image)가 표시되지 않는다. 반면,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란 디스플레이부를 조명하는 내부에 구비된 조명이 온(on)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란, 디스플레이부(151)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들에 대응되는 실행화면, 대기화면, 또는 잠금화면 등과 같은 화면 정보가 출력되거나, 또는 내부에 구비된 조명을 포함하여 셀(cell)의 자체 발광이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마련된 터치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방식을 이용하여 탭을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로 다른 방식은 터치 센서의 활성화 주기와 관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주기로 활성화될 수 있다. 즉,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활성화 주기를 가지면서, 터치센서에 가해지는 탭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터치 센서가 기 설정된 특정 주기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특정 주기는, 0보다 큰 시간(time)에 대응되는 주기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터치 센서가 항상 활성화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즉, 이 경우, 터치 센서의 활성화 주기는 0 또는, 0에 매우 가까운 정도의 시간을 갖는 주기일 수 있다.
도 15a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의 활성화 여부는, 터치 센서의 전력 소모량을 이용하여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의 전력 소모량이 0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터치 센서는 비활성화된 상태에 해당하고, 상기 터치 센서의 전력 소모량이 0을 기준으로 상기 기 설정된 기준 값 초과이면, 활성화된 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
도 15a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active mode, 이하 '액티브 모드'로 호칭), 상기 터치 센서는 계속하여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탭의 인가를 대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dose mode, 이하 '도즈 모드'로 호칭), 터치 센서는 기 설정된 특정 주기마다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는 특정 주기가 짧을수록, 디스플레이부(151)를 두드리는 탭을 감지하는 속도가 빨라지지만, 그에 따라 터치 센서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이 커질 수 있다. 이와 달리,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는 주기가 길수록, 터치 센서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은 작아지지만, 디스플레이부(151)를 두드리는 탭을 감지하는 속도는 느려질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주기는 디스플레이부(151)를 두드리는 탭을 감지함에 있어 감지 속도가 사용자에게 인식되지 않을 정도로 빠르면서도, 전력 소모의 효율이 증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주기는 터치 센서가 비활성화되어 있다가 1초에 20번(1Hz) 정도 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 동안에는, 터치 센서도 함께 활성화될 수 있으며, 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센서의 활성화 주기(T)는 0이거나, 0에 매우 가까울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센서의 주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도록 설정된 특정 주기보다 몇 배로 짧을 수 있다. 즉,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주기로 활성화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5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되어 있고, 터치 센서가 주기적으로 활성화되는 도즈 모드(doze mode)에서, 터치 센서에 의하여 '톡톡'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도즈 모드(doze mode)를, 디스플레이부 및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는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터치 센서에 의하여 '톡톡'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되는 탭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터치 센서가 주기적으로 활성화되기 때문에, 전력 사용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디스플레이부와 터치 센서가 작동하는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동작 모드는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센서의 동작 상태에 따라 액티브 모드(active mode, 1510), 슬립 모드(sleep mode, 1530) 및 도즈 모드(dose mode, 1520)로 구분될 수 있다.
액티브 모드(1510)는 디스플레이부(151) 및 터치 센서가 모두 활성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즉, 디스플레이부(151)의 조명은 온(on) 되고,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는 아이콘이나 그래픽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인가받기 위하여 활성화되고, 연속적으로 전력을 소모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슬립 모드(1530)는 디스플레이부(151) 및 터치 센서가 모두 비활성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조명은 오프(off)되고,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가 가해지더라도 어떠한 기능도 실행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도즈 모드(152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센서가 주기적으로 활성화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도즈 모드(202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톡톡'을 인가받기 위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계속해서, 터치 센서는 도즈 모드(1520)와 액티브 모드(1510)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되는 탭을 감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터치 센서의 작동과 관련된 설정들이 도즈 모드(1520)와 액티브 모드(1510)에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탭을 인식하기 위해 설정된 임계값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터치 센서의 터치에 대한 민감도는 도즈 모드(1520) 보다 액티브 모드(1510)에서 증가할 수 있다. 도즈 모드(1520)는 전력의 소모를 줄이면서도 '톡톡'을 감지하기 위한 모드이고, 액티브 모드(1510)는 사용자의 입력을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한 모드이기 때문이다.
한편, 단말기의 설정이나 조건에 따라, 제어부(180)는 액티브 모드(1510)를 슬립 모드(1530) 또는 도즈 모드(1520)로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슬립 모드(1530) 대신에 도즈 모드(1520)가 실행되거나, 도즈 모드(1520) 대신에 슬립 모드(1530)가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가 '톡톡'을 인식하도록 설정되는 경우, 도즈 모드(1520)가 실행되고, '톡톡'을 인식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경우, 슬립 모드(1530)가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본체는 홈(home) 버튼이나 전원 버튼과 같이, 액티브 모드(1510)와 슬립 모드(1530), 또는 액티브 모드(1510)와 도즈 모드(1520)를 상호 전환하는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버튼이 눌러지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슬립 모드(1530) 또는 도즈 모드(1520)에서 콜이나 메시지 수신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액티브 모드(1510)를 실행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80)는 액티브 모드(1510)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지 않으면, 슬립 모드(1530) 또는 도즈 모드(1520)를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제4영역(251)에 처음 터치가 인가된 지점을 기준으로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과 매칭하는지 여부에 따라, 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터치입력들은, 처음 터치가 인가된 지점을 기준으로 생성된 가상의 영역들 중 상기 기설정된 패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터치하는 입력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터치입력들은 처음 터치를 포함하여 가상의 영역들 중 상기 기설정된 패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터치하는 입력들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감지된 복수의 터치입력들의 터치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따라 형성되는 동작 패턴을 분석한다. 그리고, 분석된 동작 패턴이,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해제명령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지를 비교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영역에 인가되는 상기 복수의 터치입력들 중, 열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터치입력은 무시할 수 있다. 즉, 생성된 가상의 영역들에 인가되는 터치입력들 중에서 사용자가 단말을 열기 위해 인가하는 터치입력은 단말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명령이 아니므로, 취소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14a의 (b)에서, 생성된 가상의 영역들에 '3->4->1->2'순서대로 터치입력이 인가된 다음, 사용자가 '2'영역에 터치입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단말을 여는 경우, '2'영역에 인가된 터치입력은 무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림 이벤트의 발생 전에 감지되어 상기 열림 이벤트 동안 유지되는 터치입력을 무시할 수 있다.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기설정된 패턴과 매칭되면, 단말의 잠금 상태가 해제 상태로 전환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단말이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부는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 중 적어도 하나에 해제 상태에 대응되는 화면, 예를 들어, 도 14a의 (c)와 같이, 홈스크린 페이지(homescreen page)를 표시하거나 또는 가장 최근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표시한다.
한편, 가상의 영역들에 인가된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기설정된 패턴과 매칭되지 않으면, 단말의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제4영역에는 단말의 잠금 상태에서 실행가능한 애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말이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단말의 잠금 상태에 대응되는 잠금 화면이 표시되거나 또는 제4영역에 표시된 아이콘 중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실행화면이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단말의 '닫힌 상태'가 제1영역(251a)이 제2영역(251b)을 덮고 제3영역(251c)이 정면에 오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제3영역(251c)에 인가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터치입력을 위한 가상의 영역들이 제3영역(251c)에 표시되며, 이러한 영역들은, 제3영역(251c)에 복수의 터치입력을 위한 터치가 처음 인가된 지점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또한, 가상의 영역들은 단말이 놓인 상태에 관계없이 횡우선 방식으로 사분면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c의 (a)와 같이, 단말을 열기 위한 처음 터치가 제3영역(251c)의 아래쪽에 인가된 경우, 제3영역(251c)의 하단을 기준으로 횡우선 방식으로 사분면의 가상의 영역들(1,2,3,4)이 생성된다. 그리고, 도 14d의 (a)와 같이, 단말을 열기 위한 처음 터치가 제3영역(251c)의 위쪽에 인가된 경우, 제3영역(251c)의 상단을 기준으로 횡우선 방식으로 사분면의 가상의 영역들(1,2,3,4)이 생성된다. 이는, 단말을 열기 위한 처음 터치가 제3영역(251c)의 좌측부분에 인가되었는지 또는 우측부분에 인가되었는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4영역(251d)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단말이 놓인 상태에서 단말을 열기 위한 처음 터치가 제3영역(251c)에 인가된 경우에는 가상의 영역들(1,2,3,4)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현재 자세를 바꾸지 않고, 한 손으로 가상의 영역들에 복수의 터치입력을 인가하기가 쉽다.
또한, 다른 예에서는, 제어부는 단말을 열기 위한 처음 터치를 포함하여 제4영역(251d)의 전체를 구획하거나(예, 4분면의 영역들로 구획) 또는 단말을 열기 위한 처음 터치를 포함하여 그와 가까운 제4영역(251d)의 일부를 구획하고(예, 그 근방을 4분면의 영역들로 구획), 구획된 영역들에 처음 터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이나 처음 터치를 무시하고 이어서 인가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센서가 주기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란 디스플레이부(151)를 조명하는 내부에 구비된 조명이 오프(off) 상태임을 의미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어떠한 정보 또는 그래픽 이미지(graphic image)가 표시되지 않는다. 반면,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란 디스플레이부를 조명하는 내부에 구비된 조명이 온(on) 상태를 의미하고, 디스플레이부(151) 상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들에 대응되는 실행화면, 대기화면, 또는 잠금화면 등과 같은 화면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마련된 터치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방식을 이용하여 탭을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로 다른 방식은 터치 센서의 활성화 주기와 관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주기로 활성화될 수 있다. 즉,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활성화 주기를 가지면서, 터치센서에 가해지는 탭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터치 센서가 기 설정된 특정 주기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특정 주기는, 0보다 큰 시간(time)에 대응되는 주기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터치 센서가 항상 활성화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즉, 이 경우, 터치 센서의 활성화 주기는 0 또는, 0에 매우 가까운 정도의 시간을 갖는 주기일 수 있다.
도 15a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의 활성화 여부는, 터치 센서의 전력 소모량을 이용하여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의 전력 소모량이 0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터치 센서는 비활성화된 상태에 해당하고, 상기 터치 센서의 전력 소모량이 0을 기준으로 상기 기 설정된 기준 값 초과이면, 활성화된 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
도 15a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active mode, 이하 '액티브 모드'로 호칭), 상기 터치 센서는 계속하여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탭의 인가를 대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dose mode, 이하 '도즈 모드'로 호칭), 터치 센서는 기 설정된 특정 주기마다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는 특정 주기가 짧을수록, 디스플레이부(151)를 두드리는 탭을 감지하는 속도가 빨라지지만, 그에 따라 터치 센서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이 커질 수 있다. 이와 달리,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는 주기가 길수록, 터치 센서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은 작아지지만, 디스플레이부(151)를 두드리는 탭을 감지하는 속도는 느려질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주기는 디스플레이부(151)를 두드리는 탭을 감지함에 있어 감지 속도가 사용자에게 인식되지 않을 정도로 빠르면서도, 전력 소모의 효율이 증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주기는 터치 센서가 비활성화되어 있다가 1초에 20번(1Hz) 정도 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 동안에는, 터치 센서도 함께 활성화될 수 있으며, 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센서의 활성화 주기(T)는 0이거나, 0에 매우 가까울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센서의 주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도록 설정된 특정 주기보다 몇 배로 짧을 수 있다. 즉,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주기로 활성화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5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되어 있고, 터치 센서가 주기적으로 활성화되는 도즈 모드(doze mode)에서, 터치 센서에 의하여 '톡톡'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도즈 모드(doze mode)를, 디스플레이부 및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는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터치 센서에 의하여 '톡톡'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되는 탭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터치 센서가 주기적으로 활성화되기 때문에, 전력 사용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디스플레이부와 터치 센서가 작동하는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동작 모드는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센서의 동작 상태에 따라 액티브 모드(active mode, 1510), 슬립 모드(sleep mode, 1530) 및 도즈 모드(dose mode, 1520)로 구분될 수 있다.
액티브 모드(1510)는 디스플레이부(151) 및 터치 센서가 모두 활성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즉, 디스플레이부(151)의 조명은 온(on) 되고,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는 아이콘이나 그래픽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인가받기 위하여 활성화되고, 연속적으로 전력을 소모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슬립 모드(1530)는 디스플레이부(151) 및 터치 센서가 모두 비활성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조명은 오프(off)되고,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가 가해지더라도 어떠한 기능도 실행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도즈 모드(152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센서가 주기적으로 활성화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도즈 모드(202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톡톡'을 인가받기 위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계속해서, 터치 센서는 도즈 모드(1520)와 액티브 모드(1510)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되는 탭을 감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터치 센서의 작동과 관련된 설정들이 도즈 모드(1520)와 액티브 모드(1510)에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탭을 인식하기 위해 설정된 임계값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터치 센서의 터치에 대한 민감도는 도즈 모드(1520) 보다 액티브 모드(1510)에서 증가할 수 있다. 도즈 모드(1520)는 전력의 소모를 줄이면서도 '톡톡'을 감지하기 위한 모드이고, 액티브 모드(1510)는 사용자의 입력을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한 모드이기 때문이다.
한편, 단말기의 설정이나 조건에 따라, 제어부(180)는 액티브 모드(1510)를 슬립 모드(1530) 또는 도즈 모드(1520)로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슬립 모드(1530) 대신에 도즈 모드(1520)가 실행되거나, 도즈 모드(1520) 대신에 슬립 모드(1530)가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가 '톡톡'을 인식하도록 설정되는 경우, 도즈 모드(1520)가 실행되고, '톡톡'을 인식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경우, 슬립 모드(1530)가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본체는 홈(home) 버튼이나 전원 버튼과 같이, 액티브 모드(1510)와 슬립 모드(1530), 또는 액티브 모드(1510)와 도즈 모드(1520)를 상호 전환하는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버튼이 눌러지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슬립 모드(1530) 또는 도즈 모드(1520)에서 콜이나 메시지 수신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액티브 모드(1510)를 실행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80)는 액티브 모드(1510)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지 않으면, 슬립 모드(1530) 또는 도즈 모드(1520)를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제3영역(251c)에 처음 터치가 인가된 지점을 기준으로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과 매칭하는지 여부에 따라, 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터치입력들은, 처음 터치가 인가된 지점을 기준으로 생성된 가상의 영역들 중 상기 기설정된 패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터치하는 입력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터치입력들은 처음 터치를 포함하여 가상의 영역들 중 상기 기설정된 패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터치하는 입력들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감지된 복수의 터치입력들의 터치지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따라 형성되는 동작 패턴을 분석한다. 그리고, 분석된 동작 패턴이,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해제명령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지를 비교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가상의 영역들에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인가되면, 비활성화 상태에 있던 제3영역(251c)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14c의 (b)나 도 14d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초기 화면(예, 시계화면)이 제3영역(251c)의 일부분(예, 상단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영역(251c)에 인가되는 상기 복수의 터치입력들 중, 열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터치입력은 무시한다. 즉, 생성된 가상의 영역들에 인가되는 터치입력들 중에서 사용자가 단말을 열기 위해 인가하는 마지막 터치입력은 단말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명령이 아니므로, 취소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14c의 (a)에서, 생성된 가상의 영역들에 '3->4->1->2'순서대로 터치입력이 인가된 다음, 사용자가 '2'영역에 터치입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단말을 여는 경우, '2'영역에 인가된 터치입력은 무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림 이벤트의 발생 전에 감지되어 상기 열림 이벤트 동안 유지되는 터치입력을 무시할 수 있다.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기설정된 패턴과 매칭되면, 단말의 잠금 상태가 해제 상태로 전환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단말이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부는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 중 적어도 하나에 해제 상태에 대응되는 화면, 예를 들어, 도 14c의 (c)나 도 14d의 (c)와 같이, 홈스크린 페이지(homescreen page)를 표시하거나 또는 가장 최근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표시한다.
한편, 가상의 영역들에 인가된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기설정된 패턴과 매칭되지 않으면, 단말의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제3영역(251c)에는 단말의 잠금 상태에서 실행가능한 애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말이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단말의 잠금 상태에 대응되는 잠금 화면이 표시되거나 또는 제3영역(251c)에 표시된 아이콘 중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실행화면이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는, 제어부는 단말을 열기 위한 처음 터치를 포함하여 제4영역(251d)의 전체를 구획하거나(예, 4분면의 영역들로 구획) 또는 단말을 열기 위한 처음 터치를 포함하여 그와 가까운 제4영역(251d)의 일부를 구획하고(예, 그 근방을 4분면의 영역들로 구획), 구획된 영역들에 처음 터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이나 처음 터치를 무시하고 이어서 인가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기설정된 패턴과 매칭되면, 단말의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하고, 해제 상태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을 정면의 디스플레이, 즉 제3영역(251c) 또는 제4영역(251d)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의 (a)와 같이, 잠금 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제4영역(251d)에 해제에 대응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1601)이 표시된다. 이때, 아이콘들(1601)에는 대응되는 각 애플리케이션을 대표하는 이미지와 함께 수신된 이벤트 개수(예, 착신된 메시지 개수)를 알려주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는, 열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단말의 열린 상태가 제1영역(251a)만 펼쳐진 제1 열린 상태인지 또는 제2영역(251b)만 펼쳐진 제2상태인지, 또는 제1영역(251a) 및 제2영역(251b)이 동시에 펼쳐진 제3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의 판단은, 감지부(140)의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의 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거나, 힌지부의 이동 간격을 인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의 열린 상태가 상기 제4영역(251d)은 정면을 유지하면서 제2영역(251b)만 펼쳐진 제2 열린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단말의 해제 상태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실행화면을 제2영역(251b)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의 (c)와 같이, 선택된 아이콘(1601b)에 대응되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1603), 즉 최근에 출력된 대화화면이나 최근에 도착한 메시지에 대응되는 대화화면이 제2영역(251b)에 출력된다. 이때, 선택된 아이콘(1601b)에 표시된 '선택'표시(예, 음영효과)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또, 단말의 열린 상태가 상기 제4영역(251d)과 제1영역(251)이 바닥면을 향해 기울어지면서 제1영역(251)만 펼쳐지는 제1 열린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단말의 해제 상태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알려주는 화면정보(1602), 예를 들어 도 16의 (b)와 같은 노티피케이션 바(notification bar)를 제1영역(251)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노티피케이션 바(notification bar)에는 제4영역(251d)에 표시된 아이콘들(1601) 중 선택된 아이콘(1601b)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세부항목들(예,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방 이름, 메시지가 도착한 시간 등)이 포함된다.
한편, 단말의 열린 상태가 상기 제1영역(251)과 상기 제2영역(251b)이 모두 펼쳐진 제3 열린 상태이면, 제1영역(251) 및 상기 제2영역(251b)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이벤트를 알려주는 화면정보를 출력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해제 상태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실행화면을 출력시킬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디스플레이에 다른 방식의 터치입력을 인가하거나 지문 인식 센서를 통해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실시예이다.
단말이 '닫힌 상태'에서 제4영역(251d)을 잡고(처음 터치) 단말을 열기 위한 '열림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제4영역(251d)에 구비된 지문 인식 센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지문 인식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연속하는 터치(예, 처음 터치가 종료된 후 수초 이내에)가 제4영역(251d)에 인가되거나 또는 처음 터치가 지문 인식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도 계속 유지되면 지문 인식 기능이 실행된다. 전자의 경우 연속하는 터치에 대응되는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처음 터치에 대응되는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한다. 이때, 지문 인식이 완료되기 전에 단말이 다시 닫히는 경우에도, 수초 동안 지문 인식 기능의 활성화 상태는 유지된다(즉, 상기 '열림 이벤트'가 단말을 열기 위한 것이 아니라 지문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려는 의도임을 고려하여 지문 인식 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도 17a를 참조하면, 단말의 '닫힌 상태'에서 정면에 보이는 제4영역(251d)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터치센서를 통해 제4영역(251d)이 활성화되고, 단말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 화면, 예를 들어 '밀어서 잠금 해제' 이미지객체(1701)가 제4영역(251d)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객체(1701)를 기설정된 방향(예, 화살표 방향으로 밀기)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해제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1702a, 1702b, 1702c, 1702d)이 표시된다. 한편, 상기 잠금 화면의 다른 예로, 패턴 입력, 비밀번호 입력 등과 같이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입력영역이 출력될 수 있다.
표시된 아이콘들(1601) 중 어느 하나에 터치가 인가된 상태에서, 단말이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 중 적어도 하나에 터치가 인가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출력된다. 즉, 도 17a의 (c)와 같이, 단말이 완전히 펼쳐지면, 선택된 아이콘의 표시(1703a)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즉 메시지 대화화면(1703)이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에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제3영역(251c) 및/또는 제4영역(251d)에는 지문 인식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지문 인식 센서는, 사람의 고유의 특성 차이를 나타내는 손가락 지문을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센서를 이용한 잠금 상태의 해제는, 터치입력을 통해 지문의 특징을 추출한 다음, 단말에 미리 등록된 특징 정보와 비교 및 정합을 수행함으로써, 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의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4영역(251d)을 잡고 단말을 펼치려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4영역(251d)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전술한 '열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자성변화가 감지되거나 또는 힌지부의 이동 간격(또는 움직임)이인식되면, 제4영역(251d)에 구비된 지문센서가 활성화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단말의 '닫힌 상태'가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서로 마주보고 제4영역이 정면에 오는 제2 닫힌 상태에서 '열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4영역의 지문센서를 활성화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인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증 결과 본인임이 확인되면, 도 17b의 (c)와 같이, 펼쳐진 단말의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에 잠금 상태가 해제된 홈 스크린 페이지(1705)가 출력된다. 또, 예를 들어, 사용자 인증 결과 본인이 아닌 것이 확인되면, 펼쳐진 단말의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에 잠금 상태에 대응되는 잠금 화면이 출력되거나 또는 잠금 상태에서 실행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사용자 본인이 아닙니다' 또는 '인증 실패로 잠겨있습니다'와 같은 알림 메시지가 외측면에 연장된 제4영역(251d)이나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에 표시되거나 또는 대응되는 음성 안내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의 '닫힌 상태'가 제3영역(251c)이 정면에 오고 제1영역(251a)이 움직여서 상기 제2영역(251b)을 덮는 제1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영역(251a)의 프레임을 잡고 단말을 펼치려는 경우, 터치입력에 따라 제3영역(251c)이 활성화되고, 제3영역(251c)에 구비된 지문센서를 활성화되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3영역(251c)에서의 지문 인식 결과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의 '닫힌 상태'에서 '열림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의 '닫힌 상태'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는 동안에 제3영역 또는 제4영역에 표시되었던 정보가 다른 정보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열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열림 정도에 따라 제3영역 또는 제4영역에 서로 다른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열림 이벤트'가 발생한 후, 단말이 기설정된 기준값에 미치지 못한 정도로 열려지면 제3영역 또는 제4영역에 제1정보를 표시하고, 단말이 아직 '열린 상태'로 전환되지는 않았지만 기준값을 넘도록 열려지면, 제3영역 또는 제4영역에 표시된 제1정보를 제2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정보는 단말이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사라지게 되며, 단말의 내면 디스플레이들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8 및 도 19는, 닫힌 상태에서 외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내면 디스플레이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의 '닫힌 상태'가 제4영역(251d)이 정면에 오고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이 서로 마주보느 제2 닫힌 상태에서, 제4영역(251d)이 활성화되면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1801a, 1801b, 1801c)이 제4영역(251d)에 표시된다. 이때, 표시된 아이콘들(1801a, 1801b, 1801c) 중 어느 하나(1801b)에 인가된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의 사이각이 기준값 이상(예, 'θ'각 이상)으로 더 열려지면, 선택된 아이콘(1801b)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추가정보, 예를 들어, 선택가능한 웹 페이지들범위의 이미지(1802)가 표시된다.
상기 이미지(1802)는 예를 들어, 위쪽에는 작은 페이지번호가 표시되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큰 페이지번호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미지(1802)에 가해진 터치를 상하로 이동하여 원하는 웹페이지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7페이지를 나타내는 이미지(1802a)에 터치입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단말을 완전히 펼치면,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 중 어느 하나에 선택된 아이콘(1801b)에 대응되는 웹페이지의 17페이지 화면(1803)이 펼쳐진다.
한편, 선택된 아이콘(1801b)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추가정보의 다른 예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의 대화창들,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의 폴더들 등과 같은 선택가능한 분류항목이 있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의 '닫힌 상태'가 제3영역(251c)이 정면에 오고 제1영역(251a)이 제2영역(251b)을 덮는 제1 닫힌 상태에서, 제3영역(251c)에 터치 이벤트가 감지되면, 지문센서를 활성화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결과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한다. 그리고, 해제 상태에 대응되는 실행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1901)이 제3영역(251c)에 표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말의 '닫힌 상태'가 제4영역(251d)이 정면에 오고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이 서로 마주보는 제2 닫힌 상태로 전환되고, 제3영역(251c)이 기설정된 방향으로 소정각도 펼쳐지면, 제3영역(251c)에 출력된 정보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롤 바가 제4영역(251d)에 생성된다.
예를 들어, 도 19의 (b)와 같이, 제3영역(251c)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펼쳐지고,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의 사이각이 기준각('θ') 미만이면, 제3영역(251c)에 표시된 아이콘들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롤 바가 제4영역(251d)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기 스크롤 바를 상하로 움직여서 제3영역(251c)에 출력된 정보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4영역(251d)에 표시된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제3영역(251c)에 출력된 아이콘을 선택하여 단말을 완전히 펼치면,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즉 메시지 대화화면(1902)이 다시 출력된다.
이때, 도 19의 (c)와 같이, 단말의 '열린 상태'에서 제3영역(251c)과 제4영역(251d)이 함께 출력된 경우, 제3영역(251c)에 출력되었던 아이콘들의 표시는 유지되고, 제4영역(251d)에 표시되었던 스크롤 바는 사라지거나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과의 구별을 위해 표시가 사라지거나 또는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에 출력되는 화면이 제4영역(251d)까지 연장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4영역(251d)에 상기 스크롤 바가 표시된 상태에서, 펼쳐진 제3영역(251c)이 다시 원래대로 접혀지면, 제4영역(251d)에 다른 정보, 예를 들어 제3영역(251c)에 출력되었던 아이콘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단말의 '닫힌 상태'에서 발생항 이벤트를 외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전환된 다음,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3영역(251c) 또는 제4영역(251d)에 표시된 이미지에 터치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이미지의 표시가 사라지게 된다.
이러한 단말의 '닫힌 상태'에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이벤트의 발생은 예를 들어, 부재중 전화가 있는 경우, 업데이트 대상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 메세지가 도착한 경우, 충전(charging), 단말기의 파워 온(power on), 파워 오프(power off), 디스플레이 활성화 키 눌림(LCD awake key), 알람(alarm), 호 연결(Incoming call), 부재중 알림(missed notification)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서, 단말기의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특정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며, 제어부는 이를 감지한다. 또는 일정 관리상에 사용자가 입력한 항목이 있는 경우에, 날짜가 상기 항목에 해당하는 날짜가 되면 이는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며, 제어부는 이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도 20a와 같이, 단말의 '닫힌 상태'가 제3영역(251c)이 정면에 오도록 놓인 상태에서,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제3영역(251c)의 일 영역(예, 상단부분)에 메시지의 도착을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1801)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이벤트의 발생을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이 제3영역(251c) 또는 제4영역(251c)에 표시되면, 제어부는, 표시된 알림 아이콘에 인가된 터치가 드래그되는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20a의 (b)와 같이, 메시지 알림 아이콘(2001)에 인가된 터치가 제4영역(251d)까지 연장되었다가 제4영역(251d)에서 해제되면, 도착한 메시지에 대한 보관 기능이 실행된다. 그리고, 제3영역(251c)에는 단말을 펼치면, 보관 기능이 적용된 메시지의 바로보기가 가능함을 알려주는 메시지(2002)가 표시된다. 이때, 보관 기능이 적용된 메시지가 복수인 경우, 이벤트가 발생한 순서에 따라 또는 내면 디스플레이에서 가장 최근에 출력되었던 화면정보와 관련된 이벤트부터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보관 기능이 적용된 메시지가 복수인 경우, 발생된 이벤트들이 적층된 형태로 보여지거나 또는 크롬 탭(tap) 형태로 보여질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말이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 중 적어도 하나에 보관 기능이 적용된 메시지에 대응되는 대화화면(2003)이 바로 표시된다. 이때, 보관 기능이 적용된 메시지(2003a)가 화면 중앙에 오도록 표시된다. 한편, 첫번째로 도착한 메시지에 대한 보관 기능이 실행되고, 그 다음에 도착한 메시지는 보관 기능을 실행하지 않은 경우, 단말이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첫번째로 도착한 메시지에 대응되는 대화화면이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된다. 이에 의하면, 단말을 열었을 때, 사용자가 나중에 먼저 보고 싶은 이벤트의 내용이 표시되도록 출력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0b의 (b)와 같이, 단말의 '닫힌 상태'에서 제3영역(251c)에 출력된 이벤트를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2001)에 기설정된 방식의 터치입력, 예를 들어 롱-터치입력이 가해지면, 복수의 이벤트들에 대응되는 세부항목(2004)이 제3영역(251c)내에 펼쳐진다. 사용자는 펼쳐진 세부항목(2004)에서 상하로 플리킹 터치입력을 수행하여, 이벤트의 세부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벤트의 세부항목(2004) 중 특정 항목(2004a)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4영역(251d)까지 드래그를 연장하였다가 제4영역(251d)에서 해제하면, 도 20a와 유사한 이벤트 보관 기능이 실행된다. 이때, 도 20a에서와 다른 점은, 도 20b의 (c)와 (d)처럼, 단말을 열었을 때, 선택된 특정항목(예, 동일인으로부터 복수개의 메시지가 도착한 경우 특정 메시지)(2005a)이 내면 디스플레이들의 중앙에 오도록 실행화면(2005)이 출력된다는 것이다. 이때, 선택된 특정 메시지(2004a)에는 보관 표시(또는 '중요'표시)가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20c의 (b)와 같이, 단말의 '닫힌 상태'에서 제3영역(251c)에 출력된 이벤트를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2001)에 인가된 터치를 제4영역(251d)까지 연장하였다가 제4영역(251d)에서 해제한 경우에는 해당 이벤트에 대한 '보관 기능'이 실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말이 열리면, 도 20c의 (c)와 같이, '보관 기능'이 적용된 이벤트들의 리스트가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에 출력된다.
한편, 알림 아이콘(2001)에 인가된 터치가 제4영역(251d)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었다가 해제되면(즉, 제3영역(251c)을 벗어나 좌측방향으로 드래그), 이벤트를 확인한 것으로 인식하여, 도 20c의 (c")와 같이, 제3영역(251c)에 표시된 노티피케이션(notification)이 사라지게 된다. 다른 예로서, 알림 아이콘(2001)이 표시된 상태에서, 알림 아이콘(2001) 또는 제3영역(251c) 더블 탭(tap)을 인가하면, 현재까지 누적된 모든 알림 아이콘들이 한꺼번에 사라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말이 열리면, 이벤트와 관계없이 가장 최근에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나 홈 스크린 페이지가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에 출력된다.
도 21은 단말의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전환됨에 따라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다르게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를 위해, 제3영역이 출력된 프레임영역(즉, 제3영역(251c)을 벗어난 좌측부분, 도 2a 참조)의 상단부분에는 카메라(221)가 구비될 수 있다.
단말의 '열린 상태'에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1촬영모드에 대응되는 제1프리뷰화면이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된다. 여기에서, 제1프리뷰화면은 단말의 후면에 보이는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의 (a)와 같이, 카메라(221)가 구동되면,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의 반대쪽 보여지는 객체의 이미지(2100)가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에 출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술한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단말의 '닫힌 상태'가 제1영역(251a)이 제2영역(251b)을 덮는 제1상태가 되면, 제어부는 단말의 '열린 상태'에서 동작하였던 제1촬영모드를 제2촬영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21의 (c)와 같이, 단말의 외면에 배치된 제3영역(251c)에 제2촬영모드(즉, '셀프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제2이미지, 즉 단말의 제3영역(251c)의 전면에 보이는 객체의 이미지(2102)가 상기 제3영역(251c)내에 출력된다.
이때,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촬영모드의 전환에 대응되는 표시와 촬영 시작 키가 제3영역(251c)에 더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촬영모드가 수행된 다음, 단말이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제2촬영모드에서 촬영된 제2촬영이미지에 대한 편집모드에 대응되는 화면이나 편집 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카메라가 상기 제1촬영모드로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제2촬영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단말의 '닫힌 상태'가 제4영역(251d)이 정면에 오고 제1영역(251a) 및 제2영역(251b)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전환되면, 촬영된 제1촬영이미지 및/또는 제2촬영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공유하기 위한 실행아이콘(2103)이 제4영역(251d)에 표시된다. 출력된 실행아이콘(2103)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단말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면서, 촬영된 이미지가 대응되는 상대방 단말에 전송되거나 클라우드 서버 등에 업로드되어, 촬영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다.
이하, 도 22는 '열린 상태'에서의 단말의 해제 상태를 '닫힌 상태'에서 유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2의 (a)와 같이, 단말이 '열린 상태'에서 출력된 잠금 화면(2201)에 기설정된 패턴이 입력되어 단말의 잠금 상태가 해제 상태로 전환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는 단말의 '열린 상태'가 '닫힌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의 '닫힌 상태'가 유지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단말의 해제 상태를 다시 상기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후 제3자가 단말을 열어서, 저장된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의 '닫힌 상태'로의 전환시 단말에 인가된 터치입력이, 단말의 '닫힌 상태'에서도 계속 유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단말의 '열린 상태'에서 실행된 해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2의 (b)와 같이, 단말의 제3영역을 벗어난 영역(201)에도 터치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 본인이 단말을 닫고 계속 쥔 상태에서, 도 22의 (c)와 같이 다시 단말을 여는 경우, 빠른 동작 제어를 위해 잠금 상태가 해제된 홈 스크린 페이지(2202)가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단말의 '닫힌 상태'나 '열린 상태'로의 전환을 위해, 단말에 인가된 터치입력의 터치지점을 기설정된 시간(예, 1초이내)내에 이동시킨 것(예, 단말을 열기 위해 잠시 터치-업을 수행하는 경우)은 무시할 수 있다.
이하, 도 23a, 도 23b는 접거나 펼치는 동작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이드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3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의 '열린 상태'에서 동영상 재생화면(2301)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 예를 들어 호신호가 발생하면, 제1영역의 일부분에 호신호의 도착을 알려주는 아이콘(2302)과 호신호에 응답하려면, 닫힌 상태로 전환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2303)(예, '접어서 바로 통화 가능합니다')가 출력된다.
사용자가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이 서로 맞닿도록 단말을 접은 상태에서, 단말을 귀쪽에 가져가면, 감지부(140)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호신호가 바로 연결된다. 이때, 동영상 재생화면(2301)은 재생이 일시중단된다. 이와 같이 단말의 '닫힌 상태'에서 통화 호가 종료되면, 도 23a의 (c)와 같이 단말의 제3영역(251c) 또는 제4영역(215d)에 단말의 '열린 상태'로의 전환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2305)(예, '펼치면 동영상이 바로 재생됩니다')가 출력된다. 그에 따라, 단말이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일시중단된 동영상 재생화면(2301)이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에 다시 출력되고(2301"), 자동으로 재생이 실행되거나 일시 중단된 장면의 출력이 유지된다.
다른 예로, 도 23b의 (a)와 (b)에 도시된 같이, 수신된 호신호에 대한 거절(연결 끊음)을 선택한 다음, 단말을 '닫힌 상태'로 전환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2307)에 따라 단말을 접으면 제3영역(251c)에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아이콘들(2308)이 표시되고, 단말의 '열린 상태'를 유지하면, 이러한 아이콘들(2308)이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에 대응되는 메시지 전송 아이콘들(2308")이 표시된다.
도 24는 외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긴급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을 통해 긴급 메시지가 전송될 상대방 단말이 미리 등록될 수 있다.
단말의 '닫힌 상태'가 제1영역(251a)이 제2영역(251b)을 덮도록 닫힌 상태에서, 도 24의 (b)와 같이, 제3영역(251c)에 기설정된 터치라인(예, 알파벳 'e') 또는 제스처가 인가되면, 기등록된 상대방 단말로 긴급 메시지가 전송된다. 즉, 단말을 열지 않고도 긴급한 상황을 지인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때, 메시지 전송 동안, 긴급 메시지가 전송중임을 알려주는 아이콘(2401)이 제3영역(251c)(또는 제4영역(251d))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에서, 닫힌 상태를 열린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의 일 예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 25의 (a)와 같이, 제1영역(215a)과 제2영역(251b)을 잡고 벌리는 제스처가 수행됨에 따라 '열림 이벤트'가 발생하고, 그에 따라, 제1영역(215a)과 제2영역(251b)의 사이각이 자동열림이 수행되기 위한 기준각도범위(예, θ"), 예를 들어, 165도 이상으로 펼쳐지면, 제1영역(215a)과 제2영역(251b)이 탄력을 받으면서 전창화면으로 자동으로 펼쳐진다.
이와 유사하게, 단말의 '열린 상태'에서 제1영역(215a)과 제2영역(251b)의 사이각이 자동닫힘이 수행되기 위한 기준각도범위, 예를 들어 15도 이하로 접혀지면, 단말을 그 상태로 두어도 제1영역(215a)과 제2영역(251b)이 탄력을 받으면서 자동으로 단말이 '닫힌 상태'로 전환된다.
도 26a 내지 도 27은 디스플레이부를 접거나 펼쳐서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여기서는, 단말의 '열린 상태'가 전면에 제1영역(251a) 및 제2영역(251b)뿐만 아니라, 제3영역(251c)과 제4영역(251d)이 모두 펼쳐진 '전창모드'를 포함한다.
도 26a의 (a)와 같이, 단말의 제1영역(251a), 제2영역(251b), 제3영역(251c), 그리고 제4영역(251d)이 모두 펼쳐진 상태에서, 카메라가 동작하면, 디스플레이부(215) 전체에 프리뷰화면(2601)이 출력된다. 이 상태에서, 단말의 제2영역(251b)이 제1영역(251a)을 덮도록 '닫힌 상태'로 전환되면, 도 26a의 (c)와 같이프리뷰화면(2601)이 자동으로 축소되어 제3영역(251c)과 제4영역(251d)에 표시된다(화면 축소 기능).
다른 예로, 도 26b의 (a)와 같이, 동영상 재생화면(2602)이 디스플레이부(215) 전체에 출력된 상태에서, 호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3영역(251c)과 제4영역(251d)이 기설정된 방향(단말의 후면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접혀지면, 수신된 호신호가 연결되고 동영상 재생화면(2602)이 일시중단된다(재생 중단 기능). 이때, 상대방 단말에는 도 26b의 (b)와 같이, 단말의 후면을 통해 보여지는 이미지(2603)가 전송될 수 있다. 통화가 종료된 후, 접혀졌던 제3영역(251c)과 제4영역(251d)이 다시 원래대로 펼쳐지면, 도 26b의 (c)와 같이, 일시중단된 동영상 재생화면(2602)이 다시 재생된다(재생 실행 기능).
또 다른 예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의 '닫힌 상태'에서 제3영역(251c)에 부재중 전화의 도착을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2701)이 표시되고, 나중에 다시 걸기 버튼(2702)에 터치가 인가되면, 제3영역(251c)에 표시된 알림 아이콘(2701)이 사라지게 된다. 이후 단말을 '열린 상태'로 펼치면, 도 27의 (c)와 같이, 가정 먼저 부재중 전화에 대한 알림과 전화걸기를 수행하기 위한 화면(2703)이 내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이벤트 확인 기능).
한편, 도 28은 디스플레이부를 접거나 펼칠 수 있는 범위를 알려주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디스플레이부(251)는, 도 28의 (a)와 같이, 제1영역(251a) 및 제2영역(251b)의 사이, 제3영역(251c)과 제4영역(251d)의 사이, 그리고, 제1영역(251a)과 제4영역(251d)의 사이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일정범위 접거나 펼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특성상 접을 수 있는 각도 및 방향이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설정된 방향과 어긋나거나 일정범위를 넘도록 디스플레이부(251)를 접거나 펼치면, 상기 제어부는, 접힘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에서 근접한 곳에 있는 모터를 동작하여 진동으로 또는 음성으로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8의 (b)와 같이 제1영역(251a)과 제4영역(251d)의 사이를 설정된 방향과 다른 방향(예, 위쪽 또는 시계방향)으로 접거나 또는 도 28의 (c)와 같이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의 사이를 설정된 방향과 다른 방향(예, 아래쪽 또는 시계방향)으로 접거으면, 즉 180도 또는 210도 등의 한계구간을 넘는 각도로 휨이 감지되면, 진동 및/또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화면을 보지 않는 경우에는, 경고가 발생하지 않는 다른 위치로 이동하여 진동 및/또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9는 디스플레이부가 전부 펼쳐진 상태에서 배터리 부족시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의 '열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51)를 전부 펼친 '전창모드'로 운용하는 경우, 배터리의 소모가 많아지게 된다. 이에, 제어부는, 배터리의 상태를 체크하여, 배터리의 레벨이 정해진 레벨 이하(예, 배터리 소모량이 10% 이하인 경우)가 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의 일부를 '흑백모드'로 전환하거나 사용자가 현재 보고 있는 디스플레이만 활성화되도록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9의 (a)와 같이, 단말의 '열린 상태'에서, 배터리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는 이미지(2902)를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배터리의 레벨이 정해진 레벨 이하이면, 먼저 도 29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 예를 들어 제2영역(251b)에 출력되고 있는 화면을 '흑백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터리가 충전되지 않고 더욱 소모되면, 도 29의 (c)와 같이, 사용자가 보지 않는 디스플레이영역들(251a, 251b) 또는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큰 것부터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아직 활성화 상태에 있는 디스플레이영역들(251c, 251d)에는 이전에 출력되었던 화면이 리사이징된 화면(2901"")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0a 내지 도 30d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251)가 전부 펼쳐진 상태에서, 일부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일부를 접거나 펼쳐서 서로 다른 화면을 출력시키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여기에서, 단말의 '열린 상태'란 단말의 내면이 노출된 상태, 즉 단말의 내면에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영역들이 힌지를 중심으로 일부 또는 완전히 펼쳐져서, 전면에 노출된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a)와 같이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의 사이가 접힘 없이 완전히 펼쳐져서 전면에 노출된 경우 '열린 상태'가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 단말의 "열린 상태"란 제1영역(251a)과 제2영역(251b)뿐만 아니라, 제3영역(251c)과 제4영역(251d)까지 모두 전면에 펼쳐진 '확장 열린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30a를 참조하면, 단말의 '열린 상태'에서 단말을 세로방향으로 기울이면, 세로보기모드로 웹페이지 화면(3001)이 제1및 제2영역(251a, 251b)에 표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후면으로 접혀진 다른 디스플레이들(251c, 251d)를 전면에 오도록 펼치면, 도 30a의 (c)와 같이,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과 구별되는 화면정보, 예를 들어 자주 실행되었던 애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3002)이 제3영역(251c)과 제4영역(251d)에 표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에 손바닥을 아래로 쓰는 제스처를 수행하면, 아이콘(3002)의 표시가 사라지게 되고, 내면 디스플레이들(251a, 251b)에 출력되었던 웹페이지 화면이 제3영역(251c)과 제4영역(251d)까지 연장된 화면(3001")으로 변경된다.
다른 예로, 도 30b를 참조하면, 단말의 '열린 상태'에 제1및 제2영역(251a, 251b)에 웹페이지 화면(3003)이 출력되고, 이와 구별되는 제3영역(251c)과 제4영역(251d)에는 최근 사용한 애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3004)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된 아이콘(3004) 중 어느 하나에 터치를 인가한 상태에서, 도 30b의 와 같이 단말을 한바퀴 회전시키거나 또는 단말을 일정 각도 이상으로 뒤쪽으로 젖혔다가 다시 앞쪽으로 회전시키면, 단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제1및 제2영역(251a, 251b)에 출력되었던 웹페이지 화면(3003)은 카메라 구동에 따른 프리뷰화면(3005)으로 변경된다.
또 다른 예로, 도 30c는 단말의 '열린 상태'에서, 제1및 제2영역(251a, 251b)에 e-book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3006)이 출력된 상태에서, 제3영역(251c)에 터치를 인가한 상태에서 단말의 제2영역(251b)을 잡고서 접었다가 다시 펼치거나 또는 제3영역(251c)을 제2영역(251b)쪽으로 조금 꺾었다가 다시 펼치면, 도 30c의 (c)와 같이, 다음 페이지로 넘겨진다. 또, 제3영역(251c)에 터치를 인가한 상태에서 단말의 제1영역(251a)을 잡고 접었다가 다시 펼치면, 이전 페이지로 넘겨지게된다. 이에 의하면, 마치 실제로 책을 넘기는 것과 같이 e-book을 즐길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3영역(251c)에 터치가 인가된 위치를 조절하여 페이지의 넘김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영역(251c)의 아래쪽을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를 접었다가 펼치면 더 많은 페이지들이 넘겨지고, 제3영역(251c)의 위쪽을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를 접었다가 펼치면 더 적은 페이지들이 넘겨지도록 출력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는 제3영역(251c)의 아래쪽을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를 접었다가 펼치면 페이지들이 장(chapte)단위, 중제목/소제목 단위로 넘겨질 수 있다.
또, 제1영역(251a)을 접었다 펼치면 현재 출력되는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또는 이전 장(chapte)의 처음 페이지)가 출력되고, 제2영역(251b)을 접었다 펼치면 현재 출력되는 페이지의 다음 페이지(또는 다음 장(chapte)의 처음 페이지)가 출력된다.
또 다른 예로, 도 30d는 단말의 '열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51) 전체가 펼쳐진 '확장 열린 상태'에서 제1및 제2영역(251a, 251b)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3008)을 출력하고, 제3 및 제4영역(251c, 251d)에는 제1및 제2영역(251a, 251b)에는 최근에 실행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들(3009)을 출력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제3영역(251c)에 터치를 인가한 상태에서, 제2영역(251b)을 제1영역(251a)으로 접거나 또는 제2영역(251b)을 살짝 꺾었다가 펼치면, 제3 및 제4영역(251c, 251d)에는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기 바로 이전에 출력되었던 애플리케이션, 즉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추가된다(3009). 이러한 상태에서, 제2영역(251b)을 다시 펼치면, 제1및 제2영역(251a, 251b)에 출력되었던 메시지 대화화면(3008)은 도 30d의 (d)와 같이, 이전에 실행되었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즉 웹페이지 화면(3010)으로 변경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내면 디스플레이가 덮힌 상태에서도 외측면에 연장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내면 디스플레이의 출력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외측면에 연장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내면 디스플레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동작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내면 디스플레이를 보기 위해 펼치는 동작에서 외측면에 연장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하거나 최근 실행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나아가, 서로 연접한 내면 디스플레이와 외면 디스플레이를 접거나 펼치는 다양한 동작에 따라 서로 다른 화면이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7)

  1. 내면, 외면, 및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내면이 노출되는 열린 상태와 상기 내면을 덮고 상기 외면 및 측면이 노출되는 닫힌 상태로 전환가능하도록 형성된 단말기 본체;
    상기 닫힌 상태에서 내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영역과, 상기 외면에 배치되는 제3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일 측과 상기 제3영역의 일 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측면에 배치되는 제4영역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열린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상기 제1 및 제2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닫힘 방식에 근거하여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3영역 및 제4영역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에서의 기울기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닫힘 방식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닫힘 방식에 근거하여, 상기 제3영역 및 제4영역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여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영역에서만 기울기변화가 검출되는 제1닫힘 방식이 감지되면, 상기 제3영역에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알려주는 제1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에서 기울기변화가 검출되는 제2닫힘 방식이 감지되면, 상기 제4영역에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알려주는 제2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는 서로 다른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닫힘 방식이 감지되면, 상기 제4영역을 더 활성화하고,
    상기 제3영역에서 상기 제4영역으로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상기 제1이미지에 인가되면, 상기 드래그 입력의 경로를 따라 상기 제1이미지의 크기나 형상을 변화하여 상기 제4영역까지 연장하고, 상기 제1이미지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닫힘 방식이 감지되면, 상기 제4영역을 더 활성화하고,
    상기 제1닫힘 방식에서 상기 제1이미지에 대응되는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제4영역에 상기 제1이미지에 대응되는 기능의 실행과 관련된 제3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린 상태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에 표시하고, 작성된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닫힘 방식에 근거하여,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아이콘을 상기 제3영역 및 상기 제4영역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task)가 실행중인 상태에서 상기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태스크가 실행중임을 알려주는 제1아이콘을 상기 제3영역 및 제4영역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하고, 상기 태스크가 완료되면 상기 제1아이콘을 제2아이콘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힘 이벤트 동안 상기 제3영역 및 제4영역에 인가되는 제어명령의 입력을 제한하고,
    상기 접힘 이벤트에 근거하여 상기 열린 상태가 상기 닫힌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닫힘 방식에 근거하여 상기 제3영역 및 제4영역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한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에 배치되는 제4영역은, 상기 제3영역에서 연장되고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접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닫힘 방식에 근거하여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정보가 상기 제3영역과 상기 곡률을 따라 상기 제4영역의 일부에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제4영역에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린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를 알려주는 알람을 출력하고,
    상기 알람에 응답하여 상기 제1영역에서 상기 제4영역으로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상기 제1영역의 일 측에 인가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제1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1영역의 일 측에 인가된 상기 드래그 입력이 상기 제1영역내에서 종료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제2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람에 응답하여 상기 열린 상태가 상기 닫힌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3영역 및 제4영역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이벤트의 처리와 관련된 이미지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이미지객체에 인가된 드래그 입력이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제3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3 및 제4영역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정보가 사라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닫힌 상태에서 열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3영역 및 제4영역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사라진 정보가 다시 표시되거나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다른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닫힌 상태가 상기 제1영역이 움직여서 상기 제2영역을 덮는 제1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정보나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다른 정보를 상기 제3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닫힌 상태가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4영역이 정면에 노출되는 제2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정보나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다른 정보를 상기 제4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4영역에 터치가 인가되면, 상기 터치가 인가된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실행화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열린 상태가 상기 닫힌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3 및 제4 영역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터치입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닫힌 상태가 다시 상기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중 적어도 하나에 이전에 출력되었던 실행화면을 다시 표시하고,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의 실행에 따른 화면변화가 상기 실행화면에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닫힌 상태가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4영역이 정면에 노출되는 제2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제4영역에 인가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감지하고,
    상기 제2상태에서 열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감지된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기 설정된 패턴과 매칭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4영역은 가상의 영역들로 구획되고,
    상기 가상의 복수의 영역들은 상기 제4영역에 처음 인가된 터치에 근거하여 생성되고,
    상기 복수의 터치입력들은, 상기 생성된 가상의 영역들 중 상기 기 설정된 패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터치하는 입력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영역에 인가되는 상기 복수의 터치입력들 중 상기 열림 이벤트의 발생시 감지되는 터치입력이나 상기 열림 이벤트의 발생 전에 감지되어 상기 열림 이벤트 동안 유지되는 터치입력은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해제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해제 상태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을 상기 제4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열린 상태가 상기 제1영역만 펼쳐진 제1열린 상태이면, 상기 제1영역에 상기 해제 상태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알려주는 화면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열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열린 상태가 상기 제4영역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2영역만 펼쳐진 제2 열린 상태이면, 상기 해제 상태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실행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열림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열린 상태가 상기 제1 및 제2영역이 모두 펼쳐진 제3 열린 상태이면, 상기 이벤트를 알려주는 화면정보와 상기 해제 상태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실행화면을 모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영역에는 지문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닫힌 상태가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4영역이 정면에 노출되는 제2 닫힌 상태에서 열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지문센서를 활성화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닫힌 상태가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4영역이 정면에 노출되는 제2 닫힌 상태에서 열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4영역에 실행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아이콘들 중 하나에 터치가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사이각이 기준각을 벗어나면, 상기 제4영역에 상기 터치가 인가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추가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영역에는 지문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닫힌 상태가 상기 제1영역이 움직여서 상기 제2영역을 덮는 제1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3영역에 터치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지문센서를 활성화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닫힌 상태가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4영역이 정면에 노출되는 제2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3영역에 상기 실행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3영역이 소정각도로 펼쳐지면, 상기 제3영역에 표시된 정보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롤 바가 제4영역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닫힌 상태가 상기 제1영역이 움직여서 상기 제2영역을 덮는 제1 닫힌 상태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3영역에 상기 이벤트를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알림 아이콘에 인가된 터치가 드래그되는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에 배치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가 구동되면 제1촬영모드에 대응되는 제1촬영이미지를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하고,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닫힌 상태가 상기 제1영역이 상기 제2영역을 덮는 제1상태가 되면, 상기 제1촬영모드를 제2촬영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2촬영모드에 대응되는 제2촬영이미지를 상기 제3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촬영모드 및 상기 제2촬영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상기 열린 상태 또는 상기 제1 닫힌 상태가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이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4영역이 정면에 노출되는 제2 닫힌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1촬영이미지 및 상기 제2촬영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하기 위한 실행아이콘을 상기 제4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단말기의 잠금 상태가 해제 상태로 전환된 것에 대응되는 화면정보가 출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린 상태가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닫힌 상태로 전환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해제 상태를 다시 상기 잠금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접힘 이벤트에 대응되는 터치입력이 상기 닫힌 상태에서도 유지되면 상기 해제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린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영역에 상기 닫힌 상태를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이벤트가 종료되면 상기 제3영역 및 상기 제4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열린 상태를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40094939A 2014-07-25 2014-07-25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659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939A KR101659032B1 (ko) 2014-07-25 2014-07-25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4/602,086 US9830075B2 (en) 2014-07-25 2015-01-21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5000368.9A EP2977850B1 (en) 2014-07-25 2015-02-09 Hinged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touch screen device
CN201510174939.4A CN105278902B (zh) 2014-07-25 2015-04-14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15/784,754 US10678428B2 (en) 2014-07-25 2017-10-16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939A KR101659032B1 (ko) 2014-07-25 2014-07-25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779A true KR20160012779A (ko) 2016-02-03
KR101659032B1 KR101659032B1 (ko) 2016-09-23

Family

ID=52484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939A KR101659032B1 (ko) 2014-07-25 2014-07-25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830075B2 (ko)
EP (1) EP2977850B1 (ko)
KR (1) KR101659032B1 (ko)
CN (1) CN105278902B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1318A1 (ko) * 2019-02-19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장치
KR20200101192A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도되지 않은 사용자 입력의 수신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20218742A1 (ko) * 2019-04-24 2020-10-29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124915A (ko) * 2019-04-25 2020-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생체 인증 및 지능형 에이전트 기능 수행 방법
WO2020231053A1 (ko) * 2019-05-13 2020-11-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1187817A1 (ko) * 2020-03-19 2021-09-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1201625A1 (ko) * 2020-04-02 2021-10-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캡쳐 운용 방법
US11206321B2 (en) 2019-02-19 2021-12-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WO2022030804A1 (ko) * 2020-08-04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면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2034942A1 (ko) * 2020-08-13 2022-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2149866A1 (ko) * 2021-01-07 2022-07-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2148336B2 (en) 2020-03-19 2024-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for providing execution screen of applic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015B1 (ko) * 2014-01-21 2021-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152733B1 (ko) * 2014-06-24 2020-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SG11201701255VA (en) * 2014-08-20 2017-03-30 Touchgram Pty Ltd A system and a method for sending a touch message
CN105373217A (zh) * 2014-09-02 2016-03-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多屏显示装置
CN107111354B (zh) * 2014-09-30 2021-01-26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非故意触摸拒绝
US9686384B2 (en) * 2014-12-09 2017-06-20 Sukjun Song Electronic device with rotating input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300042B1 (ko) * 2014-12-23 2021-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515620B1 (ko) * 2014-12-29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9864410B2 (en) 2014-12-29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309298B1 (ko) * 2014-12-29 2021-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1033B1 (ko) * 2015-01-08 2016-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N104536766B (zh) * 2015-01-09 2018-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US9875016B2 (en) * 2015-01-30 2018-01-23 Rakuten Kobo Inc. Method and system for persistent ancillary display screen rendering
KR102309164B1 (ko) * 2015-02-03 2021-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
US10116601B2 (en) * 2015-02-06 2018-10-30 Jamdeo Canada Ltd. Methods and devices for display device notifications
USD779556S1 (en) * 2015-02-27 2017-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icon
JP6497549B2 (ja) * 2015-03-05 2019-04-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タッチ操作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01171B2 (ja) * 2015-03-23 2020-05-2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子機器
US10263982B2 (en) 2015-03-31 2019-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406091B1 (ko) * 2015-04-01 2022-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337177B1 (ko) * 2015-04-21 2021-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10983626B2 (en) * 2015-06-05 2021-04-20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display and touch sensor structures
KR102415655B1 (ko) * 2015-07-07 2022-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194398B2 (en) 2015-09-26 2021-12-07 Intel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adaptive rendering using 3D sensors
US9942367B2 (en) * 2015-10-13 2018-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606362B2 (en) * 2015-12-01 2020-03-31 Lg Electronics Inc.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2501142B1 (ko) * 2015-12-31 2023-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499110B1 (ko) * 2016-01-14 2023-02-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102480462B1 (ko) * 2016-02-05 2022-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7135749A1 (ko) * 2016-02-05 2017-08-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11247B1 (ko) * 2016-03-14 2023-03-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면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의 운영 방법
CN105867533B (zh) * 2016-03-28 2020-06-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WO2017173106A1 (en) * 2016-03-31 2017-10-0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lydesdale gas detector
KR102498502B1 (ko) * 2016-04-20 202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장치와 상기 커버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360882B1 (en) * 2016-05-26 2019-07-23 Terence Farmer Semi-transparent interactive axial reading device
KR20170140976A (ko) * 2016-06-14 2017-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CN106205390B (zh) 2016-07-08 2018-03-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控制方法及电子设备
EP4095651B1 (en) * 2016-08-19 202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7783597A (zh) * 2016-08-30 2018-03-09 三星电子株式会社 可折叠装置及控制所述可折叠装置的方法
KR102659604B1 (ko) * 2016-11-04 2024-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296176B2 (en) * 2017-01-30 2019-05-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avigational aid for a hinged device via semantic abstraction
US10691220B2 (en) * 2017-02-14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 of information from real world environment on a virtual reality (VR) device and VR device thereof
JP6462744B2 (ja) * 2017-03-06 2019-01-30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ハンディターミナルおよびハンディターミナル充電システム
CN107066268B (zh) * 2017-03-28 2022-03-0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微件应用的显示位置切换方法及装置
US20180284844A1 (en) * 2017-04-04 2018-10-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oldable display device with interactable user interface surface on the external shell
US10372398B2 (en) * 2017-04-04 2019-08-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oldable display device with interactable user interface surface on the external shell
CN107291155B (zh) * 2017-05-22 2019-05-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10362156B (zh) * 2017-05-22 2023-02-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KR20180129432A (ko) * 2017-05-26 2018-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230826B1 (en) * 2017-08-22 2019-03-12 Futurewei Technologies, Inc. Foldable mobile device
US11132101B2 (en) * 2017-09-08 2021-09-2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Icon moving metho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7704735B (zh) * 2017-09-12 2020-03-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授权管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7563174B (zh) * 2017-10-19 2020-01-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指纹识别的方法和装置
CN107678661A (zh) * 2017-10-19 2018-02-0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数据内容的方法和装置
CN107831981A (zh) * 2017-10-24 2018-03-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控制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90054397A (ko) * 2017-11-13 2019-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843715B2 (en) * 2017-11-23 2023-12-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Photographing method and terminal
CN108182033A (zh) * 2017-12-27 2018-06-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柔性屏终端控制方法、柔性屏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514729B1 (ko) * 2018-01-18 2023-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제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698992B2 (en) 2018-02-19 2020-06-30 Bank Of America Corporation Preventing unauthorized access to secure information systems using advanced biometric authentication techniques
DK180246B1 (en) 2018-03-12 2020-09-11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health monitoring
EP3735628A4 (en) 2018-03-22 2021-08-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CONTROL
KR102481292B1 (ko) * 2018-04-13 2022-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8614677A (zh) * 2018-04-28 2018-10-0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445897B (zh) * 2018-05-04 2024-06-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10445903B (zh) * 2018-05-04 2024-04-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US10602624B2 (en) * 2018-05-17 2020-03-24 Motorola Mobility Llc Cumulative sensor in a foldable device
CN111344771A (zh) * 2018-05-28 2020-06-26 华为技术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US11314410B2 (en) * 2018-05-29 2022-04-26 Asustek Computer Inc. Mobile device
KR102485127B1 (ko) 2018-07-06 2023-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의 방향에 따라 프리뷰 이미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0719347A (zh) * 2018-07-13 2020-01-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控制方法
KR102504397B1 (ko) * 2018-08-20 2023-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제조방법
USD914010S1 (en) * 2018-09-04 2021-03-23 Compal Electronics, Inc. Notebook computer
USD934856S1 (en) * 2018-09-04 2021-11-02 Compal Electronics, Inc. Notebook computer
US11126227B2 (en) * 2018-09-17 2021-09-21 Compal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CN109274823B (zh) * 2018-09-26 2020-10-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多媒体文件播放控制方法及终端设备
KR102638783B1 (ko) 2018-10-17 2024-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딩 각도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542398B1 (ko) * 2018-11-29 2023-06-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US10642313B1 (en) * 2018-12-13 2020-05-05 Innolux Corporation Foldabl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102566143B1 (ko) * 2018-12-21 2023-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61194B1 (ko) 2019-02-15 2024-04-29 삼성전자 주식회사 하우징, 하우징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409488B2 (en) * 2019-02-19 2022-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40610B1 (ko) * 2019-02-19 2024-0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합된 접지 구조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DE202019001137U1 (de) * 2019-03-08 2020-06-09 Alfred Jung Mehrfach auf- und zuklappbares Display, Smartphone, mehreren Displays und Falttastatur welches auf- und zuklappbar ist
KR20210139233A (ko) 2019-03-27 2021-11-22 인텔 코포레이션 스마트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 및 관련 방법들
KR20200115861A (ko) * 2019-03-28 2020-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007821B (zh) * 2019-03-28 2021-03-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操作方法及终端设备
CN113330386A (zh) * 2019-04-16 2021-08-31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拍照控制方法及终端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706227B1 (ko) * 2019-04-17 2024-09-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KR20200122722A (ko) * 2019-04-18 2020-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분할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10963217B2 (en) 2019-04-21 2021-03-30 Lenovo (Singapore) Pte. Ltd. Command detection notification on auxiliary display
CN110045902B (zh) * 2019-04-22 2021-01-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及装置、折叠设备
CN111831063B (zh) * 2019-04-22 2022-03-04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具有发光图案的电子装置
CN111857453B (zh) * 2019-04-30 2023-03-14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功能界面展示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200130574A (ko) * 2019-05-10 2020-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32008A (ko) * 2019-05-15 2020-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알림 제공 방법
US11379016B2 (en) 2019-05-23 2022-07-05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operate closed-lid portable computers
US11043183B2 (en) * 2019-05-23 2021-06-22 Dell Products, L.P. Mitigation of screen burn-in for a foldable IHS
US11152100B2 (en) 2019-06-01 2021-10-19 Apple Inc. Health application user interfaces
EP4465655A3 (en) * 2019-06-01 2025-01-2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udio exposure
WO2020257979A1 (zh) * 2019-06-24 2020-12-30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防误触方法、电子设备及非易失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238642B2 (ja) * 2019-06-28 2023-03-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WO2020262179A1 (ja) * 2019-06-28 2020-12-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12002588B2 (en) 2019-07-17 2024-06-04 Apple Inc. Health event logging and coaching user interfaces
CN114303113A (zh) * 2019-08-19 2022-04-08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装置和控制电子装置的方法
CN115951808A (zh) * 2019-08-31 2023-04-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图标的显示方法及电子设备
WO2021051121A1 (en) 2019-09-09 2021-03-18 Apple Inc. Research study user interfaces
CN112540703B (zh) * 2019-09-19 2022-08-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触控屏控制方法和电子设备
USD947805S1 (en) * 2019-09-24 2022-04-05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obile phon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76225S1 (en) * 2019-09-24 2023-01-24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obile phon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5390S1 (en) * 2019-09-24 2022-03-08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obile phone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0825301A (zh) * 2019-09-25 2020-02-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界面切换方法及电子设备
US11543873B2 (en) 2019-09-27 2023-01-03 Intel Corporation Wake-on-touch display screen devices and related methods
CN110708407B (zh) * 2019-10-15 2021-02-26 Tcl 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移动终端
KR20210050800A (ko) * 2019-10-29 2021-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825474B (zh) * 2019-10-31 2023-03-3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界面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11733761B2 (en) 2019-11-11 2023-08-22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manage power and performance of computing devices based on user presence
KR20210058573A (ko) * 2019-11-14 2021-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7396001B2 (ja) * 2019-12-03 2023-12-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11142767B (zh) 2019-12-16 2021-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折叠设备的自定义按键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11809535B2 (en) 2019-12-23 2023-11-07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modal user device authentication
TWI759026B (zh) * 2019-12-26 2022-03-2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CN111147635A (zh) * 2019-12-26 2020-05-12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屏幕显示方法、装置
US11360528B2 (en) 2019-12-27 2022-06-14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rmal management of electronic user devices based on user activity
CN111228793B (zh) * 2020-01-21 2021-11-1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交互界面的显示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1263005B (zh) * 2020-01-21 2021-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折叠屏的显示方法及相关装置
KR20210101474A (ko) *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센서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US11226653B2 (en) * 2020-03-26 2022-01-18 Intel Corporation Single display laptop design
JP7476645B2 (ja) * 2020-04-23 2024-05-01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携帯型情報端末及びプログラム
DK181037B1 (en) 2020-06-02 2022-10-10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health applications
WO2021251525A1 (ko) * 2020-06-11 2021-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1833746B (zh) * 2020-07-06 2022-02-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显示装置及控制显示装置显示的方法
EP4184898A4 (en) * 2020-07-14 2024-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CN111813184B (zh) * 2020-07-16 2022-07-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WO2022025320A1 (ko) 2020-07-30 2022-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17244A (ko) *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N114338904B (zh) * 2020-09-27 2022-12-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来电提示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2328008B (zh) * 2020-11-12 2023-08-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的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565490B (zh) * 2020-12-10 2022-08-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US12189452B2 (en) 2020-12-21 2025-01-07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improve user experience on computing devices
CN114979321A (zh) * 2021-02-26 2022-08-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通知信息的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5202773A (zh) * 2021-04-12 2022-10-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界面的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220143289A (ko) * 2021-04-16 2022-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13488516B (zh) * 2021-06-28 2022-05-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30011762A (ko) * 2021-07-14 2023-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887397B2 (en) * 2021-07-28 2024-01-30 Qualcomm Incorporated Ultrasonic fingerprint sensor technologies and methods for multi-surface displays
EP4344179A4 (en) * 2021-10-27 2024-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CN115002249B (zh) * 2021-10-30 2023-03-28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振动马达及终端设备
US11907516B2 (en) 2022-04-16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identifying set of information according to change in size of display area of flexible display
WO2023200085A1 (ko) * 2022-04-16 2023-10-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사이즈의 변경에 따라 정보의 세트를 식별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US12008290B2 (en) 2022-05-16 2024-06-11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monitoring sound reduction
WO2024053894A1 (ko) * 2022-09-06 2024-03-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촬영 구도를 안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6320110A (zh) * 2023-03-09 2023-06-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拨号方法及其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6165A (ko) * 2009-09-03 2011-06-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엘리먼트의 위치 및 방향을 표시하는 방법
KR20140055510A (ko) * 2012-10-31 2014-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4888A (en) * 1994-02-03 1996-07-09 Motorola Electronic book
US6144358A (en) * 1997-08-20 2000-11-07 Lucent Technologies Inc. Multi-display electronic devices having open and closed configurations
CN101076234A (zh) * 2006-05-19 2007-11-21 尹成根 具有扩展屏幕的多媒体终端显示屏
US7768605B2 (en) * 2006-06-30 2010-08-03 Motorola, Inc. Display stack-up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internal and external displays
DE602008003680D1 (de) 2008-05-29 2011-01-05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e Anzeige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US8860632B2 (en) * 2008-09-08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US8866840B2 (en) * 2008-09-08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Sending a parameter based on screen size or screen resolution of a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to a server
US8803816B2 (en) 2008-09-08 2014-08-12 Qualcomm Incorporated Multi-fold mobile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KR20100038008A (ko) * 2008-10-02 2010-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다중변형 디바이스
KR101521219B1 (ko) 2008-11-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20066591A1 (en) * 2010-09-10 2012-03-15 Tina Hackwell Virtual Page Turn and Page Flip via a Touch Sensitive Curved, Stepped, or Angled Surface Side Edge(s) of an Electronic Reading Device
GB201112461D0 (en) * 2010-09-28 2011-08-31 Yota Group Cyprus Ltd Notification method
KR101841570B1 (ko) * 2010-11-18 2018-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듀얼디스플레이 접이식단말기
US9075568B1 (en) * 2012-03-21 2015-07-07 Amazon Technologies, Inc. Dynamic device skins
CN103365393B (zh) * 2012-03-27 2018-04-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101515623B1 (ko) * 2012-05-14 201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871716B1 (ko) * 2012-05-14 2018-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10189B1 (ko) 2012-10-29 2015-04-08 주식회사 만도 자동 노출 제어 장치 및 자동 노출 제어 방법
US9158135B1 (en) * 2013-09-25 2015-10-13 Amazon Technologies, Inc. Hinged ancillary display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6165A (ko) * 2009-09-03 2011-06-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엘리먼트의 위치 및 방향을 표시하는 방법
KR20140055510A (ko) * 2012-10-31 2014-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29200B2 (en) 2019-02-19 2023-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occurrence of unintended user input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US11206321B2 (en) 2019-02-19 2021-12-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WO2020171318A1 (ko) * 2019-02-19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장치
KR20200101192A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도되지 않은 사용자 입력의 수신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2204369B2 (en) 2019-02-19 2025-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occurrence of unintended user input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US11025770B2 (en) 2019-02-19 2021-06-0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11054856B2 (en) 2019-02-19 2021-07-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occurrence of unintended user input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WO2020218742A1 (ko) * 2019-04-24 2020-10-29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2094393B2 (en) 2019-04-24 2024-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for same
KR20200124915A (ko) * 2019-04-25 2020-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생체 인증 및 지능형 에이전트 기능 수행 방법
US11640451B2 (en) 2019-04-25 2023-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biometric authentication function and intelligent agent function using user input in electronic device
WO2020231053A1 (ko) * 2019-05-13 2020-11-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2135590B2 (en) 2019-05-13 2024-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ensor module
WO2021187817A1 (ko) * 2020-03-19 2021-09-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2148336B2 (en) 2020-03-19 2024-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for providing execution screen of applic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1201625A1 (ko) * 2020-04-02 2021-10-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캡쳐 운용 방법
US11755171B2 (en) 2020-04-02 2023-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screenshot operation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US12014104B2 (en) 2020-08-04 2024-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screen rot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WO2022030804A1 (ko) * 2020-08-04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면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2034942A1 (ko) * 2020-08-13 2022-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2200350B2 (en) 2020-08-13 2025-01-14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WO2022149866A1 (ko) * 2021-01-07 2022-07-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77850A1 (en) 2016-01-27
EP2977850B1 (en) 2018-08-22
CN105278902A (zh) 2016-01-27
US9830075B2 (en) 2017-11-28
CN105278902B (zh) 2020-12-04
US20180039410A1 (en) 2018-02-08
KR101659032B1 (ko) 2016-09-23
US10678428B2 (en) 2020-06-09
US20160026381A1 (en)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03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30929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809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071911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2594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25111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2943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1249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430154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6000011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4156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6181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829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7126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13748A (ko) 휴대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1800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0975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8726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146296A (ko) 이동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13181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8000507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3130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3256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70140702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5722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