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2926A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2926A
KR20170082926A KR1020160002262A KR20160002262A KR20170082926A KR 20170082926 A KR20170082926 A KR 20170082926A KR 1020160002262 A KR1020160002262 A KR 1020160002262A KR 20160002262 A KR20160002262 A KR 20160002262A KR 20170082926 A KR20170082926 A KR 20170082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flexible display
main body
screen information
touch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4866B1 (ko
Inventor
조태훈
정원석
김영준
신민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2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866B1/ko
Priority to US16/068,482 priority patent/US10666780B2/en
Priority to PCT/KR2016/000669 priority patent/WO2017119531A1/ko
Publication of KR20170082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04M1/7251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가 휘어지거나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일부가 접히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가 접힌 상태에서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가 접힌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과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터치패드 및 상기 본체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드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에 연계된 화면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가 휘어지거나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이동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더 새롭고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원하는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를 좀 더 새로운 형태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새로운 형태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좀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의 하나로,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가 휘어지거나,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가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지거나 구부러지는 동작에 대응하는 UI/UX(User Interface/User Experience)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히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일부분을 최적화된 방법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히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일부분을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일부가 접히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가 접힌 상태에서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가 접힌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과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터치패드 및 상기 본체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드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에 연계된 화면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는, 상기 터치패드에 가해지는 터치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화면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드에 제1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1 방식의 터치에 연계된 제1 화면정보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출력하고, 상기 터치패드에 상기 제1 방식과 다른 제2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1 화면정보와 다른 제2 화면정보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드에 터치가 가해진 후 해제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는 복수의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드에 터치가 가해진 터치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그래픽 객체 각각에 연계된 복수의 지점들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상기 복수의 그래픽 객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지점 중 터치가 가해지는 지점에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다른 그래픽 객체와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가 해제되면, 상기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기능에 대응하는 실행화면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지문인식센서가 중첩된 홈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지문인식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홈 버튼에 접촉한 손가락의 지문에 대한 지문 인식이 성공하면, 결제와 관련된 제1 이미지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패드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출력된 제1 이미지를 결제와 관련된 제2 이미지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접힌 본체가 펴지면, 결제와 관련된 화면정보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접힌 상태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제1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제1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터치패드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1 모드와 다른 제2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평평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패드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1 화면정보를 상기 제1 화면정보와 다른 제2 화면정보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평평한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터치패드에 일정 시간동안 함께 터치 유지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화면정보를 캡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평평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인 상태에서, 상기 후면에 구비된 터치패드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평평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활성화인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며,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터치 패드에 터치가 인가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평평한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드에 가해지는 드래그 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출력밝기 및 볼륨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평평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프리뷰 영상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출력중인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드에 가해지는 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프리뷰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평평하고 제1 화면정보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출력중인 상태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후 상기 터치 패드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1 화면정보 및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제2 화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화면정보 및 상기 제2 화면정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히는 단계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에서,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 패드에 가해지는 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는, 상기 터치패드에 가해지는 터치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화면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체가 접히는 경우 또는 펴진 경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최적화된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a, 도 3b, 도 3c,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 도 8b, 도 8c, 도 9a, 도 9b, 도 10, 도 11a, 도 11b, 도 11c 및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혀진 상태에서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을 제어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3, 도 14, 도 15, 도 16, 도 17,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평평한 상태에서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광전 센서, 미러반사형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가능한 이동 단말기(100)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전자 종이(e-paper) 및 그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도1a 내지 도 1c의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또한, 전자 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電氣泳動, 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1 상태라 한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평면이 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2 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1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가 아닌,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상하 또는 좌우로 휘어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평평한 상태(혹은 보다 덜 휘어진 상태) 또는 보다 많이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 도 1a 참조)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1 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상태에서도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140, 도 1a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감지수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케이스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수용하는 케이스(20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를 구현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을 위로 쌓은 스택앤폴딩(stack and fold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상태 변형은 외력에 의한 것으로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제 1 상태를 가지고 있을 때, 사용자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에 의해서, 제 2 상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로 명명하기로 한다.
도 3a, 도 3b, 도 3c,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외력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휘어지거나, 구부러지거나, 접히거나, 비틀리거나, 말리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중 어느 하나의 표현을 사용하기로 하며, 해당 표현이 들어간 내용은 나머지 표현에 대하여도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도 3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상선(l)을 기준으로 접힐 수 있다. 상기 가상선(l)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제조될 당시에 특정 위치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히는 가상선은 가변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상선(l)은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개일 수도 있다. 상기 가상선(l)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복수번 접히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상선(l)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어느 한 가장자리(예를 들어, 하단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수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특정 각도를 갖도록 비틀어져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상선(l)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가로 방향으로 접히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세로 방향으로 접히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도 3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어느 일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도 3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상선(l)을 기준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부분(151a)과 나머지 일부분(151b)이 특정 각도(θ)를 형성하도록 접힐 수 있다. 상기 특정 각도(θ)는, 일 예로, 전방위(0도~360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특정 각도(θ)가 360도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평평하게 펴진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각도(θ)가 0도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부분(151a) 및 제2 부분(151b)이 서로 맞닿도록 접혀진 상태일 수 있다.
다른 말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제1 부분(151a)을 기준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제2 부분(151b)(즉, 제1 부분(151a)과 인접한 제2 부분)이 상기 외력이 가해진 방향으로 상대회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도 3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일 영역(A)(또는, 벤딩(bending)영역 또는 폴딩(folding)영역)이 구부러질 수 있다(또는 휘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외력에 의해 상기 일 영역(A)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특정 곡률반경을 형성하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제1 부분(151a) 중 일부분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제2 부분(151b) 중 일부분은 구부러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제1 부분(151a)과 제2 부분(151b)사이의 각도(θ)는, 상기 제1 부분(151a)의 평평한 부분에서 연장된 가상선과 상기 제2 부분(151b)의 평평한 부분에서 연장된 가상선 사이의 각도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상대회전은,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A)이 구부러지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구부러지는 일 영역(A)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제조될 당시에 특정 위치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구부러지는 일 영역(A)은 가변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일 영역(A)은,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개일 수도 있다. 상기 일 영역(A)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복수의 구간에서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 영역(A)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어느 한 가장자리(예를 들어, 하단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수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특정 각도를 갖도록 비틀어져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일 영역(A)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가로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세로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구부러지는 일 영역(A)의 크기는, 일정할 수도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구부러지는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 영역(A)의 크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구부러지는 정도가 클수록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제1 부분(151a)을 기준으로 제2 부분(151b)이 상대회전되는 정도가 클수록, 또는 상기 제1 부분(151a) 및 상기 제2 부분(151b) 사이의 각도가 작아질수록) 커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상선을 기준으로 접히는 것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에 대한 내용은, 도 3b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일 영역(A)이 구부러지는 경우에도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부분(151a)과 상기 제1 부분과 인접한 제2 부분(151b)이 기 설정된 각도를 형성하도록 접혀질 수 있다(또는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각도는,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하나(또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외력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부분(151a) 및 제2 부분(151b) 사이의 사이 각도가 제1 각도(θ1)를 갖도록 접혀진 상태로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제1 각도와 다른 제2 각도(θ2)를 갖도록 접혀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상기 제1 및 제2 부분(151a, 151b) 사이의 각도가 외력에 의해 상기 기 설정된 각도 이외의 각도를 갖도록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외력이 가해지지 않게되면, 상기 기 설정된 각도 중 어느 하나의 각도를 갖도록 상기 제1 및 제2 부분(151a, 151b) 중 어느 하나가 상대회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과 관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 설정된 각도(또는 특정 각도)에서 접혀짐이 유지되도록 탄성력(또는 텐션(tension), 복원력 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부분(151a) 및 제2 부분(151b) 사이의 각도가 제2 각도(θ2)를 갖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각도가 변경되되 제1 각도(θ1) 또는 제3 각도(θ3)에 도달하기 전에 외력이 중단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의 제1 부분(151a) 및 제2 부분(151b)는 사이 각도가 상기 제2 각도(θ2)가 되도록 복원될 수 있다(또는 되돌아올 수 있다). 이 경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적어도 하나의(또는, 복수의) 기 설정된 각도에서 접히는 것이 가능한 경우라고 이해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외력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부분(151a) 및 제2 부분(151b) 사이의 각도가 임의의 각도를 갖도록 접힌 상태에서 상기 외력이 중단되면, 상기 임의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기 설정된 각도에서만 고정되도록 하는 경우가 아닌, 모든 각도에서 고정이 가능한 경우라고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도 3a 내지 도 3c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접히거나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구조에 대한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일 실시 예로,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와 전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 그리고 디스플레이(151)의 변형을 감지하는 센싱부(도 1a 참조, 140, 또는 변형감지수단)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벤딩 또는 폴딩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폴딩(folding)은 이동 단말기의 바디에서 일부분의 곡률 반경이 기준값보다 작게 유지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쉽게 말해 접혀진 상태에 해당한다. 폴딩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은 서로 맞대어 접촉되거나 근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이와 달리, 벤딩(bending)은 이동 단말기의 바디에서 일부분의 곡률 반경이 상기 기준값보다 크게 유지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쉽게 말해 구부러진 상태에 해당한다.
또한, 폴딩과 벤딩은 구부러지는 정도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부분 및 제2부분 사이의 각도가 소정의 각도보다 작은 각도를 갖도록 구부러지면 폴딩으로 정의하고, 상기 소정의 각도와 같거나 상기 소정의 각도보다 큰 각도를 갖도록 구부러지면 벤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각도보다 작은 각도를 갖도록 구부러진 경우라도 곡률 반경이 상기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벤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도 4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일의 평면을 형성하는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가 형상이 변경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형상이 변경된 상태는, 도 4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폴딩되어 접힌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특정영역이 평면인 제1상태(도 4a의 (a) 참조)와 상기 특정영역이 곡면으로 접힌 제2상태(도 4a의 (b) 참조)에 각각 놓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연결부(1030)는 곡선궤적을 따라 폴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곡선궤적은 원의 원주상의 일부분이 되거나, 타원의 원주상의 일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030)는, 제1 바디부(1010)와 제2 바디부(1020)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제1 바디부(1010)와 제2 바디부(1020)가 어느 각도를 이루면서 구부러지거나 접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10)와 연결부(1030)의 전면에 구비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는 상기 연결부(1030)가 구부러지는 것에 근거하여 구부러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1030)는, 도 3c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제1 부분(151a) 및 제2 부분(151b) 사이의 각도가 적어도 하나의 기 설정된 각도(또는 모든 각도)를 갖는 것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기 설정된 각도(또는 모든 각도)에서 구부러진 채로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는 복수의 폴딩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복수의 연결부(10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동 단말기의 바디의 좌측 단 및 우측 단은 각각 접혀서 듀얼 폴더블 디스플레이(dual foldable display)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에는, 도 4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구부러지는 경우(또는 접히는 경우), 구부러지는 영역(A)(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 벤딩 영역, 폴딩 영역)이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1 바디부(1012), 제2 바디부(1022)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 사이에 공간(10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050)는 제1 바디부(1012)와 제2 바디부(1022)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구부러지는 부분(A)이 위치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도 4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력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구부러지는 경우(또는 접히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구부러진 부분(A)은 상기 공간(1040)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제1 및 제2 바디부(1012, 1022)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평평한 상태가 되도록 제1 바디부(1012)와 제2 바디부(1022)를 일직선으로 유지(고정)시키는 자석(1032a, 1032b)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12, 1022)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1 바디부(1012)와 제2 바디부(1022)를 인접한 거리에서 포개지도록 고정하는 자석(1034a, 1034b)이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힌지(10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1060)는, 연결부, 고정부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는 상기 힌지(1060)를 기준으로 상대회전될 수 있다.
상기 힌지(1060)는 걸림돌기 및 걸림홈이 구비되여,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 사이의 각도가 적어도 하나의 기 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상기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1060)는, 적어도 두 개의 기어, 또는 탄성 스프링이 구비되어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가 상호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는, 변경감지수단(예를 들어, 회전센서, 홀 센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경감지수단은, 연결부(또는 힌지) 자체일 수도 있고, 별도의 센서일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변경감지수단을 이용하여,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 사이의 각도(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부분(151a) 및 제2 부분(151b) 사이의 각도,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구부러지거나 접혀진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를 구부러트리거나 접히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적어도 두 개의 부분 사이의 각도가 어느 각도를 갖도록(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구부러지는 영역이 어느 곡률반경을 갖도록) 고정(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구부러지거나 접혀지는 정도는 외력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적인 제어를 통해 이동 단말기 자체적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로 한다. 본체는, 위에서 설명한 바디를 의미하며, 제1 바디부, 제2 바디부 및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적어도 일부가 접히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이동 단말기의 도면부호와 동일한 100을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본체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본체가 접힌 상태에서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본체의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바디부의 전면에 구비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151a)과 제2 바디부의 전면에 구비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151b)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151a)의 크기는, 도 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151b)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에는, 도 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제1 영역(또는 부분)(151a) 및 제2 부분(151b)이 서로 비대칭이 되도록(또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벤딩 영역(A)(또는 가상선(l))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력에 의해 이동 단말기의 본체가 접히면(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접히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2 부분(151b)이 제1 부분(151a) 중 적어도 일부에 맞닿도록 접히면), 도 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일부분(151a’)(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부분(151a)의 일부분(151a’))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외력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또는 본체)가 가상선(l) 또는 벤딩 영역(A)을 기준으로 접히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동 단말기의 본체가 접히거나 펴진다는 표현을 사용하기로 한다. 다만, 본체가 접히거나 펴진다는 의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히거나 펴진다는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혀질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이 노출되어 접혀지는 경우 또는 외력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혀지는 경우 등에 유추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상선(l)(또는 벤딩영역(A))은 이동 단말기가 제조될 당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접힐 수 있게 위치가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위치가 결정(또는 가변)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본체 후면에는, 터치패드(touchpad)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드는, 도 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가 접힌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과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본체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부가 제1 바디부보다 작게 형성된 경우, 상기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가 맞닿도록 접혀지면, 제1 바디부의 전면에 구비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패드(500)는, 제2 바디부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과 터치패드(500)는,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하게 된다.
다른 말로, 본체의 상단부(또는 제1 바디부)의 크기가 본체의 하단부(또는 제2 바디부)의 크기보다 큰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중 상기 상단부에 위치한 일부분은 본체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 적어도 일부가 맞닿도록 접혀진 경우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본체의 하단부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체가 접혀지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은 외부로 노출되게 되고,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 패드는 상기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과 같은 방향을 향하게 된다.
터치패드(500)는, 터치입력을 센싱(또는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터치패드는, 다양한 종류의 터치 입력만을 센싱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것과 더불어 어느 화면정보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또는 터치 스크린)일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터치 패드(500)는, 도 1a에서 설명한 터치 센서(touch sensor)(또는 터치 패널)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패드(500)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터치 패드(500)는 상기 터치 센서(또는 터치 패널) 자체일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패드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패드(500)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패드(500)(또는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패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본체가 접혀진 경우(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과 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일부분과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 기능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터치패드를 이용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610). 구체적으로, 외력에 의해, 또는 사용자에 의해, 본체(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맞닿거나 근접하도록 접혀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혀진다는 것은, 본체가 접혀진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혀진다는 것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또는 부분)(151b)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또는 부분)(151a)의 적어도 일부에 맞닿거나 근접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영역(A)(또는 가상선(l))이 접히거나 구부러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151a)과 제2 영역(151b)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힘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151a) 중 제2 영역(151b)에 맞닿거나 근접하지 않은 일부분,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은, 도 7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외력에 의해 본체가 접혀지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에서(또는 본체가 접힌 상태에서),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 패드에 가해지는 터치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을 제어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620).
상기 터치 패드(500)는, 도 7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가 접혀지면,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과 같은 방향을 향하게 되도록 본체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외력에 의해 본체가 평평한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되면,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특정 화면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화면정보는, 시간정보, 배터리 잔량 정보, 이동 통신 상태정보, 애플리케이션의 알림정보가 있음을 알리는 인디케이터 등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바(status bar)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인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본체가 접혀지면,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활설화 상태로 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은, 일 예로, 상기 상태바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비활성화 상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오프(off)된 상태일 수 있고, 활성화 상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중 적어도 일부가 온(on)된 상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인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접혀지더라도, 상기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본체가 접힌 상태에서,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 패드, 즉, 본체가 접힌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과 같은 방향을 놓이도록 본체의 후면에 배치된 터치 패드(500)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에 연계된 화면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에 연계된 화면정보는, 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a’)의 일부분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는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양한 방식의 터치에는,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더블 터치(double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포스(Force) 터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다양한 방식의 터치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는 터치 패드(500)에 터치 대상체(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등)가 접촉된 후(터치가 가해진 후) 일정시간 이내에 해제되는 터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는 마우스의 싱글 클릭과 같이, 짧은 시간 동안 터치 대상체가 상기 터치 패드(500)에 접촉되는 터치일 수 있다.
롱 터치(long touch)는 터치 패드(500)에 터치 대상체가 접촉된 후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터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롱 터치는, 터치 대상체에 의해 터치 패드(500)에 터치가 가해진 후 상기 터치가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터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롱 터치는, 상기 터치가 터치 패드(500) 상의 일 지점에서 일정시간 이상 유지된 후 해제되는 터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롱 터치는 상기 터치 패드(500) 상에 일정시간 이상 터치 대상체의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터치 앤 홀드(touch and hold) 동작에 대응되는 터치로 이해될 수도 있다.
더블 터치(double touch)는, 터치 패드(500) 상에 상기 숏 터치가 일정 시간 이내에 연속적으로 적어도 두 번 가해지는 터치일 수 있다.
상기 숏 터치, 롱 터치 및 더블 터치에서 설명한 일정시간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멀티 터치(multi touch)는 터치 패드(500) 상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점에 적어도 두 개의 접촉지점에 인가되는 터치일 수 있다.
드래그 터치(drag touch)는 상기 터치 패드(500)의 제1 지점에서 시작되는 접촉이 상기 터치 패드(500) 상에서 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인가되다가 상기 제1 지점과 다른 제2 지점에서 그 접촉이 해제되는 터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래그 터치는, 터치 대상체에 의해 터치 패드(500)의 일 지점에 가해진 터치가 상기 터치 패드(500) 상에서 유지된 상태로 연속하여 연장된 후 상기 일 지점과 다른 지점에서 해제되는 터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래그 터치는 터치 패드(500)의 일 지점에 터치가 가해진 후 상기 터치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터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플리크 터치(flick touch)는 일정시간 이내에 상기 드래그 터치가 가해지는 터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리크 터치는 일정시간 안에 상기 드래그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패드(500)로부터 해제되는 터치일 수 있다. 다른 말로, 상기 플리크 터치는 기 설정된 속도 이상의 속도로 가해지는 드래그 터치로 이해될 수 있다.
스와이프(swype) 터치는 일직선으로 가해지는 드래그 터치일 수 있다.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는 터치 패드(500) 상에 서로 다른 두 지점(이격된 두 지점)에 가해진 제1 및 제2 터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터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핀치-인 터치는, 터치 패드(500) 상에 이격된 두 지점 각각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손가락 각각의 간격을 좁히는 동작에 의해 구현되는 터치일 수 있다.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는 터치 패드(500) 상에 서로 다른 두 지점(이격된 두 지점)에 가해진 제1 및 제2 터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터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핀치-아웃 터치는, 터치 패드(500) 상에 이격된 두 지점 각각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손가락 각각을 벌리는(멀어지게 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터치일 수 있다.
호버링(hovering) 터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패드(500)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으로부터 떨어진 공간에서의 터치 대상체의 동작에 대응하는 터치로, 일 예로, 도 1a에서 설명한 근접 터치(proximity touch)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호버링 터치는, 상기 터치 대상체가 터치 패드(500)에 이격된 일 지점에서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동작에 대응하는 터치일 수 있다.
포스 터치(Force touch)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패드(500)를 일정 압력(또는 기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가압하는 터치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스 터치는, 터치 패드(500)를 터치 대상체가 상기 일정 압력 이상으로 가압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터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일정 압력은, 사용자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터치 패드(500) (또는, 상기 압력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터치 센서)의 특성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500)는 전압 변화, 전류 변화, 압력 센서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 등을 이용하여 터치 대상체가 터치 패드(500)를 가압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 기능별로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방식의 터치 중 어느 하나의 터치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각 기능들은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방식의 터치들을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7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전체영역 중 본체가 접혀진 상태(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혀진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영역인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는 상기 터치 패드(500)에 가해지는 터치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화면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터치 패드(500)에 제1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1 방식의 터치에 연계된 제1 화면정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패드(500)에 상기 제1 방식과 다른 제2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1 화면정보와 다른 제2 화면정보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터치 패드(500)에 제1 방향(예를 들어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또는 플리크 터치)가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도 7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화면정보(700a)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방향으로 가해지는 드래그 터치에는, 제1 화면정보가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7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터치 패드(500)에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예를 들어,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또는 플리크 터치)가 가해지면, 도 7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화면정보와 다른 제2 화면정보(700b)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방향으로 가해지는 드래그 터치에는, 제2 화면정보가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화면정보 및 제2 화면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또는, 이미지, 아이콘, 버튼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화면정보 및 제2 화면정보는, 그래픽 객체 자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화면정보(700a)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또는 이동 단말기 제조시부터 기 설정된 ‘바로가기’ 아이콘일 수 있다. 상기 제1 화면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 또는 터치 패드(500)에 가해지는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에 의해 변경되거나,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2 화면정보(700b)는,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는, 통화(또는 SMS, MMS) 횟수, 최근에 통화를 수행한 연락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연락처 등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일 수 있다. 상기 제2 화면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 또는 터치 패드(500)에 가해지는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에 의해 변경되거나,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화면정보는,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일 수도 있다.
위에서는, 제1 방식의 터치가 제1 방향으로 가해지는 드래그 터치이고, 제2 방식의 터치가 제2 방향으로 가해지는 드래그 터치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앞서 설명한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터치 패드(500)에 롱 터치가 가해지면, 제1 화면정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출력하고, 멀티 터치가 가해지면 제2 화면정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터치 패드(500)에 가해지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지만, 이와 관련된 내용은, 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는 경우에도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본체가 접혀지고 제1 및 제2 화면정보 중 어느 하나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출력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출력된 아이콘(또는 그래픽 객체)에 터치가 가해지면, 터치가 가해진 아이콘(또는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터치 패드(500)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출력된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 패드(500)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출력된 그래픽 객체를 선택(실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 도 8b, 도 8c, 도 9a, 도 9b, 도 10, 도 11a, 도 11b, 도 11c 및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혀진 상태에서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을 제어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우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는, 도 8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800a, 800b, 800c)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들은, 도 7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출력될 수도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평평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접혀진 상태로 되는 것에 근거하여 출력될 수도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터치패드(500)에 터치가 가해진 후 해제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를 실행(또는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는, 도 8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그래픽 객체(800a, 800b, 800c)가 출력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패드(500)에 터치가 가해진 지점(a1)을 기준으로 복수의 그래픽 객체 각각에 연계된 복수의 지점(a1, a2, a3, a4, a5)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점의 개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출력된 복수의 그래픽 객체의 개수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지점 사이의 간격(d)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그래픽 객체 각각에 연계된 복수의 지점은, 복수의 그래픽 객체별로 각각 선택(또는 포커싱(focusing))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지점들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점(a1)은, 복수의 그래픽 객체 중 제1 그래픽 객체(800a)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연계된 지점이고, 제2 지점(a2)은 복수의 그래픽 객체 중 제2 그래픽 객체(800b)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연계된 지점일 수 있다.
복수의 지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출력된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의 순서에 순차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복수의 그래픽 객체가 출력된 상태에서, 복수의 지점 중 터치가 가해지는 지점에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다른 그래픽 객체와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복수의 지점 중 터치가 가해진 지점(a1)에 연계된 그래픽 객체(800a)를 다른 그래픽 객체와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한다는 것은, 그래픽 객체를 확대하여 표시하거나, 특정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여 표시한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의 (b) 및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 패드(500)의 어느 일 지점(예를 들어 제1 지점(a1))에 가해진 터치에 연속하여 가해지는 터치(예를 들어, 드래그 터치)가 다른 지점(예를 들어, 제3 지점(a3))으로 이동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다른 지점(예를 들어 제3 지점(a3))에 연계된 그래픽 객체(800c)를 다른 그래픽 객체와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가 해제되면, 상기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기능에 대응하는 실행화면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지점(a3)에 가해지던 터치가 해제되면, 제어부(180)는,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즉 제3 지점(a3)에 연계된 그래픽 객체(800c))를 실행(또는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8a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터치가 해제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800c))에 연계된 기능에 대응하는 실행화면(810c)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도 8a의 (a) 내지 (d)에 도시된 터치는, 터치 패널(500)상에 가해지는 한번의 터치 동작(또는 연속하는 터치 동작)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도 8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 패드(500)에 터치가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도 8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터치가 가해진 지점을 기준으로 복수의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복수의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가 가해진 지점에 연계된 그래픽 객체(800a)를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8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터치에 연속하여 드래그 터치가 가해지면(즉, 도 8a의 (a)에서 가해진 터치가 해제되지 않고 연속하여 드래그 터치가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드래그 터치가 가해지는 지점(또는, 상기 드래그 터치가 위치한 지점)에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터치가 해제되면,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기능의 실행화면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본체가 접힌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출력된 그래픽 객체를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게 선택하고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새로운 제어방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복수의 지점은, 터치 패드에 처음 터치가 가해지는 지점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터치 패드 상에 처음 터치가 가해지는 지점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상기 복수의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복수의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 패드(500)의 일 지점(820a)에 터치가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상기 일 지점(820a)을 기준으로 복수의 그래픽 객체(800a, 800b, 800c, 800d, 800e)에 연계된 복수의 지점(b1, b2, b3, b4, b5)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8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른 지점(820b)에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다른 지점(820b)을 기준으로 복수의 그래픽 객체(800a, 800b, 800c, 800d, 800e)에 연계된 복수의 지점(c1, c2, c3, c4, c5)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패드(500) 상이 처음 터치가 가해지는 영역에 따라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드(500)가 좌영역 및 우영역으로 구획된다고 가정하면, 도 8b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패드(500)에 처음 터치가 가해지는 지점이 좌영역인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의 그래픽 객체 중 가장 왼쪽에 출력된 그래픽 객체(800a)를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8b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패드(500)에 처음 터치가 가해지는 지점이 우영역인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의 그래픽 객체 중 가장 오른쪽에 출력된 그래픽 객체(800e)를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가 우영역에 가해지는 경우, 터치가 가해진 지점(d5)을 기준으로 역 순차적으로 복수의 그래픽 객체(800e, 800d, 800c, 800b, 800a)에 연계된 복수의 지점(d5, d4, d3, d2, d1)을 설정할 수 있다.
도 8c는 터치 패드 상에서 터치가 해제되는 경우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기능에 대응하는 실행화면, 즉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기능의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c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가 접히고 복수의 그래픽 객체가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출력된 상태에서, 터치가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도 8c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된 지점에 연계된 그래픽 객체(800a)를 다른 그래픽 객체와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터치에 연속하여 드래그 터치가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도 8c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드래그 터치가 가해진 지점에 연계된 그래픽 객체(800b)를 다른 그래픽 객체와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드래그 터치가 해제되면, 제어부(180)는, 도 8c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된 그래픽 객체(800b)를 변형(예를 들어 확장)(802b)시킬 수 있다.여기서, 상기 도 8c의 (c)에 도시된 확장된 그래픽 객체(802b)는 애니메이션 효과의 일 예로 이해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도 8c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표시된 그래픽 객체(800b)에 연계된 기능의 실행화면(810b)을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출력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에서 설명한 내용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특정 기능의 실행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도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에는 음악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본체가 접힌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출력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음악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900)에는, 다양한 그래픽 객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행화면(900)에는, 컨텐츠(예를 들어, 음악 데이터)를 재생/정지시키는 기능이 연계된 그래픽 객체(910a), 다음/이전 컨텐츠를 재생(선택)하는 기능이 연계된 그래픽 객체(910b), 볼륨 조절 기능이 연계된 그래픽 객체(910c) 및 현재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컨텐츠 제목, 아티스트명, 앨범명 등)(920a)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본체가 접히고 상기 실행화면(900)이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출력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도 9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일부분과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본체의 후면에 배치된 터치 패드(500)에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실행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910a)를 나머지 그래픽 객체와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터치에 연속하여 드래그 터치가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도 9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910a)와 다른 그래픽 객체(910b)를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드래그 터치가 해제되면, 제어부(180)는, 도 9a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된 다른 그래픽 객체(910b)에 연계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래픽 객체(910b)에 연계된 기능이 다음 컨텐츠를 재생(선택)하는 기능인 경우, 제어부(180)는, 도 9a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음 컨텐츠(920b)를 재생(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 9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 패드(500) 상에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연속하여 드래그 터치가 가해진 후 상기 드래그 터치가 해제될 때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가 볼륨 조절 기능이 연계된 그래픽 객체(910c)인 경우, 제어부(180)는, 도 9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볼륨 조절 기능의 실행화면(930)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출력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드(500)에 새로운 드래그 터치가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상기 새로운 드래그 터치에 종속하여,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80)는, 상기 볼륨 조절 기능의 실행화면(930)에 표시된 인디케이터(932)를 상기 새로운 드래그 터치에 종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새로운 드래그 터치가 터치 패드(500) 상에서 해제되면, 제어부(180)는, 도 9b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볼륨을 조절하고, 상기 볼륨 조절 기능의 실행화면(930)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는, 음악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다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볼륨 조절 기능의 실행화면(930)은 상기 새로운 드래그 터치가 터치 패드(500) 상에서 해제되는 것에 근거하여 사라질 수도 있고, 또 다른 새로운 터치가 상기 터치 패드(500) 상에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사라질 수도 있고, 일정 시간동안 터치 패드(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가해지지 않는 것에 근거하여 사라질 수도 있다.
도 10에는 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호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통화를 연결하거나 호신호의 수신을 종료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는 어느 화면정보(1000)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어느 화면정보는, 일 예로, 상태바, 홈 스크린 페이지 또는 잠금화면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은 비활성화 상태일 수도 있다.
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무선 통신부를 통해 호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도 10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호신호가 수신중임을 알리는 화면정보(1010)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화면정보(1010)가 출력중인 상태에서, 상기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과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터치 패드(500)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에 연계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도 10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화면정보(1010)가 출력중인 상태에서 제1 방향(예를 들어, 우측방향)으로 드래그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호신호에 대응하는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과 관련된 마이크로폰은, 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보다 용이하게 수신하기 위하여, 본체의 후면 중 상기 본체가 접혀지는 부분(예를 들어, 가상선 또는 벤딩 영역), 또는 그 주변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상기 화면정보(1010)가 출력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예를 들어, 좌측방향)으로 드래그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호신호의 수신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드(500) 상에 일 방향(예를 들어, 제2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가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도 10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된 통화를 종료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과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의 실행화면을 손쉽게 제어하고, 보다 편리하게 통화를 연결하거나 종료하는 것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결제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본체의 후면에는, 홈 버튼(160), 제2 사용자 입력부(123b) 및 카메라(121)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홈 버튼(160), 제2 사용자 입력부(123b) 및 카메라(121)는, 일 예로, 본체의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 중 더 큰 크기를 갖는 제1 바디부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홈 버튼(160)에는 지문인식센서가 중첩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홈 버튼(160)과 지문인식센서는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홈 버튼에 압력을 가하는, 또는 접촉한 손가락의 지문에 대한 지문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방법은 자명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체가 접힌 상태에서 결제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도 11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는 결제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1100a)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결제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1100a)은 일 예로, 사용자 인증이 필요함을 알리는 화면정보일 수 있다.
상기 실행화면(1100a)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출력된 상태에서, 도 11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이용하여 홈 버튼(160)에 접촉한 손가락에 형성된 지문에 대한 지문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도 11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지문인식센서를 이용하여 홈 버튼에 접촉한 손가락의 지문에 대한 지문 인식이 성공하면, 도 11b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제와 관련된 이미지(1100b)(예를 들어, 결제와 관련된 제1 이미지)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결제와 관련된 이미지는, 일 예로, 바코드 이미지, QR코드 이미지, 결제수단과 관련된 이미지(예를 들어, 카드 이미지) 등일 수 있다. 상기 결제와 관련된 이미지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사전에 등록된 결제와 관련된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결제와 관련된 제1 이미지는, 일 예로, 상기 사전에 등록된 결제와 관련된 이미지 중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결제와 관련된 이미지(1100b)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출력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접힌 본체가 펴지면(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펴지면), 제어부(180)는, 도 11b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제와 관련된 화면정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 전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힌 본체가 펴진다는 것은, 본체가 평평한 상태로 펴지는 것 및 본체가 기 설정된 곡률반경보다 큰 곡률반경을 갖게 구부러지도록 펴지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결제와 관련된 화면정보(1100c)는, 결제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중 지문 인식이 성공한 경우 출력되도록 설정된 실행화면일 수 있다. 상기 결제와 관련된 화면정보에는, 기 등록된 결제수단과 관련된 정보(또는 이미지), 결제와 관련된 이미지 및 결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홈 버튼에 가해지는 한번의 제어명령(터치, 접촉 또는 가압) 이용하여 결제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지문인식을 수행하는 두 가지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c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가 접혀져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이 비활성화인 상태(또는 상태바가 표시된 상태)에서, 홈 버튼이 가압(터치, 접촉)되면, 제어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홈 버튼을 가압한 손가락이 해제되지 않고 일정시간 접촉(또는 가압)이 유지되면,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홈 버튼(160)에 접촉된 손가락에 형성된 지문에 대한 지문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정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거나, 지문인식을 수행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포함된 시간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지문 인식이 성공하면, 제어부(180)는, 도 11c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활성화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결제와 관련된 제1 이미지(1104)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홈 버튼을 가압한 손가락이 홈버튼에서 해제되지 않고 일정시간 유지되는 경우, 한번의 제어명령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을 활성화 하고, 지문 인식을 수행하며, 지문 인식이 성공하는 경우 결제와 관련된 이미지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출력하는 적어도 세 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결제와 관련된 제1 이미지(1104)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출력된 상태에서,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 패드(500)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예를 들어, 드래그 터치)가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상기 출력된 제1 이미지(1104)를 결제와 관련된 제2 이미지(1102 또는 1106)로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제와 관련된 제2 이미지의 종류는, 드래그 터치가 가해지는 방향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와 관련된 제1 이미지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출력된 상태에서, 터치 패드(500)에 제1 방향(예를 들어 우측방향)으로 드래그 터치가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는 결제와 관련된 제2 이미지(1102)가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결제와 관련된 제1 이미지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출력된 상태에서, 터치 패드(500)에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예를 들어,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가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는 결제와 관련된 제2 이미지(1106)가 출력될 수 있다.
결제와 관련된 이미지가 바코드 이미지 또는 QR코드 이미지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리더기를 상기 결제와 관련된 이미지에 근접시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와 관련된 이미지가, 결제수단(예를 들어, 카드, 신용카드 등)과 관련된 이미지인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결제수단과 관련된 정보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80)는, 상기 결제와 관련된 이미지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출력된 상태에서, 홈 버튼을 통해 추가적인 지문인식이 성공하면,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상기 결제수단 정보에는, 카드(card)와 관련된 정보(카드 정보), 이동 단말기(100)와 관련된 정보(이동 단말기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드와 관련된 정보(카드 정보)는 카드 번호, 유효기간, CVC번호,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이름,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와 관련된 정보(이동 단말기 정보)에는,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이름,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와 근접한(또는, 이동 단말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영역 내에 위치한) POS(Point- of-sale)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POS 단말기는, 상기 결제수단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 및 마그네틱 보안전송(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ST)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송출(또는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NFC기술 및 마그네틱 보안전송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ST) 기술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되어, NFC 방식 및/또는 MST 방식으로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POS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기술은, 마그네틱이 구비된 카드(예를 들어, 마그네틱 카드, 마그네틱 신용카드)를 마그네틱 리더부가 구비된 POS 단말기(예를 들어, 마그네틱 결제 단말기)에 접속(또는, 접촉, swipe)시킬 때 발생되는 자기장과 동일한 자기장을 이동 단말기(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 근거리 통신모듈(114))에서 발생시켜 무선으로 결제수단 정보(예를 들어, 카드와 관련된 정보)를 POS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NFC 방식은 POS 단말기에 NFC 모듈(또는 NFC 칩)이 구비된 경우에 결제수단 정보를 무선으로 상기 POS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사용 가능하다. 반면, MST 방식은 POS 단말기(200)에 마그네틱 리더부가 존재하면, 별도의 NFC 모듈이 구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결제수단 정보를 무선으로 POS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적용 가능한 MST 기술(또는 MST 방식)은, 무선 통신부(110), 근거리 통신모듈(114)에서 구현(적용)될 수도 있고, MST기술이 적용된 별도의 MST 모듈(예를 들어, 루프 안테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근거리 통신모듈(114)에 MST 기술이 구현 가능한 것을 예로 설명한다).
한편, 위에서는 홈 버튼에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된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문인식센서는 터치패드(50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터치패드 중 적어도 일부에 중첩하여 형성된 지문인식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패드에 접촉한 손가락의 지문에 대한 지문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에서 설명한 모든 내용은, 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터치 패드(500)에 제어명령(터치, 접촉, 가압)되는 경우에도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홈 버튼 또는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결제 기능을 최적화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본체가 접힌 상태에서 외부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과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본체가 접힌 상태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또는 경과하면), 제1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는, 일 예로, 대기 모드, 절전 모드 또는 슬립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이 오프되는 비활성화 모드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일 예로,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시간 정보 등과 같이 전력 소모가 적은 최소한의 정보(1200a)만이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모드인 상태에서, 터치 패드(500)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도 12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모드와 다른 제2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는, 일 예로, 활성화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에 진입하면,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어느 화면정보(1200b)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어느 화면정보(1200b)는, 잠금화면, 홈 스크린 페이지, 제1 모드로 진입하기 전에 실행중이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방식의 터치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패드(500)에 숏 터치, 롱 터치, 또는 일정 시간 이내에 적어도 두 번의 터치가 가해지는 더블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제1 모드와 다른 제2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일정 압력 이상으로 가해지는 포스 터치가 터치 패드(500)에 가해지면, 카메라(121)를 활성화하고, 카메라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포스 터치가 터치 패드(500)에 가해지면, 카메라를 활성화 하고, 활성화된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프리뷰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프리뷰 영상은 상기 포스 터치에 근거하여 바로 촬영될 수도 있고, 타이머 기능을 통해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것에 근거하여 촬영될 수도 있다. 이 때, 제어부(180)는, 상기 포스 터치가 가해진 압력에 따라, 상기 일정 시간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제1 압력으로 포스 터치가 터치 패드에 가해지면, 제1 시간이 경과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프리뷰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압력과 다른 제2 압력으로 포스 터치가 터치 패드에 가해지면, 상기 제1 시간과 다른 제2 시간이 경과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프리뷰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상기 포스 터치가 터치 패드(500)에 가해지면, 카메라(121)를 활성화하고,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프리뷰 영상을 상기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에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패드(50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151a’) 또는 상기 프리뷰 영상에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프리뷰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을 보다 손쉽게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거나, 간편한 방법으로 카메라 모드에 진입하여 영상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본체가 접힌 상태인 경우뿐만 아니라 본체가 평평한 상태에서도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체가 평평한 상태에서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다양한 기능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 도 14, 도 15, 도 16, 도 17,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평평한 상태에서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체(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무한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평평하게 펴진 상태일 뿐만 아니라, 기 설정된 곡률반경보다 큰 곡률반경을 갖도록 본체(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구부러진 상태에서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체가 평평한 상태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체가 기 설정된 곡률반경보다 큰 곡률반경을 갖도록 본체가 구부러진 상태(폴딩 상태가 아닌, 벤딩 상태)에서도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가 평평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제1 화면정보(1300)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면정보는, 이동 단말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화면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홈 스크린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설정화면, 메뉴화면 등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본체가 평평한 상태에서,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패드(500)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된 제1 화면정보(1300)를 상기 제1 화면정보와 다른 제2 화면정보(1300)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는, 일 방향으로 가해지는 드래그 터치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화면정보(1300)가 출력된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1 화면정보와 다른 제2 화면정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제1 키패드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드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1 키패드를, 상기 제1 키패드와 다른 제2 키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키패드가 영문 키패드인 경우, 제2 키패드는 한글 키패드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본체가 평평한 상태에서(또는 어느정도 구부러진 상태에서)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화면전환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본체가 평평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와 터치 패드에 일정 시간동안 함께 터치가 유지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된 화면정보를 캡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어느 화면정보(1400)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상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과,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 패드(500) 상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 일정 시간동안 함께(또는 동시에) 터치들(T1, T2)이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상기 출력중인 어느 화면정보(1400)를 캡쳐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캡쳐된 어느 화면정보를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 상의 적어도 두 개의 지점과 터치 패드(500) 상의 적어도 두 개의 지점에서 터치들이 일정시간동안 함께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어느 화면정보(1400)를 캡쳐할 수도 있다(이 경우는 양 손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터치 패드를 집는 경우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과 터치 패드(500) 상에 터치가 가해지는 지점의 개수에 무관하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 상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가해지는 터치(T2)와 터치 패드(500) 상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가해지는 터치(T1)가 일정시간동안 함께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출력중인 화면정보를 캡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본체가 평평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인 상태에서, 상기 후면에 구비된 터치 패드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우선, 제어부(180)는, 도 1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평평한 상태에서,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홈 버튼(160)에 가압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도 1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반대로 잡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본체가 평평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비활성화인 상태에서, 상기 후면에 구비된 터치 패드(500)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은, 앞서 설명한 다양한 방식의 터치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적어도 두 번의 터치가 가해지는 더블 터치 또는 일정 압력 이상 압력을 가하는 포스 터치 일 수 있다.
이 때, 홈 버튼 및 터치 패드에 지문인식센서가 중첩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터치를 가한 손가락에 형성된 지문에 대한 지문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인식은,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진 후 일정시간동안 접촉이 유지되는 것에 근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지문 인식이 성공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지문 인식이 성공했을 경우 실행되도록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결제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본체가 평평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활성화인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80)는,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터치 패드(500)에 터치가 인가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어느 화면정보(1600)가 출력된 상태(또는 활성화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 및 터치 패드(500) 중 적어도 하나에 일정시간동안 터치가 인가되지 않으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어느 화면정보(1600)가 출력된 상태(또는 활성화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 및 터치 패드(500) 중 적어도 하나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 터치가 인가되면, 상기 어느 화면정보(1600)를 계속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출력시킬 수 있다(즉, 활성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본체가 평평한 상태에서, 터치 패드(500)에 가해지는 드래그 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출력밝기 및 볼륨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가 평평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영상(예를 들어, 동영상)이 출력중인 상태에서,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 패드(500)에 드래그 터치가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출력밝기 및 음향 출력부(152)의 볼륨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드(500) 상에서 제1 방향(예를 들어, 가로방향)으로 드래그 터치가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의 출력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드(500)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예를 들어, 세로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가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상기 음향 출력부(152)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영상을 시청하면, 출력중인 영상을 방해하지 않고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출력밝기 또는 볼륨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도 1a 내지 도 1c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가 평평하고 상기 카메라(121)를 통해 수신되는 프리뷰 영상(1800)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출력중인 상태에서,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 패드(500)에 가해지는 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프리뷰 영상(1800)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영상은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영상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본체가 평평하고 프리뷰 영상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터치가 가해지면, 동영상을 촬영하고, 터치 패드에 터치가 가해지면 정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본체가 평평하고 프리뷰 영상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된 상태에서, 제1 방식의 터치가 터치 패드(500)에 가해지면, 제1 촬영모드(일반 촬영)로 상기 프리뷰 영상을 촬영하고, 제2 방식의 터치가 터치 패드(500)에 가해지면 상기 제1 촬영 모드와 다른 제2 촬영 모드(예를 들어, 파노라마 모드)로 프리뷰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상기 제1 및 제2 방식의 터치 중 어느 하나의 터치가 가해지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어느 하나의 터치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 상에 가해진 경우에 실행되도록 설정된 촬영모드로 프리뷰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프리뷰 영상을 촬영할 수 있어, 프리뷰 영상이 출력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리지 않고 영상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를 잡은 손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도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화면정보를 중첩하여 상호 식별이 가능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는, 본체가 평평한 상태에서 제1 화면정보(1900a)가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이벤트(예를 들어, 알림정보 수신, 메시지 수신, 메신저 수신 등)가 발생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알림정보(1910)를 상기 제1 화면정보(1900a) 중 적어도 일부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알림정보(1910)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 화면정보(1900a)는 일 예로, 어느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벤트가 발생한 후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 패드(500)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1 화면정보(1900a) 및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제2 화면정보(1900b)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화면정보(1900a) 및 제2 화면정보(1900b)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 화면정보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방식의 터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일 방향으로 가해지는 드래그 터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알림정보(1910)가 출력된 상태에서 터치 패드의 일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제2 화면정보(또는 이벤트가 발생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1900b)을 기 출력중이던 제1 화면정보(1900a)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화면정보(1900a) 및 제2 화면정보(1900b)가 모두 식별이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 화면정보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화면정보의 투명도는, 터치 패드(500)에 가해지는 드래그 터치의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드(500)에 제1 거리만큼 드래그 터치가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도 19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화면정보를 제2 화면정보보다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가해지는 터치 입력은, 제1 화면정보에 대한 터치 입력으로 인식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터치 패드(500)에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만큼 드래그 터치가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도 19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화면정보를 제1 화면정보보다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가해지는 터치 입력은, 제2 화면정보에 대한 터치 입력으로 인식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가해지는 터치 입력이 어느 화면정보에 대한 터치입력으로 인식될지를 알려주는 인디케이터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어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상기 어느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지 않고도, 이벤트가 발생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상기 어느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과 함께 확인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터치 패드(500)에 가해지는 드래그 터치에 근거하여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의 전환을 손쉽게 수행할 있으며, 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번거로운 작업 없이, 동시에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구동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내용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인 경우 뿐만 아니라, 고정형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인 경우에도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터치 패드가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의 다양한 위치(예를 들어, 본체의 측면) 에 구비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가 본체의 측면에 구비된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내용은 모두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체가 접히는 경우 또는 펴진 경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최적화된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적어도 일부가 접히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가 접힌 상태에서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가 접힌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과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터치패드; 및
    상기 본체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드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에 연계된 화면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는,
    상기 터치패드에 가해지는 터치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화면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드에 제1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1 방식의 터치에 연계된 제1 화면정보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출력하고,
    상기 터치패드에 상기 제1 방식과 다른 제2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1 화면정보와 다른 제2 화면정보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드에 터치가 가해진 후 해제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는 복수의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드에 터치가 가해진 터치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그래픽 객체 각각에 연계된 복수의 지점들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상기 복수의 그래픽 객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지점 중 터치가 가해지는 지점에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다른 그래픽 객체와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가 해제되면, 상기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기능에 대응하는 실행화면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지문인식센서가 중첩된 홈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지문인식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홈 버튼에 접촉한 손가락의 지문에 대한 지문 인식이 성공하면, 결제와 관련된 제1 이미지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패드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출력된 제1 이미지를 결제와 관련된 제2 이미지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접힌 본체가 펴지면, 결제와 관련된 화면정보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접힌 상태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제1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제1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터치패드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1 모드와 다른 제2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평평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패드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1 화면정보를 상기 제1 화면정보와 다른 제2 화면정보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평평한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터치패드에 일정 시간동안 함께 터치 유지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화면정보를 캡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평평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비활성화인 상태에서, 상기 후면에 구비된 터치패드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평평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활성화인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며,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터치 패드에 터치가 인가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평평한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드에 가해지는 드래그 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출력밝기 및 볼륨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평평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프리뷰 영상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출력중인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드에 가해지는 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프리뷰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평평하고 제1 화면정보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출력중인 상태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후 상기 터치 패드에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1 화면정보 및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제2 화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화면정보 및 상기 제2 화면정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히는 단계;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에서,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 패드에 가해지는 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는,
    상기 터치패드에 가해지는 터치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화면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60002262A 2016-01-07 2016-01-07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34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262A KR102434866B1 (ko) 2016-01-07 2016-01-07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6/068,482 US10666780B2 (en) 2016-01-07 2016-01-21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6/000669 WO2017119531A1 (ko) 2016-01-07 2016-01-21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262A KR102434866B1 (ko) 2016-01-07 2016-01-07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926A true KR20170082926A (ko) 2017-07-17
KR102434866B1 KR102434866B1 (ko) 2022-08-22

Family

ID=5927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262A KR102434866B1 (ko) 2016-01-07 2016-01-07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66780B2 (ko)
KR (1) KR102434866B1 (ko)
WO (1) WO2017119531A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958A (ko) * 2017-09-25 2019-04-03 주식회사 스필 통합형 스위치
WO2020080639A1 (en) * 2018-10-17 2020-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pplication according to folding angle and method thereof
WO2020145932A1 (en) * 2019-01-11 2020-07-16 Lytvynenko Andrii Portable computer comprising touch sensors and a method of using thereof
WO2020149667A1 (en) * 2019-01-16 2020-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ed in flexible display which is rollable
KR20210009652A (ko) * 2019-07-17 2021-01-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기기
WO2021162435A1 (en) * 2020-02-10 2021-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ctivating fingerprint sensor
WO2022050566A1 (ko) * 2020-09-03 2022-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에서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방법
WO2022075490A1 (ko) * 2020-10-05 2022-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2098023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2108239A1 (ko) * 2020-11-18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2108402A1 (ko) * 2020-11-20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동작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22119172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US11425831B2 (en) 2019-05-03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idden damper
US11983355B2 (en) 2020-11-18 2024-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63731B2 (en) 2012-08-27 2015-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ltra low power apparatus and method to wake up a main processor
DE102016010528A1 (de) * 2016-08-25 2018-03-01 Staedtler Mars Gmbh & Co. Kg Eingabesystem
KR102678242B1 (ko) * 2017-02-01 2024-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7807752B (zh) * 2017-10-27 2021-04-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柔性屏及其防误触控装置和方法
CN108093169A (zh) * 2017-11-29 2018-05-2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拍摄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200248A (zh) * 2018-01-26 2018-06-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移动终端
US11171951B2 (en) * 2018-06-07 2021-11-09 Paypal, Inc. Device interface output based on biometric input orientation and captured proximate data
US10976989B2 (en) 2018-09-26 2021-04-13 Apple Inc. Spatial management of audio
US11100349B2 (en) 2018-09-28 2021-08-24 Apple Inc. Audio assisted enrollment
KR102700032B1 (ko) 2019-01-21 2024-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676303B1 (ko) * 2019-02-19 2024-06-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의도되지 않은 사용자 입력의 수신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09976633B (zh) * 2019-03-15 2021-10-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界面交互方法及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KR20200124402A (ko) 2019-04-24 2020-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131103A (ko) * 2019-05-13 2020-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00231A (ko) * 2019-06-24 2021-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312073B (zh) * 2019-06-25 2021-03-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摄参数的调节方法及移动终端
CN110176188B (zh) * 2019-06-26 2023-03-1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内折叠显示装置
CN110673783B (zh) * 2019-08-29 2021-12-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触控方法与电子设备
CN110839096B (zh) * 2019-08-30 2022-06-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折叠屏的设备的触控方法与折叠屏设备
CN112751951B (zh) 2019-10-29 2022-03-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CN111028685A (zh) * 2019-12-13 2020-04-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折叠机构及可折叠显示装置
CN111179762A (zh) * 2020-03-06 2020-05-1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折叠显示装置
CN113401068A (zh) * 2020-03-16 2021-09-17 富顶精密组件(深圳)有限公司 车用中控屏系统及控制该系统的方法
CN113407263A (zh) * 2020-03-16 2021-09-17 富顶精密组件(深圳)有限公司 车用中控屏系统及控制该系统的方法
KR20220001647A (ko) * 2020-06-30 2022-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CN112187979A (zh) * 2020-10-21 2021-01-0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折叠机构、显示装置及电子设备
JP7365490B2 (ja) 2021-01-27 2023-10-19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シーリング部材を含む電子装置
CN114464090B (zh) * 2022-01-26 2023-02-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5550483B (zh) * 2022-03-14 2023-10-10 荣耀终端有限公司 折叠式终端
WO2024080611A1 (ko) * 2022-10-11 2024-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41998A1 (en) * 2010-03-30 2011-10-06 Mckinney Susan Flexib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130138659A (ko) * 2012-06-11 2013-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07476A (ko) * 2014-03-14 2015-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50135038A (ko) * 2014-05-23 201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475B1 (ko) * 2008-11-28 2015-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를 통한 입출력 제어
US20130222295A1 (en) * 2012-02-23 2013-08-29 Pantech Co., Ltd. Mobile terminal to operate based on touch inpu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386220B1 (ko) * 2012-06-26 2014-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35039B1 (ko) * 2012-09-11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105460B1 (ko) * 2013-06-14 2020-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400601B2 (en) * 2013-06-21 2016-07-26 Nook Digital, Llc Techniques for paging through digital content on touch screen devices
JP6031080B2 (ja) * 2013-11-29 2016-11-24 株式会社 ハイディープHiDeep Inc. 仮想タッチパッド操作方法及びこれを行う端末機
KR20150111632A (ko) * 2014-03-26 201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인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3872599A1 (en) * 2014-05-23 2021-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41998A1 (en) * 2010-03-30 2011-10-06 Mckinney Susan Flexib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130138659A (ko) * 2012-06-11 2013-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07476A (ko) * 2014-03-14 2015-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50135038A (ko) * 2014-05-23 201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958A (ko) * 2017-09-25 2019-04-03 주식회사 스필 통합형 스위치
US11228669B2 (en) 2018-10-17 2022-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pplication according to folding angle and method thereof
WO2020080639A1 (en) * 2018-10-17 2020-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pplication according to folding angle and method thereof
KR20200043578A (ko) * 2018-10-17 2020-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딩 각도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WO2020145932A1 (en) * 2019-01-11 2020-07-16 Lytvynenko Andrii Portable computer comprising touch sensors and a method of using thereof
WO2020149667A1 (en) * 2019-01-16 2020-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ed in flexible display which is rollable
US11106358B2 (en) 2019-01-16 2021-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ed in flexible display which is rollable
US11425831B2 (en) 2019-05-03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idden damper
KR20210009652A (ko) * 2019-07-17 2021-01-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기기
WO2021162435A1 (en) * 2020-02-10 2021-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ctivating fingerprint sensor
US11720657B2 (en) 2020-02-10 2023-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ctivating fingerprint sensor
WO2022050566A1 (ko) * 2020-09-03 2022-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에서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방법
WO2022075490A1 (ko) * 2020-10-05 2022-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2098023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2108239A1 (ko) * 2020-11-18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11983355B2 (en) 2020-11-18 2024-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2108402A1 (ko) * 2020-11-20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동작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22119172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66780B2 (en) 2020-05-26
KR102434866B1 (ko) 2022-08-22
WO2017119531A1 (ko) 2017-07-13
US20190028579A1 (en) 2019-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486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0929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4966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3096275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17525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868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5869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8190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20197581A1 (en)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mobile terminal
EP324428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13748A (ko) 휴대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7007954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4789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통신 시스템
KR2017007954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5541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5722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8046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7007954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0386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4756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11418197A (zh) 移动终端以及其控制方法
KR2016006853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2269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418901B1 (ko)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8216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