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729B1 - 제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제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729B1
KR102514729B1 KR1020180006794A KR20180006794A KR102514729B1 KR 102514729 B1 KR102514729 B1 KR 102514729B1 KR 1020180006794 A KR1020180006794 A KR 1020180006794A KR 20180006794 A KR20180006794 A KR 20180006794A KR 102514729 B1 KR102514729 B1 KR 102514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sensor
input
display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8352A (ko
Inventor
정수철
염동현
송한길
최승민
홍명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6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729B1/ko
Priority to PCT/KR2019/000774 priority patent/WO2019143188A1/ko
Priority to US16/962,703 priority patent/US11221761B2/en
Publication of KR20190088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제 1 방식의 제 1 센서가 배치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 1 방식의 제 2센서 및 제 2 방식의 제 3 센서가 배치된 제2 영역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오브젝트 를 상기 제 1영역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제1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1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 3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 상기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제 2 방식으로 입력된 제 2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지정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 밖에 다양한 실시예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INCLUDING RESTRICTED AREA AND OPERATION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제한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에서 돌출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전자 장치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가 탑재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와 함께 배치된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전자 장치의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최근에, 전자 장치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고자 할 때, 전자 장치에 전면 카메라를 배치할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를 컷팅(cutting)하는 구조를 가지거나,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 레이어 또는 일부 영역에 개구(opening)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가 논의되고 있다.
전자 장치들은, 컷팅된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에서, 컷팅되지 않은 돌출 영역에는 전자 장치의 상태를 표시할 뿐이어서, 디스플레이의 돌출 영역에 대한 활용성이 높지 않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물리적으로 또는 시각적으로 컷팅되지 않은 돌출 영역을 활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제 1 방식의 제 1 센서가 배치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 1 방식의 제 2센서 및 제 2 방식의 제 3 센서가 배치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상기 제 1영역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제1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1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면서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 3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제 2 방식으로 입력된 제 2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지정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제 1 방식의 제 1 센서가 배치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 1센서 및 제 2 방식의 제 2 센서가 배치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상기 제 1영역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 1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1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면서 상기 제 1 센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 2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제 2 방식으로 입력된 제 2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지정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제 1 방식의 제 1 센서 및 제2 방식의 제2 센서가 배치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 1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영역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에 관련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표시할 알림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알림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방식의 제 1 센서가 배치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 1 방식의 제 2센서 및 제 2 방식의 제 3 센서가 배치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상기 제 1영역을 통해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제1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제1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면서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를 비활성화하는 동작, 상기 제 3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제 2 방식으로 입력된 제 2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지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방식의 제 1 센서가 배치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 1센서 및 제 2 방식의 제 2 센서가 배치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상기 제 1영역을 통해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 1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1 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 1 센서를 비활성화하는 동작, 상기 제 2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제 2 방식으로 입력된 제 2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지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제 1 방식의 제 1 센서 및 제2 방식의 제2 센서가 배치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 1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영역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에 관련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표시할 알림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알림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한된 영역(예: 컷팅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함에 있어서, 커팅되지 않은 돌출 영역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별도로 제공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에 대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의 알람을 표시하는 구성에 대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의 알람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에 연관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에 대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에 연관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에 연관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에 대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3은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에 연관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 198 또는 제 2 네트워크 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60)의 블록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60)는 디스플레이(210),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DI)(230)를 포함할 수 있다. DDI(230)는 인터페이스 모듈(231), 메모리(233)(예: 버퍼 메모리), 이미지 처리 모듈(235), 또는 맵핑 모듈(237)을 포함할 수 있다. DDI(230)은,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인터페이스 모듈(231)을 통해 전자 장치 101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정보는 프로세서(120)(예: 메인 프로세서(121)(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의 기능과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DDI(230)는 터치 회로(250) 또는 센서 모듈(176) 등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1)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다. 또한, DDI(230)는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233)에, 예를 들면, 프레임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모듈(235)은, 예를 들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특성 또는 디스플레이(210)의 특성에 적어도 기반하여 전처리 또는 후처리(예: 해상도, 밝기, 또는 크기 조정)를 수행할 수 있다. 맵핑 모듈(237)은 이미지 처리 모듈(135)를 통해 전처리 또는 후처리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의 생성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10)의 픽셀들의 속성(예: 픽셀들의 배열(RGB stripe 또는 pentile 구조), 또는 서브 픽셀들 각각의 크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의 적어도 일부 픽셀들은, 예를 들면, 상기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구동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 정보(예: 텍스트, 이미지, 또는 아이콘)가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회로(250)는 터치 센서(251)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센서 IC(253)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25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터치 센서(2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 IC(253)는 디스플레이(2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신호(예: 전압, 광량, 저항,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253)는 감지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에 관한 정보(예: 위치, 면적, 압력, 또는 시간)를 프로세서(120) 에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회로(250)의 적어도 일부(예: 터치 센서 IC(253))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30), 또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로, 또는 표시 장치(160)의 외부에 배치된 다른 구성요소(예: 보조 프로세서(123))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센서 모듈(176)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조도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는 표시 장치(160)의 일부(예: 디스플레이(210) 또는 DDI(230)) 또는 터치 회로(250)의 일부에 임베디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이 생체 센서(예: 지문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생체 센서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생체 정보(예: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이 압력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압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251) 또는 센서 모듈(176)은 디스플레이(210)의 픽셀 레이어의 픽셀들 사이에, 또는 상기 픽셀 레이어의 위에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표시 장치(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는, 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을 갖는 디스플레이(300, 예: 도 2의 디스플레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0)의 제1 영역(310)에는, 제1 방식의 제1 센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영역(320)에는 제1 방식의 제2 센서 및 제2 방식의 제3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0)는, 제 1영역(310) 또는 제 2 영역(320)과 구분되는 제3 영역(3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300)는 제 3 영역(330)의 형상에 적어도 대응하게 커팅되어, 제 3 영역(300)을 이용할 경우, 디스플레이(300)는 제 3 영역(330)을 이용하여 지정된 기능들(예: 표시 또는 입력 수신 등)을 제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영역(330)은 제 1 영역(310) 또는 제 2 영역(320)에 비해 적은 수의 픽셀이 배치된 구조(예: 저해상도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제 3 영역(330)에는 빛을 수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영역(330)은 제 1 영역(310) 또는 제2 영역(320)에 비해서 물리적으로, 시각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 일부 제한된 제한 영역으로 명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영역(330)은 제 1 영역(310) 또는 제2 영역(320)과 컷팅 유무에 의해 구분된 영역(예: 제 3 영역(330)은 컷팅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영역(330)은 제 1 영역(310) 또는 제2 영역(320)에 비해 디스플레이 특성에 의해 구분된 영역(예: 제 3 영역(330)은 저해상도 영역)일 수 있다.
제3 영역(330)이 컷팅된 영역일 경우, 제2 영역(320)은 커팅되지 않은 영역에 대응할 수 있으며, , 제1 영역(310)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제1 영역(310)의 일측면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또는 시각적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센서 및 제2 센서는 동일한 제1 방식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며, 프로세서(120)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상에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방식의 제3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포스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포스 입력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 상에 가해지는 지정된 지정된 범위의 압력이 가해지는 입력일 수 있다. 제2 방식의 제3 센서는 디스플레이(300)의 제2 영역(320)에 배치되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300)의 제1 영역(320)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특정 지점에 대한 포스 입력 또는 포스 입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감지되는 제스처 입력(예: 드래그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0)는 제2 영역(320)에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공하고, 제3 영역(330)에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영역(330)에는 빛을 수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이미지 센서, 조도 센서 등) 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표시 장치(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는, 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을 갖는 디스플레이(300, 예: 도 2의 디스플레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0)의 제1 영역(310)에는, 제1 방식의 제1 센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영역(320)에는 제1 방식의 제2 센서 및/또는 제2 방식의 제3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300)에서, 제3 영역(330)은 디스플레이(300)의 적어도 일부가 커팅된 영역일 수 있고, , 제3 영역(330)은 제1 영역(310) 또는 제2 영역(320)에 비해 적은 수의 픽셀들이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3 영역(330)이 디스플레이(300)의 적어도 일부가 커팅된 영역일 경우, 제3 영역(330)은 디스플레이(300)에 지정된 기능을 제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3 영역(330)이 제1 영역(310) 또는 제2 영역(320)에 비해 적은 수의 픽셀들이 배치될 경우, 제3 영역은(330) 및 제1 영역(310)(또는 제2 영역(230)은 빛의 투과율 또는 해상도가 서로 상이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영역(330)의 해상도는 제1 영역(310) 또는 제2 영역(320)에 비해 낮을 수 있다.
제3 영역(330)이 커팅되는 형태는 도 3b에서는 원형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제3 영역(330)이 커팅될 수 있다. 제3 영역(330)의 커팅 형태 또는 커팅 면적은 제2 영역(320) 또는 제3 영역(330)에 배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들(이미지 센서, 얼굴 인식 센서, 조도 센서, 3D 센서 또는 근접 센서 등)의 종류에 기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서 및 제2 센서는 동일한 제1 방식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며, 프로세서(120)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상에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방식의 제3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on or over)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포스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포스 입력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 상에 가해지는 지정된 범위의 압력이 가해지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식의 제3 센서는 디스플레이(300)의 제2 영역(320)에 배치되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300)의 제1 영역(310)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특정 지점에 대한 포스 입력 또는 포스 입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감지되는 제스처 입력(예: 드래그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표시 장치(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는, 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을 갖는 디스플레이(300, 예: 도 2의 디스플레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0)의 제1 영역(310)에는, 제1 방식의 제1 센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영역(320)에는 제1 방식의 제2 센서 및/또는 제2 방식의 제3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c의 디스플레이(300)는 도 3a 및 도 3b와 달리 커팅된 구조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영역(330)의 광 투과도 및/또는 해상도는 제1 영역(310)에 비해 낮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서 및 제2 센서는 동일한 제1 방식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며, 프로세서(120)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상에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방식의 제3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포스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포스 입력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 상에 지정된 범위의 압력이 가해지는 입력일 수 있다. 제2 방식의 제3 센서는 디스플레이(300)의 제2 영역(320)에 배치되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300)의 제1 영역(320)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특정 지점에 대한 포스 입력 또는 포스 입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감지되는 드래그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에 대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400, 예: 도 2의 디스플레이(210))는 제1 영역(410) 및 제2 영역(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420)은 지정된 제1 부분(420a),및 제2 부분(4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노치 형태로 컷팅된 제3 영역(440)에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한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제3 영역(440)에는 전면 카메라, 센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410)에는 제1 방식의 제1 센서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영역(420)에는 제1 방식의 제2 센서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방식의 제3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영역(410)에도 제1 방식의 제1 센서 및 제2 방식의 제3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1 영역(410) 및/또는 제2 영역(420)에 표시할 수 있다.
동작 510에서, 프로세서는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오브젝트를 제1 영역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4a의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카메라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1 영역(410) 및/또는 제2 영역(420)에 표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에는 사용자가 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촬영 버튼에 해당하는 제1 오브젝트(430) 및/또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2 오브젝트(450)가 포함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20)는 제1 오브젝트(430) 및/또는 제2 오브젝트(450)를 제1 영역(410)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방식의 제1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1 오브젝트(430)에 가해지는 터치 입력을 제1 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적어도 기반하여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2 오브젝트(450)에 가해지는 터치 입력을 제1 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적어도 기반하여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동작 520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오브젝트를 제1 영역(410)에서 제2 영역(420)으로 이동(예: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를 이동) 요청하는 지정된 제스처 입력(예: 드래그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520에서는 드래그 입력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사용자, 앱, 시스템 등을 통해 지정된(specified) 입력으로서, 드래그 입력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지정된 제스처 입력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영역(440)을 통해(through, on, 또는 under 등) 배치된 센서(예: 이미지 센서, 얼굴 인식 센서 또는 근접 센서 등)는 제스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0)는 제1 영역(410) 및 제2 영역(420)을 포함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1)는 제3 영역(440)에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한적으로 제공(예: 제공하지 않거나, 낮은 해상도로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1 영역(410) 또는 제2 영역(420)을 적어도 하나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방식의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활성화한 상태로 제1 오브젝트(430)를 제1 영역(410)에서 제2 영역(420)으로 이동을 요청하는 지정된 제스처 입력(예: 드래그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드래그 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제1 오브젝트(430) 및/또는 제2 오브젝트(450)를 제2 영역(420)으로 이동시켜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서 제1 오브젝트(430)를 제2 영역(420)의 지정된 제1 부분(420a)으로 이동시키는 지정된 제스처 입력(예: 드래그 입력) (401)을 감지하기 전일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1 오브젝트(430) 및 제2 오브젝트(450)를 도 4a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1 구성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래그 입력(401)이 감지될 경우, 프로세서(120)는 도 4c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1 오브젝트(430) 및 제2 오브젝트(450)를 각각 제2 영역의 지정된 제1 부분(420a) 및 제2부분(420b)으로 이동하는 제2 구성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120)는, 지정된 제스처 입력(예: 드래그 입력) (401)이 감지될 경우, 제1 오브젝트(430)를 제2 영역(420) 중 지정된 제 1 부분(420a)에 표시하고, 제2 오브젝트(450)를 제2 영역(420) 중 지정된 제 2 부분(420b)에 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오브젝트(430)와 관련된 드래그 입력(401)에 기반하여, 프로세서(120)는 제2 오브젝트(450)를 자동으로 지정된 영역(예: 420b)으로 이동 표시할 수 있다.
동작 530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지정된 제스처 입력(예: 드래그 입력)이 감지될 경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400)의 제1 영역(410) 및 제2 영역(420)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제1 오브젝트(430) 및 제2 오브젝트(450)를 제2 영역(420)의 각각의 영역(예: 420a 및 420b)에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지정된 제스처 입력(예: 드래그 입력) 에 적어도 기반하여,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400)에 배치된 센서들 중 지정된 타입의 센서(예: 제1 영역(410)에 배치된 제1 센서 및 제2 영역(420)에 배치된 제2 센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드래그 입력에 기반하여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비활성화하고,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제1 영역(410) 및 제2 영역(420)에 가해지더라도 터치 입력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동작 540에서, 프로세서(120)는 제3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제2 영역을 통해 제2 방식으로 입력된 제2 입력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지정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4c를 참고하면, 프로세서(120)는 제2 영역(420) 상으로 가해지는 포스 입력을 제3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포스 입력은, 제2 영역(420)에 표시되는 제1 오브젝트(430)에 대한 포스 입력이 감지될 경우, 프로세서(120)는 활성화된 제3 센서를 통하여 제1 오브젝트(430)에 대한 포스 입력을 감지하고, 이에 적어도 기반한 기능(예: 카메라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2 오브젝트(430)에 대한 포스 입력이 감지될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3 센서를 통하여, 포스 입력을 감지하고, 이에 적어도 기반한 기능(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3 센서는 제2 영역(420)에 배치될 수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3 센서는 제2 영역(420)뿐 아니라 제1 영역(410)에도 배치되어, 디스플레이(400) 전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센서는 디스플레이(400)의 전체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520 및/또는 530의 동작 수행 후에, 프로세서(120)는 제 1 영역(410)에 배치된 제3 센서는 비활성화하고 제 2 영역(420)에 배치된 제3 센서만 활성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 2 영역(420)에서만 활성화된 제 3 센서를 이용하여 54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에서는 도 3a와 같은 형태를 갖는 디스플레이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동일한 내용이 도 3b 및 도 3c와 같은 형태를 갖는 디스플레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 내지 도 4e에서의 제1 영역(410)에 적용되는 사항들은 도 3b 또는 도 3c에서의 제1 영역(310)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4a 내지 도 4e의 제2 영역(420)에 적용되는 사항들은 도 3b 또는 도 3c에서의 제2 영역(3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400, 예: 도 2의 디스플레이(210))는 제1 영역(410) 및 제2 영역(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410)에는 제1 방식의 제1 센서가 배치되며, 제2 영역(420)에는 제1 센서 및 제2 방식의 제2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영역(410)에도 제2 방식의 제2 센서가 제1 센서와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1 영역(410) 및 제2 영역(420)에 표시할 수 있다. 동작 610에서, 프로세서는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오브젝트를 제1 영역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4a의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카메라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1 영역(410) 및/또는 제2 영역(420)에 표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에는 사용자가 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오브젝트(430) 및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2 오브젝트(450)가 포함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제1 오브젝트(430) 및/또는 제2 오브젝트(450)를 제1 영역(410)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방식의 제1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오브젝트(430)에 가해지는 터치 입력을 제1 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적어도 기반하여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120)는 제2 오브젝트(450)에 가해지는 터치 입력을 제1 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적어도 기반하여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동작 620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오브젝트를 제1 영역(410)에서 제2 영역(420)으로 이동되는 지정된 제스처 입력(예: 드래그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620에서는 드래그 입력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사용자, 앱 시스템 등을 통해지정된 입력으로서, 드래그 입력을 포함하는 다양한 제스처의 입력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영역(440)을 통해(through, on, 또는 under 등) 배치된 센서(예: 이미지 센서, 얼굴 인식 센서 또는 근접 센서 등)는 제스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오브젝트(430)를 제2 영역(420)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401)이 가해지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1 방식의 제1 센서를 활성화한 상태로 지정된 제스처 입력(예: 드래그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오브젝트(430)를 제1 영역(410)에서 제2 영역(420)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면, 제1 오브젝트(430) 및/또는 제2 오브젝트(450)를 제2 영역(420)으로 이동시켜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서 제1 오브젝트(430)를 제2 영역(420)의 지정된 제1 부분(420a)으로 이동시키는 지정된 제스처 입력(예: 드래그 입력)(401)을 감지하기 전일 경우,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1 구성으로 표시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래그 입력(401)이 감지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도 4c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1 오브젝트(430) 및 제2 오브젝트(450)를 각각 제2 영역(420)의 지정된 제1 부분(420a) 및 제2 부분(420b)으로 이동하는 제2 구성의 인터페이스를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120)는, 지정된 제스처 입력(예: 드래그 입력)(401)이 감지되는 경우, 제1 오브젝트(430)를 제2 영역 중 지정된 제1 부분(420a)에 표시하고, 제2 오브젝트(450)를 제2 영역(420) 중 지정된 제2 부분(420b)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오브젝트(430)와 관련된 드래그 입력(401)에 기반하여, 프로세서(120)는 제2 오브젝트(450)를 자동으로 지정된 영역(예: 420b)으로 이동 표시할 수 있다.
동작 630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제1 센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지정된 제스처 입력(예: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400)의 제1 영역(410) 및 제2 영역(420)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제1 오브젝트(430) 및 제2 오브젝트(450)를 제2 영역(420)의 각각의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드래그 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400)에 배치된 센서들 중 지정된 타입의 센서(예: 제1 영역(410)에 배치된 제1 센서 및 제2 영역(420)에 배치된 제2 센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드래그 입력에 기반하여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비활성화하고,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제1 영역(410) 및 제2 영역(420)에 가해지더라도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동작 640에서, 프로세서(120)는 제2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2 영역을 통해 제2 방식으로 입력된 제2 입력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지정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4c를 참고하면, 프로세서(120)는 제2 영역(420) 상으로 가해지는 포스 입력을 제2 센서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촬영 버튼에 해당하는 제1 오브젝트(430)에 대한 포스 입력이 감지될 경우, 프로세서(12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센서는 제2 영역(420)에만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센서는 제2 영역(420) 뿐 아니라 제1 영역(410)에도 배치되어, 디스플레이(400) 전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 도 5에서 설명한 제2 영역(420)에 배치된 제2 센서는 도 6에서 설명한 제2 영역(420)에 배치된 제1 센서와 같이 제1 방식을 이용하는 동일한 센서일 수 있다. 도 5의 제2 영역에(420) 배치된 제3 센서는 도 6에서 설명한 제2 센서와 센싱 방식이 상이한 센서일 수 있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도 5에서 설명한 제1 센서, 제2 센서, 및 제3 센서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제3 센서는 디스플레이(400)의 전체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620 및/또는 630의 동작 수행 후에, 프로세서(120)는 제 1 영역(410)에 배치된 제3 센서는 비활성화하고 제 2 영역(420)에 배치된 제3 센서만 활성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 2 영역(420)에서만 활성화된 제 3 센서를 이용하여 64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에 대한 흐름도이다.
동작 710에서,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제3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오브젝트를 제2 영역(420)에서 제1 영역(410)으로(예: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를 이동) 요청하는 지정된 제스처 입력(예: 드래그 입력) 을 감지할 수 있다. 이하의 도 7에서는, 도 5와 같이 제1 영역에는 제1 방식의 제1 센서가 배치되고, 제2 영역에는 제1 방식의 제2 센서 및 제2 방식의 제3 센서가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센서는 제2 영역(420)에만 배치될 수도 있고, 제1 영역(410) 및 제2 영역(420)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7에서는 제3 센서가 제1 영역(410) 및 제2 영역(420) 모두에 배치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d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0)는 제1 영역(410) 및 제2 영역(420)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공하며, 제 3 영역(330)은 제 1 영역(310) 또는 제 2 영역(320)에 비해 적은 수의 픽셀이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제 3 영역(330)에는 빛을 수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앞서 도 5의 동작 540에 의한 제2 입력에 기초하여,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1 영역(410) 및 제2 영역(420)에 표시할 수 있고, 제1 오브젝트(430) 및 제2 오브젝트(450)를 각각 제2 영역(420)의 제1 부분(420a) 및 제2 영역(420)의 제2 부분(420a)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오브젝트(430)를 다시 제2 영역(420)의 지정된 제1 부분(420a)에서 제1 영역(410)으로 이동 요청하는 포스 입력(402)이 가해지면, 프로세서(120)는 제3 센서를 활성화한 상태로 지정된 범위의 압력을 가하는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가 제1 오브젝트(430)를 제2 영역(420)의 제1 부분(420a)에서 제1 영역(420)으로 표시를 이동시키는 지정된 범위의 압력을 가하는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면, 프로세서(120)는 제2 영역(420)의 제1 부분(420a)에 배치된 제1 오브젝트(430) 및 제2 영역(420)의 제2 부분(420b)에 배치된 제2 오브젝트(450)를 제1 영역(410)으로 이동시키도록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재배치 및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d에서 제1 오브젝트(430)를 제2 영역(420)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입력(401)을 감지하면,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를 이동시켜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도 4e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400)의 제1 영역(410) 및 제2 영역(420)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제1 오브젝트(430) 및 제2 오브젝트(450)를 제1 영역(4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1 오브젝트(430)를 이동시켜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제2 오브젝트(450)에 입력을 가하여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인터페이스가 변경될 수 있다.
동작 720에서, 프로세서(120)는 제3 입력에 기반하여,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범위의 압력을 가하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면서, 제1 영역(410)에 배치된 제1 센서 및 제2 영역(420)에 배치된 제2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활성화함으로써, 디스플레이(400) 전체 영역에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제1 오브젝트(430) 또는 제2 오브젝트(450)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 감지된 오브젝트에 대한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표시하는 구성에 대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예: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동작 910에서,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예: 어플리케이션의 알림)를 수신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표시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에 관련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은 수신된 메시지의 표시 등 팝업 형식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에 관련되는 정보를 지정된 외부 전자 장치, 서버 등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알림을 표시할 정보(텍스트 또는 이미지), 알림을 표시할 이미지의 크기 또는 텍스트의 길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920에서,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표시할 알림 영역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930에서, 프로세서(120)는 알림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시스템 설정, 알림을 표시할 정보의 종류(텍스트 또는 이미지), 알림을 표시할 이미지의 크기 또는 텍스트의 길이 등에 기반하여 알림 영역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알림을 디스플레이의 상단으로부터 d0의 길이를 갖는 제2 영역(82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800)의 제1 영역(810)에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제2 영역(820)에는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되는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2 영역(820)을 알림 영역(820)으로 설정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되는 알림을 디스플레이의 상단으로부터 d1의 길이를 갖는 알림 영역(83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정보를 확인하여, 알림 영역(830)의 크기를 디스플레이의 상단으로부터 d1의 길이를 갖도록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800)의 제1 영역(810)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제2 영역(820)에는 전자 장치의 상태 바(bar)를 표시하며, 알림 영역(830)에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함께 메시지의 간략한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영역(830)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함께 메시지의 간략한 내용("Hey")이 표시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도 8b에서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함께 메시지의 내용이 함께 표시되기 때문에, d0 보다 긴 길이의 d1의 길이를 가지는 제2 크기의 알림 영역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도 8c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되는 알림을 디스플레이의 상단으로부터 d2의 길이를 갖는 알림 영역(830)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정보를 확인하여, 알림 영역(830)의 크기를 디스플레이의 상단으로부터 d2의 길이를 갖도록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800)의 제1 영역(810)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제2 영역(820)에는 전자 장치의 상태 바(bar)를 표시하며, 알림 영역(830)에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함께 메시지의 간략한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영역(830)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함께 메시지의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도 8c의 알림 영역에는, 도 8b의 알림 영역에 비하여 더 많은 내용의 알림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c의 알림 영역에는 메시지의 내용 뿐 아니라 메시지는 전송한 전자 장치의 사용자의 이름이 표시될 수 있다. 하지만,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이 표시되는 구성은 도 8a 내지 도 8c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이 제공될 수 있다. 도 8c에서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함께 메시지의 내용이 함께 표시되기 때문에, d1 보다 긴 길이의 d2의 길이를 가지는 제2 크기의 알림 영역(830)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b에서는 도 3a와 같은 형태를 갖는 디스플레이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동일한 내용이 도 3b 및 도 3c와 같은 형태를 갖는 디스플레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 내지 도 8b에서의 제1 영역(810)에 적용되는 사항들은 도 3b 또는 도 3c에서의 제1 영역(310)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8a 내지 도 8b의 제2 영역(820)에 적용되는 사항들은 도 3b 또는 도 3c에서의 제2 영역(3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에 연관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에 대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에 연관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동작 1110에서,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알림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000, 예: 도 2의 디스플레이(210))는 제1 영역(1010), 제2 영역(10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 영역(1030) 을 제1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2 영역(1020) 또는 알림 영역(1030)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120에서, 프로세서(120)는 제2 영역 상에서 지정된 제스처 입력(예: 드래그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2 영역에 배치된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2 영역(1020)에서 제1 방향(1021) 또는 제2 방향(1022)으로 감지되는 드래그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120)는 제1 방향(1021) 또는 제2 방향(1022)에서,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의 드래그 입력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로부터 제2 영역(1020)에서 드래그 입력을 감지한 경우, 감지된 드래그 입력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확인된 드래그 입력의 방향이 제1 방향(1021)인지 제2 방향(1022)인지 확인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방향(1021) 및 제2 방향(1022)이 상하 방향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다.
동작 1130에서, 드래그 입력이 제1 방향인 경우, 알림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최대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가 감지한 드래그 입력이 제1 방향(1021)인 것으로 확인한 경우, 알림 영역(1030)을 최대화하여 제2 크기로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에서 제1 방향(1021)으로의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도 10b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알림 영역(1030)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함께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영역(1010)에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예: 런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고, 제2 영역(1020)에는 상태 바를 그대로 표시하며, 제2 영역(1020)과 별도로 알림 영역(1030)에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알림 영역(1030)을 제2 영역(1020)에 인접하도록 제1 영역(1010)에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140에서, 드래그 입력이 제2 방향인 경우, 알림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가 감지한 드래그 입력이 제2 방향(1022)인 경우, 알림 영역(1030)을 표시하는 대신 알림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에서 제2 방향(1022)으로의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도 10c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제1 영역(1010)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영역(1010)에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 받는 등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지정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에서는 도 3a와 같은 형태를 갖는 디스플레이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동일한 내용이 도 3b 및 도 3c와 같은 형태를 갖는 디스플레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 내지 도 10c에서의 제1 영역(1010)에 적용되는 사항들은 도 3b 또는 도 3c에서의 제1 영역(310)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10a 내지 도 10c의 제2 영역(1020)에 적용되는 사항들은 도 3b 또는 도 3c에서의 제2 영역(3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에 연관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에 대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3은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에 연관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동작 1310에서,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알림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최소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2a를 참고하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200)의 제1 영역(1210)에는 실행 중인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예: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고, 제2 영역(1220)에는 상태 바를 표시하고, 알림 영역(1230)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최소화하여 알림 영역을 제1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320에서,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제3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 상에서 드래그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이 최소화되어 알림 영역이 제1 크기로 표시된 경우, 제1 영역(1210) 또는 제2 영역(1220)에 포함된 임의의 지점인 제1 지점(1240)에서부터 제1 방향(1250) 또는 제2 방향(1260)으로의 포스 입력이 가해진 상태로 수행되는 드래그 입력을 포스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120) 제1 지점(1240)으로부터 포스 입력이 가해진 상태로의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면, 드래그 입력의 방향이 제1 방향(1250)인지 제2 방향(1260)인지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321에서, 프로세서(120)는 제3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1 영역 상에서의 드래그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1331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되는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3 센서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센서 및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활성화되어 터치 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입력에 따라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1 영역(1310)에 표시된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 오브젝트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으로 변환하거나,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표시되고 있는 실행 화면 내에서의 스크롤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330에서, 드래그 입력의 방향이 제1 방향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알림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최대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포스 입력이 가해진 상태로의 드래그 입력이 제1 방향(1250)인 것으로 확인한 경우, 알림 영역(1230)을 최대화하여 알림 영역(1230)을 제2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200)의 제1 영역(1210)에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예: 실행 중인 런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고, 제2 영역(1220)에는 상태 바를 표시하며, 알림 영역(1230)에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함께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340에서, 드래그 입력의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포스 입력이 가해진 상태로의 드래그 입력이 제2 방향(1260)인 것으로 확인한 경우, 알림 영역(1230)을 표시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1200)의 제1 영역(12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제1 영역(1210)에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드래그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해당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는 압력이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응 압력이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는, 프로세서는 해당 드래그 입력을 현재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a 및 12b에서와 같이,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이 표시중인 경우에는, 프로세서는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에 드래그 입력을 할당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할당된 드래그 입력에 기반하여, 페이지 스크롤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수행 결과에 따른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대응 압력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프로세서는 해당 드래그 입력을 알림 영역의 제어에 이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는, 수신된 입력의 압력의 종류에 기반하여, 해당 입력을 알림 영역의 제어에 이용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조작에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에서는 도 3a와 같은 형태를 갖는 디스플레이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동일한 내용이 도 3b 및 도 3c와 같은 형태를 갖는 디스플레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a 내지 도 12c에서의 제1 영역(1210)에 적용되는 사항들은 도 3b 또는 도 3c에서의 제1 영역(310)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12a 내지 도 12c의 제2 영역(1220)에 적용되는 사항들은 도 3b 또는 도 3c에서의 제2 영역(3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예: 메모리(130)), 제 1 방식의 제 1 센서가 배치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 1 방식의 제 2센서 및 제 2 방식의 제 3 센서가 배치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210)), 및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상기 제 1영역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제1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1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면서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 3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제 2 방식으로 입력된 제 2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지정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210)의 제1 영역에는 제2 방식의 제3 센서가 배치되며,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3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제3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3 입력에 적어도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1 구성으로 배열하여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입력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2 구성으로 배열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센서 또는 상기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디스플레이(210)에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3 센서를 활성화하여, 상기 제2 영역의 디스플레이(210)에서 지정된 범위의 압력을 갖는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2 영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 오브?┕?를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1 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30), 제 1 방식의 제 1 센서가 배치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 1센서 및 제 2 방식의 제 2 센서가 배치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2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상기 제 1영역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 1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1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면서 상기 제 1 센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 2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제 2 방식으로 입력된 제 2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지정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2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제3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3 입력에 적어도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1 구성으로 배열하여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입력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2 구성으로 배열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센서를 활성화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디스플레이(210)에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2 센서를 활성화하여, 상기 제2 영역의 디스플레이(210)에서 지정된 범위의 압력을 갖는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2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제1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 오브?┕?를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1 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130), 제 1 방식의 제 1 센서 및 제2 방식의 제2 센서가 배치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 1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영역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2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에 관련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표시할 알림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인접하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상기 알림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표시할 알림 영역의 크기를 제1 크기로 결정하고, 상기 제2 영역 상에서 상기 제1 센서를 이용하여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의 방향이 제1 방향인 경우, 상기 알림 영역을 제2 크기로 표시하고, 상기 제2 크기는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2 영역 상에서 상기 제1 센서를 이용하여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의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에 감지되는 지정된 범위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표시할 알림 영역의 크기를 제1 크기로 결정하고, 상기 제2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210) 상에서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이 제1 방향인 경우 상기 알림 영역을 제2 크기로 표시하고, 상기 제2 크기는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2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210) 상에서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의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방식의 제 1 센서가 배치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 1 방식의 제 2센서 및 제 2 방식의 제 3 센서가 배치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21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를 제어하는 방법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상기 제 1영역을 통해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제1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제1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면서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를 비활성화하는 동작, 상기 제 3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제 2 방식으로 입력된 제 2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지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를 제어하는 방법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3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제3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제3 입력에 적어도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설정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1 구성으로 배열하여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입력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2 구성으로 배열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제1 센서 또는 상기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디스플레이(210)에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제3 센서를 활성화하여, 상기 제2 영역의 디스플레이(210)에서 지정된 범위의 압력을 갖는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2 영역으로 이동 요청하는 제1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 오브?┕?를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방식의 제 1 센서가 배치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 1센서 및 제 2 방식의 제 2 센서가 배치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21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1)를 제어하는 방법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 1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2 영역으로 이동되는 제1 입력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1 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면서 상기 제1 센서를 비활성화하는 동작, 상기 제 2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제 2 방식으로 입력된 제 2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지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제2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제3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제3 입력에 적어도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를 활성화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1 구성으로 배열하여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입력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2 구성으로 배열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제1 센서를 활성화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디스플레이(210)에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제2 센서를 활성화하여, 상기 제2 영역의 디스플레이(210)에서 지정된 범위의 압력을 갖는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2 영역으로 이동 요청하는 제1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 오브?┕?를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방식의 제 1 센서 및 제2 방식의 제2 센서가 배치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 1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영역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21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1)를 제어하는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에 관련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표시할 알림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알림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수신된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표시할 알림 영역의 크기를 제1 크기로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2 영역 상에서 상기 제1 센서를 이용하여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드래그 입력의 방향이 제1 방향인 경우, 상기 알림 영역을 제2 크기로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크기는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제2 영역 상에서 상기 제1 센서를 이용하여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드래그 입력의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에 감지되는 지정된 범위의 압력을 감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수신된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표시할 알림 영역의 크기를 제1 크기로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2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210) 상에서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드래그 입력이 제1 방향인 경우 상기 알림 영역을 제2 크기로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크기는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210) 상에서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드래그 입력의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제1 방식의 제1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 방식의 제2 센서;
    제2 방식의 제3 센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상기 제 1영역을 통해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제1 입력을 식별하고,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영역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3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및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제 2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지정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입력은 제2 방식으로 입력되고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상기 제3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3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제3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3 입력에 적어도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1 구성으로 배열하여 제1 영역을 이용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입력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2 구성으로 배열하여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 또는 상기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디스플레이에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3 센서를 활성화하여, 상기 제2 영역의 디스플레이에서 지정된 범위 이상의 압력을 갖는 입력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2 영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드래그 입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 오브젝트를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표시하고,
    제4 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빛을 수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가 배치된 제3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의 일측면에서 상기 제3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자 장치.
  8. 전자 장치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제1 방식의 제1 센서;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제2 방식의 제2 센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상기 제 1영역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 1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1입력을 식별하고,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영역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 1 센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 2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및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제 2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지정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제2 방식에 의해 입력되고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제3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3 입력에 적어도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1 구성으로 배열하여 제1 영역을 이용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입력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2 구성으로 배열하여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를 활성화하여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디스플레이에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2 센서를 활성화하여, 상기 제2 영역의 디스플레이에서 지정된 범위의 압력을 갖는 입력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제1 입력은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2 영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드래그 입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 오브젝트를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1 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전자 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80006794A 2018-01-18 2018-01-18 제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14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794A KR102514729B1 (ko) 2018-01-18 2018-01-18 제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CT/KR2019/000774 WO2019143188A1 (ko) 2018-01-18 2019-01-18 제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6/962,703 US11221761B2 (en) 2018-01-18 2019-01-18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 by using display comprising restriction area,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794A KR102514729B1 (ko) 2018-01-18 2018-01-18 제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352A KR20190088352A (ko) 2019-07-26
KR102514729B1 true KR102514729B1 (ko) 2023-03-29

Family

ID=67301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794A KR102514729B1 (ko) 2018-01-18 2018-01-18 제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21761B2 (ko)
KR (1) KR102514729B1 (ko)
WO (1) WO201914318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65243A1 (en) * 2012-04-10 2013-10-10 Motorola Mobility, Inc. Adaptive power adjustment for a touchscreen
US20160378334A1 (en) * 2015-06-25 2016-12-29 Xiaomi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and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128B1 (ko) * 2008-11-14 2015-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션 센서 기반의 ui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20100111351A (ko) * 2009-04-07 2010-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145155B1 (ko) * 2010-06-28 2012-05-14 주식회사 비젼스케이프 정전용량식 하이브리드 기능버튼
US9098242B2 (en) 2011-09-30 2015-08-04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over layers mounted to displays
US20130100030A1 (en) * 2011-10-19 2013-04-25 Oleg Los Keypad apparatus having proximity and pressure sensing
US9894781B2 (en) 2012-06-06 2018-02-13 Apple Inc. Notched display layers
US20150339028A1 (en) * 2012-12-28 2015-11-26 Nokia Technologies Oy Responding to User Input Gestures
KR102131825B1 (ko) * 2013-03-20 202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응적 터치 센서티브 영역을 제공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37509A (ko) 2013-05-22 2014-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알림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4201648A1 (en) * 2013-06-19 2014-12-24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screen hold from screen touch
US20150079963A1 (en) * 2013-09-17 2015-03-19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notice information
KR20150082032A (ko) * 2014-01-07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N104765446A (zh) 2014-01-07 2015-07-08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设备和控制电子设备的方法
US9766743B2 (en) * 2014-05-30 2017-09-1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59032B1 (ko) * 2014-07-25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255143B1 (ko) * 2014-09-02 202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032565A (ko) 2014-09-16 2016-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20170026553A1 (en) 2015-07-24 2017-01-26 Apple Inc. Displays With Camera Window Openings
KR101748173B1 (ko) * 2015-08-06 2017-06-16 크루셜텍 (주) 터치 검출 장치
KR20170021159A (ko) 2015-08-17 201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484224B (zh) * 2016-09-22 2019-11-08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操作方法及终端
KR101816549B1 (ko) 2016-09-29 2018-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90589A (ko) * 2017-02-03 2018-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08463B1 (ko) * 2017-02-16 2018-10-17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
KR102421518B1 (ko) * 2017-06-27 2022-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08089786B (zh) * 2017-12-14 2019-12-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户界面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65243A1 (en) * 2012-04-10 2013-10-10 Motorola Mobility, Inc. Adaptive power adjustment for a touchscreen
US20160378334A1 (en) * 2015-06-25 2016-12-29 Xiaomi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and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21761B2 (en) 2022-01-11
KR20190088352A (ko) 2019-07-26
WO2019143188A1 (ko) 2019-07-25
US20200356267A1 (en)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6584B2 (en)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or content associated with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carrying out same
CN111868817B (zh) 电子装置及用于驱动电子装置的显示器的方法
US20200356140A1 (en) Fold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ing by using plurality of cameras
US20210042132A1 (en)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sharing method using same
KR102500666B1 (ko)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20190001822A (ko)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화면 운용 방법
KR20200045241A (ko)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 콘텐츠의 다단 표시 방법
KR102544477B1 (ko) 전자 장치, 전자 장치 보호 케이스 및 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1449169B2 (en) Method for processing a touch input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ple displays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ple displays capable of executing the method
US2020011730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ouch input conditions based on type of touch input
KR102578096B1 (ko) 디스플레이 중 일부 영역이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전자 장치
US11580889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displaying screen in deformable display panel
KR102513752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436435B1 (ko)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603254B1 (ko) 웹 콘텐츠를 ar모드에서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90112406A (ko) 입력 수단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모바일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262845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vibration
KR102527824B1 (ko) 복수의 출력 화면 환경에서 가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18404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시선 정보를 이용한 컨텐트 실행 방법
KR102526588B1 (ko)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00022574A (ko) 분할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514729B1 (ko) 제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66143B1 (ko)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67368B1 (ko) 사용 이력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539578B1 (ko)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매핑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