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896A - 액젓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젓 - Google Patents
액젓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젓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62896A KR20150062896A KR1020130148027A KR20130148027A KR20150062896A KR 20150062896 A KR20150062896 A KR 20150062896A KR 1020130148027 A KR1020130148027 A KR 1020130148027A KR 20130148027 A KR20130148027 A KR 20130148027A KR 20150062896 A KR20150062896 A KR 201500628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sh
- sauce
- meju
- present
- fish sauce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6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8
- 241001454694 Clupeiforme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5000019513 anchovy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1000209140 Tritic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1000238366 Cephalopod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1504592 Trachurus trachur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240 homogeneous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1149724 Cololabis adocet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238413 Octop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21329 brown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512 sardi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252203 Clupea harengus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11511 Diospyros Nutrition 0.000 claims 1
- 244000236655 Diospyros kaki Species 0.000 claims 1
- 241001125046 Sardina pilchardus Species 0.000 claims 1
- 241000269821 Scombridae Species 0.000 claims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1
- 235000019514 herring Nutrition 0.000 claims 1
- 239000004922 lacque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5000020640 mackerel Nutrition 0.000 claims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050 nutri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abstract 1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0
- NTYJJOPFIAHURM-UHFFFAOYSA-N Histamine Chemical compound NCCC1=CN=CN1 NTYJJOPFIAHUR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OAKJQQAXSVQMHS-UHFFFAOYSA-N Hydrazine Chemical compound NN OAKJQQAXSVQM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4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0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0
- 229940088598 enzyme Drugs 0.000 description 10
- 229960001340 histamine Drug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8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102000035195 Peptid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91005804 Pept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43 salt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05 swee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96 Kjeldah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87219 Serinus can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107 ferment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265 homogen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404 tradi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6439 Aspergillus oryz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247 Aspergillus oryza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6010013911 Dysgeu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733 Fish me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DHMQDGOQFOQNFH-UHFFFAOYSA-N Glycine Chemical compound NCC(O)=O DHMQDGOQFOQN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87231 Serin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1001062472 Stokellia anisodon Species 0.000 description 2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120 animal pro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55 enzy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67 fishme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 hydrogen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062 hydr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024999 proteolytic enzymes for treatment of wounds and ulcers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143060 Americamysis bah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972773 Aulop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04 Autoly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832 Ayo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57248 Cell deat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55825 Clup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424 Crust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244 Cucurbita mosch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54 Cucurbita mosch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04 Cucurbita pepo subsp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57465 Echinoid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28690 Fish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7577 Gait disturb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WHUUTDBJXJRKMK-UHFFFAOYSA-N Glutamic acid Natural products OC(=O)C(N)CCC(O)=O WHUUTDBJXJRK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1 Glyc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NAYBMKLOCPYGJ-REOHCLBHSA-N L-alanine Chemical compound C[C@H](N)C(O)=O QNAYBMKLOCPYGJ-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CKLJMWTZIZZHCS-REOHCLBHSA-N L-aspar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O)=O CKLJMWTZIZZHCS-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WHUUTDBJXJRKMK-VKHMYHEASA-N L-glutam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C(O)=O WHUUTDBJXJRKMK-VKHMYHEASA-N 0.000 description 1
- KDXKERNSBIXSRK-YFKPBYRVSA-N L-lysine Chemical compound NCCCC[C@H](N)C(O)=O KDXKERNSBIXSRK-YFKPBYRV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2 Lys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DXKERNSBIXSRK-UHFFFAOYSA-N Lysine Natural products NCCCCC(N)C(O)=O KDXKERNSBIXS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394 Sorghum bicolo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684 Sorghum sacchar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20 agglut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279 alan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63 ammon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48 appetite stimu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704 aspar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58 autoly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QFSQFPPLPISGP-UHFFFAOYSA-N beta-carboxyaspartic acid Natural products OC(=O)C(N)C(C(O)=O)C(O)=O OQFSQFPPLPIS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309464 bull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9000000007 calc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9 condim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03 cultur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45 emuls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15 enzymatic degra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2 fish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485 formyl group Chemical group [H]C(*)=O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22 gluta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20 glutam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3 nucle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02000039446 nucleic acid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20004707 nucleic acid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49 nutrient cont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477 organic nitrogen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10 pick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33 protea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36 pumpk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15 sal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043 self prote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860 sensory perception of tas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6 side d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54 spic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306 turnov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2—Preserving by means of inorganic salts
- A23B4/023—Preserving by means of inorganic salts by kitchen salt or mixtures thereof with inorganic or organic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14—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 A23B4/18—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4/20—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14—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 A23B4/18—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4/24—Inorganic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20—Synthetic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 A23L27/24—Synthetic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prepared by fermenta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oy Sauces And Products Related Thereto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기간에 고풍미의 액젓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액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젓 제조방법은 종래의 1~3년 이상의 장기간에 걸친 발효 숙성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이종(異種)결합으로 인한 영양성분의 함량 및 맛이 개선되어 생선 특유의 비린내를 잡아주고 관능미와 품질을 향상시키는 바 액젓 제조업계에서 높은 경쟁력을 가져 널리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기간에 고풍미의 액젓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액젓에 관한 것이다.
액젓을 포함하는 젓갈류는 한국 음식의 재료가 되는 우리 고유의 전통 발효 음식이다. 우리나라의 수산물 이용 형태는 염장, 발효하여 조미료 또는 김치 담금시 부원료로 이용되어온 수산발효 식품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수산발효 식품은 대부분 다량의 식염을 첨가하고 원료 자체 단백질 분해효소 작용에 의해 원료 단백질을 분해하여 발효 및 숙성시키는 것을 말하며, 이중 액젓은 젓갈을 더 장기간 발효시켜 액즙을 분리한 것을 말한다.
수산물을 이용한 젓갈 및 액젓은 효소 작용에 의해 숙성된 결과로 만들어진 감칠맛과 진한 맛 그리고 생선 특유의 풍미가 나며, 주로 식욕 증진제 역할을 하는 조미식품으로서 애용되고 있다. 실제로 미역국, 호박무침, 김치 담금시 부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방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젓갈류가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김치류가 활성화되어 있다. 최근에는 식품원료의 국제화에 따라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해외로부터도 액젓(Fish sauce) 등이 음식재료로서 수입되고 있다.
종래부터 제조되어온 액젓의 경우 수분과 염분 및 소량의 아미노산과 질소 및 칼슘을 함유하고 있다. 대표적인 멸치액젓은 글루타민산, 아스파틱산, 글라이신, 알라닌, 라이신 등의 각종 아미노산과 핵산 등의 정미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예로부터 김치류(포기김치, 총각김치, 갓 김치등) 와 볶음류 등의 조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젓은 종래에는 주로 가정에서 제조하여 사용하는 자급자족형의 소비형태가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대단위 공장에서 위생적이며 저장성이 증대된 액젓을 생산하고 있으며 그 수요량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통식 재래 액젓의 제조방법은 원료 생선을 통째로 소금과 혼합하여 탱크나 용기에 넣고 일정기간 (24개월 이상) 발효시킨 후 생선의 단백질이 분해되어서 생기는 액즙을 여과하여 만든다. 생선을 원료로 하여 만든 액젓은 동물성 천연조미료로 김치 제조시 필수 조미료로 사용되었으며, 일부 식품의 조리시에 사용되는 우리국민의 식문화에서는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 조미료 중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전통적인 방법으로 발효시킬 경우에는 발효숙성 기간이 장시간 소요되고 장시간 발효되면서 생선의 자가소화 효소에 의해 멸치 단백질이 분해되고 또한 고염에서 자랄 수 있는 여러 가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다. 이때 관여하는 미생물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발효가 달라지고, 때로는 잡균의 오염으로 구린내와 이미(異味)를 동반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 와서는 비린내가 적은 까나리를 이용한 까나리 액젓이 많이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까나리 또한 멸치액젓과 같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액젓은 이취(異臭)와 이미(異味)의 발생으로 김치와 같이 그 냄새가 강한 식품에만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전통식 재래방법은 장기간의 시간이 필요하므로 생산성 및 경쟁력 확보가 어렵고, 관련 산업의 발전에도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다. 따라서, 기존 액젓의 발효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어 왔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출원 제10-0467500호(멸치 또는 까나리를 이용한 액젓 및 그 속성 제조방법)에서는 pH를 조절하고 효소제를 첨가하여 3차 숙성한 후 살균 여과하는 액젓 제조법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출원 제10-0034142호(액젓 젓갈의 속성 제조방법)에서는 마쇄육에 효소활성 촉진제로 칼슘염과 단백질 분해효소를 첨가하고 최적 pH와 온도에서 4시간 교반하여 가수분해 시킨 후에 살균과 냉각, 여과한 액에 식염을 첨가하는 액젓 제조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단기간 내 속성으로 경쟁력을 갖춘 고품질 및 풍미가 우수한 액젓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마쇄한 생선에 소금을 첨가 혼합하여 균질화 한 후 메주와 혼합하여 밀폐용기에 담금하여 공조 시스템 환경하에서 일정한 온도에서 발효 숙성시킴으로써 메주의 효소와 생선의 자가분해효소가 원료 생선의 단백질을 분해함으로써 단기간(15일 내지 5개월) 내 속성으로 고품질 및 풍미가 우수한 액젓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나아가, 마쇄한 생선에 소금을 첨가 혼합하여 균질화 한 후 메주와 혼합하여 밀폐용기에 담금하여 공조 시스템 환경하에서 일정한 온도에서 발효 숙성시킴으로써 메주의 효소와 생선의 자가분해효소가 원료 생선의 단백질을 분해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장기간(6개월 내지 12개월 이상) 발효 숙성을 해도 고품질 및 풍미가 우수한 액젓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단기간에 고풍미의 액젓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고풍미의 액젓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액젓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고풍미의 액젓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단기간에 고풍미의 액젓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a) 생선 또는 생선 원료에 소금을 첨가하여 혼합 균질화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혼합 균질물에 메주를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혼합물을 용기에 넣고 밀폐시켜 공조 시스템에서 항온 조건으로 15일 내지 5 개월간 발효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젓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장기간의 발효 숙성시에도 고풍미의 액젓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a) 생선 혹은 생선 원료에 소금을 첨가하여 혼합 균질화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혼합 균질물에 메주를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혼합물을 발효용기에 넣고 공조 시스템에서 10 내지 25 ℃내에서 6개월 혹은 12개월 이상 발효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젓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액젓의 제조 방법은 상기 (a) 단계 이전에 (i) 세척한 생선의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및 (ii) 상기 물기를 제거한 생선을 마쇄하거나 상기 물기를 제거한 생선을 그대로 사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젓"은 동물성 단백질 발효물로서, 어장(魚醬)이라고도 한다. 상기 동물성 단백질은 해양 동물로부터 유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해양 동물은 생선 또는 갑각류, 두족류 동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까나리, 멸치, 전갱이, 오징어, 문어, 꽁치, 정어리, 참치, 참치 자숙액, 새우, 청어, 전어, 고등어, 메가리, 방어, 빙어 또는 이들의 조합 등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멸치 또는 까나리 일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최근 들어 젓갈이나 액젓 등의 전통식품의 국제화 및 상업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전통식품의 대량 생산에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전통식품 중 액젓의 경우 김치나 각종 무침 등에 기초 양념으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특히 김치의 세계화와 그에 따른 맛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 방법에 의해 액젓을 제조할 경우 최소 1년 이상의 장기간 발효 숙성기간이 필요하며 대량생산에는 적합하지 않고, 생산 및 제조 단가가 높을 뿐 아니라, 효율성도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의 액젓의 제조방법은 메주 첨가를 통해 전통적인 액젓의 발효기간을 절반 이하로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액젓 및 젓갈류의 발효과정은 원료 어패류 조직내의 효소와 세균이 작용하여 단백질의 가수분해와 어울러 정미성분이 생성된다. 원래 액젓 또는 젓갈은 자연숙성에 의한 발효방식에 의존하므로 발효기질인 원료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발효산물의 성분이 다양하고, 숙성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이나 작용효소의 기작에 따라서도 발현산물의 성분이 다양해 질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발효는 생선, 소금 및 메주의 혼합물을 탱크나 용기에 담금하고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발효숙성시킨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발효 과정은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발효용기를 관리하고, 공조 시스템 환경하에서 수행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전통적 발효방식에서 생선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장기간 발효기간을 거치는 것과는 다르게 메주의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생선의 자가분해효소와 더불어 작용하여 단기간 내에 생선의 단백질 분해가 이루어진다. 또한 메주 원료의 단백질 함량에 따라 기존 액젓의 품질(TN)보다 향상된 액젓을 생산할 수 있는 액젓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대적으로 장기간 숙성하는 경우에도 기존 액적의 품질보다 향상된 액젓을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메주"는 장을 담그는 기본 재료로, 삶은 콩이나 삶은 콩에 밀가루 등 전분질 원료를 첨가한 것에 메주 곰팡이(황곡균류)를 접종-배양시켜 만드는 장의 제조 원료를 의미한다. 메주에는 전통적으로는 콩만으로 제작하나 최근 개량식 제조방법으로는 이에 밀가루나 종곡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일반적인 메주의 제작 방법은 콩을 삶아 으깬 것(밀가루, 종곡 등을 첨가할 수도 있음)을 덩어리로 만들어 볏짚위에 얹어 2 내지 3일 건조시킨 후, 이를 볏짚으로 묶어 방안의 선반에 달아매어 발효숙성시키거나 큰 용기에 짚을 깔고 그 위에 메주 덩어리를 넣고 뚜껑을 덮은 다음 27 내지 28 ℃에서 2주간 숙성시킨다. 이것을 햇볕에 말려 다시 용기에 넣고 발효시켜 말린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대두 10kg을 2~3회 세척하고 이물질을 선별한 후 8시간 이상 침지하였다. 침지 완료 후 물기를 제거하고 100℃이상의 가압증자하에서 60분간 이상 증자하였다. 증자된 대두는 30~35℃로 냉각하였다. 여기에 메주 곰팡이 종국 (황국균류, Aspergillus oryzae)를 0.1~1.0% 접종한 후 25~40℃의 온도하에서 48시간 이상 제국하여 제조한 메주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열풍 또는 온풍으로 가온하여 속성 발효시킨 액젓은 전통식 액젓과 비교하여 맛에서 감칠맛과 단맛 및 액젓의 어울림성에서 기존 발효방식보다 우수한 맛 품질을 나타내어, 속성발효 단축에 의해 맛과 영양성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전통 수산발효식품의 경쟁력을 한 단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젓의 제조 방법은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을 수 있다.
ㄱ. 생선을
수세하는
단계
원료가 되는 생선을 2~3회 수세한다. 본 발명에서 액젓의 제조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생선의 종류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생선은 멸치, 까나리, 참치, 전갱이, 전어, 오징어간, 오징어, 곤쟁이, 배도라치, 고등어, 청어, 꽁치, 새우, 빙어, 방어와 같은 생선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멸치 또는 까나리 일 수 있다.
상기 수세는 액젓의 원료가 되는 생선을 깨끗한 정제수를 이용하여 세척할 수 있으며, 또는 바닷물을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ㄴ. 물기를 빼는 단계
상기 수세가 완료된 생선의 물기를 빼는 단계로서 물빼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 30분 이내로 단시간에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ㄷ. 생선을
마쇄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물기를 제거한 생선은 0.5 내지 1.5 cm의 크기로 마쇄기를 이용하여 충분히 마쇄한다. 이러한 마쇄 과정은 효소와 미생물의 작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단백질의 분해속도를 용이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단계에서 마쇄를 거치지 않고 생선 원료를 그대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ㄹ. 생선에 소금을 첨가하여 혼합
균질화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마쇄한 생선에 소금을 첨가하여 혼합 균질화 한다. 이때 첨가되는 소금의 양은 마쇄한 생선 중량에 대하여 17 내지 30 %(w/w)의 중량으로 첨가할 수 있다. 이는 다음 단계의 중온 발효시 원료 생선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소금의 양이 상기 17 중량부 미만이면 소금의 양이 충분치 않아 액젓이 부패할 가능성이 있으며, 반면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너무 고염이여서 식용으로서의 기호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과도한 염분 섭취로 인해 건강상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소금의 양을 마쇄한 생선 중량에 대하여 17 내지 30 %(w/w)로 첨가할 경우 부패가능성을 낮추고 과도한 염분 섭취를 줄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기 소금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정제염, 천일염 모두 사용가능하며, 수분함량이 90% 이상 제거된 천일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선과 소금의 혼합은 스크류를 이용하여 혼합 균질화할 수 있다.
ㅁ. 염장생선에 메주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균일하게 혼합한 생선(균질 혼합물)에 메주를 첨가하여 혼합한다. 이때 첨가되는 메주의 양은 균질 혼합물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w/w)의 중량으로 첨가할 수 있다. 이는 다음단계인 중온 발효시 생선의 자가효소 분해와 더불어 메주의 단백질 분해 효소로 인해 분해속도를 촉진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메주의 아미노산과 생선의 아미노산으로 더욱 감칠맛을 갖는 정미성분을 가지게 되며, 메주의 교착작용으로 인해 생선 비린내를 제거해 준다.
생선이 가지는 단백질과 메주가 가지는 단백질의 이종(異種)결합으로 인해 고품질의 액젓을 생산할 수가 있다. 예컨대 상기 메주의 원료로는 콩, 소맥, 소맥분, 쌀, 현미, 알파화미, 팽화미, 보리, 조, 수수 등과 같은 전분질 원료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콩일 수 있다.
염장된 생선에 메주를 첨가하여 스크류를 이용하여 혼합 균질화한 다음 별도의 밀폐 용기 내에 담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는 PE 탱크, 스탠재질 탱크, FRP 탱크, 옹기,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ㅂ. 발효 숙성하는 단계
메주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과정이 완료되면, 혼합물을 항온, 특히 중온에서 발효 숙성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액젓의 발효는 통상의 경우보다 중온에서 수행하는 것이 특징인데 예컨대 상기 중온은 2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이다. 이와 같은 중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조 시스템 환경하에서 열풍 혹은 온풍으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온에서의 발효는 15일 내지 1년 동안, 바람직하게는 15일 내지 5개월 동안, 더욱 바람직하게는 1개월 내지 3개월 동안 진행한다. 이는 통상의 액젓 제조기간인 1년 내지 3년에 비해 획기적으로 짧은 기간이지만, 종래의 액젓과 영양성분 및 풍미에 있어서 전혀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 오히려 메주의 첨가로 인해 단백질 함량 증가 및 감칠맛, 단맛 상승, 부패 정도의 감소, 액젓 특유의 비린내 제거 등 관능미 및 품질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 내지 표 3).
또한, 메주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과정이 완료된 후, 혼합물을 항온,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25℃에서 6개월 내지 12개월 이상 발효 숙성할 수 있다.
ㅅ. 여과액 수득
이후 추가적인 단계로서, 발효 숙성 탱크 내에서 생성된 발효액은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분리하여 정치시킨 후, 여과하여 여과된 액을 수득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액젓을 제조한다. 상기 여과는 당 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 적인 방법이라면 모두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1.0 마이크로 미터의 필터를 사용하여 발효액을 여과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통적인 종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멸치액젓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액젓을 대상으로 함유된 액젓의 영양성분이 총 질소 및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을 비교한 결과 발효기간이 동일하더라도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액젓의 경우 총 질소 및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이 훨씬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1).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는 본 발명에 따라 액젓을 제조할 경우 액젓 제조에 소요되는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 기간 발효한다면 영양성분의 함량은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액젓은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된 액젓에 비해 단기간에 제조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풍미에 있어서도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통적인 종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액젓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액젓을 대상으로 함유된 액젓의 영양성분인 총 질소 및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을 비교한 결과 짠맛, 감칠맛, 액젓향, 종합 기호도 등의 관능 평가 요소에 있어서 유의적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가 있었다. 이는 메주의 단백질 함량과 탄수화물, 당류 등으로 인해 복합적인 풍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액젓 특유의 비린내 제거, 감칠맛 향상, 단맛 향상 등으로 관능미 또한 종래의 액젓보다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표 2).
즉, 본 발명에 따라 액젓을 제조할 경우 액젓 제조에 소요되는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액젓 풍미보다 우수한 품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액젓을 제조할 경우, 6 내지 12 개월의 장기간 숙성시에도 이감, 이취가 낮고 풍미가 우수한 품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액젓을 제조하는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액젓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액젓을 제조하는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액젓은 단기간에 제조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 아니라, 종래의 액젓 풍미보다 우수한 품질을 가져 제품으로서의 가치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액젓은 일반적으로 액젓을 포함하는 김치, 각종 무침, 볶음류, 국, 게장류, Fish sauce 등의 식품에 제한없이 첨가될 수가 있다. 즉, 김치에는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액젓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각종 반찬류를 이루는 무침, 볶음류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액젓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젓은 종래의 액젓보다 액젓 특유의 비린내 제거, 감칠맛 향상, 단맛 향상 등으로 관능미가 향상되어 사용 용도를 김치제조 및 한정 식품에 대한 조미료로서 사용하기보다는 좀더 범용성이 넓은 제품으로 사용해도 무방하다. 뿐만 아니라, 액젓을 가공 생산하는 어민의 소득 증대 및 전통 수산식품 발전과 나아가 우리나라의 수산물 산업 및 식품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액젓 제조방법은 종래의 1~3년 이상의 장기간에 걸친 발효 숙성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이종(異種)결합으로 인한 영양성분의 함량 및 맛이 개선되어 생선 특유의 비린내를 잡아주고 관능미와 품질을 향상시키는 바 액젓 제조업계에서 높은 경쟁력을 가져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젓의 제조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멸치 액젓의 제조
1-1. 원료의 준비
본 발명의 액젓을 제조하기 위하여, 대표적으로 액젓 제조에 사용되는 생선인 멸치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경상남도 고성군에서 어획된 9 내지 13 cm 이상 크기의 신선한 멸치를 구입하여 이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젓에 사용하는 메주는 대두 10kg을 2~3회 세척하고 이물질을 선별한 후 8시간 이상 침지하였다. 침지 완료 후 물기를 제거하고 100℃이상의 가압 증자하에서 60분간 이상 증자하였다. 증자된 대두는 30~35℃로 냉각하였다. 여기에 메주 곰팡이 종국 (황국균류, Aspergillus oryzae)를 0.1~1.0% 접종한 후 25~40℃의 온도하에서 48시간이상 제국함으로써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1-2. 액젓의 제조 과정
상기 구입한 멸치를 바닷물로 2회 세척하고, 망 위에서 30분 동안 정치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멸치를 0.5 내지 1.0 cm 이상의 크기로 마쇄하였다. 그 후 마쇄된 멸치 30 kg에 대해 천일염 7.5 kg을 첨가하여 혼합 균질화하였으며, 여기에 메주 1.5 kg을 첨가하여 균질화를 완료하였다.
상기 균질화가 완료되면, 50L 플라스틱 용기에 담금을 완료하고 외부에 공기가 혼입되어 부패가 일어나지 않도록 뚜껑을 닫고, 공조 System하에서 열풍으로 약 40 내지 50℃가 지속되도록 하여 3개월간 발효 숙성시켰다.
한편, 본 발명의 액젓과 대조군 액젓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마쇄된 멸치 30 kg에 대해 천일염 7.5 kg을 첨가하여, 여기에 메주를 첨가하지 않고 균질화하였다. 상기 균질화가 완료되면 50L 플라스틱 용기에 담금을 완료하고 외부에 공기가 혼입되어 부패가 일어나지 않도록 뚜껑을 닫고, 상온(常溫)에서 12 개월 동안 발효 숙성시켰다.
본 발명의 액젓과 대조군 액젓을 발효하고, 발효기간 중에 생긴 발효액으로부터 청징액을 분리하여 정치시킨 다음, 여과하여 여과된 액을 수득함으로써 액젓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멸치 액젓에 존재하는 영양성분의 함량비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실험군인 본 발명의 속성 발효 멸치 액젓과 대조군으로 제조한 전통식 발효 멸치 액젓에 대하여, 각각의 멸치 액젓에 함유된 영양성분과 발효 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액젓의 영양성분과 발효 정도를 측정하는 판정의 기준이 될 수 있는 총 질소 (TN, total nitrogen)와 아미노태 질소(AN, amino nitrogen)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이때 총 질소 함량의 측정은 킬달 방법을 사용하였고, 아미노태질소 함량의 측정은 포르몰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킬달 방법은 시료에 황산을 가해 가열농축해서 유기성 질소를 분해한 후, 알칼리 용액을 투입하여, 암모늄 염을 NH3로 유리하여 산성 용액에 흡습시킨 후, 흡수된 NH3를 적정에 의해 정량하여 질소의 함량을 측정하는 원리로 진행된다.
또한, 상기 포르몰법은 아미노산을 약 pH 9으로 유지하면 "NH3 +CH(R)COO- (1 상태)<=> NH2+CH(R)COO- + H+ (2 상태)" 상태로 평형화된다. 이에 포름알데히드를 가하면, 2 상태의 아미노산은 포름알데히드와 반응하여 기타 화합물을 만들기 때문에 상기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1 상태에서 2 상태로 반응이 진행되며, 이에 따라 수소 이온이 방출된다. 따라서, pH 9 부근에서 상기 발생하는 수소이온을 알칼리로 적정하여 아미노산을 정량하는 원리로 진행된다.
상기 킬달 방법 및 포르몰법으로 측정한 총 질소 및 아미노태 질소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발효 기간 (개월) |
총 질소(TN) (g/100 mL) |
아미노태 질소(AN) (mg/100 mL) |
||
대조군 (상온) |
실험군 (메주, 45℃) |
대조군 (상온) |
실험군 (메주, 45℃) |
|
1 | 1.48 | 2.54 | 150.98 | 984.58 |
2 | 1.65 | 2.60 | 300.25 | 1236.00 |
3 | 1.78 | 2.73 | 395.78 | 1240.00 |
5 | 1.83 | - | 615.42 | - |
8 | 1.99 | - | 915 | - |
12 | 2.13 | - | 1092.56 | - |
상기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효소의 활성이 높은 메주를 첨가하고 속성 발효한 멸치 액젓(실험군)이 종래의 전통식 방법으로 제조된 멸치 액젓(대조군)에 비하여 총 질소(total nitrogen) 및 아미노태 질소(amino nitrogen) 함량이 빠르게 증가됨을 알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정한 온도(45℃)하에서 속성 발효시킨 멸치액젓(실험군)은 발효 3 개월 만에 총 질소 함량이 2.73 (g/100ml) 및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1240.00(mg/100ml)에 이르러, 전통식으로 상온에서 12 개월간 발효시킨 멸치액젓의 총질소 함량은 2.13(g/100ml) 및 아미노태 질소 함량 1092.56(mg/100ml)보다 오히려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동일 기간에 대해서 총 질소 및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을 비교해 보면 예컨대 3개월 발효시 본 발명의 일정한 온도(45℃)하에서 속성 발효시킨 멸치액젓(실험군)은 총 질소 함량은 2.73 (g/100ml) 및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1240.00(mg/100ml)에 이르는데 반해, 전통식으로 상온에서 3 개월 발효시킨 멸치액젓(대조군)의 총 질소 함량은 1.78(g/100ml) 및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615.42(mg/100ml)에 지나지 않아 본 발명에 따른 멸치액젓이 훨씬 높은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라 생선을 마쇄하여 메주를 첨가한 후 일정한 온도하에서 발효 숙성시키는 방법이 종래의 전통식 방법으로 상온(常溫)에서 발효시키는 방법보다 발효기간을 1/2 이하로 단축시킬 수 있고 나아가 액젓의 중요 영양성분인 총 질소와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동일기간 발효시 더욱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며, 그에 따른 본 발명은 산업적으로 활용의 가치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 멸치 액젓에 존재하는 히스타민의 함량 비교
히스타민은 인체에 대해 비교적 위해 정도는 낮으나, 다량 섭취 또는 이들의 대사를 위한 자연적 기작이 저해 또는 결핍될 경우에는 건강을 크게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미생물에 의한 식품 부패의 척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상기 본 발명의 발효 숙성에 따른 히스타민 함량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발효 기간 (개월) |
히스타민 | |
대조군 (상온) |
실험군 (메주, 45℃) |
|
1 | 67.79 | 39.47 |
2 | 66.53 | 90.32 |
3 | 67.79 | 102.49 |
5 | 150.0 | - |
8 | 290.6 | - |
12 | 433.6 | - |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메주를 첨가하여 일정한 온도에서 속성 발효한 멸치 액젓 (실험군)이 종래의 전통식 방법으로 제조된 멸치 액젓(대조군)에 비하여 히스타민 함량이 낮은 것을 알 수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험군(3개월 발효숙성)은 히스타민 함량이 102.49ppm으로 전통 발효 방식으로 상온에서 12개월간 발효시킨 대조군 멸치 액젓 (12개월 발효숙성)는 433.6 ppm을 나타내어 실시예보다 4배 이상 히스타민 함량이 높은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라 생선을 마쇄하여 메주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일정한 온도하에서 3개월간 발효숙성시키는 방법이 종래의 전통식 방법으로 상온(常溫)에서 발효시키는 방법보다 부패 정도가 현저히 낮은 액젓을 제조할 수 있어 단기간 제조의 장점뿐 아니라 품질면에서도 향상된 산업적으로 활용의 가치가 높은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 관능 검사
상기 실험군(3개월 발효숙성)과 대조군(12개월 발효숙성)으로 제조된 멸치액젓에 대해 다음과 같이 관능적 기호성에 대한 평가로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는데, 평가 항목은 외관 기호도, 전반 기호도, 향미 기호도, 조직감 기호도, 뒷맛 기호도, 매운맛 기호도, 짠맛 기호도, 젓갈 향미 기호도, 감칠맛 기호도, 단맛 기호도, 이미/이취 강도 등으로 하였고, 제품을 실제 사용하는 타켓 소비자 패널 50명(성별:여성, 연령대 25~40대, 서울 경기 거주 전업주부)을 대상으로 정량적 소비자 조사(Consumer acceptance test) 방법에 따라 9점 척도를 사용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 항목 | 대조군 | 실험군 | p-value |
외관 기호도 | 6.56 | 6.70 | 0.499 |
전반 기호도 | 6.12 | 6.73 | 0.015 |
향미 기호도 | 6.23 | 6.75 | 0.033 |
조직감 기호도 | 6.35 | 6.93 | 0.008 |
뒷맛 기호도 | 6.05 | 6.61 | 0.033 |
젓갈 향미 기호도 | 6.02 | 6.02 | 0.001 |
매운맛 기호도 | 6.37 | 6.75 | 0.066 |
짠맛 기호도 | 5.81 | 6.64 | 0.001 |
단맛 기호도 | 5.47 | 6.18 | 0.032 |
감칠맛 기호도 | 6.02 | 6.68 | 0.10 |
젓갈 향미 강도 | 5.74 | 5.45 | 0.214 |
매운맛 강도 | 6.05 | 5.57 | 0.020 |
짠맛 강도 | 5.77 | 5.50 | 0.193 |
단맛 강도 | 5.91 | 5.86 | 0.864 |
감칠맛 강도 | 5.88 | 6.00 | 0.592 |
이미/이취 강도 | 2.12 | 1.18 | 0.011 |
* 9점 척도법(n=50), 1점: 매우 많이 싫다, 5점: 좋지도 싫지도 않다, 9점: 매우 많이 좋다.
그 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쇄한 생선에 메주를 첨가하여 일정한 온도 하에서 속성 발효시킨 멸치 액젓(실험군)은 종래의 전통식으로 발효시킨 멸치 액젓(대조군)과 비교시 향미, 조직감, 뒷맛, 젓갈향미, 짠맛, 단맛, 감칠맛, 이미/이취강도 및 전반 기호도에 있어서 비교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액젓은 극히 단기간에 제조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액젓 품질에 전혀 뒤떨어지지 않을 뿐더러 도리어 기존 전통적 방식에 비해 품질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 (a) 생선 혹은 생선 원료에 소금을 첨가하여 혼합 균질화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혼합 균질물에 메주를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혼합물을 발효용기에 넣고 공조 시스템에서 항온 조건으로 15일 내지 5 개월간 발효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젓의 제조 방법.
- (a) 생선 혹은 생선 원료에 소금을 첨가하여 혼합 균질화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혼합 균질물에 메주를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혼합물을 발효용기에 넣고 공조 시스템에서 10 내지 25 ℃내에서 6개월 혹은 12개월 이상 발효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젓의 제조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단계 이전에
(i) 세척한 생선의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및
(ii) 상기 물기를 제거한 생선을 마쇄하거나 상기 물기를 제거한 생선을 그대로 사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액젓의 제조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ii) 단계에서 생선을 마쇄하는 경우에는 0.5 내지 1.5 cm 크기로 마쇄하는 것인, 액젓의 제조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소금은 마쇄한 생선 중량에 대하여 17 내지 30 %(w/w)의 중량으로 첨가하는 것인, 액젓의 제조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메주는 균질 혼합물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w/w)의 중량으로 첨가하는 것인, 액젓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항온 조건은 20 내지 60 ℃인 것인, 액젓의 제조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PE 탱크, 스탠재질 탱크, FRP 탱크, 옹기 및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액젓의 제조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공조 시스템은 밀폐된 룸으로 열풍 또는 온풍으로 일정하게 온도가 유지되는 조건 하에서 수행되는 것인, 액젓의 제조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생선은 까나리, 멸치, 전갱이, 오징어, 문어, 꽁치, 정어리, 참치, 참치 자숙액, 새우, 곤쟁이, 배도라치, 청어, 전어, 고등어, 메가리, 방어, 빙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액젓의 제조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주는 콩, 소맥, 소맥분, 쌀, 쌀가루, 팽화미, 알파화미, 현미, 보리, 조, 수수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원료를 이용하여 제조된 메주를 사용하는 것인, 액젓의 제조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d) 상기 (c) 단계에서 제조한 액젓을 60 내지 99 ℃에서 10 내지 30 분간 열처리하여 냉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액젓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8027A KR101768741B1 (ko) | 2013-11-29 | 2013-11-29 | 액젓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젓 |
PCT/KR2014/011537 WO2015080511A1 (ko) | 2013-11-29 | 2014-11-28 | 액젓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젓 |
CA2891147A CA2891147C (en) | 2013-11-29 | 2014-11-28 |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sh sauce and a fish sauce manufactured by the same |
US14/439,583 US10617138B2 (en) | 2013-11-29 | 2014-11-28 |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sh sauce and a fish sauce manufactured by the same |
JP2015550350A JP6578210B2 (ja) | 2013-11-29 | 2014-11-28 | エクジョッ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エクジョッ |
CN201811579256.7A CN109601958A (zh) | 2013-11-29 | 2014-11-28 | 制作鱼露的方法和通过其制作的鱼露 |
CN201480002858.XA CN104812252A (zh) | 2013-11-29 | 2014-11-28 | 制作鱼露的方法和通过其制作的鱼露 |
JP2019093315A JP6987806B2 (ja) | 2013-11-29 | 2019-05-17 | エクジョッ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エクジョッ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8027A KR101768741B1 (ko) | 2013-11-29 | 2013-11-29 | 액젓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젓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2896A true KR20150062896A (ko) | 2015-06-08 |
KR101768741B1 KR101768741B1 (ko) | 2017-08-16 |
Family
ID=53199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8027A KR101768741B1 (ko) | 2013-11-29 | 2013-11-29 | 액젓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젓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617138B2 (ko) |
JP (2) | JP6578210B2 (ko) |
KR (1) | KR101768741B1 (ko) |
CN (2) | CN109601958A (ko) |
CA (1) | CA2891147C (ko) |
WO (1) | WO201508051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853695A (zh) * | 2017-11-21 | 2018-03-30 | 荣成海锐芯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利用海参下脚料制备多肽口服液的方法 |
CN107736609A (zh) * | 2017-11-22 | 2018-02-27 | 成都市新津活活饭店 | 一种鱼酱 |
CN107668669A (zh) * | 2017-11-22 | 2018-02-09 | 成都市新津活活饭店 | 一种鱼酱及其制备方法 |
CN109363136A (zh) * | 2018-11-22 | 2019-02-22 | 四川王家渡食品有限公司 | 一种具有鱼风味辣椒酱及其制备方法 |
CN109601965B (zh) * | 2018-11-30 | 2022-08-23 | 江苏大学 | 一种利用中度嗜盐菌混合菌株发酵鱼肉酱的方法 |
CN116326757B (zh) * | 2023-04-19 | 2024-09-06 | 中国海洋大学 | 一种磷虾虾露与酱油一体化生产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96073A (en) | 1979-01-17 | 1980-07-21 | Nagano Chuo Ichiba:Kk | Preparation of seasoning |
KR910006743B1 (ko) | 1988-07-05 | 1991-09-02 | 한국과학기술원 | 디렉트 모니터링(Direct Monitoring)전기로를 이용한 수평브리지만(Bridgman)단결정성장장치 |
DE3903507C1 (ko) * | 1989-02-06 | 1990-06-28 | Maizena Gmbh, 7100 Heilbronn, De | |
KR940002864B1 (ko) * | 1991-10-25 | 1994-04-06 | 오일순 | 알콜이 함유된 액젓 |
KR950008789B1 (ko) | 1992-07-30 | 1995-08-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이씨씨(ecc)회로를 내장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KR100357993B1 (ko) * | 1999-08-26 | 2002-10-25 | 이기동 | 참치와 참치가공 부산물을 이용한 참치액젓 및 그 속성 제조방법 |
JP2002051724A (ja) | 2000-08-09 | 2002-02-19 | Nippon Suisan Kaisha Ltd | 機能性調味料 |
KR20010044107A (ko) * | 2000-10-09 | 2001-06-05 | 허경만 | 속성새우조미액젓의 제조방법 |
JP4430812B2 (ja) | 2000-12-15 | 2010-03-10 | 天野実業株式会社 | 発酵調味料の製造方法 |
KR100467500B1 (ko) * | 2001-05-04 | 2005-01-24 | 이기동 | 멸치 또는 까나리를 이용한 액젓 및 그 속성 제조방법 |
JP4446637B2 (ja) | 2001-09-28 | 2010-04-07 | ヒガシマル醤油株式会社 | 醤油粕からエキスを製造する方法 |
KR100415267B1 (ko) * | 2002-02-19 | 2004-01-16 | 오광수 | 2단 발효법에 의한 고 순도 멸치액젓 및 그 제조방법 |
JP3834774B2 (ja) | 2003-04-10 | 2006-10-18 | 北海道 | 魚介類を素材とした発酵調味料 |
JP4876259B2 (ja) | 2005-09-02 | 2012-02-15 | 国立大学法人 鹿児島大学 | 魚醤油の製造方法 |
CN101677617B (zh) * | 2007-03-30 | 2013-03-13 | 国立大学法人鹿儿岛大学 | 鱼腥臭味降低、风味改良的鱼酱油的制造方法 |
CN101341968B (zh) * | 2008-05-08 | 2012-07-25 | 湖州老恒和酿造有限公司 | 一种鱼酿酱油的生产方法 |
JP5436178B2 (ja) | 2009-12-08 | 2014-03-05 | テーブルマーク株式会社 | 新規魚介調味料及びその製造方法 |
KR101336624B1 (ko) * | 2010-06-25 | 2013-12-05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마쇄처리와 중온발효를 이용한 생선액젓의 속성 제조방법 |
KR101310774B1 (ko) | 2011-02-25 | 2013-09-25 | 씨제이제일제당 (주) | 숙성기간이 단축되고 히스타민이 저감된 액젓의 제조 방법 |
JP2013208071A (ja) | 2012-03-30 | 2013-10-10 | Ishikawa Prefectural Public Univ Corp | 魚醤から分離した乳酸菌、その培養物及びその利用 |
-
2013
- 2013-11-29 KR KR1020130148027A patent/KR10176874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11-28 US US14/439,583 patent/US10617138B2/en active Active
- 2014-11-28 WO PCT/KR2014/011537 patent/WO201508051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11-28 CA CA2891147A patent/CA2891147C/en active Active
- 2014-11-28 CN CN201811579256.7A patent/CN109601958A/zh active Pending
- 2014-11-28 CN CN201480002858.XA patent/CN104812252A/zh active Pending
- 2014-11-28 JP JP2015550350A patent/JP6578210B2/ja active Active
-
2019
- 2019-05-17 JP JP2019093315A patent/JP6987806B2/ja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60066613A1 (en) | 2016-03-10 |
JP6578210B2 (ja) | 2019-09-18 |
CA2891147C (en) | 2017-02-28 |
CN109601958A (zh) | 2019-04-12 |
JP2019146590A (ja) | 2019-09-05 |
JP6987806B2 (ja) | 2022-01-05 |
CN104812252A (zh) | 2015-07-29 |
JP2016501552A (ja) | 2016-01-21 |
US10617138B2 (en) | 2020-04-14 |
KR101768741B1 (ko) | 2017-08-16 |
CA2891147A1 (en) | 2015-05-29 |
WO2015080511A1 (ko) | 2015-06-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41413B1 (ko) | 액젓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젓 | |
JP6987806B2 (ja) | エクジョッ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エクジョッ | |
CN101933602B (zh) | 低盐鱼酱油的生产方法 | |
CN104839787A (zh) | 一种糟鱿鱼的加工方法 | |
CN102406189A (zh) | 银鱼鱼酱酸的制作方法 | |
KR20170049710A (ko) | 액젓 및 그 액젓 제조방법 | |
CN104757616A (zh) | 一种糟带鱼的加工方法 | |
KR101310774B1 (ko) | 숙성기간이 단축되고 히스타민이 저감된 액젓의 제조 방법 | |
CN102894316A (zh) | 多醋低盐微发酵醋酱渍菜的制作方法 | |
CN101773196A (zh) | 一种鱼、贝类蛋白酶法水解物腥味脱除的方法 | |
CN109329868B (zh) | 一种营养强化型风味鱼露及其加工方法 | |
CN101289647B (zh) | 一种乳酸片球菌菌株、发酵香肠及其制备方法 | |
KR101207956B1 (ko) | 어취가 제거된 어간장 제조방법 | |
KR101559303B1 (ko) | 사골육수 및 물엿을 이용한 막걸리의 제조방법 | |
KR101336624B1 (ko) | 마쇄처리와 중온발효를 이용한 생선액젓의 속성 제조방법 | |
KR20160023350A (ko) | 갈치액젓의 제조방법 | |
Setyahadi | Utilization of fish waste for the making of fish sauce | |
KR100917906B1 (ko) | 보리를 이용한 옥돔 제조방법 | |
KR101618170B1 (ko) | 자가소화효소를 활용하여 숙성시킨 전복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전복 | |
KR100327498B1 (ko) | 달팽이 통조림의 제조방법 | |
KR20160088559A (ko) | 탄산수 물김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110117603A (ko) | 유해성분이 감소된 생선액젓 및 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