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423A -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423A
KR20150039423A KR20130117978A KR20130117978A KR20150039423A KR 20150039423 A KR20150039423 A KR 20150039423A KR 20130117978 A KR20130117978 A KR 20130117978A KR 20130117978 A KR20130117978 A KR 20130117978A KR 20150039423 A KR20150039423 A KR 20150039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uction
suction grille
connecting member
g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7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6812B1 (ko
Inventor
정창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7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812B1/ko
Priority to CN201420323447.8U priority patent/CN203980447U/zh
Priority to CN201410270547.3A priority patent/CN104515201B/zh
Priority to EP14185285.5A priority patent/EP2857763B1/en
Priority to US14/505,190 priority patent/US10197298B2/en
Publication of KR20150039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 그릴의 외측단이 판넬의 토출구의 내측 라인을 형성할수 있도록 연장되며, 상기 흡입 그릴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흡입 그릴의 형상에 따라 간섭되지 않고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Indoor unit for cassette type air conditoiner }
본 발명은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 또는 고온의 냉매와 열교환 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것을 반복하는 작용에 의해 시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로 나뉘어 지는데, 상기 실외기에는 응축기(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실내열교환기)에는 증발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설치 공간이나 소음 등을 고려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선호된다.
이러한 분리형 공기조화기 중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가 연결되며, 이러한 실내기가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여러 대의 공기조화기를 설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멀티형 공기조화기 중에서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을 보인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1)는 상부가 천장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며, 하면은 천장 하측으로 노출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한 후 다시 실내로 토출하게 된다.
상기 실내기(1)는 본체 대부분이 천장 상측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천장을 올려다 보았을 때 판넬(10)과 흡입 그릴(20)만 보이게 된다.
상기 판넬(10)은 실내기(1)의 하면 외관 테두리부를 형상하는 것으로, 중앙부에는 사각형상으로 천공되어 실내 공기가 실내기(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구(11)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11) 외측에는 상기 실내기(1)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토출구(12)가 천공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2)의 내부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베인(13)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전면판넬(10)의 중앙부 즉, 상기 흡입구(11) 내부에는 대략 사각 판 모양을 가지며, 공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흡입 그릴(20)이 장착된다. 상기 흡입 그릴(20)은 흡입구(11)를 통해 상기 실내기(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걸러내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흡입 그릴(20)의 상측에는 에어필터(30)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필터(30)는 실내기(1)를 오랜 기간 사용하게 될 때 발생되어 쌓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 그릴(2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그릴(20)은 상기 에어필터(3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흡입 그릴(20)은 판넬(10)에 대해 우측 단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흡입 그릴(20)의 우측 단부와 흡입구(11)의 내부 우측면은 서로 힌지(21)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흡입 그릴(20)은 힌지(21)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도면과 같이 실내기(1)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넬(10)의 좌측면에는 흡입 그릴(20)의 개폐시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작되는 개폐버튼(14)이 구비된다. 상기 개폐버튼(14)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흡입 그릴(20)의 좌측단을 간섭하여 회전을 방지하며 상기 개폐버튼(14)을 누를시에는 이러한 간섭이 해지되어 흡입 그릴(20)은 힌지(21)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실내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 흡입 그릴(20)은 상기 판넬(10)의 흡입구(11)의 내측에 안착되는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힌지(21)를 축으로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흡입 그릴(20)의 회동이 가능하여 개폐될 수 있지만, 상기 흡입 그릴(20)의 형상 또는 상기 흡입 그릴(20)의 결합구조에 제한이 생길 수 밖에 없다.
즉, 상기 흡입 그릴(20)이 판넬(10)에 삽입되지 않고 상기 판넬(10)을 덮는 구조를 가지거나, 상기 판넬(10)의 모서리 또는 각 선단부의 양측단이 중앙부보다 더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는 경우 상기 흡입 그릴(20)은 회동시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판넬(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 그릴의 외측단이 판넬의 토출구의 내측 라인을 형성할수 있도록 연장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 그릴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흡입 그릴의 형상에 따라 간섭되지 않고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의 천장면에 장착되어 실내기 하면 외관을 형성하며,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다수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판넬; 상기 토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베인; 및 상기 판넬의 흡입구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판넬의 외측에 장착되는 흡입 그릴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 그릴의 외측단에는 상기 토출구의 내측 라인과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요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 그릴의 모서리에는 상기 다수의 토출구 사이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 그릴의 모서리는 상기 요홈부보다 더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넬에는 상기 토출구의 외측 라인과 상기 베인의 외측 라인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외측 라인을 연결하는 폐곡선 형상의 라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운드 홈의 단면은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구 및 베인의 양측 단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 그릴에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그릴이 형성되며, 상기 그릴은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릴은,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 상단의 양측에서 천정면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릴의 상면에는 함몰되어 먼지나 이물질이 쌓이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요홈부는 상기 베인의 내측단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 그릴의 모서리는 서로 이웃 하는 상기 베인의 외측 라인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열교환기와 송풍팬이 구비되는 캐비넷; 상기 패비넷의 하면에 장착되며, 중앙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의 외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판넬; 상기 흡입구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패널에 장착되며, 상기 토출구의 내측라인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요홈부가 형성되는 흡입 그릴; 및 상기 판넬과 흡입 그릴에 양단이 장착되어 상기 판넬과 흡입 그릴을 연결하되,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회전하여 상기 흡입 그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판넬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패널측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 그릴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릴측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측 장착부는 상기 패널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한쌍이 대칭되는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흡입 그릴의 개방 방향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패널측 장착부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하여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테두리와, 상기 테두리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개구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롯과; 상기 슬롯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흡입 그릴이 닫히거나 열린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속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롯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출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연결부재 삽입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면은 상기 연결부재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슬롯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 그릴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1 구속부와, 상기 제 1 구속부와 떨어진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 그릴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2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구속부는, 상기 흡입 그릴이 닫힐때 상기 연결부재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상단에서 상기 바닥면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가 장착되는 쪽과 인접한 상기 흡입 그릴의 상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흡입 그릴이 닫힐 때 상기 판넬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흡입 그릴을 구속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와 대향되는 상기 흡입 그릴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흡입 그릴의 단부가 상기 판넬에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판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절곡부와, 상기 흡입그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절곡부와, 상기 상부 절곡부와 하부 절곡부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절곡부와 하부 절곡부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 그릴은 판넬을 덮을 수 있도록 장착되며, 특히 흡입 그릴이 판넬의 토출구까지 연장되어 상기 토출구의 내측 라인을 형상하도록 구성되어 외관이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토출구의 외측 라인과 흡입 그릴의 돌출부가 라운드 홈에 의해 하나의 폐곡선을 형성하도록 하여 부품간의 연결부위로 인해 발생되는 라인을 최소화 하여 외관이 한층더 돋보이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토출구의 외측 라인을 형성하는 라운드 홈의 단면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토출되는 공기가 판넬을 따라 흐르지 않고 실내측을 향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토출구의 양단이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토출되는 공기가 외측 방향으로 향하지 않고 내측을 향하도록 하여 판넬 및 천정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판넬에 장착되는 상기 흡입 그릴이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흡입 그릴의 개방시 상기 흡입 그릴이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흡입 그릴의 회동시 상기 흡입 그릴과 판넬의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 그릴의 개방시 상기 흡입 그릴의 내측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작업자가 흡입 그릴 및 에어필터의 청소 및 서비스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흡입 그릴의 장착방향에 따라 상기 흡입 그릴의 개방방향을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실내기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편리한 위치로 개방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 그릴을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을 보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절결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하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주요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판넬과 흡입 그릴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흡입 그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흡입 그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연결부재의 장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연결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흡입 그릴이 닫힌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부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2는 상기 흡입 그릴이 열린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도 12의 "B"부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4는 상기 흡입 그릴이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판넬 및 흡입 그릴의 공기 유동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16은 상기 토출구에서의 공기 토출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절결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이하 "실내기"라 칭함)는 전체적으로 실내 공간의 천장 내부에 삽입되는 캐비넷(110)과, 상기 캐비넷(110)의 하단에 구비되어 하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실내기의 설치시 상기 천장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판넬(200) 및 흡입 그릴(3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넷(110)의 내부에는 흡입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110)와, 실내공기의 강제 흡입 및 토출을 위한 송풍팬(120)과, 상기 송풍팬(120)을 향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벨마우스 형상의 에어가이드(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판넬(200)은 상기 캐비넷(110)의 하단에 장착되며, 하방에서 바라볼 때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넬(200)은 상기 캐비넷(110)의 하단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둘레부가 상기 천장의 하면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넬(200)에는 상기 캐비넷(110)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출구가 되는 토출구(210)가 천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210)는 상기 판넬(200)의 각 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210)는 상기 판넬(200)의 각 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판넬(200)에 장착되는 베인(22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넬(200)의 중앙부에는 흡입 그릴(300)이 장착된다. 상기 흡입 그릴(300)은 상기 실내기(10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흡입 그릴(300)의 적어도 일부는 그릴 또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실내공기의 유입이 원할하게 이루어 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판넬(200) 및 흡입 그릴(30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상기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하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주요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판넬과 흡입 그릴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흡입 그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넬(200)은 대략 사각형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흡입구(230)가 천공되어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230)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것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 그릴(300)의 크기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230)의 외측에는 상기 토출구(210)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210)는 상하좌우 모두 네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출구(210)의 양측단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230) 외측에는 그릴 안착부(232)가 형성된다. 상기 그릴 안착부(232)는 상기 흡입 그릴(300)이 지지될 수 있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그릴 안착부(232)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연결부재(400)가 장착되는 판넬측 장착부(260)가 형성된다.
상기 그릴 안착부(232)의 둘레는 전체적으로 상기 토출구(210)의 외측 라인을 연결하는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그릴(300)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그릴 안착부(232)의 둘레는 라운드 홈(234)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라운드 홈(234)은 네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 홈(234)의 모서리 부분은 상기 흡입 그릴(300)의 돌출부(320)의 단부와 대응하는 라인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토출구(210)의 베인(220)과 흡입 그릴(300) 및 상기 판넬(200)이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 홈(234)은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판넬(200)을 따라 흐르지 않고 실내 공간을 향하도록 단면이 소정의 라운드 또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210)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천장면이 젖거나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토출구(210)는 베인(2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인(220)의 일측 단부에는 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베인(220)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개폐되거나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인(220)의 형상은 상기 토출구(21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210)를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인(220)은 상기 토출구(210)와 동일하게 양측 단부가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인(220)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베인(220)의 외측단은 상기 라운드 홈(234)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판넬(200)과 접하고, 상기 베인(220)의 내측단은 상기 흡입 그릴(360)의 요입부(310)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넬(200)의 네 모서리에는 점검구(240)가 천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검구(240)는 상기 판넬(200)의 고정 및 설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판넬(200) 배면에 장착되는 전장 부품들의 서비스 또는 상기 실내기(100)의 동작 확인을 위한 것으로 코너 커버(242)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검구(240)와 코너 커버(242)는 상기 판넬(200)의 네 모서리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너 커버(242)의 단부는 상기 라운드 홈(234)을 경계로 상기 흡입 그릴(300)의 돌출부(320) 단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코너 커버(242)와 상기 돌출부(320)는 모두 상기 라운드 홈(234)과 대응하는 라인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일체감이 있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판넬(200)의 그릴 안착부(232)에는 필요에 따라 별도의 판넬 브라켓(236)이 장착될 수도 있으며, 상기 판넬 브라켓(236)은 상기 그릴 안착부(232)의 보강은 물론, 상기 그릴 안착부(232)에 장착되는 흡입 그릴(300)의 장착 및 개폐를 위한 구성들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판넬 브라켓(236)이 구비되지 않고, 상기 그릴 안착부(232)와 판넬 브라켓(236)이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그릴 안착부(232)가 판넬 브라켓(236)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흡입 그릴(300)은 상기 그릴 안착부(232)에 장착되며, 상기 흡입 그릴(3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판넬(200)의 하면과 상기 흡입 그릴(300)의 하면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어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 그릴(300)의 각 변에는 요입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요입부(310)는 각 상기 토출구(210)의 내측의 라인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 그릴(3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구(210)의 내측 라인과 상기 요입부(310)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요입부(310)는 양측단이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때의 곡률은 상기 토출구(210) 및 베인(22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그릴(300)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베인(220)의 내측 라인과 상기 흡입 그릴(300)의 단부는 동일 간격으로 인접하게 되며, 상기 흡입 그릴(300)과 판넬(200)은 보다 일체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흡입 그릴(300)의 네 모서리에는 돌출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20)는 상기 각각의 요입부(310) 사이의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요입부(310) 보다 더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320)는 상기 흡입 그릴(300)의 장착시 각각의 상기 토출구(21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돌출부(320)의 단부는 상기 라운드 홈(234)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그릴(300)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 그릴(300) 및 상기 베인(220)이 형성하는 둘레의 형상과 상기 라운드 홈(234)의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320)의 폭은 상기 코너 커버(242)의 폭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320)를 따라 형성되는 사이드 홈(238)은 상기 코너 커버(242)의 양측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판넬(200)의 단부까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홈(238)은 상기 흡입 그릴(300)의 요입부(310) 및 상기 베인(220)의 내측 라인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내기(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기(100)의 하면을 바라보게 될 때 상기 라운드 홈(234)이 중앙에 위치되고, 네 방향으로 각각의 상기 사이드 홈(238)이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 홈(234) 및 사이드 홈(238)에 의해 상기 흡입 그릴(300)과 토출구(210) 및 베인(220)의 형상이 정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입 그릴(300) 상면의 좌우 양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연결부재(400)가 장착되는 그릴측 장착부(370)가 형성된다. 상기 그릴측 장착부(370)는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부(350)의 바깥쪽에 형성되며, 한쌍의 리브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재(40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그릴(300)의 상면의 전단과 후단에는 각각 상기 흡입 그릴(300)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재(330)과, 상기 흡입 그릴(300)의 선택적인 구속을 위한 개폐부재(34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30)는 상기 흡입 그릴(300)의 후측에 별도의 부재로 장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판넬(200) 또는 판넬 브라켓(236)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쌍의 돌출된 고정편(332)과 상기 고정편(332)을 연결하며, 상기 흡입 그릴(300)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판(3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고정편(332)은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흡입 그릴(300)을 후방으로 밀어서 이동시킬 경우 상기 고정편(332)이상기 판넬(200)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흡입 그릴(300)의 후단이 상기 판넬(2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흡입 그릴(300)을 전방으로 당길 경우 상기 흡입 그릴(300)의 후단이 상기 판넬(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330)는 좌우 양측에 한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330)는 상기 흡입 그릴(300) 상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30)와 대응하는 상기 판넬(200) 또는 판넬 브라켓(236)에는 상기 고정부재(330)가 삽입되기 위한 고정부재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340)는 상기 고정부재(330)가 상기 판넬(200) 또는 판넬 브라켓(23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그릴(300)의 전단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판넬(200) 또는 판넬 브라켓(236)과 구속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속 및 구속해제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개폐부재(340)는 상기 흡입 그릴(300)의 전반부에 위치되며, 상기 고정부재(330)과 대응하는 간격으로 좌우 한쌍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340)는 사용자의 조작시 탄성에 의해 상기 판넬(200)과 흡입 그릴(300)이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흡입 그릴(300)의 분리 또는 장착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재(340)의 일측은 조작을 위해 상기 흡입 그릴(300) 하면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부재(340)의 동작을 위한 탄성은 자체의 탄성을 이용하거나 별도의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개폐부재(340)는 상기 흡입 그릴(300)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부(341)와 상기 고정부(341)에서 연장되며, 사용자가 조작하여 상기 고정부(341)를 이동시키는 조작부(345), 그리고, 상기 조작부(345)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조작부(345)의 조작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상의 탄성부(34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41)의 중앙에는 장공 형상의 가이드 홀(34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홀(342)의 내측에는 상기 흡입 그릴(300)에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301)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341)는 상기 가이드 돌기(301) 및 가이드 홀(342)에 의해 전후방향의 이동이 안내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341)의 좌우 양측단에는 상기 조작부(345)의 연장 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편(34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편(343)은 상기 고정부(341)의 이동시 상기 판넬(200) 또는 상기 판넬 브라켓(236)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개폐부재(340)에 의해 상기 흡입 그릴(300)이 상기 판넬(200)에 구속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344)는 후방을 향하여 만곡되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좌우 양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344)는 상기 흡입 그릴(300)의 일측과 만곡된 부분이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345)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344)에 의해 상기 고정부(341)는 전방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삽입편(343)이 상기 판넬(200) 또는 판넬 브라켓(236)과 구속되어 상기 흡입 그릴(300)은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45)를 조작하여 당기게 되면, 상기 탄성부(344)는 탄성 변형되며 상기 고정부(341)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삽입편(343)의 구속을 해제하게 되어 상기 흡입 그릴(300)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작부(345)는 상기 고정부(341)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며, 그 단부가 상기 흡입 그릴(300)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작부(345)는 상기 흡입 그릴(300)의 그릴(360) 사이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그릴(360) 사이의 흡입홀(352)에 손가락을 넣어 상기 조작부(345)를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 그릴(300)의 상면에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에어필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에어필터는 필터 케이스(25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 케이스(250)의 내부에는 이물질을 걸러내고 물리 화학적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가기 위한 상기 에어필터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필터는 설정된 시간 또는 사용 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필터 케이스로부터 분리되어 교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 그릴(300)의 중앙에는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흡입부(350)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부(350)는 상기 판넬(200)의 흡입구(230)의 내측 영역에 위치되며, 흡입되는 공기가 온전히 상기 판넬(200)을 통해 상기 캐비넷(110) 내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흡입 그릴(300)의 구체적인 형상을 도면을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상기 흡입 그릴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의 7-7'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 그릴(300)의 흡입부(350)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서로 교차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그릴(360)에 의해 격자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교차되는 그릴(360)의 사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홀(352)이 연속하여 형성된다.
상기 그릴(360)의 단면형상은 도면과 같이, 상기 그릴(360)은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각각의 흡입홀(352)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그릴(360)을 통과한 직후 서로 충돌되지 않고 원할하게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그릴(360)은 하방으로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그릴(300)의 상방에서 발생되는 먼지나 이물 등이 낙하하여 상기 공간에 모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그릴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그릴(360)은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361)와, 상기 경사부(361)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부(36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361)는 하방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도록 양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230)는 하단이 가장 넓게 되며, 상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점 좁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362)는 상기 경사부(361)의 상단에서 상기 흡입 그릴(300)의 바닥면과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경사부(361)의 상하 길이(D1)보다는 상기 수직부(362)가 더 짧은 길이(D2)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361)의 각도는 상기 경사부(361) 상단 즉, 상기 수직부(362)의 상단의 가로방향 거리(D3)와 상기 수직부(362)의 세로방향 길이(D2)를 비교할 때 상기 수직부(362) 상단의 거리(D3)가 적어도 수직부의 길이(D2)보다 2배 이상이 되도록 하여, 상기 흡입홀(352)을 통과하는 공기가 각각의 상기 흡입홀(352)의 상단에서도 분리된 상태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홀(352)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흡입홀(352)을 통과하게 될때 충돌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흡입 그릴(3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판넬(200)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흡입 그릴(300)의 개폐시 상기 흡입 그릴(300)과 상기 판넬(20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400)에 의해 상기 흡입 그릴(300)은 상기 판넬(200)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400)에 의해 상기 흡입 그릴(300)의 개폐시 상기 흡입 그릴(300)은 슬라이딩 이동 및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결부재(400) 및 상기 연결부재(400)의 장착을 위한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상기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연결부재의 장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연결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400)는 양단부가 각각 상기 판넬(200)과 흡입 그릴(300)에 장착되며, 좌우 양측에 한쌍이 구비되어 상기 흡입 그릴(300)과 상기 판넬(200)을 연결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흡입 그릴(300)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그릴측 장착부(370)가 형성되고, 상기 판넬(200)에는 판넬측 장착부(2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측 장착부(370)는 상기 연결부재(400) 하단에 형성되는 회전 결합부(422)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 결합부(42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쌍의 돌출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 결합부(422)는 상기 그릴측 장착부(370)의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 결합부(422)의 양측이 상기 그릴측 장착부(37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판넬측 장착부(260)는 상기 연결부재(400)의 상단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판넬(20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판넬측 장착부(260)는 상기 흡입 그릴(300)의 장착 방향에 관계없이 장착될 수 있도록 다수개가 구비된다. 즉, 상기 판넬측 장착부(260)는 상기 판넬(2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모두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그릴(300)의 장착 방향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흡입 그릴(300)의 개방 방향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400)를 상기 판넬(200)의 전반부에 위치된 상기 판넬측 장착부(260)에 장착하게 될 경우 상기 판넬(200)의 전반부를 축으로 상기 흡입 그릴(300)이 회동되면서 개방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연결부재(400)를 상기 판넬(200)의 후반부에 위치된 상기 판넬측 장착부(260)에 장착하게 될 경우 상기 판넬(200)의 후반부를 축으로 상기 흡입 그릴이 회동되면서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넬(200)에 형성되는 상기 판넬측 장착부(260)는 그 방향과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기본적인 구조와 형상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판넬측 장착부(260)는 상기 연결부재(40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테두리(261)와 상기 테두리(261)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롯(262)과, 상기 슬롯(262)의 좌우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4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구속부(265,26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261)는 상기 연결부재(400)의 단부가 수용되며,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261)는 전후 방향으로 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릴 안착부(23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262)은 상기 테두리(261)가 형성하는 공간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슬롯(262)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슬롯(262)의 폭은 상기 연결부재 상단의 폭 보다는 더 작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400)가 상기 슬롯(262)을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400)의 상단은 상기 슬롯(262)의 양측방으로 돌출되도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롯(262)의 좌우 양측방에는 바닥면(263)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400) 상단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접촉부(412)와 접하게 된다. 상기 접촉부(412)는 상기 연결부재(400)의 이동시 상기 바닥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닥면(263)은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412)가 자연스럽게 상기 바닥면(263)과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롯(262)의 일단에는 연결부재 삽입구(264)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 삽입구(264)는 상기 연결부재(400) 상단의 크기와 대응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400)가 상기 연결부재 삽입구(264)를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 삽입구(264)와 접하는 상기 바닥면(263)의 단부에는 제 1 구속부(265)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구속부(265)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롯(262)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연결부재(400)가 상기 연결부재 삽입구(264)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접촉부(412)가 상기 연결부재 삽입구(264) 측으로 향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263)의 일측에는 제 2 구속부(26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구속부(266)는 상기 흡입 그릴(30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412)가 위치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바닥면(263)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그릴(30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접촉부(412)가 상기 흡입 그릴(300)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제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구속부(266)는 상기 제 1 구속부(265)와 가까운 위치에서 멀어지는 위치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도록 경사면(267)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267)의 가장 높은 단부에서는 상기 바닥면(263)과 수직한 수직면(268)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그릴(300)을 닫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부재(400)의 접촉부(412)가 상기 제 1 구속부(265)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별다른 제약없이 상기 제 2 구속부(266)의 경사면(267)을 넘어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그릴(300)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400)의 접촉부(412)는 상기 제 2 구속부(266)의 수직면(268)과 접하여 상기 연결부재(400)의 임의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면(267)과 수직면(268)은 서로 직교하는 면을 갖도록 배치되어 상기 접촉부(412)의 슬라이딩 이동 및 구속이 각각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40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400)는 상기 흡입 그릴(300)의 완전한 개방시 상기 흡입 그릴(300)의 단부가 상기 판넬(200)에 간섭되지 않도록 충분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전체적으로 상부 절곡부(410)와 하부 절곡부(420) 그리고 중간 연결부(4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절곡부(410)는 상기 중간 연결부(430)를 기준으로 상방(도 11을 기준으로 할 때)으로 절곡 되고, 상기 하부 절곡부(420)는 그와 대향되는 하방으로 절곡되며, 상기 상부 절곡부(410)와 하부 절곡부(420)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절곡부(410)와 하부 절곡부(420)는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절곡부(410)의 기울기가 하부 절곡부(420)의 기울기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절곡부(410) 상단에는 접촉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412)는 상기 판넬측 장착부(260)의 바닥면(263)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절곡부(410) 상단의 좌우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412)는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도록 롤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절곡부(4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접촉부(412)는 상기 상부 절곡부(410)의 양측에서 돌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절곡부(410)와 중간 연결부(430) 및 하부 절곡부(420)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400)가 상기 슬롯(262)을 통과하여 슬라이딩 이동될 때에 상기 접촉부(412)는 상기 슬롯(262) 양측의 바닥면(263)과 접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412)의 직경은 상기 제 2 구속부(266)의 수직면(268)의 높이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흡입 그릴(300)을 개방하는 조작을 하게 될때 상기 접촉부(412)가 상기 수직면(268)을 넘어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절곡부(420)는 상기 중간 연결부(430)의 하단에서 연장되며, 좌우 양측에 한쌍이 연장되어 중앙 부분이 서로 떨어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절곡부(420)의 하단 양측에는 회전 결합부(422)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 결합부(422)는 상기 흡입 그릴(300)에 형성된 그릴측 장착부(370)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그릴(300)은 개방시 상기 회전 결합부(422)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구조가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흡입 그릴의 개폐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상기 흡입 그릴이 닫힌 상태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1는 도 10의 "A"부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흡입 그릴(300)이 상기 판넬(200)에 장착되어 완전히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 그릴(300)의 하면과 상기 판넬(200)의 하면 둘레부는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400)는 상기 흡입 그릴(300)과 수평한 상태가 되며, 상기 접촉부(412)는 상기 제 2 구속부의 수직면(268)과 접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412)는 수직면(268)에 의해 일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 그릴(300)에 장착된 상기 고정부재(330)가 상기 판넬(200)에 삽입되어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개폐부재(340)에 의해 상기 판넬(200)과 구속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그릴(300)은 상기 판넬(200)에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실내기(100)는 운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실내기(100)의 사용 중 상기 실내기(100) 내부의 서비스 또는 청소가 필요하거나, 상기 실내기(100) 내측의 에어필터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상기 흡입 그릴(300)을 개방하여야 한다.
상기 흡입 그릴(300)의 개방을 위해서는 먼저 상기 개폐부재(340)를 조작하여 상기 흡입 그릴(300)의 일단이 상기 판넬(200)로부터 구속이 해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 그릴(300)을 전방으로 당겨 접촉부(412)가 상기 제 2 구속부(266)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흡입 그릴(300) 또한 전방으로 다소 이동되어 상기 고정부재(330)가 상기 판넬(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흡입 그릴(300)과 판넬(200) 사이의 구속 구조가 완전히 해제되어 상기 흡입 그릴(300)은 전후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흡입 그릴(300)을 후방으로 밀어주게 되면, 상기 접촉부(412)는 상기 제 2 구속부(266)의 수직면(268)을 넘어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412)는 상기 바닥면(263)의 경사를 따라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흡입 그릴(300)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접촉부(412)는 상기 제 1 구속부(265) 까지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이동된다. 동시에, 상기 상기 흡입 그릴(300)의 일측에 치우치도록 위치된 상기 그릴 안착부(232)의 위치로 인하여 상기 흡입 그릴(300)은 자연스럽게 회전하면서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40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상기 판넬(200)과 상기 흡입 그릴(300)의 사이는 충분한 간격이 생기게 되며, 상기 흡입 그릴(300)의 개방을 위한 회전시 상기 흡입 그릴(300)과 판넬(200)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흡입 그릴(300)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돌출부(320)는 상기 판넬(200)을 덮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이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4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판넬(200)과 흡입 그릴(300) 사이가 이격될 수 있게 되어 상기 흡입 그릴(300)의 회전시에도 상기 돌출부(320)의 간섭 없이 상기 흡입 그릴(300)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400)와 상기 판넬(200) 및 흡입 그릴(300)의 결합관계에 의해 상기 흡입 그릴(300)은 상기 연결부재(400)의 접촉부(412)가 상기 제 1 구속부를 넘어서는 순간부터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2는 상기 흡입 그릴이 열린 상태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도 12의 "B"부의 요부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흡입 그릴이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 그릴(300)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 그릴(300)의 전단이 하방을 향하게 되며, 상기 흡입 그릴(300)의 배면이 완전히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기(100) 내부의 청소 및 서비스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에어필터의 교환 및 흡입 그릴(300)의 청소 또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입 그릴(300)의 완전한 개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412)는 상기 제 1 구속부(265)와 접하는 상태가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412)는 상기 제 1 구속부(265)에 의해 더 이상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400)는 하방을 향하도록 회전되며, 상기 흡입 그릴(300)이 상기 판넬(200)에 수직하게 개방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흡입 그릴(300)을 탈거하여 상기 판넬(200)과 분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부(412)가 상기 제 1 구속부(265)에 접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흡입 그릴(300)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상기 접촉부(412)가 상기 제 1 구속부(265)를 넘어 상기 연결부재 삽입구(264)를 통해 상기 접촉부(412)가 빠져 나올수 있게 되어 상기 연결부재(400)가 상기 판넬측 장착부(260)와 분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흡입 그릴(300)을 상기 판넬(200)에 장착하거나 닫기 위해서는 상기의 과정의 역순을 통해서 상기 연결부재(400)를 상기 판넬측 장착부(260)에 삽입하고, 상기 흡입 그릴(300)의 회동 및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접촉부(412)가 상기 제 2 구속부(266)의 수직면(268)과 접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30) 및 개폐부재(340)가 상기 판넬(200)을 구속하도록 하여 상기 흡입 그릴(300)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공기의 흡입 및 토출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5은 상기 판넬 및 흡입 그릴의 공기 유동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그리고, 도 16은 상기 토출구에서의 공기 토출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100)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상기 흡입 그릴(300)을 통해서 상기 실내기(100)의 내측으로 흡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00)의 내측에서 열교환된 후 다수의 토출구(210)를 통해서 외측으로 배출된다.
상기 토출구(210)에 구비되는 베인(220)의 회전시 상기 베인(220)의 방향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결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토출구(210)에서는 외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이때, 토출구(210)의 외측 라인은 상기 라운드 홈(234)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라운드 홈(234)은 단면의 형상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도 15에서와 같이 토출되는 공기는 판넬(200)의 외측면을 따라 흐르지 않고 실내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토출구(210) 외측의 판넬(200) 또는 천장면을 오염시키지 않고 실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판넬(200)의 상기 토출구(210)의 양측단은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뿐만 아니라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단부의 형상이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21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가이드부재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특히 토출구(210)의 양측단의 경우 상기 토출구(210)의 양측단을 향하여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토출구(210)의 양측단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중앙측을 향하여 모아 줄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상기 토출구(210)의 양단 및 상기 베인(220)의 단부에 이슬맺힘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Claims (22)

  1. 실내의 천장면에 장착되어 실내기 하면 외관을 형성하며,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다수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판넬;
    상기 토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베인; 및
    상기 판넬의 흡입구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판넬의 외측에 장착되는 흡입 그릴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 그릴의 외측단에는 상기 토출구의 내측 라인과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요홈부가 형성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그릴의 모서리에는 상기 다수의 토출구 사이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그릴의 모서리는 상기 요홈부보다 더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에는 상기 토출구의 외측 라인과 상기 베인의 외측 라인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외측 라인을 연결하는 폐곡선 형상의 라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홈의 단면은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 및 베인의 양측 단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그릴에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그릴이 형성되며,
    상기 그릴은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은,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 상단의 양측에서 천정면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의 상면에는 함몰되어 먼지나 이물질이 쌓이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는 상기 베인의 내측단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그릴의 모서리는 서로 이웃 하는 상기 베인의 외측 라인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2. 열교환기와 송풍팬이 구비되는 캐비넷;
    상기 패비넷의 하면에 장착되며, 중앙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의 외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판넬;
    상기 흡입구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패널에 장착되며, 상기 토출구의 내측라인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요홈부가 형성되는 흡입 그릴; 및
    상기 판넬과 흡입 그릴에 양단이 장착되어 상기 판넬과 흡입 그릴을 연결하되,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회전하여 상기 흡입 그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패널측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 그릴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릴측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측 장착부는 상기 패널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한쌍이 대칭되는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흡입 그릴의 개방 방향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패널측 장착부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하여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테두리와,
    상기 테두리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개구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롯과;
    상기 슬롯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흡입 그릴이 닫히거나 열린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속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출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연결부재 삽입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연결부재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슬롯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 그릴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1 구속부와,
    상기 제 1 구속부와 떨어진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 그릴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2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속부는,
    상기 흡입 그릴이 닫힐때 상기 연결부재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상단에서 상기 바닥면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장착되는 쪽과 인접한 상기 흡입 그릴의 상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흡입 그릴이 닫힐 때 상기 판넬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흡입 그릴을 구속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대향되는 상기 흡입 그릴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흡입 그릴의 단부가 상기 판넬에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판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절곡부와,
    상기 흡입그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절곡부와,
    상기 상부 절곡부와 하부 절곡부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절곡부와 하부 절곡부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130117978A 2013-10-02 2013-10-02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706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978A KR101706812B1 (ko) 2013-10-02 2013-10-02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01420323447.8U CN203980447U (zh) 2013-10-02 2014-06-17 嵌入式空气调节器的室内机
CN201410270547.3A CN104515201B (zh) 2013-10-02 2014-06-17 嵌入式空气调节器的室内机
EP14185285.5A EP2857763B1 (en) 2013-10-02 2014-09-18 Indoor unit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US14/505,190 US10197298B2 (en) 2013-10-02 2014-10-02 Indoor device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978A KR101706812B1 (ko) 2013-10-02 2013-10-02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423A true KR20150039423A (ko) 2015-04-10
KR101706812B1 KR101706812B1 (ko) 2017-02-14

Family

ID=51542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978A KR101706812B1 (ko) 2013-10-02 2013-10-02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97298B2 (ko)
EP (1) EP2857763B1 (ko)
KR (1) KR101706812B1 (ko)
CN (2) CN20398044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9525B2 (en) 2013-05-23 2017-08-01 Jeffrey Butler Cunnane Medallion fan
USD752200S1 (en) * 2013-12-10 2016-03-22 Delta Electronics, Inc. Ventilation fan
JP6481821B2 (ja) * 2015-04-28 2019-03-13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1881907B1 (ko) * 2015-10-23 2018-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EP3587951B1 (en) * 2017-02-23 2021-03-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 conditioner
CN109477658B (zh) * 2017-03-27 2021-07-06 张益艳 一种空调机组
KR102313903B1 (ko) 2017-05-25 2021-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JP6833073B2 (ja) * 2018-01-25 2021-02-2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9253536B (zh) * 2018-10-24 2023-07-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进风格栅卡扣结构及其安装方法
US11326792B2 (en) * 2019-02-15 2022-05-10 Broan-Nutone Llc Grille attachment system for a ventilation system
CN110906449A (zh) * 2019-11-19 2020-03-24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天花机面板与格栅安装结构及空调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920Y1 (en) * 1991-09-10 1996-06-17 Daewoo Electronics Co Ltd Air inlet grill
KR20070080383A (ko) * 2006-02-07 2007-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9168347A (ja) * 2008-01-16 2009-07-30 Daikin Ind Ltd 吸込グリル
KR20120082934A (ko) * 2009-11-05 2012-07-24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Family Cites Families (8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3320A (ja) 1982-03-31 1983-10-12 Matsushita Seiko Co Ltd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KR960004920B1 (ko) 1993-12-29 1996-04-17 주식회사기아기공 대포의 격발장치
US5775989A (en) 1995-08-21 1998-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ir flow control louver
JP2828432B2 (ja) 1995-10-31 1998-11-25 三星電子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吐出口開閉装置
US5642608A (en) 1995-11-01 1997-07-01 Deere & Company Shaft structure for a cotton harvester doffer column
KR0168265B1 (ko) 1996-09-03 1999-01-15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풍향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5746655A (en) 1996-12-10 1998-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n air outlet of an air conditioner
JP3052862B2 (ja) * 1996-12-16 2000-06-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用室外機
JP3765357B2 (ja) 1997-06-20 2006-04-1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KR200161129Y1 (ko) 1997-08-29 1999-11-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조립구조
JP3791159B2 (ja) 1997-11-20 2006-06-2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DE69724627T2 (de) 1997-12-24 2004-06-24 Carrier Corp., Farmington Deckenmontierte Vorrichtung für Heizung und Kühlung
JP3885846B2 (ja) 1998-04-17 2007-02-2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US6250373B1 (en) 1998-07-20 2001-06-26 Carrier Corporation Ceiling mounted apparatus for heating and cooling
JP4462389B2 (ja) * 1998-11-20 2010-05-1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US6598413B2 (en) 1999-01-25 2003-07-2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eiling embedded-type air conditioner
JP3282616B2 (ja) 1999-11-05 2002-05-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4378816B2 (ja) 1999-12-20 2009-12-0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N2420551Y (zh) * 2000-04-19 2001-02-21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装置
US6802361B2 (en) * 2000-06-22 2004-10-12 Air Techno Company Limited Ceiling panel structure for a ceiling-mounted air-conditioning apparatus or the like
US6264552B1 (en) 2000-07-13 2001-07-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JP3850221B2 (ja) 2001-02-02 2006-11-29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AU2001294177B2 (en) 2000-10-04 2004-07-22 Sharp Kabushiki Kaisha Air conditioner and temperature detector
US6692349B1 (en) 2001-06-11 2004-02-17 Fusion Design, Inc. Computer controlled air vent
AU2002314572A1 (en) 2001-06-19 2003-01-02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JP4170676B2 (ja) 2001-07-16 2008-10-2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天井型エアコンのベーン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371926B1 (ko) 2002-02-19 2003-02-12 디아이에스테크(주) 실내 환기구의 그릴제어장치
ITBS20020067A1 (it) 2002-07-29 2004-01-29 Elettro Plastica Domestici Climatizzatore ad installazione universale
JP3730604B2 (ja) 2002-08-01 2006-01-0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WO2004020915A1 (ja) 2002-08-30 2004-03-11 Toshiba Carrier Corporation 空気調和装置
JP3981620B2 (ja) 2002-10-21 2007-09-26 タカラ産業株式会社 エアコン吹口出の風向調整用ルーバー
WO2004040204A1 (ja) 2002-10-31 2004-05-13 Daikin Industries,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4279564B2 (ja) 2002-11-11 2009-06-17 三星電子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04218963A (ja) * 2003-01-16 2004-08-05 Sanyo Electric Co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US20040166797A1 (en) 2003-02-03 2004-08-26 Steven Thrasher Electrically isolate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ventilation registers
KR100628205B1 (ko) 2003-05-28 2006-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50053465A1 (en) 2003-09-04 2005-03-10 Atico International Usa, Inc. Tower fan assembly with telescopic support column
KR100626444B1 (ko) 2003-11-24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0455917C (zh) 2004-06-21 2009-01-2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
KR100733296B1 (ko) 2004-07-27 2007-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3806881B2 (ja) 2004-11-08 2006-08-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100583415B1 (ko) 2004-12-01 2006-05-2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룸 에어컨용 실내기의 수평블레이드 체결구조
KR101035169B1 (ko) 2004-12-03 2011-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이중서랍
JP2006300433A (ja) 2005-04-21 2006-11-02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WO2007035025A2 (en) 2005-09-22 2007-03-29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4923639B2 (ja) 2005-11-11 2012-04-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パネル及び空気調和装置
US8408021B2 (en) * 2006-02-07 2013-04-02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304608B1 (ko) 2006-03-20 2013-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07108584A1 (en) * 2006-03-20 2007-09-27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4107334B2 (ja) 2006-04-21 2008-06-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0794596B1 (ko) 2006-08-11 2008-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80075632A (ko) 2007-02-13 2008-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실내기
KR100972273B1 (ko) 2007-07-25 2010-07-23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BRPI0816485B1 (pt) 2007-09-07 2019-08-13 Toshiba Carrier Corp condicionador de ar embutido no teto
KR101163860B1 (ko) 2007-09-07 2012-07-11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
CN101464041A (zh) 2007-12-19 2009-06-2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吊顶式空调器四风口导风叶片结构
CN102149981B (zh) 2008-01-30 2014-01-08 Lg电子株式会社 空调用的格栅单元及其制造方法
KR101356650B1 (ko) 2008-02-12 201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7992794B2 (en) 2008-07-10 2011-08-0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Backup control for HVAC system
JP5193782B2 (ja) 2008-09-30 2013-05-08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20100073121A (ko) 2008-12-22 2010-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632884B1 (ko) 2008-12-23 2016-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045380B1 (ko) 2008-12-23 2011-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065830B1 (ko) 2008-12-29 2011-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CN201368569Y (zh) 2009-01-06 2009-12-23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空调摆风叶限定装置
US8393550B2 (en) 2009-01-30 2013-03-12 Tim Simon, Inc. Thermostat assembly with removable communication module and method
DK2276933T3 (da) 2009-03-04 2011-09-19 Dyson Technology Ltd Ventilator
ES2437740T3 (es) 2009-03-04 2014-01-14 Dyson Technology Limited Aparato humidificador
JP4803297B2 (ja) 2009-10-30 2011-10-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ラ及び空気調和機
JP4803296B2 (ja) 2009-10-30 2011-10-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室内機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US7908879B1 (en) 2009-11-03 2011-03-22 Chen Yung-Hua Multifunctional ceiling air-conditioning circulation machine
CN102725589B (zh) 2010-01-26 2015-03-04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装置的顶置式室内单元
JP5258816B2 (ja) 2010-02-27 2013-08-0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20120001065U (ko) 2010-08-05 2012-02-15 고영신 천장형 에어컨 바람 가이드
GB2482547A (en) 2010-08-06 2012-02-08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with a heater
CN102478304A (zh) * 2010-11-22 2012-05-30 大连创达技术交易市场有限公司 空调中过滤网取出装置
JP5005826B1 (ja) 2011-04-08 2012-08-22 午郎 佐伯 エアーコンディショナーの室内機から吹き出された空気の流れ方向を制御する指向制御板
GB2501301B (en) 2012-04-19 2016-02-03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CN202630252U (zh) 2012-06-04 2012-12-26 大金工业株式会社 天花板嵌入式空调机
JP5847034B2 (ja) 2012-07-24 2016-01-2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3183736U (ja) 2013-03-15 2013-05-30 アイディー・シー株式会社 エアコン用風向調整具
JP6369684B2 (ja) 2014-10-10 2018-08-0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920Y1 (en) * 1991-09-10 1996-06-17 Daewoo Electronics Co Ltd Air inlet grill
KR20070080383A (ko) * 2006-02-07 2007-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9168347A (ja) * 2008-01-16 2009-07-30 Daikin Ind Ltd 吸込グリル
KR20120082934A (ko) * 2009-11-05 2012-07-24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812B1 (ko) 2017-02-14
CN104515201A (zh) 2015-04-15
EP2857763B1 (en) 2018-02-21
CN104515201B (zh) 2018-10-30
EP2857763A1 (en) 2015-04-08
CN203980447U (zh) 2014-12-03
US10197298B2 (en) 2019-02-05
US20150093983A1 (en) 2015-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169B1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706812B1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50041340A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833303B1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3130864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5823881B2 (ja) 空気調和機
KR20080110109A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532245B1 (ko) 공기 조화기
KR20150103581A (ko)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KR101342217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JP2015068550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20080056509A (ko) 공기조화기
KR20070044301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지지구조
KR20070044342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루버모터 장착구조
KR20070006417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40901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5750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05178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33441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0612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74274B1 (ko) 환기 청정 장치
KR10134504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005072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11336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77373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