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217B1 -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 Google Patents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2217B1 KR101342217B1 KR1020070109167A KR20070109167A KR101342217B1 KR 101342217 B1 KR101342217 B1 KR 101342217B1 KR 1020070109167 A KR1020070109167 A KR 1020070109167A KR 20070109167 A KR20070109167 A KR 20070109167A KR 101342217 B1 KR101342217 B1 KR 1013422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door unit
- air
- ventilation
- indoor
- outside 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36—Ducting arrangements with ducts including air distributors, e.g. air collecting boxes with at least three open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키트를 구비한 실내기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가 환기되도록 한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는, 실외와 실내기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기(100)로 외기를 안내하는 환기덕트(210)와, 상기 실내기(100)로 안내된 외기 중 일부를 실내기(100) 내부로 안내하는 외기유입구(136)와, 상기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 외기와 실내 공기를 분리하여 안내하는 에어가이드(160)와, 상기 실내기(100)로 안내된 외기 중 나머지를 실내기(100) 내부로 안내하는 덕트연결구(280)와, 상기 에어가이드(160)와 덕트연결구(280)에 의해 안내된 외기를 실내팬(170)으로 안내하기 위한 다수 환기유로(226)가 형성된 환기바디(2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 공간의 공기를 청정하게 유지 가능하므로 제품만족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환기키트, 유로
Description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 전면판넬이 분리된 모습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환기키트의 외관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 환기키트 및 덕트연결구의 결합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환기키트와 전면판넬의 내부 결합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7 은 도 6의 Ⅰ- Ⅰ'부 종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환기키트와 전면판넬의 외부 결합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 외기의 유입 경로를 보인 사시도.
도 10 은 도 2의 Ⅱ-Ⅱ'부 종단면도.
도 11 은 도 2의 Ⅲ-Ⅲ'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실내기 110. 전면판넬
130. 캐비넷 136. 외기유입구
144. 지지구멍 150. 드레인팬
152. 집수공간 154. 관통구
156. 실내열교환기 158. 외기안내구멍
160. 에어가이드 162. 공기안내구멍
164. 외기유로 180. 오리피스
182. 오리피스공 200. 환기키트
210. 환기덕트 220. 환기바디
222. 실내공기유로 224. 열교환유로
226. 환기유로 227. 제1환기유로
228. 제2환기유로 229. 제거부
230. 설치브라켓 236. 전면결합구
238. 바디결합구 240. 보강부재
250. 걸림부 252. 전면걸림부
254. 바디걸림부 260. 유로형성부재
280. 덕트연결구 282. 덕트연결부
284. 방향전환부 286. 통공부
290. 구속부 292. 바디구속부
294. 전면구속부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기키트를 구비한 실내기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하기 위한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반대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로 나뉘어지는데, 상기 실외기에는 응축기(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에는 증발기(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 기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설치공간이나 소음등을 고려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선호된다.
즉,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 개의 실내기가 연결되며, 이러한 실내기가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여러 대의 공기조화기를 설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멀티형 공기조화기 중에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이하 '실내기'라 칭함)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을 보인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1)는 상부가 천장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며, 하면은 천장 하측으로 노출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한 후 열교환 후 다시 실내로 토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는 하면 외관의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전면판넬(10)과, 상기 전면판넬(10) 중앙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그릴(20)과, 상기 실내기(1)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다수개의 부품이 내장되는 캐비넷(30)과, 상기 캐비넷(30) 상면을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기(1)가 천장 내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베이스(4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넬(10)은 내부가 사각형 모양으로 천공되어 상기 흡입그릴(20)이 장착되며 하면에는 직사각형상의 토출구(12)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2)는 상기 실내기(1) 내부에서 열교환 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판넬(10)의 전후좌우에 동일한 형상으로 천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2)에는 토출구(12)를 통해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강제하는 루버(14)가 형성된다. 상기 루버(14)는 상기 토출구(12)의 형상 및 크기와 대응되는 사각판 모양을 가지며,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회동함으로써 공기 유동 방향을 강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면판넬(10)의 중앙부에는 대략 사각판 모양을 가지는 흡입그릴(20)이 장착된다. 상기 흡입그릴(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그릴(20)의 중앙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절제되어 상하부가 관통되도록 흡입구(22)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20)의 상측 즉, 상기 캐비넷(30)의 내부에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실내 공기가 실내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강제하는 송풍수단과, 상기 실내기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냉매로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등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천장형 실내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실내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한 후 열교환하여 토출하게 되므로, 실내 공기의 온도 조절만 가능할 뿐 실내 공기의 청정도를 유지 또는 향상시키는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를 작동시에 실내 공간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여 공기 조화 효율을 높이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실내 공기는 점차적으로 탁해지므로 바람직 하지 못하다.
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가 탁해지면 창문을 열어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의 환기는 실내 기온을 높익 되므로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공간으로 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시켜 실내 공기가 환기되도록 한 환기키트를 구비하여 실내 공기의 청정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한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실내기에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환기키트를 선택적으로 추가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소비자의 구매욕이 충족되도록 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는, 실외와 실내기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기로 외기를 안내하는 환기덕트와, 상기 실내기로 안내된 외기 중 일부를 실내기 내부로 안내하는 외기유입구와, 상기 실내기 내부로 유입된 외기와 실내 공기를 분리하여 안내하는 에어가이드와, 상기 실내기로 안내된 외기 중 나머지를 실내기 내부로 안내하는 덕트연결구와, 상기 에어가이드와 덕트연결구에 의해 안내된 외기를 실내팬으로 안내하기 위한 다수 환기유로가 형성된 환기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기유입구는, 상기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 일측에서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상기 환기덕트와 실내기가 연통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가이드 일측에는, 상기 외기유입구와 연통되어 실내기 내부로 유입된 외기를 실내기 하부로 안내하는 외기유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팬 일측에는, 상기 외기유로와 연통하여 외기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외기가 드레인팬을 관통하도록 하는 외기안내구멍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기유로는, 상기 외기유로가 안내한 외기를 실내팬으로 안내하는 제1환기유로와, 상기 덕트연결구가 안내한 외기를 실내팬으로 안내하는 제2환기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기유로를 지나온 외기는 흡입구를 통해 실내기 내부로 유입된 실내 공기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내기 내부에서 혼합된 실내공기와 외기는, 상기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 일측에 천공된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환기유로는, 상기 환기바디의 외측에서 중앙을 향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 공간의 공기를 청정하게 유지 가능하므로 제품만족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 전면판넬이 분리된 모습을 보인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100)는 상부가 천장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하면은 천장 하측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00)는 하면 외관의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전면판넬(110)과, 상기 전면판넬(110) 중앙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그릴(120)과, 상기 실내기(10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다수개의 부품이 내장되는 캐비넷(130)과, 상기 캐비넷(130) 상면을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기(100)가 천장 내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베이스(도 3의 도면부호 14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넬(110)은 정사각형 모양의 판넬 형상을 가지며, 중앙부에는 상기 흡입그릴(120)이 장착된다. 즉, 상기 전면판넬(110)의 중앙부에는 정사각형 모양의 흡입구(112)가 천공되며, 상기 흡입구(112)는 흡입그릴(120)의 외곽 형상 및 크기와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112) 내부에 흡입그릴(120)이 설치되면, 상기 흡입그릴(120)은 실내기(100)의 하면 중앙부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넬(110)의 전/후 및 좌/우에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 모양의 토출구(114)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14)는 흡입구(112)를 통해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와 실내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14) 내부에는 토출구(114)를 통해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강제하는 루버(116)가 장착된다. 상기 루버(116)는 토출구(114)의 형상 및 크기와 대응되는 사각판 모양을 가지며, 일단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루버(116)의 일단에는 전원 인가시에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루버모터(미도시)가 연결되며, 상기 루버모터의 회전동력에 의해 루버(116)가 연동하여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루버(116)의 상면과 토출구(114)를 통해서 토출되는 공기가 서로 접촉하게 되면, 상기 루버모터의 회동에 의해 루버(116)와 토출 공기의 접촉각이 시시각각 변하게 되어 상기 루버(116)는 토출 공기가 여러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강제하게 된다.
상기 흡입그릴(120)은 실내 공기가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전면(全面)에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공기유동공(122)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동공(122)은 흡입그릴(12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실내기(100) 내부 중앙의 공간이 실내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기(100)가 작동시에 상기 공기유동공(122)을 통해서 실내 공기가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되며, 상기 토출구(114)에 의해 안내되 어 다시 실내로 유입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흡입그릴(120)의 상측에는 에어필터(124)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필터(124)는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을 필터링하는 것으로, 유연성있는 재질로 성형되며 전면(全面)에는 미세구멍이 천공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112)를 통해서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이물은 상기 미세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잔류되어 상기 에어필터(124)의 하면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는 이물의 적재가 미연에 방지된다.
상기 에어필터(124)의 상측에는 드레인팬(150)이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팬(150)은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열교환기(156)와 실내 공기가 열교환시에 실내열교환기(156) 외면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방에서 본 실내열교환기(156)의 외곽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150)의 상면에는 하방향으로 함몰된 집수공간(152)이 형성된다. 상기 집수공간(152)의 내부에는 실내열교환기(156)의 하단부가 수용 및 안착됨으로써 실내열교환기(156) 외면에 포집된 응축수는 하방향으로 흘러내려 상기 집수공간(152) 내부에 수용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150)은 에어필터(124)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드레인팬(150)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즉, 상기 드레인팬(150)의 중앙부에는 동그랗게 관통구(154)가 천공된다. 따라서, 실내 공기는 상기 흡입구(112)와 관통구(154)를 통해 상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드레인팬(150)의 상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집수공간(152)의 상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열교환기(156)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56)는 에어필터(124)에 의해 정화된 실내 공기를 열교환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가 유동하게 된다.
상기 드레인팬(150)의 좌측 모서리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외기안내구멍(158)가 형성된다. 상기 외기안내구멍(158)은 환기덕트(210)를 통해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 외기가 드레인팬(150)을 관통하여 드레인팬(150)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외기유입구(도 10의 도면 부호 136)와 연통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56)는 상방에서 볼 때 대략 마름모 형상으로 절곡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56)는 공기와의 열교환 면적이 넓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늘고 긴 관을 다수회 절곡한 형상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볼 때 사각형이다.
따라서, 상기 관통구(154)를 통해 상방향으로 유동한 실내 공기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유동 강제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156)와 열교환하게 되며, 열교환 과정 중에 상기 실내열교환기(156)의 외면에 발생된 응축수는 상기 집수공간(152)에 집수 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56)의 외측에는 에어가이드(160)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60)는 실내열교환기(156)를 지나면서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토출구(114)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내측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56)가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는 상기 토출구(114)와 연통되는 공기안내구멍(162)이 천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열교환기(156)를 지나면서 열교환 된 실내 공기는 상기 공기안내구멍(162)을 통해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토출구(114)를 통해 다시 실내로 순환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60)의 좌측 내부에는 외기유로(도 10의 도면부호 164)가 구비된다. 상기 외기유로(164)는 외기유입구(도 10의 도면부호 136)를 통해 캐비넷(130) 내부로 유입된 외기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에어가이드(160)의 좌측면에서 우측방향으로 함몰된 후 우측단부는 하방향으로 천공된다.
따라서, 상기 외기유로(164)를 따라 유동하는 외기는 상기 드레인팬(150) 하측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160)의 외측에는 전술한 캐비넷(130)이 구비된다. 상기 캐비넷(130)은 다수개의 판이 서로 결합되어 상방에서 볼 때 8각형을 이루며, 상기 실내기(100)의 전/후/좌/우/면 외관을 형성함으로써 실내기(100) 내부를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130)의 하단부는 아래에서 설명할 환기키트(200)의 상단부와 접촉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캐비넷(130)의 상단부는 베이스지지대(142) 의 하면과 결합된다.
즉, 상기 캐비넷(130)의 측면 상단부에는 베이스지지대(142)의 하단부 일측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후에 상방 절곡된 삽입편(132)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편(132) 내부에 베이스지지대(142)의 테두리 하단부가 결합되면, 상기 캐비넷(130) 내부는 외부로부터 격리되어 공기의 유입이 차단된다.
상기 캐비넷(130)의 측면 중앙부에는 체결플랜지(134)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플랜지(134)는 실내기(100)가 천장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천장에 고정된 와이어(미도시)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실내기(100)의 하중이 천장에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캐비넷(130)의 좌측면 일측에는 외기유입구(도 9의 도면부호 136)가 구비된다. 상기 외기유입구(136)는 상기 실내기(100)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천공된 것으로 환기덕트(210)와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외기유입구(136)는 캐비넷(130)에 동그랗게 슬리팅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천공된다. 이것은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환기 기능을 가진 공기조화기를 제조하고자 할 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130) 내부 중앙에는 실내팬(170)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170)은 전원 인가시에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팬모터(172)와 축결합되어 연동함으로써 공기 유동을 강제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실내팬(170)의 중앙부로는 상방향의 흡입력을 발생하며 외주면 방향으로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풍력을 발생하게 된 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170)이 팬모터(172)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빠른 속도로 회동하게 되면 하측에 발생된 흡입력은 관통구(154) 및 흡입구(112)에 전달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팬(170)의 중앙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외주면 방향으로 송풍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156)를 관통함으로써 냉매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팬모터(172)의 상측에는 모터마운트(176)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마운트(176)는 실내팬(170)과 축결합된 팬모터(172)가 하측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140)의 저면에 모터마운트(176)의 상면이 접한 후에 체결부재(미도시)로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170)은 하방향으로 낙하하지 않고 캐비넷(130) 내부 중앙에서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팬모터(172)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빠른 속도로 회동하더라도 모터마운트(176)에 의해서 견고하기 지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실내팬(170)의 하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관통구(154) 내부에는 오리피스(180)가 구비된다. 상기 오리피스(180)는 드레인팬(150) 하측에서 상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실내팬(170)의 중앙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가 드레인팬(150)의 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놓이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180)의 내부에는 상하로 천공되어 상기 드레인팬(150) 하측의 공기가 드레인팬(150)을 관통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오리피스공(182)이 형성된다
상기 오리피스공(182)의 내경은 실내팬(170)의 외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며, 상기 오리피스공(182)의 내부에 상기 실내팬(170)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170)이 회동하여 하측으로 흡입력을 발생하게 되면, 상기 드레인팬(150)을 기준으로 하측의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공(182)을 따라 상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실내팬(170)의 중앙부로 유입된다.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에는 천공 성형된 체결공(184)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공(184)은 오리피스(180)가 드레인팬(150)에 체결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체결공(184)에 삽입된 체결부재의 단부가 상기 관통구(154)의 외측에 체결되면 상기 오리피스(180)는 드레인팬(150)의 중앙에 고정된다.
상기 실내기(100)의 상면에는 대략 팔각판 모양의 베이스(140)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140)는 일측이 실내 공간의 천장에 고정부재(미도시)로 고정되어 상기 실내팬(170) 및 팬모터(172)를 포함하는 실내기(100)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중앙부에는 상기 모터마운트(176)가 체결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구멍(14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마운트(176)의 테두리부를 관통한 체결부재가 상기 지지구멍(144)에 체결되면 상기 모터마운트(176)는 베이스(14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140)의 전면(全面)에는 좌/우로 대칭되는 형상의 보강부(146)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146)는 베이스(14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팬 및 팬모터의 하중을 감안할 때 상기 베이스(14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140)의 하측에는 베이스지지대(142)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지지대(142)는 상기 베이스(140)의 하면 테두리부를 지지하여 베이스(14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강부(146)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지지대(142)와 보강부(146)에 의해 상기 베이스(140)는 변형이 방지된다.
상기 베이스지지대(142)의 중앙에는 대략 사각형 모양으로 천공된 천공부(147)가 구비된다. 상기 천공부(147)는 전술한 모터마운트(176)가 베이스(14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전면판넬(110)과 드레인팬(150) 사이에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환기키트(200)가 구비된다. 상기 환기키트(200)는 천장형 실내기(100)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환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다수 곳을 통해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실내팬(170)으로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환기키트(200)는 환기덕트(210)와 연통되며 상기 환기덕트(210)는 외기흡입부(212)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외기흡입부(212)는 실외 공기를 실내로 흡입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외기흡입부(212) 내부에는 공기 유동을 강제하기 위한 환기팬과, 흡입된 외기 중의 이물을 필터링하기 위 한 외기필터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외기흡입부(212)를 통해 흡입된 외기는 외기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후 상기 환기덕트(210)를 통해 상기 실내기(100) 내부를 경유한 후 실내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환기키트(200)는 실내팬(17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실내로 안내함과 동시에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 외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환기바디(220)와, 상기 환기바디(220) 외측에 둘러져 환기바디(220)의 강도를 높이는 보강부재(240)와, 상기 환기바디(220) 일측에 끼움 결합되어 외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유로형성부재(260)와, 상기 유로형성부재(260) 및 환기덕트(210)와 동시에 연통되어 외기를 유로형성부재(260)로 안내하는 덕트연결구(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환기키트(200)에 포함되는 구성 및 이들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환기키트의 외관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 환기키트 및 덕트연결구(280)의 결합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과 같이, 상기 환기키트(200)는 환기바디(220)에 의해 대부분의 외형이 형성되며, 상기 환기바디(220)는 드레인팬(150)과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환기바디(220)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된 공기 및 외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동시에 형성된다.
즉, 상기 환기바디(220)의 중앙에는 상기 흡입구(112)와 연통되는 실내공기유로(222)가 사각 형상으로 천공 형성되고, 테두리부에는 실내열교환기(156)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구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열교환유로(224)가 다수개 천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환기바디(220)의 우측 하면과 후반부에는 환기유로(226)가 형성된다. 즉, 상기 환기유로(226)는 환기바디(220)의 우측 하면에서 상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제1환기유로(227)와, 상기 환기바디(220)의 후반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제2환기유로(2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환기유로(227)는 드레인팬(150)을 관통한 외기가 오리피스(18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외기안내구멍(158)과 연통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환기유로(228)는 실내기(100)가 환기 기능을 가지도록 할 때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곳으로, 상기 환기바디(220)의 후단부에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 제거부(229)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상기 환기바디(220)는 상/하측의 열교환된 공기와 열교환되지 않은 공기가 열교환되지 않도록 단열부재로 발포 성형되는데, 상기 환기바디(220)에 제거부(229)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좌/우로 벌어져 환기바디(220)의 이동시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거부(229)는 환기바디(220)를 발포 성형시에는 형성되어 있다가, 상기 보강부재(240) 및 유로형성부재(260)와 결합될 때 선택적으로 제거되 며, 상기 제거부(229)가 제거되면 상기 환기바디(220)의 후단은 전/후방향으로 개구되어 제2환기유로(228)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환기유로(228)는 덕트연결구(280)와 연통되어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오리피스(180)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환기바디(220)의 좌/우측에는 설치브라켓(230)이 구비된다. 상기 설치브라켓(230)은 금속 판재의 다수 곳을 절제한 후 다수 회 절곡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기 환기키트(200)가 드레인팬(150)에 고정되도록 하며, 이와 함께 상기 환기키트(200)에 전면판넬(110)이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즉, 상기 설치브라켓(230)의 상/하측에는 도 6과 같이 탄성 복원에 의해 걸림 결합되는 바디결합구(238)와 전면결합구(236)가 각각 직립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바디결합구(238)와 전면결합구(236)를 이용한 결합 구조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하기로 한다.
상기 설치브라켓(230)은 환기바디(220)를 발포 성형시에 인서트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설치브라켓(230)은 환기바디(220)의 발포 성형을 위한 발포 금형 내부에 인서트된 상태에서 상기 발포성형재가 발포 금형 내부에 발포되어 환기바디(220)를 형성하는 과정 중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설치브라켓(230)의 일부는 환기바디(220) 내부에 위치하고 나머지는 실내공기유로(222)가 위치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한편, 상기 환기바디(220)의 외측면에는 보강부재(240)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재(240)는 제거부(229)를 제외한 외측면을 내부에 수용하여 환기바디(220)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으로, 상기 환기바디(220)의 외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실내기(100)의 측면 하부 외관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보강부재(240)의 외면 모서리에는 상기 전면판넬(110)이 환기키트(200)에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브라켓(242)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브라켓(242)은 'ㄷ'형상을 갖도록 절곡되어 상기 보강부재(240)에 부착되며,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전면판넬(110) 및 캐비넷(130)의 일측과 체결된다.
상기 고정브라켓(242)을 이용한 전면판넬(110)과 캐비넷(130)의 외부 결합 구조를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고정브라켓(242)의 상/하단에는 전방으로 절곡된 상단결합부(243) 및 하단결합부(24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단결합부(243)는 체결부재에 의해 캐비넷(130)과 결합되어 상기 환기키트(200)의 하중이 캐비넷(130)에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하단결합부(244)는 전면판넬(110)의 내측에 형성된 전면결합부(118)와 체결부재로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넬(110)의 하중이 환기키트(200)에 지지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캐비넷(130)의 외면 하단에는 상기 고정브라켓(242)의 상면과 근접하고 대응되는 위치에 절곡 형성된 캐비넷결합부(138)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결합부(118)은 하단결합부(244)의 하면과 근접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단결합부(243)와 하단결합부(244)가 체결부재에 의해 각각 캐비넷결합부(138)와 전면결합부(118)에 결합되면, 상기 전면판넬(110)의 하중은 결국 고정브라켓(242)에 의해 상기 캐비넷(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환기바디(220)의 후단에는 유로형성부재(260)가 구비된다. 상기 유로형성부재(260)는 보강부재(240)가 둘러지지 않은 부위를 상/하부에서 차폐하여 전/후 방향으로 천공된 제2환기유로(228)를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상기 환기바디(220)의 후단부 즉 서로 이격된 부위가 각각 수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환기바디(220) 및 보강부재(240) 그리고 유로형성부재(260)가 서로 결합되면 도 4와 같은 상태가 되며, 상기 환기바디(220)의 하면에는 환기바디(220)와 드레인팬(150)의 밀착력을 높여 냉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부재(27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유로형성부재(260)의 후방에는 덕트연결구(280)가 구비된다. 상기 덕트연결구(280)는 좌측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외기가 상방향으로 이동한 뒤 상기 유로형성부재(26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덕트연결구(280)는 환기덕트(210)의 단부와 결합되는 덕트연결부(282)와, 상기 덕트연결부(28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부(284)와, 상기 제2환기유로(228)와 연통되어 상기 방향전환부(284)를 따라 유동 방향이 전환된 외기를 상기 제2환기유로(228)로 안내하는 통공부(286)가 형성된다.
상기 덕트연결부(282)는 환기덕트(210)의 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환기덕트(210)의 단부보다 조금 작거나 큰 직경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덕트연결부(282)는 환기덕트(210)의 단부와 끼움 결합되어 공기 누설이 방지된 상태를 유지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덕트연결부(282)의 전방에는 방향전환부(284)가 구비된다. 상기 방향전환부(284)는 세로로 긴 대략 사각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는 상기 덕트연결부(282)와 통공부(286)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방향전환부(284)의 후면 중앙부에 덕트연결부(282)가 형성되고, 전면 상부에는 통공부(28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덕트연결부(282)를 통해 방향전환부(284) 내부로 유입된 외기는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통공부(286)를 통해 덕트연결구(280) 외부로 배기된다.
상기 통공부(286)는 유로형성부재(260)의 후반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다수 체결부재에 의해 유로형성부재(260)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덕트연결구(280)는 유로형성부재(26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통공부(286)를 빠져나온 외기는 상기 제2환기유로(228)를 통해 환기바디(220) 내측으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환기키트(200)의 조립 구조를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100)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환기키트가 전면판넬(110)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Ⅰ- Ⅰ'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과 같이 환기바디(220)는 제거부(229)에 결합된 바디결합구(238)에 의해 드레인팬(150)과 결합되며, 상기 제거부(229)의 상측에 결합된 전면결합 구(236)에 의해 전면판넬(110)과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드레인펜의 상면과 제거부(229)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바디결합구(238)와 전면결합구(236)가 고정되도록 하여 움직임을 구속하는 구속부(290)가 구비된다.
즉, 상기 구속부(290)는 상기 바디결합구(238)의 상단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걸림 구속하는 바디구속부(292)와, 상기 전면결합구(236)의 상면 후단부를 수용하여 걸림 구속하는 전면구속부(2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구속부(292)와 전면구속부(294)에 상면 후단부가 끼움 구속된 전면결합구(236)와 바디결합구(238)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환기바디(220)와 전면판넬(110)에 각각 구속된다.
또한, 상기 제거부(229)과 드레인팬(150)에는 상기 전면결합구(236)와 바디결합구(238)의 하단부와 걸림 결합되는 걸림부(250)가 구비된다. 즉, 상기 걸림부(250)는 전면결합구(236)의 하단부와 걸림결합되는 전면걸림부(252)와, 상기 바디결합구(238)의 하단부와 걸림 결합되는 바디걸림부(2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결합구(236)와 바디결합구(238)의 하단부가 상기 전면걸림부(252)와 바디걸림부(254)에 각각 탄성 복원되어 걸리게 되면, 상기 드레인팬(150)과 환기키트(200) 및 전면판넬(110)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실내기(100)의 환기 작용을 첨부된 도 9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 외기의 유입 경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2의 Ⅱ-Ⅱ'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도 2의 Ⅲ-Ⅲ'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제1환기유로(227)를 통해 실내기(100)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과정을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본다.(도 10의 화살표 참조)
상기 실내팬(170)이 회전하여 하측에서 상방향으로 흡입력을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흡입력은 상기 외기안내구멍(158)과 외기유로(164) 및 외기유입구(136)에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외기유입구(136)에 전달된 흡입력은 상기 환기덕트(210)를 통해 상기 외기흡입부(212)로 전달되어 외기흡입부(212)는 외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후 상기 외기흡입부(212)로 흡입된 외기는 외기필터를 통해 이물이 걸러진 후 상기 환기덕트(210)를 경유한 외기는 외기유입구(136)를 통해 캐비넷(130)을 관통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외기유로(164)를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한 뒤 상기 외기안내구멍(158)을 통해 드레인팬(150)을 관통하여 상기 드레인팬(150)의 하측으로 안내된다.
상기 드레인팬(150)의 하측으로 안내된 외기는 상기 오리피스(180)를 관통한 후 실내팬에 의해 외측으로 강제 토출되며, 상기 실내열교환기(156)를 관통한 후 상기 토출구(114)를 통해 실내로 안내된다.
이하, 상기 제2환기유로(228)를 통해 실내기(100)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과정을 도 11를 참조하여 살펴본다.(도 11의 화살표 참조)
상기 실내기(100)가 작동하고 상기 외기흡입부(212) 내부의 환기팬(미도시)은 흡입력을 발생하여 외기를 상기 외기흡입부(212) 내부로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기흡입부(212) 내부로 유입된 외기는 외기필터(미도시)에 의해 이물이 제거된 후 상기 흐입덕트(210)를 통해 덕트연결구(280) 내부로 유입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환기덕트(210)를 따라 이동한 외기는 환기덕트(210)와 결합된 덕트연결부(282)를 통해 덕트연결구(280) 내부로 유입되며, 이후 상기 방향전환부(284)를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한 다음 상기 통공부(286)를 통해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제2환기유로(228)를 통해 드레인팬(150)의 하측으로 유입되며, 이후 상기 오리피스(180)를 통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실내팬(17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실내팬(170)의 회전에 따라 외기가 실내팬(170)의 외주 방향으로 강제 유동하게 되면, 상기 실내열교환기(156)를 관통한 후 에어가이드(160)에 의해 하방향으로 안내되어 토출구(11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상기한 환기 기능에 따라 실내 공간의 공기는 외기를 공급받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여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에어가이드(160) 일측에 외기유로(164) 를 형성하고 외기유로(164)와 외기안내구멍(158)을 연통시켜 외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였으나, 케비넷(130) 일측에 격벽을 형성하여 외기유로의 기능을 대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외기흡입부(212) 내부에 외기필터를 구비하도록 구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흡입덕트(210) 내부에 필터를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흡입덕트(210) 내부에 댐퍼를 설치하여 환기유로(226)를 선택적으로 차폐함으로써 환기량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에서는, 외기를 흡입한 후 실내 공간으로 토출하여 실내 공기가 환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실내 공간의 공기를 청정하게 유지 가능하므로 제품만족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실내기(환기키트가 구비되지 않은 실내기)에 환기키트를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하여,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환기키트를 선택적으로 추가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실내기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됨은 물론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제품 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 실외와 실내기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기로 외기를 안내하는 환기덕트와,상기 실내기로 안내된 외기 중 일부를 실내기 내부로 안내하는 외기유입구와,상기 실내기 내부로 유입된 외기와 실내 공기를 분리하여 안내하는 에어가이드와,상기 실내기로 안내된 외기 중 나머지를 실내기 내부로 안내하는 덕트연결구와,상기 에어가이드와 덕트연결구에 의해 안내된 외기를 실내팬으로 안내하기 위한 다수 환기유로가 형성된 환기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유입구는,상기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 일측에서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상기 환기덕트와 실내기가 연통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 일측에는,상기 외기유입구와 연통되어 실내기 내부로 유입된 외기를 실내기 하부로 안 내하는 외기유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 구조.
- 제 3 항에 있어서,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팬 일측에는,상기 외기유로와 연통하여 외기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외기가 드레인팬을 관통하도록 하는 외기안내구멍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유로는,상기 외기유로가 안내한 외기를 실내팬으로 안내하는 제1환기유로와,상기 덕트연결구가 안내한 외기를 실내팬으로 안내하는 제2환기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유로를 지나온 외기는 흡입구를 통해 실내기 내부로 유입된 실내 공기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내부에서 혼합된 실내공기와 외기는,상기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 일측에 천공된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환기유로는,상기 환기바디의 외측에서 중앙을 향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9167A KR101342217B1 (ko) | 2007-10-29 | 2007-10-29 |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9167A KR101342217B1 (ko) | 2007-10-29 | 2007-10-29 |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3361A KR20090043361A (ko) | 2009-05-06 |
KR101342217B1 true KR101342217B1 (ko) | 2013-12-16 |
Family
ID=40854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9167A KR101342217B1 (ko) | 2007-10-29 | 2007-10-29 |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221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1856B1 (ko) | 2019-11-27 | 2021-05-13 | (주)대양이엔아이 | 실외 공기의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4232B1 (ko) * | 2017-08-29 | 2019-07-01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보일러용 열교환장치 |
CN110044043B (zh) * | 2019-04-28 | 2023-01-13 |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 导风板及具有其的空调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9310B1 (ko) | 2003-06-11 | 2005-10-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급배기 직결형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
KR100519309B1 (ko) | 2003-06-03 | 2005-10-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신선공기 공급장치를 구비한 공조시스템 |
KR100565593B1 (ko) | 2003-06-04 | 2006-03-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급배기 직결형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
-
2007
- 2007-10-29 KR KR1020070109167A patent/KR1013422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9309B1 (ko) | 2003-06-03 | 2005-10-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신선공기 공급장치를 구비한 공조시스템 |
KR100565593B1 (ko) | 2003-06-04 | 2006-03-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급배기 직결형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
KR100519310B1 (ko) | 2003-06-11 | 2005-10-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급배기 직결형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1856B1 (ko) | 2019-11-27 | 2021-05-13 | (주)대양이엔아이 | 실외 공기의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장치 |
WO2021107463A3 (ko) * | 2019-11-27 | 2021-07-22 | (주)대양이엔아이 | 실외 공기의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3361A (ko) | 2009-05-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00958B1 (ko) | 공기조화기 | |
EP2997312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CN106196332B (zh) | 空调机的室外机 | |
KR20150041340A (ko) |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EP3631307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833303B1 (ko) |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US10591170B2 (en) | Air conditioner | |
KR20090078477A (ko) |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 |
KR101319688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1342217B1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 |
KR20080060845A (ko) | 공기조화기 실내기 | |
KR100575312B1 (ko)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
KR101409014B1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EP3851758B1 (en) | Air conditioner | |
KR20060094750A (ko) | 천정형 에어컨 및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 | |
KR101137160B1 (ko) |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 |
KR101590632B1 (ko)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
KR20070053834A (ko) |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2396939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0547689B1 (ko) |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팬모터 고정구조 | |
CN219036839U (zh) | 新风装置和空调 | |
KR20090022102A (ko) | 공기조화기 | |
KR20110027509A (ko)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
KR20070077642A (ko) | 공기조화기 및 그 실내기 | |
KR20080016764A (ko) | 공기조화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