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856B1 - 실외 공기의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장치 - Google Patents

실외 공기의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856B1
KR102251856B1 KR1020190154096A KR20190154096A KR102251856B1 KR 102251856 B1 KR102251856 B1 KR 102251856B1 KR 1020190154096 A KR1020190154096 A KR 1020190154096A KR 20190154096 A KR20190154096 A KR 20190154096A KR 102251856 B1 KR102251856 B1 KR 102251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cover
open
clea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갑
신동준
나의종
Original Assignee
(주)대양이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양이엔아이 filed Critical (주)대양이엔아이
Priority to KR1020190154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856B1/ko
Priority to PCT/KR2020/015820 priority patent/WO2021107463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에 매립되거나 실내 공간에 직립 배치된 상태로 실내 공기의 청정에 이용되는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로 공급되는 실외 공기가 필터부를 통과하여 실내로 공급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더욱 최적한 실내환경의 조성이 가능한 실외 공기의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외 공기의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장치{Air purifier that can filter outdoor air}
본 발명은 천장에 매립되거나 실내 공간에 직립 배치된 상태로 실내 공기의 청정에 이용되는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로 공급되는 실외 공기가 필터부를 통과하여 실내로 공급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더욱 최적한 실내환경의 조성이 가능한 실외 공기의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들은 주택, 사무실, 지하 공간 등의 실내 공간에서 하루 시간의 80% 정도를 생활하고 있는데, 이러한 실내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현대인에 있어 쾌적한 실내 환경은 일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 건강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를 위해 실내 공기의 먼지나 악취, 유해가스 등을 제거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가 다양한 구성으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공기청정기를 이용하여 실내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청정한 공기로 바꿀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단순히 공기의 청정 기능만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환기를 별도로 실시해야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공기청정기에 환기 기능을 부가하여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실정인데, 실외 공기의 공급시에는 실외 공기를 필터링하여 공급해야 하는 바, 실외 공기의 필터링을 위한 복잡한 장치가 더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이 비대해지고 이에 따라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42217호 2013.12.10.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내로 공급되는 실외 공기가 필터부를 통과하여 실내로 공급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더욱 최적한 실내환경의 조성이 가능한 실외 공기의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가 개방되되,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며, 외기를 유입하여 하부로 공급하는 외기 덕트부(110)가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몸체(100); 중심부가 개방 형성되고, 개방된 중심부의 둘레에 복수 개의 청정공기 배출구(210)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몸체(100)의 개방된 하부에 구비되는 커버 프레임(200); 상기 커버 프레임(200)의 개방된 중심부에 구비되는 필터부(300); 중심부에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통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청정공기 배출구(210)의 하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200)의 하부에 체결되는 외부 커버부(400); 상기 몸체(100)의 내부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의 하부측 공기를 흡기하되, 흡기한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부(500); 상기 구동부(500)에 의해 상기 필터부(300)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부(500)로 인입되는 흡기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구동부(500)와 필터부(300)의 사이에 구성되는 흡기 덕트부(600); 상기 구동부(500)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청정공기 배출구(210)를 통해 상기 몸체(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배기 덕트부(700)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외부 커버부(400)는, 중심부에 개방 형성되는 제 1통기부(411), 상기 제 1통기부(411)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외기 배출구(413)가 형성되는 커버내벽(412), 상기 외기 덕트부(110)의 타단측과 대응되는 길이방향 일측에 개방 형성되는 외기 유입구(414)를 포함하는 제 1커버(410); 중심부에 복수 개의 통공이 배열 형성된 제 2통기부(421)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커버(410)의 하부측에 체결되는 제 2커버(420); 상기 제 1커버(410)와 제 2커버(420)가 체결됨에 따라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구성되는 외기 유동로(430);를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커버(410)은, 중심부측이 전후방향 테두리측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어 돌출된 상방이 상기 커버 프레임(200)과 체결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커버 프레임(200)은, 상기 몸체(100)의 개방된 하부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개방된 중심부 둘레를 따라 상하방으로 돌출되면서 필터 체결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청정공기 배출구(210)는 상기 커버 프레임(200)의 면상에 중심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필터부(300)는, 미스트 오일 필터, 카본 필터, 집진 필터가 하부에서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배치 형성된 상태로 필터 프레임(330)에 의해 구속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필터 체결부(220)에 삽입 체결되는 여과필터(320); 및 상기 여과필터(320)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여과필터(32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커버 프레임(200)의 필터 체결부(220)의 하부측에 체결되는 필터커버(310);를 포함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로 공급되는 실외 공기가 필터부를 통과하여 실내로 공급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더욱 최적한 실내환경의 조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아울러 실외 공기가 외부 커버부의 내부 공간을 따라 유동되면서 필터부로 공급되도록 이루어지는 바, 간단하면서 실용적인 구조로 실외 공기의 필터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 공기의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청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몸체와 커버 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커버 프레임과 필터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부 커버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기 유입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5의 A구역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기 배출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5의 B구역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공기청정장치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공기청정장치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공기청정장치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공기청정장치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0의 C구역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공기청정장치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0의 D구역 확대로.
도 13은 본 발명의 공기청정장치가 직립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 본 발명의 공기청정장치가 직립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천장에 매립되거나 실내 공간에 직립 배치된 상태로 실내 공기의 청정에 이용되는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로 공급되는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더욱 청결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실외 공기의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 공기의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청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몸체와 커버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커버 프레임과 필터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부 커버부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기 유입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5의 A구역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기 배출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5의 B구역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공기청정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공기청정장치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공기청정장치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공기청정장치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0의 C구역 확대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공기청정장치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0의 D구역 확대로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공기청정장치가 직립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 본 발명의 공기청정장치가 직립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부가 개방되되,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며, 외기를 유입하여 하부로 공급하는 외기 덕트부(110)가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몸체(100); 중심부가 개방 형성되고, 개방된 중심부의 둘레에 복수 개의 청정공기 배출구(210)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몸체(100)의 개방된 하부에 구비되는 커버 프레임(200); 상기 커버 프레임(200)의 개방된 중심부에 구비되는 필터부(300); 중심부에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통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청정공기 배출구(210)의 하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200)의 하부에 체결되는 외부 커버부(400); 상기 몸체(100)의 내부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의 하부측 공기를 흡기하되, 흡기한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부(500); 상기 구동부(500)에 의해 상기 필터부(300)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부(500)로 인입되는 흡기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구동부(500)와 필터부(300)의 사이에 구성되는 흡기 유동부(600); 및 상기 구동부(500)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청정공기 배출구(210)를 통해 상기 몸체(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흡기 유동부(600)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는 배기 유동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따르면, 상기 몸체(100)는 내부 및 하부가 개방된 함체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외기 덕트부(110)는 일단이 실외측으로부터 공기를 전달받도록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100)의 하부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구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외기 덕트부(110)는 유입되는 실외 공기가 상기 배기 유동부(700)를 통과하여 청정공기 배출구(21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타단이 상기 배기 유동부(700)와 연통된 상태가 되도록 체결된다.
이때, 상기 외기 덕트부(110)의 내부에는 댐퍼(120)가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댐퍼(120)는 회전에 의해 상기 외기 덕트부(110)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프레임(200)은 상기 몸체(100)의 개방된 하부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개방된 중심부 둘레를 따라 상하방으로 돌출되면서 필터 체결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청정공기 배출구(210)는 상기 커버 프레임(200)의 면상에 중심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필터 체결부(220)는 돌출된 상부 끝단이 중심부로 절곡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필터부(300)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여과필터(320) 및 필터커버(310)를 포함한다.
상기 여과필터(320)는 공기 중에 포함된 다양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스트 오일 필터, 카본 필터, 집진 필터가 하부에서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배치 형성된 상태로 필터 프레임(330)에 의해 구속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필터 체결부(220)에 삽입 체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미스트 오일 필터는 공기 중에 포함된 오일 성분을 여과하기 위한 것이고, 카본 필터는 공기 중에 포함된 악취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며, 집진 필터는 헤파 필터 또는 울파 필터로 이루어져,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필터커버(310)는 상기 여과필터(320)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여과필터(32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커버 프레임(200)의 필터 체결부(220)의 하부측에 체결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필터커버(310)는 커버 프레임(200)의 개방된 중심부의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되, 테두리의 내부에 횡프레임과 종프레임이 격자형태를 이루는 형태로 구성되며, 둘레에는 상기 커버 프레임(200)의 필터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용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 프레임(200)의 필터 체결부(220)의 하부측에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상기 여과필터(320)가 상기 필터 체결부(220)에 삽입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커버(310)가 필터 체결부(220)의 하부측과 체결됨으로써, 상기 커버 프레임(200)과 필터부(300)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외부 커버부(400)는 상기 필터부(30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되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부(300)를 통과하여 필터링된 상태로 실내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커버(410), 제 2커버(420) 및 외기 유동로(4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커버(410)는 중심부에 개방 형성되는 제 1통기부(411), 상기 제 1통기부(411)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외기 배출구(413)가 형성되는 커버내벽(412), 상기 외기 덕트부(110)의 타단측과 대응되는 길이방향 일측에 개방 형성되는 외기 유입구(414)를 포함하며, 이는 상기 커버 프레임(220)과 체결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제 1커버(410)는 상면과 커버 체결부(220)의 하단이 접촉하는 상태로 체결되어, 상기 커버 체결부(220)에 의해 중심부의 공간과 테두리측 공간이 분할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1커버(410)는 커버내벽(412)에서 테두리측으로 경사진 하부방향으로 휘어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커버(410)는 중심부측이 전후방향 테두리측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어 돌출된 상방이 상기 커버 프레임(200)과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 1커버(410)의 테두리가 상기 청정공기 배출구(210)보다 하방에 배치된 상태가 되면서 청정공기가 상호 구성 간의 사이 공간을 통해 실내로 공급되게 한다.
한편, 상기 제 2커버(420)는 중심부에 복수 개의 통공이 배열 형성된 제 2통기부(421)를 포함하며, 이는 상기 제 1커버(410)의 하부측에 체결된다.
즉, 상기 제 2커버(420)는 제 1커버(410)의 테두리 하단부 및 상기 커버내벽(412)의 하단부와 동시에 면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 1커버(410)의 하부에 체결되며, 이때, 상기 제 2통기부(421)는 상기 제 1통기부(411)와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기 유동로(430)는 상기 제 1커버(410)와 제 2커버(420)가 체결됨에 따라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상기 외기 유동로(430)는 상기 제 1커버(410), 제 2커버(420), 커버내벽(412)에 의해 구획된 공간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상기 외기 덕트부(110)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외기 유입구(414)를 통해 상기 외부 커버부(400) 내부의 외기 유동로(430)로 유입되고, 상기 외기 유동로(43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외기 배출구(413)로 배출되면서 필터부(300)의 하부측으로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외기가 상기 필터부(300)에 의해 필터링된 상태로 실내에 공급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500)는 모터(M) 등의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510)로 구성되며, 이는 몸체(100)의 내부 최상단측에 인접하게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흡기 유동부(600)는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흡기되는 공기의 유동로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 끝단이 상기 필터부(30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체결되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흡기 유동부(600)의 하단부는 상기 청정공기 배출구(210)와 개방된 중심부의 사이의 커버 프레임(200)의 상부면과 맞닿는 상태로 체결되며, 상기 흡기 유동부(600)의 상단부는 구동부(500)의 동작에 따라 필터부(300)를 통과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구동부(500)의 임펠러(510)측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임펠러(510)의 축방향 하단측을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흡기 유동부(600)는 상기 몸체(100) 내부의 공간이 흡기 유동부(600)에 의해 흡기가 이루어지는 공간과 흡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공간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배기 유동부(700)는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필터링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로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단부가 상기 커버 프레임(200)의 청정공기 배출구(210)보다 외측의 커버 프레임(200) 상부면과 맞닿는 상태로 체결되며, 상단부가 상기 임펠러(510)의 둘레 및 상부면을 감싸는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배기 유동부(700)는 상기 흡기 유동부(600)의 외측에 필터링 공기가 청정공기 배출구(210)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 유동부(700)는 격벽에 의해 내부 공간을 구획하되, 일단이 상기 외기 덕트부(110)와 연통되게 구성되어 상기 외기 덕트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외기를 상기 외기 유입구(414)로 안내하는 외기 안내부(7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외기 안내부(710)는 필터링된 공기와 분리된 상태로 유동되면서 바로 상기 외기 유입구(414)로 안내됨에 따라 필터링되지 않은 외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여 실내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도 9, 11 및 12를 참고하여 상술하면, 외기 덕트부(110)의 댐퍼(120)가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실외 공기가 상기 외기 덕트부(110)를 통해 상기 몸체(100)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배기 유동부(700)의 외기 안내부(710)를 따라 이동되면서 외기 유입구(414)를 통해 외기 유동로(430)로 유동된다.
상기 외기 유동로(430)로 공급된 실외 공기는 복수 개의 외기 배출구(413)를 통해 상기 필터부(300)의 하방측으로 분배되어 공급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500)가 동작되면, 상기 필터부(300)의 전방측 공기가 상기 필터부(300)를 통과하여 상기 흡기 유동부(600)를 통해 임펠러(510)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임펠러(510)의 동작에 따라 공기가 이동하는 상기 몸체(100)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의 여과가 이루어지며, 여과된 공기는 상기 임펠러(510)의 반경방향으로 배출되면서 배기 유동부(700)로 전달되며, 이는 상기 배기 유동부(700)를 따라 상기 몸체(100)의 하부방향으로 유동되어 청정공기 배출구(210)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본 발명은 천장에 매립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 기본인데, 상기 공기청정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특성에 따라 천장에 매립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에 직립된 상태로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거치부(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800)는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 일측과 상부면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는 절곡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 일측이 바닥을 향하는 상태로 세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외기 덕트부는 직립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100)의 후방측 공기를 흡기하여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M : 모터
100 : 몸체 110 : 외기 덕트부
120 : 댐퍼
200 : 커버 프레임 210 : 청정공기 배출구
220 : 필터 체결부
300 : 필터부 310 : 필터커버
320 : 여과필터 330 : 필터 프레임
400 : 외부 커버부 410 : 제 1커버
411 : 제 1통기부 412 : 커버내벽
413 : 외기 배출구 414 : 외기 유입구
420 : 제 2커버 421 : 제 2통기부
430 : 외기 유동로
500 ; 구동부 510 : 임펠러
600 : 흡기 유동부 700 : 배기 유동부
710 : 외기 안내부
800 : 거치대

Claims (5)

  1. 하부가 개방되되,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며, 외기를 유입하여 하부로 공급하는 외기 덕트부(110)가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몸체(100);
    중심부가 개방 형성되고, 개방된 중심부의 둘레에 복수 개의 청정공기 배출구(210)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몸체(100)의 개방된 하부에 구비되는 커버 프레임(200);
    상기 커버 프레임(200)의 개방된 중심부에 구비되는 필터부(300);
    중심부에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통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청정공기 배출구(210)의 하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200)의 하부에 체결되는 외부 커버부(400);
    상기 몸체(100)의 내부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의 하부측 공기를 흡기하되, 흡기한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부(500);
    상기 구동부(500)에 의해 상기 필터부(300)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부(500)로 인입되는 흡기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구동부(500)와 필터부(300)의 사이에 구성되는 흡기 덕트부(600);
    상기 구동부(500)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청정공기 배출구(210)를 통해 상기 몸체(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배기 덕트부(7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공기의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부(400)는,
    중심부에 개방 형성되는 제 1통기부(411), 상기 제 1통기부(411)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외기 배출구(413)가 형성되는 커버내벽(412), 상기 외기 덕트부(110)의 타단측과 대응되는 길이방향 일측에 개방 형성되는 외기 유입구(414)를 포함하는 제 1커버(410);
    중심부에 복수 개의 통공이 배열 형성된 제 2통기부(421)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커버(410)의 하부측에 체결되는 제 2커버(420);
    상기 제 1커버(410)와 제 2커버(420)가 체결됨에 따라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구성되는 외기 유동로(4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공기의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커버(410)는,
    중심부측이 전후방향 테두리측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어 돌출된 상방이 상기 커버 프레임(200)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공기의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200)은,
    상기 몸체(100)의 개방된 하부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개방된 중심부 둘레를 따라 상하방으로 돌출되면서 필터 체결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청정공기 배출구(210)는 상기 커버 프레임(200)의 면상에 중심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공기의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300)는,
    미스트 오일 필터, 카본 필터, 집진 필터가 하부에서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배치 형성된 상태로 필터 프레임(330)에 의해 구속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필터 체결부(220)에 삽입 체결되는 여과필터(320);
    상기 여과필터(320)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여과필터(32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커버 프레임(200)의 필터 체결부(220)의 하부측에 체결되는 필터커버(3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공기의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장치.
KR1020190154096A 2019-11-27 2019-11-27 실외 공기의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장치 KR102251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096A KR102251856B1 (ko) 2019-11-27 2019-11-27 실외 공기의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장치
PCT/KR2020/015820 WO2021107463A2 (ko) 2019-11-27 2020-11-13 실외 공기의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096A KR102251856B1 (ko) 2019-11-27 2019-11-27 실외 공기의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856B1 true KR102251856B1 (ko) 2021-05-13

Family

ID=75913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096A KR102251856B1 (ko) 2019-11-27 2019-11-27 실외 공기의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51856B1 (ko)
WO (1) WO2021107463A2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0405A (ja) * 1996-02-07 1997-08-12 Sanyo Electric Co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0392302B1 (ko) * 1998-03-30 2003-07-22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흡기·송풍 장치
KR100539568B1 (ko) * 2004-05-28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겸용 환기시스템
KR100577254B1 (ko) * 2004-06-24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 겸용 환기시스템
KR101342217B1 (ko) 2007-10-29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KR102040024B1 (ko) * 2019-04-18 2019-11-04 박성환 친환경 디퓨저 및 이를 구비한 환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0405A (ja) * 1996-02-07 1997-08-12 Sanyo Electric Co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0392302B1 (ko) * 1998-03-30 2003-07-22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흡기·송풍 장치
KR100539568B1 (ko) * 2004-05-28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겸용 환기시스템
KR100577254B1 (ko) * 2004-06-24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 겸용 환기시스템
KR101342217B1 (ko) 2007-10-29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KR102040024B1 (ko) * 2019-04-18 2019-11-04 박성환 친환경 디퓨저 및 이를 구비한 환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7463A3 (ko) 2021-07-22
WO2021107463A2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57819T3 (es) Dispositivo de filtrado de aire.
KR101978504B1 (ko) 공기 청정기
KR100555862B1 (ko) 진공 청소기
US6321637B1 (en) Low-profile air filter module
KR101518624B1 (ko) 환기형 공기정화장치
US20060174596A1 (en) Ventilation system
CN1313791A (zh) 静电式空气净化器
CN105465941B (zh) 气流交换装置
US7690077B2 (en) Central vacuum units with an acoustic damping pathway
US5065668A (en) Air circulation system
JP2018513955A (ja) 空気清浄機
KR102170721B1 (ko) 공기정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KR100651861B1 (ko) 환기겸용 공기청정기
CN107435961A (zh) 一种用于开放式厨房的吸油烟系统
KR102251856B1 (ko) 실외 공기의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장치
KR102274377B1 (ko) 공기 청정기
KR20080026466A (ko) 공기청정기
KR102057600B1 (ko) 환기 기능이 구비된 실내 설치용 공기 청정기
CN210145759U (zh) 一种360度环形进风的空气净化器
EP3163175B1 (en) Filtering hood with filters facing the impeller
JPH10241455A (ja) 空気清浄機能付き照明装置
KR101856979B1 (ko) 공기 청정기
JP2002059028A (ja) 空気浄化装置
KR101765226B1 (ko) 실내 유입공기 정화장치
KR20160111055A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