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0845A - 공기조화기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실내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60845A KR20080060845A KR1020060135427A KR20060135427A KR20080060845A KR 20080060845 A KR20080060845 A KR 20080060845A KR 1020060135427 A KR1020060135427 A KR 1020060135427A KR 20060135427 A KR20060135427 A KR 20060135427A KR 20080060845 A KR20080060845 A KR 200800608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indoor unit
- air conditioner
- louver
- ind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출안내홀 일측에 유속상승돌기를 형성하여 토출안내홀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간섭함으로써 토출속도가 높아지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응축수를 집수하고, 다수의 토출안내홀(156)이 천공되어 열교환된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드레인팬(150)과; 외관 일부를 형성하고, 실내 공기의 흡/토출을 안내하는 전면판넬(400)과; 상기 전면판낼(400)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토출되는 공기와 접촉하여 공기의 토출 방향을 안내하는 다수개 루버(4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토출안내홀(156) 내면 일측에는, 상기 토출안내홀(156)의 내부로 돌출되어 공기 유동을 간섭함으로써 유속을 상승시키는 유속상승돌기(158)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드레인팬, 유속상승돌기, 루버, 기류안내돌기
Description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 전면판넬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판넬을 나타낸 상면 사시도.
도 5a 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루버모터와 루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b 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루버의 상면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5c 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루버의 하면 외관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실내기 130. 캐비넷
140. 베이스 142. 에어가이드
150. 드레인팬 154. 관통구
156. 토출안내홀 156'.구획부
158. 유속상승돌기 160. 실내열교환기
170. 실내팬 172. 팬모터
180. 오리피스 182. 오리피스공
190. 플라즈마필터 192. 필터브라켓
194. 집진필터 196. 컨트롤박스
200. 그릴승강수단 220. 승강키트
240. 와이어 400. 전면판넬
402. 흡입구 404. 흡입그릴
405. 공기유동공 406. 토출구
409. 회전돌기 420. 루버
422. 중심축 424. 이슬저장홈
426. 기류안내돌기 430. 루버모터
432. 회전축 434. 체결플랜지
436. 커넥터 440. 모터수용공간
442. 구획리브 444. 장착보스
446. 관통구멍 460. 모터수리용커버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출안내홀 일측에 유속상승돌기를 형성하여 토출안내홀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간섭함으로써 토출속도가 높아지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반대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로 나뉘어지는데, 상기 실외기에는 응축기(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에는 증발기(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설치공간이나 소음등을 고려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선호된다.
즉,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 개의 실내기가 연결되며, 이러한 실내기가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여러 대의 공기조화기를 설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멀티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이하 '실내기'라 칭함)의 구성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상부가 천장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하면이 천장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는 하면 외관의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전면판넬(10)과, 상기 전면판넬(10) 중앙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그릴(20)과, 상기 실내기(1)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다수개의 부품이 내장되는 캐비넷(30)과, 상기 캐비넷(30) 상면을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기(1)가 천장 내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베이스(4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넬(10)은 내부가 사각형 모양으로 천공되어 상기 흡입그릴(20)이 장착되며 하면에는 직사각형상의 토출구(12)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2)는 상기 실내기(1) 내부에서 열교환 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판넬(10)의 전후좌우에 동일한 형상으로 천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2)에는 토출구(12)를 통해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강제하는 루버(14)가 형성된다. 상기 루버(14)는 상기 토출구(12)의 형상 및 크기와 대응되는 사각판 모양을 가지며,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루버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회동함으로써 공기 유동 방향을 강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루버(14)는 서로 근접하는 단부가 조인트(16)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4개의 루버 사이에는 조인트(16)가 연결되어 동시에 작동하며, 상기 네 개의 조인트 중 어느 하나에는 루버모터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루버모터가 작동하여 회전동력을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회전동력은 상기 조인트(16)에 전달되어 네 개의 루버(14)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전면판넬(10)의 중앙부에는 대략 사각판 모양을 가지는 흡입그릴(20)이 장착된다. 상기 흡입그릴(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그릴(20)의 중앙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절제되어 상하부가 관통되도록 흡입구(22)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20)의 상측에는 에어필터(50)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필터(50)는 상기 흡입구(22)를 통해서 내부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필터링하는 것으로, 유연성있는 재질로 성형되며 상기 실내기(1) 내부의 이물 적재를 차단한다.
그리고 전술한 상기 전면판넬(10)의 상측에는 드레인팬(60)이 안착된다. 상기 드레인팬(60)은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열교환기(70)의 외면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것으로, 내부에 상방향으로 개구된 집수공간(62)이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팬(60)은 흡입구(22)를 통해서 실내기(1)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중앙을 통해 상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즉, 상기 드레인팬(60)의 중앙에는 동그랗게 천공된 관통구(64)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64)를 통해 실내 공기는 드레인팬(60)의 상측으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관통구(64) 내부에는 오리피스(66)가 삽입된다. 상기 오리피스(66)는 드레인팬(60) 하측의 공기가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팬(80)의 중앙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원통 모양을 가지며, 하단부가 외측으로 펼쳐져 상단부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상기 집수공간(62)의 상측에는 실내열교환기(70)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70)는 상기 에어필터(50)에 의해서 정화된 실내공기를 열교환하는 것으로, 상기 집수공간(62)과 대응되는 횡단면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열교환기(70)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에 외면에 발생되는 응축수는 하방향으로 흘러내려 상기 집수공간(62)에 집수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70)의 외측에는 상기 실내기(1)의 다수개의 판이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캐비넷(30)이 구비된다. 상기 캐비넷(30)은 대략 8각형의 종단면을 가지며 상단부는 상기 전면판넬(10) 상면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아래에서 설명할 베이스지지대(42)와 결합된다.
즉, 상기 캐비넷(30)의 상단부에는 베이스지지대(42) 일측이 삽입 고정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삽입구(32)가 돌출 성형되어 베이스지지대(42)와 결합 가능하며, 하단부에는 상기 전면판넬(10) 상면과 스크류체결 가능하도록 체결플랜지(34)가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30) 내부 중앙에는 실내팬(80)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80)은 전원 인가시에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팬모터(82)와 연결되며, 상기 팬모터(82)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팬모터(82)가 회전하여 상기 실내기(1) 내부에 공기 유동이 강제되면, 상기 흡입구(22)를 통해 실내 공기는 흡입되며, 상기 흡입구(22)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열교환기(70)에 의해서 열교환 된 후 상기 캐비넷(30)에 의해서 안내되어 토출구(12)로 토출가능하게 된다.
상기 팬모터(82)는 모터마운트(84)에 의해서 유동이 규제된다. 즉, 상기 모터마운트(84) 내부에는 팬모터(82) 상부의 유동이 규제되도록 수용되며, 상기 모터마운트(84)는 전술한 베이스(40)의 저면 중앙부에 고정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팬 모터(82)는 상기 실내기(1) 내부에서 유동이 규제된 상태로 빠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40)와 캐비넷(30) 사이에는 베이스지지대(42)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지지대(42)는 팬모터(82)와 실내팬(80)의 하중이 상기 베이스(40)에 의해 지지될 때 하중으로 인한 베이스(4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70)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캐비넷(3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토출구(12)로 유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토출구(12)로 토출되는 공기는 양측단과 중앙부가 서로 다른 유속을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12)의 양측단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는 따뜻한 실내 공기와 접촉하게 되어 상기 루버(14)에 이슬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루버(14)에는 이슬이 낙수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 없으므로 실내로 낙수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감성불만을 야기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드레인팬에 천공된 토출안내홀 일측에 유속상승돌기를 형성하여 토출안내홀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간섭함으로써 토출속도가 높아지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루버 일측에 기류안내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유속상승돌기에 의해 가속화된 공기가 고르게 분배되어 토출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응축수를 집수하고, 다수의 토출안내홀이 천공되어 열교환된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드레인팬과; 외관 일부를 형성하고, 실내 공기의 흡/토출을 안내하는 전면판넬과; 상기 전면판넬에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토출되는 공기와 접촉하여 공기의 토출 방향을 안내하는 다수개 루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토출안내홀 내면 일측에는, 상기 토출안내홀의 내부로 돌출되어 공기 유동을 간섭함으로써 유속을 상승시키는 유속상승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속상승돌기는, 삼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속상승돌기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속상승돌기는, 상기 토출안내홀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속상승돌기는 상기 드레인팬과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루버의 일측에는, 상기 토출안내홀을 통해 안내된 공기와 접촉하여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기류안내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류안내돌기는, 상기 루버의 하면 좌/우측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류안내돌기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류안내돌기는, 상기 루버의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 로 한다.
상기 루버의 일측에는, 함몰 형성되어 이슬을 수용하는 이슬수용홈이 다수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 전면판넬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는 상부가 천장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하면은 천장 하측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00)는 하면 외관의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전면판넬(400)과, 상기 전면판넬(400) 중앙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그릴(404)과, 상기 실내기(10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다수개의 부품이 내장되는 캐비넷(130)과, 상기 캐비넷(130) 상면을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개 부품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도 3의 도면부호 14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넬(400)은 중앙부가 사각형상으로 천공된 사각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면판넬(400)의 중앙부에는 흡입구(402)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구(402)는 실내 공기가 실내기(100)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흡입구(402) 내부 에는 실내기(100)로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을 선택적으로 필터링하는 흡입그릴(404)이 구비된다.
상기 흡입그릴(404)은 실내기(100) 내부로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402)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그릴(404)의 상면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을 선택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에어필터(미도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필터는 유연성있는 재질로 성형되며 전면(全面)에는 미세구멍(미도시)이 천공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402)를 통해서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이물은 상기 미세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잔류되어 상기 에어필터(미도시)의 하면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는 이물의 적재가 미연에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404)은 실내 공기가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상기 흡입그릴(404)의 전면(全面)에는 등간격으로 길게 공기유동공(405)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동공(405)은 흡입그릴(404)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실내기(100) 내부 중앙의 공간이 실내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기(100)가 작동시에 실내 공기는 상기 공기유동공(405)을 통해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넬(400)의 전/후 좌/우에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 모양의 토출구(406)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406)는 흡입구(402)를 통해 실내기(100) 내 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가 실내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넬(400)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으로서 구성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하기로 한다.
상기 전면판넬(400)의 상측에는 드레인팬(150)이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팬(150)은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열교환기(160) 내부를 경유하는 냉매와 실내공기가 열교환시에 실내열교환기(160) 외면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방에서 본 실내열교환기(160)의 외곽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150)의 상면에는 하방향으로 함몰되어 응축수가 집수되는 집수공간(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집수공간의 내부에는 실내열교환기(160)의 하단부가 수용 및 안착됨으로써 실내열교환기(160) 외면에 형성된 응축수는 하방향으로 흘러내려 상기 집수공간(미도시) 내부에 수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팬(150)은 집수공간에 집수된 차가운 응축수와 외부 공기가 접촉시에 이슬맺힘이 발생되지 않도록 폴리스틸렌 등의 단열부재로 발포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150)은 에어필터(미도시)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드레인팬(150)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즉, 상기 드레인팬(150)의 중앙부에는 동그랗게 관통구(154)가 천공된다. 따라서, 실내 공기는 상기 흡입구(402)와 관통구(154)를 통해 상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드레인팬(150)의 하면 테두리부에는 직사각형상의 토출안내홀(156)이 천공 형성된다. 상기 토출안내홀(156)은 실내기 내부를 경유하면서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네 개가 형성되며 상기 네 개의 토출안내홀(156)은 토출구(406)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안내홀(156)을 통해 하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토출구(406)를 통해 실내로 토출 가능하게 된다.
상기 네 개의 토출안내홀(156) 내부에는 각각의 토출안내홀(156)을 두 개로 구획하는 구획부(156')가 형성된다. 상기 구획부(156')는 폴리스틸렌으로 발포 성형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드레인팬(15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토출안내홀(156)의 내부 벽면 하단부 즉, 상기 토출안내홀(156)에서 캐비넷(130)에 가까운 벽면 하단에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유속상승돌기(도 5c의 도면부호158)가 구비된다. 상기 유속상승돌기(158)은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를 간섭하여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드레인팬(150)과 일체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유속상승돌기(158)는 하면이 직삼각형 모양을 가지며, 상방향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져 상단부는 상기 토출안내홀(156)의 내부 벽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드레인팬(150)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개의 토출안내홀(156)에 형성된 한 쌍의 유속상승돌기(158)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안내홀(156)을 통해 하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 중 대부분의 공기는 별다른 간섭없이 상기 토출 구(406)로 유동하게 되며, 상기 토출안내홀(156)의 양측단을 따라 하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유속상승돌기(158)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실내기(100)의 중심방향으로 안내된다.
이때, 상기 유속상승돌기(158)와 간섭되는 공기는 유속이 빨라지게 된다. 즉, 공기의 경우 넓은 관을 따라 이동하다가 좁은 관으로 유입되면 유동 속도가 빨라지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이와 같이 상기 토출안내홀(156)의 양측단에 유속상승돌기(158)를 형성하여 공기 유속을 증가시키는 이유는, 차가운 공기가 느리게 토출되었을 때 외부 공기와 열교환하게 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이슬 맺힘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드레인팬(150)의 상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집수공간(미도시)의 상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열교환기(160)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는 에어필터(미도시)에 의해 정화된 실내 공기를 열교환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가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는 상방에서 볼 때 대략 "ㅁ" 형상으로 절곡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는 공기와의 열교환 면적이 넓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늘고 긴 관을 다수회 절곡한 형상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볼 때 사각형이다.
따라서, 상기 관통구(154)를 통해 상방향으로 유동한 실내 공기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유동 강제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와 열교환하게 되며, 열교환 과정 중에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외면에 발생된 응축수는 상기 집수공간(미도시)에 집수 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외측에는 전술한 캐비넷(130)이 구비된다. 상기 캐비넷(130)은 다수개의 판이 서로 결합되어 상방에서 볼 때 8각형을 이루며, 상기 실내기(100)의 전후좌우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캐비넷(130)과 실내열교환기(160) 사이에는 에어가이드(142)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42)는 내부가 빈 사각관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유동하면서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캐비넷(130)의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에어가이드(142)의 횡단면 크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보다는 크고 전면판넬(400) 보다는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130) 내부 중앙에는 실내팬(170)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170)은 전원 인가시에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팬모터(172)와 연동하여 공기 유동을 강제하기 위한 구성으로, 중앙부로는 상방향의 흡입력을 발생하며 외주면 방향으로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풍력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170)이 팬모터(172)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빠른 속도로 회동하게 되면 하측에 발생된 흡입력은 관통구(154) 및 흡입구(402)에 전달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팬(170)의 중앙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외주면 방향으로 송풍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를 관통함으로써 냉매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실내팬(170)의 하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관통구(154) 내부에는 오리피스(180)가 구비된다. 상기 오리피스(180)는 드레인팬(150) 하측에서 상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실내팬(170)의 중앙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가 드레인팬(150)의 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놓이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180)의 내부에는 상하로 천공되어 상기 드레인팬(150) 하측의 공기가 드레인팬(150)을 관통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오리피스공(182)이 형성된다
상기 오리피스공(182)의 내경은 실내팬(170)의 외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며, 상기 오리피스공(182)의 내부에 상기 실내팬(170)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170)이 회동하여 하측으로 흡입력을 발생하게 되면, 상기 드레인팬(150)을 기준으로 하측의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공(182)을 따라 상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실내팬(170)의 중앙부로 유입된다.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 좌측에는 플라즈마필터(190)가 구비된다. 상기 플라즈마필터(190)는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을 대전시켜 흡착하는 것으로, 전/후단부가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 일측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 우측에는 컨트롤박스(196)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박스(196)는 실내기(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198)이 내장됨이 일반적이다.
한편,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 좌/우에는 그릴승강수단(도 3의 도면 부호 200)이 구비된다. 상기 그릴승강수단(200)은 상기 흡입그릴(404)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오리피스(180)와 전면판넬(400) 사이에 설치되며, 별도로 구비된 키트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상기 오리피스(180)에 고정된다.
상기 그릴승강수단(200)은 크게 회전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흡입그릴(404)의 상/하방향 유동을 강제하는 다수개의 승강키트(220)와, 하단부가 상기 흡입그릴(404)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키트(220)가 발생한 회전동력을 흡입그릴(404)로 전달하는 와이어(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키트(220)가 와이어(240)를 끌어당기게 되면 상기 흡입그릴(404)은 상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흡입구(402)를 차폐하게 되며, 상기 승강키트(220)가 와이어(240)의 길이를 늘어뜨리게 되면 상기 흡입구(402)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판넬(400)의 구성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406) 내부에는 토출구(406)를 통해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강제하는 루버(420)가 장착된다. 상기 루버(420)는 토출구(406)의 형상 및 크기와 대응되는 판 형상을 가지며, 양단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토출구(406)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와 접촉하여 토출 방향을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루버(420)의 양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루 버(42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중심축(도 5a의 도면부호 422)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축(422)으로부터 이격된 좌측에는 루버모터(4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루버모터(430)와 중심축(422) 사이에는 루버모터(430)의 회전축(432)이 중심축(422)에 연결되어질 수 있도록 커넥터(436)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436)는 내부가 좌우측으로 개구되며, 개구된 좌/우측에는 상기 회전축(432)과 중심축(422)이 삽입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루버모터(430)가 회전 동력을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회전동력은 상기 커넥터(436)를 통해 상기 중심축(422)으로 전달되어 상기 루버(420)는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루버모터(430)의 외주면에는 체결플랜지(434)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플랜지(434)는 루버모터(430)가 전면판넬(400)의 상면 일측에 장착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 한 쌍이 구비되며 체결부재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할 장착보스(444)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루버모터(4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루버(420)와 대응되는 수량으로 구비되며, 상기 다수개 루버모터(430)는 각각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1개의 루버(420)에 1개의 루버모터(430)가 결합되며 상기 다수개 루버모터(43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다수개 루버(420)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4개의 루버모터(430) 중에서 1개만 작동시켜 이와 축결합된 루버(420) 1개만 일정각도만큼 반복 회동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4개의 루버모터(430)를 모두 작동시켜 모든 루버(420)를 회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로써 상기 루버(420)의 상면과 토출구(406)를 통해서 토출되는 공기가 서로 접촉하게 되면, 상기 루버모터(430)의 회동에 의해 루버(420)와 토출 공기의 접촉각이 시시각각 변하게 되어 상기 루버(420)는 토출 공기가 여러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강제하게 된다.
한편, 상기 루버의 전면(도 5b 참조)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함몰 형성된 이슬저장홈(424)이 다수개 형성된다. 즉, 상기 다수의 이슬저장홈(424)은 루버(420)의 폭방향으로 등간격 이격 형성되며, 상기 루버(420)에 형성되는 이슬이 낙수되지 않도록 머금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루버(420)의 외면에는 식모가공 처리된다. 즉, 상기 루버(420)의 외면에는 미세한 털이 형성된 직물이 부착된다. 이것은 상기 이슬저장홈(424)과 같이 상기 루버(420)의 외면에 형성되는 이슬이 낙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식모가공 기술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루버(420)의 하면 좌/우측에는 사각판 모양의 기류안내돌기(426)가 구비된다. 상기 기류안내돌기(426)는 도 5c와 같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올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가진 것으로, 상기 토출안내홀(156)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외측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기류안내돌기(426)는 상기 유속상승돌기(158)에 의해 유속이 빨라진 공기의 진행 방향을 간섭하여 상기 토출구(406)의 외측 대각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게 되며, 이를 위해 상기 기류안내돌기(426)는 상기 루버(420)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안내홀(156)의 중앙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유속상승돌기(158)와의 간섭없이 바로 토출구(406)를 통해 토출되며, 상기 토출안내홀(156)의 좌/우측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유속상승돌기(158)에 의해 유속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기류안내돌기(426)에 의해 안내되어 좌/우측으로 갈라져 송풍된다.
이것은 상기 토출구(406)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다양한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공기 조화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전면판넬(400)의 상면 좌/우측 모서리부에는 모터수용공간(도 5의 도면부호 440)이 구비된다. 상기 모터수용공간(440)은 상기 루버모터(430)가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는 곳으로, 상기 모터수용공간(440)은 구획리브(442)에 의해 전면판넬(400)의 상부 공간으로부터 구획된다.
즉, 상기 모터수용공간(440)은 상기 구획리브(442)는 전면판넬(400)의 상면 좌/우측 모서리에서 상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직립되게 돌출되며, 상기 구획리브(442)의 일측에는 구획리브(442)와 직교하도록 돌출된 장착보스(444)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보스(444)는 상기 체결플랜지(434)가 면접촉한 상태로 체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원통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장착보스(444)에 체결플랜지(434)가 체결되면 상기 루버모터(430)는 모터수용공간(440) 내부에 위치하여 유동이 제한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작용을 도 2 내 지 도 5c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실내기(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팬모터(172)는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며, 상기 팬모터(172)이 발생한 회전력은 상기 실내팬(170)을 회전시킴으로써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상기 실내팬(170)의 하측 중앙부로는 상방향의 흡입력을 발생하며, 외주면 방향으로는 풍력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170)의 하측에 발생된 흡입력은 상기 흡입그릴(404)에 전달되어 실내 공기는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 강제된다. 상기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흡입구(402)를 관통한 후에 에어필터(미도시)에 의해 필터링된다.
이후 상기 에어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는 플라즈마필터(190)에 의해 재차 필터링되며, 이렇게 정화된 실내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공(182)에 의해서 안내되어 상기 상기 실내팬(170) 내부 중앙으로 유입된다. 상기 실내팬(17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외주면 방향으로 송풍 강제되며,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와 열교환되어 냉각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냉각된 실내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142)와 베이스(140)에 의해서 안내되어 하방향(천장에서 실내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후 공기는 상기 토출안내홀(156)을 통해 하방향으로 좀 더 유동하게 되며, 상기 토출안내홀(156)의 중앙부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루버(420)와 충돌하여 토출방향이 시시각각으로 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안내홀(156)의 내부 좌/우측을 통해 하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유속상승돌기(158)의 경사진 면과 접촉하면서 점점 유속이 증가하게 되며, 상기 유속상승돌기(158)를 지나면서 빨리진 공기는 상기 기류안내돌기(426)의 후면(도 6c에서 볼 때)과 간섭되어 상기 루버(420)의 좌/우측으로 갈려져 토출된다.
이때, 상기 루버(420)는 일정각도만큼 반복적으로 회동하여 토출 공기를 간섭함으로써 실내의 구석진 곳까지 토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루버(420)는 이에 대응하는 루버모터(430)의 선택적인 작동에 의해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루버(420)와 접촉하는 차가운 공기가 상당히 높은 온도의 공기와 접촉하여 이슬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루버(420)의 외면에는 식모가공처리가 되어 있으므로, 이슬을 머금을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루버(420)의 외면에 머금어진 이슬의 양이 급증하여 흐르게 되더라도 상기 이슬저장홈(424)은 방울진 이슬을 수용함으로써 낙수를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여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속상승돌기(158)가 삼각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였으나, 토출안내홀(156)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는 범위 내라면 어떠한 형상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류안내돌기(426)가 루버(420)의 좌/우측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되도록 구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다수개를 형성하고 이러한 다수개의 기류안내돌기(426)를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공기의 토출을 고르게 안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드레인팬에 천공된 토출안내홀 일측에 유속상승돌기를 형성하여 토출안내홀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간섭함으로써 토출속도가 높아지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토출구의 좌/우측으로 토출되는 공기와 외부의 공기가 만났을 때 야기될 수 있는 이슬발생이 미연에 차단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루버일측에 기류안내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유속상승돌기에 의해 가속화된 공기가 고르게 분배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토출구를 지나온 위치와 상관없이 고르게 토출되므로 특정 위치에만 송풍됐을 때 발생될 수 있는 감성불만이 해소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루버의 외면에는 이슬저장홈이 형성되며 식모가공처리된다. 따라서, 실내기를 경유한 찬공기와 외부 공기의 온도차가 상당하여 루버 외면에 이슬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이러한 이슬을 머금어 저장함으로써 이슬의 낙수를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 응축수를 집수하고, 다수의 토출안내홀이 천공되어 열교환된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드레인팬과;외관 일부를 형성하고, 실내 공기의 흡/토출을 안내하는 전면판넬과;상기 전면판넬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토출되는 공기와 접촉하여 공기의 토출 방향을 안내하는 다수개 루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상기 토출안내홀 내면 일측에는,상기 토출안내홀의 내부로 돌출되어 공기 유동을 간섭함으로써 유속을 상승시키는 유속상승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상승돌기는, 삼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상승돌기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상승돌기는, 상기 토출안내홀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상승돌기는 상기 드레인팬과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의 일측에는,상기 토출안내홀을 통해 안내된 공기와 접촉하여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기류안내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안내돌기는, 상기 루버의 하면 좌/우측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안내돌기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안내돌기는, 상기 루버의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의 일측에는,함몰 형성되어 이슬을 수용하는 이슬수용홈이 다수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5427A KR20080060845A (ko) | 2006-12-27 | 2006-12-27 | 공기조화기 실내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5427A KR20080060845A (ko) | 2006-12-27 | 2006-12-27 | 공기조화기 실내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60845A true KR20080060845A (ko) | 2008-07-02 |
Family
ID=39813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35427A KR20080060845A (ko) | 2006-12-27 | 2006-12-27 | 공기조화기 실내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60845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66891A (zh) * | 2014-12-12 | 2015-04-29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风口部件及具有其的空调系统 |
CN108561960A (zh) * | 2017-07-31 | 2018-09-21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导风板组件、空调室内机和空调室内机的控制方法 |
US11002451B2 (en) | 2016-12-21 | 2021-05-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
US11913650B2 (en) | 2017-07-31 | 2024-02-27 |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US11982450B2 (en) | 2017-07-31 | 2024-05-14 |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
2006
- 2006-12-27 KR KR1020060135427A patent/KR2008006084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66891A (zh) * | 2014-12-12 | 2015-04-29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风口部件及具有其的空调系统 |
US11002451B2 (en) | 2016-12-21 | 2021-05-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
CN108561960A (zh) * | 2017-07-31 | 2018-09-21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导风板组件、空调室内机和空调室内机的控制方法 |
CN108709234A (zh) * | 2017-07-31 | 2018-10-26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空调室内机和空调器 |
CN108709234B (zh) * | 2017-07-31 | 2020-12-11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空调室内机和空调器 |
US11913650B2 (en) | 2017-07-31 | 2024-02-27 |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US11982450B2 (en) | 2017-07-31 | 2024-05-14 |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98404B1 (ko)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
US9335060B2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80110109A (ko) |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0474045B1 (ko) | 공기조화 시스템 | |
CN110573805A (zh) | 空调机 | |
KR20080060845A (ko) | 공기조화기 실내기 | |
KR101231278B1 (ko) | 제습기 | |
KR100947549B1 (ko) |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 |
JP3315317B2 (ja) | 空気調和機 | |
KR20080043632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JP2019178825A (ja) |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 |
KR20050014293A (ko) |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20080075632A (ko) | 공기조화기 실내기 | |
KR101342217B1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 |
KR20060117832A (ko) |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팬 | |
KR102492753B1 (ko) | 이동형 공기조화기 | |
JP7161667B2 (ja) | 空気調和機 | |
KR20070078254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CN212869981U (zh) | 空调器室内机 | |
KR100529914B1 (ko) |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20040085965A (ko) |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기 냉각구조 | |
KR100550547B1 (ko) |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토출부 구조 | |
KR100624737B1 (ko) | 공기조화기 | |
KR20070077642A (ko) | 공기조화기 및 그 실내기 | |
KR100547676B1 (ko) |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공기 안내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