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3632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3632A
KR20080043632A KR1020060112408A KR20060112408A KR20080043632A KR 20080043632 A KR20080043632 A KR 20080043632A KR 1020060112408 A KR1020060112408 A KR 1020060112408A KR 20060112408 A KR20060112408 A KR 20060112408A KR 20080043632 A KR20080043632 A KR 20080043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indoor unit
indoor
ai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9688B1 (ko
Inventor
정창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2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688B1/ko
Publication of KR20080043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3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레인팬에 적재된 이물이 드레인수단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이물차단부재가 드레인수단에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 공기를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160) 외면에 발생된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공간(152)이 형성된 드레인팬(150)과, 상기 드레인팬(150)에 집수된 응축수를 드레인팬(150) 외부로 배수하는 드레인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드레인수단(300)에는, 응축수에 포함된 이물의 내부 유입을 차단하는 이물차단부재(38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150)은, 몸체를 형성하며 상면에 상기 집수공간(152)이 구비되는 팬몸체(150')와, 상기 팬몸체(150')의 상면에 부착되는 방수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이물차단부재의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며, 드레인팬의 제조원가가 현저히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드레인팬, 이물차단부재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상면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 전면판넬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요부구성인 드레인수단과 드레인팬을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요부 구성인 드레인수단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요부 구성인 드레인수단에서 이물차단부재의 하면을 보인 단품 확대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요부 구성인 드레인수단이 응축수를 배수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실내기 110. 전면판넬
112. 흡입구 114. 토출구
116. 루버 118. 모터커버
119. 모터수리용커버 120. 흡입그릴
122. 공기유동공 130. 캐비넷
140. 베이스 142. 에어가이드
150. 드레인팬 150'.팬몸체
150".방수부재 152. 집수공간
154. 관통구 156. 펌프안착부
158. 드레인홀 160. 실내열교환기
170. 실내팬 172. 팬모터
180. 오리피스 182. 오리피스공
190. 플라즈마필터 192. 필터브라켓
194. 집진필터 196. 컨트롤박스
198. 인쇄회로기판 200. 그릴승강수단
220. 승강키트 240. 와이어
300. 드레인수단 320. 드레인펌프
340. 펌프브라켓 360. 드레인가이드
362. 흡입부 364. 배수부
366. 임시보관부 380. 이물차단부재
382. 끼움구멍 384. 이물차단돌기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레인팬에 적재된 이물이 드레인수단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이물차단부재가 드레인수단에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반대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로 나뉘어지는데, 상기 실외기에는 응축기(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에는 증발기(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설치공간이나 소음등을 고려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선호된다.
즉,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 개의 실내기가 연결되며, 이 러한 실내기가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여러 대의 공기조화기를 설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멀티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이하 '실내기'라 칭함)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상면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상부가 천장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하면이 천장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는 하면 외관의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전면판넬(10)과, 상기 전면판넬(10) 중앙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그릴(20)과, 상기 실내기(1)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다수개의 부품이 내장되는 캐비넷(30)과, 상기 캐비넷(30) 상면을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기(1)가 천장 내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베이스(4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넬(10)은 내부가 사각형 모양으로 천공되어 상기 흡입그릴(20)이 장착되며 하면에는 직사각형상의 토출구(12)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2)는 상기 실내기(1) 내부에서 열교환 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판넬(10)의 전후좌우에 동일한 형상으로 천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2)에는 토출구(12)를 통해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강제하는 루버(14)가 형성된다. 상기 루버(14)는 상기 토출구(12)의 형상 및 크기와 대응되는 사각판 모양을 가지며,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회동함으로써 공기 유동 방향을 강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면판넬(10)의 중앙부에는 대략 사각판 모양을 가지는 흡입그릴(20)이 장착된다. 상기 흡입그릴(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그릴(20)의 중앙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절제되어 상하부가 관통되도록 흡입구(22)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20)의 상측에는 에어필터(50)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필터(50)는 상기 흡입구(22)를 통해서 내부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필터링하는 것으로, 유연성있는 재질로 성형되며 상기 실내기(1) 내부의 이물 적재를 차단한다.
그리고 전술한 상기 전면판넬(10)의 상측에는 드레인팬(60)이 안착된다. 상기 드레인팬(60)은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열교환기(70)가 공기를 열교환시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것으로, 내부에 상방향으로 개구된 집수공간(62)이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팬(60)은 흡입구(22)를 통해서 실내기(1)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중앙을 통해 상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즉, 상기 드레인팬(60)의 중앙에는 동그랗게 천공된 관통구(64)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64)를 통해 실내 공기는 드레인팬(60)의 상측으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관통구(64) 내부에는 오리피스(66)가 삽입된다. 상기 오리피스(66)는 드레인팬(60) 하측의 공기가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팬(80)의 중앙부로 유동할 수 있 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원통 모양을 가지며, 하단부가 외측으로 펼쳐져 상단부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상기 드레인팬(60)의 상면 후반부에는 도 2와 같이 펌프안착부(68)가 구비된다. 상기 펌프안착부(68)는 흡입력을 발생하여 상기 드레인팬(60)에 집수된 응축수를 실내기(1) 외부로 배수하는 드레인펌프(미도시)가 안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하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펌프안착부(68)는 드레인팬(60)의 하면보다 낮은 위치에 놓이도록 함몰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팬(60)의 상면으로 낙수된 응축수는 상기 펌프안착부(68)에 가장 먼저 집수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안착부(68)의 저면에 근접하도록 설치된 드레인펌프(미도시)는 상기 펌프안착부(68) 내부에 집수된 응축수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펌프는 흡입한 응축수를 실내기(1)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드레인호스(미도시)와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한편, 상기 펌프안착부(68)의 주변에서 방사상으로는 원기둥 모양의 이물걸림보스(69)가 다수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이물걸림보스(69)는 펌프안착부(68)로 유동한 응축수에 포함된 이물을 걸러내기 위한 구성으로서, 동일한 간격으로 촘촘하게 이격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팬(60) 상면에 고인 응축수가 펌프안착부(68)로 이동할 때 이물(예컨대, 머리카락)이 포함되어 있더라도 이러한 이물은 상기 이물걸림보스(69)에 의해서 걸려 상기 펌프안착부(68) 내부로 유입이 차단됨으로써 상기 드레 인펌프(미도시) 내부로 유동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걸림보스(69)는 상기 드레인팬(60)과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이물걸림보스(69)는 플라스틱수지를 재료로 드레인팬(60)을 사출 성형시에 동시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드레인팬(60)과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팬(60)의 바닥면에는 집수공간(62)에 집수된 차가운 응축수와 공기의 열교환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집수공간(62)의 상측에는 실내열교환기(70)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70)는 상기 에어필터(50)에 의해서 정화된 실내공기를 열교환하는 것으로, 상기 집수공간(62)과 대응되는 횡단면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열교환기(70)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에 외면에 발생되는 응축수는 하방향으로 흘러내려 상기 집수공간(62)에 집수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70)의 외측에는 상기 실내기(1)의 다수개의 판이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캐비넷(30)이 구비된다. 상기 캐비넷(30)은 대략 8각형의 종단면을 가지며 상단부는 상기 전면판넬(10) 상면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아래에서 설명할 베이스지지대(42)와 결합된다.
즉, 상기 캐비넷(30)의 상단부에는 베이스지지대(42) 일측이 삽입 고정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삽입구(32)가 돌출 성형되어 베이스지지대(42)와 결합 가능하며, 하단부에는 상기 전면판넬(10) 상면과 스크류체결 가능하도록 체결플랜지(34)가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30) 내부 중앙에는 실내팬(80)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 팬(80)은 전원 인가시에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팬모터(82)와 연결되며, 상기 팬모터(82)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팬모터(82)가 회전하여 상기 실내기(1) 내부에 공기 유동이 강제되면, 상기 흡입구(22)를 통해 실내 공기는 흡입되며, 상기 흡입구(22)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열교환기(70)에 의해서 열교환 된 후 상기 캐비넷(30)에 의해서 안내되어 토출구(12)로 토출가능하게 된다.
상기 팬모터(82)는 모터마운트(84)에 의해서 유동이 규제된다. 즉, 상기 모터마운트(84) 내부에는 팬모터(82) 상부의 유동이 규제되도록 수용되며, 상기 모터마운트(84)는 전술한 베이스(40)의 저면 중앙부에 고정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팬모터(82)는 상기 실내기(1) 내부에서 유동이 규제된 상태로 빠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40)와 캐비넷(30) 사이에는 베이스지지대(42)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지지대(42)는 팬모터(82)와 실내팬(80)의 하중이 상기 베이스(40)에 의해 지지될 때 하중으로 인한 베이스(4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1)의 이물걸림보스(69)는 드레인팬(60)을 사출 성형시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팬(60)의 하면에는 차가운 응축수와 더운 공기의 열교환으로 인한 이슬이 발생되지 않도록 단열부재가 구비된다.
따라서, 드레인팬(60)의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단열부재를 부착시 불량율 이 증가하게 되므로 드레인팬(60)의 제조 원가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물걸림보스(69)는 드레인팬(60)과 일체로 성형됨에 따라 일정한 강도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이물걸림보스(69)는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물걸림보스(69)가 파손되면 수리가 난해하여 드레인팬(60)을 통째로 교체해야 하므로 서비스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레인팬에 적재된 이물이 드레인수단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이물차단부재가 드레인수단에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레인팬을 발포 성형하고 발포 성형된 드레인팬 상면에 방수부재를 도포함으로써 제조원가가 절감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실내 공기를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 외면에 발생된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공간이 형성된 드레인팬과, 상기 드레인팬에 집수된 응축수를 드레인팬 외부로 배수하는 드레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드레인수단에는, 응축수에 포함된 이물의 내부 유입을 차단하는 이물차단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레인팬은, 몸체를 형성하며, 상면에 상기 집수공간이 구비되는 팬몸체와, 상기 팬몸체의 상면에 부착되는 방수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다.
상기 팬몸체는 발포 성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차단부재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차단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드레인수단의 일측을 수용하여 상기 이물차단부재가 드레인수단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천공된 끼움구멍과, 등간격으로 하방 돌출되어 이물 유입을 차단하는 이물차단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이물차단돌기가 서로 이격된 거리는, 상기 드레인팬 일측에 천공되어 집수공간에 집수된 응축수를 외부로 안내하는 드레인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내부 공간 효율이 극대화되며, 설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 전면판넬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는 상부가 천장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하면은 천장 하측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00)는 하면 외관의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전면판 넬(110)과, 상기 전면판넬(110) 중앙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그릴(120)과, 상기 실내기(10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다수개의 부품이 내장되는 캐비넷(130)과, 상기 캐비넷(130) 상면을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개 부품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도 4의 도면부호 14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넬(110)은 중앙부가 사각형상으로 천공된 사각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면판넬(110)의 중앙부에는 흡입구(112)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구(112)에는 상기 흡입그릴(120)이 위치하여 상기 흡입구(112)를 통해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선택적으로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흡입그릴(120)은 실내기(100) 내부로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112)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그릴(120)의 상면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을 선택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에어필터(미도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필터는 유연성있는 재질로 성형되며 전면(全面)에는 미세구멍(미도시)이 천공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112)를 통해서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이물은 상기 미세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잔류되어 상기 에어필터(124)의 하면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는 이물의 적재가 미연에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120)은 실내 공기가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상기 흡입그릴(120)의 전면(全面)에 는 등간격으로 길게 공기유동공(122)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동공(122)은 흡입그릴(12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실내기(100) 내부 중앙의 공간이 실내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기(100)가 작동시에 실내 공기는 상기 공기유동공(122)을 통해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되며, 상기 토출구(114)에 의해 안내되어 다시 실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넬(110)의 전/후 좌/우에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 모양의 토출구(114)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14)는 흡입구(112)를 통해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가 실내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14) 내부에는 토출구(114)를 통해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강제하는 루버(116)가 장착된다. 상기 루버(116)는 토출구(114)의 형상 및 크기와 대응되는 사각판 모양을 가지며, 양단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루버(116)의 일단부에는 루버모터(미도시)가 결합된다. 상기 루버모터는 전원이 인가될 때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루버(116)와 축결합됨으로써 상기 루버(116)에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루버모터는 다수개의 루버(116)와 대응되는 수량으로 구비된다. 즉, 1개의 루버(116)에 1개의 루버모터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개 루버모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다수개 루버(116)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4개의 루버모터 중에서 1개만 작동시켜 이와 축결합된 루버(116) 1개만 일정각도만큼 반복 회동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4개의 루버모터를 모두 작동시켜 모든 루버(116)를 회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로써 상기 루버(116)의 상면과 토출구(114)를 통해서 토출되는 공기가 서로 접촉하게 되면, 상기 루버모터의 회동에 의해 루버(116)와 토출 공기의 접촉각이 시시각각 변하게 되어 상기 루버(116)는 토출 공기가 여러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강제하게 된다.
상기 전면판넬(110)의 상면 모서리부에는 모터커버(118)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커버(118)는 상기한 루버모터가 전면판넬(110)의 상면 모서리부에 설치됨에 따라 루버모터가 상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것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4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커버로부터 이격된 하측 즉, 상기 전면판넬(110)의 하면 모서리부에는 모터수리용커버(119)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수리용커버(119)는 루버모터가 고장시에 전면판넬(11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루버모터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전면판넬(110)의 상측에는 드레인팬(150)이 구비된다(도 5 참조). 상기 드레인팬(150)은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열교환기(160) 내부를 경유하는 냉매와 실내공기가 열교환시에 실내열교환기(160) 외면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방에서 본 실내열교환기(160)의 외곽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팬(150)은 크게 몸체를 형성하며, 상면에는 하방향으로 함몰된 집수공간(152)이 구비되는 팬몸체(150')와, 상기 팬몸체(150')의 상면에 부착되는 방수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팬몸체(150')는 집수공간(152)에 집수되는 차가운 응축수가 공기와 열교환하지 않도록 단열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를 위해 상기 팬몸체(150')는 폴리스틸렌 등으로 발포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팬(150) 전체 부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팬몸체(150')가 발포 성형됨에 따라 중량이 가벼워지며 단열효과도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팬몸체(150')의 상면에는 전술한 방수부재(150")가 구비된다. 상기 방수부재(150")는 상기 집수공간(152)에 집수된 응축수가 팬몸체(150') 내부로 스며들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드레인팬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 가능한 범위 내에서 방수성능을 가지는 재질이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방수부재(150")는 유리 코팅에 사용되는 시트지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150)의 상면에는 상기 집수공간(152)이 형성되며, 상기 집수공간(152)의 내부에는 실내열교환기(160)의 하단부가 수용 및 안착됨으로써 실내열교환기(160) 외면에 형성된 응축수는 하방향으로 흘러내려 상기 집수공간(152) 내부에 수용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150)은 에어필터(124)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드레인 팬(150)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즉, 상기 드레인팬(150)의 중앙부에는 동그랗게 관통구(154)가 천공된다. 따라서, 실내 공기는 상기 흡입구(112)와 관통구(154)를 통해 상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집수공간(152)의 우측(도 5에서 볼 때)에는 펌프안착부(156)가 구비된다. 상기 펌프안착부(156)는 흡입력을 발생하여 상기 집수공간(152)에 집수된 응축수를 드레인팬(150) 외부로 강제 배수하는 드레인수단(300)이 안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하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펌프안착부(156)는 드레인팬(150)의 하면보다 낮은 위치에 놓이도록 함몰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팬(150)의 상면으로 낙수된 응축수는 상기 펌프안착부(156)에 가장 먼저 집수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안착부(156)의 저면에 하단부가 근접하도록 설치된 드레인수단(300)은 상기 펌프안착부(156) 내부에 집수된 응축수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펌프안착부(156)의 바닥면에는 하방향으로 천공된 드레인홀(158)이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홀(158)은 펌프안착부(156)로 유입되는 응축수가 상기 드레인팬(150) 외부로 자연배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드레인홀(158)의 하측에는 드레인호스(미도시)가 연결됨이 일반적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드레인홀(158)은 집수공간(152) 내부에 집수된 응축수의 양이 많지 않을 때 자연 배수하기 위한 구성이며, 앞서 잠시 언급한 드레인수 단(300)은 집수공간(152)에 집수된 응축수의 양이 급증하여 상기 드레인홀(158)을 통한 자연배수만으로는 능력이 부족할 때 응축수를 강제 배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드레인수단(300)은 도시되진 않았지만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플로트스위치와 연동하도록 설치됨이 일반적이다.
상기 드레인수단(300)의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드레인팬(150)의 상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집수공간(152)의 상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열교환기(160)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는 에어필터(124)에 의해 정화된 실내 공기를 열교환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가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는 상방에서 볼 때 대략 "ㅁ" 형상으로 절곡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는 공기와의 열교환 면적이 넓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늘고 긴 관을 다수회 절곡한 형상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볼 때 사각형이다.
따라서, 상기 관통구(154)를 통해 상방향으로 유동한 실내 공기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유동 강제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와 열교환하게 되며, 열교환 과정 중에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외면에 발생된 응축수는 상기 집수공간(152)에 집수 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외측에는 전술한 캐비넷(130)이 구비된다. 상기 캐비넷(130)은 다수개의 판이 서로 결합되어 상방에서 볼 때 8각형을 이루며, 상기 실내기(100)의 전후좌우면 외관을 형성함으로써 실내기(100) 내부를 차폐하게 된 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130)의 하단부는 전면판넬(110)의 상면 테두리부에 접촉한 상태로 결합되며, 상단부는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베이스(140)의 하면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캐비넷(130)의 상/하단부에 상기 베이스(140)와 전면판넬(110)이 결합되면,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다수개 부품이 내장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캐비넷(130)과 실내열교환기(160) 사이에는 에어가이드(142)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42)는 내부가 빈 사각관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유동하면서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캐비넷(130)의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에어가이드(142)의 횡단면 크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보다는 크고 전면판넬(110) 보다는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130) 내부 중앙에는 실내팬(170)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170)은 전원 인가시에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팬모터(172)와 연동하여 공기 유동을 강제하기 위한 구성으로, 중앙부로는 상방향의 흡입력을 발생하며 외주면 방향으로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풍력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170)이 팬모터(172)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빠른 속도로 회동하게 되면 하측에 발생된 흡입력은 관통구(154) 및 흡입구(112)에 전달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팬(170)의 중앙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외주면 방향으로 송풍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를 관통함으로써 냉매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실내팬(170)의 하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관통구(154) 내부에는 오리피스(180)가 구비된다. 상기 오리피스(180)는 드레인팬(150) 하측에서 상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실내팬(170)의 중앙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가 드레인팬(150)의 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놓이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180)의 내부에는 상하로 천공되어 상기 드레인팬(150) 하측의 공기가 드레인팬(150)을 관통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오리피스공(182)이 형성된다
상기 오리피스공(182)의 내경은 실내팬(170)의 외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며, 상기 오리피스공(182)의 내부에 상기 실내팬(170)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170)이 회동하여 하측으로 흡입력을 발생하게 되면, 상기 드레인팬(150)을 기준으로 하측의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공(182)을 따라 상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실내팬(170)의 중앙부로 유입된다.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 좌측에는 플라즈마필터(190)가 구비된다. 상기 플라즈마필터(190)는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을 대전시켜 흡착하는 것으로, 전/후단부가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 일측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플라즈마필터(190)의 상측에는 필터브라켓(192)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브라켓(192)은 플라즈마필터(190)가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구속력을 발생하여 상기 플라즈마필터(19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필터브라켓(192)은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브라켓(192)에 의해 구속된 플라즈마필터(190)는 상기 필터브라켓(192)이 오리피스(180)에 결합됨에 따라 하방향으로 낙하되지 않고 필터브라켓(192)에 의해 하중이 지지되어 일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브라켓(192)과 플라즈마필터(190) 사이에는 집진필터(194)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집진필터(194)는 상기 에어필터(미도시)와 플라즈마필터(190)에 2차적인 필터링에도 불구하고 제거되지 않은 미세한 이물을 한번 더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필터브라켓(192)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필터와 플라즈마필터(190) 및 집진필터(194)를 거쳐 3단계로 정화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 이물 적재를 발생시키지 않게 되며, 보다 더 쾌적한 실내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 우측에는 컨트롤박스(196)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박스(196)는 실내기(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198)이 내장됨이 일반적이다.
한편,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 좌/우에는 그릴승강수단(도 4의 도면 부호 200)이 구비된다. 상기 그릴승강수단(200)은 상기 흡입그릴(120)을 선택적으로 승 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오리피스(180)와 전면판넬(110) 사이에 설치되며, 별도로 구비된 키트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상기 오리피스(180)에 고정된다.
상기 그릴승강수단(200)은 크게 회전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흡입그릴(120)의 상/하방향 유동을 강제하는 다수개의 승강키트(220)와, 하단부가 상기 흡입그릴(120)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키트(220)가 발생한 회전동력을 흡입그릴(120)로 전달하는 와이어(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키트(220)가 와이어(240)를 끌어당기게 되면 상기 흡입그릴(120)은 상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흡입구(112)를 차폐하게 되며, 상기 승강키트(220)가 와이어(240)의 길이를 늘어뜨리게 되면 상기 흡입구(112)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드레인수단(300)의 구성을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요부구성인 드레인수단과 드레인팬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요부 구성인 드레인수단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요부 구성인 드레인수단에서 이물차단부재의 하면을 보인 단품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수단(300)은 전술한 펌프안착부(156)의 상측에 위치하여 펌프안착부(156) 내부에 집수된 응축수를 드레인팬(150) 외부로 배수하는 것으로, 크게 흡입력을 발생하는 드레인펌프(320)와, 상 기 드레인펌프(320)가 설치되는 펌프브라켓(340)과, 상기 드레인펌프(320) 하측에 결합되어 드레인펌프(320)에 의해 흡입된 응축수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드레인가이드(360)와, 상기 드레인가이드(360)의 하측에 결합되어 이물을 걸러내는 이물차단부재(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드레인펌프(320)는 전원 인가시에 회전동력을 발생하여 하단부에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펌프와 비교할 때 그 구성이 대동 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펌프(320)의 상측에는 판재를 다수개 절곡하여 형성된 펌프브라켓(340)이 구비된다. 상기 펌프브라켓(340)은 하부 내측에 상기 드레인펌프(320)를 수용한 상태로 캐비넷(130) 일측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펌프브라켓(340)이 유동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도시되진 않았지만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펌프(320)의 하측에는 상기한 드레인가이드(360)가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가이드(360)는 드레인펌프(320)가 발생한 흡입력을 제공받아 상기 펌프안착부(156)에 집수된 응축수를 흡입한 후 우측(도 6에서 볼 때)으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단부는 상기 드레인펌프(320) 일측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드레인가이드(360)의 하단부에는 흡입부(362)가 형성되고 우측방향으로는 배수부(364)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부(362)와 배수부(364) 사이에는 임시보관부(366)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임시부관부(366)는 상부가 개구된 용기 형상을 가지 며, 상기 임시보관부(366)의 하면 중앙에는 내부가 임시보관부(366)의 상면 내측 공간과 연통되도록 연장된 흡입부(36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임시보관부(366)의 우측에는 배수부(364)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부(364)는 임시보관부(366)의 내측 공간과 연통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부(362)를 통해 흡입된 응축수는 상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임시보관부(366)를 경유한 다음 상기 배수부(364)를 통해 우측방향으로 유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집수공간(152) 외부로 배수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배수부(364)에는 집수공간(152)의 응축수가 실내기(100)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드레인호스(미도시)가 연결되어야 함이 자명하다.
상기 드레인가이드(360)의 하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흡입부(362)의 외측에는 이물차단부재(380)가 구비된다. 상기 이물차단부재(380)는 응축수에 포함된 이물이 드레인가이드(36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이물차단부재(380)는 배수부(364)를 내부에 수용하여 드레인가이드(36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이물차단부재(380)의 하단부는 상기 펌프안착부(156)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이물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물차단부재(380)에는 상면 중앙부에서 하방향으로 천공되어 상기 배수부(364)가 삽입되는 끼움구멍(382)과, 하면 외주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이물 유입을 차단하는 이물차단돌기(384)가 구비되며, 상기 이물차단부재(380)는 탄성을 가진 재질 예컨대,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성형된다.
상기 끼움구멍(382)은 이물차단부재(380)가 드레인가이드(360)로부터 분리되 지 않도록 구속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흡입부(362)의 외경보다 같거나 조금 작은 내경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끼움구멍(382) 내부에 흡입부(362)가 끼워지게 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물차단부재(380)는 강제로 잡아당기지 않는 한 상기 드레인가이드(36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물차단돌기(384)는 하단부가 펌프안착부(156)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여 이물이 이물차단부재(380)의 하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으로,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다수개의 이물차단돌기(384)는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다수의 이물차단돌기(384)가 서로 이격된 거리는 상기 드레인홀(158)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이로써 상기 이물차단돌기(384)는 드레인홀(158)이 이물에 의해 막히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차단돌기(384)는 이물차단부재(380)를 형성시에 일체로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므로 플렉시블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이물차단돌기(384) 사이로 유입되는 물살에 의해 이물차단부재(380)의 중심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물차단돌기(384)는 사각형 모양의 횡단면을 가진다.
또한, 상기 이물차단돌기(384)의 상하 길이는 끼움구멍(382)의 깊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이물차단돌기(384)가 도 8과 같이 펌프안착부(156)의 상면과 접촉했을 때 상기 끼움구멍(382)의 하단부도 펌프안착부(156)의 상면과 접촉하게 되면 상기 펌프안착부(156) 내부에 모여 있는 응축수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차단돌기(384)와 끼움구멍(382)의 높이 차이는 상기 펌프안착부(156)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이물차단돌기(384)의 하단부가 펌프안착부(156)의 상면과 접촉시에 상기 끼움구멍(382)의 하단부가 펌프안착부(156)의 상단부(드레인팬(150)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놓이게 되면, 상기 드레인수단(300)에는 펌프안착부(156)에 모인 응축수가 흡입되지 않고 집수공간(152)에 집수된 응축수가 흡입되기 때문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펌프안착부(156)는 집수공간(152) 내부에서 가장 낮은 위치를 가지므로, 상기 집수공간(152)으로 낙수된 응축수는 펌프안착부(156)로 먼저 집수되는데 상기 펌프안착부(156)에 유입된 응축수를 흡입하여 배수하지 않게 되면 응축수의 흡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작용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3에서 상기 전면판넬(110)이 드레인팬(150)의 하면에 근접하여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기(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팬모터(172)는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며, 상기 팬모터(172)에서 발생한 회전력은 상기 실내팬(170)을 회전시킴으로써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상기 실내팬(170)의 하측 중앙부로는 상방향의 흡입력을 발생하며, 외주면 방향으로는 풍력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170)의 하측에 발생된 흡입력은 상기 흡입그릴(120)에 전달되어 실내 공기는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 강제된다. 상기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흡입구(112)를 관통한 후에 에어필터(미도시)에 의해 필터링된다.
이후 상기 에어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는 플라즈마필터(190) 및 집진필터(194)에 의해 재차 필터링되며, 이렇게 정화된 실내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공(182)에 의해서 안내되어 상기 실내팬(170) 내부 중앙으로 유입된다. 상기 실내팬(17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외주면 방향으로 송풍 강제되며,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와 열교환되어 냉각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냉각된 실내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142)와 베이스(140)에 의해서 안내되어 상기 토출구(114)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물론 상기 루버(116)는 일정각도만큼 반복적으로 회동하여 토출 공기를 간섭함으로써 실내의 구석진 곳까지 토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드레인팬(150)에 집수된 응축수의 유동 과정을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요부 구성인 드레인수단이 응축수를 배수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실내열교환기(160)가 냉매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의 열을 흡열하게 되면, 실내열교환기(160)의 외면에는 응축수가 발생되며 이러한 응축수는 실내열교환기(160)를 따라 흘러내려 상기 집수공간(152)으로 유입된다.
상기 집수공간(152)으로 유입된 응축수는 상기 집수공간(152)에서 가장 낮은 위치를 가지도록 함몰 형성된 펌프안착부(156)로 유동하게 되며, 상기 펌프안착부(156)의 바닥면 천공 형성된 드레인홀(158)을 통해 드레인팬(150)의 외부로 배수된다.
반면, 상기 실내열교환기(160) 외면에 형성되는 응축수의 양이 급증하여 상기 집수공간(152)에 집수되는 양보다 드레인홀(158)을 통해 자연 배수되는 응축수의 양이 많아지게 되면, 상기 집수공간(152)에 집수된 응축수의 수위는 증가하게 되어 플로트스위치(미도시)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플로트스위치의 구성 설명은 생략했으나 일반적인 플로트스위치의 작동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플로트스위치는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전기적신호를 선택적으로 발생하며 이러한 전기적 신호는 상기 드레인펌프(320)로 보내져 드레인펌프(320)에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상기한 과정으로 상기 드레인펌프(320)는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회전력은 상기 흡입부(362)에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흡입부(362)에 발생된 흡입력은 상기 펌프안착부(156)에 집수된 응축수를 빨아들여(도 8 참조) 상기 임시저장부(166)로 안내하게 되며, 상기 임시보관부(366)로 유입된 응축수는 상기 배수부(364) 우측으로 방향을 바꾸어 유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펌프안착부(156)에 집수된 응축수는 드레인팬(150) 외부로 빠르게 배수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 여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드레인팬에 적재된 이물이 드레인수단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이물차단부재가 드레인수단에 구성된다. 그리고, 이물차단부재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물차단부재의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며, 이물차단부재가 파손시에 드레인팬을 교체해야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자연히 해결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드레인팬을 발포 성형하고 발포 성형된 드레인팬 상면에 방수부재를 구비하였다.
따라서, 실내기 자체의 하중이 현저히 감소되어 설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재료비가 감소하게 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되므로 가격 경쟁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실내 공기를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 외면에 발생된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공간이 형성된 드레인팬과,
    상기 드레인팬에 집수된 응축수를 드레인팬 외부로 배수하는 드레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드레인수단에는,
    응축수에 포함된 이물의 내부 유입을 차단하는 이물차단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은,
    몸체를 형성하며, 상면에 상기 집수공간이 구비되는 팬몸체와,
    상기 팬몸체의 상면에 부착되는 방수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팬몸체는 발포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차단부재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차단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드레인수단의 일측을 수용하여 상기 이물차단부재가 드레인수단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천공된 끼움구멍과,
    등간격으로 하방 돌출되어 이물 유입을 차단하는 이물차단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이물차단돌기가 서로 이격된 거리는,
    상기 드레인팬 일측에 천공되어 집수공간에 집수된 응축수를 외부로 안내하는 드레인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60112408A 2006-11-14 2006-11-14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319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408A KR101319688B1 (ko) 2006-11-14 2006-11-14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408A KR101319688B1 (ko) 2006-11-14 2006-11-14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632A true KR20080043632A (ko) 2008-05-19
KR101319688B1 KR101319688B1 (ko) 2013-10-17

Family

ID=39661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408A KR101319688B1 (ko) 2006-11-14 2006-11-14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6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4320B2 (en) 2015-07-30 2018-08-21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of air conditioner
CN110017305A (zh) * 2019-03-03 2019-07-1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水泵、空调清洁装置、壁挂式室内机及空调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97911B2 (ja) * 2019-03-03 2022-07-08 広東美的制冷設備有限公司 ウォーターポンプ、空調機用洗浄装置、壁掛型室内機及び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9940A (ja) * 1983-11-02 1985-06-03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ドレンポンプ装置
JPS62213621A (ja) * 1986-03-12 1987-09-19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JP3663015B2 (ja) * 1996-09-03 2005-06-22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ドレンパン
JP2006234259A (ja) * 2005-02-24 2006-09-07 Sharp Corp 吸込ポン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4320B2 (en) 2015-07-30 2018-08-21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of air conditioner
CN110017305A (zh) * 2019-03-03 2019-07-1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水泵、空调清洁装置、壁挂式室内机及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9688B1 (ko) 201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96332B (zh) 空调机的室外机
CN105992917A (zh) 空调的室外单元
KR100951507B1 (ko) 증발기 유닛용 응축물 배수 장치
KR101346904B1 (ko) 공기조화기
KR20190106560A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131968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81371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60845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KR100947549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KR101342217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KR102541595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0937309B1 (ko) 증발기 유닛용 응축물 배수 팬
KR20090010420A (ko) 공기조화기의 배기안내수단
KR20080075259A (ko) 이동식 공기조화기
KR2007007316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117832A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팬
KR101280689B1 (ko) 공기조화기
JP4841072B2 (ja) 空気調和装置
KR20080056936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90027354A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호스 연결부 누수방지구조
KR20090022102A (ko) 공기조화기
KR10140901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24737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3113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0241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