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549B1 -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549B1
KR100947549B1 KR1020050126026A KR20050126026A KR100947549B1 KR 100947549 B1 KR100947549 B1 KR 100947549B1 KR 1020050126026 A KR1020050126026 A KR 1020050126026A KR 20050126026 A KR20050126026 A KR 20050126026A KR 100947549 B1 KR100947549 B1 KR 100947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 pan
indoor unit
air condition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5511A (ko
Inventor
이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6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549B1/ko
Publication of KR20070065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로부터 발생된 응축수가 집수되는 드레인팬을 단열부재로 성형함으로써 단열효율이 증대되고 재료비가 절감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은, 열교환기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에 발생한 응축수를 집수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200)의 일측에는 집수된 응축수가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배수안내구(230)가 구비되며, 상기 드레인팬(200)은 단열부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200)은 열교환기(150)의 하방향 투영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덕트형, 공기조화기, 실내기, 드레인팬, 단열부재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Drain pan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도 1 은 천장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개략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천장덕트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천장덕트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을 보인 상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천장덕트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천장덕트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에서 저면 외관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배수안내구의 외관 구성을 보인 상면 사시도.
도 9 는 도 5의 A-A'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실내기 100'. 설치브라켓
102. 흡입구 104. 상면판넬
106. 측면판넬 108. 하면판넬
108'. 하면전방판넬 108". 하면후방판넬
109. 절곡면 110. 필터조립체
112. 필터 114. 필터프레임
116. 탄성걸이 120. 베리어
122. 공기유동홀 130. 송풍장치
132. 송풍팬 134. 하우징
136. 모터 138. 모터브라켓
140. 컨트롤박스 150. 열교환기
160. 단열부재 200. 드레인팬
200'. 형합홈 200". 형합리브
210. 이물걸림보스 220. 응축수이동공
230. 배수안내구 230'. 형합홈
230". 형합리브 240. 유로형성리브
242. 유로 250. 배수관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환기로부터 발생된 응축수가 집수되는 드레인팬을 단열부재로 성형함으로써 단열효율이 증대되고 재료비가 절감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냉/난방기기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기기이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로 나뉘어지는데, 상기 실외기에는 응축기(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에는 증발기(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되는 위치 또는 형상에 따라, 액자형, 벽걸이형, 스텐드형, 천장덕트형 등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다양한 실내기는 냉매관(미도시)에 의해 실외기(미도시)와 연결됨으로써 냉매사이클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이하 '실내기'라 칭함)는 실내의 천장(W)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실내 공기를 열교환 한 후에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양측방(도 2에서 볼 때 전/후면)에는 토출구(13)와 흡입구(미도시)가 각각 천공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미도시)에는 흡입덕트(S)가 연결되고 상기 흡입덕트(S)의 우측단부는 천장(W)을 관통하여 실내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3)에는 토출덕트(B)가 연결되며 상기 토출덕트(B)의 좌측단은 흡입덕트(S)와 마찬가지로 천장(W)을 관통하여 실내와 연통된다.
따라서, 실내 공기는 상기 흡입덕트(S)를 통해 상기 실내기(1) 내부로 유입 가능하며, 유입된 실내 공기는 실내기(1) 내부에서 열교환된 후 토출덕트(B)를 통해 다시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 공기를 조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천장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천장덕트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천장덕트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을 보인 상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1)는 대략 가로로 긴 직육면체 모양의 외형을 가지며, 다수개의 판넬에 의해서 외관이 형성된다.
즉, 상기 실내기(1)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판넬(12)과, 좌/우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판넬(14),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15),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면판넬(16) 및 후면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후면판넬(미도시)에 의해서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판넬의 우측면에는 컨트롤박스(20)가 부착된다. 상기 컨트롤박스(20)는 실내기(1) 및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는 다수개의 전장부품 및 인쇄회로기판(PCB)이 내장된다.
상기 전면판넬(15)은 실내기(1)의 전방을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기(1) 내부를 경유한 공기의 토출을 안내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면판넬(15)의 좌우측에는 토출구(13)가 천공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13)는 전술한 토출덕트(B)와 연결된다.
상기 하면판넬(16)은 천장에 장착된 실내기(1)를 올려다 볼 때 내부가 들여다 보이지 않도록 실내기(1)의 하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실내기(1)의 고장 발생시에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면판넬(16)은 사각판 모양의 하면전방판넬(16')과, 상기 하면전방판넬(16')보다 조금 큰 크기의 하면후방판넬(16")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면후방판넬(16")을 실내기(1)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하게 되면, 상기 실내기(1) 내부는 노출되어 서비스가 가능하다.
상기 후면판넬(미도시)은 상하좌우 테두리부만 제외하고 중앙부가 천공되게 형성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1)의 후면 외관 일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후면판넬(미도시)의 천공된 중앙부는 실내 공기가 실내기(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구(미도시)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에 흡입덕트(S)가 연결되면 실내 공간의 공기는 흡입덕트(S)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실내기(1)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내기(1) 내부의 전반부에는 송풍장치(30)가 장착된다. 상기 송풍장치(30)는 송풍팬(32)을 빠른 속도로 회전시켜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것으로, 상기 송풍팬(32)을 내부에 수용하여 송풍팬(32)의 풍향을 안내하는 하우징(34)과, 상기 송풍팬(32)과 축결합되고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36)와, 상기 모터(36)가 실내기(1) 내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모터브라켓(3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풍팬(32)은 다수개의 날이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다익팬이라고도 불리며, 회전시에 좌우측을 통해 내부로 공기를 흡입한 후에 외주면 방향으로 토출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34)은 좌/우측 및 전방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개구된 좌/우측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전방으로 안내되어 송풍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4)의 개구된 전방은 상기 토출구(13)의 후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실내기(1) 내부의 공기는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 가능하게 된다.
상기 송풍장치(30)의 후측에는 열교환기(40)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40)는 흡입구(미도시)를 통해서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하는 것으로, 상기 실내기(1) 내부에서 경사지게 장착됨으로써 공기와 많은 접촉면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40)의 하측에는 상면이 하방향으로 함몰된 드레인팬(50)이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팬(50)은 열교환기(40)가 공기와 접촉하여 발생한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것으로, 도 3과 같이 대략 'ㄱ'모양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팬(50)은 열교환기(40)의 외면을 타고 흘러내린 응축수 를 집수할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기(40)의 하단부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50)은 상면에 집수된 응축수가 상기 실내기(1)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팬(50)은 방수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되고, 상기 드레인팬(50)의 우측면에는 배수관(52)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52)은 드레인팬(50)의 내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팬(50) 상면에 집수된 응축수는 상기 배수관(52)을 통해 드레인팬(50) 외부로 안내되며, 상기 배수관(52)은 실외로 연통되는 드레인호스(미도시)와 연통됨으로써 응축수는 상기 실내기(1) 외부로 배수 가능하게 된다.
상기 드레인팬(50)의 외측면 즉, 전후좌우면 및 하면에는 단열부재(54)가 부착된다. 상기 단열부재(54)는 차가운 응축수와 접촉한 드레인팬(50)의 외면에 이슬맺힘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드레인팬(50)의 외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단열부재(54)는 드레인팬(50)의 외면이 공기와 접촉을 차단하여 열교환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이슬 맺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실내기(1)의 후단에는 필터(60)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60)는 실내기(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全面)에 미세한 구멍이 천공 형성되며, 테두리에는 좁은 폭의 금속판을 사각지게 절곡하여 형성된 필터프레임(62)이 견고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60)는 필터프레임(62)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빠른 속도로 관통하는 공기에 의한 변형발생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60)는 필터브라켓(70)에 의해서 구속되어 상기 후면판넬(16)의 전면에 고정된다. 상기 필터브라켓(70)은 가로로 긴 철판을 상하방향으로 다수회 절곡하여 형성되며, 상기 필터프레임(62)의 상하부 전면을 구속하여 이탈을 규제하게 된다.
즉, 상기 필터브라켓(70)은 후면판넬(미도시)의 전면 상부의 좌우측에 각각 한 개씩 부착되며, 우측에서 볼 때 대략 "
Figure 112005074478290-pat00001
"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는 상부브라켓(72)과, 후면판넬(미도시)의 전면 하부 일측에 부착되고, 우측에서 볼 대 대략 "
Figure 112005074478290-pat00002
"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는 하부브라켓(7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브라켓(72)의 상부 우측면과 하부브라켓(74)의 하부 우측면이 상기 후면판넬(미도시)의 전면에 부착되면, 상기 상부브라켓(72)과 하부브라켓(74)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브라켓(72)과 하부브라켓(74) 사이에 필터(60)가 끼워지게 되면 상기 필터(60)는 필터프레임(62)이 필터브라켓(70)에 의해서 전면 상/하단부가 구속되어 좌우 방향으로만 유동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드레인팬(50)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드레인팬(50)은 상방향에서 볼 때 대략 'ㄱ'형상을 가지며, 열교환기(40)의 하단부의 하측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40)의 상단부에 형성된 응축수가 열교환기(40)의 외면을 타고 흘러내리지 않고 낙하하게 되면, 드레인 팬(50)에 집수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팬(50)은 플라스틱으로 사출되어 단열이 되지 않으므로, 외면에 별도의 단열부재(54)를 더 부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팬(50)의 제작시에 재료비가 상승하게 됨은 물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교환기로부터 발생된 응축수가 집수되는 드레인팬을 단열부재로 성형함으로써 단열효율이 증대되고 재료비가 절감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레인팬의 면적이 열교환기의 하방향 투영면적과 대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응축수가 드레인팬 외부로 낙수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열교환기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에 발생한 응축수를 집수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의 일측에는 집수된 응축수가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배수안내구가 구비되며, 상기 드레인팬은 단열부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레인팬은 열교환기의 하방향 투영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레인팬의 일측에는, 천공 성형되어 응축수가 상기 배수안내구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응축수이동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레인팬과 배수안내구의 일측에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또는 함몰되어 서로 형합됨으로써 상기 배수안내구가 드레인팬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형합홈 또는 형합리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안내구의 일측에는, 내부가 천공된 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안내구로 유입된 응축수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은 사출 성형에 의해 배수안내구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레인팬의 일측에는, 함몰 성형되고 내부에 응축수이동공이 천공되며, 상기 배수안내구 일측과 결합되어 배수관과 연통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리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에 의하면 제조원가가 절감되며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구성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는 좌우로 긴 직육 면체의 외형을 가지며, 좌우측면 상단에 부착된 설치브라켓(100')과 건물 천장에 일단부가 고정된 와이어(미도시)의 결합에 의해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매달린 상태에서 전방으로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내부에서 흡입된 실내 공기를 열교환한 후에 후방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실내기(100)는 전/후면이 개구되어 흡입구(102) 및 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102)는 흡입덕트(미도시)와 연결되고 토출구(미도시)는 토출덕트(미도시)와 연통되도록 연결됨으로써,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기(100) 내부를 경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00)의 나머지 외관 즉, 상면, 좌우측면 및 하면 외관은 상면판넬(104), 측면판넬(106) 및 하면판넬(108)에 의해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면판넬(108)은 천장에 장착된 실내기(100)를 올려다 볼 때 내부가 들여다 보이지 않도록 실내기(100)의 내부를 차폐하는 것으로, 실내기(100)의 고장 발생시에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면판넬(108)은 사각판 모양의 하면전방판넬(108')과, 상기 하면전방판넬(108')보다 조금 큰 크기의 하면후방판넬(108")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면후방판넬(108")을 실내기(10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하게 되면, 상기 실내기(100) 내부는 노출되어 서비스가 가능하다.
상기 하면전방판넬(108')은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조립체(110)와 선택적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하면전방판넬(108')은 필터조립체(11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서로 위치를 바꾸어 설치하게 되면 상기 실내 기(100)의 흡입구(102)는 도 4에서 볼 때 하면전방판넬(108')의 위치가 된다.
이것은 천장(미도시)에 설치된 실내기(100)에 덕트(미도시)를 연결시에 여러 곳에 결합 가능하도록 하여 설치 용이성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상면판넬(104)과 측면판넬(106), 하면후방판넬(108") 및 하면전방판넬(108')의 선단에는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면(109)이 형성된다. 상기 절곡면(109)은 필터조립체(110)의 장착을 위한 것으로, 필터조립체(110)의 일측을 구속함으로써 필터조립체(110)의 이탈을 규제하게 된다.
상기 실내기(100)의 전면에는 필터조립체(110)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조립체(110)는 흡입구(102) 전방에 장착되어 이물을 필터링하는 것으로, 상기 흡입구(102)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절곡면(109)에 의해 간섭되어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필터조립체(110)는 다수개의 구멍(미도시)이 천공되어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만을 선택적으로 필터링하는 필터(112)와, 상기 필터(112)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판넬에 결합되는 필터프레임(1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112)는 일반적으로 망과 같은 형상으로 성형되어 이물을 필터링하게 되며, 상기 필터프레임(114)에 의해서 모서리부위가 고정됨으로서 평탄한 모양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프레임(114)은 플라스틱을 용융하여 사출 성형한 것으로, 상기 필터(112)를 견고하게 지지해야 함은 물론, 쉽게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필터프레임(114)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프레임(114)의 상하부에는 탄성걸이(116)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걸이(116)는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판넬(즉, 상면판넬(104), 측면판넬(106) 및 하면판넬(108)의 절곡면(109))과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필터(112)가 실내기(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구속력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걸이(116)는 필터프레임(114)의 다수 곳이 절곡면(109)과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프레임(114)으로부터 이탈 또는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탄성걸이(116)는 필터프레임(114)과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 대략 중앙에는 실내기(100) 내부 공간을 전/후로 구획하는 베리어(120)가 설치된다. 상기 베리어(120)는 대략 사각판 모양을 가지며 상기 흡입구(102)과 대응되는 외곽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베리어(120)가 실내기(100) 내부에 장착되면 베리어(120)의 전방 공간은 흡입력을 발생하게 되고, 상기 베리어(120)의 후방은 흡입된 실내공기를 열교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120)에는 베리어(120) 전방의 공기가 후방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공기유동홀(122)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동홀(122)은 실내기(100) 내부 전방의 공기가 후방으로 신속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다수개로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상기 베리어(120)의 전방에는 송풍장치(130)가 구비된다. 상기 송풍장치(130)는 베리어(120)를 기준으로 전방, 즉 상기 실내기(100) 내부의 전방 공간에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으로, 실내 공기를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하여 상기 베리어(120) 후측으로 송풍하게 된다.
이러한 역할 수행을 위해 상기 송풍장치(130)는 회전시에 좌우측에서 중앙부로 흡입력을 발생하고 외주방향으로 송풍하는 송풍팬(132)과, 상기 송풍팬(132)을 내부에 수용하여 송풍되는 바람의 방향을 안내하는 하우징(134)과, 상기 송풍팬(132)과 축결합되고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136)와, 상기 모터(136)가 실내기(100) 내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모터브라켓(13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풍팬(132)은 다수개의 날이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다익팬이라고도 불리며, 회전시에 좌우측을 통해 내부로 공기를 흡입한 후에 외주면 방향으로 토출한다.
상기 송풍팬(132)은 하우징(134)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134)은 좌/우측 및 후방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개구된 좌우/측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후방으로 안내되어 송풍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34)의 개구된 후방은 상기 공기유동홀(122)과 연통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132)이 회동하게 되면 하우징(134)의 개구된 좌우측으로 흡입력을 발생하여 실내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하우징(134)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송풍팬(132) 내부를 경유하여 외주면으로 토출된 후에 상기 하우징(134)의 내주면에 안내되어 상기 공기유동홀(122)의 후방 즉, 베리어(120)의 후방 공간으로 송풍된다.
상기 송풍장치(130)의 우측에는 컨트롤박스(140)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박 스(140)는 실내기(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직육면체 모양을 가지며 도시되진 않았지만 내부에는 다수개의 전장부품이 내장된다.
한편, 상기 베리어(120)의 후방에는 열교환기(150)가 구비된다. 상기 열교환기(150)는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열교환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의 온도가 상기 열교환기(150)의 외면에 전달됨으로써 실내 공기를 열교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150)는 실내 공기와의 넓은 접촉면적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경사지게 장착되며, 가늘고 긴 원형관이 다수회 절곡되어 대략 사각판 모양의 외형을 가지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150)의 좌우측에는 단열부재(160)가 직립되게 구비된다. 상기 단열부재(160)는 열교환기(150)에 의해 열교환 된 공기가 측면판넬(106)과 접촉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150)의 하측에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드레인팬(200)이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팬(200)은 상기 열교환기(150)가 작동시에 발생되는 응축수가 외면을 따라 흘러내릴 때 이를 집수하기 위한 것으로, 대략 사각판 모양을 가지며상면이 하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200)은 열교환기(150)의 하방향 투영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것은 상기 열교환기(150)의 외면을 따라 흘러내리지 않고 낙하되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드레인팬(200)의 구성을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 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200)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200)에서 저면 외관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200)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배수안내구의 외관 구성을 보인 상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팬(200)은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드레인팬(200)의 상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팬(200)의 상면에 집수된 응축수는 선단부로 흘러내려 모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드레인팬(200) 상면의 전반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다수개의 이물걸림보스(210)가 구비된다. 상기 이물걸림보스(210)는 대략 반원모양의 종단면을 가지며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물걸림보스(21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 응축수의 유동이 가능하며, 이물걸림보스(210)는 이물을 간섭하여 거르게 된다.
한편, 상기 드레인팬(200)은 단열부재로 성형된다. 즉, 상기 열교환기(150)에서 낙수된 응축수는 낮은 수온을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차가운 응축수가 상기 드레인팬(200)과 접촉시에 드레인팬(200)의 외면에 이슬맺힘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팬(200)은 중량이 가벼우며 단열성이 뛰어난 발포폴리스 틸렌(EPS)으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레인팬(200)의 상면 우측 선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천공된 응축수이동공(220)이 구비된다. 상기 응축수이동공(220)은 경사지게 형성된 드레인팬(200)의 상면에 의해 전방으로 유동한 응축수가 상기 드레인팬(200)을 관통하여 하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배수안내구(230)의 일측과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팬(200) 상면에 다량의 응축수가 집수되더라도 상기 응축수이동공(220)을 통해서 응축수가 드레인팬(200) 외부로 배수됨으로써, 상기 드레인팬(200)의 상면에서 응축수가 흘러 넘치는 현상은 미연에 방지된다.
상기 드레인팬(200)의 하측에는 배수안내구(230)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응축수이동공(220)이 형성된 드레인팬(200)의 하측에는 배수안내구(230)가 구비된다. 상기 배수안내구(230)는 응축수이동공(220)을 통해서 유동한 응축수가 드레인팬(200)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플라스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안내구(230)의 하면과 드레인팬(200)의 상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또는 함몰되어 형합 가능한 형합홈(200',230') 및 형합리브(200",230")가 구비된다. 상기 형합홈(200',230') 및 형합리브(200",230")는 서로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빈틈없이 형합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팬(200)의 하면에 배수안내구(230)를 결합하게 되면, 상기 형합홈(200',230')과 형합리브(200",230")는 서로 형합되어 마찰력을 발생함으 로써 상기 배수안내구(230)가 드레인팬(2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형합홈(200')의 좌측에는 대략 '
Figure 112005074478290-pat00003
'모양의 종단면을 가지고 전방으로 돌출된 유로형성리브(240)가 구비된다. 상기 유로형성리브(240)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유로(242)를 형성하는 것으로, 전면이 상기 배수안내구(230)의 전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배수안내구(230)가 드레인팬(200) 저면에 결합시에 유로형성리브(240)는 상기 배수안내구(230)의 형합리브(230")의 우측에 함몰된 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유로형성리브(240)의 좌/우측면 및 하면은 상기 배수안내구(230)의 내부 우측면 및 배수안내구(230)의 형합리브(230") 우측면 및 상면과 면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로형성리브(240) 내부의 함몰된 부위만큼 유로(도 9의 도면부호 242)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응축수이동공(220)을 통해서 유동한 공기는 상기 유로(242)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배수안내구(230)의 상면에는 원통 모양의 배수관(250)이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배수관(250)은 드레인팬(200) 상면의 응축수가 상기 실내기 외부로 배수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내부가 상기 유로(242) 및 응축수이동공(220)과 연통될 수 있도록 천공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250)은 배수안내구(230)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배수안내구(230)의 사출 성형시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관(250)에 플렉시블한 드레인호스(미도시)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드레인호스의 타단부가 상기 실내기(100) 외부로 노출되면 상기 드레인팬 (200) 상면의 응축수는 실내기(100) 외부로 배수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실내기(100)의 작용을 냉방모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와 같이 조립된 실내기(100)에 전원을 인가하여 가동하게 되면, 상기 송풍장치(130)는 작동하여 흡입력을 발생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송풍팬(132)이 회동하여 좌우측방에서 중심방향으로 흡입력을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흡입력은 상기 하우징(134)의 개구된 좌우측, 흡입구(102) 및 흡입덕트(미도시)로 전달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112)는 이물을 필터링한 후에 정화된 공기를 실내기(100) 내부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필터(112)를 관통한 실내 공기는 상기 하우징(134)의 개구된 좌우측을 통해 송풍팬(132) 내부로 유입된 후 외주면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34)의 내주면은 실내 공기를 후방으로 안내함으로써, 실내 공기는 하우징(134)의 후단부와 연통된 공기유동홀(122)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공기유동홀(122)을 관통한 실내 공기는 열교환기(150)의 외면과 접촉하여 열교환 된다.
상기 열교환기(150)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미도시)와 토출덕트를 차례로 경유하여 다시 실내 공간으로 유입됨으로써 실내는 냉방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기(150)의 열교환 과정 중에 발생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 팬(200) 상면에 집수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기(150) 외면을 따라서 흐르지 않고 낙수되는 응축수도 상기 드레인팬(200)의 상면에 집수된다.
상기 드레인팬(200) 상면에 집수된 응축수는 경사진 상면을 따라 전방(도 6에서 볼 때)으로 유동하게 되며 상기 응축수이동공(220)을 통해 하방향으로 안내된다.
상기 응축수이동공(220)을 지나온 응축수는 상기 유로(242)로 유입된 다음 상기 배수관(250) 및 드레인호스를 통해 실내기 외부로 배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드레인팬(200)과 배수안내구(230)의 조립 과정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는 도 5의 A-A'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드레인팬(200)과 배수안내구(23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배수관(250)이 우측방향을 향하도록 한 다음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형합홈(200',230')과 형합리브(230")는 서로 형합되어 도 9와 같이 빈틈없이 결합되며, 상기 응축수이동공(220)의 하측에는 유로(24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로(242)의 후방으로는 상기 배수관(250)이 위치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드레인팬(200)과 배수안내구(230)의 간단한 끼움 결합만으로 조립은 완료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수안내구의 외면에 별도의 단열부재를 구비하지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도 6에서 볼 때 배수안내구의 우측면과 하면에 단열부재를 부착하여 배수안내구의 외면에 이슬맺힘이 방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에서는, 열교환기로부터 발생된 응축수가 집수되는 드레인팬의 발포폴리스틸렌으로 성형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단열효율이 증대되어 이슬맺힘이 방지되며, 재료비가 현저히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드레인팬의 면적이 열교환기의 하방향 투영면적과 대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응축수가 드레인팬 외부로 낙수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열교환기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에 발생한 응축수를 집수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의 일측에는 집수된 응축수가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배수안내구가 구비되며,
    상기 드레인팬은 단열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팬과 상기 배수안내구의 일측에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또는 함몰되어 서로 형합됨으로써 상기 배수안내구가 상기 드레인팬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형합홈 또는 형합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은 열교환기의 하방향 투영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의 일측에는,
    천공 성형되어 응축수가 상기 배수안내구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응축수이동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안내구의 일측에는,
    내부가 천공된 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안내구로 유입된 응축수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은 사출 성형에 의해 배수안내구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의 일측에는,
    함몰 성형되고 내부에 응축수이동공이 천공되며, 상기 배수안내구 일측과 결합되어 배수관과 연통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리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KR1020050126026A 2005-12-20 2005-12-20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KR100947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026A KR100947549B1 (ko) 2005-12-20 2005-12-20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026A KR100947549B1 (ko) 2005-12-20 2005-12-20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511A KR20070065511A (ko) 2007-06-25
KR100947549B1 true KR100947549B1 (ko) 2010-03-12

Family

ID=38364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026A KR100947549B1 (ko) 2005-12-20 2005-12-20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5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875B1 (ko) 2007-12-12 2009-03-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8800309A (zh) * 2017-04-26 2018-11-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
CN108326248B (zh) * 2018-05-09 2023-12-19 江苏亚太航空科技有限公司 铸造用结晶器
CN109974278A (zh) * 2019-04-30 2019-07-05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底盘储水结构及空调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664A (ja) * 1992-07-08 1994-02-04 Toyoda Gosei Co Ltd 室内用空調機のドレンパン
KR20010028970A (ko) * 1999-09-28 2001-04-06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구조
KR20010097626A (ko) * 2000-04-25 2001-11-08 구자홍 제습기
KR20050048866A (ko) * 2003-11-20 2005-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664A (ja) * 1992-07-08 1994-02-04 Toyoda Gosei Co Ltd 室内用空調機のドレンパン
KR20010028970A (ko) * 1999-09-28 2001-04-06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구조
KR20010097626A (ko) * 2000-04-25 2001-11-08 구자홍 제습기
KR20050048866A (ko) * 2003-11-20 2005-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511A (ko) 2007-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9683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988572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EP3124888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947549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KR20190106560A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20070066393A (ko) 천장덕트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하우징
CN101078556B (zh) 空调器室内机的排水底盘
KR2007007316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75312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31968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60845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KR20090043361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KR100716251B1 (ko) 공기조화기
KR1017428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4841072B2 (ja) 空気調和装置
KR10114070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05756B1 (ko)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 설치구조
KR10043614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20036914A (ko) 공기조화기
KR200312147Y1 (ko) 룸 에어컨의 구조
KR100484932B1 (ko) 공기조화기
KR10167696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6639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73162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판넬
KR20010093370A (ko) 배리어의 응축수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