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965B1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965B1
KR101676965B1 KR1020150113507A KR20150113507A KR101676965B1 KR 101676965 B1 KR101676965 B1 KR 101676965B1 KR 1020150113507 A KR1020150113507 A KR 1020150113507A KR 20150113507 A KR20150113507 A KR 20150113507A KR 101676965 B1 KR101676965 B1 KR 101676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uide
front panel
air
protrusion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걸
이정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3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965B1/ko
Priority to CN201610608178.3A priority patent/CN106468459B/zh
Priority to EP16183050.0A priority patent/EP3130864B1/en
Priority to US15/233,555 priority patent/US1030968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01/003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5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by evaporating the condensate in the cooling medium, e.g. in air flow from the cond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 공간의 천정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열교환기가 수용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개구면에 장착되며, 함몰된 내측 영역에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프론트 패널 토출구가 형성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패널 토출구에 구비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패널 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베인; 상기 패널 토출구의 외측단을 따라서 연장 형성되며, 단열소재로 형성되는 에어 가이드; 상기 에어 가이드가 장착되는 상기 프론트 패널에서 돌출형 성되는 밀림 방지 돌기; 및 상기 밀림 방지 돌기와 대응하는 상기 에어 가이드의 바닥면에 함몰되어 상기 밀림 방지 돌기가 수용되는 돌기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Indoor unit for air conditoiner }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 또는 고온의 냉매와 열교환 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것을 반복하는 작용에 의해 시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로 나뉘어 지는데, 상기 실외기에는 응축기(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실내열교환기)에는 증발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설치 공간이나 소음 등을 고려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선호된다.
이러한 분리형 공기조화기 중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가 연결되며, 이러한 실내기가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여러 대의 공기조화기를 설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중에는 실내공간의 천정에 설치되어 실내 공간을 냉난방 시키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0074374호에는 천정에 설치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세히, 캐비닛의 내부에 송풍팬과 열교환기, 팬모터, 상기 열교환기의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팬이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면을 차폐하는 프론트 패널이 천정면으로 노출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프론트 패널에 형성되는 흡입구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토출구로 토출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실내공기보다 과도하게 낮을 경우 온도차이에 의해 상기 토출구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결로에 의해 생성된 물방울이 실내로 떨어지게 될 경우 사용자의 불만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 방지를 위해 상기 토출구측에 단열 또는 결로의 방지를 위한 추가의 구성이 부가될 수 있으나, 지속적인 공기의 유동에 의해 부가된 구성이 떨어지게 되거나 소음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론트 패널의 토출구측에 단열 소재의 에어가이드가 구비되어 결로를 방지하고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며, 안정적인 결합구조로 프론트 패널과 분리되거나 소음 및 진동이 방지되는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 공간의 천정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열교환기가 수용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개구면에 장착되며, 함몰된 내측 영역에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프론트 패널 토출구가 형성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패널 토출구에 구비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패널 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베인; 상기 패널 토출구의 외측단을 따라서 연장 형성되며, 단열소재로 형성되는 에어 가이드; 상기 에어 가이드가 장착되는 상기 프론트 패널에서 돌출 형성되는 밀림 방지 돌기; 상기 밀림 방지 돌기와 대응하는 상기 에어 가이드의 바닥면에 함몰되어 상기 밀림 방지 돌기가 수용되는 돌기 수용홈; 상기 프론트 패널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 가이드를 지지하는 사이드 월; 상기 사이드 월에 함몰 형성되는 결합 홈; 상기 프론트 패널과 접하는 상기 에어 가이드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결합홈의 깊이보다 더 돌출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과 상기 에어 가이드 일측을 이격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림 방지 돌기는 상기 패널 토출구의 선단을 따라서 다수개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 가이드에는 상기 패널 토출구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곡면으로 형성된 안내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면의 양단은 상기 토출구 양단의 곡률을 따라 형성되며,토출되는 공기가 중앙측을 향하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프론트 패널에는 상기 토출구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 가이드의 하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부의 하단에는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과 상기 에어 가이드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 가이드의 양단에는 상기 베인의 회전을 위한 베인 모터가 수용되는 모터 케이스가 안착되는 케이스 안착부가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 패널에는 상기 에어 가이드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상기 모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케이스 수용부가 위치되고, 대향되는 다른 일측에 상기 모터 케이스의 고정을 위한 결합부재가 체결되는 케이스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인의 양측방에 위치되는 상기 모터 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상기 베인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베인 모터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토출구가 형성되는 프론트 패널에는 안내면을 가지는 에어 가이드가 구비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며, 동시에 토출구와 인접한 부위에 냉각 공기가 직접 접하지 않도록 하고 단열되도록 하여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둘째,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기 프론트 패널상의 밀림 장지 돌기와 결합됨으로써 지속적인 공기의 유동에도 상기 에어 가이드는 밀림이 발생되지 안고 장착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에어 가이드의 장착 위치 변경에 따른 진동 및 떨림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상기 에어 가이드가 접하는 사이드 월과 에어 가이드 장착부의 외측은 상기 에어 가이드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어 유동되는 공기에 의한 온도차에 의해 상기 에어 가이드 또는 프론트 패널의 일부가 변형될 때 여유공간을 가지게 되어 팽창 또는 수축 변형시 발생되는 충돌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넷째, 상기 에어 가이드의 양측에는 모터 케이스가 장착되며, 상기 모터 케이스의 고정 장착시 상기 에어 가이드의 양측을 눌러서 고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기 프론트 패널상에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론트 패널과 흡입 그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프론트 패널과 흡입 그릴이 결합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5는 상기 프론트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프론트 패널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에어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프론트 패널에 상기 에어가이드가 장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8의 9-9'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실내기의 공기유동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이하 "실내기"라 칭함)는 전체적으로 실내 공간의 천장 내부에 삽입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하단에 구비되어 하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실내기의 설치시 상기 천장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프론트 패널(20) 및 흡입 그릴(2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흡입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30)와, 실내공기의 강제 흡입 및 토출을 위한 송풍팬(40)과, 상기 송풍팬(40)을 향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부재(50), 상기 열교환기(3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팬 어셈블리(60) 및 집수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펌프(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20)은 상기 캐비닛(10)의 하단에 장착되며, 하방에서 바라볼 때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20)은 상기 캐비닛(10)의 하단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둘레가 상기 천장의 하면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20)에는 상기 캐비닛(10)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출구가 되는 프론트 패널 토출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 토출구(22)는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10)의 외측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토출구(22)는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패널(20)에 장착되는 베인(23)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중앙부에는 흡입 그릴(21)이 장착되며, 상기 실내기(1)의 하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흡입 그릴(21)은 상기 한쌍의 프론트 패널 토출구(22)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20) 중앙의 개구를 차폐할 수 있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 그릴(21)은 상기 실내기(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흡입 그릴(21)의 적어도 일부는 그릴 또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실내 공기의 유입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흡입구(213)를 형성하게 된다.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11)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11)의 내측에 구비되는 이너 케이스(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11)는 판상의 스틸 소재가 하면이 개구되는 상기 캐비닛(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11)는 각 면을 형성하는 구성들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을 가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11)의 내측면에는 이너 케이스(12)가 형성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12)는 이피에스(EPS:Expended polystyrene)와 같은 단열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 내부를 단열시키고 소음 진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너 케이스(12)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11)와 밀착되어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형상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20)과 접하는 면이 완전히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12)의 내측 공간에는 상기 송풍팬(40)이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40)의 둘레로 상기 열교환기(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30)는 상기 이너 케이스(12)의 내측면을 따라서 배치되되 상기 이너 케이스(12)의 벽면 및 송풍팬(40)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40)의 축방향으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40)의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토출되고 상기 열교환기(30)를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교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면에는 드레인팬 어셈블리(60)가 장착되어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면을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 어셈블리(60)는 상기 이너 케이스(12)의 상단에 안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드레인팬 어셈블리(60)의 장착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의 양측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 토출구(22)와 연통되어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3)가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 어셈블리(60)의 중앙에는 상기 흡입 그릴(21)을 통과해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송풍팬(40)측으로 향하도록 개구되는 하는 흡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팬 어셈블리(60)는 바디(61)와, 상기 이너 케이스(12)의 내측을 향하는 면을 형성하는 팬 플레이트(62)와, 상기 바디(61)의 중앙에 장착되는 오리피스부재(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61)는 상기 이너 케이스(12)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 내부를 단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61)는 상기 드레인팬 어셈블리(6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바디(61)의 중앙에는 상기 오리피스부재(50)가 장착되며, 상기 바디(61)와 오리피스(50)가 접하는 일측에는 패널 삽입부(612)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삽입부(612)는 상기 오리피스부재(50)의 장착시 상기 오리피스부재(50)에 형성된, 패널 고정부(523)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패널 결합부(202)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오리피스(50)는 상기 바디(61)의 개구된 중앙에 장착되며,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50)의 중앙에는 오리피스 홀(51)이 형성되며,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 홀(51)을 통과하여 상기 송풍팬(40)으로 향하게 된다.
상기 오리피스(50)가 상기 바디(61)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결합부 삽입구(524)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결합부 삽입구(524)를 통해서 상기 패널 결합부(202)가 삽입되어 걸림 구속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패널(20)은 상기 드레인팬 어셈블리(60)의 일측과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61)의 양측면에는 상기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613)가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613)는 상기 드레인팬 어셈블리(60)의 장착시 상기 토출구(13)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61) 중 다른 일측면에는 상기 컨트롤 박스(8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박스 수용부(6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61)의 하방에는 상기 팬 플레이트(62)가 구비된다. 상기 팬 플레이트(62)는 상기 바디(61)의 하부를 수용하게 되며, 상기 드레인팬 어셈블리(60)의 하면 전체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팬 플레이트(62)는 상기 바디(61)와는 다른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드레인팬 어셈블리(6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바디(61)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팬 플레이트(62)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 후 상기 팬 플레이트(62)에 상기 바디(61)가 압입 또는 접착되어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팬 플레이트(62)는 상기 바디(61)의 성형시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팬 플레이트(62)와 바디(61)는 동종의 소재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팬 플레이트(62)에는 응축수가 집수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드레인 펌프(70)의 흡입측이 위치되어 집수된 응축수를 흡입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 플레이트(62)에는 상기 열교환기(30)의 단부가 수용되는 열교환기 수용부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플레이트(62)의 일측에는 상기 바디(61)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박스 수용부(614) 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트롤 박스(8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컨트롤 박스 안착부(62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박스(80)는 상기 박스 안착부(624)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그릴(21)의 개방시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패널 개구(24)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론트 패널과 흡입 그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프론트 패널과 흡입 그릴이 결합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프론트 패널(20)은 상기 캐비닛(10)의 크기보다 더 큰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천정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실내기(1)가 설치된 상태에서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20)은 전체적으로 네 모서리가 라운드진 형상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형상을 따라 함몰된 그릴 수용부(201)가 형성되고, 상기 그릴 수용부(201)의 내측 중앙에는 사각형 형상의 패널 개구(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개구(24)는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상면의 크기와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구성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개구(24)의 둘레에는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캐비닛(10)과 상기 프론트 패널(20)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널 개구(24)의 측면 양측에는 패널 결합부(202)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 결합부(202)는 상기 프론트 패널(20)을 상기 캐비닛(10), 보다 상세하게는 드레인팬 어셈블리(6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드레인팬 어셈블리(60)에 형성된 결합부 삽입구(524)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널 결합부(202)와 상기 결합부 삽입구(524)는 가고정 구조를 제공하여,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장착 및 분해시 상기 프론트 패널(20)이 낙하되지 않고 임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패널(20)상의 그릴 수용부(201)에는 패널 토출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토출구(22)는 상기 패널 개구(24)와 상기 그릴 수용부(201)의 외측단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패널 토출구(22)는 함몰된 상기 그릴 수용부(201)의 외측단을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패널 토출구(22)의 양단은 상기 그릴 수용부(201)의 모서리의 라운드를 따라서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 토출구(22)에는 상기 패널 토출구(22)를 개폐하기 위한 베인(23)이 구비되어 상기 패널 토출구(22)에서 토출되는 열교환 공기의 토출 방향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인(23)은 아래에서 설명할 베인 모터(29)에 단부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인(23)의 회전에 의해 상기 패널 토출구(22)의 개방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토출구(22)와 교차되는 다른 상기 그릴 수용부(201)의 양측에는 점검구(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검구(25)는 상기 패널 개구(24)와 상기 그릴 수용부(201)의 외측단 사이에 개구되며, 양측에 각각 2개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검구(25)는 상기 프론트 패널(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10)의 외측 영역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점검구(25)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111)의 수직한 하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을 넣어 상기 마운팅 브라켓(111)에 장착되는 설치수단을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에서와 같이 하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점검구(25)를 통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111)이 노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그릴 수용부(201)에는 상기 흡입 그릴(21)과 연결되며, 상기 흡입 그릴(21)이 회동에 의해 상기 패널 개구(24) 및 상기 점검구(25)들을 한꺼번에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회동 장치(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회동 장치는 양단이 상기 프론트 패널(20)과 상기 흡입 그릴(2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한쌍이 상기 흡입 그릴(21)의 일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그릴(21)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흡입 그릴(21)이 상기 프론트 패널(20)에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속 장치(2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속 장치(211)는 상기 흡입 그릴(21)의 외측으로 일부가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흡입 그릴(21)이 상기 프론트 패널(20)로부터 선택적으로 구속이 해제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 그릴(21)은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중앙에 개구된 패널 개구(24)를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흡입 그릴(21)은 상기 프론트 패널(20) 중 상기 그릴 수용부(20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 토출구(22)의 내측단과 상기 그릴 수용부(201)의 외측단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 그릴(21) 양측의 단부는 상기 패널 토출구(22)의 내측단 형상과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 그릴(21)의 다른 양측의 단부는 상기 그릴 수용부(201)의 함몰된 라인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그릴(21)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패널 개구(24)와 점검구(25)를 포함한 상기 그릴 수용부(201)를 커버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패널 토출구(22)의 내측단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 수용부(201)의 함몰된 라인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그릴 수용부(201)의 라인이 외관을 통해 폐루프 형상으로 보여질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상기 프론트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프론트 패널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패널 개구(24)의 일측면을 따라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사이드 월(26)이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 월(26)은 아래에서 설명할 에어 가이드(28)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 (20)에서 수직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월(26)에는 다수의 결합 홈(26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 홈(261)은 상기 에어 가이드(28)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282a)가 수용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낟.
상기 사이드 월(26)과 상기 패널 토출구(22)의 사이에는 상기 에어 가이드(28)가 안착되는 상기 에어 가이드 장착부(2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 가이드 장착부(27)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71)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71)는 상기 흡입 그릴(21)의 장착시 상기 흡입 그릴(21)의 일부가 수용되는 부분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전면에서는 함몰되고, 프론트 패널(20)의 후면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 토출구(22)와 인접한 상기 에어 가이드 장착부(27)의 단부에는 밀림 방지 돌기(272)가 형성된다. 상기 밀림 방지 돌기(272)는 상기 에어 가이드 장착부(27)에 장착되는 상기 에어 가이드(28)의 일측과 걸림 구속되어 에어 가이드(28)가 밀리거나 장착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밀림 방지 돌기(272)는 상기 패널 토출구(22)의 외측 즉, 상기 에어 가이드 장착부(27)의 단부를 따라서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널 토출구(22)의 양측방에는 모터 케이스 장착부(203)가 형성된다. 상기 모터 케이스 장착부(203)는 베인 모터(29)가 수용되는 모터 케이스(291,292)의 장착을 위한 것으로, 상기 모터 케이스(291,292)의 일단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케이스 장착부(203)와 마주보는 일측에는 케이스 체결부(20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체결부(204)는 결합부재(S)가 체결되는 보스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 케이스(291,292)는 상기 패널 토출구(22) 양측의 상기 패널 토출구(22)의 양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 케이스 장착부(203) 및 상기 케이스 체결부(204)에 의해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 케이스(291,292) 내부에는 상기 베인 모터(29)가 구비된다. 상기 베인 모터(29)는 상기 좌우 양측의 모터 케이스(291,29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인(23)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회전 축(231)과 상기 베인 모터(29)가 직/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좌우 양측의 모터 케이스(291,292) 중 상기 베인 모터(29)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베인(23)의 회전 축은 상기 모터 케이스(291,292)의 케이스 홀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에어 가이드(28)는 상기 패널 토출구(22)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함과 동시에 폴리스티렌과 같은 단열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패널 토출구(22)측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 가이드(28)는 상기 양측의 모터 케이스(291,292)에 의해 양단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케이스(291,292)와 상기 에어 가이드(28)의 양측은 탑 커버(293,294)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293,294)는 상기 모터 케이스(291,292) 또는 상기 프론트 패널(2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에어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프론트 패널에 상기 에어가이드가 장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은 도 8의 9-9'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에어 가이드(28)는 상기 에어 가이드 장착부(27)를 따라서 길게 연장되며, 상기 패널 토출구(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가이드(28)는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내측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28)는 상기 사이드 월(26)과 상기 에어 가이드 장착부(27)에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상기 모터 케이스(291,292)에 의해 양측방이 눌려지면서 상기 프론트 패널(20)에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에어 가이드(28)는 상기 패널 토출구(22)의 단부를 따라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가이드(28)는 상기 에어 가이드 장착부(27)와 접하는 하면(281), 상기 사이드 월(26)에 의해 지지되는 후면(282), 그리고 상기 토출 공기를 상기 패널 토출구(22) 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면(283)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하면(281)은 상기 에어 가이드 장착부(27)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271)와 대응하는 안착부(281a)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81a)는 상기 돌출부(271)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81a)를 제외한 상기 하면(281)은 상기 에어 가이드 장착부(27)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281a)의 하단에는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281b)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차부(281b)는 상기 에어 가이드(28)의 장착시 상기 에어 가이드 장착부(27)와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는 온도차에 의한 상기 에어 가이드(28)의 팽창 수축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에어 가이드(28) 또는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팽창 수축시의 여유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하면(281)의 전단에는 돌기 수용홈(28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수용홈(281b)은 상기 밀림 방지 돌기(272)와 대응하는 상기 에어 가이드(28)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 가이드(28)의 단부에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 가이드(28)의 장착시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밀림 방지 돌기(272)가 상기 돌기 수용홈(281b)에 수용되며, 따라서 상기 에어 가이드(28)는 공기의 유동시 밀림 없이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에어 가이드(28)의 후면(282)에는 결합 돌기(282a)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 돌기(282a)는 상기 사이드 월(26)의 결합 홈(261)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 홈(261)의 깊이보다 더 돌출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 가이드(28)의 장착시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에어 가이드(28)의 후면이 상기 사이드 월(26)로부터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간으로 인해 온도차에 의한 상기 에어 가이드(28) 또는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팽창 수축시 부딪혀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내면(283)은 상기 에어 가이드(28)의 상면에서 상기 에어 가이드(28)의 하면을 연결하는 면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라운드 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안내면(283)을 따라서 유동되어 원활하게 상기 패널 토출구(22)로 유동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안내면(283)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패널 토출구(22)의 인접 부위로 열전달이 차단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면(283)의 하단은 상기 패널 토출구(22)의 내측단을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안내면(283)의 좌우 양측단은 상기 패널 토출구(22) 양측의 곡률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패널 토출구(22)의 양측단으로 배출되는 공기 또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에어 가이드(28)의 좌우 양측에는 하방으로 함몰되는 케이스 안착부(284,28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안착부(284,285)는 상기 모터 케이스(291,292)가 안착되는 것으로, 하방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 가이드(28)가 상기 에어 가이드 장착부(27)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 케이스(291,292)는 상기 케이스 안착부(284,285)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모터 케이스(291,292)는 상기 케이스 장착부(203)에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케이스 체결부(204)에 상기 모터 케이스(291,292)를 관통하는 결합부재(S)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모터 케이스(291,292)를 고정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터 케이스(291,292)의 고정 장착으로, 상기 에어 가이드(28)의 양단 즉, 상기 케이스 안착부(284,285)가 상기 프론트 패널(20)에 밀착되도록 가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 가이드(28)는 상기 프론트 패널(20)에 접착제에 의한 부착 외에도 상기 모터 케이스(291,292)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내기(1)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는 상기 실내기의 공기유동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실내기(1)의 동작이 시작되면, 상기 송풍팬(40)의 구동을 위한 모터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송풍팬(40)의 회전에 의해 실내 공간의 공기는 상기 흡입 그릴(21)의 흡입구(213)를 통해 상기 실내기(1)의 내측으로 흡입된다.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50)를 통해서 상기 송풍팬(40)의 중심으로 흡입되며, 상기 송풍팬(40)의 원주 방향으로 토출된다.
상기 송풍팬(4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30)를 지나면서 냉매와 열교환되며, 상기 캐비닛(10) 내측의 유로를 따라서 상기 패널 토출구(22)로 안내된다. 이때, 상기 패널 토출구(22)로 향하는 공기는 상기 에어 가이드(28)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패널 토출구(22)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에어 가이드(28)의 안내면(283)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는 방향성을 가지고 외측으로 토출되며, 상기 베인(23)에 의해 토출되는 방향이 결정되어 실내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 가이드(28)를 지나는 과정에서 상기 에어 가이드(28)에 의해 단열되어 차가운 공기가 상기 패널 토출구(22)의 인접하는 부위에 직접 닿지 않게 되어 결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실내 공간의 천정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열교환기가 수용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개구면에 장착되며, 함몰된 내측 영역에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프론트 패널 토출구가 형성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패널 토출구에 구비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패널 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베인;
    상기 패널 토출구의 외측단을 따라서 연장 형성되며, 단열소재로 형성되는 에어 가이드;
    상기 에어 가이드가 장착되는 상기 프론트 패널에서 돌출 형성되는 밀림 방지 돌기;
    상기 밀림 방지 돌기와 대응하는 상기 에어 가이드의 바닥면에 함몰되어 상기 밀림 방지 돌기가 수용되는 돌기 수용홈;
    상기 프론트 패널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 가이드를 지지하는 사이드 월;
    상기 사이드 월에 함몰 형성되는 결합 홈;
    상기 프론트 패널과 접하는 상기 에어 가이드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결합홈의 깊이보다 더 돌출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과 상기 에어 가이드 일측을 이격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 방지 돌기는 상기 패널 토출구의 선단을 따라서 다수개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에는 상기 패널 토출구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곡면으로 형성된 안내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의 양단은 상기 토출구 양단의 곡률을 따라 형성되며,토출되는 공기가 중앙측을 향하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에는 상기 토출구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 가이드의 하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하단에는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과 상기 에어 가이드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의 양단에는 상기 베인의 회전을 위한 베인 모터가 수용되는 모터 케이스가 안착되는 케이스 안착부가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에는 상기 에어 가이드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상기 모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케이스 수용부가 위치되고,
    대향되는 다른 일측에 상기 모터 케이스의 고정을 위한 결합부재가 체결되는 케이스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의 양측방에 위치되는 상기 모터 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상기 베인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베인 모터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150113507A 2015-08-11 2015-08-1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676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507A KR101676965B1 (ko) 2015-08-11 2015-08-1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01610608178.3A CN106468459B (zh) 2015-08-11 2016-07-28 空调机的室内机
EP16183050.0A EP3130864B1 (en) 2015-08-11 2016-08-05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15/233,555 US10309683B2 (en) 2015-08-11 2016-08-10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507A KR101676965B1 (ko) 2015-08-11 2015-08-1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6965B1 true KR101676965B1 (ko) 2016-11-16

Family

ID=57540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507A KR101676965B1 (ko) 2015-08-11 2015-08-1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9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713A (ko) * 2001-11-23 2003-06-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 조립체
JP2010038490A (ja) * 2008-08-07 2010-02-18 Mitsubishi Electric Corp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KR20150041340A (ko) * 2013-10-08 2015-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713A (ko) * 2001-11-23 2003-06-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 조립체
JP2010038490A (ja) * 2008-08-07 2010-02-18 Mitsubishi Electric Corp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KR20150041340A (ko) * 2013-10-08 2015-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9683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P3124888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06196332B (zh) 空调机的室外机
KR10239694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2997312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P3070410B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O2007086641A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67696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70001705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0947549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KR20070066393A (ko) 천장덕트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하우징
KR10232629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69088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342217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EP3851758B1 (en) Air conditioner
KR1017428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10081010A (ko) 냉장고
JP2010078219A (ja) 床置型空気調和機
KR100291777B1 (ko)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
KR10239693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716041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10233441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90022102A (ko) 공기조화기
KR20010093370A (ko) 배리어의 응축수 처리 장치
KR10140901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