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608B1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4608B1
KR101304608B1 KR1020060025450A KR20060025450A KR101304608B1 KR 101304608 B1 KR101304608 B1 KR 101304608B1 KR 1020060025450 A KR1020060025450 A KR 1020060025450A KR 20060025450 A KR20060025450 A KR 20060025450A KR 101304608 B1 KR101304608 B1 KR 101304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anel
front panel
indoor uni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5141A (ko
Inventor
이원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5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608B1/ko
Priority to PCT/KR2006/004753 priority patent/WO2007108584A1/en
Priority to EP06256070.1A priority patent/EP1837607B1/en
Priority to ES06256070.1T priority patent/ES2627418T3/es
Priority to CN2007100023732A priority patent/CN101042253B/zh
Publication of KR20070095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human errors during the installation, use or maintenance, e.g. goofy p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이 지지링크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는, 전반부 골격을 형성하는 전면프레임(130)과;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단부를 축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며,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60)과; 상기 전면패널(160)의 일측에 형성되어, 전면패널(160)의 회전 중심축 역할을 하는 체결리브(220)와; 상기 전면패널(16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패널(160)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링크(230)와; 상기 지지링크(230)의 일단에 구비되어, 지지링크(230)의 일단이 상기 전면패널(1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힌지수단(234)과; 상기 전면프레임(130)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링크(230)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며, 상기 체결리브(220)의 다른 일단이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링크안착부(21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면패널의 개방이 용이하고 분실 우려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전면패널, 개방, 링크, 힌지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도 1은 일반적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보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방 및 하방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를 보인 측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프레임에 토출패널과 전면상측패널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a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좌측가이드수단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6b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우측가이드수단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패널의 후방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힌지수단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토출패널의 부분 전방사시도.
도 10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토출패널의 후면과 링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전면패널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실내기 102. 케이싱
110. 메인샤시 112. 흡입구
120. 메인디스플레이부 122. 토출베인
124. 상태표시부 130. 전면프레임
132. 흡입그릴 140. 디스플레이창
142. 상태표시창 144. 에어필터
146. 전기집진기 150. 리모컨수신부
152. 수신부홀 154. 커버
160. 전면패널 162. 데코글라스
164. 데코프레임 170. 토출패널
172. 전면상측패널 180. 체결홈
182. 지지홈 190,190'. 패널구동수단
192. 구동모터 194. 구동축
196. 링크 196'. 축링크
196". 패널링크 198. 연결슬릿
200,200'. 가이드수단 202,202'. 프레임가이드
204,204'. 패널가이드 210. 링크안착부
212. 힌지수용홈 220. 체결리브
222. 지지리브 230. 지지링크
232. 지지단 234. 힌지수단
235. 고정리브 240. 패널지지대
250. 패널돌기 252. 프레임돌기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이 지지링크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쾌적한 공기조화를 목적으로 공기를 냉각시켜 실내에 순환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모든 부품들이 하나의 유니트(unit)에 구비되는 일체형과, 실내기 및 실외기로 나누어지는 분리형으로 크게 대별될 수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실내기는 외관을 형성하며 실내 벽면에 장착되는 메인섀시(1)와, 상기 메인섀시(1)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면패널(3)과, 상기 전면패널(3)에 형성되는 흡입그릴(5a)과, 상기 전면패널(3)의 하단에 설치되는 토출그릴 (7)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5a)과 토출그릴(7) 사이에는 현재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조작을 유도하는 표시부(9)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메인섀시(1)의 상부면에도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별도의 흡입그릴(5b)이 더 설치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종래 분리형 공기조화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전면패널(3)은 상기 메인섀시(1)와 스크류(screw) 등으로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실내기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도시되지 않음) 등을 교환하거나 내부 부품을 애프터서비스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스크류(screw)를 분해하여 전면패널(3)을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상기와 같은 전면패널(3)의 분리와 장착이 어려울 뿐 아니라, 분리한 전면패널(3)을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므로 분실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부를 축으로 전방으로 개방 가능한 전면패널이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방된 전면패널이 링크에 의해 지지되어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전반부 골격을 형성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단부를 축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며,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일측에 형성되어, 전면패널의 회전 중심축 역할을 하는 체결리브와; 상기 전면패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패널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링크와; 상기 지지링크의 일단에 구비되어, 지지링크의 일단이 상기 전면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힌지수단과; 상기 전면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링크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며, 상기 지지링크의 다른 일단이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링크안착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링크의 좌우 측면에는, 상기 지지링크의 일단이 상기 링크안착부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링크돌기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가이드에는, 상기 지지링크의 일단이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안내하는 착탈가이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탈가이드는, 상기 링크안착부의 상반부에 좌우로 서로 마주보도록 쌍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안착부에는, 상기 지지링크의 일단이 고정 지지되는 멈춤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지지링크의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을 지지하는 힌지지지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축과 전면패널에는, 상호간의 체결에 의해 상기 힌지축의 회전을 방지하는 힌지돌기와 고정리브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리브의 단부에는 상기 힌지돌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턱이 일측 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안착부의 일단에는 상기 힌지수단이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힌지수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하면, 전면패널의 개방이 용이하고 분실 우려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와 도 2b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관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는 대략 사각통상으로 이루어지며, 케이싱(102)에 의해 전체적인 골격이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외관 및 후반부의 대략적인 골격은 메인샤시(110)와 아래에서 설명할 전면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싱(102)에 의해 전체적인 골격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메인샤시(110)는 상대적으로 후측에 위치하여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샤시부(110')와, 상기 후방샤시부(1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샤시부(110")로 나누어진다.
상기 메인샤시(110)의 상면에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112)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이러한 흡입구(112)는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그릴(132)에 의해 차폐 된다.
상기 전방샤시부(110")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된다. 즉,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114), 상기 송풍팬(114)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어셈블리(116) 그리고 열교환이 일어나는 열교환기(118) 등의 다수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114)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횡류팬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흡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하측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베인(122)을 통해 실내기(100) 외부로 토출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게 된다.
상기 모터어셈블리(11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팬(114)의 우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 동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회전동력이 상기 송풍팬(114)으로 전달된다.
상기 열교환기(118)는 상기 전방샤시부(110")의 앞쪽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송풍팬(114)과 같이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114)의 전방과 상방을 감싸도록 다수 절곡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전방샤시부(110")의 전면 상단에는 메인디스플레이부(120)가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120)는 다양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부분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전면상측패널(17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케이싱(102)의 하단에는 토출베인(122)이 설치된다. 즉,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방샤시부(110")의 하단에는 토출베인(122)이 구비된다. 물론, 상기 토출베인(122)은 아래에서 설명할 전면프레임(130)의 하단에 걸쳐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 토출베인(122)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114)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실내기(100)의 하방으로 토출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토출베인(122)은 별개의 구동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유동되도록 구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패널(170) 및 전면상측패널(172)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전방샤시부(110")의 전면 하단 우측에는 상태표시부(124)가 더 구비된다. 상기 상태표시부(124)는 공기조화기의 작동 상태나 공기조화기의 설정 상태 등을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부분이다.
상기 메인샤시(110)의 전방에는 전면프레임(130)이 설치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30)은 상기 실내기(100)의 전반부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샤시(110)의 전방샤시부(110")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상면에는 흡입그릴(132)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132)은 상기 전면프레임(130)과 상기 메인샤시(110)가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메인샤시(110)의 흡입구(112) 상측을 차폐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다수의 슬릿(slit)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전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에어필터(144)와 전기집진기(146)가 각각 지지되는 필터지지부(134) 및 집진기지지부(13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전면 우측단 부근에는 점검구(138)가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점검구(138)에는 점검판(138')이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점검판(138')은 상기 점검구(138)를 개폐한다.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전면 상단에는 디스플레이창(140)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창(140)은 상기 메인샤시(110)의 메인디스플레이부(120)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정보가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전방에서 투시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전면 하단 우측에는 상태표시창(142)이 형성된다. 상기 상태표시창(142)도 상기 디스플레이창(140)과 같이 투명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메인샤시(110)의 상태표시부(124)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태표시부(124)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가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전방에서 투시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30)에는 에어필터(144)와 전기집진기(146)가 장착된다. 상기 에어필터(144)는 상기 흡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전방과 상방에 걸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필터(144)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도 4와 같이 측방에서 볼 때 라운드지게 굴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장착된다.
상기 전기집진기(146)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먼지와 같은 이물을 이온화에 의해 포집하는 것으로, 상기 에어필터(144)의 후측에 설치되며, 상기 집진기지지부(136)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저면에는 도 2b와 같이 리모컨수신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리모컨수신부(150)는 원형의 버튼 형상을 가지며, 별도의 구조물인 리모 컨(remote controller)에서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공기조화기가 작동 및 조절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리모컨수신부(150)를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저면에 구비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상기 실내기(100)가 실내 공간의 벽면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점을 감안한 것이다.
상기 케이싱(102)의 전방,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전방에는 전면패널(160)이 설치된다. 상기 전면패널(160)은 사각 평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실내기(1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투명 또는 일정 색채를 가지는 데코글라스(162)와, 상기 데코글라스(162)가 장착되는 데코프레임(16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데코프레임(164)과 상기 데코글라스(162)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데코글라스(162)는 상기 데코프레임(164)에 접착부재에 의해 부착되거나,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밀착 또는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60)의 하측에는 토출패널(170)이 구비된다. 상기 토출패널(170)은 상기 전면패널(160)의 좌우 길이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아래에서 설명할 하측패널구동수단(190')에 의해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면패널(160)의 상측에는 전면상측패널(172)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전면상측패널(172)도 상기 토출패널(170)과 같이 상기 전면패널(160)의 좌우 길이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아래에서 설명할 상측패널구동수단(190)에 의해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5a 내지 도 5c에는 상기 전면프레임(130)에 상기 토출패널(170)과 전면상측패널(172)이 장착된 상태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a와 도 5b에는 상기 전면프레임(130)을 전방 상측 및 하측에서 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c에는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후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전면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패널구동수단(190,190')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상하로 유동 가능한 전면상측패널(172)과 토출패널(170)이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하단 중앙부분에는 상측으로 일정 부분이 절개되어 전방토출구(174)를 형성하고 있다. 즉,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하단 우측에 형성되는 상태표시창(142)으로부터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좌측단 사이에 전방토출구(174)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방토출구(174)를 통해 상기 송풍팬(114)에 의해 송출되는 공기가 실내기(100)의 전방으로 토출된다. 즉, 상기 전방토출구(174)는 상기 토출패널(17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는데, 상기 토출패널(170)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방토출구(174)가 개방되어 공기의 전방토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저면에는 상기 리모컨수신부(150)가 삽입 설치되는 수신부홀(152)이 형성된다.(도 5b 참조) 즉,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저면 우측단에는 수신부홀(15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모컨수신부(150)의 하측에는 리모컨수신부(150)를 감싸는 커버(154)가 더 설치된다. 상기 리모컨수신부(150)의 커버(154)는 내부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전면에는 체결홈(180)과 지지홈(182)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180)과 지지홈(182)은 아래에서 설명할 전면패널(160)의 체결리브(220)와 지지리브(222)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이러한 체결홈(180)과 지지홈(182)은 수량 및 형성위치는 특정될 필요는 없다. 즉, 아래에서 설명할 전면패널(160)의 체결리브(220) 및 지지리브(222)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개수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 그 위치와 수량이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후면에는 상기 전면상측패널(172)과 토출패널(170)의 상하 유동을 강제하는 패널구동수단(190,190')이 각각 설치된다. 즉,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후면 상단 부근에는 상기 전면상측패널(172)의 상하 이동을 강제하는 상측패널구동수단(190)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후면 하단 부근에는 상기 토출패널(170)의 상하 이동을 강제하는 하측패널구동수단(190')이 구비된다. 상기 상측패널구동수단(190)과 하측패널구동수단(190')은 서로 동일한 구성과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상기 패널구동수단(190,190')은 링크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전면상측패널(172)과 토출패널(170)의 유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후면 좌측단이나 우측단 부근에 설치되어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192)와,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후면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192)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194)과, 상기 구동축(194)과 상기 전면상측패널(172) 또는 토출패널(170)을 연결하는 링크(19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192)는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후면에 부착 설치되며, 스탭 모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구동모터(192)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구동축(194)이 연장 형성되어 구동모터(192)의 회전 동력을 상기 링크(196)로 전달한다. 상기 구동축(194)은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후면 좌측단과 우측단에 걸쳐 길게 형성되며, 이러한 구동축(194)의 양단에 상기 링크(196)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194)은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후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축지지부(195)가 다수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194)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링크(196)는 다수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축(194)의 회전운동을 상하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토출패널(170) 또는 전면상측패널(172)에 전달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링크(196)는 일단이 상기 구동축(194)과 고정 결합되는 축링크(196')와, 상기 토출패널(170) 또는 전면상측패널(172)과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패널링크(196")로 구성되며, 상기 축링크(196')와 패널링크(196")는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축링크(196')와 패널링크(196")는 서로 일직선을 이루거나 소정의 사이각을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토출패널(170) 또는 전면상측패널(172)이 상하로 유동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좌우 측단부에는 상하로 연결슬릿(198)이 관통 형성되고, 이러한 연결슬릿(198)을 통해 상기 패널링크(196")의 일단이 상기 토출패널(170) 또는 전면상측패널 (172)과 연결된다.
따라서, 도 5c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192)의 회전 동력에 의해, 상기 축링크(196')와 패널링크(196")의 사이 각(θ)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면, 상기 토출패널(170) 또는 전면상측패널(172)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토출패널(170)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방토출구(174)가 개방되며, 상기 전면상측패널(172)은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창(14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또한, 반대로 상기 축링크(196')와 패널링크(196")의 사이 각(θ)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거나 상기 축링크(196')와 패널링크(196")가 일직선으로 되면, 상기 토출패널(170)은 하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전면상측패널(172)은 상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토출패널(170)에 의해 상기 전방토출구(174)가 차폐되며, 상기 전면상측패널(172)에 의해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창(140)이 차폐되어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정보를 외부(실내기 전방)에서 인식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연결슬릿(198)의 후측(도 5c에서는 전방)에는 링크가이드(199)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링크가이드(199)는 아래에서 설명할 패널지지대(240)가 수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패널링크(196")의 일단이 체결되는 패널지지대(24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30)에는 상기 토출패널(170)의 상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200, 2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수단(200, 200')은, 상대적으로 좌측(도 5a에서는 좌측, 도 5c에서는 우측)에 구비되는 좌측가이드수단(200)과, 상대적으로 우측(도 5a에서는 우측, 도 5c에서는 좌측)에 구비되며 상기 좌측가이드 수단(200)과 대칭되게 구비되는 우측가이드수단(200')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수단(200, 200')은, 도 6a와 도 6b에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프레임(130)과 상기 토출패널(170)에 각각 서로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슬라이딩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가이드(202,202') 및 패널가이드(204,204')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전면프레임(130)에는 프레임가이드(202,20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패널(170)에는 패널가이드(204,204')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양측의 프레임가이드(202,202')와 패널가이드(204,204')는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좌측가이드수단(200)에는 좌측프레임가이드(202)와 좌측패널가이드(204)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우측가이드수단(200')에는 우측프레임가이드(202')와 우측패널가이드(20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좌측패널가이드(204)는 상기 토출패널(17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 연장된 다음, 우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우측패널가이드(204')는 상기 토출패널(17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 연장된 다음, 좌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좌측프레임가이드(202)는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수직 돌출된 다음, 좌측으로 수직 연장 형성되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우측프레임가이드(202')는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수직 돌출된 다음, 우측으로 수직 연장 형성되어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좌측패널가이드(204)와 좌측프레임가이드(202)가 서로 형합한 상태로 슬라이딩 유동하며, 상기 우측패널가이드(204')와 우측프레임가이드(202')도 서로 형합한 상태로 슬라이딩 유동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좌측가이드수단(200)과 우측가이드수단(200')의 각 구성을 서로 좌우 대칭되도록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토출패널(170)과 전면프레임(130)의 슬라이딩 유동시 일측(좌측 또는 우측)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상기 토출패널(170)과 전면상측패널(172)이 상기 전면프레임(130)으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전면 좌우 측단부에는 링크안착부(210)가 형성된다(도 5a 및 도 5b 참조). 상기 링크안착부(210)는 아래에서 설명할 지지링크(230)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한편, 지지링크(230)의 일단이 슬라이딩되는 부분으로, 지지링크(230)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후방으로 일정 부분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안착부(210)의 하단에는 힌지수용홈(212)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수용홈(212)은 아래에서 설명할 힌지수단(234)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부분이다. 상기 힌지수용홈(212)은 상기 링크안착부(210)의 좌우 폭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폭을 가진다. 즉 아래에서 설명할 힌지수단(234)의 좌우 폭과 대응되는 크기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수단(234)의 좌우 폭보다도 조금 더 큰 크기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링크안착부(210)에는 멈춤돌기(214)가 더 형성된다. 상기 멈춤돌기(214)는 아래에서 설명할 지지링크(230)의 일단, 즉 지지단(232)이 정지되도록 하 기 위한 것이다. 상기 멈춤돌기(214)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안착부(210)의 바닥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정부분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링크안착부(210)에는 착탈가이드(216)가 더 형성된다. 상기 착탈가이드(216)는 아래에서 설명할 지지링크(230)의 지지단(232)이 상기 링크안착부(21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착탈가이드(216)는 상기 링크안착부(210)의 상반부에 좌우로 서로 마주보도록 쌍으로 형성되며, 상방이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개구된 상방을 통해 아래에서 설명할 지지링크(230)의 지지단(232) 및 링크돌기(232')가 삽입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우측면에는 스위치홈(218)이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홈(218)에는 운전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상기 운전스위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공기조화기가 강제로 운전 또는 정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운전스위치는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측면에 별도로 구비되는 외에, 상기 리모컨수신부(150)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저면에 형성되는 수신부홀(152)에 공기조화기를 온(on)/오프(off)하는 운전스위치가 삽입 설치되고, 이러한 운전스위치 내부에 리모컨(remote controller)에서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수신부(150)가 내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에는 상기 운전스위치의 커버는 내부가 투시 가능한 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7에는 상기 전면패널(160)의 후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패널(160)의 후면에는 다수의 체결리브 (220)와 지지리브(22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전면패널(160)의 후면 상단 부근에는 중앙 및 좌우 단부에 각각 3개의 체결리브(220)가 후방(도 7에서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체결리브(220)는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체결홈(180)에 삽입되는 부분이며, 이러한 체결리브(220)는 라운드진 갈고리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전면패널(160)의 후면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도 7에서는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라운드지게 상방으로 휘어져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리브(220)를 갈고리 형상으로 성형하는 이유는 상기 전면패널(160) 하단이 전방으로 개방되는 경우에도 상기 체결리브(220)가 상기 체결홈(180)에 삽입된 채 탈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리브(222)는 상기 전면패널(160)의 후면 하반부에 다수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222)도 상기 체결리브(22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면패널(16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도 7에서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지지홈(182)에 삽입된다.
상기 지지리브(222)의 선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벤딩(bending)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리브(222)가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지지홈(182)에 삽입된 다음, 외부(전방)로부터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지지리브(222)가 지지홈(182)으로부터 탈거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전면패널(160)은 닫혀 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면패널(160)의 양단에는 상기 전면패널(160)의 전방 회동을 제 어하는 지지링크(230)가 각각 설치된다. 즉, 상기 전면패널(160)의 후면 중앙부 좌/우측 단부에 지지링크(23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면프레임(130)과 전면패널(160)을 연결한다.
상기 지지링크(230)의 일단(도 7에서는 하단)은 상기 전면패널(160)에 힌지결합되고, 다른 일단(도 7에서는 상단)은 상기 전면프레임(130)에 연결된다. 즉, 상기 지지링크(230)의 다른 일단(도 7에서는 상단)은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링크안착부(210)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에서의 상기 지지링크(230) 상단에 해당하는 지지단(232)이 상기 링크안착부(210)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한다.
상기 지지링크(230)의 지지단(232) 좌우 측면에는 링크돌기(232')가 좌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링크돌기(232')는 상기 지지링크(230)의 지지단(232)이 상기 링크안착부(210)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돌기(232')는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착탈가이드(216)를 통해 상기 링크안착부(210)로 삽입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링크돌기(232')는 상기 착탈가이드(216)의 상방 개구부를 통해 상기 링크안착부(210)로 삽입되고 탈거된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착탈가이드(216)의 상방은 개구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개구된 부분을 통해 상기 링크돌기(232')가 출입한다.
도 7에서의 상기 지지링크(230) 하단에는 힌지수단(234)이 구비된다. 상기 힌지수단(234)은 상기 지지링크(230)가 상기 전면패널(16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 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도 7에 도시된 상기 지지링크(230)의 상태는 상기 전면패널(160)이 닫혀져 전면패널(160)과 전면프레임(130)이 서로 밀착된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이때 상기 지지링크(230)가 상기 링크안착부(210)에 삽입되어 수용된다. 그리고, 이때에는 상기 힌지수단(234)이 상기 힌지수용홈(212)에 수용된다.
한편, 상기 전면패널(160)의 후면에는 전원차단리브(236)가 더 후방(도 7에서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전원차단리브(236)는 상기 전기집진기(146)로 유입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전면패널(160)이 개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기집진기(146)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에는 상기 힌지수단(234)의 구성이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수단(234)은, 상기 지지링크(230)의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축(234')과, 상기 힌지축(234')을 지지하는 힌지지지대(23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지지대(2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패널(16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234')의 좌우로 지지한다.
상기 힌지축(23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힌지지지대(234")를 각각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외에 2 이상의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힌지축(234')은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좌우 2개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축이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힌지축(234')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2개의 축이 하나의 스크류(screw) 등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힌지축(234')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힌지축(234')의 측면에 스크류드라이버(screwdriver)가 체결가능한 '-' 또는 '+'자 형상의 드라이버홈을 형성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힌지축(234')의 측면에 드라이버홈을 형성하는 이유는 소형의 힌지축(234')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사용자가 상기 힌지축(234')을 회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크류드라이버(screwdriver)의 끝단을 상기 드라이버홈에 밀착시킨 다음 회전시키면, 상기 힌지축(234')의 회전이 용이하게 가능하기 때문이다.
상기 힌지축(234')의 우측단(도 8에서) 외주면에는 힌지돌기(234'a)가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힌지돌기(234'a)는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리브(235)와 서로 체결되어 상기 힌지축(234')의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면패널(160)의 후면에는 고정리브(235)가 더 형성된다. 상기 고정리브(23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패널(16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단부(후단)에는 측방으로 벤딩(bending)되어 연장된 고정턱(235')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턱(235')은 상기 힌지돌기(234'a)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턱(235')과 상기 전면패널(160)의 후면 사이에 상기 힌지돌기(234'a)가 끼워지면,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힌지돌기(234'a)는 상기 고정턱(235')을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
도 9과 도 10에는 상기 토출패널(170)과 링크(196)의 세부 구성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즉, 도 9에는 상기 토출패널(170)의 전방사시도가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상기 토출패널(170)의 후방사시도 및 링크(196)의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패널(170)의 양단에는 패널지지대(24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패널지지대(240)는 상기 토출패널(170)이 상기 전면프레임(130)에 장착되도록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기 링크가이드(199)에 단부가 삽입되어 상하로 안내된다.
상기 패널지지대(240)의 후단에는 링크체결후크(242)가 형성되다. 상기 링크체결후크(2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원형의 홈을 가지는 후크로 이루어져, 상기 링크(196)의 일단이 체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패널지지대(240)의 하면에는 고정홈(244)이 더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홈(244)은 상기 패널지지대(24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부분 함몰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슬릿(198)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토출패널(170)이 하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연결슬릿(198)의 하단부가 상기 고정홈(244)에 삽입되면, 상기 토출패널(170)이 더 이상 하측으로 유동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토출패널(170)의 전면에는 다수의 패널돌기(250)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토출패널(170)의 전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일정 부분 돌출된 다수의 패널돌기(250)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돌기(250)는 상기 토출패널(170)이 상하로 유동하는 경우에, 상기 전면패널(160)과 토출패널(170)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토출패널(170)과 전면패널(160)이 직접 접촉되지 않고, 상기 패널돌기(250)의 선단부와 상기 전면패널(160)의 후면이 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토출패널(170)의 후면에는 프레임돌기(252)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돌기(252)는 상기 토출패널(170)이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전면프레임(130)과 토출패널(170)이 서로 이격되도록 한다. 즉, 상기 토출패널(170)의 상하 유동시, 상기 프레임돌기(252)의 후단부와 상기 전면프레임(130)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토출패널(17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패널돌기(250)와 프레임돌기(252)를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토출패널(170)의 유동시 상기 토출패널(170)과 상기 전면패널(160) 및 전면프레임(130)의 접촉 면적이 보다 작도록 하여 접촉 마찰력을 줄이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전면패널(160)과 전면프레임(130)에 상기 토출패널(170)의 전면과 후면 전체가 접하는 경우에 비해 상기와 같은 패널돌기(250)와 프레임돌기(252)가 접하게 되면, 상기 토출패널(170)의 상하 유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패널지지대(240)의 링크체결후크(242)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패널링크(196")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도 10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패널링크(196")의 하단 좌측면에는 상기 링크체결후크(24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링크축(196"a)이 좌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패널링크(196")의 상단 우측면에는 상기 축링크(196')의 일단과 체결되는 제2링크축(196"b)이 우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축링크(196')의 하단에는 후크(hook) 형상의 탄성후크(196'a)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고정후크(196'b)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후크(196'a)에는 상기 패널링크(196")의 제2링크축(196"b)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후크(196'b)에는 상기 구동축(194)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운전스위치(도시되지 않음) 또는 리모컨(remote controller)을 조작하여 공기조화기를 작동시키면, 미리 설정된 상태에 따라 공기조화기가 작동한다.
이때 상기 송풍팬(114)은 상기 모터어셈블리(116)의 회전 동력을 받아 회전하게 되어 흡인력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흡인력에 의해 외부(실내공간)의 공기는 상기 흡입그릴(132)을 통해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흡입그릴(132)을 경유하여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필터(144)와 전기집진기(146) 등을 통과하게 되고, 이때 공기 중의 이물이 제거된다. 상기 에어필터(144)와 전기집진기(146)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18)를 경유하면서 열교환기(118) 내부의 냉매와 열교환이 일어난다.(예, 냉방 가동인 경우에는 공기가 냉각됨)
상기 열교환기(118)를 경유한 공기는 상기 송풍팬(114)에 의해 강제 송출되고 상기 토출베인(122)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토출베인(122)에 의해 가이드되는 공기는 상기 실내기(100)의 하방 또는 전방으로 토출된다. 즉, 상기 토출패널(170)과 토출베인(122)은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유동 가능하므로, 토출되는 공기는 전방과 하방으로 선택적으로 가능함은 물론 전방과 하방으로의 동시 토출도 가능하다.
이는 상기 토출패널(170)이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전면 하단부, 즉 전방토출구(174)를 선택적으로 차폐하여 공기의 전방토출을 제어하고, 상기 토출베인(122)은 공기의 하방 토출을 제어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즉, 상기 토출베인(122)이 회동하여 하방으로 개방되면, 상기 송풍팬(114)에 의해 강제 토출되는 공기는 하방으로 토출되고, 상기 토출베인(122)이 개방되지 않고 상기 토출패널(170)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공기는 상기 전방토출구(174)를 통해 실내기(100)의 전방으로만 토출된다.
다음으로는,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전면패널(160)이 개방되는 상태를 살펴본다. 즉, 상기 에어필터(144) 등을 교체하기 위해 상기 전면패널(160)을 개방하는 상태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2b는 상기 전면패널(160)이 상기 전면프레임(130)에 밀착되어 닫혀진 상태이다. 이때에는 도 7과 같이 상기 지지링크(230)는 상기 전면패널(160)의 후면에 밀착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링크(230)는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링크안착부(210)에 수용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160)의 상기 지지리브(222)는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지지홈(182)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전면패널(160)의 하단부를 손으로 잡고 전방으로 당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전면패널(160)의 지지리브(222)는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지지홈(182)으로부터 탈거되고, 상기 전면패널(160)은 상단부의 상기 체결리브(220)를 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전면패널(160)의 체결리브(220)는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체결홈 (180)에 삽입된 채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링크(230)의 지지단(232)은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링크안착부(210)를 슬라이딩한다. 즉, 상기 지지링크(230)는 상기 힌지수단(234)을 축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지지링크(230)의 자체 하중에 의해 지지단(232)은 상기 링크안착부(21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슬라이딩한다. 이때 상기 지지단(232)의 링크돌기(232')에 의해 상기 지지링크(230)의 지지단(232)은 상기 링크안착부(210)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된다.
상기 전면패널(160)의 하단부를 계속해서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전면패널(160)은 도 11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에는 상기 지지링크(230)의 지지단(232)은 상기 힌지수단(234)보다 낮은 위치에 놓이게 되고, 상기 지지링크(230)의 지지단(232)은 상기 링크안착부(210)에 형성된 멈춤돌기(214)에 의해 지지되어 정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전면패널(160)이 상기 지지링크(230)에 의해 지지되어 도 11과 같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면패널(160)이 개방되면, 사용자는 상기 에어필터(144) 등과 같은 부품을 교환하거나 내부를 점검할 수 있게 되다.
한편, 상기 전면패널(160)을 닫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개방과는 반대의 과정에 의한다. 즉, 이때에는 도 11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링크(230)의 지지단(232) 부근을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이렇게 되면, 상기 지지링크(230)의 지지단(232)이 상기 링크안착부(210)를 슬라이딩하면서 상방으로 밀려 올라간다.
상기 지지링크(230)의 지지단(232)이 상방으로 밀려 올라감에 따라 상기 전 면패널(160)은 점차 닫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패널(160)을 후방으로 더 밀게 되면, 상기 전면패널(160)의 지지리브(222)는 상기 전면프레임(130)의 지지홈(182)에 삽입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전면패널(160)의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지지링크(230)는 도 7과 같이 상기 전면패널(160)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고, 상기 지지링크(230)의 힌지수단(234)은 상기 힌지수용홈(212)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수단(234)의 체결되는 과정의 일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지지링크(230)의 일단(도 7 및 도 8에서는 하단)이 상기 한 쌍의 힌지지지대(234")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상기 힌지축(234')을 우측으로부터 좌측방으로 삽입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힌지축(234')이 상기 한 쌍의 힌지지지대(234") 및 지지링크(230)의 단부(하단)를 관통한다.
그런 다음, 상기 힌지축(234')을 돌려 상기 힌지돌기(234'a)가 상기 고정리브(235)에 체결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8에서 상기 힌지돌기(234'a)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힌지돌기(234'a)와 상기 고정리브(235)는 서로 간섭하게 되고, 상기 힌지돌기(234'a)를 계속 회전시키면, 상기 힌지돌기(234'a)가 도 8과 같이 상기 고정리브(235)의 고정턱(235')과 상기 전면패널(160)의 후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힌지돌기(234'a)는 상기 고정턱(235')에 걸어져 고정되므로, 상기 힌지축(234')의 회전이 방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 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전면패널의 상단부에는 회전 중심이 되는 체결리브가 형성되고, 전면패널의 중앙 부근에는 체결리브가 구비되어 전면패널이 상단부를 축으로 회전하여 하반부가 전방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실내 벽면의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실내기 내부로부터 에어필터를 교환 등 애프터서비스가 필요한 경우에, 전면패널의 하단을 전방으로 당기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전면패널을 개방시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면패널이 개방된 다음에는 지지링크가 멈춤돌기에 의해 고정되어 지지되므로, 전면패널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내부 부품(필터 등)의 교체나 점검 작업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면패널의 하반부가 개방되므로 상대적으로 키가 작은 사용자나 실내기가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전면패널을 완전히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내부 점검이 이루어지므로, 전면패널을 분리하여 보관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전면패널의 분실이 방지되며,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전반부 골격을 형성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단부를 축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며,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일측에 형성되어, 전면패널의 회전 중심축 역할을 하는 체결리브와;
    상기 전면패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패널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링크와;
    상기 지지링크의 일단에 구비되어, 지지링크의 일단이 상기 전면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힌지수단과;
    상기 전면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링크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며, 상기 지지링크의 다른 일단이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링크안착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크의 좌우 측면에는,
    상기 지지링크의 일단이 상기 링크안착부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링크돌기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안착부에는,
    상기 지지링크의 일단이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안내하는 착탈가이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이드는,
    상기 링크안착부의 상반부에 좌우로 서로 마주보도록 쌍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안착부에는,
    상기 지지링크의 일단이 고정 지지되는 멈춤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지지링크의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을 지지하는 힌지지지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과 전면패널에는,
    상호간의 체결에 의해 상기 힌지축의 회전을 방지하는 힌지돌기와 고정리브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리브의 단부에는 상기 힌지돌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턱이 일측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안착부의 일단에는 상기 힌지수단이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힌지수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60025450A 2006-03-20 2006-03-20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304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450A KR101304608B1 (ko) 2006-03-20 2006-03-20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CT/KR2006/004753 WO2007108584A1 (en) 2006-03-20 2006-11-13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EP06256070.1A EP1837607B1 (en) 2006-03-20 2006-11-28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ES06256070.1T ES2627418T3 (es) 2006-03-20 2006-11-28 Unidad interior para acondicionador de aire
CN2007100023732A CN101042253B (zh) 2006-03-20 2007-01-15 用于空调器的室内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450A KR101304608B1 (ko) 2006-03-20 2006-03-20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141A KR20070095141A (ko) 2007-09-28
KR101304608B1 true KR101304608B1 (ko) 2013-09-05

Family

ID=38688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450A KR101304608B1 (ko) 2006-03-20 2006-03-20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6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47187A4 (en) * 2008-10-21 2017-08-23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KR101706812B1 (ko) 2013-10-02 2017-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702169B1 (ko) 2013-10-02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50043573A (ko) 2013-10-11 2015-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662377B1 (ko) 2014-01-27 2016-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477511B1 (ko) * 2018-01-03 2022-12-15 주식회사 위니아 에어컨 무빙커버용 링크 힌지 조립체
CN109931684B (zh) * 2019-03-15 2024-08-09 三菱重工金羚空调器有限公司 支撑装置及空调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6032A (ja) * 1998-02-27 1999-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窓型エアコンのグリルヒンジ装置
JP2001132978A (ja) * 1999-11-09 2001-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402619B1 (ko) * 2001-10-18 2003-10-1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40084321A (ko) * 2003-03-27 200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실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6032A (ja) * 1998-02-27 1999-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窓型エアコンのグリルヒンジ装置
JP2001132978A (ja) * 1999-11-09 2001-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402619B1 (ko) * 2001-10-18 2003-10-1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40084321A (ko) * 2003-03-27 200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실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141A (ko) 200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60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1837607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18154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7029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5013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31560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1780474A2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280375B1 (ko) 공기조화기
KR20170076011A (ko) 에어컨
KR20170076003A (ko) 에어컨
KR20070095143A (ko) 공기조화기의 스위치 고정구조
KR10118164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70076014A (ko) 에어컨
KR20170076016A (ko) 에어컨
KR20170076021A (ko) 에어컨
KR20170076022A (ko) 에어컨
KR20170076837A (ko) 에어컨
KR10125750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4087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70076834A (ko) 에어컨
KR20170076004A (ko) 에어컨
KR20170076018A (ko) 에어컨
KR20170071737A (ko) 에어컨
KR20170076008A (ko) 에어컨
KR20170076020A (ko) 에어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